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066A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성형체 및 캐리어 테이프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성형체 및 캐리어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066A
KR20180124066A KR1020187029211A KR20187029211A KR20180124066A KR 20180124066 A KR20180124066 A KR 20180124066A KR 1020187029211 A KR1020187029211 A KR 1020187029211A KR 20187029211 A KR20187029211 A KR 20187029211A KR 20180124066 A KR20180124066 A KR 20180124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parts
polycarbonate resin
component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8993B1 (ko
Inventor
히로유키 다니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카 폴리카르보네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카 폴리카르보네이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카 폴리카르보네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9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탄소 재료와,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심부와, 당해 심부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피복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고, 상기 탄소 재료의 함유량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10∼45질량부이며,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0.5∼35질량부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성형체 및 캐리어 테이프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성형체 및 캐리어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집적 회로칩(IC칩) 등의 전자 부품에 티끌 또는 먼지가 부착되면, 오작동 등의 트러블이 야기된다. 그 때문에, 전자 부품의 취급에 있어서, 전자 부품을 반송 또는 보관하는 용기로서, 포켓부라고 불리는 오목부를, 일정 간격을 두고 임의의 폭의 장척의 시트에 배치한 합성 수지제의 캐리어 테이프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전자 부품은 포켓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커버 테이프라고 불리는 필름으로 덮개가 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체가 얻어진다. 캐리어 테이프체는 릴에 감겨진 상태로 반송, 보관 등 된다. 전자 부품은 캐리어 테이프체로부터 커버 테이프가 벗겨진 후, 포켓부로부터 취출되어 사용된다. 전자 부품은 실장기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취출되는 경우가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실장기의 진동에 의해 전자 부품이 포켓부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는 캐리어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우수한 내열성, 내충격성 및 치수 안정성을 가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고, 각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캐리어 테이프의 용도에 적합한 재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성형체는 티끌이 부착되기 쉬워, 이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해, 종래부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대전 방지성 또는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도전성 필러(카본 블랙, 탄소 파이버, 카본 나노튜브 등)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2 참조).
수지 조성물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도전성 필러(카본 블랙 등)를 다량으로 이용하면, 용융 혼련 시 또는 성형 시에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카본의 응집에 의해 성형체의 표면 외관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해결을 위해서, 열가소성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배합하는 수법이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0-10349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10-9222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소62-297353호 공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대전 방지성 및 정전기 방지성이 요구되는 용기로서, 전자 부품(IC칩 등)의 반송 또는 보관용의 용기(예를 들면, 전자 부품(IC칩 등)의 캐리어 테이프) 등의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전자 부품(IC칩 등)의 캐리어 테이프의 용도에 있어서는, 근년, 생산성의 향상의 관점, 및 환경 부하의 저감(폐기물의 배출량의 저감 등)의 관점에서, 성형 가공할 때에 발생하는 일정량의 단재(端材)를 일단 회수한 후에 분쇄하고, 계속해서 분쇄물을 압출기에 되돌려 용융 혼련한 후에 재차 성형 가공하는 등의 리사이클이 행해지고 있다. 그 때, 반복하여 용융 혼련하는 것에 의한 수지의 열열화, 도전성 필러의 응집 등의 요인에 의해 성형체의 도전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 성형되는 경우여도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심(芯)부와, 당해 심부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피복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반복 성형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도전성의 저하의 억제에 유효하다는 것을 발견한 데다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탄소 재료와,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수지 조성물이 반복 성형되는 경우여도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탄소 재료와,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심부와, 당해 심부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피복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고, 상기 탄소 재료의 함유량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10∼45질량부이며,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0.5∼35질량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반복 성형되는 경우여도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리사이클 등의 목적으로, 반복하여 용융 압출에 의해 성형되더라도 도전성의 저하를 극히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성형체의 우수한 외관을 달성하면서, 반복 성형되는 경우여도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심부가,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복부가,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태양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리사이클 시의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더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에 의하면, 수지 조성물을 반복 성형하여 성형체를 얻는 경우여도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에 의하면, 성형체의 우수한 외관을 달성하면서, 수지 조성물을 반복 성형하여 성형체를 얻는 경우여도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반복 성형되는 경우여도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캐리어 테이프에 적용하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에 의하면, 수지 조성물을 반복 성형하여 성형체를 얻는 경우여도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에 의하면, 성형체의 우수한 외관을 달성하면서, 수지 조성물을 반복 성형하여 성형체를 얻는 경우여도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복 성형되는 경우여도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체의 우수한 외관을 달성하면서, 반복 성형되는 경우여도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실용상의 이용가치는 극히 높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체의, 전자 부품의 반송 또는 보관으로의 응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전자 부품의 반송 또는 보관으로의 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 이상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이미 잘 알려진 사항의 상세 설명,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이하의 설명이 불필요하게 장황해지는 것을 피하고, 당업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자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이하의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들에 의해 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부품(예를 들면, 메모리 마이크로칩, IC칩, 저항기, 커넥터, 프로세서, 콘덴서, 게이트 어레이,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릴레이 및 LED) 등의 대상물(구성 요소. 