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041A -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페라이트 소결자석 - Google Patents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페라이트 소결자석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041A
KR20180111041A KR1020170041389A KR20170041389A KR20180111041A KR 20180111041 A KR20180111041 A KR 20180111041A KR 1020170041389 A KR1020170041389 A KR 1020170041389A KR 20170041389 A KR20170041389 A KR 20170041389A KR 20180111041 A KR20180111041 A KR 20180111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ite
magnetic
content
magnetic energy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8552B1 (ko
KR102258552B9 (ko
Inventor
이동영
김민호
정은선
Original Assignee
유니온머티리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머티리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온머티리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1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55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552B1/ko
Publication of KR10225855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55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1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e.g. [(Ba,Sr)O(Fe2O3)6] ferrites with hexagonal structure
    • H01F1/1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e.g. [(Ba,Sr)O(Fe2O3)6] ferrites with hexagonal structure in the form of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0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characterised by unspecified or heterogeneous hardness or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hardness transitions
    • H01F1/0311Compounds
    • H01F1/0313Oxidic compounds
    • H01F1/0315Ferr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Abstract

본 발명은 La 및 Co를 저첨가함으로써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높은 이방성 자계를 유도하여 종래 페라이트 자성재료보다 현저히 높은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을 제공할 수 있는 페라이트 자성재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페라이트 소결자석{FERRITE MAGNETIC MATERIAL AND SINTERED FERRITE MAGNET}
본 발명은 종래의 페라이트 소결자석에 비교하여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높은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을 제공할 수 있는 페라이트 자성 재료 및 이를 이용한 페라이트 소결자석에 관한 것이다.
페라이트는 육방정의 마그네토플럼바이트(Magneto-plumbite, M)형 결정구조를 가지며, 재료의 자기적 특성이 자장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 쉽게 변화되지 않는 재료로서, 통상적으로 자동차 전장용 모터 및 전기기구용 회전기 등 영구자석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페라이트는 영구자석 재료 중 가격이 저렴한 스트론튬 탄산염과 산화철을 원료로 하고 일반적인 세라믹 제조공정으로 제조되어 가격이 저렴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최근 환경 문제와 이에 따른 에너지 절약과 관련된 여러 가지 법 규제로 인하여 모터의 소형화와 고효율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영구자석에도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다.
영구자석의 대표적인 자기특성으로 잔류자속밀도(Br), 고유보자력(iHc),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 각형비(Hknie/iHc)가 있으며, 잔류자속밀도 및 고유보자력은 하기 관계식을 갖는다.
Br = 4πIs ×ρ× f (Is: 포화자화, ρ: 밀도, f: 배향도)
iHc = HA × fc (HA: 이방성 자계, fc: 단자구 체적 비율)
잔류자속밀도(Br)는 조성의 자기 스핀 모멘트 합인 포화자화, 밀도, 배향도에 비례하며, 밀도와 배향도는 페라이트 제조공정의 미분쇄 이후 공정에서 얻어지는 물성으로 공정 최적화에 의해 이론값의 약 95% 정도로 달성할 수 있다. 상온에서 스트론튬 페라이트(하기 "Sr-페라이트"로 기재함)의 이론 포화자화는 74 emu/g(4πIs = 4,760 G: 밀도와 배향도가 각각 100% 일 때 값)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환된 페라이트 조성에서 스핀 자기 모멘트 증가에 의해 포화자화가 증가된다.
