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651A - 발전기 세트 - Google Patents

발전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651A
KR20180105651A KR1020187020842A KR20187020842A KR20180105651A KR 20180105651 A KR20180105651 A KR 20180105651A KR 1020187020842 A KR1020187020842 A KR 1020187020842A KR 20187020842 A KR20187020842 A KR 20187020842A KR 20180105651 A KR20180105651 A KR 20180105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set
cylinder head
crankshaft
camshaft
cranksha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1736B1 (ko
Inventor
프랭크 오브리스트
Original Assignee
오브리스트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브리스트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오브리스트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0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2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in V, fan, or star arrangement
    • F02B75/225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in V, fan, or star arrangement having two or more crank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2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in V, fan, or star arrangement
    • F02B75/228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in V, fan, or star arrangement with cylinders arranged in parallel b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02B63/042Rotating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9/00Internal-combustion engines convertible into other combustion-engine type, not provided for in F02B11/00; Internal-combustion engines of different typ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s facilitating use of same main engine-parts in different ty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6Engines with means for equalising torque
    • F02B75/065Engines with means for equalising torque with double connecting rods or crank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2075/1804Number of cylinders
    • F02B2075/1808Number of cylinders tw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275/00Other engines, componen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B2275/02Attachment or mounting of cylinder heads on cylinders

Abstract

본 발명은 2-실린더 피스톤 엔진(1)을 갖는 발전기 세트,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의 발전기 세트에 관한 것으로, 엔진은 크랭크축 하우징(10)을 가지며, 크랭크축 하우징 안에는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2개의 크랭크축(11, 12)이 배치되어 있고, 크랭크축은 피스톤 로드(13)에 의해 피스톤(18, 19)에 연결되고, 피스톤은 직렬로 배치된 두 실린더(21, 22) 안에서 안내되며, 적어도 하나의 크랭크축(11, 12)은 발전기(41, 42)에 구동 연결되며, 피스톤 엔진(1)은 실린더 헤드(20)를 가지며, 이 실린더 헤드는 크랭크축 하우징(10)에 연결된다. 피스톤 엔진(1)은 하측에 장착되는 캠축(30)을 가지며, 실린더 헤드(20)는 적어도 2개의 위치, 특히 서로에 대해 180°만큼 회전된 위치에서 크랭크축 하우징(10)에 연결될 수 있다. ㅂ본 발명은 또한 그라한 발전기 세트를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전기 세트
본 발명은 발전기 세트,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의 발전기 세트, 및 이러한 발전기 세트를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서 언급된 종류의 발전기 세트가 종래 기술, 예컨대 WO2012/056275A1에 알려져 있다.
공지된 기술의 발전기 세트는 2개의 피스톤을 갖는 2-실린더 피스톤 엔진을 포함하고, 피스톤은 직렬로 배치되어 있는 두 실린더 내부에서 안내된다. 각 피스톤은 피스톤 로드에 의해 각각의 크랭크축에 연결된다. 두 크랭크축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2-실린더 피스톤 엔진은 또한 크랭크축 하우징을 포함하는데, 이 하우징 안에 크랭크축이 배치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크랭크축에 구동 연결되는 발전기가 제공된다. 크랭크축 하우징 상에는 실린더 헤드가 설치되고, 이 실린더 헤드는 크랭크축 하우징에 고정 연결된다.
공지된 종래 기술의 발전기 세트는 바람직하게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배치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에너지 저장 요소, 특히 어큐뮬레이터에 필요한 공간은 특히 크며, 그래서 발전기 세트의 구성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에서 발전기 세트의 바람직한 설치 위치가 고려된다. 중량 분산의 이유로, 발전기 세트를 엔진 격실의 벌크헤드에 가능한 한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서, 실린더 헤드에 연결되는 배기관 또는 흡기 매니폴드가 방해가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연하고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차량과 통합될 수 있는 발전기 세트가 필요하다.
