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951A - 재밀폐가능한 캔 뚜껑 - Google Patents

재밀폐가능한 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951A
KR20180125951A KR1020187025023A KR20187025023A KR20180125951A KR 20180125951 A KR20180125951 A KR 20180125951A KR 1020187025023 A KR1020187025023 A KR 1020187025023A KR 20187025023 A KR20187025023 A KR 20187025023A KR 20180125951 A KR20180125951 A KR 20180125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ing
tab
tongu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497B1 (ko
Inventor
그레고르 안톤 피흐
Original Assignee
그레고르 안톤 피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레고르 안톤 피흐 filed Critical 그레고르 안톤 피흐
Publication of KR20180125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65D17/40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and provided with attached means for reclosing or re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4Details of the line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02Location of opening
    • B65D2517/0007Location of opening in a separate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6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push-down and pull-out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26Means for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4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 B65D2517/0043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in the form of a plu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4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 B65D2517/0044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attached to the tear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59General cross-sectional shape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1U-shaped
    • B65D2517/0062U-shaped and provided with an additional U-shaped peripheral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8Materia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82Coated or laminated metal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음료수 캔들에 대해 의도되는, 종래 설계의 캔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정 특징은 실질적으로 링 형상의 성형 플라스틱 부는 밀봉식으로 재밀폐가능한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개방 영역을 둘러싸는 뚜껑 표면의 하측에 고정되고, 플라스틱 스토퍼 부는 개방 절차 동안에 상향으로 피벗가능하고 성형 부분으로 밀봉식으로 체결되는 텅 탭의 하측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텅 탭의 주변 윤곽이 바람직하게는 스토퍼 부로부터 미리 정의될 수 있는 간격으로 성형 부의 영역에 배치된다는 사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밀폐가능한 캔 뚜껑
본 발명은 캔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뚜껑 표면의 금속 뚜껑 재료에 제공되고 특히 재료 약화(material weakening)에 의해 경계되는 텅 탭 형태의 개구 영역을 가지며, 이러한 개구 영역을 개방하도록 의도되고, 특히 리벳 연결 또는 용접 연결을 통해, 특히 개구 영역 내의 뚜껑 재료에 고정 연결되고, 개방 절차 동안에 텅 탭을 상향으로 피벗시키는 역할을 하는 이중 아암 레버 부재를 갖는 음료수 캔용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캔 뚜껑들은 전 세계에 걸쳐 굉장히 광범위한 정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들은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레버 부재의 긴 아암의 단순한 상향 피버팅(pivoting)에 의해 캔들의 개방뿐만 아니라 캔들의 공간 절약적 적층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으로 공지된 캔 뚜껑들은 예를 들어, 그것이 일단 개방되면 뚜껑의 재밀폐가 가능하지 않고, 개구 영역을 최초로 폐쇄하는 뚜껑 부분 영역이 레버 부재의 상향 피버팅 및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캔의 개방 시에 캔 내부 안으로 가압되고, 위생적으로 문제가 되는 액체와의 접촉이 있고, 아주 작은 입자들이 뚜껑 재료로부터 불가피하게 해제되고 개방 절차 동안에, 즉 개구 영역과 뚜껑 표면 사이의 뚜껑 재료에 존재하는 약화 홈(weakening groove)이 찢어져 개방되거나 분리될 때 캔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단점들을 갖는다.
재밀폐가능한 개구를 갖는 캔 뚜껑은 WO 2011/095319 A1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캔의 개구 영역은 폐쇄 뚜껑으로 형성되고 힘-전달 방식으로 제1 플라스틱 재료의 칼라 부분(collar part)과 절취 노치(tear notch)에 인접한 그것의 외부 가장자리(margin)에서 연결되고, 힘-전달 방식으로 뚜껑 표면에 개구 영역 외측 및 파열 노치에 인접하여 연결되는 제2 플라스틱 재료의 뚜껑 수용 부분은 칼라 부분과 연관되어 있다. 칼라 부분은 이 점에서 뚜껑 수용 부분에 걸쳐 체결되고 주변 커플링 립을 갖는 밀봉 스냅-인 연결 및 상보적인 방식으로 형상화되는 오목부가 칼라 부분과 뚜껑 수용 재료 사이에 형성된다. 견인 탭(pull tab)은 칼라 부분의 고정 영역에 뚜껑 수용 부분 외측에서 방사상으로 고정되고, 이중 아암(two-armed) 레버는 고정 영역과 연관되는 칼라 부분의 부분 주변 영역에 의해 절취 노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재밀폐가능한 개구를 갖는 캔 뚜껑은 EP 1 607 341 A1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개구는 금속 캔 뚜껑에 도입되고 이러한 개구의 가장자리는 조립식 플라스틱 폐쇄 부분에 대한 앵커리지 가능성을 형성하기 위해 비드된다(beaded). 플라스틱 폐쇄 부분은 캔 개구의 비드 림에 연결되고 평탄 스토퍼에 의해 폐쇄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베이스 부분을 둘러싼다. 평탄 스토퍼가 플라스틱 절취 심(tear seam)을 통해 개구 가장자리에 연결됨으로써 절취 탭에 연결되는 평탄 스토퍼는 견인력(pull)의 행사에 의해 파열 탭을 통해 베이스 플라스틱 부분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고 개방 위치로 피벗될 수 있다. 개구는 하측에서 바람직하게는 원뿔형인 평탄 스토퍼를 가압함으로써 다시 일시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재밀폐가능한 개구를 갖는 캔 뚜껑은 WO 2008/098558 A1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조립식 절취가능 플라스틱 폐쇄 부분이 삽입되는 개구가 금속 캔 뚜껑에 비슷하게 도입되며, 조립식 플라스틱 요소는 스탬프된(stamped-out) 캔 개구의 가장자리가 체결되고 그 안에 고정되는 가장자리의 측에서 이중 플랜지를 가진다. 조립식 플라스틱 요소는 절취 심을 통해 플라스틱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폐쇄 부분을 포함한다. 폐쇄 부분에 연결되는 절취 탭은 플라스틱 부분의 주변 영역과 뚜껑 부분 사이의 플라스틱 절취 심을 절취 개방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캔 개구를 해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재밀폐의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탭 영역을 통해 주변 영역과 관련하여 잔류하는 폐쇄 부분이 개구 안으로 다시 가압된다.
