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210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210A
KR20180122210A KR1020170056440A KR20170056440A KR20180122210A KR 20180122210 A KR20180122210 A KR 20180122210A KR 1020170056440 A KR1020170056440 A KR 1020170056440A KR 20170056440 A KR20170056440 A KR 20170056440A KR 20180122210 A KR20180122210 A KR 20180122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ide
disposed
modul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694B1 (ko
Inventor
유중근
김정진
김종윤
김기대
박영선
백무현
심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056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694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04830 priority patent/WO2018203614A1/en
Priority to EP20159870.3A priority patent/EP3683654B1/en
Priority to EP18794153.9A priority patent/EP3602530B1/en
Priority to CN201880028850.9A priority patent/CN110582804B/zh
Priority to CN202111048377.0A priority patent/CN113766770B/zh
Priority to EP23156763.7A priority patent/EP4206861A1/en
Priority to CN202111048384.0A priority patent/CN113766771B/zh
Priority to EP22167698.4A priority patent/EP4050455B1/en
Priority to US15/966,364 priority patent/US10827633B2/en
Publication of KR20180122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210A/ko
Priority to PH12019502466A priority patent/PH12019502466A1/en
Priority to US16/727,606 priority patent/US10856430B2/en
Priority to US17/008,474 priority patent/US11032929B2/en
Priority to US17/341,191 priority patent/US11576272B2/en
Priority to KR1020220091836A priority patent/KR20220108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694B1/ko
Priority to KR1020230004858A priority patent/KR202300148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 E05D3/122Gear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8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liding pins o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2Sliding-contact bear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01Q1/226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disposed inside the compu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80/00Electrical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제 3 면, 상기 제 3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상호 간의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 및 상기 제 1 하우징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힌지 구조를 가로질러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3 면으로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힌지 구조의 폴딩 동작에 따라 곡면을 형성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제 1 하우징이 상기 제 2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한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한 제 2 회전축을 제공하는 2축 힌지 모듈; 및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슬라이드 운동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 외면에 폴딩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전자 장치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휴대하고 다니며 통신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장치, 데스크톱/랩톱 컴퓨터,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저장된 정보를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초고속, 대용량 무선통신이 보편화되면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하나의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 등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나 전자 지갑 등의 기능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집약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화되고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가 멀티미디어 서비스 영역까지 확장되면서, 음성 통화나 단문 메시지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사용자가 충분히 이용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커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전자 장치의 소형화와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에 있다.
전자 장치(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는 평면 또는 평면과 곡면을 가진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다. 기존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는 고정된 디스플레이의 구조로 인해 전자 장치의 사이즈보다 큰 화면을 구현할 때는 또 다른 단말기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가 폴딩되는 구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폴딩되는 영역은 분절되어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분절 부분은 서로 움직이는 구조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가 전자 장치 내에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가 플랫 상태에서 폴딩되는 동작이 반복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은 변형이 발생하고, 평편한 면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사용자가 조작에 의해 펼치거나 폴딩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사용성을 소형 화면모드와 대형 화면모드로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폴딩되는 영역에 힌지 구조를 배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변하는 길이 변화를 흡수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제 3 면, 상기 제 3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상호 간의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 및 상기 제 1 하우징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힌지 구조를 가로질러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3 면으로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힌지 구조의 폴딩 동작에 따라 곡면을 형성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제 1 하우징이 상기 제 2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한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한 제 2 회전축을 제공하는 2축 힌지 모듈; 및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슬라이드 운동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사용자가 조작에 의해 펼치거나 폴딩하는 구조에 따라, 소형 화면모드와 대형 화면모드로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폴딩되는 영역에 힌지 구조를 배치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변하는 길이 변화를 흡수하여, 상시적으로 사용자에게 균일 품질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내부에는, 플렉서블 인쇄 회로기판이 폴딩되는 영역에 내부 공간을 마련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스트레스(stress)나 큰 외부 장력에 견딜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하고 탄성 재질을 가진 필름을 적층 배치하여 상시적으로 사용자에게 균일 품질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가 기재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개된 전자 장치(2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개된 전자 장치(2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개된 전자 장치(200)를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폴딩된 전자 장치(200)를 전면 방향에서 바라본 일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폴딩된 전자 장치(2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타면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폴딩된 전자 장치(200)를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전자 장치(200)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디스플레이 조립체(220)의 곡면 영역이 배치된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4b는 상기 도 4a의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우측 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좌측 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상태의 전자 장치(300) 내부 부품들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투영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개된 전자 장치(300)에 배치된 힌지 구조(400)를 나타낸 투영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400)를 별도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2축 힌지 모듈(500)을 부품별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 내에 배치된 상기 2축 힌지 모듈(500)의 기어부(530)를 절단한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a는 전자 장치(300)가 일부 폴딩된 상태이며, 도 11b는 전자 장치(300)가 완전히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상기 힌지 구조(400)의 일면을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9의 레일 브라켓 및 슬라이드 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3의 슬라이드 모듈(700)을 A-A'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이 제 1 하우징(310a)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5에 배치된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을 B-B'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개된 상태의 힌지 구조(800) 일면에 중심 바(center bar)(880)가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한 상태의 힌지 구조(800) 일면에 멀티 바(multi bar)(890)가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앙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랫한 상태의 멀티 바(890)의 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8의 힌지 구조(800)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상태의 힌지 구조(9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상태의 힌지 구조(900) 일면에 중심 바(980) 및 멀티 바(990)가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상태의 힌지 구조(900) 중 멀티 바(990)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하우징(1001) 및 제 2 하우징(1002)에 배치된 힌지 구조(1000)에서 슬라이드 커버(1010a,1010b)가 제외된 상태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26의 구조에서 슬라이드 커버(1010a,1010b)가 배치된 상태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1040)를 포함한 전자 장치(1000)가 전개된 상태에서 폴딩된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25a 내지 도 25c 일측을 절단하여 전자 장치(1000)가 전개된 상태에서 폴딩된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10) 내측에 배치된 메인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한 상태의 전자 장치(1100) 내에 배치된 메인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전자 장치(1100) 내에 배치된 메인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립체(1200)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전자 장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조립체(1200)의 적층 구조의 가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 또는 후술될 액세서리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 또는 액세서리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구성요소들(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미들웨어(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1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102),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도 1의 element 164로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LiFi(light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내부에 배치된 힌지 구조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접힌(folding)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펼쳐진 상태의 전자 장치는 '전개된 전자 장치' 또는 '복수의 하우징이 수평으로 배치된 전자 장치'로 명명하고, 접힌 상태의 전자 장치는 '폴딩된 전자 장치'로 명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개된 전자 장치(2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개된 전자 장치(2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개된 전자 장치(200)를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의 상기 전자 장치(200)은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3축 직교 좌표계의 'X축'은 상기 전자 장치(200)의 폭 방향, 'Y축'은 상기 전자 장치(200)의 길이 방향, 'Z축'은 상기 전자 장치(200)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Z축'은 제 1 방향(+Z) 및 제 2 방향(-Z)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200)는 복수 개의 하우징(210)과, 디스플레이 조립체(220) 및 연결 구조(예를 들면,힌지 구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제 1 하우징(210a), 제 2 하우징(210b)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우징(210a)은 전면에 해당하는 제 1 면(201a), 후면에 해당하는 제 2 면(202a) 및 상기 제 1 면(201a) 및 제 2 면(202a) 사이의 공간의 일부를 둘러싸는 측면(2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210b)은 전면에 해당하는 제 3 면(201b), 후면에 해당하는 제 4 면(202b) 및 상기 제 3 면(201b) 및 제 4 면(202b) 사이의 공간의 일부를 둘러싸는 측면(20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하우징(210a)은 제 1 면(201a)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될 수 있으며, 투명 커버가 상기 제 1 하우징(210a) 제 1 면(201a)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 1 하우징(210a)의 개방된 제 1 면(201a)을 폐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하우징(210b)은 제 3 면(201b)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될 수 있으며, 투명 커버가 상기 제 2 하우징(210b) 제 3 면(201b)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 2 하우징(210b)의 개방된 제 3 면(201b)을 폐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200)는, 예컨대, 상기 하우징(210)의 전면(201a,201b)에서, 상기 투명 커버의 일 영역(예를 들어, 베젤 영역 또는 디스플레이와 중첩 영역)에는 신호를 전달하는 버튼이나 터치 키(미도시)를 포함하는 키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해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패드는 기계적인 버튼들만으로, 또는, 상기 터치 키들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키패드는, 기계적 버튼 방식과 터치 방식의 혼합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은 버튼들은 길게 또는 짧게 누르거나 터치하는 시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조립체에 표현되는 화면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각종 회로 장치들, 예컨대, 도 1에 전술한 바 있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통신 인터페이스(170) 등이 수용될 수 있으며, 또한, 내부로 배터리(예를 들어, 도 5의 배터리(370) 또는 도 6의 배터리(380))를 수용함으로써 전원을 확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200)는 제 1 하우징(210a), 제 2 하우징(210b) 및 힌지 구조(23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230)는 상기 제 2 하우징(210b)과 상기 제 1 하우징(210a)을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하우징(210b)에 대하여 상기 제 1 하우징(210a)이 전개되거나 폴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 1 하우징(210a)은 디스플레이 조립체(220)가 전면(예를 들어, 제 1 방향(+Z))을 향할 때, 우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면(제 1 면(201a)) 상단 영역에는 제 1 카메라(12a)와, 광원부(12b) 또는 홍채 카메라(12c)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부(12b)는 IR LED일 수 있으며, 상기 홍채 카메라(12c)는 상기 IR LED에서 나오는 적색 근적외선을 광원으로 활용하여 사용자의 눈을 촬영하여 홍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전면 상단 영역에는, 광원부 표시등(12d) 또는 조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12e)가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 2 하우징(210b)은 디스플레이 조립체(220)가 전면(예를 들어, 제 1 방향(+Z))을 향할 때, 좌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면(제 3 면(201b)) 상단 영역에는 제 2 카메라, 심박수 센서(HRM, heart rate monitor) 또는 플래시(flash)(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일 영역 내에 특정 영역에 배치된 각각의 모듈들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각각의 모듈들의 배치 및 개수 등의 구성은 상기 전자 장치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설계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 1 하우징(210a), 제 2 하우징(210b) 및 상기 힌지 구조(230)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조립체(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220)는 상기 제 1 하우징(210a)으로부터 상기 힌지 구조(230)를 가로질러 상기 제 2 하우징(210b)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힌지 구조(23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상의 힌지축(A1,A2)을 중심으로 폴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구조(230)는 전면(제 1 방향(+Z))을 향하는 제 5 면(231) 및 상기 전면의 반대 방향(제 2 방향(-Z))을 향하는 제 6 면(23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하우징(210a)의 제 2 면(202a) 및 제 2 하우징(210b)의 제 4 면(202b)은 상기 제 1 방향(+Z)과 반대인 제 2 방향(-Z)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무선 전파 또는 자기장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강화 유리나 합성 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하우징(210a)의 제 2 면(202a) 및 제 2 하우징(210b)의 제 4 면(202b)은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STS, 마그네슘)으로 제작되거나 적어도 일부분은 합성 수지를 포함하여로 제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기 제 1 하우징(210a)의 제 2 면(202a) 및 제 2 하우징(210b)의 제 4 면(202b)은 측면(203)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하우징(210)의 제 2 면(202a) 및 제 4 면(202b)은 측면(203)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 2 면(202a) 및 제 4 면(202b)은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220)와 함께 상기 전자 장치(2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측면(203)은 상기 하우징(21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3 면(201a,201b) 및/또는 상기 제 2, 4 면(202a,202b)과 수직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무선 전파 또는 자기장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강화 유리나 합성 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측면(203)은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STS, 마그네슘)으로 제작되거나 적어도 일부분은 합성 수지를 포함하여 제작 될 수 있다. 