KR20180126147A - 크레인 차량 - Google Patents

크레인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147A
KR20180126147A KR1020170060769A KR20170060769A KR20180126147A KR 20180126147 A KR20180126147 A KR 20180126147A KR 1020170060769 A KR1020170060769 A KR 1020170060769A KR 20170060769 A KR20170060769 A KR 20170060769A KR 20180126147 A KR20180126147 A KR 20180126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case
outrigger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욱
박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수산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to KR1020170060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6147A/ko
Publication of KR20180126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양물을 들어올리는 붐 시스템이 설치된 크레인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웃트리거의 수직방향 길이보다 인출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를 구비함으로써, 크레인의 스윙시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의 간섭을 방지함과 동시에,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를 통해 크레인 차량을 지반으로부터 지지시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크레인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레인 차량{CRANE VEHICLE}
본 발명은 크레인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양물을 들어올리는 붐 시스템이 설치된 크레인 차량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 차량은 인양물을 들어올리는 붐 시스템이 설치된 차량으로서, 건설현장 등에서 무거운 인양물을 운반하기 위해 이용된다.
크레인 차량에 설치되는 붐 시스템은 수평방향 회전과, 수직방향 회전, 즉, 기복이 가능하다. 따라서, 붐 시스템의 후크 등과 같은 인양장치에 인양물을 걸은 후, 붐 시스템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기복시킴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인양물을 인양할 수 있다.
이처럼 붐 시스템에 무거운 인양물을 인양하고, 붐 시스템을 동작시킴에 따라 크레인 차량에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크레인 차량이 전복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크레인 차량의 전복을 방지하게 크레인 차량에는 아웃트리거가 구비되게 되며, 특히, 전복의 위험성이 높은 크레인 차량의 측면에 아웃트리거가 배치된다.
위와 같이 크레인 차량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아웃트리거를 구비한 크레인차량으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8171호(이하, '특허문헌 1'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크레인 차량은 크레인과, 적재함의 전방에 배치되어, 지면에 맞닿아 지지력을 제공하는 전방 롱 아웃트리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방 롱 아웃트리거는 외부 케이스와, 내부케이스와, 플로트와,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와 잭 실린더를 포함한다.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는 전방 롱 아웃트리거의 내측에 설치되어 전방 롱 아웃트리거를 좌우, 즉, 수평으로 이동시키며, 잭 실린더는 내부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전방 롱 아웃트리거를 상하, 즉,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 및 잭 실린더가 작동하게 되면, 외부 케이스는 수평 이동되어 크레인 장착차량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내부케이스는 수직이동하여 플로트가 지면에 닿음으로써, 크레인 차량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전방 롱 아웃트리거의 경우, 전방 롱 아웃트리거를 통해 크레인 차량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전방 롱 아웃트리거의 수직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므로, 전방 롱 아웃트리거가 크레인 차량의 차체 상부까지 솟아있게 되므로, 크레인의 스윙시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전방 롱 아웃트리거는 실린더의 특성상 잭 실린더의 수직방향 인출길이가 잭 실린더의 실린더보다 길어질 수 없다. 따라서, 대형의 크레인 차량의 바퀴의 수직방향 길이보다 더 긴 인출길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잭 실린더의 수직방향 길이 및 외부, 내부 케이스의 수직방향 길이를 크게 형성해야 하며, 이로 인해, 전방 롱 아웃트리거의 수직방향 길이가 길어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전방 롱 아웃트리거를 크레인 장착차량에 설치하게 되면, 전방 롱 아웃트리거는 크레인 차량의 차체 상부까지 솟아있게 되며, 이로 인해, 크레인의 스윙, 즉, 수평방향 회전시, 전방 롱 아웃트리거가 크레인을 간섭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방 롱 아웃트리거에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를 통해 전방 롱 아웃트리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그러나, 크레인 차량으로 작업을 할 때마다,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로 전방 롱 아웃트리거를 수평이동해야 한다면,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와 잭 실린더 모두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전방 롱 아웃트리거로 인한 크레인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에 의한 외부 케이스의 수평방향 이동이 많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가 매우 튼튼해야 한다.
