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004A - 저전력 소비 오디오/비디오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 Google Patents

저전력 소비 오디오/비디오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004A
KR20180126004A KR1020187029675A KR20187029675A KR20180126004A KR 20180126004 A KR20180126004 A KR 20180126004A KR 1020187029675 A KR1020187029675 A KR 1020187029675A KR 20187029675 A KR20187029675 A KR 20187029675A KR 20180126004 A KR20180126004 A KR 20180126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oor bell
communication door
power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8861B1 (ko
Inventor
제임스 시미노프
창수 정
존 모데스틴
트레버 필립스
마크 스미미노프
로버트 초
스튜어트 웨스터만
Original Assignee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126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3206
    • H04N5/2324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G08B13/19615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wherein said pattern is defined by the u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08B13/19669Event triggers storage or change of storage poli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로폰, 전력 관리기, 배터리, AC/DC 정류기, 및 DC/DC 컨버터를 포함한다. 도어벨은 AC/DC 정류기 및 DC/DC 컨버터를 통하여 외부 AC 전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전력 관리기는 AC 전원으로부터 임계 전력까지만 전력을 인출하고 AC 전원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결코 임계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배터리로부터 보조 전력을 인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시그널링 디바이스의 부주의한 울림을 야기하지 않고 기존의 가정용 AC 전원 및 기존의 도어벨 시그널링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저전력 소비 오디오/비디오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6년 3월 15일에 출원된 가출원 일련 번호. 62/308,746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이 전체 내용들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실시예들은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doorbell)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오디오/비디오 (A/V) 레코딩 및 통신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본 실시예들 이런 디바이스에 의해 레코딩된 비디오의 스트리밍 및 저장을 향상시키는 A/V 레코딩 및 통신 디바이스들의 기능 개선에 관한 것이다.
주택 안전은 많은 주택 소유자 및 세입자에 대하여 관심사이다. 가정을 보호하거나 감시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방문객, 예를 들어, 외부 도어 또는 입구를 방문하는 사람들과 비디오 및 오디오 통신을 하기를 종종 원한다. 오디오/비디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들은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며, 범죄 감지 및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에 의해 캡쳐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는 클라우드에 업로드되고 원격 서버에 레코딩 될 수 있다. A/V 장면의 후속 검토는 가택 침입자 및 기타 범죄자를 사로 잡는데 법 집행을 도울 수 있다. 더구나, 가정 입구의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존재는 도둑이 될 강도에 대한 강력한 억지력으로 작용한다.
본 저전력 소비 오디오/비디오(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몇 가지 특징을 가지며, 그 중 하나만이 그것들의 바람직한 특성을 단독으로 책임지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청구 범위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이들의 보다 두드러진 특징들이 이제 간단하게 논의될 것이다. 이 논의를 고려한 후, 특히 "상세한 설명"이라는 제목의 섹션을 판독한 후에, 본 실시예들의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이점들을 어떻게 제공하는지를 이해할 것이다.
본 실시예들의 일 측면은, 본 실시예들 이외의 본 오디오/비디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에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이 시그널링 디바이스를 울리는 데 필요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양의 전력을 AC 전원으로부터 인출하기 때문에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을 기존의 가정용 AC 전원 (AC 메인으로도 또한 지칭됨)에 연결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어렵다 것의 실현을 포함한다. 상기 따라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시그널링 디바이스의 빈번한 의도하지 않은 울림을 야기하며 이는 가정의 거주자에게 귀찮을 뿐만 아니라 도어벨의 유용성을 약화시킨다. 상기 본 실시예는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전력 소모를 시그널링 디바이스를 울리게 하는 데 필요한 임계값 아래의 양으로 제한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 따라서,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시그널링 디바이스의 부주의한 울림을 야기하지 않고 기존의 가정용 AC 전원 및 기존의 시그널링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측면에서, 오디오/비디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을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로폰, 전력 관리기, 배터리, AC/DC 정류기, 및 DC/DC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상기 AC/DC 정류기 및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하여 외부 AC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AC 전원으로부터 임계 전력까지 전력을 인출하는 전력 관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임계 전력은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에서 측정되고; 및 상기 AC 전원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상기 임계 전력에 도달한 때, 상기 전력 관리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추가 전력을 인출하여 상기 AC 전원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에서 측정된 임계 전력을 초과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측면의 일 실시예에서, DC/DC 컨버터의 출력에서 측정된 임계 전력은 약 1.4A이다.
상기 제 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버튼 및 전자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눌러진 때 상기 전자 스위치는 폐쇄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AC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상기 전력 관리기로부터 다른 곳으로 전력을 우회시킨다.
상기 제 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스위치가 폐쇄된 때 상기 AC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은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가 소리를 내도록 하기 위해 시그널링 디바이스를 통해 우회된다.
상기 제 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스위치가 폐쇄되기 전에, 상기 AC 전원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은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와 병렬로 연결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 및 션트(shunt)를 통해 흐른다.
상기 제 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스위치가 폐쇄되기 전에 상기 션트는 로우 임피던스 상태에 있다.
상기 제 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스위치가 폐쇄된 때, 상기 션트는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제 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는 전기-기계식이거나 또는 전자식이다.
상기 제 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는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에 외부에 있다.
상기 제 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버튼이 눌러진 때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이 응답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지 않는 한 타이머가 만료 될 때까지 타이머는 활성화되고 전자 스위치는 폐쇄된 채로 유지된다.
상기 제 1 측면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이 응답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한 때 전자 스위치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머는 제 1 타이머이고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제 2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전자 스위치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타이머는 상기 전자 스위치가 개방된 때 활성화되며, 상기 전자 스위치는 상기 제 2 타이머가 만료 될 때까지 다시 폐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 1 측면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버튼이 눌러 진 것에 응답하여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이, 알림 통지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는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측면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AC 전원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임계 전력 미만인 경우, 상기 전력 관리기는 상기 AC 전원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의 일부를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로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측면에서, 오디오/비디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로폰, 전력 관리기, 배터리, AC/DC 정류기, 및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을 포함하고,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상기 AC/DC 정류기 및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하여 외부 AC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전력 관리기는 상기 AC 전원으로부터 임계 전력까지 전력을 인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임계 전력은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에서 측정되고; 및 상기 AC 전원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상기 임계 전력에 도달한 때, 상기 전력 관리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추가 전력을 인출하도록 더 구성되어 상기 AC 전원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에서 측정된 임계 전력을 초과하지 않는다.
상기 제 2 측면의 일 실시예에서, DC/DC 컨버터의 출력에서 측정된 임계 전력은 약 1.4A이다.
상기 제 2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버튼 및 전자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눌러진 때 상기 전자 스위치는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AC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상기 전력 관리기로부터 전력을 우회시킨다.
제 2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상기 전자 스위치가 폐쇄된 때 상기 AC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은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가 소리를 내도록 하기 위해 시그널링 디바이스를 통해 우회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션트(shunt)를 더 포함하고,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상기 전자 스위치가 폐쇄되기 전에, 상기 AC 전원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은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와 병렬로 연결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 및 션트(shunt)를 통해 흐르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스위치가 폐쇄되기 전에 상기 션트는 로우 임피던스 상태에 있다.
상기 제 2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스위치가 폐쇄된 때, 상기 션트는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제 2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는 전기-기계식이거나 또는 전자식이다.
상기 제 2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는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에 외부에 있다.
상기 제 2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버튼이 눌러진 때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이 응답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지 않는 한 타이머가 만료 될 때까지 타이머는 활성화되고 전자 스위치는 폐쇄된 채로 유지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측면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이 응답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한 때 상기 전자 스위치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머는 제 1 타이머이고,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제 2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상기 전자 스위치가 개방된 때 상기 제 2 타이머는 활성화되고 상기 2 타이머가 만료될 때 까지 상기 전자 스위치가 다시 폐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더 구성된다.
상기 제 2 측면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버튼이 눌러 진 것에 응답하여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알림 통지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발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비디오 신호는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측면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상기 AC 전원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임계 전력 미만인 경우, 상기 전력 관리기는 상기 AC 전원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의 일부를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로 보내도록 더 구성된다.
제 3 측면에서, 오디오/비디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을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로폰, 버튼, 및 전자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외부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는 단계; 상기 전력이 시그널링 디바이스 및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와 병렬로 연결된 션트를 통해 흐르고, 상기 션트는 로우 임피던스 상태에 있고; 및 상기 버튼이 눌러진 때 상기 전자 스위치가 폐쇄되고 상기 션트는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전환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를 통해 우회시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가 소리를 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측면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는 전기-기계식이거나 또는 전자식이다.
상기 제 3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는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에 외부에 있다.
상기 제 3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버튼이 눌러진 때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이 응답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지 않는 한 타이머가 만료 될 때까지 타이머는 활성화되고 전자 스위치는 폐쇄된 채로 유지된다.
상기 제 3 측면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이 응답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한 때 전자 스위치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3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머는 제 1 타이머이고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제 2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전자 스위치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타이머는 상기 전자 스위치가 개방된 때 활성화되며, 상기 전자 스위치는 상기 제 2 타이머가 만료 될 때까지 다시 폐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 3 측면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버튼이 눌러 진 것에 응답하여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이, 알림 통지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는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3 측면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버튼이 눌러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전력 레벨을 임계값에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3 측면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전력 레벨이 상기 임계값과 같거나 또는 더 클 때만 상기 전자 스위치를 폐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4 측면에서, 오디오/비디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이 제공되고,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로폰, 버튼, 및 전자 스위치를 포함하는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을 포함하고,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외부 전원에 연결되고,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출하여 상기 전력이 시그널링 디바이스 및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와 병렬로 연결된 션트를 통해 흐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션트는 로우 임피던스 상태에 있고; 및 상기 버튼이 눌러진 때, 상기 전자 스위치는 폐쇄되도록 구성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션트를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를 통해 우회시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가 소리를 내도록 한다.
상기 제 4 측면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는 전기-기계식이거나 또는 전자식이다.
상기 제 4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는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에 외부에 있다.
상기 제 4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버튼이 눌러진 때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이 응답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지 않는 한 타이머가 만료 될 때까지 타이머는 활성화되고 전자 스위치는 폐쇄된 채로 유지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제 4 측면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이 응답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한 때 상기 전자 스위치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4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머는 제 1 타이머이고,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제 2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상기 전자 스위치가 개방된 때 상기 제 2 타이머는 활성화되고 상기 2 타이머가 만료될 때 까지 상기 전자 스위치가 다시 폐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더 구성된다.
상기 제 4 측면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버튼이 눌러 진 것에 응답하여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알림 통지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발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비디오 신호는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 4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4 측면의 다른 실시예서는,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상기 버튼이 눌러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전력 레벨을 임계값에 비교하도록 더 구성된다.
상기 제 4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상기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전력 레벨이 상기 임계값과 같거나 또는 더 클 때만 상기 전자 스위치를 폐쇄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5 측면에서, 오디오/비디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이 제공되고, 인클로저(enclosure)를 갖는 하우징; 상기 인클로저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카메라; 상기 인클로저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스피커; 상기 인클로저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마이크로폰; 상기 인클로저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인클로저의 전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버튼; 및 상기 인클로저의 전면에 위치된 실드를 포함하되; 상기 실드는 상기 버튼 위에 상기 인클로저의 전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단 부분 및 상기 버튼의 아래에 상기 인클로저의 전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하단 부분을 포함하고; 및 상기 카메라는 상기 실드의 상기 상단 부분 뒤에 위치된다.
상기 제 5 측면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드의 상단 부분 및 상기 실드의 하단 부분은 별개의 피스(piece)이다.
상기 제 5 측면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드의 상단 부분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상기 제 5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실드의 하단 부분은 적외선에 대해서는 투명하지만, 가시 스펙트럼의 광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또는 대부분 불투명하다.
상기 제 5 측면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인클로저 위에 놓인 쉘(shell)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5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쉘은 클로즈 피팅 맞물림(close fitting engagement)로 상기 인클로저를 수용하도록 사이즈되고 형성화된 리세스(recess)를 포함하여 상기 인클로저의 외부 표면이 상기 쉘의 내부 표면들과 일치되어 인접된다.
상기 제 5 측면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인클로저의 후방에 고정된 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백 플레이트의 에지가 상기 인클로저의 에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사이즈되고 형상화되어, 그렇게 함으로써, 쉘이 상기 인클로저와 짝을 이룰 때 상기 쉘이 인접하여 맞닿아 립(lip)을 생성하도록 사이즈되고 형상화된다.
상기 제 5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쉘은 전면에 중심 오프닝을 포함한다.
상기 제 5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 오프닝은 상기 실드를 수용하도록 사이즈되고 형상화된다.
상기 제 5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실드는 상기 쉘의 상기 중심 오프닝내에 위치하여 상기 실드의 전면이 상기 쉘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있고 상기 실드의 외측 에지와 상기 쉘에 상기 중심 오프닝의 내측 에지 사이에 거의 또는 전혀 갭이 존재하지 않는다.
제 6 측면에서, 오디오/비디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이 제공되고, 인클로저(enclosure)를 갖는 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인클로저내에 위치된 카메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인클로저내에 위치된 스피커;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인클로저내에 위치된 마이크로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인클로저내에 위치되고 상기 인클로저의 전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버튼; 및 상기 인클로저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복수의 쉘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쉘은 클로즈 피팅 맞물림으로 상기 인클로저를 수용하도록 사이즈되고 형상화된 리세스를 포함하여, 상기 인클로저의 외부 표면들은 각각의 상기 쉘의 내부 표면들에 일치되어 인접되고; 및 각각의 상기 쉘은 상이한 색상이다.
상기 제 6 측면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인클로저의 전면에 위치된 실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6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쉘은 전면에 중심 오프닝을 포함한다.
상기 제 6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 오프닝은 상기 실드를 수용하도록 사이즈되고 형상화된다.
상기 제 6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실드는 상기 쉘의 상기 중심 오프닝내에 위치하여 상기 실드의 전면이 상기 쉘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있고 상기 실드의 외측 에지와 상기 쉘에 상기 중심 오프닝의 내측 에지 사이에 거의 또는 전혀 갭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저전력 소비 오디오/비디오(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유리한 특징들을 강조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신규하고 명백하지 않은 저전력 소비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들은 이하의 도면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같은 번호들은 같은 파트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으로부터 A/V 컨텐츠를 스트리밍 및 저장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의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제거된 커버를 보여주는 도 4의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부분적으로 분해 조립된 전방 사시도이다;
도 7, 도 8 및 도 9는 도 4의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다양한 내부 컴포넌트들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른 적외선 (IR) 발광 다이오드 (LED) 인쇄 회로 기판 (PCB)의 다른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라인 9-9를 통해 취해진 도 4의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면들 11- 13은 도 4의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다양한 내부 컴포넌트들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션트(shunt)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도 15의 션트의 제 1 및 제 2 비교기 회로들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6의 제 1 비교기 회로에 대한 파형도이다;
도 20 및 도 21는 도 17의 제 2 비교기 회로에 대한 파형도이다;
도면들 22 및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른 프로세스들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른 침입 존을 생성하기 위한 기술의 개략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라 본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및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라 본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범용 컴퓨팅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도면 번호들 본 실시예들의 엘리먼트들을 라벨링한다. 이들 도면 번호들은 대응 도면 특징부들에 대한 논의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재현된다.
