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613A - 전방 구체 및 차량 - Google Patents

전방 구체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613A
KR20180119613A KR1020187027590A KR20187027590A KR20180119613A KR 20180119613 A KR20180119613 A KR 20180119613A KR 1020187027590 A KR1020187027590 A KR 1020187027590A KR 20187027590 A KR20187027590 A KR 20187027590A KR 20180119613 A KR20180119613 A KR 20180119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reinforced plastic
edge portion
plastic material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122B1 (ko
Inventor
고시 다니모토
료지 오카베
고오지 에사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9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3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05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characterised by use of plastics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06En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2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전방 구체(3)는, 전후 방향(Da)의 전방면(4b)을 형성하며, 개구되는 개구부(4a)를 형성하는 에지부를 갖는 전방 벽부(4)와, 전방 벽부(4)와 연속되며, 상측을 향하는 천장면(5a)을 형성하고 있는 천장 벽부(5)를 구비한다. 전방 벽부(4)는, 개구부(4a)를 둘러싸는 에지부 중, 폭 방향(Dw)의 양측의 측부 에지부(41, 42) 및 상측의 상부 에지부(40)가 외표면을 따르는 2 방향을 적어도 섬유 방향으로 하는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를 갖는다. 천장 벽부(5)는, 폭 방향(Dw)의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상기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에 끼워 넣어진 코어재를 갖는다.

Description

전방 구체 및 차량
본 발명은, 전방 구체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3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069191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버스나 철도 이외의 새로운 교통 수단인 신교통 시스템으로서, 고무 타이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행륜에 의해 궤도상을 주행하는 궤도계 교통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신교통 시스템이나 APM(Automated People Mover)이라 불리고 있다.
궤도계 교통 시스템의 차량에서는, 경량화나 비용 절감이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차량 자체를 금속 재료가 아니라,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량에서는, 분할된 블록을 고경도 FRP 재료성의 패널 형상 유닛으로 구성하고,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선두 차량의 전두 구체(전방 구체)를 구성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3625779호 공보
그런데, 전방 구체에는 여러 방향으로부터 부하가 걸린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주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전방으로부터의 주행풍 뿐만 아니라 차량의 폭 방향으로 부는 횡풍에 의해, 전방 구체는 측면이 왜곡되는 부하를 받는다. 그 때문에, 플라스틱재로 전방 구체를 구성한 경우에도, 부하에 대한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재를 사용하면서, 부하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전방 구체 및 차량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의 전방 구체는, 차량의 전후 방향의 단부를 구성하는 전방 구체이며,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을 향하는 전방면을 형성하며,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을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에지부를 갖는 전방 벽부와, 상기 전방 벽부와 연속되며,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상측을 향하는 천장면을 형성하고 있는 천장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벽부는,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에지부 중,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의 양측의 측부 에지부 및 상기 상하 방향의 상측의 상부 에지부가, 외표면을 따르는 2 방향을 적어도 섬유 방향으로 하는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외표면을 따르는 방향이 상하 방향이나 폭 방향인 양측의 측부 에지부 및 상부 에지부에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의 강성을 향상시킨 프레임 구조로서 전방 벽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폭 방향으로의 부하에 대한 강성을 높이는 기능을 전방 벽부에 확보시켜 전방 구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있어서의 전방 구체에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부는,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교차하는 2 방향을 적어도 섬유 방향으로 하는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있어서의 전방 구체에서는, 제1 또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부와 상기 천장 벽부를 연결하는 접속 부분이 상기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이한 방향을 향하는 전방 벽부와 천장 벽부를 연결하는 접속 부분에서는, 만곡된 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만곡된 면을 형성하는 영역에서는, 만곡된 면에 의한 후프 응력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만으로 상하 방향의 부하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재의 사용량을 억제할 수 있으며, 비용을 억제하여 전방 구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있어서의 전방 구체에서는, 제1 내지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측부 에지부 및 상기 상부 에지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에 끼워 넣어진 코어재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만인 경우에 비해, 주행풍에 의한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의 부하에 대한 측부 에지부 및 상부 에지부의 굴곡 강성을 각각 코어재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있어서의 전방 구체에서는, 제1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에지부 중, 상기 상하 방향의 하측의 하부 에지부가 상기 폭 방향을 섬유 방향으로 하는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행풍에 의한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의 부하에 대한 전방 벽부의 강성을 하부 에지부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있어서의 전방 구체에서는, 제5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에지부는, 상기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에 끼워 넣어진 코어재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만인 