따라서,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의 단면적을 크게 만들어야 하며, 이로 인해,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의 무게가 무거워져 크레인 차량의 주행시 효율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전방 롱 아웃트리거의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817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아웃트리거의 수직방향 길이보다 인출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를 구비함으로써, 크레인의 스윙시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의 간섭을 방지함과 동시에,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를 통해 크레인 차량을 지반으로부터 지지시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크레인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크레인 차량은, 인양물을 인양하는 붐 시스템이 차체에 설치되는 크레인 차량에 있어서, 지반으로부터 상기 크레인 차량을 지지하는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를 포함하되, 상기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는,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제1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이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실린더를 구비한 제1실린더장치; 및 단부에 지지부가 연결된 제2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이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실린더를 구비한 제2실린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입출되며,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차체 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제2피스톤은 상기 지반 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는, 내부에 상기 제1실린더장치 및 상기 제2실린더장치가 설치되며, 상호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케이스에는 상기 제1피스톤이 고정되고,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제1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가 고정되며, 상기 제3케이스에는 상기 제2피스톤이 고정되고, 상기 제1실린더장치의 상기 제1피스톤이 인출되면, 상기 제2케이스가 상기 제1케이스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제2실린더장치의 상기 제2피스톤이 인출되면, 상기 제3케이스가 상기 제2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는 상기 차체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3케이스의 단부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는 상기 차체의 후방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크레인 차량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는 인입 상태에서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의 수직 방향 길이보다 더 긴 인출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붐 시스템의 스윙시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가 붐 시스템의 스윙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가 차체에서 외측 방향으로 틸팅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부 또한, 틸팅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경사가 있는 지반에서도 용이하게 크레인 차량을 지반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측면을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평면을 도시한 도.
도 3(a)은 도 1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의 정면을 도시한 도.
도 3(b)는 도 1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의 내부를 도시한 도.
도 4(a)는 도 3(b)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의 제1, 2실린더장치만을 도시한 도.
도 4(b)는 도 4(a)의 제1, 2실린더장치의 제1, 2피스톤이 각각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5(a)는 도 1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가 차체의 외측으로 틸팅된 것을 도시한 도.
도 5(b)는 도 5(a)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의 제1, 2피스톤이 인출되어 제2, 3케이스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측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의 평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3(a)은 도 1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의 정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3(b)는 도 1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의 내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4(a)는 도 3(b)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의 제1, 2실린더장치만을 도시한 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제1, 2실린더장치의 제1, 2피스톤이 각각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5(a)는 도 1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가 차체의 외측으로 틸팅된 것을 도시한 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의 제1, 2피스톤이 인출되어 제2, 3케이스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은, 차체(11)와, 차체(11)의 전방에 위치하는 운전석(12)과, 차체(11)에 설치되는 붐 시스템(30)과, 차체(11)의 전방 좌, 우측 및 차체(11)의 후방 좌,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싱글실린더 아웃트리거(50)와, 차체(11)의 후방 중앙에 설치되는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체(11)는 전방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석(12)에 연결되어 있으며, 차체(11)의 후방 하부에는 한 쌍의 뒷바퀴(14)가 구비되어 있고, 운전석(12)의 하부에는 한 쌍의 앞바퀴(13)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차체(11) 및 운전석(12)은 공지된 트럭 등과 같은 차량과 그 구성요소가 유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붐 시스템(30)은 차체(11)에 설치되어 인양장치(35)를 통해 인양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며, 차체(11)에 설치되는 베이스(31)와, 베이스(31)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칼럼(32)과, 칼럼(32)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단의 붐(33)과, 와이어(34)에 의해 다단의 붐(33) 단부에 매달려 있는 인양장치(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31)는 차체(11)와 붐 시스템(30)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칼럼(32)은 베이스(31)와 다단의 붐(33)을 연결하여, 다단의 붐(33)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칼럼(32)은 베이스(31)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칼럼(32)의 수평방향 회전은 유압으로 구동하는 스윙모터(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윙모터가 작동하게 되면, 칼럼(32)이 베이스(3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붐 시스템(30) 전체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단의 붐(33)은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칼럼(32)에 힌지구조로 설치된다.