본 저전력 소비 오디오/비디오(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이들 도면들 및 그것들의 레코딩된 설명은 장치의 특정 컴포넌트들은 일체로 형성되고, 어떤 다른 컴포넌트들은 개별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출원에서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컴포넌트들이 대안 실시예들에서 개별 부품들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출원에서 개별 부품들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컴포넌트들이 대안 실시예들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더구나,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전체(integral)는 단일 일원화된 것(piece)을 설명한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실시예들은 오디오/비디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을 포함한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은 전형적으로 구조물 (미도시), 예컨대 주거지, 사업체, 저장 설비, 등에 입구 근처에 위치된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은 카메라 (102), 마이크로폰 (104) 및 스피커 (106)를 포함한다. 카메라 (102)는 예를 들어 720p 또는 1080p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해상도 또는 1080p보다 우수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해상도로 비디오 이미지를 캡쳐하는 것이 가능한 것과 같은 예를 들어, 고화질(HD)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은 또한 하우징,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 (및/또는 다른 유형의 센서), 버튼 등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및/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은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들 2015/0022620 (출원 일련 번호. 14/499,828) 및 2015/0022618 (출원 일련 번호. 14/334,922 호)에 설명된 무선 통신 도어벨과 유사한 부품들 및/또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들 둘 모두는 완벽하게 설명된 것처럼 그 전체가 본 출원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도 1을 더 참조하면, A/V 레코딩 및 통신 디바이스 (100)는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110)와 통신한다. 만약 사용자의 네트워크 (110)가 무선이거나 무선 컴포넌트를 포함하면, 네트워크 (110)는 IEEE 802.11 표준 및/또는 다른 무선 통신 표준(들)과 호환 가능한 Wi-Fi 네트워크일 수 있다. 사용자의 네트워크 (110)는 예를 들어 인터넷 및/또는 공중 전화 교환망 (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 (112)에 연결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은 사용자의 네트워크 (110) 및 네트워크 (112) (인터넷/PSTN)를 통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14)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14)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 같은 모바일 전화기 (셀룰러 전화기으로 또한 지칭됨)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14)는 디스플레이 (미도시) 및 스트리밍 및/또는 레코딩된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관련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14)는 또한 스트리밍 및/또는 레코딩된 오디오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는 스피커 및 관련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은 또한 하나 이상의 원격 저장 디바이스 (들) (116)("클라우드 저장 디바이스(들)과 호환하여 지칭될 수 있음), 하나 이상의 서버들 (118)) 및/또는 는 사용자 네트워크 (110) 및 네트워크 (112) (인터넷/PSTN)를 통해 백엔드(backend) API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12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1은 저장 디바이스 (116), 서버 (118) 및/또는 백엔드 API (120)가 네트워크 (112)와 별개인 컴포넌트들로서 예시하고 있지만, 저장 디바이스 (116), 서버 (118) 및/또는 백엔드 API (120)가 네트워크 (112)의 컴포넌트들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네트워크 (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언급된 모듈들,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을 동작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무선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112)는 이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인터넷, 로컬 인트라넷, PAN (Personal Area Network), LAN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가상 사설망 (VPN : virtual private network), SAN (storage area network), 프레임 릴레이 연결, AIN (Advanced Intelligent Network) 연결, SONET (synchronous optical network) 연결, 디지털 T1, T3, E1 또는 E3 라인, DDS (Digital Data Service) 연결, DSL (Digital Subscriber Line) 연결, 이더넷 연결,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라인, 다이얼 업 포트 예컨대, V.90, V.34 또는 V.34bis 아날로그 모뎀 연결, 케이블 모뎀,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연결, 또는 FDDI (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또는 CDDI (Copp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연결. 더욱이, 통신은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및/또는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셀룰러 폰 네트워크, GPS, CDPD(cellular digital packet data), RIM (Research in Motion, Limited) 듀플렉스(duplex) 페이징 네트워크, 블루투스 라디오 또는 IEEE 802.11 기반 라디오 주파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임의의 여러 가지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링크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이하 중에 임의의 하나 이상과 인터페이스 또는 임의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S-232 직렬 연결, IEEE-1394 (파이어와이어) 연결, 파이버 채널 연결, IrDA (적외선) 포트, SCSI (Small Computer Systems Interface) 연결, USB (Universal Serial Bus) 연결, 또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또는 연결, 메시 또는 Digi® 네트워킹.
본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 따라,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에 사람 ("방문객"으로 호환하여 지칭될 수 있음)이 도착하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100)은 방문객의 존재를 검출하고, 카메라 (102)의 FOV(field of view) 내에서 비디오 이미지를 캡쳐하기 시작한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은 또한 마이크로폰 (104)을 통해 오디오를 캡쳐할 수 있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은 카메라 (102) 및/또는 모션 센서를 사용하여 모션을 검출함으로써 및/또는 방문객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 상의 버튼을 눌렀음을 검출함으로써 방문객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방문객의 검출에 응답하여,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은 사용자의 네트워크 (110) 및 네트워크 (112)를 통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14) (도 1)에 알림 통지(alert)를 발송한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은 또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4)로 스트리밍 비디오를 발송하고 그리고 스트리밍 오디오를 또한 발송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알림 통지에 응답하면, 그러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 및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14)를 통해 방문객과 사용자간에 양방향 오디오 통신이 일어날 수 있다. 사용자는 호출의 지속기간 동안 방문객을 볼 수 있지만, 방문객은 사용자를 볼 수 없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이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 한, 어떤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의 카메라 (102) (및 마이크 (104)에 의해 캡쳐된 오디오)에 의해 캡쳐된 비디오 이미지는 클라우드에 업로드되어 원격 저장 디바이스 (116) (도 1) 상에 레코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는 사용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14)에 발송된 알림 통지를 무시하도록 선택한 경우에도 원격 저장 디바이스(116)에 레코딩될 수 있다.
도 1을 추가로 참조하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백엔드 API (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엔드 API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서버 (예를 들어, 실제 서버 또는 가상 기계, 또는 서비스로서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에서 실행되는 기계) 또는 함께 네트워크화된 다수의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API를 그것을 액세스하는 클라이언트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이들 서버들은 캐싱 계층이나 데이터베이스 계층 또는 기타 컴포넌트들과 같이 포함된 다른 컴포넌트들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서버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서버)와 같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백엔드 API는, 예를 들어, 다수의 이런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각각은 그들의 공개 API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API 백엔드는 대량의 사용자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가 매우 제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사용자 관리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백엔드 API (120)는 하나 이상의 API를 포함할 수 있다. API는 소프트웨어 및 응용 프로그램을 빌드(build)하기 위한 루틴, 프로토콜 및 툴 세트이다. API는 동작, 입력, 출력 및 기본(underlying) 유형의 면에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표현하고 그것들의 개별 구현과 독립적인 기능을 정의하여 인터페이스를 손상시키지 않고 정의 및 구현을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PI는 프로그래머가 애플리케이션 자체를 수정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이해할 필요없이 프로그래머가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API는 웹 기반 시스템, 운영 체제 또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소정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해당 시스템용 애플리케이션들을 개발할 수 있는 설비들을 제공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비디오 카드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에 액세스하는 것에 추가하여, API는 GUI 컴포넌트들을 프로그래밍하는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I는 기존 애플리케이션들에 새 특징부들의 통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소위 "플러그인 API"). API는 데이터를 공유하는 별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다른 식으로 또한 보조할 수 있고, 이는 애플리케이션들의 기능을 통합하고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백엔드 API (120)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비스로 또한 지칭된다). 네트워크 서비스는 데이터 저장, 조작, 프리젠테이션, 통신 및/또는 다른 성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네트워크 서비스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종종 구현된다. 각각의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서버 컴포넌트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예컨대, 다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용 서버 컴퓨터) 그리고 다른 디바이스들에서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들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와 서버 컴포넌트들은 모두 동일한 기계에서 실행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때때로 그것과 관련된 다른 하드웨어를 가질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으로부터 A/V 컨텐츠를 스트리밍 및 저장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블록 (B200)에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은 방문객의 존재를 검출하고 카메라 (102)의 FOV(field of view)에서 비디오 이미지를 캡쳐하기 시작한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은 또한 마이크로폰 (104)을 통해 오디오를 캡쳐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것 처럼,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은 카메라 (102) 및/또는 모션 센서를 사용하여 모션을 검출함으로써 및/또는 방문객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 상의 버튼을 눌렀음을 검출함으로써 방문객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블록 (B202)에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의 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네트워크 (110) 및 네트워크 (112)를 통해 네트워크 (112)에 디바이스로 요청(request)을 발송한다. 예를 들어, 요청이 발송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서버 (118)와 같은 서버일 수 있다. 서버 (118)는 다른 기계들 또는 소프트웨어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을 대기하고 그것들에 응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기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전형적으로 데이터를 프로세싱한다. 서버의 목적 중 하나는 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 및/또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자원을 공유하는 것이다. 이 아키텍처는 소위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이다. 클라이언트는 동일한 컴퓨터에서 실행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컴퓨팅서버들의 예들은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메일 서버, 인쇄 서버, 웹 서버, 게임 서버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한다. 용어 서버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프로세스들에 자원을 공유하는 임의의 컴퓨터화된 프로세스를 포함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될 수 있다.
요청에 응답하여, 블록 (B204)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110) 및 네트워크 (112)를 통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을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4)에 연결할 수 있다. 블록 (B206)에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은 카메라 (102), 마이크로폰 (104) 및/또는 이용 가능한 임의의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이용 가능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레코딩할 수 있다. 블록 (B208)에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110) 및 네트워크 (112)를 통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으로부터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4)로 전송 (스트리밍)된다. 블록 (B210)에서, 사용자는 호출을 수락 또는 거절하는 프롬프트를 통해 자신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14)상에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블록 (B212)에서,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호출을 수락했는지 또는 거부했는지를 결정한다. 만약 사용자가 통지를 거부하면, 프로세스는 블록 (B214)로 진행하여, 여기서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가 레코딩되고 클라우드에 저장된다. 세션은 블록 (B216)에서 종료되고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과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4) 사이의 연결이 종료된다. 그러나, 만약 사용자가 통지를 수락하면, 블록 (B218)에서, 카메라 (102), 마이크로폰 (104) 및/또는 다른 센서에 의해 캡쳐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가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14)로 스트리밍되는 동안 사용자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14)를 통해 방문객과 통신한다. 호출이 끝나면, 사용자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14)와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00) 사이의 연결을 종료할 수 있고, 블록 (B216)에서 세션이 끝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가 통지를 수락하고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14)를 통해 방문객과 통신하는 경우에도,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에 레코딩되고 저장될 수 있다 (블록 B214).
오늘날 많은 가정은 A/V 통신 성능을 갖지 않는 유선 도어벨 시스템을 포함한다. 대신, 표준 유선 도어벨 시스템은 정문 옆의 집 바깥 쪽 버튼을 포함한다. 이 버튼은 건물 내부의 시그널링 디바이스 (예컨대, 벨 또는 부저(buzzer))를 활성화시킨다. 도어벨 버튼을 잠깐 누르는 것은 예를 들어 단극, 단일 스로우 (SPST : single-pole, single-throw) 푸시 버튼 스위치 일 수 있는 도어벨 회로를 폐쇄시킨다. 버튼의 하나의 단자가 변압기의 단자에 연결된다. 변압기는 120V 또는 240V 가정용 AC 전력을 더 낮은 전압, 전형적으로 16 내지 24V로 낮춘다. 변압기의 다른 단자는 시그널링 디바이스의 단자에 연결된다. 시그널링 디바이스의 다른 단자는 버튼의 다른 단자에 연결된다. 흔한 시그널링 디바이스는 두 개의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플런저(plunger)에 부딪치는 두 개의 평평한 금속 바(bar) 공진기들을 포함한다. 플랫 바는 다른 음조(note)로 튜닝된다. 도어벨 버튼을 누르면, 제 1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 바(bar)들 중 하나에 부딪히며 버튼이 릴리즈되면 플런저의 스프링이 플런저를 밀어 올려, 다른 바에 충돌하게 하여 두 개의 음색(tone sound) ( " 딩동(ding-dong)")을 생성한다.
