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491B1 - 잡곡 탈곡기 - Google Patents

잡곡 탈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491B1
KR102051491B1 KR1020190032346A KR20190032346A KR102051491B1 KR 102051491 B1 KR102051491 B1 KR 102051491B1 KR 1020190032346 A KR1020190032346 A KR 1020190032346A KR 20190032346 A KR20190032346 A KR 20190032346A KR 102051491 B1 KR102051491 B1 KR 102051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drum
grain
net
c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옥자
김상완
Original Assignee
강옥자
김상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옥자, 김상완 filed Critical 강옥자
Priority to KR1020190032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30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 A01F12/32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with shaker screens or sieves
    • A01F12/34Sieve elements; Linings for shakers
    • A01F12/36Sieve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hort stra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182Stripper beaters after the threshing dr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깨나 들깨와 같은 입자가 작고 탈립이 어려운 잡곡류용 탈곡 처리에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한 잡곡 탈곡기에 관한 것으로서, 작물투입부와, 상기 작물투입부의 전방(前方)에 위치하고 동력 전달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작물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작물을 타격하여 1차 탈곡 처리하도록 다수의 타격돌기를 외주면에 갖는 제1탈곡드럼과, 상기 제1탈곡드럼의 하측에 설치되고 제1탈곡드럼을 통해 1차 탈곡되는 탈립(脫粒)을 하측에 위치된 흔들체로 배출시키는 제1탈곡망을 포함하는 잡곡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제1탈곡드럼의 전방에 위치하고 동력 전달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 방사상 배치구조를 갖되 일정간격으로 돌출 배치된 탈곡날개부를 갖는 제2탈곡드럼; 상기 제2탈곡드럼의 하측에 설치하되 회전하는 제2탈곡드럼과의 사이에서 제2탈곡드럼과 함께 작물을 타격함으로써 2차로 탈곡 처리하여 잔여물을 탈립(脫粒)하는 제2탈곡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곡부에 대한 구조 개선을 통해 입자가 작고 탈립(脫粒)이 어려운 참깨나 들깨와 같은 잡곡류의 탈립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탈곡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1차 및 2차 탈곡 구조를 갖도록 하되 제2탈곡드럼과 그 하방에 위치된 제2탈곡망에 대해서 잡곡류의 형상과 크기 또는 상태에 따라 상호간 배치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참깨나 들깨 등 잡곡의 종류와 상태에 따른 다양한 탈곡시 환경 또는 조건에 대응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탈곡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우수한 탈곡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등 최적의 탈곡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잡곡 탈곡기{THRESHER FOR MISCELLANEOUS CEREAL}
본 발명은 참깨나 들깨 작물과 같은 잡곡류용 탈곡 처리를 위한 탈곡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 개선을 통해 입자가 작고 탈립(脫粒)이 어려운 참깨나 들깨와 같은 잡곡류의 탈립율을 증대시켜서 탈곡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탈곡드럼과 그 하방에 위치된 탈곡망에 대해 잡곡류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이들의 설치상태를 조정함에 의해 최적의 탈곡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잡곡 탈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생산되는 여러 종류의 잡곡 중에 참깨나 들깨와 같이 수요가 많은 잡곡류는 아직도 농기계화가 덜 되어 있는 실정에 있다. 그 중에서 참깨나 들깨는 입자가 작은 것으로서 탈곡 작업이 힘들고 어려운 지경에 있다.
