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337A - 땅콩 탈피기 - Google Patents

땅콩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337A
KR20180118337A KR1020170051498A KR20170051498A KR20180118337A KR 20180118337 A KR20180118337 A KR 20180118337A KR 1020170051498 A KR1020170051498 A KR 1020170051498A KR 20170051498 A KR20170051498 A KR 20170051498A KR 20180118337 A KR20180118337 A KR 20180118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peanut
drum
molten metal
pean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8061B1 (ko
Inventor
박건우
이새벽
Original Assignee
박건우
이새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우, 이새벽 filed Critical 박건우
Priority to KR102017005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06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8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23N5/01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for peanu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피방식의 개선으로 효율을 향상시키고 땅콩의 크기에 따라서 대처가 가능하면서 분리된 알땅콩의 크기별 선별까지도 연속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땅콩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 호퍼의 아래에 외면에는 '>' 형 요부와 '<'형 돌부가 반복되는 형태의 탈피요철이 연속으로 구성되는 탈피드럼이 구성되고, 탈피드럼의 하부측 절반에 해당하는 외부에는 탈피드럼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삽입하거나 제거시 설치가이드의 원호형 방향으로 밀어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한 탈피망을 구성한 것이 요지이다.

Description

땅콩 탈피기{Peanut peeling machine}
본 발명은 피땅콩을 투입하여 껍질과 알땅콩으로 분리되도록 탈피하는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탈피방식의 개선으로 효율을 향상시키고 땅콩의 크기에 따라서 대처가 가능하면서 분리된 알땅콩의 크기별 선별까지도 연속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땅콩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땅콩은 밭에서 수확한 후 껍질째의 상태로 피땅콩으로 유통하고 소비자에 판매하기도 하지만, 껍질을 깐 알땅콩 상태로 만들어 그대로 유통하거나 종자로 사용하기도 하고 여러 가지 가공식품으로 유통되기도 한다.
이러한 피땅콩의 껍질을 벗기는 작업은 생각보다 간단하지가 않은데, 하나의 껍질 속에는 두 개의 알땅콩이 들어있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수확한 피땅콩을 탈피하여 알땅콩으로 유통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하였고 따라서 알땅콩의 가격이 매우 고가일 수밖에 없는 단점으로 이어진다.
종래 땅콩의 탈피작업은 수작업에서 현재 기계를 이용하는 단계까지 발전하였는데, 종래 자동 탈피방식은 선행기술문헌 1과 같이 회전하는 드럼 외면에 타격 부재를 설치한 후 땅콩에 타격을 가하여 껍질을 분리하는 방법과, 선행기술문헌 2와 같이 2개의 탈피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껍질을 압착하여 탈피하는 방법, 그리고 선행기술문헌 3과 같이 수평으로 회전하는 롤러 아래의 작은 구멍으로 강제로 땅콩을 밀어 넣어 분리하는 방법 등이 있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경우에는 피땅콩을 직접 타격하는 방식이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분리 효율이 높지 못하면서 알땅콩이 깨지는 단점이 있어서 상품성이 떨어지고 종자로 사용할 경우 씨눈이 파손되어 발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활용성이 낮았고, 선행기술문헌 2의 경우는 피땅콩의 크기에 대응하지 못하여 크기가 큰 피땅콩은 알땅콩까지 깨지게 하고 작은 크기의 땅콩은 탈피가 되지 않고 배출되는 경우가 많은 단점이 있었으며, 선행기술문헌 3은 브러시가 관통홀과 이송홀로 땅콩을 밀어넣으면서 땅콩을 탈피하여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매우 낮은 단점을 갖는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8069호(2014.09.05) 특허공보 제10-1993-0004457호(공고 1993.05.27)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2435호(2016.10.24)
상기 종래 탈피장치들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피땅콩의 크기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큰 알땅콩이 깨지는 경우나 작은 땅콩이 탈피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면서 땅콩 탈피의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탈피 후 알땅콩의 선별까지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땅콩 탈피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탈피할 피땅콩을 탈피드럼 쪽으로 공급하고 일측으로 개방되어 탈피드럼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호퍼를 구성하고, 외면에는 '>' 형 요부와 '<'형 돌부가 반복되는 형태의 탈피요철이 연속으로 구성되는 탈피드럼을 구성하며, 탈피드럼의 하부 측 절반에 해당하는 외부에는 탈피드럼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삽입하거나 제거시 설치가이드의 원호형 방향으로 밀어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한 탈피망을 구성하여 크기가 다른 탈피망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탈피망의 아래에는 송풍기가 설치되고 알땅콩의 크기별로 선별되도록 하는 선별트레이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탈피드럼이 피땅콩을 잡아서 회전하면서 피땅콩의 여러 부분을 탈피망체와 마찰시키면서 껍질을 파손되게 하는 것으로, 탈피드럼의 반 바퀴 정도 회전으로 대부분이 탈피되고 탈피가 덜된 땅콩은 다시 반 바퀴를 돌아 다시 탈피망과 마찰되므로 탈피효율이 매우 높게 된다.
