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567A -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567A
KR20180120567A KR1020180019177A KR20180019177A KR20180120567A KR 20180120567 A KR20180120567 A KR 20180120567A KR 1020180019177 A KR1020180019177 A KR 1020180019177A KR 20180019177 A KR20180019177 A KR 20180019177A KR 20180120567 A KR20180120567 A KR 20180120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member
quot
contact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오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1/00One 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콘택트 부재를 감합 방향으로 단축화하여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콘택트 부재(12)의 고정편(12c)을, 상대 커넥터(20)의 전극부(22a)가 콘택트 부재(12)를 슬라이딩하는 영역 Q 내에 배치한 것에 의해, 상대 커넥터(20)의 전극부(20a)가 콘택트 부재(12)를 슬라이딩하는 영역 Q와 콘택트 부재(12)의 고정편(12c)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상대 커넥터(20)와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친 상태로 하고, 상대 커넥터(20)와의 감합 방향으로 콘택트 부재(12)를 단축화 가능하게 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와 감합되는 구성의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에 있어서, 한 쌍의 전기 커넥터끼리를 감합시킴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도록 한 전기 커넥터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한 쌍의 전기 커넥터끼리의 감합을 하면, 일방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에 고정되고 있는 콘택트 부재의 전극부(접점부)가, 타방의 전기 커넥터의 콘택트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을 하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하우징에 장착된 콘택트 부재의 고정부와 전기적인 접촉부가 되는 전극부(접점부)가, 감합의 방향을 따라 늘어선 상태로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콘택트 부재의 전체가 감합 방향에 있어서 장대화하는 경향으로 되어 있고, 그 만큼, 전기 커넥터 장치가 대형화하여 근년에 있어서의 소형화의 요청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생각된다.
일본국 특허 제3365549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콘택트 부재의 전체를 감합 방향으로 단축화하여 소형화할 수가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계되는 발명에 있어서는,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배선 기판에 실장된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는 것으로서, 콘택트 부재에 설치된 고정편이 절연 하우징에 계합한 상태로 상기 절연 하우징에 상기 콘택트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에 대한 감합이 행해질 때에, 당해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전극부가, 상기 콘택트 부재에 접촉하면서 상기 감합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구성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부재의 고정편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전극부가 상기 콘택트 부재를 슬라이딩하는 영역 내에 배치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청구항 1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대 커넥터의 전극부가 콘택트 부재를 슬라이딩하는 영역과, 그 상대 커넥터의 콘택트 부재의 슬라이딩 영역 내에 배치된 고정편의 배치 영역이,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콘택트 부재가,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으로 단축화되게 되어, 전기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 청구항 2에 관계되는 발명에 있어서는,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는 제1 커넥터가, 배선 기판에 실장된 제2 커넥터에 감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콘택트 부재에 설치된 고정편이 절연 하우징에 계합한 상태로 상기 절연 하우징에 상기 콘택트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에 감합될 때에, 상기 제2 커넥터에 설치된 전극부가, 상기 제1 커넥터의 콘택트 부재에 접촉하면서 상기 감합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구성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에 설치된 상기 콘택트 부재의 고정편은, 상기 제2 커넥터의 전극부가 상기 콘택트 부재를 슬라이딩하는 영역 내에 배치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청구항 2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제2 커넥터의 전극부가 제1 커넥터의 콘택트 부재를 슬라이딩하는 영역과, 그 제2 커넥터의 콘택트 부재의 슬라이딩 영역 내에 배치된, 제1 커넥터에 있어서의 콘택트 부재의 고정편의 배치 영역이, 제2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제1 커넥터의 콘택트 부재가, 제2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으로 단축화되게 되어, 전기 커넥터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이 때, 청구항 3에 관계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콘택트 부재가, 상기 절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감합의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로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콘택트 부재에는, 당해 콘택트 부재가 상기 절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절연 하우징에 맞닿는 돌출맞닿음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청구항 3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 또는 전기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절연 하우징에 콘택트 부재를 장착하는데 있어서, 콘택트 부재의 삽입 조작이 안정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청구항 4에 관계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콘택트 부재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일부를, 상기 감합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고 또한 상기 배선 기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협지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청구항 4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 또는 전기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절연 하우징에 대해서 콘택트 부재가 강고한 고정 상태로 된다.
또한, 청구항 5에 관계되는 발명과 같이,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전극부는, 상기 콘택트 부재가 상기 절연 하우징을 협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콘택트 부재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청구항 5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 또는 전기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감합된 상대 커넥터의 전극부가, 콘택트 부재가 절연 하우징을 협지(挾持)하고 있는 방향으로 콘택트 부재를 압압하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전기적인 접속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의 전극부가 콘택트 부재를 슬라이딩하는 영역 내에 콘택트 부재의 고정편을 배치한 것에 의해, 상대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의 전극부가 콘택트 부재를 슬라이딩하는 영역과, 콘택트 부재의 고정편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상대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친 상태로 하고, 상대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으로 콘택트 부재를 단축화 가능하게 한 것으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동축형의 제1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의 일례를 정면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플러그(plug) 커넥터(제1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와 그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되는 동축 케이블(신호 전송 매체)과 당해 동축 케이블의 단말 부분에 장착되는 플러그 콘택트 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도 4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절연 하우징을 수평면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것이며, (A)는 절연 하우징 단품의 단면 외관 사시 설명도이고, (B)는 절연 하우징에 플러그 콘택트(contact) 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도 4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절연 하우징에 플러그 콘택트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수평면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난 절연 하우징에 플러그 콘택트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긴 방향의 수직면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난 절연 하우징에 플러그 콘택트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폭 방향 수직면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도 5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플러그 콘택트 부재를 정면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난 플러그 콘택트 부재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플러그 콘택트 부재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9~도 11에 나타난 플러그 콘택트 부재의 저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대 커넥터(제2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정면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난 상대 커넥터(제2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정면 하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3~도 15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의 배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3~도 16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3~도 17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를 정면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난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를 배면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3~도 17에 나타난 본 발명의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에, 도 1~도 4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를 감합한 상태를 리셉터클 커넥터의 정면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난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제2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를 리셉터클 커넥터의 정면 하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20~도 22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23 중의 XXIV-XXIV선을 따른 수평 단면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22 중의 XXV-XXV선을 따른 수평 단면 설명도이다.