위와 같은 점을 배경으로 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기 세트가 다양한 설치 조건 하에서 유연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서두에서 언급한 종류의 발전기 세트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러한 발전기 세트를 갖는 차량을 특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전기 세트와 관련된 목적은 특허 청구항 1의 내용으로 달성된다. 차량과 관련된 목적은 특허 청구항 11의 내용으로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2-실린더 피스톤 엔진을 갖는 발전기 세트,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의 발전기 세트를 특정하는 개념에 기초하며, 상기 엔진은 크랭크축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크랭크축 하우징 안에는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2개의 크랭크축이 배치되어 있고, 크랭크축은 피스톤 로드에 의해 피스톤에 연결된다. 피스톤은 직렬로 배치된 두 실린더 안에서 안내된다.
적어도 하나의 크랭크축은 발전기에 구동 연결된다. 피스톤 엔진은 실린더 헤드를 가지며, 상기 실린더 헤드는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에 연결된다. 피스톤 엔진은 하측에 장착되는 캠축을 갖는다. 상기 실린더 헤드는 서로에 대해 특히 180°만큼 회전된 적어도 2개의 위치에서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하측에 장착되는 캠축, 및 크랭크축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실린더 헤드의 조합은 그와 관련된 특별한 이점을 갖는다. 하측에 장착되는 캠축에 의해, 특히, 발전기 세트는 작은 구성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차량 내부 발전기 세트의 배치가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실린더 헤드(2개의 다른 위치에서 크랭크축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음)가 작은 구성 크기에 기여한다. 따라서, 발전기 세트는, 설치 조건에 따라, 차량에서 최소의 구성 공간을 필요로 하는데, 실린더 헤드(다른 방식으로 크랭크축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음)가 흡기 매니폴드 또는 배기관의 적절한 안내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발전기 세트는 엔진 격실에 있는 벌크헤드에 비교적 가깝게 위치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실린더 헤드는 흡기관 또는 배기관이 이동 방향으로 실린더 헤드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배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엔진 격실에서 이용 가능한 공간은 더 많게 되고, 이 공간은 예컨대 저장 요소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발전기 세트가 수평으로 배치되면, 배관의 다른 안내도 유리할 수 있다. 실린더 헤드는 다른 위치에서 크랭크축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발전기 세트는 유연하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헤드는 대칭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 헤드 및/또는 크랭크축 하우징에 있는 연결면 또는 연결 개구는 발전기 세트의 중심 축선에 대해 축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그래서 크랭크축 하우징에 대한 실린더 헤드의 배향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린더 헤드는 필요한 경우 크랭크축 하우징에 대해 2개의 다른 배향으로 연결될 수 있고, 동시에, 크랭크축 하우징에 대한 실린더 헤드의 배향에 상관 없이, 각각의 연결 개구는 서로 맞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캠축은 상기 크랭크축 사이의 중심면에 배치된다. 특히, 캠축은 피스톤의 피스톤 로드 사이에서 중심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피스톤의 피스톤 로드 사이의 이용 가능한 공간이 특히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용되고, 이는 발전기 세트의 컴팩트성에 기여하게 된다.
캠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의 하사점 아래에 배치된다. 그래서, 발전기 세트는 특히 컴팩트한 설계를 갖게 된다. 특히, 피스톤은 피스톤 로드 또는 실린더가 캠축과 충돌함이 없이 서로에 더 가깝게 움직일 수 있다.
실린더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점화 혼합물을 위한 흡기 스터브 파이프 및 배기 가스를 위한 출구 스터브 파이프를 갖는다. 흡기 스터브 파이프와 출구 스터브 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헤드의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된다.
