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327A - 액체 유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체 유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327A
KR20180122327A KR1020187023601A KR20187023601A KR20180122327A KR 20180122327 A KR20180122327 A KR 20180122327A KR 1020187023601 A KR1020187023601 A KR 1020187023601A KR 20187023601 A KR20187023601 A KR 20187023601A KR 20180122327 A KR20180122327 A KR 20180122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nent
compound
acid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635B1 (ko
Inventor
료 하시모토
에이지 오구라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989953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12232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2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st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9/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st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6Compounds containing quaternary nitrogen atoms
    • D06M13/463Compounds containing quaternary nitrogen atoms derived from mono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29/0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amino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07C229/1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amino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the nitrogen atom of the amino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29/1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amino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the nitrogen atom of the amino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to carbon atoms of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amino or carboxyl groups, e.g.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iminodiacet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1/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 C07C321/12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having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21/20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having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r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005Compositions containing perfumes; Compositions containing deodora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2Aldehydes; Ketones
    • D06M13/127Mono-aldehydes, e.g. formaldehyde; Monoketo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25Amines
    • D06M13/328Amines the amino group being bound to an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25Amines
    • D06M13/342Amino-carboxylic acids; Betaines; Aminosulfonic acids; Sulfo-beta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1Starch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황과 같은 이취(異臭)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설계시에 의도한 향기를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저온하에서의 보존 안정성에 우수한 액체 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A)∼(C)성분 : (A) 에스테르기(-COO-) 및/또는 아미드기(-NHCO-)로 분단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를 분자 내에 1∼3개 갖는 아민 화합물, 그 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 (B)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 및, (C) 금속 포착제를 함유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체 유연제 조성물
본 발명은,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취(異臭) 발생을 억제하면서, 설계시에 의도한 향기를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저온하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 유연제의 기능으로서 향기의 지속성을 요구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고, 그것에 대해 다양한 수단이 취하여지고 있다.
향기의 지속성을 달성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향료와 불휘발성의 기질(基質)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향료 전구체(前驅體)를 사용하는 기술이, 유 제, 표백제 및 세제의 분야에서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3). 향료 전구체는, 광이나 열, 물 등의 트리거에 의해 결합이 절단됨으로써 향기를 지속적으로 방출한다. 특히, 티올과 α, β-불포화 케톤형 향료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유황(硫黃) 함유 향료 전구체는, 향기의 지속성에 우수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또한,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를 포함하지 않는 유연제에서는, 배합되는 유연(柔軟) 기제(基劑)가, 이취를 발하거나, 저온하에서의 유연제의 보존 안정성, 특히 동결 복원성의 저하(동기에 액체 유연제가 동결하고, 그 후, 해동한 후에, 동결 전의 점도로 되돌아오지 않는 것)를 일으키거나 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들을 해결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4∼8).
특허 문헌 1 : 특표 2005-511710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표 2014-511414호 공보 특허 문헌 3 : 국제 공개 제2015/073223호 특허 문헌 4 : 특개2015-4145호 공보 특허 문헌 5 : 특개평7-18577호 공보 특허 문헌 6 : 특개평7-18575호 공보 특허 문헌 7 : 특개평9-310276호 공보 특허 문헌 8 : 특개평7-18572호 공보
그렇지만,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를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배합한 경우,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 유래의 유황과 같은 이취가 발생하여, 설계시에 의도하고 있던 기분 좋은 향기가 실현될 수 없음을, 본 발명자는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를 포함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서는, 동결로부터 복원 후의 점도 상승이 크고(환언하면, 동결 복원성이 낮고), 저온하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은 것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과제에 관해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 종류의 유연 기제와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를 포함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금속 포착제를 또한 배합하면, 유황과 같은 이취의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동결로부터 복원 후의 점도 상승도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 지견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관한 것이다.
[1] 액체 유연제 조성물로서,
하기 (A)∼(C)성분 :
(A) 에스테르기(-COO-) 및/또는 아미드기(-NHCO-)로 분단(分斷)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를 분자 내에 1∼3개 갖는 아민 화합물, 그 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
(B)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 및,
(C) 금속 포착제를
함유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
[2] (C)성분에 대한 (B)성분의 질량비((B)/(C))가 0.05∼50인, 상기 [1]에 기재된 액체 유연제 조성물.
[3] (C)성분이, 아미노카르본산 또는 그 염인, 상기 [1] 또는 [2]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유연제 조성물.
[4] (C)성분이, 메틸글리신2아세트산 또는 그 염인, 상기 [3]에 기재된 액체 유연제 조성물.
[5] 또한, (D)성분으로서 고도(高度) 분기(分岐) 환상(環狀)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상기 [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유연제 조성물.
[6] (A)성분이, 일반식(A1-1)∼(A1-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들의 염 및 그들의 염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상기 [1]∼[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유연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01
[(A1-1)식 중,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이고,
(A1-2)∼(A1-8)의 각 식 중,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7∼21의 탄화수소기이다. ]
[7] (B)성분이, 일반식(B-1)으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상기 [1]∼[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유연제 조성물.
Y-S-G-Q (B-1)
[식 중,
Y는, 이하에 표시한 기(基)(Y-1)∼(Y-7)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基) 또는 그 이성체(異性體)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02
((Y-1)∼(Y-7)의 각 식 중, 파선(波線)은 Y-S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고, 점선은
단결합(單結合) 또는 이중결합의 위치를 나타낸다),
S는, 유황 원자를 나타내고,
G는, 2∼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分枝鎖狀)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로부터 유도되는 2가 또는 3가의 기를 나타내고(상기 2가 또는 3가의 기는, 경우에 따라 -OR11, -NR11 2, -COOR11 및 R11기(각 기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낸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置換)되어 있어도 좋다),
Q는, 수소 원자, -S-Y기 또는-NR12-Y기(각 기 중, Y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정되고, 또한, R12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를 나타낸다.]
[8] 일반식(B-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3-(도데실티오)-1-(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3-엔-1-일)-1-부탄온 및 4-(도데실티오)-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2-엔-1-일)-2-부탄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상기 [7]에 기재된 액체 유연제 조성물.
후술하는 실시례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은, 유황과 같은 이취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설계시에 의도한 향기를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잔향성에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은, 저온하에서의 보존 안정성(특히, 동결 복원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는 없는 부가가치를 갖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은, 하기 (A)∼(C)성분 :
(A) 에스테르기(-COO-) 및/또는 아미드기(-NHCO-)로 분단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를 분자 내에 1∼3개 갖는 아민 화합물, 그 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
(B)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 및,
(C) 금속 포착제를 함유한다.
