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511A -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 및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 및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511A
KR20180123511A KR1020187028635A KR20187028635A KR20180123511A KR 20180123511 A KR20180123511 A KR 20180123511A KR 1020187028635 A KR1020187028635 A KR 1020187028635A KR 20187028635 A KR20187028635 A KR 20187028635A KR 20180123511 A KR20180123511 A KR 20180123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addition
sample
surfactant
test device
addi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시노하라
미와 쿠와하라
히로시 아키타
타카시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덴카 세이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카 세이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덴카 세이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47006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1431A/ko
Publication of KR20180123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93Improving reaction conditions or stability, e.g. by coating or irradiation of surface, by reduction of non-specific binding, by promotion of specific bi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5Details of handling test elements, e.g. dispensing or storage,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mmunological test procedures
    • G01N33/5304Reaction vessels, e.g. agglutination p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organ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종래의 측정 방법보다 더 신속하며, 또한 고감도로 피검출물의 존재를 검출 또는 정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 및 그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은 시료 첨가부에, 예를 들면 데옥시콜산 나트륨과 같은 정상 상태에서 백색 분말상인 계면활성제를 실시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는 이 방법에 의해 형성된 시료 첨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 및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
본 발명은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형성된 시료 첨가부를 갖는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병원체 감염의 유무, 임신의 유무 등의 여러 가지 검사를 단시간 중에 행하는 간이 검사 시약이나 키트가 개발되어 있다. 병원체 구성 성분, 인간 융모성 고나드트로핀 등이 검출 또는 정량의 대상이다. 간이 검사 시약의 대부분은 특별한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조작도 간단하며 저렴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예를 들면 임신 진단을 위한 간이 검사 시약은 일반 약국에서 판매되어 있다. 또한, 병원체의 감염을 검사하는 간이 검사 시약은 다른 검사 시약과 상이하며, 대형 병원이나 의료 검사 센터 이외에도 일반 병원이나 진료소에서 널리 사용되어 있다. 이들 시설은 환자가 최초에 방문하는 의료 기관인 경우가 많고, 환자로부터 채취한 검체에 대해서 그 자리에서 감염의 유무가 판명되면 이른 단계에서 치료 조치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간이 검사 시약의 의료에 있어서의 중요성은 점점 높아져 가고 있다.
현재, 간이 검사 방법으로서 항원 항체 반응을 이용한 면역 측정법, 특히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은 피검출물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포착체(포착 물질) 및 피검출물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체의 복합체를 멤브레인 상에 형성시켜서 표지를 검출/정량함으로써 피검출물의 검출(측정 또는 정량)을 행한다.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은 측정 장치가 간단하며, 또한 비용의 점에서도 우수하기 때문에 다종 다양의 피검출물의 검출에 널리 사용되어 있다.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중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멤브레인 스트립 상에 피검출물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포착 물질로서 고상화한 검출부 및 피검출물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체를 포함하는 표지체부를 구비한 검사 디바이스에 피검출물을 포함하는 검체 시료를 적하하고, 피검출물-표지체의 복합체를 형성시키면서 전개하여 검출부에서 이 복합체를 포착함으로써 표지를 검출 또는 정량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최근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에 미리 시약을 함침시킴으로써 시료 첨가부상에서 검체 시료를 전처리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8-26804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203135호 공보
그러나 시료 첨가부에 함침시킨 시약은 건조 불균일 등의 원인에 의해 시료 첨가부 내에서 농도차가 발생하거나 한다. 그 결과, 시료 첨가부에 검체 시료를 첨가하면 함침시킨 시약과 검체가 잘 혼합되지 않고, 검체 시료가 멤브레인 상에 스무드하게 전개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검체 시료가 멤브레인 상에 조속히 전개되지 않음으로써 측정 속도가 느려지거나 검체 시료가 멤브레인 상에 체류함으로써 백그라운드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여 종래의 측정 방법보다 더 신속하며, 또한 고감도로 피검출물의 존재를 검출 또는 정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 및 그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의 결과,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등의 다공성 기재를 사용하는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있어서, 시료 첨가부에 함침시킨 시약의 복원성을 개량한 시료 첨가부를 구비한 검사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신속하며, 또한 고감도로 측정이 가능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것을 제공한다.
