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141B1 - 탈곡장치 - Google Patents

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141B1
KR101488141B1 KR20140165061A KR20140165061A KR101488141B1 KR 101488141 B1 KR101488141 B1 KR 101488141B1 KR 20140165061 A KR20140165061 A KR 20140165061A KR 20140165061 A KR20140165061 A KR 20140165061A KR 101488141 B1 KR101488141 B1 KR 101488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hreshing
conveyor belt
sorting plate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5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김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범 filed Critical 김기범
Priority to KR20140165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6Driving mechanisms for the thresh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7/00Thresh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농작물이 투입되어 탈곡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일정 궤도로 회전 구동되면서 농작물을 본체 내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벨트; 본체에 연결되는 그 일단부를 축으로 회전되면서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농작물을 타작하여 탈곡시키는 탈곡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탈곡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바; 컨베이어벨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탈곡된 곡물을 하부로 배출시키고 불순물은 걸러내는 다공선별판; 및 본체에 구비되어 농작물에서 탈곡된 곡물을 본체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스크류;를 포함하는 탈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탈곡장치{Thre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참깨대나 콩대 등과 같은 농작물을 자동 공급하여 타작함으로써 탈곡할 수 있도록 한 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농업의 기계화에 따라 과거에 인력이나 축력(畜力)을 이용하던 여러 작업을 농기계가 대신하게 되었다. 예컨대, 경운기(耕耘機)나 이앙기(移秧機) 또는 바인더(binder)나 콤바인과 같은 여러 농기계들은 과거에 사람이나 가축이 행하던 힘들고 고된 작업을 대신함은 물론 농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켜 왔다.
이와 같은 농기계 중에는 수확한 곡식을 탈곡(脫穀)하는 탈곡기도 있다. 탈곡기는 곡식의 낟알을 이삭으로부터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떨어내 거둘 수 있게 한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탈곡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탈곡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탈곡기(11)에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13)과, 케이싱(1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 탈곡드럼(21)과, 탈곡드럼(21)의 하부에 설치되며 탈곡된 낟알을 임시로 받는 받이판(23)과, 케이싱(13)의 외부에 설치되며 벨트와 풀리(19)를 통해 상기 탈곡드럼(21)을 회전시키는 모터(17)로 이루어진다.
또한, 케이싱(13)에는 투입구(15)와 배출구(25)가 구비되고, 투입구(15)는 탈곡할 이삭을 케이싱(13) 내부로 넣는 통로이며, 배출구(25)는 탈곡드럼(21)에 의해 떨어내어진 낟알이 빠져나오는 구멍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탈곡기는, 탈곡이 진행되는 동안 작업자가 이삭을 계속 잡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만일 작업자가 이삭을 잡고 있지 않는다면 탈곡드럼(21)이 이삭을 화살표 a방향으로 완전히 휘감아 탈곡이 진행될 수 없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이삭이 탈곡드럼(21)과 받이판(23) 사이에 끼어 탈곡드럼(21)의 회전을 방해하여 기계의 고장을 야기할 수도 있다.
특히, 탈곡드럼(21)이 투입구(15)의 바로 아래에 있기 때문에(상기와 같이 이삭을 손으로 계속 잡고 있어야 하는 이상), 이삭의 길이가 짧을 경우 손이 탈곡드럼(21)에 가까워지므로 그만큼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위험은 힘이 없는 노약자의 경우 훨씬 더하여, 손이 이삭을 잡은 상태로 순식간에 투입구(15) 내부로 딸려 들어가 다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참깨대나 콩대 등과 같은 농작물의 공급과 탈곡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탈곡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탈곡 시 작업자가 농작물이 잡고 있지 않아도 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현저하게 낮춘 탈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농작물이 투입되어 탈곡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일정 궤도로 회전 구동되면서 농작물을 본체 내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벨트; 본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회전되면서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농작물을 타작하여 탈곡시키는 탈곡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탈곡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바; 