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492A - 밀봉 장치를 갖는 슬라이딩 요소 및 밀봉 요소 - Google Patents

밀봉 장치를 갖는 슬라이딩 요소 및 밀봉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492A
KR20180108492A KR1020180033241A KR20180033241A KR20180108492A KR 20180108492 A KR20180108492 A KR 20180108492A KR 1020180033241 A KR1020180033241 A KR 1020180033241A KR 20180033241 A KR20180033241 A KR 20180033241A KR 20180108492 A KR20180108492 A KR 20180108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sealing element
anchor
seal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495B1 (ko
Inventor
사샤 유스틀
밀타 스트레벨
페터 에트뮬러
그레고르 하아브
Original Assignee
하바 슬라이딩 솔루션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4129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10849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하바 슬라이딩 솔루션스 아게 filed Critical 하바 슬라이딩 솔루션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10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06B7/2309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with a hollow sealing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6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used as a seal between the floor and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2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05Y2201/69Rollers having inclined a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2Additional w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6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 E06B2003/621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with specific fixing means
    • E06B2003/6223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with specific fixing means with protruding parts anchored in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6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 E06B2003/625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 E06B2003/6264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Mechanical Seal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슬라이딩 요소(1)는 슬라이딩 판(10) 및 밀봉 장치를 포함하고, 밀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2; 3)를 포함하고, 이 밀봉 요소는, 슬라이딩 판(10)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주변에서 슬라이딩 판(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밀봉 프레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 판(10)은 기부판(11), 및 기부판(11)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플랜지 판(12)을 포함하고, 플랜지 판은 기부판(11)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가장자리에서는 둘레 앵커 홈(18)에 의해 기부판(11)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앵커 홈(18)은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2; 3)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2; 3)는 앵커 홈(18) 안에 삽입되는 앵커 부재(21; 31)를 포함하고, 이 앵커 부재는 연결체(20; 30)를 통해 압축 부재(22; 32)에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밀봉 장치를 갖는 슬라이딩 요소 및 밀봉 요소{SLIDING ELEMENT WITH SEALING DEVICE AND SEALING ELEMENT}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변위 가능하고, 방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밀봉 장치가 제공되는 슬라이딩 요소, 특히 미닫이 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밀봉 장치를 위한 밀봉 요소에 관한 것이다.
방을 분리 또는 분할하거나 또는 방 개구 또는 창문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유리 또는 목재로 만들어진 미닫이 문과 같은 슬라이딩 요소가 종종 사용되고 있으며, 미닫이 문은 일반적으로 2개의 캐리지로 레일을 따라 안내된다. US9290977B2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캐리지를 갖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방 개구를 단단히 폐쇄하기 위해 슬라이딩 요소를 방 개구 앞에서 또한 최종적으로 방 개구 쪽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미닫이 문과 방 개구, 예컨대 문틀 또는 케이싱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밀봉 장치가 제공되는데, 미닫이 문이 방 개구 쪽으로 안내되자 마자 그 밀봉 장치는 원하는 정도로 압축된다. 밀봉 장치가 눈에 보이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밀봉 장치는 미닫이 문의 전방측에 배치되지 않고 후방측에 배치된다.
US9290977B2에 개시되어 있는 밀봉 장치(아래에서 도 2에 나타나 있음)는 복수의 부분으로 된 장착 스트립(6)을 포함하고, 이 장착 스트립에 둘레 밀봉 요소(5)가 연결된다. 장착 스트립(6)의 다른 요소, 곧은 요소 및 코너 요소는, 슬라이딩 요소의 후방측의 가장자리 가까이에 있는 주변 프레임이 형성되도록 슬라이딩 요소의 후방측에 연결된다. 장착 스트립(6), 즉 그의 요소에는 앵커 채널(60)이 제공되어 있고, 이 앵커 채널에는 밀봉 오소(5)의 앵커 부재(51)가 정착되어 밀봉 요소(5)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앵커 부재(51)에는 압축 요소(52)가 제공되어 있고, 이 압축 요소는 2개의 챔버(521, 522)를 가지고 있다. 제1 챔버(521)는 횡방향 외측로 향해 있고, 제2 챔버(522)는 아래쪽으로 향해 있다. 제1 챔버(521)는 방 개구의 가장자리와 접촉하면 압축된다. 미닫이 문이 하강될 때 제2 챔버(522)가 바닥 쪽으로 안내되어 압축된다.
따라서, 먼저 장착 스트립(6)이 슬라이딩 요소(1')에 정확히 정렬되어 나사 결합될 필요가 있고 그런 다음에만 밀봉 요소(5)가 삽입될 수 있으므로, 밀봉 장치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수고가 요구된다. 밀봉 요소(5)는 비교적 큰 치수를 갖는다. 그러므로 재료 비용 및 설치 수고가 상당하다. 장착 스트립(6)과 감쇠 요소(5)의 조합 역시 큰 공간을 필요로 하고, 그래서 슬라이딩 요소(1')는 방 개구에 원하는 만큼 가까이 안내될 수 없다. 방 개구 앞에서 구동되는 슬라이딩 요소(1')는 시각적으로 부피가 크게 보인다. 비교적 큰 치수에도 불구하고, 밀봉 요소(5)는 단지 작은 압축 경로를 가지며, 그래서, 미닫이 문의 대응적으로 작고 정확한 변위 또는 더 큰 치수의 감쇠 요소(53)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US2012260579A1에는 통상적인 T-형 앵커 부재와 압축 부재를 갖는 시일이 개시되어 있고, 압축 부재는 원형 단면 및 2개의 챔버를 포함한다. T-형 앵커 부재는 문 패널에 있는 T-형 앵커 홈을 필요로 하고, 앵커 부재는 상당한 변형 후에만 그 앵커 홈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앵커 부재는 혹시 상당한 유격을 가지고 앵커 홈 안에 위치하며 또한 상당한 마모에 노출된다. 원형 단면을 갖는 압축 본체는 단지 비교적 작은 압축 경로를 가지며 그래서 비교적 작은 공기 틈새만 밀봉할 수 있다.
DE4228986A1에는 화살형 앵커 부재를 갖는 문 또는 창문용 시일이 개시되어 있으며, 그 앵커 부재는 문의 전방측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T-형 앵커 홈에 결합된다. 이 시일은 특히 미닫이 문의 가장자리에 유리하게 정착되지 못한다.
