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038A -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 Google Patents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038A
KR20180112038A KR1020187026856A KR20187026856A KR20180112038A KR 20180112038 A KR20180112038 A KR 20180112038A KR 1020187026856 A KR1020187026856 A KR 1020187026856A KR 20187026856 A KR20187026856 A KR 20187026856A KR 20180112038 A KR20180112038 A KR 20180112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eal
communicating
casing
screw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3764B1 (ko
Inventor
도시유키 미야타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8011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8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18/1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 F04C18/1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 F04C18/1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with helical teeth, e.g. chevron-shaped, scre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9/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9/005Structure and composition of sealing elements such as sealing strips, sealing rings and the like; Coating of thes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7/005Axial sealings for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7/008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for other than working fluid, i.e. the sealing arrangements are not between working chambers of the machine
    • F04C27/009Shaft sealing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02Arrangements of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 F04C2240/52Bearings for assemblies with supports on both s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60Shafts
    • F04C2240/601Shaft flex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Mechanical Seal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10)는, 스크루부(14a)와 샤프트부(14c)를 구비하는 스크루 로터(14)와, 베어링(26)과, 스크루부와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시일부(38a)와 샤프트부와 제1 시일부의 사이에 대해 베어링측과 외주면을 연통시키는 제1 연통부(30a)를 구비하는 제1 축봉 장치(30)와, 제1 축봉 장치와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시일부(32a)와 샤프트부와 제2 시일부의 사이에 대해 스크루부측과 외주면을 연통시키는 제2 연통부(32c)를 구비하는 제2 축봉 장치(32)와, 제1 연통부와 제2 연통부 사이에 시일부를 구비하는 제1 시일 부재(50)를 갖는다. 케이싱(12)이, 제1 및 제2 연통부를 대기에 연통하는 대기 연통부(12m)를 구비한다. 제1 연통부의 단면적이, 제1 시일 부재의 시일부와 샤프트부 사이의 단면적에 비해 크다.

Description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본 발명은,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서로 맞물리는 수형 스크루 로터의 스크루부와 암형 스크루 로터의 스크루부 사이에 윤활유(오일)가 공급되지 않는, 이른바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는, 스크루 로터의 스크루부를 수용하는 로터실 내에, 스크루 로터의 샤프트부를 지지하는 베어링에 공급된 윤활유가 침입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스크루 압축기 내로의 흡기가 제한된 상태에서의 운전인 언로드 운전에 의해 로터실 내에 부압이 발생하고 있을 때, 베어링의 윤활유가 로터실 내에 침입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는, 스크루 로터의 샤프트부에 외부 삽입되고, 스크루 로터의 스크루부와 베어링 사이에 배치된 통형의 제1 및 제2 축봉 장치를 갖는다. 제1 축봉 장치는, 스크루 로터의 스크루부측에 배치되고, 내주면에 마련된 시일부와, 그 시일부에 대해 베어링측에 마련되어 내주면측과 외주면측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갖는다. 한편, 제2 축봉 장치는, 제1 축봉 장치의 베어링측에 배치되고, 내주면에 마련된 시일부와, 그 시일부에 대해 스크루 로터의 스크루부측에 마련되어 내주면측과 외주면측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갖는다. 제1 축봉 장치의 연통부는, 스크루 로터를 수용하는 케이싱에 형성된 제1 대기 연통부를 거쳐서 케이싱 외부의 대기에 연통하고 있다. 한편, 제2 축봉 장치의 연통부는, 케이싱에 형성된 제2 대기 연통부를 거쳐서 케이싱 외부의 대기에 연통하고 있다.
언로드 운전에서는, 로터실 내에 발생한 부압에 의해, 제1 축봉 장치가 갖는 연통부로부터 케이싱 외부의 대기가 유입된다. 그러나 제1 축봉 장치가 갖는 연통부만으로는 제2 축봉 장치 내주면의 시일부에 부압이 발생하여, 로터실에 미량의 윤활유가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시일부에 발생하는 부압을 해소하고, 윤활유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축봉 장치에 갖는 연통부로부터도 케이싱 외부의 대기가 유입된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61-14428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의 케이싱은, 제1 대기 연통부와 제2 대기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번잡하다.
또한, 제1 및 제2 대기 연통부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스크루 로터의 회전 중심선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들 대기 연통부와 연통되는 제1 축봉 장치의 연통부와 제2 축봉 장치의 연통부를, 스크루 로터의 회전 중심선의 연장 방향으로 서로 접근시켜 배치하는 것이 제한된다. 즉, 제1 축봉 장치의 연통부와 제2 축봉 장치의 연통부 사이의 거리가 필연적으로 길어진다. 그것에 수반하여, 스크루 로터의 스크루부와 베어링 사이의 거리도 필연적으로 길어진다. 바꾸어 말하면, 스크루부의 양측의 샤프트부를 각각 지지하는 2개의 베어링 사이의 거리도 필연적으로 길어진다.
그 결과, 스크루 로터(특히 샤프트부)는 휘기 쉬워진다. 스크루 로터가 휘면, 스크루 압축기의 성능, 예를 들어 체적 효율 등이 저하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고 스크루 로터의 휨이 억제되는 구성을 구비하는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스크루부와 샤프트부를 구비하는 스크루 로터와,
상기 샤프트부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샤프트부에 외부 삽입되어, 상기 스크루부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샤프트부에 대향하는 제1 시일부와,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제1 시일부 사이에 대해 상기 베어링측과 외주면을 연통시키는 제1 연통부를 구비하는 제1 축봉 장치와,
상기 샤프트부에 외부 삽입되어, 상기 제1 축봉 장치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샤프트부에 대향하는 제2 시일부와,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제2 시일부 사이에 대해 상기 스크루부측과 외주면을 연통시키는 제2 연통부를 구비하는 제2 축봉 장치와,
상기 스크루부가 수용되는 로터실과, 상기 샤프트부, 상기 베어링, 상기 제1 축봉 장치 및 상기 제2 축봉 장치가 수용되는 샤프트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과,
상기 샤프트부에 외부 삽입되고, 상기 제1 연통부와 상기 제2 연통부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부에 대향하여 양 연통부를 이격시키는 환형의 시일부를 구비하는 제1 시일 부재를 갖고,
상기 케이싱이, 상기 샤프트 수용 공간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연통부의 양쪽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연통부를 대기에 연통하는 대기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통부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이, 상기 제1 시일 부재의 시일부와 상기 샤프트부 사이의 유로 단면적에 비해 큰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가 제공된다.
제1 축봉 장치의 제1 연통부를 대기에 연통하기 위한 대기 연통부와 제2 축봉 장치의 제2 연통부를 대기에 연통하기 위한 대기 연통부를 케이싱에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즉 2개의 대기 연통부를 케이싱에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케이싱의 구조가 심플하고, 그것에 의해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1 축봉 장치의 제1 연통부와 제2 축봉 장치의 제2 연통부의 양쪽을 하나의 대기 연통부를 거쳐서 대기에 연통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1 축봉 장치의 제1 연통부를 대기에 연통하기 위한 대기 연통부와 제2 축봉 장치의 제2 연통부를 대기에 연통하기 위한 대기 연통부를 케이싱에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제1 연통부와 제2 연통부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수반하여, 스크루 로터와 베어링 사이의 거리도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크루 로터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통부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이 제1 시일 부재의 시일부와 스크루 로터의 샤프트부 사이의 유로 단면적에 비해 크기 때문에, 대기 연통부를 거쳐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대기는, 제1 축봉 장치의 제1 연통부로 유입된다. 이에 의해, 대기가 제2 축봉 장치의 제2 연통부로 들어가 제1 시일 부재의 시일부와 샤프트부 사이를 통과하여 로터실을 향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로서, 제2 축봉 장치의 시일부와 샤프트부 사이에서의 부압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그 부압에 의해 베어링의 윤활유가 제2 축봉 장치의 시일부와 샤프트부 사이로 유인되고, 그 유인된 윤활유가 최종적으로 로터실로 진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에 의하면, 제조가 용이하고 스크루 로터의 휨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이들 태양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와 관련된 다음 기술로부터 명백해진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스크루 로터의 회전 중심선의 연장 방향으로 본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의 개략적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제1 및 제2 축봉 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제1 및 제2 축봉 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가 자세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정면도.