많은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들 (본 실시예들 외에)은 선행하는 문단에서 설명된 유형의 기존 유선 도어벨 시스템들과 호환 가능하지 않다. 이러한 비 호환성에 대한 한 가지 이유는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이 가정용 AC 전원으로부터 시그널링 디바이스를 울리는데 필요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전력의 양을 인출하기(draw) 때문이다. 따라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시그널링 디바이스의 빈번한 의도하지 않은 울림을 야기하며 이는 가정의 거주자에게 귀찮을 뿐 아니라 도어벨의 유용성을 약화시킨다. 본 실시예는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전력 소모를 시그널링 디바이스를 울리게 하는 데 필요한 임계값 아래의 양으로 제한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실시예들은 시그널링 디바이스의 부주의한 울림을 야기하지 않고 기존의 가정용 AC 전원 및 기존의 시그널링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기존의 가정용 AC 전원에 연결되는 본 실시예의 능력으로부터 몇 가지 장점들이 나온다. 예를 들어,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카메라는 연속적으로 켜져 있을 수 있다. 전형적인 배터리 전원 공급 방식의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에서는, 배터리가 너무 빨리 소모되지 않도록 카메라는 일부 시간에만 켜져 있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는 주 (또는 단독) 전원으로서 배터리에 의존하지 않으며, 따라서 카메라를 연속적으로 켜둔 채로 유지할 수 있다. 카메라는 지속적으로 켜져 있는 상태로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레코딩될 수 있고, 레코딩된 장면(footage)이 롤링 버퍼 또는 슬라이딩 윈도우에 연속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약 10 내지 15 초의 레코딩된 장면은 롤링 버퍼 또는 슬라이딩 윈도우에 연속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가 지속적으로 켜져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모션 감지에 사용할 수 있어서 수동 적외선 센서 (PIR)와 같은 별개의 모션 감지 디바이스가 필요하지 않다. PIR을 없애는 것은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디자인을 단순화시키고 도어벨이 더욱 소형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카메라가 연속적으로 켜져 있기 때문에, IR 차단 필터의 현재 상태를 제어하고 IR LED를 켜고 끄는 데 사용하기 위한 광 검출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를 광 검출기로 사용하는 것은 별개의 광 검출기에 대한 임의의 요구를 배제하여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디자인을 더 단순화시키고 도어벨이 훨씬 더 소형화되게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들 3-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른 저전력 소비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3은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 및 그것들의 서로간에 관계를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외부 AC (교류) 전력의 소스, 예컨대 가정용 AC 전원 (134) (AC 메인(main)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단자들 (131, 132)을 포함한다. AC 전력 (134)는 예를 들어, 16-24 VAC의 범위에 전압을 가질 수 있다. AC 전력 (134)의 유입은 AC/DC 정류기 (136)에 의해 DC (직류)로 변환될 수 있다. AC/DC 정류기 (136)의 출력은 AC/DC 정류기 (136)의 출력으로부터 전압을 16-24 VDC로부터 예를 들어, 약 5 VDC의 더 낮은 전압으로 낮출 수 있는 DC/DC 컨버터 (138)의 입력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DC/DC 컨버터 (138)의 출력은 예를 들어, 약 2.5 V 내지 약 7.5 V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도 3을 추가로 참조하여, DC/DC 컨버터 (138)의 출력은 프로세서 코어, 메모리, 및/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입력/출력 주변기기들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 전력 관리기 (140)에 연결된다. 일 비 제한적인 예제에서, 전력 관리기(140)는 기성품 컴포넌트, 예컨대 Texas Instruments에 의해 제조된 BQ24773 칩일 수 있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력 관리기 (140)는 다른 것들 중에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1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142)로부터 인출된 보조 전력의 양뿐만 아니라 외부 전원 (134)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의 양을 제어한다. 전력 관리기 (140)는 예를 들어, 임계 전력 인출량(draw)이 초과되지 않도록 외부 파어 서플라이 (134)로부터 인출되는 전력 량을 제한할 수 있다. 일 비 제한적인 예에서, DC/DC 컨버터 (138)의 출력에서 측정된 임계 전력은 1.4A 와 같을 수 있다. 전력 관리기 (140)는 또한 외부 전원 (134)으로부터 인출되어 배터리 (142)의 재충전을 위해 배터리 (142)로 보내지는 전력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전력 관리기 (140)의 출력은 통신 모듈 (146), 프론트 버튼(front button) (148), 마이크로폰 (150), 스피커 드라이버(151), 스피커 (152), 오디오 코덱(CODEC) (코더(Coder)-디코더(Decoder)) (153), 카메라 (154), 적외선(IR) 광원 (156), IR 차단 필터(cut filter) (158), 프로세서 (160)(제어기 (160)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광 표시자들 (162) 및 광 표시자들(162)를 위한 제어기 (164)를 포함하는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다른 컴포넌트들의 시퀀스를 제어하는 전력 시퀀서(144)에 연결된다. 각각의 이들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전력 시퀀서 (144)는 프로세서 코어, 메모리, 및/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입력/출력 주변 기기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비 제한적인 예제에서, 전력 시퀀서 (144)는 Richtek에 의해 제조된 RT5024 칩과 같은 기성 컴포넌트일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여,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프론트 버튼 (148)이 눌려 질 때 폐쇄되는 전자 스위치 (166)를 더 포함한다. 전자 스위치 (166)가 폐쇄되면, AC 전원 (134)으로부터의 전력은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외부에 있는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를 통해 우회되어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가 이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오 같이 소리를 내게 한다. 일 비 제한적인 예에서, 전자 스위치 (166)는 트라이액 (triac) 디바이스일 수 있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 (160)의 하드 리셋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리셋 버튼 (170)을 더 포함한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프로세서 (16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 프로세싱 및 다양한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160)는 프로세서 코어, 메모리 (172), 비 휘발성 메모리 (174), 및/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입력/출력 주변 기기들 (미도시)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172)는 예를 들어 DDR3 (더블 데이터 레이트 유형의 3 개의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비 휘발성 메모리 (174)는 예를 들어 NAND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메모리 (172) 및 비 휘발성 메모리 (174)는 프로세서 (160)를 나타내는 박스 내에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일례이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메모리 (172) 및/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 (174)가 반드시 프로세서 (160)에 물리적으로 통합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메모리 (172) 및/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 (174)는 그것들의 물리적 위치에 상관없이,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 (프로세서 (160) 이외에)과 공유될 수 있다.
사용자와 방문객 사이의 디지털 오디오의 전송은 프로세서 (160)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오디오 코덱 (153)을 사용하여 압축 및 압축 해제될 수 있다. 방문객이 말하면, 방문객의 오디오는 오디오 코덱 (153)에 의해 압축되고,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통신 모듈 (146)을 통해 사용자의 네트워크 (110)를 통해 네트워크 (112)로 발송되고, 서버 (118)에 의해 라우팅되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14)에 전달된다. 사용자가 말하면 네트워크 (112), 사용자 네트워크 (110) 및 통신 모듈 (146)을 통해 전송된 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코덱 (153)에 의해 압축 해제되어 스피커 드라이버 (151)에 의해 구동되는 스피커 (152)를 통해 방문객에게 방출된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일부는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와 병렬로 연결된 션트(shunt) (176)를 포함할 수 있다. 션트 (176)는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를 부주의하게 트리거링하지 않고 AC 전원 (134)으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는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능력을 가능하게 한다. 션트 (176)는 정상 스탠바이 동작 동안에 시그널링 디바이스(168)의 단자 양단에 수 오옴(ohm)과 같은 비교적 로우인 전기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에 의해 인출되는 전류의 대부분은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를 통하지 않고 션트 (176)를 통해 흐른다. 그러나, 션트 (176)는 션트 (176)를, 예를 들어 수 오옴과 같은 로우 임피던스의 상태와, 예를 들어 > 1K 옴과 같은 하이 임피던스의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전자 회로부 (후술됨)를 포함한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프론트 버튼 (148)이 눌려지면, 전자 스위치 (166)는 폐쇄되고, AC 전원 (134)으로부터의 전압이 대부분 병렬인 션트 (176) 및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 의 양단에 인가되고, 약 1V와 같은 소량의 전압이 전자 스위치 (166)에 인가되게 한다. 션트 (176) 내의 회로부는 이 전압을 감지하고, AC 전원 (134)으로부터의 전력이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를 통해 우회되도록 션트 (176)를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스위칭한다. 우회된 AC 전력 (134)은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가 사운드를 방출하게 하는데 필요한 임계값 이상이다. 따라서, 도어벨 (130)의 프론트 버튼 (148)을 누르는 것은 시그널링 디바이스(168)이 "벨을 울리게(ring)" 하여 도어벨 (130)이 장착된 구조물 내의 임의의 사람에게 현관에(또는 도어벨(130)의 위치에 대응하는 다른 위치에)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알림 통지한다. 일 비 제한적인 예에서, 전자 스위치 (166)는 트라이액 (triac)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인클로저 (180) (도 6)를 갖는 하우징 (178), 인클로저 (180)의 후방에 고정된 백 플레이트 (182), 인클로저 (180)의 위에 놓인 쉘(184)을 더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쉘 (184)은 클로즈 피팅 맞물림(close fittig engagemnt)로 인클로저 (180)를 수용하도록 사이즈되고 형상화된 리세스 (186)를 포함하여 인클로저 (180)의 외부 표면이 쉘 (184)의 내부 표면과 일치되어 인접된다. 인클로저 (180)의 외부 치수는 쉘 (184)의 내부 치수와 근접하게 매칭되어 마찰이 인클로저 (180)에 대해 쉘 (184)을 유지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하여, 인클로저 (180) 및/또는 셸 (184)은 셸 (184)을 인클로저 (180) 에 대하여 쉘(184)를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탭, 홈, 슬롯, 포스트(post) 등과 같은 짝을 이루는 피처(188)를 포함할 수 있다. 백 플레이트 (182)는 백 플레이트 (182)의 에지가 인클로저 (180)의 에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사이즈되고 형상화되어, 그렇게 함으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 (184)이 인클로저 (180)와 짝을 이룰 때 쉘 (184)이 인접하여 맞닿아 립(lip) (190)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최종 사용자가 자신의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외관을 맞춤화할 수 있도록 상이한 색상의 다수의 쉘(184)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동일한 패키지 내에 상이한 색상의 다수의 쉘 (184)로 패키징되어 판매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전면은 프로세서 (160)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버튼 (148) (도 3의 프론트 버튼 (148)으로도 지칭될 수 있음)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프로세스에서, 방문객이 프론트 버튼 (148)을 누를 때, 누군가가 사용자의 프론트 도어 (또는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알림 통지(alert)가 발송될 수 있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프로세서 (160)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실드 (192) 뒤에 위치하는 카메라 (154)를 더 포함한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154)는 그것의 FOV내에서 비디오 이미지를 캡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비디오 이미지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유사한 프로세스에 따라 나중에 시청하기 위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스트리밍되고 및/또는 원격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업로드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로 하여, 한쌍의 단자 나사 (194)가 백 플레이트 (182)을 통해 연장된다. 단자 나사 (194)는 그 내측 단부가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 내의 단자 (131, 132) (도 3)에 연결된다. 단자 나사 (194)는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130)이 장착된 구조의 가정용 AC 전원 (134)에, 단자 (131, 132)를 통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에 연결되는 전기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단자 나사 (194)는 단자 나사 (194)가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외측 덮개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백 플레이트 (182)의 배면 (198)의 리세스된 부분(196)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장착 표면에 장착될 수 있고, 백 플레이트 (182)의 배면 (198)은 장착 표면에 인접한다. 백 플레이트 (182) (및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을 장착 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백 플레이트 (182)는 나사 (미도시)와 같은 장착 하드웨어를 수용하기 위해 그것의 상부 및 하부 에지에 인접하여 개구들 (200)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인클로저 (180)는 장착 하드웨어를 수용하기 위해 백 플레이트 (182)의 개구들(200)과 정렬되는 그것의 상단 및 하단 에지들에 인접하는 대응하는 개구들(202)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을 장착 표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착 플레이트 또는 브라켓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쉘 (184)은 전면에 중심 오프닝(opening) (204)을 포함한다. 중심 오프닝 (204)은 실드 (19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사이즈되고 형상화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실드 (192)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프론트 버튼 (148)이 돌출하는 중심 오프닝 (206)을 포함한다. 실드(192)는 인클로저 (180)의 전면 (208) 앞에 그리고 평행한 평면을 정의한다.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 (184)이 인클로저 (180)와 짝을 이룰 때, 실드 (192)는 쉘 (184)의 중심 오프닝 (204) 내에 위치하여 실드 (192)의 전면 (210)이 쉘 (184)의 전면 (212)과 동일 평면상에 있고, 쉘(184)에 중심 오프닝 (204)의 내측 에지와 실드(192)의 외측 에지 사이에는 거의 또는 전혀 갭(도 4)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실드(192)는 상단 부분(214)(프론트 버튼 (148)의 위에 위치된 측면들) 및 하단 부분(216) (프론트 버튼 (148)의 아래에 위치된 측면들)을 포함한다. 실드 (192)의 상단 및 하단 부분들 (214, 216)는 별개의 피스(piece)일 수 있고,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실드(192)의 상단 부분 (214)은 카메라 (154)의 FOV를 방해하지 않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실드 (192)의 상단 부분 (214)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 (160)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마이크로폰 (150)은 실드 (192)의 상단 부분 (214) 뒤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단 부분 (214)은 마이크로폰 (150)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 주위의 영역으로부터 사운드를 더 잘 픽업할 수 있도록 실드 (192)를 통한 사운드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는 오프닝 (218)를 포함할 수 있다.