재밀폐가능한 캔 뚜껑은 GB 1 389 351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특히 탭을 통해 통상의 판금 캔들을 오픈 시 발생하는 바와 같은 날카로운 에지들의 생성이 회피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금속 캔 뚜껑에 제공되는 펀칭은 얇은 플라스틱 벽을 통해 캔 개구 안으로 스냅되는 베이스 부분에 연결되는 뚜껑 부분을 갖는 조립식 플라스틱 부분 안으로 스냅된다. 연결 부분과 베이스 부분 사이의 얇은 연결 벽은 절취 탭을 통해 파괴될 수 있고 캔 개구는 노출될 수 있다. 폐쇄 부분은 이 점에서 그것이 개구를 재밀폐하기 위해 스냅-인 래치 연결을 통해 베이스 부분으로 체결되도록 설계된다.
절취 탭이 뚜껑 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폐쇄 요소가 절취 위치로부터 개방된 주입 개구(pouring opening) 위의 폐쇄 위치로 절취 탭의 회전을 따라 취해지는 곳에 제공되고 주입 개구에 걸쳐 또는 그 안으로 중첩적으로 체결되는 압입식 뚜껑 폐쇄를 갖는 음료수 캔이 DE 89 11 286 U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감쇠 라인이 형성되고 약화 라인에 의해 경계되는 뚜껑 부분이 견인 탭의 수단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판금으로 구성되는 뚜껑을 갖고, 제거 개방을 위한 폐쇄 부분은 뚜껑에 포획적으로 고정되는 뚜껑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피벗 가능한 음료수 캔이 DE 90 05 150 U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폐쇄 요소의 수단에 의해 단단히 폐쇄되고 제1 개방 후에 다시 단단히 폐쇄될 수 있는 뚜껑 표면에 미리 펀칭된 주입 개구를 갖는 음료수 캔들을 위한 금속의 뚜껑이 DE 196 13 246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점에서, 뚜껑 및 폐쇄 요소는 베이어닛의 방식으로 서로 체결되고 뚜껑 재료 또는 폐쇄 요소로부터 직접 형성되는 요소들에 의해 형상-정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방된 캔의 반복적, 밀봉식 재밀폐가 가능하게 되고 바람직하게는 캔의 개방의 절차가 또한 용이하게 되거나 이를 위해 요구되는 힘의 노력이 감소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캔 뚜껑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더욱이, 캔 뚜껑의 구조 설계는 가능한 단순하고 저렴하게 이루어져야만 하고 문제없는 자동 조립이 가능하게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목적은 링 형상인 성형 플라스틱 부가 밀봉식으로 재밀폐가능한 뚜껑 표면의 하측에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개구 영역을 둘러싸는 뚜껑 표면의 하측에 고정되고, 플라스틱 스토퍼 부는 개방 절차 동안에 상향으로 피벗 가능한 텅 탭의 하측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성형 부로 밀봉식으로 체결되고, 텅 탭의 주변 윤곽이 바람직하게는 스토퍼 부로부터 미리 정의될 수 있는 간격에서 성형 부의 영역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만족된다.
캔의 재밀폐 능력에 대해 결정적인 요소들이 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따라서 이러한 재밀폐가능한 캔의 외관이 실질적으로 종래의 캔, 즉 재밀폐 불가능한 캔과 상이하지 않을 수 있고, 특히 플라스틱 요소들이 캔 뚜껑의 외 측(outer side)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이 이러한 해결책에서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은 종래의 캔 뚜껑과 유사한 기본 실시예에 따른 약화 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약화 홈은 레버의 상향 피버팅 시에 관통되고, 그 결과 스토퍼 부를 지지하는 텅 탭은 개구가 자유롭게 되도록 상향으로 견인될 수 있다. 텅 탭의 피버팅 백 시에, 스토퍼는 그것이 다음 개방 절차까지 래치식으로 유지되는 곳에 그것을 밀봉식으로 수용하는 성형 부 안으로 다시 밀봉 방식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 개방 및 폐쇄 절차는 원하는 바와 같이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 부는 오목한 베이스 벽(concave base wall)을 갖는 중공 스토퍼로서 구성되고 스냅-인 연결을 통해 그것을 수용하는 성형 부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벽의 오목한 설계는 오목한 베이스 벽이 캔에 존재하거나 이에 구축되는 내부 압력으로 인해 캔 뚜껑의 방향으로 변형되고, 그에 의해 링 형상의 성형 부의 벽을 향한 주변 스토퍼 벽의 접촉 압력이 증가되고 따라서 밀봉이 또한 개선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특징은 성형 부 및 스토퍼 부가 바람직하게는 전체 하부 뚜껑 측(side)에 걸쳐 연장되는 밀봉 층을 통해 뚜껑 재료에 밀봉식으로 연결된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하부 뚜껑 측(entire lower lid side)에 제공되는 밀봉 왁스 또는 하드 래커 마감(hard lacquer finish) 형태의 밀봉 층은 열의 영향에 의해, 예를 들어 대략 120°C에서 활성화될 수 있고, 금속 부분들과 플라스틱 부분들 사이에 절대적으로 신뢰 가능하고 안정된 연결을 허용한다.