도 7은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에 대해, 제2 축봉 장치의 연통부에 대한 제1 축봉 장치의 연통부의 상대 위치가 상이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의 개략적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의 대기 연통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의 대기 연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의 대기 연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의 개략적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실시 형태의 개량 형태에 관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의 개략적 정면도.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실시 형태의 다른 개량 형태에 관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의 개략적 정면도.
도 14는 도 11에 나타낸 실시 형태의 다른 개량 형태에 관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의 개략적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의 부분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의 부분 단면도.
이하, 적절하게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필요 이상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이미 잘 알려진 사항의 상세 설명이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이하의 설명이 불필요하게 장황해지는 것을 피하여, 당업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발명자(들)는, 당업자가 실시 형태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 도면 및 이하의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들에 의해 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이하, 「스크루 압축기」라고 칭함)의 내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스크루 압축기의 스크루 로터의 회전 중심선 연장 방향(X축 방향)으로 본 스크루 압축기(10)의 개략적 정면도이며, 일부의 구성 요소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은, 도 2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 A로 본 스크루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루 압축기(10)는, 케이싱(12)을 갖는다. 또한, 스크루 압축기(10)는, 케이싱(12) 내에 수용된 수형 스크루 로터(14) 및 암형 스크루 로터(16)를 갖는다.
또한, 수형 스크루 로터(14)와 암형 스크루 로터(16)에 대해, 서로 비접촉인 상태에서 맞물리는 스크루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수형 스크루 로터(14)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암형 스크루 로터(16)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형 스크루 로터(14)는, 스크루부(14a)와, 스크루부(14a)의 양단부(그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의 양단부)에 마련된 샤프트부(14b, 14c)를 갖는다.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스크루부(14a)는, 암형 스크루 로터(16)의 스크루부(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케이싱(12)의 로터실(12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로터실(12a)은, 공기를 그 내부에 도입하기 위해, 케이싱(12) 내에 형성된 흡인용 유로(12b)를 거쳐서, 케이싱(12)의 외면에 형성된 흡인 포트(12c)에 연통되어 있다. 로터실(12a)은 또한, 수형 스크루 로터(14) 및 암형 스크루 로터(16)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케이싱(12)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해, 토출용 유로(12d)를 거쳐서 토출 포트(12e)에 연통되어 있다.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한쪽 샤프트부(14b)(도 1에 있어서 좌측)의 선단측에는, 구동 기어(18)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동 기어(18)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다른 쪽 샤프트부(14c)(도 1에 있어서 우측)의 선단측에는, 타이밍 기어(20)가 마련되어 있다. 이 타이밍 기어(20)에 맞물리는 타이밍 기어(도시하지 않음)가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암형 스크루 로터(16)의 샤프트부(도시하지 않음)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형 스크루 로터(14)는, 복수의 베어링(22, 24, 26, 2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샤프트부(14b, 14c)의 선단측에 볼 베어링(22, 28)이 배치되고, 스크루부(14a)측에 롤러 베어링(24, 26)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22, 24, 26, 28)에 대해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윤활용 유로(12f, 12g)가 케이싱(12) 내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12)에는,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b, 14c)와, 베어링(22, 24, 26, 28)을 수용하는 샤프트 수용 공간(12h, 12j)이 형성되어 있다. 윤활용 유로(12f)는, 샤프트부(14b)에 외부 삽입된 상태의 베어링(22, 24) 사이에 있어서의 샤프트 수용 공간(12h)의 부분에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케이싱(1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윤활용 유로(12g)는, 샤프트부(14c)에 외부 삽입된 상태의 베어링(26, 28) 사이에 있어서의 샤프트 수용 공간(12j)의 부분에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케이싱(1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윤활용 유로(12f, 12g)는, 윤활유를 토출시키는 오일 펌프의 토출 포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 기어(18)가 회전되면, 수형 스크루 로터(14)가 회전함과 동시에, 타이밍 기어(20)를 거쳐서 암형 스크루 로터(16)가 회전한다. 그것에 의해, 흡인 포트(12c)를 거쳐서 로터실(12a) 내에 공기가 도입되고, 도입된 공기는 동기 회전하는 수형 스크루 로터(14)와 암형 스크루 로터(16)에 의해 압축된다. 압축된 공기는, 토출 포트(12e)를 거쳐서 케이싱(12)의 외부로 토출된다.
스크루 압축기(10)는, 로터실(12a) 내의 압축 공기가 외부(샤프트 수용 공간(12h, 12j))로 누설되지 않도록, 또한 복수의 베어링(22, 24, 26, 28)의 윤활유가 로터실(12a) 내에 침입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루 압축기(10)는 로터실(12a) 내의 압축 공기의 외부로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한 제1 축봉 장치(30)와, 윤활유의 로터실(12a) 내로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한 제2 축봉 장치(32)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축봉 장치(30) 및 제2 축봉 장치(32)는,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b, 14c) 각각에 외부 삽입 가능한 통형이며, 베어링(24)과 로터실(12a) 사이 및 베어링(26)과 로터실(12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축봉 장치(30)는, 제2 축봉 장치(32)에 대해 로터실(12a)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부터는, 제1 축봉 장치(30)와 제2 축봉 장치(32)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b, 14c) 각각에 외부 삽입되어 있는 제1 및 제2 축봉 장치(30, 32)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한쪽의 샤프트부(14c)(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타이밍 기어(20)측)에 외부 삽입되어 있는 제1 및 제2 축봉 장치(30, 32)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며,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타이밍 기어(20)측의 샤프트부(14c)에 외부 삽입된 상태의 제1 축봉 장치(30) 및 제2 축봉 장치(32)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는 샤프트부(14c)로부터 벗겨진 상태의 제1 축봉 장치(30) 및 제2 축봉 장치(32)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1 축봉 장치(30)는, 통형의 본체부(34)와, 2개의 시일 링(36, 38)을 갖는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축봉 장치(30)의 통형의 본체부(34)는,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에 외부 삽입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34)는 케이싱(12)의 샤프트 수용 공간(12j)의 내주면(12k)과 대향하는 외주면(34a)을 구비한다. 또한, 본체부(34)에는, 샤프트 수용 공간(12j)의 내주면(12k)과 외주면(34a) 사이를 시일하기 위해, 외주면(34a)에 환형의 탄성 부재(40)(예를 들어, O링)가 장착되어 있다.
2개의 시일 링(36, 38)은,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에 외부 삽입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시일 링(36, 38)은, 그 내주면에, 샤프트부(14c)의 외주면(14d)에 대향하는 시일부(36a, 38a)(제1 시일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시일부(36a, 38a)는, 시일면이다. 이 시일부(36a, 38a)에 의해, 시일 링(36, 38)과 샤프트부(14c)의 외주면(14d) 사이가 시일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축봉 장치(30)의 본체부(34)는, 2개의 시일 링(36, 3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일 링(36, 38)과 본체부(34)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시일 링(36, 38) 각각은 가압 부재(42, 44)에 의해 본체부(34)를 향해 가압되고 있다. 가압 부재(42)는 케이싱(12)과 시일 링(36) 사이에 배치되고, 가압 부재(44)(제1 가압 부재)는 시일 링(38)과 제2 축봉 장치(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42, 44)는, 예를 들어 웨이브 스프링이다. 이에 의해, 본체부(34)와 시일 링(36, 38) 사이가 시일되어 있다.
제1 축봉 장치(30)에 의해, 로터실(12a) 내의 압축 공기의 샤프트 수용 공간(12j) 내로의 누설이 방지되고, 로터실(12a) 내의 압축 공기는 토출용 유로(12d)를 거쳐서 토출 포트(12e)를 향해 흐른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2 축봉 장치(32)는, 일체 구조의 통형의 부재이며,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에 외부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통형의 제2 축봉 장치(32)는 또한, 그 내주면에, 샤프트부(14c)의 외주면(14d)에 대향하는 시일부(32a)(제2 시일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이 시일부(32a)는 비스코 시일이다. 제2 축봉 장치(32)는 또한, 케이싱(12)의 샤프트 수용 공간(12j)의 내주면(12k)과 대향하는 외주면(32b)을 구비한다. 외주면(32b)에는, 샤프트 수용 공간(12j)의 내주면(12k)과 외주면(32b) 사이를 시일하기 위한 환형 탄성 부재(46)(예를 들어, O링)가 장착되어 있다.
제2 축봉 장치(32)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윤활용 유로(12g)를 거쳐서 베어링(26, 28)에 공급된 윤활유의 로터실(12a) 내로의 침입이 억제된다.