경우에 비해, 주행풍에 의한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의 부하에 대한 하부 에지부의 굴곡 강성을 코어재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있어서의 전방 구체에서는, 제6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에지부는, 상기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에 끼워 넣어진 상기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횡풍에 의한 전단 응력에 대한 전방 벽부의 강성을 하부 에지부에서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있어서의 전방 구체에서는, 제1 내지 제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천장 벽부는, 상기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상기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에 끼워 넣어진 코어재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코어재에 의해 상하 방향의 부하에 대한 천장 벽부의 굴곡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방향으로의 부하에 대한 강성을 높이는 기능을 전방 벽부와 천장 벽부로 각각 분리시켜 전방 구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양태에 있어서의 차량은, 제1 내지 제8 중 양태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방 구체와, 상기 전방 구체와 고정되는 차량 본체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강도를 확보하면서, 차량으로서의 비용을 억제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재를 사용하면서, 부하에 대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방 구체의 각 영역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부 에지부 및 천장 벽부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에 있어서의 III-III 단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측부 에지부 및 측벽부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에 있어서의 IV-IV 단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부 에지부 및 창하 패널부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에 있어서의 V-V 단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차량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1)은,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면서 궤도를 주행하는 궤도계 교통 시스템의 연결 차량이다. 본 실시 형태의 궤도계 교통 시스템은, 차량(1)의 폭 방향(Dw)의 양측에 궤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측방 안내 궤조식(사이드 가이드 방식)의 교통 시스템이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차량(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본체(2)와, 전방 구체(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하에서는, 차량(1)이 주행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Da)이라 부른다. 전후 방향(Da)과 직교하는 차량(1)의 폭 방향(Dw)을 간단히 폭 방향(Dw)이라 부른다. 전후 방향(Da) 및 폭 방향(Dw)과 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Dv)이라 부른다.
차량 본체(2)는, 내부에 공동을 갖는 외형시 상자체 형상의 구조물을 갖고 있다. 차량 본체(2)는, 폭 방향(Dw)을 향하는 측면에 도시하지 않은 개폐 도어나 창 등이 설치되어 있다. 차량 본체(2)는, 궤도의 주행 노상을 전동하는 주행륜(도시하지 않음) 및 가이드 레일을 따라 차량(1)을 목적으로 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안내륜(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 구체(3)는, 차량(1)의 전후 방향(Da)의 일방측인 전방측의 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전방 구체(3)는, 차량 본체(2)에 볼트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전방 구체(3)는, 전방 벽부(4)와, 천장 벽부(5)와, 측벽부(6)를 구비한다. 전방 구체(3)은, 전방 벽부(4)와 천장 벽부(5)와 측벽부(6)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전방 벽부(4)는, 전방 구체(3)의 전후 방향(Da)의 전방측을 향하는 외표면인 전방면(4b)을 형성하고 있다. 전방 벽부(4)는, 전방측을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4a)를 형성하는 에지부를 갖는다. 개구부(4a)는, 유리나 강화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부재가 감입됨으로써, 차량(1)의 전방의 창을 형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방 벽부(4)는, 전방 구체(3)를 전후 방향(Da)의 전방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보이는 영역이다. 개구부(4a)는, 직사각 형상을 이뤄서 개구되어 있다. 전방 벽부(4)는, 개구부(4a)를 둘러싸는 에지부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에지부(40)와, 제1 측부 에지부(측부 에지부)(41)와, 제2 측부 에지부(측부 에지부)(42)와, 하부 에지부(43)를 갖는다.
상부 에지부(40)는, 개구부(4a)에 대하여 상하 방향(Dv)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부 에지부(40)는, 전방 벽부(4)에 있어서 개구부(4a)의 상측에서 폭 방향(Dw)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 에지부(40)는, 외표면을 따르는 2 방향을 적어도 섬유 방향으로 하는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를 갖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상부 에지부(40)에 있어서의 외표면을 따르는 2 방향이란, 외표면을 따라 상하 방향(Dv)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과, 외표면을 따라 폭 방향(Dw)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이다. 상부 에지부(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에 끼워 넣어진 코어재(300)를 갖고 있다. 여기서, 상부 에지부(40)에 있어서의 코어재(300)와, 코어재(300)를 사이에 두는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를 합하여 제1 적층재(400)라 부른다. 상부 에지부(40)는,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에 끼워 넣어진 제1 적층재(400)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는, 시트 형상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축 FRP)(200)이다. 본 실시 형태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는, 외표면을 따라 직교하는 2 방향을 섬유 방향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는, 전방 벽부(4)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하 방향(Dv) 및 폭 방향(Dw)에 대하여 ±45°로 각각 경사지는 방향을 섬유 방향으로 하고 있다. 또한,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는, 후술하는 천장 벽부(5)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폭 방향(Dw) 및 전후 방향(Da)에 대하여 ±45°로 각각 경사지는 방향을 섬유 방향으로 하고 있다. 또한,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는, 후술하는 측벽부(6)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후 방향(Da) 및 상하 방향(Dv)에 대하여 ±45°로 각각 경사지는 방향을 섬유 방향으로 하고 있다.