도 26은 도 22 중의 XXVI-XXVI선을 따른 수평 단면 설명도이다.
도 27은 플러그 콘택트 부재와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와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8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를 감합하는 각 단계에 있어서의 계지편의 탄성 변위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A)는 플러그 커넥터를 삽입하기 시작한 단계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 수평 단면 설명도이고, (B)는 플러그 커넥터가 계지편에 맞닿은 상태의 부분 확대 수평 단면 설명도이고, (C)는 플러그 커넥터의 감합을 완료한 상태의 부분 확대 수평 단면 설명도이고, (D)는 플러그 커넥터가 발거(拔去) 방향의 외력을 받은 상태의 부분 확대 수평 단면 설명도이다.
이하, 신호 전송 매체로서 세선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행한다.
[동축형 전기 커넥터 장치의 전체 구조에 대해]
우선, 도 1~도 5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제1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10)는,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 13~도 17에 나타난 본 발명의 상대 커넥터(제2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0)는, 도시를 생략한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대해서, 배선 기판의 실장 표면(주면)의 연재(延在) 방향을 따라 플러그(plug) 커넥터(10)가 삽입되도록 하여 감합이 행해지도록 함과 아울러, 그 반대 방향으로 발거가 행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2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0)의 감합·발거 작업은, 배선 기판의 실장 표면(주면)에 대해서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행해진다.
여기서, 상술한 것처럼 배선 기판의 실장 표면(주면)의 연재 방향을 「수평 방향」이라고 함과 아울러, 그 배선 기판의 실장 표면(주면)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방」이라고 하고, 그것과는 반대로 배선 기판의 실장 표면(주면)을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을 「하방」이라고 한다. 또,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0)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를 감합하는 방향을 「감합 방향」이라고 하고,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각각에 있어서는, 상대측을 향해 감합을 행하는 방향을 「전방」, 그것과는 반대로 발거를 행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 또, 그러한 감합·발거를 행하는 「전후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수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한다.
[세선 동축 케이블에 대해]
상술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0)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해 둔다. 특히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세선 동축 케이블 SC는, 그 중심축선을 따라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당해 케이블 중심 도체 SCa에 대해서,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유전체 SCc를 통해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shield) 선) SCb가 동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중의 케이블 외부 도체 SCb는, 외주 피복재 SCd가 피박(皮剝)됨으로써 노출 상태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케이블 중심 도체 SCa는, 또한 케이블 외부 도체 SCb 및 케이블 유전체 SCc가 피박됨으로써 노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노출 상태로 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가, 절연 하우징(11)에 후술하듯이 장착된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에 연결되어 신호 접속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케이블 중심 도체 SCa의 외주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shield) 선) SCb는, 후술하는 도전성 쉘 부재(13)의 일부에 코킹 고정되어 접지 접속되게 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
상술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의 커넥터 본체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절연 하우징(11)은, 특히 도 4~도 8에 나타나 있듯이, 개략 형상에 있어서 사각기둥 형상을 이루는 수지 등의 절연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대략 사각기둥 형상을 이루는 절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당해 절연 하우징(11)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단말 배치 공간(11a)이 설치되어 있다.
그 단말 배치 공간(11a)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방」 부분(감합 방향의 안쪽 부분)은, 플러그 콘택트 부재(12)가 배치된, 비교적 확대된 폭 치수를 가지는 커넥터 감합 통로(11a1)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단말 배치 공간(11a)의 「후방」 부분(감합 방향의 앞 부분)은,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에 연결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종단 부분이 배치되는 비교적 좁은 폭 치수를 가지는 케이블 배치 통로(11a2)로 되어 있다. 이 때의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은, 단말 배치 공간(11a)의 케이블 배치 통로(11a2)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출한 상태로 된다.
