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891A - 경편기, 경편지의 제조방법 및 경편지 - Google Patents

경편기, 경편지의 제조방법 및 경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891A
KR20180113891A KR1020170127367A KR20170127367A KR20180113891A KR 20180113891 A KR20180113891 A KR 20180113891A KR 1020170127367 A KR1020170127367 A KR 1020170127367A KR 20170127367 A KR20170127367 A KR 20170127367A KR 20180113891 A KR20180113891 A KR 20180113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quard
front side
bubble
bars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9840B1 (ko
Inventor
히로카즈 다카야마
미노루 오타
가즈히로 오사와
사치코 고이데
이사오 다카오카
Original Assignee
닛폰 마이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마이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마이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21/08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32Thread guide bar assemblies with independently-movable thread guides controlled by Jacquard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2Uppers made of one piec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3/00Flat warp knitting machines
    • D04B23/02Flat warp knitting machin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2Lofty fabric with variab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10B2403/0223Lofty fabric with variab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with apertures, e.g. with one or more mesh fabric pl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3Fabric with at least two, predominantly unlinked, knitted or woven plies interlaced with each other at spaced locations or linked to a common internal co-extensive yarn system
    • D10B2403/0231Fabric with at least two, predominantly unlinked, knitted or woven plies interlaced with each other at spaced locations or linked to a common internal co-extensive yarn system including contracting yarn, e.g. blister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편지에 무늬에 맞춘 요철을 형성할 수 있는 경편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의 경편기는 더블 라셸기로, 프론트측의 한쌍의 자카드바(JB3, JB4)와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JB6, JB7) 사이에 적어도 1매의 가이드바(GB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경편기, 경편지의 제조방법 및 경편지{WARP KNITTING MACHINES, WARP KNITTED FABRIC MANUFACTURING METHOD AND WARP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경편기, 경편지의 제조방법 및 경편지에 관한 것이다.
경편지를 편성하는 경편기로서, 프론트(front)측과 백(back)측의 2열의 편침열을 구비하고, 프론트측 편침열로 프론트측 기포(基布)를, 백측 편침열로 백측 기포를 각각 편성하고, 또한 경편지 중 적어도 일부에서 프론트측 기포와 백측 기포를 연결하는 더블 라셸기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의 공개특허공보 제2008-16953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2매의 자카드바를 구비하는 더블 라셸기가 알려져 있다.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2매의 자카드바를 구비하는 더블 라셸기는, 프론트측의 한쌍의 자카드바와,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와, 프론트측의 한쌍의 자카드바보다 프론트측의 적어도 1매의 가이드바와,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보다 백측의 적어도 1매의 가이드바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프론트측과 백측의 자카드바를 구비하는 더블 라셸기를 사용함으로써, 프론트측 기포 및 백측 기포에 자카드 무늬가 형성된 경편지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더블 라셸기에서 제조한 경편지에 무늬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무늬에 맞추어 요철을 형성하는 것도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신발의 어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효율이 좋은 경편에 의한 제조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신발의 어퍼에 무늬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그 무늬에 맞춘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더블 라셸기에서 제조되는 경편지에서는 표면이 거의 평탄해졌다. 예를 들어, 자카드바에 공급하는 실을 다른 실보다 굵게 함으로써, 접촉했을 때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약간의 요철을 무늬에 맞추어 형성할 수는 있었지만, 언뜻보아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크기의 요철을 무늬에 맞추어 형성할 수는 없었다.
또한, 종래부터 요철을 갖는 포지로서 퀼팅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퀼팅의 제조방법은 우선 표포지 및 이포지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하고, 다음에 표포지와 이포지 사이에 심재를 넣고, 마지막에 봉합하는 방법으로, 복잡한 것이었다. 퀼팅에 구멍을 형성하려고 하면, 제조방법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경편지에 무늬에 맞춘 요철을 형성할 수 있는 경편지, 무늬에 맞춘 요철을 갖는 경편지의 제조방법, 무늬에 맞춘 요철을 갖는 경편지, 및 무늬에 맞춘 요철을 갖는 신발의 어퍼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편기는 프론트측의 한쌍의 자카드바와,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와, 프론트측의 한쌍의 자카드바보다 프론트측의 적어도 1매의 가이드바와,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보다 백측의 적어도 1매의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더블 라셸기로서의 경편기이고, 프론트측의 한쌍의 자카드바와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의 사이에 적어도 1매의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편지의 제조방법은 프론트측 및 백측에 각각 한쌍의 자카드바를 구비하는 더블 라셸기를 사용하여,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를 편성하고, 또한 프론트측 및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의 자카드 기구를 각각 작용시킴으로써,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에, 상기 자카드바로부터 공급되는 자카드사에 의한 자카드 무늬를 형성하는 경편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카드 기구를 작용시킴으로써,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를 상기 자카드사에 의해 연결하는 연결위치와, 연결하지 않는 비연결위치를 설치하고, 프론트측의 한쌍의 자카드바와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1매의 가이드바로,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 사이에 삽입사를 삽입하고,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의 상기 연결위치에서 상기 삽입사를 억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편지는 자카드사가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에 자카드 무늬를 형성하고 있는 경편지에서,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가 상기 자카드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연결위치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비연결위치가 설치되고,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 사이에 삽입사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사가 프론트측 기포와 백측 기포의 상기 연결위치에서 억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발의 어퍼는 상기의 경편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편기에 의하면, 경편지에서의 프론트측 기포와 백측 기포 사이에 삽입사를 삽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본 실시형태의 경편지의 제조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경편지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프론트측 기포와 백측 기포 사이에 삽입사를 삽입하고, 그 삽입사를 프론트측 기포와 백측 기포의 자카드사에 의한 연결위치에서 억압함으로써, 경편지의 무늬에 맞춘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경편지 및 신발의 어퍼에는 무늬에 맞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더블 라셸기의 편성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편 조직도로, (a)는 가이드바(GB2)에 의한 편조직, (b)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기본 조직, (c)는 가이드바(GB5)에 의한 편 조직, (d)는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의한 기본 조직, (e)는 가이드바(GB8)에 의한 편 조직, (f)는 가이드바(GB9)에 의한 편 조직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의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도로, (a)는 후지(厚地) 조직, (b)는 박지(薄地) 조직, (c)는 구멍지 조직, (d)는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조직, (e)는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조직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서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도, (a)는 후지 조직, (b)는 박지 조직, (c)는 구멍지 조직, (d)는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된 경우의 편 조직, (e)는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된 경우의 편 조직도이다.
도 5는 경편지(1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의해 편성된 경편지(10)의 프론트측의 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편 조직도로, (a)는 가이드바(GB2)에 의한 편 조직, (b)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기본 조직, (c)는 가이드바(GB5)에 의한 편 조직, (d)는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기본 조직, (e)는 가이드바(GB8)에 의한 편 조직, (f)는 가이드바(GB9)에 의한 편 조직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에서의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도로, (a)는 프론트 후지 조직, (b)는 프론트측 편침열(FN) 및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편 조직, (c)는 백 박지 조직, (d)는 구멍지 조직, (e)는 다른 구멍지 조직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2에서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도로, (a)는 백 후지 조직, (b)는 프론트측 편침열(FN) 및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편 조직, (c)는 프론트 박지 조직, (d)는 구멍지 조직, (e)는 다른 구멍지 조직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에 의해 편성된 경편지(110)의 프론트측의 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3의 편 조직도로, (a)는 가이드바(GB2)에 의한 편 조직, (b)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기본 조직, (c)는 가이드바(GB5)에 의한 편 조직, (d)는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기본 조직, (e)는 가이드바(GB8)에 의한 편 조직, (f)는 가이드바(GB9)에 의한 편 조직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3에서의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도로, (a)는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편 조직, (b)는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편 조직, (c)는 구멍지 조직에 관한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3에서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도로, (a)는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편 조직, (b)는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편 조직, (c)는 구멍지 조직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3에 의해 편성된 경편지(210)의 프론트측의 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수정된 것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1. 실시형태 1
(1) 경편기의 구조
실시형태 1의 경편기는 프론트측 편침열(FN)과 백측 편침열(BN)을 구비하고, 프론트측 편침열(FN)로 프론트측 기포(1)를 편성하고, 백측 편침열(BN)로 백측 기포(2)를 편성하며, 또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를 이들 기포 중 적어도 일부의 장소에서 연결하는, 소위 더블 라셸기이다. 프론트측 편침열(FN) 및 백측 편침열(BN)은, 각각 다수의 편침이 더블 라셸기의 폭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선 것이다. 게이지는 예를 들어 24E(1인치당 편침의 개수가 24 개)이다.
또한, 실시형태 1의 더블 라셸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측의 한쌍의 자카드바(JB3, JB4)(이하,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와,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JB6, JB7)(이하 「백 자카드바(JB6, JB7)」)를 구비하는, 이른바 더블 자카드 더블 라셸기이다.
자카드바(JB3, JB4, JB6, JB7)는 각각 기본 조직을 편성하기 위한 기본 운동을 한다. 그에 따라, 자카드바(JB3, JB4, JB6, JB7)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자카드 가이드는 기본 조직을 편성하기 위한 기본 운동을 한다.
기본 조직을 편성하기 위한 기본 운동에 추가하여, 이들 자카드 가이드는 각각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독립하여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자카드 가이드는 각각 다른 운동을 할 수 있다. 자카드 기구가 작용하면, 자카드 가이드는 기본 조직의 편성중인 위치보다 1G의 거리(인접하는 2 개의 편침 사이의 거리)만큼 변위한다. 변위의 방향은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의 자카드 가이드가 좌측, 백 자카드바(JB6, JB7)의 자카드 가이드가 우측이다. 자카드 기구는 오버랩시에만 작용시키는 것도, 언더랩시에만 작용시키는 것도, 오버랩과 언더랩시 양쪽일 때에도 작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의 더블 라셸기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보다 프론트측에 적어도 1 개의 가이드바를 구비하고, 백 자카드바(JB6, JB7)보다 백측에 적어도 1 매의 가이드바를 구비한다.
