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798A -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 - Google Patents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798A
KR20180122798A KR1020170056834A KR20170056834A KR20180122798A KR 20180122798 A KR20180122798 A KR 20180122798A KR 1020170056834 A KR1020170056834 A KR 1020170056834A KR 20170056834 A KR20170056834 A KR 20170056834A KR 20180122798 A KR20180122798 A KR 20180122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housing
assembly
circuit module
contac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773B1 (ko
Inventor
치엔-타 첸
Original Assignee
리엔 창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엔 창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엔 창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70056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773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509Multiple-component heat spreaders; Multi-component heat-conducting support plates; Multi-component non-closed heat-conducting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에 관한 것인 바, 상기 전원 어댑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회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는 매입사출성형방식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방열판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내재료층과 외재료층을 형성하며 상기 회로기판에는 출력 어셈블리가 구비되고 하우징의 내재료층이 출력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갭부가 설치되어 출력칩으로 하여금 갭부에 의해 방열판과 접촉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THERMAL DISSIPATING STRUCTURE FOR POWER ADAPTOR AND THE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접식 전원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노트북 또는 이동식 전자장치는 외접식 전원 어댑터를 전력공급원으로 사용하는데 전원 어댑터는 사용될 때 전자파를 발생하여 방해를 하게 되고 회로 어셈블리는 높은 열을 발생하므로 전원 어셈블리를 설계할 경우 반드시 전자파의 방해를 막고 방열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기존의 외접식 전원 어댑터인 바, 기존의 외접식 전원 어댑터의 구조는 케이스(1), 케이스(1)의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수용되는 회로모듈(2), 회로모듈(2)의 외측에 진일보로 피복된 절연편(3), 절연편(3)의 외측에 피복된 금속격리판(4)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어댑터가 조립된 후 금속격리판(4)은 회로모듈(2)의 외측을 피복하고 금속격리판(4)의 외측면과 케이스(1)의 내측면 사이에 접착제(5)를 충전하여 금속격리판(4)의 외측면과 케이스(1)의 내측면이 서로 접착되도록 한다. 회로모듈(2)의 회로 어셈블리에서 발생한 온도는 간접적으로 금속격리판(4)에 전달된 후 다시 금속격리판(4)으로부터 접착제(5)에 의해 케이스(1)에 전달되며 다시 케이스(1)를 통해 외부 공기에 방열되어 회로모듈(2)의 온도를 낮춘다. 이 외에, 금속격리판(4)의 일단에는 접촉가이드부(6)가 설치되고 상기 접촉가이드부(6)에 의해 회로모듈(2)의 회로기판과 연결되어 회로모듈(2)의 접지회로와 금속격리판(4)으로 하여금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금속격리판(4)으로 하여금 회로모듈(2)의 전자파 방해를 차단 및 해소시키도록 한다.
기존의 전원 어댑터는 상기 방열기구를 사용하는데 회로모듈(2)과 금속격리판(4) 사이에는 반드시 절연편(3)을 사용하여 격리키시므로 회로모듈(2)의 온도전달경로에 하나의 절연편(3)의 차단이 증가하게 되어 전원 어댑터의 방열효율을 저하시켰다. 이 외에 기존의 전원 어댑터의 조립절차에 있어서 반드시 회로모듈(2)의 외측을 절연편(3), 금속격리판(4)의 순서로 피복한 후 금속격리판(4)의 외측면에 접착제(5)를 도포하고 그 후 회로모듈(2)을 절연편(3), 금속격리판(4)과 함께 케이스(1)의 내부에 조립한다. 상기 조립절차는 매우 번거롭고 금속격리판(4)의 외측에 접착제를 도포함에 있어서 대량의 시간을 소비하게 되므로 조립절차의 번거로움과 효율이 낮은 단점을 초래하였다.