또한, 다단의 붐(33)과 칼럼(32) 사이에는 다단의 붐(33)과 칼럼(32)을 연결하는 데릭실린더장치(36)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데릭실린더장치(36)의 데릭피스톤(39)의 인입 또는 인출에 의해 다단의 붐(33)이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다단의 붐(33)이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단의 붐(33)은 상호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텔레스코픽실린더장치(미도시)에 의해 다단의 붐(33)의 인출 및 인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인양장치(35)는 인양물을 인양하는 기능을 하며, 와이어(34)에 의해 다단의 붐(33) 단부에 매달려 있다.
와이어(34)는 윈치모터(37)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윈치모터(37)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34)에 연결된 인양장치(35)가 상부 또는 하부로 승하강 할 수 있다.
인양장치(35)는 인양물을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는 후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싱글실린더 아웃트리거(50)는 차체(11)의 전방 좌, 우측 및 후방 좌, 우측 각각에 설치된다.
이 경우, 싱글실린더 아웃트리거(50)는 하나의 실린더장치(미도시)에 의해 피스톤이 수직 방향으로 인출되어, 피스톤의 단부에 구비된 지지판이 지반을 지지함으로써, 크레인 차량(10)을 지반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또한, 싱글실린더 아웃트리거(50)는 수평실린더장치(51)에 의해 차체(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수평실린더장치(51)의 수평피스톤(52)이 인출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는 차체(11)의 후방 중앙에 고정되며, 싱글실린더 아웃트리거(50)와 더불어 크레인 차량(10)을 지반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입출(引入出)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케이스(110, 120, 130)와, 차체(11)의 후방 중앙에 고정되는 제1피스톤(141)과 제1피스톤(141)이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실린더(143)를 구비한 제1실린더장치(140)와, 단부에 지지부(132)가 연결된 제2피스톤(151)과 제2피스톤(151)이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실린더(153)를 구비한 제2실린더장치(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케이스(11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부(111)에 의해 차체(11)의 후방 중앙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1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제2케이스(120)가 삽입되어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2케이스(120)의 내부에는 제3케이스(130)가 삽입되어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케이스(110, 120, 130)는 상호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망원경과 같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케이스(110, 120, 130)가 모두 인출되면, 제1케이스(110)의 하부에 제2케이스(120)가 위치하고, 제2케이스(120)의 하부에 제3케이스(130)가 위치한다.
위와 같이 제1케이스(110)가 차체(11)의 후방 중앙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는 차체(11)의 후방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틸팅부(111)는 차체(11)와 제1케이스(11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작동유 등에 의해 작동되어 차체(11)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제1케이스(110)를 틸팅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틸팅부(111)는 그 상부가 힌지구조로 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함으로써, 제1케이스(110)를 틸팅시키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틸팅부(111)에 의해 제1케이스(110)가 차체(11)의 외측 방향, 즉, 크레인 차량(10)의 외측 방향으로 틸팅됨에 따라,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 전체가 차체(11)의 외측 방향, 즉, 크레인 차량(10)의 외측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틸팅부(111) 및 제1케이스(110)의 구성으로 인해,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는 차체(11)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된다고 할 수 있다.
제3케이스(130)의 단부(131)에는 지지부(132)가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지지부(132)는 지지부힌지축(133)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3케이스(130)의 단부(131)에 연결되며, 이로 인해, 지지부(132)는 제3케이스(130)로부터 각도 조절, 즉, 틸팅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실린더장치(140)는 제1 내지 제3케이스(110, 120, 1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피스톤(141)과 제1실린더(143)를 구비하고 있다.
제1피스톤(141)은 제1실린더(143)의 내부에 삽입되어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피스톤(141)의 단부에는 제1고정부(1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고정부(171)는 제1케이스(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피스톤(141)은 제1고정부(171)에 의해 제1케이스(110)에 고정된다.
위와 같이, 제1피스톤(141)이 제1케이스(110)에 고정되어 있고, 제1케이스(110) 또한, 틸팅부(111)에 의해 차체(1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피스톤(141)은 차체(11)에 고정된다고 할 수 있다.
제1실린더(143)는 제1연결부(161) 및 제2연결부(162)에 의해 제2실린더(153)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1실린더(143)는 제1연결부(161) 및 제2연결부(162)에 의해 제2실린더장치(150)의 제2실린더(153)와 연결됨으로써, 제2실린더(153)에 고정되며, 후술할 바와 같이, 제2실린더(153)는 제2고정부(172)에 의해 제2케이스(1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실린더(143) 또한, 제2케이스(120)에 고정된다고 할 수 있다.