본체에 구비되어 탈곡체를 지지하는 한편 탈곡된 곡물을 선별판 측으로 배출시키는 받침대; 받침대의 하부에 구비되어 탈곡된 곡물을 배출스크류 측으로 배출시키고 불순물은 걸러내는 선별판; 및 본체에 구비되어 선별판을 통과한 곡물을 본체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곡체는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일단부가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탈곡봉을 포함하고, 회전바는 본체에서 회전되면서 탈곡봉의 타단부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회전시키는 한편 탈곡된 농작물을 본체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수직부에 연결된 연결부는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받침대는 다수의 파이프로서 연결체에 의해 상기 수직부에 결합되며, 선별판은 그 일단부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자유단부로 구비되어, 선별판을 상하로 흔들 수 있도록 구비되되, 선별판의 자유단부 하부의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캠축과, 캠축에 결합 고정되어 캠축과 같이 회전되면서 선별판의 자유단부를 위로 들어올리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스크류와 캠축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고, 선별판과 배출스크류 사이의 본체에는 선별판을 통과한 곡물을 배출스크류의 입구부 측으로 공급하는 가이드호퍼가 구비되며, 본체의 상부에는 커버부가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 내부에는 완충부가 형성되어 컨베이어벨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누름부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곡장치에 의하면, 참깨대나 콩대 등과 같은 농작물이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탈곡장치 내부로 자동 공급되고, 이와 같이 자동 공급된 농작물은 탈곡체에 의해서 타작되어 탈곡됨으로써 탈곡 시 작업자가 농작물이 잡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할 뿐 아니라 작업자의 부상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탈곡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탈곡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장치의 정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장치의 배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장치의 측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장치의 정면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장치에 구성된 탈곡봉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봉의 작동 후 상태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탈곡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깨대나 콩대 등과 같은 농작물(이하 "농작물"이라 한다)이 투입되어 탈곡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부에 구성되어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와, 탈곡부에서 탈곡된 곡물이 저장된 후 배출되는 배출부와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탈곡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탈곡부는, 본체(110)의 상부에 구성되어 농작물을 직접적으로 탈곡하는 부분으로서, 본체(11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일정 궤도로 회전 구동되면서 농작물을 본체(110) 내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컨베이어벨트(120)와, 컨베이어벨트(120) 상부의 본체(110) 내에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120)에 의해 이동되는 농작물을 타작하여 탈곡시키는 다수의 탈곡봉(135)과, 탈곡봉(135)에 대응한 수로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탈곡봉(135)을 회전시키는 회전바(140)와, 컨베이어벨트(120) 하부의 본체(110) 내에 구비되어 탈곡된 곡물은 하부로 배출되는 한편 불순물은 걸러지는 받침대(150)을 포함한다.
컨베이어벨트(120)는 두개 또는 세개 이상의 컨베이어벨트가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각 컨베이어벨트(12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바, 이 간격은 탈곡하고자 하는 농작물의 최소 길이에 대응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한쌍의 컨베이어벨트(120)를 통한 농작물은 컨베이어벨트(120)에서의 낙하없이 모두 이송될 수 있으며, 긴 농작물은 한쌍의 컨베이어벨트(120)에 사선 방향으로 투입하여 이송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컨베이어벨트(120)의 외측면에는 농작물을 지지하여 농작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121)가 일정 간격마다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한쌍의 컨베이어벨트(120)는 도 3(도 4 및 도 5에서는 생략하였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모터(122)로서 회전 구동된다.
탈곡체(130)는 농산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수직부(133),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34), 상기 연결부에서 회전바(140)를 향하여 길게 연장된 탈곡봉(135)를 포함한다.
다수의 탈곡봉(135)은 각 컨베이어벨트(120) 사이마다 위치된다. 이와 같은 탈곡봉(135)은 그 일단부가 연결부(134)에 탄성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자유단부로 구비되어, 일단부를 축으로 타단부의 자유단부가 상하로 회전된다.