반송 대상물, 보관 대상물 등)을 반송 또는 보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캐리어 테이프를 들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는, 예를 들면, 대상물(전자 부품 등)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포켓부라고 불리는 오목부)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척상의 임의의 폭의 시트에 배치한 포장 재료(대상물(전자 부품 등)의 포장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오목부에 대상물(전자 부품 등)을 수용 후, 캐리어 테이프의 상부에 대해, 커버 테이프라고 불리는 점착성 또는 열융착성의 필름을, 포켓부가 연속해서 설치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점착 또는 접착시켜, 포켓부의 개구면을 덮는 것에 의해 덮개를 형성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그것에 대응하는 메타크릴 중 적어도 한쪽을 의미한다. 「(메트)아크릴로일」 등의 다른 유사한 표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특별히 예고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당해 복수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예시하는 재료는 1종류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탄소 재료와,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심부와, 당해 심부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피복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탄소 재료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10∼45질량부이다.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0.5∼35질량부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도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반복 성형되는 경우여도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요인에 대하여, 본 발명자는 하기와 같다고 추측하고 있다. 즉, 심부 및 피복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탄소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표면에 탄소 재료가 존재하기 쉬워져, 탄소 재료끼리가 접촉하기 쉬워진다고 추측된다. 그리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심부 및 피복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탄소 재료를 소정량 이용하는 것에 의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표면에 있어서 탄소 재료가 서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도전 패스가 형성되기 쉽다고 추측된다. 또한, 피복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갖는 것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그래프트 공중합체끼리가 응집하는 것이 억제되어 우수한 분산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도전 패스가 유지되기 쉽다고 추측된다. 이들에 의해, 수지 조성물이 반복 성형되는 경우여도 도전성의 저하가 억제된다고 추측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 성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 성분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여러 가지의 다이하이드록시다이아릴 화합물과 포스젠을 반응시키는 포스젠법, 및 다이하이드록시다이아릴 화합물과 탄산 에스터(다이페닐 카보네이트 등)를 반응시키는 에스터 교환법 등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를 들 수 있다. (A) 성분을 조제함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분자량 조절제, 촉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이하이드록시다이아릴 화합물로서는,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별명: 비스페놀 A),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뷰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옥테인, 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페닐메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3-메틸페닐)프로페인, 1,1-비스(4-하이드록시-3-제3뷰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5-다이브로모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5-다이클로로페닐)프로페인 등의 비스(하이드록시아릴)알케인류;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펜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세인 등의 비스(하이드록시아릴)사이클로알케인류;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에터,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메틸다이페닐에터 등의 다이하이드록시다이아릴에터류;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설파이드 등의 다이하이드록시다이아릴설파이드류;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설폭사이드,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메틸다이페닐설폭사이드 등의 다이하이드록시다이아릴설폭사이드류;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설폰,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메틸다이페닐설폰 등의 다이하이드록시다이아릴설폰류 등을 들 수 있다. 다이하이드록시다이아릴 화합물은 1종류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다이하이드록시다이아릴 화합물과, 피페라진, 다이피페리딜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신,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 등을 병용해도 된다.
다이하이드록시다이아릴 화합물과 3가 이상의 페놀 화합물을 병용해도 된다. 3가 이상의 페놀 화합물로서는, 플로로글루신, 4,6-다이메틸-2,4,6-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헵텐, 2,4,6-트라이메틸-2,4,6-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헵테인, 1,3,5-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2,2-비스[4,4-(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사이클로헥실]프로페인 등을 들 수 있다.
(A) 성분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우수한 성형성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100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50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7000 이상이 더 바람직하며, 2000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A) 성분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성형체(시트 등)의 표면의 우수한 외관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100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35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8000 이하가 더 바람직하며, 250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관점에서, (A) 성분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0000∼100000이 바람직하고, 15000∼35000이 보다 바람직하고, 17000∼28000이 더 바람직하며, 20000∼25000이 특히 바람직하다.