EP1431501A2에는 안내 장치에 유지되는 미닫이 문 및 밀봉 프로파일을 갖는 밀봉 장치를 갖는 미닫이 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데, 밀봉 프로파일은 바닥과 직접 접촉하거나 서로 직접 접촉하여 방해적인 마찰을 일으키게 되며, 이러한 마찰은 적절한 재료 선택으로 감소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 장치를 갖는 개선된 슬라이딩 요소 및 개선된 밀봉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밀봉 장치는 간단한 구성을 가져야 하고 또한 적은 수고로 장착될 수 있어야 한다. 밀봉 장치는 가능한 한 적은 재료를 필요로 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밀봉 장치는 슬라이딩 요소, 즉 미닫이 문이 방 개구, 즉 거기에 제공되어 있는 문틀 또는 케이싱에 가깝게 구동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심미적으로 유리한 인상을 주도록 슬림한 치수를 갖는 밀봉 장치를 갖는 슬라이딩 요소를 제조할 수 있어야 한다. 밀봉 요소는 수고 없이 장착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비교적 작은 치수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큰 압축 경로를 가져야 하며 또한 슬라이딩 요소와 문틀 또는 케이싱 사이의 틈을 단단히 밀봉해야 한다.
위의 과제는 청구항 1에 따른 밀봉 장치를 갖는 슬라이딩 요소 및 청구항 11에 따른 밀봉 요소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다른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슬라이딩 요소는 슬라이딩 판, 및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를 포함하는 밀봉 장치를 포함하고, 밀봉 요소는, 상기 슬라이딩 판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주변에서 슬라이딩 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밀봉 프레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 판은 기부판, 및 기부판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플랜지 판을 포함하고, 플랜지 판은 기부판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가장자리에서는 둘레 앵커 홈에 의해 기부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앵커 홈은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는 앵커 홈 안에 삽입되는 앵커 부재를 포함하고, 이 앵커 부재는 연결체를 통해 압축 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앵커 홈 내부에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의 앵커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판, 즉 슬라이딩 판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적어도 대략 평행하게 정렬된다.
본 독창적인 해결책으로, 앵커 홈이 제공되어 있는 장착 스트립의 필요성이 없어질 수 있다. 앵커 홈은 유리하게 슬라이딩 판에 포함될 수 있고, 그래서, 한편으로 기부판(방 개구의 전방측에서 보임) 및 다른 한편으로는 플랜지 판(방 개구의 후방측에서 보임)이 앵커 홈을 둘러싼다. 기부판과 플랜지 판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고 있고, 이들 외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설계로 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구별이 불가능하다. 측면에서 그리고 상부측에서, 기부판의 치수는 바람직하게 플랜지 판의 치부 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는데, 그래서, 관련된 밀봉 요소의 연결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제공되며, 그 밀봉 요소는 플랜지 판에 대해 뒤쪽으로 변위되어 있고 기부판에 의해 지지된다. 그래서, 관련된 밀봉 요소는 슬라이딩 판에 정착될 뿐만 아니라, 그 슬라이딩 판 안에 일체화되어 있고, 따라서, 밀봉 기능에 관련 있는 장치 부분만 슬라이딩 판으로부터 돌출해 있게 된다. 그러나, 하부측에서, 플랜지 판은 기부판을 넘어 돌출하여 그 기부판을 덮을 수 있고 또한 거기에 제공되어 있는 밀봉 요소를 덮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는, 앵커 홈에 신속하게 또한 편리하게 장착될 수 있고, 또한 눈에 보이지 않으면서 밀봉 기능을 최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장착 스트립이 없기 때문에, 밀봉 장치가 일체화되어 있는 슬라이딩 판은 슬림하게 만들어질 수 있고 또한 심미적으로 유리하다. 방 개구는 본 독창적인 슬라이딩 요소, 즉 독창적인 미닫이 문으로 단단히 폐쇄될 수 있다. 장착 스트립이 없고 또한 밀봉 요소가 슬라이딩 판 안에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슬림한 슬라이딩 판은 방 개구 쪽으로 근접하여 구동될 수 있고 또한 단단히 밀봉된 방 개구의 앞에서 단지 작은 공간만 필요로 한다.
앵커 홈을 갖는 슬라이딩 판은 기계로 가공될 수 있고 밀봉 요소는 예컨대 설치 장소에서도 앵커 홈 안으로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본 독창적인 슬라이딩 요소는 최소의 수고와 재료 비용으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밀봉 요소, 즉 밀봉 프로파일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통상적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래서, 한편으로 앵커 부재에 대해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압축 부재에 대해, 앵커 부재 또는 압축 부재의 기능에 각각 맞는 특성을 갖는 서로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엥커 부재는 예컨대 압축 부재 보다 덜 탄성적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1 밀봉 요소는, 그의 앵커 부재로 상기 슬라이딩 판의 상부측에 있는 앵커 홈의 상측 부재에, 또한 상기 슬라이딩 판의 좌측 및 우측에 있는 앵커 홈의 좌측 및 우측 부재에 정착되고, 제2 밀봉 요소는, 그의 앵커 부재로 상기 슬라이딩 판의 하부측에 있는 앵커 홈의 하측 부재에 정착된다. 2개의 서로 다른 밀봉 요소로, 부여된 임무가 최소의 재료 요건으로 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방 개구 또는 거기에 장착되어 있는 케이싱의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한 횡방향 연결이 제1 밀봉 요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슬라이딩 판은 방 개구 앞에서 이동될 수 있고 그런 다음에 방 개구 쪽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방 개구가 측면에서 또한 상부측에서 제1 밀봉 요소에 의해 단단히 폐쇄된다. 제2 밀봉 요소는, 슬라이딩 판이 바닥으로 하강된 후에 남아 있는 틈새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밀봉 요소의 앵커 부재는 슬라이딩 판에 적어도 대략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는 앵커 홈 내부에 유지되므로, 슬라이딩 판과 제1 밀봉 요소 사이의 안정적인 연결 및 동시에 슬라이딩 판 안으로의 제1 밀봉 요소의 공간 절약적인 부분적 일체화가 달성된다. 그러나, 제1 압축 축선이 슬라이딩 판에 수직하게 되도록 제1 밀봉 요소의 압축 부재가 정렬됨으로써 최적의 밀봉이 얻어진다.
제1 밀봉 요소의 압축 부재를 적어도 대략 대칭적으로 또한 2개의 접촉 영역 및 제1 압축 축선에 대응하는 대칭 축선을 갖는 심장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특히 신뢰적인 밀봉이 달성된다. 적어도 대략 심장 형태로 되어 있는 이러한 실시 형태의 경우, 미닫이 문의 폐쇄 후에 2개의 접촉 영역이 나타나게 되며, 이들 접촉 영역은 실제로 이중적인 밀봉을 하게 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1 밀봉 요소는 밀봉 프레임을 만드는데에 배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밀봉 요소는 슬라이딩 판의 하부측에도 제공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2 밀봉 요소가 제공되고, 앵커 홈 내부에 있는 그 밀봉 요소의 앵커 부재는 슬라이딩 판에 적어도 대략 평행하게 정렬되고, 제2 밀봉 요소의 압축 부재는 슬라이딩 판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2 압축 축선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둘레 앵커 홈 역시 기부판 및 플랜지 판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제2 밀봉 요소의 장착 후에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는 제2 압축 축선이 제2 밀봉 요소의 앵커 부재와 압축 부재를 횡단함으로써, 제2 밀봉 요소는 특히 날씬하게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밀봉 요소의 압축 부재는 적어도 일 측 또는 양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굽힘 접힘부를 포함하고, 이 굽힘 접힘부는 제2 압축 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바람직하게는 수직하게 정렬되어 있다. 복수의 굽힘 접힘부가 제공되는 경우, 이들 굽힘 접힘부는 압축 부재의 양측에서 번갈아 배치되고 또한 제2 압축 축선을 따라 서로 변위되어 있다.