도 1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보다 프론트측의 가이드바로 하고, 2 매의 가이드바(GB1, GB2)를 구비하며, 백 자카드바(JB6, JB7)보다 백측의 가이드바로서, 2 매의 가이드바(GB8, GB9)를 구비한다. 단, 경편지(10)의 편성에서는 프론트측의 2 매의 가이드바(GB1, GB2) 중 적어도 어느 1 매가 사용되면 좋고, 반드시 2 매가 사용될 필요는 없다. 또한, 경편지(10)의 편성에서는 백측의 2 매의 가이드바(GB8, GB9) 중 적어도 어느 1 매가 사용되면 좋고, 반드시 2 매가 사용될 필요는 없다.
또한, 실시형태 1의 더블 라셸기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와, 백 자카드바(JB6, JB7) 사이에 적어도 1 개의 가이드바를 구비한다. 도 1에서는 이러한 가이드바로서, 1 매의 가이드바(GB5)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바(GB1, GB2, GB5, GB8, GB9)는 각각 편 조직을 편성하는 기본 운동을 한다. 가이드바(GB1, GB2, GB5, GB8, GB9)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가이드는 자카드 가이드와 달리, 동일한 가이드바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가이드와 다른 운동을 할 수 없다.
가이드바(GB1, GB2, GB5, GB8, GB9)의 각각에서 1 인치당의 가이드의 개수는 1 인치당 편침의 개수와 동일하다. 그리고, 가이드바(GB1, GB2, GB5, GB8, GB9)의 각각에서, 각 편침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 가이드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자카드바(JB3, JB4, JB6, JB7)는 각각 하프 게이지의 자카드바이다. 그리고, 2 매의 자카드바가 한쌍이 됨으로써, 그 한쌍 전체로 풀게이지가 되고 있다. 즉, 자카드바(JB3, JB4, JB6, JB7)의 각각에서 1 인치당의 자카드 가이드의 개수가 1 인치당의 편침의 개수의 절반이고, 편침 2 개마다 1 개의 자카드 가이드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한쌍이 되는 2매의 자카드바 사이에서, 자카드 가이드의 위치가 편침 1개분 어긋나 있다. 그리고, 2 매의 자카드바가 한쌍이 됨으로써, 편침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자카드 가이드가 갖추어지고, 각 편침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 가이드가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자카드바(JB3과 JB4)가 한쌍이 됨으로써, 편침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자카드 가이드가 갖추어지고, 그들 자카드 가이드가 각 편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자카드바(JB6과 JB7)가 한쌍이 됨으로써, 편침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자카드 가이드가 갖추어지고, 그들 자카드 가이드가 각 편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의 바디 배열에서, 가이드바(GB1)부터 백 자카드바(JB6, JB7)까지가 프론트측 편침열(FN)에 오버랩 가능하고,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부터 가이드바(GB9)까지가 백측 편침열(BN)에 오버랩 가능하다.
실시형태 1의 경편기는 이상의 구조를 제외하면, 주지의 더블 라셸기와 동일한 구조의 것이다.
(2) 경편지(10)의 제조 방법
이상의 구조의 더블 라셸기에서 적어도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보다 프론트측의 가이드바(GB1, GB2) 중 하나에 의해, 프론트측 기포(1)가 편성된다. 또한, 적어도 백 자카드바(JB6, JB7)보다 백측의 가이드바(GB8, GB9) 중 하나에 의해, 백측 기포(2)가 편성된다.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의 편성과 병행하여,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 및 백 자카드바(JB6, JB7)의 자카드 기구가 각각 작용함으로써,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로부터 공급되는 자카드사(이하, 「프론트 자카드사」라고 함) 및 백 자카드바(JB6, JB7)로부터 공급되는 자카드사(이하, 「백 자카드사」라고 함)가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에 넣어 짜여진다.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에 편성된 자카드사는 이들 기포의 표면에 나타나 자카드 무늬를 형성한다.
또한, 자카드 무늬라는 것은 경편지(10)의 표면에 나타나는 자카드사에 의해 형성되는 무늬이다.
또한, 자카드 무늬의 형성과 병행하여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 및 백 자카드바(JB6, JB7)의 자카드 기구가 각각 작용함으로써, 프론트 자카드사 및 백 자카드사가 경편지(10)의 적어도 일부에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를 연결한다.
여기에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의 연결위치와, 상기 연결위치를 제외한 위치(비연결위치)는 자카드사에 의해 형성되므로, 각각 경편지(10)의 표면에 나타나는 자카드 무늬의 구성 요소와 대응한다. 예를 들어, 프론트 자카드사가 백측 기포(2)에 넣어 짜여지고, 백 자카드사가 프론트측 기포(1)에 넣어 짜여짐으로써, 상기 연결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백 자카드사가 프론트측 기포(1)의 표면에 나타나고, 경편지(10)의 프론트측 표면에서의 자카드 무늬의 구성 요소가 된다.
또한,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비연결위치는 각각 복수 코스 및 복수 웨일(wales)에 걸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카드 무늬의 형성 등과 병행하여,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와 백 자카드바(JB6, JB7) 사이의 가이드바(GB5)가,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 사이에 삽입사를 삽입한다. 가이드바(GB5)에 삽입된 삽입사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의 연결위치에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로부터 억압되어 압축된다. 한편,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의 비연결위치에서는 가이드바(GB5)에 삽입된 삽입사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로부터 억압되지 않고, 압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기 비연결위치로 이루어진 부분은 상기 연결위치로 이루어진 부분보다 팽출한다.
이상과 같이 편성된 결과, 경편지(10)의 표면에서, 상기 연결위치로 이루어진 부분이 오목부가 되고, 상기 비연결위치로 이루어진 부분이 팽출하여 볼록부가 된다. 상기 연결위치 및 상기 비연결위치가 경편지(10)의 표면에 나타나는 자카드 무늬와 관련을 가지므로, 경편지(10)에 자카드 무늬에 맞춘 요철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로서는, 프론트측의 가이드바(GB1 또는 GB2)에 의해 프론트측 기포(1)에 사슬편 조직이 형성되고, 백측의 가이드바(GB8 또는 GB9)에 의해 백측 기포(2)에 사슬편 조직이 형성된다. 또한,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의 각각에서 프론트 자카드사 및 백 자카드사가 사슬 편 조직의 인접하는 웨일을 연결하는 위치와, 연결하지 않는 위치가 형성된다. 그 상태에서, 프론트측 기포(1)에서의 인접하는 웨일이 연결되지 않는 위치와 백측 기포(2)에서의 인접하는 웨일이 연결되지 않는 위치가 전후 방향(경편지(10)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 즉 경편지(10)의 표리 방향)과 일치하면, 그 위치에 경편지(10)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3) 구체적인 편성예 1
상기와 같은 경편지(10)의 편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편성예에서의 경편지(10)는 예를 들어 신발의 어퍼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 편성예의 편 조직도를 도 2에 도시한다. 또한 각 편 조직도에서 F는 프론트측 편침열(FN)에 의해 편성되는 코스를 나타내고, B는 백측 편침열(BN)에 의해 편성되는 코스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편성에 가이드바(GB2, GB5, GB8, GB9) 및 자카드바(JB3, JB4, JB6, JB7)가 사용된다.
이 편성에서 가이드바(GB2, GB5, GB8, GB9)에는 각각 실이 풀 세트가 되도록 공급된다. 즉, 가이드바(GB2, GB5, GB8, GB9)의 각각에서 모든 가이드에 실이 공급된다. 그에 의해, 가이드바(GB2, GB5, GB8, GB9)의 각각에, 하나의 편침열이 갖는 편침의 수와 동일한 개수의 실이 공급된다.
또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 및 백 자카드바(JB6, JB7)에도, 각각 실이 풀 세트가 되도록 공급된다. 즉, 자카드바(JB3, JB4, JB6, JB7)의 각각에서 모든 자카드 가이드에 실이 공급된다. 이에 의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의 전체에 대해서 하나의 편침열이 갖는 편침의 수와 동일한 개수의 실이 공급된다. 또한, 백 자카드바(JB6, JB7) 전체에 대해서도 하나의 편침열이 갖는 편침의 수와 동일한 수의 실이 공급된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바(GB2)의 편 조직은 동일한 웨일에서 뜨개코가 형성되는 사슬편 조직이며, 0-1/1-1/1-0/0-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표기에서 홀수번째로 나타나는 것(상기 예에서는 0-1 및 1-0)은 프론트측 편침열(FN)의 편침으로의 작용을 나타내고, 짝수번째로 나타나는 것 (상기 예에는 1-1 및 0-0)은 백측 편침열(BN)의 편침으로의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의 (c)에 나타내는 가이드바(GB5)의 편 조직은 삽입 조직이고, 0-0/1-1/1-1/0-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e)에 도시한 가이드바(GB8)의 편 조직은 사슬편 조직이고, 1-1/1-0/0-0/0-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의 (f)에 나타내는 가이드바(GB9)의 편 조직은 삽입 조직이며, 1-1/0-0/0-0/1-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가이드바(GB2) 및 가이드바(GB8)에 의해,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의 모든 웨일 및 코스에서 뜨개코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가이드바(GB2) 및 가이드바(GB8)에 의한 편 조직은 사슬편 조직이므로, 자카드사없이는 인접하는 웨일끼리 연결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카드사가 인접하는 웨일끼리를 연결한다.