캠축은 바람직하게는 벨트 구동기 또는 체인 구동기를 통해 크랭크축 중의 하나와 구동 연결된다. 캠축은 제어 로드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캠을 가질 수 있다. 제어 로드는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헤드에 있는 밸브의 로커 아암에 작동 연결되어 있다. 제어 로드는 캠의 외부 윤곽을 로커 아암의 요동 운동으로 변환시키며, 그래서 실린더 헤드에 있는 밸브가 캠 윤곽을 통해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캠축은 복수의 캠, 특히 4개의 캠을 가지며, 각 캠은 상기 제어 로드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제어 로드, 특히 모든 제어 로드가 상기 두 실린더 사이에 배치된다. 제어 로드의 이러한 배치는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남아 있는 자유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그리하여 발전기 세트의 컴팩트한 구성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두 크랭크축 각각은 치형 평 기어(spur gear)를 지니고 있고, 두 크랭크축의 평 기어는 상호 맞물리고 크랭크축을 서로 같은 위상으로 연결한다. 크랭크축의 평 기어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 두 피스톤이 운동이 상호 의존적으로 된다. 이리하여, 발전기 세트의 동기성이 촉진된다.
각 크랭크축은 바람직하게는 평형체를 갖는 플라이휠을 지니고 있다. 동시에, 크랭크축 센서로 크랭크축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휠은 원주방향 마킹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리이휠 중의 하나는 외부 치형을 가질 수 있고, 외부 치형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플라이휠 원주 상의 한 점에서 예외가 존재하는데, 거기서 외부 치형은 더 긴 틈을 가질 수 있다. 더 긴 틈은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센서, 특히 광학 센서를 지날 때 두 피스톤 중의 하나가 하사점 또는 상사점에 위치함을 알려주도록 배치된다. 여하튼, 크랭크축의 위치는 그러한 마킹으로 결정될 수 있고, 발전기 세트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차량, 특히 단일 트랙 또는 다중 트랙 하이브리드 차량에 관한 것으로, 이 차량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발전기 세트를 갖는다. 차량에서, 발전기 세트는 바람직하게는 엔진 격실에서 벌크헤드에 배치되고, 벌크헤드는 객실을 엔진 격실로부터 분리한다. 발전기 세트는 2개의 다른 배향으로 엔진 격실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며, 그 결과, 발전기 세트는 다수의 차량 형태에 범용적으로 적합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의 도움으로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 세트의 사시 정면도를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나타낸다.
도 1b는 도 1a의 발전기 세트의 사시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1c는 도 1a의 발전기 세트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d는 크랭크축 하우징이 없는 도 1a의 발전기 세트의 사시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도 1a의 발전기 세트의 사시 정면도를 나타내고, 설치된 실린더 헤드는 180°만큼 회전되어 있다.
도 2b는 도 2a의 발전기 세트의 사시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2c는 도 2a의 발전기 세트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a의 발전기 세트의 피스톤 장치의 사시 배면도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은 전체적으로 발전기 세트, 특히 2-실린더 피스톤 엔진(1)을 갖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발전기 세트를 나타낸다. 2-실린더 피스톤 엔진은 발전기(41, 42)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발전기(41, 42)는 전력을 발생시키고, 이 전력은 예컨대 구동 배터리를 충전하는데에 사용된다.
2-실린더 피스톤 엔진(1)은 크랭크축 하우징(10)을 포함하고, 이 하우징 안에는 제 1 크랭크축(11)과 제 2 크랭크축(12)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크랭크축(11)과 제 2 크랭크축(12)은 각각 피스톤 로드(13)를 통해 제 1 피스톤(18)과 제 2 피스톤(19)에 연결된다. 피스톤(18, 19)은 직렬로 배치된 두 실린더(21, 22) 안에서 안내된다. 실린더(21, 22)는 실린더 헤드(20) 안에 배치된다. 실린더 헤드(20)는 또한 2개의 흡기 스터브 파이프(23) 및 하나의 출구 스터브 파이프(24)를 포함한다. 연소 공기가 흡기 스터브 파이프(23)를 통해 흡인되고 실린더(21, 22) 안으로 공급된다. 실린더(21, 22)에서 발생된 배기 가스는 출구 스터브 파이프(24)를 통해 배출된다.
