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087A -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087A
KR20110123087A KR1020100042530A KR20100042530A KR20110123087A KR 20110123087 A KR20110123087 A KR 20110123087A KR 1020100042530 A KR1020100042530 A KR 1020100042530A KR 20100042530 A KR20100042530 A KR 20100042530A KR 20110123087 A KR20110123087 A KR 20110123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partition member
combine
ne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2471B1 (ko
Inventor
김수경
남요상
강영선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47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181Adjustable thresh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의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에 관한 것으로서, 탈곡대상 벼의 탈곡을 위해 콤바인에 설치되는 탈곡실의 탈곡통 둘레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탈곡망에 있어서, 상기 탈곡통의 축심 방향으로 배치되는 봉형상의 가로봉과 상기 가로봉에 직각으로 걸쳐 배치되는 판상의 세로부재로 격자형태의 탈곡망을 구성하되, 일정한 간격을 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세로부재에 결합수단에 의해 분리가능한 판상의 칸막이부재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부착되는 탈곡망이며, 본 발명의 상기 탈곡망에 의해 다양항 형태의 곡물에 적절하게 맞는 탈곡이 이루어져 탈곡부하의 감소와 곡립의 손상이 최소한으로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THRESHING NET CONSISTED OF SLIDING MEMBER FOR COMBINE}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탈곡대상 벼의 탈곡을 위해 콤바인의 탈곡통 바깥둘레에 설치되는 격자형태의 탈곡망에서 세로로 배치되는 판상의 세로부재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높이도 조절할 수 있는 칸막이부재를 부착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대상 벼의 이삭끝측이 탈곡반송장치(10)에 의해 탈곡실(11)의 탈곡통(12)과 탈곡망(13) 사이로 이송되어 상기 탈곡통(12)의 탈곡톱니(12a)에 의해 상기 벼로부터 탈곡처리된 곡물의 낟알을 상기 탈곡망(13)을 통해 아래쪽의 선별장치(14)를 향하여 밑으로 떨어뜨리는 탈곡기의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조의 콤바인 외에도 구조를 서로 약간씩 달리하는 다양한 콤바인들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콤바인의 탈곡기(등록번호 10-0325474)에서 종래 탈곡망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개의 봉형상의 가로봉(15)에 직각으로 걸쳐 판상의 세로부재(16)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연결하여 격자형태의 망을 이루게 되며, 다수개의 상기 세로부재 중의 중간 부분의 어느 하나의 세로부재(16a)를 다른 세로부재보다 더 높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종래 탈곡망에서 세로부재는 탈곡망의 보강역할도 하고, 탈곡실 내의 벼의 방향을 바꾸어주거나, 탈곡실 내에 발생한 검불이나 곡립, 이삭의 흐름을 상기 세로부재가 일시 정지시켜 곡립 낙하의 보조 역할을 행하거나 단립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탈곡망의 세로부재의 역할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세로부재의 높이를 다른 것보다 높게 함으로써 탈곡의 효율을 더 좋게 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 세로부재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작물의 상태에 따라 과도한 벼의 절단을 가져오고 검불 배출 및 선별에 악영향을 주는 역효과의 가능성이 있는 것이 문제였다.