굽힘 접힘부는, 제2 밀봉 요소가 제2 압축 축선을 따라 변위될 때 제2 밀봉 요소의 압축 부재가 압축되어 압축 챔버가 본질적으로 제2 압축 축선을 따라 움직이고 옆으로 밖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설계 및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2 밀봉 요소의 독창적인 실시 형태에 의해, 제2 밀봉 요소의 압축 부재는 제2 압축 축선을 따라 압축된다. 따라서, 미닫이 문의 폐쇄 후에, 관련된 문 틈새를 단단히 폐쇄하는 넓은 밀봉체가 그 미닫이 문의 하부측에 나타나게 된다. 압축 부재의 횡방향 기울어짐(요망되는 압축을 억제하게 됨)은 일어나지 않는다. 압축 부재를 제2 압축 축선을 따라 압축시킴으로써, 더 큰 치수의 밀봉 요소를 필요로 함이 없이, 비교적 넓은 문 틈새가 신뢰적으로 밀봉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 밀봉 요소의 날씬한 설계에도 불구하고, 밀봉 기능이 여전히 최적으로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2 밀봉 요소의 압축 부재는 적어도 2개의 압축 챔버를 포함하고, 이들 압축 챔버는 제2 압축 축선을 따라 서로 상하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제2 밀봉 요소가 바닥으로 하강될 때 본질적으로 제2 압축 축선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중공 공간을 포함하는 압축 챔버에 의해, 완벽한 음향적 및 열적 밀봉이 달성된다.
굽힘 접힘부, 즉 굽힘 접힘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압축 챔버들 사이에서 제2 압축 축선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굽힘 접힘부는 또한 압축 챔버의 벽에 포함될 수 있어, 선택적으로 접힘 과정과 함께 일어나는 압축 과정을 용이하게 해준다. 적어도 하나의 굽힘 접힘부는 만곡부, 홈 또는 재료 오목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밀봉 프레임은 또한 완전히 제2 밀봉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밀봉 요소는 측면에서 또한 슬라이딩 판의 정상부에서 앵커 홈 안에 삽입될 수 있다.
그래서, 밀봉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밀봉 요소 또는 제2 밀봉 요소 또는 제1 및 제2 밀봉 요소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모든 가능한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압축 부재의 압축 축선은 바람직하게는 본체, 또는 밀봉될 필요가 있는 본체 표면에 항상 수직하게 정렬된다. 제1 밀봉 요소와 제2 밀봉 요소의 압축 부재의 압축 축선은 관련된 밀봉 요소의 앵커 부재의 축선에 평행하게 또는 경사지게, 바람직하게는 수직하게 정렬될 수 있다. 그래서, 제1 및 제2 밀봉 요소는 밀봉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또한 서로 다른 실시 형태로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슬라이딩 판(10) 및 밀봉 프레임을 갖는 밀봉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슬라이딩 요소, 즉 미닫이 문(1)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100)을 나타내며, 밀봉 프레임은 슬라이딩 판(10)의 상부측과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있는 제1 밀봉 요소(2) 및 슬라이딩 판(10)의 하부측을 따라 있는 제2 밀봉 요소(3)를 포함한다.
도 1b는 캐리지(91, 91')에 의해 레일(9, 9')을 따라 안내되는 도 1a의 미닫이 문(1)을 나타내며, 레일(9)의 커버(99)와 문틀 또는 케이싱(8)은 나타나 있지 않다.
도 2는 밀봉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US9290977B2에 개시되어 있는 미닫이 문(1')을 나타내며, 그 밀봉 장치는 미닫이 문(1')에 나사 결합되는 장착 스트립(6) 및 둘레 밀봉 요소(5) 또는 루프형 밀봉 프레임을 포함한다.
도 3a는 도 1b의 비대칭형으로 설계된 슬라이딩 판(10)의 좌즉 상부 코너를 나타내며, 이 슬라이딩 판은 밀봉 프레임(2, 3)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플랜지 판(12), 및 밀봉 요소(2)의 좌측에 제공되는 가장자리 부재(15)를 포함하고, 이 가장자리 부재는 연결 장치(92)에 의해 제1 캐리지(91)에 연결되어 있다.
도 3b는 밀봉 프레임(2, 3)의 장착 전에 있는 도 3a의 비대칭형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요소(1)의 좌즉 상부 코너를 나타낸다.
도 4a는 도 1b의 A - A 및 B - B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플랜지 판(12)을 갖는 슬라이딩 판(10)의 코너 부분을 나타내며, 플랜지 판은 주변에서 앵커 홈(18)에 의해 기부판(11)으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앵커 홈은 밀봉 프레임(2, 3)을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도 4b는 돌출해 있는 플랜지 판(12)을 갖는 도 4a의 슬라이딩 판(10)의 우측 가장자리의 코너 부분을 나타내며, 플랜지 판은 밀봉 프레임(2, 2)을 유지한다.
도 5a는 제1 밀봉 요소(2)가 장착되어 있는 도 4b의 슬라이딩 판(10)의 상부 우측 코너 부분을 나타낸다.
도 5b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2 밀봉 요소(3)를 갖는 슬라이딩 판(10)의 하부 우측 코너 부분을 나타내며,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밀봉 요소가 밀봉 프레임의 4개의 모든 부재를 위해 사용된다.
도 6a는 앵커 부재(31)와 압축 부재(32)를 갖는 무응력 상태의 제2 밀봉 요소(3)의 일부분을 공간도로 나타낸 것으로, 앵커 부재와 압축 부재는 연결체(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6b는 도 6a의 무응력 상태의 제2 밀봉 요소(3)를 앞쪽에서 본 것을 나타낸다.
도 6c는, 앵커 부재(31)가 아래쪽으로 변위되어 있고 또한 압축 부재(32)가 압축되어 있는, 도 6b의 응력 상태의 제2 밀봉 요소(3)를 나타낸다.
도 7a는 앵커 부재(21)의 길이 방향 축선(a)과 압축 부재(22)의 압축 축선(x)이 서로 동축으로 정렬되어 있는 제1 밀봉 요소(2)를 나타낸다.
도 7b는 앵커 부재(31)의 길이 방향 축선(a)과 압축 부재(32)의 압축 축선(y)이 서로 수직하게 정렬되어 있는 제2 밀봉 요소(3)를 나타낸다.