도 1a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발전기(41, 42)는 2-실린더 엔진(1)의 옆에 배치된다. 특히, 2-실린더 피스톤 엔진(1)은 본질적으로 두 발전기(41, 42) 사이에 배치된다. 발전기(41, 42)는 특히 2-실린더 피스톤 엔진(1)과 일렬로 배치되고, 그 결과 발전기 세트에 대한 설계가 특히 슬림하게 된다.
전자 장치 하우징(27)은 2-실린더 피스톤 엔진(1)의 양측에서 실린더 헤드(20)와 동일 평면 내에 제공되며, 전자 장치 하우징은 파워 전자 장치를 내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 하우징(27)은 각 경우 발전기(41, 42) 위에 배치된다. 전자 장치 하우징(27) 안에 배치되는 파워 전자 장치는 각 경우 발전기(41, 42) 중의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b는 발전기 세트의 배면도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명백한 바와 같이, 도 1a - 1d의 경우에, 실린더 헤드(20)의 출구 스터브 파이프(24)는 후방면 쪽으로 배향되어 있다. 덮개(28)가 발전기 세트의 후방면에 제공되어 있다. 덮개(28)는 평기어(spur gear)(34, 35)를 덮으며, 이들 평기어는 크랭크축(11, 12)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c는 발전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명백한 바와 같이, 발전기(41, 42)와 전자 장치 하우징(27)의 배치 결과, 발전기 세트의 특히 컴팩트하고 특히 슬림한 설계가 얻어진다. 또한, 실린더 헤드(20)의 구성은 평면도에서 명백하게 나타나 있다.
실린더 헤드(20)는 일 면에서 출구 스터브 파이프(24)를 가지고 있다. 출구 스터브 파이프(24)는 2개의 포트를 가지며 각 실린더(21, 22) 안으로 열려 있다. 흡기 스터브 파이프(23)가 실린더 헤드(20)의 반대 면에 배치된다. 흡기 스터브 파이프(23)들은 서로 떨어져 배치되고, 각 경우 제 1 실린더(21)와 제 2 실린더(22) 안으로 직접 열려 있다. 별도의 흡기 스터브 파이프(23)가 각 실린더(21, 22)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도 1c의 평면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20)는 도면에 수직인 대칭 축선에 대해 본질적으로 축대칭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리하여, 실린더 헤드(20)가 2개의 다른 배향으로 크랭크축 하우징(10) 상에 부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실린더 헤드(20)는 180°만큼 회전된 배향으로 크랭크축 하우징(10)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래서 배기 파이프(24)는 후방면이 아닌 발전기 세트의 전방면 쪽으로 배향된다.
도 2a - 2c에서 발전기 세트를 볼 수 있는데, 실린더 헤드(20)가 180°만큼 회전된 위치에서 크랭크축 하우징(10) 상에 부착되어 있다. 도 1a - 1d에 나타나 있는 발전기 세트의 구성품은 도 2a - 2c에 나타나 있는 발전기 세트의 구성품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단순한 차이점은, 도 1a - 1d에 나타나 있는 어셈블리에서, 실린더 헤드(20)는 도 2a - 2c에 나타나 있는 어셈블리에 대해 180°만큼 변위된 배향으로 크랭크축 하우징(10) 상에 설치된다는 것이다.
도 1c에서, 위쪽에서 볼 때, 밸브 덮개(29)가 또한 보이는데, 이는 실린더 헤드(20) 상에 부착된다. 이와는 달리, 도 1d는 발전기 세트의 내부 레이아웃을 나타내고, 명료성을 위해 크랭크축 하우징(10) 및 밸브 덮개(29)는 생략되어 있다.
