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556A - 근육 전기 자극 장치 - Google Patents

근육 전기 자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556A
KR20180120556A KR1020170123765A KR20170123765A KR20180120556A KR 20180120556 A KR20180120556 A KR 20180120556A KR 1020170123765 A KR1020170123765 A KR 1020170123765A KR 20170123765 A KR20170123765 A KR 20170123765A KR 20180120556 A KR20180120556 A KR 20180120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uscle
abdomen
base materia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ublication of KR2018012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556A/ko
Priority to KR1020230020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과제] 신체로의 장착의 수고를 줄여 복직근과 복사근을 동시에 트레이닝하는 것이 가능한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있어서, 복부의 주위를 따라서 장착되는 장착면(10b)을 가지는 본체부(20)를 구비한다. 장착면(10b)은 복부를 주회하는 X방향과, X방향에 직교하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체부(20)는 복직근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정면 전극부(32)를 가지는 정면부(22)와, 정면부(22)로부터 X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복사근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측면 전극부(36)를 가지는 한쌍의 연장부(26)를 포함한다. 정면부(22)의 Y방향의 측부에는, 정면부(22)를 X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위치에, Y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정면 오목부(23)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근육 전기 자극 장치{MUSCLE ELECTROSTIMULATION DEVICE}
본 발명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육을 트레이닝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로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가 있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는 근섬유에 전류를 흘려 근육을 긴장 및 이완시킨다. 이것에 의해, 근육이 비대해지는 것이 기대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같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근육 전기 자극 장치는, 복부의 한가운데에 장착하여 주로 복직근(腹直筋)을 자극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7-6644호 공보
본 발명자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해 이하와 같은 인식을 얻었다.
복부에는 복직근이나 복사근(腹斜筋) 등 복수의 근육이 존재한다. 복직근은 복부 정면(正面)에 상하 방향으로 뻗은 근육이고, 복사근은 좌우 각각의 옆구리에 상하 방향에 약간 비스듬하게 뻗은 근육이다. 이들 근육을 균형있게 트레이닝하기 위해서는, 복직근과 복사근 각각에 전기 자극을 주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직근을 트레이닝한 후에 일방(一方)의 복사근을 트레이닝하고, 추가로 그 후에 타방(他方)의 복사근을 트레이닝하는 경우는, 트레이닝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3배가 된다. 트레이닝 시간이 길어지면 유저의 부담이 증가할 염려가 있다.
트레이닝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3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준비하고, 3개의 근육을 그 3개의 장치에 의해 동시에 트레이닝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3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장착하려면 큰 수고가 든다. 또, 2번째 장치나 3번째 장치를 장착하고 있는 동안에 첫번째 장치가 떨어져 버리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별개의 컨트롤러로 3개의 장치 각각을 조작하는 것은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자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는, 신체로의 장치의 장착을 위한 수고를 줄이는 관점에서 개선해야 할 과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신체로의 장착의 수고를 줄여 복직근과 복사근을 동시에 트레이닝하는 것이 가능한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양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는, 복부의 주위를 따라서 장착되는 장착면을 가지는 본체부를 구비한다. 장착면은 복부를 주회(周回)하는 X방향과, X방향에 직교하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본체부는 복직근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정면 전극부를 가지는 정면부와, 정면부로부터 X방향의 양측(兩側)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복사근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측면(側面) 전극부를 가지는 한쌍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정면부의 Y방향의 측부에는, 정면부를 X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위치에, Y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정면 오목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도 또한,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이다. 이 장치는 복부의 주위를 따라서 장착되는 장착면을 가지는 본체부를 구비한다. 장착면은 복부를 주회하는 X방향과, X방향에 직교하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본체부는 복직근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정면 전극부를 가지는 정면부와, 정면부로부터 X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복사근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측면 전극부를 가지는 한쌍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한쌍의 연장부의 Y방향의 치수는, 정면부의 Y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도 또한,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이다. 이 장치는 복부의 주위를 따라서 장착되는 장착면을 가지는 본체부를 구비한다. 장착면은 복부를 주회하는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본체부는 복직근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정면 전극부를 가지는 정면부와, 정면부로부터 X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복사근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측면 전극부를 가지는 한쌍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본체부에는, 정면 전극부 및 한쌍의 측면 전극부에 각 공급 전압을 공급하는 제어 유닛이 마련되고, 제어 유닛은 각 공급 전압을 독립하여 제어하는 독립 제어 모드와, 각 공급 전압을 동시에 제어하는 동시 제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상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구성요소나 표현을 방향, 장치,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서로 치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체로의 장착의 수고를 줄이고 복직근과 복사근을 동시에 트레이닝하는 것이 가능한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레이닝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리드부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전극부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벨트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장착 기구의 주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기초로 각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하고, 적당히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의 부재의 치수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적당히 확대, 축소해서, 나타내진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하지 않은 부재의 일부는 생략하여 표시한다.
또, 제1, 제2 등의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되지만, 이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이용되며, 이 용어에 의해서 구성요소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 대해서, 도 1~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10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a)는 신체(2)를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신체(2)를 좌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c)는 신체(2)를 배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트레이닝 시스템(100)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와, 원격 제어 장치(12)를 구비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유저의 복부(3)에 장착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복부(3)의 근육에 전기 자극을 준다. 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동작 상황을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를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원격 제어 장치(12)에 출력한다.
원격 제어 장치(12)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다양한 단말이다. 원격 제어 장치(12)는, 예를 들면, PC, 태블릿 단말, 스마트 폰이어도 된다. 원격 제어 장치(12)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원격 제어 장치(12)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로부터 동작 상황의 검지 결과를 수신한다. 일례로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Bluetooth(등록상표)나 Wi-Fi(등록상표)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해, 원격 제어 장치(12)에 장치 정보를 송신하고, 원격 제어 장치(12)로부터 조작 정보를 수신해도 된다.
원격 제어 장치(12)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로부터 취득한 동작 상황에 기초하여, 그 터치 패널에 소정의 표시를 한다. 유저는 원격 제어 장치(12)의 터치 패널의 표시를 봄으로써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동작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2)는 그 터치 패널에 의해서 유저의 조작을 검지할 수 있다. 유저는 터치 패널에 손가락으로 1회 가볍게 누르는 탭 조작이나, 터치 패널을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일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스와이프(swipe) 조작 등에 의해서, 소정의 터치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2)는 유저의 터치 조작에 기초하여 조작 정보를 생성하여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신체(2)의 복부(3)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장착되었을 때 복부(3)의 주위를 따라서 장착되는 장착면(10b)을 가진다. 장착면(10b)은 복부(3)를 주회하는 X방향과, X방향에 직교하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X방향 및 Y방향은, 장착면(10b)의 면방향을 정의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고, 장착면(10b)은 Y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해도 된다. 또, 도 1에서는 표기하고 있지 않지만, X방향 및 Y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Z방향으로 한다. Z방향은 장착면(10b)에 직교하고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장착면(10b)의 Y방향이 신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면(10b)의 X방향이 복부(3)의 주위를 돌도록 장착되어 있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후술하는 본체부(20)의 정면 오목부가, 배꼽(도시하지 않음)을 통과하는 Y방향의 직선 L1에 위치 맞춤하여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Y방향을 상방향 혹은 하방향으로, Z방향을 두께 방향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방향의 표기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사용 자세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임의의 자세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본체부(20)와, 벨트 부재(50)를 포함한다. 본체부(20)는 복부(3)의 정면측을 돌고, 벨트 부재(50)는 본체부(20)의 일단에서부터 복부(3)의 뒷면측을 둘레 방향으로 돌아 본체부(20)의 타단에 연결된다. 벨트 부재(50)는 본체부(20)를 피(被)장착부인 복부(3)측으로 끌어당기는 당김 부재이다. 벨트 부재(5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체부(20)는 정면부(22)와, 한쌍의 연장부(26)와, 제어 유닛(30)과, 벨트 연결부(42)를 포함한다. 정면부(22)는 복부(3)의 정면에 장착된다. 정면부(22)에는, 복직근(4)에 X방향을 따라서 전류를 흘리도록 구성된 정면 전극부가 마련된다. 한쌍의 연장부(26)는, 정면부(22)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양측으로 연장된다. 한쌍의 연장부(26) 각각에는, 복사근(5)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전류를 흘리도록 구성된 측면 전극부가 마련된다. 제어 유닛(30)은 정면 전극부와 측면 전극부에 근육 자극용 전압을 공급하는 전자 유닛이다. 벨트 연결부(42)는 2개의 벨트 부재(50)를 본체부(20)에 연결하는 부재이다. 정면 전극부와 측면 전극부는, 피장착부에 근육 자극용 전압을 공급하는 시트(sheet) 모양의 전극이다. 이 시트 모양의 전극은, 은(銀)페이스트(paste) 등의 도전 재료를 인쇄하는 것이나, 에칭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배면도이다. 도 6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리드부(37)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전극부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도 7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전개(展開)하여, 각 부의 장착면(10b)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도 7에 나타내는 것처럼, 전개한 상태에서는, 신체(2)의 둘레 방향에 대응하는 X방향 및 신체(2)의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Y방향은, 화살표 X, Y와 같이 직선 모양으로 나타내진다.