상기 측면(203)에는 전자 장치(200) 내부에 장착된 스피커 엔클로져(spk encloser), 이어잭(ear jack), 충전 단자 등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스피커 홀(14a), 이어잭 홀(14b) 또는 충전 단자 홀(14c)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폴딩된 전자 장치(200)를 전면 방향에서 바라본 일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폴딩된 전자 장치(2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타면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폴딩된 전자 장치(200)를 측면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의 상기 전자 장치(200)의 구조는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200)는 제 1 하우징(210a), 제 2 하우징(210b) 및 힌지 구조(23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230)는 상기 제 2 하우징(210b)과 상기 제 1 하우징(210a)을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제 1 하우징(210a)은 상기 제 2 하우징(210b)에 대해 0~180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210a)이 상기 제 2 하우징(210b)에 대하여 180도 회전하여 상기 전자 장치(200)가 폴딩됨에 따라, 상기 제 1 하우징(210a)의 제 2 면(202a 상기 제 2 하우징(210b)의 제 4 면(202b)은 서로 대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른, 상기 제 1 하우징(210a) 및 상기 제 2 하우징(210b) 사이에 배치된 힌지 구조(230)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의 회전축(도 2a의 가상의 회전축(A1,A2))을 기준으로 평면에서 곡면으로 가변하는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구조(230)의 외면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상의 회전축(도 2a의 가상의 회전축(A1,A2))을 기준으로 우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하우징(210a)으로부터 연장되고, 좌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하우징(210b)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220)는 상기 제 1 하우징(210a)으로부터 상기 힌지 구조(230)의 외면을 가로질러 상기 제 2 하우징(210b)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00)가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210a)에 배치된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220)의 제 1 영역(220a)은 전면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210b)에 배치된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220)의 제 2 영역(220b)은 전면 방향과 반대인 후면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힌지 구조(230)의 외면에 배치된 제 3 영역(220c)은 측면 방향(예를 들어, 상기 전면 또는 후면과 적어도 일부가 수직을 형성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영역(220c)은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된 면의 일부는 플랫면(2201c) 및/또는 굴곡면(2202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영역(220c)의 중심은 플랫면(2201c)으로 배치되고, 양측으로 연장된 굴곡면(2202c)은 상기 제 1 영역(220a) 및/또는 제 2 영역(220b)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곡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전자 장치(200)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디스플레이 조립체(220)의 곡면 영역이 배치된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4b는 상기 도 4a의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의 상기 전자 장치(200)의 구조는 도 3a 내지 도 3c의 전자 장치(200)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200)는 제 1 하우징(210a), 제 2 하우징(210b) 및 힌지 구조(23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230)는 상기 제 2 하우징(210b)과 상기 제 1 하우징(210a)을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220)가 배치된 폴딩된 전자 장치(200)의 측면은, 힌지 구조(230) 외면을 형성하는 중심 바(center bar)(231)를 기준으로 양측에 멀티 바(multi Bar)(232)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심 바(231)는 힌지 구조(230)의 외면 중심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조립체(220)가 측면에서 평탄한 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멀티 바(232)는 상기 중심 바(231) 양측에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하우징(210a,210b)과 대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멀티 바(232a)는 제 1 하우징(210a) 단부로부터 상기 중심 바(231)까지 형성되며, 소정의 곡률값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2 멀티 바(232b)는 제 2 하우징(210b) 단부로부터 상기 중심 바(231)까지 형성되며, 소정의 곡률값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티 바(232a,232b)는 디스플레이 조립체(220)의 곡률값에 대응되는 곡률값을 형성하도록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중심 바(231) 및 멀티 바(232)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심 바(231) 및 멀티 바(232)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디스플레이 조립체(2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220)는 상기 힌지 구조(230)의 폴딩으로 인하여, 상기 중심 바(231) 및 멀티 바(232)의 가변 형상에 대응되도록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전면 및/또는 후면의 대부분 영역에는 디스플레이 조립체(220)가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전면 및/또는 후면의 상단 및/또는 하단 영역에 해당하는 베젤에는 디스플레이 조립체(220)가 배치되지 않아, 외부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220)가 배치된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전자 장치(200)의 측면은, 상기 제 1 하우징(210a)의 측면 및 상기 제 2 하우징(210b)의 측면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210a)의 측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제 2 하우징(210b)은 측면의 가장자리 부분은 서로 접촉하여 하나의 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의 면의 일부에는 전자 장치(200)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리세스(recess)(20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세스(205)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쉽게 상기 전자 장치(200)를 폴딩 또는 언폴딩이 가능하도록 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세스(205) 내측에는 전원 키(power key)(16a) 및/또는 볼륨 조정키(volume key)(16b)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키(power key)(16a) 및/또는 볼륨 조정키(volume key)(16b)는 상기 제 1 하우징(210a)의 측면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210b)의 측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제품별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전자 장치(300)의 우측 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전자 장치(300)의 좌측 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상태의 전자 장치(300) 내부 부품들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투영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의 상기 전자 장치(300)은 도 2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200)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 1 하우징(310a), 제 2 하우징(310b), 디스플레이 조립체(320) 및 힌지 구조(33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330)는 상기 제 2 하우징(310b)과 상기 제 1 하우징(310a)을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하우징(310b)에 대하여 상기 제 1 하우징(310a)이 전개되거나 폴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300)의 우측 영역은, 제 1 하우징(310a) 및 디스플레이 조립체(320)의 일부 영역, 메인 인쇄 회로기판(350a) 및 제 1 배터리(3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하우징(310a)은 각종 전자 부품 등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하우징(310a)은 상기 전자 장치(30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300)의 외관으로 드러나는 부분은 도전성을 가진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하우징(310a)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STS, 마그네슘)으로 제작되거나 적어도 일부분은 합성 수지를 포함하여로 제작 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310a)의 내부로는 메인 인쇄회로기판(350a) 및/또는 제 1 배터리(370)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350a)에는 프로세서, 통신 모듈, 각종 인터페이스(예: 도 1의 인터페이스(150,170)), 전력 관리 모듈 등이 집적회로 칩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제어 회로 또한 집적회로 칩으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350a)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회로는 상술한 프로세서 또는 통신 모듈의 일부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350a)의 직접회로 칩을 외부 자기장 등으로부터 차폐하도록 쉴드 캔(shield can)(351)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하우징(310a) 내부 상단 영역에는 전면 카메라(352), 리시버(353)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측면 영역에는 전술한 전원 키(power key)(306a) 및/또는 볼륨 조정키(volume key)(306b)들의 조합인 키 모듈(30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영역에는 상기 제 2 하우징(310b)과 자기적 결합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308)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310a) 내부 하단 영역에는 심 카드(sim card)가 수용되는 심 소켓(309f)이 배치될 수 있으며, 충전부(309a), 충전 단자(예를 들어, USB type-C)(309b) 및/또는 마이크 모듈(mic module)(309c)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부품 구조들의 배치는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300) 내부에서 효율적인 실장을 위한 배치 관계가 구성하도록 상기 제 1 하우징(310a) 내부 다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 일부 영역(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조립체(320)의 우측 영역)은 제 1 하우징(310a)의 전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전파 또는 자기장을 투과하는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하우징(310a)의 전면(제 1 방향(+Z)을 향하도록)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는 플렉서블 윈도우 부재(예를 들어, PI(polyimide film) 필름)와, 상기 윈도우 부재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예를 들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는 터치 패널이 탑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는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이면서, 터치 스크린 기능이 탑재된 입력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는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입력 패널로서 별도의 디지타이저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상기 전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입력 모듈(예를 들어, 펜)을 이용한 필기 내용을 검출하여 상기 전자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은 접거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패널(flexible panel)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패널로서의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은 교류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하우징(310a)은 상기 전자 장치(300) 중심에 배치된 힌지 구조(330)를 기준으로 좌, 우 이동할 수 있는 제 1 중간 플레이트(311a), 상기 제 1 중간 플레이트(311a)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의 일 영역을 지지하는 제 1 브라켓(312a) 및 상기 제 1 중간 플레이트(311a)의 양단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 장치(300)의 외면인 베젤 영역 형성하도록 노출된 상, 하단 플레이트(313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중간 플레이트(311a) 및/또는 상기 상,하단 플레이트(313a)의 외면에는 다양한 전자 부품들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전자 장치(300) 외부로 노출되도록 다양한 형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00)의 내부로 배치되는 전자 부품들의 배치나, 상기 제 1 하우징(310a) 사이의 결속 구조 등에 따라 상기 제 1 중간 플레이트(311a)의 표면에는 다양한 구조물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인쇄 회로기판(350a)에 장착된 집적회로 칩들을 수용하는 공간이 상기 제 1 중간 플레이트(311a)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집적회로 칩들을 수용하는 공간은 홈 형태(recessed shape) 또는 집적회로 칩을 둘러싸는 리브(rib)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중간 플레이트(311a)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힌지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힌지 구조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 1 중간 플레이트(311a)와 연결될 수 있으며, 나머지 영역은 제 1 중간 플레이트(311a) 및 제 2 중간 플레이트(31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브라켓(312a)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의 우측 영역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제 1 중간 플레이트(311a)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브라켓(312a)은 제 1 결합홀(3111)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중간 플레이트(311a)에는 상기 제 1 결합홀(3111)에 대응되는 제 2 결합홀(3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미도시) 등의 결합 부재가 상기 제 1 결합홀(3111)과 상기 제 2 결합홀(3112)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 1 브라켓(312a)과 상기 제 1 중간 플레이트(311a)를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00)는 상기 제 1 하우징(310a)의 후면을 보호하는 제 1 후면 커버(34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후면 커버(340a)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와 대향하는(opposite) 방향을 바라보게 장착되며, 무선 전파 또는 자기장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강화 유리나 합성 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하우징(310a)의 제 1 후면 커버(340a)는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STS, 마그네슘)으로 제작되거나 적어도 일부분은 합성 수지를 포함하여로 제작 될 수 있다. 상기 제 1 후면 커버(340a)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와 함께 상기 전자 장치(3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후면 커버(340a)의 제 2 방향(-Z)을 향하는 제 2 면(예를 들어, 도 2b의 제 2 면(202a)은 전자 장치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00)는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제 1 안테나부(360a) 및 방사 도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안테나부(360a)는 메인 인쇄회로기판(350a) 및 제 1 후면 커버(340a)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안테나부(360a)의 도전성 패턴을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전파 또는 상기 제 1 안테나부(360a)의 도전성 패턴이 발생시킨 자기장은 상기 제 1 후면 커버(340a)를 투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안테나부(360a)의 일면은 절연체 또는 유전체 소재로 제작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전성 패턴(들)을 형성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패턴이 포함된 제 1 안테나부(360a)는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안테나부(360a)는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이면서, 다층 회로 기판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패턴(들)은 상기 제 1 안테나부(360a) 일면 또는 타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안테나부(360a)가 다층 회로 기판(multi-layer circuit board)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 복수의 상기 도전성 패턴들이 상기 제 1 안테나부(360a)를 이루는 층들 중 적절한 층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패턴들은 도전성 잉크를 이용한 인쇄 방식, 증착, 도장 및/또는 도금 방식으로 상기 안테나부(360)에 형성된 도전층의 일부분을 식각(예: 습식 식각, 건식 식각)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안테나부(360a)는 레이저 직접 성형법(LDS; laser direct structuning)으로 형성된 내부 구조물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300)의 좌측 영역은, 제 2 하우징(310b) 및 디스플레이 조립체(320)의 일부 영역, 서브 인쇄 회로기판(350a) 및 제 2 배터리(3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하우징(310b)은 각종 전자 부품 등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하우징(310b)은 상기 전자 장치(30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300)의 외관으로 드러나는 부분은 도전성을 가진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하우징(310b)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STS, 마그네슘)으로 제작되거나 적어도 일부분은 합성 수지를 포함하여로 제작 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310b)의 내부로는 서브 인쇄 회로기판(350b) 및/또는 제 2 배터리(380)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인쇄 회로기판(350b)에는 프로세서, 통신 모듈, 각종 인터페이스(예: 도 1의 인터페이스(150,170)), 전력 관리 모듈(미도시) 등이 집적회로 칩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제어 회로 또한 집적회로 칩으로 구성되어 상기 서브 인쇄 회로기판(350b)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회로는 상술한 프로세서 또는 통신 모듈의 일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하우징(310b) 내부 상단 영역에는 메인 카메라(358), 홀 센서(미도시) 및/또는 진동 모듈(354)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측면 영역에는 상기 제 1 하우징(310a)에 배치된 마그넷(308)과 자기적 결합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309) 및/또는 스피커 엔클로져(spk encloser)(309d)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310b) 내부 하단 영역에는 이어잭(ear jack)(309e)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부품 구조들의 배치는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300) 내부에서 효율적인 배치관계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 2 하우징(310b) 내부 다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의 일부 영역(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20)의 좌측 영역)은 제 2 하우징(310b)의 전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전파 또는 자기장을 투과하는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하우징(310b)의 전면(제 1 방향(+Z)을 향하도록)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는 플렉서블 윈도우 부재(예를 들어, PI 필름)와, 상기 윈도우 부재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예를 들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는 터치 패널이 탑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는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이면서, 터치 스크린 기능이 탑재된 입력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는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입력 패널로서 별도의 디지타이저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하우징(310b)은 상기 전자 장치(300) 중심에 배치된 힌지 구조(330)를 기준으로 좌, 우 이동할 수 있는 제 2 중간 플레이트(311b), 상기 제 2 중간 플레이트(311b)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의 일 영역을 지지하는 제 2 브라켓(312b) 및 상기 제 2 중간 플레이트(311b)의 양단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 장치(300)의 외면인 베젤 영역 형성하도록 노출된 상, 하단 플레이트(313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중간 플레이트(311b) 및/또는 상기 상,하단 플레이트(313b)의 외면에는 다양한 전자 부품들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전자 장치(300) 외부로 노출되도록 다양한 형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00)의 내부로 배치되는 전자 부품들의 배치나, 상기 제 2 하우징(310b) 사이의 결속 구조 등에 따라 상기 제 2 중간 플레이트(311b)의 표면에는 다양한 구조물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인쇄 회로기판(350b)에 장착된 집적회로 칩들을 수용하는 공간이 상기 제 2 중간 플레이트(311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집적회로 칩들을 수용하는 공간은 홈 형태(recessed shape) 또는 집적회로 칩을 둘러싸는 리브(rib)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중간 플레이트(311b)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힌지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힌지 구조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 2 중간 플레이트(311b)와 연결될 수 있으며, 나머지 영역은 제 2 중간 플레이트(311b) 및 제 1 중간 플레이트(31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브라켓(312b)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의 우측 영역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제 2 중간 플레이트(311b)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브라켓(312b)은 제 1 결합홀(3113)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중간 플레이트(311b)에는 상기 제 1 결합홀(3113)에 대응되는 제 2 결합홀(3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미도시) 등의 결합 부재가 상기 제 1 결합홀(3113)과 상기 제 2 결합홀(3114)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 2 브라켓(312b)과 상기 제 2 중간 플레이트(311b)를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00)는 상기 제 2 하우징(310b)의 후면을 보호하는 제 2 후면 커버(3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후면 커버(340b)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와 대향하는(opposite) 방향을 바라보게 장착되며, 무선 전파 또는 자기장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강화 유리나 합성 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하우징(310b)의 제 1 후면 커버(340b)는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STS, 마그네슘)으로 제작되거나 적어도 일부분은 합성 수지를 포함하여로 제작 될 수 있다. 상기 제 2 후면 커버(340b)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320)와 함께 상기 전자 장치(3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후면 커버(340b)의 제 2 방향(-Z)을 향하는 제 4 면(예를 들어, 도 2b의 제 4 면(202b)은 전자 장치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300)는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제 2 안테나부(360b) 및 방사 도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안테나부(360b)는 서브 인쇄회로기판(350b) 및 제 2 후면 커버(340b)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안테나부(360b)의 도전성 패턴을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전파 또는 상기 제 2 안테나부(360b)의 도전성 패턴이 발생시킨 자기장은 상기 제 2 후면 커버(340b)를 투과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안테나부(360b)는 레이저 직접 성형법(LDS; laser direct structuning)으로 형성된 내부 구조물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3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310a) 및 제 2 하우징(310b)은 각각의 측면을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하우징(310a)의 측면 및 상기 제 2 하우징(310b)의 측면은 이격된 간격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하우징(310a) 및 상기 제 2 하우징(310b) 사이에는 힌지 구조(3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구조(330)는 외면을 형성하는 일부분은 상기 이격된 간격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 1 하우징(310a) 및/또는 제 2 하우징(310b) 내측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중간 플레이트(311a) 및 제 2 중간 플레이트(311b)의 내측면에는 상기 힌지 구조(330)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리세스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390)은 제 1 하우징(310a) 및 제 2 하우징(310b)을 가로 질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390)은 제 1 하우징(310a)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힌지 구조(330)을 거쳐 상기 제 2 하우징(310b)까지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390)은 양단에 커넥터가 마련되어 제 1 하우징(310a)에 배치된 메인 인쇄 회로기판(35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하우징(310b)에 배치된 서브 인쇄 회로기판(35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의 힌지 구조의 구성,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구성 및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적층 구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개된 전자 장치(300)에 배치된 힌지 구조(400)를 나타낸 투영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400)를 별도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의 상기 전자 장치(300)의 힌지 구조(400)는 도 5 내지 도 7의 전자 장치(300)의 힌지 구조(330)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 1 하우징(310a), 제 2 하우징(310b) 및 힌지 구조(40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400)는 상기 제 2 하우징(310b)과 상기 제 1 하우징(310a)을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하우징(310b)에 대하여 상기 제 1 하우징(310a)이 전개되거나 폴딩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전면을 향하도록 전개된 전자 장치(300)를 나타내며, 우측 영역에 제 1 하우징(310a)이 배치되고 좌측 영역에 제 2 하우징(310b)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310a) 및 상기 제 2 하우징(310b) 사이 및 일부 중첩 영역에는 힌지 구조(400)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구조(400)는 슬라이드 커버(410), 2축 힌지 모듈(420), 슬라이드 모듈(430), 레일 브라켓(440), 슬라이드 스토퍼(450) 및 레일 