또한, 탈피망은 손쉽게 분리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땅콩의 크기에 따라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피땅콩의 크기에 관계없이 매우 높은 탈피 효율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별트레이의 독창적인 구조로 인하여 탈피드럼과 탈피망에서 부서진 껍질에 일부 알땅콩이 분리가 덜되어 분리되더라도 송풍과 마찰판 및 경사망체의 작용으로 인하여 효과적으로 알땅콩을 껍질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아울러 선별트레이에 의해 알땅콩이 크기별로 신속하게 분리되므로 상품성이 높고 별도의 분류작업 없이 편리하게 다음의 유통과정으로 이송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탈피 작용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호퍼 작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탈피드럼과 탈피망에 대한 요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선별트레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선별트레이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탈피기는 모터(9)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탈피드럼(10)이 중앙에 구비되는데, 탈피드럼(10)의 외면에는 '>' 형 요부와 '<'형 돌부가 반복되는 형태의 탈피요철(11)이 연속으로 구성된다. 상기 탈피요철(11)은 목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녹을 방지하고 안전성 및 위생상으로 유리하다.
상기 탈피드럼(10)의 상부에는 호퍼(20)가 구비되어 피땅콩이 공급되면 탈피드럼(10)의 탈피요철(11)으로 유입되도록 하였으며, 호퍼(20)는 일측을 경첩(21)으로 설치하여 경첩(21)을 중심으로 젖히면 탈피드럼(10)이 완전히 노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탈피드럼(10)의 하부 측 절반에 해당하는 외부에는 탈피드럼(10)을 감싸는 형태로 된 반원형의 탈피망(30)을 설치하였는데, 탈피망(30)은 탈피드럼(10)의 양측부 하부의 탈피기 본체에 고정된 반원형의 설치가이드(31)에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탈피망(30)을 삽입하거나 제거시 설치가이드(31)의 원호형 방향으로 밀어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탈피망(30)은 망의 간격이 다른 다수 개를 구비한 후 필요시 호퍼(20)를 젖힌 상태에서 피땅콩의 크기에 맞게 필요한 크기의 망 간격을 가진 다른 탈피망(30)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탈피망(30)이 안착된 상태에서 호퍼(20)를 젖혀 닫으면 호퍼(20)의 하단부가 탈피망(30)의 상부를 눌러주면서 고정되게 하였다.
상기 탈피망(30)의 저부 일측에는 모터(9)의 동력을 받아 작동하는 송풍기(40)를 설치하여 탈피망(30)을 통과한 껍질과 알땅콩을 향해 바람을 송풍하는데, 이로 인하여 완전히 분리되지 못한 껍질과 알땅콩을 한번 더 분리하고 껍질을 날려 아래 설치되는 선별트레이(50)의 상부 쪽으로 배출시키도록 하였다.