링 형상 성형 부는 바람직하게는 텅 탭 단부의 영역과 연관되고 그 단부 영역이 밀봉 층을 통해 뚜껑 재료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노즈(nose)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링 형상의 성형 부과 성형 부 노즈의 단부 영역 사이에 자유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자유 영역은 캔으로부터 방해받지 않는 음용(drinking)을 보장하기 위해 자유롭게 되는 개구로부터 충분한 간격을 갖는 피벗 베어링 주위로 폐쇄 스토퍼를 지지하는 텅 탭의 상향 피버팅을 허용한다.
성형 부 및 스토퍼 부는 서로에 대한 문제없는 자동 피버팅 및 이러한 방식으로 획득되는 단일-부(single-part) 구조의 추가 처리를 완료하는 것이 이러한 방식으로 어셈블리 상에서 발생할 수 있으므로, 두 부(both-parts)이 가요성의 분리 가능한 탭을 통해 연결되는 사출 성형 부를 포함하면 기술적 생산 측면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독립적인 유리한 측면은 하측에서 스토퍼 부에 연결되는 텅 탭이 텅 탭의 주변에 걸쳐 연장되는 마이크로갭, 특히 스탬핑된 갭에 의해 뚜껑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뚜껑 표면에 연결되는 텅 탭 베이스가 개방 절차 동안에 유효하게 되는(that becomes effective during the opening procedure) 피벗 베어링을 형성하고, 금속 뚜껑의 하측이 밀봉 플라스틱 재료로 견고한 부착 방식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료 약화 대신에 마이크로갭의 존재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특히 중요하다. 캔의 누설 방지는 이러한 경우 밀봉식 부착 방식으로 하부 뚜껑 측(the lower side)을 접촉하고 마이크로갭을 커버하는 성형 플라스틱 부에 의해 보장된다.
마이크로갭은 바람직하게는 캔 뚜껑 재료로부터 가압된 텅 탭이 펀칭 전의 시작 위치로 후속적으로 복귀하는 펀칭 절차에 의해 획득된다. 작은 힘으로 캔을 개방하는 것은 금속의 분리가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의 결과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독립적인 실시예는 금속 캔 뚜껑의 텅 탭이 상호 체결 돌출부들 및 오목부들을 형성하는 동안에, 절단 공정, 특히 스탬핑 공정에 의해 그것을 둘러싸는 뚜껑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텅 탭 및 그것에 인접한 뚜껑 표면이 마이크로갭을 형성하는 동안에 돌출부들 및 오목부들을 통해 형상-정합 및 힘-전달 방식으로 연결된다는 사실을 포함한다.
개방 절차 후에, 성형 부 측(side)에서 금속 뚜껑 재료의 가장자리는 링 형상 성형 부의 상단 단부 벽 상에 보호 방식으로 놓여있고, 상보적인 방식으로 형성되는 텅 탭의 주변 가장자리는 텅 탭에 의해 지지되는 스토퍼 부에 의한 접촉에 대해 매우 크게 보호된다.
독립적인 측면들로서 고려되어야 하는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들은 오목부들 및 돌출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마이크로갭이 더브테일(dovetail), 트러피즈(trapeze) 또는 상호 체결 방식의 물결선(wavy line)의 방식으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상세히 설명되는 캔 뚜껑에 더하여,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을 구비하는 모든 캔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특징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실시예의 다음 설명에서 기인한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캔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폐쇄 영역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4는 스토퍼 부 및 링 형상의 성형 부 리시버(receiver)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의 부로 사출 성형된 성형 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부분 노출된 또는 개방된 상태의 도 1의 캔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부분 노출된 상태에서 아래로부터의 도 1의 캔 뚜껑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있어서, 구성의 폭, 길이, 두께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축소되게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인 평면도로 도시한다. 이러한 캔 뚜껑은 종래의 방식으로 비드 림(2)을 그것의 주변 영역에 구비하며, 여기서 비드 림(2) 내에 배치되는 영역은 중심에 대해 오프셋되는 텅 탭(4)으로서 형성되는 개구 영역을 갖는 뚜껑 표면(3)에 의해 형성된다. 알루미늄 재료를 포함하는 이러한 금속 캔 뚜껑은 재료 변형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영역(stiffening region)(14)으로 개구 영역(4)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구비한다.