스토퍼(4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커버(410)는 전술된 후면 커버(예를 들어, 도 6, 7의 후면 커버(340a,340b)와 함께 전자 장치(300)의 후면을 커버하며, 전면 방향을 향하는 내측면에는 상기 2축 힌지 모듈(420), 레일 브라켓(440) 및 슬라이드 스토퍼(450), 레일 스토퍼(460)가 안착 가능하도록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커버(41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드 커버(410)는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 및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 1 하우징(310a)의 측면에 안착되는 제 1 부분(411a) 및 상기 제 1 부분(411a)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하우징(310a) 및 상기 제 2 하우징(310b)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부분(41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411a)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 1 하우징(310a)과 결합되도록 다수의 결속 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412a)는 단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2축 힌지 모듈(420)이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의 회전축(A1)을 기준으로 부드러운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 2 하우징(310b)의 측면에 안착되는 제 1 부분(411b) 및 상기 제 1 부분(411b)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2 하우징(310b) 및 상기 제 1 하우징(310a)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부분(4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411b)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 2 하우징(310b)과 결합되도록 다수의 결속 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412b)는 단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2축 힌지 모듈(420)이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의 회전축(A2)을 기준으로 부드러운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의 제 2 부분(412a) 및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의 제 2 부분(412b)의 일부 영역은 서로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가 회전함에 따라(또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의 제 1 부분(411a) 및 제 2 부분(412a)과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의 제 1 부분(411b) 및 제 2 부분(412b)의 대면하는 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커버(410) 내측면(401)에는 슬라이드 모듈(430)이 안착된 레일 브라켓(44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브라켓(440)은 상기 슬라이드 커버(410)의 양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커버(4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슬라이드 모듈(430)이 안착된 레일 브라켓(440)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슬라이드 모듈(430)이 안착된 레일 브라켓(440)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의 일단부에 배치된 레일 브라켓(440)의 중심은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의 일단부에 배치된 레일 브라켓(440)의 중심은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300)가 폴딩 상태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에 배치된 레일 브라켓(440)과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에 배치된 레일 브라켓(440)은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레일 브라켓(440)의 배치 구조는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제 1 하우징(310a) 및/또는 제 2 하우징(310b)에 배치된 배터리(미도시)가 효율적으로 안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다양한 배치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모듈(430)은 상기 레일 브라켓(440) 내측에 형성된 홀(441)에 배치되며, 상기 홀(441)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전후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커버(410) 내측면(401)에는 2축 힌지 모듈(42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드 커버(410) 내면에 배치된 리세스(recess)(403) 내측으로 상기 2축 힌지 모듈(420)이 삽입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2축 힌지 모듈(4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레일 브라켓(44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2축 힌지 모듈(420)은 두 개의 가상의 회전축(A1,A2)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하나의 가상의 회전축(A1)은 상기 제 1 하우징(310a)의 제 2 부분(412a)이 형성하는 가상의 회전축과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회전축(A2)은 상기 제 2 하우징(310b)의 제 2 부분(412b)이 형성하는 가상의 회전축과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2축 힌지 모듈(420)은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드 커버(410) 양단에 배치된 각각의 레일 브라켓(440)과 인접하도록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2축 힌지 모듈(420)은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 및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가 각각 형성하는 리세스(recess)가 결합함에 따라 생기는 확장된 리세스(403)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가상의 회전축(A1)은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 내부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가상의 회전축(A2)은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커버(410) 내측면(401)에는 레일 스토퍼(460) 및 슬라이드 스토퍼(4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스토퍼(460) 및 슬라이드 스토퍼(450)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410)의 중심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슬라이드 커버(410a,410b)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스토퍼(450)는 한 쌍으로 배치된 레일 스토퍼(46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드 커버(410a,410b) 내에 형성된 슬라이드 라인(미도시)을 따라 전후 왕복 움직임이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드 모듈(43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슬라이드 스토퍼(450)는 슬라이드 모듈(430)를 보조하면서 슬라이드 움직임을 수행하여, 상기 힌지 구조(400)와 더불어 전자 장치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모듈(430) 사이에 배치되어 전자 장치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일 스토퍼(460)는 상기 2축 힌지 모듈(420)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적어도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스토퍼(460)는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 및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가 서로 맞닿는 영역에서 각각 서로 밀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힌지 구조(400)가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확장되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이하, 상기 2축 힌지 모듈(420), 스토퍼(450,460), 슬라이드 모듈(430) 및 레일 브라켓(44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2축 힌지 모듈(500)을 부품 별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 내에 배치된 상기 2축 힌지 모듈(500)의 기어부(530)를 절단한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a는 전자 장치(300)가 일부 폴딩된 상태이며, 도 11b는 전자 장치(300)가 완전히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의 2축 힌지 모듈(500) 구조는 도 8 및 도 9의 2축 힌지 모듈(420)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 1 하우징(310a), 제 2 하우징(310b) 및 2축 힌지 모듈(500)을 포함한 힌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2축 힌지 모듈(500)을 포함한 힌지 구조는 상기 제 2 하우징(310b)과 상기 제 1 하우징(310a)을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하우징(310b)에 대하여 상기 제 1 하우징(310a)이 전개되거나 폴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2축 힌지 모듈(hinge module)(500)은 힌지 하우징(hinge housing)(510), 힌지 샤프트(hinge shaft)(520), 적어도 두 개의 기어(gear)를 포함한 기어부(530), 힌지 스토퍼(hinge stopper)(540), 피동 캠(stopper cam)(550),, 구동 캠(moving cam)(560), 탄성체(elastic body)(570), 및 샤프트 스토퍼(shaft stopper)(5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힌지 하우징(510) 내에는 상기 힌지 샤프트(520)의 적어도 일부, 캠 부의 일부(예를 들어, 구동 캠(560)과 피동 캠(550)), 복수 개의 기어(531,532,533) 및 상기 탄성체(570)가 가상의 힌지축(A1,A2) 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축 힌지 모듈(500)은 두 개의 가상의 회전축(A1, A2)에 대응되는 두 개의 힌지 샤프트(520)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힌지 샤프트(520) 상에는 샤프트 스토퍼(580), 탄성체(570), 피동 캠(550) 및 기어들(531,532)이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힌지 스토퍼(540) 및 구동 캠(560)은 상기 각각의 힌지 샤프트(520)가 관통하는 두 개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하나의 힌지 샤프트(520) 상에 배치된 상기 구성 요소들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나머지 힌지 샤프트 상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은 상기 내용에 준용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힌지 하우징(510)은 제 1 영역(S1) 및 제 2 영역(S2)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 1 영역(S1)은 캠부가 동작하는 영역이며, 상기 제 2 영역(S2)은 기어부(530)가 동작하는 영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영역(S1)을 살펴보면, 상기 힌지 하우징(510) 내측에는 상기 구성 요소(예를 들어, 힌지 샤프트(520)의 일부, 힌지 스토퍼(540), 탄성체(570), 구동 캠(560) 및 피동 캠(550))들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하우징(510) 내에서 상기 탄성체(570)는 압축 또는 인장 운동을 하고, 상기 피동 캠(550)은 상기 힌지 샤프트(520)에 관통 설치되며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캠(560)은 상기 피동 캠(550)의 회전 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 샤프트(520)를 따라서 전후 직선 왕복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힌지 샤프트(520)에는 상기 구동 캠(560), 피동 캠(550), 및 탄성체(570)가 순차적으로 관통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캠(560) 및 탄성체(570)의 외측에는 2축 힌지 모듈(500)의 회전 움직임을 제한하는 힌지 스토퍼(54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스토퍼(540)의 일단은 상기 힌지 하우징(510)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가 배치되며, 고정 핀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스토퍼(540) 일단에는 상기 힌지 샤프트(52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샤프트 스토퍼(580)가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른, 상기 힌지 스토퍼(540) 및 샤프트 스토퍼(580)는 두 개의 힌지 샤프트(520)가 관통하는 홀을 구비하며, 서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체(570)는 상기 힌지 샤프트(520)가 관통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동 캠(560)과 피동 캠(550)을 밀착시키는 힘을 제공함에 따라, 캠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570)의 일단은 상기 힌지 스토퍼(540)와 밀착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 캠(560)과 밀착된 상태를 상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570)는 상기 힌지 하우징(510) 내에서 상기 구동 캠(560)의 전후 운동에 종속되어 인장되거나 압축되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체(570)는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2축 힌지 모듈(500)은 수평 유지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힌지 스토퍼(541)와 피동 캠(550)는 서로 면 대 면으로 접촉 배치될 수 있다. 또 한 예로, 적어도 하나의 힌지 스토퍼(542)와 샤프트 스토퍼(580)도 서로 면 대 면으로 접촉 배치되어 수평 유지를 위한 스토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 캠(560) 및 피동 캠(550)에 의한 캠 동작 및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에 따라 다양한 캠 운동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 변경이 가능하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영역(S2)을 살펴보면, 상기 2축 힌지 모듈(500)은 상기 힌지 하우징(510) 내에서 상기 피동 캠(550)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다수의 기어들(531,532,533)이 배치된 기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어부(530)는 제 1 기어(531), 제 2 기어(532),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기어(idle gear)(5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531) 및 제 2 기어(532)는 상기 각각의 힌지 샤프트(520)가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기어(531,532)의 중심으로부터 힌지 샤프트(520) 방향으로 가상의 회전축(A1,A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이들 기어(533)는 상기 제 1 기어(531) 및 제 2 기어(53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기어(531) 및 제 2 기어(532)와 연동되어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531) 및 제 2 기어(532)의 이격된 간격에 존재하는 상기 아이들 기어(533)가 배치된 부분은 상기 전자 장치(300)의 폴딩(folding) 또는 전개되는 기준이 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좌측면에 배치된 제 1 기어(531)(도 11a, 11b 참조)는 제 1 힌지 샤프트(520a)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하우징(310a)에 배치된 리세스(recess)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우측면에 배치된 제 2 기어(도 11a, 11b 참조)는 제 2 힌지 샤프트(520b)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하우징(310b)에 배치된 리세스(recess)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복수 개의 아이들 기어(533)들은 상기 제 1 기어(531) 또는 상기 제 2 기어(53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기어(531)의 중심은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520a)와 제 1 가상축(A1)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532)의 중심은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520b)와 제 2가상축(A2)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기어(532)는 제 1 기어(531)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300)가 전개된 플랫(flat)한 상태에서 폴딩된(folding) 상태로 동작 시에, 상기 제 1 가상축(A1) 및 제 2 가상축(A2)은 상시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기어(531) 및 제 2 기어(532)는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어의 이도 동일한 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531) 및 상기 제 2 기어(532)의 직경은 상기 제 1 하우징(310a) 또는 제 2 하우징(310b)의 두께보다 크기 않도록 마련되어, 상기 전자 장치(300)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아이들 기어(533)들은 짝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들 기어(533)들은 서로 맞물려 회전 가능한 제 1 아이들 기어(533a), 제 2 아이들 기어(53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이들 기어(533a)는 상기 제 1 기어(531)와 맞물려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 1 기어(531)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들 기어(533b)는 상기 제 2 기어(532)와 맞물려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 2 기어(532)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이들 기어(533a)와 상기 제 2 아이들 기어(533b)는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어(531)를 기준으로, 제 1 아이들 기어(533a), 제 2 아이들 기어(533b) 및 제 2 기어(532)가 서로 순차적으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슬라이드 스토퍼 및 레일 스토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상기 힌지 구조(400)의 일면을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12의 레일 스토퍼(460) 및 슬라이드 스토퍼(450) 구조는 도 8 및 도 9의 레일 스토퍼(460) 및 슬라이드 스토퍼(450)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방향(+Z)을 향해 내측(예를 들어, 폴딩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영역)이 펼쳐진 플랫한 상태의 힌지 구조(400)는 레일 브라켓(440)을 기준으로 가상의 힌지 축(A1,A2) 방향에 따라, 2축 힌지 모듈(420), 레일 스토퍼(460) 및 슬라이드 스토퍼(450)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일 스토퍼(460)는 상기 2축 힌지 모듈(420)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적어도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으로 배치된 레일 스토퍼(460)는 상기 슬라이드 스토퍼(45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슬라이드 커버(410a,410b)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레일 브라켓(4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 브라켓(440) 사이에는 두 쌍의 레일 스토퍼(4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레일 브라켓(44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 브라켓(440) 사이에는 두 쌍의 레일 스토퍼(4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 상에 배치된 레일 스토퍼(460)와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 상에 배치된 레일 스토퍼(460)는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에 배치된 하나의 레일 스토퍼(4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며, 다른 레일 스토퍼는 이를 준용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 스토퍼(460)의 일 영역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에 스크류(409) 등의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되도록 결합홀(4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410a)에 배치된 리세스(recess)(404) 상에 안착 가능한 돌출부(4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62)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은 굴곡면(463)을 형성하여 힌지 구조(400)의 부드러운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 상에 배치된 상기 한 쌍의 레일 스토퍼(460)와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 상에 배치된 상기 한 쌍의 레일 스토퍼(460)는 서로 밀접하게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힌지 구조(400)가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확장되면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스토퍼(450)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410a,410b) 상에 복수 개로 배치된 상기 레일 스토퍼(4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토퍼(450)는 한 쌍으로 배치된 레일 스토퍼(46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레일 스토퍼(460)가 상기 슬라이드 스토퍼(45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 스토퍼(450)는 상기 레일 스토퍼(46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스토퍼(450)는 각각의 한 쌍의 레일 스토퍼(460)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의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 두 쌍의 레일 스토퍼(4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두 쌍의 레일 스토퍼(460) 사이마다 슬라이드 스토퍼(4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의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 두 쌍의 레일 스토퍼(4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두 쌍의 레일 스토퍼(460) 사이마다 슬라이드 스토퍼(4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 상에 배치된 슬라이드 스토퍼(450)와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 상에 배치된 슬라이드 스토퍼(450)는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스토퍼(450)가 안착되는 슬라이드 커버(410a,410b)의 위치에는 홈 형상의 슬라이드 라인(40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라인(408)은 상기 레일 스토퍼(460)의 길이 방향에 따라 형성되며, 슬라이드 스토퍼(450)에서 돌출된 돌기(미도시)가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드 라인(408)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드 라인(408)은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구성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안정적으로 상기 슬라이드 스토퍼(45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레일 브라켓 및 슬라이드 모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9의 레일 브라켓 및 슬라이드 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3a의 슬라이드 모듈(700)을 A-A'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이 제 1 하우징(310a)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5에 배치된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을 B-B'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의 레일 브라켓(600) 및 슬라이드 모듈(700)의 구조는 도 9의 레일 브라켓(440) 및 슬라이드 모듈(430)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구조(400)는 슬라이드 커버(410), 2축 힌지 모듈(420), 슬라이드 모듈(430,700), 레일 브라켓(440,600), 슬라이드 스토퍼(450) 및 레일 스토퍼(4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방향을 향해 내측이 펼쳐진 플랫한 상태의 힌지 구조(400)는 레일 브라켓(440)을 기준으로 가상의 힌지 축(A1,A2) 방향에 따라, 2축 힌지 모듈(420), 레일 스토퍼(460) 및 슬라이드 스토퍼(450)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일 브라켓(600) 및 슬라이드 모듈(700)은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 및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의 양단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브라켓(600)은 상기 힌지 구조(40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은 상기 레일 브라켓(600) 내에 안착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 및 제 2 슬라이드 커버(410b) 상에 복수 개 배치된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은 동일성을 가지므로,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 일단에 배치된 슬라이드 모듈(700)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다른 슬라이드 모듈들은 이를 준용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일 브라켓(6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홀(60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은 슬라이드 플레이트(710), 롤러(720), 핀(730), 탄성체(740) 및 롤러 브라켓(7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은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에 