또한, 가이드바(GB5)로 삽입되는 삽입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편지(10)를 팽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가이드바((GB9)에 의해 삽입되는 삽입사는 경편지(10)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에는 자카드바(JB3, JB4, JB6, JB7)에 의한 기본 조직 즉 자카드 기구가 작용하지 않는 경우의 자카드바(JB3, JB4, JB6, JB7)에 의한 편 조직도 나타나 있다. 도 2의 (b)에 나타내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기본 조직은 1-0/1-2/1-2/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의 (d)에 나타내는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기본 조직은 1-0/1-2/1-2/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도 3에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상기의 기본 조직이 파선으로 표시되어 자카드 기구가 작용했을 때의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의 예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각 편 조직도에서 도면 중의 H는 자카드 기구를 작용시키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자카드 가이드는 기본 조직을 편성할 때와 동일한 위치에 있다. 또한, 도면 중의 T는 자카드 기구를 작용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자카드 가이드는 기본 조직을 편성하는 위치로부터 변위하게 된다. T와 H는 1 개의 니들 위치의 상하단에 기재되어 있지만, 상단의 T 또는 H는 오버랩시에 자카드 기구를 작용시키는 것 또는 작용시키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하단의 T 또는 H는 언더랩핑시에 자카드 기구를 작용시키는 것 또는 작용시키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 및 (b)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의 편 조직은 후지 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중 하나이고, 1-0/2-2/2-3/1-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도 3(b)의 편 조직은 박지 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중 하나로, 1-0/2-2/1-2/1-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함으로써, 프론트 자카드사와 가이드바(GB2)로부터 공급되는 실로 프론트측 기포(1)가 형성된다. 이 때 프론트측 기포(1)의 표면(경편지(10)의 프론트측의 표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여기에서 프론트 자카드사는 도 3의 (a)의 후지 조직을 편성하는 경우에는 니들 루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반복 단위 중에서 웨일 방향(위사방향(緯方向))으로 3 침간 왕복하고, 도 3 (b)의 박지 조직을 편성하는 경우에는 니들 루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반복단위 중에서 웨일 방향으로 2침간 왕복한다. 그 때문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가이드바(GB2)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의 다른 웨일끼리를 연결한다. 또한 도 3의 (a)의 후지 조직은 도 3의 (b)의 박지 조직보다 웨일 방향(위사 방향)으로의 진폭이 큰 만큼 프론트측 기포(1)를 두껍게 한다.
도 3의 (c)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동일 웨일 내에서만 랩핑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c)의 편 조직은 구멍지 조직으로 불리는 것 중 하나로, 1-0/0-1/0-1/0-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자카드사는 도 3의 (c)의 구멍지 조직을 편성하는 경우, 가이드바(GB2, GB8)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의 인접하는 웨일을 연결하지 않는다. 또한, 도 3 (c)의 구멍지 조직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프론트측 편침열(FN) 및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하고, 프론트 자카드사가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에 넣어 짜여진다. 그 때문에,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된다.
도 3의 (d) 및 (e)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d)의 편 조직은 1-1/2-3/2-2/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도 3 (e)의 편 조직은 1-1/1-2/2-2/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함으로써, 프론트 자카드사가 백측 기포(2)에 넣어 짜여진다. 이 때 백측 기포(2)의 표면 (경편지(10)의 백측의 표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여기에서, 프론트 자카드사가 도 3의 (d)의 편 조직을 편성하는 경우에는 니들 루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반복 단위 중에서 웨일 방향으로 3 침간 왕복하고,도 3의 (e)의 편 조직을 편성하는 경우에는 니들 루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반복 단위 중에서 웨일 방향으로 2 침간 왕복한다. 그 때문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가이드바(GB8)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의 다른 웨일끼리를 연결한다. 또한, 도 3의 (d)의 편 조직은 도 3의 (e)의 편 조직보다, 웨일 방향(위사 방향)으로의 진폭이 큰 만큼 백측 기포(2)를 두껍게 한다.
도 4에는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상기의 기본 조직이 파선으로 표시되고, 자카드 기구가 작용했을 때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의 예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4의 (a) 및 (b)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백 자카드바(JB6, JB7)가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a)의 편 조직은 후지 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중 하나이며, 1-1/2-3/2-2/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도 4의 (b)의 편 조직은 박지 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중 하나이며, 0-0/1-2/1-1/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백 자카드바(JB6, JB7)가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됨으로써, 백 자카드사 및 가이드바(GB8, GB9)로부터 공급되는 실로 백측 기포(2)가 형성된다. 이 때 백측 기포(2)의 표면(경편지(10)의 백측의 표면)에 백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여기에서, 백 자카드사는 도 4의 (a)의 후지 조직을 편성하는 경우에는 니들 루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반복 단위 중에서 웨일 방향으로 3 침간 왕복하고, 도 4의 (b)의 박지 조직을 편성하는 경우에는 니들 루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반복 단위 중에서 웨일 방향으로 2 침간 왕복한다. 그 때문에, 백 자카드바(JB6, JB7)로부터 공급되는 자카드사가, 가이드바(GB8)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의 다른 웨일끼리를 연결한다. 또한 도 4의 (a)의 후지 조직은 도 4의 (b)의 박지 조직보다 웨일 방향(위사 방향)으로의 진폭이 큰 만큼 백측 기포(2)를 두껍게 한다.
도 4의 (c)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백 자카드바(JB6, JB7)가 동일 웨일 내에서만 랩핑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c)의 편 조직은 구멍지 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중 하나로, 1-0/0-1/1-1/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백 자카드사는 도 4의 (c)의 구멍지 조직을 편성하는 경우, 가이드바(GB2, GB8)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의 인접하는 웨일을 연결하지 않는다. 도 4의 (c)의 구멍지 조직에서는 백 자카드바(JB6, JB7)가 프론트측 편침열(FN) 및 백측 편침열(BN)에 대해서 오버랩하고, 백 자카드사가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넣어 짜여진다. 그 때문에,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된다.
도 4의 (d) 및 (e)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백 자카드바(JB6, JB7)가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d)의 편 조직은 1-0/2-2/2-3/1-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도 4의 (e)의 편 조직은 1-0/1-1/1-2/0-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백 자카드바(JB6, JB7)가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함으로써, 백 자카드사가 프론트측 기포(1)에 넣어 짜여진다. 이 때 프론트측 기포(1)의 표면(경편지(10)의 프론트측 표면)에 백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여기에서, 백 자카드사가 도 4의 (d)의 편 조직을 편성하는 경우에는 니들 루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반복 단위 중에서 웨일 방향으로 3 침간 왕복하고, 도 4의 (e)의 편 조직을 편성하는 경우에는 니들 루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반복 단위 중에서 웨일 방향으로 2 침간 왕복한다. 그 때문에, 백 자카드사가 가이드바(GB2)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의 다른 웨일끼리를 연결한다. 또한 도 4의 (d)의 편편 조직은 도 4 (e)의 편편 조직보다 웨일 방향(위사 방향)으로의 진폭이 큰 만큼 프론트측 기포(1)를 두껍게 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도 3의 (a) ~ (e) 중 하나의 편 조직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각 편성 위치에서 선택된다. 그와 함께, 도 4의 (a) ~ (e) 중 하나의 편 조직이,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각 편성 위치에서 선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편성위치에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과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의 조합이 실현된다.
이 조합에 따라, 경편지(10)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경편지(10)의 프론트측과 백측의 표면에 특정의 실을 출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편성 위치마다 조합을 변화시킴으로써, 경편지(10)의 프론트측과 백측의 표면에 자카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자카드 무늬에 맞춘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위치에서의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3의 (a) 또는 (b)에 나타낸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하는 편 조직이 선택되고, 동일한 위치에서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4의 (a) 또는 (b)에 나타낸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하는 편 조직이 선택된다. 이 경우, 경편지(10)의 프론트측 표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나고, 백측의 표면에 백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또한, 이 경우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는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어느 위치에서의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3의 (d) 또는 (e)에 나타낸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하는 편 조직이 선택되고, 동일한 위치에서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4의 (d) 또는 (e)에 나타낸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하는 편 조직이 선택된다. 이 경우, 경편지(10)의 프론트측 표면에 주로 백 자카드사가 나타나고, 백측의 표면에 주로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또한, 이 경우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백측 편침열(BN)에 대한 오버랩과, 백측의 한 쌍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한 오버랩이 교대로 이루어지고, 프론트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와 백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가 교차하여 얽힌다. 그에 의해,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서로 끌어 당겨지면서 연결된다.
이렇게 하여, 경편지(10)의 프론트측 표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나는 부분과 백 자카드사가 나타나는 부분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와 백 자카드바(JB6, JB7)에 다른 종류의 실이 공급됨으로써, 경편지(10)의 프론트측 표면에 프론트 자카드 무늬가 형성된다. 동일하게, 경편지(10)의 백측의 표면에 자카드사가 나타나는 부분과 백 자카드사가 나타나는 부분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와 백 자카드바(JB6, JB7)에 다른 종류의 실이 공급됨으로써, 경편지(10)의 백측의 표면에 자카드 무늬가 형성된다.
또한 다른 종류의 실이라는 것은 색상, 광택, 염색의 용이함, 감촉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실을 말한다.
그런데,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되는 삽입사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의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는 연결위치에서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되는 삽입사가,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로부터 억압되어 압축된다. 그 때문에, 상기의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의 연결위치로 이루어진 부분에서는 경편지(10)가 프론트측에도 백측에도 팽출하지 않는다.
한편,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지 않는 비연결위치에서는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되는 삽입사가,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로부터 억압되지 않으므로 압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의 비연결위치로 이루어진 부분에서는 경편지(10)가 프론트측 또는 백측의 적어도 한쪽에 팽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경편지(10)의 표면에, 자카드 무늬에 맞추어 팽출되지 않는 부분인 오목부와 팽출되는 부분인 볼록부로 이루어진 요철이 형성된다.
참고로, 도 5에 경편지(10)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자카드사(3)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위치(5)에서는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되는 삽입사(도시 생략)가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로부터 억압되어 압축되고 있다. 한편,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자카드사(3)에 의해 연결되지 않는 비연결위치(6)에서는 삽입사(4)가 압축되어 있지 않고, 경편지(10)가 팽출되고 있다. 이와 같이 팽출되는 위치와 팽출되지 않는 위치가 형성됨으로써, 경편지(10)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지 않고 팽출되는 부분에서,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 중 어느 한쪽의 기포에서의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가 다른쪽 기포에서의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보다 길면, 싱커 루프가 긴 쪽의 기포의 측에서 경편지(10)가 보다 크게 팽출된다.
예를 들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프론트측 기포(1)에서 뜨개코를 형성하여 웨일 방향으로 3 침간 왕복하는 도 3의 (a)의 후지 조직이 선택된다. 그와 함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백측 기포(2)에서 뜨개코를 형성하고 웨일 방향으로 2 침간 왕복하는 도 4의 (b)의 박지 조직이 선택된다. 이 경우, 프론트측 기포(1)에서의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가 백측 기포(2)에서의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보다 길어지므로, 경편지(10)가 프론트측으로 보다 크게 팽출한다.