(A) 성분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다음의 순서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우선, 염화 메틸렌을 용매로서 이용하여 0.5질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용액을 얻는다. 다음으로, 캐논 펜스케형 점도관을 이용하여 온도 20℃에서 비점도(ηsp)를 측정한다. 그리고, 농도 환산에 의해 극한 점도〔η〕를 구하고, 하기 SCHNELL의 식으로부터 점도 평균 분자량 M을 산출할 수 있다.
〔η〕=1.23×10-4M0.83
(A) 성분의 함유량은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해서 하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A) 성분의 함유량은, 우수한 성형성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9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93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며, 97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A) 성분의 함유량은, 성형체(시트 등)의 표면의 우수한 외관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99.94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9.9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99.5질량% 이하가 더 바람직하며, 99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관점에서, (A) 성분의 함유량은 90∼99.94질량%가 바람직하고, 93∼99.9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95∼99.5질량%가 더 바람직하며, 97∼99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B) 성분: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B) 성분인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JIS K7233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B) 성분의 고유 점도는 하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고유 점도는, 우수한 도전성(낮은 저항값. 이하 마찬가지)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0.6 이상이 바람직하고, 0.7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9 이상이 더 바람직하며, 1.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고유 점도는, 다른 수지 성분((A) 성분 등)에 대한 (B) 성분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관점에서,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1.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2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이들 관점에서, 상기 고유 점도는 0.6∼1.5가 바람직하고, 0.7∼1.4가 보다 바람직하고, 0.9∼1.2가 더 바람직하며, 1.0∼1.2가 특히 바람직하다.
(B) 성분의 함유량은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해서 하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B) 성분의 함유량은, 우수한 도전성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0.06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며, 2.0질량% 이상이 극히 바람직하다. (B) 성분의 함유량은, 성형체의 우수한 외관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1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0질량%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이들 관점에서, (B) 성분의 함유량은 0.06∼10질량%가 바람직하고, 0.5∼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0∼3.0질량%가 더 바람직하고, 1.5∼3.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며, 2.0∼3.0질량%가 극히 바람직하다.
((C) 성분: 탄소 재료)
(C) 성분인 탄소 재료로서는, 카본 블랙, 그래파이트, 카본 섬유, 카본 나노튜브, 카본 나노코일, 카본 나노스피어 등을 들 수 있다.
카본 블랙의 분류로서는, 퍼네스형, 아세틸렌형, 케첸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우수한 리사이클성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퍼네스형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카본 블랙의 비표면적은, 우수한 도전성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30m2/g 이상이 바람직하고, 40m2/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50m2/g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카본 블랙의 비표면적은, 카본 블랙의 우수한 분상성이 용이하게 얻어지고, 성형체(시트 등)의 표면의 우수한 외관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90m2/g 이하가 바람직하고, 75m2/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60m2/g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이들 관점에서, 카본 블랙의 비표면적은 30∼90m2/g이 바람직하고, 40∼75m2/g이 보다 바람직하며, 50∼60m2/g이 더 바람직하다. 카본 블랙의 비표면적은 50∼90m2/g이어도 된다.
비표면적은 JIS K6217 고무용 카본 블랙의 기본 성능의 시험법에 준거해서 측정할 수 있다. 비표면적은 카본 블랙의 단위 질량(g)당 표면적(m2)으로 표시된다. 비표면적은 탈기한 카본 블랙을 액체 질소에 침지하고, 평형 시에 있어서의 카본 블랙의 표면에 흡착한 질소량을 측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카본 블랙의 DBP 흡유량은, 우수한 도전성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100ml/100g 이상이 바람직하고, 130ml/100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ml/100g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150ml/100g을 초과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60ml/100g 이상이 극히 바람직하며, 170ml/100g 이상이 매우 바람직하다. 카본 블랙의 DBP 흡유량은, 카본 블랙의 우수한 분산성이 용이하게 얻어지고, 성형체(시트 등)의 표면의 우수한 외관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300ml/100g 이하가 바람직하고, 220ml/100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00ml/100g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이들 관점에서, 카본 블랙의 DBP 흡유량은 100∼300ml/100g이 바람직하고, 130∼300ml/100g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300ml/100g이 더 바람직하고, 150ml/100g 초과 300ml/100g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고, 160∼220ml/100g이 극히 바람직하며, 170∼200ml/100g이 매우 바람직하다.
DBP(n-다이뷰틸프탈레이트, Di-butylphthalate) 흡유량은 JIS K6217 고무용 카본 블랙의 기본 성능의 시험법에 준거해서 측정할 수 있다. DBP 흡유량은 카본 블랙 입자끼리의 접합력과 상관성이 있어, DBP 흡유량이 크면 구조가 긴 것을 의미한다.