또,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0)의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감합이 했해졌을 때에 있어서는, 상술한 단말 배치 공간(11a)의 커넥터 감합 통로(11a1) 내에,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절연 하우징(21)에 장착된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가 배치되어 있고(도 24~도 27 참조),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에 대해서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가 접촉 상태로 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상술한 단말 배치 공간(11a)의 커넥터 삽입 통로(11a1)에는, 특히 도 5(B)에 나타나 있듯이 「폭 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에 콘택트 부착부(11b)가 입벽(立壁)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콘택트 부착부(11b)는, 절연 하우징(1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하 대향벽부의 일방으로부터 일어선 상태로, 후술하는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접점부)(12a)와 대략 같은 길이에 걸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그리고, 그 콘택트 부착부(11b)에 대해서,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12a)가 「상방」으로부터 걸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플러그 콘택트 부재에 대해]
한편, 상술한 것처럼 절연 하우징(11)의 콘택트 부착부(11b)에 장착된 플러그 콘택트 부재(12)는, 특히 도 8~도 12에 나타나 있듯이, 당해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방」 부분이 전극부(접점부)(12a)로 되어 있다. 이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12a)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의 형상이 대략 U자 모양을 이루도록 절곡된 두꺼운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는 전극부(12a)는, 「전후 방향」에 미리 정해진 길이에 걸쳐서 연재하고 있다.
또, 이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접점부)(12a)에 있어서의 대략 U자 형상의 내방(內方) 공간은, 「폭 방향」에 대해 미리 정해진 거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의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12a)가 가지는 내방 공간의 「폭 방향」의 거리는,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콘택트 부착부(11b)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두께와 동일 또는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고, 당해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12a)가, 절연 하우징(11)의 콘택트 부착부(11b)에 대해서 외방으로부터 씌우도록 하여 압입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 결과,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12a)는, 도 5(B)에 나타내듯이, 절연 하우징(11)의 일부인 콘택트 부착부(11b)를 감합 방향(전후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협지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러그 콘택트 부재(12)가, 절연 하우징(11)의 일부인 콘택트 부착부(11b)를 「폭 방향」으로 협지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후술하듯이 하여 감합 상태로 된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0)에 설치된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의 전극부(접점부)가, 감합 방향(전후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플러그 콘택트 부재(12)를 압압하는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절연 하우징(11)에 대해서 플러그 콘택트 부재(12)가 강고한 고정 상태로 된다.
여기서,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콘택트 부착부(11b)에 대한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접점부)(12a)의 장착은, 상술한 단말 배치 공간(11a)의 케이블 배치 통로(11a2)를 통해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에 있어서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삽입하도록 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그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장착 상태는,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에 설치된 고정편(12c)이,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콘택트 부착부(11b)에 대해서 계합한 상태로 됨으로써 유지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체가, 절연 하우징(11)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술한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접점부)(12a)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의 「하방」 영역에는, 당해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일부를 발톱(claw) 모양으로 잘라 일으킨 고정편(12c)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편(12c)은, 도 6에 나타내듯이,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양측벽부에,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한 쌍의 것이 설치되어 있고, 플러그 콘택트 부재(12)가 가지는 대략 U자 형상의 내방(內方) 공간을 향해 잘라 일으켜져 있다. 그리고, 이들 양쪽 고정편(12c, 12c)가, 절연 하우징(11)의 콘택트 부착부(11b)의 양측벽에 대해서 먹어 들어가도록 하여 계합됨으로써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체가 고정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에 설치된 각 고정편(12c)은, 상술한 전극부(12a)에 대해서, 감합의 방향(전후 방향)으로 다음과 같은 위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0)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가 감합되는데 즈음해서는, 상술한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접점부)(12a)가, 후술하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의 전극부(접점부)에 접촉한 상태로 감합 방향(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12a)가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의 전극부를 감합 방향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영역을, 특히 도 10 및 도 27에 있어서 부호 「Q」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의 전극부(접점부)가,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접점부)(12a)를 슬라이딩하는 감합 방향(전후 방향)의 영역 Q에 대해서, 전술한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에 설치된 고정편(12c)은, 감합 방향(전후 방향)의 내방 영역, 즉 상술한 영역 Q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접점부)(12a)가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0)의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를 슬라이딩하는 영역 Q와,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에 설치된 고정편(12c)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 감합 방향(전후 방향)에 대해 서로 겹친 상태로 배치된다. 그 결과,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감합 방향(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전극부(12a)와 고정편(12c)이 감합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늘어선 플러그 콘택트 부재의 길이와 비교하여 당해 감합 방향에 대해 단축화되게 되고, 이에 따라 전기 커넥터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되게 되어 있다.
또,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접점부)(12a)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듯이, 「폭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것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 한 쌍의 각 전극부(12a)에 있어서의 「후방」의 단연부(端緣部)에는, 대향하는 상대측의 전극부(12a)를 향해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맞닿음편(12d)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돌출맞닿음편(12d)는,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콘택트 부착부(11b)에 대해서 「후방」으로부터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고, 플러그 콘택트 부재(12)가 장착을 완료한 상태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1)의 콘택트 부착부(11b)의 「후방」의 단면에 대해서 돌출맞닿음편(12d)가 맞닿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돌출맞닿음편(12d)가 설치된 구성에 의해,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후 방향」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고 확실히 행해지게 되어, 절연 하우징(11)에 대해서 플러그 콘택트 부재(12)를 장착하는데 있어서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삽입 조작이 안정적으로 행해진다.