도 1에는 독창적인 슬라이딩 요소, 즉 미닫이 문(1)을 갖는 독창적인 슬라이딩 시스템(100)을 나타내며, 이 바람직한 살시 형태에서 슬라이딩 요소는 방 개구, 즉 문틀 또는 케이싱(8) 앞에 있는 2개의 레일(9)을 따라 변위 가능하다. 레일(9)은 베즐(bezel)(99)로 덮여 있다. 일 대안으로 단지 하나의 레일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슬라이딩 시스템(100)은, 방 개구를 모든 측에서 단단히 폐쇄하기 위해 미닫이 문(1)이 방 개구 앞에서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고 또한 폐쇄 과정의 최종 단계에서 케이싱(8) 및 바닥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미닫이 문(1)은 예컨대 목재로 만들어지는 슬라이딩 판(10)을 포함하고, 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슬라이딩 판에는 밀봉 장치가 제공되며, 이 밀봉 장치는 슬라이딩 판(10)의 상측 가장자리와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1 밀봉 요소(2) 및 슬라이딩 판(10)의 하부측을 따라 배치되는 제2 밀봉 요소(3)를 포함한다. 그래서, 양 밀봉 요소(2, 3)는 미닫이 문의 후방측에서 밀봉 프레임을 형성하며, 미닫이 문 그 자체는 부분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폐쇄되어 있다. 미닫이 문(1)을 폐쇄할 때, 제1 밀봉 요소(2)는 케이싱(8) 쪽으로 안내되고 제2 밀봉 요소(3)는 바닥 쪽으로 안내되어 압축되며, 그리하여 최적의 음향적 및 열적 밀봉을 제공하게 된다.
슬라이딩 판(10)은 전방측에 있는 기부판(11) 및 후방측에 있는 플랜지 판(12)을 포함하고, 플랜지 판은 문틀 또는 케이싱(8)과 대향한다. 기부판(11)과 플랜지 판(12) 사이에는 앵커 홈(18)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앵커 홈은 프레임 처럼 플랜지 판(12)을 둘러싸여 있고, 제1 밀봉 요소(2)와 제2 밀봉 요소(3)를 갖는 밀봉 프레임이 앵커 홈에 삽입되어 있다.
밀봉 요소(2)의 좌측 외부에서, 슬라이딩 판(10)에는 가장자리 부재(15)가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있고, 이 가장자리 부재는 제1 캐리지(91)에 연결되어 있다. 전방측에서 슬라이딩 판(10)은 제2 캐리지(91')에 연결되어 있다. US9290977B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캐리지(91, 91')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별개인 레일(9, 9') 상에서 안내된다. 제2 레일(9')을 따라, 전방측의 제2 캐리지(91')가 완전히 방 개구로부터 멀어지게 구동될 수 있다. 제1 캐리지(91)가 제2 래일(9')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제1 캐리지는 미닫이 문(1)의 범위에 대해 변위되어 있고, 미닫이 문은 밀봉 장치와 함께 방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사용된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이는 가장자리 부재(15)가 추가로 제공되어 있는 미닫이 문(1)의 비대칭적인 설계에 의해 특히 유리하게 달성될 수 있다. 그래서, 캐리지(91, 91')는 이웃하는 레일(9', 9)로부터 유리하게 분리될 수 있고 방 개구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장자리 부재(15)(해칭으로 나타나 있음)는 단지 선택적으로 제공되고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이 가장자리 부재(15)가 없으면, 슬라이딩 판(10)의 좌측부는 우측부와 동일할 것이고, 밀봉 프레임의 요소(2; 3)가 동일하게 제공될 것이다. 그래서, 슬라이딩 요소(1)는 대칭적인 또는 비대칭적인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도 1b(또한 도 3a 참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닫이 문(1)은 밀봉 장치가 장착되더라도 매우 슬림이다. 본질적으로, 밀봉 목적으로 필요한 밀봉 요소(2, 3)의 일부분만 보인다. 밀봉 요소(2, 3)의 다른 부분은 미닫이 문(1) 안에 일체화되어 있다.
도 2는 밀봉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US9290977B2에 개시된 미닫이 문(1')을 나타내는데, 그 밀봉 장치는 미닫이 문(1')에 나사 결합되는 장착 스트립(6) 및 둘레 밀봉 요소(5)를 포함한다. 밀봉 요소(5)는 앵커 부재(51), 및 2개의 압축 챔버(521, 522)를 갖는 압축 부재(52)를 포함한다. 앵커 부재(52)는 장착 스트립(6)에 제공되어 있는 앵커 채널(60) 안에 유지된다.
도 3a는 도 1b의 비대칭형으로 설계된 슬라이딩 판(10)의 좌즉 상부 코너를 나타내며, 이 슬라이딩 판은 제1 밀봉 요소(2) 외에도 연장된 가장자리 부재(15)를 좌측에서 포함하고 있으며, 이 가장자리 부재는 연결 장치(92)에 의해 제1 캐리지(91)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장착 장치(93)가 장착 채널(19) 안에 삽입되어 있고, 이 장착 채널은 슬라이딩 판(10)의 상부측에 제공되어 있다.
나타나 있는 밀봉 요소(2)는 도 1b에 나타나 있는 밀봉 프레임의 일 부재를 형성하며, 밀봉 프레임은 슬라이딩 판(10)의 후방측에 제공된다. 도 1b 및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밀봉 프레임은, 밀봉 프레임의 상측부와 측면부를 형성하는 제1 밀봉 요소(2), 및 밀봉 프레임의 하측 부재를 형성하는 제2 밀봉 요소(3)를 포함한다. 밀봉 프레임의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판(10)의 형태 및/또는 방 개구, 즉 방 개구에 제공되어 있는 문틀 또는 케이싱(8)의 가장자리의 형태에 맞게 되어 있다.
도 4b에 더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밀봉 요소(2, 3)는 각각 앵커 부재(21; 31) 및 압축 부재(22; 32)를 포함하고, 앵커 부재와 압축 부재는 연결체(20; 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나 있는 제1 밀봉 요소(2)는 미닫이 문(1) 안에 거의 완전히 일체화되어 있다. 앵커 부재(21)는 앵커 홈(81)에 수용된다. 연결체(20)는 앵커 홈(18)에 인접하는 수용 공간(14)에 수용된다. 그러나 압축 부재(22)는, 단단한 폐쇄를 이루기 위해 압축되어야 하므로, 수용 공간(14) 밖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어느 정도로 돌출해 있다. 따라서,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닫이 문(1)은 최소의 치수로 설계될 수 있고 밀봉 장치는 심미적으로 유리하게 슬라이딩 판(10)에 일체화될 수 있다.