실드 (192)의 하단 부분 (216)은 적외선 (IR) 광에 대해 실질적으로 투명하지만 가시 스펙트럼의 광에 대해 부분적으로 또는 대부분 불투명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실드 (192)의 하단 부분 (216)은 폴리 카보네이트와 같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드 (192)의 하단 부분 (216)은 하단 부분 (216) 뒤에 위치된 IR 광원 (156)으로부터의 IR 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 (160)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IR 광원 (156) 및 IR 차단 필터 (158)는 카메라 (154)의 "야간 투시(night vision)"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실드 (192)의 상단 부분 (214) 및/또는 하단 부분 (216)은 인클로저(180)와 일체형이거나 별도의 부품 일 수 있는 하지의 커버 (220) (도 10)와 접할 수 있다. 불투명할 수 있는 커버 (220)는 카메라 (154)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오프닝 (222), 실드 (192)의 상단 부분 (214)의 마이크로폰 (150) 및 오프닝 (218)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오프닝 (미도시) 및 IR 광원 (156)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3 오프닝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다양한 내부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쉘 (184) 및 인클로저 (180)가 제거된 도어벨 (130)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4의 라인 (10-10)을 통해 취해진 도어벨 (130)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메인 PCB (224) 및 프론트 PCB (226)을 더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론트 PCB (226)는 버튼 액추에이터 (228)를 포함한다. 도 7,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프론트 버튼 (148)은 버튼 액추에이터 (228)의 전방에 위치된다. 프론트 버튼 (148)은 버튼 액추에이터 (228)와 접촉하도록 하우징 (178) 내로 연장되는 스템(stem) (230) (도 10)을 포함한다. 프론트 버튼 (148)이 가압되면, 스템 (230)은 버튼 액추에이터 (228)를 누름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 스위치 (166) (도 8)를 폐쇄시킨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론트 PCB (226)는 도어벨 (130)의 프론트 버튼 (148)이 눌려질 때 조명할 수 있는 광 표시자(light indicator)들(162)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 표시자 (162)는 프론트 PCB (226)의 앞에 표면 장착되고 버튼 액추에이터 (228) 주위에 원으로 배열된 발광 다이오드 (LED (16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LED인 광 표시자들(162)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광 표시자들 (162)은 임의의 다른 유형의 발광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광 표시자들 (162)의 개수 및 이들이 배치되는 패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벨 (130)은 광 파이프 (232)를 더 포함한다. 광 파이프 (232)는 프론트 버튼 (148)을 둘러싸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링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 파이프 (232)은 실드 (192) 내의 중심 오프닝 (206)과 프론트 버튼 (148) 사이의 환형 공간 내에 위치하며, 광 파이프 (232)의 전면 (234)은 실드(192)의 전면(210)과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에 있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광 파이프 (232)의 후방 부분은 LED (162)의 위치들에 대응하는 위치를 갖는 복수의 포스트(post) (236)를 포함한다. LED (162)가 조명(illuminate)될 때, 광은 포스트 (236) 및 광 파이프 (232)의 본체를 통해 전달되어 광이 광 파이프 (232)의 전면 (234)에서 가시적이다. 따라서, LED (162) 및 광 파이프 (232)는 프론트 버튼 (148) 둘레에 조명 링을 제공한다. 광 파이프 (23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광을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LED (162) 및 광 파이프 (232)는 방문객 및/또는 사용자를 위한 시각적 표시자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162)는 활성화시 조명될 수 있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조명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일 측면에서, LED (162)는 프론트 버튼 (148)이 눌려 졌음을 나타내기 위해 컬러를 변화시킬 수 있다. LED (162)는 또한 배터리 (142)가 재충전을 필요로 하는지, 또는 배터리 (142)가 현재 충전 중이거나 배터리 (142)의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LED (162)는 사용자의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이 양호하거나, 제한적이거나, 열악하거나, 연결되지 않았음을 나타낼 수 있다. LED (162)는 잠재적으로 스피커 (152)로부터 방출된 오디오 큐(cue)와 결합된 시각적 큐를 사용하여 셋업 또는 인스톨 단계를 통해 사용자를 가이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142)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AC 메인과 같은 외부 전원 (134) (도 3)에 연결된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주로 외부 전원 (134)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지만, 외부 전원 (134)으로부터의 임계 전력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142)로부터 전력을 인출함으로써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가 의도하지 않게 소리를 내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 (142)는 전력 관리기 (140)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전원 관리기 (140)는 보조 전력이 필요할 때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 AC 전원 (134)에서 인출된 전원을 보충하도록 배터리 (142)로부터 인출되는 전력량을 제어한다. 전력 관리기 (140)는 또한 외부 전원 (134)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을 사용하여 배터리 (142)의 재충전을 제어한다. 배터리 (142)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배터리,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카메라 (154)를 더 포함한다. 카메라 (154)는 프론트 PCB (226)의 전면에 결합되며, 렌즈 (238) 및 영상 프로세서 (240)를 포함한다 (도 9). 카메라 렌즈 (238)는 깨끗한 이미지가 캡쳐될 수 있도록 카메라 (154)에 광을 집속시킬 수 있는 렌즈일 수 있다. 카메라 (154)는 예를 들어 비디오 이미지를 720p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해상도에서 캡쳐할 수 있는 고 화질 (HD)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카메라 (154)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그것의 FOV내에서 모션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적외선 (IR) 광원 (242)을 더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IR 광원 (242)은 IR LED 인쇄 회로 기판 (PCB) (244)에 결합된 IR 발광 다이오드 (LED) (242)를 포함한다. 대안 실시예들에서, IR LED (242)는 별도의 PCB (24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론트 PCB (226)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IR LED PCB (244)는 프론트 버튼 (148) (도 7) 아래 및 실드(192) (도 10)의 하단 부분 (216) 뒤에 위치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것 처럼, 실드(192)의 하단 부분 (216)은 IR 광에 대해 투명하지만, 가시 스펙트럼의 광에 대해서는 불투명할 수 있다. 도 7a는 3 개의 IR LED (242)를 포함하는 IR LED PCB (244 ')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a의 IR LED PCB (244 ')를 포함하거나 하나 초과의 IR LED (242)를 갖는 임의의 IR LED PCB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커버에 제 3 오프닝의 크기는 IR LED PCB (244 ')의 더 큰 크기를 수용하도록 증가될 수 있다.
IR LED (242)는 저레벨의 주변 광이 감지될 때 활성화되도록 트리거될 수 있다. 활성화될 때, IR LED (242)로부터 방출된 IR 광은 카메라 (154')의 FOV를 조명한다. IR 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카메라 (154)는 카메라 (154')의 FOV 내의 물체로부터 반사된 때 IR LED (242)에 의해 방출된 IR 광을 캡쳐하여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밤에 명확하게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 "야간 투시"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IR 차단 필터 (158)를 더 포함한다. IR 차단 필터 (158)는 렌즈 (238)와 카메라 (154)의 이미지 센서 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기계식 셔터이다. 낮 시간 동안, 또는 충분한 양의 주변 광이 있을 때마다, IR 차단 필터 (158)는 렌즈 (238)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위치되어 IR 광을 필터링하여 사람의 눈으로 그것들을 볼 때 이미지의 컬러를 왜곡시키지 않는다. 야간 시간 또는 주변 광이 거의 없을 때마다, IR 차단 필터 (158)는 렌즈 (238)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카메라 (154)는 IR 광 ( "야간 투시")에 감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메라 (154)는 IR 차단 필터 (158)의 현재 상태를 제어하고, IR LED (242)를 켜고 끄는 데 사용하기 위한 광 검출기로서 동작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이 AC 메인에 대한 연결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고 따라서 카메라 (154)가 항상 전원이 켜져 있다는 사실에 의해 카메라 (154)를 광 검출기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IR 차단 필터 (158) 및 IR LED (242)를 제어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카메라 (154)와 별개의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리셋 버튼 (170)을 더 포함한다. 리셋 버튼 (170)은 프론트 PCB (226)에 결합된 리셋 버튼 액추에이터 (246) (도 8)와 접촉한다. 리셋 버튼 (170)이 눌려지면, 그것이 리셋 버튼 액추에이터 (246)를 컨택할 수 있고, 이는 비 휘발성 메모리 (174) 및/또는 메모리 (172) (도 3)에 저장된 임의의 데이터의 소거를 트리거할 수 있고, 및/프로세서 (160)의 재부팅을 트리거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내부 컴포넌트들을 추가로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백 플레이트 (182) 및 추가 컴포넌트들이 제거된 도어벨 (130)의 후방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백 플레이트 (182)가 제거되고, 도 12에서는 백 플레이트 (182) 및 메인 PCB (224)가 제거되고, 도 13에서는 백 플레이트 (182), 메인 PCB (224) 및 프론트 PCB (226)가 제거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통신 모듈 (146), 프로세서 (160), 메모리 (172) 및 비 휘발성 메모리 (174)를 포함하는 메인 PCB (224)의 후방 표면에 몇몇 컴포넌트들이 결합된다. 각각의 이들 컴포넌트들의 기능들이 아래에 설명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력 관리기 (140), 전력 시퀀서 (144), AC/DC 정류기 (136), DC/DC 컨버터 (138) 및 광 표시자들 (162)을 위한 제어기 (164)를 포함하는 몇몇 컴포넌트들이 프론트 PCB(226)의 후방 표면에 결합된다. 각 컴포넌트들의 기능은 아래에 또한 설명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마이크로폰 (150), 스피커 챔버 (248) (여기에, 스피커 (152)가 위치된다), 및 통신 모듈 (146)을 위한 안테나 (250)를 포함하는 몇몇 컴포넌트들이 인클로저 (180)내에 가시적이다. 각각의 이들 컴포넌트들의 기능들이 또한 아래에 설명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안테나 (250)는 메인 PCB (224)의 전면에 결합되고, 메인 PCB (224)의 후방 표면에 결합된 통신 모듈 (146)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1). 메인 PCB (224)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는 마이크로폰 (150)은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 주변 영역으로부터 발산되는 소리가 오프닝(218)을 통과하여 마이크로폰 (15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실드(192)의 상단 부분(214)에 오프닝(218)(도 4) 근처에 위치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피커 챔버 (248)는 인클로저 (180)의 바닥 근처에 위치된다. 스피커 챔버 (248)는 스피커 (152)가 위치하는 중공의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중공 스피커 챔버 (248)는 스피커 (152)에 의해 만들어진 소리를 증폭시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 부근의 영역에 방문객에 의해 더 잘 들을 수 있게 한다. 도 5 및 도 13을 참조하면, 쉘 (184)의 하단 표면 (252) 및 인클로저 (180)의 하단 표면 (미도시)은 스피커 (152)에 의해 만들어진 소리가 통과할 수 있는 음향 오프닝(254)를 포함하여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 부근 영역의 방문객에 의해 더 잘 들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음향 오프닝 (254)은 일반적으로 쉘 (184) (및 인클로저 (180))의 하단 표면 (252)을 실질적으로 가로 질러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형상이다. 그러나 예시된 형상은 단지 일 예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쉘 (184)의 하단 표면 (252)은 고정 나사(security screw) (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한 오프닝 (2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나사는 오프닝(256)을 통과하여 쉘 (184)을 인클로저 (180)에 고정시키기 위해 인클로저 (180)의 오프닝 (256)를 통해 유사하게 위치된 개구로 연장될 수 있다. 도어벨 (130)이 장착 브라켓 (미도시)에 장착되면, 고정 나사는 또한 도어벨(130)을 장착 브라켓 상에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배터리 히터 (2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추운 기후를 포함하여 옥외용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차가운 온도는 축소된 에너지 용량, 증가된 내부 저항, 손상없이 충전할 수 있는 축소된 능력 및 부하 전류 공급 능력 감소와 같이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부정적인 성능 이슈들을 유발할 수 있다. 배터리 히터 (258)는 앞에서의 부정적인 성능 이슈들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해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142)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터리 히터 (258)는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142)의 측부 표면과 접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얇은 시트를 포함한다. 배터리 히터 (258)는 예를 들어, 전류가 그것을 통과할 때 열을 생성하는 전기 저항성 가열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히터 (258)는 전력 관리기 (140) 및/또는 전력 시퀀서 (144) (도 12)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142)는 프로세서 (160)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열 감응 저항기 ( "서미스터",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어서 배터리 (142)의 온도가 모니터링될 수 있고 배터리 히터 (258)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이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142)가 원하는 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적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14는 연결된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의 부주의한 소리를 피하기 위해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배터리 (142)로부터 보충 전력을 인출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블록 (B280)에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임계 전력 이하의 전력을 인출한다. 외부 전원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AC 전원 (134)일 수 있다. 임계 전력은 예를 들어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 (도 3)가 소리를 내는 전력 레벨일 수 있다. 일 비 제한적인 예에서, 임계 전력은 DC/DC 컨버터 (138) (도 3)의 출력에서 측정될 수 있다. 임계 전력은 예를 들어 전력 관리기 (140) (도 3)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일 비 제한적인 예에서, DC/DC 컨버터 (138)의 출력에서 측정된 임계 전력은 1.4A 와 같을 수 있다.
블록 (B282)에서, 프로세스는 외부 전원 (134)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임계 전력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전력 관리기 (140) (도 3)는 외부 전원 (134)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임계 전력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외부 전원 (134)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임계 전력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블록 (B280)으로 되돌아 간다. 그러나, 만약 외부 전원 (134)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임계 전력에 도달하면, 프로세스는 블록 (B284)으로 이동한다. 블록 (B284)에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요구될 때 배터리 (142)로부터 보조 전력을 인출하여 외부 전원 (134)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임계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14의 프로세스는 연결된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의 부주의한 울림을 피한다. 외부 전원 (134)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임계 전력에 도달할 수 있는 시나리오의 예들은 IR 차단 필터 (158)를 주간 모드에서 야간 모드 (또는 그 반대로)로 스위칭할 때, 또는 호출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에 있는 방문객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에서 진행 중이며 IR 광원 (156)이 조명될 때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 전원 (134)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임계 전력 이하인 경우, 전력 관리기(140)는 배터리 (142)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전원 (134)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의 일부를 배터리(142)로 보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일부는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의 단자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된 션트(176)를 포함할 수 있다. 션트 (176)는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를 부주의하게 트리거링하지 않고 AC 전원 (134)으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는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능력을 가능하게 한다. 도 15는 션트 (176)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션트 (176)는 전파(full-wave) 브리지 정류기 (300), 캐패시터 (302), 다이오드 (304), 션트 스위치 (306), 제 1 저항기 R션트 (308) 및 제 2 저항 R바이어스 (31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션트 스위치 (306)는 예를 들어 광 결합 스위치일 수 있다. 제 1 저항기 R션트 (308)은 예를 들어 수 오옴과 같이 비교적 로우인 전기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반면, 제 2 저항 R바이어스 (310)는 예를 들어 > 1K 오옴과 같은 더 하이인 전기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정상 스탠바이 동작 동안, 션트 스위치 (306)는 폐쇄된다. 따라서, 제 1 저항기 R션트 (308)의 임피던스가 비교적 낮고, 스위치의 임피던스가 일 예에서 약 1 오옴 또는 그 이하와 같이 더 낮기 때문에, 션트 (176)는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의 단자 (AC1, AC2)의 양단에 비교적 로우인 전기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에 의해 인출되는 전류의 대부분은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를 통하지 않고 션트 (176)를 통해 흐른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프론트 버튼 (148)이 눌려지고, 그러나 전자 스위치 (166)는 폐쇄되면, AC 전원 (134)으로부터의 전압이 대부분 병렬인 션트 (176) 및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 의 양단에 인가되고, 일 예에서 약 1V와 같은 소량의 전압이 전자 스위치 (166)에, 그것이 예를 들어 트라이액으로 구현된 경우, 인가되게 한다. 션트 (176) 내의 회로부는 그것의 단자 AC1, AC2 양단의 전압을 감지하여, 션트 스위치 (306)를 개방시키고, 이는 션트 (176)를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만든다. 션트 (176)가 충분한 AC 전압을 수신할 때, 전파(full-wave) 브리지 정류기 (300)는 저항기 (310) R바이어스에 의해 바이어싱된 다이오드 (304)가 스위치 (306)가 개방 또는 매우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변화하게 하는 충분한 전류를 전도하도록 충분한 DC 전압을 제공하고 출력한다. 따라서, 션트 (176)의 스위칭 동작은 원할 때 AC 전원 (134)으로부터의 거의 모든 이용 가능한 전력을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에 의해 사용 가능하게 한다. AC 전원 (134)로부터 우회된 AC 전력 (134)의 양은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가 사운드를 방출하게 하는데 필요한 임계값 이상이다. 따라서, 도어벨 (130)의 프론트 버튼 (148)을 누르는 것은 시그널링 디바이스(168)가 소리를 내게 하여 도어벨 (130)이 장착된 구조물 내의 임의의 사람에게 현관에(또는 도어벨(130)의 위치에 대응하는 다른 위치에)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알림 통지한다.