즉, 벼의 상태에 따라 탈곡통과 탈곡망의 세로부재 사이의 간격의 조정이 필요하나 높이가 더 높은 상기 세로부재는 고정된 상태에 있음에 따라 탈곡망과 세로부재의 사이의 간격도 고정된 상태에 있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격자형태로 구성된 탈곡망의 세로부재에 형성된 결합공과 칸막이부재에 형성된 장공 형태의 결합홈을 일치시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칸막이부재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부착하고, 상기 세로부재의 결합공에 일치되는 칸막이부재의 장공 형태의 결합홈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일치시킨 후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상기 칸막이부재의 분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그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외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칸막이부재가 설치된 탈곡망에서 상기 탈곡망의 일측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써 후크형식의 고정후크부재를 부착하여 탈곡통의 둘레에 탈곡망의 고정이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콤바인의 탈곡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외에 또 다른 목적은 칸막이부재가 세로부재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그 높이만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콤바인의 탈곡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은, 콤바인에 설치되는 탈곡실의 탈곡통 둘레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탈곡망에 있어서, 상기 탈곡통의 축심 방향으로 배치되는 봉형상의 가로봉과 상기 가로봉에 직각으로 걸쳐 배치되는 판상의 세로부재로 격자형태의 탈곡망을 구성하되, 일정한 간격을 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세로부재에 결합수단에 의해 분리가능한 판상의 칸막이부재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칸막이부재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과 세로부재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을 일치시켜, 일치된 상기 결합홈과 결합공을 통해 결합수단을 체결하여 세로부재에 칸막이부재를 부착하되, 상기 칸막이부재에 형성된 결합홈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의 끝단부에서 안쪽으로 길게 이어지는 장공 형태의 홈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또, 상기 탈곡실에 설치된 고정봉에 탈곡망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써 상기 세로부재 한쪽 끝단의 일측면에 부착된 고정후크부재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또, 상기 결합수단은 볼트와 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콤바인에 설치되는 탈곡실의 탈곡통 둘레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탈곡망에 있어서, 상기 탈곡통의 축심 방향으로 배치되는 봉형상의 가로봉과 상기 가로봉에 직각으로 걸쳐 배치되는 판상의 세로부재로 격자형태의 탈곡망을 구성하여, 일정한 간격을 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세로부재에 결합수단에 의해 판상의 칸막이부재를 높이방향으로 연장하여 고정부착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칸막이부재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 내에 형성되는 결합장공과 세로부재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을 일치시켜, 일치된 상기 결합홈과 결합장공에서 결합장공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부착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칸막이부재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 사이를 연결한 보강살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에 의하면, 상기 칸막이부재가 분리가 가능하면서도 그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탈곡망 사이와 간격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벼에 따라 손상 없이 적절하게 대응하여 탈곡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적절한 탈곡에 의해 탈곡부하의 감소를 가져오고 곡립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고정후크부재에 의해 탈곡망의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의 일부를 절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탈곡망에 설치되는 칸막이부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
도 4는 종래 탈곡통과 탈곡망으로 이루어진 콤바인의 탈곡부의 종단면도
도 5는 종래 탈곡통과 탈곡망 부분의 종단면도
도 6은 종래 탈곡망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의 일부를 절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탈곡망에 설치되는 칸막이부재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망은 전체적으로 원호형으로서 봉형상의 가로봉(1)과 판상의 세로부재(2)가 격자형태로 구성되고, 다수개의 상기 세로부재(2) 중 일정한 간격을 둔 2개 이상의 세로부재(2a)(2b)마다 결합수단(4)에 의해 부착되는 판상의 칸막이부재(3)를 구비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치되는 가로봉(1)에 직각으로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판상의 세로부재(2)(2a)(2b)를 연결하여 배치하되, 상기 가로봉(1)이 판상의 세로부재(2a)(2b)의 일측면을 계속 관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가로봉(1)과 세로부재(2a)(2b)가 격자형태를 이루게 되며, 상기 세로부재(2) 중 안쪽에 배치되는 일정한 간격을 둔 2개의 세로부재(2a)(2b) 각각의 측면으로 칸막이부재(3)가 결합수단(4)에 의해 조립식으로 각각 부착된다.
상기 세로부재(2a)(2b)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판상으로 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측면으로 다수개의 결합공(5)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부재(3)도 판상으로 되어 폭방향의 끝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부(6)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6)에는 끝단부에서 안쪽으로 길게 이어지는 장공 형태의 결합홈(6a)이 형성된다.
상기 세로부재(2a)(2b)에 칸막이부재(3)를 부착할 때에는 상기 결합공(5)에 결합홈(6a)을 일치시킨 후 일치된 결합공(5)과 결합홈(6a)을 통해 결합수단(4)으로써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로 조여 체결함으로써, 세로부재(2a)(2b)의 측면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부재(3)가 부착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칸막이부재(3)를 분리할 때는 체결된 상기 결합수단(4)을 풀고 칸막이부재(3)를 위로 약간 들어올리면서 앞이나 뒤로 빼내면 된다.