또한, 어느 위치에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3 (c)의 구멍지 조직이 선택되고, 동일한 위치에서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4의 (c)의 구멍지 조직이 선택된다. 이에 의해, 프론트측 기포(1)에서의 인접하는 웨일이 연결되지 않는 비연결위치와 백측 기포(2)에서의 인접하는 웨일이 연결되지 않는 비연결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일치하고, 경편지(10)에서의 그 위치에 구멍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도 3의 (c)의 구멍지 조직 및 도 4의 (c)의 구멍지 조직은 상기와 같이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를 연결하기 위해, 구멍의 개방단에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된다.
실시형태 1에서 사용되는 실의 소재나 두께(섬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실로서는 필라멘트사나 스판사 등의 여러 가지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실의 재료로서는 실크나 면 등의 천연 섬유나, 폴리에스테르제나 나일론제의 합성 섬유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바(GB5)로부터 삽입되는 삽입사의 굵기가 변하면, 경편지(10) 팽출량이 변한다. 경편지(10)의 팽출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바(GB5)에 공급되는 삽입사는, 그 밖의 실보다 굵은 것이 바람직하고, 항장식 번수(dtex)가 자카드사의 3 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이드바(GB2, GB8)에는 100 dtex 이하의 폴리에스테르사가 공급되고, 가이드바(GB9)에는 100 ~ 200 dtex의 폴리에스테르사가 제공되며, 자카드바(JB3, JB4, JB6, JB7)에는 100 ~ 200 dtex의 폴리에스테르사가 공급되고, 가이드바(GB5)에는 500 ~ 700 dtex의 폴리에스테르사가 공급된다.
또한, 실의 소재나 굵기에 관해서는 하기의 실시형태 2 및 실시형태 3에서도 이상과 동일하게 말할 수 있다.
(4) 경편지(10)의 구체예
상기 편성예 1에서 편성된 경편지(10)의 프론트측의 면을 도 6에 예시한다. 이 경편지(10)는 신발의 어퍼에 사용되는 어퍼부(11)와 그 주변부(12)가 일체로 편성된 것이다. 어퍼부(11)는 발끝부(20), 전방부(21), 발등부(22), 사이드부(23), 상부(24), 후부(25), 발뒤꿈치부(26)로 이루어진 무늬를 갖는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경편지(10)의 편성에 있어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오렌지색의 실이 공급되고, 가이드바(GB2, GB5, GB8, GB9) 및 백 자카드바(JB6, JB7)에 백색의 실이 공급된 것으로 한다.
어퍼부(11) 및 주변부(12)는 가이드바(GB2, GB5, GB8, GB9)에 의해 도 2의 편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 및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편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발끝부(20)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3의 (a)의 후지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4의 (b)의 박지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발끝(20)의 프론트측의 표면은,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로부터 공급된 실의 색인 오렌지색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발끝부(20)는 팽출되어 볼록이 되어 있다.
전방부(21) 및 발등부(22)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3의 (d)의 편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4의 (d)의 편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방부(21) 및 발등부(22)의 프론트측의 표면은 백 자카드바(JB6, JB7)로부터 공급된 실의 색상인 흰색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방부(21) 및 발등부(22) 중의 복수의 위치에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3의 (c)의 구멍지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4의 (c)의 구멍지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에 의해 복수의 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30)은 신발에서의 통기공이 된다. 도 3 의 (c)의 구멍지 조직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해서도 오버랩되므로, 전방부(21) 및 발등부(22)의 프론트측 표면에서의 구멍(30)의 개구단에는 오렌지색의 실도 보인다.
전방부(21) 및 발등부(22)에서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된 삽입사가, 프론트측과 백측으로부터 억압되어 압축된다. 그 때문에, 전방부(21) 및 발등부(22)는 팽출되지 않는다.
상부(24)에서는 도 3의 (d) 및 도 4의 (d)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부분과, 도 3의 (e) 및 도 4의 (e)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체크 무늬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부(24)의 프론트측의 표면은 백 자카드바(JB6, JB7)로부터 공급된 실의 색인 백색으로 되어 있다. 단, 도 3의 (e) 및 도 4의 (e)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부분에서는 프론트측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오렌지색의 실도 보인다. 이는 도 3의 (e) 및 도 4의 (e)의 편 조직이 비교적 얇은 생지를 만들기 때문이고, 또한 오렌지색이 두드러지는 색이기 때문이다. 또한, 어느 쪽의 편 조직의 조합도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를 연결하므로, 이들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상부(24)에서는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된 삽입사가 억압되어 압축된다. 그 때문에 상부(24)는 팽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24)의 복수의 소정의 위치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3 (c)의 구멍지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4 (c)의 구멍지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부(24)의 복수의 소정의 위치에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31)은 신발끈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된다. 상기의 구멍(30)과 동일하게, 상부(24)의 구멍(31)의 개구단에서도 프론트측으로부터 오렌지색의 실이 보인다.
사이드부(23)에서는 도 3의 (d) 및 도 4의 (d)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1 직선부(36)와, 도 3의 (a) 및 도 4의 (a)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2 직선부(37) 가 각각 비스듬한 직선을 형성하고, 또한 교대로 늘어서 있다. 도 3의 (d) 및 도 4의 (d)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1 직선부(36)와, 도 3의 (a) 및 도 4의 (a)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2 직선부(37)에서는 색이 반전되므로, 사이드부(23)에는 오렌지색과 백색의 줄무늬가 형성된다. 프론트측의 표면에서는 도 3의 (d) 및 도 4의 (d)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1 직선부(36)가 흰색이고, 도 3의 (a) 및 도 4의 (a)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2 직선부(37)가 오렌지색이다.
또한, 사이드부(23)에서, 도 3의 (d) 및 도 4의 (d)의 편 조직은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를 연결하므로, 이들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1 직선부(36)는 팽출하지 않는다. 한편, 도 3의 (a) 및 도 4의 (a)의 편 조직은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를 연결하지 않으므로, 이들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제2 직선부(37)는 팽출한다. 그 결과, 사이드부(23)에는 상기 줄무늬에 맞춘 요철이 형성된다.
후부(25)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3의 (a)의 후지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4의 (b)의 박지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부(25)의 프론트측 표면은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로부터 공급된 실의 색인 오렌지색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후부(25)는 팽출되어 볼록으로 되어 있다.
또한, 후부(25)의 복수의 소정의 위치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3의 (c)의 구멍지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4의 (c)의 구멍지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후부(25)의 복수의 소정 위치에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32)의 개구단에서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 있다. 이들 구멍(32)은 신발의 통기공이 된다.
발뒤꿈치부(26)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3의 (d)의 편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4의 (d)의 편 조직이 형성되어있다. 도 3의 (d) 및 도 4의 (d)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부분에서는 프론트측의 표면은 백 자카드바(JB6, JB7)로부터 공급된 실의 색인 백색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발뒤꿈치부(26)는 도 3의 (a) 및 도 4의 (b)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사각형 부분(35)이 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3의 (a) 및 도 4의 (b)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부분에서는 프론트측의 표면은,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로부터 공급된 실의 색인 오렌지색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발뒤꿈치부(26)의 프론트측의 표면에는 흰색 바탕지에 오렌지색의 사각형 부분(35)이 주기적으로 배치된 자카드 무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발뒤꿈치부(26)에서는 도 3의 (d) 및 도 4의 (d)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부분에서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고, 도 3의 (a) 및 도 4의 (b)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사각형 부분(35)에서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도 3의 (a) 및 도 4의 (b)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오렌지색의 사각형 부분(35)이 그 주위에 대하여 팽출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각부의 경계 부분에서, 예를 들어 발끝부(20)와 동일한 편 조직으로 한다. 이에 의해, 경편지(10)의 프론트측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각부의 경계 부분이 오렌지색으로 팽출한 명료한 경계선이 된다.
이상을 정리하면, 경편지(10)의 프론트측의 표면에서는 발끝부(20), 사이드 부(23)의 제2 직선부(37), 후부(25), 발뒤꿈치부(26)의 사각형 부분(35), 각부의 경계 부분이 오렌지색으로 팽출한 볼록부가 되어 있고 전방부(21), 발등부(22), 상부(24), 사이드부(23)의 제1 직선부(36), 발뒤꿈치부(26)의 사각형 부분(35) 이외의 부분이 백색으로 팽출되어 있지 않은 오목부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편지(10)의 프론트측의 표면에는 자카드 무늬 및 이에 맞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편지(10)의 백측의 표면에는, 프론트 자카드사와 백 자카드사 중 프론트측의 표면에 나타나지 않는 쪽의 실이 주로 나타난다. 그 때문에, 백측의 표면에는 프론트측 표면과 색이 역전된 자카드 무늬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경편지(10)의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에 자카드 무늬가 형성되고, 또한 자카드 무늬에 맞춘 요철이 형성된다.
또한 주변부(12)는 도 3의 (d) 및 도 4의 (d)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부분과, 도 3 (b) 및 도 4의 (b)의 편 조직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소정 코스마다 교대 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 있다.
(5) 편성 후의 공정
편성된 후의 경편지(10)는 볼록부의 볼륨을 내기 위해, 보일 등의 방법으로 가열된다. 가열은 예를 들면 95 ~ 100 ℃에서 20 ~ 30 분 실시된다. 그 후, 편성 후의 경편지(10)에 대하여 열 세팅 등의 마무리 가공이 실시된다. 마무리 가공 후의 경편지(10)에서 볼록부의 높이(오목부 표면의 저부부터 볼록부의 정점까지의 높이)가 1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제로 더블 라셸기에서 편성되는 경편지(10)는 복수의 어퍼부(11)가 종횡으로 늘어선 것이다. 편성 후의 적당한 공정에서 1 매의 경편지(10)로부터 복수의 어퍼부(11)가 잘라내어져 채취된다.
(6) 효과
실시형태 1의 경편기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와 백 자카드바(JB6, JB7) 사이에 가이드바(GB5)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 사이에 삽입사를 삽입할 수 있다.