계속해서 도 15를 참조하면, 션트 (176)는 제 1 비교기 회로 (312) 및 제 2 비교기 회로 (314)를 더 포함한다. 도 16 및 도 17은 개별적으로 도 15의 션트 (176)의 제 1 및 제 2 비교기 (324) 회로 (312, 314)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의 비교기 (312, 314)는 모두 오픈 컬렉터(open collector) 유형 또는 오픈 드레인 유형(drain-type) 이다. 이들 유형들의 비교기들은 통상 "유선-OR"연결로 알려진 것으로 출력이 충돌없이 함께 묶일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 1 비교기 회로 (312)는 개방 이벤트가 전자 스위치 (166) (도 3)에서 검출될 때, 션트 스위치 (306)의 상태를 정상적으로 폐쇄된 로우 임피던스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제 2 비교기 회로 (314)는 제 1 비교기 회로 (312)가 그것의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 정상적으로 폐쇄된, 로우 임피던스 상태로 션트 스위치 (306)의 상태를 복귀시키는 타임 아웃 안전 트리거(time out safety trigger)로서 기능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 1 비교기 회로 (312)는 제 1 비교기 (316) 및 각가의 그것의 2 개의 입력들 (318, 320)에서의 RC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제 1 비교기 (316)의 제 1 (양의) 입력 (318)은 시상수 Tau1을 갖는 RC 네트워크를 갖고, 여기서 Tau1 = C1 * R1 이다. 제 1 비교기 (316)의 제 2 (음의) 입력 (320)은 전압 분배기 R2/(R2 + R3) 및 시정 수 Tau2를 갖고, 여기서 Tau2 = C2 * ((R2 * R3)/(R2 + R3)))이다. 도 16의 제 1 비교기 회로 (312)에 대한 파형도인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 1 비교기 회로 (312)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시간 t1에서, 전자 스위치 (도 3)의 폐쇄로 인해 캐패시터 (302) (도 15)의 VDC가 상승할 때, 제 1 비교기(316)에 대한 양쪽 입력들 (318, 320)이 상승하고, V2가 느리게 상승하고 점근적으로 VMAX * (R2/(R2 + R3))에 접근하지만, 한편 V1은 보다 빠르게 상승하여 VMAX에 접근한다. 비율 R2/(R2 + R3)는 잡음 레벨 고려에 기초하여, 특별히 전자 스위치 (166)가 폐쇄되는 모든 시간 동안 제 1 비교기 (316)에 마진을 갖는 양의(positive) 구동을 보장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제 1 비교기 (316)의 출력 VOUT(322)이 오픈 컬렉터 유형 또는 오픈 드레인 유형 출력이기 때문에 하이 임피던스가 될 것이라는 것을 보장한다. 시간 t2에서 전자 스위치 (166)가 오픈된 때, 커패시터 (302)에서의 전압 VDC는 강하하고 전압 V1은 V2 아래로 떨어진다. 제 1 비교기 (316)는 그것의 출력 VOUT(322)를 구동함으로써 응답하며, 전압 VOUT(322)는 전압을 낮추고 션트 스위치 (306)에서 다이오드 (304)를 턴 오프하기 시작한다. 션트 스위치 (306)는 정상 폐쇄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응답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 2 비교기 회로 (314)는 제 2 비교기 (324) 및 각각의 그것의 두 개의 입력들 (326, 328)에서 RC 네트워크를 포함하지만, 직렬 브랜치들 중 하나에 다이오드 (330)가 추가된다. 제 2 비교기 (324)의 제 1 (양의) 입력 (326)은 VDC의 감쇠된 버전을 수신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그것은 VDC * (R6/(R6 + R5))에 의해 주어진 전압을 받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부 필터링이 유리할 수 있기 때문에, R6 양단에 캐패시터 (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제 2 비교기 (324)의 제 2 (음의) 입력 (328)은 VDC가 상승한 후에 천천히 상승하는 전압 V4를 수신한다. 도 17의 제 2 비교 회로 (314)에 대한 파형도인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제 2 비교 회로 (314)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승 파형은 V4 (t) = VDCMAX * (1-exp (-t/Tau3))에 의해 주어지고 여기서, Tau3 = C4 * R4 이다. V4는 VDCMAX에 점근적으로 접근하지만, t3 = Tau3 * ln (1 + R6/R5)에 의해 주어진 t3 시점에 그것은 VDCMAX * (R6/(R6 + R5)를 히트(hit)할 것이다. 피드백 메카니즘의 지연으로 인해, 전압 V4는 실제로 V3보다 높아져서, 제 2 비교기 (324)의 출력 VOUT(332)가 로우로 풀링(pull)되게 한다. 이는 션트 스위치 (306)의 다이오드 (304)가 방전 및 턴 오프되도록 하고, 이는 차례로 SW1의 션트 스위치 (306)가 그것의 정상적인 폐쇄 위치로 되돌아 가게 한다. 피드백 메커니즘은 다이오드 (304)의 턴 오프는 션트 (176)를 로우 임피던스 상태로 가게 하고, 이는 션트 (176)의 로우 임피던스 상태가 만약 전자 스위치(166)이 폐쇄되지 않으면 AC1, AC2를 붕괴시킬 것이기 때문에, 다이오드 (304)가 훨씬 더 빨리 턴 오프되기 한다는 점에서 양(positive)이다. AC1, AC2 양단의 전압을 줄이는 것은 전파 브리지 정류기 (300)의 출력, VDC를 감소시킬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른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에 연결된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를 울리는 프로세스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블록 (B380)에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출한다. 외부 전원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AC 전원 (134) 일 수 있다. 블록 (B382)에서, 전력은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 및 션트 (176)를 통해 병렬로 흐르고, 션트 (176)는 로우 임피던스 상태에 있다. 블록 (B384)에서, 프로세스는 프론트 버튼 (148)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프론트 버튼 (148)이 눌러지지 않았으면, 프로세스는 블록 (B382)로 되돌아 간다. 그러나, 프론트 버튼 (148)이 눌러진 경우, 프로세스는 블록 (B386)으로 이동한다. 블록 (B386)에서, 전자 스위치 (166)가 폐쇄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션트 (176)가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전환되며, 이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를 통과하여 우회되게 하고, 이는 차례로 시그널링 디바이스(168)가 소리를 방출하게 한다. 또한, 프론트 버튼 (148)이 눌러진 때,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스피커 (152)는 방문객이 프론트 버튼 (148)을 눌렀다는 것을 스피커 (152)의 소리가 들리는 거리 내의 임의의 사람에게 알림 통지(alert)하기 위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에 연결된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를 울리기 위한 프로세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블록 (B350)에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출한다. 외부 전원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AC 전원 (134) 일 수 있다. 블록 (B352)에서, 전력은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 및 션트 (176)를 통해 병렬로 흐르고, 션트 (176)는 로우 임피던스 상태에 있다. 블록 (B354)에서, 프로세스는 프론트 버튼 (148)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프론트 버튼 (148)이 눌러지지 않았으면, 프로세스는 블록 (B352)로 되돌아 간다. 그러나, 프론트 버튼 (148)이 눌러진 경우, 프로세스는 블록 (B356)으로 이동한다. 또한, 프론트 버튼 (148)이 눌러진 때,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스피커 (152)는 방문객이 프론트 버튼 (148)을 눌렀다는 것을 스피커 (152)의 소리가 들리는 거리 내의 임의의 사람에게 알림 통지(alert)하기 위한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블록 (B356)에서, 프로세스는 배터리 (142)의 전력이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결정은 전력 관리기(140)가 배터리 (142)로부터 보충 전력을 인출하고 있는 동안 배터리 (142)가 완전히 소모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배터리 (142)의 전력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블록 (B352)으로 되돌아 간다. 그러나, 배터리 (142)의 전력이 임계값 이상이면, 프로세스는 블록 (B358)으로 이동한다. 블록 (B358)에서, 전자 스위치 (166)가 폐쇄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션트 (176)가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전환되며, 이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출된 전력이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를 통과하여 우회되게 하고, 이는 차례로 시그널링 디바이스(168)가 소리를 방출하게 한다.
또한, 블록 (B358)에서, 제 1 타이머가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6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제 1 타이머는 몇 가지 장점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 1 타이머는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과 다른 유형의 기존의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와의 호환성을 향상시킨다. 많은 기존의 시그널링 디바이스는 전기 기계식과 전자식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전기 기계식 시그널링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서로 다른 음조로 튜닝되고 때려서 공진기 역할을 하는 한 쌍의 금속 튜브들 (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플런저가 튜브 또는 플레이트를 빠르게 연속적으로 부딪쳐서, 많은 전통 도어벨의 특징인 "딩동 (ding-dong)"사운드를 생성한다. 반대로 전자식 시그널링 디바이스들은 전형적으로 전기 음향 트랜스듀서로 작동하는 오디오 스피커를 포함한다. 스피커는 많은 경우 서로 다른 지속 시간을 갖는 통상의 벨소리를 재생하도록 만들어 질 수 있다.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일부 실시예의 초기 셋업 동안, 제 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그것이 쌍을 이루는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의 유형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제 1 타이머의 지속 기간은 맞춤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벨 (130)이 전기 기계식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로 쌍을 이루면, 제 1 타이머는 비교적 짧은 지속 시간, 예컨대 250ms로 설정될 수 있다.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의 플런저 (plunger)가 전자 스위치(168)가 폐쇄될 때 금속 튜브 (또는 플레이트)의 제 1 부분을 부딪치고, 전자 스위치(166)이 오픈될 때 금속 튜브(또는 플레이트)의 제 2 부분을 부딪칠 것이기 때문에, 제 1 타이머에 대한 짧은 지속 기간은 전자 기계식 시그널링 디바이스 (166)가 특징적인 "딩동 (ding-dong)"소리를 방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어벨 (130)이 전기 기계식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와 쌍을 이루는 경우, 제 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맞춤되지 않고). 그러나, 도어벨 (130)이 전자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와 쌍을 이루면, 그러면 제 1 타이머는 1 초 내지 10 초와 같이 비교적 긴 지속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제 1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전자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가 약 3 초의 지속 시간을 갖는 착신음을 재생하면, 사용자는 제 1 타이머의 지속 기간을 약 3 초로 설정할 수 있다.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일부 실시예의 초기 셋업 동안, 사용자는 도어벨 (130)이 짝이 지어질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의 유형을 표시하도록 프롬프트(prompt)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가 전자 기계식임을 나타내면, 프로세스는 제 1 타이머의 지속 기간을 비교적 짧은 기간으로 자동 설정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시그널링 디바이스 (168)가 전자식임을 나타내면, 프로세스는 사용자에게 제 1 타이머에 대한 원하는 지속 기간을 입력하도록 프롬프트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스는 지속 기간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트 할 수 있다.
블록 (B360)에서, 프로세스는 제 1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 1 타이머가 만료되면,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블록 (B364)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제 1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블록 (B362)으로 이동한다. 블록 (B362)에서,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이 응답되었다는 통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이 응답되었다는 통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블록 (B360)으로 되돌아 간다. 그러나,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이 응답되었다는 통지가 수신되면, 프로세스는 블록 (B364)로 이동한다. 블록 (B364)에서, 전자 스위치 (166)는 개방되고, 제 2 타이머가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6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제 2 타이머는 프론트 버튼 (148)의 후속 누름이 전자 스위치(166)를 폐쇄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방문객이 시그널링 디바이스(168)를 반복적으로 울리는 것을 방지한다(프론트 버튼(148)을 빠르게 누르고 다시 누름으로써). 제 2 타이머는 또한 배터리 (142)가 재충전되는 시간을 허용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스는 블록 (B366)으로 이동한다. 블록 (B366)에서, 프로세스는 프론트 버튼 (148)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프론트 버튼 (148)이 눌러지지 않았으면, 프로세스는 블록 (B366)로 되돌아 간다. 그러나, 프론트 버튼 (148)이 눌러진 경우, 프로세스는 블록 (B368)으로 이동한다. 블록 (B368)에서, 프로세스는 제 2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 2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블록 (B366)으로 되돌아 간다. 그러나, 제 2 타이머가 만료 되었으면, 프로세스는 블록 (B356)으로 되돌아 간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방문객이 프론트 버튼 (148)을 누르기 전에 (동작을 검출함으로써) 방문객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도 2의 블록 (B202-B210)에 관해 상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을 개시할 수 있다. 방문객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프론트 버튼 (148)을 누르기 전에 사용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호출에 응답하면, 방문객과 사용자간에 호출이 계속 진행 중인 한 프론트 버튼 (148)은 차단될 수 있다. 즉, 방문객과 사용자 간의 통화가 진행되는 동안 방문갱이 프론트 버튼 (148)을 누르면, 전자 스위치 (166)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호출에 응답하기 전에 방문객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프론트 버튼 (148)을 누르면, 프로세스는 도 23과 관련하여 전술한 절차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블록 (B354)에서 시작).