[(A)성분]
(A)성분은, 「에스테르기(-COO-) 및/또는 아미드기(-NHCO-)로 분단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를 분자 내에 1∼3개 갖는 아민 화합물, 그 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카티온 계면활성제이다.
(A)성분은, 유연 기제이고, 섬유 제품에 유연성(촉감)을 부여하는 효과(즉, 유연제 본래의 기능)를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부여하기 위해 배합된다.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이하, 본 명세서에서 「장쇄(長鎖) 탄화수소기」라고 말하는 일이 있다)의 탄소수는 10∼26이고, 17∼26이 바람직하고, 19∼24가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10 이상이면 유연성 부여 효과가 양호하고, 26 이하면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핸들링성이 양호하다.
장쇄 탄화수소기는, 포화라도 불포화라도 좋다. 장쇄 탄화수소기가 불포화인 경우, 이중결합의 위치는 어느 개소에서도 상관없지만, 이중결합이 1개인 경우에는, 그 이중결합의 위치는 장쇄 탄화수소기의 중앙이든지, 중앙치를 중심으로 분포하고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쇄 탄화수소기는, 쇄상(鎖狀)의 탄화수소기라도, 구조 중에 환(環)을 포함하는 탄화수소기라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쇄상의 탄화수소기이다. 쇄상의 탄화수소기는, 직쇄상, 분기쇄상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쇄상의 탄화수소기로서는,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가 바람직하고,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장쇄 탄화수소기는, 에스테르기(-COO-) 및/또는 아미드기(-NHCO-)로 분단되어 있어도 좋다. 즉, 장쇄 탄화수소기는, 그 탄소쇄 중에, 에스테르기 및 아미드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분단기를 가지며, 그 분단기에 의해 탄소쇄가 분단된 것이라도 좋다. 그 분단기를 가지면, 생분해성(生分解性)이 향상하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 분단기를 갖는 경우, 하나의 장쇄 탄화수소기가 갖는 분단기의 수는 하나라도 2개 이상이라도 좋다. 즉, 장쇄 탄화수소기는, 분단기에 의해 1개소가 분단되어 있어도 좋고, 2개소 이상이 분단되어 있어도 좋다. 분단기를 2개 이상 갖는 경우, 각 분단기는, 같아도 달라도 좋다.
또한, 장쇄 탄화수소기가 그 탄소쇄 중에 분단기를 갖는 경우, 분단기가 갖는 탄소 원자는, 장쇄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로 카운트하는 것으로 한다.
장쇄 탄화수소기는, 통상, 공업적으로 사용된 우지(牛脂) 유래의 미수첨(未水添) 지방산, 불포화부를 수첨 또는 부분 수첨하여 얻어지는 지방산, 팜야자, 유(油)야자 등의 식물 유래의 미수첨 지방산 또는 지방산에스테르, 또는 불포화부를 수첨 또는 부분 수첨하여 얻어지는 지방산 또는 지방산에스테르 등을 사용함에 의해 도입된다.
아민 화합물로서는, 2급아민 화합물(장쇄 탄화수소기의 수(數)가 2개) 또는 3급아민 화합물(장쇄 탄화수소기의 수가 3개)이 바람직하고, 3급아민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민 화합물로서는, 하기 일반식(A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3
[식 중, R1∼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 -CH2CH(Y)OCOR4(Y는 수소 원자 또는 CH3이고, R4은 탄소수 7∼21의 탄화수소기이다.), -(CH2)nNHCOR5(n은 2 또는 3이고, R5은 탄소수 7∼21의 탄화수소기이다.), 수소 원자, 탄소수 1∼4의 알킬기, -CH2CH(Y)OH(Y는 수소 원자 또는 CH3이다), 또는, -(CH2)nNH2(n은 2 또는 3이다)이고,
R1∼R3 중의 적어도 하나는,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 -CH2CH(Y)OCOR4, 또는-(CH2) nNHCOR5이다.]
일반식(A1) 중, R1∼R3에서의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17∼26이 바람직하고, 19∼24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탄화수소기는, 포화라도 불포화라도 좋다. 그 탄화수소기로서는,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가 바람직하다.
-CH2CH(Y)OCOR4 중, Y는 수소 원자 또는 CH3이고, 수소 원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R4은 탄소수 7∼21의 탄화수소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5∼19의 탄화수소기이다. 일반식(A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 R4이 복수 존재할 때, 그 복수의 R4은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각각 달라도 상관없다.
R4의 탄화수소기는, 탄소수 8∼22의 지방산(R4COOH)으로부터 카르복시기를 제외한 잔기(殘基)(지방산 잔기)이고, R4의 기본이 되는 지방산(R4COOH)은, 포화 지방산이라도 불포화 지방산이라도 좋고, 또한, 직쇄 지방산이라도 분기 지방산이라도 좋다. 그중에서도,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유연 처리한 의류에 양호한 흡수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R4의 기본이 되는 지방산의 포화/불포화 비율(질량비)은, 90/10∼0/100이 바람직하고, 80/20∼0/100보다 바람직하다.
R4이 불포화 지방산 잔기인 경우, 시스체와 트랜스체가 존재하는데, 시스체/트랜스체의 질량 비율은, 40/60∼100/0이 바람직하고, 70/30∼90/10이 특히 바람직하다.
R4의 기본이 되는 지방산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미리스틴산, 라우린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리놀산, 부분 수첨 팜유 지방산(요오드가(價) 10∼60)이나, 부분 수첨 우지 지방산(요오드가 10∼60)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미리스틴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및 리놀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을 소정량씩 조합시켜, 이하의 조건(a)∼(c)를 충족시키도록 조정한 지방산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포화 지방산/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질량 비)이 90/10∼0/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20∼0/100이다.
(b) 시스체/트랜스체의 비율(질량 비)이 40/60∼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30∼90/10이다.
(c) 탄소수 18의 지방산이 6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고, 탄소수 20의 지방산이 2질량% 미만이고, 탄소수 21∼22의 지방산이 1질량% 미만이다.
일반식(A1)에서의, 기「-(CH2)nNHCOR5」 중, n은 2 또는 3이고, 3이 특히 바람직하다.
R5은 탄소수 7∼21의 탄화수소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5∼19의 탄화수소기이다. 일반식(A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 R5이 복수 존재할 때, 그 복수의 R5은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각각 달라도 상관없다.
R5로서는, R4과 마찬가지의 것을 구체적으로 들 수 있다.