제2실린더장치(150) 또한, 제1 내지 제3케이스(110, 120, 1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2피스톤(151)과 제2실린더(153)를 구비하고 있다.
제2피스톤(151)은 제2실린더(153)의 내부에 삽입되어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2피스톤(151)의 단부에는 제3고정부(17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3고정부(173)는 제3케이스(13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피스톤(151)은 제3고정부(173)에 의해 제3케이스(130)에 고정된다.
위와 같이, 제2피스톤(151)이 제3케이스(130)에 고정되어 있고, 제3케이스(130)의 단부에는 지지부(132)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피스톤(151)의 단부에는 지지부(132)가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2피스톤(151)이 제3케이스(1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부(132)는 제3케이스(130)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또는 설치)됨과 동시에, 제2피스톤(151)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또는 설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제2실린더(15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연결부(161) 및 제2연결부(162)에 의해 제2실린더(153)와 연결되며, 제2실린더(153)의 타단부(제2피스톤(151)이 삽입된 곳은 제2실린더(153)의 일단부이고, 제2피스톤(151)이 삽입되지 않은 곳은 제2실린더(153)의 타단부이다)에 형성된 제2고정부(172)에 의해 제2케이스(120)에 고정되어 있다.
이하,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인출동작 및 인입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실린더장치(140)와, 제2실린더장치(150)에는 인출유로(181) 및 인입유로(183)가 구비되어 있다.
인출유로(181)는 제1실린더장치(140)의 제1실린더(143)의 내부의 하부에 형성된 제1인출챔버(미도시)와, 제2실린더장치(150)의 제2실린더(153)의 내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2인출챔버(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인입유로(183)는 제1실린더장치(140)의 제1실린더(143)의 내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1인입챔버(미도시)와, 제2실린더장치(150)의 제2실린더(153)의 내부의 하부에 형성된 제2인입챔버(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먼저,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인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인출을 위해, 인출유로(181)로 작동유가 유입되면, 작동유는 제1인출챔버(145)와 제2인출챔버(155) 모두로 유입되게 된다.
제1실린더(143)의 제1인출챔버(145)에 작동유가 유입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가 제1피스톤(141)을 제1실린더(143)의 외부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제1피스톤(141)이 제1실린더(143)의 외부로 인출된다.
위와 같이, 제1피스톤(141)이 제1실린더(143)의 외부로 인출됨에 따라, 제1실린더장치(140)는 도 4(b)와 같이, 제1피스톤(141)이 인출된 상태가 되며, 제1피스톤(141)이 제1케이스(110)에 고정되고, 제1실린더(143)가 제2실린더(153)에 연결되어 제2케이스(1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케이스(1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가 된다.
제2실린더(153)의 제2인출챔버(155)에 작동유가 유입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가 제2피스톤(151)을 제2실린더(153)의 외부 방향, 즉, 하부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제2피스톤(151)이 제2실린더(153)의 외부로 인출된다.
위와 같이, 제2피스톤(151)이 제2실린더(153)의 외부로 인출됨에 따라, 제2실린더장치(150)는 도 4(b)와 같이, 제2피스톤(151)이 인출된 상태가 되며, 제2실린더(153)가 제1실린더(143)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2케이스(120)에 고정되어 있고, 제2피스톤(151)이 제3케이스(1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3케이스(13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케이스(12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 인출유로(181)를 통해 작동유가 제1인출챔버(145) 및 제2인출챔버(155)로 유입되면, 제1피스톤(141)은 상부, 즉, 차체(11) 측으로 인출되고, 제2피스톤(151)은 하부로, 즉, 지반 측으로 인출됨으로써, 제1, 2피스톤(141, 15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출되게 된다.