코어재(300)는, 발사(Balsa)재나 발포성의 수지 재료 등의 공지된 코어재이다. 코어재(300)는, 외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부하에 대한 굴곡 강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코어재(300)는, 전방 벽부(4)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후 방향(Da)에 대한 굴곡 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코어재(300)는, 후술하는 천장 벽부(5)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하 방향(Dv)에 대한 굴곡 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코어재(300)는, 가령 후술하는 측벽부(6)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폭 방향(Dw)에 대한 굴곡 강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코어재(300)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와 마찬가지로 타기 어려운 난연성이 높은 발포성의 수지 재료이다.
제1 적층재(400)는, 시트 형상을 이루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에 코어재(300)를 끼워 넣음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1 적층재(400)는,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부 에지부(40)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가 제1 적층재(400)를 밀봉하도록 끼워 넣어 적층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는, 제1 적층재(400)를 구성하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와는 두께가 상이한 시트 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상부 에지부(40)는, 개구부(4a)에 면하는 내측 상부 에지 영역(40a)과, 내측 상부 에지 영역(40a)보다도 외측의 외측 상부 에지 영역(40b)을 갖고 있다.
내측 상부 에지 영역(40a)은, 상부 에지부(40)에 있어서 개구부(4a)에 직접 면하는 영역이다. 내측 상부 에지 영역(40a)은, 2매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가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내측 상부 에지 영역(40a)은,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는 전방 구체(3)의 개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기 때문에, 내측 상부 에지 영역(40a)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외측 상부 에지 영역(40b)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상부 에지 영역(40a)과 연속되어 있다. 외측 상부 에지 영역(40b)은, 내측 상부 에지 영역(40a)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외측 상부 에지 영역(40b)에서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 및 제1 적층재(400)가,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 제1 적층재(400),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즉, 외측 상부 에지 영역(40b)에서는, 코어재(300)가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에 이중으로 끼워져 있다. 외측 상부 에지 영역(40b)에서는, 제1 적층재(400)를 끼워 넣고 있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와, 제1 적층재(400) 중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를 합한 두께가, 코어재(300)의 두께보다도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외측 상부 에지 영역(40b)에서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와 코어재(300)와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의 두께의 비가 1:6:1이 되어 있다.
제1 측부 에지부(4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4a)에 대하여 폭 방향(Dw)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폭 방향(Dw)의 일방측이란, 전방측으로부터 전방 구체(3)를 보았을 때의 우측(도 1 및 도 2 지면 우측)이다. 제1 측부 에지부(41)는, 전방 벽부(4)에 있어서 개구부(4a)의 우측에서 상하 방향(Dv)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측부 에지부(41)는 상부 에지부(40)와 연속되어 있으며,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부 에지부(4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로서,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측부 에지부(41)는, 제1 적층재(400)를 갖고 있다.
제1 측부 에지부(41)는, 시트 형상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가 제1 적층재(400)를 밀봉하도록 끼워 넣어 적층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제1 측부 에지부(41)는, 개구부(4a)에 면하는 내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a)과, 내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a)보다도 외측의 외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b)을 갖고 있다.
내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a)은, 제1 측부 에지부(41)에 있어서 개구부(4a)에 직접 면하는 영역이다. 내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a)은, 2매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가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내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a)은, 내측 상부 에지 영역(40a)과 마찬가지로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a)는, 내측 상부 에지 영역(40a)과 연속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는 전방 구체(3)의 개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기 때문에, 내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a)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외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b)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a)과 연속되어 있다. 외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b)은, 내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a)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외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b)에서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 및 제1 적층재(400)가,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 제1 적층재(400),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즉, 외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b)에서는, 외측 상부 에지 영역(40b)과 마찬가지로, 코어재(300)가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에 이중으로 끼워져 있다. 외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b)은, 외측 상부 에지 영역(40b)과 연속되어 있다. 외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b)에서는, 제1 적층재(400)를 끼워 넣고 있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와, 제1 적층재(400) 중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를 합한 두께가, 코어재(300)의 두께보다도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외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b)에서는, 코어재(300)의 두께가 외측 상부 에지 영역(40b)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외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b)에서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와 코어재(300)와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의 두께의 비가 1:8:1이 되어 있다.