한편,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에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상술한 전극부(접점부)(12a)로부터 「후방」가까이의 부분에,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해 연출하는 한 쌍의 도체 보유부(12b, 12b)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도체 보유부(12b)는, 세선 동축 케이블(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 SC의 단말 부분에 노출된 케이블 중심 도체 SCa에 대해서, 외방으로부터 휘감겨지도록 하여 만곡 형상으로 절곡되는 얇은 판상의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고, 케이블 중심 도체 SCa에 코킹 고정됨으로써, 세선 동축 케이블 SC에 대해서 플러그 콘택트 부재(12)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만곡 형상으로 절곡된 한 쌍의 도체 보유부(12b, 12b)는, 세선 동축 케이블(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 SCa와 함께,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의 단말 배치 공간(11a)의 「후방」 부분에 설치된 케이블 배치 통로(11a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도 5(B) 참조)
[도전성 쉘 부재에 대해]
한편, 절연 하우징(11)의 외주 표면은, 도 1에 나타내듯이, 두꺼운 판상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쉘 부재(13)에 의해 덮여 있지만, 그 도전성 쉘 부재(13)는, 절연 하우징(11)의 외주 표면을 덮는 쉘 본체부(13a)를 「전방」 부분에 구비하고 있다. 당해 쉘 본체부(13a)는, 상술한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접점부)(12a)가 배치된 단말 배치 공간(11a)에 대한 쉴드(shield)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상술한 쉘 본체부(13a)로부터 「후방」을 향해 쉴드 보유부(13b)가 일체적으로 연출하고 있음과 아울러, 또한 그 쉴드 보유부(13b)로부터 「후방」을 향해 외피 보유부(13c)가 일체적으로 연출하고 있다. 이러한 쉴드 보유부(13b) 및 외피 보유부(13c)는, 도 4에 나타내듯이,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해 연출하는 한 쌍의 얇은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쉴드 보유부(13b) 및 외피 보유부(13c)는, 세선 동축 케이블(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 SC의 단말 부분에 노출된 케이블 외부 도체 SCb 및 외주 피복재 SCd에 대해서, 외방으로부터 휘감겨져 만곡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코킹 고정되고, 이에 따라 세선 동축 케이블 SC에 대해서 도전성 쉘 부재(13) 및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체가 연결 상태로 된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요에 대해]
한편, 전술한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0))에 있어서는, 특히 도 14에 나타나 있듯이, 커넥터 본체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절연 하우징(21)에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가 장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가 장착된 절연 하우징(21)이, 중공 형상을 이루는 도전성 쉘(shell) 부재(23)의 「후방」 단부, 즉 감합 방향의 안쪽 끝에 위치하는 부분의 내부에 압입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 도전성 쉘 부재(23)의 「전방」 단부, 즉 감합 방향의 앞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쉘 개구부(23a)가 설치되어 있고, 그 쉘 개구부(23a)로부터 당해 도전성 쉘 부재(23)의 중공 형상 내부를 향해,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 플러그 커넥터(10)가 감합 상태로 됨으로써,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접점부)(12a)(도 1 참조)가,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의 전극부(접점부)(22a)(도 17 참조)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절연 하우징에 대해]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0)의 절연 하우징(21)은, 도 17에 나타내듯이, 개략 형상에 있어서 정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판상의 절연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20)가 실장되는 배선 기판(도시 생략)의 주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일어선 상태로 배치된다. 이 실장 상태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21)의 「하방」 부분에는, 당해 절연 하우징(21)의 저면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절결(切缺)되도록 하여 한 쌍의 콘택트 장착 홈(21a, 21a)가, 대략 평행하게 가늘고 긴 형상으로 연재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콘택트 장착 홈(21a, 21a)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가, 「하방」으로부터 압입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에 대해]
즉, 상술한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는, 특히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나 있듯이, 평면시 했을 때에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된 두꺼운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U자 형상에 있어서의 폐색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콘택트 기부(22b)가, 절연 하우징(21)의 내부에 고정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콘택트 기부(12b)는, 상술한 절연 하우징(21)의 저면 위치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출하는 판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콘택트 기부(12b)의 상방 영역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양측 단연(端緣)으로부터는, 한 쌍의 전극부(접점부)(22a, 22a)가, 감합 방향의 앞인 「전방」을 향해 연출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전극부(접점부)(22a, 22a)는, 상술한 절연 하우징(21)의 콘택트 장착 홈(21a, 21a)으로부터, 감합 방향의 앞인 「전방」을 향해 돌출하고 있고, 이들 한 쌍의 전극부(22a, 22a)에 있어서의 연출 방향의 선단 부분에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폭 방향)으로 비어져 나오는 접촉부(22c, 22c)가, 산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부(22c, 22c)끼리의 간격은, 전술한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12a),(12a)끼리의 간격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0)에 삽입되도록 하여 감합을 했을 때에,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의 전극부(22a, 22a)에 설치된 양쪽 접촉부(22c, 22c)끼리의 사이에, 플러그 콘택트 부재(12)의 전극부(12a),(12a)가 삽입되어 전기적인 접촉 상태로 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또,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에 있어서는, 도 19에 나타내듯이, 상술한 전극부(22a, 22a)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 부분에, 콘택트 기부(22b)의 「폭 방향」의 양측 단연(端緣)으로부터 같이 「폭 방향」의 외방을 향해 연출하는 한 쌍의 고정편(22d, 22d)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고정편(22d, 22d)는, 절연 하우징(21)에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가 장착되었을 때에, 절연 하우징(21)의 측벽부에 대해서 계합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22)의 전체가, 절연 하우징(21)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고정편(22d, 22d)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 부분에 있어서는, 콘택트 기부(22b)의 하단 부분이 「후방」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출하여 기판 접속부(22e)로 되어 있다. 그 기판 접속부(22e)는, 도시를 생략한 배선 기판의 주면 상에 납땜되고, 이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0)의 실장을 하게 되어 있다.
