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081A -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081A
KR20180124081A KR1020187029676A KR20187029676A KR20180124081A KR 20180124081 A KR20180124081 A KR 20180124081A KR 1020187029676 A KR1020187029676 A KR 1020187029676A KR 20187029676 A KR20187029676 A KR 20187029676A KR 20180124081 A KR20180124081 A KR 20180124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ypass
elevator
switch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0827B1 (ko
Inventor
신고 곤도
다케히코 구보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4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염가의 구성으로, 승강장 도어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바이패스에 관한 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를 얻는다. 엘리베이터의 점검시에 승강장 도어 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로서, 통상 운전과 바이패스 운전의 사이에서 도어 모드를 전환하는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와, 승강장 도어의 바이패스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바이패스를 전환하는 바이패스 대상 전환 스위치와,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도어 모드가 바이패스 운전으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바이패스 대상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승강장 도어의 바이패스가 선택되었을 때에, 승강장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것과 함께, 바이패스 대상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바이패스가 선택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용 릴레이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점검시에 승강장 도어 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바이패스, 즉 단락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전부 열려도(full opened), 엘리베이터 칸 문닫힘 스위치 또는 승강장 문닫힘 스위치가 닫혀 있으면, 이들 문닫힘 스위치 중 어느 것이 단락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여 이것을 기억하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전부 열렸을 때, 엘리베이터 칸 문닫힘 스위치 및 승강장 문닫힘 스위치가 개방되어 있으면, 이들 문닫힘 스위치는 단락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하여, 문닫힘 스위치 단락 기억을 해제하고, 문닫힘 스위치 단락 기억의 내용이, 문닫힘 스위치 단락 기억 클리어 출력에 의해 해제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을 저지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 검출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4515742호 명세서
근래, 승강장 도어, 엘리베이터 칸 도어 및 각 도어록의 접점의 보수를 목적으로 하여, 승강장 도어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도어 바이패스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규정되어, 도어 바이패스 장치의 기능에 관하여, 이하의 조건이 규정되었다.
a) 통상 운전 제어를 무효로 할 것.
b) 승강장 도어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접점의 바이패스가 가능할 것.
c)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접점 및 승강장 도어의 접점은, 동시에 바이패스 할 수 없을 것.
d)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접점이 바이패스 된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을 운전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전부 닫힘을 체크하는 독립된 감시 신호를 마련할 것.
e) (수동 승강장 도어의 경우의 조건이기 때문에, 대상외.)
f)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은, 점검 운전시나 비상 전동 운전시에만 가능하게 할 것.
g) 운전중에는, 엘리베이터 칸에 있어서의 가청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아래에서의 플래시라이트가 작동할 것.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의 고장 검출 장치는, 문닫힘 스위치 단락 기억의 내용이, 문닫힘 스위치 단락 기억 클리어 출력에 의해 해제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칸의 기동을 저지할 수 있기는 하지만, 상기의 규정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염가의 구성으로, 승강장 도어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바이패스에 관한 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점검시에 승강장 도어 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로서, 통상 운전과 바이패스 운전의 사이에서 도어 모드를 전환하는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와, 승강장 도어의 바이패스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바이패스를 전환하는 바이패스 대상 전환 스위치와,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도어 모드가 바이패스 운전으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바이패스 대상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승강장 도어의 바이패스가 선택되었을 때에, 승강장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것과 함께, 바이패스 대상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바이패스가 선택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용 릴레이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에 의하면,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도어 모드가 바이패스 운전으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바이패스 대상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승강장 도어의 바이패스가 선택되었을 때에, 바이패스용 릴레이는 승강장 도어를 바이패스 한다. 또한, 바이패스용 릴레이는,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도어 모드가 바이패스 운전으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바이패스 대상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바이패스가 선택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바이패스 한다.