(1) 시료 첨가부에 정상 상태에서 백색 분말상인 계면활성제를 실시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
(2) (1)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분자량 200~900의 음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인 방법.
(3) (1)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데옥시콜산 및 그 염, 및 콜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방법.
(4) (3)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데옥시콜산 나트륨인 방법.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형성된 시료 첨가부를 포함하는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된 시료 첨가부를 구비한 검사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검체 시료와 시료 첨가부에 함침시킨 시약이 잘 혼합되어 검체 시료가 멤브레인 상에 조속히 전개되기 때문에 백그라운드가 낮고, 위양성이 적고, 신속하며, 고감도로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검사 디바이스의 상면도 및 절단 단면도이다.
도 2는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얻어진 시료 첨가부에 있어서의 계면활성제의 유무에 의한 적색 색소의 전개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얻어진 시료 첨가부에 있어서의 계면활성제의 유무에 의한 시료 첨가부에서의 적색 색소의 잔여색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얻어진 시료 첨가부에 있어서의 계면활성제의 유무에 의한 면역 측정 결과의 재현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료 첨가부란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에 있어서 검체 시료를 첨가하는 부위이다. 시료 첨가부는 흡수성이 있는 재질, 예를 들면 스펀지, 유리 섬유 등의 부직포 등의 다공성 기재로 이루어지는 패드를 디바이스 본체를 구성하는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등의 다공성 기재 상에 적재함으로써 형성된다. 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패드를 시료 첨가 패드라고 부를 수 있다. 또한, 시료 첨가부를 패드상으로 하지 않고, 디바이스 본체를 구성하는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등의 다공성 기재의 일부 영역을 시료 첨가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료 첨가부는 시험편 상의 일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료 첨가부에는 미리 항원 항체 반응에 필요한 시약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체 시료 중의 비특이 성분이 항원 항체 반응에 관여하지 않도록 계면활성제를 실시하거나 혈액 검체를 측정할 때는 용혈제를 실시할 수도 있다.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은 검체 시료를 미리 부유액으로 부유시키고나서 시료 첨가부에 첨가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 경우 검체 시료가 희석됨으로써 피검출물도 또한 희석되어 검출 감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미리 검체 부유액의 성분인 완충제, 계면활성제, 각종 단백, 염류, 당류를 실시해 둘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시료 첨가부에 정상 상태에서 백색 분말상인 계면활성제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이것에 의해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있어서 검체 시료가 조속히 멤브레인 상에 전개되어 고감도로 피검출물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했다. 또한, 「정상 상태에서 백색 분말상」이란 그 계면활성제가 상온(25℃), 상압(1atm)하에 단독으로 존재했을 경우에 백색 분말상이라는 의미이다. 이 이외의 계면활성제로서 액상, 페이스트상 또는 왁스상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건조가 불충분하거나, 시료 첨가부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거나, 시료가 첨가되었을 때의 신속한 침투 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본 발명에는 적합하지 않다. 계면활성제는 통상 수계 매체에 용해하여 다공성 기재에 실시되므로 수용해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색 분말상의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분자량 200~900의 계면활성제는 수용해성, 안정성이 우수하여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상 상태에 있어서 백색 분말상이며, 수용해성이 우수한 계면활성제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콜산 나트륨,
데옥시콜산 나트륨,
라우릴황산 나트륨,
수크로오스모노콜레이트,
β-D-프룩토피라노실-α-D-글루코피라노시드모노도데카노에이트,
β-D-프룩토피라노실-α-D-글루코피라노시드모노데카노에이트,
n-옥탄오일-N-메틸글루카미드,
n-노난오일-N-메틸글루카미드,
n-데칸오일-N-메틸글루카미드,
n-옥틸-β-D-티오글루코피라노시드,
n-옥틸-β-D-말토피라노시드,
n-옥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
n-노닐-β-D-티오말토피라노시드,
n-도데실-β-D-말토피라노시드,
n-데실-β-D-말토피라노시드,
N,N-비스(3-D-글루콘아미드프로필)코라미드,
N,N-비스(3-D-글루콘아미드프로필)데옥시코라미드,
3-[(3-코라미드프로필)디메틸암모니오]프로판술폰산,
3-[(3-코라미드프로필)디메틸암모니오]-2-히드록시프로판술폰산,
쯔비터전트(ZWITTERGENT)3-10디터전트(상품명) Calbiochem-Novabiochem Corporation제,
쯔비터전트3-12디터전트(상품명) Calbiochem-Novabiochem Corporation제,
쯔비터전트3-14디터전트(상품명) Calbiochem-Novabiochem Corporation제.