선별트레이(50)의 상부 일측에는 고무재질이면서 여러 가닥을 늘어뜨린 마찰판(51)을 설치하여 바람에 날리는 껍질과 알땅콩이 한번 더 충돌되도록 함으로써 분리효율을 높이고, 바람을 잘 통과시키도록 하였으며, 선별트레이(50)의 끝에는 삼각형으로 된 경사망체(52)를 설치하여 알땅콩이 굴러 올라가기 힘들게 함으로써 알땅콩이 바람에 날려 껍질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토록 하였다.
상기 탈피드럼(10)과 탈피망(30)의 아래에는 설치되는 선별트레이(50)는 어느 한쪽으로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고, 저부에 편심회전구(53)와 연결된 롯드(54)를 설치한 후 모터(9)와 연결하여 앞뒤방향으로 진동을 가하도록 하였으며, 상면에 제일 큰 알땅콩이 배출되지 않는 크기의 상부망체(55)를 구성하고 그 아래 내부에는 상부망체(55)보다 작은 크기의 하부망체(56)를 상부망체(55)보다 짧게 설치하고 마지막에 바닥판(57)을 구성한 후, 상부망체(55) 끝단에는 대형배출가이드(55')를 구성하여 상부망체(55)를 통과하지 못한 알땅콩이 배출되게 하고, 선별트레이(50) 끝단 일측에는 상부망체(55)를 통과한 후 하부망체(56)를 통과하지 못한 크기의 알땅콩이 배출되는 중형배출가이드(56')를 구성하며, 바닥판(57)의 일측으로는 하부망체(56)를 통과한 알땅콩이 배출되게 하는 소형배출가이드(57')를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사용방법에 따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탈피작업을 하기 전 먼저 피땅콩의 선별과정을 통하여 크기를 대중소로 구분한 후, 한 종류씩 순서대로 탈피작업을 실시하며, 구분된 대중소 중의 한가지 피땅콩에 적절한 탈피망(30)을 장착하는데, 먼저 호퍼(20)를 젖히면 경첩을 기준으로 젖혀지면서 탈피드럼(10)이 노출된다. 이때 탈피망(30)을 원호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당기면 탈피망(30)이 설치가이드(31)로부터 분리되며, 필요한 크기의 탈피망(30)을 선택하여 빼낼 때와 반대방향으로 삽입하여 주면 설치가이드(31)에 장착이 완료된다. 다시 호퍼(20)를 젖히면 호퍼의 하단이 탈피망(30)을 눌러 주면서 고정된다.
호퍼(20)를 통하여 피땅콩을 투입하면 피땅콩은 탈피드럼(10)과 탈피망(30)의 사이로 공급되고, 탈피드럼(10)이 회전함에 의해 피땅콩이 탈피요철(11)과 탈피망(30) 사이에서 깨지게 되고 이러한 동작이 탈피드럼(10)의 회전에 의해 피땅콩을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반복하게 되는 것이며, 결국 피땅콩이 구르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여러 부분에 압착이 가해지므로 껍질이 대부분 완전히 부서진 상태로 분리된 알땅콩과 껍질이 탈피망(30)을 통과하여 아래로 배출되는 것이다.
탈피망(30)의 아래로 배출되는 즉시 측면에 설치된 송풍기(40)에 의해 바람이 공급되는데, 이로 인해 무게가 가벼운 껍질이 바람에 날려 선별트레이(50)의 높은 쪽으로 날려 배출된다. 상기 송풍과정에서 껍질과 비교적 가벼운 알땅콩은 마찰판(51)에 부딪히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작고 가벼운 알땅콩이 송풍기(60)의 바람에 날려 가는 것이 방지되고 마찰판(51)에 부딪힌 후 아래의 선별트레이(50)에 추락하게 된다. 상기 마찰판(51)은 고무 재질이면서 여러 가닥을 늘어뜨린 형태이므로 바람에 밀려났다 돌아오는 흔들림에 의해 송풍기(60) 바람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덜 분리된 껍질과 알땅콩에 충격을 가하여 분리를 촉진할 수 있다.