경편지(10)의 편성시에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 및 백 자카드바(JB6, JB7)가 자카드사에 의해, 프론트측 기포(1)의 표면(즉 경편지(10)의 프론트측의 표면)과 백측 기포(2)의 표면(즉 경편지(10)의 백측의 표면)에 자카드 무늬를 형성하면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를 연결한다. 이 때,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 사이에 삽입된 삽입사가,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의 연결위치에서는 프론트측 및 백측으로부터 억압되어 압축되고,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의 비연결위치에서 억압되지 않아 압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한 편성의 결과, 경편지(10)가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의 연결위치에서 팽출되지 않고, 비연결위치에서 팽출된 것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경편지(10)에 무늬를 맞춘 요철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프론트측의 가이드바(GB2) 및 백측의 가이드바(GB8)가 각각 사슬편 조직을 편성하고, 또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 및 백 자카드바(JB6, JB7)가 자카드사로 상기 사슬편 조직의 인접하는 웨일을 연결하는 연결위치와, 연결하지 않는 비연결위치를 형성한다. 그리고, 프론트측에서의 상기 사슬편 조직의 인접하는 웨일의 비연결위치와 백측에서의 상기 사슬편 조직의 인접하는 웨일의 비연결위치가 전후 방향(경편지(10)의 표리 방향)과 일치하는지에 의해, 경편지(10)에 구멍(30, 31, 32)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신발의 어퍼에서의 통기공이나 신발끈용 구멍과 같은, 경편지(10)에서의 구멍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경편지(10)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의 어퍼는 용이하게 제조 가능하고, 또한 무늬에 맞추어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는 우수한 디자인성을 갖는 것이다.
2.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에서의 경편기의 구조 및 기본적인 경편지의 제조 방법은 실시형태 1에서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1) 구체적인 편성예 2
실시형태 2의 구성예의 편 조직도를 도 7에 나타낸다. 실시형태 2의 편성 예에서도 편성에 가이드바(GB2, GB5, GB8, GB9) 및 자카드바(JB3, JB4, JB6, JB7)가 사용된다.
이 구성에서 가이드바(GB2, GB5, GB8, GB9)에는 각각 실이 풀세트가 되도록 공급된다. 또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 및 백 자카드바(JB6, JB7)에도 각각 실이 풀세트가 되도록 공급된다.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바(GB2)의 편 조직은 동일한 웨일에서 뜨개코가 형성되는 사슬편 조직이고, 0-1/1-1/1-0/0-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7의 (c)에 나타낸 가이드바(GB5)의 편 조직은 삽입 조직이고, 0-0/1-1/1-1/1-1/1-1/0-0/0-0/0-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7의 (e)에 나타낸 가이드바(GB8)의 편 조직은 사슬편 조직이며, 1-1/1-0/0-0/0-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7의 (f)에 나타내는 가이드바(GB9)의 편 조직은 삽입 조직이고, 1-1/0-0/0-0/1-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가이드바(GB2) 및 가이드바(GB8)를 사용하여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의 모든 웨일 및 코스에서 뜨개코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가이드바(GB2) 및 가이드바(GB8)에 의한 편 조직은 사슬편 조직이므로, 자카드사 없이는 인접하는 웨일끼리 연결되지 않는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카드사가 인접하는 웨일끼리를 연결한다.
또한 가이드바(GB5)에 삽입되는 삽입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편지를 팽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가이드바(GB9)에 의해 삽입되는 삽입사는 경편지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에는 자카드바(JB3, JB4, JB6, JB7)에 의한 기본 조직 즉 자카드 기구가 작용하지 않는 경우의 자카드바(JB3, JB4, JB6, JB7)에 의한 편 조직이 나타나 있다. 도 7의 (b)에 나타내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기본 조직은 1-0/1-1/1-2/0-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7의 (d)에 나타내는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기본 조직은 1-1/1-2/2-2/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도 8에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상기의 기본 조직이 파선으로 표시되어 자카드 기구가 작용했을 때의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의 예가 실선으로 나타나고 있다.
도 8의 (a)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a)의 편 조직은 프론트 후지 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중 하나로, 1-0/1-1/2-3/1-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함으로써, 프론트 자카드사와 가이드바(GB2)로부터 공급되는 실로 프론트측 기포(1)가 형성된다. 또한, 프론트측 기포(1)의 표면(프론트측의 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여기에서 프론트 자카드사가 니들 루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반복 단위 중에서 웨일 방향으로 3 침간 왕복한다. 그 때문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가이드바(GB2)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의 다른 웨일끼리를 연결한다.
도 8의 (b)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프론트측 편침열(FN)과 백측 편침열(BN)의 양쪽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b)의 편 조직은 1-0/1-1/2-3/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2 회의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한 오버랩에 대해 1 회의 백측 편침열(BN)에 대한 오버랩이 실시된다. 이와 같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프론트측 편침열(FN)과 백측 편침열(BN) 양쪽에 대하여 오버랩함으로써,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된다.
여기에서, 프론트 자카드사가 니들 루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반복 단위 중에서 웨일 방향으로 3 침간 왕복한다. 그 때문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가이드바(GB2)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 및 가이드바(GB8)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의 다른 웨일끼리를 연결한다.
도 8의 (c)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c)의 편 조직은 백 박지 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중 하나로, 1-1/1-2/2-2/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함으로써 프론트 자카드사가 백측 기포(2)에 넣어 짜여진다. 이 때, 백측 기포(2)의 표면(백측의 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여기에서, 프론트 자카드사가 니들 루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반복 단위 중에서 웨일 방향으로 2 침간 왕복한다. 그 때문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가이드바(GB8)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의 다른 웨일끼리를 연결한다.
도 8의 (d)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동일 웨일 내에서만 랩핑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d)의 편 조직은 구멍지 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중 하나로, 1-0/0-1/0-1/0-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프론트 자카드사가 가이드바(GB2, GB8)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의 인접하는 웨일을 연결하지 않는다.
또한, 도 8의 (d)의 편 조직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프론트측 편침열(FN) 및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하고, 프론트 자카드사가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에 넣어 짜여지므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된다.
도 8의 (e)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동일 웨일 내에서만 랩핑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e)의 편 조직은 구멍지 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중 하나로, 1-0/0-0/0-1/0-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프론트 자카드사가 가이드바(GB2, GB8)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의 인접한 웨일을 연결하지 않는다. 또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해서만 오버랩되므로, 프론트 자카드사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를 연결하지 않는다.
도 9에는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상기의 기본 조직이 파선으로 표시되고, 자카드 기구가 작용했을 때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의 예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9의 (a)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백 자카드바(JB6, JB7)가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의 편 조직은 백 후지 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중 하나로, 2-2/2-3/2-2/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백 자카드바(JB6, JB7)가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됨으로써, 백 자카드사와 가이드바(GB8, GB9)로부터 공급되는 실로 백측 기포(2)가 형성된다. 이 때 백측 기포(2)의 표면(백측의 면)에 백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여기에서, 백 자카드사가 니들 루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반복 단위 중에서 웨일 방향으로 3 침간 왕복한다. 그 때문에, 백 자카드사가 가이드바(GB8)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의 다른 웨일끼리를 연결한다.
도 9의 (b)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백 자카드바(JB6, JB7)가 프론트측 편침열(FN)과 백측 편침열(BN) 양쪽에 대하여 오버랩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b)의 편 조직은 2-2/2-3/2-3/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2회의 백측 편침열(BN)에 대한 오버랩에 대하여, 1회의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한 오버랩이 실시된다. 이와 같이, 백 자카드바(JB6, JB7)가 프론트측 편침열(FN)과 백측 편침열(BN) 양쪽에 대하여 오버랩함으로써,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된다.
여기서, 백 자카드사가 니들 루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반복 단위 중에서 웨일 방향으로 3 침간 왕복한다. 그 때문에, 백 자카드사가 가이드바(GB2)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 및 가이드바(GB8)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 편 조직의 다른 웨일끼리를 연결한다.
도 9의 (c)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백 자카드바(JB6, JB7)가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c)의 편 조직은 프론트 박지 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중 하나로, 1-0/1-1/1-2/0-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백 자카드바(JB6, JB7)가 프론트측 편침열(FN)에 오버랩됨으로써, 백 자카드사가 프론트측 기포(1)에 넣어 짜여진다. 또한, 프론트측 기포(1)의 표면(프론트측의 면)에 백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여기에서, 백 자카드사가 니들 루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반복 단위 중에서 웨일 방향으로 2 침간 왕복한다. 그 때문에, 백 자카드사가 가이드바(GB2)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의 다른 웨일끼리를 연결한다.
도 9의 (d)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백 자카드바(JB6, JB7)가 동일한 웨일 내에서만 랩핑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d)의 편 조직은 구멍지 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중 하나이며, 1-0/0-1/1-1/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백 자카드사가 가이드바(GB2, GB8)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의 인접한 웨일을 연결하지 않는다. 또한, 도 9의 (d)의 편 조직에서는 백 자카드바(JB6, JB7)가 프론트측 편침열(FN)과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하고, 백 자카드사가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에 넣어 짜여지므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된다.
도 9의 (e)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백 자카드바(JB6, JB7)가 동일 웨일 내에서만 랩핑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e)의 편 조직은 구멍지 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중 하나로, 1-1/0-1/1-1/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백 자카드사가 가이드바(GB2, GB8)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의한 사슬편 조직의 인접한 웨일을 연결하지 않는다. 또한, 백 자카드바(JB6, JB7)가 백측 편침열(BN)에 대해서만 오버랩되므로, 백 자카드사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를 연결하지 않는다.
실시형태 2에서는 도 8의 (a) ~ (e) 중 하나의 편 조직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각 조직 위치에서 선택된다. 그와 함께, 도 9의 (a) ~ (e) 중 하나의 편 조직이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각 편성 위치에서 선택된다. 이렇게 하여, 각 편성위치에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과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의 조합이 실현된다.