이중 아암 레버(5, 6)는 고정 연결 포인트(7)가 생기도록 개구 영역을 정의하는 캔 뚜껑(1)의 텅 탭(4)에, 특히 이에 리벳 또는 용접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포인트(7)는 텅 탭(4) 또는 개구 영역의 가장자리 영역에, 즉 뚜껑 표면(3)에 연결되고 개방 절차 동안에 피벗 베어링 영역(9)을 형성하는 텅 베이스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중 아암 레버는 더 짧은 영역 및 더 긴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더 긴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개구 영역의 오목한 설계로 인하여 특히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는 링 탭(5)에 의해 형성되고 더 짧은 영역은 더 긴 레버의 상향 피버팅 시에 대응하는 반력들(counter-forces)을 용이하게 흡수하는 캔 뚜껑의 보강 영역 상에 지지되는 지지 림(support limb)(6)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개구 영역(4)은 더 긴 레버의 상향 피버팅 시에 지렛대식으로(pried) 개방되며, 이는 아래에 상세히 제시될 것이다.
이중 아암 레버(5, 6)는 평면도에서의 뚜껑의 전체적인 시각적 인상이 실질적으로 종래의 캔 뚜껑에 대응하고 따라서 그러한 캔을 구비하는 캔들의 대응하는 적층 특성들이 또한 보장되도록 시작 상태에서 뚜껑 표면(3)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여있다.
개구 영역(4)을 형성하는 텅 탭은 돌출부들(12) 및 오목부들(13)을 통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부분들의 적절한 언더컷들을 통해 뚜껑 표면(3)에 형상-정합 및 힘-전달 방식으로 결합되고, 실제로 개구 영역(4) 및 뚜껑 표면(3)이 금속 방식으로 연결되는 텅 베이스의 영역을 제외함으로써 텅 탭의 샹향 피버팅은 실질적으로 캔의 개방 중에 일종의 폴딩 조인트(9)를 통해 레버에 의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그 다음, 텅 탭 및 레버는 개구를 해제하는 동안 내부 캔 공간 외부의 나머지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위치에서 캔으로부터의 안락한 음용이 보장된다.
이러한 단부 위치에서, 그것은 텅 탭(4)의 상향 피버팅 후에 도달되며, 텅 탭에 대한 유지 효과는 바람직하게는 캔 표면의 재료 내의 적절한 비드 형성에 의해 달성되고, 그것이 그러나 폐쇄 방향으로 가벼운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다시 이동될 수 있는 완전히 개방된 피벗 위치에 텅 탭을 유지시킨다.
도 1의 캔 뚜껑을 통한 단면을 도시하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재밀폐 능력에 결정적인 요소들 및 구조 상세들이 인식되는 것을 허용한다.
금속 캔 뚜껑의 전체 하측은 바람직하게는 당연히 매우 얇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밀봉 층, 특히 열 밀봉 층에 의해 커버된다.
캔 뚜껑의 요구되는 누설 방지는 마이크로갭(8)의 영역에서 뚜껑 표면(3)과 텅 탭(4) 사이의 연속적인 금속 연결의 결핍에도 불구하고, 뚜껑 재료에 밀봉식으로 연결되고 마이크로갭(8)을 커버하는 성형 플라스틱 부(15)에 의해 보장된다.
개구 영역을 둘러싸는 실질적 링 형상의 성형 플라스틱 부(15)는 언급된 밀봉 층을 통해 캔 표면(3)의 하측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링 형상의 성형 플라스틱 부와 연관되고, 형상-정합 방식으로 그 안에 수용되고, 평탄 중공 스토퍼로서 형성되고 그 단부 표면이 차례로 밀봉 층을 통해 금속 텅 탭(4)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플라스틱 스토퍼 부(16)가 제공된다. 따라서, 링 형상의 성형 부(15)에 대해 밀봉 폐쇄 요소를 형성하는 스토퍼 부(16)는 텅 탭(4)의 상향 피버팅 시, 즉 캔이 오픈 시를 따라 취해지며, 그리고 그것의 원래의 시작 위치로의 텅 탭(4)의 후방 피버팅 시, 스토퍼 부(16)는 차례로 링 형상의 성형 부(15) 안으로 밀봉식으로 체결되고 따라서 캔을 폐쇄한다.
도 3의 캔 뚜껑의 기능적 영역의 확대 상세도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실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더 실질적인 상세들을 도시한다.
뚜껑 표면의 하측에 밀봉식으로 그리고 단단히 연결되는 성형 부(15)는 짧은 레버 아암(6)과 연관되고, 캔 표면과 함께 텅 탭의 지렛대 개방(prying open) 시 발생하는 힘들을 문제없이 흡수하는 플랜지 영역 또는 지지 영역(23)을 갖는다.
이러한 지지 영역(23)에 대략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성형 부(15)는 차례로 뚜껑 표면에 단단히 그리고 밀봉식으로 연결되는 단부 영역(21)으로 병합되는 노즈 영역(20)을 구비한다. 자유 공간(24)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성형 부(15)의 링 형상의 부분과 단부 영역(21) 사이에 제공되고 피벗 베어링을 통해 텅 탭의 방해받지 않는 상향 피버팅을 허용한다.