우수한 도전성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 및 카본 블랙의 우수한 분산성이 용이하게 얻어지고, 성형체(시트 등)의 표면의 우수한 외관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카본 블랙에 있어서의 상기 비표면적 및 상기 DBP 흡유량의 양방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비표면적이 30∼90m2/g이고, 또한 DBP 흡유량이 100∼300ml/100g인 태양이 바람직하다.
(C) 성분의 함유량은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10∼45질량부이다. (C) 성분의 함유량이 10질량부 미만이면, 성형체에 있어서 충분한 도전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C) 성분의 함유량이 45질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증가하여 성형 안정성이 저하된다. (C) 성분의 함유량은, 우수한 도전성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13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15질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7질량부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20질량부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며, 21질량부 이상이 극히 바람직하다. (C) 성분의 함유량은, 성형 안정성이 용이하게 향상되는 관점에서,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4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30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7질량부 이하가 더 바람직하며, 25질량부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관점에서, (C) 성분의 함유량은,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10∼4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13∼3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5∼27질량부가 더 바람직하고, 15∼25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고, 17∼25질량부가 극히 바람직하고, 20∼25질량부가 매우 바람직하며, 21∼25질량부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D) 성분: 그래프트 공중합체)
(D) 성분인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심부(심재)와, 당해 심부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피복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다. (D) 성분은, 예를 들면, 코어층(심부)과, 당해 코어층을 덮는 쉘층(피복부)을 구비하는 코어 쉘형 구조를 가져도 된다. 심부 및 피복부는 서로 상이한 중합체로 구성할 수 있다. 심부 및 피복부는 각각 복수의 층을 가져도 된다. 피복부는 심부의 일부를 피복하고 있어도 되고, 심부의 전체를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D) 성분은 심부의 구성 성분의 존재하에서 피복부의 구성 성분을 반응시켜, 피복부의 구성 성분을 심부의 구성 성분에 그래프트 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심부는, 리사이클 시에 있어서의 도전성의 저하가 더 억제되는 관점에서, 아크릴계 고무(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 및 실리콘계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고무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심부의 구성 성분으로서는, 아크릴계 고무 및 실리콘계 고무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뷰타다이엔 등을 이용해도 된다.
아크릴계 고무로서는,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 구조 단위로서 갖는 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다.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우수한 리사이클성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아크릴계 고무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해서, 50∼100질량%가 바람직하고, 70∼10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 에스터를 이용할 수 있다. 아크릴산 에스터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2∼8인 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등을 들 수 있고, 에틸 아크릴레이트, n-뷰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고무는 아크릴산 에스터 이외의 다른 성분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성분으로서는, 공중합체가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아크릴산 에스터와 공중합 가능한 바이닐계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아크릴산 에스터와 공중합 가능한 바이닐계 단량체로서는,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등의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터;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등의 불포화 나이트릴; 메틸 바이닐 에터, 뷰틸 바이닐 에터 등의 바이닐 에터; 염화 바이닐, 브로민화 바이닐 등의 할로젠화 바이닐; 염화 바이닐리덴, 브로민화 바이닐리덴 등의 할로젠화 바이닐리덴; 글라이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라이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알릴 글라이시딜 에터, 에틸렌 글라이콜 글라이시딜 에터 등의, 글라이시딜기를 갖는 바이닐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고무로서는, 실리콘·아크릴계 고무(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아크릴 성분)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및 실리콘 성분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복합 중합체. 예를 들면, 알킬 아크릴레이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및 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골격을 갖는 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다.
실리콘계 고무로서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오가노실록세인 결합의 단위가 수천 이상의 선상 중합체인 폴리오가노실록세인을 이용할 수 있다. 실리콘계 고무는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되어도 되지만, 유화 중합법에 의해 얻어지는 고무가 바람직하다.
폴리오가노실록세인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이닐 중합성 작용기를 갖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이 바람직하다. 폴리오가노실록세인은 다이메틸실록세인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다이메틸실록세인은 쇄상이어도 되고, 환상이어도 된다. 다이메틸실록세인으로서는, 3원환 이상의 다이메틸실록세인계 환상체 등을 들 수 있고, 3∼7원환의 다이메틸실록세인계 환상체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헥사메틸사이클로트라이실록세인,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등을 들 수 있다. 다이메틸실록세인은 1종류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D) 성분을 구성하는 피복부는, 다른 수지 성분((A) 성분, (B) 성분 등)에 대한 (D) 성분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관점에서,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바이닐 화합물(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를 제외함)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말레이미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불포화 다이카복실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및 불포화 다이카복실산 무수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닐 화합물로서는, 글라이시딜기 함유 바이닐 화합물, 지방족 바이닐 화합물,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사이안화 바이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글라이시딜기 함유 바이닐 화합물에 해당함과 함께, 지방족 바이닐 화합물,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 또는 사이안화 바이닐 화합물에 해당하는 화합물은, 글라이시딜기 함유 바이닐 화합물에 귀속되는 것으로 한다.