제1 및 제2 축봉 장치(30, 32)를 사용하는 것 외에도, 압축 공기의 로터실(12a)로부터의 누설 및 윤활유의 로터실(12a) 내로의 침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도록, 스크루 압축기(10)는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형 스크루 로터(14)(및 암형 스크루 로터(16))가 고속 회전하는 경우, 로터실(12a) 내의 압축 공기가 제1 축봉 장치(30)와 고속 회전 중인 샤프트부(14b, 14c) 사이를 통과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스크루 압축기(10)가 언로드 운전 중인 경우, 즉 흡인 포트(12c)에의 공기의 유입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 로터실(12a) 내가 부압이 되고, 그 결과로서 베어링(22, 24, 26, 28)의 윤활유가 제2 축봉 장치(32)와 샤프트부(14b, 14c) 사이를 통과하고, 다음으로 제1 축봉 장치(30)와 샤프트부(14b, 14c) 사이를 통과하여 로터실(12a) 내에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이들 가능성을 고려하여,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스크루 압축기(10)는, 제1 축봉 장치(30)와 수형 스크루 로터(14) 사이를 통과한 압축 공기와, 제2 축봉 장치(32)와 수형 스크루 로터(14) 사이를 통과한 윤활유를 케이싱(12)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축봉 장치(30)는, 그 시일부(38a)에 대해 베어링(26)측의 내주면의 부분과 외주면을 연통시키는 연통부(30a)(제1 연통부)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축봉 장치(32)는, 그 시일부(32a)에 대해 스크루부(14a)측의 내주면의 부분과 외주면을 연통시키는 연통부(32c)(제2 연통부)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통형의 제1 및 제2 축봉 장치(30, 3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결합된 상태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축봉 장치(30)의 제2 축봉 장치(32)측의 단부에, 제2 축봉 장치(32)의 제1 축봉 장치(30)측의 단부(32d)가 결합되는 오목부(34c)가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축봉 장치(30, 32)는,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직경 방향으로 본 경우에 오버랩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1 및 제2 축봉 장치(30, 32)는,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회전 중심선(C)을 중심으로 하는 각도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본체부(34)의 베어링(26)측(제2 축봉 장치(32)측) 단부면에 형성된 절결부(3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5를 아울러 참조하면, 제1 및 제2 축봉 장치(30, 32)가 결합되어 하나의 통형의 구조체가 구성되면, 절결부(34b)에 의해 그 하나의 통형의 구조체에 슬롯 형상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이 슬롯 형상의 관통 구멍이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로서 기능한다.
한편,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복수의 관통 구멍에 의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연통부(32c)는, 시일부(32a)에 대해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스크루부(14a)측(제1 축봉 장치(30)측)에서, 제2 축봉 장치(32)의 내주면측으로부터 외주면측을 향해 관통하고 있다.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 및 제2 축봉 장치(32)의 복수의 연통부(32c)를 대기에 연통하기 위해, 케이싱(12)은 대기 연통부(12m)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대기 연통부(12m)는, 접속 공간부(12n)와 외부 연통부(12p, 12q)를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공간부(12n)는, 제1 및 제2 축봉 장치(30, 32)의 연통부(30a, 32c)의 양쪽에 접속하도록 샤프트 수용 공간(12j)의 내주면(12k)에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연통부(12p, 12q)는, 접속 공간부(12n)와 케이싱(12)의 외부의 대기를 연통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대기 연통부(12m)의 접속 공간부(12n)는, 제1 및 제2 축봉 장치(30, 32)의 외주를 따라 그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또한 제1 및 제2 축봉 장치(30, 32)의 연통부(30a, 32c)의 양쪽에 접속되도록 샤프트 수용 공간(12j)의 내주면(12k)에 형성된 오목부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형 스크루 로터(14)와 암형 스크루 로터(16) 각각에 대해 외부 삽입된 제1 및 제2 축봉 장치(30, 32)의 연통부(30a, 32c)(해칭 부분)와 접속되는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의 접속 공간부(12n)는, 일체화되어 하나의 공통 공간(12r)을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형 스크루 로터(14)와 암형 스크루 로터(16)는, 각각의 회전 중심선(C)이 수평 방향(X-Y면)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케이싱(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접속 공간부(12n)와 암형 스크루 로터(16)의 접속 공간부(12n)가 경사 방향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공통 공간(12r)을 구성하고 있다.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의 한쪽의 외부 연통부(12p)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관통 구멍이며, 상세는 후술하지만, 주로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를 통과하여 접속 공간부(12n)(공통 공간(12r)) 내로 유입된 압축 공기를 케이싱(12)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기능한다.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의 다른 쪽의 외부 연통부(12q)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관통 구멍이며, 상세는 후술하지만,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를 통과하여 접속 공간부(12n)(공통 공간(12r)) 내로 유입된 압축 공기를 케이싱(12)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기능한다. 또한, 이물 걸림 등에 의해 제2 축봉 장치(32)의 시일부(32a)가 손상된 경우에 연통부(32c)를 통과하여 접속 공간부(12n)(공통 공간(12r)) 내로 유입된 윤활유를 케이싱(12)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기능한다. 그 때문에, 외부 연통부(12q)는, 접속 공간부(12n)(공통 공간(12r))의 하부로부터 비스듬히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축봉 장치(30)의 2개의 시일 링(36, 38)(시일부(36a, 38a))과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 사이를 통과한 로터실(12a) 내의 압축 공기는, 주로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를 거쳐서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의 접속 공간부(12n)(공통 공간(12r))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접속 공간부(12n) 내로 유입된 압축 공기는, 외부 연통부(12p 및 12q)를 거쳐서 케이싱(12)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압축 공기가, 제2 축봉 장치(32)와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 사이를 통과하여 베어링(26, 28)측으로 흐르는 것이 더 억제된다.
또한, 제2 축봉 장치(32)의 시일부(32a)가 손상된 경우에 시일부(32a)를 통과한 윤활유는, 복수의 연통부(32c)를 거쳐서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의 접속 공간부(12n)(공통 공간(12r))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접속 공간부(12n) 내로 유입된 윤활유는, 하측의 외부 연통부(12q)를 거쳐서 케이싱(12)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윤활유가, 제1 축봉 장치(30)와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b, 14c) 사이를 통과하여 로터실(12a) 내로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의 접속 공간부(12n)(공통 공간(12r)) 내로 유입된 윤활유는, 시간 경과와 함께 그 자중에 의해 접속 공간부(12n)(공통 공간(12r)) 내의 하부의 오일 저류부(12s)에 모이고, 그 오일 저류부(12s)로부터 경사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연통부(12q)를 거쳐서 케이싱(12)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접속 공간부(12n)에 저류된 윤활유에 의해 수형 스크루 로터의 샤프트부(14b 및 14c)가 잠기는 일이 없어, 윤활유가 로터실(12a)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회전 중심선(C)에 대한 각도 위치에 대해,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는,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에 비해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의 각도 위치가 동일한 경우, 즉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이들이 오버랩되는 경우, 제2 축봉 장치(32)와 샤프트부(14c) 사이를 통과한 윤활유가 제1 축봉 장치(30)와 샤프트부(14c) 사이로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축봉 장치(32)의 시일부(32a)가 손상된 경우에 시일부(32a)를 통과한 윤활유는, 연통부(32c)를 거쳐서 접속 공간부(12n)(공통 공간(12r))로 유입된다. 로드 운전 시에는, 접속 공간부(12n)로 유입된 윤활유는 외부 연통부(12q)로부터 케이싱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스크루 압축기(10)의 언로드 운전이 개시되면, 로터실(12a)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케이싱 외부로부터 접속 공간부(12n)(공통 공간(12r)) 내로 유입된 대기가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를 거쳐서 로터실(12a)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가 접근되어 있으면,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를 거쳐서 로터실(12a)측으로 유입되는 대기의 흐름을 향해 접속 공간부(12n)로 막 유입된 윤활유가 끌어당겨져, 제1 축봉 장치(30)와 샤프트부(14c) 사이로 윤활유가 침입한다. 그 결과로서 로터실(12a) 내로 윤활유가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이 태양에서의 로터실(12a)로의 윤활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수형 스크루 로터(14)(샤프트부(14b, 14c))의 회전 중심선(C)에 대한 각도 위치에 대해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를 이격시키고 있다.