도 1d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발전기 세트는 2개의 크랭크축(11, 12)을 가지며, 이들 크랭크축은 같은 위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은 상호 맞물리는 치부를 가지고 있는 평 기어(34, 35)를 통해 이루어진다. 평 기어(34, 35)는 발전기 세트의 후방면에 배치되고 도 3에서 노출되어 명백히 도시되어 있다. 구동 휠(36, 37)이 각 평 기어(34, 35)에 위치한다. 각 구동 휠(36, 37)은 벨트 또는 체인을 통해 발전기 세트(41, 42) 중 하나의 구동 휠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크랭크축(11, 12)과 각각 할당되어 있는 발전기(41, 42)의 연결은 크랭크축(11, 12)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동 휠(36, 37), 벨트 구동기 또는 체인 구동기, 및 발전기 세트의 구동 휠(발전기 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동축으로 연결됨)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1d는 발전기 세트의 추가의 본질적인 양태를 나타내는데, 이는 발전기 세트의 크기 감소에 기여한다. 구체적으로, 도 1d는 크랭크축(11, 12) 사이에 위치되는 캠축(30)을 나타낸다. 이 캠축(30)은 특히 피스톤 로드(13) 사이에서 실린더 헤드(20) 아래에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피스톤 로드(13)는 실린더 헤드(20)와 크랭크축(11, 12)과 함께 자유 공간을 한정하는데, 이 자유 공간은 캠축(30)에 의해 효율적으로 이용된다. 특히, 캠축(30)은 두 크랭크축(11, 12) 사이의 중심선 상에 배치된다. 캠축(30)의 구동은 벨트 구동기(31)를 통해 이루어진다. 벨트 구동기(31)는 제 2 크랭크축(12)의 치형 휠(39)을 캠축(30)에 연결한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캠축(30)은 4개의 캠(32)을 가지며, 이들 캠 각각에는 제어 로드(33)가 할당되어 있다. 제어 로드(33)는 캠축(30)으로부터 크랭크축 하우징(10)과 실린더 헤드(20)를 통해 밸브 덮개(29) 아래의 밸브 챔버 안으로 연장되어 있다. 밸브 챔버에는 로커 아암(26)이 배치되어 있고, 이 로커 아암은 밸브(25)와 상호 작용한다. 따라서, 캠(32)의 외부 윤곽은 제어 로드(33)를 통해 감지되어 로커 아암(26)의 대응하는 위치로 변환된다. 여기서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총 4개의 밸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제어 로드(33)에 밸브(25)가 할당되어 있다.
도 2a 및 2b는 발전기 세트를 나타내며, 이 발전기 세트는 도 1a, 1b에 있는 발전기 세트와 본질적으로 유사하게 설계되어 있다. 여하튼, 개별 구성 요소는 동일하다. 도 2a, 2b의 도시는 실린더 헤드(20)의 회전된 배치 면에서 도 1a, 1b의 어셈블리와 다르다. 도 2a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도 1a에서의 배치와는 달리, 출구 스터브 파이프(24)가 발전기 세트의 전방면 쪽을 향하도록 실린더 헤드(20)가 크랭크축 하우징(10)에 장착된다. 유사하게, 도 1a의 어셈블리와는 달리, 밸브 덮개(29)는 180°만큼 회전된 위치에서 설치된다. 이는 도 2b의 도시에 대해서도 본질적으로 마찬가지며, 명백한 바와 같이, 도 1b의 도시와 비교하여, 실린더 헤드(20)와 밸브 덮개(29)는 크랭크축 하우징(10)에 설치될 때 180°만큼 회전되어 있다.
도 2c는 도 2a, 2b에 나타나 있는 어셈블리에서 발전기 세트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c의 평면도와 비교하여, 도 2c의 평면도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20)는 2개의 다른 배향으로 크랭크축 하우징(1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에는, 2개의 캠축(11, 12)을 갖는 2-실린더 피스톤 엔진(1)의 내부 레이아웃이 명백히 나타나 있고, 두 캠축은 평 기어(34, 35)를 각각 가지고 있다. 평 기어(34, 35)의 치부는 상호 맞물리고, 그래서 피스톤(18, 19)의 운동을 동기화한다. 피스톤은 직렬로 배치되어 있는 실린더(21, 22)(여기서는 나타나 있지 않음) 내부에서 안내된다. 이는 피스톤(18, 19)이 상사점과 하사점에 동시에 도달함을 의미한다.