이때, 본체(110)에 연결되는 탈곡봉(135)의 일단부는 후술될 회전바(140)에 의해 회전된 자유단부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31)로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부(131)는 토션스프링 형태로 구비되는데, 탈곡봉(135)의 일단부를 직접 수회에 걸쳐 코일 형태로 감아 토션스프링과 같이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본체(110)와 탈곡봉(135) 사이에 별도의 토션스프링을 구비하여 탈곡봉(135)를 토션스프링에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탄성부(131)는 그 일단부가 본체(110)에 브라켓(132)을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에는 상기와 같이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120)를 통해 이송되는 농작물을 타작하여 탈곡하는 탈곡봉(135)의 자유단부를 받쳐 지지하는 한편 회전된 탈곡봉(135)의 자유단부가 정위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112)을 갖는 가이드프레임(111)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이드홈(112)을 갖는 가이드프레임(111)에 의해서 탈곡봉(135)이 탄성부(131)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될 때 탈곡봉(135)의 자유단부가 가이드홈(112)에 삽입되어 구비됨으로써 후술될 회전바(140)에 의한 탈곡봉(135)의 회전이 오작동없이 항상 정상작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프레임(111)은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 사이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유는 탈곡봉(135)이 농작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부 벨트보다 높게 위치됨으로써 농작물을 완전하게 타작하여 탈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부(133)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수직부에 형성된 하부너트(133-1)에 지지되게 삽입되어 있다. 이로서, 상기 하부너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는 수직으로 승하강하게되는 바, 이때, 연결부의 이탈을 막기위하여 연결부 상부에는 상부너트를 상기 수직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콩대 또는 참께대 등,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탈곡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바(140)는 탈곡봉(135)의 자유단부와 이격된 본체(110)의 내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회전바(140)는 본체(1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141) 상에 탈곡봉(135)에 대응한 수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도 3(도 4 및 도 5에서는 생략하였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22)에 연결되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회전축(141)과 같이 회전 구동된다.
여기서, 모터(122)와 회전축(141)의 동력연결은 통상의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결한다.
이때, 회전축(141) 상에 구비되는 회전바(140)는 본 도면에서는 두개의 회전바를 일례로 예시하였으나, 세개 이상 다수개로 구비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구비되는 회전바(140)는 회전되면서 탈곡봉(135)의 자유단부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회전시키는 한편 탈곡된 농작물을 이송하여 본체(110) 외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받침대(150)은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부벨트와 하부벨트 사이 정도의 위치로 본체(110)에 설치되되, 본체(110)에 대응한 면적으로 구비되어 탈곡된 곡물을 받아 곡물은 본체 하부, 즉 하기할 선별판측으로 배출시키는 한편 상기 탈곡봉이 위아래로 채질을 할 때 탈곡봉을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이로서, 농산물은 받침대의 지지되면서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이동하게되고 이때 탈곡봉이 받침대와 컨베이어벨트 상에 얹혀진 농산물에 타작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받침대는 다수의 파이프로서 연결체(151)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수직부(133)에 결합되되, 상기 수직부(133)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체는 수직부에 형성된 하부너트(도면기호 미도시)에 지지되게 삽입되어 있다. 이로서, 상기 하부너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는 수직으로 승하강하게되는 바, 이때, 연결부의 이탈을 막기위하여 연결부 상부에는 상부너트(도면기호 미도시)를 상기 수직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 사이의 간격을 통해 불순물은 걸러낼 수 있게되고 이러한 간격은 후술될 선별판(160)의 메쉬 구멍보다 크게 형성되어, 탈곡된 곡물과 불순물을 1차 선별하고 곡물은 받침대(150) 하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배출부는, 본체(110)의 하부에 구성되어 탈곡된 곡물을 저장 및 배출하는 부분으로서, 받침대(150) 하부의 본체(110) 내에 구비되어 탈곡된 곡물을 2차로 선별하여 배출시키는 선별판(160)과, 선별판(160) 하부의 본체(110)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선별판(160)의 일단부를 상하로 흔들어 주는 캠(171)과, 선별판(160) 하부의 본체(110) 내에에 구비되어 2차 선별된 곡물을 모아 배출하는 가이드호퍼(180)와, 가이드호퍼(180) 하부의 본체(110) 내에 구비되어 가이드호퍼(180)에서 배출된 곡물을 이송시켜 본체(110)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스크류(191)를 포함한다.
선별판(160)은 받침대(150)의 슬릿(151)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을 갖는 메쉬망 형태로서, 본체(110)에 대응한 면적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즉, 선별판(160)은 그 일단부가 본체(1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자유단부로 구비되되, 선별판(160)의 힌지부(161)가 자유단부(162)보다 높은 위치로 구비된다.