특히,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에 비해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윤활유의 자중에 의해, 접속 공간부(12n)(공통 공간(12r))로부터 연통부(30a)로 유입되는 대기의 흐름을 향해 윤활유가 끌어당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에 비해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면, 윤활유가 유입될 가능성은 보다 낮다.
또한, 로터실(12a)에의 윤활유의 침입을 더욱 방지하기 위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 다른 시일 링(50)(제1 시일 부재)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링(50)은,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에,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외부 삽입되어 있다. 시일 링(50)은 또한, 제1 축봉 장치(30)의 제1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 사이에서 샤프트부(14c)에 대향하여 양 관통부를 이격시키는 환형의 시일부(50a)를 구비한다.
또한, 시일 링(50)은, 샤프트부(14c)에 대해 비접촉인 상태로 조립 장착되어 있음과 함께, 가압 부재(44)에 의해 제2 축봉 장치(32)를 향해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에 의해, 시일 링(50)은, 샤프트부(14c)에 대해 당해 샤프트부(14c)의 직경 방향의 변위에 추종 가능한 상태로, 가압 부재(44)와 제2 축봉 장치(32)에 의해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으로 끼움 지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시일 링(50)은, 통상, 가압 부재(44)와 제2 축봉 장치(32) 이외에는 접촉하고 있지 않고,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의 직경 방향에 대해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변위 가능한 플로팅 상태이다. 즉, 시일 링(50)이 플로팅식 시일부를 이루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가압 부재(44)는, 시일 링(50)과 제1 축봉 장치(30)의 시일 링(38)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시일 링(50, 38)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제2 축봉 장치(32)의 시일부(32a)가 손상되거나 하여 그 시일부(32a)를 윤활유가 통과한 경우, 그 윤활유는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 내로 들어가, 최종적으로 스크루 압축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만일 연통부(32c)를 넘더라도, 윤활유는, 시일 링(50)에 의해 로터실(12a)에의 침입이 저지된다.
또한, 베어링(22, 24, 26, 28)의 내부 간극(즉, 유격)을 원인으로 하여 스크루 로터(14)가 미소하게 변위되어도(미소하게 덜걱거려도), 시일 링(50)이 샤프트부(14c)의 직경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시일 링(50)은 변위된 스크루 로터(14)에 대해 강하게 접촉하는 일이 없다. 즉, 시일 링(50)은 변위된 스크루 로터(14)로부터 빠져나갈(즉, 스크루 로터(14)로부터의 외력을 해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스크루 로터(14)가 어떻게 변위되어도, 시일 링(50)과 샤프트부(14c) 사이의 시일 상태는,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은, 시일 링(50)의 시일부(50a)와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 사이의 유로 단면적에 비해 크다. 특히,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축봉 장치(30)의 슬롯 형상의 연통부(30a)의 단면적(유로 단면적)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링(50)의 시일부(50a)와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 사이의 환형 간극 단면적(유로 단면적)에 비해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가령,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의 단면적이 시일 링(50)의 시일부(50a)와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 사이의 간극의 단면적에 비해 작은 경우, 언로드 운전에 의해 케이싱 외부로부터 대기 연통부(12m)를 거쳐서 유입되는 대기는,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가 아닌,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로 유입되고, 그리고 시일 링(50)과 샤프트부(14c) 사이를 통과하여 로터실(12a)을 향한다. 그 결과로서, 제2 축봉 장치(32)의 시일부(32a)와 샤프트부(14c) 사이에 부압이 발생하고, 그 부압에 의해 윤활유가 시일부(32a)와 샤프트부(14c) 사이로 유인된다. 그 유인된 윤활유는, 연통부(32c)로부터 시일 링(50)과 샤프트부(14c) 사이를 통과하여 로터실(12a)을 향하는 공기에 유인되어 동반되고, 최종적으로 로터실(12a) 내로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이 양태에서의 로터실(12a)로의 윤활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이, 시일 링(50)의 시일부(50a)와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 사이의 유로 단면적에 비해 충분히 크게 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케이싱 외부로부터 대기 연통부(12m)를 거쳐서 유입되는 대기는, 유로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를 통과하여 로터실(12a)로 유입된다. 그 때문에, 케이싱 외부로부터 대기 연통부(12m)를 거쳐서 유입되는 대기가, 상대적으로 유로 단면적이 작은 시일 링(50)과 샤프트부(14c)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윤활유가, 로터실(12a)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일 링(50)이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의 직경 방향에 대해 자유롭게 변위 가능한 상태(즉, 플로팅 상태)이기 때문에, 샤프트부(14c)의 직경 방향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시일 링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령,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의 직경 방향에 대해 위치가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시일을 사용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예를 들어, 그 외주면이 케이싱(12)의 샤프트 수용 공간(12j)의 내주면(12k)에 맞닿도록, 샤프트 수용 공간(12j)에 내부 삽입되는 환형의 시일을 생각한다. 혹은, 제2 축봉 장치(32)에 고정되어 있는(또는 일체인) 환형의 시일을 생각한다.
이 경우, 시일의 내경, 즉 시일과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 사이의 간극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일(또는 시일과 일체인 제2 축봉 장치(32))을 케이싱(12)의 샤프트 수용 공간(12j)에 내부 삽입하면, 제조상의 불가피한 오차(공차 내의 오차)에 의해, 시일의 내주면의 중심축이,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회전 중심선(C)에 대해, 허용 범위 내에서, 조금 기울거나, 어긋나거나 할 수 있다. 이 기울어짐이나 어긋남이 발생해도, 수형 스크루 로터(14)와 시일의 접촉을 확실하게 피할 수 있도록, 시일의 내경은 여유를 두고 상대적으로 크게 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시일 링(50)은, 외주면이 케이싱(12)의 샤프트 수용 공간(12j)에 접하도록 내부 삽입되지 않고 플로팅 상태이기 때문에,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의 직경 방향에 대해 자유롭게 변위 가능하다. 따라서, 위치가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시일에 비해, 시일 링(50)의 내경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일 링(50)의 내경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즉,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의 직경 방향에 대해 위치가 고정되는 시일을 사용하는 경우의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에 비해,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에 있어서의 단면적(유로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것은, 제1 축봉 장치(30)의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스크루부(14a)와 베어링(26)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루부(14a)의 양측의 샤프트부(14c)를 지지하는 2개의 베어링(24, 26)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베어링(24, 26)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제2 축봉 장치(32)의 복수의 연통부(32c) 각각은, 수형 스크루 로터(14)(샤프트부(14b, 14c))의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X축 방향)으로 본 경우에, 주위 방향으로 위치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회전 중심선(C)에 대한 각도 위치가 상이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축봉 장치(32)의 복수의 연통부(32c)는, 2개의 그룹(G1, G2)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2 그룹(G2)에 속하는 연통부(32c)는, 제1 그룹(G1)에 속하는 연통부(32c)와 주위 방향으로 위치가 상이하다. 또한, 제2 그룹(G2)에 속하는 연통부(32c)는, 제1 그룹(G1)에 속하는 연통부(32c)에 비해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 축봉 장치(32)의 시일부(32a)가 손상된 경우에 시일부(32a)를 통과한 윤활유는, 제2 그룹(G2)에 속하는 연통부(32c)를 통과하여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의 접속 공간부(12n)(공통 공간(12r))로 유입된다.
이때, 제1 그룹(G1)에 속하는 연통부(32c)는, 제2 축봉 장치(32)와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 사이를,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를 거쳐서 대기에 연통하는 역할을 한다. 즉, 그룹(G1)에 속하는 연통부(32c)를 거쳐서 도입되는 대기(대기압)에 의해 윤활유를 제2 그룹(G2)에 속하는 연통부(32c)로 흘러가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축봉 장치(32)와 수형 스크루 로터(14) 사이의 윤활유가, 제2 그룹(G2)에 속하는 연통부(32c)를 거쳐서 원활하게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축봉 장치(32)의 복수의 연통부(32c) 각각의 스크루 로터(14)의 회전 중심선(C)에 대한 각도 위치가 상이한 스크루 압축기(10)는, 부차적인 효과로서, 높은 범용성을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낸 스크루 압축기(10)는, 흡인 포트(12c)가 상부 방향(Z축 정방향)을 향함과 함께 토출 포트(12e)가 수평 방향(Y축 부방향)을 향한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 제2 축봉 장치(32)의 복수의 연통부(32c)에 있어서, 제1 그룹(G1)에 속하는 연통부(32c)는, 제2 그룹(G2)에 속하는 연통부(32c)에 비해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그룹(G2)의 연통부(32c)는, 제2 축봉 장치(32)의 시일부(32a)가 손상된 경우에 시일부(32a)를 통과한 윤활유를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 내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 그룹(G1)의 연통부(32c)는, 제2 축봉 장치(32)와 수형 스크루 로터(14) 사이를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를 거쳐서 대기에 연통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도 2의 스크루 압축기(10)가 자세 변경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자세는, 도 2에 나타낸 자세로부터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회전 중심선(C)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회전시킨 후의 자세이다. 도 6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은, 도 2에 있어서, X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자세이다.