성형 부(15)의 링 형상의 내부 벽 및 스토퍼 부(16)의 외부 벽은 피벗 베어링에 대한 스토퍼 부의 방해받지 않는 내측 및 외측 피버팅이 가능하도록 그들의 형상들에 대해 설계되며, 스토퍼 부는 링 형상의 성형 부 안으로 형상-정합 및 밀봉 방식으로 체결되고 스토퍼 부와 성형 부 사이의 스냅-인 연결은 폐쇄 상태에서 유효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링 형상의 성형 부는(15)는 하부 단부의 영역에 스토퍼 부에서의 대응하는 돌출부(19)가 적응된 경사 표면을 통해 체결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주변 오목부(18)를 구비하며, 그것에 의해 두 부분들의 해제가능 래칭(latching)이 보장된다.
스토퍼 부(16)의 베이스 벽(17)은 바람직하게는 오목하게 만곡되며, 그것에 의해 확산 효과(spreading effect)가 내부 성형 부 벽을 향해 가압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두 부들 사이의 밀봉을 증가시키는 각각의 캔에 존재하는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스토퍼 부에서 발생하는 것이 달성된다.
마이크로갭(8)은 바람직하게는 텅 탭(4)과 뚜껑 표면(3) 사이에 제공된다는 점이 이미 강조되었다. 이러한 마이크로갭(8)은 상이한 방식들, 예를 들어 더브테일 조인트의 방식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언더컷 영역들을 갖는 웨이브 라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성형 부(15)와 스토퍼 부(16) 사이의 뚜껑 측(side)에서의 분리 라인에 대한 이러한 마이크로갭(8)의 위치는 마이크로갭(8)의 각각의 선택된 실시예와 독립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도 3은 이러한 마이크로갭(8)이 바람직하게는 언급된 분리 라인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는 점이 인식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마이크로갭(8)은 뚜껑 재료에서 성형 부(15)의 연결 표면의 영역에 위치되고 성형 부(15)와 스토퍼 부(16) 사이의 분리 갭으로부터 작은 간격으로 연장된다.
도 3에 따른 도면에서 볼 수 없고 플라스틱 요소들(15, 16)과 뚜껑 표면(3)의 하측 사이에 제공되는 플라스틱 밀봉 층은 특히 작은 힘의 행사로 발생하는 캔의 개방이 가능하게 되도록 캔 뚜껑의 개방 시에 그리고 텅 탭(4) 및 스토퍼 부(16)의 견인(pulling up) 시에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다.
마이크로갭과 함께 작동하고 캔 뚜껑의 개방 시에 임의의 금속 파편들의 형성을 배제하는 캔 뚜껑의 이러한 설계를 달성하기 위해, 개구 영역 또는 텅 탭은 캔 뚜껑의 생산 시에 절단 절차에 의해 또는 바람직하게는 펀칭 절차에 의해 주변 뚜껑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여기서 그것에 의해 생산되는 파편들 또는 미세입자들은 생산 공정의 일부로서 완벽하고 문제없이 제거될 수 있다. 뚜껑 표면(3)에 의해 그것의 베이스에 여전히 연결되는 텅 탭은 원래의 외관이 실제로 뚜껑 표면에 대해 발생하도록 그것의 펀칭 아웃(punching out) 직후에 뚜껑 표면 평면으로 다시 가압되지만, 이때 펀칭 절차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로갭(8)과 함께이다. 이러한 기계 가공 후에, 뚜껑 유닛은 통상의, 단일-부(single-part) 구조처럼 더 처리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톱니형 배열(toothed arrangement) 대신에, 상이한, 선택적으로 더 단순한 갭 라인 범위들(extents)이 펀칭 절차에서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으며, 그러나, 여기서 개구 영역 또는 텅 탭(4)은 모든 경우에서 피벗 베어링 영역(9)을 통해 뚜껑 표면(3)에 연결되어 남아있고 마이크로갭은 성형 플라스틱 부에 의해 커버된다.
도 4에 따른 사시도는 단일-부의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성형 플라스틱 부(15) 및 플라스틱 스토퍼 부(16)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링 형상의 성형 부(15) 및 스토퍼 부(16)는 이 점에서 탭(22)을 통해 연결되며, 그것에 의해 그것은 자동 생산의 일부로서 문제없이 스토퍼 부을 피벗 절차를 통해 성형 부 안으로 가압하고 그 안에서 그것을 래치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이제 실질적으로 단일-부인 이것과 하부 뚜껑 표면의 밀봉이 이미 설명된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탭(22)은 그것이 더이상 요구되지 않을 때 제거될 수 있다.
도 5에 따른 사시도는 이전에 이미 설명된 캔 뚜껑의 실시예를 부분 개방 상태로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링 형상의 더 긴 레버(5)는 파지되고 상향으로 피벗되어야 하며, 그것에 의해 이중 아암 레버의 더 짧은 부분(6)은 그것의 지지 영역에서 안정된 뚜껑 표면(3)을 향해 가압되고 그 결과로서 지렛대(prying) 개방 효과가 스토퍼 부(16)를 지지하는 텅 탭(5)에 대해 생성된다.