따라서, 선별판(160)은 힌지부(161)를 축으로 자유단부(162)가 상하로 유동되어 흔들릴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흔들리는 선별판(160)에 의해 탈곡된 곡물은 2차 선별되어 하부의 가이드호퍼(180)로 배출되고, 불순물은 선별판(160)의 자유단부(162)를 통해 본체(1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선별판(160)은 농사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키와 같은 원리로서 곡물과 불순물을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호퍼를 통과한 곡물은 하기할 배출스크류측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선별판(160)의 자유단부(162)를 상하로 흔들어 주는 캠(171)은, 본체(110)에 캠축(17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캠축(170)은 선별판(160)의 자유단부(162)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캠축(170)에는 다수의 캠(171)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게 구비되어 캠축(170)과 같이 회전되면서 선별판(160)의 자유단부(162)를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캠축(170)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캠(171)은 선별판(160)의 자유단부(162)를 위로 들어올리는 돌출부가 도 5에서와 같이 서로 엇갈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캠(171)의 돌출부를 서로 엇갈리게 구비함으로써 선별판(160)을 그만큼 더 신속하게 흔들어 주기 위함이다.
가이드호퍼(180)는 선별판(160)에서 2차 선별되어 배출되는 곡물을 배출스크류(191)의 입구부 즉 하부 측으로 공급하도록 본체(110) 내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배출스크류(191)는 본체(110) 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탈곡된 곡물을 본체(110)의 바닥에서 중앙부 측으로 이송시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배출스크류(191)는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된 배출호퍼(190) 내에 구비되고, 배출호퍼(190)는 그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가이드호퍼(180)에 의한 곡물이 배출호퍼(190)의 상면으로 모두 유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된 배출스크류(191)는 본체(110)의 바닥면에 위치된 입구부 즉 하부 측에 모터(193)가 연결되어 모터(193)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바, 모터(193)와 배출스크류(191)의 하부는 조인트(192)로 연결되어 모터(193)의 동력을 배출스크류(191)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인트(192)는 여러 조인트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위치로 구비되는 배출스크류(191)의 하부와 모터(193)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유니버셜 조인트로 구비한 것을 일례로 예시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모터(193)의 축에는 스프로킷휠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한 캠축(170)에도 스프로킷휠이 구비되어 체인(194)으로 연결함으로써 모터(193)의 구동 시 배출스크류(191)와 캠축(170)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배출스크류(191)에 의해 곡물을 배출시키면서 선별판(160)을 통해 곡물을 신속하게 2차 선별하여 배출호퍼(19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의 상부에는 커버부가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는 일측이 본체의 상부에 힌지연결되고 회전하면서 개폐되고, 커버부의 내부에는 완충부(210)가 형성되어 컨베이어벨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누름부(220)를 탄성 지지하고 있다.
이로서, 탈곡을 위하여 커버부를 닫게되면, 상기 누름부가 컨베이어벨트 상에서 이송되는 농산물을 탄성 지지하게되어 농산물물은 컨베이어벨트 상엥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탈곡장치(100)의 본체(110)에 구비된 전 모터(122)(193)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수확한 농작물을 회전되는 한쌍의 컨베이어벨트(120) 위에 올려 놓는다.
그러면, 회전되는 컨베이어벨트(120)에 의해서 농작물이 수직부(133)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투입되어 공급되고, 이와 같이 공급된 농작물은 컨베이어벨트(120)와 커버부의 누름부(22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컨베이어벨트(120)에 의해 이송되는 농작물은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회전바(140)에 의해 회전되는 탈곡봉(135)에 의해 타작되어 탈곡된다.