일반식(A1)에 있어서, R1∼R3 중, 적어도 하나는 장쇄 탄화수소기(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 -CH2CH(Y)OCOR4, 또는-(CH2)nNHCOR5)이고, 2개가 장쇄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1∼R3 중, 1개 또는 2개가 장쇄 탄화수소기인 경우, 나머지 2개 또는 하나는, 수소 원자, 탄소수 1∼4의 알킬기, -CH2CH(Y)OH, 또는-(CH2)nNH2이고, 탄소수 1∼4의 알킬기, -CH2CH(Y)OH, 또는-(CH2)nNH2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소수 1∼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CH2CH(Y)OH에서의 Y는, -CH2CH(Y)OCOR4 중의 Y와 마찬가지이다. -(CH2)nNH2에서의 n은, -(CH2)nNHCOR5 중의 n과 마찬가지이다.
일반식(A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서, 하기 일반식(A1-1)∼(A1-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4
[(A1-1)식 중,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이다. (A1-2)∼(A1-8)의 각 식 중,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7∼21의 탄화수소기이다. ]
R7 및 R8에서의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일반식(A1)의 R1∼R3에서의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R9 및 R10에서의 탄소수 7∼21의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일반식(A1)의 R4에서의 탄소수 7∼21의 탄화수소기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식중에 R9이 복수 존재할 때, 그 복수의 R9은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각각 달라도 상관없다.
(A)성분은, 아민 화합물의 염이라도 좋다.
아민 화합물의 염은, 그 아민 화합물을 산으로 중화함에 의해 얻어진다. 아민 화합물의 중화에 사용하는 산으로서는, 유기산이라도 무기산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염산, 황산이나, 메틸황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민 화합물의 중화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A)성분은, 아민 화합물의 4급화물이라도 좋다.
아민 화합물의 4급화물은, 그 아민 화합물에 4급화제를 반응시켜서 얻어진다. 아민 화합물의 4급화에 사용하는 4급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메틸 등의 할로겐화알킬이나, 디메틸황산 등의 디알킬황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4급화제를 아민 화합물이라고 반응시키면, 아민 화합물의 질소 원자에 4급화제의 알킬기가 도입되어, 4급암모늄 이온과 할로겐 이온 또는 모노알킬황산 이온과의 염이 형성된다. 4급화제에 의해 도입되는 알킬기는, 탄소수 1∼4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 또는 에틸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민 화합물의 4급화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A)성분으로서는,
일반식(A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 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고,
일반식(A1-1)∼(A1-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 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보다 바람직하고,
일반식(A1-4)∼(A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 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일반식(A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과, (A1-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과, (A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A1) 및 (A1-1)∼(A1-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 염 및 그 4급화물은, 시판의 것을 사용하여도 좋고,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일반식(A1-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A1-2)」이라고 한다)과, 일반식(A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A1-3)」이라고 한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일반식(A1)의 R4의 난(欄)에서 설명한 지방산 조성물, 또는 그 지방산 조성물에서의 지방산을 그 지방산의 메틸에스테르로 치환한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조성물과, 메틸디에탄올아민과의 축합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그때, 유연성 부여를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화합물(A1-2)/화합물(A1-3)」로 표시되는 존재 비율이, 질량비로 99/1∼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4급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4급화제로서 디메틸황산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때, 유연성 부여의 관점에서 「화합물(A1-2)의 4급화물/화합물(A1-3)의 4급화물」로 표시되는 존재 비율이, 질량비로 99/1∼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A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A1-4)」이라고 한다)과, 일반식(A1-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A1-5)」이라고 한다)과, 일반식(A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A1-6)」이라고 한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일반식(A1)의 R4의 난에서 설명한 지방산 조성물 또는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조성물과 트리에탄올아민과의 축합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그때, 화합물(A1-4), (A1-5) 및 (A1-6)의 합계 질량에 대한 개개의 성분의 함유 비율은, 유연성 부여의 관점에서, 화합물(A1-4)이 1∼60질량%, 화합물(A1-5)이 5∼98질량%, 화합물(A1-6)이 0.1∼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화합물(A1-4)이 30∼60질량%, 화합물(A1-5)이 10∼55질량%, 화합물(A1-6)이 5∼3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그 4급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4급화 반응을 충분히 진행시키는 점에서, 4급화제로서 디메틸황산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합물(A1-4), (A1-5) 및 (A1-6)의 각 4급화물의 존재 비율은, 유연성 부여의 관점에서 질량비로, 화합물(A1-4)의 4급화물이 1∼60질량%, 화합물(A1-5)의 4급화물이 5∼98질량%, 화합물(A1-6)의 4급화물이 0.1∼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화합물(A1-4)의 4급화물이 30∼60질량%, 화합물(A1-5)의 4급화물이 10∼55질량%, 화합물(A1-6)의 4급화물이 5∼3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화합물(A1-4), (A1-5) 및 (A1-6)을 4급화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4급화 반응 후에도 4급화되어지 않은 에스테르 아민이 잔류한다. 그때, 「4급화물/4급화되어지 않은 에스테르 아민」의 비율은 70/30∼99/1의 질량 비율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A1-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A1-7)」이라고 한다) 및 일반식(A1-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A1-8)」이라고 한다)은, 일반식(A1)의 R4의 난에서 설명한 지방산 조성물과, N-메틸에탄올아민과 아크릴로니트릴의 부가물로부터, J. Org. Chem. , 26, 3409(1960)에 기재된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한 N-(2-히드록시에틸)-N-메틸-1,3-프로필렌디아민과의 축합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그때, 「화합물(A1-7)/화합물(A1-8)」로 표시되는 존재 비율이 질량비로 99/1∼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4급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4급화제로서 염화메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합물(A1-7)의 4급화물/화합물(A1-8)의 4급화물」로 표시되는 존재 비율이, 질량비로 99/1∼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성분은, 1종류의 아민 화합물, 그 염 또는 그 4급화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 예를 들면, 일반식(A1-4)∼(A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A)성분의 배합량은, 배합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양인 한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3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질량%이다.
[(B)성분]
(B)성분은,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이다.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란, 향료와, 유황을 함유하는 불휘발성의 기질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화합물을 말한다.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 자체는 향기를 내지 않지만, 열이나 광, 물 등의 트리거에 의해 향료와 기질 사이의 결합이 절단되면 향료가 방출되고, 향기를 낸다. 그때문에,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로 의류를 처리하면, 당해 의류의 착용 후나 보관 후 등, 사용 장면의 후반에서도 향료로서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B)성분은,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의한 처리 후의 섬유 제품에의 향기 붙임을 위해 배합된다.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로서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B-1)으로 표시되는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이다.