(본체부)
본체부(20)는 층 구조를 구비해도 된다. 일례로서, 본체부(20)는 제1 기재(14)와, 제2 기재(15)와, 커버 부재(16)를 포함하고 있다. 제1 기재(14)는 신체(2)에 장착되는 부재이고, 전개시에는 평탄한 시트 모양을 나타낸다. 제1 기재(14)의 배면에는, 복부(3)에 접촉하는 장착면(10b)이 마련된다. 제1 기재(14)는 정면 전극부(32)와 측면 전극부(36)를 장착면(10b)측으로 노출시키는 개구(14b)를 가지고 있다. 제1 기재(14)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본 예의 제1 기재(14)는 정면부(22)에 대응하는 부분과, 한쌍의 연장부(26)에 대응하는 부분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제1 기재(14)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 비해 리드(lead)부(37)의 내구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제2 기재(15)는 정면 전극부(32)와 측면 전극부(36)와 리드부(37)를 지지하는 부재이며, 전개시에는 평탄한 시트 모양을 나타낸다. 제2 기재(15)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본 예의 제2 기재(15)는, 정면부(22)에 대응하는 부분과, 한쌍의 연장부(26)에 대응하는 부분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2 기재(15)의 배면에는, 정면 전극부(32)와 측면 전극부(36)가 마련되어 있다. 정면 전극부(32) 및 측면 전극부(36)는, 예를 들면, 은페이스트 등의 도전 재료를 인쇄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정면 전극부(32) 및 측면 전극부(36)는, 에칭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제2 기재(15)에는, 정면 전극부(32) 및 측면 전극부(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부(37)가 마련되어 있다. 리드부(37)는, 예를 들면, 은페이스트 등의 도전 재료를 인쇄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리드부(37)는 에칭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리드부(37)는 배선 패턴이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커버 부재(16)는 제2 기재(15)의 제1 기재(14)와는 반대측에 적층되는 부재이다. 커버 부재(16)는 전개시에는 평탄한 시트 모양의 시트부(16b)와, 시트부(16b)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두께 방향(Z방향)으로 제2 기재(15)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엣지 커버부(16c)를 포함한다. 커버 부재(16)의 시트부(16b)의 외면부(10c)에는 제어 유닛(30)이 마련된다. 커버 부재(16)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본 예의 커버 부재(16)는 정면부(22)와 한쌍의 연장부(26)를 일체로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기재(14) 및 제2 기재(15)를 얇게 형성하면, 그 외주(外周) 엣지(14e, 15e)도 얇아진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신체(2)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외주 엣지(14e, 15e)가 신체에 접촉되어, 유저에게 불쾌한 촉감을 주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본 예의 커버 부재(16)는 제1 기재(14) 및 제2 기재(15)의 외주 엣지(14e, 15e)를 덮는 엣지 커버부(16c)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엣지 커버부(16c)가 외주 엣지(14e, 15e)를 덮고 있으므로, 본체부(20)와 신체(2)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유저에게 주는 촉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예의 엣지 커버부(16c)는, 외주 엣지(14e, 15e)를 둘러싸는 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예의 커버 부재(16)는, 엣지 커버부(16c)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 비해 강성(剛性)을 높게 할 수 있다. 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신체(2)에 장착하면, 외주 엣지(14e, 15e)가 피부를 파고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엣지 커버부(16c)를 마련함으로써, 그 때의 피부로의 자극이나 통증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기재(14) 및 제2 기재(15)의 소재는, 절연성과 신체(2)에 감을 수 있는 정도의 가요성(可撓性)을 구비하는 재료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예의 제1 기재(14) 및 제2 기재(15)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polyethylene terephthalate)의 수지 등의 엘라스토머(elastomer)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6)의 소재는, 절연성과 신체(2)에 감을 수 있는 정도의 가요성을 구비하는 재료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일례로서, 커버 부재(16)는 제1 기재(14) 및 제2 기재(15)보다 단단한 수지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예의 커버 부재(16)는, 실리콘 수지 등의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커버 부재(16)는 제1 기재(14) 및 제2 기재(15)를 보호하여, 취급에 의한 손상을 억제하고, 본체부(20)에 적당한 강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리콘 수지제의 커버 부재(16)에 의해, 복부(3)의 정면에서부터 옆구리까지 커버할 수 있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사용함으로써, 체온이 실리콘 수지에 전달되어, 그곳에 축열(蓄熱)된다. 이 때문에, 사용 중에 따뜻하게 느껴지고, 온열 효과에 의해서 혈류를 개선하는 것이 기대된다.
(정면부)
정면부(22)는 복부(3)의 정면측의 복직근(4)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정면부(22)에는, 복직근(4)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전류를 흘리도록 구성된 정면 전극부(32)가 마련된다. 정면부(22)는 X방향 및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Z방향으로 얇게 형성된다. 정면부(22)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Y방향의 치수 Y1과, X방향의 치수 X2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사각형 모양으로 간주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사각형 모양으로 간주할 수 있는 형상에는, 전체 길이의 30%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한쌍의 대변(對邊)을 구비하는 형상을 포함한다. 정면부(22)의 길이 방향은 X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트레이닝 중의 발한(發汗)에 의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와 복부(3)의 사이가 땀이 차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본 예의 정면부(22)에는, 복수(예를 들면 4개)의 환기공(23g)이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환기공(23g)은 전극과 리드부를 피해, 제어 유닛(30)을 둘러싸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환기공을 가지지 않는 구성에 비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와 복부(3) 사이에 땀이 차는 것이 완화된다. 또, 환기공(23g)을 마련함으로써, 정면부(22)의 가요성이 향상된다. 환기공(23g)의 수나 배치를 바꿈으로써, 정면부(22)의 가요성을 조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정면부(22)는 제어 유닛(30)에 대해서 X방향 및 Y방향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정면 오목부)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정면부(22)의 X방향의 중심 위치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정면부(22)의 중심 위치에 정면 오목부(23)가 마련된다. 정면 오목부(23)는 정면부(22)의 Y방향의 측부(22b, 22c)에 있어서, 정면부(22)를 X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도 3에는 정면부(22)를 X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 M1과, 정면부(22)를 Y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 M2를 나타내고 있다. 정면 오목부(23)는 Y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여 있다. 본 예의 정면 오목부(23)는 Y방향의 양측의 측부(22b, 22c)에 마련된 제1 오목부(23b)와 제2 오목부(23c)를 포함하고 있다.
정면 오목부(23)는 시각에 더하여, 손가락끝의 촉각에 의해서 중심 위치를 식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예의 정면 오목부(23)는 손가락끝을 걸 수 있는 정도의 X방향의 폭을 가진다. 정면 오목부(23)가 너무 얕으면, 중심 위치의 식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 관점에서, 본 예의 정면 오목부(23)의 깊이는 손가락끝의 마지막 마디의 1/4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설정해도 된다.