이 조합에 따라, 경편지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경편지의 프론트측 및 백측의 표면에 특정의 실을 출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편성 위치마다 조합을 변화시킴으로써, 경편지의 프론트측 및 백측의 표면에 자카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자카드 무늬에 맞춘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위치에서의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8의 (a)에 나타낸 프론트 후지 조직이 선택되어, 동일한 위치에서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9의 (a)에 나타낸 백 후지 조직이 선택된다. 이 경우, 경편지의 프론트측 표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나고, 백측의 표면에 백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또한 이 경우,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는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어느 위치에서의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8의 (c)에 나타낸 백 박지 조직이 선택되어, 그와 동일한 위치에서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9의 (c)에 나타낸 프론트 박지 조직이 선택된다. 이 경우, 경편지의 프론트측의 표면에 백 자카드사가 나타나고, 백측의 표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또한 이 경우, 프론트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와 백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는 직접적으로는 교차하지 않는다. 그러나, 프론트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와 백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 양쪽이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 된 삽입사에 얽힌다. 이에 의해, 프론트측 기포(1)과 백측 기포(2)가 서로 끌어 당기면서 연결된다.
또한, 또 다른 어느 위치에서의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8의 (b)의 편 조직이 선택되어, 동일한 위치에서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9의 (b)의 편 조직이 선택된다. 이 경우, 모든 자카드바(JB3, JB4, JB6, JB7)가 프론트측 편침열(FN)과 백측 편침열(BN) 양쪽에 대하여 오버랩되므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된다. 단,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 쪽이, 백 자카드바(JB6, JB7)보다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많이 랩핑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경우 경편지의 프론트측 표면에는 주로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하여, 경편지의 프론트측 표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나는 부분과 백 자카드사가 나타나는 부분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와 백 자카드바(JB6, JB7)에 다른 종류의 실이 공급됨으로써, 경편지의 프론트측 표면에 자카드 무늬가 형성된다.
동일하게, 경편지의 백측의 표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나는 부분과 백 자카드사가 나타나는 부분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와 백 자카드바(JB6, JB7)에 다른 종류의 실이 공급됨으로써, 경편지의 백측의 표면에 자카드 무늬가 형성된다.
그런데,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되는 삽입사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 사이에 삽입된다. 이 삽입사가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는 연결위치에서 압축되고,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지 않는 비연결위치에서 압축되지 않는다. 따라서, 경편지에 자카드 무늬에 맞춘 요철이 형성되는 점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형태 2의 경우, 경편지의 프론트측 표면에는 도 8의 (a)와 도 9의 (a)의 편 조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나는 볼록부와, 도 8의 (c) 와 도 9의 (c)의 편 조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백 자카드사가 나타나는 오목부와, 도 8의 (b)와 도 9의 (b)의 편 조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나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또한, 오목부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의 연결위치로 이루어진 부분이다.
또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지 않고 팽출되는 부분에서,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 중 어느 한쪽의 기포에서의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가, 다른쪽 기포에서의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보다 길면, 싱커 루프가 긴 기포의 측에서 경편지가 보다 크게 팽출된다. 이 점도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또한, 어느 위치에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8의 (d) 또는 (e)의 구멍지 조직이 선택되어 동일한 위치에서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9의 (d) 또는 (e)의 구멍지 조직이 선택된다. 이에 의해, 그 위치에서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에서 인접한 웨일이 연결되지 않고 경편지에서의 그 위치에 구멍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8의 (d)의 구멍지 조직이 선택되거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9의 (d)의 구멍지 조직이 선택됨으로써, 경편지의 구멍의 개구단에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된다.
(2) 경편지(110)의 구체예
상기 편성예 2에서 편성된 경편지(110)의 프론트측의 면을 도 10에 예시한다. 이 경편지(110)는 신발의 어퍼에 사용되는 어퍼부(111)와 그 주변부(112)가 일체로서 구성된 것이다. 어퍼부(111)는 발끝부(120), 전방부(121), 사이드부(123), 상부(124), 후면(125)로 이루어진 무늬를 갖는다.
이하에 설명하는 경편지(110)의 편성에서 가이드바(GB2) 및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밝은 그레이 색상의 실이 공급되고, 가이드바(GB5, GB8, GB9) 및 백 자카드바(JB6, JB7)에 어두운 그레이 색상의 실이 공급된 것으로 한다.
어퍼부(111) 및 주변부(112)에서는 가이드바(GB2, GB5, GB8, GB9)에 의해 도 7의 편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 및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편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발끝부(120)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8의 (a)의 프론트 후지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9의 (a)의 백 후지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발끝부(120)의 프론트측 표면은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로부터 공급된 실의 색상인 밝은 그레이로 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발끝부(120)는 팽출되어 볼록으로 되어 있다.
전방부(121)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8의 (b)의 편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9의 (b)의 편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방부(121)의 프론트측의 표면은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로부터 공급된 실의 색상에 가까운 밝은 그레이가 되어 있다. 전방부(121)에서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된 삽입사가 프론트측 및 백측으로부터 억압되어 압축된다. 그 때문에, 전방부(121)는 팽출되지 않는다.
또한, 전방부(121) 중 복수의 위치에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8의 (d)의 구멍지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9의 (d)의 구멍지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구멍(1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130)은 신발에서의 통기공이 된다.
상부(124)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8의 (b)의 편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9의 (b)의 편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부(124)의 프론트측의 표면은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로부터 공급된 실의 색에 가까운 밝은 그레이가 되어 있다. 상부(124)에서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된 삽입사가 프론트측과 백측으로부터 억압되어 압축된다. 따라서, 상부(124)는 팽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124) 내의 복수 위치에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8의 (d)의 구멍지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9의 (d)의 구멍지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구멍(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131)은 신발에서의 신발끈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된다.
사이드부(123)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8의 (c)의 백 박지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9의 (c)의 프론트 박지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이드부(123)의 프론트측의 표면은 백 자카드바(JB6, JB7)로부터 공급된 실의 색상인 어두운 그레이가 되어 있다. 사이드부(123)에서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된 삽입사가 프론트측 및 백측으로부터 억압되어 압축된다. 그 때문에, 사이드부(123)는 팽출되지 않는다.
또한 사이드부(123)에는 파형의 모양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모양부(126)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8의 (a)의 프론트 후지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9의 (a)의 백 후지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모양부(126)의 프론트측의 표면은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로부터 공급된 실의 색상인 밝은 그레이가 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모양부(126)는 팽출되어 볼록이 되어 있다.
후부(125)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8의 (b)의 편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9의 (b)의 편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부(125)의 프론트측 표면은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로부터 공급 된 실의 색상에 가까운 밝은 그레이가 되어 있다. 후부(125)에서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된 삽입사가 프론트측 및 백측으로부터 억압되어 압축된다. 그 때문에, 후부(125)는 팽출되지 않는다.
또한 후부(125)에는 파형의 모양부(127)가 형성되어 있다. 모양부(127)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8의 (a)의 프론트 후지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9의 (a)의 백 후지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모양부(127)의 프론트측의 표면은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로부터 공급된 실의 색상인 밝은 그레이로 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모양부(127)는 팽출되어 볼록이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부의 경계 부분에서는, 예를 들어 발끝부(120)와 동일한 편 조직으로 한다. 이에 의해, 경편지(110)의 프론트측의 표면에서, 상기 각 부의 경계 부분이 밝은 회색으로 팽출된 명료한 경계선이 된다.
이상을 정리하면, 경편지(110)의 프론트측의 표면에서는 발끝부(120), 사이드부(123)의 모양부(126), 후부(125)의 모양부(127), 각 부의 경계 부분이 밝은 그레이로 팽출된 볼록으로 되어 있고, 전방부(121), 상부(124), 후부(125)가 밝은 그레이로 팽출되어 있지 않은 오목부로 되어 있으며, 사이드부(123)가 어두운 회색으로 팽출되어 있지 않은 오목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편지(110)의 프론트측의 표면에는 자카드 무늬 및 그에 맞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편지(110)의 백측의 표면에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로부터 공급되는 실과 백 자카드바(JB6, JB7)로부터 공급되는 실 중, 프론트측 표면에 나타나지 않는 쪽의 실이 주로 나타난다. 따라서, 백측의 표면에는 프론트측 표면과 색상이 역전된 자카드 무늬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경편지(110)의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에 자카드 무늬가 형성되고, 또한 자카드 무늬에 맞춘 요철이 형성된다.
또한, 주변부(112)에서는 예를 들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8의 (b)의 편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9의 (b)의 편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있다.
실제로 더블 라셸기로 편성되는 경편지(110)는 복수의 신발의 어퍼 형상의 부분이 가로 세로로 늘어선 것이다. 편성 후의 적당한 공정에서 1 매의 경편지(110)로부터 복수의 어퍼부(111)가 잘라내어져 채취된다.
(3) 효과
실시형태 2에 따르면,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경편지(110)에 무늬에 맞춘 요철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3.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에서의 경편기의 구조 및 기본적인 경편지의 제조 방법은 실시형태 1에서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1) 구체적인 편성예 3
실시형태 3의 편성예의 편 조직도를 도 11에 나타낸다. 실시형태 3의 편성 예에서도 편성에 가이드바(GB2, GB5, GB8, GB9),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 및 백 자카드바(JB6, JB7)가 사용된다.
이 편성에서 가이드바(GB2, GB5, GB8, GB9)에는 각각 실이 풀 세트가 되도록 공급된다. 또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 및 백 자카드바(JB6, JB7)에도 각각 실이 풀 세트가 되도록 공급된다.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바(GB2)의 편 조직은 1-0/0-0/1-2/1-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고, 프론트측 기포(1)에 덴비 조직(Denbigh texture)을 형성한다. 또한, 도 11의 (c)에 나타낸 가이드바(GB5)의 편 조직은 삽입 조직이며, 0-0/1-1/1-1/0-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1의 (e)에 나타낸 가이드바(GB8)의 편 조직은 사슬편 조직이며, 1-1/1-0/0-0/0-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1의 (f)에 나타내는 가이드바(GB9)의 편 조직은 1-1/1-0/0-0/1-2//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고, 백측 기포(2)에 덴비 조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바(GB2) 및 가이드바(GB8, GB9)를 사용하여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의 모든 웨일 및 코스에서 뜨개코를 형성한다. 가이드바(GB5)에 삽입되는 삽입사는 경편지를 팽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1에는 자카드바(JB3, JB4, JB6, JB7)에 의한 기본 조직 즉 자카드 기구가 작용하지 않는 경우의 자카드바(JB3, JB4, JB6, JB7)에 의한 편 조직도 나타나 있다. 도 11의 (b)에 나타내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기본 조직은 1-0/1-1/1-1/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1의 (d)에 나타내는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기본 조직은 0-0/0-1/0-1/0-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도 12에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상기의 기본 조직이 파선으로 표시되고, 자카드 기구가 작용했을 때의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의 예가 실선으로 표시된다.
