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849A -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 - Google Patents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849A
KR20180105849A KR1020170033056A KR20170033056A KR20180105849A KR 20180105849 A KR20180105849 A KR 20180105849A KR 1020170033056 A KR1020170033056 A KR 1020170033056A KR 20170033056 A KR20170033056 A KR 20170033056A KR 20180105849 A KR20180105849 A KR 20180105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distance
contact
measuring
adv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원
이청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Priority to KR1020170033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5849A/ko
Publication of KR20180105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6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for measuring dimensions inside body cavities, e.g. us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livering implantable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livering implantable medical measuring apparatus cathet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터에 삽입되어 체내에 진입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부, 몸체부의 일단에서 몸체부와 소정각도를 이루어 진퇴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전진함에 따라 복수의 접촉부 각각의 끝단이 몸체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의 이격거리가 점차 커지도록 구성되는 측정부, 및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며, 측정부의 진퇴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퇴부를 포함하는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는 세경 카테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간단한 조작으로 병변부위에 접촉하여 크기를 직접 측정가능하므로 수술 편의와 수술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 {THE APPARATUS OF MEASURING TISSUE SIZE USED IN A CATHETER}
본 발명은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카테터를 통하여 체강내로 삽입되어 병변부위의 크기를 측정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Catheter)는 주로 외과 시술시 체강 또는 장기 내로 삽입하기 위한 튜브형의 기구이다. 카테터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 크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 중 경도에 따라 딱딱한 경성 카테터와 탄성이 있는 연성 카테터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카테터를 이용하여 수술의 진행시 체강 내의 병변부위를 확인할 때 그 크기를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병변부위에 이식되는 이식편의 크기를 결정할 때 병변부위에 대응되는 크기로 결정되어 부작용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때, 시스(sheath) 또는 카테터로 삽입되어 이를 측정하기 위한 프로브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53630호 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브의 복잡한 형상 및 크기의 한계로 세경 카테터에 적용되기 어려우며, 복잡한 구성으로 비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53630 호(2015.05.18. 공개)
본 발명은 종래의 카테터를 통하여 체내로 진입하여 병변부위의 크기를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는 조직크기측정지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카테터에 삽입되어 체내에 진입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부, 몸체부의 일단에서 몸체부와 소정각도를 이루어 진퇴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전진함에 따라 복수의 접촉부 각각의 끝단이 몸체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의 이격거리가 점차 커지도록 구성되는 측정부, 및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며, 측정부의 진퇴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퇴부를 포함하는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는 끝단에 접촉부를 소정각도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접촉부는 전진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에서 벤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각도는 몸체부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몸체부의 반경방향으로 90도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정부의 현재 전진거리에 따른 접촉부의 이격거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진퇴부는 회전함에 따라 측정부를 진퇴시킬 수 있도록 나사산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표시부는 나사산을 따라 이격거리가 표시되며, 진퇴부는 이격거리 중 진퇴부의 회전위치에 따른 접촉부의 현재 이격거리를 지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부의 후퇴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몸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접촉부는, 3개로 구성되며, 몸체부의 끝단에 둘레방향으로 120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는 세경 카테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간단한 조작으로 병변부위의 크기를 직접 측정가능하므로 수술 편의와 수술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가 카테터에 적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인 조직크기 측정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측정부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10)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1)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가 카테터(10)에 적용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직크기 측정기구(1)는 체강 내로 삽입되는 카테터(10)를 통하여 체내에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카테터(10)에는 워킹채널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워킹채널을 통하여 목표조직(t) 근처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측정기구가 목표조직(t)에 접촉할 수 있도록 카테터(10)의 단부에서 진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목표조직(t)에 인접한 상태에서 측정부(130)가 전진하여 조직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카테터(10)에 삽입되는 것은 일 예일 뿐, 시스와 같이 체강내로 진입하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도구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때, 광파이버와 같은 내시경을 체강 내에 삽입하여 체강 내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조직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는 제1 실시예인 조직크기 측정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 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크기 측정기구는 몸체부(100), 측정부(130), 진퇴부(140),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진퇴부(140)의 진퇴 조작으로 측정부(130)가 몸체부(100) 외부로 출몰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카테터(10)의 워킹채널로 삽입되어 체강내로 진입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카테터(10)의 워킹채널에 삽입되어 진퇴가능하도록 적절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조직크기 측정기구가 워킹채널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카테터(10)의 삽입부를 벤딩하는 경우 몸체부(100)도 함께 벤딩이 가능하도록 벤딩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 세경 카테터의 워킹채널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1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하우징(110) 및 로드(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몸체부(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워킹채널 내에서 원활한 진퇴가 가능하도록 매끈한 외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측으로 후술할 로드(120) 및 측정부(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이 공간이 형성된 hollow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일측은 체강내로 삽입되며, 타측에는 진퇴부(140) 및 표시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로드(12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삽입되며, 하우징(110)과 함께 측정부(130)가 소정경로 외로 이탈하지 않도록 측정부(130)를 지지한다. 