다른 수지 성분((A) 성분, (B) 성분 등)에 대한 (D) 성분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관점에서,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글라이시딜기 함유 바이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및 불포화 다이카복실산 무수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갖는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피복부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구조 단위를 부여하는 화합물은 1종류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로서는, 불포화 카복실산 알킬 에스터, 불포화 카복실산 아릴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로서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를 이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로서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메트)아크릴산 아릴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카복실산 알킬 에스터로서는, 다른 수지 성분((A) 성분, (B) 성분 등)에 대한 (D) 성분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가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로서는,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n-프로필, (메트)아크릴산 n-뷰틸, (메트)아크릴산t-뷰틸, (메트)아크릴산 n-헥실,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 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 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 벤질, (메트)아크릴산 클로로메틸, (메트)아크릴산 2-클로로에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2,3,4,5,6-펜타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 2,3,4,5-테트라하이드록시펜틸,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산 (페닐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사이클로헥실아미노)에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로서는, 다른 수지 성분((A) 성분, (B) 성분 등)에 대한 (D) 성분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큰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 메틸 및 (메트)아크릴산 n-뷰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불포화 카복실산 아릴 에스터로서는, 다른 수지 성분((A) 성분, (B) 성분 등)에 대한 (D) 성분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 아릴 에스터가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 아릴 에스터로서는, (메트)아크릴산 페닐, (메트)아크릴산 다이메틸페닐, (메트)아크릴산 나프틸 등을 들 수 있다.
글라이시딜기 함유 바이닐 화합물로서는, (메트)아크릴산 글라이시딜, 이타콘산 글라이시딜, 이타콘산 다이글라이시딜, 알릴 글라이시딜 에터, 스타이렌-4-글라이시딜 에터, 4-글라이시딜스타이렌 등을 들 수 있다. 글라이시딜기 함유 바이닐 화합물로서는,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큰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 글라이시딜이 바람직하다. 글라이시딜기 함유 바이닐 화합물은 1종류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지방족 바이닐 화합물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뷰타다이엔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바이닐 화합물로서는,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p-아미노스타이렌, 1-바이닐나프탈렌, 4-메틸스타이렌, 4-프로필스타이렌, 4-사이클로헥실스타이렌, 4-도데실스타이렌, 2-에틸-4-벤질스타이렌, 4-(페닐뷰틸)스타이렌, 할로젠화 스타이렌, 2-스타이릴-옥사졸린 등을 들 수 있다. 사이안화 바이닐 화합물로서는,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에타크릴로나이트릴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바이닐 화합물로서는, 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아크릴아마이드, 뷰톡시메틸아크릴아마이드, N-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N-바이닐다이에틸아민, N-아세틸바이닐아민, 알릴아민, 메탈릴아민, N-메틸알릴아민, 2-아이소프로펜일-옥사졸린, 2-바이닐-옥사졸린 등을 들 수 있다.
말레이미드 화합물로서는, 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프로필말레이미드, N-아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p-브로모페닐)말레이미드, N-(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다이카복실산으로서, 말레산, 이타콘산, 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심부 및 피복부의 구성 성분의 조합으로서는, 리사이클 시의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더 우수한 관점에서, 아크릴계 고무(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심부와,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및 바이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피복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하기 (D-I) 성분 및 하기 (D-II)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보다 바람직하며, (D-II) 성분이 더 바람직하다.
(D-I) 성분: 실리콘·아크릴계 고무를 포함하는 심부와,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및 바이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피복부를 구비하는 코어 쉘형 구조를 갖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D-II) 성분: 아크릴계 고무를 포함하는 심부와,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피복부를 구비하는 코어 쉘형 구조를 갖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D-I) 성분으로서는, 리사이클 시의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더 우수한 관점에서, 불포화 카복실산 알킬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및 바이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피복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 메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및 글라이시딜기 함유 바이닐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피복부를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I) 성분의 시판품으로서는, 미쓰비시레이온 주식회사제의 메타블렌 S-2001, 메타블렌 S-2006, 메타블렌 S-2200 등을 들 수 있다.
(D-II) 성분으로서는, 리사이클 시의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더 우수한 관점에서, 불포화 카복실산 알킬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피복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 메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피복부를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II) 성분의 시판품으로서, 롬·앤드·하스재팬 주식회사제의 파라로이드 BPM-500 및 파라로이드 BPM-515; 미쓰비시레이온 주식회사제의 메타블렌 W-450A 및 메타블렌 W-600A 등을 들 수 있다.