[도전성 쉘 부재에 대해]
한편, 전술한 절연 하우징(21)의 외주 표면을 덮는 두꺼운 판상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쉘 부재(23)는, 도 13에 나타내듯이, 대략 사각기둥 형상을 이루는 중공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도전성 쉘 부재(23)의 중공 내부에 있어서의 「후방」 단부(감합 방향의 안쪽 단부)에, 전술한 절연 하우징(21)이 장착되어 있다. 또, 그 도전성 쉘 부재(23)의 중공 내부에 있어서의 「전방」 단부(감합 방향의 앞 부분)에 설치된 쉘 개구부(23a)는, 정면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가지고 있고, 당해 쉘 개구부(23a)로부터 상술한 절연 하우징(21)에 이를 때까지의 부위가,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가 삽입되는 「중공 삽입 통로」로 이루어져 있다.
이 도전성 쉘 부재(23)는, 실장시에 배선 기판(도시 생략)의 주면에 대면하는 저면부를 구비하고 있지만, 그 도전성 쉘 부재(23)의 저면부에 대해서 「높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면부에는, 설편(舌片) 형상을 이루는 접지 접촉편(23b)가, 도전성 쉘 부재(23)의 중공 내부를 향해 편지(片持) 형상으로 잘라 일으켜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0)에 설치된 접지 접촉편(23b)는,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20)에 감합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의 도전성 쉘 부재(13)의 상면부에 탄성적으로 맞닿아 접지 접속을 행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술한 도전성 쉘 부재(23)의 쉘 개구부(23a)를 형성하고 있는 정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개구 돌기부 중에서,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단연을 형성하고 있는 측벽면부(23c, 23c)의 전단연부에는, 띠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암 형상 부재(23d, 23d)가 각각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탄성 암 형상 부재(23d)는, 쉘 개구부(23a)의 개구 돌기부로부터 「전방」(감합 방향의 앞)을 향해 일단 돌출한 직후에, 그것과는 반대의 「후방」(감합 방향의 안쪽)을 향해 평면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도록 되접어 꺾이고 있다. 그리고, 되접어 꺽은 부분으로부터, 상술한 측벽면부(23c, 23c)의 외표면을 따라, 각 탄성 암 형상 부재(23d)가 「후방」(감합 방향의 안쪽)을 향해 편지(片持) 형상으로 연출하고 있다.
이들 각 탄성 암 형상 부재(23d)는, 상술한 되접어 꺾은 부분의 근방을 근원 부분으로 하여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면 내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탄성 암 형상 부재(23d)는, 도전성 쉘 부재(23)의 쉘 개구부(23a)로부터 연출한 후에, 그 연출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되접어 꺾여 뻗어 있기 때문에, 되접어 꺾인 만큼만 탄성을 가지는 스팬이 장척화되게 되어, 당해 탄성 암 형상 부재(23)에 설치된 계지편(23e)의 탄성 변위가 충분히 확보된다.
또한, 이러한 탄성 암 형상 부재(23d)는, 도전성 쉘 부재(23)로부터 감합 방향으로 연출시키고, 또한 그 연출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되접어 꺾인 상태로 연출시킨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들 각 탄성 암 형상 부재(23d)의 연출 방향에 있어서의 도중 부분에는, 상술한 도전성 쉘 부재(23)의 「중공 삽입 통로」를 향해 돌출하는 계지편(23e)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계지편(23e)은, 도전성 쉘 부재(23)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술한 각 탄성 암 형상 부재(23d)에 있어서의 「하방」의 단연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커넥터 내방, 즉 도전성 쉘 부재(23)의 「중공 삽입 통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출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각 탄성 암 형상 부재(23d)가 탄성 변위하는 것에 수반하여, 각 계지편(23e)은, 감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폭 방향」으로 탄성 변위를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4 참조)
한편, 상술한 도전성 쉘 부재(23)의 각 측벽면부(23c)에 있어서의, 계지편(23e)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측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관통 구멍(23f)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23f)는, 상술한 측벽면부(23c)를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고, 당해 관통 구멍(23f)에 대해서, 「폭 방향」의 외방으로부터 계지편(23e)이 삽입된 상태(삽입통과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 관통 구멍(23f)에 삽입된 계지편(23e)은, 상술한 탄성 암 형상 부재(23d)의 탄성 변위에 수반하여, 도전성 쉘 부재(23)의 중공 삽입 통로에 대해서 「폭 방향」으로 돌몰(突沒)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가 「중공 삽입 통로」의 내부에 삽입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도 28(A)에 나타나 있듯이 「중공 삽입 통로」 내에 계지편(23e)이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그 「초기 상태」로부터 탄성 암 형상 부재(23d)(계지편(23e))가, 쉘 본체부(13a)에 맞닿아, 도 