고유보자력(iHc)은 이방성 자계와 단자구 체적 비율에 비례하며, 단자구 Sr-페라이트의 이론 이방성 자계값은 20,000 Oe 이며, 단자구 결정 크기는 약 1 ㎛로 알려져 있다. 페라이트 제조공정의 미분쇄 이후 공정 최적화에 의해 단자구 크기의 체적 비율을 높여 높은 보자력 값을 얻을 수 있다. Sr-페라이트가 단자구 크기일 때 내부 반자장에 의해 이론값의 약 40% (7,700 Oe) 달성 가능하며, Fe 이온을 자기 이방성이 큰 원소인 Co, Cr, Al 등으로 치환함으로써 더 높은 이방성 자계값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자기에너지적은 B-H 곡선에서의 각각의 동작점에서 자석이 제공하는 자속밀도(B)와 자석에 작용하는 자장(H)의 곱으로서, 자석 내부에 축적된 에너지를 의미한다. 각각의 감자(demagnetization)곡선 상에서 B와 H의 곱이 최대인 지점이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이 된다. 일반적으로 잔류자속밀도, 보자력 및 각형비가 모두 높은 영구자석이 높은 최대자기에너지적을 가지며, 그 영구자석을 채용한 모터는 높은 출력과 외부자계에 의한 감자 발생이 적다. 결과적으로 최대자기에너지적은 영구자석의 대표적인 성능지표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미국 등록특허 제 5,846,449 호(특허문헌 1)는 Fe의 일부를 Zn으로 치환하고 Sr의 일부를 La로 치환할 경우, Fe의 일부를 Co로 치환하는 종래의 조성에 비해, 향상된 포화자화를 갖는 페라이트 자석을 얻을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Fe의 일부를 Zn으로 치환할 경우, 이방성 자계의 급격한 감소에 의해 최대자기에너지적이 5.14 MGOe로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10048 호(특허문헌 2)는 Ca의 일부를 La 등의 희토류 원소로 치환하고 Fe의 일부를 Co로 치환하여 잔류자속밀도와 고유보자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42.0 kJ/m3 (약 5.28 MGOe)의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로부터 얻어지는 자석의 자기특성은 종래의 Sr계 페라이트 자석(특허문헌 1)의 자기특성에 비해 충분히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
나아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82389 호(특허문헌 3)는 Ca의 일부를 Sr, Ba와 La으로 치환하고 Fe의 일부를 Co와 Cr으로 치환하여 높은 잔류자속밀도, 고유보자력, 각형비를 얻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으나,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자석의 최대자기에너지적이 5.29 MGOe로 종래의 Sr계 페라이트 자석(특허문헌 1)에 비해 충분히 높지 않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10048 호(특허문헌 2)는 5.28 MGOe의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기 위해서는 함량비로서 0.5의 La와 0.3의 Co가 필요함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82389 호(특허문헌 3)는 5.29 MGOe의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기 위해서는 함량비로서 0.415의 La와 0.316의 Co가 필요함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La과 Co는 페라이트 소결자석의 주성분인 산화철의 수십 배에서 약 100 배에 해당하는 고가의 원료이어서, 그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페라이트 소결자석의 제조비용의 상당한 상승을 초래한다.
이와 같이, 기존에 알려진 조성의 페라이트 자성재료는 시장에서 요구하는 가격에 비해 고가이고 여전히 불만족스러운 자기특성을 가져, 기존 자성재료보다 저가이면서 우수한 자기특성을 갖는 자성재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미국 등록특허 제 5,846,449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10048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82389 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La와 Co 각각의 함유량을 낮추어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높은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제공할 수 있는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이를 소결하여 얻은 페라이트 소결자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방정계 구조를 갖는 마그네토플럼바이트상을 주상으로 하고, 주상을 구성하는 원소가 하기 화학식 1의 조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자성재료를 제공한다:
[화학식 1]
Ca(1-x-x'-y)SrxBax'LayFe(2n-m)ComO19
상기 식에서,
0.33 ≤ y ≤ 0.39 이고,
0.25 ≤ m ≤ 0.29 이고,
0.015 ≤ x'≤ 0.021 이고,
0.44 ≤ 1-x-x'-y ≤ 0.50 이고,
0.088 ≤ x'/(x+x') ≤ 0.124 이고,
9.0 ≤ 2n ≤ 10.0 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자성재료로부터 얻어진 페라이트 소결자석은 종래의 자성재료보다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높은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을 가져 최근 요구되는 모터의 고효율화 및 소형화에 부합할 수 있다.