아울러 선별트레이(50) 끝의 경사망체(52)는 덜 분리된 껍질 속의 알땅콩이 선별트레이(50) 보다 더욱 경사진 경사망체(52)를 굴러가면서 한번 더 충격과 마찰을 통해 분리를 돕고, 분리된 작은 알땅콩이 바람에 의해 굴러 껍질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막는다.
그리고 선별트레이(50)는 저면에는 편심회전구(53)에 의전 전후진 하는 롯드(54)를 연결하여 구성되었는데, 이로 인하여 연결된 선별트레이 전체가 전후진 진동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전후진 진동에 의해 껍질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알땅콩이 잘 분리되고, 알땅콩이 상부망체(55) 및 하부망체(56)를 통하여 잘 분리되게 한다.
선별트레이(50)에서 크기가 제일 큰 알땅콩은 상부망체(55)를 통과하면 아래의 대형배출가이드(55')를 통해 배출되고, 상부망체(55)를 통과한 후 하부망체(56)를 통과하지 못한 알땅콩은 선별트레이(50) 끝단부 측면에 마련된 중형배출가이드(56')를 통하여 측면으로 배출되며, 하부망체(56)를 통과한 알땅콩은 바닥판(57) 끝단에 마련된 소형배출가이드(57') 통해 중형배출가이드(56')의 반대 측방향으로 배출된다.
10: 탈피드럼
11: 탈피요철
20: 호퍼
21: 경첩
30: 탈피망
31: 설치가이드
40: 송풍기
50: 선별트레이
51: 마찰판
52: 경사망체
53: 편심회전구
54: 롯드
55: 상부망체
55': 대형배출가이드
56: 하부망체
56': 중형배출가이드
57: 바닥판
57': 소형배출가이드

Claims (2)

  1. 탈피할 피땅콩을 탈피드럼 쪽으로 공급하고 일측으로 개방되어 탈피드럼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호퍼;
    외면에는 '>' 형 요부와 '<'형 돌부가 반복되는 형태의 탈피요철(11)이 연속으로 구성되는 탈피드럼;
    상기 탈피드럼(10)의 하부측 절반에 해당하는 외부에는 탈피드럼(10)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탈피드럼(10)의 양측부 하부의 탈피기 본체에 고정된 반원형의 설치가이드(31)에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탈피망(30)을 삽입하거나 제거시 설치가이드(31)의 원호형 방향으로 밀어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한 탈피망;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땅콩 탈피기.
  2. 제1항에 있어서,
    탈피망(30)은 망의 간격이 다른 다수 개를 구비한 후 필요시 호퍼(20)를 젖힌 상태에서 피땅콩의 크기에 맞게 필요한 크기의 망 간격을 가진 다른 탈피망(30)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땅콩 탈피기.