28(B)에 나타나 있듯이 「폭 방향」의 외방을 향해 눌려 퍼지도록 탄성 변위되는 것에 의해, 상술한 「중공 삽입 통로」 내로부터 계지편(23e)이 이탈하여 숨겨진 상태로 이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도전성 쉘 부재(23)의 관통 구멍(23f)을 통해 도전성 쉘 부재(23)의 「중공 삽입 통로」에 돌몰하도록 설치된 계지편(23e)의 외주연부는, 도 24 및 도 28에 나타내듯이,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계지편(23e)의 외주연부에 있어서의 감합 방향의 안쪽의 단연(후방 단연)이, 「폭 방향」으로 비교적 긴 커넥터 맞닿음면(23e1)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커넥터 맞닿음면(23e1)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감합 방향의 앞의 단연(전방 단면)가, 「폭 방향」으로 비교적 짧은 쉘 맞닿음면(23e2)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 맞닿음면(23e1)와 쉘 맞닿음면(23e2)란, 감합 방향(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대략 평행하게 연재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것처럼, 계지편(23e)의 커넥터 맞닿음면(23e1)은, 도전성 쉘 부재(23)의 「중공 삽입 통로」 내에 비교적 큰 돌출 길이를 이루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지만, 그 「중공 삽입 통로」 내에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가 삽입된 경우에 있어서는, 도 28(C)에 나타나 있듯이, 플러그 커넥터(10)의 도전성 쉘 부재(13)를 구성하고 있는 쉘 본체부(13a)의 「후방」단면(감합 방향의 앞의 단면)을 이루는 후단 맞닿음면(13d)이, 상술한 계지편(23e)의 커넥터 맞닿음면(23e1)에 대해서, 감합 방향의 안쪽으로부터 대면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에 대해서 발거 방향의 외력이 부가되면, 당해 플러그 커넥터(10)의 도전성 쉘 부재(13)의 일부인 쉘 본체부(13a)가, 계지편(23e)의 커넥터 맞닿음면(23e1)에 대해서 감합 방향의 안쪽으로부터 앞을 향해 맞닿고, 플러그 커넥터(10)가 「중공 삽입 통로」 내에 보유된다.
한편, 상술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의 도전성 쉘 부재(13)를 구성하고 있는 쉘 본체부(13a)의 후단 맞닿음면(13d)이, 계지편(23e)의 커넥터 맞닿음면(23e1)에 대해서 감합 방향의 안쪽으로부터 대면한 상태로부터, 탄성 암 형상 부재(23d)가 「폭 방향」의 외방을 향해 탄성 변위하고, 「중공 삽입 통로」로부터 계지편(23e)이 「폭 방향」의 외방에 이탈한 상태로 되면, 커넥터 맞닿음면(23e1)을 포함하는 계지편(23e)의 전체가, 「중공 삽입 통로」 내에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10)의 도전성 쉘 부재(13)에 맞닿지 않는 외방의 위치까지 인출되어 플러그 커넥터(10)의 발거가 가능하게 된다.
또, 상술한 계지편(23e)에 있어서의 감합 방향의 앞의 단연(전방 단연)를 구성하고 있는 쉘 맞닿음면(23e2)은, 「중공 삽입 통로」를 향해 비교적 작은 돌출 길이를 이루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계지편(23e)에 설치된 쉘 맞닿음면(23e2)에 있어서는, 도 24 및 도 28에 나타나 있듯이, 상술한 관통 구멍(23f)을 형성하고 있는 개구 돌기부 중에서, 감합 방향의 앞에 위치하는 단연(전방 단연)인 계지 맞닿음 가장자리(23f1)가, 감합 방향의 앞으로부터 근접 또는 맞닿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중공 삽입 통로」 내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의 도전성 쉘 부재(13)의 일부인 쉘 본체부(13a)의 후단 맞닿음면(13d)이, 계지편(23e)의 커넥터 맞닿음면(23e1)에 대해서 감합 방향의 안쪽으로부터 발거 방향으로 맞닿는 것에 의해, 계지편(23e)의 전체가 감합 방향의 앞(발거 방향)을 향해 압압 이동되면, 도 28(D)에 나타나 있듯이, 상술한 계지편(23e)의 쉘 맞닿음면(23e2)이, 관통 구멍(23f)에 있어서의 감합 방향의 앞에 위치하는 계지 맞닿음 가장자리(23f1)에 대해서 맞닿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관통 구멍(23f)의 계지 맞닿음 가장자리(23f1)에 맞닿은 계지편(23e)은, 상술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의 도전성 쉘 부재(13)의 일부(쉘 본체부(13a)의 후단 맞닿음면(13d))과 상술한 관통 구멍(23f)의 계지 맞닿음 가장자리(23f1)와의 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되고, 플러그 커넥터(10)로부터 계지편(23e)이 이탈하는 사태가 회피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계지편(23e)의 외주연부 중에서, 쉘 맞닿음면(23e2)이 중공 삽입 통로 내로 돌출되어 있는 선단으로부터는, 도 24 및 도 28에 나타내듯이, 안내 경사변(23e3)이 감합 방향을 향해 중공 삽입 통로 내로 비어져 나오는 양이 커지도록 연출하고 있다. 이 안내 경사변(23e3)에 있어서는, 전술한 것처럼 「중공 삽입 통로」 내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의 도전성 쉘 부재(13)가, 감합 방향의 앞으로부터 맞닿는 위치 관계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전술한 것처럼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0)의 「중공 삽입 통로」 내에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가 삽입되면, 우선 도 28(A)에 나타나 있듯이, 플러그 커넥터(10)의 도전성 쉘 부재(13)를 구성하고 있는 쉘 본체부(13a)의 전단부(감합 방향의 안쪽 단부)가, 상술한 계지편(23e)의 안내 경사변(23e3)에 맞닿고, 그 후에 플러그 커넥터(10)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계지편(23e)은, 도 28(B)에 나타나 있듯이 탄성 암 형상 부재(23d)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폭 방향」의 외방으로 밀리도록 변위한다.