본 실시예들 중 일부는 유리한 모션 감지 알고리즘 및 기술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초기 셋업 프로세스 동안, 또는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이 셋업된 이후의 임의의 시간에, 사용자는 카메라 (154)의 FOV(field of view) (400) 내의 하나 이상의 존을 관심 또한 "침입 존(intrusion zone)들로 지칭되는 모션 존으로 지정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카메라 (154)의 모션 감지를 구성할 때, 구성 프로세스는 카메라 (154)의 FOV(400)의 시각적 표현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800)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800)(도 25)의 디스플레이 (806) 상에 사용자의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카메라 (154)로부터 생생한 장면을 볼 수 있다. 구성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800)의 디스플레이 (806)상의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침입 존들 (402)을 지정하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침입 존 (들) (402)을 지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806) 상에 하나 이상의 다각형 (404, 406, 408)을 그릴 수 있다.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800)의 디스플레이 (806)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 (806)상에 다각형 (들) (404, 406, 408)을 추적함으로써 침입 존 (들) (402)을 지정할 수 있다. 구성 프로세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임의의 형상 및/또는 면들의 수를 갖는 침입 존 (들) (402)을 지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입 존 (들) (402)은 도 24에 도시된 정사각형 (404), 직사각형 (406) 및 육각형 (408)과 같은 규칙적인 다각형일 수 있고, 또는 원, 오각형, 팔각형, 십각형과 같은 임의의 다른 유형의 규칙적인 다각형일 수 있고 또는 임의의 유형의 불규칙한 다각형일 수 있다. 구성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하나의 침입 존 (402), 두개의 침입 존 (402), 3 개의 침입 존들 (402) 등과 같은 임의의 수의 침입 존들 (402)을 지정할 수있게할 수 있다. 모든 원하는 침입 존 (402)이 생성되면, 구성 프로세스는 침입 존 (402)을 저장하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트 할 수 있으며, 그 후 생성된 침입 존 (402)은 사용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800)로부터 서버 (900C) (도 26)와 같은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및 사용자의 네트워크 (110) (도 1)를 통해 사용자의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로 발송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침입 존 (402)이 지정된 후에, 본 모션 감지 알고리즘 및 기술들의 실시예는 이들 침입 존들 (402)을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제나 파워 온 될 수 있는 카메라 (154)는 FOV (400) 내의 모션을 연속적으로 모니터할 수 있다. 그러나,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움직이는 물체가 침입 존 (402) 중 하나에 진입하지 않으면 그리고 그 때까지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800)에 비디오를 레코딩 및/또는 스트리밍을 시작할 수 없다. 레코딩 및/또는 스트리밍은 움직이는 물체가 이전에 진입한 침입 존 (402)을 빠져 나올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또한, 움직이는 물체가 움직이지 않고 침입 존 (402)에 있는 경우, 물체가 침입 존 (402) 내에서 정지 상태에 있는 동안 레코딩 및/또는 스트리밍이 계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 측면은 전형적으로 움직이는 물체만을 검출하고 따라서 전형적으로 정지상태 물체들을 레코딩 및/또는 스트리밍하지 않는 수동 IR 센서들과 같은 다른 유형의 모션 센서들에 의존하는 시스템들에 비해 장점을 창출한다. 물론, 물체는 사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부는 주변 광의 레벨에 따라 변하는 모션 감지 알고리즘 및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광 시간 동안 레코딩된 비디오의 품질은 다른 불필요하고 원치 않는 움직이는 물체 (예를 들어, 바람, 햇빛 등으로 흔들리는 나뭇가지들 또는 깃발들)를 정확하게 필터링하면서 관심있는 움직이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양호하다. 그러나, 야간에,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IR 광원 (156)을 켜서 입력되는 광 세기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광 세기 레벨은 현관 조명(porchlight), 실외 보안 등(light), 가로등 및 지나가는 자동차의 헤드 라이트와 같은 다른 광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들 광원들은 긍정 오류(false positive) (가짜 경보로도 지칭됨)을 줄이기 위해 필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른 불필요하고 원치 않는 움직이는 물체를 정확하게 필터링하면서 관심있는 움직이는 물체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실시예는 낮 대비 밤 동안에 상이한 모션 감지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움직이는 물체가 침입 존 (402) 중 하나에 진입하지 않으면 그리고 그 때까지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800)에 비디오를 레코딩 및/또는 스트리밍을 시작할 수 없다. 그러나, 야간 이후와 같이 주변 광의 레벨이 낮은 기간 동안,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침입 존들(402) 중 하나에 진입한 움직이는 물체가 사람이 아니면 그리고 그 때까지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800)에 비디오를 레코딩 및/또는 스트리밍을 시작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움직이는 물체가 사람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움직이는 물체의 모션의 특성들을 데이터셋(dataset)에 비교한다. 예를 들어, 각 프레임에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물체 영역을 검출하고, 이들 물체 영역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하고, 해당 특징을 데이터셋의 트레이닝된 특징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스코어와 신뢰도가 사전 정의된 임계값보다 높으면, 알고리즘은 감지된 물체 영역에 양의 출력 (즉, 사람)을 반환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주간 시간 동안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어떤 움직이는 물체가 침입 존 (402) 중 하나에 진입하자 마자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800)에 비디오를 레코딩 및/또는 스트리밍을 시작할 수 있지만 그러나 야간 시간 동안에는,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침입 존 (402) 중 하나에 진입한 움직이는 물체가 사람인 경우에만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800)에 비디오를 레코딩 및/또는 스트리밍을 시작할 수 있다.
밤 시간 동안의 움직이는 사람과 사람이 아닌 물체를 구별하는 것은 야간시간 모션감지가 불균등한 조명 상태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긍정 오류를 감소 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간에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이 켜지는 현관 조명이 켜지는 것과 같은 주변 광의 갑작스런 변경을 모션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긍정 오류는 침입 존 (402) 내의 감지된 물체가 사람인 경우들에만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800) 로 비디오 레코딩 및/또는 스트리밍을 제한함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감소된다.
침입 존 (402)에서 검출된 물체가 사람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술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는 각각의 물체의 질량 중심을 추적함으로써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고, 관측된 질량 중심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물체의 궤적을 예측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검출된 영역의 임의 형상에 대한 질량 중심은 다수의 작은 중심 영역의 평균으로 계산될 수 있다. 유한한 개수의 작은 중심을 사용하여, 전체 중심을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Rn에서 한정된 셋의 k지점들 x1, x2, … xk의 중심은
Figure pct00001
각 물체의 질량 중심을 추적하고, 관측된 질량 중심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물체의 궤적을 예측함으로써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긍정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154)의 FOV(field of view) (400)를 통해 움직이는 사람은 전형적으로 예측 가능한 궤적을 따른다. 사람이 주어진 순간에 제 1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그 사람은 다음 순간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카메라 (154)의 FOV (400) 내에서 이동하는 많은 물체들은 매우 예측할 수 없는 궤적을 따른다. 예를 들어, 산들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 가지는 바람이 어느 순간에 부는 지에 따라 다소 랜덤한 궤적을 따른다. 따라서, 카메라 (154)의 FOV (400)를 통해 움직이는 물체의 질량 중심의 궤적을 예측하고, 그런다음 그 물체가 실제로 예측된 궤도를 따르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본 실시예는 추적되는 물체가 사람과 같은 관심 물체이거나 나뭇 가지와 같은 다른 객체인지 여부에 관해 학습된 추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궤도 분석에 의해,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실시예는 궤적 분석을 각 프레임의 다른 변화의 검출과 결합함으로써 긍정 오류(false positives)로부터 관심 물체를 성공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 중 일부는 야간 투시 모드를 활성화 할 시기 및 야간 투시 모드를 비활성화 할 때를 결정하기 위한 유리한 야간 투시 알고리즘 및 기술을 제공한다. 야간 투시 모드가 활성화되면, IR 광원 (156)은 조명 (켜짐)될 수 있고, IR 차단필터 (158)는 꺼질 수 있고, 카메라 (154)는 컬러 모드에서 그레이(gray) 스케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반대로, 야간 투시 모드가 비활성화될 때, IR 광원 (156)은 턴 오프 될 수 있고, IR 차단 필터 (158)는 턴온 될 수 있고, 카메라 (154)는 그레이 스케일 모드에서 컬러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예시 기술에서, 본 야간 투시 알고리즘의 일부 실시예는 픽셀의 평균 휘도 및 카메라 (154)에 의해 촬영된 비디오의 각 프레임의 픽셀의 평균 표준 편차를 측정할 수 있다. 평균 휘도 및 평균 표준 편차는 그런 다음 각각의 값의 이동 평균을 유지함으로써 프레임에 걸쳐 추적될 수 있다. 두 값의 이동 평균이 제 1 임계값 쌍 아래로 떨어지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야간 투시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반대로, 두 값의 이동 평균이 제 2 임계값 쌍 이상으로 상승하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야간 투시 모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 휘도 (AL)의 이동 평균(running average)이 제 1 임계값 (AL1) 아래로 떨어지고 평균 표준 편차 (ASD)의 이동 평균이 제 1 임계값 (ASD1) 아래로 떨어지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야간 투시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반대로, 평균 휘도 (AL)의 이동 평균이 제 2 임계값 (AL2) 이상으로 상승하고, 평균 표준 편차 (ASD)의 이동 평균이 제 2 임계값 (ASD2) 이상으로 상승하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은 야간 투시 모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야간 투시 모드 활성화 대 야간 투시 모드 비활성화를 위한 별도의 임계값의 사용은 황혼과 같은 약해지는(fading) 빛의 기간들 및 새벽과 같은 떠오르는 빛 동안에 야간 투시 모드와 비 야간 투시 모드 사이에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평균 휘도 (AL) 및 평균 표준 편차 (ASD)의 이동 평균을 추적할 때, 빛 상태의 갑작스런 변화가 무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간 투시 모드가 활성화되면 (즉, 야간 이후),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 근처에서 현관 조명 (porchlight)이 켜지면 픽셀의 평균 휘도 및 평균 표준 편차가 갑자기 급상승될 것이다. 그러나 해질 무렵에는 여전히 켜져 있고 현관 조명은 곧 꺼질 수 있으므로 야간 투시 모드를 계속 활성화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 중 일부는 값 AL 및 ASD의 이러한 급격한 변화를 이들 값에 대한 이동 평균으로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형 물체 또는 구조물에 대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의 접근성은 야간 투시 모드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이 구조의 벽을 가로 질러 직접 위치하면, IR 광원 (156)에 의해 생성된 IR 광의 많은 퍼센티지는 다시 카메라 (154)로 반사될 수 있다. 이 반사된 IR 광은 카메라 (154)로 반사된 IR 광이 평균 광 세기 값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이 낮은 주변 광의 상태하에서 조차도 야간 투시 모드를 비활성화하게 할 수 있다. 프레임 세기 레벨에 기초한 통상의 야간 투시 알고리즘은 야간 투시 모드가 현재 주변 광 레벨이 낮을 때에도 비활성화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 중 일부는 카메라 (154)의 FOV (400) 내의 얼마나 많은 픽셀들이 포화(saturated)되어 있는지를 측정함으로써 이 상황을 보상할 수 있다. 그 다음, 포화된 픽셀의 수를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프로세스는 야간 투시 모드에서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130)을 유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간 투시경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포화된 픽셀 수가 임계값보다 높으면, AL 및 ASD 값이 제 2 임계값 쌍 (AL2, ASD2) 이상으로 상승해도 야간 투시 모드가 활성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전력 소모를 시그널링 디바이스를 울리게 하는 데 필요한 임계값 이하의 양으로 제한한다 (도어벨의 프론트 버튼이 눌러질 때를 제외하고). 따라서,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시그널링 디바이스의 부주의한 울림을 야기하지 않고 기존의 가정용 AC 전원 및 기존의 시그널링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기존의 가정용 AC 전원에 연결되는 본 실시예의 능력으로부터 몇 가지 장점들이 나온다. 예를 들어, 본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카메라는 연속적으로 켜져 있을 수 있다. 전형적인 배터리 전원 공급 방식의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에서는, 배터리가 너무 빨리 소모되지 않도록 카메라는 일부 시간에만 켜져 있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는 주 (또는 단독) 전원으로서 배터리에 의존하지 않으며, 따라서 카메라를 연속적으로 켜둔 채로 유지할 수 있다. 카메라는 지속적으로 켜져 있는 상태로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레코딩될 수 있고, 레코딩된 장면(footage)이 롤링 버퍼 또는 슬라이딩 윈도우에 연속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약 10 내지 15 초의 레코딩된 장면은 롤링 버퍼 또는 슬라이딩 윈도우에 연속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가 지속적으로 켜져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모션 감지에 사용할 수 있어서 수동 적외선 센서 (PIR)와 같은 별개의 모션 감지 디바이스가 필요하지 않다. PIR을 없애는 것은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디자인을 단순화시키고 도어벨이 더욱 소형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카메라가 연속적으로 켜져 있기 때문에, IR 차단 필터의 현재 상태를 제어하고 IR LED를 켜고 끄는 데 사용하기 위한 광 검출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를 광 검출기로 사용하는 것은 별개의 광 검출기에 대한 임의의 요구를 배제하여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의 디자인을 더 단순화시키고 도어벨이 훨씬 더 소형화되게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라 본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14)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800)의 컴포넌트들 및/또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8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800)는 프로세서 (802), 메모리 (804), 사용자 인터페이스 (806), 통신 모듈 (808) 및 데이터 포트 (810)를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들은 상호 연결 버스 (812)에 의해 함께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로세서 (802)는 ARM 프로세서 (Advanced RISC Machines (ARM)에 의해 개발된 RISC (축소 명령 세트 컴퓨터) 아키텍처에 기초한 프로세서)와 같은 스마트 폰 및/또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사용되는 임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 (802)는 하나 이상의 통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또는 수학 코-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보조 코(co)- 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804)는 판독 전용 메모리 (ROM), 하드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메모리/저장 엘리먼트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뿐만 아니라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와 같은 동작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804)는 CompactFlash 카드, MMC (MultiMediaCard) 및/또는 SD (Secure Digital) 카드와 같은 착탈식 메모리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 (804)는 자기, 광학 및/또는 반도체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AM, ROM, 플래시 드라이브 및/또는 하드 디스크 또는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802) 및 메모리 (804)는 예를 들어, 완전히 단일 장치 내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USB 포트, 직렬 포트 케이블, 동축 케이블, 이더넷 유형 케이블, 전화선, 라디오 주파수 트랜시버, 또는 다른 유사한 무선 또는 유선 매체 또는 전술한 것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매체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802)는 데이터 포트 (810)를 통해 메모리 (804)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806)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크린, 터치스크린,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과 같은 스마트폰 및/또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에 적절한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프리젠테이션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 (808)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800)와 다른 외부 디바이스들 또는 수신기들 사이의 통신 링크를 취급하고 착신/ 송출 데이터를 적절히 라우팅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포트 (810)로부터의 인바운드 데이터는 프로세서 (802)로 보내지기 전에 통신 모듈 (808)을 통해 라우팅될 수 있고, 프로세서 (802)로부터의 아웃 바운드 데이터는 데이터 포트 (810)로 보내지기 전에 통신 모듈 (808)을 통해 라우팅될 수 있다. 통신 모듈 (808)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 및/또는 기술들, 예컨대 GSM, UMTS (3GSM), IS-95 (CDMA one), IS-2000 (CDMA 2000), LTE, FDMA, TDMA, W-CDMA, CDMA, OFDMA, Wi-Fi, WiMAX, 또는 임의의 다른 프로토콜 및/또는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포트 (810)는 미니-USB 포트 또는 IPHONE®/IPOD® 30 핀 커넥터 또는 LIGHTNING® 커넥터와 같은 스마트 폰 및/또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와 물리적으로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유형의 커넥터 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포트 (810)는 예를 들어 다른 프로세서, 서버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와의 동시 통신을 위한 다수의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804)는 컴퓨터와 같은 다른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804)는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802)를 지시하도록 적응된 프로그램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을 저장할 수 있다. 지시들은 또한 프로그램 엘리먼트들, 예컨대 운영 체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내의 명령들의 시퀀스의 실행은 프로세서 (802)가 본 출원에서 설명된 프로세스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지만,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들의 구현을 위한 소프트웨어/펌웨어 명령 대신에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명령과 함께 하드웨어에 내장된 회로부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특정 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라 본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범용 컴퓨팅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 (900)은 전술한 동작 중 적어도 일부를 실행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 (900)은 퍼스널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로도 지칭됨) (900A), 휴대용 컴퓨터 (랩탑 또는 노트북 컴퓨터로도 지칭 됨) (900B) 및/또는 서버 (900C)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는 다른 기계들 또는 소프트웨어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을 기다리고 그것들에 응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기계이다. 서버는 전형적으로 데이터를 프로세싱한다. 서버의 목적은 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 및/또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자원을 공유하는 것이다. 이 아키텍처는 소위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이다. 클라이언트는 동일한 컴퓨터에서 실행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컴퓨팅 서버들의 예들은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메일 서버, 인쇄 서버, 웹 서버, 게임 서버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한다. 용어 서버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프로세스들에 자원을 공유하는 임의의 컴퓨터화된 프로세스를 포함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 (9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910), 메모리 (920), 적어도 하나의 저장 디바이스 (930) 및 입력/출력 (I/O) 디바이스들(940)을 포함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 (910, 920, 930, 94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시스템 버스 (950)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 (910)는 단일 또는 다중 스레드 유형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 (910)는 메모리 (920) 및/또는 저장 디바이스 (930)에 저장된 명령들과 같은 명령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정보는 하나 이상의 I/O 디바이스들 (940)을 사용하여 수신되고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 (920)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일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 (들) (930)는 시스템 (900)을위한 저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일 수 있다. 다양한 측면들에서, 저장 디바이스 (들) (930)는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하드 디스크 디바이스, 광 디스크 디바이스, 테이프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저장 디바이스 일 수 있다.