고정된 레일 브라켓(600) 내에서 상대적인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운동은 전자 장치가 전개한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동작시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틀어짐 및/또는 구겨짐 등을 보상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 브라켓(600)은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와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일 브라켓(600)은 제 1 결합홀(603)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에는 상기 제 1 결합홀(603)에 대응되는 제 2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605) 등의 결합 부재가 상기 제 1 결합홀(603)과 상기 제 2 결합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레일 브라켓(600)과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이 결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일 브라켓(600)은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이 제 3 방향(+P) 또는 상기 제 3 방향(+P)과 반대인 제 4 방향(-P)으로 전후 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홀(60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홀(601)의 길이 방향은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의 길이 방향보다 길도록 형성되고, 폭 방향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700)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에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의 슬라이드 플레이트(710)는 상기 레일 브라켓(600)의 가이드 홀(601)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하우징(310a)의 일면과 스크류 등의 결속 부재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710)는 제 1 결합홀(718)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하우징(310a)에는 상기 제 1 결합홀(718)에 대응되는 제 2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719) 등의 결합 부재가 상기 제 1 결합홀(718)과 상기 제 2 결합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710)와 상기 제 1 하우징(310a)이 결합될 수 있다(도 15 참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710)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 홀(601) 내측에 배치된 돌출부 형상에 대응한 라인 형상의 홈(7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는 부드러운 슬라이드 운동을 위한 부품들이 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홈(71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710)의 홈(712)에는 롤러(720), 핀(730), 탄성체(740) 및 롤러 브라켓(7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720)은 원통형의 구조로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710)의 전후 직선 왕복 운동을 보조하고, 상기 핀(730)을 통해 상기 롤러(720)가 실장된 롤러 브라켓(750)과 슬라이드 플레이트(710)의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의 롤러(720)는 핀(730)들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탄성체(740)는 상기 홈(712) 내에서 압축 또는 인장 운동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체(740)는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롤러(720)와 상기 레일 브라켓(600)의 가이드 홀(601) 내측면을 밀착시키는 힘을 제공함에 따라, 슬라이드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740)의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710) 홈(712) 내측에 밀착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롤러 브라켓(750)과 밀착된 상태를 상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740)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710)의 전후 운동에 종속되어 인장되거나 압축되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체(740)는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기 레일 브라켓(600)은 상기 가이드 홀(601) 내측에 사선 형상의 홈(6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선 형상의 홈(602)은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브라켓(600)의 사선 형상의 홈(602)의 경사면에 상기 롤러(720)가 접하도록 위치하면, 탄성체(740)의 인장력에 따라, 특정한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다. 상기 힘을 받는 방향은 기울어진 경사면의 방향에 따라 제 3 방향(+P) 또는 제 4 방향(-P)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체(740)의 인장력에 따라 특정 방향의 힘을 받음으로로서 사용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710)의 전후 운동에 따른 조절감(예: 걸리는 느낌 또는 운동 중 멈추는 느낌)을 제공하거나 전개 또는 폴딩 동작 정도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3a는 전개되는 전자 장치에서, 레일 브라켓(600)의 가이드 홀(601) 상에 배치된 슬라이드 모듈(700)이 배치된 구성을 나타내며, 도 13b는 폴딩되는 전자 장치에서, 레일 브라겟(600)의 가이드 홀(601) 상에 배치된 슬라이드 모듈(700)이 배치된 구성을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3a을 참조하면, 전개되는 동작에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710)는 제 3 방향(+P)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상기 가이드 홀(601)을 따라 제 3 방향(+P)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전개된 후, 상기 가이드 홀(601) 내에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의 롤러(720)는 상기 사선 형상의 홈(602)의 경사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740)는 상기 롤러(720)가 상기 경사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720)를 가압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710)의 전후 운동에 따른 조절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예를 들어, 도 25a의 디스플레이의 조립체(1030))는 중간 플레이트(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의 중간 플레이트(311a,311b))와 결합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과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길이 변화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일면은 틀어짐 및/또는 구겨짐 없이 상시적으로 편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른 도 13b를 참조하면, 폴딩되는 동작에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710)는 제 4 방향(-P)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상기 가이드 홀(601)을 따라 제 4 방향(-P)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폴딩된 후, 상기 가이드 홀(601) 내에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의 롤러(720)는 상기 사선 형상의 홈(602)의 경사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720)가 접한 경사면은 상기 전개된 상태에서 롤러(720)가 접한 경사면과 서로 반대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체(740)는 상기 롤러(720)가 상기 경사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720)를 가압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710)의 전후 운동에 따른 조절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예를 들어, 도 25c의 디스플레이의 조립체(1030))는 중간 플레이트(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의 중간 플레이트(311a,311b))와 결합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과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길이 변화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일면은 틀어짐 및/또는 구겨짐 없이 매끈한 굴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 브라켓(600)과 슬라이드 플레이트(710) 사이의 결속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레일 브라켓(600)의 가이드 홀(601) 내측에는 상기 제 3 방향(+P)(또는 제 4 방향(-P))을 따라 돌출된 라인(60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710)는 상기 돌출된 라인(604)과 대응되는 홈 형상의 라인(711)이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일 브라켓(600)과 슬라이드 플레이트(710)은 상기 라인을 따라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710)의 홈 형상의 라인(711)은'ㄷ'형상일 수 있다. 상기 라인을 따라 레일 브라켓(600) 내에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710)은 슬라이드 왕복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의 레일 브라켓(600)은 제 1 슬라이드 커버(410a)에 고정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710)는 상기 제 1 하우징(310a)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일 브라켓(600)은 상기 제 1 하우징(310a)과 더불어 레일 브라켓(600) 내에서 슬라이드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700)은 전술한 대로, 상기 사선 형상의 홈(예를 들어, 도 13의 홈(602))의 구조로 인한, 롤러(720) 및 탄성체(740)의 연관 구성에 의해 특정한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300)가 전개된 플랫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은 바깥 방향(예를 들어, 도 13의 제 3 방향(+P))으로 힘을 받을 수 있다.
이하, 힌지 구조의 중심 바 및 멀티 바의 구조 및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개된 상태의 힌지 구조(800) 일면에 중심 바(center bar)(880)가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한 상태의 힌지 구조(800) 일면에 멀티 바(multi bar)(890)가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앙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랫한 상태의 멀티 바(890)의 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8의 힌지 구조(800)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의 상기 힌지 구조(800)는 도 9의 힌지 구조(400)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구조(800)는 슬라이드 커버(810), 2축 힌지 모듈(820), 슬라이드 모듈(830), 레일 브라켓(840), 슬라이드 스토퍼(850) 및 레일 스토퍼(8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구조(800)는 제 1 슬라이드 커버(810a)와 제 2 슬라이드 커버(810b)를 포함하고, 상기 2축 힌지 모듈(820)은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810a)와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810b)를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슬라이드 커버(810b)에 대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810a)가 전개되거나 폴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힌지 구조(800)의 제 1 방향(+Z)을 향하는 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 바(8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810a)와 제 2 슬라이드 커버(810b)는 서로 나란하게 대면 배치되며, 상기 중심 바(880)는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810a)의 일 영역과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810b)의 일 영역과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심 바(880)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810a,810b)의 길이 방향 상에 배치된 2축 힌지 모듈(820), 슬라이드 스토퍼(850), 레일 스토퍼(860)의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커버(810a,810b)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심 바(880)는 막대 형상일 수 있으며, 양단에는 제 1 방향(+Z)으로 돌출된 단턱(881,88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턱(881,882)은 후술될 멀티 바(890)의 구조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른, 상기 중심 바(880)는 상기 힌지 구조(800)와 스크류 등을 통한 결속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힌지 구조(800)의 결합홀(미도시)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88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심 바(880)의 결합은 상기 슬라이드 커버(810) 중심을 기준으로 대면 배치된 2축 힌지 모듈(820)과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심 바(880)는 상기 힌지 구조(800) 일면에 고정 배치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가 전자 장치 내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중심 바(880)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전자 장치가 폴딩된 상태에서 측면 방향을 향하는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일 영역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중심 바(880)의 두께는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측면 영역에 대응한 다양한 크기로 설계할 수 있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 구조(800)의 제 1 방향(+Z)을 향하는 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 바(88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중심 바(880)를 사이에 두고 복수 개의 멀티 바(89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810a)와 제 2 슬라이드 커버(810b)는 서로 나란하게 대면 배치되며, 상기 중심 바(880)는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810a)의 일 영역과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810b)의 일 영역과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티 바(890)는 제 1 멀티 바(890a) 및 제 2 멀티 바(890b)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멀티 바(890a)는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810a)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멀티 바(890b)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810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멀티 바(890a)는 복수 개로 구성된 막대 형상의 배열일 수 있으며, 양단에는 제 1 방향(+Z)으로 돌출된 단턱(891a,892a)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멀티 바(890a) 내측의 일 영역에는 상기 힌지 구조(800)와 결합할 수 있는 홈(893)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른, 상기 제 2 멀티 바(890b)는 복수 개로 구성된 막대 형상일 수 있으며, 양단에는 제 1 방향으로 돌출된 단턱(891b,892b)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멀티 바(890b) 내측의 일 영역에는 상기 힌지 구조(800)와 결합할 수 있는 홈(893)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멀티 바(890a) 및/또는 제 2 멀티 바(890b)는 복수 개로 구성된 상기 홈(893) 사이에 또 다른 홈(89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홈(895)은 후술할(예를 들어, 도 19의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가 지나가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바(890)가 상기 힌지 구조(800) 일면에 고정 배치됨에 따라, 상기 중심 바(880)와 더불어, 디스플레이 조립체가 전자 장치 내측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멀티 바(890)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전자 장치가 폴딩된 경우, 디스플레이 조립체가 형성하는 폴딩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로 구성된 바들이 일측이 서로 분리되면서 굴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굴곡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구조에 대응하면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멀티 바(890a) 및 제 2 멀티 바(890b)는 각각 네 개의 바(bar)들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을 아니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면서 더 완전한 굴곡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 및 개수로 변경 설계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멀티 바(890)와 상기 힌지 구조(800)의 다른 구성들과의 결속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멀티 바(890)의 홈(893)은 상기 레일 스토퍼(860)의 형상과 대응된 구성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멀티 바(890) 하면은 '┗' '┛'으로 돌출된 단턱이 포함된 홈(89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스토퍼(860)는 상기 단턱이 포함된 홈(893)과 서로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일 스토퍼(860)의 상면에도 상기 단턱이 포함된 홈(893)에 대응하는 돌출된 라인(861)이 배치되고, 상기 홈(893)과 상기 라인(861)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바(890)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동일한 단턱이 포함된 홈(893)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바(bar)들 은 상기 레일 스토퍼(860)의 돌출된 라인(861)을 따라 일측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상태의 힌지 구조(9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상태의 힌지 구조(900) 일면에 중심 바(980) 및 멀티 바(990)가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상태의 힌지 구조(900) 중 멀티 바(990)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상기 힌지 구조(900)는 도 17 내지 도 20의 힌지 구조(800)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구조(900)는 슬라이드 커버(910), 2축 힌지 모듈(920), 슬라이드 모듈(930), 레일 브라켓(940), 슬라이드 스토퍼(950) 및 레일 스토퍼(9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구조(900)는 제 1 슬라이드 커버(910a)와 제 2 슬라이드 커버(910b)를 포함하고, 상기 2축 힌지 모듈(920)은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910a)와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910b)를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슬라이드 커버(910b)에 대하여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910a)가 전개되거나 폴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동작에서, 상기 힌지 구조(900)의 제 1 슬라이드 커버(910a)의 일면은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910b)의 일면과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910a) 및 제 2 슬라이드 커버(910b)의 리세스(recess) 내측에 배치된 2축 힌지 모듈(920)은 두 개의 가상의 회전축(A1,A2)을 형성하고, 상기 가상의 회전축(A1,A2)에 따라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910a) 및 제 2 슬라이드 커버(910b)는 서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상의 회전축(A1)을 기준으로 제 2 슬라이드 커버 커버(910b)를 기준으로 제 1 슬라이드 커버(910a)가 회전 운동할 수 있으며, 제 2 가상의 회전축(A2)을 기준으로 제 1 슬라이드 커버(910a)를 기준으로 제 2 슬라이드 커버(910b)가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910a) 및 제 2 슬라이드 커버(910b) 상에 배치된 슬라이드 모듈(930)들 및 레일 스토퍼(960)들은 서로 대면 배치될 수 있다.
도 21 및 22를 참조하면, 상기 폴딩된 힌지 구조(900) 상에 배치된 중심 바(980) 및 멀티 바(990)의 가변된 상태 및 슬라이드 모듈(930)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힌지 구조(900)의 상기 제 1 방향(+Z)을 향하는 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 바(980) 및 복수의 멀티 바(9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심 바(980)는 전체 면적이 제 1 방향(+Z)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멀티 바(990)는 제 1 방향(+Z)으로부터 제 1 방향(+Z)과 수직 방향인 제 3,4 방향(+X,-X)을 향하도록 굴곡진 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바(990)는 상기 중심 바(980)를 사이에 두고 제 1 멀티 바(990a) 및 제 2 멀티 바(990b)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멀티 바(990a)는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910a)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멀티 바(990b)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910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힌지 구조(900)가 폴딩된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 1 멀티 바(990a)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bar)들은 제 1 방향(+Z)에서 제 3 방향(+X)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단면은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멀티 바(990a)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bar)들의 각각은 외면의 폭의 길이가 내면의 폭의 길이보다 길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멀티 바(990)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bar)들은 폴딩시 각각의 내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외면은 상대적으로 이격됨에 따라 굴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힌지 구조(900)가 폴딩된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 2 멀티 바(990b)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bar)들은 제 1 방향(+Z)에서 제 4 방향(-X)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단면은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멀티 바(990b)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bar)들의 각각은 외면의 폭의 길이가 내면의 폭의 길이보다 길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2 멀티 바(990b)를 구성하는 복수의 바(bar)들은 폴딩시, 각각의 내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외면은 상대적으로 이격됨에 따라 굴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멀티 바(990)와 상기 힌지 구조의 레일 스토퍼(960)와의 결속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멀티 바(990)의 홈(993)은 상기 레일 스토퍼(960)의 돌기 형상과 대응된 구성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멀티 바(990) 하면은 돌출된 단턱이 포함된 홈(99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스토퍼(960)는 상기 단턱이 포함된 홈(993)과 서로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멀티 바(990)의 복수의 바(bar)들이 전자 장치가 폴딩됨에 따라, 부채꼴 형상으로 가변하여도, 상기 레일 스토퍼(860)의 상면의 돌출된 라인(961)은 상기 홈(993)과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하우징(1001) 및 제 2 하우징(1002) 사이에 배치된 힌지 구조(1000)에서 슬라이드 커버(1010a, 1010b)가 제외된 상태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26의 구조에서 슬라이드 커버(1010a,1010b)가 배치된 상태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a 및 도 24b의 힌지 구조(1000)는 도 17 내지 도 23 의 힌지 구조(1000)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24a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하우징(1001) 및 제 2 하우징(1002)이 서로 수평일 때, 상기 슬라이드 커버(도 24b의 슬라이드 커버(1010a,1010b))가 제외된 구조는 상기 제 1 하우징(1001) 및 제 2 하우징(1002)의 외면에 배치된 중심 바(1080) 및 멀티 바(109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중심 바(1080)는 2축 힌지 모듈(1020)과의 결합 관계가 노출되어 이물질이 쉽게 침투할 수 있으며, 외관 상 미려함이 저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노출된 멀티 바(1090)는 양단이 사라리꼴 형상의 복수의 바(bar)들이 배열됨에 따라, 중간 중간 갭(1003)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갭(gap)(1003)이 외부로 노출된 경우, 이물질이 쉽게 침투할 수 있으며, 외관 상 미려함이 저하될 수 있다.