도 6에 나타낸 자세를 스크루 압축기(10)가 취하는 경우, 흡인 포트(12c)는 수평 방향(Y축 정방향)을 향함과 함께, 토출 포트(12e)가 상부 방향(Z축 정방향)을 향한다. 이 상태일 때, 제2 축봉 장치(32)의 복수의 연통부(32c)에 있어서, 제2 그룹(G2)에 속하는 연통부(32c)는, 제1 그룹(G1)에 속하는 연통부(32c)에 비해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그룹(G1)의 연통부(32c)는, 제2 축봉 장치(32)의 시일부(32a)가 손상된 경우에 시일부(32a)를 통과한 윤활유를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 내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2 그룹(G2)의 연통부(32c)는, 제2 축봉 장치(32)와 수형 스크루 로터(14) 사이를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를 거쳐서 대기에 연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연통부(30a)는, 제1 그룹(G1)에 속하는 연통부(32c)에 비해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그룹(G1)에 속하는 연통부(32c)로부터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 내로 유입된 윤활유가, 연통부(30a)로 유입되는 대기의 흐름을 향해 윤활유가 끌어당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축봉 장치(32)의 제1 및 제2 그룹(G1, G2)의 연통부(32c)가 그 역할을 변경함으로써, 스크루 압축기(10)는, 축봉 장치를 교환하거나, 각도 위치를 바꾸도록 재조립하거나 하지 않는 경우라도 자세 변경이 가능해지고, 그것에 의해 높은 범용성을 구비한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형 스크루 로터(14) 및 암형 스크루 로터(16) 각각에 외부 삽입된 제1 축봉 장치(30)는, 스크루 압축기(10)의 자세 변경 후, 예를 들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그 연통부(30a)가 상방을 향하도록 스크루 로터(14, 16)의 회전 중심선(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해도 된다.
대안으로서는, 2개의 스크루 로터(14, 16) 각각의 제1 축봉 장치(3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X축 방향)으로 본 경우에 그 연통부(30a)가 회전 중심선(C)을 사이에 두고 제2 축봉 장치(32)의 제1 그룹(G1)의 연통부(32c)와 제2 그룹(G2)의 연통부(32c) 사이에 대향하도록, 스크루 로터(14, 16)에 외부 삽입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스크루 압축기(10)의 자세 변경 후에, 제1 축봉 장치(30)를 회전시키는 작업자의 수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연통부(30a)와 윤활유를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 내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측의 연통부(32c)(제1 그룹(G1) 또는 제2 그룹(G2)의 연통부)의 위치 관계를, 자세 변경해도 동일한 조건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축봉 장치(30, 32)의 수형 스크루 로터(14) 및 암형 스크루 로터(16)에 대한 시일성을 확보하면서, 제조가 용이하고 수형 스크루 로터(14) 및 암형 스크루 로터(16)의 휨이 억제되는 구성을 구비하는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10)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의 양쪽은, 케이싱(12)에 형성된 하나의 대기 연통부(12m)를 거쳐서 케이싱(12)의 외부의 대기에 연통된다. 그것에 의해,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 각각에 대한 대기 연통부를 케이싱(12)에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케이싱(12)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즉, 2개의 개별의 대기 연통부를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케이싱(12)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 각각에 대한 대기 연통부를 케이싱(12)에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스크루부(14a)와 베어링(24, 26)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다. 바꾸어 말하면, 2개의 베어링(24, 26)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다. 그 결과로서,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휨이 억제된다. 마찬가지로, 암형 스크루 로터(16)의 휨도 억제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령,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 각각에 대한 대기 연통부를 케이싱에 마련한 경우, 그 2개의 대기 연통부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스크루 로터(14, 16)의 회전 중심선(C)의 방향의 연장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케이싱(12)에 형성된다. 그 때문에, 이들 대기 연통부와 연통되는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를 스크루 로터(14, 16)의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으로 서로 접근시켜 배치하는 것이 제한된다. 즉,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 사이의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의 거리가 필연적으로 길어진다. 그것에 수반하여, 스크루 로터(14, 16)의 스크루부와 베어링(24, 26) 사이의 거리도 필연적으로 길어진다. 즉, 2개의 베어링(24, 26) 사이의 거리도 필연적으로 길어진다. 그 결과, 스크루 로터(14, 16)는 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의 양쪽이 케이싱(12)에 형성된 하나의 대기 연통부(12m)에 연통됨으로써,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축봉 장치(30)와 제2 축봉 장치(32)는,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직경 방향으로 본 경우에,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시일 링(50)은, 제1 축봉 장치(30)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직경 방향으로 본 경우에, 제1 축봉 장치(30)에 대해 오버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 사이의 거리가 더욱 짧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축봉 장치(30)와 제2 축봉 장치(32)가 오버랩되도록 서로 결합함으로써, 본체부(34)의 베어링(26)측(제2 축봉 장치(32)측) 단부면에 형성된 절결부(34b)로 슬롯 형상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 사이의 거리를 한층 더 짧게 할 수 있다.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에 수반하여,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스크루부(14a)와 베어링(26) 사이의 거리도 짧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크루부(14a)와 베어링(24) 사이의 거리도 짧게 할 수 있다. 즉, 스크루부(14a)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베어링(24, 26)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휨이 억제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암형 스크루 로터(16)의 휨도 억제된다.
이상, 상술한 실시 형태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축봉 장치(30)는 본체부(34)와 2개의 시일 링(36, 38)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일 링의 수는 2개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제2 축봉 장치(32)와 마찬가지로, 제1 축봉 장치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축봉 장치(32)는 하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축봉 장치(30)와 마찬가지로, 제2 축봉 장치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는 하나의 슬롯 형상의 관통 구멍(절결부(34b))이며,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축봉 장치 각각의 연통부는, 그 내주면과 그 외주면을 연통하면, 그 형상 및 그 수는 따지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형 스크루 로터(14)와 암형 스크루 로터(16)는, 수평 방향(X-Y 평면)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케이싱(12) 내에 수용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크루 압축기(110)와 같이, 수형 스크루 로터(14)와 암형 스크루 로터(16)는, 수평 방향(Y축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케이싱(112) 내에 수용되어도 된다.
도 8에 나타낸 실시 형태의 경우, 수형 스크루 로터(14) 및 암형 스크루 로터(16) 각각에 외부 삽입된 제1 및 제2 축봉 장치(30, 32)의 연통부(30a, 32c)에 접속되는 접속 공간부(112n)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공통 공간(112r)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그 공통 공간(112r)의 상부로부터 케이싱(112)의 외부를 향해 상방으로 연통되는 외부 연통부(112p)와, 공통 공간(112r)의 하부로부터 케이싱(112)의 외부를 향해 하방으로 연통되는 외부 연통부(112q)가 케이싱(11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 공간부(112n)(즉, 공통 공간(112r))와 하측의 외부 연통부(112q) 사이에 오일 저류부(112s)가 마련되어 있다.
덧붙여,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는, 2개의 외부 연통부(12p, 12q)를 구비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9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크루 압축기(210)와 같이, 케이싱(212)에 3개의 외부 연통부(212p, 212q)가 형성되어도 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연통부(212p)는, 접속 공간부(212n)(공통 공간(212r))의 상부로부터 케이싱(212)의 외부를 향해 상방으로 연통되고, 2개의 외부 연통부(212q)는 접속 공간부(212n)(공통 공간(212r))의 하부로부터 케이싱(212)의 외부를 향해 하방으로 연통된다. 한쪽 외부 연통부(212q)는, 수형 스크루 로터(14)에 외부 삽입된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쪽 외부 연통부(212q)는, 암형 스크루 로터(16)의 외부 삽입된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를 통과한 윤활유는, 직접적으로, 또한 원활하게 외부 연통부(212q) 내로 유입되고, 케이싱(212)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 결과, 윤활유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오일 저류부를 생략할 수 있다.