상기 참깨나 들깨와 같은 작물은 줄기의 키가 크고 알맹이 입자는 작은 작물에 속한다. 이러한 참깨나 들깨의 잡곡류는 통상 베어서 약 1주일 정도를 건조한 후에 줄기까지 통째로 탈곡기에 투입하여 알맹이 입자를 얻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건조과정 중에 자연적으로 탈립(脫粒)이 되는 경우가 많아 농민들이 취급하기에 아주 어려움을 겪는 작물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참깨나 들깨와 같은 작물은 자연 탈립이 발생하기 전에 탈곡기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인 탈곡을 하여야 하는데, 상기의 경우 건조가 덜 된 줄기의 영향으로 인해 탈립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이로 인해 허실이 발생되는 양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전방과 후방에 간격 배치한 이중 탈곡통을 갖는 구조의 탈곡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줄기를 투입하게 되면 전방 탈곡통에서 1차 탈곡한 후 후방 탈곡통에서 덜 탈곡된 줄기를 다시 2차 탈곡하는 형태로 2차에 걸친 탈곡 처리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여러 잡곡류 중에서 참깨와 들깨의 종자에 따른 특성이 다를 뿐만 아니라 참깨만 하더라도 여러 가지 다수의 품종이 있는데, 이러한 종자의 특성 또는 품종의 차이에 따른 대응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참깨나 들깨와 같은 작물의 탈곡에는 적합하지 못한 구조적인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참깨나 들깨를 탈곡 처리시 건조상태에 따라 탈립율에 차이를 갖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도 대응이 쉽지 않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탈곡기에서는 입자가 장치의 부품에 끼는 등의 단점으로 인해 탈곡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탈곡시 건조상태 등 다양한 탈곡 환경에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에는 전후방에 제1탈곡통과 제2탈곡통을 간격 배치함으로써 2차에 걸친 탈곡 처리를 순차 수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단순 회전방식을 이용한 2차 탈곡 처리를 수행하므로 참깨나 들깨 측 낟알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덜 탈곡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 탈곡성능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기술에 있어 탈곡기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았을 때,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1449498호에서는 "본체의 급통내입부 옆판 내부 양측면으로 대향되게 탈곡망체가 내입되는 반원형 안내레일을 각각 스포트 용접하고 전면 투입구 내측은 장요입부와 후면 검불배출구 내측의 절곡프레임에는 등 간격으로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의 반원형 안내레일과 장요입부로는 다수의 통공이 뚫린 탈곡망체를 밀어 넣어 내입하고 후면 절곡부에 형성된 볼트공을 대응위치에 고정된 볼트에 끼워 너트로 고정하고 조, 수수, 기장, 콩 등의 곡립(穀粒)에 맞는 통공이 뚫린 탈곡망체를 선택적으로 착탈 교환되게 형성하고 하측에 장착된 송풍기 양측은 개폐문을 안내대에 끼워 탈곡하려는 잡곡의 중량에 따라 송풍량을 조절되게 함으로써 농가의 일손을 절감하면서 능률적으로 탈곡할 수 있는 다용도의 잡곡 탈곡기"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73787호에서는 "일측 투입구, 타측은 검불배출구, 저부는 걸름망이 형성된 탈곡실 내부 중앙에 전동 탈곡드럼이 설치되고, 상기 탈곡드럼 상부에는 회전방향으로 다수의 유도대를 덮개 내부면에 부착한 통상적인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검불 배출구 측 마지막 유도대의 후단부를 절개하여 별도의 회동유도대로 체결 구성하되, 상기 회동유도대는 덮개 상면에 유도대 측으로 선단 힌지공과, 상기 힌지공을 중심으로 후단 회동홈을 형성하여 체결함으로써 탈곡시간을 단축 및 탈곡효율을 향상시키는 곡물용 탈곡기"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88141호에서는 "농작물이 투입되어 탈곡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일정 궤도로 회전 구동되면서 농작물을 본체 내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벨트; 본체에 연결되는 그 일단부를 축으로 회전되면서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농작물을 타작하여 탈곡시키는 탈곡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탈곡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바; 컨베이어벨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탈곡된 곡물을 하부로 배출시키고 불순물은 걸러내는 다공선별판; 및 본체에 구비되어 농작물에서 탈곡된 곡물을 본체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스크류;를 포함하는 탈곡장치"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94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37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8141호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들을 개선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탈곡부 측 구조 개선을 통해 입자가 작고 탈립(脫粒)이 어려운 참깨나 들깨와 같은 잡곡류의 탈립율을 증대시켜서 탈곡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탈곡드럼과 그 하방에 위치된 탈곡망에 대해 잡곡류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이들의 설치상태를 조정함에 의해 최적의 탈곡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잡곡 탈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참깨나 들깨 등의 잡곡류를 탈곡 처리시 참깨나 들깨 측 낟알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덜 탈곡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탈곡된 입자가 장치의 부품에 끼어 탈곡 성능을 감소시키는 문제점 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잡곡 탈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참깨나 들깨 등 잡곡의 종류와 상태에 따른 다양한 탈곡시 환경 또는 조건에 대응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탈곡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더욱 우수한 탈곡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잡곡 