도 24b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로 노출된 중심 바(1080), 멀티 바(1090) 및 2축 힌지 모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슬라이드 커버(1010a,1010b)가 포함된 힌지 구조(1000)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커버(1010a,1010b)는 상기 중심 바(1080) 및 2축 힌지 모듈(1020)과의 결합 구조 및 멀티 바(1090)들이 형성한 갭을 외부로부터 밀폐하여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관 상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커버(1010a,1010b)는 제 1 하우징(1001)에 배치된 제 1 슬라이드 커버(1010a) 및 제 2 하우징(1002)에 배치된 제 2 슬라이드 커버(10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커버(1010a,1010b)는 힌지 샤프트(1021a,1021b)에 구속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1021a,1021b)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상의 회전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가 전개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1010a) 및 제 2 슬라이드 커버(1010b)도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전자 장치가 폴딩된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1010a) 및 제 2 슬라이드 커버(1010b)는 슬라이드 운동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슬라이드 커버(1010a)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 1 하우징(1001)의 측면에 안착되는 제 1 부분(1011a) 및 상기 제 1 부분(1011a)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하우징(1001) 및 상기 제 2 하우징(1002)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부분(101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1012a)은 상기 제 1 부분(1011a)보다 힌지 샤프트(1021a)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의 전개 및 폴딩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 샤프트(1021a)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부분(1012a)는 단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곡면을 형성하여 힌지 샤프트(1021a)가 형성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부드러운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슬라이드 커버(1010b)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 2 하우징(1002)의 측면에 안착되는 제 1 부분(1011b) 및 상기 제 1 부분(1011b)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2 하우징(1002) 및 상기 제 1 하우징(1001)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부분(10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1012b)은 상기 제 1 부분(1011b)보다 힌지 샤프트(1021b)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의 전개 및 폴딩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 샤프트(1021b)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부분(1012b)는 단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곡면을 형성하여 힌지 샤프트(1021b)가 형성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부드러운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이하, 힌지 구조를 포함한 전자 장치의 회전 상태를 살펴본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구조(1040)를 포함한 전자 장치(1000)가 전개된 상태에서 폴딩된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25a 내지 도 25c 일측을 절단하여 전자 장치(1000)가 전개된 상태에서 폴딩된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a 내지 도 26c의 힌지 구조(1040)를 포함한 전자 장치(1000)는 도 17 내지 도 23의 힌지 구조(1040)를 포함한 전자 장치(1000)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상기 힌지 구조(1040) 내부에 배치된 2축 힌지 모듈(예를 들어, 도 17의 2축 힌지 모듈(820))의 구조를 통하여, 제 1 가상의 회전축(A1) 및 제 2 가상의 회전축(A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1001)은 상기 제 1 가상의 회전축(A1)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가상의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하우징(1002)은 상기 제 2 가상의 회전축(A2)을 가지면서 상기 제 2 가상의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하우징(1001)과 상기 제 2 하우징(1002)이 서로 다른 힌지축(예: 상기 제 1 가상의 회전축(A1)과 상기 제 2 가상의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 하우징(1001)은 상기 제 2 하우징(1002)에 대해 0~180도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0~180도를 나타내는 각도는 상기 제 2 하우징(1002)에 대한 상기 제 1 하우징(1001)의 각도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 1 하우징(1001)과 상기 제 2 하우징(1002)의 사이의 각도가 180도인 제 1 상태, 상기 제 1 하우징(1001)과 상기 제 2 하우징(1002)의 사이의 각도가 0도 초과에서 180도 미만인 동작 중 일 상태인 제 2 상태, 상기 제 1 하우징(1001)과 상기 제 2 하우징(1002) 사이의 각도가 0도인 제 3 상태인 것으로 정의하여 설명토록 한다. 다만, 상기 제 1 상태 및 제 3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1001) 및 제 2 하우징(1002)이 형성하는 각도는 180도 및 0도로 편의상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전자 장치가 실질적으로 전개되어 상기 제 1 하우징(1001)과 상기 제 2 하우징(1002)가 수평에 가까운 상태(두 하우징의 각도가 대략 180도)가 제 1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가 폴딩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하우징(1001)과 상기 제 2 하우징(1002)이 서로 대면된 상태(두 하우징의 각도가 대략 0도)가 제 3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 1 상태 및 제 3 상태의 사이의 동작 중 일 상태가 제 2 동작 상태일 수 있다.
도 25a 및 도 26a를 참조한 전개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하우징(1001) 및 제 2 하우징(1002)이 서로 플랫한 제 1 상태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1001)과 상기 제 2 하우징(1002) 사이의 각도가 180도를 나타내며, 그에 따른 힌지 구조(1040)의 제 1 슬라이드 커버(제 1 슬라이드 커버 상에 배치된 구성 부품들) 및 제 2 슬라이드 커버(제 2 슬라이드 커버 상에 배치된 구성 부품들)의 사이의 각도도 180도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1001)은 제 1 표면(1011)과 제 2 하우징(1002)의 제 3 표면(1021)은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하우징(1001)의 제 2 표면(1012) 및 제 2 하우징(1002)의 제 4 표면(1022)도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면서 나란하게 배치(상기 제 1 표면(1011) 및 제 3 표면(1021)과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하우징(1001)의 제 1 표면(1011)은 제 1 방향(+Z)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1002)의 제 3 표면(1021)은 제 1 방향(+Z)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001)의 제 2 표면(1012)은 제 2 방향(-Z)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1002)의 제 4 표면(1022)은 제 3 방향(-Z)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는 상기 제 1 하우징(1001)으로부터 상기 힌지 구조(1040)를 가로질러 상기 제 2 하우징(1002)까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1 방향(+Z)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개되는의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하우징(1001) 및 제 2 하우징(1002)은 외측으로 향하는 힘(예를 들어, 제 P3 방향 및 제 P4 방향을 향하는 힘 또는 제 3 방향(+X) 및 제 4 방향(-X)을 향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P3 방향은 힌지 구조(1040)에서 제 1 하우징(1001)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제 P4 방향은 힌지 구조(1040)에서 제 2 하우징(1002)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1000) 내에 배치된 힌지 구조(1040)의 슬라이드 모듈(예를 들어, 도 13의 슬라이드 모듈(700))은 내부에 배치된 탄성체(도 13의 탄성체(740))의 힘에 의하여, 상기 제 1 하우징(1001) 및 제 2 하우징(1002)은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 중립면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향하는 힘(예를 들어, 제 P3 방향 및 제 P4 방향을 향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예를 들어, 도 13의 슬라이드 플레이트(710))는 상기 레일 브라켓(예를 들어, 도 13의 레일 브라켓(600))의 가이드 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 모듈과 결합된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가변하는 길이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개된 전자 장치의 +X,-X축 상의 길이는 상기 폴딩된 전자 장치의 +X,-X축 상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개된 전자 장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들뜸 현상과 같은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변형을 방지하기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과 함께 중립면을 기준으로 외측 (예를 들어, 제 P3 방향 및 제 P4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변되는 길이가 제어된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는 상시적으로 편평한 면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균일 품질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5b 및 도 26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하우징(1001) 및 제 2 하우징(1002)은 서로 플랫한 상태에서 폴딩되는 동작 중 일 상태를 제 2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1001)과 상기 제 2 하우징(1002) 사이의 각도가 0도 초과에서 180도 미만을 나타내며, 그에 따른 힌지 구조(1040)의 제 1 슬라이드 커버(제 1 슬라이드 커버 상에 배치된 구성 부품들) 및 제 2 슬라이드 커버(제 2 슬라이드 커버 상에 배치된 구성 부품들)의 사이의 각도도 0도 초과에서 180도 미만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1001)은 제 1 표면(1011)과 제 2 하우징(1002)의 제 3 표면(1021)은 서로 소정의 각도(0도 초과에서 180도 미만)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하우징(1001)의 제 2 표면(1012) 및 제 2 하우징(1002)의 제 4 표면(1022)도 서로 소정의 각도(0도 초과에서 180도 미만)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1001)의 제 1 표면(1011)과 제 2 하우징(1002)의 제 3 표면(1021)은 입설면을 기준으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하우징(1001)은 제 1 표면(1011)과 제 2 하우징(1002)의 제 3 표면(1021)이 대략 90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하우징(1002)의 제 3 표면(1021)이 제 1 방향(+Z)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하우징(1001)의 제 1 표면(1011)은 상기 제 3 표면(1021)을 기준으로 대략 90도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하우징(1001)의 제 1 표면(1011)이 제 1 방향(+Z)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1002)의 제 3 표면(1021)은 상기 제 1 표면(1011)을 기준으로 대략 90도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는 상기 제 1 하우징(1001)으로부터 상기 힌지 구조(1040)를 가로질러 상기 제 2 하우징(1002)까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상기 제 1 하우징(1001)의 제 1 표면이 향하는 방향, 상기 제 2 하우징(1002)의 제 3 표면(1021)이 향하는 방향 및 상기 다수의 폴딩 라인을 가진 힌지 구조(1040)가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힌지 구조(1040)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는 굴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개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하우징(1001) 및 제 2 하우징(1002)은 내측으로 향하는 힘(예를 들어, 제 P1 방향 및 제 P2 방향을 향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P1 방향은 제 1 하우징(1001)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에서 힌지 구조(104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제 P2 방향은 제 2 하우징(1002)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에서 힌지 구조(104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P1 방향은 상기 P3 방향과 반대 방향이며, 상기 P2 방향은 상기 P4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1000) 내에 배치된 힌지 구조(1040)의 슬라이드 모듈(예를 들어, 도 13의 슬라이드 모듈(700))은 내부에 배치된 탄성체(도 13의 탄성체(740))의 힘에 의하여, 상기 제 1 하우징(1001) 및 제 2 하우징(1002)은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 중립면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향하는 힘(예를 들어, 제 P1 방향 및 제 P2 방향을 향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예를 들어, 도 13의 슬라이드 플레이트(710))는 상기 레일 브라켓(예를 들어, 도 13의 레일 브라켓(600))의 가이드 홀을 따라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 모듈과 결합된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가변하는 길이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개된 전자 장치의 상,하단의 길이는 상기 폴딩된 전자 장치의 상,하단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전자 장치가 폴딩됨에 따라, 전자 장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양측에서 당기는 힘을 받아 일부 영역에서 팽창에 따른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변형을 방지하기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과 함께 중립면 방향으로(예를 들어, 제 P1 방향 및 제 P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변되는 길이가 제어된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는 상시적으로 편평한 면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균일 품질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5c 및 도 26c를 참조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하우징(1001) 및 제 2 하우징(1002)이 서로 폴딩된 제 3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1001)과 상기 제 2 하우징(1002) 사이의 각도가 0도를 나타내며, 그에 따른 힌지 구조(1040)의 제 1 슬라이드 커버(제 1 슬라이드 커버 상에 배치된 구성 부품들) 및 제 2 슬라이드 커버(제 2 슬라이드 커버 상에 배치된 구성 부품들)의 사이의 각도도 0도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3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1001)은 제 1 표면(1011)과 제 2 하우징(1002)의 제 3 표면(1021)은 서로 대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하우징(1001)의 제 2 표면(1012) 및 제 2 하우징(1002)의 제 4 표면(1022)은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하우징(1001)의 제 1 표면(1011)은 제 3 방향(+X)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1002)의 제 3 표면(1021)은 제 4 방향(-X)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001)의 제 2 표면(1012)은 제 4 방향(-X)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하우징(1002)의 제 4 표면(1022)은 제 3 방향(+X)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가 노출된 제 1 표면(1011) 및 제 3 표면(1021)만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는 상기 제 1 하우징(1001)으로부터 상기 힌지 구조(1040)를 가로질러 상기 제 2 하우징(1002)까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동작에서 상기 제 1 하우징(1001)에 배치된 영역은 제 3 방향(+X)을 상기 제 2 하우징(1002)에 배치된 영역은 제 4 방향(-X)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한 예로, 상기 힌지 구조(1040) 상에 배치된 영역은 제 1 방향(+Z)을 기준으로 제 3 방향(+X) 및/또는 제 4 방향(-X)을 따라 굴곡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하는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제 1 하우징(1001) 및 제 2 하우징(1002)은 내측으로 향하는 힘(예를 들어, 제 P1 방향 및 제 P2 방향을 향하는 힘 또는 제 1 방향(+Z)을 향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P1 방향은 제 1 하우징(1001)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에서 힌지 구조(104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제 P2 방향은 제 2 하우징(1002)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에서 힌지 구조(104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P1 방향은 상기 P3 방향과 반대 방향이며, 상기 P2 방향은 상기 P4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1000) 내에 배치된 힌지 구조(1040)의 슬라이드 모듈(예를 들어, 도 13의 슬라이드 모듈(700))은 내부에 배치된 탄성체(도 13의 탄성체(740))의 힘에 의하여, 상기 제 1 하우징(1001) 및 제 2 하우징(1002)은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 중립면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향하는 힘(예를 들어, 제 P1 방향 및 제 P2 방향을 향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예를 들어, 도 13의 슬라이드 플레이트(710))는 상기 레일 브라켓(예를 들어, 도 13의 레일 브라켓(600))의 가이드 홀의따라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 모듈과 결합된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가변하는 길이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가변되는 길이가 제어된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는 상시적으로 편평한 면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균일 품질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1030)를 지지하는 멀티 바(예를 도 18의 멀티 바(890))의 가변 구조 및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드 운동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모듈의 동작 구조에 따라, 제 1 하우징(1001) 및 제 2 하우징(1002)에 걸쳐 배치된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전개 및 폴딩된 상태에서도 변형이 제한되고 상시적으로 주름 등이 발생하지 않고 편평한 면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10) 내측에 배치된 메인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한 상태의 전자 장치(1100) 내에 배치된 메인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전자 장치(1100) 내에 배치된 메인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7 내지 도 29에 나타난 제 1 하우징(1110a) 및 제 2 하우징(1110b)의 구조는 도 5 내지 7의 제 1 하우징(310a) 및 제 2 하우징(310b)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100)는 제 1 하우징(1110a), 제 2 하우징(1110b), 힌지 구조(1020) 및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구조(1020)는 상기 제 2 하우징(1110b)과 상기 제 1 하우징(1110a)을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하우징(1110b)에 대하여 상기 제 1 하우징(1110a)이 전개되거나 폴딩(folding)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은 제 1 하우징(1110a) 및 제 2 하우징(1110b)에 배치된 회로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은 제 1 하우징(1110a) 및 제 2 하우징(1110b)을 가로 질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은 제 1 하우징(1110a)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힌지 구조(1020)을 통해 상기 제 2 하우징(1110b)까지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은 양단에 커넥터(1031,1032)가 마련되어 제 1 하우징(1110a)에 배치된 메인 인쇄 회로기판(10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하우징(1110b)에 배치된 서브 인쇄 회로기판(10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은 직선 부분과 굴곡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라인은 전원, 그라운드 및 디지털, 아날로그 신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전개된 전자 장치(1100) 내부에 배치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구조(1020)가 배치된 영역을 관통하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은 상기 힌지 구조(1020)의 중심 바(1080) 또는 멀티 바(1090)가 배치된 일면과 힌지 구조(1020)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티 바(1090)의 길이 방향 중심에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이 가로질러 통과할 수 있는 내측으로 형성된 홈(예를 들어, 도 19의 홈(895))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1100)가 플랫하도록 전개되거나 폴딩 되는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이 배치된 공간 영역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게되어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개된 전자 장치(1100) 내에 배치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은 가장 편평하게 늘어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폴딩된 전자 장치(1100) 내에 배치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은 상기 전자 장치(1100)의 가변 동작에 따라 전체적으로 실장된 위치가 가변되지 않도록 상기 전자 장치(1100)의 일부 영역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은 중심 바(1080) 일면과 결합하는 제 1 부분(1033), 상기 제 1 하우징(1110a) 상에 배치된 제 1 슬라이드 커버(1021a)와 결합하는 제 2 부분(1034) 및 상기 제 2 하우징(1110b) 상에 배치된 제 2 슬라이드 커버(1021b)와 결합하는 제 3 부분(1035)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부분(1033) 및 제 2 부분(1034) 사이 및/또는 상기 제 1 부분(1033) 및 상기 제 3 부분(1035) 사이는 상기 전자 장치(1100)와 결합하지 않고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폴딩된 전자 장치(1100) 내부에 배치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구조(1020)가 배치된 영역을 관통하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은 중심 바(1080) 또는 멀티 바(1090)가 배치된 일면과 힌지 구조(10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폴딩된 전자 장치(1100)에 배치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은 플랫한 전자 장치(1100)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감소함에 따라, 일부분이 상기 내부 공간(1101,1102) 쪽으로 휘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1110a) 또는 제 2 하우징(1110b)에 배치된 내부 공간(1101,1102)은 길이가 가변되는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 내에 배치된 신호라인들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폴딩된 전자 장치(1100)에 배치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의 제 1 부분(1033)은 상기 중심 바(1080) 일면과 결합하고, 상기 제 2 부분(1034)은 상기 제 1 하우징(1110a) 상에 배치된 제 1 슬라이드 커버(1021a)와 결합하고, 제 3 부분(1035)은 상기 제 2 하우징(1110b) 상에 배치된 제 2 슬라이드 커버(1021b)와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의 상기 제 1 부분(1033) 및 제 2 부분(1034) 사이 영역은 상기 제 1 하우징(1110a)에 배치된 내부 공간(1101)에서 제 2 방향(-Z)을 향하도록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1030)의 상기 제 1 부분(1033) 및 제 3 부분(1035) 사이 영역은 상기 제 2 하우징(1110b)에 배치된 내부 공간(1102)으로 제 1 방향(+Z)을 향하도록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립체(1200)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된 전자 장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조립체(1200)의 적층 구조의 가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 