(경계 오목부)
많은 경우, 복부(3)의 둘레면은 복잡하게 변화하는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부(20)를 복부(3)에 장착하면,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연장부(26)는 정면부(22)에 대해서 비틀어진 상태로 복부(3)에 장착된다. 연장부(26)가 비틀리기 어려우면, 정면부(22)와 연장부(26)의 사이에 발생하는 비틀림 모멘트가 커져, 복부(3)로의 장착감이 저하된다. 이에, 본 예에서는, 본체부(20)의 Y방향의 측부에는, 정면부(22)와 한쌍의 연장부(26)의 경계 부분에, Y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경계 오목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경계 오목부(25)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연장부(26)가 비틀리기 쉬워져, 복부(3)로의 장착감이 향상된다.
본 예의 경계 오목부(25)는, Y방향의 양측의 측부(26b, 26c)에 마련된 제1 경계 오목부(25b)와 제2 경계 오목부(25c)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일방의 경계 오목부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연장부(26)가 비틀리기 쉬워져, 복부(3)로의 장착감이 한층 향상된다. 경계 오목부(25)는 안쪽으로 갈수록 이등분선 M1에 접근하는 형상을 가진다. 즉, 경계 오목부(25)는 X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경사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비틀림의 변형 영역이 X방향으로 확대되어 있으므로, 비틀기에 의한 응력을 X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1 경계 오목부(25b)와 제2 경계 오목부(25c)의 Y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부분의 Y방향의 치수 Y4는, 후술하는 치수 Y5보다 크고, 후술하는 치수 Y2보다 작다.
(리드부)
본 예의 리드부(37)는,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2 기재(15)의 배면(15b)에 마련되어 있다. 리드부(37)는 배선(37b)과, 배선(37c)과, 배선(37d)과, 배선(37e)과, 배선(37f)과, 배선(37g)과, 만곡부(37h)와, 만곡부(37j)를 포함한다. 배선(37b)은 단자(38b)와 전극 그룹(32b)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배선(37c)은 단자(38c)와 전극 그룹(32c)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배선(37d)은 단자(38d)와 제1 전극(36b)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배선(37e)은 단자(38e)와 제2 전극(36c)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배선(37f)은 단자(38d)와 제1 전극(36d)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배선(37g)은 단자(38e)와 제2 전극(36e)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만곡부(37h)는 정면 오목부(23)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만곡부(37j)는 경계 오목부(25)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정면 오목부(23)가 마련되어 있으면, 그 부분에서, 리드부(37)가 제2 기재(15)의 외주 엣지에 너무 가깝게 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본 예의 리드부(37)는, 정면 오목부(23)에 대응하여 Y방향 내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부(37h)를 가지고 있다. 만곡부(37h)를 가짐으로써, 정면 오목부(23)를 원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정면 오목부(23)가 마련되어 있으면, 본체부(20)의 정면 오목부(23)가 마련된 부분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그 부분에 크랙 등의 결함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예에서는, 본체부(20)의 정면 오목부(23)가 마련된 부분에는, 두껍게 형성된 육후부(肉厚部)(24g)가 마련되어 있다. 육후부(24g)의 형상은, 원하는 내구성에 따라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설정할 수 있다.
경계 오목부(25)가 마련되어 있으면, 그 부분에서, 리드부(37)가 제2 기재(15)의 외주 엣지에 너무 가깝게 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본 예의 리드부(37)는, 경계 오목부(25)에 대응하여 Y방향 내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부(37j)를 가지고 있다. 만곡부(37j)를 가짐으로써, 경계 오목부(25)를 원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경계 오목부(25)가 마련되어 있으면, 본체부(20)의 경계 오목부(25)가 마련된 부분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그 부분에 크랙 등의 결함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예에서는, 본체부(20)의 경계 오목부(25)가 마련된 부분에는, 두껍게 형성된 육후부(25g)가 마련되어 있다. 육후부(25g)의 형상은, 원하는 내구성에 따라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설정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Z방향을 따른 면에서 절단한 육후부(25g)의 단면은, 경계 오목부(25)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상승하여 정부(頂部)를 형성하고, 정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정면 전극부)
도 7에 나타내는 것처럼, 정면 전극부(32)는 X방향의 치수 X3과, Y방향의 치수 Y3을 가지는 배치 영역(32a)에 배치되어 있다. 정면 전극부(32)는 X방향으로 거리 X6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해도 된다. 거리 X6은 복직근(4)의 폭에 대응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본 예의 정면 전극부(32)는 복부(3)의 둘레 방향에 대응하는 X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쌍의 전극 그룹(32b, 32c)을 포함하고 있다. 전극 그룹(32b, 32c)은 X방향으로 거리 X6만큼 떨어져서 배치된다. 특히, 전극 그룹(32b, 32c)은 X방향으로 떨어져서 배치된다.
전극 그룹(32b)은 Y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예를 들면, 각 3개)의 분할 전극(32d, 32e, 32f)을 포함하고 있다. 전극 그룹(32c)은 Y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예를 들면, 각 3개)의 분할 전극(32g, 32h, 32j)을 포함하고 있다. 일례로서, 본 예의 정면 전극부(32)의 각 분할 전극은, X방향의 치수 X5가 Y방향의 치수 Y6보다 크고, 치수 Y6은 각 분할 전극의 사이의 거리 Y7보다 크다. 일례로서, 정면 전극부(32)의 각 전극은, 실질적으로 사각형 모양으로 간주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가 복부(3)에 장착되었을 때, 한쌍의 전극 그룹(32b, 32c)은 복직근(4)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복직근(4)에 둘레 방향 의 전류를 흘린다. 본 예에서는, 한쌍의 전극 그룹(32b, 32c)의 각 분할 전극은, 복직근(4)의 각 힘줄 획에 의해 나누어진 구획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일례로서, 정면 전극부(32)는 제어 유닛(30)에 대해서 X방향 및 Y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특히, 정면 전극부(32)는 정면 전극부(32)의 배치 영역(32a)을 X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직선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된다. 정면 전극부(32)는 이등분선 M1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특히, 본 예의 정면 전극부(32)는, 정면 전극부(32)의 배치 영역(32a)을 Y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직선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된다. 정면 전극부(32)는 이등분선 M2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복부(3)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 정면 전극부(32)와 복부(3)의 사이에는 겔 패드(82)(도 5를 참조)가 배치된다. 겔 패드(82)는 점착성(粘着性)을 구비하고 있다. 겔 패드(82)는 그 점착력에 의해서 신체와 각 전극 사이의 도통을 확보하는 역할을 달성하고 있다. 겔 패드(82)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각 전극부에 붙여진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겔 패드(82)를 붙인 상태로 복부(3)에 장착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겔 패드(82)의 점착성에 의해 복부(3)에 지지된다.
겔 패드(82)는 정면 전극부(32)의 각 분할 전극에 1개씩 붙여져도 된다. 본 예에서는, 겔 패드(82)는,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복수의 분할 전극을 통합하여 덮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겔 패드(82)는 전극 그룹(32b, 32c) 각각에 대해서 1개씩 붙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분할 전극에 1개씩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겔 패드(82)를 장착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측면 전극부)
도 7에 나타내는 것처럼, 측면 전극부(36)는 X방향의 치수 X7과, Y방향의 치수 Y5를 가지는 배치 영역(36a)에 배치되어 있다. 측면 전극부(36)는 X방향으로 거리 X9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해도 된다. 거리 X9는 복사근(5)의 폭에 대응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본 예의 측면 전극부(36)는, X방향으로 이격된 제1 전극(36b, 36d) 및 제2 전극(36c, 36e)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제1 전극(36b, 36d)과 제2 전극(36c, 36e)은, 복부(3)의 둘레 방향에 대응하는 X방향으로 떨어져서 배치된다. 제1 전극(36b, 36d) 및 제2 전극(36c, 36e)을 총괄할 때는, 각 측면 전극이라고 표기한다. 제1 전극(36b)과 제2 전극(36c)은, X방향으로 거리 X9만큼 이격되어 일방의 연장부(26)에 배치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가 복부(3)에 장착되었을 때, 제1 전극(36b)과 제2 전극(36c)은, 복사근(5)에 둘레 방향에 대응하는 X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사근(5)에 둘레 방향에 대응하는 X방향의 전류를 흘린다.