(D) 성분의 함유량은,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0.5∼35질량부이다. (D) 성분의 함유량이 0.5질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리사이클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D) 성분의 함유량은, 리사이클 시의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더 우수한 관점에서,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1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2질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질량부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7질량부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8질량부 이상이 극히 바람직하며, 10질량부 이상이 매우 바람직하다. (D) 성분의 함유량이 35질량부를 초과하면, 충분한 리사이클성이 얻어지지 않음과 함께, 성형체의 외관이 악화된다. (D) 성분의 함유량은, 리사이클 시의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더 우수한 관점, 및 성형체의 더 우수한 외관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3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20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8질량부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15질량부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며, 12질량부 이하가 극히 바람직하다. 이들 관점에서, (D) 성분의 함유량은,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0.5∼3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1∼2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2∼20질량부가 더 바람직하고, 5∼18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고, 7∼15질량부가 극히 바람직하고, 8∼12질량부가 매우 바람직하며, 10∼12질량부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성분 이외의 공지의 수지(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 ABS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등)를 함유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성분 이외의 공지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첨가제로서는, 산화 방지제(인계 산화 방지제, 페놀계 산화 방지제 등), 이형제(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등), 활제(파라핀 왁스, n-뷰틸스테아레이트, 합성 밀랍, 천연 밀랍, 글리세린 모노에스터, 몬탄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등), 착색제(산화 타이타늄, 염료, 안료 등), 충전제(탄산 칼슘, 클레이, 실리카, 유리 섬유, 유리구, 유리 플레이크, 탤크, 마이카, 각종 위스커류 등), 유동성 개량제, 전착제(에폭시화 대두유, 유동 파라핀 등), 난연제(브로민계 화합물, 인계 화합물, 유기 금속염계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의 제작 방법)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구성 성분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구성 성분의 혼합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임의의 혼합기(텀블러, 리본 블렌더, 고속 믹서 등)로 혼합한 후에 압출기 등으로 용융 혼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성형체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성형체(성형품)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성형체는 막상이어도 되고, 평판상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성형체로서는, 필름, 테이프,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성형체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용기(예를 들면, 전자 부품의 반송 또는 보관용의 용기)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성형체로서는, 예를 들면 캐리어 테이프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는 막상이어도 되고, 평판상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는 대상물(전자 부품 등)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개의 포켓부(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다.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폭(필름 폭)이 100∼1500mm이고, 또한 두께가 0.05∼0.5mm인 성형체를 들 수 있다. 테이프(캐리어 테이프 등)로서는, 예를 들면, 폭(테이프 폭)이 3∼100mm(바람직하게는 10∼50mm)이고, 또한 두께가 0.05∼0.5mm인 성형체를 들 수 있다.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폭(시트 폭)이 100∼1500mm이고, 또한 두께가 0.7∼10mm인 성형체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성형체의 제조 방법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성형체를 얻는 성형 공정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성형체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성형 공정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체를 용융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과, 당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성형체를 얻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성형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의 압출 성형법(T 다이 성형법, 캘린더 성형법 등), 사출 성형법, 사출·압축 성형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 방법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얻는 성형 공정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성형 공정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용융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과, 당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얻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포켓부라고 불리는 오목부를 캐리어 테이프에 부여하기 위한 성형 방법으로서는, 압공 성형법, 프레스 성형법, 진공 로터리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술의 예시로서, 실시의 형태를 설명했다. 그를 위해서 상세한 설명을 제공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성 요소 중에는, 과제 해결을 위해서 필수인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상기 기술을 예시하기 위해서, 과제 해결을 위해서는 필수가 아닌 구성 요소도 포함될 수 있다. 그 때문에, 그들 필수가 아닌 구성 요소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가지고, 바로, 그들 필수가 아닌 구성 요소가 필수라고 인정을 해서는 안 된다. 또한, 전술의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술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의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 치환, 부가, 생략 등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펠릿의 제작>
표 1∼3에 나타내는 함유량의 배합 성분을 준비했다. 다음으로, 37mm 지름의 이축 압출기(주식회사 고베제강소제, KTX-37)를 이용하여 실린더 온도 280℃에서 상기 배합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각종 펠릿을 얻었다.