KR1020170051498A 2017-04-21 2017-04-21 땅콩 탈피기 KR101938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498A KR101938061B1 (ko) 2017-04-21 2017-04-21 땅콩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498A KR101938061B1 (ko) 2017-04-21 2017-04-21 땅콩 탈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337A true KR20180118337A (ko) 2018-10-31
KR101938061B1 KR101938061B1 (ko) 2019-01-14

Family

ID=6409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498A KR101938061B1 (ko) 2017-04-21 2017-04-21 땅콩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06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3505A (zh) * 2018-12-05 2019-03-01 山东省农业科学院农业质量标准与检测技术研究所 一种花生去壳装置
CN109717488A (zh) * 2019-02-16 2019-05-07 万威 一种多级筛选花生破壳装置
CN111387519A (zh) * 2020-04-29 2020-07-10 滁州学院 一种花生剥壳机
CN113040399A (zh) * 2021-03-08 2021-06-29 河南省农业科学院长垣分院 一种花生剥壳清选一体机
CN113575981A (zh) * 2021-07-30 2021-11-02 西南大学 一种夹板挤压式花生剥壳机
CN113575903A (zh) * 2021-07-06 2021-11-02 济南芝麻开花食品有限公司 一种花生酱生产工艺
CN113974177A (zh) * 2021-10-28 2022-01-28 庐山市环绿时代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高效自动剥壳机
CN114916686A (zh) * 2022-05-20 2022-08-19 张琪 一种食品烘焙炉
CN115177005A (zh) * 2022-08-02 2022-10-14 威海盛泰园食品有限公司 一种花生脱红衣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4321A (zh) * 2019-10-28 2019-12-24 南京林业大学 一种花生剥壳设备
KR102375900B1 (ko) 2020-02-13 2022-03-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탈곡기
CN111480858A (zh) * 2020-05-26 2020-08-04 济宁市农业科学研究院 花生去壳装置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230060858A (ko)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반석산업 땅콩선별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3505A (zh) * 2018-12-05 2019-03-01 山东省农业科学院农业质量标准与检测技术研究所 一种花生去壳装置
CN109393505B (zh) * 2018-12-05 2021-08-03 山东省农业科学院农业质量标准与检测技术研究所 一种花生去壳装置
CN109717488A (zh) * 2019-02-16 2019-05-07 万威 一种多级筛选花生破壳装置
CN111387519A (zh) * 2020-04-29 2020-07-10 滁州学院 一种花生剥壳机
CN111387519B (zh) * 2020-04-29 2021-03-16 滁州学院 一种花生剥壳机
CN113040399A (zh) * 2021-03-08 2021-06-29 河南省农业科学院长垣分院 一种花生剥壳清选一体机
CN113575903A (zh) * 2021-07-06 2021-11-02 济南芝麻开花食品有限公司 一种花生酱生产工艺
CN113575903B (zh) * 2021-07-06 2024-05-14 济南芝麻开花食品有限公司 一种花生酱生产工艺
CN113575981A (zh) * 2021-07-30 2021-11-02 西南大学 一种夹板挤压式花生剥壳机
CN113974177A (zh) * 2021-10-28 2022-01-28 庐山市环绿时代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高效自动剥壳机
CN114916686A (zh) * 2022-05-20 2022-08-19 张琪 一种食品烘焙炉
CN115177005A (zh) * 2022-08-02 2022-10-14 威海盛泰园食品有限公司 一种花生脱红衣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061B1 (ko) 201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061B1 (ko) 땅콩 탈피기
KR102051491B1 (ko) 잡곡 탈곡기
CA2706120C (en) Self-contained shredder assembly for reducing and sizing material
CN105533767A (zh) 坚果脱壳机及分选系统
KR20170045036A (ko) 밤송이 탈피기
US20020166464A1 (en) Nut cracking apparatus
CN103039191B (zh) 秸秆皮瓤分离的分离装置及分离方法
CN109874510A (zh) 一种莲蓬脱粒机
US6941859B2 (en) Nut hulling tub agitating fingers
CN111387519B (zh) 一种花生剥壳机
CN204350683U (zh) 一种玉米脱粒机
CN204306012U (zh) 一种豆类种子脱壳装置
CN201231228Y (zh) 酒渣中植物籽粒和果皮的分离设备
KR200486942Y1 (ko) 밤송이 탈피기
RU23162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из шишек кедровых орехов, их очистки и сортировки
CN211631681U (zh) 一种脱皮机
KR200344538Y1 (ko) 콩 정선이 가능한 콩 탈곡기
CN206229631U (zh) 一种具有烘干功能的辣椒精选装置
CN109393505B (zh) 一种花生去壳装置
RU212233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из шишек кедровых орехов, их очистки и сортировки
KR20180042618A (ko) 밤 껍질 박피 장치
CN205378815U (zh) 一种芡实剥壳机
CN205848624U (zh) 一种杨梅浆核分离装置
CN104432437A (zh) 一种豆类种子脱壳装置及其应用
KR101240073B1 (ko) 트로멜 및 이 트로멜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