탈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잡곡 탈곡기는, 참깨나 들깨의 작물을 비롯한 잡곡류의 탈곡 처리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물투입부와, 상기 작물투입부의 전방(前方)에 위치하고 동력 전달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작물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작물을 타격하여 1차 탈곡 처리하도록 다수의 타격돌기를 외주면에 갖는 제1탈곡드럼과, 상기 제1탈곡드럼의 하측에 설치되고 제1탈곡드럼을 통해 1차 탈곡되는 탈립(脫粒)을 하측에 위치된 흔들체로 배출시키는 제1탈곡망을 포함하는 잡곡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제1탈곡드럼의 전방에 위치하고 동력 전달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 방사상 배치구조를 갖되 일정간격으로 돌출 배치된 탈곡날개부를 갖는 제2탈곡드럼; 상기 제2탈곡드럼의 하측에 설치하되 회전하는 제2탈곡드럼과의 사이에서 제2탈곡드럼과 함께 작물을 타격함으로써 2차로 탈곡 처리하여 잔여물을 탈립(脫粒)하는 제2탈곡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탈곡드럼은, 다각면체로 형성되는 다각형 드럼; 상기 다각드럼의 각 꼭지점 부분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 배치되는 다수의 탈곡날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다각형 드럼과 탈곡날개부의 상호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슬롯공을 형성하고 볼트 체결을 통해 상호간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되, 각 탈곡날개부의 교체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슬롯공에서의 체결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각 탈곡날개부 측 돌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다각형 드럼은 삼각, 사각, 육각, 팔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각 탈곡날개부는 다각형 드럼의 길이에 대응하는 플레이트몸체이되, 폭방향의 외측 끝단부에 대해 절곡 처리를 통해 절곡단부를 형성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탈곡망은, 프레임을 갖되 그 내부에 형성되는 탈곡날부; 상기 탈곡날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고정 배치되는 것으로서, 탈곡날부의 일측 반쪽 부분에만 배치되어 다수의 타공을 형성하는 반타공망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탈곡망에 대해 제2탈곡드럼 측과의 사이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작물의 건조상태에 따라 배치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탈곡망의 일측단을 힌지 결합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하고 타측단에 지지대를 결합하되, 상기 지지대의 양측단부 상측에 위치 및 지지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에 높낮이조절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제2탈곡망과 제2탈곡드럼 사이의 배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높낮이조절볼트의 하단부는 지지대에 삽입 고정하도록 원형고리부를 일체 구비하고 상단부는 너트 체결을 통해 고정프레임에 고정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곡부에 대한 구조 개선을 통해 입자가 작고 탈립(脫粒)이 어려운 참깨나 들깨와 같은 잡곡류의 탈립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탈곡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1차 및 2차 탈곡 구조를 갖도록 하되 제2탈곡드럼과 그 하방에 위치된 제2탈곡망에 대해서 잡곡류의 형상과 크기 또는 상태에 따라 상호간 배치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참깨나 들깨 등 잡곡의 종류와 상태에 따른 다양한 탈곡시 환경 또는 조건에 대응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탈곡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우수한 탈곡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등 최적의 탈곡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참깨나 들깨 등의 잡곡류를 탈곡 처리시 참깨나 들깨 측 낟알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덜 탈곡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탈곡된 입자가 장치의 부품에 끼어 탈곡 성능을 감소시키는 문제점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잡곡 탈곡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곡 탈곡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곡 탈곡기로서, 도 1과 다른 각도에서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곡 탈곡기 측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곡 탈곡기에 있어 탈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곡 탈곡기에 있어 탈곡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곡 탈곡기에 있어 탈곡드럼과 탈곡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곡 탈곡기에 있어 길이조절날개를 갖는 탈곡드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곡 탈곡기에 있어 탈곡드럼의 하측에 위치되는 탈곡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로서, (a)는 상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하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곡 탈곡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곡 탈곡기(100)는 입자가 작고 탈립(脫粒)이 어려운 참깨나 들깨와 같은 잡곡류의 탈립율을 증대시켜서 탈곡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알맹이를 갖는 줄기를 함께 투입하는 형태인 참깨나 들깨의 탈곡에 더욱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잡곡 탈곡기(1)는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물투입부(100), 제1탈곡부(200), 제2탈곡부(300), 배출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물투입부(100)는 참깨나 들깨의 알맹이를 갖는 줄기를 탈곡기(1)의 장치 내부로 투입하는 구성으로서, 작물투입구를 형성하여 작물의 투입을 가이드하는 구조체로 구비한다.