도 3에서 또한 명백한 바와 같이, 총 4개의 밸브(25)가 제공되며, 이들 밸브는 로커 아암(26)을 통해 작동될 수 있다. 로커 아암(26)은 4개의 제어 로드(33)와 연결되며, 각 제어 로드에는 캠축(30)의 캠(32)이 할당되어 있다.
크랭크축(11, 12)에 대해서는, 이들 크랭크축은 각 경우 구동 휠(36, 37)의 반대측에서 플라이휠(14, 15)을 가지고 있음이 또한 명백하다. 여기서, 각 플라이휠은 2-실린더 피스톤 엔진(1)의 작동 중에 진동을 줄이기 위해 평형체(16)를 가지고 있다. 적어도 제 1 플라이휠(14)(제 1 크랭크축(11)에 연결되어 있음)은 원주방향 마킹(17)을 가지고 있다. 이 원주방향 마킹(17)의 도움으로, 크랭크축 센서가 실린더(21, 22) 내 피스톤(18, 19)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더 넓은 마킹은 피스톤(18, 19)의 하사점 또는 하사점을 나타낸다.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20)를 다른 배향으로 크랭크축 하우징(10)에 설치함으로써, 발전기 세트에 대한 설치 조건이 개별적으로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동시에, 하측에 장착되는 캠축(30)에 의해 발전기 세트의 구성이 특히 컴팩트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반적으로, 차량에서 필요한 구성 공간을 줄일 수 있다.
1 2-실린더 피스톤 엔진
10 크랭크축 하우징
11 제 1 크랭크축
12 제 2 크랭크축
13 피스톤 로드
14 제 1 플라이휠
15 제 2 플라이휠
16 평형체
17 원주방향 마킹
18 제 1 피스톤
19 제 2 피스톤
20 실리더 헤드
21 제 1 실린더
22 제 2 실린더
23 흡기 스터브 파이프
24 출구 스터브 파이프
25 밸브
26 로커 아암
27 전자 장치 하우징
28 덮개
29 밸브 덮개
30 캠축
31 벨트 구동기
32 캠
33 제어 로드
34 제 1 평 기어
35 제 2 평 기어
36 제 1 구동 휠
37 제 2 구동 휠
39 치형 휠
41 제 1 발전기
42 제 2 발전기

Claims (11)

  1. 2-실린더 피스톤 엔진(1)을 갖는 발전기 세트,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의 발전기 세트로서, 상기 엔진은 크랭크축 하우징(10)을 가지며, 크랭크축 하우징 안에는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2개의 크랭크축(11, 12)이 배치되어 있고, 크랭크축은 피스톤 로드(13)에 의해 피스톤(18, 19)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은 직렬로 배치된 두 실린더(21, 22) 안에서 안내되며, 적어도 하나의 크랭크축(11, 12)은 발전기(41, 42)에 구동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 엔진(1)은 실린더 헤드(20)를 가지며, 상기 실린더 헤드는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10)에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 엔진(1)은 하측에 장착되는 캠축(30)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 헤드(20)는 적어도 2개의 위치, 특히 서로에 대해 180°만큼 회전된 위치에서 상기 크랭크축 하우징(10)에 연결될 수 있는, 발전기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30)은 상기 크랭크축(11, 12) 사이의 중심면에 배치되는, 발전기 세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은 상기 피스톤(18, 19)의 하사점 아래에 배치되는, 발전기 세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20)는 점화 혼합물을 위한 흡기 스터브 파이프(23) 및 배기 가스를 위한 출구 스터브 파이프(24)를 가지며, 상기 흡기 스터브 파이프(23)와 출구 스터브 파이프(24)는 실린더 헤드(20)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는, 발전기 세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30)은 벨트 구동기(31) 또는 체인 구동기를 통해 크랭크축(11, 12) 중의 하나와 구동 연결되는, 발전기 세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30)은 제어 로드(33)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캠(32)을 가지며,상기 제어 로드는 실린더 헤드(20)에 있는 밸브(25)의 로커 아암(26)에 작동 연결되어 있는, 발전기 세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30)은 복수의 캠(32), 특히 4개의 캠을 가지며, 각 캠은 상기 제어 로드(33)와 연결되어 있는, 발전기 세트.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드(33), 특히 모든 제어 로드(33)는 상기 두 실린더(21, 22) 사이에 배치되는, 발전기 세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크랭크축(11, 12) 각각은 치형 평 기어(spur gear)(34, 35)를 지니고 있고, 두 크랭크축(11, 12)의 평 기어(34, 35)는 상호 맞물리고 크랭크축(11,12)을 서로 같은 위상으로 연결하는, 발전기 세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크랭크축(11, 12)은 평형체(16)를 갖는 플라이휠(14, 15)을 지니고 있으며, 크랭크축 센서로 크랭크축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휠(14)은 원주방향 마킹(17)을 가지고 있는, 발전기 세트.