도 12의 (a)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a)의 편 조직은 1-0/1-1/1-2/1-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됨으로써 프론트 자카드사와 가이드바(GB2)로부터 공급되는 실로 프론트측 기포(1)가 형성된다. 또한, 프론트측 기포(1)의 표면(프론트측의 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도 12의 (b)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b)의 편 조직은 1-1/1-2/1-1/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됨으로써, 프론트 자카드사가 백측 기포(2)에 넣어 짜여진다. 또한, 백측 기포(2)의 표면(백측의 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도 12의 (c)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동일한 웨일 내에서만 랩핑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c)의 편 조직은 구멍지 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중 하나이며, 1-0/0-1/0-1/0-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도 12의 (c)의 편 조직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가 프론트측 편침열(FN) 및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되고, 프론트 자카드사가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에 넣어 짜여지므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된다.
도 13에는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상기의 기본 조직이 파선으로 표시되어 자카드 기구가 작용했을 때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의 예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3의 (a)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백 자카드바(JB6, JB7)가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a)의 편 조직은 1-1/1-2/1-1/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백 자카드바(JB6, JB7)가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됨으로써, 백 자카드사 및 가이드바(GB8, GB9)로부터 공급되는 실로 백측 기포(2)가 형성된다. 또한, 백측 기포(2)의 표면(백측의 면)에 백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도 13의 (b)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백 자카드바(JB6, JB7)가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b)의 편 조직은 1-0/1-1/1-2/1-1//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백 자카드바(JB6, JB7)가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됨으로써, 백 자카드사가 프론트측 기포(1)에 넣어 짜여진다. 또한, 프론트측 기포(1)의 표면(프론트측의 면)에 백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도 13의 (c)는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백 자카드바(JB6, JB7)가 동일 웨일 내에서만 랩핑된 경우의 편 조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c)의 편 조직은 구멍지 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중 하나로, 1-0/0-1/1-1/1-0//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다. 도 13의 (c)의 편 조직에서는 백 자카드바(JB6, JB7)가 프론트측 편침열(FN) 및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되고, 백 자카드사가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에 넣어 짜여지므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된다.
실시형태 3에서는, 도 12의 (a) ~ (c) 중 하나의 편 조직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각 편성위치에서 선택된다. 그와 함께, 도 13의 (a) ~ (c) 중의 하나의 편 조직이,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각 편성위치에서 선택된다. 이렇게 하여, 각 조직 위치에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과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의 조합이 실현된다.
이 조합에 따라, 경편지의 프론트측과 백측의 표면에 특정의 실을 출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편성 위치마다 조합을 변화시킴으로써, 경편지의 프론트측 및 백측의 표면에 자카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자카드 무늬에 맞춘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가이드바(GB2, GB8, GB9)에 의한 편 조직이 인접하는 웨일를 연결하지 않는 편 조직인 경우에는, 상기의 조합에 따라 경편지에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위치에서의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12의 (a)에 나타난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해 오버랩되는 편 조직이 선택되고, 동일한 위치에서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13의 (a)에 나타낸 백측 편침열(BN)에 대하여 오버랩되는 편 조직이 선택된다. 이 경우, 경편지의 프론트측의 표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나고, 백측의 표면에 백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또한, 이 경우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는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어느 위치에서의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12의 (b)에 나타난 백측 편침열(BN)에 대해서 오버랩되는 편 조직이 선택되고, 동일한 위치에서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13의 (b)에 나타낸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하여 오버랩되는 편 조직이 선택된다. 이 경우, 경편지의 프론트측의 표면에 백 자카드사가 나타나고, 백측의 표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난다. 또한, 이 경우,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백측 편침열(BN)에 대한 오버랩과,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프론트측 편침열(FN)에 대한 오버랩이 교대로 이루어져, 프론트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와 백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가 교차하여 얽힌다. 이에 의해,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서로 끌어 당겨지면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여, 경편지의 프론트측 표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나는 부분과 백 자카드사가 나타나는 부분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와 백 자카드바(JB6, JB7)에 다른 종류의 실이 공급됨으로써, 경편지의 프론트측의 표면에 자카드 무늬가 형성된다. 동일하게 경편지의 백측의 표면에 프론트 자카드사가 나타나는 부분과 백 자카드사가 나타나는 부분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와 백 자카드바(JB6, JB7)에 다른 종류의 실이 공급됨으로써 경편지의 백측의 표면에 자카드 무늬가 형성된다.
그런데,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되는 삽입사는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 사이에 삽입된다. 이 삽입사가,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는 연결위치에서 압축되고,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지 않는 비연결위치에서 압축되지 않고, 이에 의해 경편지에 자카드 무늬에 맞춘 요철이 형성된다. 이 점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형태 3에서도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 중 어느 한쪽의 기포에서의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가 다른 기포에서의 자카드사의 싱커 루프보다 길면, 싱커 루프가 긴 쪽의 기포의 측에서 경편지가 보다 크게 팽출된다. 이 점도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또한, 어떤 위치에서의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12의 (c)에 나타낸 구멍지 조직이 선택되고, 동일한 위치에서의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한 편 조직으로서, 도 13의 (c)에 나타낸 구멍지 조직이 선택된다. 그리고, 도 1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2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바(GB2)의 편 조직으로서 사슬편 조직이 선택되어, 가이드바(GB8)의 편 조직으로서 사슬편 조직이 선택되고, 가이드바(GB9)의 편 조직으로서 동일한 웨일만으로의 삽입 조직이 선택된다. 이 경우, 프론트측 기포(1) 및 백측 기포(2)의 동일한 위치에서 사슬편 조직의 인접하는 웨일이 연결되지 않으므로, 경편지에서의 그 위치에 구멍이 형성된다.
(2) 경편지(210)의 구체예
상기 편성예 3에서 편성된 경편지(210)의 프론트측의 면을 도 14에 예시한다. 이 경편지(210)는 방한용 의류, 주머니 형태의 것, 실내용품 등에 사용되는 퀼팅으로서 이용 가능한 것이다. 이 경편지(210)는 세로 방향(경사 방향, 짜는 방향) 및 가로 방향(위사 방향, 폭 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도형부(211)와, 도형부(211)와 도형부(211)를 구획하는 선(212)으로 이루어진 무늬를 갖는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경편지(210)의 편성에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오렌지 색상의 실이 공급되고, 그 이외의 가이드바(GB2, GB5, GB8, GB9) 및 백 자카드바(JB6, JB7)에 백색의 실이 공급된 것으로 한다.
도형부(211) 및 선부(212)에서는 가이드바(GB2, GB5, GB8, GB9)에 의해 도 11의 편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 및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편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도형부(211)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12의 (a)의 편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13의 (a)의 편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형부(211)의 프론트측의 표면은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로부터 공급되는 실의 색상인 오렌지색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된 삽입사가 압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도형부(211)는 팽출되어 볼록부가 되어 있다.
선부(212)에서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의해 도 12의 (b)의 편 조직이 형성되고, 백 자카드바(JB6, JB7)에 의해 도 13의 (b)의 편 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선부(212)의 프론트측의 표면은 백 자카드바(JB6, JB7)로부터 공급되는 실의 색상인 백색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된 삽입사가 압축된다. 그 때문에, 선부(212)는 팽출되지 않고 오목부가 되어 있다.
이상을 정리하면, 경편지(210)의 프론트측의 표면에서는 도형부(211)가 오렌지색으로 팽출된 볼록부가 되어 있고, 선부(212)가 백색으로 팽출되어 있지 않은 오목부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편지(210)의 프론트측의 표면에는 자카드 무늬 및 그에 맞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편지(210)의 백측의 표면에는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로부터 공급되는 실과 백 자카드바(JB6, JB7)로부터 공급되는 실 중 프론트측 표면에 나타나지 않는 쪽의 실이 주로 나타난다. 그 때문에, 백측의 표면에는 프론트측 표면과 색상이 역전된 자카드 무늬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경편지(210)의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에 도형부(211)와 선부(212)로 이루어진 자카드 무늬가 형성되고, 또한 자카드 무늬에 맞춘 요철이 형성된다. 또한, 선부(212)는 퀼팅의 봉합부에 상당한다.
(3) 효과
종래의 퀼팅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표포지 및 이포지가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다음에 표포지와 이포지 사이에 솜(면?) 등의 심재가 넣어지고, 마지막에 소정의 위치에서 봉합되고 있었다.
그러나 실시형태 3에 따르면, 표포지로서의 프론트측 기포(1)와 이포지로서의 백측 기포(2)가 동시에 편성되고, 그 편성과 동시에 가이드바(GB5)로부터의 삽입사가 심재로서 삽입되고, 또한 그와 동시에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가 연결된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 3에 따르면, 종래와 비교하여 비약적으로 효율 좋게 퀼팅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편성을 실시하면서 퀼팅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비약적으로 효율 좋게 구멍이 있는 퀼팅을 제조할 수 있다.
4. 변경예
상기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대한 변경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기의 각 실시형태의 경편지는 이미 예시한 신발의 어퍼 등의 이외에도, 아우터 등의 의료(衣料), 인테리어 용품, 자동차의 내장재나 천장재나 시트재 등의 자동차용 자재, 위생재나 의료용 의료(衣料) 등의 의료용품, 침구, 의자, 배낭의 등부분이나 어깨끈부 등의 다양한 것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성예 1~3은 어디까지나 예이고, 상기 실시형태의 경편기에 따르면 편성예 1~3 이외의 여러가지 편성방법이 실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 색의 실이 준비되어, 1 색의 실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공급되고, 나머지 1 색의 실이 가이드바(GB2, GB5, GB8, GB9) 및 백 자카드바(JB6, JB7)에 공급되었다. 그러나, 사용하는 실의 종류수나, 그 실의 자카드바 및 가이드바에 대한 공급 방법은 상기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3 색의 실이 준비되고, 1 색의 실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에 공급되고, 다른 1 색의 실이 백 자카드바(JB6, JB7)로 공급되며, 나머지 1 색의 실이 가이드바(GB2, GB5, GB8, GB9)에 공급된다.