상기 제1탈곡부(200)는 상기 작물투입부(100)의 전방(前方)에 위치하고 동력 전달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작물투입부(100)를 통해 투입되는 작물을 타격함으로써 1차 탈곡 처리하도록 다수의 타격돌기(211)를 외주면에 갖는 제1탈곡드럼(210)과, 상기 제1탈곡드럼(210)의 하측에 설치되고 제1탈곡드럼(210)을 통해 1차 탈곡되는 작물 측 탈립(脫粒)을 하측에 위치된 배출부(400) 측 흔들체(410)로 배출시키는 제1탈곡망(2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탈곡망(220)에는 하나 이상의 타격날(230)을 돌출 구비하여 회전되는 제1탈곡드럼(210)과 함께 제1탈곡부(100)로 투입된 작물을 타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탈곡부(300)는 상기 제1탈곡부(200)의 전방에 위치하여 1차 탈곡 처리된 작물에 대해 연속적으로 2차 탈곡 처리함으로써 1차 탈곡 후 작물에 남겨진 알맹이(잔여물)를 탈립(脫粒)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탈곡부(300)는 상기 제1탈곡드럼(210)의 전방에 위치하고 동력 전달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 방사상 배치구조를 갖되 일정간격으로 돌출 배치된 탈곡날개부(320)를 갖는 제2탈곡드럼(310)과, 상기 제2탈곡드럼(310)의 하측에 설치하되 회전하는 제2탈곡드럼과의 사이에서 제2탈곡드럼과 함께 작물을 타격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구비되며 2차 탈곡 처리를 통해 남은 잔여물을 탈립(脫粒)하기 위한 제2탈곡망(330)을 포함한다.
상기 제2탈곡드럼(310)은 다각면체로 형성되는 다각형 드럼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탈곡날개부(320)는 다각형 몸체인 제2탈곡드럼의 각 꼭지점 부분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 배치되고 다각형 드럼 측 구조에 대응하는 개수로 다수가 구비된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2탈곡드럼(310)을 형성하는 다각형 드럼은 삼각, 사각, 육각, 팔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각 탈곡날개부(320)는 다각형 드럼의 길이에 대응하는 플레이트몸체이되, 작물 측 이송효율 및 타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폭방향의 외측 끝단부에 대해 절곡 처리를 통해 절곡단부(321)를 형성하는 구성을 갖게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다각형 드럼의 제2탈곡드럼(310)과 이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탈곡날개부(320)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슬롯공(301)을 형성하고 볼트 등의 체결구를 체결하도록 하는 구성을 통해 탈곡날개부를 다각형 드럼 측에 결합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다각형 드럼과 탈곡날개부(320)는 상호간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하되, 각 탈곡날개부(320)의 교체 사용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부연하여, 상기 각 탈곡날개부(320)에 대해 슬롯공(301)에서의 체결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각 탈곡날개부(320) 측 돌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2탈곡드럼(310)이 갖는 탈곡날개부(320)의 끝단과 상기 제2탈곡망(330) 측과의 배치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참깨나 들깨 등 잡곡의 종류와 상태에 따른 다양한 탈곡시 환경 또는 조건에 대응하여 장치를 조절해가면서 사용할 수 있으며, 탈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배출 처리능력을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2탈곡드럼(310)에 대해 육각형 드럼으로 구성하고 6개의 탈곡날개부(320)를 구비하는 구성이 매우 우수한 탈곡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할 수 있는데, 6개의 탈곡날개부(320)로 구성하는 경우 작물 측 알맹이에 대한 탈곡 처리시 손상을 덜 입히면서 원활하게 탈곡 처리할 수 있는 탈곡 회전수, 즉 아주 유용한 타격력을 제공 및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탈곡부(200) 측 제1탈곡드럼(210)으로부터 이송되는 작물을 원활하게 이송 처리하면서 탈고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탈곡망(330)은 외곽 틀 구조인 프레임을 갖되 그 내부에 작물의 타격에 의한 탈곡 처리기능을 제2탈곡드럼(310) 측과 함께 수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탈곡날을 간격 형성시킨 탈곡날부(331)와, 상기 탈곡날부(331)의 하측에 위치하여 고정 배치되는 것으로서 탈곡날부(331)의 일측 반쪽 부분에만 배치되어 다수의 타공을 형성하는 반타공망부(33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타공망부(332)는 상기 제1탈곡부(200) 측 제1탈곡드럼(210)에 근접한 부분으로 반쪽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반타공망부(332)를 통해서는 제2탈곡부(300)를 통해 2차 탈곡 처리시 작물의 줄기나 꼬투리 등의 이물질이 제1탈곡부(200)로부터 이송되어 넘어오면서 탈곡되는 중에 