이들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음이온성인 데옥시콜산 및 그 염, 및 콜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며, 특히 콜산 나트륨, 데옥시콜산 나트륨은 수용해성이 좋고, 저렴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시료 첨가부에 상기 계면활성제를 실시하는 방법으로서는 계면활성제의 용액,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수계 완충액을 용매로 하는 수용액을 함침이나 적하 등에 의해 첨가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계면활성제 용액 중의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통상 0.005질량%~5질량%, 바람직하게는 0.05질량%~2질량%이다. 또한, 시료 첨가부로의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통상 0.0013㎎~10㎎ 정도, 바람직하게는 0.005㎎~4㎎ 정도이다.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키는 것의 효과는 상기 부유액을 다공성 기재에 실시하여 건조할 때에 물분자의 증발에 따라 계면활성제가 미세한 결정 상태로서 시료 첨가부에 존재함으로써 검체 시료가 불균일 없이 시료 첨가부에 침투함으로써 멤브레인 상에 조속히 전개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미리 시료 첨가부에 항원 항체 반응에 필요한 시약을 실시했을 때는 항원 항체 반응에 필요한 시약의 건조 시의 농도 불균일이나 자기 응집이 현저하게 방지됨으로써 검체 시료와 항원 항체 반응에 필요한 시약이 불균일 없이 혼합됨으로써 멤브레인 상에 조속히 전개되고, 또한 자기 응집에 의한 백그라운드 및 위양성도 없어 S/N비를 대폭 올릴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정상 상태에서 분말상이므로 건조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보존 안정성이 좋고, 취급도 용이하다. 또한, 백색이므로 육안에 의한 검사 결과의 판정의 방해가 안된다.
본 발명의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시험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검출하는 피검출물이나 검체 시료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검체 시료는 인두 또는 비강 와이프액, 비강 흡인액, 인두 또는 비강 세정액, 타액, 혈청, 혈장, 전혈, 변현탁액, 뇨, 배양액, 및 그들을 완충액으로 희석한 것이나 희석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피검출물도 조금도 한정되지 않고, 검출하고자 하는 어떠한 물질이어도 좋다. 구체예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RS 바이러스, HAV, HBs, HIV, 노로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 항원, MRSA, A군 용련균, B군 용련균, 레지오넬라속균 등의 세균 항원, 세균 등이 산생하는 독소, 마이코플라스마, 클라미디아·트라코마티스, 인간 융모성 고나드트로핀 등의 호르몬, C반응성 단백질, 미오글로빈, 심근 트로포닌, 각종 종양 마커, 농약, 환경 호르몬 등의 항원을 들 수 있고, 또한 상기 세균, 바이러스 등에 대한 항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해서 형성되는 검체 첨가 부위를 포함하는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도 제공한다. 시료 첨가부에 정상 상태에서 백색 분말상인 계면활성제를 실시하는 점을 제외하고, 검사 디바이스의 구성 자체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주지의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구체예의 모식도를 도 1에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검사 디바이스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위가 상면도, 아래가 절단 단면도이다. 도시의 구체예에서는 플라스틱판(6) 상에 2개의 검출부(3)가 형성된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1), 여과지로 형성된 흡수 패드부(5), 상기 방법에 의해 형성된 표지체부(2), 및 유리 섬유 필터로 형성된 시료 첨가부(4)가 각각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패드부(5)의 한쪽의 단부 영역과,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1)의 한쪽의 단부 영역,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1)의 다른 쪽의 단부 영역과 표지체부(2)의 한쪽의 단부 영역, 표지체부(2)의 다른 쪽의 단부 영역과 시료 첨가부(4)의 한쪽의 단부 영역이 각각 서로 겹쳐져 있으며, 이에 따라 연속된 래터럴 플로우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이 검사 디바이스를 사용한 면역 측정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검체를 검체 부유/추출용 완충액에 부유/추출시킨 검체 시료를 조제한다. 플라스틱판(6) 상에 적층된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1) 상에 피검출물과 항원 항체 반응하는 항체를 착색 라텍스 입자로 표지한 상기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안정화 건조 표지체 패드를 포함하는 표지체부(2)를 구비하고, 또한 피검출물과 항원 항체 반응하는 항체를 포착 물질로서 라인상으로 고상화된 검출부(3)를 구비한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4)에 상기 검체 시료를 적하한다. 