Y-S-G-Q (B-1)
일반식(B-1) 중,
Y는, 이하에 표시한 기(Y-1)∼(Y-7)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 또는 그 이성체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05
((Y-1)∼(Y-7)의 각 식 중, 파선은 Y-S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고, 점선은 단결합 또는 이중결합의 위치를 나타낸다),
S는, 유황 원자를 나타내고,
G는, 2∼15개, 바람직하게는 10∼14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로부터 유도되는 2가 또는 3가의 기를 나타내고(상기 2가 또는 3가의 기는, 경우에 따라 -OR11, -NR112, -COOR11 및 R11기(각 기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낸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Q는, 수소 원자, -S-Y기 또는 -NR12-Y기(각 기 중, Y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정되고, 또한, R12이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를 나타낸다.
여기서, 일반식(B-1) 중의 (Y-1)∼(Y-7)의 각 식으로 표시되는 기의 「이성체」란, 각 기가 화학 구조상 취할 수 있는 이성체, 예를 들면, 입체 이성체 등을 말한다.
일반식(B-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도 좋다.
일반식(B-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메틸 또는 에틸2-(4-옥소-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3-엔-1-일)부탄-2-일아미노)-3-(4-옥소-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3-엔-1-일)부탄-2-일티오)프로판오에이트, 메틸 또는 에틸2-(4-옥소-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2-엔-1-일)부탄-2-일아미노)-3-(4-옥소-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2-엔-1-일)부탄-2-일티오)프로판오에이트, 메틸 또는 에틸2-(2-옥소-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1-엔-1-일)부탄-4-일아미노)-3-(2-옥소-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1-엔-1-일)부탄-4-일티오)프로판오에이트, 메틸 또는 에틸2-(2-옥소-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2-엔-1-일)부탄-4-일아미노)-3-(2-옥소-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2-엔-1-일)부탄-4-일티오)프로판오에이트, 3-(도데실티오)-1-(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3-엔-1-일)-1-부탄온, 3-(도데실티오)-1-(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2-엔-1-일)-1-부탄온, 4-(도데실티오)-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2-엔-1-일)-2-부탄온, 4-(도데실티오)-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1-엔-1-일)-2-부탄온, 2-도데실술판일-5-메틸-헵탄-4-온, 2-시클로헥실-1-도데실술판일-헵토-6-엔-3-온 및 3-(도데실티오)-5-이소프로펜일-2-메틸시클로헥산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향기의 지속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3-(도데실티오)-1-(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3-엔-1-일)-1-부탄온, 4-(도데실티오)-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2-엔-1-일)-2-부탄온, 4-(도데실티오)-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1-엔-1-일)-2-부탄온 및 3-(도데실티오)-5-이소프로펜일-2-메틸시클로헥산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도데실티오)-1-(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3-엔-1-일)-1-부탄온 및 4-(도데실티오)-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2-엔-1-일)-2-부탄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는, 시장에서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든지, 또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합성 가능하다.
(B)성분은, 1종류의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B)성분의 배합량은, 배합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양인 한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001∼1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0.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2질량%이다.
[(C)성분]
(C)성분은, 금속 포착제(捕捉劑)이다.
(C)성분은, (B)성분(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 유래의 유황과 같은 이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과,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저온하에서의 보존 안정성(동결 복원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된다.
금속 포착제로서는, 일반적으로 금속 포착 효과가 알려져 있는 화합물을 특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C)성분은 유리산이라도 좋고, 그 염이라도 좋다. 염은, 알칼리금속염이 바람직하고, 나트륨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C)성분은 수화물이라도 좋다.
(C)성분의 구체례로서는, 아미노카르본산 및 그 염, 무기 인산 및 그 염, 및 유기 인산 및 그 염이나, 히드록시산 및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아미노카르본산이 바람직하다.
아미노카르본산으로서는, 하기한 산 및 그 알칼리금속염을 들 수 있다.
DEG(N,N-디-(2-히드록시에틸)글리신 : N,N-Di-(2-hydroxyethyl)glycine)
HEIDA(N-(2-히드록시에틸)이미노2아세트산 : N-(2-hydroxyethyl)iminodiacetic acid)
HEDTA(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 : N-(hydroxyethyl)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NTA(니트릴로3아세트산 : Nitrilo Triacetic Acid), 및, 그 염(특히 3나트륨염)
DTPA(디에틸렌 트리아민오 아세트산 : Diethylene Triamine Pentaacetic Acid),
HEDTA(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3아세트산 : Hydroxyethyl Ethylene Diamine Triacetic Acid)
EDTA(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 :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및, 그 염(특히 4나트륨염)
MGDA(메틸글리신2아세트산 : Methylglycine Diacetic Acid), 및, 그 염(특히 3나트륨염)
GLDA(L글루타민산2아세트산 : Dicarboxymethyle Glutamic Acid)
ASDA(아스파라긴산2아세트산 : Aspartate Diacetic Acid)
EDDS(에틸렌디아민디호박산 : Ethylenediamine Disuccinic Acid)
HIDS(히드록시이미노디호박산 : Hydroxy Iminodisuccinic Acid)
IDS(이미노디호박산 : Iminodisuccinic Acid)
상기 중에서도, NTA, EDTA, MGDA, GLDA, ASDA, EDDS, HIDS, HEIDA 또는 그들의 염알칼리금속염이 배합 효과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생분해성이 양호한 MGDA, GLDA, ASDA, EDDS, HIDS, HEIDA 또는 그들의 염알칼리금속염이 환경 부하 저감의 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 인산 및 그 염의 구체례로서는, 트리폴리인산 및 그 염이나, 피로인산 및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인산 및 그 염의 구체례로서는,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및 그 염이나, 폴리포스폰산 및 그 염이나, 피틴산 및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시산 및 그 염의 구체례로서는, 구연산 및 그 염(예를 들면, 구연산의 3나트륨염)이나 사과산 및 그 염(예를 들면, 사과산의 2나트륨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구연산 및 그 염이 바람직하다.
(C)성분은, 시장에서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든지, 또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합성 가능하다.
(C)성분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도 좋다.
(C)성분의 배합량은, 배합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양인 한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0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1질량%이다. 배합량이 0.001∼5질량%이면, 우수한 배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C)성분에 대한 (A)성분의 질량비((A)/(C))가 0.1∼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0이다. (A)/(C)를 0.1∼500으로 하면, 보다 높은 배합 효과(유황과 같은 이취의 발생 억제 효과 및 동결 복원성)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C)성분에 대한 (B)성분의 질량비((B)/(C))가 0.05∼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특히 바람직하게는 0.2∼1이다. (B)/(C)를 0.05∼50으로 하면, 보다 높은 (C)성분의 배합 효과(유황과 같은 이취의 발생 억제 효과 및 동결 복원성)를 얻을 수 있다.