제1 전극(36d)과 제2 전극(36e)은, X방향으로 이격되어 타방의 연장부(26)에 배치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가 복부(3)에 장착되었을 때, 제1 전극(36d)과 제2 전극(36e)은, 복사근(5)에 둘레 방향에 대응하는 X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사근(5)에 둘레 방향에 대응하는 X방향의 전류를 흘린다. 일례로서, 본 예의 측면 전극부(36)의 각 측면 전극은, Y방향의 치수 Y5가 X방향의 치수 X8보다 크다. 일례로서, 측면 전극부(36)의 각 측면 전극은, 실질적으로 사각형 모양으로 간주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각 전극부의 형상 및 배치는, 신체의 곡면에 따라서, 그 곡면을 따르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직근(4)에서는, 복부 둘레가 큰 경우에는, 복직근(4)의 곡면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활 당김 모양으로 굽어 있기 때문에, 각 전극부의 형상이나 배치는 활 당김 모양의 곡면을 따르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측면 전극부(36)는, 제어 유닛(30)에 대해서 X방향 및 Y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특히, 측면 전극부(36)는 정면 전극부(32)의 배치 영역(32a)을 X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직선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된다. 측면 전극부(36)는 이등분선 M1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특히, 본 예의 측면 전극부(36)는, 정면 전극부(32)의 배치 영역(32a)을 Y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직선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된다. 측면 전극부(36)는 이등분선 M2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복부(3)에 장착할 때, 측면 전극부(36)와 복부(3)의 사이에는 겔 패드(82)가 배치된다. 일례로서,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각 측면 전극을 1개씩 덮는 형상의 겔 패드(82)를 각 측면 전극에 1개씩 붙여 사용된다.
(연장부)
한쌍의 연장부(26)는, 복부(3)의 측면의 복사근(5)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각 연장부(26)는 복사근(5)에 전류를 흘리는 측면 전극부(36)가 마련된다. 연장부(26)는 X방향 및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Z방향으로 얇게 형성된다. 연장부(26)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길이 방향이 X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실질적으로 사각형 모양으로 간주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일례로서, 본 예의 연장부(26)의 Y방향의 치수 Y2는, 정면부(22)의 Y방향의 치수 Y1보다 작다. 정면부(22)와 각 연장부(26)의 경계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일례로서, 본 예의 연장부(26)는, 실질적으로 사각형 모양으로 간주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X방향의 치수 X4는 Y방향의 치수 Y2보다 크다. 일례로서, 본 예의 한쌍의 연장부(26)의 Y방향의 치수 Y2는, 정면 전극부의 배치 영역(32a)의 Y방향의 치수 Y3보다 작다. 일방의 연장부(26)에는, X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전극(36b), 제2 전극(36c)을 가지는 측면 전극부(36)가 마련된다. 일례로서, 본 예의 한쌍의 연장부(26)의 Y방향의 치수 Y2는, 제1 전극(36b), 제2 전극(36c)의 X방향의 거리 X9보다 작다. 도 7의 예에 있어서, Y방향의 각 치수 및 거리는, 거리 Y7<치수 Y6<치수 Y4<치수 Y5<치수 Y2<치수 Y1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도 7의 예에 있어서, X방향의 각 치수 및 거리는, 치수 X8<치수 X5<거리 X6<거리 X9<치수 X7<치수 X3<치수 X4<치수 X2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복부 둘레는 사람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복부(3)의 정면에서부터 복사근(5)까지의 거리는 개인에 따라서 크게 다르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전극(36b)과 제2 전극(36c)의 이격 거리인 거리 X9가 너무 작으면, 복사근(5)의 전류가 흐르는 범위가 좁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예에서는, 제1 전극(36b)과 제2 전극(36c) 사이의 거리 X9는, 전극 그룹(32b)과 전극 그룹(32c) 사이의 거리 X6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거리 X9가 거리 X6보다 작은 경우에 비해 복사근(5)의 전류가 흐르는 범위가 넓어진다.
복부 둘레는 사람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근육의 연신(延伸)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범위는 개인에 따라서 크게 다르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각 전극은 복직근(4) 및 복사근(5)에 둘레 방향의 전류를 흘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전극은 이들 근육의 연신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류를 흘릴 수 있다. 이 경우, 근육의 연신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는 경우에 비해, 넓은 범위의 근육에 자극을 주는 것이 기대된다.
또, 각 전극은 연장부(26)의 비틀림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비틀림 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전극을 신체에 안정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정면 전극부(32)와 측면 전극부(36)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의해, 복직근(4)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복사근(5)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복직근(4)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복사근(5)에 흐르는 전류와 같은 방향이어도 되고, 역방향이어도 된다. 본 예에서는, 복직근(4)에 흐르는 전류가, 복사근(5)에 흐르는 전류와 역방향으로 흐르도록, 정면 전극부(32)와 측면 전극부(36)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이 설정되어 있다.
(제어부)
다음에 제어 유닛(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제어 유닛(30) 및 후술하는 제어 유닛(70)의 각 블록은, 하드웨어적으로는, 컴퓨터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비롯한 소자나 기계 장치로 실현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컴퓨터 프로그램 등에 의해서 실현되지만, 여기에서는, 그것들의 연대에 의해서 실현되는 기능 블록을 그리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여러가지 모습으로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명세서를 접한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것이다.
제어 유닛(30)은 하우징(30m)에 수용되어 있는, 제어부(30a)와, 스위치부(20j와 20k)와, 충전 단자(20g)와, 전지(20h)를 포함한다. 하우징(30m)은 본체부(20)의 중앙에 마련되고, 제어 유닛(30)의 외각(外殼)을 이룬다. 하우징(30m)은 다양한 수지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스위치부(20j, 20k)는 제어 유닛(30)의 정면에 마련된다. 스위치부는 SW부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스위치부(20j, 20k)는 누름 조작된 것을 검지하여 검지 결과를 제어부(30a)에 출력한다. 스위치부(20j, 20k)는, 예를 들면, 비조작시는 클로우즈이고, 누름 조작되었을 때 오픈으로 변화하는 전기 접점을 포함해도 된다. 본 예의 스위치부(20j)의 표면에는 플러스의 기호가 표시되고, 본 예의 스위치부(20k)의 표면에는 마이너스의 기호가 표시된다.
전지(20h)는 제어부(30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어부(30a)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지(20h)는 일차 전지여도 되지만, 본 예에서는 반복하여 충전 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를 채용하고 있다. 전지(20h)는 교환 가능해도 되지만, 본 예에서는 내장 타입을 채용하고 있다. 충전 단자(20g)는 전지(20h)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수전(受電)하여 제어부(30a)에 출력한다. 충전 단자(20g)에는 다양한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지만, 본 예에서는 USB(등록상표) 규격의 커넥터를 채용하고 있다. 충전 단자(20g)는, 예를 들면, 제어 유닛(30)의 바닥면에 마련된다. 전지(20h)는 충전 단자(20g)로 수전한 전력에 의해 충전된다. 전지(20h)는 와이어리스 충전 등의 비접촉식의 충전 시스템에 의해서 충전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제어부(30a)는 통신부(30b)와, 피부 검지부(30c)와, 조작 취득부(30d)와, 전기 자극 제어부(30e)와, 충전 제어부(30g)와, 모드 제어부(30f)를 포함한다. 통신부(30b)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동작 상황을 원격 제어 장치(12)에 송신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2)는 통신부(30b)로부터 취득한 동작 상황을 표시한다. 통신부(30b)는 원격 제어 장치(12)에 입력된 터치 조작에 기초하는 조작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30a)는 통신부(30b)를 통해서 취득한 조작 정보에 따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 취득부(30d)는 스위치부(20j, 20k)로부터 조작의 검지 결과를 취득한다. 조작 취득부(30d)는 각 스위치부의 저항값에 따른 전압을 검지하고, 검지 전압이 임계치 이상일 때 스위치부는 누름 조작된 것으로 판정하고, 검지 전압이 임계치 미만일 때 스위치부는 조작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제어부(30a)는 각 스위치부의 누름 상황의 조합이나, 누름 시간의 길이 등에 따라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제어 방법을 결정한다.