위와 같이, 제1, 2피스톤(141, 15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제2, 3케이스(120, 130)는 모두 인출되게 되며, 지지부(132)는 지반에 닿게 되어,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가 지반으로부터 크레인 차량(10)을 지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인출시 제1 내지 제3케이스(110, 120, 130), 즉, 3단의 케이스가 인출됨으로써, 종래의 아웃트리거와 달리, 인입 상태에서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수직 방향 길이보다 더 긴 인출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붐 시스템(30)의 스윙시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가 붐 시스템(30)의 스윙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싱글실린더 아웃트리거(50)와 같은 종래의 아웃트리거는 인입상태에서의 아웃트리거의 수직방향 길이는 실린더의 수직방향 길이와 거의 동일하며, 이로 인해, '실린더의 수직방향 길이 ≥ 피스톤의 인출 길이' 관계를 만족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경우, 인입상태에서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수직방향 길이는 제1케이스(110)의 수직방향 길이와 거의 동일하며, 이로 인해, '제1케이스(110)의 수직방향 길이 < 제1, 2피스톤(141, 151)의 인출 길이(또는 제2, 3케이스(120, 130)의 인출 길이)' 관계를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수직 방향 길이 자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긴 인출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차체(11)의 후방 중앙에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상부가 붐 시스템(30)의 스윙시 간섭이 될 영역까지 솟아있지 않아 붐 시스템(30)의 스윙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b)와 같이, 제2연결부(162)가 인출되어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가 틸팅되어 차체(11)와,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또는 제1 내지 제3케이스(110, 120, 130)) 사이에 사잇각을 갖는 경우, 지지부(132) 또한, 지반에 용이하게 닿기 위해, 상기 사잇각과 같은 각도로 틸팅되게 된다.
다시 말해,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틸팅 구조는 지지부(132)의 틸팅 구조와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를 통해 지반으로부터 크레인 차량(10)을 지지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틸팅 및 지지부(132)의 틸팅에 따라, 경사가 있는 지반에서도 용이하게 크레인 차량(10)을 지반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인입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인입을 위해, 인입유로(183)로 작동유가 유입되면, 작동유는 제1인입챔버(147)와 제2인입챔버(157) 모두로 유입되게 된다.
제1실린더(143)의 제1인입챔버에 작동유가 유입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가 제1피스톤(141)을 제1실린더(143)의 내부 방향, 즉, 하부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제1피스톤(141)이 제1실린더(143)의 내부로 인입된다.
위와 같이, 제1피스톤(141)이 제1실린더(143)의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제1실린더장치(140)는 도 4(a)와 같이, 제1피스톤(141)이 인입된 상태가 되며, 제1피스톤(141)이 제1케이스(110)에 고정되고, 제1실린더(143)가 제2실린더(153)에 연결되어 제2케이스(1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케이스(12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가 된다.
제2실린더(153)의 제2인입챔버에 작동유가 유입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가 제2피스톤(151)을 제2실린더(153)의 내부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제2피스톤(151)이 제2실린더(153)의 내부로 인입된다.
위와 같이, 제2피스톤(151)이 제2실린더(153)의 외부로 인입됨에 따라, 제2실린더장치(150)는 도 4(a)와 같이, 제2피스톤(151)이 인입된 상태가 되며, 제2실린더(153)가 제1실린더(143)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2케이스(120)에 고정되어 있고, 제2피스톤(151)이 제3케이스(1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3케이스(13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케이스(12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 인입유로(183)를 통해 작동유가 제1인입챔버(147) 및 제2인입챔버(157)로 유입되면, 제1피스톤(141)은 하부, 즉, 차체(11)의 반대측으로 인입되고, 제2피스톤(151)은 상부로, 즉, 지반의 반대측으로 인출됨으로써, 제1, 2피스톤(141, 15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입되게 된다.
위와 같이, 제1, 2피스톤(141, 15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입됨에 따라, 제2, 3케이스(120, 130)는 모두 인입되며, 지지부(132)가 지반에서 떨어지게 됨으로써, 크레인 차량(10)이 작업을 마치고 주행시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인출 및 인입 동작, 즉, 인입출 동작은 인출유로(181) 또는 인입유로(183)에 작동유가 유입됨으로써, 제2, 3케이스(120, 130)가 동시에 인출 또는 인입되게 된다.