상기 원인으로 인하여 기존의 전원 어댑터는 방열효율이 낮고 조립원가가 증가하는 단점을 초래함으로써 구조설계의 개량에 의해 상기 단점을 극복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로 되었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기존의 외접식 전원 어댑터 방열효율이 낮고 조립원가가 높은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를 제공하는 바, 전원 어댑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회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모듈은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에 있어서, 매입사출성형방식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은 적어도 하나의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양측에 연결된 두개의 측판부를 구비하며 상기 평판부와 두개의 상기 측판부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로기판에 인접하여 상기 회로기판과 평행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방열판에서 상기 회로모듈의 일측면과 대향하여 내재료층을 형성되며 상기 방열판은 상기 회로모듈의 일측면에 대하여 외재료층을 형성하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외재료층과 상기 내재료층 사이에 클램핑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재료층은 방열판과 상기 회로모듈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출력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재료층과 상기 출력 어셈블리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갭부가 설치되어 상기 방열판으로 하여금 상기 갭부에서 노출되로록 하고 상기 출력 어셈블리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갭부에 의해 상기 방열판과 접촉될 수 있어 상기 출력 어셈블리에서 발생한 열로 하여금 상기 방열판에 전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어셈블리는 출력칩이고 상기 출력 어셈블리와 상기 갭부에 위치된 상기 방열판의 표면 사이에는 열전도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접촉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상기 접촉 어셈블리의 일단과 상기 회로기판의 접지회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접촉 어셈블리의 타단과 상기 방열판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 어셈블리는 금속 로드이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접촉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켓을 설치하며 상기 소켓은 상기 방열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켓의 상부면은 상기 접촉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잭 및 상기 잭의 주변에 위치된 다수의 슬릿을 설치하며 상기 잭의 직경과 상기 접촉 어셈블리의 직경은 서로 배합되고 상기 접촉 어셈블리는 상기 잭에 삽입될 수 있어 상기 접촉 어셈블리로 하여금 상기 소켓에 의해 상기 방열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 어셈블리는 전도 파편, 전도 스프링, 도선, 전도 스펀지와 같은 전도 어셈블리 중의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는 전원 어댑터의 방열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고 그 조립절차를 간소화 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시키는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기술적 내용을 더욱 진일보로 알아보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길 바란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참조와 설명에 사용될 뿐 본 발명을 진일보로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기존의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2는 기존의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의 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의 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의 제2 실시예의 조합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의 제3 실시예의 조합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의 제4 실시예의 조합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를 사용하여 제작된 전원 어댑터의 구조이다. 상기 전원 어댑터는 하우징(10) 및 회로모듈(20)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모듈(20)은 하우징(10)의 내부 및 방열판(30)에 수용되며 상기 방열판(3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끼워지고 회로모듈(20)의 외측을 덮는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은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하고 사출성형방식으로 제작된 케이스인 바,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수용실이 형성되어 상기 회로모듈(20)을 수용한다. 회로모듈(20)은 회로기판(21)을 구비하고 회로기판(21)에 다수의 회로 어셈블리(25)를 구비하며 이러한 회로 어셈블리(25)는 전원 어댑터의 정류, 변압 등 회로를 형성한다. 