그 때문에, 염가의 구성으로, 승강장 도어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바이패스에 관한 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를 나타내는 릴레이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이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는, 도어 바이패스 조작부(10)와, 도어 바이패스 제어부(20)와, 승강장 도어 상태 판정부(30)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 바이패스 조작부(10)는 점검 스위치 감시부(11), 도어 모드 전환부(12), 도어 바이패스 대상 전환부(13) 및 도어 바이패스 동작부(14)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어 바이패스 제어부(20)는 엘리베이터 칸 문닫힘 감시부(21), 도어 바이패스 설정 감시부(22), 엘리베이터 칸 도어 바이패스부(23) 및 승강장 도어 상태 출력부(24)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승강장 도어 상태 판정부(30)는 승강장 문닫힘 감시부(31), 승강장 도어 바이패스부(32) 및 승강장 도어 상태 검출부(33)를 가지고 있다.
이하,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서, 도어 바이패스 조작부(10), 도어 바이패스 제어부(20) 및 승강장 도어 상태 판정부(30)의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를 나타내는 릴레이 회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도어 바이패스 조작부(10), 도어 바이패스 제어부(20) 및 승강장 도어 상태 판정부(30)는, 각각 좌측 열의 회로, 가운데 열의 회로 및 우측 열의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어 바이패스 제어부(20)는 일단이 안전 회로의 전원측에 접속되고, 타단이 안전 회로의 주회로용 접촉기 및 브레이크용 접촉기의 급전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어 바이패스 조작부(10) 및 승강장 도어 상태 판정부(30)는 일단이 제어 전원에 접속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있다.
점검 스위치 감시부(11)는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인 NORMAL-INSPECTION 스위치로 구성되고, 통상 운전과 점검 운전의 사이에서 운전 모드를 전환한다. 또한, 이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는, 운전 모드가 점검 운전인 경우에만 급전 된다.
도어 모드 전환부(12)는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인 NORMAL-BYPASS 스위치로 구성되고, 통상 운전과 바이패스 운전의 사이에서 도어 모드를 전환한다. 도어 바이패스 대상 전환부(13)는 바이패스 대상 전환 스위치인 HALL-CAR 스위치로 구성되고, 바이패스의 대상이 되는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칸의 회로, 즉 승강장 도어의 바이패스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바이패스를 전환한다.
도어 바이패스 동작부(14)는 바이패스용 릴레이인 HDB 릴레이 및 CDB 릴레이의 코일로 구성되고,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도어 모드가 바이패스 운전으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바이패스 대상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승강장 도어의 바이패스가 선택되었을 때에, 승강장 도어를 바이패스 하도록 HDB 릴레이의 코일이 여자된다.
또한, 도어 바이패스 동작부(14)는,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도어 모드가 바이패스 운전으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바이패스 대상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바이패스가 선택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바이패스 하도록 CDB 릴레이의 코일이 여자된다.
엘리베이터 칸 문닫힘 감시부(21)는 엘리베이터 칸 문닫힘 검출 스위치인 GS 스위치로 구성되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닫혀 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도어 바이패스 설정 감시부(22)는 도어 모드 전환부(12)의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와 연동해서 전환되는 NORMAL-BYPASS 스위치, 및 도어 바이패스 대상 전환부(13)의 바이패스 대상 전환 스위치와 연동해서 전환되는 HALL-CAR 스위치로 구성되고, 도어 모드 및 바이패스 대상의 도어를 감시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바이패스부(23)는 바이패스용 릴레이인 HDB 릴레이 및 CDB 릴레이의 접점으로 구성되고, 도어 모드가 바이패스 운전으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바이패스가 선택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회로를 구성한다.
승강장 도어 상태 출력부(24)는 승강장 문닫힘 검출 릴레이의 접점으로 구성되고, 승강장 도어 상태 판정부(30)의 승강장 도어 상태 검출부(33)를 구성하는 승강장 문닫힘 검출 릴레이의 코일이 여자되었을 경우에, 접점이 닫혀서 도통 상태가 된다.