그러나, 제1피스톤(141)과 제2피스톤(151)의 단면적의 차이를 둠으로써, 전술한 바와 달리, 제2, 3케이스(120, 130)가 순차적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데, '제1피스톤(141)의 단면적 > 제2피스톤(151)의 단면적' 인 경우, 제1피스톤(141)의 단면적이 제2피스톤(151)의 단면적 보다크므로, 인출유로(181)로 작동유가 유입되면 제1실린더장치(140)의 인출이 먼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2케이스(120)가 인출된 후, 제3케이스(130)가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인입유로(183)에 작동유가 유입된 경우도 제1피스톤(141)의 단면적이 제2피스톤(151)의 단면적보다 크므로, 제1실린더장치(140)의 인입이 먼저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제2케이스(120)가 인입된 후, 제3케이스(130)가 인입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와 같이,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제1, 2실린더장치(140, 150)의 제1, 2피스톤(141, 151)의 단면적을 다르게 함에 따라,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의 인출 또는 인입 순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간단한 구조의 변경으로, 크레인 차량(10)의 크기, 용도 등에 따라 인입출 순서를 원하는대로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의 경우, 차체(11)의 전방 좌, 우측 및 후방 좌, 우측 각각에 싱글실린더 아웃트리거(50)가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크레인 차량(10)의 다른 실시 예로써, 차체(11)의 후방 중앙 뿐만 아니라, 차체(11)의 전방 좌, 우측 및 후방 좌, 우측 각각에도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예컨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은 차체(11)와, 차체(11)의 전방에 위치하는 운전석(12)과, 차체(11)에 설치되는 붐 시스템(30)과, 차체(11)의 전방 좌측에 설치되는 제1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a)와, 차체(11)의 전방 우측에 설치되는 제2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b)와, 차체(11)의 후방 좌측에 설치되는 제3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c)와, 차체(11)의 후방 우측에 설치되는 제4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d)와, 차체(11)의 후방 중앙에 설치되는 제5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a ~ 100e)는 전술한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전술한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또한, 제1 내지 제5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a ~ 100e)는 그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 부호에 a ~ e를 붙여 표기한다.
위와 같이, 크레인 차량(10)에 제1 내지 제5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a ~ 100e)가 구비될 경우, 제1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a)의 제2실린더장치(150a)는 제1실린더장치(140a)보다 크레인 차량(10')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부(132a)와 연결된 제2실린더장치(150a)가 제1실린더장치(140a)보다 크레인 차량(10')의 좌측, 즉, 크레인 차량(1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함으로써, 지지부(132a)에 전달되는 힘을 직접 지지하는 제2실린더장치(150a)의 지지점을 최대한 외측 방향으로 둘 수 있고, 이를 통해, 크레인 차량(10')의 지지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실린더장치(140a)를 크레인 차량(10')의 좌측, 즉, 외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제1실린더장치(140a)와 제2실린더장치(150a)의 제1, 2피스톤(141a, 151a)의 위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모멘트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2실린더장치(140a, 150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을 제2 내지 제5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b ~ 100e)에 적용하면, 제2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b)의 제2실린더장치(150b)는 제1실린더장치(140b)보다 크레인 차량(10')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3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c)의 제2실린더장치(150c)는 제1실린더장치(140c)보다 크레인 차량(10')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4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d)의 제2실린더장치(150d)는 제1실린더장치(140d)보다 크레인 차량(10')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5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e)의 제2실린더장치(150e)는 제1실린더장치(140e)보다 크레인 차량(1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은 제1 내지 제5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a ~ 100e)를 구비함으로써,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의 차체(11)의 전방 좌, 우측 및 후방 좌, 우측에 구비된 싱글실린더 아웃트리거(50)와 달리, 수평 방향으로 제1 내지 제4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a ~ 100d)를 인출하지 않아도 붐 시스템(30)의 스윙을 자유로이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a ~ 100d)는 그 수직방향 길이보다 인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체(11)의 상부까지 제1 내지 제4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a ~ 100d)의 상부가 솟아있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제1 내지 제4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a ~ 100d)의 수평 방향에 인출이 선행되지 않더라도, 붐 시스템(30)의 스윙시 제1 내지 제4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a ~ 100d)가 붐 시스템(30)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의 경우, 크레인 차량(10')을 통해 인양물을 인양하여, 이동시키는 작업을 할 때, 제1 내지 제5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a ~ 100e)를 통한 지반으로부터 크레인 차량(10')을 지지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5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100a ~ 100e)의 수평 방향으로의 인출이 선행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더라도 크레인 차량(10')을 지반으로부터 용이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차량(10')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크레인 차량 11: 차체