상기 결합홈(6a)은 칸막이부재(3)의 돌출부(6)에 형성되어 있어 세로부재(2a)(2b)에 상기 칸막이부재(3)를 부착할 때 가로봉 중에서 다른 것보다 굵은 가로봉(1a)이 상기 결합홈(6a) 내로 삽입되고, 더 굵은 가로봉(1a) 사이의 다른 가로봉(1)들은 돌출부(6) 사이가 빈공간이기 때문에 상기 칸막이부재(3)에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세로부재(2a)(2b)에 칸막이부재(3)를 부착할 때, 결합공(5)에 일치시키는 결합홈(6a)의 위치를 위아래로 변경하면서 일치시킨 후 결합수단(4)에 의해 결합하면, 상기 세로부재(2a)(2b)의 측면에서 위로 올라가는 칸막이부재(3)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칸막이부재(3)와 탈곡통과의 간격도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탈곡망을 걸어 고정하기 위해 세로부재(2)의 일측에는 고정후크부재(7)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후크부재(7)는 상기 세로부재(2)의 한쪽 측면에 플레이트가 용접 또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끝단부 일측면은 일부가 절개되어 있으며, 절개된 절개면 상에는 탈곡실에 설치된 고정봉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홈(7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원호형이면서 격자형태인 본 발명의 상기 탈곡망은 같은 크기와 형태의 탈곡망을 가로부재(1)와 같은 방향의 앞뒤 끝단부에 연결된 단면 ㄷ자 형상의 연결부재(8)로 이어붙여 반원형태의 탈곡망으로 사용하거나, 같은 형태이면서 절반 크기인 탈곡망을 상기 연결부재(8)로 이어붙여 반원보다는 조금 작은 원호형의 탈곡망으로 사용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은 칸막이부재(3a)를 세로부재(2a)(2b)에 완전히 고정부착하여 분리할 수 없도록 하면서 그 높이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부재(3a)의 폭방향 끝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부(6)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6) 내에는 결합장공(6b)이 각각 형성되어, 이 각각의 결합장공(6b)과 세로부재(2a)(2b) 각각에 형성된 결합공(5)을 맞대어 일치시킨 후,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각 결합장공(6b)들을 상하로 이동시키다가 적정한 높이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부착하면, 상기 칸막이부재(3a)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상기 칸막이부재(3a)는 세로부재(2a)(2b)에서 분리할 수 없도록 고정된다.
이때, 상기 칸막이부재(3a)에 형성된 돌출부(6)가 각각 말 그대로 돌출되어 있어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부러질 우려가 있을 정도로 취약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각 돌출부(6)의 한쪽 끝단부 사이를 보강살(9)로 연결하여 강도를 보강해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각 돌출부(6) 사이가 보강살(9)로 연결되어도 안쪽은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 빈공간을 따라 가로봉(1)들이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a : 가로봉 2, 2a,2b : 세로부재
3,3a : 칸막이부재 4 : 결합수단
5 : 결합공 6 : 돌출부
6a : 결합홈 6b : 결합장공
7 : 고정후크부재 7a : 걸림홈
8 : 연결부재 9 : 보강살

Claims (6)

  1. 콤바인에 설치되는 탈곡실의 탈곡통 둘레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탈곡망에 있어서,
    상기 탈곡통의 축심 방향으로 배치되는 봉형상의 가로봉과 상기 가로봉에 직각으로 걸쳐 배치되는 판상의 세로부재로 격자형태의 탈곡망을 구성하되,
    일정한 간격을 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세로부재에 결합수단에 의해 분리가능한 판상의 칸막이부재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2.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칸막이부재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과 세로부재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을 일치시켜, 일치된 상기 결합홈과 결합공을 통해 결합수단을 체결하여 세로부재에 칸막이부재를 부착하되, 상기 칸막이부재에 형성된 결합홈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의 끝단부에서 안쪽으로 길게 이어지는 장공 형태의 홈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실에 설치된 고정봉에 탈곡망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써 상기 세로부재 한쪽 끝단의 일측면에 부착된 고정후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의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볼트와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의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5. 콤바인에 설치되는 탈곡실의 탈곡통 둘레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탈곡망에 있어서,