밀봉 요소(2, 3)를 갖는 밀봉 프레임을 유리하게 장착하기 위해, 둘레 앵커 홈(18)이 슬라이딩 판(10)의 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앵커 홈(18)은 앵커 프레임을 형성하고, 이 앵커 프레임은 밀봉 요소(2, 3)를 갖는 밀봉 프레임에 대응한다. 밀봉 판(10)은 전방측에 있는 기부판(11) 및 방 개구와 대향하는 후방측에 있는 플랜지 판(12)을 포함하고, 플랜지 판은 기부판(11)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단지 주변에서만 앵커 홈(18) 및 수용 공간(14)에 의해 기부판(11)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수용 공간(14)과 앵커 홈(18)을 형성함으로써, 플랜지 판(12)은 가장자리에 파여 있다. 예컨대, 제1 과정에서 수용 공간(14)이 파이고 제2 과정 단계에서는 앵커 홈(18)이 파이며, 앵커 홈은 기부판(11)과 플랜지 판(12) 사이에서 그에 평행하게 미닫이 문(1)의 인접측 쪽으로 향해 있다. 따라서, 수용 공간(14)과 앵커 홈(18)을 갖는 파인 오목부의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플랜지 판(12)의 중심부 쪽으로 향하는 L-프로파일이다. 기부판(11)과 플랜지 판(12)을 갖는 슬라이딩 판(10)은 바람직하게는 단일체로 만들어지므로, 사용자가 다른 설계를 선호하지 않는다면, 미닫이 문(1)의 전방측과 후방측은 동일한 외양을 갖게 된다. 미닫이 문(1)이 폐쇄된 후에, 밀봉 프레임(2, 3)은 케이싱(8) 및 바닥에 인접하고 그래서 보이지 않게 된다. 예컨대, 전방측과 후방측에서는, 슬라이딩 판(10)의 백색 표면 또는 목재 조직만 보일 수 있다.
슬라이딩 판(1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 판(10)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슬라이딩 판의 치수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예컨대 주조 박스가 제공될 수 있고 L-프로파일을 갖는 충전 재료가, 수용 공간(14)과 앵커 홈(18)이 제공되는 지점에 위치된다. 이어서, 플라스틱이 주조 박스 안으로 주입된다.
수용 공간(14)이 밀봉 프레임(2, 3)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므로, 플랜지 판(12)의 치수는, 일반적으로 밀봉 프레임(2, 3)의 치수에 대응하는 정도 만큼 기부판(11)의 치수 보다 작게 될 것이다.
도 3b는 밀봉 프레임, 즉 제1 밀봉 요소(2)의 삽입 전에 있는 도 3a의 비대칭형으로 설계된 슬라이딩 판(10)의 좌측 상부 코너를 나타낸다.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 판(12)은 주변에서 수용 공간(14) 및 앵커 홈(18)에 의해 기부판(11)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수용 공간과 앵커 홈은 프레임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판(10)의 후방측에서 플랜지 판(12)은 기부판(11)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플랜지 판(12)과 슬라이딩 판(10)의 가장자리 부재(15)는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표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 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2의 공지된 방안의 장착 스트립(6)이 생략되어 재료 부담 및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봉 기능에 필요 없는 밀봉 프레임(2, 3)의 일부분은 슬라이딩 판(10) 안으로 들어갈 수 있어 공간을 더 절약할 수 있다.
도 4a에서 위쪽에, 도 1b의 A - A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슬라이딩 판(10)의 상부 우측 코너 부분이 나타나 있고, 아래쪽에는, 도 1b의 B - B 절단선을 따라 절단된 슬라이딩 판(10)의 하부 우측 코너 부분이 나타나 있다. 두 코너 부분 사이의 절취된 중간 부분 및 슬라이딩 판(10)의 절취된 좌측 부재는 보조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슬라이딩 판은 대칭적 또는 비대칭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 판(12)은 주변에서 앵커 홈(18)에 의해 기부판(11)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지만, 다른 곳에서는 기부판(11)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앵커 홈(18)은 상부측에 있는 상측 앵커 홈 부분(181), 하부측에 있는 하측 앵커 홈 부분(183), 및 플랜지 판(18)의 좌우측에 있는 측면 앵커 홈 부분(182)을 포함한다. 따라서, 앵커 홈 부분(181, 182, 183)을 갖는 앵커 홈(18)은 프레임 형태로 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밀봉 프레임(2, 3)을 수용할 수 있고,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폐루프는 직사각형이지만 만곡부 및 활 모양 부분도 포함할 수 있다.
도 4b는 밀봉 프레임이 앵커 홈(18) 안에 삽입되어 있는 도 4a의 슬라이딩 판(10)의 우측 가장자리의 코너 부분을 나타낸다. 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밀봉 프레임은 제1 밀봉 요소(2)와 제2 밀봉 요소(3)를 포함하고, 이들 밀봉 요소는 서로 다르게 설계되어 있고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밀봉 요소(2)는 상측 앵커 홈 부분(181) 및 측면 앵커 홈 부분(182)에 삽입되고 케이싱(8)(도 1a)에 대해 슬라이딩 판(10)을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밀봉 요소(3)는 하측 앵커 홈 부분(183)에 삽입되고, 하강된 슬라이딩 판(10)을 바닥에 대해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도 4b, 5, 6a, 6b 및 6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두 밀봉 요소(2, 3)는 각각, 앵커 홈(18) 안에 삽입될 수 있는 앵커 부재(21; 31), 및 압축 부재(22; 32)를 포함하고, 앵커 부재와 압축 부재는 연결체(20; 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밀봉 오소(2)의 앵커 부재(21)(나무의 외형을 가짐)는 앵커 홈(18) 내부에 유지되고 적어도 대략 슬라이딩 판(10)에 평행하게 정렬되고, 제1 밀봉 요소(2)의 압축 부재(22)는 제1 압축 축선(x)을 가지며, 이 압축 축선은 슬라이딩 판(10)에 수직하게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체(20)가 수용 공간(14)에 수용되어 기부판(11)의 일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앵커 부재(21)는 앵커 홈(18) 안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앵커 홈(18)에 인접하여 밀봉 요소(2)의 연결체(20)는 어깨 부재(201)로 플랜지 판(12) 상에 안착되고, 그리하여, 제1 밀봉 요소(2)의 고른 정렬이 보장된다.