사용한 배합 성분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1: 비스페놀 A 및 포스젠으로부터 합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미카스타이론폴리카보네이트 주식회사제, 칼리버 200-13(점도 평균 분자량: 21000)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B-1: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플라스틱스 주식회사제, 듀라넥스 600FP(고유 점도: 1.0)
[탄소 재료]
C-1: 퍼네스형 카본 블랙, 캐봇사제, VulcanXC-305(비표면적: 70m2/g, DBP 흡유량: 130ml/100g)
C-2: 퍼네스형 카본 블랙, 미쓰비시화학 주식회사제, #3050B(비표면적: 50m2/g, DBP 흡유량: 175ml/100g)
[그래프트 공중합체]
D-1: 코어 쉘형 그래프트 공중합체(코어층: 실리콘·아크릴계 고무, 쉘층: 불포화 카복실산 알킬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 (D-I) 성분), 미쓰비시레이온 주식회사제, 메타블렌 S-2001
D-2: 코어 쉘형 그래프트 공중합체(코어층: 아크릴계 고무, 쉘층: 불포화 카복실산 알킬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 (D-II) 성분), 미쓰비시레이온 주식회사제, 메타블렌 W-450A
D-3: 코어 쉘형 그래프트 공중합체(코어층: 폴리뷰타다이엔, 쉘층: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 롬·앤드·하스재팬 주식회사제, 파라로이드 EXL2603
<2. 평판의 제조>
건조기를 이용하여 상기 항목 1의 펠릿을 120℃에서 4시간 건조했다. 다음으로, 소형 사출 성형기(주식회사 니혼제강소(JSW)제, J100EII-P)를 이용하여, 성형 온도 300℃, 금형 온도 90℃에서, 50mm×80mm×두께 2mm 사이즈의 평판을 얻었다.
<3. 도전성의 평가>
상기 항목 2의 평판(반복 조립(造粒) 횟수 0회의 샘플)을 5매 준비했다. 다음으로, 도전성 측정기(미쓰비시화학 주식회사제, Loresta-GP MCP-T600)를 이용하여 평판 표면의 중앙 부근의 표면 고유 저항값(Ω/sq.)을 측정하고, 5매의 평균값을 도전성의 값으로서 얻었다.
<4. 리사이클성의 평가>
상기 항목 1의 펠릿을 이용하여, 소형 단축 압출기(다나베플라스틱스기계 주식회사제, VS-40)에 의해 압출 온도 300℃, 스크루 회전수 120rpm으로 5회 반복 조립을 행했다. 5회 반복 조립 후의 펠릿을 채취하고, 상기 항목 2의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평판을 얻었다. 이 평판(5회 반복 조립을 행한 후의 샘플)의 도전성을 상기 항목 3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구했다.
리사이클성의 판정으로서, 5회 반복 조립을 행한 경우(반복 조립 횟수 5회)의 평판의 표면 고유 저항값이 1×1010(Ω/sq.) 미만인 경우를 「A」(리사이클성이 양호함)로 평가하고, 표면 고유 저항값이 1×1010(Ω/sq.) 이상(표 중, 「≥1×1010」으로 기재)인 경우를 「B」(리사이클성이 뒤떨어짐)로 평가했다.
<5. 평판의 외관의 평가>
반복 조립을 행하지 않는 경우(반복 조립 횟수 0회)의 평판의 표면을 육안에 의해 관찰했다. 불균일이 확인되지 않고 균일한 표면인 경우를 「A」로 평가하고, 평판 표면에 불균일이 확인되는 경우를 「B」로 평가했다.
각 평가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대로, 실시예에서는, 도전성, 리사이클성 및 평판의 외관 모두 양호했다.
한편, 표 3에 나타내는 대로, 비교예에서는, 어느 경우도 리사이클성을 만족하지 않는 결과였다.
비교예 1은 탄소 재료의 함유량이 적은 경우이고, 도전성 및 리사이클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비교예 2는 탄소 재료의 함유량이 많은 경우이고,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성형 그 자체가 곤란했다.
비교예 3은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함유량이 적은 경우이고, 리사이클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비교예 4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함유량이 많은 경우이고, 리사이클성 및 평판의 외관이 뒤떨어져 있었다.
비교예 5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고, 도전성, 리사이클성 및 평판의 외관이 뒤떨어져 있었다.
비교예 6은 탄소 재료의 함유량이 적은 경우이고, 도전성, 리사이클성 및 평판의 외관이 뒤떨어져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복 성형되는 경우여도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하면, 리사이클 등의 목적으로, 반복하여 용융 압출에 의해 성형되더라도 도전성의 저하를 극히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체의 우수한 외관을 달성하면서, 반복 성형되는 경우여도 도전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공업적 이용 가치는 극히 높다.