도 1은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페라이트 소결자석의 Co 함유량(m)의 변화에 따른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 2는 제조예 2에서 수득한 페라이트 소결자석의 La 함유량(y)의 변화에 따른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 3은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페라이트 소결자석의 Ba와 Sr의 함량비(x'/(x+x')의 변화에 따른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의 변화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함량비로서 La를 0.4 미만, 그리고 Co를 0.3 미만으로 포함하는 페라이트 조성에서 각 원소들의 조합을 연구함으로써, 종래 기술 대비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높은 이방성 자계 및 높은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제공할 수 있는 페라이트 자성재료를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페라이트 자성재료는 육방정계 구조를 갖는 마그네토플럼바이트상을 주상으로 하고, 주상을 구성하는 원소가 하기 화학식 1의 조성을 포함한다:
[화학식 1]
Ca(1-x-x'-y)SrxBax'LayFe(2n-m)ComO19
Co 함유량(m)이 0.25 내지 0.29의 범위일 때 높은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있다. Co 함유량(m)이 상기 범위 내이면, 비용의 상승을 막고, 치환 고용량이 감소되어 포화자화 및 이방성 자계가 동시에 감소하거나 소결온도에 따라 상(phase)이 불안정성을 띠어 최대자기에너지적이 감소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La의 함유량(y)이 0.33 내지 0.39의 범위일 때 높은 이방성 자계가 얻어지고, 이로 인해 높은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La 함유량은 0.35 내지 0.39 범위이다. La 함유량(y)이 상기 범위 내이면, 비용의 상승을 막고, 비자성상이 생성되어 포화자화와 이방성 자계가 동시에 감소하거나 고용량이 감소되어 높은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없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Ca의 함유량(1-x-x'-y)이 0.44 내지 0.50 범위일 때 높은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Ca 함유량은 0.46 내지 0.48 범위이다. Ca 함유량(1-x-x'-y)이 상기 범위 내이면, 소결온도에 따라 상(phase)이 불안정성을 띠어 최대자기에너지적이 감소하거나 치환 고용량이 감소되어 최대자기에너지적이 감소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2n은 (Fe+Co)/(Ca+Sr+Ba+La)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2n이 9.0 내지 10.0 범위 내일 때 높은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있다. 2n이 상기 범위 내이면, 상대적으로 Ca, Sr, Ba, 및 La 중량비가 많아져 고용량 초과에 의한 비자성이 생성되어 최대자기에너지적이 감소하거나 미반응된 α-Fe2O3가 생성되어 최대자기에너지적이 감소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Ba의 함유량(x')이 0.015 내지 0.021 범위일 때 높은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Ba 함유량은 0.015 내지 0.019 범위이다. Ba와 Sr의 함량비 x'/(x+x') 값이 0.088 내지 0.124 범위일 때 높은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x'/(x+x') 값은 0.088 내지 0.112 범위이다. Ba의 함유량(x') 및 x'/(x+x')가 상기 범위 내이면, 치환 고용량이 감소되거나 초과되어 최대자기에너지적이 감소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소결자석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혼합 공정>
먼저, 출발원료에 대하여 각 원소의 소정의 비율로부터 중량 %로 환산한 후 이를 칭량한다. 통상적으로 혼합 설비로는 습식 볼밀(wet-type ball mill) 또는 습식 아트라이터(wet-type attritor)를 사용하여 출발원료를 습식 혼합하는데, 이때 습식 볼밀 기준 5 내지 10 시간, 습식 아트라이터 기준 2 내지 4 시간 동안 균일하게 충분히 혼합하여야 한다. 출발원료로는 페라이트 소결자석을 구성하는 SrCO3, BaCO3, CaCO3, La2O3, Fe2O3, Co3O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출발원료의 순도에 따라 Al2O3, Cr2O3, NiO, MnO, ZnO, SiO2, MgO, BaO, P, S 등의 불순물이 0.01 내지 1.0 중량%까지 포함될 수 있다.
가소 시 낮은 가소 온도에서 페라이트 반응을 촉진시키고 입자의 성장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출발원료에 출발원료 100 중량부 기준 0.05 내지 0.2 중량부의 H3BO3를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가소 공정>
가소 공정은 이전 공정에서 혼합 및 배합된 조성물의 원료를 가소하여 페라이트화 반응과 함께 M(마그네토플럼바이트)상 구조를 갖는 가소체를 만드는 공정으로, 통상적으로 가소는 공기 중 산화 분위기에서 행한다. 가소는 1,150 내지 1,250 ℃의 범위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 시간이 길수록 M상의 비율이 높아질 수 있으나, 이는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가소체의 주상인 M상의 비율은 90% 이상이 좋으며, 조직 내의 입자 크기는 2 내지 4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조분쇄 공정>
가소 후의 가소체 상태는 일반적으로 과립이거나 클링커(clinker) 상태이기 때문에 조(粗)분쇄할 수 있다. 분쇄수단은 건식 진동밀 또는 건식 볼밀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건식 진동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분쇄 후 분말(즉, 조분쇄 분말)의 평균 입경은 2 내지 5 ㎛일 수 있다.