및 도 31의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조립체(1200)의 구조는 도 2의 전자 장치(200) 또는 디스플레이 조립체(220)의 구조의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200)는 하우징(210)과, 디스플레이 조립체(220,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0 및 도 31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1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조립체(1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1200) 저면에 상기 하우징(210)과의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필름들이 적층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1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10)을 기준으로 제 2 방향(-Z)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 1 접착 부재(1220), 지지 부재(1230), 탄성 부재(1240) 및 제 2 접착 부재(125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10)은 윈도우 부재(1211)를 기준으로 제 2 방향(-Z)을 따라 순차적으로 터치 패널(1212) 및 디스플레이 패널(121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1211)는 전자 장치의 외면을 형성하며 예를 들어, PI(polyimide film)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1211)의 내측면에 디스플레이 패널(1213)(예를 들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1211)와 디스플레이 패널(1213) 사이에는 터치 패널(1212)이 탑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10)은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이면서, 터치 스크린 기능이 탑재된 입력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213) 후면에 입력 패널로서 별도의 디지타이저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타이저 패널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상기 전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입력 모듈(예를 들어, 펜)을 이용한 필기 내용을 검출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10) 저면에 적층된 다양한 필름들은, 상기 제 1 하우징(210)의 제 1 브라켓(예를 들어, 도 5의 제 1 브라켓(312a)) 및 상기 제 2 하우징(210)의 제 2 브라켓(예를 들어, 도 5의 제 2 브라켓(312b)에 배치되는 것 이외에, 폴딩되는 힌지 구조(230) 상에 면 품질의 저하없이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 부재(1240)는 멀티 바(1280)와 디스플레이 모듈(1210) 사이에 배치되고, 전자 장치가 폴딩됨에 따라 굴곡면을 형성하는 멀티 바(1280)와 디스플레이 모듈(1210) 간의 균일한 면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멀티 바(1280)는 플랫 상태의 전자 장치에서 편평한 면을 형성하고, 폴딩 상태의 전자 장치에서 굴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멀티 바(1280)는 직선 형상의 막대 구조로 성형되기 때문에, 폴딩시 형성된 곡면은 실질적으로 적층된 이면과 이격된 갭(gap)(12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 바(1280)의 일면에 탄성 재질로 구성된 탄성 부재(1240)가 배치될 경우, 상기 갭(1201)이 제거되도록 보완되어 상기 멀티 바(1280)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1210)의 구겨짐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조립체(1200)의 면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 부재(1240)는 멀티 바(1280)가 배치된 전체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무 또는 스폰지 등의 다양한 탄성 재질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 부재(123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10)과 탄성 부재(12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1240)가 형성하는 기공 등의 불량 품질 요소를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1240)만을 사용하게 된 경우, 상기 탄성 부재(1240)에 있는 기공이 디스플레이 모듈(1210) 내면에 침투하게 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면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240)의 일면에 지지 부재(1230)를 적층 배치할 경우, 상기 지지 부재(1230)가 탄성 부재(1240)의 기공을 커버하여 기공 침투를 억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 부재(1230)는 멀티 바(1280)가 배치된 전체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폴딩시에도 고른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플렉서블하면서 거칠기가 낮은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1230)는 PI 필름(polyimide film) 또는 PU 필름(polyurethane fil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접착 부재(122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10)과 상기 지지 부재(12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10) 및 지지 부재(1230)를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착 부재(1220)는 상온에서 적은 압력으로 접착되는 면들을 손상시키지 않은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감압성 접착제(PSA)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접착 부재(1250)는 상기 탄성 부재(1240)와 상기 멀티 바(128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 부재(1240) 및 멀티 바(1280)를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착 부재(1250)는 상온에서 적은 압력으로 접착되는 면들을 손상시키지 않은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감압성 접착제(PS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10) 저면에 적층 배치된 복합 필름들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조립체(1200)는, 폴딩되는 힌지 구조(230) 상에서 굴곡되는 면의 품질 저하없이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면 및 제 2 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구조, 제 3 면 및 제 4 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구조, 및 상기 제 1 하우징 구조 및 상기 제 2 하우징 구조 사이에 연결되고 제 5 면 및 제 6 면을 포함하는 연결 구조로서, 상기 연결 구조가 완전하게 벤딩될 때, 상기 제 2 면과 상기 제 4 면이 대면하도록 벤딩 가능한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하우징 구조(foldable housing structure); 상기 제 1 면, 상기 제 5 면 및 상기 제 3 면을 따라 연장되는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조립체; 상기 연결 구조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구조로부터 상기 연결 구조까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레일 브라켓 및 상기 제 1 레일 브라켓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하우징 구조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구조가 벤딩될 때,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1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제 1 슬라이딩 구조; 및 상기 연결 구조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구조로부터 상기 연결 구조까지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레일 브라켓 및 상기 제 2 레일 브라켓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하우징 구조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구조가 벤딩될 때,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제 2 슬라이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연결 구조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레일 브라켓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3 레일 브라켓 및 상기 제 3 레일 브라켓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하우징 구조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구조가 벤딩될 때,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3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제 3 슬라이딩 구조; 및 상기 연결 구조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레일 브라켓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4 레일 브라켓 및 상기 제 4 레일 브라켓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하우징 구조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구조가 벤딩될 때,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4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제 4 슬라이딩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레일 브라켓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제 1 면과 수직인 제 3 방향을 향하는 내면 및 상기 내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내측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 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유기 발광 표시(OLED)층; 상기 유기 발광 표시층 및 상기 제 1 하우징 구조 사이에 배치된 폼(form)층; 및 상기 폼층 및 상기 유기 발광 표시층 사이에 배치된 폴리이미드(polyimde)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 2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유기 발광 표시(OLED)층; 상기 유기 발광 표시층 및 상기 제 2 하우징 구조 사이에 배치된 폼층; 및 상기 폼층 및 상기 유기 발광 표시층 사이에 배치된 폴리이미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연결된 제 3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은, 유기 발광 표시층; 상기 유기 발광 표시층 및 상기 제 6 면 사이에 배치된 폼층; 및 상기 폼층 및 유기 발광 표시층 사이에 배치된 폴리이미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제 3 면, 상기 제 3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상호 간의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 및 상기 제 1 하우징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힌지 구조를 가로질러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3 면으로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힌지 구조의 폴딩 동작에 따라 곡면을 형성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제 1 하우징이 상기 제 2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한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한 제 2 회전축을 제공하는 2축 힌지 모듈; 및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슬라이드 운동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상기 제 1 하우징 전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된 제 1 영역, 상기 제 2 하우징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된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힌지 구조 외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된 제 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 1 영역은 회전하며, 상기 제 3 영역은 굴곡면을 형성하는 가상의 폴딩 라인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딩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1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2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하우징이 상기 제 2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된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딩 모듈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제 3 영역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딩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1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2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이 수평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딩 모듈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제 3 영역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 1, 2 슬라이드 커버; 상기 제 1, 2 슬라이드 커버에 형성된 리세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 슬라이드 커버 각각에 가상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상기 2축 힌지 모듈; 상기 제 1, 2 슬라이드 커버 내측면에 결합된 레일 브라켓; 및 상기 레일 브라켓 상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제 1, 2 슬라이드 커버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2 슬라이드 커버의 회전 움직임을 제한하는 한 쌍의 레일 스토퍼; 및 상기 한 쌍의 레일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 내측에 배치된 슬라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일측이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홈 포함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홈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 방향으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레일 브라켓의 측면에 접촉하여 회전 운동하는 롤러; 상기 홈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 브라켓을 향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 및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일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 홀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선 형상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롤러는, 상기 탄성체의 가압된 힘을 제공받아 상기 사선 형상의 홈의 경사면의 방향에 따라 가속 또는 감속 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1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2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이 상기 제 2 하우징에 대하여 전개된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딩 모듈에 각각 배치된 상기 롤러는 상기 사선 형상의 홈의 경사면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롤러가 상기 경사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에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2 슬라이드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 3 영역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받으며, 상기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은 서로 평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1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2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이 상기 제 2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된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딩 모듈에 각각 배치된 상기 롤러는 상기 사선 형상의 홈의 경사면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롤러가 상기 경사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에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2 슬라이드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 3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받으며, 상기 힌지 구조 일면에 배치된 상기 제 3 영역은 균일한 굴곡면을 유지할 수 있다.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하우징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측면과 결합하고, 상기 제 1 하우징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일 브라켓의 상기 가이드 홀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된 라인과 대응된 라인 홈이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힌지 구조의 외면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지지하는 중심 바; 및 상기 중심 바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제 3 영역을 굴곡된 면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멀티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바는 상기 중심 바를 기준으로 서로 대면 배치된 제 1 멀티 바 및 제 2 멀티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멀티 바 및 제 2 멀티 바는 복수 개의 바들의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바의 각각의 바(bar)들은 외면의 폭의 길이가 내면의 폭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자 장치가 폴딩될 때, 상기 각각의 바들의 내면이 서로 접촉하고 외면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바의 내면은 상기 레일 스토퍼의 외면 형상과 대응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 스토퍼와 결합하고, 상기 멀티 바는 상기 레일 스토퍼의 회전 움직임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개된 상기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면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3 면은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폴딩된 상기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면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4 면은 서로 대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폴딩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의 외면은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 구조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면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4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플랫한 면을 형성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지지하는 플랫면; 및 상기 플랫면으로부터 양측으로부터 상기 제 1 하우징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으로 연장 배치된 굴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힌지 구조를 가로질러 상기 제 2 하우징 내부 일측까지 배치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굴곡 부분은 상기 힌지 구조의 내측에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굴곡 부분은, 상기 중심 바 일면과 결합하는 제 1 부분, 상기 제 1 하우징 상에 배치된 슬라이드 커버와 결합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2 하우징 상에 배치된 슬라이드 커버와 결합하는 제 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힌지 구조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 구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굴곡 형상에 따라 형성된 이격 공간을 충진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힌지 구조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개 또는 폴딩에 따라 가변하는 상기 힌지 구조의 멀티 바들이 동일한 높이의 가상면을 형성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 200
제 1 하우징: 200a
제 2 하우징: 200b
힌지 구조: 230,330,40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 320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390
슬라이드 커버: 410
2축 힌지 모듈: 420
레일 브라켓: 440
슬라이드 모듈: 430
슬라이드 스토퍼: 450
레일 스토퍼: 460
중심 바: 880
멀티 바: 890

Claims (24)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면,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제 3 면, 상기 제 3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4 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상호 간의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 및
    상기 제 1 하우징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힌지 구조를 가로질러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3 면으로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힌지 구조의 폴딩 동작에 따라 곡면을 형성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제 1 하우징이 상기 제 2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한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한 제 2 회전축을 제공하는 2축 힌지 모듈; 및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슬라이드 운동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상기 제 1 하우징 전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된 제 1 영역, 상기 제 2 하우징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된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힌지 구조 외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된 제 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 1 영역은 회전하며, 상기 제 3 영역은 굴곡면을 형성하는 가상의 폴딩 라인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1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2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하우징이 상기 제 2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된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제 3 영역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1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2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이 수평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제 3 영역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 1, 2의 슬라이드 커버;
    상기 제 1, 2 슬라이드 커버에 형성된 리세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 슬라이드 커버 각각에 가상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상기 2축 힌지 모듈;
    상기 제 1, 2 슬라이드 커버 내측면에 각각 고정 결합된 레일 브라켓; 및
    상기 레일 브라켓 상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제 1, 2 슬라이드 커버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2의 슬라이드 커버의 회전 움직임을 제한하는 한 쌍의 레일 스토퍼; 및
    상기 한 쌍의 레일 스토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 내측에 배치된 슬라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일측이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홈 포함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홈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 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레일 브라켓의 측면에 접촉하여 회전 운동하는 롤러;
    상기 홈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 브라켓을 향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 및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 홀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선 형상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롤러는, 상기 탄성체의 가압된 힘을 제공받아 상기 사선 형상의 홈의 경사면의 방향에 따라 가속 또는 감속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1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2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이 상기 제 2 하우징에 대하여 전개된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딩 모듈에 각각 배치된 상기 롤러는 상기 사선 형상의 홈의 경사면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롤러가 상기 경사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에 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2 슬라이드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 3 영역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받으며, 상기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은 서로 평행한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1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 2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이 상기 제 2 하우징에 대하여 폴딩된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딩 모듈에 각각 배치된 상기 롤러는 상기 사선 형상의 홈의 경사면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롤러가 상기 경사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에 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2 슬라이드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슬라이드 모듈 및 제 2 슬라이드 모듈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 3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받으며, 상기 힌지 구조 일면에 배치된 상기 제 3 영역은 균일한 굴곡면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하우징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측면과 결합하고,