그 다음, 텅 탭(4) 및 이에 단단히 연결되는 스토퍼 부(16)는 피벗 베어링 영역(9)을 통해 약간의 힘만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상향으로 피벗되고 단부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마이크로갭과 연관되는 톱니형 요소들이 보호 영역들에서, 즉 실질적으로 비접촉(contact-free)인 영역들에서 뚜껑 측 및 스토퍼 측 둘 다 배치된다는 것을 도 5로부터 알 수 있다.
스토퍼 부분(16)는 캔 개구가 캔이 문제없이 다시 밀봉식으로 폐쇄되는 폐쇄 위치로 다시 완전히 해제되는 피벗된-개방 상태로부터 가압될 수 있다. 반복적인 개방 절차는 실제로 원래의 개방 절차와 유사한 방식으로 발생한다.
도 6에 따른 사시도는 도 5에 따른 부분적으로 개방된 캔 뚜껑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이 점에서, 노즈들(20, 21)을 갖는 링 형상 성형 플라스틱 부(15) 및 이러한 성형 부(15)로 밀봉식으로 체결되고 아치형 베이스 벽(17)을 갖는 스토퍼 부(16) 둘 다가 인식될 수 있다. 캔 뚜껑의 하측 또는 내측은 이미 여러 번 언급된 방식으로 밀봉 층(10)에 의해 커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단순함뿐만 아니라, 작은 공간 요건을 생성하는 평탄 구조도 이러한 예시에서 명백하게 된다. 스토퍼 직경 대 스토퍼 깊이의 비율은 예를 들어, 5 내지 6 대 1의 범위에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이전에 공지되고 광범위한 캔 뚜껑들의 실질적인 단점들이 본 발명에 의해 회피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실질적으로 실용 가치를 증가시키는 캔의 재밀페 능력이 달성되며, 그것은 모든 이들 장점들이 기술적 생산 노력에서의 임의의 실질적인 증가 없이 획득된다는 점에서 특별히 중요하다.
여기서, 캔 뚜껑에 대해 설명되는 폐쇄 개방 및 재밀폐 시스템은 또한 파열 폐쇄가 장착될 다른 용기 및 패키지들에 대해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캔 뚜껑
2: 비드 림
3: 뚜껑 표면
4: 텅 탭 및 개구 영역
5: 긴 레버 아암
6: 짧은 레버 아암
7: 고정 포인트
8: 마이크로갭
9: 피벗 베어링 영역
10: 밀봉 층
12: 돌출부
13: 오목부
14: 보강 영역
15: 링 형상 성형 플라스틱 부
16: 플라스틱 스토퍼 부
17: 베이스 벽
18: 컷-아웃
19: 돌출부
20: 성형 부 노즈
21: 성형 부 단부 영역
22: 탭
23: 지지체
24: 자유 공간

Claims (13)

  1. 특히 음료수 캔들을 위한 캔 뚜껑으로서,
    뚜껑 표면(3)의 금속 뚜껑 재료에 제공되고 특히 재료 약화에 의해 경계되는 텅 탭(tongue tab) 형태의 개구 영역(4)을 갖고;
    특히 리벳 연결(7) 또는 용접 연결을 통해, 상기 개구 영역(4)의 상기 뚜껑 재료에 단단히 연결되고, 개방 절차 동안에 상기 텅 탭(4)의 상향 피버팅(upward pivoting)을 위한 역할을 하는, 이러한 개구 영역(4)을 개방시키도록 의도되는 이중 아암 레버(two-armed lever) 부재(5, 6)를 가지며,
    실질적 링 형상의 성형(molded) 플라스틱 부(15)는 다시 밀봉식으로 폐쇄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개구 영역(4)을 둘러싸는 동안에 상기 뚜껑 표면(3)의 하측(lower-side)에 고정되고;
    플라스틱 스토퍼 부(16)는 상기 개방 절차 동안에 피벗 가능하게 개방(can be pivotably opened)되고 상기 성형 부(15)로 밀봉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 상기 텅 탭(4)의 상기 하부 측(lower side)에 단단히 연결되고;
    상기 텅 탭(4)의 주변 윤곽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 부(16)로부터 미리 정의된 간격으로 상기 성형 부(15)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16)는 오목한 베이스 벽을 갖는 중공 스토퍼로서 구성되고 스냅-인 연결(snap-in connection) (18, 19)을 통해 그것을 수용하는 상기 성형 부(15)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부(15) 및 상기 스토퍼 부(16)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체 하부 뚜껑 측(total lower lid side)에 걸쳐 연장되는 밀봉 층(10)을 통해 상기 뚜껑 재료에 밀봉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의 성형 부(15)는 상기 텅 탭 단부(7)의 영역과 연관되고 그 단부 영역(21)이 상기 밀봉 층(10)을 통해 상기 뚜껑 재료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노즈(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부(15) 및 상기 스토퍼 부(16)는 가요성의 분리 가능한 탭(22)을 통해 연결되는 사출 성형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6. 특히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lower side)의 상기 스토퍼 부(16)에 연결되는 상기 텅 탭(4)은 상기 텅 탭의 주변에 걸쳐 연장되는 마이크로갭(8), 특히 스탬핑된 갭(stamped gap)에 의해 상기 뚜껑 표면(3)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뚜껑 표면(3)에 연결되는 상기 텅 탭 베이스는 상기 개방 절차 동안에 유효하게 되는 피벗 베어링(9)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 뚜껑(1)의 상기 하측(lower side)은 밀봉 플라스틱 재료로 단단히 부착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7. 특히 제1 항 내지 제5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캔 뚜껑(1)의 상기 텅 탭(4)은 절단 절차에 의해, 특히 펀칭 절차에 의해 상호 체결 돌출부들(12) 및 오목부들(13)을 형성하는 동안 그것을 둘러싸는 상기 뚜껑 표면(3)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텅 탭(4) 및 이에 인접한 상기 뚜껑 표면(3)은 마이크로갭(8)을 형성하는 동안 형상-정합(shape-matched) 및 힘-전달(force-transmitting) 방식으로 상기 돌출부들(12) 및 오목부들(13)을 통해 연결되며,