  11. 차량, 특히 단일 트랙 또는 다중 트랙 하이브리드 차량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전기 세트를 갖는 차량.
KR1020187020842A 2016-02-05 2017-02-06 발전기 세트 KR102181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2048.6A DE102016102048B4 (de) 2016-02-05 2016-02-05 Stromaggregat
DE102016102048.6 2016-02-05
PCT/EP2017/052508 WO2017134294A1 (de) 2016-02-05 2017-02-06 Stromaggreg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651A true KR20180105651A (ko) 2018-09-28
KR102181736B1 KR102181736B1 (ko) 2020-11-24

Family

ID=5796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842A KR102181736B1 (ko) 2016-02-05 2017-02-06 발전기 세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44783B2 (ko)
EP (1) EP3411584B1 (ko)
JP (1) JP6770078B2 (ko)
KR (1) KR102181736B1 (ko)
CN (1) CN108474319B (ko)
DE (1) DE102016102048B4 (ko)
WO (1) WO2017134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001432B3 (de) 2020-03-05 2021-03-25 Obrist Technologies Gmbh Stromaggregat
DE102020118076A1 (de) 2020-07-09 2022-01-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aschinenkombination mit Verbrennungskraftmaschine und Gener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7829A (ja) * 1986-10-14 1988-04-28 Honda Motor Co Ltd 汎用二気筒エンジン
JP2000205040A (ja) * 1999-01-19 2000-07-25 Honda Motor Co Ltd カムシャフトの取付構造
US20050051115A1 (en) * 2003-07-09 2005-03-10 Urs Wenger Engine with rotatable cylinder head assembly
JP2008255971A (ja) * 2007-04-09 2008-10-23 Hino Motors Ltd 回転検出装置
WO2012163902A1 (de) * 2011-05-30 2012-12-06 Avl List Gmbh Stromerzeuger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24410A (en) * 1928-10-27 1930-01-27 Harry Ralph Ricard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etrol-electric road vehicles
GB324409A (en) 1928-10-27 1930-01-27 Harry Ralph Ricardo Improvements in valve gea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GB463278A (en) * 1935-11-13 1937-03-25 Ariel Motors J 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s
FR915993A (fr) * 1942-05-22 1946-11-22 United Aircraft Corp Perfectionnements aux culasses pour moteurs à combustion interne et à refroidissement par l'air
GB584215A (en) * 1944-12-15 1947-01-09 Birmingham Small Arms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s having twin cylinders with parallel axes
US2596410A (en) * 1947-12-26 1952-05-13 Le Grand L Jordan Internal-combustion engine
JPS5217107A (en) 1975-07-30 1977-02-08 Nissan Motor Co Ltd Engine
DE19542758A1 (de) * 1994-11-23 1996-05-30 Luk Lamellen & Kupplungsbau Topf-Schwungrad