<미분쇄 공정>
미분쇄 공정에서 미분의 평균 입경이 0.6 내지 0.8 ㎛일 때 충분한 자기특성을 얻을 수 있다. 미분 평균 입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페라이트 자성 분말 간의 입자 응집에 의해 배향성이 저하되어 자기특성이 열화되며 성형 시 슬러리의 누설이 발생되거나 탈수 시간이 증가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 및 다자구가 생성되어 보자력이 급격히 감소되며 충분한 소결밀도를 확보하는데 많은 열에너지가 필요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미분쇄 수단으로는 습식 볼밀 또는 습식 아트라이터를 사용하여 분쇄할 수 있으며, 분쇄시간은 분쇄에너지에 반비례하고 분쇄기 종류에 따라 시간이 달라지므로 분쇄기와 목표 입경에 따라 분쇄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소결시 입자의 성장 및 억제를 조절하고 결정 입경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미분쇄시 첨가제로서 SiO2, CaCO3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할 수 있고, 소결시 치환효과를 촉진하고 입자의 성장을 조절하기 위하여 첨가제로서 SrCO3, BaCO3, CaCO3, La2O3, Fe2O3, Co3O4 등을 혼합공정 및 미분쇄 공정에 분할 첨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의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효과가 미미하고 너무 많이 넣으면 부의 효과가 일어나기 때문에, 분쇄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자장 중 성형 시 슬러리의 유동성 향상과 점도 저하, 배향 효과를 높이기 위해 분산제를 첨가할 수 있는데, 분산제로는 수계 분산제 및 비수계 분산제 모두 사용가능 하지만, 제조공정 중 환경적 측면을 감안하여 수계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수계 분산제로는 수산기 및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화합물, 솔비톨, 글루콘산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산제는 조분쇄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분산제 첨가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탈수성이 저하되어 성형체의 건조 및 소결 시 크랙(crack)이 유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성형 공정>
성형 공정은 습식 이방성 성형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성형 시 자장을 인가하면서 가압 성형하고, 이로 인해 이방성 소결자석의 성형체가 얻어진다.
습식 이방성 성형의 예를 들면, 미분쇄 후 슬러리를 탈수, 농축하여 소정의 농도를 유지하면서 자장 중 성형을 수행한다. 탈수 및 농축은 원심분리장치나 필터 프레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슬러리 농도는 60 내지 66 중량%, 성형압력은 0.3 내지 0.5 ton/㎠, 인가 자장은 10 내지 20 kOe 일 수 있다.
이렇게 가압 성형한 성형체에는 잔류수분이 10 내지 15 중량% 정도 존재하고, 이것을 그대로 소결하면, 승온 시 탈수과정에서 균열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연건조나 대기 중 저온(50 내지 100 ℃)건조를 수행한 후 소결할 수 있다.
<건조 및 소결 공정>
일반적으로, 대기 중 산화분위기에서 성형체를 건조 및 소결함으로써 페라이트 소결자석을 얻는다. 성형체에 잔류하는 수분의 제거 및 분산제의 탈지를 위해 50 내지 100 ℃에서 탈수 및 탈지를 수행할 수 있다.