그리고, 도 28(C)에 나타나 있듯이, 플러그 커넥터(10)의 감합이 종료한 시점에 있어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10)의 도전성 쉘 부재(13)가, 계지편(23e)으로부터 감합 방향으로 이탈함으로써, 탄성 암 형상 부재(23d)의 탄성에 따라 계지편(23e)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 결과, 계지편(23e)의 커넥터 맞닿음면(23e1)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10)의 도전성 쉘 부재(13)를 구성하고 있는 후단 맞닿음면(13d)이, 감합 방향의 안쪽으로부터 대향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플러그 커넥터(10)의 도전성 쉘 부재(13)와 계지편(23e)의 대향 상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20)로부터 빠져 나가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으면, 플러그 커넥터(10)의 도전성 쉘 부재(13)를 구성하고 있는 쉘 본체부(13a)의 후단 맞닿음면(13d)이, 감합 방향의 안쪽으로부터 계지편(23e)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0)의 이동이 규제되어 플러그 커넥터(10)의 빠져 나감이 기본적으로 방지된다.
이와 같은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에 대해서,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0)로부터 빠져 나가는 방향의 외력이 계속 부가되면, 도 28(D)에 나타나 있듯이, 탄성 암 형상 부재(23d)의 탄성 변위를 수반하면서 계지편(23e)이, 관통 구멍(23f)의 내방 영역을 감합 방향의 앞인 「후방」을 향해 이동하고, 당해 계지편(23e)의 쉘 맞닿음면(23e2)이, 도전성 쉘 부재(23)의 일부인, 감합 방향의 앞에 대향 배치된 관통 구멍(23f)의 계지 맞닿음 가장자리(23f1)에 맞닿는다. 이 이후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10)의 빠져 나감이 강고하게 방지된다.
또한, 각 탄성 암 형상 부재(23)의 연장 단부, 즉 상술한 계지편(23e)으로부터 감합 방향으로 편지(片持) 형상으로 연출하고 있는 부분은, 도 13에 나타내듯이, 계지편(23e)을 중공 삽입 통로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해제 조작부(23g)로 되어 있다. 이들 각 해제 조작부(23g)에 대해서 「폭 방향」의 외방을 향한 해제 조작력이 부여되면, 탄성 암 형상 부재(23)와 함께 계지편(23e)이 「폭 방향」의 외방으로 탄성 변위하고,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에 대해서 계지편(23e)이 맞닿지 않는 위치까지 변위되는 것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0)의 발거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구성에 의하면,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제2 커넥터)(20)에 감합 상태로 된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10)에 대해서, 감합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발거 방향으로 외력이 부가되었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10)의 일부인 도전성 쉘 부재(13)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계지편(23e)의 커넥터 맞닿음면(23e1)에 감합 방향의 안쪽으로부터 맞닿는다. 또, 그 계지편(23e)의 쉘 맞닿음면(23e2)이, 리셉터클 커넥터(20)의 도전성 쉘 부재(23)의 일부로서, 상기 쉘 맞닿음면(23e2)에 대해서 감합 방향의 앞에 대향 배치된 관통 구멍(23f)의 계지 맞닿음 가장자리(23f1)에 맞닿는다. 그 결과, 플러그 커넥터(10)와 도전성 쉘 부재와의 사이에 계지편(23e)이 협지된 상태로 되어, 플러그 커넥터(10)로부터 계지편(23e)이 벗어나 잠금 해제에 이르는 것 같은 사태가 회피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된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는, 수평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수직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단심의 세선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극 형상으로 배치된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나, 동축 케이블과 절연 케이블이 복수 혼합한 타입의 전기 커넥터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는,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
11 절연 하우징
11a 단말 배치 공간 11a1 커넥터 감합 통로
11a2 케이블 배치 통로 11b 콘택트 부착부
12 플러그 콘택트 부재
12a 전극부 12b 도체 보유부
12c 고정편 12d 돌출맞닿음편
13 도전성 쉘 부재
13a 쉘 본체부 13b 쉴드(shield) 보유부
13c 외피 보유부
20 리셉터클 커넥터(상대 커넥터, 제2 커넥터)
21 절연 하우징 21a 콘택트 설치 홈
22 리셉터클 콘택트 부재
22a 전극부 22b 콘택트 기부
22c 접촉부 22d 고정편
22e 기판 접속부
23 도전성 쉘 부재
23a 쉘 개구부 23b 접지 접촉편
23c 측벽면부 23d 탄성 암 형상 부재
23e 계지편
23e1 커넥터 맞닿음면 23e2 쉘 맞닿음면
23e3 안내 경사변
23f 관통 구멍
23f1 계지 맞닿음 가장자리 23g 해제 조작부
SC 세선 동축 케이블(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
SCa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b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shield) 선)
SCc 케이블 유전체 SCd 외주 피복재

Claims (5)

  1.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연결된 상태로, 배선 기판에 실장된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는 것으로서,
    콘택트 부재에 설치된 고정편이 절연 하우징에 계합한 상태로 상기 절연 하우징에 상기 콘택트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에 대한 감합이 행해질 때에, 당해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전극부가, 상기 콘택트 부재에 접촉하면서 상기 감합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구성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부재의 고정편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전극부가 상기 콘택트 부재를 슬라이딩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는 제1 커넥터가, 배선 기판에 실장된 제2 커넥터에 감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콘택트 부재에 설치된 고정편이 절연 하우징에 계합한 상태로 상기 절연 하우징에 상기 콘택트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에 감합될 때에, 상기 제2 커넥터에 설치된 전극부가, 상기 제1 커넥터의 콘택트 부재에 접촉하면서 상기 감합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구성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에 설치된 상기 콘택트 부재의 고정편은, 상기 제2 커넥터의 전극부가 상기 콘택트 부재를 슬라이딩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부재가, 상기 절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감합의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로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콘택트 부재에는, 당해 콘택트 부재가 상기 절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절연 하우징에 맞닿는 돌출맞닿음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또는 전기 커넥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부재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일부를, 상기 감합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고 또한 상기 배선 기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협지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또는 전기 커넥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의 전극부는, 상기 콘택트 부재가 상기 절연 하우징을 협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콘택트 부재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또는 전기 커넥터 장치.