상기 방열판(30)은 양호한 열전도 및 도전기능을 가진 재료(예를 들어, 금속판)로 제작되고 매입사출성형(Insert molding)방식을 사용하는 바, 방열판(30)을 전원 어댑터의 하우징(10)에 끼워 넣고 상기 방열판(30)마다 평판부(31) 및 평판부(31)의 양측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판부(32)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평판부(31) 및 두개의 측판부(32)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로기판(21)과 인접되고 또 회로기판(21)과 평행되므로 회로모듈(20)에서 발생한 온도는 방열판(30)에 전달되어 회로모듈(20)의 방열효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회로모듈(20)이 발생하는 전자파의 방해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의 제1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은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조합이 완성된 후 이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회로모듈(20)을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는 각각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하고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됨과 동시에 상기 방열판(30)은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가 사출성형될 경우 성형몰드에 설치되어 매입사출성형(Insert molding)방식으로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와 결합되므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국부적인 단면도로부터 관찰하면 하우징(10)은 방열판(30)이 회로모듈(20)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내재료층(102)을 형성하고 방열판(30)이 회로모듈(20)에 대한 일측면에 외재료층(101)을 형성하므로 하우징(10)의 단면으로 하여금 방열판(30)이 외재료층(101) 및 내재료층(102) 사이에 끼워진 샌드위치구조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가 조합된 후 방열판(30)이 회로모듈(20)과 대향하는 일측면은 내재료층(102)에 의해 커버되므로 방열판(30)으로 하여금 하우징(10)의 내재료층(102)에 의해 회로모듈(20)과 절연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절연편을 별도로 설치하여 차단할 필요가 없게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의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에는 각각 상기 방열판(30)이 설치되고 두개의 방열판(30)의 평판부(31)는 각각 상부 케이스(11)의 상측면 및 하부 케이스(12)의 저면에 설치되며 두개의 방열판(30)의 측판부(32)는 각각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양측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가 서로 대응되게 조합된 후 회로모듈(20)은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내측면에 피복되고 두개의 방열판(30)의 평판부(31)는 각각 회로모듈(2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설치되며 두개의 방열판(30)의 측판부(32)는 각각 회로모듈(20)의 양측면에 위치되므로 회로모듈(20)의 네개 측면을 완전히 피복한 상황이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모듈(20)에서 발생한 온도는 하우징(10)의 내재료층(102)을 통해 방열판(30)에 전달된 후 방열판(30)을 거쳐 외재료층(101)에 회로모듈(20)의 온도를 전달하며 그 후 다시 하우징(10)의 외표면을 거쳐 외기에 온도를 전달한다. 방열판(30)이 열전도체이므로 회로모듈(20)의 회로 어셈블리(25)에서 발생한 온도는 열전달작용에 의해 모든 방열판(30)에 확산되며 따라서 회로모듈(20)의 방열면적을 증가하여 회로모듈(20)의 방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도 3,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모듈(20)의 회로기판(21)에는 출력 어셈블리(23)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전원 어댑터의 회로모듈이 작동할 경우, 출력 어셈블리(23)는 제일 많은 열을 발생하게 되므로 회로모듈(20)의 온도가 출력 어셈블리(23)에 집중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회로모듈(20)의 방열효율을 증가하기 위하여 특별히 하우징(10)의 내재료층(102)에서 회로기판(21)의 출력 어셈블리(23)에 대응되는 위치에 갭부(13)을 설치하여 갭부(13)위치에 있는 방열판(30)이 갭부(13)로부터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 케이스(12)에 의해 차폐되지 않도록 하며 출력 어셈블리(23)는 직접 접촉 또는 간접 접촉의 방식으로 갭부(13)에 위치한 방열판(30)의 표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출력 어셈블리(23)에서 발생한 열이 하우징(10)의 방해를 받지 않고 방열판(30)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회로모듈(20)의 방열효율을 증가시킨다. 상기 실시예에서 출력 어셈블리(23)는 열전도 어셈블리(24)를 거쳐 방열판(30)과 접촉한다. 상기 열전도 어셈블리(24)는 열전도 패드 또는 열전도 젤 일 수 있다. 상기 열전도 어셈블리(24)는 양호한 열전도능력을 가지므로 출력 어셈블리(23)의 온도로 하여금 신속히 방열판(3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열판(30)은 방열기능을 구비함과 아울러 회로모듈(20)의 전자파 방해를 차단 및 해소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21)에는 접지회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되고 회로기판(21)에는 접촉 어셈블리(22)가 설치되며 상기 접촉 어셈블리(22)의 일단과 상기 회로기판(21)의 접지회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촉 어셈블리(22)의 타단과 상기 방열판(3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촉 어셈블리(22)와 상기 방열판(30)의 연결에 의해 회로모듈(20)의 접지회로와 방열판(30)이 서로 연결되고 이로써 회로기판(21)의 접지회로와 방열판(3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 어셈블리(22)는 둥근 막대기 형태의 금속 로드이고 상기 방열판(30)은 상기 접촉 어셈블리(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켓(33)을 설치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소켓(33)의 외형은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소켓(33)의 상부면 중앙에는 잭(331)이 설치되며 잭(331)의 주위에는 여러개의 그루브(332)가 설치되어 소켓(33)의 잭(331) 주변의 재료로 하여금 만곡 변경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잭(331)의 직경이 탄성적으로 변화할 수 있게 한다. 