승강장 문닫힘 감시부(31)는 승강장 문닫힘 검출 스위치인 DS 스위치로 구성되고, 승강장 도어가 모두 닫혀 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또한, 도 2에서는, 하나의 스위치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각 층상에 대해서 스위치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 바이패스부(32)는 바이패스용 릴레이인 HDB 릴레이 및 CDB 릴레이의 접점으로 구성되고, 도어 모드가 바이패스 운전으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승강장 도어의 바이패스가 선택되었을 때에, 승강장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회로를 구성한다.
승강장 도어 상태 검출부(33)는 승강장 문닫힘 검출 릴레이의 코일로 구성되고, 승강장 도어가 모두 닫혀 있거나, 또는 승강장 도어 바이패스부(32)에 의해서 승강장 도어가 바이패스 되어 있는 경우에, 코일이 여자된다.
즉, 이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는, 안전 회로 및 승강장 도어 문닫힘 검출 회로에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된 스위치와 릴레이의 접점을 이용하여 통상 운전과 점검 운전의 사이에서 도어 모드를 전환하는 것과 함께, 바이패스 대상의 도어를 전환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 바이패스부(23) 및 승강장 도어 바이패스부(32)에서는, 바이패스 대상의 릴레이의 A접점과, 바이패스 비대상의 릴레이의 B접점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장 도어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동시에 바이패스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비대상의 릴레이의 온 고장시에는, 바이패스 대상측의 회로가 성립되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기동할 수 없어, 고장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도어 모드가 통상 운전으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의 회로에 있어서, 안전 회로 및 승강장 도어 문닫힘 검출 회로에 각 릴레이의 B접점을 삽입함으로써, 릴레이의 온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안전 회로가 성립되지 않기 때문에, 통상 운전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장 도어측의 회로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측의 회로의 건전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승강장 도어측의 회로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측의 회로를 직렬로 접속하지 않는 것에 의해, 독립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조건 d)에 대응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전부 닫힘을 감시하는 센서를 마련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조건 g)에 대응하기 위해서, 승강장 도어 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바이패스 되고 있는 것을 인식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이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문닫힘 감시부(21)가,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모두 닫혀 있는 것을 검출하고, 승강장 문닫힘 감시부(31)가, 승강장 도어가 모두 닫혀 있는 것을 검출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어 모드를 통상 운전으로부터 바이패스 운전으로 전환하는 경우, NORMAL-BYPASS 스위치가 BYPASS 측으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승강장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경우, HALL-CAR 스위치가 HALL 측으로 전환된다. 이때, HDB 릴레이의 코일이 여자되어, 승강장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회로가 구성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경우, HALL-CAR 스위치가 CAR 측으로 전환된다. 이때, CDB 릴레이의 코일이 여자되어,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회로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스위치 및 2개의 릴레이의 접점에 의해서 안전 회로가 전환되어, 승강장 도어 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중 어느 것의 안전 회로를 바이패스 하여, 점검 운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도어 모드가 바이패스 운전으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승강장 도어의 바이패스가 선택되었을 때에, 바이패스용 릴레이는 승강장 도어를 바이패스 한다. 또한, 바이패스용 릴레이는,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도어 모드가 바이패스 운전으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바이패스가 선택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바이패스 한다
그 때문에, 염가의 구성으로, 승강장 도어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바이패스에 관한 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의 점검시에 승강장 도어 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로서,
    통상 운전과 바이패스 운전의 사이에서 도어 모드를 전환하는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와,
    상기 승강장 도어의 바이패스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바이패스를 전환하는 바이패스 대상 전환 스위치와,
    상기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도어 모드가 바이패스 운전으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대상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상기 승강장 도어의 바이패스가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승강장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것과 함께, 상기 바이패스 대상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바이패스가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용 릴레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용 릴레이에 있어서, 바이패스 대상의 릴레이의 A접점과, 바이패스 비대상의 릴레이의 B접점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서 도어 모드가 통상 운전으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의 회로에 있어서, 바이패스 대상의 릴레이의 B접점과, 바이패스 비대상의 릴레이의 B접점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용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측의 회로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측의 회로는, 직렬로 접속되지 않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