원격 제어 장치(12)에 의한 조작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위치부(20j, 20k)의 조작을 금지하도록 해도 된다. 본 예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원격 제어 장치(12)에 의한 조작이 되어 있는 상태에도, 스위치부(20j, 20k)에 의한 조작을 허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유저가 원격 제어 장치(1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음으로써, 원격 제어 장치(12)를 조작할 수 없는 경우에도, 스위치부(20j, 20k)에 의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조작할 수 있다.
피부 검지부(30c)는 전극이 피부에 접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피부 검지부(30c)는 전극 그룹(32b)과 전극 그룹(32c) 사이의 저항값을 검출하고, 검출한 저항값이 임계치 미만일 때 전극이 피부에 접해 있다고 판정하고, 검출한 저항값이 임계치 이상일 때는 전극이 피부에 접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전기 자극 제어부(30e)는 피부 검지부(30c)에 의해서 전극이 피부에 접해 있는 것이 검지되면, 소정의 동작시간(예를 들면 20분), 소정의 주기로, 설정된 출력 전압에 따른 전력을 전극에 공급한다. 즉, 이 동작시간에 유저의 복부(3)에 전기 자극을 준다. 출력 전압은 원격 제어 장치(12) 또는 스위치부(20j, 20k)를 조작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이 예의 전기 자극 제어부(30e)에서는, 스위치부(20j)가 눌릴 때마다 출력 전압이 상승하고, 스위치부(20k)가 눌릴 때마다 출력 전압이 저하한다.
충전 제어부(30g)는 충전 단자(20g)로 수전한 충전용 전력을 제어하여 전지(20h)에 공급한다. 충전 제어부(30g)는 전지(20h)의 충전율에 따라 전지(20h)에 공급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충전율이 낮은 경우에는 전지(20h)에 공급하는 전류를 크게 하고, 충전율이 높은 경우에는 전지(20h)에 공급하는 전류를 작게 한다. 충전 제어부(30g)는 충전한 전하량에 대한 충전율의 증가폭이 작은 경우, 전지 고장으로 하여 충전을 중지한다.
(모드 제어부)
제어 유닛(30)은 정면 전극부(32)에 공급하는 제1 전압 V1과, 한쌍의 측면 전극부(36)에 공급하는 제2 전압 V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유닛(30)은 제1 전압 V1 및 제2 전압 V2를 독립하여 제어하는 독립 제어 모드와, 제1 전압 V1 및 제2 전압 V2를 동시에 제어하는 동시 제어 모드를 가진다.
독립 제어 모드에서는, 복직근(4)과 복사근(5) 중 일방의 자극을 가감하고 싶은 경우에, 제1 전압 V1과 제2 전압 V2 중 일방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독립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전압 V1과 제2 전압 V2 중 일방을 고정한 채로, 타방을 증감할 수 있다. 독립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전압 V1과 제2 전압 V2 중 일방을 제로로 고정한 채로, 타방을 증감할 수 있다.
동시 제어 모드에서는, 복직근(4)의 자극과 복사근(5)의 자극을 연동시켜 가감하고 싶은 경우에, 제1 전압 V1과 제2 전압 V2를 연동시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시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전압 V1과 제2 전압 V2를 동시에 증감할 수 있다. 동시 제어 모드에서는, 같은 전압의 상태로, 제1 전압 V1과 제2 전압 V2를 동시에 증감할 수 있다. 동시 제어 모드에서는, 전압차가 있는 상태로, 제1 전압 V1과 제2 전압 V2를 동시에 증감할 수 있다.
모드 제어부(30f)는 독립 제어 모드와 동시 제어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전기 자극 제어부(30e)는 원격 제어 장치(12) 또는 스위치부(20j, 20k)의 조작에 의해서 독립 제어 모드와 동시 제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동시 제어 모드로 전환하면, 제1 전압 V1과 제2 전압 V2는 연동하여 가감된다. 독립 제어 모드로 전환하면, 제1 전압 V1과 제2 전압 V2 중 일방은 고정되고, 타방만이 가감된다.
(벨트 연결부)
한쌍의 연장부(26)에는, 본체부(20)를 복부(3)의 주위를 따르게 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장착하는 연결부가 마련되어도 된다. 본 예에서는, 복부(3)를 돌아 본체부(20)를 복부(3)에 장착하기 위한 벨트 부재(50)를 연결하는 한쌍의 벨트 연결부(42)가 마련된다. 벨트 연결부로서는, 다양한 원리에 기초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예의 벨트 연결부(42)는, 벨트 부재(50)를 통과시키는 구멍부(42h)를 둘러싸는 각관(角管) 모양의 각관 부재(42k)를 포함한다. 각관 부재(42k)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길이 방향이 Y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사각형 모양을 나타내고, 중앙에 Y방향으로 긴 대략 사각형 모양의 구멍부(42h)가 마련되어 있다. 각관 부재(42k)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벨트 연결부(42)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한쌍의 각관 부재(42k)는, 연장부(26)의 X방향에서 정면부(22)로부터 먼 측의 단부에 형성된 장착공(26h)에 감입되어 장착되어 있다.
(벨트 부재)
도 8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 연결된 벨트 부재(50)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벨트 부재(50)는 한쌍의 벨트 연결부(42)의 일방에서부터 복부(3)의 뒷면측을 통과하여 한쌍의 벨트 연결부(42)의 타방에 가설(架設)된다. 벨트 부재로서는, 끈 모양이나 띠모양 등 다양한 구성에 의한 벨트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본 예의 벨트 부재(50)는 띠모양의 부재이다.
벨트 부재(50)는 제1 벨트 부재(50b)와, 제2 벨트 부재(50c)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벨트 부재(50c)는 일방의 벨트 연결부(42)의 구멍부(42h)를 통과한 상태로 되접어 꺾여, 제2 벨트 부재(50c)의 양단부가 면(面)파스너(fastener, 51b)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제2 벨트 부재(50c)는 제1 벨트 부재(50b)보다 짧게 형성되어도 된다.
제1 벨트 부재(50b)의 일방의 단부는, 타방의 벨트 연결부(42)의 구멍부(42h)를 통과한 상태로 되접어 꺾여, 제1 벨트 부재(50b)의 중간부에 면(面)파스너(51c)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제1 벨트 부재(50b)의 타방의 단부는, 길이 조정을 위해서 되접어 꺾여 되꺾임부(50e)를 형성함과 아울러, 제1 벨트 부재(50b)의 다른 중간부에 면파스너(51d)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되꺾임부(50e)는 면파스너(51e)에 의해서 제2 벨트 부재(50c)에 연결할 수 있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되꺾임부(50e)가 제2 벨트 부재(50c)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저의 복부(3)의 주위를 따라서 장착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복부(3)의 주위를 따라서 장착된 상태로, 되꺾임부(50e)를 제2 벨트 부재(50c)에 연결함으로써 복부(3)에 장착된다. 되꺾임부(50e)의 되꺾이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둘레 방향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유저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복부(3)에 장착한 상태로 전원을 온으로 하여, 복부(3)로의 전기 자극을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처리 S100을 나타내고 있다.
처리가 개시되면, 제어부(30a)는 스위치부(20j)가 눌렸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2). 스위치부(20j)가 눌려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02의 N), 제어부(30a)는 처리를 스텝 S102의 선두로 되돌려, 스텝 S102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스위치부(20j)가 눌려 있는 경우(스텝 S102의 Y), 제어부(30a)는 소정의 경과시간 T1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4).
경과시간 T1을 경과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04의 N), 제어부(30a)는 처리를 스텝 S102의 선두로 되돌려, 스텝 S102~S104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경과시간 T1을 경과했을 경우(스텝 S104의 Y), 제어부(30a)는 스텝 S106로 이행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의 경과시간 T1은 원하는 사양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본 예의 경과시간 T1은 2초로 설정되어 있다. 즉, 유저는 스위치부(20j)를 2초간 누름으로써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전원을 온으로 할 수 있다.