    상기 제 1 하우징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브라켓의 상기 가이드 홀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된 라인과 대응된 라인 홈이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힌지 구조의 외면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를 지지하는 중심 바; 및
    상기 중심 바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제 3 영역을 굴곡된 면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멀티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바는 상기 중심 바를 기준으로 서로 대면 배치된 제 1 멀티 바 및 제 2 멀티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멀티 바 및 제 2 멀티 바는 복수 개의 바들의 배열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바의 각각의 바(bar)들은 외면의 폭의 길이가 내면의 폭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자 장치가 폴딩될 때, 상기 각각의 바들의 내면이 서로 접촉하고 외면은 서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바의 내면은 상기 레일 스토퍼의 외면 형상과 대응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 스토퍼와 결합하고,
    상기 멀티 바는 상기 레일 스토퍼의 회전 움직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전개된 상기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1 면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3 면은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폴딩된 상기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면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4 면은 서로 대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의 외면은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 구조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면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4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플랫한 면을 형성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지지하는 플랫면; 및
    상기 플랫면으로부터 양측으로부터 상기 제 1 하우징 또는 상기 제 2 하우징으로 연장 배치된 굴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힌지 구조를 가로질러 상기 제 2 하우징 내부 일측까지 배치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의 굴곡 부분은 상기 힌지 구조의 내측에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굴곡 부분은,
    상기 중심 바 일면과 결합하는 제 1 부분, 상기 제 1 하우징 상에 배치된 슬라이드 커버와 결합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2 하우징 상에 배치된 슬라이드 커버와 결합하는 제 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힌지 구조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 구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굴곡 형상에 따라 형성된 이격 공간을 충진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조립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힌지 구조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개 또는 폴딩에 따라 가변하는 상기 힌지 구조의 멀티 바들이 동일한 높이의 가상면을 형성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70056440A 2017-05-02 2017-05-0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26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440A KR102426694B1 (ko) 2017-05-02 2017-05-0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20159870.3A EP3683654B1 (en) 2017-05-02 2018-04-26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EP18794153.9A EP3602530B1 (en) 2017-05-02 2018-04-26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CN201880028850.9A CN110582804B (zh) 2017-05-02 2018-04-26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CN202111048377.0A CN113766770B (zh) 2017-05-02 2018-04-26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EP23156763.7A EP4206861A1 (en) 2017-05-02 2018-04-26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CN202111048384.0A CN113766771B (zh) 2017-05-02 2018-04-26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EP22167698.4A EP4050455B1 (en) 2017-05-02 2018-04-26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PCT/KR2018/004830 WO2018203614A1 (en) 2017-05-02 2018-04-26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15/966,364 US10827633B2 (en) 2017-05-02 2018-04-30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PH12019502466A PH12019502466A1 (en) 2017-05-02 2019-10-31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16/727,606 US10856430B2 (en) 2017-05-02 2019-12-26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17/008,474 US11032929B2 (en) 2017-05-02 2020-08-31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17/341,191 US11576272B2 (en) 2017-05-02 2021-06-07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1020220091836A KR20220108019A (ko) 2017-05-02 2022-07-2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30004858A KR20230014807A (ko) 2017-05-02 2023-01-1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440A KR102426694B1 (ko) 2017-05-02 2017-05-0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836A Division KR20220108019A (ko) 2017-05-02 2022-07-2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210A true KR20180122210A (ko) 2018-11-12
KR102426694B1 KR102426694B1 (ko) 2022-07-29

Family

ID=6401514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440A KR102426694B1 (ko) 2017-05-02 2017-05-0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20091836A KR20220108019A (ko) 2017-05-02 2022-07-2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30004858A KR20230014807A (ko) 2017-05-02 2023-01-1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836A KR20220108019A (ko) 2017-05-02 2022-07-2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30004858A KR20230014807A (ko) 2017-05-02 2023-01-1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10827633B2 (ko)
EP (4) EP4206861A1 (ko)
KR (3) KR102426694B1 (ko)
CN (3) CN113766771B (ko)
PH (1) PH12019502466A1 (ko)
WO (1) WO2018203614A1 (ko)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793A1 (ko) * 2018-11-29 2020-06-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1290524A (zh) * 2018-12-07 2020-06-16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粘合结构的电子装置
KR20200090476A (ko) * 2019-01-21 202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석 및 자석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00490A (ko) * 2019-02-18 202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선 부재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01104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가지는 전자 장치
WO2020184988A1 (ko) * 2019-03-11 2020-09-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34670A (ko) * 2019-05-23 2020-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음향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1020785A1 (en) * 2019-07-26 2021-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WO2021025441A1 (ko) * 2019-08-04 2021-02-11 (주)에이유플렉스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접히는 힌지모듈
WO2021085985A1 (ko) * 2019-10-28 2021-05-06 (주)에이유플렉스 디스플레이장치용 접히는 힌지
CN112770554A (zh) * 2019-10-21 2021-05-07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防尘结构的电子装置
KR102250196B1 (ko) * 2020-04-22 2021-05-10 주식회사 이음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96124A1 (en) * 2019-11-15 2021-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2256305B1 (ko) * 2020-05-26 2021-05-27 주식회사 파츠텍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WO2021162290A1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169565B2 (en) 2019-07-26 2021-1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178779B2 (en) 2019-10-25 2021-11-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10150639A (ko) * 2020-06-03 2021-12-13 주식회사 경신전선 연성인쇄회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2010137A1 (ko) * 2020-07-10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30775A1 (ko) * 2020-08-03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34123B2 (en) 2019-06-03 2022-05-17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WO2022158952A1 (ko) * 2021-01-25 2022-07-28 (주)에이유플렉스 흔들림이 없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US11435785B2 (en) 2020-04-22 2022-09-06 Eum, Inc. Foldable display device
US11470735B2 (en) 2019-10-22 2022-10-1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and hinge device therefor
WO2023043109A1 (ko) * 2021-09-15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3059018A1 (ko) * 2021-10-06 2023-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91845A (ko) * 2019-02-19 2023-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3136622A1 (ko) * 2022-01-12 2023-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11775015B2 (en) 2020-08-03 2023-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O2023210918A1 (ko) * 2022-04-29 2023-11-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4039162A1 (ko) * 2022-08-17 2024-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71756B2 (en) 2021-01-27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CN111290524B (zh) * 2018-12-07 2024-05-24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粘合结构的电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932A1 (en) 2016-03-09 2017-09-14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ing of complexly curved glass articles
EP3475237A1 (en) 2016-06-28 2019-05-01 Corning Incorporated Laminating thin strengthened glass to curved molded plastic surface for decorative and display cover application
CN109416480B (zh) 2016-07-05 2022-08-12 康宁公司 冷成形玻璃制品和其组装工艺
KR102429148B1 (ko) 2016-10-25 2022-08-0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플레이에 냉간-성형 유리 적층
JP2020518495A (ja) 2017-01-03 2020-06-25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湾曲したカバーガラスとディスプレイまたは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乗り物内装システムおよびその形成方法
US11016590B2 (en) 2017-01-03 2021-05-25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0712850B2 (en) 2017-01-03 2020-07-14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a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KR20180097356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웃 폴딩(out-foldable)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아웃 폴딩 가능한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CN107093606B (zh) * 2017-03-31 2019-08-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作方法
KR102426694B1 (ko) 2017-05-02 2022-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58993B1 (ko) 2017-05-15 2023-07-2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윤곽 유리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USD901495S1 (en) 2017-05-31 2020-11-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207782858U (zh) * 2017-06-06 2018-08-2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柔性屏移动终端铰链及柔性屏移动终端
KR20200030094A (ko) 2017-07-18 2020-03-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복잡한 곡선 모양 유리 물품의 냉간 성형
CN115602068A (zh) 2017-09-12 2023-01-13 康宁公司(Us) 用于装饰玻璃上的包括触摸面板的显示器的死前端及相关方法
TWI806897B (zh) 2017-09-13 2023-07-01 美商康寧公司 用於顯示器的基於光導器的無電面板、相關的方法及載具內部系統
US11065960B2 (en) 2017-09-13 2021-07-20 Corning Incorporated Curved vehicle displays
US10795416B2 (en) * 2017-09-22 2020-10-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TW201918462A (zh) 2017-10-10 2019-05-16 美商康寧公司 具有改善可靠性的彎曲的覆蓋玻璃的車輛內部系統及其形成方法
US11768369B2 (en) 2017-11-21 2023-09-26 Corning Incorporated Aspheric mirror for head-up display system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CN111656254B (zh) 2017-11-30 2023-06-02 康宁公司 用于真空成形非球面镜的系统与方法
WO2019108015A2 (en) 2017-11-30 2019-06-06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Vacuum mol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curved mirrors
CN110022386B (zh) * 2018-01-09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终端设备
TWI699155B (zh) * 2018-03-02 2020-07-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鉸鏈結構與具有其的電子裝置
CN111989302B (zh) 2018-03-13 2023-03-28 康宁公司 具有抗破裂的弯曲覆盖玻璃的载具内部系统及用于形成这些载具内部系统的方法
WO2019190213A1 (ko) * 2018-03-28 2019-10-03 (주)오라컴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CN108738258B (zh) * 2018-05-28 2019-11-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弯折的移动终端
EP3823825A1 (en) 2018-07-16 2021-05-26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old-bent glass substrate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0802549B2 (en) * 2018-07-31 2020-10-13 Dell Products, L.P.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with multi-layered hinge
KR20200026644A (ko) * 2018-08-29 2020-03-11 (주)에이유플렉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CN108922408B (zh) * 2018-09-19 2024-02-2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支撑装置及可折叠柔性显示装置
KR102524236B1 (ko) 2018-11-16 202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87879B1 (ko) * 2018-11-23 2023-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314288B2 (en) * 2018-11-30 2022-04-26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stylus dock
CN109561178B (zh) * 2018-11-30 2020-07-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铰接件、终端设备的折叠机构及终端设备
US11116098B2 (en) 2018-12-10 2021-09-07 Corning Incorporated Dynamically bendable automotive interior display systems
TWI713433B (zh) * 2018-12-18 2020-12-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伸縮式鉸鏈及具有其的電子裝置
JP6698144B1 (ja) * 2018-12-25 2020-05-2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KR20200083872A (ko) * 2018-12-31 2020-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60605B1 (ko) * 2019-01-08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장치 액세서리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장치
CN114710574A (zh) * 2019-01-11 2022-07-05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方法及相关装置
US10928863B2 (en) 2019-01-14 2021-02-23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idframe to sliding frame assembly
US10817030B2 (en) * 2019-01-14 2020-10-27 Dell Products L.P.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with alternating slide support frame
CN109638063B (zh) * 2019-01-15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显示方法和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210178745U (zh) * 2019-01-15 2020-03-24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铰链的同步机构
US10754395B2 (en) * 2019-01-17 2020-08-25 Dell Products L.P. Multi-axis hinge translation to adjust housing position relative to flexible display position
JP6758439B2 (ja) * 2019-01-24 2020-09-2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CN109862154B (zh) * 2019-01-25 2020-10-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装置
TWI710308B (zh) * 2019-02-16 2020-11-11 兆利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折疊式裝置的轉軸模組(四)
KR102601837B1 (ko) * 2019-02-19 2023-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00101153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40610B1 (ko) * 2019-02-19 2024-0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합된 접지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00101201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Fpcb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EP3894984B1 (en) * 2019-02-19 2023-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module including detent structur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hinge module
KR20200101791A (ko) 2019-02-20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장치
CN109688252B (zh) * 2019-02-28 2021-03-19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1816067B (zh) * 2019-04-12 2023-12-29 三星电子株式会社 可折叠电子装置
WO2020214176A1 (en) * 2019-04-18 2020-10-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s with hinge assemblies
CN111862798B (zh) * 2019-04-25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电子装置
KR20200127617A (ko) * 2019-05-03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930177B (zh) * 2019-05-13 2023-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电子设备
TWM582287U (zh) * 2019-05-16 2019-08-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保護殼
US10606318B1 (en) * 2019-05-23 2020-03-31 Google Llc Hinge mechanism and mode detector for foldable display device
BR112021023955B1 (pt) * 2019-05-31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eletrônico dobrável incluindo estrutura de proteção de exibidor
KR20200140126A (ko) * 2019-06-05 2020-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US20200410540A1 (en) * 2019-06-28 2020-12-31 Promo Drone Hovering promotional advertisement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2151960A (zh) * 2019-06-28 2020-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可折叠的移动终端和天线控制方法
WO2021006372A1 (ko) * 2019-07-08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3366927A (zh) * 2019-07-15 2021-09-07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US11083096B2 (en) * 2019-07-16 2021-08-03 Au Optronics Corporation Display device
CN112243051B (zh) * 2019-07-17 2021-10-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天线控制方法及存储介质
EP3771695A1 (en) 2019-07-31 2021-02-03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ld-forming glass
US11243578B2 (en) * 2019-08-02 2022-02-08 Dell Products L.P. Gear synchronized dual axis pivot hinge
US11294431B2 (en) * 2019-08-02 2022-04-05 Dell Products L.P. Synchronized dual axis pivot hinge
US11586243B2 (en) 2019-08-02 2023-02-2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rotational orienta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KR20210031041A (ko) * 2019-09-10 2021-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TWI748647B (zh) * 2019-09-17 2021-12-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樞紐結構