    완전한(completed), 미개방(unopened) 캔 뚜껑의 상기 누설 방지는 상기 마이크로갭(8)을 커버하는 밀봉된 상기 성형 플라스틱 부에 의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12) 및 상기 오목부들(13)은 언더컷들(undercuts)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겅.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12) 및 상기 오목부들(13)은 더브테일(dovetail), 트러피즈(trapeze) 또는 물결선(wavy line)의 방식으로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래칭(latching) 요소들은 그것의 개방-피벗된(open-pivoted) 단부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 부(16)를 지지하는 상기 개방-피벗된 텅 탭(4)의 해제 가능한 유지를 위해 제공되는 캔 뚜껑.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안정화 비드들은 상기 스토퍼 부(16)를 지지하는 상기 텅 탭(4)을 뒤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뚜껑 표면(3)의 상기 피벗(pivot) 베어링 영역(9)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중 아암 레버 부재(5, 6)는 상기 스토퍼 부(16)를 지지하는 상기 텅 탭(4)에 중심에서 벗어나, 특히 상기 가장자리 측(marginal side)에서 연결되고 상기 이중 아암 레버 부재(5, 6) 중 더 긴 아암(the longer arm) (5)은 파지 탭(gripping tab)에 의해, 특히 링 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3. 비드된 림(gripping tab) (2)을 통해 캔 뚜껑에 연결되는 상기 1항 내지 12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캔 뚜껑을 갖는 캔.
KR1020187025023A 2016-03-03 2017-02-07 재밀폐가능한 캔 뚜껑 KR102077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3801.6 2016-03-03
DE102016103801.6A DE102016103801A1 (de) 2016-03-03 2016-03-03 Dosendeckel wiederverschliessbar
PCT/EP2017/052626 WO2017148659A1 (de) 2016-03-03 2017-02-07 Dosendeckel wiederverschliessb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951A true KR20180125951A (ko) 2018-11-26
KR102077497B1 KR102077497B1 (ko) 2020-02-14

Family

ID=5799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023A KR102077497B1 (ko) 2016-03-03 2017-02-07 재밀폐가능한 캔 뚜껑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11358750B2 (ko)
EP (1) EP3408184B1 (ko)
JP (1) JP6825012B2 (ko)
KR (1) KR102077497B1 (ko)
CN (1) CN109071067B (ko)
AU (1) AU2017227868B2 (ko)
BR (1) BR112018067527B1 (ko)
CA (1) CA3015422C (ko)
CY (1) CY1123261T1 (ko)
DE (1) DE102016103801A1 (ko)
DK (1) DK3408184T3 (ko)
EA (1) EA038230B1 (ko)
ES (1) ES2807959T3 (ko)
HK (1) HK1258864A1 (ko)
HR (1) HRP20200999T1 (ko)
HU (1) HUE049742T2 (ko)
LT (1) LT3408184T (ko)
MA (1) MA43663B1 (ko)
MX (1) MX2018010517A (ko)
PL (1) PL3408184T3 (ko)
PT (1) PT3408184T (ko)
RS (1) RS60521B1 (ko)
SA (1) SA518392313B1 (ko)
SI (1) SI3408184T1 (ko)
WO (1) WO2017148659A1 (ko)
ZA (1) ZA2018053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2953A1 (de) * 2016-07-14 2018-01-18 Gregor Anton Piech Metallische Dose und zugehöriger Dosendeckel
PL3385185T3 (pl) * 2017-04-05 2020-11-30 Gregor Anton Piech Metalowa pokrywa puszki
RS64047B1 (sr) * 2018-06-19 2023-04-28 Top Cap Holding Gmbh Postupak za proizvodnju metalnog poklopca za limenku
EP3584191A1 (de) 2018-06-19 2019-12-25 Top Cap Holding GmbH Metallischer dosendeckel
CN110254897A (zh) * 2019-06-12 2019-09-20 浙江理工大学 一种易拉罐开启装置及易拉罐
DE102020114863B3 (de) 2020-06-04 2021-07-29 Ardagh Metal Beverage Holdings Germany Gmbh Verschlussanordn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und Verfahren zum wiederholbaren Verschließen eines Getränkebehälters mit einer Verschlussanordnung
DE102020128491A1 (de) * 2020-10-29 2022-05-05 Top Cap Holding Gmbh Dosendecke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osendeckels
DE102021106980A1 (de) 2021-03-22 2022-09-22 Ardagh Metal Packaging Europe Gmbh Deckelelement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und Verschlussanordn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DE102021106977B4 (de) 2021-03-22 2024-03-07 Ardagh Metal Packaging Europe Gmbh Verschlussanordn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und Verfahren zum wiederholbaren Verschließen eines Getränkebehälters mit einer Verschlussanordnung