제2 측부 에지부(4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4a)에 대하여 폭 방향(Dw)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폭 방향(Dw)의 타방측이란, 전방측으로부터 전방 구체(3)를 보았을 때의 좌측(도 1 및 도 2 지면 좌측)이다. 제2 측부 에지부(42)는, 전방 벽부(4)에 있어서 개구부(4a)의 좌측에서 상하 방향(Dv)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측부 에지부(42)는 상부 에지부(40)와 연속되어 있으며,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측부 에지부(42)는, 개구부(4a)에 대하여 제1 측부 에지부(41)와 거의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제2 측부 에지부(42)는, 제1 측부 에지부(41)와 대칭인 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2 측부 에지부(42)는, 제1 측부 에지부(41)와 마찬가지로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로서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측부 에지부(42)는, 제1 적층재(400)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측부 에지부(42)는, 내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a)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내측 제2 측부 에지부 영역과, 외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b)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외측 제2 측부 에지부 영역(42b)을 갖고 있다.
하부 에지부(43)는, 개구부(4a)에 대하여 상하 방향(Dv)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하부 에지부(43)는, 전방 벽부(4)에 있어서 개구부(4a)의 하측에서 폭 방향(Dw)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부 에지부(43)는, 제1 측부 에지부(41)나 제2 측부 에지부(42)와 연속되어 있으며,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에지부(4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표면을 따르는 일방향을 섬유 방향으로 하는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외표면을 따르는 일방향이란, 외표면을 따라 폭 방향(Dw)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의 하부 에지부(43)는,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에 끼워 넣어진 코어재(300)를 갖고 있다. 여기서, 하부 에지부(43)에 있어서의 코어재(300)와, 코어재(300)를 끼우는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재를 합하여 제2 적층재(500)라 부른다. 하부 에지부(43)는,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에 끼워 넣어진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에지부(43)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에 끼워 넣어진 제2 적층재(500)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는, 시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2 적층재(500)는, 2매의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에 코어재(300)를 끼워 넣음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적층재(500)의 코어재(300)는, 제1 적층재(400)의 코어재(300)와 동일한 재료이다. 제2 적층재(500)는, 동일한 폭의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 및 코어재(300)에 의해 폭 방향(Dw)으로 연장되는 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2 적층재(500)의 코어재(300)와 제1 적층재(400)의 코어재(300)는, 동일한 재료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이한 재료여도 된다.
하부 에지부(43)는, 시트 형상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가 제2 적층재(500)를 밀봉하도록 끼워 넣어 적층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하부 에지부(43)는, 개구부(4a)에 면하는 내측 하부 에지 영역(43a)과, 내측 하부 에지 영역(43a)보다도 외측의 외측 하부 에지 영역(43b)을 갖고 있다.
내측 하부 에지 영역(43a)은, 하부 에지부(43)에 있어서 개구부(4a)에 직접 면하는 영역이다. 내측 하부 에지 영역(43a)은, 내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a)이나 내측 제2 측부 에지부 영역과 연속되어 있다. 내측 하부 에지 영역(43a)에서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 및 제2 적층재(500)가,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 제2 적층재(500),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즉, 내측 하부 에지 영역(43a)에서는, 코어재(300)가 2매의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와 2매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에 끼워져 있다. 내측 하부 에지 영역(43a)에서는, 제2 적층재(500)를 끼워 넣고 있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와, 제2 적층재(500) 중의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를 합한 두께가, 코어재(300)의 두께보다도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내측 하부 에지 영역(43a)에서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와,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와, 코어재(300)와,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와,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의 두께의 비가 1:8:20:8:1이 되어 있다.
외측 하부 에지 영역(43b)은, 내측 하부 에지 영역(43a)과 연속되어 있다. 외측 하부 에지 영역(43b)은, 내측 하부 에지 영역(43a)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외측 하부 에지 영역(43b)은, 2매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가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외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b)은, 내측 상부 에지 영역(40a)과 마찬가지로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b)은, 외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b)이나 외측 제2 측부 에지부 영역(42b)과 연속되어 있다.