소켓(33)은 방열판(30)에 용접되고 내재료층(102)에 노출되며 상기 잭(331)의 중심위치와 회로모듈(20)의 접촉 어셈블리(22)는 서로 대응되고 잭(331)의 직경과 접촉 어셈블리(22)의 외경은 서로 배합되므로 회로모듈(20)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조립될 경우 접촉 어셈블리(22)는 소켓(33)의 잭(331)에 맞춰져 접촉 어셈블리(22)와 잭(331)이 서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회로기판(21)의 접지회로와 방열판(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반드시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회로모듈(20)의접촉 어셈블리(22)의 구조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시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회로모듈(20)의 접지회로와 방열판(30)으로 하여금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그 어떤 기술적 수단은 모두 본 발명에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촉 어셈블리(22a)는 파편이고, 이 외에 상기 접촉 어셈블리(22a)는 기타 타입의 전도 어셈블리, 예를 들어 스프링, 도선, 전도 스펀지 등에 의해 진일보로 대체될 수 있는 바, 모두 회로기판(21)과 방열판(30)의 전기적 연결에 사용되는 접촉 어셈블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내의 방열판(30)의 두개의 측판부(32)의 가장자리는 각각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양측변의 가장자리에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가 상대적으로 조합될 경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내의 방열판(30)의 두개의 측판부(32)의 가장자리는 서로 래핑될 수 있으므로 상부 케이스(11), 하부 케이스(12) 내의 방열판(30)으로 하여금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회로모듈(20)의 외측에 완전히 피복된 전도체를 형성하여 회로모듈(20)의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과 기존의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를 서로 비교하면 주요한 특점은, 상기 방열판(30)은 직접 매입사출성형방식으로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방열판(30)과 하우징(10)으로 하여금 동일한 어셈블리로 정합되게 함으로써 부품의 수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방열판(30)의 내측면과 회로모듈(20) 사이에 하우징(10)의 내재료층(102)이 있으므로 방열판(30)과 회로모듈(20) 사이에는 자연적으로 절연상태가 형성되어 절연편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를 조립할 경우 단지 하우징(10)의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를 회로모듈(20)의 외측에 조합하면 전원어댑터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조립절차와 기존의 전원 어댑터의 조립절차를 비교하면 절연편 및 방열판이 회로모듈의 외측을 피복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고 방열판의 외측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방열판을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착시키는 절차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조립절차을 대폭적으로 간소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목적에 도달하게 된다.
이 외에 방열효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열판(30)은 직접 하우징(10)의 내재료층(102)에 의해 회로모듈(20)과 절연되어 방열판(30)과 회로모듈(20) 사이에 절연편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방열판(30)과 하우징(10) 사이에 접착제로 접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회로모듈(20)의 방열경로에서 절연편 및 접착제의 방해를 감소시켜 방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은 마찬가지로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로 이루어지는데 제2 실시예에서는 단지 하부 케이스(12)의 내부에 방열판(30)을 설치하고 상부 케이스(11)에는 방열판(30)을 설치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방열판(30)의 평판부(31)는 하부 케이스(12)의 저측면에 설치되고 두개의 측판부(32)는 각각 하부 케이스(12)의 양측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회로모듈(20)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조립될 경우 회로기판(21)의 저면은 방열판(30)의 평판부(31)에 인접되고 평판부(31)와 회로기판(21)의 저면은 평행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방열판(30)의 평판부(31) 및 두개의 측판부(32)는 하우징(10)의 외재료층(101)과 내재료층(102)사이에 클램핑되고 하우징(10)의 내재료층(102)은 회로모듈(20)의 출력 어셈블리(23)와 대응되는 위치에 갭부(13)를 형성하여 방열판(30)으로 하여금 갭부(13)에서 노출되도록 하며 출력 어셈블리(23)는 열전도 어셈블리(24)와 갭부(13)에 위치한 방열판(30)의 표면접촉에 의해, 또는 방열판(30)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출력 어셈블리(23)의 온도가 방열판(30)에 전달되도록 한다.