하측 방향으로 잘 빠지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해 탈곡날부(331)의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탈곡 효율을 방해하는 현상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탈곡망(330)에 대해서는 탈곡날개부(320)를 갖는 제2탈곡드럼(310) 측과의 사이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작물의 건조상태 등 환경 또는 조건에 따라 상호 배치간격의 조절을 통해 그 간격을 선택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탈곡망(330)의 일측단을 힌지(510) 결합하여 제2탈곡망에 대해 피벗 구성에 의한 상하 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하고 타측단에는 지지대(520)를 결합하되, 상기 지지대(520)의 양측단부 상측에 위치 및 지지대(52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530)에 높낮이조절볼트(540)를 체결하여 상기 제2탈곡망(330)과 제2탈곡드럼(310) 사이의 배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낮이조절볼트(540)는 그 하단부에 대해 지지대(520)에 삽입 고정하도록 원형고리부(541)를 일체 형성하여 구비하고 볼트나사산을 갖는 상단부 측에 너트(550)를 체결함을 통해 고정프레임(530) 측에 고정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는 제2탈곡망(330)을 움직여 탈곡날개부(320)를 갖는 제2탈곡드럼(310) 측과의 사이에 배치간격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는 조절을 통해 그 간격을 선택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탈곡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참깨나 들깨 등 작물의 탈곡시 작물 측 상태나 환경이 건조가 덜 되어 습한 경우에는 제2탈곡드럼(310)과 제2탈곡망(330)의 상하 배치간격을 줄임으로써 탈곡날개부(320)와 제2탈곡망(330) 측과의 사이 압력을 증가 및 작물에 대한 타격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작물 측 건조가 잘 된 경우에는 탈곡 처리의 알맹이의 탈립(脫粒)이 더욱 원활하게 진행되므로 탈곡날개부(320)와 제2탈곡망(330) 측과의 배치간격을 넓혀서 탈립된 알맹이의 배출이 더욱 잘 수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고 더욱 많은 양을 탈고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탈곡망(330)이 아닌 제2탈곡드럼(310)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상호간 배치간격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동력도 함께 상하 이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등을 비롯하여 설치공간 및 이동에 따른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 등 동력 설계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되고 아주 비효율적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탈곡망(330)에 대해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잡곡 탈곡기(1)는 제2탈곡부에 대한 구조 개선을 통해 입자가 작고 탈립(脫粒)이 어려운 참깨나 들깨와 같은 잡곡류의 탈곡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탈립율은 증대시킬 수 있고, 제1탈곡부에서 제2탈곡부로의 이송 및 배출에 따른 원활함 또한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탈곡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1차 및 2차 탈곡 구조를 갖도록 하되 제2탈곡드럼과 그 하방에 위치된 제2탈곡망에 대해서 잡곡류의 형상과 크기 또는 상태에 따라 상호 배치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참깨나 들깨 등 잡곡의 종류와 상태에 따른 다양한 탈곡시 환경 또는 조건에 대응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탈곡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더욱 우수한 탈곡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등 최적의 탈곡성능을 발휘케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단계의 치환 등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작물투입부 200: 제1탈곡부
210: 제1탈곡드럼 220: 제1탈곡망
300: 제2탈곡부 310: 제2탈곡드럼
320: 탈곡날개부 321: 절곡단부
330: 제2탈곡망 331: 탈곡날부
332: 반타공망부 400: 배출부
410: 흔들체 510: 힌지
520: 지지대 530: 고정프레임
540: 높낮이조절볼트 550: 너트

Claims (8)

  1. 작물투입부와, 상기 작물투입부의 전방(前方)에 위치하고 동력 전달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작물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작물을 타격하여 1차 탈곡 처리하도록 다수의 타격돌기를 외주면에 갖는 제1탈곡드럼과, 상기 제1탈곡드럼의 하측에 설치되고 제1탈곡드럼을 통해 1차 탈곡되는 탈립(脫粒)을 하측에 위치된 흔들체로 배출시키는 제1탈곡망을 포함하는 잡곡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제1탈곡드럼의 전방에 위치하고 동력 전달에 의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 방사상 배치구조를 갖되 일정간격으로 돌출 배치된 탈곡날개부를 갖는 제2탈곡드럼;