또한, 전방 벽부(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하 패널부(44)를 갖고 있다. 창하 패널부(44)는, 개구부(4a)에 대하여 상하 방향(Dv)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창하 패널부(44)는, 하부 에지부(43)보다도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창하 패널부(44)는, 하부 에지부(4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창하 패널부(44)는, 폭 방향(Dw)의 양측이 각각 제1 측부 에지부(41)나 제2 측부 에지부(4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창하 패널부(44)는, 스프레이 업 성형 혹은 핸드 레이업 성형에 의해 수지 재료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창하 패널부(44)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로 하부 에지부(43)나 제1 측부 에지부(41)나 제2 측부 에지부(42)와 일체 성형되어도 된다. 창하 패널부(44)는, 별도의 부재로서 성형되어 하부 에지부(43)나 제1 측부 에지부(41)나 제2 측부 에지부(42)에 대하여 접합이나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천장 벽부(5)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의 상하 방향(Dv)의 상측을 향하는 외표면인 천장면(5a)을 형성하고 있다. 천장 벽부(5)는, 전방 벽부(4)와 연속되어 있다. 천장면(5a)은, 폭 방향(Dw) 및 전후 방향(Da)으로 넓어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천장 벽부(5)는, 전방 구체(3)를 상하 방향(Dv)의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보이는 영역이다. 천장 벽부(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방향(Dw)의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에 끼워 넣어진 코어재(300)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천장 벽부(5)는, 폭 방향(Dw)의 중앙 부분이면서 전후 방향(Da)의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인 천장 영역(51)에 코어재(300)가 배치되어 있다. 천장 영역(5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형상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가 코어재(300)를 밀봉하도록 끼워 넣어 적층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천장 영역(51)에서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 및 코어재(300)가,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 코어재(300),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천장 영역(51)에서는, 코어재(300)를 끼워 넣고 있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의 두께가, 코어재(300)의 두께보다도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천장 영역(51)에서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와 코어재(300)와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의 두께의 비가 1:8:1이 되어 있다.
측벽부(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의 폭 방향(Dw)의 외측을 향하는 외표면인 측면을 구성하고 있다. 측벽부(6)는, 폭 방향(Dw)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측벽부(6)는, 전방 구체(3)를 폭 방향(Dw)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보이는 영역이다. 측벽부(6)는, 전방 벽부(4) 및 천장 벽부(5)와 연속되어 있다. 측벽부(6)는, 상하 방향(Dv) 및 전후 방향(Da)으로 넓어지고 있다. 측벽부(6)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매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가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측벽부(6)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벽부(4)와 천장 벽부(5)가 접속되는 부분이나, 전방 벽부(4)와 측벽부(6)가 접속되는 부분과 같이 상이한 방향을 향하는 영역끼리를 연결하는 접속 부분에서는, 만곡된 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만곡되는 부분은, 코어재(300)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전방 벽부(4)와 천장 벽부(5)가 접속되는 부분인 천장측 천이 영역(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상부 에지 영역(40b)과 천장 영역(51)을 연결하는 영역이다. 천장측 천이 영역(7)은, 코어재(300)를 갖는 외측 상부 에지 영역(40b)과 천장 영역(51)에 끼워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천장측 천이 영역(7)은, 외측을 향해 볼록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되어 있다. 천장측 천이 영역(7)은, 2매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가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천장측 천이 영역(7)은,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벽부(4)와 측벽부(6)가 접속되는 부분인 측벽측 천이 영역(8)은,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재(300)를 갖는 외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b)이나 외측 제2 측부 에지부 영역(42b)과 각각 연속되어 있다. 측벽측 천이 영역(8)은, 천장측 천이 영역(7)과 연속되어 있다. 측벽측 천이 영역(8)은, 2매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가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측벽측 천이 영역(8)은,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전방 구체(3)에 의하면, 상부 에지부(40), 제1 측부 에지부(41) 및 제2 측부 에지부(42)가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측부 에지부(41), 제2 측부 에지부(42) 및 상부 에지부(40)에 있어서의 외표면을 따르는 방향인 폭 방향(Dw) 및 상하 방향(Dv)의 부하에 대한 비강도가 높은 상태로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하 방향(Dv) 및 폭 방향(Dw)의 부하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킨 프레임 구조로 하여,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를 사용한 전방 벽부(4)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폭 방향(Dw)으로 부는 횡풍에 의해 전방측으로부터 본 전방 구체(3)가 직사각형으로부터 평행사변형으로 변형되어버리는 전단 응력에 대한 강성을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에 의해 전방 벽부(4)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천장 영역(51)이 제1 적층재(400)를 가짐으로써, 코어재(300)에 의해 상하 방향(Dv)의 부하에 대한 천장 벽부(5)의 굴곡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방 구체(3)는, 차량(1)이 주행함으로써 전방측으로부터 부는 주행풍에 의해 발생하는 상측 부압에 의해, 천장 벽부(5)가 상측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변형되어버리는 응력을 받는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전방 구체(3)에서는, 이 응력에 대한 굴곡 강성을 코어재(300)에 의해 천장 벽부(5)에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천장 영역(51)과 같이, 천장면이 편평한 경우에는, 상측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변형되어버리는 응력에 대한 굴곡 강성을 코어재(300)에 의해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에지부(40), 제1 측부 에지부(41) 및 제2 측부 에지부(42)와, 천장 벽부(5)에서, 상이한 방향으로의 부하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강성을 높이는 기능을 전방 