소결 공정에서 승온 속도, 최고 온도, 최고 온도 유지시간, 냉각 속도 등의 소결조건을 조절함으로써 페라이트 소결자석의 자기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소결 조건(소결 시간, 승온 속도, 최고 온도, 유지시간)에 따라 페라이트 소결자석의 결정입 내의 치환원소 고용농도 증대, 입자 결정 성장 조절, 입자크기 균일 유지 및 소결자석의 밀도와 배향도를 조절하여 자기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승온 시간 1 내지 10℃/분, 소결 최고 온도 1,200 내지 1,250℃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소결하고, 냉각 시간 1 내지 10℃/분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마그네트플럼바이트형 페라이트 소결자석은 이방성 자계(HA)가 26 kOe 이상, 구체적으로 26.0 내지 26.7 kOe일 때,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이 5.5 MGOe 이상, 구체적으로 5.50 내지 5.55 MGOe의 자기특성을 갖는다. 4πI-H 곡선은 자성체에 자장을 걸어 자기모멘트와 자기분극을 생기게 하는 조작을 의미하는 자화(磁化)와 관계된 것으로서, 자석내부(자석고유)의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페라이트 자성재료로부터 유도된 세그멘트형 또는 블록형 등의 영구자석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영구자석은 자동차, 전기기구, 가전기기에 사용되는 회전기, 센서 및 본드자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참조예 . 자기특성 측정
하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페라이트 소결자석에 대해 20 ℃의 대기 분위기에서 최대 인가자장 25 kOe(1,990 kA/m)의 B-H Curve Tracer를 사용하여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을 측정하였다. 또한, 페라이트 소결자석을 폭 5 mm, 두께 5 mm로 절단한 후 배향면의 수직한 면과 평행한 면에 대해 4πI-H 곡선 1 사분면에서의 이방성 자계(HA) 값을 측정하였다.
제조예 1.
제조예 1-1: 혼합 공정
출발원료로서 산화철(Fe2O3, 순도 99% 이상), 탄산스트론튬(SrCO3), 탄산바륨(BaCO3), 탄산칼슘(CaCO3), 산화란탄(La2O3) 및 산화코발트(Co3O4)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출발원료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을 만족하는 Ca(1-x-x'-y)SrxBax'LayFe(2n-m)ComO19의 페라이트 소결자석이 얻어지도록 배합하였다. 배합원료에 페라이트 반응 촉진을 위하여, 배합원료 총 중량 대비 0.1 중량%의 H3BO3을 첨가하였다. 배합된 원료를 물과 혼합하여 농도 40 중량%로 만든 후 2 시간 동안 습식 순환 혼합하였다. 이렇게 만든 원료를 13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제조예 1-2: 가소 공정
상기 제조예 1-1에서 건조된 분말을 1,200℃에서 1시간 동안 대기 중에서 가소하여 가소체를 얻었다.
제조예 1-3: 조분쇄 및 미분쇄 공정
제조예 1-2의 가소체는 건식 진동밀을 이용하여 평균 입경 4 ㎛의 조분쇄 분말을 얻었다. 조분쇄된 분말은 미분쇄하기 위해 순환식 아트라이터에 조분쇄 분말의 농도가 40 중량%가 되도록 조분쇄 분말과 물을 넣고, 조분쇄 분말에 대하여 CaCO3 1.0 중량%, SiO2 0.40 중량% 및 글루콘산칼슘 0.6 중량%를 첨가하여(조분쇄 분말 총 함량을 기준으로 첨가), 상기 표 1과 같은 소결체 조성이 얻어지도록 하였다. 미분쇄 후 분말의 평균 입경은 0.65 ㎛가 되도록 하였다.
제조예 1-4: 성형 공정
제조예 1-3에서 얻어진 미분쇄 분말 및 물의 혼합물인 슬러리를 미분쇄 분말의 농도가 63 중량%가 되도록 탈수한 후 자장 방향이 가압방향과 평행한 습식 자장 성형기를 이용하여 디스크형(직경 40 mm × 두께 11 mm)의 성형체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때 자계강도는 10 kOe(796 kA/m), 성형압력은 0.4 ton/㎠으로 설정하였다.
제조예 1-5: 소결 공정
제조예 1-4에서 얻어진 성형체를 1,210℃에서 1 시간 동안 소결하고, 얻어진 소결체는 양면 두께 가공기를 이용하여 약 7 ㎜ 두께로 가공하여 페라이트 소결자석을 수득하였다. 또한, 수득한 페라이트 소결자석의 자기특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냈고, 수득한 페라이트 소결자석의 Co 함유량(m) 변화에 따른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의 변화를 도 1에 나타냈다.
시료
No.
Sr
(x)
Ba
(x')
Fe
(2n-m)
La
(y)
Ca
(1-x-x'-y)
Co
(m)
2n Ba/
(Sr+Ba)
(x’/
(x+x’))
Ha
(kOe)
(BH)max
(MGOe)
1 0.154 0.016 9.41 0.38 0.45 0.23 9.64 0.094 25.6 5.30
2 0.154 0.016 9.41 0.38 0.45 0.25 9.66 0.094 26.3 5.52
3 0.154 0.016 9.41 0.38 0.45 0.27 9.68 0.094 26.5 5.53
4 0.154 0.016 9.41 0.38 0.45 0.29 9.70 0.094 26.7 5.53
5 0.154 0.016 9.41 0.38 0.45 0.31 9.72 0.094 26.7 5.48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료 1 및 5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해당되고, 시료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된다.