덧붙여,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는 상부 방향(경사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연통부(12p)와 하부 방향(경사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연통부(12q)를 구비하지만, 외부 연통부의 연장 방향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 연통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310)와 같이, 복수의 외부 연통부(312p, 312q)에 있어서, 일부의 외부 연통부(312q)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0에 나타낸 실시 형태의 경우, 하측의 외부 연통부(312q), 즉 윤활유가 유입되는 외부 연통부(312q)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대기 연통부(312m)의 공통 공간(312r)의 저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해도 되고, 외부 연통부(312p)를 향하는 하향 경사로 형성해도 된다.
덧붙여,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형 스크루 로터(14) 및 암형 스크루 로터(16) 각각에 외부 삽입된 제1 및 제2 축봉 장치(30, 32)의 연통부(30a, 32c)에 접속되는 케이싱(12)의 대기 연통부(12m)의 접속 공간부(12n)는, 연결하여 일체화하고, 그것에 의해 공통 공간(12r)을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접속 공간부(12n)와 암형 스크루 로터(16)의 접속 공간부(12n)는, 연결하지 않고 케이싱(12)에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시일부(32a)로서 오일을 베어링측으로 밀어 복귀시키는 스크루 홈을 갖는 스크루식의 비스코 시일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일부는, 비접촉 시일을 사용하는 경우는 다른 래비린스 시일이어도 되고, 접촉 시일을 사용하는 경우는 립 시일이어도 된다.
덧붙여,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형 스크루 로터(14) 및 암형 스크루 로터(16) 각각에 있어서,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는, 공통의 접속 공간부(12n)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접속 공간부(12n)와 암형 스크루 로터(16)의 접속 공간부(12n)는 서로 연통되어 공통 공간(12r)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410)에서는, 수형 스크루 로터(14) 및 암형 스크루 로터(16) 각각에 있어서, 접속 공간부(412n)는, 구획벽(412u)에 의해 2개의 제1 구분 영역(412t)과 제2 구분 영역(412t')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들 제1 구분 영역(412t)과 제2 구분 영역(412t')은, 서로 독립적으로 연통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1 구분 영역(412t)은, 제2 구분 영역(412t')에 비해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제1 구분 영역(412t)과 암형 스크루 로터(16)의 제1 구분 영역(412t)이 연통되어 공통 공간(412r)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제2 구분 영역(412t')과 암형 스크루 로터(16)의 제2 구분 영역(412t')이 연통되어 공통 공간(412r')을 구성하고 있다.
수형 스크루 로터(14) 및 암형 스크루 로터(16) 각각의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는, 접속 공간부(412n)의 제1 구분 영역(412t)에 연통되지만, 제2 구분 영역(412t')에는 연통되어 있지 않다. 한편, 수형 스크루 로터(14) 및 암형 스크루 로터(16) 각각의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는, 접속 공간부(412n)의 제1 구분 영역(412t)에는 연통되어 있지 않지만, 제2 구분 영역(412t')에는 연통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공간부(412n)의 제1 구분 영역(412t)은 외부 연통부(412p)를 거쳐서 케이싱(412)의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한편, 제2 구분 영역(412t')은, 외부 연통부(412q)를 거쳐서 케이싱(412)의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이점에 대해,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에 외부 삽입되어 있는 제1 축봉 장치(30) 및 제2 축봉 장치(32)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2 축봉 장치(32)와 샤프트부(14c) 사이의 시일에 경미한 이상으로서, 그 시일부(32a)의 작은 손상이나, 그 시일부(32a)의 베어링측에 있는 공간의 압력 상승 등에 의한 소량의 오일 누출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베어링(26)의 윤활유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를 통과하여 접속 공간부(412n)의 제2 구분 영역(412t')으로 들어가고, 그것에 연통되는 외부 연통부(412q)를 거쳐서 케이싱(412)의 외부로 유출된다.
한편, 제2 축봉 장치(32)와 샤프트부(14c) 사이의 시일에 현저한 이상으로서, 그 시일부의 큰 손상 등에 의한 다량의 오일 누출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베어링(26)의 윤활유가, 시일 링(50)의 시일부(50a)와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 사이를 통과하여, 압축 공기에 수반하여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를 통해 접속 공간부(412n)의 제1 구분 영역(412t)으로 들어가고, 그것에 연통되는 외부 연통부(412p)로부터 케이싱(412)의 외부로 유출된다. 또한, 윤활유가 시일 링(50)의 시일부(50a)와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 사이를 통과하는 상황의 경우, 나아가서는 로터실(12a)로 윤활유가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 연통부(412p, 412q)로부터의 윤활유 유출을 확인함으로써, 제2 축봉 장치(32)와 샤프트부(14c) 사이의 시일의 이상에 의한 윤활유의 유출 상태로서 로터실(12a)로 윤활유가 유입되는 상태인지 여부를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410)를 분해하지 않고 알 수 있다.
또한, 윤활유가 케이싱(412)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제2 구분 영역(412t')과 대응하는 외부 연통부(412q)가, 제1 축봉 장치(30)의 연통부(30a)에 연통되는 제1 구분 영역(412t)과 대응하는 외부 연통부(412p)에 비해 하측에 위치한다. 즉, 제2 축봉 장치(32)의 시일부로부터의 누출된 윤활유가 상대적으로 하측의 제2 구분 영역(412t')과 외부 연통부(412q)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공간부(412n)의 제2 구분 영역(412t')에 연통되는 제2 축봉 장치(32)의 복수의 연통부(32c)는, 연직 방향(Z축 방향)으로 개구되는 그룹(G1)과 수평 방향(Y축 방향)으로 개구되는 그룹(G2)으로 나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대신에, 도 12에 나타낸 개량 형태의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510)에 있어서는, 제2 축봉 장치(532)의 복수의 연통부(532c)는, 수평 방향(Y축 방향)으로 개구되는 그룹은 없고, 연직 방향(Z축 방향)으로 개구되는 그룹(G1)뿐이다. 이 경우, 복수의 연통부를 제2 축봉 장치로 제작하는 가공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공간부(412n)의 제1 구분 영역(412t)에 연통되는 외부 연통부(412p)는, 제1 구분 영역(412t)으로부터 비스듬히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싱(412)의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대신에, 도 13에 나타낸 개량 형태의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610)에 있어서는, 접속 공간부(612n)의 제1 구분 영역(612t)과 연통되는 외부 연통부(612p)는, 제1 구분 영역(612t)(공통 공간(612r))의 하부로부터 수평 방향(Y축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케이싱(612)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구분 영역(612t)으로 유입된 베어링(26)의 윤활유는, 제1 구분 영역(612t)의 저부의 외부 연통부(612p)를 통해 케이싱(61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윤활유가, 제1 구분 영역(612t) 내에 체류되기 어렵다.
게다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공간부(412n)의 제1 구분 영역(412t)과 제2 구분 영역(412t') 각각의 형상은, 그들 사이의 구획벽(412u)에 대해 대칭이 아니고, 상이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대신에, 도 14에 나타낸 개량 형태의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710)에 있어서는, 제1 구분 영역(712t)과 제2 구분 영역(712t')은, 그들 사이의 구획벽(712u)에 대해 대칭인 형상이다. 이 경우, 케이싱(712)에 제1 및 제2 구분 영역(712t, 712t')을 형성하는 프로세스가 간소화되어, 케이싱(712)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및 제2 구분 영역(712t, 712t') 각각에 대해, 외부 연통부(712p), 외부 연통부(712q)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내벽이, 먼 측에 위치하는 내벽보다 점차 축봉 장치로부터 멀어지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내벽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있지 않은 경우보다 원활해진다.
게다가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링(50)이, 제1 축봉 장치(30)의 시일부(36a, 38a)와 통하는 제1 연통부와 제2 축봉 장치(32)의 연통부(32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시일 링(50)에 의해, 로터실로의 윤활유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로터실에의 침입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시일 링(50) 외에도, 추가의 시일 링을 마련해도 된다. 또한, 시일 링(50)은 플로팅식 시일 링이다. 그 때문에, 압축기의 기동 시에 베어링의 내부 간극에 기인하여 샤프트부가 변위되어도, 그 변위에 시일 링(50)의 시일부(50a)를 추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일 링(50)은, 베어링의 내부 간극에 기인하여 샤프트부가 변위되어도 시일 성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810)는, 시일 링(50) 외에도, 추가의 시일 링(852)(제2 시일 부재)을 갖는다.