    상기 제2탈곡드럼의 하측에 설치하되 회전하는 제2탈곡드럼과의 사이에서 제2탈곡드럼과 함께 작물을 타격함으로써 2차로 탈곡 처리하여 잔여물을 탈립(脫粒)하는 제2탈곡망; 을 포함하되,
    제2탈곡망을 움직여 제2탈곡망과 제2탈곡드럼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하는 배치간격 조절을 통해 제2탈곡망과 제2탈곡드럼 사이의 배치간격을 선택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곡 탈곡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탈곡드럼은,
    다각면체로 형성되는 다각형 드럼;
    상기 다각형 드럼의 각 꼭지점 부분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 배치되는 다수의 탈곡날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곡 탈곡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드럼과 탈곡날개부의 상호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슬롯공을 형성하고 볼트 체결을 통해 상호간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되, 각 탈곡날개부의 교체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슬롯공에서의 체결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각 탈곡날개부 측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곡 탈곡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탈곡날개부는 다각형 드럼의 길이에 대응하는 플레이트몸체이되, 폭방향의 외측 끝단부에 대해 절곡 처리를 통해 절곡단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곡 탈곡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탈곡망은,
    프레임을 갖되 그 내부에 형성되는 탈곡날부;
    상기 탈곡날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고정 배치되는 것으로서, 탈곡날부의 일측 반쪽 부분에만 배치되어 다수의 타공을 형성하는 반타공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곡 탈곡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탈곡망의 일측단을 힌지 결합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하고 타측단에 지지대를 결합하되, 상기 지지대의 양측단부 상측에 위치 및 지지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에 높낮이조절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제2탈곡망과 제2탈곡드럼 사이의 배치간격 조절을 통해 그 간격을 선택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높낮이조절볼트의 하단부는 지지대에 삽입 고정하도록 원형고리부를 일체 구비하고 상단부는 너트 체결을 통해 고정프레임에 고정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곡 탈곡기.
  7. 삭제
  8. 삭제
KR1020190032346A 2019-03-21 2019-03-21 잡곡 탈곡기 KR102051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346A KR102051491B1 (ko) 2019-03-21 2019-03-21 잡곡 탈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346A KR102051491B1 (ko) 2019-03-21 2019-03-21 잡곡 탈곡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716A Division KR102224163B1 (ko) 2019-09-26 2019-09-26 다중 탈곡부를 구비한 잡곡 탈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491B1 true KR102051491B1 (ko) 2019-12-03

Family

ID=6883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346A KR102051491B1 (ko) 2019-03-21 2019-03-21 잡곡 탈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49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9941A (zh) * 2021-03-08 2021-06-29 甘能恳 一种芝麻批量脱粒机
CN113083403A (zh) * 2021-05-17 2021-07-09 夏冕 一种健康大米的生产设备及生产工艺
KR102347946B1 (ko) 2021-04-07 2022-01-05 이상직 깨나 콩의 탈곡장치
KR20220001581A (ko) 2020-06-30 2022-01-06 백관석 수동식 탈곡기
CN116491306A (zh) * 2023-06-28 2023-07-28 黑龙江八一农垦大学 一种谷物联合收割脱粒设备
KR20230148623A (ko) 2022-04-18 2023-10-25 박재경 곡물 탈곡장치
CN117617003A (zh) * 2024-01-26 2024-03-01 山西清高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杂粮作物用滚筒旋转式脱粒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8847A (ja) * 1995-05-09 1996-11-19 Iseki & Co Ltd 脱穀装置