벽부(4)와 천장 벽부(5)로 각각 분리시켜 전방 구체(3)를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단순히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을 사용하여 전방 구체(3)를 구성한 경우와 같이, 대량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단면 형상을 두껍게 하지 않고 전방 구체(3)에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플라스틱재를 사용하면서, 폭 방향(Dw) 및 상하 방향(Dv)의 복수 방향으로부터의 부하에 대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시트 형상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나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를 적층하여 각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임의의 두께나 곡률로 전방 구체(3)를 성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방 구체(3)를 필요한 형상으로 하면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천장측 천이 영역(7)과 같이 만곡된 면을 형성하는 영역에서는, 만곡된 면에 의한 후프 응력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천장 영역(51)과 같이 코어재(300)를 사용하지 않고,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만으로 상하 방향(Dv)의 부하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재(300)의 사용량을 억제할 수 있으며, 비용을 억제하여 전방 구체(3)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상부 에지 영역(40a), 내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41a) 및 내측 제2 측부 에지부 영역(42a)이 제1 적층재(400)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만인 경우에 비해, 주행풍에 의한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의 부하에 대한 제1 측부 에지부(41), 제2 측부 에지부(42) 및 상부 에지부(40)의 굴곡 강성을 각각 코어재(300)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하부 에지 영역(43a)에는, 폭 방향(Dw)에 대하여 내성이 강한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주행풍에 의한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의 부하에 대한 전방 벽부(4)의 강성을 하부 에지부(43)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하부 에지 영역(43a)에는 제2 적층재(500)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만인 경우에 비해, 주행풍에 의한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의 부하에 대한 하부 에지부(43)의 굴곡 강성을 코어재(300)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하부 에지 영역(43a)에서는 제2 적층재(500)가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에 끼워 넣어져 있다.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를 사용함으로써, 횡풍에 의한 전단 응력에 대한 전방 벽부(4)의 강성을 하부 에지부(43)에서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방 구체(3)를 갖는 차량(1)에 의하면, 강도를 확보하면서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차량(1)으로서의 비용을 억제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및 그들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밖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측벽측 천이 영역(8) 및 천장측 천이 영역(7)이 코어재(300)를 갖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변형예의 측벽측 천이 영역(8) 및 천장측 천이 영역(7)은, 천장 영역(51)이나 상부 에지부(40)와 마찬가지로, 시트 형상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가 코어재(300)를 밀봉하도록 끼워 넣어 적층됨으로써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측벽측 천이 영역(8) 및 천장측 천이 영역(7)에서는, 코어재(300)를 끼워 넣고 있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의 두께가, 코어재(300)의 두께보다도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굴곡 강성이 향상되고, 전방 구체(3)로서의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천장 벽부(5)에서는 천장 영역(51)에만 코어재(300)를 설치했지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천장 벽부(5)는, 폭 방향(Dw)의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코어재(300)를 갖고 있으면 되고, 천장 벽부(5)의 전역이 코어재(300)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측벽부(6)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만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측벽부(6)는, 전역 또는 일부의 영역에 코어재(300)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하부 에지부(43)는,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에 끼워 넣어진 제2 적층재(500)를 갖고 있었지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부 에지부(43)는, 필요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 제2 적층재(500)만을 갖는 구성이어도 되고,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만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하부 에지부(43)를 보다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에지부(43)는,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100)와 같이 플라스틱재를 사용하는 대신에 금속 재료를 갖고 있어도 된다. 하부 에지부(43)만이 금속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와이퍼나 라이트 등의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방 벽부(4) 중, 가장 많이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 개구부(4a)의 하측의 구조를, 플라스틱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에지부(40), 제1 측부 에지부(41) 및 제2 측부 에지부(42)가 코어재(300)를 갖고 있었지만,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지부 중, 측부 에지부 및 상부 에지부 중 적어도 한쪽이 코어재(300)를 갖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상부 에지부(40)만이 코어재(300)를 갖고 있어도 되고, 제1 측부 에지부(41) 및 제2 측부 에지부(42)만이 코어재(300)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로서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를 사용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는, 적어도 외표면을 따라 교차하는 2 방향을 섬유 방향으로 하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이면, 3 방향 이상을 섬유 방향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는, 본 실시 형태의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200)와 같이, 외표면을 따라 직교하는 2 방향을 섬유 방향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는, 외표면을 따라 교차하는 복수 방향을 섬유 방향으로 하고 있으면, 사교(斜交)하는 2 방향이나 3 방향을 섬유 방향으로 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차량(1)은 신교통 시스템용의 궤도계 교통 시스템의 차량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철도용의 차량이어도 된다.