I/O 디바이스들(940)은 시스템 (900)에 대한 입력/출력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I/O 디바이스들 (940)은 키보드, 포인팅 디바이스 및/또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I/O 디바이스들 (940)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스피커 및/또는 프린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가능한 외부 데이터베이스들(96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설명된 본 실시예의 특징은 디지털 전자 회로부, 및/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기계-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정보 캐리어로 및/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전파된 신호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방법 단계의 실시예는 입력 데이터를 조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설명된 구현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명령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된 본 실시예의 특징은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데이터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데이터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시스템상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특정 활동을 수행하거나 특정 결과를 가져 오기 위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명령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되거나 또는 기계 번역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으며, 그것은 독립 실행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 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임의의 형태로 배포할 수 있다.
명령들의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를 들어 범용 및 특수 목적 프로세서들 둘 모두 및/또는 임의의 종류의 컴퓨터의 유일한 프로세서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또는 이들 둘 모두로부터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런 컴퓨터는 명령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또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들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내부 하드 디스크 및/또는 착탈가능한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및/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유형적으로 구현하기에 적절한 저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 내부 하드 디스크 및 착탈식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ASIC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에 의해 보완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허용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특징부들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LCD (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갖는 컴퓨터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트랙볼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 및/또는 사용자가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인터넷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 및/또는 인터넷 브라우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 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는 예를 들어 LAN (근거리 통신망), WAN (광역 통신망) 및/또는 인터넷을 형성하는 컴퓨터 및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서로 원격에 있을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설명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계는 개별 컴퓨터들 상에서 실행되고 서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들 때문에 발생한다.
상기 설명은 본 실시예 및 이들을 실행하는 방법 및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고려되는 최선의 모드를, 완전하고, 명확하고, 간결하고 정확한 용어로 제공하여 이들 실시예를 실행하려고 하는 당업자가 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완전히 동등하게 상기에서 논의된 것들로부터 수정예들 및 대안 구성을 취하기 쉽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와는 반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 및 대체 구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 설명된 프로세스의 단계는 제시된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더구나, 별개로 수행되는 것으로 제시된 단계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제시된 단계들은 다른 실시예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Claims (20)

  1. 오디오/비디오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로폰, 버튼, 및 전자 스위치를 포함하는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으로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을 포함하되;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출하여 상기 전력이 시그널링 디바이스 및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와 병렬로 연결된 션트를 통해 흐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션트는 로우(low) 임피던스 상태에 있고; 및
    상기 버튼이 눌러진 때, 상기 전자 스위치는 폐쇄되도록 구성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션트를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를 통해 우회시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가 소리를 내도록 하는, 오디오/비디오(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는 전기-기계식이거나 또는 전자식인, 오디오/비디오(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는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에 외부에 있는, 오디오/비디오(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타이머(timer)를 더 포함하며, 버튼이 눌러진 때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이 응답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지 않는 한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타이머는 활성화되고 상기 전자 스위치는 폐쇄된 채로 유지되도록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추가로 구성되는, 오디오/비디오(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이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이 응답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한 때 상기 전자 스위치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비디오(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제 1 타이머이고,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제 2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상기 전자 스위치가 개방된 때 상기 제 2 타이머는 활성화되고 상기 2 타이머가 만료될 때 까지 상기 전자 스위치가 다시 폐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더 구성되는, 오디오/비디오(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눌러 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알림 통지 신호(alert signal) 및 비디오 신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발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비디오 신호는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오디오/비디오(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비디오(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상기 버튼이 눌러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전력 레벨을 임계값에 비교하도록 더 구성되는, 오디오/비디오(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상기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전력 레벨이 상기 임계값과 같거나 또는 더 클 때만 상기 전자 스위치를 폐쇄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오디오/비디오(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
  11. 오디오/비디오(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시스템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로폰, 버튼, 및 전자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외부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이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는 단계(drawing);
    상기 전력이 시그널링 디바이스 및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와 병렬로 연결된 션트를 통해 흐르고, 상기 션트는 로우 임피던스 상태에 있고; 및
    상기 버튼이 눌러진 때, 상기 전자 스위치는 폐쇄되고, 상기 션트는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를 통해 우회시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가 소리를 내도록 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는 전기-기계식이거나 또는 전자식인,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디바이스는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에 외부에 있는,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버튼이 눌러진 때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이 응답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지 않는 한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타이머는 활성화되고 전자 스위치는 폐쇄된 채로 유지되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이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호출이 응답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한 때 상기 전자 스위치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제 1 타이머이고,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제 2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전자 스위치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타이머는 상기 전자 스위치가 개방된 때 활성화되며, 상기 전자 스위치는 상기 제 2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다시 폐쇄되는 것이 방지되는,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눌러 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이, 알림 통지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는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A/V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은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눌러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전력 레벨을 임계값에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의 전력 레벨이 상기 임계값과 같거나 또는 더 클 때만 상기 전자 스위치를 폐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29675A 2016-03-15 2017-03-15 저전력 소비 오디오/비디오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KR102008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08746P 2016-03-15 2016-03-15
US62/308,746 2016-03-15
PCT/US2017/022407 WO2017160906A1 (en) 2016-03-15 2017-03-15 Low-power-consumption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oorbel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849A Division KR102152246B1 (ko) 2016-03-15 2017-03-15 저전력 소비 오디오/비디오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004A true KR20180126004A (ko) 2018-11-26
KR102008861B1 KR102008861B1 (ko) 2019-08-08

Family

ID=598516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675A KR102008861B1 (ko) 2016-03-15 2017-03-15 저전력 소비 오디오/비디오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KR1020197022849A KR102152246B1 (ko) 2016-03-15 2017-03-15 저전력 소비 오디오/비디오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849A KR102152246B1 (ko) 2016-03-15 2017-03-15 저전력 소비 오디오/비디오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6) US10070058B2 (ko)
EP (2) EP3748593B1 (ko)
JP (3) JP6518389B1 (ko)
KR (2) KR102008861B1 (ko)
CN (4) CN207691933U (ko)
AU (2) AU2017232359B8 (ko)
CA (1) CA3017605C (ko)
MX (1) MX371397B (ko)
WO (1) WO2017160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88061S1 (en) 2014-07-18 2017-05-30 BOT Home Automation, Inc. Wireless entrance communication device
CN207691933U (zh) * 2016-03-15 2018-08-03 Bot 家庭自动化公司 音频/视频记录和通信门铃系统
USD833313S1 (en) 2017-02-27 2018-11-13 Amazon Technologies, Inc. Wireless entrance communication device
USD830871S1 (en) 2017-02-27 2018-10-16 A9.com Wireless entrance communication device
DE102018111898A1 (de) * 2017-06-06 2018-12-06 Schott Ag Gehäuse für ein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ckel für ein Gehäuse
CN107919809B (zh) * 2017-11-24 2020-01-10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一种储能变流器系统及其控制方法
US10777057B1 (en) * 2017-11-30 2020-09-15 Amazon Technologies, Inc. Premises security system with audio simulating occupancy
US11089165B2 (en) * 2017-12-14 2021-08-10 Yssa Charles Abousaid Retrofitable internet-enabled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JP7118679B2 (ja) * 2018-03-23 2022-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記録装置、映像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833858B (zh) * 2018-03-29 2021-01-26 中磊电子股份有限公司 视频门铃系统
US10609344B1 (en) * 2018-09-21 2020-03-31 Amazon Technologies, Inc.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oorbell devices including transistor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0878671B1 (en) * 2018-10-29 2020-12-29 Amazon Technologies, Inc.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in a doorbell system using AC power waveforms
US10560149B1 (en) 2018-10-29 2020-02-11 Amazon Technologies, Inc.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in a doorbell system using AC power waveforms
WO2020118421A1 (en) * 2018-12-10 2020-06-18 1010210 B.C. Ltd. Method of installing a security alarm system and wireless access point
US10567711B1 (en) 2019-01-07 2020-02-18 Amazon Technologies, Inc. Batteryless doorbell with rectified power delivery
US11412189B1 (en) 2019-01-07 2022-08-09 Amazon Technologies, Inc. Batteryless doorbell with multi-load power delivery
US10803719B1 (en) * 2019-01-07 2020-10-13 Amazon Technologies, Inc. Batteryless doorbell with energy harvesters
CN110264650A (zh) * 2019-07-02 2019-09-20 厦门兴联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门铃室外机兼容传统机械门铃系统的改造方法
CN110381295A (zh) * 2019-07-13 2019-10-25 山东智洋电气股份有限公司 输电线路视频监控系统及电量分级管理方法
US11412187B2 (en) 2019-10-21 2022-08-09 Alarm.Com Incorporated Batteryless video doorbell
CN110933371B (zh) * 2019-12-02 2021-07-13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监测方法、装置和车辆
USD945898S1 (en) * 2020-03-03 2022-03-15 Amazon Technologies, Inc. Doorbell
CA3189710A1 (en) * 2020-09-08 2022-03-17 Google Llc Battery pack with integrated heater
AU2021351627B2 (en) 2020-10-02 2024-03-14 Google Llc Image-capturing doorbell device
US11277941B1 (en) * 2020-10-02 2022-03-15 Google Llc Thermal-control system of a video-recording doorbell and associated video-recording doorbells
US11336005B1 (en) 2020-12-15 2022-05-17 Google Llc Dual-antenna system for a video-recording doorbell, and associated devices and systems
USD974942S1 (en) * 2021-01-26 2023-01-10 Amazon Technologies, Inc. Doorbell
TWI740778B (zh) * 2021-01-29 2021-09-2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攝像門鈴以及攝像門鈴的供電方法
US11984222B2 (en) 2021-09-02 2024-05-14 Safety Shield Products, LLC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health data
EP4342086A1 (en) * 2022-08-01 2024-03-27 Google LLC Alternating-current power-switch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139A (ko) * 2003-07-03 2005-01-13 (주)아이커머테크놀러지 양방향통신 시큐리티시스템
KR20080084127A (ko) * 2007-03-15 2008-09-19 방일순 주택 출입 현관의 통합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감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0136A (en) * 1965-11-23 1969-08-05 Vartan M Jambazian Electronic sound signalling device
US3466649A (en) * 1966-03-01 1969-09-09 Gen Alarm Corp Multiple alarm system
US3648273A (en) * 1970-08-17 1972-03-07 Donald J Gardner Annunciator with timed illumination means
US4074248A (en) * 1976-11-22 1978-02-14 Napco Security Systems, Inc. Dual operating control circuits for intrusion detection systems
US4255782A (en) * 1977-11-15 1981-03-10 Jgf, Incorporated Electrical energy conversion systems
US6072402A (en) 1992-01-09 2000-06-06 Slc Technologies, Inc. Secure entry system with radio communications
US4764953A (en) 1987-05-22 1988-08-16 Chern Lih Ju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doorbell answering
KR950005150B1 (ko) 1992-03-23 1995-05-18 조명언 휴대용 tv 겸용 영상모니터장치
US5384838A (en) 1992-05-19 1995-01-24 Hoffman; Ronald J. System for communicating through partitions
US5428388A (en) 1992-06-15 1995-06-27 Richard von Bauer Video doorbell system
JPH07264532A (ja) 1994-02-03 1995-10-13 Samsung Electron Co Ltd カメラ一体型磁気記録再生装置のメッセージ貯蔵/出力装置及びその方法
US6185294B1 (en) 1996-11-01 2001-02-06 O. Joseph Chornenky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telephone intercom-voice messaging apparatus at doorbell for dwelling
US5894262A (en) 1996-11-12 1999-04-13 Heath Company Electronic doorbell with reversible diode
IT1306222B1 (it) 1996-12-09 2001-06-04 Sideral Srl Sistema di protezione e d'allarme anti-intrusione per ville, edificiper abitazione e lavoro, mediante apparecchi video in genere
US6192257B1 (en) 1998-03-31 2001-02-20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ideo image capability
US6429893B1 (en) 1998-06-04 2002-08-06 Alfred X. Xin Security system
US6970183B1 (en) 2000-06-14 2005-11-29 E-Watch, Inc. Multimedia surveillance and monitoring system including network configuration
US6271752B1 (en) 1998-10-02 2001-08-07 Lucent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multi-access system
US6111497A (en) 1999-03-12 2000-08-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Buzzer with Zener diode in discharge path
US6633231B1 (en) 1999-06-07 2003-10-14 Horiba, Ltd. Communication device and auxiliary device for communication
US8520068B2 (en) 1999-07-20 2013-08-2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Video security system
US6476858B1 (en) 1999-08-12 2002-11-05 Innovation Institute Video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FR2797732B1 (fr) 1999-08-16 2001-11-09 Dpf Electronique Portier audiovideo repondeur
GB2354394B (en) 1999-09-09 2003-11-26 Roke Manor Research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via the internet
JP2001103463A (ja) 1999-09-30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ーホン装置
GB9924436D0 (en) 1999-10-16 1999-12-15 Applied Technologies Mfg Ltd Internet & intranet remote viewing & security system
US20020094111A1 (en) 2000-05-19 2002-07-18 Puchek Daniel R.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U2001263483A1 (en) 2000-05-26 2001-12-11 Royal Thoughts L.L.C. Modular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02033839A (ja) 2000-07-18 2002-01-31 Nec Corp ドアホンによる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2002125059A (ja) 2000-10-13 2002-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および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の転送方法
NO314376B1 (no) 2001-04-11 2003-03-10 Endre Roesjoe System for adgangskontroll
JP2002344640A (ja) 2001-05-14 2002-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ーホン装置
JP2002342863A (ja) 2001-05-20 2002-11-29 Yukio Shimada 通信インターホン
JP2002354137A (ja) 2001-05-26 2002-12-06 Mihoko Shimada 集合住宅留守番応答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2368890A (ja) 2001-06-11 2002-12-20 Katsunori Terasawa 留守宅通信設備
US20030043047A1 (en) 2001-08-29 2003-03-06 Braun David A. Electronic doorbell system
KR100459047B1 (ko) 2001-09-27 2004-12-03 모빌토크(주)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원격 방문자 확인 및 출입문 개폐제어장치
US6658091B1 (en) 2002-02-01 2003-12-02 @Security Broadband Corp. LIfestyle multimedia security system
WO2003067360A2 (en) 2002-02-06 2003-08-14 Nice Systems Ltd.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ntent analysis-based detection, surveillance and alarm management
US6992591B2 (en) 2002-02-15 2006-01-31 Jenesis International Inc. Marker lights for wireless doorbell transmitters and other devices
HK1049265A2 (en) * 2002-02-27 2003-04-11 Easy Charm Ltd A two-wire power switch with line-powered switch controlling means
JP4454907B2 (ja) 2002-03-27 2010-04-21 アイホン株式会社 テレビドアホンシステム
AU2003230229A1 (en) 2002-05-09 2003-11-11 Castaldo - Elettronica And Telecomunicazioni Portable videointercom set
TW577032B (en) 2002-06-28 2004-02-21 Hoa Telecom Network Co Ltd Intercom system
US20040095254A1 (en) 2002-09-20 2004-05-20 Maruszczak Douglas D. Door bell answering system
JP2004128625A (ja) * 2002-09-30 2004-04-22 Nohmi Bosai Ltd テレビドアホン
JP2004128835A (ja) 2002-10-02 2004-04-22 Nec Fielding Ltd 留守宅監視システム、監視端末装置および留守宅来訪者応対方法
US7193644B2 (en) 2002-10-15 2007-03-20 Revolutionary Concepts, Inc. Automated audio video messaging and answering system
US8154581B2 (en) 2002-10-15 2012-04-10 Revolutionary Concepts, Inc. Audio-video communication system for receiving person at entrance
US8139098B2 (en) 2002-10-15 2012-03-20 Revolutionary Concepts, Inc. Video communication method for receiving person at entrance
US8144183B2 (en) 2002-10-15 2012-03-27 Revolutionary Concepts, Inc. Two-way audio-video communication method for receiving person at entrance
US6753774B2 (en) 2002-10-25 2004-06-22 Tung-Hsing Pan Antitheft system with signals transmitted by mobile phone network
US20040086093A1 (en) 2002-10-29 2004-05-06 Schranz Paul Steven VoIP security monitoring & alarm system
US20040085205A1 (en) 2002-10-31 2004-05-06 Jacob Yeh Monitor system with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actuated by doorbell actuator
US20040135686A1 (en) 2002-11-04 2004-07-15 Parker Dionna O. Remote audio visual home monitor
US7012523B2 (en) 2002-11-05 2006-03-14 Stuart John C System for surveillance of and communication with residential entryway from remote location using existing telephone lines
CN2585521Y (zh) 2002-11-22 2003-11-05 张健 自动拍录可视门铃
US7062291B2 (en) 2003-01-06 2006-06-13 Vtech Telecommunications Limited Wireless multi-handset telephone system with integrated video monitoring accessories
US7738917B2 (en) 2003-03-31 2010-06-15 Vtech Telecommunications Limited Intercom/wireless door bell for multi-handset telephone system
GB2400958B (en) 2003-04-23 2005-12-07 Frank Cunningham Security system
ITMI20031012A1 (it) 2003-05-20 2004-11-21 Fly S R L Apparecchiatura per la ripresa, la trasmissione a distanza e la visualizzazione di immagini e suoni da/per una pluralita' di terminali.