스텝 S106에 있어서, 제어부(30a)는 전극이 피부에 접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6). 전극이 피부에 접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06의 N), 제어부(30a)는 소정의 대기 시간 대기하고 나서 처리를 스텝 S106의 선두로 되돌린다.
전극이 피부에 접해 있는 경우(스텝 S106의 Y), 제어부(30a)는 유저의 복부(3)에 전기 자극의 부여를 개시한다(스텝 S108). 이 스텝에서, 전기 자극 제어부(30e)는 정면 전극부(32) 및 측면 전극부(36) 중 적어도 일방에 소정의 주기로 변화하는 전력을 공급한다.
스텝 S108을 실행한 제어부(30a)는, 소정의 경과시간 T2를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0). 스텝 S110에 있어서의 경과시간 T2는 원하는 트레이닝 시간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본 예의 경과시간 T2는 20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유저는 20분이 경과할 때까지 트레이닝을 계속할 수 있다. 경과시간 T2를 경과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10의 N), 제어부(30a)는 전극이 피부에 접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2).
전극이 피부에 접해 있는 경우(스텝 S112의 Y), 제어부(30a)는 처리를 스텝 S108의 선두로 되돌려, 전기 자극의 부여를 계속한다. 전극이 피부에 접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12의 N), 제어부(30a)는 전기 자극의 부여를 정지하고 처리 S100을 종료한다. 즉, 경과시간 T2를 경과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전극이 신체(2)로부터 떨어진 경우에는, 제어부(30a)는 전기 자극의 부여를 종료한다. 경과시간 T2를 경과했을 경우(스텝 S110의 Y), 제어부(30a)는 전기 자극의 부여를 정지하고 처리 S100을 종료한다.
처리 S100는 일례에 불과하며, 이 처리에 다른 처리를 추가하거나, 스텝을 삭제·변경하거나, 스텝의 순서를 바꿔 넣거나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복부(3)의 주위를 따라서 장착되는 장착면(10b)을 가지는 본체부(20)를 구비하고, 장착면(10b)은 복부(3)를 주회하는 X방향과, X방향에 직교하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본체부(20)는 복직근(4)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정면 전극부(32)를 가지는 정면부(22)와, 정면부(22)로부터 X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복사근(5)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측면 전극부(36)를 가지는 한쌍의 연장부(26)를 포함하고, 정면부(22)의 Y방향의 측부(22b, 22c)에는, 정면부(22)를 X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위치에, Y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정면 오목부(23)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20)에, 정면부(22)와 연장부(26)를 포함하기 때문에, 복직근(4)과 복사근(5)을 동시에 단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장착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정면 오목부(23)를 가짐으로써, 시각에 더하여, 손가락끝의 촉각에 의해서 본체부(20)의 중심 위치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체(2)의 적절한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 맞춤 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서는, 본체부(20)에는 정면 전극부(32) 또는 측면 전극부(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부(37)가 마련되고, 리드부(37)는 정면 오목부(23)에 대응하여 Y방향으로 내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부(37h)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만곡부(37h)를 가짐으로써, 리드부(37)와 제2 기재(15)의 외주 엣지의 거리가 적절히 유지되어, 원하는 형상의 정면 오목부(23)를 실현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서는, 본체부(20)의 정면 오목부(23)가 마련된 부분에는 두껍게 형성된 육후부(24g)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면 오목부(23)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크랙 등의 결함의 발생을 저감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서는, 한쌍의 연장부(26)의 Y방향의 치수는, 정면부(22)의 Y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장부(26)의 폭을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연장부(26)를 늑골과 골반 사이의 뼈가 없는 범위에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복사근(5)에 효과적으로 전류를 흘릴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서는, 정면 전극부(32)는 X방향으로 거리 X6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전극 그룹(32b)과 전극 그룹(32c)을 포함하고, 측면 전극부(36)는 X방향으로 거리 X9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전극(36b)과 제2 전극(36c)을 포함하고, 거리 X9는 거리 X6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거리 X9가 거리 X6보다 작은 경우에 비해 복사근(5)의 전류가 흐르는 범위를 넓게 할 수 있으므로, 복사근(5)을 효과적으로 트레이닝할 수 있다. 또, 전극간 거리를 넓힘으로써, 전류가 깊게 흘러, 근육을 효과적으로 자극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서는, 정면 전극부(32) 및 측면 전극부(36)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은, 복직근(4)에 흐르는 전류가, 복사근(5)에 흐르는 전류와 역방향으로 흐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들 전류의 방향이 같은 경우에 비해, 정면 전극부(32)의 측면 전극부(36)측의 전극과 측면 전극부(36)의 정면 전극부(32)측의 전극의 사이에 흐르는 무효 전류를 줄일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서는, 본체부(20)의 Y방향의 측부에는, 상기의 정면부(22)와 한쌍의 연장부(26)의 각 경계부에, Y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경계 오목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계 오목부(25)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연장부(26)를 비틀기 쉽게 하여, 복부(3)로의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서는, 본체부(20)는 측면 전극부(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부(37)를 가지고, 리드부(37)는 경계 오목부(25)에 대응하여 Y방향에서 내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부(37j)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만곡부(37j)를 가짐으로써, 리드부(37)와 제2 기재(15)의 외주 엣지의 거리가 적절히 유지되어, 원하는 형상의 경계 오목부(25)를 실현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서는, 본체부(20)의 경계 오목부(25)가 마련된 부분에는 두껍게 형성된 육후부(25g)가 마련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계 오목부(25)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경계 오목부(25)의 크랙 등의 결함의 발생을 저감시키고, 연장부(26)의 비틀림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서는, 본체부는 제1 기재(14)와, 제2 기재(15)와, 커버 부재(16)를 포함하고, 제1 기재(14)는 정면 전극부(32)와 측면 전극부(36)를 노출시키는 개구(14b)를 가지고, 제2 기재(15)에는, 정면 전극부(32)와 측면 전극부(36)가 마련되고, 커버 부재(16)는 제2 기재(15)의 제1 기재(14)와는 반대측에 적층되어, 정면부(22)와 한쌍의 연장부(26)를 일체로 덮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기재(14)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 비해 리드부(37)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서는, 제1 기재(14) 및 제2 기재(15)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의 수지로 형성되고, 커버 부재(16)는 제2 기재(15)보다 단단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버 부재가 너무 무른 경우에 비해, 본체부(20)에 원하는 강성을 부여할 수 있고, 정면부(22)를 위치 결정하면 연장부(26)의 위치도 거의 정해져, 복부(3)로의 장착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서는, 커버 부재(16)는 제1 기재(14) 및 제2 기재(15)의 외주 엣지(14e, 15e)를 덮는 엣지 커버부(16c)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엣지 커버부(16c)가 외주 엣지(14e, 15e)를 덮고 있으므로, 본체부(20)와 신체(2)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장착의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엣지 커버부(16c)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 비해 본체부(2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서는, 한쌍의 연장부(26)에는 본체부(20)를 복부(3)의 주위를 따르게 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벨트 부재(50)를 장착하는 벨트 연결부(42)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벨트 연결부(42)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벨트 부재(50)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연장부(26)에 연결된 벨트 부재(50)를 복부(3)의 뒷면측을 통과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측면 전극부(36)의 복부(3)로부터의 들뜸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서는, 본체부(20)에는, 정면 전극부(32) 및 한쌍의 측면 전극부(36)에 각 공급 전압을 공급하는 제어 유닛(30)이 마련되고, 제어 유닛(30)은 각 공급 전압을 독립하여 제어하는 독립 제어 모드와, 각 공급 전압을 동시에 제어하는 동시 제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독립 제어 모드를 이용하여, 복직근(4)과 복사근(5) 중 일방의 트레이닝 강도를 가감할 수 있고, 동시 제어 모드를 이용하여, 복직근(4)과 복사근(5)을 연동하여 트레이닝할 수 있다. 즉, 유저의 상황에 따라 보다 적절한 트레이닝 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60)에 대해서, 도 10~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도면 및 설명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제1 실시 형태와 중복하는 설명을 적당히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 상위(相違)한 구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서는, 제어 유닛(30)이 본체부(2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체부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지 않고, 제어 유닛은 별체(別體)의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제어 유닛은 본체부에 마련된 착탈 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60)의 본체부(62)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6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60)의 장착 기구(64)의 주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60)에 장착 가능한 제어 유닛(7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60)는, 본체부(62)에 제어 유닛을 구비하지 않고, 장착 기구(64) 및 수전 단자부(38)를 구비한다. 제어 유닛(70)은 본체부(62)와는 별체의 장치로서 구성되어, 장착 기구(64)에 의해 본체부(62)에 장착된다. 제어 유닛(70)은 급전 단자부(72)를 구비한다. 제어 유닛(70)이 본체부(62)에 장착되었을 때, 급전 단자부(72)는 수전 단자부(38)와 접촉하여, 수전 단자부(38)에 전기 자극용의 전력을 공급한다.