12: 운전석 13: 앞바퀴
14: 뒷바퀴
30: 붐 시스템 31: 베이스
32: 칼럼 33: 붐
34: 와이어 35: 인양장치
36: 데릭실린더장치 37: 윈치모터
38: 회전축 39: 데릭피스톤
50: 싱글실린더 아웃트리거 51: 수평실린더장치
52: 수평피스톤
100: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 110: 제1케이스
111: 틸팅부 120: 제2케이스
130: 제3케이스 131: 단부
132: 지지부 133: 지지부힌지축
140: 제1실린더장치 141: 제1피스톤
143: 제1실린더 145: 제1인출챔버
147: 제1인입챔버 150: 제2실린더장치
151: 제2피스톤 153: 제2실린더
155: 제2인출챔버 157: 제2인입챔버
161: 제1연결부 162: 제2연결부
171: 제1고정부 172: 제2고정부
173: 제3고정부 181: 인출유로
183: 인입유로

Claims (4)

  1. 인양물을 인양하는 붐 시스템이 차체에 설치되는 크레인 차량에 있어서,
    지반으로부터 상기 크레인 차량을 지지하는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를 포함하되,
    상기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는,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제1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이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실린더를 구비한 제1실린더장치; 및
    단부에 지지부가 연결된 제2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이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실린더를 구비한 제2실린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입출되며,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차체 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제2피스톤은 상기 지반 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는,
    내부에 상기 제1실린더장치 및 상기 제2실린더장치가 설치되며, 상호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지 제3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케이스에는 상기 제1피스톤이 고정되고,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제1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가 고정되며, 상기 제3케이스에는 상기 제2피스톤이 고정되고,
    상기 제1실린더장치의 상기 제1피스톤이 인출되면, 상기 제2케이스가 상기 제1케이스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제2실린더장치의 상기 제2피스톤이 인출되면, 상기 제3케이스가 상기 제2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는 상기 차체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3케이스의 단부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실린더 아웃트리거는 상기 차체의 후방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차량.
KR1020170060769A 2017-05-17 2017-05-17 크레인 차량 KR20180126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769A KR20180126147A (ko) 2017-05-17 2017-05-17 크레인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769A KR20180126147A (ko) 2017-05-17 2017-05-17 크레인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147A true KR20180126147A (ko) 2018-11-27

Family

ID=6460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769A KR20180126147A (ko) 2017-05-17 2017-05-17 크레인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61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028B1 (ko) * 2019-03-24 2019-09-03 김종하 다목적 크레인 차량
KR20230094662A (ko)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수산중공업 후크 격납 기능이 구비되어 붐 자연 인출이 방지되는 크레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028B1 (ko) * 2019-03-24 2019-09-03 김종하 다목적 크레인 차량
KR20230094662A (ko)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수산중공업 후크 격납 기능이 구비되어 붐 자연 인출이 방지되는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755B2 (en) Mobile crane having counterweight
US6089388A (en) Mobile crane
US9440824B2 (en) Vehicle crane with decouplable counterweight assembly
JP2008273738A (ja) 高容量移動式リフトクレーン用のマスト起き上げ構造及び工程
JP6455203B2 (ja) クローラクレーンのカーボディウエイト支持装置
KR20180126147A (ko) 크레인 차량
EP3272694B1 (en) Jib connection structure
JP3209342U (ja) 移動式クレーン
EP3305711B1 (en) Overhanging storage mechanism for jib
US10308486B2 (en) Overhanging storage mechanism for jib
JP5121351B2 (ja) 移動式クレーン
US20080230320A1 (en) Vehicle for High Lift Work
JP5476755B2 (ja) 移動式クレーン
EP3031770B1 (en) Gravity actuated crane stop
JP4615237B2 (ja) 車両搭載用クレーンのブーム自動格納装置
JP2802802B2 (ja) ジブ付きクレーンにおけるジブ起仰制限装置
JP7452399B2 (ja) クレーン
JP4455026B2 (ja) 車両搭載用クレーン
JP2012051692A (ja) 移動式クレーン
JP2802803B2 (ja) ジブ付きクレーン
RU2801011C2 (ru) Рабочая машина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и стабилизаторами
KR101893398B1 (ko) 유압호스를 이용한 크레인
JP2010215403A (ja) 移動式クレーン
JP2023066210A (ja) ブームヘッド及び移動式クレーン
JP2001240380A (ja) 油圧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