Co의 함유량(m)이 0.25 내지 0.29일 때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이 5.5 MGOe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Co 함유량이 0.29를 초과할 경우 페라이트 주상에 고용되지 않은 Co이 비자성상이 생기며, 0.25 미만일 경우 Co의 치환 고용량이 충분하지 않아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없었다.
제조예 2.
La의 함유량(y)을 비롯한 전체적인 소결체 조성비를 하기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페라이트 소결자석을 제조하였으며, 수득한 페라이트 소결자석의 자기특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냈고, 수득한 페라이트 소결자석의 La 함유량(y) 변화에 따른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의 변화를 도 2에 나타냈다.
시료
No.
Sr
(x)
Ba
(x')
Fe
(2n-m)
La
(y)
Ca
(1-x-x'-y)
Co
(m)
2n Ba/
(Sr+Ba)
(x’/
(x+x’))
Ha
(kOe)
(BH)max
(MGOe)
6 0.170 0.020 9.41 0.31 0.50 0.27 9.68 0.105 26.0 5.36
7 0.164 0.016 9.41 0.33 0.49 0.27 9.68 0.089 26.2 5.50
8 0.154 0.016 9.41 0.35 0.48 0.27 9.68 0.094 26.3 5.52
9 0.144 0.016 9.41 0.37 0.47 0.27 9.68 0.100 26.5 5.53
10 0.134 0.016 9.41 0.39 0.46 0.27 9.68 0.107 26.2 5.54
11 0.114 0.016 9.41 0.41 0.46 0.27 9.68 0.123 25.8 5.46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료 6 및 11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해당되고, 시료 7 내지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된다.
La의 함유량(y)이 0.33 내지 0.39일 때 5.5 MGOe 이상의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있었다. La 함유량이 0.39를 초과할 경우 페라이트 주상에 고용되지 않은 La이 비자성상인 오르소페라이트(orthoferrite)를 생성시켜 최대자기에너지적이 감소되었고, 0.33 미만일 경우 La의 치환 고용량이 충분하지 않아 4πIs가 감소되어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없었다.
제조예 3.
Ca의 함유량(1-x-x'-y)을 하기 표 3과 같이 변화시킨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페라이트 소결자석을 제조하였으며, 수득한 페라이트 소결자석의 자기특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시료
No.
Sr
(x)
Ba
(x')
Fe
(2n-m)
La
(y)
Ca
(1-x-x'-y)
Co
(m)
2n Ba/
(Sr+Ba)
(x’/
(x+x’))
Ha
(kOe)
(BH)max
(MGOe)
12 0.180 0.020 9.41 0.38 0.42 0.27 9.68 0.100 25.5 5.41
13 0.164 0.016 9.41 0.38 0.44 0.27 9.68 0.089 26.3 5.52
14 0.154 0.016 9.41 0.37 0.46 0.27 9.68 0.094 26.4 5.53
15 0.134 0.016 9.41 0.37 0.48 0.27 9.68 0.107 26.5 5.54
16 0.114 0.016 9.41 0.37 0.50 0.27 9.68 0.123 26.3 5.51
17 0.114 0.016 9.41 0.35 0.52 0.27 9.68 0.123 25.1 5.39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료 12 및 17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해당되고, 시료 13 내지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된다.
Ca의 함유량(1-x-x'-y)이 0.44 내지 0.50일 때 5.5 MGOe 이상의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있었다. Ca의 함유량이 0.44 미만일 경우, Ca의 치환 고용량 감소에 의해 높은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Ca 함유량이 0.50를 초과할 경우, 급격한 입자성장에 의한 상(phase) 불안정성으로 이방성 자계(HA) 및 최대자기에너지적이 감소되었다.
제조예 4.
2n을 하기 표 4와 같이 변화시킨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페라이트 소결자석을 제조하였으며, 수득한 페라이트 소결자석의 자기특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시료
No.