시일 링(852)은,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에,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외부 삽입되어 있다. 시일 링(852)은 또한, 제1 축봉 장치(30)의 시일부(36a, 38a)와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스크루부(14a) 사이에서, 샤프트부(14c)에 대향하는 환형의 시일부(852a)를 구비한다. 또한, 시일 링(852)은, 플로팅식 시일부(852a)를 이루고 있고, 샤프트부(14c)의 직경 방향의 변위에 추종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즉, 시일 링(852)은, 샤프트부(14c)의 직경 방향의 변위에 추종 가능한 상태로 샤프트부(14c)에 외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시일 링(852)은, 샤프트부(14c)에 대해 비접촉 상태로 조립 장착되어 있음과 함께, 가압 부재(42)에 의해, 로터실(12a)과 제1 축봉 장치 사이의 케이싱(12)의 부분(12w)을 향해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케이싱(12)의 부분(12w)은,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의 근원 부분에 대해, 이 샤프트부(14c)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시일 링(852)은, 샤프트부(14c)에 대해 비접촉인 상태로, 가압 부재(42)와 케이싱(12)의 부분(12w)에 의해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으로 끼움 지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시일 링(852)은, 통상, 가압 부재(42)와 케이싱(12)의 부분(12w) 이외에는 접촉되어 있지 않고,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의 직경 방향에 대해 자유롭게 변위 가능한 플로팅 상태이다. 또한, 가압 부재(44)는, 시일 링(852)과 제1 축봉 장치(30)의 시일 링(36)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시일 링(852, 36)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 시일 링(852)도, 시일 링(50)과 마찬가지로, 베어링(22, 24, 26, 28)의 내부 간극(즉, 유격)을 원인으로 하여 스크루 로터(14)가 미소하게 변위되어도(즉, 미소하게 덜걱거려도), 그 변위된 스크루 로터(14)로부터 빠져나갈(즉, 스크루 로터(14)로부터의 외력을 해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스크루 로터(14)가 어떻게 변위되어도, 시일 링(852)과 샤프트부(14c) 사이의 시일 상태는, 실질적으로 변화되지 않는다.
이 시일 링(852)에 의해, 그 외에도 시일 링(50)에 의해, 베어링(22, 24, 26 및 28)의 내부 간극(즉, 유격)을 원인으로 하는 시일 성능의 악화(불안정성)가 억제된다.
또한, 제1 축봉 장치(30)의 2개의 시일 링(36, 38), 시일 링(50) 및 시일 링(852)은 동일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 시일 링을 가압하는 2개의 가압 부재(42, 44)가 동일 형상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의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링(50)은 제2 축봉 장치(32)에 대해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스크루부(14a)(로터실(12a))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직경 방향으로 본 경우에, 시일 링(50)은 제2 축봉 장치(32)에 오버랩되어 있지 않다. 이 대신에, 시일 링은 제2 축봉 장치에 오버랩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축봉 장치(30) 및 제2 축봉 장치(32)의 양쪽과 오버랩되어도 된다.
도 16에 나타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경우,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직경 방향으로 본 경우에, 시일 링(954)(제1 시일 부재)은, 제2 축봉 장치(932)에 오버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축봉 장치(932)에는, 그 내주면에, 시일 링(954)과 가압 부재(956)를 수용하는 환형 홈(932e)이 마련되어 있다. 시일 링(954)은,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에, 그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외부 삽입되고, 그 제2 축봉 장치(932)의 환형 홈(932e)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시일 링(954)은 제1 축봉 장치(30)의 시일부(36a, 38a)로 통하는 제1 연통부와 제2 축봉 장치(932)의 연통부(932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일 링(954)은 플로팅식 시일 링이다. 즉, 시일 링(954)은 수형 스크루 로터(14)의 샤프트부(14c)에 대향하는 플로팅식 시일부(954a)를 구비한다.
가압 부재(956)는, 시일 링(954)과 함께 제2 축봉 장치(932)의 환형 홈(932e) 내에 수용되어 있다. 가압 부재(956)는 또한, 시일 링(954)을, 스크루 로터(14)의 스크루부(14a)(로터실(12a))가 있는 측을 향해,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즉, 가압 부재(956)는, 시일 링(954)을 제2 축봉 장치(932)의 환형 홈(932e)에 있어서의 스크루부(14a)측의 측벽을 향해 가압하고 있다.
이러한 제2 축봉 장치(932)에 오버랩되는 시일 링(954)도, 시일 링(50)과 마찬가지로, 압축기의 기동 시에 베어링(22, 24, 26 및 28)의 내부 간극(즉, 유격)에 기인하여 샤프트부가 변위되어도, 그 변위에 시일 링(954)의 시일부(954a)는 추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일 링(954)은, 베어링의 내부 간극에 기인하여 샤프트부가 변위되어도 시일 성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일 부재는, 그 시일부가 제1 축봉 장치의 연통부와 제2 축봉 장치의 연통부를 이격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제1 축봉 장치에 대해 오버랩되어도 된다. 즉, 제1 시일 부재인 시일 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축봉 장치 및 제2 축봉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오버랩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오버랩됨으로써, 제1 축봉 장치, 제2 축봉 장치 및 시일 링이 오버랩되지 않고 배열되는 경우에 비해, 스크루 로터의 스크루부와 베어링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루부에 대해 일방측의 베어링과 타방측의 베어링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스크루 로터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 제1 축봉 장치의 제1 연통부와 제2 축봉 장치의 제2 연통부를 이격시키는 제1 시일 부재는, 환형의 시일부를 구비하고, 가압 부재에 의해 제2 축봉 장치를 향해 수형 스크루 로터의 회전 중심선(C)의 연장 방향으로 가압되는 플로팅식 시일 링이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시일 부재는, 넓은 의미로는, 제1 연통부와 제2 연통부를 이격시키는 환형의 시일부를 구비하고, 스크루 로터의 샤프트부에 대해 비접촉인 상태로 조립 장착되어 있어, 샤프트부로부터의 외력을 해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면 된다. 즉, 실질적으로 베어링의 내부 간극에 기인하는 미소한 변위에 추종 가능한 것이면 된다. 그리고 시일부와 스크루 로터의 샤프트부 사이의 유로 단면적에 비해 제1 축봉 장치의 제1 연통부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이 커지는 것(즉, 시일부와 샤프트부 사이의 유로 단면적이 가능한 한 작아지는 것)이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에 있어서의 기술의 예시로서, 다양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다. 그것을 위해,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였다.
그 때문에,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성 요소 중에는, 과제 해결을 위해 필수적인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상기 기술을 예시하기 위해, 과제 해결을 위해서는 필수적이지 않은 구성 요소도 포함될 수 있다. 그 때문에, 그들 필수적이지 않은 구성 요소가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즉시, 그들 필수적이지 않은 구성 요소가 필수적이라는 인정을 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의 숙련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안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2016년 3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61584호의 명세서, 도면 및 청구범위의 개시 내용은, 전체로서 참조되어 본 명세서 내에 원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이면, 다단식 압축기여도 적용 가능하다.