즉, 탈곡봉(135)는 회전바(140)에 의해 자유단부가 도 7에서와 같이 위로 들렸다가 회전바(140)가 탈곡봉(135)의 자유단부에서 도 8에서와 같이 이탈되는 순간, 압축되었던 탈곡봉(135)의 탄성부(131)에 의해 회전된 탈곡봉(135)가 신속하게 하강하여 컨베이어벨트(120) 상의 농작물을 타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타작 작동 후의 탈곡봉(135)는 본체(110)의 가이드프레임(111)에 형성된 해당 가이드홈(112)으로 각각 삽입되어 다음 회전바(140)가 도 6과 같이 접할 때까지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벨트와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고 탈곡봉(135)에 의해 타작되어 탈곡된 농작물은 탈곡봉(135)의 자유단부를 지나 도 8과 같이 회전되는 회전바(140)에 의해 회전 이동되면서 본체(1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탈곡봉(135)에 의해 탈곡된 곡물은 받침대(150)의 파이프(151) 간의 간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의해 곡물은 1차 선별되어 하부로 배출되고, 불순물은 받침대(150)에 걸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받침대(150)의 파이프(151) 간의 간격을 통해 1차 선별된 곡물은 모두 하부의 선별판(160)으로 떨어진다. 이때, 선별판(160)은 본체(110)의 내부에서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인데가 상단부의 힌지부(161)를 축으로 하단부의 자유단부(162)가 다수의 캠(171)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들렸다가 놓여지므로 통상의 키나 채와 같이 연속적으로 흔들리게 됨으로써 곡물은 선별판(160)의 메쉬 구멍을 통해 2차 선별되어 하부로 배출되고, 곡물과 더불어서 선별판(160)으로 유입된 불순물은 흔들리는 선별판(160)의 자유단부(162) 측으로 이동되어 본체(1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선별판(160)을 통해 2차 선별되어 배출된 곡물은 가이드호퍼(180)를 통해 경사지게 구비된 배출호퍼(190)의 하단부로 모두 유입되고, 배출호퍼(190)로 유입된 곡물은 모터(193)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배출스크류(191)를 통해서 배출호퍼(190)의 상단부로 이동되어 본체(1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모터(193)의 구동시 체인(194)으로 연결된 배출스크류(191)와 캠축(170)이 동시에 회전 구동됨으로써 배출스크류(191)에 의해 곡물을 배출시키면서 선별판(160)을 통해 곡물을 2차 선별하여 배출호퍼(190)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탈곡장치 110 : 본체
111 : 가이드프레임 112 : 가이드홈
120 : 컨베이어벨트 121 : 돌기
122 : 모터 130 : 탈곡체
131 : 탄성부 132 : 브라켓
133: 수직부 134: 연결부
135: 탈곡봉 140 : 회전바
141 : 회전축 142 : 모터
150 : 받침대
151 : 연결체 160 : 선별판
161 : 힌지부 162 : 자유단부
170 : 캠축 171 : 캠
180 : 가이드호퍼 190 : 배출호퍼
191 : 배출스크류 192 : 조인트
193 : 모터 194 : 체인
200: 커버부 210: 완충부
220: 누름부

Claims (10)

  1. 농작물이 투입되어 탈곡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일정 궤도로 회전 구동되면서 농작물을 본체 내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벨트;
    본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회전되면서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농작물을 타작하여 탈곡시키는 탈곡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탈곡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바;
    본체에 구비되어 탈곡체를 지지하는 한편 탈곡된 곡물을 선별판 측으로 배출시키는 받침대;
    받침대의 하부에 구비되어 탈곡된 곡물을 배출스크류 측으로 배출시키고 불순물은 걸러내는 선별판; 및
    본체에 구비되어 선별판을 통과한 곡물을 본체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곡체는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일단부가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탈곡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회전바는 본체에서 회전되면서 탈곡봉의 타단부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회전시키는 한편 탈곡된 농작물을 본체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에 연결된 연결부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받침대는 다수의 파이프로서 연결체에 의해 상기 수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선별판은 그 일단부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자유단부로 구비되어, 선별판을 상하로 흔들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선별판의 자유단부 하부의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캠축과, 캠축에 결합 고정되어 캠축과 같이 회전되면서 선별판의 자유단부를 위로 들어올리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배출스크류와 캠축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선별판과 배출스크류 사이의 본체에는 선별판을 통과한 곡물을 배출스크류의 입구부 측으로 공급하는 가이드호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의 상부에는 커버부가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 내부에는 완충부가 형성되어 컨베이어벨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누름부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KR20140165061A 2014-11-25 2014-11-25 탈곡장치 KR101488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5061A KR101488141B1 (ko) 2014-11-25 2014-11-25 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5061A KR101488141B1 (ko) 2014-11-25 2014-11-25 탈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141B1 true KR101488141B1 (ko) 2015-01-29