즉 측정부(130)의 일부는 로드(120)와 하우징(1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로드(120)는 가이드부(121)와 지지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로드(120)는 측정부(130)가 소정 경로상에서 진퇴가능하도록 가이드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21)는 로드(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으로 구성된다. 가이드부(121)는 후술할 접촉부(131)의 개수 및 형상에 대응하여 홈의 위치, 홈의 형상이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21)의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로드(120)는 하우징(110)보다 다소 짧은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로드(120)는 하우징(110)에 고정설치되며, 체내로 삽입되는 측의 단부가 하우징(110)의 단부와 일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타측에는 진퇴부(140)가 측정부(130)를 지지하며 진퇴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22)는 가이드부(121)의 끝단에서 소정각도로 테이퍼지도록 구성되며, 접촉부(131)가 전진시 로드(120)의 중심축과 소정각도를 이루어 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지지부(122)는 가이드부(121)의 끝단에서 홈의 깊이가 점차 줄어드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가이드부(121)의 끝단에 구비된다. 한편 지지부(122)에 의해 지지된 접촉부(131)는 지지된 부분이 소정각도로 벤딩이 이루어지며, 접촉부(131) 중 몸체부(100) 외측으로 전진된 부분은 직선의 형상이 유지된다. 이때 지지부(122)의 테이퍼진 각도는 외부로 노출된 접촉부(131)의 직선구간과 몸체부(100)의 중심축과의 각도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122)의 각도는 몸체부(100)의 반경방향으로 90도 이하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정부(130)는 조직크기 측정기구의 외측으로 전진하여 조직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측정부(130)는 접촉부(131)와 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촉부(13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3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접촉부(131)는 회전대칭으로 구성되며,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131)의 끝단은 측정부(130)의 전진 초기시 몸체부(100)와 소정각도를 이루며 원활하게 전진할 수 있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촉부(131)는 탄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전술한 지지부(122)에 의해 벤딩 이후 원위치로 복귀시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촉부(131)는 체강내로 진입하여 목표체적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도록 전진함에 따라 각각의 접촉부(131)의 끝단은 서로 이격된다. 한편 이러한 작동에 대하여는 차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보스부(132)는 측정부(130)의 일측에 구비되며, 몸체부(100)의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스부(132)는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작동하는 진퇴부(140)에 의해 지지되어 측정부(130)가 진퇴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스부(132)는 복수로 구성되어 회전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측정부(130)가 회전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만 진퇴할 수 있도록 보스부(132)에 대응하여 하우징(110)에는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진퇴부(140)는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하우징(110)의 일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외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측정부(130)가 진퇴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퇴부(140)는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회전함에 따라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나사산(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에 대응되어 몸체부(100)의 하우징(110) 외면에도 나사산(111)이 구비될 수 있다. 진퇴부(140)는 전술한 측정부(130)의 보스부(132)를 지지하며, 회전함에 따라 측정부(130)를 진퇴시킬 수 있다.
진퇴부(140)는 현재의 진퇴길이에 따른 접촉부(131) 간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윈도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윈도우를 통하여 표시부(150)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몸체부(100)의 중심축으로부터 접촉부(131)의 끝단까지의 이격거리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진퇴부(140)는 몸체부(100)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진퇴부(140)의 직경은 1cm 내지 3 cm 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다양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50)는 몸체부(100)의 하우징(110)의 외면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전술한 이격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표시부(150)는 전술한 나사산(111) 사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진퇴부(140)의 회전에 따라 이격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나사산(111)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수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진퇴부(140)가 2회전 가능한 구성이며, 이에 따른 표시부(150)의 수치가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나사산(111)의 피치에 따라 다양한 회전수 및 그에 따른 이격거리가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직크기 측정기구의 동작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측정부(130)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 내측에 배치되어있던 측정부(130)는 진퇴부(140)의 조작에 의해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초기위치에서는 접촉부(131)의 끝단이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상태로 조직크기 측정기구가 카테터(10)의 워킹채널로 삽입될 수 있으며,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최소화 하여 삽입시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측정부(130)의 전진 초기에는 접촉부(131)의 테이퍼진 부분과 로드(120)의 지지부(122)가 서로 작용하여 원활하게 소정각도로 벤딩이 이루어지면서 전진한다.
측정부(130)가 지속적으로 전진함에 따라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접촉부(131)의 길이는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때 소정각도로 소정길이 전진하게 되면,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이격거리가 결정된다. 접촉부(131)의 전진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는 Lsinθ 가 된다. 중심으로부터 접촉부(131) 끝단까지의 이격거리(d)는 측정부(130)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r)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측정부(130)의 전진길이는 진퇴부(140)의 전진길이와 일치하게 되며, 이에 따른 기하학적 해석으로 전진 길이에 따른 접촉부(131)의 끝단간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진거리에 따른 이격거리(d)를 나타낼 수 있도록 표시부(150)에 이격거리(d)가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150)에는 목표조직(t)의 직경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전술한 이격거리의 2배가 되는 수치(2*d)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10)를 체강내로 진입시키며, 삽입부의 끝단을 목표조직(t)에 인접하도록 카테터(10)를 조절한다. 이때, 카테터(10)에 삽입된 광파이버 또는 카테터(10)와 별도로 삽입된 내시경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목표조직(t) 인근에 삽입부가 배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목표조직(t)에 인접하면 조직크기 측정기구를 목표조직(t) 측으로 소정거리 전진시키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진퇴부(140)를 조작하여 접촉부(131)를 전진시키며, 접촉부(131)가 전진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접촉부(131)의 끝단이 목표조직(t)의 경계에 인접하도록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조직크기 측정기구의 위치 및 접촉부(131)의 전진길이(L)를 함께 조절하여 목표조직(t)의 경계에 접촉부(131)를 접촉시킨다.
