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13Y1 - 홀태 - Google Patents

홀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413Y1
KR200497413Y1 KR2020210002664U KR20210002664U KR200497413Y1 KR 200497413 Y1 KR200497413 Y1 KR 200497413Y1 KR 2020210002664 U KR2020210002664 U KR 2020210002664U KR 20210002664 U KR20210002664 U KR 20210002664U KR 200497413 Y1 KR200497413 Y1 KR 200497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paration
grains
shielding plates
separ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472U (ko
Inventor
박주철
Original Assignee
박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철 filed Critical 박주철
Priority to KR2020210002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13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4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4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5/00Hand-operated implements for thre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통 방식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탈곡 작업을 하되, 양측에 가림판(110)이 구비된 본체(100)의 내측에 분리판(200)과 가이드판(300)이 구비되어 알곡들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 하고, 알곡의 수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홀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홀태는, 2개의 가림판(110)이 좌우 이격 배치된 본체(100); 상기 가림판(110) 사이에 구비되며, 일단에 복수의 분리홈(210)이 이격 형성된 분리판(200); 상기 분리판(2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일단의 높이가 타단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200)을 통해 분리된 알곡을 타단 방향으로 수집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판(30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홀태{A rice threshing tool}
본 발명은 홀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 기계식이 아닌 전통 방식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탈곡하되, 종래보다 좀더 편리하게 탈곡할 수 있는 홀태에 관한 것이다.
홀태란 곡식의 알곡을 터는 전통 방식의 농기구를 말하며, 벼훑이라고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홀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홀태는 긴 막대 형태의 지지대(1)에 복수의 빗살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분리판(2)이 구비된다.
즉, 종래의 홀태는 빗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홀태는 상기 침 사이의 틈새로 볕집을 통과시켜 볕집에 붙어있는 알곡들을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홀태의 경우 분리된 알곡들을 모아주는 기능이 없어 알곡이 주변으로 흩어져 채취 작업에 불편함이 있다.
물론 근래에는 수동 방식의 홀태를 사용하지 않고, 탈곡기 등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다양한 자동 곡물 분리장치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탈곡기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1)의 로터리 에어록 밸브(20)가 회전하여 사이클론(10)의 내부에 강제로 와류를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사이클론(10)의 흡입구(11)로 외부의 곡물이 유입되면, 강제로 형성된 와류에 의해 이물질은 상부로 이동하여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배출구(12)의 일측에 형성된 걸름망(30)이 형성되어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와류에 의해 분리된 알곡은, 사이클론(10)의 내벽을 타고, 하루로 이동하여 로터리 에어록 밸브(20)를 통해 저장부(40)로 배출되어 저장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계식 자동 탈곡기는 가격이 비싸고, 유지 관리비가 많이 들어 평가를 위한 표본추출 등의 소규모 작업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7827호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통 방식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탈곡 작업을 하되, 양측에 가림판(110)이 구비된 본체(100)의 내측에 분리판(200)과 가이드판(300)이 구비되어 알곡들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 하고, 알곡의 수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홀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홀태는, 2개의 가림판(110)이 좌우 이격 배치된 본체(100); 상기 가림판(110) 사이에 구비되며, 일단에 복수의 분리홈(210)이 이격 형성된 분리판(200); 상기 분리판(2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일단의 높이가 타단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200)을 통해 분리된 알곡을 타단 방향으로 수집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판(300); 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판(200)은 일단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판(300)은 타단의 높이가 일단보다 높으며,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분리홈(210)은 일단이 개방 형성되며, 일단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넓어지는 확장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가림판(110)에는 손잡이(1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홀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분리판(200)이 상기 가림판(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홈(210)에서 탈곡되는 알곡들이 양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알곡의 수집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리판(200)의 하부에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상기 가이드판(300)이 구비됨으로써, 알곡들이 상기 가이드판(300)의 상부에 모이도록 하여 알곡의 수집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홀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탈곡기의 평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태의 일방향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태의 타방향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태의 분리판의 평면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태는, 본체(100), 분리판(200), 가이드판(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2개의 가림판(110)과, 상기 가림판(110)을 연결하는 연결판(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림판(110)은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판(120)은 상기 가림판(110)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가림판(110)과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연결판(120)이 바닥에 지지되고 상기 가림판(110)은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판(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며, 우측에 편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분리판(200)은 좌우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판 형태로 형성되며, 양단이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림판(11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분리판(200)에는 복수의 분리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홈(210)은 상기 분리판(200)의 일단 및 두께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이며, 일자 형태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리홈(2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판(200)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분리판(200)은 쌀, 보리와 같은 알곡물들을 줄기에서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분리홈(210)의 폭이 알곡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알곡이 상기 분리홈(210)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즉, 상기 분리홈(210)에 작물을 통과시키면 알곡이 상기 분리홈(210)에 걸러져 줄기에서 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분리홈(210)의 일단에는 확장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211)는 상기 분리홈(210)의 일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분리홈(210)의 입구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리홈(210)의 입구에 폭이 점점 넓어지는 상기 확장부(21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리홈(210)에 작물이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여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판(200)은 일단, 즉 좌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상기 분리판(200)은 작물이 통과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탈곡할 때 작물을 쉽게 잡아당겨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판(300)은 분리판(2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일단의 높이가 타단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200)을 통해 분리된 알곡을 일단 방향으로 수집되게 가이드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판(300)은 타단의 높이가 일단보다 높으며,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판(300) 위에 탈곡된 알곡들은 상기 가이드판(300)의 최하단부에 쌓여 모이게 되며, 이로 인해 알곡들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수집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가림판(110)에는 손을 넣어 상기 본체(100)를 쉽게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11)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11)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 돌출된 고리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를 쉽게 손으로 들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11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태는, 상기 분리판(200)이 상기 가림판(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홈(210)에서 탈곡되는 알곡들이 양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알곡의 수집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소형으로 제작되어 이동이 편리하며, 특히 어깨에 걸어 매고다닐 수 있도록 끈을 장착할 수 있어 휴대가 가능하다. 따라서 벼 손해평가를 위한 표면을 추출할 때 농지를 이동하면서 소량으로 표면을 쉽고 편리하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리판(200)의 하부에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상기 가이드판(300)이 구비됨으로써, 알곡들이 상기 가이드판(300)의 상부에 모이도록 하여 알곡의 수집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가림판
111 : 손잡이
120 : 연결판
200 : 분리판
210 : 분리홈
211 : 확장부
300 : 가이드판