피검출물을 포함하는 검체 시료는 멤브레인 상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표지체를 전개하므로 피검출물이 존재하면 피검출물-표지체의 복합체를 형성하고, 또한 검출부(3)에 도달하면 그 라인상에 포착 항체-피검출물-표지체의 복합체가 형성되고, 이 복합체 중의 착색 라텍스 입자에 의해 복합체의 존재를 검출함으로써 검체 중의 피검출물의 유무를 판정한다. 또한, 검출부(3)는 피검출 물질과 항원 항체 반응하고, 또한 착색 라텍스 입자 상의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성 단편과 동시에 피검출물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성 단편을 라인상으로 고상화한 영역이다. 반응에 관여하지 않은 다른 성분 등은 흡수 패드부(5)에 흡수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검출부(3)가 2개 존재하지만, 이것은, 예를 들면 하기 실시예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같은 2종류의 피검출물을 각각 포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검출부(3)를 복수 설치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피검출물을 동시에 면역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검출물과 항원 항체 반응하는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성 단편을 결합시킨 라텍스 입자를 안정화 건조 표지체로서 사용하는 본 발명의 검사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신속하며, 또한 간편하게 피검출물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의 검출
1.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모노클로널 항체의 제작
(1) 항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체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을 BALB/c 마우스에 면역하고, 일정 기간 사육한 마우스로부터 비장을 적출하고, 콜러 등의 방법(Kohler et al., Nature, vol, 256, p495-497(1975))에 의해 마우스 미엘로마 세포(P3×63)와 융합했다. 얻어진 융합 세포(하이브리도마)를 37℃ 인큐베이터 중에서 유지하고,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원을 고상한 플레이트를 사용한 ELISA에 의해 상청의 항체 활성을 확인하면서 세포의 순화(단클론화)를 행했다. 취득한 상기 세포 2주를 각각 프리스탄 처리한 BALB/c 마우스에 복강 투여하고, 약 2주간 후 항체 함유 복수를 채취했다. 얻어진 복수로부터 프로틴A칼럼을 사용한 어피니티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각각 IgG를 정제하여 2종류의 정제 항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체를 얻었다.
(2) 항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체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을 사용하여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2종류의 정제 항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체를 얻었다.
2. 표지체 패드의 제작
정제 항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체 및 정제 항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체 중 각각 1종류씩을 사용했다. 청색 라텍스 입자에 항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를 공유 결합시켜서 부유액에 현탁하고, 소니케이션을 행하여 충분히 분산 부유시킨 항A형 라텍스 부유액을 조제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항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를 공유 결합시킨 항B형 라텍스 부유액을 조제했다. 항A형 라텍스 부유액과 항B형 라텍스 부유액을 혼합하고, 크기가 20㎝×1㎝인 유리 섬유에 도포하고, 온풍하에서 잘 건조시켜서 건조 혼합물을 형성한 표지체 패드를 제작했다.
3. 시료 첨가 패드의 제작
크기가 2.0㎝×20㎝인 유리 섬유를 사용했다.
4. 검사 디바이스의 제작
검사 디바이스는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마찬가지의 구성의 것을 사용했다.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2㎝×20㎝의 크기로 재단하고, 접착제가 부착된 플라스틱판으로 백킹한 하단으로부터 0.6㎝와 1.0㎝의 위치에 약 1㎜ 폭이 되는 양의 항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상기와 다른 항체)액 및 항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체(상기와 다른 항체)액을 각각 20㎝ 도포하고, 온풍하에서 잘 건조시켜서 항체를 고상화했다(검출부). 이어서, 3㎝×20㎝의 크기의 여과지를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의 상단에 5㎜ 겹쳐서 흡수 패드부를 설치했다. 또한, 표지체 패드를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의 하단에 2㎜ 겹쳐서 표지체부를 설치하고, 또한 시료 첨가 패드를 표지체 패드의 상단으로부터 7㎜ 떨어진 위치에 맞춰 겹쳐서 시료 첨가부를 설치했다. 이어서, 커터로 폭 5㎜의 스트립으로 재단하여 일체화된 검사 디바이스를 제작했다.