임의 성분
본 발명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응하여, 상기 (A)∼(C)의 필수 성분 이외의 임의 성분을 배합하여도 좋다.
임의 성분으로서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배합되는 성분을 들 수 있다. 구체례로서는,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D)성분), 물(水), 비이온 계면활성제, 향료, 수용성 염류, 염료, 수용성 용제,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항균제, 소취제(消臭劑)나, 스킨 케어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몇 개인가의 임의 성분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이하, 「(D)성분」이라고도 한다 )
(D)성분은,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이다.
(D)성분은, (A)성분이나 (B)성분에 유래하는 냄새를 또한 억제하기 위해 배합된다.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이란, 내분기(內分岐) 환상 구조 부분과 외분기 구조 부분을 갖는, 중합도가 50부터 10000의 범위에 있는 글루칸을 말한다. 여기서, 내분기 환상 구조 부분이란, α-1,4-글루코시드 결합과 α-1,6-글루코시드 결합으로 형성되는 환상 구조 부분을 말하고, 외분기 구조 부분이란, 그 내분기 환상 구조 부분에 결합한 비환상 구조 부분을 말한다.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은, 클러스터 덱스트린이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에서의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은, 중량평균분자량이 3만부터 100만 정도이고, 분자 내에 환상 구조(내분기 환상 구조 부분)를 하나 가지며, 또한 그 환상 구조 부분에 다수의 글루칸쇄(鎖)(외분기 구조 부분)가 결합한 중량평균중합도 2500 정도의 덱스트린을 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의 내분기 환상 구조 부분은 10∼100개 정도의 글루코스로 구성되어 있고, 이 내분기 환상 구조 부분에, 비환상의 다수의 분기 글루칸쇄로 이루어지는 외분기 구조 부분이 결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의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의 중합도는 50∼5000의 범위에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의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의 내분기 환상 구조 부분의 중합도는, 10∼100의 범위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의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의 외분기 구조 부분의 중합도는, 40 이상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의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의 외분기 구조 부분의 각 단위쇄의 중합도는, 평균으로 10∼20이다.
본 발명에서의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은, 예를 들면, 전분을 원료로 하여, 브랜칭엔자임이라고 하는 효소를 작용시켜서 제조된다.
원료인 전분은, 글루코스가 α-1,4-글루코시드 결합에 의해 직쇄상으로 결합한 아밀로스와, α-1,6-글루코시드 결합에 의해 복잡하게 분기된 구조를 갖는 아밀로펙틴으로 이루어지는고, 아밀로펙틴은, 클러스터 구조가 다수 연결된 거대 분자이다. 사용 효소인 브랜칭엔자임은, 동식물, 미생물에 널리 분포하는 글루칸쇄 전이(轉移) 효소이고, 아밀로펙틴의 클러스터 구조의 이음매 부분에 작용하여, 이것을 환상화(環狀化)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의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은, 특개평8-134104에 기재된, 내분기 환상 구조 부분과 외분기 구조 부분을 갖는, 중합도가 50부터 10000의 범위에 있는 글루칸이다. 본 명세서에서,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은, 특개평8-134104의 기재를 참작하여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은,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한 구조를 가지며, 또한 중합도(중량평균분자량)가 큰 것이고, α-시클로덱스트린(n=6), β-시클로덱스트린(n=7), γ-시클로덱스트린(n=8) 등의 글루코스가 6∼8개 결합한 일반적인 시클로덱스트린과는 다르다.
본 발명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의 구체례로서는, 구리코영양식품주식회사의 「클러스터덱스트린」(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서, (D)성분의 배합량은, 배합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양인 한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2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1질량%이다. 배합량이 0.05∼5질량%면, 우수한 배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水)
본 발명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물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이다.
물로서는, 수도물, 정제수, 순수, 증류수, 이온교환수 등,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이온교환수가 알맞다.
물의 배합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소망하는 성분 조성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이하, 「(E)성분」이라고도 한다 )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이 유화물(乳化物)인 경우에, 주로, 유화물 중에서의 유용성(油溶性) 성분의 유화 분산 안정성을 향상하는 목적으로 배합할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면, 상품가치상 충분한 레벨의 동결 복원 안정성이 확보되기 쉽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다가알코올, 고급알코올, 고급아민 또는 고급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린 또는 펜타에리스리톨에 탄소수 10∼22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 탄소수 10∼22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가지며,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가 10∼100몰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알킬(그 알킬의 탄소수 1∼3)에스테르 ;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가 10∼100몰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 탄소수 8∼18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갖는 알킬폴리글루코시드 ;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가 10∼100몰인 경화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탄소수 10∼18의 알킬기를 가지며,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가 20∼80몰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가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배합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양인 한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8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질량%이다.
향료(이하, 「(F)성분」이라고도 한다 )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는, (B)성분(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 이외의 향료를 임의 성분으로서 배합할 수 있다.
향료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범용의 향료를 사용 가능하고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용할 수 있는 향료 원료의 리스트는, 다양한 문헌, 예를 들면 「Perfume and Flavor Chemicals」, Vol. I and II, Steffen Arctander, Allured Pub. Co. (1994) 및 「합성 향료 화학과 상품 지식」, 인도우모토이치저, 화학공업 일보사(1996) 및 「Perfume and Flavor Materials of Natural Origin」, Steffen Arctander, Allured Pub. Co. (1994) 및 「향기의 백과」, 일본향료협회편, 아사쿠라 점(1989) 및 「Perfumery Material Performance V. 3. 3」, Boelens Aroma Chemical Information Service(1996) 및 「Flower oils and Floral Compounds In Perfumery」, Danute Lajaujis Anonis, Allured Pub. Co. (1993) 등에 기재되어 있다.
향료는, 1종류의 향료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향료의 배합량은, 배합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양인 한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3%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 5질량%이다.