제2 실시 형태의 본체부(62)는 제1 실시 형태의 본체부(20)에 대응하며, 제어 유닛(30) 이외의 모든 구성과 특징을 구비한다. 제어 유닛(70)은 정면 전극부(32) 및 한쌍의 측면 전극부(36)에 전압을 공급한다. 제어 유닛(70)은 제1 실시 형태의 제어 유닛(30)에 대응하며, 제어 유닛(30)의 모든 구성과 특징을 구비한다.
(장착 기구)
본체부(62)는 장착 기구(64) 및 수전 단자부(38)를 구비한다. 장착 기구(64)는 본체부(62)에 제어 유닛(70)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기구이다. 장착 기구(64)는 공구를 사용하여 착탈하는 구성이어도 되지만,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람 손으로 제어 유닛(70)을 착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62)는 장착 기구(64)로서, 범용의 파스너 등 다양한 원리에 기초하는 연결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채용 가능한 장착 기구(64)의 일례로서는, 자기적 흡인력을 이용하는 기구, 훅과 훅에 맞물리는 오목부 포함하는 기구, 수나사와 암나사를 포함하는 기구, 면파스너를 포함하는 기구, 스냅(snap) 버튼을 포함하는 기구 등을 들 수 있다.
본 예의 장착 기구(64)에서는, 제어 유닛(70)은 마그넷(76)을 구비하고, 본체부(62)는 마그넷(76)의 자극과 자기적으로 서로 당기는 자성(磁性) 부재(68)를 구비한다. 마그넷(76)의 자극과 자성 부재(68)의 자기적 흡인력에 의해, 제어 유닛(70)은 본체부(62)에 유지된다. 마그넷(76)의 흡인력을 초과하는 힘을 제어 유닛(70)에 작용시켰을 때, 제어 유닛(70)은 본체부(62)로부터 분리된다. 도 12에 있어서, (a)는 제어 유닛(70)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60)를 나타낸다. 도 12에 있어서, (b)는 제어 유닛(70)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60)를 나타낸다.
(수전 단자부)
수전 단자부(38)는 본체부(62)의 중앙 부근에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단자(38b, 38c, 38d, 38e)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단자(38b, 38c)는 전극 그룹(32b, 32c)에 접속되고, 단자(38d)는 제1 전극(36b, 36d)에 접속되고, 단자(38e)는 제2 전극(36c, 36e)에 접속된다. 단자(38b, 38c, 38d, 38e)는 전극면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귀금속 도금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수전 단자부(38)는 급전 단자부(72)와의 접촉압(接觸壓)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스프링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급전단자부)
급전 단자부(72)는 수전 단자부(38)의 단자(38b, 38c, 38d, 38e)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단자(72b, 72c, 72d, 72e)를 포함하고 있다. 단자(72b, 72c, 72d, 72e)는 예를 들면, 스프링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단자(72b, 72c, 72d, 72e)는 전기 자극을 위한 전력을 단자(38b, 38c, 38d, 38e)에 공급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60)는, 제어 유닛(70)을 장착했을 때,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60)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달성한다. 이에 더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60)는, 이하의 작용·효과를 달성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근육 전기 자극 장치(60)에서는, 본체부(62)에는 정면 전극부(32) 및 한쌍의 측면 전극부(36)에 전압을 공급하는 제어 유닛(70)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기구(64)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1개의 제어 유닛에 의해서, 종류가 상이한 본체부를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본체부가 고장났을 경우에, 본체부만을 교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어 유닛을 교환할 수 없는 경우에 비해, 경제적이고, 자원 절약에 이바지한다.
이상, 각 실시 형태를 기초로 설명했다. 이들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서 가능한 것, 또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도 본 발명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기술 및 도면은 한정적이 아니라 예증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변형예의 도면 및 설명에서는,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실시 형태와 중복하는 설명을 적당히 생략하고, 실시 형태와 상위한 구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제1 변형예)
각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 부재(50)를 이용하여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복부(3)에 장착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는 겔 패드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복부(3)에 장착되어도 된다.
(제2 변형예)
각 실시 형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12)는 표시 및 터치 조작 가능한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원격 제어 장치(12)는 터치 패널 이외의 표시 디바이스에 표시된 화상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 이외의 조작 디바이스에 의해서 조작 입력되어도 된다. 이러한 표시 수단으로서는 액정 표시 장치를 들 수 있고, 조작 수단으로서는 키보드 등의 키스위치를 들 수 있다.
상술한 각 변형예에 의하면,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달성한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끼리 및 각 실시 형태와 변형예의 임의의 조합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유용하다. 조합에 의해서 생기는 새로운 실시 형태는, 조합되는 실시 형태 및 변형예 각각의 효과를 겸비한다.
10··근육 전기 자극 장치 12··원격 제어 장치
14··제1 기재 15··제2 기재
16··커버 부재 20··본체부
22··정면부 23··정면 오목부
25··경계 오목부 26··연장부
30··제어 유닛 30a··제어부
32··정면 전극부 36··측면 전극부
37··리드부 37h··만곡부
37j··만곡부 38··수전 단자부
42··벨트 연결부 50··벨트 부재
60··근육 전기 자극 장치 64··착탈 기구
76··마그넷

Claims (8)

  1. 복부의 주위를 따라서 장착되는 장착면을 가지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면은 복부를 주회하는 X방향과, X방향에 직교하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는,
    복직근(腹直筋)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정면 전극부를 가지는 정면부와,
    상기 정면부로부터 X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복사근(腹斜筋)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측면 전극부를 가지는 한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부의 Y방향의 측부에는, 상기 정면부를 X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위치에, Y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정면 오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
  2. 복부의 주위를 따라서 장착되는 장착면을 가지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면은 복부를 주회하는 X방향과, X방향에 직교하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는,
    복직근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정면 전극부를 가지는 정면부와,
    상기 정면부로부터 X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복사근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측면 전극부를 가지는 한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연장부의 Y방향의 치수는, 상기 정면부의 Y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Y방향의 측부에는, 상기 정면부와 상기 한쌍의 연장부와의 각 경계부에, Y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경계 오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제1 기재와, 제2 기재와,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재는, 상기 정면 전극부와 상기 측면 전극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가지고,
    상기 제2 기재에는, 상기 정면 전극부와 상기 측면 전극부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제1 기재와는 반대측에 적층되어, 상기 정면부와 상기 한쌍의 연장부를 일체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제1 기재와, 제2 기재와,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재는, 상기 정면 전극부와 상기 측면 전극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가지고,
    상기 제2 기재에는, 상기 정면 전극부와 상기 측면 전극부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2 기재의 상기 제1 기재와는 반대측에 적층되어, 상기 정면부와 상기 한쌍의 연장부를 일체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의 외주 엣지를 덮는 엣지 커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의 외주 엣지를 덮는 엣지 커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
  8. 복부의 주위를 따라서 장착되는 장착면을 가지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면은 복부를 주회하는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는,
    복직근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정면 전극부를 가지는 정면부와,