한편, 목표조직(t)의 크기 측정시 광파이버 또는 별도의 내시경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진입과정을 확인하면서 조직크기 측정기구를 조작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접촉부(131)가 목표조직(t)의 경계부분에 접촉했을 때, 표시부(150)에서 표시되는 수치가 목표조직(t)의 직경이 된다.
측정된 목표조직(t)의 직경은 수술시 다양하게 이용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두 개의 접촉부(131), 탄성부(160), 직선운동하는 진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촉부(131)는 두 개로 구성되며, 몸체부(100)의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서로 맞은편에 배치된다. 즉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전진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탄성부(160)는 진퇴부(140)를 조작하여 전진시킨 후 원위치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진퇴부(140)는 몸체부(100)의 끝단에서 직선운동하며 접촉부(131)의 전진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측정부(130)의 일단은 진퇴부(140)에 의해 지지되며, 진퇴부(140)의 조작거리가 접촉부(131)의 전진거리와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10)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1)는 세경 카테터(10)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간단한 조작으로 병변부위에 접촉하여 크기를 직접 측정가능하므로 수술 편의와 수술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 목표조직
1: 조직크기 측정기구
10: 카테터
100: 몸체부 110: 하우징
111: 나사산
120: 로드 121: 가이드부
122: 지지부
130: 측정부 131: 접촉부
132: 보스부
140: 진퇴부
150: 표시부
160: 탄성부
d: 이격거리
x: 접촉부의 이격거리
r: 몸체부 반경
L: 접촉부의 전진거리

Claims (7)

  1. 카테터에 삽입되어 체내에 진입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부와 소정각도를 이루어 진퇴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전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접촉부 각각의 끝단이 상기 몸체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의 이격거리가 점차 커지도록 구성되는 측정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측정부의 진퇴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퇴부를 포함하는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끝단에 상기 접촉부를 상기 소정각도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전진시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에서 벤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각도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반경방향으로 90도 이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의 현재 전진거리에 따른 접촉부의 이격거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부는 회전함에 따라 상기 측정부를 진퇴시킬 수 있도록 나사산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격거리가 표시되며,
    상기 진퇴부는 상기 이격거리 중 상기 진퇴부의 회전위치에 따른 상기 접촉부의 현재 이격거리를 지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의 후퇴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3개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 둘레방향으로 120도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
KR1020170033056A 2017-03-16 2017-03-16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 KR20180105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056A KR20180105849A (ko) 2017-03-16 2017-03-16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056A KR20180105849A (ko) 2017-03-16 2017-03-16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849A true KR20180105849A (ko) 2018-10-01

Family

ID=6387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056A KR20180105849A (ko) 2017-03-16 2017-03-16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58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2429B2 (ja) ドリルビット上を摺動するプローブを含む一体形深さゲージを有する、動力外科用ドリル
US7766904B2 (en) Adjustable laser probe for use in vitreoretinal surgery
JP5111931B2 (ja) 内視鏡用処置具
US7704234B2 (en) Dynaflex
US20060041291A1 (en) Directional probe treatment apparatus
EP3146942A1 (en) Highly retractable intravascular stent conveying system
US20040260199A1 (en) Cytology collection device
JP2007215896A (ja) 内視鏡用バイポーラ型高周波処置具
JP4598197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6165773B2 (ja) 円形の深さゲージ
KR101828289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
JP4774272B2 (ja) 内視鏡用高周波切開具
KR20180105849A (ko) 카테터에 삽입가능한 조직크기 측정기구
JP4425223B2 (ja) 内視鏡用高周波ナイフ
KR101860906B1 (ko) 가이드 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JP6134782B2 (ja) 作動部材、および医療器具
JP6262147B2 (ja) 単一患者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深さゲージ
KR101958218B1 (ko) 체강내 조직 크기 측정기구
JP5191252B2 (ja) 内部測定用ゲージ及び内部測定システム
JP2023544101A (ja) キャニュレイティドねじ長さ測定ゲージ
RU2670657C9 (ru) Стереотаксический держатель медицинск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адаптеры для него
JP6168786B2 (ja) 計測用治具
JP4464810B2 (ja) 内視鏡用穿刺針
JP2003111722A (ja) 内視鏡用測長具
WO2016081761A1 (en) Windowed instrument drill guide and corresponding friction reducing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