Sr
(x)
Ba
(x')
Fe
(2n-m)
La
(y)
Ca
(1-x-x'-y)
Co
(m)
2n Ba/
(Sr+Ba)
(x’/
(x+x’))
Ha
(kOe)
(BH)max
(MGOe)
18 0.154 0.016 8.40 0.37 0.46 0.27 8.67 0.094 24.9 5.32
19 0.154 0.016 8.73 0.37 0.46 0.27 9.00 0.094 26.1 5.50
22 0.154 0.016 9.06 0.37 0.46 0.27 9.33 0.094 26.4 5.52
21 0.154 0.016 9.40 0.37 0.46 0.27 9.67 0.094 26.5 5.54
22 0.154 0.016 9.73 0.37 0.46 0.27 10.00 0.094 26.5 5.53
23 0.154 0.016 10.06 0.37 0.46 0.27 10.33 0.094 25.6 5.32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료 18 및 23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해당되고, 시료 19 내지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된다.
2n이 9.0 내지 10.0일 때 5.5 MGOe 이상의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있었다. 2n이 9.0 미만이면 Fe를 제외한 모든 원소가 상대적으로 많아져 치환 고용량이 초과하고, 이로 인해 최대자기에너지적도 감소되었다. 또한, 2n이 10.0을 초과하면 미반응된 α-Fe2O3가 생성되어 포화자화 및 이방성 자계가 감소되고, 이로인해 최대자기에너지적이 감소되었다.
제조예 5.
Ba 및 Ba/(Sr+Ba)을 하기 표 5와 같이 변화시킨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페라이트 소결자석을 제조하였으며, 수득한 페라이트 소결자석의 자기특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냈으며, Ba와 Sr의 함량비(x'/(x+x')) 변화에 따른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의 변화를 도 3에 나타냈다.
시료
No.
Sr
(x)
Ba
(x')
Fe
(2n-m)
La
(y)
Ca
(1-x-x'-y)
Co
(m)
2n Ba/
(Sr+Ba)
(x’/
(x+x’))
Ha
(kOe)
(BH)max
(MGOe)
24 0.157 0.013 9.41 0.37 0.46 0.27 9.68 0.076 26.2 5.45
25 0.155 0.015 9.41 0.37 0.46 0.27 9.68 0.088 26.4 5.55
26 0.153 0.017 9.41 0.37 0.46 0.27 9.68 0.100 26.4 5.54
27 0.151 0.019 9.41 0.37 0.46 0.27 9.68 0.112 26.3 5.53
28 0.149 0.021 9.41 0.37 0.46 0.27 9.68 0.124 26.0 5.50
29 0.147 0.023 9.41 0.37 0.46 0.27 9.68 0.135 24.0 5.35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료 24 및 29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해당되고, 시료 25 내지 28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된다.
Ba의 함유량(x')이 0.015 내지 0.021, 및 Ba와 Sr의 함량비(x'/(x+x')) 값이 0.088 내지 0.124 범위일 때 5.5 MGOe 이상의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있었다. Ba의 함유량(x')이 0.015 미만일 경우, Ba의 치환 고용량 감소에 의해 높은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없었고, Ba의 함유량이 0.021를 초과할 경우, 치환 고용량 초과에 의한 이방성 자계(HA) 및 최대자기에너지적이 감소되었다.
Ba와 Sr의 함량비(x'/(x+x')) 값이 0.088 내지 0.124 범위일 때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이 5.5 MGOe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Ba와 Sr의 함량비 0.124를 초과하거나 0.088 미만일 경우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최대자기에너지적을 얻을 수 없었다.

Claims (5)

  1. 육방정계 구조를 갖는 마그네토플럼바이트상을 주상으로 하고, 주상을 구성하는 원소가 하기 화학식 1의 조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자성재료:
    [화학식 1]
    Ca(1-x-x'-y)SrxBax'LayFe(2n-m)ComO19
    상기 식에서,
    0.33 ≤ y ≤ 0.39 이고,
    0.25 ≤ m ≤ 0.29 이고,
    0.015 ≤ x'≤ 0.021 이고,
    0.44 ≤ 1-x-x'-y ≤ 0.50 이고,
    0.088 ≤ x'/(x+x') ≤ 0.124 이고,
    9.0 ≤ 2n ≤ 10.0 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y 값이 0.35 ≤ y ≤ 0.3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자성재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x-x'-y 값이 0.46 ≤ 1-x-x'-y ≤ 0.4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자성재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x' 및 x'/(x+x') 값이 0.015 ≤ x'≤ 0.019 및 0.088 ≤ x'/(x+x') ≤ 0.1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자성재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페라이트 자성재료를 소결시켜 얻어지며,
    이방성 자계(HA)가 26 kOe 이상 및 최대자기에너지적((BH)max)이 5.5 MGOe 이상인, 페라이트 소결자석.