KR1020187029676A 2016-04-26 2016-04-26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 KR102100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3031 WO2017187507A1 (ja) 2016-04-26 2016-04-26 エレベータのドアバイパス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081A true KR20180124081A (ko) 2018-11-20
KR102100827B1 KR102100827B1 (ko) 2020-04-14

Family

ID=6016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676A KR102100827B1 (ko) 2016-04-26 2016-04-26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70638B2 (ko)
JP (1) JP6611106B2 (ko)
KR (1) KR102100827B1 (ko)
CN (1) CN109071177B (ko)
DE (1) DE112016006794B4 (ko)
WO (1) WO2017187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0838B (zh) * 2020-03-31 2023-10-10 苏州汇川技术有限公司 门锁旁路控制方法、系统、电子安全控制器及主控制器
CN113682925B (zh) * 2021-08-27 2023-03-07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实现ucmp功能的装置及改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33A (ja) * 1996-07-03 1998-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非常時運転装置及び運転方法
JP2008156092A (ja) * 2006-12-26 2008-07-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2方向ドア型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非常用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4515742B2 (ja) 2003-10-17 2010-08-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故障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417Y2 (ko) * 1986-02-27 1993-07-13
JPH05116860A (ja) * 1991-10-25 1993-05-14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故障時脱出装置
US6223861B1 (en) * 1999-08-30 2001-05-0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hoistway access safety
FI118220B (fi) * 2004-06-07 2007-08-31 Kone Corp Hissin oviaukon turvajärjestely
US11390487B2 (en) * 2018-08-21 2022-07-19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ed elevator safety chain diagnosi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33A (ja) * 1996-07-03 1998-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非常時運転装置及び運転方法
JP4515742B2 (ja) 2003-10-17 2010-08-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故障検出装置
JP2008156092A (ja) * 2006-12-26 2008-07-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2方向ドア型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非常用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70638B2 (en) 2022-06-28
JPWO2017187507A1 (ja) 2018-08-16
CN109071177B (zh) 2020-10-16
JP6611106B2 (ja) 2019-11-27
CN109071177A (zh) 2018-12-21
WO2017187507A1 (ja) 2017-11-02
KR102100827B1 (ko) 2020-04-14
DE112016006794B4 (de) 2022-04-21
US20190062110A1 (en) 2019-02-28
DE112016006794T5 (de)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4714B2 (ja) エレベータ駆動装置への電力供給制御
FI122473B (fi) Liitäntäyksikkö, kuljetusjärjestelmä sekä menetelmä
JP5319400B2 (ja) リレー異常検出装置
US7933104B2 (en) Safety switching apparatus for a failsafe disconnection of an electrical load
JP6529665B2 (ja) エレベータの点検運転装置
EP2643256B1 (en) Elevator protection against short circuit of safety devices
CN105523456B (zh) 电梯的安全系统
US20150016007A1 (en) Safety Relay Circuit
CN111152807A (zh) 通知装置和门开闭装置
KR102100827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바이패스 장치
KR101785160B1 (ko) 계전 유닛 및 계전 회로의 제어 방법
KR101630140B1 (ko) 전력 공급 제어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JP200722373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8369060B2 (en) Relay connection
JPWO2013061355A1 (ja) 運転切替システム付きエレベータ
US11935718B2 (en) Method for detecting faults in a switch assembly,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5951524B2 (ja) 電源装置
US11618648B2 (en) Safety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safety-related states in a passenger convey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4395829B2 (ja) 自動機械の動作許可装置
SU736869A3 (ru) Устройство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 лифта
JP6569812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10399824B2 (en) Passenger conveyor system and starting/stopping control method thereof
EP3258277A1 (en) Brake controller circuit of a passenger conveyor
KR101201357B1 (ko) 열차의 이중 도어제어장치
RU133520U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лиф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