또한, 전방 구체(3)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차량(1)의 전후 방향(Da)의 전방측의 단부만을 구성하는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1)의 전후 방향(Da)의 전방측의 단부를 구성하는 구조이면 된다. 예를 들어, 전방 구체(3)는, 차량(1)의 전후 방향(Da)의 타방측인 후방측의 단부만을 구성하고 있어도 되고, 차량(1)의 전후 방향(Da)의 양측의 단부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개구부(4a)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직사각 형상을 이뤄서 개구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방 벽부(4)에서 개구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개구부(4a)는, 원 형상이나 타원형 형상을 이뤄서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전방 구체 및 차량에 의하면, 플라스틱재를 사용하면서 부하에 대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1: 차량
Da: 전후 방향
Dw: 폭 방향
Dv: 상하 방향
2: 차량 본체
3: 전방 구체
4: 전방 벽부
4a: 개구부
40: 상부 에지부
40a: 내측 상부 에지 영역
40b: 외측 상부 에지 영역
41: 제1 측부 에지부
41a: 내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
41b: 외측 제1 측부 에지부 영역
42: 제2 측부 에지부
42a: 내측 제2 측부 에지부 영역
42b: 외측 제2 측부 에지부 영역
43: 하부 에지부
43a: 내측 하부 에지 영역
43b: 외측 하부 에지 영역
44: 창하 패널부
5: 천장 벽부
51: 천장 영역
6: 측벽부
7: 천장측 천이 영역
8: 측벽측 천이 영역
100: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
200: 2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
300: 코어재
400: 제1 적층재
500: 제2 적층재

Claims (9)

  1. 차량의 전후 방향의 단부를 구성하는 전방 구체이며,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을 향하는 전방면을 형성하며,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을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에지부를 갖는 전방 벽부와,
    상기 전방 벽부와 연속되며,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의 상측을 향하는 천장면을 형성하고 있는 천장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벽부는,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에지부 중,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의 양측의 측부 에지부 및 상기 상하 방향의 상측의 상부 에지부가, 외표면을 따르는 2 방향을 적어도 섬유 방향으로 하는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를 갖고 있는, 전방 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부는,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교차하는 2 방향을 적어도 섬유 방향으로 하는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를 갖고 있는, 전방 구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부와 상기 천장 벽부를 연결하는 접속 부분이 상기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방 구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에지부 및 상기 상부 에지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에 끼워 넣어진 코어재를 갖고 있는, 전방 구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에지부 중, 상기 상하 방향의 하측의 하부 에지부가 상기 폭 방향을 섬유 방향으로 하는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갖고 있는, 전방 구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에지부는, 상기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에 끼워 넣어진 코어재를 갖고 있는, 전방 구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에지부는, 상기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에 끼워 넣어진 상기 1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갖고 있는, 전방 구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벽부는, 상기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상기 다축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에 끼워 넣어진 코어재를 갖고 있는, 전방 구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방 구체와,
    상기 전방 구체와 고정되는 차량 본체를 구비하는, 차량.
KR1020187027590A 2016-03-30 2017-03-15 전방 구체 및 차량 KR102088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69191A JP6616227B2 (ja) 2016-03-30 2016-03-30 前妻構体及び車両
JPJP-P-2016-069191 2016-03-30
PCT/JP2017/010438 WO2017169790A1 (ja) 2016-03-30 2017-03-15 前妻構体及び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613A true KR20180119613A (ko) 2018-11-02
KR102088122B1 KR102088122B1 (ko) 2020-03-11

Family

ID=5996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590A KR102088122B1 (ko) 2016-03-30 2017-03-15 전방 구체 및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24242B2 (ko)
JP (1) JP6616227B2 (ko)
KR (1) KR102088122B1 (ko)
WO (1) WO2017169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6227B2 (ja) 2016-03-30 2019-12-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前妻構体及び車両
JP6853868B2 (ja) * 2019-11-06 2021-03-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前妻構体及び車両