JP2001169648A (ja) * 1999-12-20 2001-06-2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2002112618A (ja) * 2000-10-04 2002-04-1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脱穀装置
KR200392897Y1 (ko) * 2005-03-23 2005-08-17 구진섭 콩 탈곡기
KR20110123087A (ko) * 2010-05-06 2011-11-14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KR101173787B1 (ko) 2011-02-25 2012-08-16 이교섭 탈곡기
KR101381473B1 (ko) * 2012-10-30 2014-04-04 김창동 콩 탈곡장치
KR101449498B1 (ko) 2012-09-21 2014-10-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잡곡 탈곡기
KR101488141B1 (ko) 2014-11-25 2015-01-29 김기범 탈곡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8847A (ja) * 1995-05-09 1996-11-19 Iseki & Co Ltd 脱穀装置
JP2001169648A (ja) * 1999-12-20 2001-06-2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2002112618A (ja) * 2000-10-04 2002-04-1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脱穀装置
KR200392897Y1 (ko) * 2005-03-23 2005-08-17 구진섭 콩 탈곡기
KR20110123087A (ko) * 2010-05-06 2011-11-14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KR101173787B1 (ko) 2011-02-25 2012-08-16 이교섭 탈곡기
KR101449498B1 (ko) 2012-09-21 2014-10-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잡곡 탈곡기
KR101381473B1 (ko) * 2012-10-30 2014-04-04 김창동 콩 탈곡장치
KR101488141B1 (ko) 2014-11-25 2015-01-29 김기범 탈곡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581A (ko) 2020-06-30 2022-01-06 백관석 수동식 탈곡기
CN113039941A (zh) * 2021-03-08 2021-06-29 甘能恳 一种芝麻批量脱粒机
KR102347946B1 (ko) 2021-04-07 2022-01-05 이상직 깨나 콩의 탈곡장치
CN113083403A (zh) * 2021-05-17 2021-07-09 夏冕 一种健康大米的生产设备及生产工艺
KR20230148623A (ko) 2022-04-18 2023-10-25 박재경 곡물 탈곡장치
CN116491306A (zh) * 2023-06-28 2023-07-28 黑龙江八一农垦大学 一种谷物联合收割脱粒设备
CN116491306B (zh) * 2023-06-28 2023-09-12 黑龙江八一农垦大学 一种谷物联合收割脱粒设备
CN117617003A (zh) * 2024-01-26 2024-03-01 山西清高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杂粮作物用滚筒旋转式脱粒装置
CN117617003B (zh) * 2024-01-26 2024-04-12 山西清高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杂粮作物用滚筒旋转式脱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491B1 (ko) 잡곡 탈곡기
US114258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rop residue
US10716259B2 (en) Three section threshing concave configuration and adjustment mechanism for an agricultural harvesting combine
US9820442B2 (en) Three-section concave and adjustment mechanism for an agricultural harvesting combine
US7493852B2 (en) Shell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10039202A1 (en) Combine
CN111066464A (zh) 一种食用豆联合收割机
RU62769U1 (ru) Молотилка для обмолота початков кукурузы в обертке
KR102224163B1 (ko) 다중 탈곡부를 구비한 잡곡 탈곡기
US8829389B2 (en) Helical bar concave
KR100639976B1 (ko) 콩 탈곡기
CN2759133Y (zh) 一种农用多功能脱粒机
US2745409A (en) Grain thresher
CN210333361U (zh) 一种玉米粒筛选机
US2754827A (en) Corn sheller and separator
CN105830670A (zh) 一种用于联合收割机的清选装置
JPS6314605Y2 (ko)
JP2008212115A (ja) 脱穀装置
KR200215967Y1 (ko) 곡물탈곡장치
KR101743100B1 (ko) 탈곡판, 이를 갖는 탈곡 장치 및 이를 갖는 콤바인
US4285348A (en) Threshing machine
CN210054534U (zh) 新型油茶脱壳机
CN110560201B (zh) 一种糙米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218831365U (zh) 一种玉米加工的脱粒装置
CORN–COBS AGRICULTURAL SCIE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