10 :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12, 112, 212, 312, 412, 612, 712 : 케이싱
12a : 로터실
12f : 윤활용 유로
12g : 윤활용 유로
12h : 샤프트 수용 공간
12j : 샤프트 수용 공간
12k : 내주면
12m, 112m, 212m, 312m, 412m, 612m, 712m : 대기 연통부
12n, 112n, 212n, 312n, 412n, 612n, 712n : 접속 공간부
12p, 112p, 212p, 312p, 412p, 612p, 712p : 외부 연통부
12q, 112q, 212q, 312q, 412q, 612q, 712q : 외부 연통부
12r, 112r, 212r, 312r, 412r, 612r, 712r : 공통 공간
412r', 612r', 712r' : 공통 공간
12s : 오일 저류부
412t, 612t, 712t : 제1 구분 영역
412t', 612t', 712t' : 제2 구분 영역
412u, 612u, 712u : 구획벽
14 : 스크루 로터(수형 스크루 로터)
14a : 스크루부
14b : 샤프트부
14c : 샤프트부
26 : 베어링
30 : 제1 축봉 장치
30a : 연통부(제1 연통부)
32 : 제2 축봉 장치
32a : 시일부(제2 시일부)
32c : 연통부(제2 연통부)
38a : 시일부(제1 시일부)
42 : 가압 부재(제2 가압 부재)
44 : 가압 부재(제1 가압 부재)
50, 954 : 시일 링(제1 시일 링)
852 : 시일 링(제2 시일 링)
932 : 제2 축봉 장치
956 : 가압 부재(제1 가압 부재)
C : 스크루 로터의 회전 중심선

Claims (12)

  1. 스크루부와 샤프트부를 구비하는 스크루 로터와,
    상기 샤프트부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샤프트부에 외부 삽입되어, 상기 스크루부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샤프트부에 대향하는 제1 시일부와,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제1 시일부 사이에 대해 상기 베어링측과 외주면을 연통시키는 제1 연통부를 구비하는 제1 축봉 장치와,
    상기 샤프트부에 외부 삽입되어, 상기 제1 축봉 장치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샤프트부에 대향하는 제2 시일부와,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제2 시일부의 사이에 대해 상기 스크루부측과 외주면을 연통시키는 제2 연통부를 구비하는 제2 축봉 장치와,
    상기 스크루부가 수용되는 로터실과, 상기 샤프트부, 상기 베어링, 상기 제1 축봉 장치, 및 상기 제2 축봉 장치가 수용되는 샤프트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과,
    상기 샤프트부에 외부 삽입되고, 상기 제1 연통부와 상기 제2 연통부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부에 대향하여 양 연통부를 이격시키는 환형의 시일부를 구비하는 제1 시일 부재를 갖고,
    상기 케이싱이, 상기 샤프트 수용 공간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연통부의 양쪽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연통부를 대기에 연통하는 대기 연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통부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이, 상기 제1 시일 부재의 시일부와 상기 샤프트부 사이의 유로 단면적에 비해 큰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통부의 상기 샤프트부의 회전 중심에 대한 각도 위치가 제2 연통부의 각도 위치와 상이하고,
    상기 대기 연통부가, 각도 위치가 상이한 상기 제1 및 제2 연통부의 양쪽에 접속되도록 상기 샤프트 수용 공간의 내주면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접속 공간부를 구비하는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통부가, 상기 제2 연통부에 비해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부가, 상기 접속 공간부의 하부와 케이싱 외부의 대기를 연통하는 외부 연통부와, 상기 외부 연통부와 상기 접속 공간부 사이에 마련된 오일 저류부를 구비하는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연통부의 접속 공간부가 구획벽에 의해 제1 및 제2 구분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연통부가 상기 제1 구분 영역에 연통되고,
    상기 제2 연통부가 상기 제2 구분 영역에 연통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분 영역 각각이, 케이싱 외부의 대기와 연통되는 외부 연통부를 구비하는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분 영역과 대응하는 외부 연통부가, 상기 제1 구분 영역과 대응하는 외부 연통부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는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통부가 복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연통부 각각의 상기 샤프트부의 회전 중심에 대한 각도 위치가 상이한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축봉 장치는, 상기 스크루 로터의 직경 방향으로 본 경우에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도록 서로 결합되는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 부재가 플로팅식 시일부를 이루는 시일 링이며, 상기 샤프트부의 직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에 외부 삽입되고, 상기 제1 축봉 장치의 제1 시일부와 상기 로터실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부에 대향하는 환형의 시일부를 구비하는 제2 시일 부재를 더 갖는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일 부재가 플로팅식 시일부를 이루는 시일 링이며, 상기 샤프트부의 직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일 부재는, 상기 스크루 로터의 직경 방향으로 본 경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축봉 장치 및 상기 제2 축봉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오버랩되는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KR1020187026856A 2016-03-25 2017-03-21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KR102043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61584A JP6710072B2 (ja) 2016-03-25 2016-03-25 オイルフリースクリュ圧縮機
JPJP-P-2016-061584 2016-03-25
PCT/JP2017/011140 WO2017164153A1 (ja) 2016-03-25 2017-03-21 オイルフリースクリュ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038A true KR20180112038A (ko) 2018-10-11
KR102043764B1 KR102043764B1 (ko) 2019-11-12

Family

ID=5989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856A KR102043764B1 (ko) 2016-03-25 2017-03-21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954941B2 (ko)
EP (1) EP3434903B1 (ko)
JP (1) JP6710072B2 (ko)
KR (1) KR102043764B1 (ko)
CN (1) CN108884834B (ko)
BR (1) BR112018069509A2 (ko)
MY (1) MY193265A (ko)
SG (1) SG11201808166XA (ko)
TW (1) TWI638106B (ko)
WO (1) WO20171641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959B1 (ko) 2018-08-27 2020-02-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H 민감성 이중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세포 배양 용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4289U (ko) 1985-02-27 1986-09-05
JPH03110138U (ko) * 1990-02-26 1991-11-12
JPH10103265A (ja) * 1996-10-01 1998-04-21 Kobe Steel Ltd オイルフリースクリュ圧縮機
JP2010053799A (ja) * 2008-08-29 2010-03-11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スクリュー圧縮機
JP2015169177A (ja) * 2014-03-10 2015-09-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オイルフリースクリュ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1190A (ja) * 1982-09-17 1984-03-24 Hitachi Ltd オイルフリ−スクリユ−圧縮機の油切り装置
JPS61104187A (ja) * 1984-10-29 1986-05-22 Hitachi Ltd 真空ポンプ用軸封装置
JPH02124289U (ko) * 1989-03-24 1990-10-12
JP3535938B2 (ja) * 1996-02-02 2004-06-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2段形スクリュ圧縮機
KR20010108082A (ko) * 1999-01-11 2001-12-07 메리 이. 보울러 스크루 압축기
JP4072811B2 (ja) * 2001-03-19 2008-04-09 北越工業株式会社 オイルフリースクリュ圧縮機の軸封装置
JP2005090371A (ja) * 2003-09-18 2005-04-0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モータ一体型の燃料ガス圧縮機
CN100516534C (zh) * 2007-11-27 2009-07-22 无锡压缩机股份有限公司 干螺杆压缩机主机转子轴密封结构
US9068571B2 (en) * 2009-04-03 2015-06-30 Ergoseal, Inc. Seal for oil-free rotary displacement compressor
JP6284466B2 (ja) * 2014-09-29 2018-02-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オイルフリースクリュ圧縮機
JP6469549B2 (ja) 2014-09-29 2019-02-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オイルフリースクリュ圧縮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4289U (ko) 1985-02-27 1986-09-05
JPH03110138U (ko) * 1990-02-26 1991-11-12
JPH10103265A (ja) * 1996-10-01 1998-04-21 Kobe Steel Ltd オイルフリースクリュ圧縮機
JP2010053799A (ja) * 2008-08-29 2010-03-11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スクリュー圧縮機
JP2015169177A (ja) * 2014-03-10 2015-09-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オイルフリースクリュ圧縮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959B1 (ko) 2018-08-27 2020-02-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H 민감성 이중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세포 배양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07109A1 (en) 2019-04-11
JP2017172531A (ja) 2017-09-28
CN108884834B (zh) 2020-03-03
EP3434903A1 (en) 2019-01-30
TWI638106B (zh) 2018-10-11
BR112018069509A2 (pt) 2019-01-29
US10954941B2 (en) 2021-03-23
WO2017164153A1 (ja) 2017-09-28
CN108884834A (zh) 2018-11-23
TW201802379A (zh) 2018-01-16
KR102043764B1 (ko) 2019-11-12
MY193265A (en) 2022-09-29
SG11201808166XA (en) 2018-10-30
EP3434903B1 (en) 2023-03-01
JP6710072B2 (ja) 2020-06-17
EP3434903A4 (en)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156B1 (ko)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JP4105850B2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KR20140055951A (ko) 스크롤식 유체 기계
KR20180112038A (ko)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KR101921009B1 (ko) 오일프리 스크루 압축기
WO2021162091A1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
JP2016011604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11698078B2 (en) Rotating machine and turbocharger
KR20180103146A (ko) 저널 베어링 및 회전 기계
WO2011019048A1 (ja) ドライポンプ
KR101886668B1 (ko) 스크롤식 유체 기계
JP2007162679A (ja) 流体機械
JP5278228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BR102018076950B1 (pt) Conjunto flange e colar de vedação
JP2014222066A (ja) 圧縮機
JP5736440B2 (ja) スクリュ圧縮機
JP6503586B1 (ja) 過給機
JP6388000B2 (ja) 圧縮機
WO2022183260A1 (pt) Conjunto flange e colar de vedação
JP2019085916A (ja) コンプレッサ
JP2011117372A (ja) 流体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