KR1020170041389A 2017-03-31 2017-03-31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페라이트 소결자석 KR102258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389A KR102258552B1 (ko) 2017-03-31 2017-03-31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페라이트 소결자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389A KR102258552B1 (ko) 2017-03-31 2017-03-31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페라이트 소결자석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041A true KR20180111041A (ko) 2018-10-11
KR102258552B1 KR102258552B1 (ko) 2021-06-01
KR102258552B9 KR102258552B9 (ko) 2023-07-05

Family

ID=63865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389A KR102258552B1 (ko) 2017-03-31 2017-03-31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페라이트 소결자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5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048B1 (ko) 2004-09-10 2009-07-30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산화물자성재료 및 소결자석
KR101082389B1 (ko) 2011-05-31 2011-11-11 쌍용머티리얼 주식회사 마그네토플럼바이트형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이로부터 유도된 세그멘트형 영구자석
KR20130018341A (ko) * 2010-03-17 2013-02-20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페라이트 자성 재료, 페라이트 자석, 페라이트 소결 자석
JP2015130493A (ja) * 2013-12-04 2015-07-16 Tdk株式会社 フェライト焼結磁石
JP5846449B2 (ja) 2012-11-12 2016-01-20 北越紀州製紙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及び電池用セパレー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048B1 (ko) 2004-09-10 2009-07-30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산화물자성재료 및 소결자석
KR20130018341A (ko) * 2010-03-17 2013-02-20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페라이트 자성 재료, 페라이트 자석, 페라이트 소결 자석
KR101082389B1 (ko) 2011-05-31 2011-11-11 쌍용머티리얼 주식회사 마그네토플럼바이트형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이로부터 유도된 세그멘트형 영구자석
JP5846449B2 (ja) 2012-11-12 2016-01-20 北越紀州製紙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及び電池用セパレータ
JP2015130493A (ja) * 2013-12-04 2015-07-16 Tdk株式会社 フェライト焼結磁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552B1 (ko) 2021-06-01
KR102258552B9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0272B2 (en) Ferrite magnetic material and ferrite sintered magnet
KR102588231B1 (ko)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페라이트 소결자석
KR101082389B1 (ko) 마그네토플럼바이트형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이로부터 유도된 세그멘트형 영구자석
JP2922864B2 (ja) フェライト磁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9034376A1 (fr) Aimant en ferrit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CN112679207A (zh) 一种永磁铁氧体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496444A (zh) 一种低成本烧结永磁铁氧体材料及其制备方法
US5958284A (en) Ferrite magn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407046B1 (ko)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페라이트 소결자석
JP3506174B2 (ja) フェライト磁石及びその粉末の製造方法
KR102430475B1 (ko) 페라이트 소결 자석의 제조 방법 및 페라이트 소결 자석
KR102258552B1 (ko)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페라이트 소결자석
KR102588230B1 (ko) 페라이트 자성재료 및 페라이트 소결자석
KR100538874B1 (ko) 고특성 페라이트 소결자석 및 그 제조방법
KR102610891B1 (ko) 페라이트 소결 자석의 제조 방법
KR102406630B1 (ko) 페라이트 소결 자석의 제조 방법 및 페라이트 소결 자석
JP2002141212A (ja) 回転機
JPH11307331A (ja) フェライト磁石
KR100521305B1 (ko) 육방정형 페라이트 자석분말, 이방성 소결자석 및 그 제조방법
KR102664651B1 (ko) 페라이트 소결 자석의 제조 방법
KR20210043116A (ko) 페라이트 소결 자석의 제조 방법
JP2001068320A (ja) フェライト磁石
JP2000173812A (ja) 異方性フェライト磁石の製造方法
KR20210043117A (ko) 페라이트 소결 자석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