DE102022123526B3 (de) 2022-09-14 2023-07-20 Ardagh Metal Packaging Europ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schlusselements für einen Behälter und eine Verschlussanordnung
DE102022129183A1 (de) 2022-11-04 2024-05-08 Top Cap Holding Gmbh Dosendeck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6465A (en) * 1988-11-09 1991-01-22 Tetra Park Holdings & Finance S.A. Opening arrangement on a packing container
KR101183567B1 (ko) * 2007-02-12 2012-09-17 엑솔루션 게엠베하 유입성 또는 유동성 제품을 담기 위한 용기
KR20150119076A (ko) * 2013-02-12 2015-10-23 이.브이.디.에스. 비브이비에이 캔을 재폐쇄하기 위한 중간 요소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7053A (en) * 1965-03-05 1966-11-22 Continental Can Co Plastic connector with insert
US3807595A (en) * 1971-11-23 1974-04-30 Nat Can Corp Reclosable easy opening container
JPS4876685A (ko) 1971-11-23 1973-10-15
DE8911286U1 (ko) 1989-09-22 1989-11-02 Grau, Rainer, 8640 Kronach, De
DE9005150U1 (ko) 1990-05-07 1990-07-19 Wildhirt, Lothar, 6054 Rodgau, De
US5443175A (en) * 1994-04-19 1995-08-22 Crown Cork & Seal Company, Inc. Resealable closure device
DE19613246A1 (de) * 1996-04-02 1997-10-09 Schmalbach Lubeca Wiederverschließbarer Deckel für Getränkedosen
JP4273773B2 (ja) * 2003-01-24 2009-06-03 東洋製罐株式会社 リシール性を備えた易開封性容器蓋の製法
KR100951133B1 (ko) 2003-01-24 2010-04-07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재밀봉성을 구비하고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및 그 제법
US20040159665A1 (en) * 2003-02-13 2004-08-19 Gloria Morrissey Easy opening venting and resealable container closure
EP2354022B1 (de) * 2010-02-02 2012-12-26 Klaus Thielen Dosendeck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sendeckels
WO2011095319A1 (de) 2010-02-02 2011-08-11 Klaus Thielen Dosendeck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sendeckels
WO2012112051A2 (en) * 2011-02-17 2012-08-23 Save-Ty Can Cap B.V. Closing element and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closing el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6465A (en) * 1988-11-09 1991-01-22 Tetra Park Holdings & Finance S.A. Opening arrangement on a packing container
KR101183567B1 (ko) * 2007-02-12 2012-09-17 엑솔루션 게엠베하 유입성 또는 유동성 제품을 담기 위한 용기
KR20150119076A (ko) * 2013-02-12 2015-10-23 이.브이.디.에스. 비브이비에이 캔을 재폐쇄하기 위한 중간 요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805378B (en) 2019-06-26
JP2019507074A (ja) 2019-03-14
US11358750B2 (en) 2022-06-14
CA3015422A1 (en) 2017-09-08
SI3408184T1 (sl) 2020-09-30
MA43663B1 (fr) 2020-05-29
HRP20200999T1 (hr) 2020-10-16
US20190055053A1 (en) 2019-02-21
EP3408184B1 (de) 2020-05-06
CA3015422C (en) 2022-03-15
CY1123261T1 (el) 2021-12-31
PL3408184T3 (pl) 2020-11-16
AU2017227868B2 (en) 2021-09-16
DK3408184T3 (da) 2020-06-02
EP3408184A1 (de) 2018-12-05
BR112018067527A2 (pt) 2019-01-02
KR102077497B1 (ko) 2020-02-14
DE102016103801A1 (de) 2017-09-07
SA518392313B1 (ar) 2021-09-01
PT3408184T (pt) 2020-07-27
ES2807959T3 (es) 2021-02-24
AU2017227868A1 (en) 2018-09-13
MX2018010517A (es) 2018-11-09
LT3408184T (lt) 2020-06-25
HK1258864A1 (zh) 2019-11-22
EA038230B1 (ru) 2021-07-28
BR112018067527B1 (pt) 2022-11-22
WO2017148659A1 (de) 2017-09-08
JP6825012B2 (ja) 2021-02-03
CN109071067B (zh) 2020-08-21
CN109071067A (zh) 2018-12-21
HUE049742T2 (hu) 2020-10-28
RS60521B1 (sr) 2020-08-31
EA201891750A1 (ru)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27868B2 (en) Resealable can lid
AU2019272001B2 (en) Can Lid
US20130020326A1 (en) Can lid and method for producing a can lid
JP5986087B2 (ja) 食物製品のための再閉缶
TWI710506B (zh) 金屬罐及相關罐蓋
KR102167947B1 (ko) 캔 뚜껑
US20080073365A1 (en) Reclosable Foil Lid
CN112512933B (zh) 金属罐端件
AU2019289694A1 (en) Metallic can lid
OA18840A (en) Resealable can lid.
US4195748A (en) Closure membrane
OA19020A (en) Metal can and associated can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