[제3 실시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은 횡방향으로의 U형 단면을 형성하고 하우징(10)의 일측면에는 개구가 구비되며 하우징의 개구에는 커버(14)가 설치된다. 하우징(10)과 커버(14)가 조합된 후 피복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고 회로모듈(20)을 하우징(10)과 커버(14)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방열판(30)은 매입사출성형방식으로 하우징(10)의 내부에 끼워지고 방열판(30)의 평판부(31)는 하우징(10)의 측면위치에 피복되며 방열판(30)의 두개의 측판부(32)는 하우징(10)의 상측과 하측에 의해 피복되므로 방열판(30)으로 하여금 평판부(31)를 형성하여 회로모듈(20)의 일측면을 피복하도록 함과 동시에 두개의 측판부(32)는 회로모듈(20)의 상측 및 하측에 의해 피복된 상태가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방열판(30)은 마찬가지로 하우징(10)의 외재료층(101) 및 내재료층(102)에 의해 피복되고 하우징(10)의 내재료층(102)은 회로모듈(20)의 출력 어셈블리(23)에 대응되는 위치에 갭부(13)를 설치하여 방열판(30)이 갭부(13)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며 출력 어셈블리(23)는 열전도 어셈블리(24)에 의해 방열판(30)과 접촉한다.
[실시예의 실행 가능한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라스틱 매입사출성형방식으로 방열판(30)을 하우징(10)에 정합하는 구조이므로 절연편을 사용하여 방열판(30)과 회로모듈(20)을 차단시킬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전원 어댑터 방열효율을 증가하는 효과에 도달함과 동시에 전원 어댑터의 회로모듈(20)과 하우징(10)의 조립절차를 대폭으로 간소화하여 차단편, 방열판의 조립을 생략하고 접착제를 도포하는 절차를 생략함으로써 조립시간을 대폭으로 절감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목적에 도달한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을 인용한 등가물의 변화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 케이스 2: 회로모듈
3: 절연편 4: 금속격리판
5: 접착제 6: 접촉가이드부
10: 하우징 11: 상부 케이스
12: 하부 케이스 13: 갭부
14: 커버 101: 외재료층
102: 내재료층 20: 회로모듈
21: 회로기판 22: 접촉 어셈블리
22a: 접촉 어셈블리 23: 출력 어셈블리
24: 열전도 어셈블리 25: 회로 어셈블리
30: 방열판 31: 평판부
32: 측판부 33: 소켓
331: 잭 332: 그루브

Claims (7)

  1. 전원 어댑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회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모듈은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에 있어서,
    매입사출성형방식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은 적어도 하나의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양측에 연결된 두개의 측판부를 구비하며 상기 평판부와 두개의 상기 측판부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로기판에 인접하여 상기 회로기판과 평행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방열판에서 상기 회로모듈의 일측면과 대향하여 내재료층을 형성되며 상기 방열판은 상기 회로모듈의 일측면에 대하여 외재료층을 형성하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외재료층과 상기 내재료층 사이에 클램핑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재료층은 방열판과 상기 회로모듈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출력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재료층과 상기 출력 어셈블리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갭부가 설치되어 상기 방열판으로 하여금 상기 갭부에서 노출되로록 하고 상기 출력 어셈블리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갭부에 의해 상기 방열판과 접촉될 수 있어 상기 출력 어셈블리에서 발생한 열로 하여금 상기 방열판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어셈블리는 출력칩이고 상기 출력 어셈블리와 상기 갭부에 위치된 상기 방열판의 표면 사이에는 열전도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상기 열전도 어셈블리는 열전도 패드 또는 열전도 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접촉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상기 접촉 어셈블리의 일단과 상기 회로기판의 접지회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접촉 어셈블리의 타단과 상기 방열판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어셈블리는 금속 로드이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접촉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켓을 설치하며 상기 소켓은 상기 방열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켓의 상부면은 상기 