제1 밀봉 요소(2)의 압축 부재(22)는 적어도 대략 대칭적으로 설계되어 있고, 2개의 접촉 영역(221, 222)과 대칭 축선을 갖는 적어도 대략 심장 형태로 되어있고, 그 대칭 축선은 압축 축선(x)에 대응하고 방 개구에 수직하게 정렬된다. 미닫이 문(1)을 폐쇄할 때, 두 접촉 영역(221, 222)은 케이싱(8)에 부딪히게 되고, 그런 후에 압축 부재(22)가 기부판(11)에 눌려, 대칭을 유지하면서 변형된다. 이렇게 해서 두 접촉 영역(221, 222)은 이중적인 밀봉을 하게 되며, 그래서 신뢰적인 음향적 및 열적 밀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b는, 역시 나무 형태로 되어 있고 또한 본질적으로 제1 밀봉 요소(2)의 앵커 부재(21)에 대응하는 제2 밀봉 요소(2)의 앵커 부재(31)를 나타내며, 이 앵커 부재는 앵커 홈(18) 내부에 유지되고 적어도 대략 슬라이딩 판(10)에 평행하게 정렬되고, 제2 밀봉 요소(3)의 압축 부재(32)는 제2 압축 축선(y)을 가지며, 이 압축 축선은 슬라이딩 판(10)에 적어도 대략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고 미닫이 문(1)의 설치 후에는 바닥에 수직하게 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압축 축선(y)은 제2 밀봉 요소(3)의 앵커 부재(31)와 압축 부재(32)를 대략 중간에서 횡단한다. 이리하여, 제2 밀봉 요소(3)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단지 작은 공간만 있어도 된다. 제2 밀봉 요소(2)의 연결체(30)는 어깨 부재(301)로 기부판(11)의 짧은 부재(111) 상에 안착되고, 그리하여, 장착된 제2 밀봉 요소(3)는 직선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플랜지 판(12)은 바람직하게는 기부판(11)의 짧은 부재(111)를 넘어 연장되어 있고 그래서 연결체(30)를 덮기 위한 베즐로서 역할한다.
개략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밀봉 프레임은 제1 밀봉 요소(2), 제2 밀봉 요소(3)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밀봉 프레임이 제1 밀봉 요소(2)로만 이루어지는 경우, 이 밀봉 요소는 위에서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밀봉 프레임의 4개의 모든 부분을 형성한다. 그러나 밀봉 프레임이 제2 밀봉 요소(3)로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 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밀봉 요소는 모든 측에서 앵커 홈(18)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5b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2 밀봉 요소(3)를 갖는 슬라이딩 판(10)의 하부 우측 코너 부분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며,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밀봉 요소가 밀봉 프레임의 4개의 모든 부분을 형성한다. 앵커 부재(31)의 길이 방향 축선(a)과 제2 압축 축선(y)은 동축으로 정렬되어 있다.
도 6a는 앵커 부재(31)와 압축 부재(32)를 갖는 무응력 상태의 제2 밀봉 요소(3)의 일부분을 공간도로 나타낸 것으로, 앵커 부재와 압축 부재는 연결체(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측에서 연결체(30)에 인접하고 압축 축선(y)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 앵커 부재(31)는 나무의 외형을 가지며 이 앵커 부재에는 2쌍의 앵커 요소(311)가 제공되어 있다. 연결체(30)에는 어깨 부재(301)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어깨 부재는 플랜지 요소로서 역할한다. 압축 요소(32)는 더 작은 제1 압축 챔버(321) 및 더 큰 제2 압축 챔버(322)를 포함하고, 이들 압축 챔버는 압축 축선(Y)을 따라 서로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압축 챔버(321)의 측벽에는 제1 굽힘 접힘부(323)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중공 압축 챔버(321, 322) 사이에는 제2 굽힘 접힘부(3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굽힘 접힘부(323) 및 제2 굽힘 접힘부(324), 즉 대응하는 결각부는 서로의 쪽으로 향해 있고 압축 축선(y)에 대해 적어도 대략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굽힘 접힘부(323, 324) 및 압축 챔버(321, 322)는, 제2 밀봉 요소(3)가 제2 압축 축선(y)을 따라 변위될 때, 즉 슬라이딩 판(10)이 수직 방향으로 하강될 때, 제2 밀봉 요소(3)의 압축 부재(32)가 압축되고 선택적으로 부분적으로 접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압축 챔버(321, 322)는 본질적으로 제2 압축 축선(y)을 따라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압축 요소(22)의 횡방향 변위(이에 의해 압축 부재(22)의 압축이 실패하게 됨)는 일어나지 않는다. 대신에, 압축 챔버(321, 322)는 압축 축선(y)을 따라 압축되고, 그래서 슬라이딩 판(10) 아래에서 단단한 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6b는 도 6a의 무응력 상태의 제2 밀봉 요소(3)를 앞쪽에서 본 것을 나타낸다.
도 6c는, 앵커 부재(31)가 아래쪽으로 변위되어 있고 또한 압축 부재(32)는 압축 축선(y)을 따라 압축되어 있는, 도 6b의 응력 상태의 제2 밀봉 요소(3)를 나타낸다.
도 7a는 앵커 부재(21)의 길이 방향 축선(a)과 압축 부재(22)의 압축 축선(x)이 서로 동축으로 정렬되어 있는 제1 밀봉 요소(2)를 나타낸다. 그래서, 제2 밀봉 요소(3) 대신에, 제1 밀봉 요소(2)가 예컨대 도 4b의 슬라이딩 판(10)의 하부측에 있는 앵커 홈(18) 안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대시선으로 나타나 있는 어깨 부재(201)는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b는 앵커 부재(31)의 길이 방향 축선(a)과 압축 부재(32)의 압축 축선(y)이 서로 수직하게 정렬되어 있는 제2 밀봉 요소(3)를 나타낸다. 그래서, 제1 밀봉 요소(2) 대신에, 제2 밀봉 요소(3)가 예컨대 도 4b의 슬라이딩 판(10)의 상부측에 있는 앵커 홈(18) 안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대시선으로 나타나 있는 어깨 부재(301)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100 슬라이딩 시스템
1 독창적인 슬라이딩 요소, 미닫이 문
1' 밀봉 장치를 갖는 공지된 슬라이딩 요소
10 슬라이딩 판
11 기부판
111 기부판(11)의 짧은 부재
12 플랜지 판
14 수용 공간
15 연장된 가장자리 부재
18 앵커 홈
181 상측 앵커 홈 부분
182 측면 앵커 홈 부분
183 하측 앵커 홈 부분
19 장착 채널
2 제1 밀봉 요소
20 제1 밀봉 요소의 연결체
201 연결체(20)의 어깨 부재
21 제1 밀봉 요소(2)의 앵커 부재
22 제1 밀봉 요소(2)의 압축 부재
221 제1 접촉 파형부
222 제2 접촉 파형부
3 제2 밀봉 요소
30 제2 밀봉 요소의 연결체
301 연결체(30)의 어깨 부재
31 제2 밀봉 요소(3)의 앵커 부재
311 앵커 요소
32 제2 밀봉 요소(3)의 압축 부재