US6280158B1 (en) 1999-01-19 2001-08-2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Water pump for circulating cooling water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amshaft mounting structure therefor
DE602005021201D1 (de) * 2004-01-17 2010-06-24 Optimum Power Technology Lp Motorstartverfahren
DE102004041958B4 (de) * 2004-08-31 2017-01-19 Deutz Ag Hubkolbenbrennkraftmaschine mit 2- oder 4-Ventilzylinderkopf
DE102005048561A1 (de) * 2005-10-11 2007-04-1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Zylinderkopf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CN200978717Y (zh) 2006-03-14 2007-11-21 陆懋增 一种双缸v型柴油机
CN1928328A (zh) 2006-09-18 2007-03-14 陈维加 便携式发电机的发动机装置
DE102010025002A1 (de) * 2010-06-24 2011-12-29 Fev Motorentechnik Gmbh Arbeitsmaschine
CH703972A1 (de) * 2010-10-29 2012-04-30 Obrist Engineering Gmbh Verbrennungskraftmaschine.
JP6199102B2 (ja) 2013-07-19 2017-09-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7829A (ja) * 1986-10-14 1988-04-28 Honda Motor Co Ltd 汎用二気筒エンジン
JP2000205040A (ja) * 1999-01-19 2000-07-25 Honda Motor Co Ltd カムシャフトの取付構造
US20050051115A1 (en) * 2003-07-09 2005-03-10 Urs Wenger Engine with rotatable cylinder head assembly
JP2008255971A (ja) * 2007-04-09 2008-10-23 Hino Motors Ltd 回転検出装置
WO2012163902A1 (de) * 2011-05-30 2012-12-06 Avl List Gmbh Stromerzeuger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32554A1 (en) 2019-01-31
JP2019505437A (ja) 2019-02-28
CN108474319A (zh) 2018-08-31
WO2017134294A1 (de) 2017-08-10
EP3411584A1 (de) 2018-12-12
KR102181736B1 (ko) 2020-11-24
EP3411584B1 (de) 2022-06-08
US10844783B2 (en) 2020-11-24
DE102016102048A1 (de) 2017-08-10
CN108474319B (zh) 2021-07-30
JP6770078B2 (ja) 2020-10-14
DE102016102048B4 (de)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2962B2 (en) Power generation device and automobile
JP3468327B2 (ja) 4サイクル船外機
US20130199463A1 (en) Machine
US11358461B2 (en)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 and propuls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181736B1 (ko) 발전기 세트
US4685428A (en)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5502488A (ja) 取り外せるホィール支持体を備えたカム従動子を有する回転駆動システム
JP6729005B2 (ja) エンジンのチェーンカバー構造
US10352168B2 (en) Offset rota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centrifugal gasoline pressure
US8627790B2 (en) W6-motor
JP6754603B2 (ja) 対向ピストン型エンジン
US9695741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191648B2 (ja) エンジン
JP5908452B2 (ja) 内燃機関のバランサー構造
JP6136139B2 (ja) エンジン
JP2004324698A (ja) 船外機用縦型エンジンの二次バランサ
JP3635562B2 (ja) Ohc式v型2気筒エンジン
JP7303024B2 (ja) 船舶用内燃機関
JPH09144555A (ja) 少数気筒の4サイクルエンジン
JP2019157746A (ja) 内燃機関
JP2005330946A (ja) 多気筒エンジン
EP1489284A1 (en) V-engine for vehicle
JPH0522053B2 (ko)
JP2003028013A (ja) 船外機の吸気構造
CN102900557A (zh) 多缸内燃机引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