접촉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잭 및 상기 잭의 주변에 위치된 다수의 슬릿을 설치하며 상기 잭의 직경과 상기 접촉 어셈블리의 직경은 서로 배합되고 상기 접촉 어셈블리는 상기 잭에 삽입될 수 있어 상기 접촉 어셈블리로 하여금 상기 소켓에 의해 상기 방열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어셈블리는 전도 파편, 전도 스프링, 도선, 전도 스펀지와 같은 전도 어셈블리 중의 하나가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는 각각 상기 방열판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가 서로 조합된 후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내의 두개의 상기 방열판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
KR1020170056834A 2017-05-04 2017-05-04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 KR101941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834A KR101941773B1 (ko) 2017-05-04 2017-05-04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834A KR101941773B1 (ko) 2017-05-04 2017-05-04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798A true KR20180122798A (ko) 2018-11-14
KR101941773B1 KR101941773B1 (ko) 2019-04-12

Family

ID=64328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834A KR101941773B1 (ko) 2017-05-04 2017-05-04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7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31048A (zh) * 2023-02-06 2023-05-16 深圳市盛基电源有限公司 一种电源适配器
US11925217B2 (en) 2019-04-25 2024-03-12 Kt&G Corporation Recharging system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2163A (ko) * 2011-12-02 2013-06-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방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장치
KR20160002893A (ko) * 2013-04-26 2016-01-08 페퍼를 운트 푹스 게엠베하 전자 모듈을 수용하고 접촉하기 위한 수용 소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2163A (ko) * 2011-12-02 2013-06-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방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장치
KR20160002893A (ko) * 2013-04-26 2016-01-08 페퍼를 운트 푹스 게엠베하 전자 모듈을 수용하고 접촉하기 위한 수용 소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5217B2 (en) 2019-04-25 2024-03-12 Kt&G Corporation Recharging system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CN116131048A (zh) * 2023-02-06 2023-05-16 深圳市盛基电源有限公司 一种电源适配器
CN116131048B (zh) * 2023-02-06 2024-02-13 深圳市盛基电源有限公司 一种电源适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773B1 (ko) 2019-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397B1 (ko) 이동 단말기 및 방열 및 차폐 구조체
US20180308776A1 (en) Electromagnetic shield structure of high frequency circuit and high frequency module
KR20200049620A (ko) 안테나 장치
TWI533793B (zh) 電子裝置及其電磁波屏蔽模組
KR101941773B1 (ko)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
TW201500789A (zh) 光電轉換組件
CN110024502B (zh) 侦听机
US6939054B2 (en) Holding structures for optical elements of an optical connector
CN110999562B (zh) 无线通信组件、遥控器及飞行器
KR102613546B1 (ko) 안테나 장치
WO2019024567A1 (zh) 电磁屏蔽结构及具有此电磁屏蔽结构的电子设备
CN105519248A (zh) 散热屏蔽结构及通信产品
CN109892025B (zh) 侦听机
TWI626876B (zh) 電源供應器散熱結構及其散熱方法
CN211200164U (zh) 一种道闸雷达
CN206557704U (zh) 电源供应器散热结构
CN218071925U (zh) 一种组合型散热屏蔽结构及电子组件
CN211240531U (zh) 电子设备及其安装壳结构
CN217904960U (zh) 功率放大器和无人机
CN219916003U (zh) 一种光模块
CN217740763U (zh) 一种相控阵天线结构
KR102534805B1 (ko) 안테나 장치
CN211554297U (zh) 一种测向装置
KR101412028B1 (ko) 전자파 차폐용 인서트 블록
TWM552999U (zh) 電源供應器散熱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