    상기 탈곡통의 축심 방향으로 배치되는 봉형상의 가로봉과 상기 가로봉에 직각으로 걸쳐 배치되는 판상의 세로부재로 격자형태의 탈곡망을 구성하여, 일정한 간격을 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세로부재에 결합수단에 의해 판상의 칸막이부재를 높이방향으로 연장하여 고정부착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칸막이부재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 내에 형성되는 결합장공과 세로부재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을 일치시켜, 일치된 상기 결합홈과 결합장공에서 결합장공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 사이를 연결한 보강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KR1020100042530A 2010-05-06 2010-05-06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KR101172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530A KR101172471B1 (ko) 2010-05-06 2010-05-06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530A KR101172471B1 (ko) 2010-05-06 2010-05-06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087A true KR20110123087A (ko) 2011-11-14
KR101172471B1 KR101172471B1 (ko) 2012-08-08

Family

ID=4539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530A KR101172471B1 (ko) 2010-05-06 2010-05-06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4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9784A (zh) * 2019-03-29 2019-05-31 新疆农业大学 脱粒凹板筛装置
KR102051491B1 (ko) * 2019-03-21 2019-12-03 강옥자 잡곡 탈곡기
KR20240055507A (ko) 2022-10-20 2024-04-29 이지민 곡물 수확기용 탈곡 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8965B2 (ja) 1998-03-30 2003-05-19 株式会社クボタ 脱穀機
JP3497421B2 (ja) 1999-08-25 2004-02-16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の受網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491B1 (ko) * 2019-03-21 2019-12-03 강옥자 잡곡 탈곡기
CN109819784A (zh) * 2019-03-29 2019-05-31 新疆农业大学 脱粒凹板筛装置
KR20240055507A (ko) 2022-10-20 2024-04-29 이지민 곡물 수확기용 탈곡 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471B1 (ko)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3792B1 (en) Concaves for an agricultural combine
US9723791B1 (en) Concaves for an agricultural combine
KR101680035B1 (ko) 조립식 구조물용 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101172471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콤바인의 탈곡망
US8061114B2 (en) Combine head frame
CA2839707C (en) A partition for an animal stall
KR20110115049A (ko) 철망 지지 프레임 및 그를 이용한 철망 울타리
CN104126373A (zh) 拨禾轮拨指
US9426942B2 (en) Hybrid crop stripper band for a crop pick-up
KR20100043039A (ko) 평판접이식 전복양식쉘터
KR101404424B1 (ko) D.i.y 조립식 창고
RU2721798C2 (ru) Рама жатки, имеющая кронштейновый узел рабочего бруса, установленны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регулировки
JP6971907B2 (ja) コンバイン
KR200282035Y1 (ko) 낚시대 받침대
US9468148B2 (en) Feederhouse arrangement for mounting a header to a combine
BR102016018049A2 (pt) configuração de mancal de rolamento não dividido para um formato de bastão tubular com chave longitudinal, para uso com o carretel de captação de uma colheitadeira
KR20120016790A (ko) 암타이 랙크 밴드
US20110126503A1 (en) Sickle Assembly
KR20190039487A (ko) 양궁용 타깃 어셈블리
CN108934410A (zh) 凹板筛总成及联合收割机
CN202722063U (zh) 横向输入式玉米脱粒机
RU2321991C2 (ru) Решетный стан очистки зерноуборочного комбайна
CA2937624C (en) Concaves for an agricultural combine
JP6516622B2 (ja) 脱穀装置
CN205342350U (zh) 一种收割机脱粒室装配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