CN114132351B (zh) * 2021-10-22 2022-12-30 中车工业研究院有限公司 轨道交通车辆一体化前端罩体及其制造工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779A (ja) 1985-03-04 1987-01-12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階調フアクシミリ画像信号の符号化方式
JPH0839559A (ja) * 1994-07-29 1996-02-13 Tonen Corp 複合材の製造方法
JPH10273042A (ja) * 1997-03-31 1998-10-13 Kawasaki Heavy Ind Ltd 高速車両の先頭部の耐鳥衝突構造
JP2003305741A (ja) * 2002-04-15 2003-10-28 Mitsubishi Rayon Co Ltd 積層構造体の製造方法
JP2013543802A (ja) * 2010-10-29 2013-12-09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改善された熱老化および中間層結合強度を有する複合材構造
JP2015047887A (ja) * 2013-08-29 2015-03-16 近畿車輌株式会社 鉄道車両の軽量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227Y2 (ko) 1985-09-02 1991-04-08
DE3838686C2 (de) * 1988-11-15 1993-10-21 Man Ghh Schienenverkehr Fahrzeugzelle
US4917435A (en) * 1989-05-23 1990-04-17 Ford Motor Company Truck cab construction
FR2765543B1 (fr) * 1997-07-02 2005-01-07 Alstom Ddf Vehicule ferroviaire comportant au moins un module d'extremite interchangeable
JP2000264199A (ja) 1999-05-14 2000-09-26 Kawasaki Heavy Ind Ltd 鉄道車両用構体
CA2387344C (en) 2000-08-28 2006-11-2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Vehicle body structure
JP3848820B2 (ja) 2000-08-28 2006-11-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JP3625779B2 (ja) 2001-04-03 2005-03-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先頭車両の前頭構体
DE10205965A1 (de) * 2002-02-14 2003-09-04 Daimler Chrysler Ag Konstruktionselement aus faserverstärktem Kunststoff
JP4230759B2 (ja) 2002-12-09 2009-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
KR100971873B1 (ko) * 2008-01-31 2010-07-22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운송차량용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 및 그 제조방법
US20140221550A1 (en) * 2011-07-19 2014-08-07 James T. McEvoy Foam Reinforced Structural Member
US9290212B2 (en) * 2013-05-24 2016-03-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rbon fiber prepreg-wrapped beam structures
CN105764777A (zh) * 2013-09-24 2016-07-13 巴斯夫欧洲公司 用于机动车辆的前车体模块
DE102013021403A1 (de) * 2013-12-18 2015-06-18 Daimler Ag Unterbodenaussteifungs- und Verkleidungsmodul, Herstellverfahren sowie Kraftfahrzeug-Unterboden und Montageverfahren
JP6616227B2 (ja) 2016-03-30 2019-12-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前妻構体及び車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779A (ja) 1985-03-04 1987-01-12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階調フアクシミリ画像信号の符号化方式
JPH0839559A (ja) * 1994-07-29 1996-02-13 Tonen Corp 複合材の製造方法
JPH10273042A (ja) * 1997-03-31 1998-10-13 Kawasaki Heavy Ind Ltd 高速車両の先頭部の耐鳥衝突構造
JP2003305741A (ja) * 2002-04-15 2003-10-28 Mitsubishi Rayon Co Ltd 積層構造体の製造方法
JP2013543802A (ja) * 2010-10-29 2013-12-09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改善された熱老化および中間層結合強度を有する複合材構造
JP2015047887A (ja) * 2013-08-29 2015-03-16 近畿車輌株式会社 鉄道車両の軽量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69790A1 (ja) 2017-10-05
US11124242B2 (en) 2021-09-21
JP2017178072A (ja) 2017-10-05
JP6616227B2 (ja) 2019-12-04
US20200298913A1 (en) 2020-09-24
KR102088122B1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79940B (zh) 乘用车车室用结构体及其制造方法
CN105473424B (zh) 车辆的框架结构
CN105008210B (zh) 车辆的框架构造
ES2871019T3 (es) Caja de carrocería automotriz
CN103158652B (zh) 用于车辆的保险杠梁组件
KR20180119613A (ko) 전방 구체 및 차량
CN106143636B (zh) 车辆的上部车体构造
ES2874700T3 (es) Chasis para un vehículo
KR101787933B1 (ko) 차량 부재들의 접착 구조 및 백 도어의 접착 구조
ES2364109A1 (es) Ensamblaje entre un herraje delantero de trimado y la unión a tracción de los dos cajones laterales del estabilizador horizontal de un avión.
US20160152277A1 (en) Improved lateral upright for motor vehicle body shell
US11364778B2 (en) Impact beam
CN205022683U (zh) 一种汽车纵梁根部与前围板的连接结构
JP6853868B2 (ja) 前妻構体及び車両
JP2012171533A (ja) 自動車用パネル構造体
CN105492304A (zh) 接合构造
JP7156757B2 (ja) 車両用ピラー構造
JP2020506849A (ja) 軌道車両の頭部モジュール
JP5773237B2 (ja) 乗用車車室用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4309903U (zh) 一种汽车b柱内饰板
JP2014226985A (ja) ピラー固定構造
JP5703638B2 (ja) 車両車室用補助構造体
KR20150070519A (ko) 복합재료를 이용한 버스용 차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