Claims (4)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탄소 재료와,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심부와, 당해 심부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피복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고,
    상기 탄소 재료의 함유량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10∼45질량부이며,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0.5∼35질량부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심부가,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복부가,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
KR1020187029211A 2016-03-17 2017-02-13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성형체 및 캐리어 테이프 KR102138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53955 2016-03-17
JPJP-P-2016-053955 2016-03-17
JPJP-P-2016-176035 2016-09-09
JP2016176035 2016-09-09
PCT/JP2017/005144 WO2017159164A1 (ja) 2016-03-17 2017-02-13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キャリアテー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066A true KR20180124066A (ko) 2018-11-20
KR102138993B1 KR102138993B1 (ko) 2020-07-28

Family

ID=5985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211A KR102138993B1 (ko) 2016-03-17 2017-02-13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성형체 및 캐리어 테이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16104B1 (ko)
KR (1) KR102138993B1 (ko)
CN (1) CN108473756B (ko)
TW (1) TWI726997B (ko)
WO (1) WO2017159164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7353A (ja) 1986-06-10 1987-12-24 バイエ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カーボン含有成形体の製造方法
JPH1092225A (ja) 1996-09-12 1998-04-10 Riken Vinyl Kogyo Kk 導電性樹脂組成物
JP2000103496A (ja) 1998-09-29 2000-04-11 Denki Kagaku Kogyo Kk 電子部品搬送体
JP2002146205A (ja) * 2000-11-16 2002-05-22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6213766A (ja) * 2005-02-01 2006-08-17 Mitsubishi Chemicals Corp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090049049A (ko) * 2006-08-15 2009-05-15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도전성 시트
JP2012077242A (ja) * 2010-10-05 2012-04-19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228B2 (ja) * 1986-02-12 1994-11-09 帝人化成株式会社 樹脂組成物
DE102005040315A1 (de) * 2005-08-24 2007-03-01 Bayer Materialscience Ag Lichtstreuende antistatische Kunststoffzusammensetzung mit hoher Helligkeit und deren Verwendung in Flachbildschirmen
JP4983427B2 (ja) * 2007-06-19 2012-07-25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品
JP2012533645A (ja) * 2009-07-17 2012-12-27 アーケマ・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耐衝撃性が改良さ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エステル又は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アミド組成物
CN101914275A (zh) * 2010-08-12 2010-12-15 东莞市信诺橡塑工业有限公司 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5419916B2 (ja) * 2011-04-04 2014-02-19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熱伝導性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5346994B2 (ja) * 2011-07-11 2013-11-20 帝人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7353A (ja) 1986-06-10 1987-12-24 バイエ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カーボン含有成形体の製造方法
JPH1092225A (ja) 1996-09-12 1998-04-10 Riken Vinyl Kogyo Kk 導電性樹脂組成物
JP2000103496A (ja) 1998-09-29 2000-04-11 Denki Kagaku Kogyo Kk 電子部品搬送体
JP2002146205A (ja) * 2000-11-16 2002-05-22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6213766A (ja) * 2005-02-01 2006-08-17 Mitsubishi Chemicals Corp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090049049A (ko) * 2006-08-15 2009-05-15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도전성 시트
JP2012077242A (ja) * 2010-10-05 2012-04-19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00475A (zh) 2018-01-01
JPWO2017159164A1 (ja) 2018-03-29
KR102138993B1 (ko) 2020-07-28
CN108473756A (zh) 2018-08-31
WO2017159164A1 (ja) 2017-09-21
TWI726997B (zh) 2021-05-11
JP6216104B1 (ja) 2017-10-18
CN108473756B (zh)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6335B1 (en) Electro-conductiv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and articles manufactured therefrom
JP4732457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をベースとする改良された流動性を有する成形用組成物
JP4870748B2 (ja) 熱可塑性ポリカーボネートをベースとする成形組成物
KR20140141208A (ko)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캐리어 테이프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179963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장용 성형품
KR10179332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하우징
EP3992248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KR20070044782A (ko) 유동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성형조성물
JP201911988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成形された成形品
KR2018007920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7023361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KR10224096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138993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성형체 및 캐리어 테이프
KR102251561B1 (ko)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뛰어나고, 치수안정성 및 열노화 특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JP2012180497A (ja) 高熱伝導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6931045B2 (ja) ポリアルキレンテレフタレート組成物
JP6231239B1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EP3305851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thermal decomposition resistance
KR20140086738A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JP2011137116A (ja) 導電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2011074095A (ja) 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
KR20160130701A (ko) 내열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H07157662A (ja) ポリスルホン系樹脂組成物
JP2000327781A (ja) 芳香族系樹脂に対する添加用難燃剤及びそれを用いた難燃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