US10831244B1 (en) * 2019-09-18 2020-11-10 Robert Charles DeMaio Hinge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s
KR20210033758A (ko) 2019-09-19 2021-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공급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138912B2 (en) * 2019-10-01 2021-10-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screen modes on a bendable computing device
KR20210047389A (ko) * 2019-10-21 2021-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47753A (ko) * 2019-10-22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10049238A (ko) * 2019-10-24 2021-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M591752U (zh) * 2019-10-29 2020-03-0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絞鏈機構
CN111106448B (zh) * 2019-11-22 2021-10-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客户终端设备
CN112866447B (zh) * 2019-11-28 2022-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终端设备
CN113027899A (zh) * 2019-12-09 2021-06-25 深圳市富世达通讯有限公司 同动式铰链
CN113883156A (zh) 2020-07-01 2022-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模组及折叠式电子设备
CN111147630B (zh) * 2019-12-20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屏设备
KR20210081045A (ko) 2019-12-23 2021-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10081968A (ko) 2019-12-24 2021-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037893B (zh) * 2019-12-24 2023-05-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BR112022012734A2 (pt) 2019-12-27 2022-09-06 Huawei Tech Co Ltd Dispositivo eletrônico
KR20210092862A (ko) * 2020-01-16 2021-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41514B1 (ko) * 2020-02-10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10101669A (ko)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CN113280033B (zh) * 2020-02-20 2022-07-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铰链、铰链组件和折叠式电子设备
CN111188972B (zh) * 2020-02-28 2022-01-18 联想(北京)有限公司 屏幕支架及电子设备
CN111343310B (zh) * 2020-03-06 2021-04-20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装置及移动终端
US11772361B2 (en) 2020-04-02 2023-10-03 Corning Incorporated Curved glass construction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KR20210149493A (ko) 2020-06-02 2021-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681548B (zh) * 2020-06-15 2021-12-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N113824819B (zh) * 2020-06-18 2022-11-22 华为技术有限公司 柔性屏幕总成及终端
KR20220006671A (ko) * 2020-07-08 2022-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16606A (ko) * 2020-08-03 2022-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190629B1 (en) * 2020-08-17 2021-11-30 Wei Hu Koh Sectioned wearable smartphone devices
US11570911B2 (en) * 2020-08-20 2023-01-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1968519B (zh) * 2020-08-31 2022-06-17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1862827A (zh) * 2020-09-02 2020-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中框及显示装置
KR20220030825A (ko) * 2020-09-03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14338862B (zh) * 2020-09-29 2023-05-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2333308B (zh) * 2020-11-03 2022-09-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装置、折叠机壳及移动终端
US11385687B1 (en) * 2021-01-29 202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109722A (ko) * 2021-01-29 2022-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 및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057600A4 (en) * 2021-01-29 2023-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7189995B2 (ja) * 2021-04-20 2022-12-1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JP7170086B2 (ja) * 2021-04-22 2022-11-1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JP2022170037A (ja) * 2021-04-28 2022-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CN115460842A (zh) * 2021-06-08 2022-1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电子设备
CN117651928A (zh) * 2021-08-10 2024-03-05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用于防止损坏柔性印刷电路板的结构的电子装置
KR20230060624A (ko) * 2021-10-27 2023-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785719B2 (en) * 2021-11-03 2023-10-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CN114023197B (zh) * 2021-11-22 2022-12-0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US11937390B2 (en) 2021-11-22 2024-03-19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CN114038322B (zh) * 2021-11-22 2023-08-04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可卷曲显示模组及显示装置
US11656832B1 (en) 2022-01-06 2023-05-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of directions for configuring mechanically adjustable display screen
JP7366179B2 (ja) 2022-03-23 2023-10-2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WO2024013844A1 (ja) * 2022-07-12 2024-01-18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フォルダブルディスプレイ
WO2024045038A1 (zh) * 2022-08-31 2024-03-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机构及显示装置
WO2024049077A1 (ko) * 2022-09-02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58464A1 (ko) * 2022-09-16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한 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4669A (ko) * 2012-07-25 2014-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케이스 및 표시 장치
US20140126121A1 (en) * 2012-11-02 2014-05-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KR20150096827A (ko) * 2014-02-17 2015-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204565B1 (en) * 2014-12-30 2015-12-01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20160032080A (ko) * 2014-02-21 2016-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CN205858944U (zh) * 2016-02-05 2017-01-04 富世达股份有限公司 应用于软性显示屏幕的可转联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0325B1 (en) * 1996-04-19 2003-01-21 Mack, Ii Gawins A. Convertible portable telephone
US5983073A (en) * 1997-04-04 1999-11-09 Ditzik; Richard J. Modular notebook and PDA computer systems for personal comput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s
US20080045093A1 (en) * 2003-10-31 2008-02-21 Richard Terrence Tamba De-Coupling Clutch, Particularly for Marine Use
KR100631670B1 (ko) * 2003-12-09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JP3946719B2 (ja) * 2004-08-30 2007-07-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ヒンジコネクタ、及びヒンジコネクタを備えた電子機器
TWI275291B (en) * 2005-09-27 2007-03-01 Asustek Comp Inc Clam type mobile phone
JP4327180B2 (ja) * 2006-07-24 2009-09-09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US8005521B2 (en) * 2007-06-01 2011-08-2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terminal
KR20090121711A (ko) * 2008-05-22 2009-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101117597B1 (ko) * 2009-09-15 2012-02-24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
KR101589276B1 (ko) * 2009-10-12 2016-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KR101624916B1 (ko) * 2009-11-19 2016-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노이즈 저감장치
JP5611743B2 (ja) * 2010-09-22 2014-10-22 三菱製鋼株式会社 開閉装置用カバー機構
US8773849B2 (en) 2011-04-11 2014-07-08 Microsoft Corporation Extendable connecting link
KR101839615B1 (ko) * 2011-04-14 201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US8804324B2 (en) * 2011-06-03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overcenter assembly
US8787016B2 (en) *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US8929085B2 (en) 2011-09-30 2015-01-06 Apple Inc. Flexible electronic devices
US20130104342A1 (en) * 2011-10-27 2013-05-02 Sony Mobile Communications Japan, Inc. Mobile terminal
KR101346146B1 (ko) * 2011-12-23 2013-12-31 주식회사 세네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TWI513914B (zh) * 2012-08-14 2015-12-21 Au Optronics Corp 利用轉軸空間設置訊號線路之電子裝置及其顯示模組
KR101986762B1 (ko) * 2012-10-19 2019-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US8804349B2 (en) 2012-10-19 2014-08-12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9348362B2 (en) * 2013-02-0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KR102040288B1 (ko) * 2013-02-27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50711B1 (ko) * 2013-05-28 2020-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20659B1 (ko) 2013-06-03 2019-09-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034585B1 (ko) 2013-07-09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63728B1 (ko) * 2013-08-26 2016-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US9383778B2 (en) 2013-12-31 2016-07-05 Google Inc. Disc style 360 degree hinge for a laptop computer
KR102210047B1 (ko) 2014-03-05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03914273B (zh) * 2014-03-25 2017-06-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15163272A1 (ja) 2014-04-24 2015-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202228B1 (ko) * 2014-06-11 2021-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E202014103159U1 (de) * 2014-07-09 2014-09-29 Christian Stroetmann Gerätegehäuse, das eine Befestigungsmöglichkeit für eine flexible beziehungsweise biegbare Anzeige und mindestens zwei Gehäuseteile hat, die durch ein Gelenk/Scharnier verbunden sind
US9480155B2 (en) * 2014-07-10 2016-10-25 Apple Inc. Flexible cables in electronic devices with moving components
CN203982278U (zh) * 2014-07-14 2014-12-03 联想(北京)有限公司 可折叠电子设备
KR102319835B1 (ko) * 2014-09-22 2021-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081051A (ja) * 2014-10-10 2016-05-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機能パネル、装置、情報処理装置
KR101634175B1 (ko) * 2014-10-17 2016-07-11 주식회사 세네카 힌지 장치
US9379355B1 (en) * 2014-12-15 2016-06-28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support layer with rounded edge
CN104464524A (zh) * 2015-01-06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6255935B (zh) * 2015-04-09 2019-09-24 三星电子株式会社 折叠式设备
US10365691B2 (en) 2015-04-09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CN104851365B (zh) * 2015-05-28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KR102384576B1 (ko) * 2015-06-15 2022-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4898784B (zh) * 2015-06-16 2019-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US9857832B2 (en) * 2015-06-23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display panel with variable curvature
KR102366516B1 (ko) * 2015-08-31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08028029B (zh) * 2015-09-24 2020-02-18 夏普株式会社 柔性器件
KR102421579B1 (ko) * 2015-11-16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10227808B2 (en) 2015-11-20 2019-03-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CN205510128U (zh) * 2016-01-22 2016-08-24 周利英 折叠手机
CN205847346U (zh) * 2016-06-07 2016-12-2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铰链装置及柔性屏移动终端
CN106444988B (zh) * 2016-09-26 2019-08-20 李威汉 一种可折叠显示屏
KR102595230B1 (ko) * 2016-10-13 202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06527585A (zh) * 2016-11-02 2017-03-2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柔性显示器
US9874906B1 (en) * 2016-12-09 2018-01-23 First Dome Corporation Bendable display apparatus and supporting device
JP6429909B2 (ja) 2017-01-10 2018-11-28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US9848502B1 (en) 2017-03-24 2017-12-19 Shin Zu Shing Co., Ltd. Hinge assembly and foldabl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6734473B2 (ja) 2017-04-28 2020-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付モバイル端末
KR102426694B1 (ko) 2017-05-02 2022-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12482B1 (ko) * 2018-07-31 2023-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4669A (ko) * 2012-07-25 2014-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케이스 및 표시 장치
US20140126121A1 (en) * 2012-11-02 2014-05-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KR20150096827A (ko) * 2014-02-17 2015-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32080A (ko) * 2014-02-21 2016-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US9204565B1 (en) * 2014-12-30 2015-12-01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CN205858944U (zh) * 2016-02-05 2017-01-04 富世达股份有限公司 应用于软性显示屏幕的可转联结装置

Cited B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793A1 (ko) * 2018-11-29 2020-06-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1290524A (zh) * 2018-12-07 2020-06-16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粘合结构的电子装置
CN111290524B (zh) * 2018-12-07 2024-05-24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粘合结构的电子装置
KR20200090476A (ko) * 2019-01-21 202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석 및 자석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00490A (ko) * 2019-02-18 202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선 부재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71365A1 (ko) * 2019-02-18 2020-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선 부재 고정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15963B2 (en) 2019-02-18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wiring member fixing structure
KR20200101104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가지는 전자 장치
KR20230091845A (ko) * 2019-02-19 2023-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0184988A1 (ko) * 2019-03-11 2020-09-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00996B2 (en) 2019-03-11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US11243564B2 (en) 2019-03-11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KR20200134670A (ko) * 2019-05-23 2020-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음향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11785378B2 (en) 2019-05-23 2023-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plurality of audio input devices
US11334123B2 (en) 2019-06-03 2022-05-17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1425833B2 (en) 2019-07-26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WO2021020785A1 (en) * 2019-07-26 2021-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US11169565B2 (en) 2019-07-26 2021-1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1025441A1 (ko) * 2019-08-04 2021-02-11 (주)에이유플렉스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접히는 힌지모듈
CN112770554A (zh) * 2019-10-21 2021-05-07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防尘结构的电子装置
US11625074B2 (en) 2019-10-21 2023-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ustproof structure
US11470735B2 (en) 2019-10-22 2022-10-1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and hinge device therefor
US11178779B2 (en) 2019-10-25 2021-11-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1085985A1 (ko) * 2019-10-28 2021-05-06 (주)에이유플렉스 디스플레이장치용 접히는 힌지
US11188120B2 (en) 2019-11-15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WO2021096124A1 (en) * 2019-11-15 2021-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WO2021162290A1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50196B1 (ko) * 2020-04-22 2021-05-10 주식회사 이음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435785B2 (en) 2020-04-22 2022-09-06 Eum, Inc.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256305B1 (ko) * 2020-05-26 2021-05-27 주식회사 파츠텍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WO2021241771A1 (ko) * 2020-05-26 2021-12-02 주식회사 파츠텍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KR20210150639A (ko) * 2020-06-03 2021-12-13 주식회사 경신전선 연성인쇄회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2010137A1 (ko) * 2020-07-10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16591A (ko) * 2020-08-03 2022-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75015B2 (en) 2020-08-03 2023-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O2022030775A1 (ko) * 2020-08-03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58952A1 (ko) * 2021-01-25 2022-07-28 (주)에이유플렉스 흔들림이 없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US11971756B2 (en) 2021-01-27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3043109A1 (ko) * 2021-09-15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3059018A1 (ko) * 2021-10-06 2023-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36622A1 (ko) * 2022-01-12 2023-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3210918A1 (ko) * 2022-04-29 2023-11-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4039162A1 (ko) * 2022-08-17 2024-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24964A1 (en) 2018-11-08
US10827633B2 (en) 2020-11-03
CN113766771B (zh) 2023-06-13
KR20220108019A (ko) 2022-08-02
EP4206861A1 (en) 2023-07-05
US20200396852A1 (en) 2020-12-17
US20210298186A1 (en) 2021-09-23
CN110582804A (zh) 2019-12-17
US11576272B2 (en) 2023-02-07
EP4050455A1 (en) 2022-08-31
CN113766770A (zh) 2021-12-07
EP4050455B1 (en) 2024-02-07
CN110582804B (zh) 2021-10-01
CN113766770B (zh) 2023-04-28
EP3602530B1 (en) 2021-08-04
EP3683654A1 (en) 2020-07-22
EP3602530A1 (en) 2020-02-05
PH12019502466A1 (en) 2020-07-13
US10856430B2 (en) 2020-12-01
EP3602530A4 (en) 2020-03-18
KR102426694B1 (ko) 2022-07-29
EP3683654B1 (en) 2022-04-13
KR20230014807A (ko) 2023-01-30
CN113766771A (zh) 2021-12-07
US20200137908A1 (en) 2020-04-30
WO2018203614A1 (en) 2018-11-08
US11032929B2 (en)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221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1221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EP3753007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11266033B2 (en) Flexible display electronic device
CN105549682B (zh) 便携式电子设备
US1054261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829733B2 (en) Mobile terminal
EP3255967A1 (en) Mobile terminal
KR101801192B1 (ko) 이동 단말기
US10722014B2 (en) Protection cover
KR102524831B1 (ko)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