Family

ID=5259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5061A KR101488141B1 (ko) 2014-11-25 2014-11-25 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14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374B1 (ko) 2017-12-13 2018-03-20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참깨 탈곡장치
CN109348872A (zh) * 2018-11-16 2019-02-19 铁岭旭日农业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玉米脱粒机
CN110278765A (zh) * 2019-07-18 2019-09-27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联合收获机过桥输送振压脱粒装置
KR102051491B1 (ko) 2019-03-21 2019-12-03 강옥자 잡곡 탈곡기
KR20200004995A (ko) 2018-07-05 2020-01-15 박재경 참깨 탈곡장치
KR20200112615A (ko) 2019-09-26 2020-10-05 강옥자 다중 탈곡부를 구비한 잡곡 탈곡기
KR20220001581A (ko) * 2020-06-30 2022-01-06 백관석 수동식 탈곡기
CN115191238A (zh) * 2022-08-08 2022-10-18 克拉斯(山东)农业机械有限公司 农用脱粒机
KR20230000472U (ko) * 2021-08-30 2023-03-07 박주철 홀태
KR20230068587A (ko) 2021-11-11 2023-05-18 강옥자 탈곡기의 정선용 흔들체
KR20240054758A (ko) 2022-10-19 2024-04-26 오상철 참깨류의 타작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286Y1 (ko) * 1982-06-03 1983-08-01 김승기 자동 탈곡기
JPS6286848U (ko) * 1985-11-18 1987-06-03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286Y1 (ko) * 1982-06-03 1983-08-01 김승기 자동 탈곡기
JPS6286848U (ko) * 1985-11-18 1987-06-03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374B1 (ko) 2017-12-13 2018-03-20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참깨 탈곡장치
KR20200004995A (ko) 2018-07-05 2020-01-15 박재경 참깨 탈곡장치
CN109348872A (zh) * 2018-11-16 2019-02-19 铁岭旭日农业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玉米脱粒机
CN109348872B (zh) * 2018-11-16 2024-06-11 铁岭旭日农业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玉米脱粒机
KR102051491B1 (ko) 2019-03-21 2019-12-03 강옥자 잡곡 탈곡기
CN110278765A (zh) * 2019-07-18 2019-09-27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联合收获机过桥输送振压脱粒装置
CN110278765B (zh) * 2019-07-18 2024-05-14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联合收获机过桥输送振压脱粒装置
KR20200112615A (ko) 2019-09-26 2020-10-05 강옥자 다중 탈곡부를 구비한 잡곡 탈곡기
KR102553038B1 (ko) 2020-06-30 2023-07-07 백관석 수동식 탈곡기
KR20220001581A (ko) * 2020-06-30 2022-01-06 백관석 수동식 탈곡기
KR20230000472U (ko) * 2021-08-30 2023-03-07 박주철 홀태
KR200497413Y1 (ko) 2021-08-30 2023-11-02 박주철 홀태
KR20230068587A (ko) 2021-11-11 2023-05-18 강옥자 탈곡기의 정선용 흔들체
CN115191238B (zh) * 2022-08-08 2023-09-05 克拉斯(山东)农业机械有限公司 农用脱粒机
CN115191238A (zh) * 2022-08-08 2022-10-18 克拉斯(山东)农业机械有限公司 农用脱粒机
KR20240054758A (ko) 2022-10-19 2024-04-26 오상철 참깨류의 타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141B1 (ko) 탈곡장치
US20090111545A1 (en) Tailings rethresher mechanical delivery to return pan
RU171115U1 (ru) Молотильно-сепа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системой ориентированной подачи початков кукурузы на обмолот
KR102307742B1 (ko) 콩 탈곡장치
CN213825108U (zh) 一种用于饲料加工设备的进料口预筛装置
JP2016039834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CN104275649A (zh) 喷丸硬化装置
KR101381473B1 (ko) 콩 탈곡장치
CN107187894A (zh) 一种五谷杂粮振筛式初选机
KR20120095728A (ko) 콩 탈곡기용 선별장치
KR101539062B1 (ko) 콩 선별장치
US2577488A (en) Grain separating drum
CN205922093U (zh) 一种玉米剥叶设备
US527954A (en) Pea-sheller
CN109348874B (zh) 一种玉米小区脱粒机
DE2525384A1 (de) Kombinierte erntemaschine fuer huelsenfruechte
KR100558362B1 (ko) 곡물 탈곡장치
US2213387A (en) Viner
JP2001078545A (ja) 脱穀機の伝動装置
KR101743100B1 (ko) 탈곡판, 이를 갖는 탈곡 장치 및 이를 갖는 콤바인
CN110622706A (zh) 一种新型玉米脱粒机
CN214676653U (zh) 一种用于玉米脱粒的玉米粒剥离装置
KR101216340B1 (ko) 균일한 사료배출이 가능한 급이기
JP5222428B2 (ja) 脱穀機
CN211630914U (zh) 一种可以充分脱粒的玉米脱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