321 제1 압축 챔버
322 제2 압축 챔버
323 제1 굽힘 접힘부
324 제2 굽힘 접힘부
5 공지된 밀봉 요소
51 공지된 밀봉 요소(5)의 앵커 부재
52 공지된 밀봉 요소(5)의 압축 부재
521 측면 압축 챔버
522 하측 압축 챔버
6 장착 스트립
60 앵커 채널
8 문틀, 케이싱
9 레일
91 캐리지
92 연결 장치
93 장착 장치
99 커버

Claims (15)

  1. 슬라이딩 판(10) 및 밀봉 장치를 갖는 슬라이딩 요소(1)로서,
    상기 밀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2; 3)를 포함하고, 밀봉 요소는, 상기 슬라이딩 판(10)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주변에서 슬라이딩 판(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밀봉 프레임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 판(10)은 기부판(11), 및 기부판(11)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플랜지 판(12)을 포함하고, 플랜지 판은 상기 기부판(11)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가장자리에서는 둘레 앵커 홈(18)에 의해 기부판(11)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앵커 홈(18)은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2; 3)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2; 3)는, 연결체(20; 30)를 통해 압축 부재(22; 32)에 연결되어 있는 앵커 부재(21; 31)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 홈(18) 내부에 유지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2; 3)의 앵커 부재(21)는 상기 슬라이딩 판(10)에 적어도 대략 평행하게 정렬되는, 슬라이딩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밀봉 요소(2)는, 그의 앵커 부재(21)로 상기 슬라이딩 판(10)의 상부측에 있는 앵커 홈(18)의 상측 앵커 홈 부분(181)에, 또한 상기 슬라이딩 판(10)의 좌측에 있는 좌측 앵커 홈 부분(182)에, 또한 상기 슬라이딩 판(10)의 우측에 있는 앵커 홈(18)의 우측 앵커 홈 부분(182)에 정착되고, 제2 밀봉 요소(3)는, 그의 앵커 부재(31)로 상기 슬라이딩 판(10)의 하부측에 있는 앵커 홈(18)의 하측 앵커 홈 부분(183)에 정착되는, 슬라이딩 요소(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요소(2)의 압축 부재(22)는 상기 슬라이딩 판(10)에 수직하게 정렬되는 제1 압축 축선(x)을 가지고 있는, 슬라이딩 요소(1).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요소(2)의 압축 부재(22)는, 적어도 대략 대칭적이고 또한 2개의 접촉 영역 및 상기 압축 축선(x)에 대응하는 대칭 축선을 갖는 심장 형태에 적어도 대략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는, 슬라이딩 요소(1).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홈(18) 내부에 유지되는 상기 제2 밀봉 요소(3)의 앵커 부재(31)는 상기 슬라이딩 판(10)에 적어도 대략 평행하게 정렬되고, 상기 제2 밀봉 요소(3)의 압축 부재(32)는 상기 슬라이딩 판(10)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제2 압축 축선(y)을 가지고 있는, 슬라이딩 요소(1).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 요소(3)의 장착 후에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는 상기 제2 압축 축선(y)은 상기 제2 밀봉 요소(3)의 상기 앵커 부재(31)와 압축 부재(32)를 횡단하는, 슬라이딩 요소(1).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 요소(3)의 상기 압축 부재(32)는 하나 또는 2개의 굽힘 접힘부(323; 324) 또는 상기 압축 부재(32)의 양측에서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서로 변위되어 있는 굽힘 접힘부(323; 324)를 포함하고, 굽힘 접힘부는 상기 제2 압축 축선(y)에 대해 경사지게, 바람직하게는 수직하게 정렬되어 있는, 슬라이딩 요소(1).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 요소(3)의 압축 부재(32)는 적어도 2개의 압축 챔버(321, 322)를 포함하고, 압축 챔버는 상기 제2 압축 축선(y)을 따라 서로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요소(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접힘부(323; 324) 또는 굽힘 접힘부(323; 324) 중의 하나는 상기 압축 챔버(321, 322) 사이에서 상기 제2 압축 축선(y)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요소(1).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접힘부(323; 324) 또는 2개 이상의 굽힘 접힘부(323; 324) 및 압축 챔버(321, 322)는, 상기 제2 압축 축선(y)을 따르는 상기 제2 밀봉 요소(3)의 변위 동안에 상기 제2 밀봉 요소(3)의 압축 부재(32)가 접히고 그리하여 상기 압축 챔버(321, 322)가 본질적으로 상기 제2 압축 축선(y)을 따라 움직이도록 설계되어 있는, 슬라이딩 요소(1).
  11. 제1항에 따른 슬라이딩 요소(1)에 장착되는 밀봉 장치를 위한 밀봉 요소(3)로서, 앵커 부재(31)와 압축 부재(32)를 가지며,
    상기 압축 부재는,
    관련된 압축 축선(y)을 따라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압축 챔버(321, 322), 및
    하나 또는 2개의 굽힘 접힘부(323; 324) 또는 상기 압축 부재(32)의 양측에서 번갈아 배치되는 복수의 서로 변위되어 있는 굽힘 접힘부(323; 324)를 포함하고,
    상기 굽힘 접힘부(323; 324) 또는 2개 이상의 굽힘 접힘부(323; 324) 및 압축 챔버(321, 322)는, 상기 관련된 압축 축선(y)을 따르는 상기 제2 밀봉 요소(3)의 변위 동안에 상기 압축 부재(32)가 접힐 수 있고 또한 접힘 과정 동안에 상기 압축 챔버(321, 322)가 본질적으로 상기 관련된 압축 축선(y)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밀봉 요소(3).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접힘부(323; 324) 또는 2개 이상의 굽힘 접힘부(323; 324)는 상기 관련된 압축 축선(y)에 대해 경사지게, 바람직하게는 수직하게 정렬되어 있는, 밀봉 요소(3).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접힘부(323; 324) 또는 굽힘 접힘부(323; 324) 중의 하나는 상기 압축 챔버(321, 322) 사이에서 관련된 압축 축선(y)을 따라 있는, 밀봉 요소(3).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된 압축 축선(y)은 상기 앵커 부재(31)와 압축 부재(32)를 횡단하는, 밀봉 요소(3).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부재(31)와 압축 부재(32) 사이에는, 상기 압축 축선(y)에 대해 수직하게 정렬되어 있는 어깨 부재(301)가 제공되어 있는, 밀봉 요소(3).