US6965301B2 (en) * 2003-07-14 2005-11-15 Ari Epstein Abuse resistant doorbells
US7450638B2 (en) 2003-07-21 2008-11-11 Sony Corporation Power-line communication based surveillance system
US7023327B1 (en) * 2003-07-21 2006-04-04 Ching Cheng Chen Remote doorbell chime extender
JP4066924B2 (ja) 2003-09-19 2008-03-26 ソニー株式会社 送受信システム
US7085361B2 (en) 2003-12-18 2006-08-01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on from an exterior of a location
US7373395B2 (en) 2004-02-04 2008-05-13 Perseus Wireles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remote clients
JP2005341040A (ja) 2004-05-25 2005-12-08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109860B2 (en) 2004-06-02 2006-09-19 Inventec Appliances Corporation Surveillance apparatus integrated with mobile phone
KR100665029B1 (ko) * 2004-06-03 2007-01-04 코스텔(주) 다기능 티브이 장치
KR100557895B1 (ko) 2004-06-14 2006-03-10 백형동 다기능 비디오폰
US7304572B2 (en) 2004-06-29 2007-12-04 Motorola, Inc. Cellular communications based intercom system and methods
JP2006048174A (ja) 2004-07-30 2006-02-16 A・T・Gジャパン株式会社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561633B1 (ko) 2004-09-22 2006-03-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홈 방문자 확인 및 통화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JP3992038B2 (ja) 2004-11-16 2007-10-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素子の実装方法、電子装置の製造方法、回路基板、電子機器
US20060139449A1 (en) 2004-12-23 2006-06-29 Wen-Liang Cheng Wireless audio-video doorbell monitoring system
IL165959A0 (en) 2004-12-23 2006-01-15 Vascode Technologies Ltd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CA2532502A1 (en) 2005-01-12 2006-07-12 Walter W. Wang Remote viewing system
CN2792061Y (zh) 2005-03-01 2006-06-28 王春芳 一种无线远距离传递视频信号的门铃
US7643056B2 (en) 2005-03-14 2010-01-05 Aptina Imaging Corporation Motion detecting camera system
JP4616045B2 (ja) 2005-03-18 2011-01-19 Dxアンテナ株式会社 インターホン
US7266962B2 (en) * 2005-05-17 2007-09-11 Whirlpool Corporation Battery supplemented refrigerator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070008081A1 (en) 2005-06-17 2007-01-11 Tylicki Scott B MP3 doorbell chime system
US7365637B2 (en) * 2005-06-17 2008-04-29 Heathco Llc Reversible diode doorbell detection circuit
US7382249B2 (en) 2005-08-31 2008-06-03 Complete Surveillance Solutions Security motion sensor and video recording system
US7429924B2 (en) 2005-12-02 2008-09-30 Peter Langer Automatic doorbell driver
ES2302430B2 (es) 2006-04-28 2009-03-16 Universidad De Malaga Sistema modular para portero electronico inalambrico.
US7477134B2 (en) * 2006-05-06 2009-01-13 Peter Langer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riving a doorbell system peripheral load at a higher current
US8619136B2 (en) 2006-12-01 2013-12-31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home monitoring using a set top box
US8193919B2 (en) * 2007-05-05 2012-06-05 Peter Langer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riving a doorbell system peripheral load at a higher current
JP5367239B2 (ja) 2007-06-28 2013-12-1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アプリケーション表示方法
US20100225455A1 (en) 2007-10-24 2010-09-09 Jimmy David Claiborne Polyphonic Doorbell Chime System
CN201576444U (zh) 2009-12-15 2010-09-08 宁波舜韵电子有限公司 一种音乐蜂鸣驱动电路
JP2011205306A (ja) * 2010-03-25 2011-10-13 Aiphone Co Ltd ドアホン装置
US8384244B2 (en) * 2010-06-09 2013-02-26 Microsoft Corporation Rack-bas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N201910102U (zh) 2010-12-06 2011-07-27 覃康健 节电交流门铃接收器
US8482336B2 (en) * 2011-04-08 2013-07-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ariable impedance single pole double throw CMOS switch
US8326467B2 (en) * 2011-09-06 2012-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system
US20150035987A1 (en) * 2012-09-07 2015-02-05 Jose Mario Fernandez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locking a door and enabling two-way communications with a door security system via a smart phone
US20140070922A1 (en) 2012-09-10 2014-03-13 Garry Davis Doorbell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10999561B2 (en) 2013-03-15 2021-05-04 Vivint, Inc. Methods for using an image capture device integrated at a building entry with an automation control panel, and system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US20150022618A1 (en) 2013-07-18 2015-01-22 Bot Home Automation Inc. Wireless Entrance Communication Device
US9948892B2 (en) 2013-07-17 2018-04-17 BOT Home Automation, Inc. Wireless speaker devices for wireless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20160364009A1 (en) 2013-07-18 2016-12-15 BOT Home Automation, Inc. Gesture recognition for wireless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9584775B2 (en) * 2013-07-18 2017-02-28 BOT Home Automation, Inc. Wireless entrance communication device
US9172921B1 (en) 2013-12-06 2015-10-27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antenna
US9049352B2 (en) 2013-07-26 2015-06-02 SkyBell Technologies, Inc. Pool monitor systems and methods
US8780201B1 (en) 2013-07-26 2014-07-15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8941736B1 (en) 2013-07-26 2015-01-27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8937659B1 (en) 2013-07-26 2015-01-20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and electrical methods
US9013575B2 (en) 2013-07-26 2015-04-21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060104B2 (en) 2013-07-26 2015-06-16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237318B2 (en) 2013-07-26 2016-01-12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118819B1 (en) 2013-07-26 2015-08-25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172922B1 (en) 2013-12-06 2015-10-27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160987B1 (en) * 2013-07-26 2015-10-13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hime systems and methods
US9179107B1 (en) 2013-07-26 2015-11-03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hime systems and methods
US9196133B2 (en) 2013-07-26 2015-11-24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179108B1 (en) 2013-07-26 2015-11-03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hime systems and methods
US9058738B1 (en) 2013-07-26 2015-06-16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247219B2 (en) 2013-07-26 2016-01-26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230424B1 (en) 2013-12-06 2016-01-05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ties
US9065987B2 (en) 2013-07-26 2015-06-23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342936B2 (en) 2013-07-26 2016-05-17 SkyBell Technologies, Inc. Smart lock systems and methods
US9094584B2 (en) 2013-07-26 2015-07-28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113052B1 (en) 2013-07-26 2015-08-18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113051B1 (en) 2013-07-26 2015-08-18 SkyBell Technologies, Inc. Power outlet cameras
US8947530B1 (en) 2013-07-26 2015-02-03 Joseph Frank Scalisi Smart lock systems and methods
US9142214B2 (en) 2013-07-26 2015-09-22 SkyBell Technologies, Inc. Light socket cameras
US9197867B1 (en) 2013-12-06 2015-11-24 SkyBell Technologies, Inc. Identity verification using a social network
US9060103B2 (en) 2013-07-26 2015-06-16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security and safety
US9165444B2 (en) 2013-07-26 2015-10-20 SkyBell Technologies, Inc. Light socket cameras
US8953040B1 (en) 2013-07-26 2015-02-10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and electrical systems
US9179109B1 (en) 2013-12-06 2015-11-03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172920B1 (en) 2014-09-01 2015-10-27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diagnostics
US9736284B2 (en) 2013-07-26 2017-08-15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and electrical systems
US9053622B2 (en) 2013-07-26 2015-06-09 Joseph Frank Scalisi Light socket cameras
US9769435B2 (en) 2014-08-11 2017-09-19 SkyBell Technologies, Inc.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8872915B1 (en) 2013-07-26 2014-10-28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799183B2 (en) 2013-12-06 2017-10-24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package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9743049B2 (en) 2013-12-06 2017-08-22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50163463A1 (en) 2013-12-06 2015-06-11 Vivi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doorbell camera
US9786133B2 (en) 2013-12-06 2017-10-10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hime systems and methods
US9253455B1 (en) 2014-06-25 2016-02-02 SkyBell Technologies, Inc.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282665B1 (en) * 2014-01-13 2016-03-08 Litex Industries, Limited Illuminated doorbell chime system
US10084783B2 (en) * 2014-06-23 2018-09-25 Google Llc Selectively restricting communications from third party applications/devices to electronic devices
KR20160050577A (ko) * 2014-10-30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A2988403A1 (en) * 2015-05-07 2016-11-10 Ring Inc. Wireless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oorbells with integrated image sensor/button
CN207691933U (zh) * 2016-03-15 2018-08-03 Bot 家庭自动化公司 音频/视频记录和通信门铃系统
WO2018031428A1 (en) * 2016-08-12 2018-02-15 BOT Home Automation, Inc. Parcel theft deterrence for a/v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WO2018031401A1 (en) * 2016-08-12 2018-02-15 BOT Home Automation, Inc. Parcel theft deterrence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0769912B2 (en) * 2017-03-23 2020-09-08 Amazon Technologies, Inc. Streaming and storing audio/video content captured by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0311685B1 (en) * 2018-06-29 2019-06-04 Logitech Europe S.A. Doorbell system with pulse-driven boost rectif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139A (ko) * 2003-07-03 2005-01-13 (주)아이커머테크놀러지 양방향통신 시큐리티시스템
KR20080084127A (ko) * 2007-03-15 2008-09-19 방일순 주택 출입 현관의 통합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감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8011238A (es) 2019-01-10
AU2019208142A1 (en) 2019-08-08
JP6736239B2 (ja) 2020-08-05
JP2019165462A (ja) 2019-09-26
CN115883788A (zh) 2023-03-31
JP6518389B1 (ja) 2019-05-22
US10270971B2 (en) 2019-04-23
US20170272652A1 (en) 2017-09-21
CN109074708A (zh) 2018-12-21
CN206585662U (zh) 2017-10-24
EP3748593B1 (en) 2022-06-08
JP6583950B2 (ja) 2019-10-02
KR102008861B1 (ko) 2019-08-08
CA3017605C (en) 2021-04-13
EP3430603A1 (en) 2019-01-23
MX371397B (es) 2020-01-28
AU2017232359B2 (en) 2019-06-13
EP3748593A1 (en) 2020-12-09
EP3430603A4 (en) 2019-04-03
US10999505B2 (en) 2021-05-04
US20200154050A1 (en) 2020-05-14
US10554887B2 (en) 2020-02-04
JP2020005283A (ja) 2020-01-09
AU2019208142B2 (en) 2020-05-21
AU2017232359A1 (en) 2018-10-04
US20180035051A1 (en) 2018-02-01
WO2017160906A1 (en) 2017-09-21
JP2019519949A (ja) 2019-07-11
US9819867B2 (en) 2017-11-14
US20190230286A1 (en) 2019-07-25
US10070058B2 (en) 2018-09-04
KR102152246B1 (ko) 2020-09-04
CN207691933U (zh) 2018-08-03
US20180376062A1 (en) 2018-12-27
KR20190095521A (ko) 2019-08-14
US20170272653A1 (en) 2017-09-21
US10939040B2 (en) 2021-03-02
EP3430603B1 (en) 2020-09-02
CA3017605A1 (en) 2017-09-21
AU2017232359B8 (en)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246B1 (ko) 저전력 소비 오디오/비디오 레코딩 및 통신 도어벨
US10785457B2 (en)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JP6854886B2 (ja) オーディオ/ビデオ記録通信装置用のビデオのストリーミング及び保存
US10419726B2 (en) Streaming video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0587814B2 (en) Automatic exposure control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