KR1020180019177A 2017-04-27 2018-02-19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KR201801205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8958 2017-04-27
JP2017088958A JP6583643B2 (ja) 2017-04-27 2017-04-27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567A true KR20180120567A (ko) 2018-11-06

Family

ID=6206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177A KR20180120567A (ko) 2017-04-27 2018-02-19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89069B2 (ko)
EP (1) EP3396782A1 (ko)
JP (1) JP6583643B2 (ko)
KR (1) KR20180120567A (ko)
CN (1) CN108808289B (ko)
TW (1) TW2019020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6877A1 (en) 2017-01-23 2018-07-26 Molex, Llc Electrical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USD882525S1 (en) * 2018-01-30 2020-04-28 Molex, Llc Connector terminal
USD855574S1 (en) * 2018-01-30 2019-08-06 Molex, Llc Connector terminal
TWI673918B (zh) * 2018-12-03 2019-10-01 宣德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JP6844760B1 (ja) * 2019-05-10 2021-03-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セットにおけるグランド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00786A (en) * 1965-09-10 1968-01-24 Amp Inc Coaxial socket
JPS6020305Y2 (ja) * 1980-10-30 1985-06-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浮動防止構造
JPS58187982U (ja) * 1982-06-10 1983-12-14 日本モレツクス株式会社 圧着型コネクタ
US5169343A (en) * 1990-11-29 1992-12-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ax connector module
US5711676A (en) * 1996-01-26 1998-01-27 The Whitaker Corporation Vertically mounted cable plug
JP3069636B2 (ja) * 1996-10-23 2000-07-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1174016A (ja) * 1997-08-28 1999-03-16 Union Mach Kk コネクタ
JP3365549B2 (ja) 1998-11-19 2003-01-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端子
JP3254188B2 (ja) * 1998-11-30 2002-02-0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高電圧用コネクタ
JP2002042989A (ja) 2000-07-21 2002-02-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端子
JP3878902B2 (ja) * 2002-10-21 2007-02-0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6840822B1 (en) * 2003-08-25 2005-01-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connector
US7207829B2 (en) * 2004-11-30 2007-04-24 Yokowo Co., Ltd. Electric connector
DE202005008384U1 (de) * 2005-05-30 2005-07-21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Kg Koaxialsteckverbinder für die Montage an einem Koaxialkabel
TWM307242U (en) 2006-07-14 2007-03-01 Insert Entpr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microwave connector for RF communication
KR101540809B1 (ko) * 2008-10-09 2015-07-30 타이코에이엠피(유)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US7892028B2 (en) * 2009-01-20 2011-02-2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DE102009016227B4 (de) * 2009-04-03 2017-12-28 Kostal Kontakt Systeme Gmbh Steckverbinder mit einem angebundenen Koaxialkabel
JP4908598B2 (ja) 2010-01-25 2012-04-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2076507U (zh) * 2011-01-14 2011-12-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
CN202205949U (zh) * 2011-08-25 2012-04-25 朝贵钢模工业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US8939794B2 (en) * 2012-07-30 2015-01-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assembly
JP2015220201A (ja) * 2014-05-21 2015-12-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86058A (ja) 2018-11-22
US20180316144A1 (en) 2018-11-01
CN108808289A (zh) 2018-11-13
TW201902037A (zh) 2019-01-01
US10389069B2 (en) 2019-08-20
JP6583643B2 (ja) 2019-10-02
CN108808289B (zh) 2020-01-07
EP3396782A1 (en)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0567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US9531132B2 (en) Connector having shielding structure with shield shell and shield cover
JP670802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10741957B2 (en) Terminal module and connector
KR101703419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JP2019114489A (ja) コネクタ
US10644414B2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KR101945058B1 (ko) 커넥터
US4491381A (en) Electrical panelboard connector
US11228145B2 (en) Communication connector
CN110190461B (zh) 插头连接器
JP4851355B2 (ja) 外導体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US10714868B2 (en) Waterproof connector for a board
JP2002319456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8045938A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装置
KR20180120566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KR102550876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US747012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7169525B2 (ja) コネクタ
JP7068750B2 (ja) コネクタ装置およ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