Claims (5)

  1. 2개의 가림판(110)이 좌우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가림판(110)의 하단 사이에 연결판(120)의 양단이 각각 상기 가림판(110)과 결합되는 본체(100);
    상기 가림판(110) 사이에 구비되며, 일단에 복수의 분리홈(210)이 이격 형성된 분리판(200);
    상기 분리판(2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일단의 높이가 타단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200)을 통해 분리된 알곡을 일단 방향으로 수집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판(30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300)은 타단의 높이가 일단보다 높으며,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120)은 좌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며, 우측에 편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200)은 일단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태.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홈(210)은 일단이 개방 형성되며, 일단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넓어지는 확장부(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110)에는 손잡이(1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태.
KR2020210002664U 2021-08-30 2021-08-30 홀태 KR200497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664U KR200497413Y1 (ko) 2021-08-30 2021-08-30 홀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664U KR200497413Y1 (ko) 2021-08-30 2021-08-30 홀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472U KR20230000472U (ko) 2023-03-07
KR200497413Y1 true KR200497413Y1 (ko) 2023-11-02

Family

ID=8550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664U KR200497413Y1 (ko) 2021-08-30 2021-08-30 홀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41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152Y1 (ko) * 2002-04-10 2002-07-13 윤도원 소형 탈곡기
KR101488141B1 (ko) 2014-11-25 2015-01-29 김기범 탈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9435A (ko) * 2010-10-17 2012-04-25 류근패 고정홀태와 회전홀태를 이용한 구근 수확기
KR101387827B1 (ko) 2014-01-23 2014-04-22 이길선 정선기능을 가진 탈곡기
KR102196920B1 (ko) * 2019-05-10 2020-12-30 정상진 콩 탈곡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152Y1 (ko) * 2002-04-10 2002-07-13 윤도원 소형 탈곡기
KR101488141B1 (ko) 2014-11-25 2015-01-29 김기범 탈곡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blog.naver.com/c-channel/12011442825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472U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5022851B4 (de) Multizyklon-Staubsammelvorrichtung
DE102004034015B4 (de) Wirbelungs-Staubsammelvorrichtung für einen Staubsauger
KR20170042757A (ko) 진공 청소기
DE10110581A1 (de) Staubsauger im Hochformat mit einer Staubauffangvorrichtung vom Zyklontyp
KR20170054585A (ko) 도봉 방지 및 화분 회수 장치
EP0501675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ollection devices
KR200497413Y1 (ko) 홀태
DE1404894A1 (de) Vorrichtung zum Auffangen und Ausscheiden von Faserflug und Staub im Abluftkanal vonBelueftungs- oder Klimaanlagen in Textilbetrieben,insbesondere Spinnereien und Webereien
CN105723918B (zh) 一种履带式全喂入联合收割机
EP2996456B1 (en) Apparatus for the processing and the sorting of an olive harvest
US4288880A (en) Bee vacuum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bees
EP0862847B1 (en) Sucking device for picking products such as chestnuts, hazelnuts and the like
US3114997A (en) Cotton screeners for cotton pickers of the type using rotary spindles and doffers
DE843616C (de) Reinigungsvorrichtung fuer Dreschmaschinen
US2139046A (en) Hop separator
RU43798U1 (ru) Решетный стан
AT227996B (de) Dresch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Mähdrescher
DE933968C (de) Gas- oder Luftreinigungsvorrichtung
SU172776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бора колорадского жука и его личинок
DE435057C (de) Windsichter mit Staubabscheider
RU2080766C1 (ru) Комбайн "таки" для уборки овоще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томатов и корнеклубнеплодов
JP6725803B2 (ja) 汎用コンバイン
JP3784458B2 (ja) ゴルフボール選別回収装置
DE102016104027A1 (de) Mähdrescher
TWI586254B (zh) 用以去除落花生莢果夾雜物及子房柄的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