5. 시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우선, 상기와 같이 제작한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에 검체 전개 성분(100mM Tris-HCl(pH 8.0), 1% Tween20, 0.5% BSA) 및 식용 적색 색소(농도 0.1%)를 함침했다(비교예 1). 또한, 이들에 0.2질량%의 데옥시콜산 나트륨(DOC)을 더 포함하는 용액을 시료 첨가부에 함침시켰다(실시예 1). 시료로서 생리 식염수를 시료 첨가부에 적하하고, 시료 적하 직후의 식용 색소의 방출의 모양과, 시험 종료 후의 시료 첨가부의 모양을 관찰했다. 그 결과, 시험 직후의 색소의 방출은 데옥시콜산 나트륨 함유의 시료 첨가부를 갖는 검사 디바이스에서 명백하게 방출량이 많았다(도 2). 또한, 시험 종료 후의 시료 첨가부에 있어서도 데옥시콜산 나트륨 함유 샘플에서는 색소의 잔여색이 적었다(도 3). 이상으로부터 데옥시콜산 나트륨이 검체 첨가부에 함유됨으로써 검체 전개 성분의 방출이 개선되고, 그것에 따라 식용 색소의 방출도 개선한 것으로 추찰된다. 또한, 도면은 흑백이므로 차이를 알기 어려울지도 모르지만, 칼라 사진이면 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차이는 육안으로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시료 첨가부에 함침시킨 용액이 적색 식용 색소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상기 검체 전개 성분과 데옥시콜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시료 첨가부를 갖는 검사 디바이스(실시예 2)와, 검체 전개 성분만을 포함하는 시료 첨가부를 갖는 검사 디바이스(비교예 2)를 제작했다. 이들 각각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형의 항원을 사용해서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 시험을 행하고, 시그널 강도의 불균일을 IMMUNOCHROMATO-READER(Hamamatsu Photonics K.K.제)로 측정했다(각 n=10).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데옥시콜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시료 첨가부를 갖는 검사 디바이스(실시예 2)에서 명백하게 시그널 강도의 불균일이 적었다(도 4. 데옥시콜산 나트륨 있음: CV=7.48%, 데옥시콜산 나트륨 없음: CV=15.02%). 이상으로부터 데옥시콜산 나트륨이 포함되는 시료 첨가부를 사용함으로써 시료 첨가부로부터의 검체 전개 성분의 방출이 개선되어 안정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5)

  1. 시료 첨가부에 정상 상태에서 백색 분말상인 계면활성제를 실시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분자량 200~900의 음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데옥시콜산 및 그 염, 및 콜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데옥시콜산 나트륨인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형성된 시료 첨가부를 포함하는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
KR1020187028635A 2016-03-23 2016-03-23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 및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 KR20180123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06351A KR20240031431A (ko) 2016-03-23 2016-03-23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 및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59218 WO2017163341A1 (ja) 2016-03-23 2016-03-23 イムノクロマト法検査デバイスの試料添加部の形成方法及びイムノクロマト法検査デバイス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6351A Division KR20240031431A (ko) 2016-03-23 2016-03-23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 및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511A true KR20180123511A (ko) 2018-11-16

Family

ID=599000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635A KR20180123511A (ko) 2016-03-23 2016-03-23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 및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
KR1020247006351A KR20240031431A (ko) 2016-03-23 2016-03-23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 및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6351A KR20240031431A (ko) 2016-03-23 2016-03-23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 및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101532A1 (ko)
EP (1) EP3435081A4 (ko)
KR (2) KR20180123511A (ko)
CN (1) CN109073643A (ko)
MY (1) MY191701A (ko)
WO (1) WO2017163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0196296A1 (ko) * 2019-03-25 2020-10-01
WO2020196298A1 (ja) * 2019-03-25 2020-10-01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分析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テストストリップ