본 발명에서는, (F)성분에 대한 (B)성분의 질량비((B)/(F))가 0.01∼2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1,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5이다. (B)/(F)를 0.01∼2로 하면, 세탁 공정의 탈수 후로부터 건조 후까지 바람직한 향기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수용성 염류(이하, 「(G)성분」이라고도 한다 )
수용성 염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점도를 컨트롤하는 목적으로 배합할 수 있다. 수용성 염류로서는, 무기염 및 유기염의 모두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p-톨루엔술폰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염류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수용성 염류의 배합량은, 배합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양인 한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0.01∼1질량%이다. 또한, 수용성 염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 제조의 어느 공정에서 배합하여도 상관없다.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pH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pH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존 경과일(經日)에 수반하는 (A)성분의 분자 중에 포함되는 에스테르기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25℃에서의 pH를 1∼6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4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B)성분의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의 분해를 보다 억제하는 목적으로,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25℃에서의 pH를 7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H 조정에는, 염산, 황산, 인산, 알킬황산, 안식향산, 파라톨루엔술폰산,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알칼리금속 탄산염이나, 알칼리금속 규산염 등의 pH 조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점도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점도는, 그 사용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25℃에서의 점도가 800m㎩·s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존 경과일에 의한 점도 상승을 고려하면, 제조 직후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가 500m㎩·s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m㎩·s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세탁기에의 투입할 때의 핸들링성 등의 사용성이 양호하다.
또한,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점도는, B형 점도계(TOKIMEC사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주제로서 카티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종래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성분, (B)성분, (E)성분 및 (F)성분을 포함하는 유상(油相)과, 수상을, (A)성분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하에서 혼합하여 유화물을 조제하고, 그 후, 얻어진 유화물에 (C)성분, (D), (G)성분과 필요에 응하여 다른 성분을 첨가, 혼합함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유상은, (A)성분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A)성분, (B)성분, (E)성분, (F)성분과 필요에 응하여 임의 성분을 혼합함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수상은, 물과 필요에 응하여 임의 성분을 혼합함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B)성분, (C)성분, (D), (E)성분 및 (F)성분의 첨가 방법은, 상기 기재된 첨가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B)성분, (E)성분 및 (F)성분의 각 성분은, 유화물이 얻어진 후, 첨가, 혼합함에 의해 액체 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각 성분을 각각 단독으로 첨가하여도 좋고, 또는, (B)성분, (E)성분 및 (F)성분을 프리믹스한 후, 유상 또는 유화물에 첨가하여도 좋다. 또 (E)성분은, 수상이나 유화물이 얻어진 후에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유상과 수상으로 분할하여 첨가할 수도 있다. (C)성분, (D)성분 및 (E)성분은, 수상에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사용 방법
본 발명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사용 방법에 특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인 액체 유연제 조성물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의 헹굼의 단계에서 헹구는 물에 본 발명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을 용해시켜서 피세물을 유연 처리하는 방법이나, 본 발명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을 대야와 같은 용기 중의 물에 용해시키고, 다시 피세물을 넣어 침지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실시례
이하, 실시례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실시례 및 비교례에서, 각 성분의 배합량은 전부 질량%(지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순분(純分) 환산)를 나타낸다.
실시례 및 비교례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한 성분 및 제조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A)성분]
하기한 A-1∼A-3을 사용하였다.
A-1 : 카티온 계면활성제(특개2003-12471의 실시례 4에 기재된 화합물). A-1은, 일반식(A1-4), (A1-5) 및 (A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각 식 중, R9은 탄소수 15∼17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다)을 디메틸황산으로 4급화한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A-2 : 카티온 계면활성제(Stepan제, 상품명 : Stepantex SE-88). A-2는, 일반식(A1-4), (A1-5) 및 (A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각 식 중, R9은 탄소수 15∼17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다)을 디메틸황산으로 4급화한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A-3 : 카티온 계면활성제(토우난합성(주)제, 상품명 : HITEX RO16E). A-3은, 일반식(A1-4), (A1-5) 및 (A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각 식 중, R9은 탄소수 15∼17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다)을 디메틸황산으로 4급화한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B)성분]
하기한 B-1∼B-2를 사용하였다.
B-1 : 3-(도데실티오)-1-(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3-엔-1-일)-1-부탄온. B-1은, 특표 2005-511710호 공보의 예 4 기재의 화합물이다. 또한, B-1은, 일반식(B-1) : Y-S-G-Q 중, Y가 Y-1(3, 4위(位)에 이중결합을 갖는다)로 표시되는 기, G가 탄소 원자 12개로 이루어지는 도데실기, Q가 수소 원자인 화합물이다.
B-2 : 4-(도데실티오)-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2-엔-1-일)-2-부탄온. B-2는, 원료로서 도데칸티올(토쿄화성공업주식회사제)와 요논(에·만피스 향료주식회사제)을 사용하고, 특표 2005-511710호 공보의 예 4에 기재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또한, B-2는, 일반식(B-1) : Y-S-G-Q 중, Y가 Y-2(1, 2위에 이중결합을 갖는다)로 표시되는 기, G가 탄소 원자 12개로 이루어지는 도데실기, Q가 수소 원자인 화합물이다.
[(C)성분]
하기한 C-1∼C-4를 사용하였다.
C-1 : 메틸글리신2아세트산3나트륨(MGDA의 3나트륨염)(BASF사제, 상품명 「트리롱 M」)
C-2 :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4나트륨4수화물(EDTA의 4나트륨염의 수화물)(준세이화학주식회사)
C-3 : 니트릴로3아세트산3나트륨1수화물(NTA의 3나트륨염의 수화물)(토쿄화성공업주식회사)
C-4 : 구연산3 나트륨(와코 순약 공업(주))
[(D)성분]
(D)성분으로서, 하기한 D-1을 사용하였다.
D-1 : 클러스터덱스트린(등록상표, 구리코영양식품주식회사, 중량평균분자량 : 30만)
[(E)성분]
(E)성분으로서, 하기한 E-1을 사용하였다.
E-1 : 비이온 계면활성제(1급 이소트리데실알코올의 에틸렌옥시드 60몰 부가물. BASF사제 루텐졸O3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것)
[(F)성분]
(F)성분으로서, 표 1에 기재된 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6
[(G)성분]
(G)성분으로서, 염화칼슘(와코순약주식회사제)을 사용하였다. 각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서의 (G)성분의 배합량은,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0.3질량%이였다.
또한 임의 성분으로서, 표 2 기재의 공통 성분 1을 사용하였다.
[표 2]
Figure pct00007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조제 방법
내경 100㎜, 높이 150㎜의 유리 용기와, 교반기(아지타 SJ형, 시마즈제작소제)를 이용하여, 각 성분의 배합량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정하여, 다음의 순서에 의해 액체 유연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우선, (A)성분, (B)성분, (E)성분 및 (F)성분을 혼합 교반하여, 유상 혼합물을 얻었다. 한편, 공통 성분 1을 밸런스용 이온교환수에 용해시켜서 수상 혼합물을 얻었다. 여기서, 밸런스용 이온교환수의 질량은, 980g으로부터 유상 혼합물, (C)성분 및 (G)성분의 합계량을 공제한 잔부에 상당한다.