KR1020180033241A 2017-03-23 2018-03-22 밀봉 장치를 갖는 슬라이딩 요소 및 밀봉 요소 KR102619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62591.6 2017-03-23
EP17162591.6A EP3379016A1 (de) 2017-03-23 2017-03-23 Schiebeelement mit dichtungsvorrichtung und dichtungs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492A true KR20180108492A (ko) 2018-10-04
KR102619495B1 KR102619495B1 (ko) 2023-12-28

Family

ID=5841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241A KR102619495B1 (ko) 2017-03-23 2018-03-22 밀봉 장치를 갖는 슬라이딩 요소 및 밀봉 요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781629B2 (ko)
EP (2) EP3379016A1 (ko)
JP (1) JP7156658B2 (ko)
KR (1) KR102619495B1 (ko)
CN (1) CN108625752B (ko)
AR (1) AR111533A1 (ko)
AU (1) AU2018202037B2 (ko)
CA (1) CA2997736C (ko)
CL (1) CL2018000748A1 (ko)
MX (1) MX2018003506A (ko)
SG (1) SG10201801918X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842A (ko) * 2020-05-29 2021-12-07 문여진 틈이 없는 미닫이 창호 레일과 이를 포함하는 창호 및 이의 설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8937A1 (zh) * 2018-01-30 2019-08-0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密封条和具有其的洗碗机
ES1211844Y (es) * 2018-03-23 2018-07-30 Cantal Oscar Torrabias Marco perimetral para puertas de cristal
RU203360U1 (ru) * 2020-10-29 2021-04-01 Дан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устошкин Рама двери шкафа-купе
DE102021200223A1 (de) 2021-01-12 2022-07-14 Geze Gmbh Hermetische Türanlage
KR200497670Y1 (ko) * 2021-01-26 2024-01-23 김상기 슬라이딩 행거도어용 하부개스킷
DE202021004242U1 (de) 2021-03-01 2023-03-21 Assa Abloy (Schweiz) Ag Dichtung für Schiebetüren
EP4053373A1 (de) 2021-03-01 2022-09-07 ASSA ABLOY (Schweiz) AG Dichtung für schiebetüren und -fenster
EP4191013A1 (de) 2021-12-01 2023-06-07 ASSA ABLOY (Schweiz) AG Dichtungseinheit für eine schiebetür
SE2230240A1 (en) * 2022-07-14 2024-01-15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Door leaf as well as a doo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485U (ja) * 1992-12-22 1994-07-15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気密ドアパッキン
JPH0710373U (ja) * 1993-07-08 1995-02-14 扶桑電機工業株式会社 防音および電磁波シールドドア
US20120260579A1 (en) * 2011-04-15 2012-10-18 Ultrafab, Inc. Multiple Hollow Bulb Seal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0517A (en) * 1962-06-07 1964-07-14 Stanley H Richter Door stop seal assembly
US3388502A (en) * 1965-09-27 1968-06-18 Evans Prod Co Sealing structure
US3452481A (en) * 1967-11-13 1969-07-01 Pullman Inc Double plug door sealing arrangement
US3518793A (en) * 1968-05-22 1970-07-07 Bolt Beranek & Newman Closure sealing apparatus
US3562957A (en) * 1969-02-26 1971-02-16 Landis Sales Co Closure sealing apparatus
US3616137A (en) * 1969-11-03 1971-10-26 Kessler Products Co Inc Pile weatherstripping with monofilament thermoplastic backing
US3758992A (en) * 1971-10-04 1973-09-18 H G Olson & Co Inc Sealed closures with weather-stripping
US3952455A (en) * 1975-01-20 1976-04-27 The Pantasote Company Sealing gasket
US4095640A (en) * 1977-02-02 1978-06-20 Beckerer Frank S Jr Boat window
US4343110A (en) * 1980-01-21 1982-08-10 Eileen Thompson Weather stripping apparatus
US4478003A (en) * 1982-02-01 1984-10-23 Flett Dennis E Interior insulating window system
US4656783A (en) * 1982-04-26 1987-04-14 Pentti Ahonen Insulation of structures
US4538380A (en) 1983-11-16 1985-09-03 Profile Extrusions Company Low friction weather seal
JPS61206094U (ko) * 1985-06-17 1986-12-26
DE4228986A1 (de) * 1992-08-31 1994-03-03 Oliver Eisele Profildichtung
DE10259924B4 (de) * 2002-12-20 2008-04-30 Geze Gmbh Schiebetüranlage
WO2007106390A2 (en) 2006-03-10 2007-09-20 Amesbury Grou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inforced weatherstrip, and such a weatherstrip
US8474189B1 (en) * 2008-10-02 2013-07-02 Intek Plastics, Inc. Weather strip for use with frame structures having sharp corners
ES2762167T3 (es) * 2012-07-11 2020-05-22 Hawa Sliding Solutions Ag Dispositivo de guiado, carro y carril de rodadura
AU2016219065A1 (en) 2015-02-13 2017-09-07 Amesbury Group, Inc. Low compression-force TPE weathersea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485U (ja) * 1992-12-22 1994-07-15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気密ドアパッキン
JPH0710373U (ja) * 1993-07-08 1995-02-14 扶桑電機工業株式会社 防音および電磁波シールドドア
US20120260579A1 (en) * 2011-04-15 2012-10-18 Ultrafab, Inc. Multiple Hollow Bulb Se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842A (ko) * 2020-05-29 2021-12-07 문여진 틈이 없는 미닫이 창호 레일과 이를 포함하는 창호 및 이의 설치 방법
WO2022114435A1 (ko) * 2020-05-29 2022-06-02 문여진 틈이 없는 미닫이 창호 레일과 이를 포함하는 창호 및 이의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25752A (zh) 2018-10-09
CA2997736C (en) 2023-05-23
KR102619495B1 (ko) 2023-12-28
CL2018000748A1 (es) 2018-11-09
MX2018003506A (es) 2018-11-09
AU2018202037A1 (en) 2018-10-11
CN108625752B (zh) 2021-06-25
JP2018159260A (ja) 2018-10-11
AR111533A1 (es) 2019-07-24
US20180274285A1 (en) 2018-09-27
CA2997736A1 (en) 2018-09-23
SG10201801918XA (en) 2018-10-30
EP3388608A1 (de) 2018-10-17
EP3379016A1 (de) 2018-09-26
AU2018202037B2 (en) 2022-11-10
JP7156658B2 (ja) 2022-10-19
US10781629B2 (en) 2020-09-22
EP3388608B1 (de) 2022-10-26
BR102018005674A2 (pt) 201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8492A (ko) 밀봉 장치를 갖는 슬라이딩 요소 및 밀봉 요소
KR101543761B1 (ko) 기밀형 창호 구조물
JP7470725B2 (ja) 建具
KR101790028B1 (ko) 차폐문의 방음가능한 차폐장치
JP5085884B2 (ja) ふかし枠、及び、建具
KR101512929B1 (ko) 차폐구조를 가진 미닫이 창호
KR100439112B1 (ko) 레일은폐형 창호장치
KR20210055302A (ko)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한 미서기 창호
KR100645421B1 (ko) 이중단열창
JP3017084B2 (ja) 換気框の取付構造
KR101597016B1 (ko) 차폐구조를 가진 미닫이 창호
JP2010095911A (ja) 建具
KR200401741Y1 (ko) 분리형 필링피스
JPH0122835Y2 (ko)
KR20190033970A (ko) 연동 슬라이딩 도어
BR102018005674B1 (pt) Elemento deslizante com dispositivo de vedação
JP2023053722A (ja) 建具
JP2000008714A (ja) 窓枠の化粧構造
JP2023048563A (ja) 建具
JP2836011B2 (ja) 内動片引き窓の気密構造
JP2022116655A (ja) 間仕切り窓
JPS6117169Y2 (ko)
JP2023056904A (ja) 建具
JP2747888B2 (ja) システムスライディング窓
JP3071522U (ja) 窓板支持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