또한 예를 들어, 프론트 자카드바(JB3, JB4) 또는 백 자카드바(JB6, JB7)에, 자카드바의 폭 방향으로 색상이 변화되도록 여러 색상의 실이 공급된다. 이 경우, 경편지의 폭 방향(위사 방향)으로 색상이 변화되는 자카드 무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위사 삽입 라셸기와 동일한 구조를 이용하여,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 사이에 위사를 삽입사로서 삽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 사이에 위사와 가이드바(GB5)에 의해 삽입된 삽입사가 삽입되므로, 경편지를 더욱 크게 팽출시킬 수 있다. 단, 프론트측 기포(1)와 백측 기포(2) 사이에 위사가 삽입되면, 모든 인접한 웨일끼리 연결되어 버리므로, 경편지에 구멍을 형성할 수 없다.
또한, 프론트측의 한쌍의 자카드바와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 사이에 2 매 이상의 가이드바가 설치되어도 좋다.
FN: 프론트측 편침열 BN: 백측 편침 열
GB1, GB2, GB5, GB8, GB9: 가이드바 JB3, JB4, JB6, JB7: 자카드바
1: 프론트측 기포 2: 백측 기포
3: 자카드사 4: 삽입사
5: 연결위치 6: 비연결위치
10: 경편지 11: 어퍼부
12: 주변부 20: 발끝부
21: 전방부 22: 발등부
23: 사이드부 24: 상부
25: 후방 26: 발뒤꿈치부
30,31,32: 구멍 35: 사각형 부분
36: 제1 직선부 37: 제2 직선부
110: 경편지 111: 어퍼부
112: 주변부 120: 발끝부
121: 전방부 123: 사이드부
124: 상부 125: 후부
126: 모양부 127: 모양부
130, 131: 구멍 210: 경편지
211: 도형부 212: 선부

Claims (7)

  1. 프론트측의 한쌍의 자카드바와,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와, 프론트측의 한쌍의 자카드바보다 프론트측인 적어도 1매의 가이드바와,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보다도 백측인 적어도 1매의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더블 라셸기로서의 경편기에 있어서,
    프론트측의 한쌍의 자카드바와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 사이에 적어도 1매의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경편기.
  2. 프론트측과 백측에 각각 한쌍의 자카드바를 구비하는 더블 라셸기를 이용하여,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를 편성하고, 또한
    프론트측의 한쌍의 자카드바 및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의 자카드 기구를 각각 작용시킴으로써,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에, 상기의 각 자카드바로부터 공급되는 자카드사에 의한 자카드 무늬를 형성하는 경편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카드 기구의 작용에 의해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를 상기 자카드사에 의해 연결하는 연결위치와, 연결하지 않는 비연결위치를 형성하고,
    프론트측의 한쌍의 자카드바와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1매의 가이드바에서,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 사이에 삽입사를 삽입하며,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의 상기 연결위치에서 상기 삽입사를 억압하는, 경편지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프론트측의 한쌍의 자카드바보다 프론트측인 가이드바에서 프론트측의 기포에 사슬편 조직을 형성하고, 백측의 한쌍의 자카드바보다 백측인 가이드 바에서 백측의 기포에 사슬편 조직을 형성하며,
    프론트측과 백측의 기포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자카드사로 상기 사슬편 조직의 인접한 웨일을 연결하는 연결위치와 연결하지 않는 비연결위치를 형성하고,
    프론트측의 기포에서의 상기 사슬편 조직의 인접한 웨일의 비연결위치와, 백측의 기포에서의 상기 사슬편 조직의 인접한 웨일의 비연결위치를 일치시킴으로써, 경편지에 구멍을 형성하는, 경편지의 제조 방법.
  4. 자카드사가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에 자카드 무늬를 형성하고 있는 경편지에 있어서,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가 상기 자카드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연결위치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비연결위치가 형성되고,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 사이에 삽입사가 삽입되며,
    상기 삽입사가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의 상기 연결위치에서 억압되어 있는, 경편지.
  5. 제 4 항에 있어서,
    프론트측의 기포와 백측의 기포의 상기 비연결위치에서, 경편지의 표면이 프론트측 또는 백측 중 적어도 한쪽에 팽출되어 있는, 경편지.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프론트측의 기포 및 백측의 기포에서, 각각 사슬편 조직이 형성되고, 상기 사슬편 조직의 인접한 웨일이 상기 자카드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연결위치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비연결위치가 형성되며,
    프론트측의 기포에서의 인접한 웨일의 상기 비연결위치와 백측의 기포에서의 인접한 웨일의 상기 비연결위치가 경편지의 표리 방향과 일치함으로써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편지.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기재된 경편지를 구비하는, 신발의 어퍼.
KR1020170127367A 2017-04-07 2017-09-29 경편기, 경편지의 제조방법 및 경편지 KR102389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76957A JP6921594B2 (ja) 2017-04-07 2017-04-07 経編機、経編地の製造方法及び経編地
JPJP-P-2017-076957 2017-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891A true KR20180113891A (ko) 2018-10-17
KR102389840B1 KR102389840B1 (ko) 2022-04-22

Family

ID=6004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367A KR102389840B1 (ko) 2017-04-07 2017-09-29 경편기, 경편지의 제조방법 및 경편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385420B1 (ko)
JP (1) JP6921594B2 (ko)
KR (1) KR102389840B1 (ko)
CN (1) CN108691089B (ko)
ES (1) ES2842402T3 (ko)
PL (1) PL3385420T3 (ko)
TW (1) TWI7723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9573A (zh) * 2019-07-31 2019-11-26 武汉纺织大学 一种多贾卡经编机、编织方法及其所得编织织物
DE102019220470B4 (de) 2019-12-20 2023-05-17 Adidas Ag Gestricktes Schuhoberteil mit integralen Ösen
CN111990862B (zh) * 2020-09-04 2022-04-15 杭州汇盛针纺有限公司 一种隔热窗帘
CN113430705B (zh) * 2021-07-09 2024-04-12 福建利港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双贾卡经编织物及其编织工艺
JP7306526B1 (ja) 2022-04-08 2023-07-11 カール マイヤー ストール アールアンドディー ゲーエムベーハー 経編地の編成方法及び経編機
JP7441996B1 (ja) 2023-05-25 2024-03-01 カール マイヤー ストール アールアンドディー ゲーエムベーハー 経編機及び経編地の編成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3361A (ja) * 1999-10-20 2001-05-08 Nippon Mayer Ltd ダブルラッシェル機による柄入り立体成形物及びその編成方法
JP2004019040A (ja) * 2002-06-17 2004-01-22 Nippon Mayer Ltd ダブルニードル列経編機によるパイル経編地の製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8458B2 (ja) * 2003-07-25 2009-06-17 日本マイヤー株式会社 経編地
JP4365775B2 (ja) * 2004-12-02 2009-11-18 日本マイヤー株式会社 ダブルジャカード筬を用いたメッシュスペーサファブリックの製法及び該製法により製造されたスペーサファブリック
JP2008169533A (ja) 2006-12-11 2008-07-24 Nippon Mayer Ltd ジャカード経編地の製編方法と婦人用下着
JP5955282B2 (ja) * 2013-08-05 2016-07-20 南京優尼可国際貿易有限公司 立体構造布帛
CN103556384B (zh) * 2013-11-12 2016-01-20 莆田市华峰工贸有限公司 一种单色或多色双层间隔提花经编布及其编织方法
EP3075893B1 (de) * 2015-04-02 2018-09-12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ar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wirkwa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3361A (ja) * 1999-10-20 2001-05-08 Nippon Mayer Ltd ダブルラッシェル機による柄入り立体成形物及びその編成方法
JP2004019040A (ja) * 2002-06-17 2004-01-22 Nippon Mayer Ltd ダブルニードル列経編機によるパイル経編地の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37257A (zh) 2018-10-16
CN108691089B (zh) 2021-08-03
KR102389840B1 (ko) 2022-04-22
TWI772321B (zh) 2022-08-01
CN108691089A (zh) 2018-10-23
JP6921594B2 (ja) 2021-08-18
PL3385420T3 (pl) 2021-04-06
EP3385420B1 (en) 2020-10-07
EP3385420A1 (en) 2018-10-10
ES2842402T3 (es) 2021-07-14
JP2018178291A (ja)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3891A (ko) 경편기, 경편지의 제조방법 및 경편지
JP5404119B2 (ja) 筒状編地及びその製造方法
CN1782156A (zh) 间隔织物的制法及间隔织物
CN109594190B (zh) 一种换色提花织物的制作工艺
US10829877B2 (en) Warp knitting machine, warp knitted fabric manufacturing method and warp knitted fabric
CN105386229B (zh) 一种提花间隔成型鞋面及其生产方法
CN110093712B (zh) 一种双针床单贾卡经编机地梳配贾卡的织造方法
JP3939884B2 (ja) ダブルラッシェル機による柄入り立体成形物及びその編成方法
JP3608042B2 (ja) 衣料用ジャカードレース編地とその製造方法
CN109680393A (zh) 一种具梭织效果的横机针织方法
CN102783717A (zh) 一体成型的无缝裤袜及其制造方法
CN108866794A (zh) 一种两把半贾卡经编机及其提花织物编织方法
JP6080699B2 (ja) 経編地及びその製造方法
US8051684B2 (en) Knitted tulle
CN109930299B (zh) 一种双贾卡提花面料的制作方法
CN108813810B (zh) 线纹布、鞋垫、线纹布的制作方法、鞋垫的制作方法
CN112442787B (zh) 一种交织编织鞋面及其制作方法
CN109402857B (zh) 一种鞋面网布的制作工艺
JP7306526B1 (ja) 経編地の編成方法及び経編機
CN219772406U (zh) 一种32针精密编织经编网布
CN213172817U (zh) 一种具有多单元嵌入式组织的面料
CN114232187B (zh) 包含针织元件的制品及其形成方法
CN112095214A (zh) 一种具有多单元嵌入式组织的面料、其制作方法及应用
JP6949469B2 (ja) 経編地
CN116288909A (zh) 一种32针精密编织经编网布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