다음에, (A)성분의 융점 이상으로 가온한 유상 혼합물을 유리 용기에 수납하여 교반하면서, (A)성분의 융점 이상으로 가온한 수상 혼합물을 2회(度)로 분할하여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여기서, 수상 혼합물의 분할 비율은 30 : 70(질량비)으로 하고, 교반은 회전 속도 1,500rpm으로, 1회째의 수상 혼합물 첨가 후에 3분간, 2회째의 수상 혼합물 첨가 후에 2분간 행하였다. 그리고 나서, (C)성분, (D)성분 및 (G)성분을 첨가하였다. 또한, (C)성분, (D)성분 및 (G)성분은 첨가 전에 이온교환수에 용해하여, 30%wt 수용액으로서 사용하였다. 또한 필요에 응하여, 염산(시약 1mol/ℓ, 간토우화학), 또는 수산화나트륨(시약 1mol/ℓ, 간토우화학)을 적량 첨가하여 pH 2.5로 조정하고, 또한 전체 질량이 1,000g이 되도록 이온교환수를 첨가하여, 목적하는 유연제 조성물(실시례 1∼14 및 비교례 1∼3)을 얻었다.
표 3 중, (A), (B), (C), (D), (E), (F) 및 (G)의 각 성분의 수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한 배합량(질량%)이다.
표 3 중, 「(A)/(C)」는, (C)성분에 대한 (A)성분의 질량비를 나타낸다.
표 3 중, 「(B)/(C)」는, (C)성분에 대한 (B)성분의 질량비를 나타낸다.
표 3 중, 「(B)/(F)」는, (F)성분에 대한 (B)성분의 질량비를 나타낸다.
표 3 중, 「초기 점도」는, 제조 직후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B형 점도계(TOKIMEC사제)를 이용하여 측정)를 나타낸다.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평가 방법
얻어진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관해, 이하의 순서에 의해 「향기」 및 「향기의 지속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향기 평가>
액체 유연제 조성물을 경량 PS 유리병(PS-No. 11, 타누마유리공업소제)에 100㎖ 넣고 밀전(密栓)하고, 그 향기를 이하에 나타내는 4단계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전문 패널러 5명의 평균점으로서 표시한 결과를, 표 3의 「향기 평가」의 난에 나타낸다. 상품가치상, 평균점으로 2.0 이하를 합격으로 하였다.
<평가 기준>
0 : 이취가 없다
1 : 이취를 겨우 인지할 수 있는
2 : 신경이 쓰이지 않는 정도로 이취를 느낀다
3 : 확실하게 이취가 난다.
<향기의 지속성 평가>
(평가용 천(布)의 전처리)
시판의 면 타월(토우신사제)을, 시판 세제 「톱프라티나클리어」(라이온사제)로, 2조식 세탁기(도시바제VH-30S)를 이용하여, 이하의 전처리를 3회 행하였다.
전처리 : 세제 표준 사용량, 욕비 30배, 45℃의 수도물로의 세정 10분간과, 계속된 주수(注水) 헹굼 10분간의 사이클을 2회.
(세탁시 헹굼 공정에서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의한 처리)
전처리 세정한 면 타월(토우신사제) 1.0㎏을, 2조식 세탁기(도시바제VH-30S)를 이용하여, 시판 세제 「톱프라티나클리어」(라이온사제)로 10분간 세정하고(표준 사용량, 표준 코스, 욕비 30배, 25℃의 수도물 사용), 그 후, 1분간의 탈수를 행하고, 뒤이어 1회째의 헹굼을 3분간 행하였다. 1회째의 헹굼의 후, 1분간의 탈수를 행하고, 뒤이어 계속해서 2회째의 헹굼을 3분간 행하였다. 이 2회째의 헹굼의 시작시에, 상기한 각 예에서 얻은 액체 유연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3분간의 유연 처리(마무리제 6.67㎖, 욕비 20배, 25℃의 수도물 사용)를 행하였다. 유연 처리 후, 탈수를 1분간 행하였다.
처리 후, 2조식 세탁기로부터 면 타월을 꺼내고, 20℃, 40%RH의 항온항습 조건 하에서 18시간 건조시켜, 하기에 나타내는 평가에 제공하였다.
(유연제 조성물 적용후의 향기 지속성의 평가)
상기 처리 후, 면 타월을 20℃, 40RH의 조건하에서 7일간 보관한 후, 향기 강도를 하기한 6단계 냄새 강도 표시법에 준거하여 관능 평가하였다. 전문 패널러 5명의 평균점으로서 표시한 결과를, 표 3의 「향기 지속성」의 난에 나타낸다. 상품가치 상, 평균점으로 2.5 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6 단계 냄새 강도 표시법>
0 : 무취
1 : 겨우 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향기
2 : 어떤 향기인지 알 정도의 향기
3 : 편안하게 감지할 수 있는 향기
4 : 강한 향기
5 : 강렬한 향기
<동결 복원성의 평가>
각 액체 유연제 조성물을 경량 PS 유리병(PS-No. 11, 타누마유리공업소제)에 90㎖ 넣고 밀전한 것을, 동결 용해 처리(-15℃로 40시간의 동결 처리와, 계속된 25℃로 8시간의 용해 처리로 1사이클) 행한 후, 각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점도를, B형 점도계(TOKIMEC사제 BL 점도계)에 의해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회전수 30회전/분으로 10회전째의 값을 점도 측정치로 하였다.
또한, 측정한 조성물의 점도가 1000m㎩·s 이하인 경우는 No. 2 로터, 1000m㎩·s를 넘는 경우는 No. 3 로터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점도를 표 3의 「동결 복원성」의 난에 나타낸다. 측정된 점도를 하기한 기준으로 분류하고, 2점 이상을 상품가치상 합격으로 판정하였다.