TW202314243A (zh) * 2021-06-07 2023-04-01 日商電化股份有限公司 糞便檢體之檢查方法及其免疫層析試驗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6013A (en) * 1946-12-04 1950-05-02 John C Columbus Filter for coffee makers
US4756884A (en) * 1985-08-05 1988-07-12 Biotrack, Inc. Capillary flow device
US5019502A (en) * 1989-06-12 1991-05-28 Merck & Company, Inc. Process for removing bacterial endotoxin from gram-negative polysaccharides
US5871905A (en) * 1996-09-04 1999-02-16 Epitope, Inc. Reduction of false positives in oral-fluid based immunoassays
AU8489698A (en) * 1997-07-16 1999-02-10 Charm Sciences, Inc. A test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residue analyte in a sample
GB9827411D0 (en) * 1998-12-11 1999-02-03 Axis Biochemicals Asa Dipstick assay
JP4865588B2 (ja) * 2007-02-21 2012-02-01 デンカ生研株式会社 検査デバイスの標識体部の形成方法及びラテラルフロー免疫測定用検査デバイス
JP4986695B2 (ja) 2007-04-23 2012-07-25 デンカ生研株式会社 検査デバイスの検出部の形成方法及びラテラルフロー免疫測定用検査デバイス
JP5124211B2 (ja) * 2007-08-24 2013-01-23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免疫クロマト検査における口腔内由来検体の処理方法
CN101236210A (zh) * 2008-01-29 2008-08-06 王学生 快速联检血红蛋白-结合珠蛋白复合物和大便潜血试剂
CN102077091B (zh) * 2008-06-30 2016-08-17 积水医疗株式会社 用于结合测定的多孔性固相和使用所述多孔性固相的结合测定法
WO2010065781A2 (en) * 2008-12-03 2010-06-10 Abaxis, Inc. Lateral flow strip assay with immobilized conjugate
JP5416159B2 (ja) * 2011-03-31 2014-0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高感度な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方法
CN104515859A (zh) * 2014-12-17 2015-04-15 杭州慧缘泰医疗器械有限公司 血红蛋白、血红蛋白-结合珠蛋白复合物、转铁蛋白联检试剂盒及其制备方法、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63341A1 (ja) 2017-09-28
EP3435081A1 (en) 2019-01-30
EP3435081A4 (en) 2019-10-23
US20190101532A1 (en) 2019-04-04
CN109073643A (zh) 2018-12-21
KR20240031431A (ko) 2024-03-07
MY191701A (en)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lghaz et al. Semiquantitative analysis on microfluidic thread-based analytical devices by ruler
KR102209489B1 (ko)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감염의 복합 검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5340575B2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試験具
JP4547272B2 (ja)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試験具
JP2016520200A (ja) 可変対象線を具備したラピッドテスト用ストリップ及びそれを用いた診断キット
JP5414424B2 (ja) 目的物質の検出方法、及び目的物質を検出するための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試験キット
JP4986695B2 (ja) 検査デバイスの検出部の形成方法及びラテラルフロー免疫測定用検査デバイス
JP4800739B2 (ja) アッセイ用媒体及びアッセイ方法
CN104614511A (zh) 免疫层析分析方法、免疫层析分析装置以及免疫层析分析试剂盒
US20190361029A1 (en) Preparation of visible colored insoluble carrier particles labeled with a fluorescent dye and an immunoassay method using the same
JP6452491B2 (ja) イムノクロマト法検査デバイスの試料添加部の形成方法及びイムノクロマト法検査デバイス
CN105793707A (zh) 免疫层析辅助的检测方法
KR20180123511A (ko)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의 시료 첨가부의 형성 방법 및 이뮤노 크로마토그래피법 검사 디바이스
JP2007315883A (ja) 免疫測定用ラテックス組成物
EP4191244A1 (en) Test reagent with ameliorated signal reduction
US9903863B2 (en) Method for analyzing, sample analysis tool, method for preventing flow of sample solution in undesired direction, and method for preventing increase in background
JP2010032396A (ja) バイオセンサ
KR20230062806A (ko) 위음성의 억제에 의해 특이성을 개선한 검사 시약
JP2006118936A (ja) メンブランエンザイムイムノアッセイ法
US8318420B2 (en) Heated assays for influenza
WO2024005055A1 (ja) 検査方法、検査試薬、及び検査キット
JP2010091353A (ja) バイオセンサおよびバイオセンサ用不溶性粒状マーカー
TW202314243A (zh) 糞便檢體之檢查方法及其免疫層析試驗片
JP2022154827A (ja) 全血中のビタミンaの定量方法
JP2022154825A (ja) ビタミンaの定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