    상기 정면부로부터 X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복사근에 X방향의 전류를 흘리기 위한 측면 전극부를 가지는 한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정면 전극부 및 상기 한쌍의 측면 전극부에 각 공급 전압을 공급하는 제어 유닛이 마련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각 공급 전압을 독립하여 제어하는 독립 제어 모드와, 상기 각 공급 전압을 동시에 제어하는 동시 제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
KR1020170123765A 2017-04-27 2017-09-25 근육 전기 자극 장치 KR20180120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003A KR102615583B1 (ko) 2017-04-27 2023-02-15 근육 전기 자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88039A JP2018183480A (ja) 2017-04-27 2017-04-27 筋肉電気刺激装置
JPJP-P-2017-088039 2017-04-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0003A Division KR102615583B1 (ko) 2017-04-27 2023-02-15 근육 전기 자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556A true KR20180120556A (ko) 2018-11-06

Family

ID=599690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765A KR20180120556A (ko) 2017-04-27 2017-09-25 근육 전기 자극 장치
KR1020230020003A KR102615583B1 (ko) 2017-04-27 2023-02-15 근육 전기 자극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0003A KR102615583B1 (ko) 2017-04-27 2023-02-15 근육 전기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80311492A1 (ko)
EP (1) EP3395398B1 (ko)
JP (2) JP2018183480A (ko)
KR (2) KR20180120556A (ko)
CN (2) CN208990055U (ko)
HK (1) HK1257121A1 (ko)
RU (1) RU2749168C2 (ko)
SG (1) SG10201707751TA (ko)
TW (1) TWI757344B (ko)
WO (1) WO2018198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47358S1 (en) * 2017-03-31 2019-04-30 Mtg Co., Ltd. Training apparatus
USD846133S1 (en) * 2017-03-31 2019-04-16 Mtg Co., Ltd. Training apparatus
US20190308065A1 (en) * 2018-04-10 2019-10-10 Donna Hossner Abdominal exercise system and method
USD940341S1 (en) * 2018-04-25 2022-01-04 Wei Lin Muscle training gear
JP7140646B2 (ja) * 2018-11-20 2022-09-21 株式会社 Mtg トレーニング方法
JP7233287B2 (ja) * 2019-04-05 2023-03-06 Tbcグループ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装置
US11911603B2 (en) 2020-01-06 2024-02-27 Katalyst Interactive Inc.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suit with electrode arrangement that prevents transthoracic electrical current
USD952865S1 (en) * 2020-01-06 2022-05-24 Katalyst Inc. Set of electrodes for an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suit
EP3851156A1 (en) * 2020-01-15 2021-07-21 Beijing Funate Innovation Technology Co., Ltd. Mask-type beauty instrument
ES2951418T3 (es) * 2020-01-15 2023-10-20 Beijing Funate Innovation Tech Co Ltd Instrumento de fisioterapia blando y procedimiento de uso del mismo
CN113877059A (zh) * 2020-07-03 2022-01-04 何浩明 具有调整机构以使贴片单元贴合人体的衣物结构
CN113181001B (zh) * 2021-04-20 2022-05-13 深圳德佳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产后腹直肌训练装置
USD984655S1 (en) * 2021-08-11 2023-04-25 Jian Zhu Electronic muscle stimulato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3833A (en) * 1980-07-18 1982-02-08 Hitachi Ltd Pressure sensor
DE69223323T2 (de) * 1992-12-23 1998-06-25 Vupiesse Italia S A S Gürtel mit einer Stütze zur Einstellung von Elektroden
RU2045287C1 (ru) * 1994-03-23 1995-10-10 Виктор Иванович Чудин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иостимуляции
JP3209197B2 (ja) * 1998-07-03 2001-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文字認識装置及び文字認識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U1998300A (en) * 1999-01-11 2000-08-01 Bmr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An electrotherapy device and method
US6445955B1 (en) * 1999-07-08 2002-09-03 Stephen A. Michelson Miniature wireless transcutaneous electrical neuro or muscular-stimulation unit
US6341237B1 (en) * 1999-10-25 2002-01-22 Arthur F. Hurtado Device for administrating electro-muscle stimulation and method of use
JP4057558B2 (ja) * 2004-06-09 2008-03-05 伊藤超短波株式会社 筋肉トレーニング装置
EP1874398A4 (en) * 2005-04-19 2008-08-20 Compex Medical Sa DEVICE FOR THE ADMINISTRATION OF ELECTRODE STIMULATION OF BACK AND BELLY MUSCLES
CA2749828C (en) * 2009-01-26 2016-02-23 University College Dubli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Dubli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mulating pelvic floor muscles
CN102470246B (zh) * 2009-07-10 2015-08-05 都柏林大学,爱尔兰都柏林国立大学 刺激腰肌和腹肌的方法和装置
FR2948008B1 (fr) * 2009-07-17 2011-07-22 Luc Guillarme Appareil d'evaluation de la capacite musculaire de la sangle abdominale d'un sujet
DE102011103322A1 (de) * 2010-07-27 2012-10-11 Amin Koka Bauchmuskeltrainingsgerät mit Zeitsteuerung
GB2504984A (en) * 2012-08-16 2014-02-19 Quest Ion Pte Ltd Toning belt
EP3263173A4 (en) * 2015-02-27 2019-02-20 MTG Co., Ltd. DEVICE FOR ELECTRIC MUSCLE STIMULATION
JP2016202796A (ja) * 2015-04-28 2016-12-08 株式会社 Mtg 筋肉電気刺激装置
JP2016202409A (ja) * 2015-04-17 2016-12-08 株式会社 Mtg 筋肉電気刺激気装置
JP2016202690A (ja) * 2015-04-24 2016-12-08 株式会社 Mtg 筋肉電気刺激装置
JP2017006644A (ja) 2015-06-17 2017-01-12 株式会社 Mtg 筋肉電気刺激装置
JP6782401B2 (ja) * 2016-01-22 2020-1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刺激装置
JP3209197U (ja) * 2016-12-08 2017-03-09 Tbcグループ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201707751TA (en) 2018-11-29
RU2017133189A (ru) 2019-03-25
WO2018198394A1 (ja) 2018-11-01
TW201838678A (zh) 2018-11-01
KR20230029723A (ko) 2023-03-03
CN208990055U (zh) 2019-06-18
JP2022002740A (ja) 2022-01-11
RU2749168C2 (ru) 2021-06-07
TWI757344B (zh) 2022-03-11
HK1257121A1 (zh) 2019-10-11
JP2018183480A (ja) 2018-11-22
JP7242799B2 (ja) 2023-03-20
KR102615583B1 (ko) 2023-12-20
CN108785853A (zh) 2018-11-13
EP3395398B1 (en) 2021-09-22
EP3395398A1 (en) 2018-10-31
RU2017133189A3 (ko) 2020-12-22
US20180311492A1 (en)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2799B2 (ja) 筋肉電気刺激装置
JP7152845B2 (ja) 筋肉電気刺激装置
JP2012024405A (ja) 電気刺激治療用導子、および電気刺激治療装置
CN208809310U (zh) 肌肉电刺激装置
JP3171499U (ja) 点電極シート
JP7199276B2 (ja) 筋肉電気刺激装置
KR20180032457A (ko) 전기 자극용 기능성 의복
US20050055066A1 (en) Medium and low frequency electro-stimulated massaging bra
WO2017222190A1 (ko) 패턴 형상의 전극이 배치된 마스크 팩형 피부 미용 기기
GB2519743B (en) Microcurrent electrical neuromuscular stimulator apparatus
US20050055067A1 (en) Medium and low frequency electro-stimulated massaging pants
WO2023120677A1 (ja) 電気刺激用導子および導子装着サポータ
KR20190109784A (ko) 접촉 자극 발생 구조의 마우스
CN219023018U (zh) 皮肤护理设备
CN215309716U (zh) 一种智能ems电极腰带
KR101372938B1 (ko) 요실금 및 생리통 치료를 위한 인지 방식의 미세전류 자극 장치
CN215915654U (zh) 穴位刺激装置
CN213407480U (zh) 按摩头、颈部按摩仪及可穿戴按摩设备
JP2017189268A (ja) 低周波治療器
KR20230021355A (ko) 고탄성체 아암을 이용한 다기능 전기자극기 및 그 제조 방법
TWM258747U (en) Fast accessing apparatus for electrodes stimulating muscles of lumbus and abdom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