<평가 기준>
0 : 1000m㎩·s 이상
1 : 800m㎩·s 이상 1000m㎩·s 미만
2 : 500m㎩·s 이상 800m㎩·s 미만
3 : 300m㎩·s 이상 500m㎩·s 미만
4 : 300m㎩·s 미만
[산업상의 사용 가능성]
본 발명은, 액체 유연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표 3]
Figure pct00008

Claims (8)

  1. 액체 유연제 조성물로서,
    하기 (A)∼(C)성분 :
    (A) 에스테르기(-COO-) 및/또는 아미드기(-NHCO-)로 분단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를 분자 내에 1∼3개 갖는 아민 화합물, 그 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
    (B) 유황 함유 향료 전구체, 및,
    (C) 금속 포착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C)성분에 대한 (B)성분의 질량비((B)/(C))가 0.0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C)성분이, 아미노카르본산 또는 그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C)성분이, 메틸글리신2아세트산 또는 그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또한, (D)성분으로서 고도 분기 환상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A)성분이, 일반식(A1-1)∼(A1-8)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들의 염 및 그들의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09

    [(A1-1)식 중,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이고,
    (A1-2)∼(A1-8)의 각 식 중,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7∼21의 탄화수소기이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B)성분이, 일반식(B-1)으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
    Y-S-G-Q (B-1)
    [식 중,
    Y는, 이하에 표시한 기(Y-1)∼(Y-7)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 또는 그 이성체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10

    ((Y-1)∼(Y-7)의 각 식 중, 파선은 Y-S 결합의 위치를 나타내고, 점선은 단결합 또는 이중결합의 위치를 나타낸다),
    S는, 유황 원자를 나타내고,
    G는, 2∼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로부터 유도되는 2가 또는 3가의 기를 나타내고(상기 2가 또는 3가의 기는, 경우에 따라 -OR11, -NR11 2, -COOR11 및 R11기(각 기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나타낸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Q는, 수소 원자, -S-Y기 또는 -NR12-Y기(각 기 중, Y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정되고, 또한, R12이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를 나타낸다. ]
  8. 제7항에 있어서,
    일반식(B-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3-(도데실티오)-1-(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3-엔-1-일)-1-부탄온 및 4-(도데실티오)-4-(2,6,6-트리메틸시클로헥사-2-엔-1-일)-2-부탄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
KR1020187023601A 2016-03-24 2017-03-24 액체 유연제 조성물 KR102323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60415A JP6643160B2 (ja) 2016-03-24 2016-03-24 液体柔軟剤組成物
JPJP-P-2016-060415 2016-03-24
PCT/JP2017/011993 WO2017164363A1 (ja) 2016-03-24 2017-03-24 液体柔軟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327A true KR20180122327A (ko) 2018-11-12
KR102323635B1 KR102323635B1 (ko) 2021-11-09

Family

ID=5989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601A KR102323635B1 (ko) 2016-03-24 2017-03-24 액체 유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43160B2 (ko)
KR (1) KR102323635B1 (ko)
WO (1) WO2017164363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575A (ja) 1993-06-30 1995-01-20 Lion Corp 液体柔軟剤組成物
JPH0718572A (ja) 1993-06-30 1995-01-20 Lion Corp 液体柔軟剤組成物
JPH09310276A (ja) 1996-05-22 1997-12-02 Lion Corp 液体濃縮柔軟剤
JP2005511710A (ja) 2001-12-13 2005-04-28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活性分子を制御放出するための化合物
JP2014511414A (ja) 2011-02-21 2014-05-15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プロフレグランスを含有する消費者製品
KR20150004145A (ko) 2013-07-02 2015-01-1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전도성 잉크를 이용한 전도성 패턴 제조 방법
JP5718577B2 (ja) 2010-03-04 2015-05-13 竹本油脂株式会社 O/w/o型ピッケリング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073223A1 (en) 2013-11-15 2015-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softener composition
JP2016035059A (ja) * 2014-07-31 2016-03-17 ライオン株式会社 繊維製品用液体洗浄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1660A (ja) * 1995-10-12 1997-04-28 Lion Corp 柔軟仕上げ剤
JP3947644B2 (ja) * 1999-12-27 2007-07-25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柔軟剤組成物
JP3853575B2 (ja) * 2000-06-29 2006-12-06 花王株式会社 柔軟剤組成物
CA2410189A1 (en) * 2000-05-24 2001-1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 malodor controlling agent
JP2013245422A (ja) * 2012-05-28 2013-12-09 Lion Corp 柔軟剤組成物
US20140323383A1 (en) * 2013-04-26 2014-10-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uch comprising a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JP6175359B2 (ja) * 2013-11-21 2017-08-02 ライオン株式会社 繊維製品処理剤
JP6400451B2 (ja) * 2014-04-04 2018-10-03 花王株式会社 液体柔軟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575A (ja) 1993-06-30 1995-01-20 Lion Corp 液体柔軟剤組成物
JPH0718572A (ja) 1993-06-30 1995-01-20 Lion Corp 液体柔軟剤組成物
JPH09310276A (ja) 1996-05-22 1997-12-02 Lion Corp 液体濃縮柔軟剤
JP2005511710A (ja) 2001-12-13 2005-04-28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活性分子を制御放出するための化合物
JP5718577B2 (ja) 2010-03-04 2015-05-13 竹本油脂株式会社 O/w/o型ピッケリング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511414A (ja) 2011-02-21 2014-05-15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プロフレグランスを含有する消費者製品
KR20150004145A (ko) 2013-07-02 2015-01-1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전도성 잉크를 이용한 전도성 패턴 제조 방법
WO2015073223A1 (en) 2013-11-15 2015-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softener composition
US20150141309A1 (en) * 2013-11-15 2015-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softener composition
JP2016035059A (ja) * 2014-07-31 2016-03-17 ライオン株式会社 繊維製品用液体洗浄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43160B2 (ja) 2020-02-12
WO2017164363A1 (ja) 2017-09-28
KR102323635B1 (ko) 2021-11-09
JP2017172075A (ja)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5183A1 (en) Geranonitrile substitute
JP2001335545A (ja) アルカノールアミン、ジカルボン酸及び脂肪族アルコールから誘導されるエステル並びにそれから得られるカチオン界面活性剤
KR101988072B1 (ko) 액체 유연제 조성물
JP4451413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5845538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9150036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6598356B2 (ja) 繊維製品用液体洗浄剤
KR102573429B1 (ko) 액체 유연제 조성물
KR20180122327A (ko) 액체 유연제 조성물
JP2010047853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2019112731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6738698B2 (ja) 繊維製品用処理剤組成物
JP6171200B2 (ja) 繊維製品用処理剤組成物
JP6987682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5245148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6961378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2016124985A (ja) 繊維製品用の液体洗浄剤
JP6850834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2019085668A (ja) 液体柔軟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3245422A (ja) 柔軟剤組成物
JP2017040019A (ja) 液体柔軟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47851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2017089068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KR20220116140A (ko) 액체 유연제 조성물
JP2009150035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