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976A - 주방용 후드 - Google Patents

주방용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976A
KR20180104976A KR1020170031968A KR20170031968A KR20180104976A KR 20180104976 A KR20180104976 A KR 20180104976A KR 1020170031968 A KR1020170031968 A KR 1020170031968A KR 20170031968 A KR20170031968 A KR 20170031968A KR 20180104976 A KR20180104976 A KR 20180104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air
suction port
indoor air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1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4976A/ko
Publication of KR20180104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주방용 후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는, 실내 공기가 통과하는 이너 흡입구, 상기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송풍기 및 상기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이너 후드, 유동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이너 흡입구를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아웃터 후드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터 후드는, 아웃터 흡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실내 공기가 상기 아웃터 흡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 흡입구로 유도되도록 상기 유동 공기를 방출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방용 후드{KITCHEN HOOD}
본 발명은, 흡입구 방향으로 실내 공기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유동 공기를 방출하는 주방용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레인지 상면에 각종 조리용기를 얹어 놓고 음식을 조리하게 되는데, 이때 각종 음식 냄새와 연기 등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음식 냄새와 연기가 거실 또는 방으로 흐르면서 집안 전체에 음식 냄새가 배어나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스레인지 상측에 후드를 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후드는 일반적으로 조리기구의 사용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냄새 또는 오염물질을 외부 또는 실내로 토출하는 기구를 말한다.
후드의 효율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실내 공기가 후드 내로 효과적으로 흡입되어야 한다. 한국 공개 특허 10-2010-0020816에서는, 가이드를 이용한 실내 공기의 흡입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문헌은, 가이드 벽을 이용하여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것일 뿐으로, 결국 후드의 흡입력은 팬의 성능에 의하여 결정되게 된다.
다만 후드의 흡입력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모터의 출력을 높이는 경우에는 소음이 커지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팬의 크기는 제한된다. 이에 따라 팬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은 일부 공간에 집중될 뿐, 넓은 공간의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1 과제는, 주방용 후드의 흡입구를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켜 후드의 효율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비용 절감을 위하여 하나의 모터로 흡입력 및 흡입구를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과제는, 노즐 전체에서 균일한 기압의 유동 공기를 방출하여 주방용 후드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과제는, 고리형 노즐을 이용하여 주방용 후드 주변의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주방용 후드는, 이너 후드의 아래에서 아웃터 흡입구를 형성하고 유동 공기를 방출하는 노즐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가 이너 흡입구로 가이드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팬과, 유동 공기를 생성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사이드 팬은 하나의 모터에 의하여 회전한다.
본 발명의 제3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사이드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통로를 통과하여 노즐로 이동하고, 통로는 제2 바디의 외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4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노즐의 단면 형상은 고리형이고, 고리형 노즐에 의하여 형성되는 아웃터 흡입구는 이너 흡입구의 아래에 배치되며, 아웃터 흡입구의 직경은 이너 흡입구의 직경보다 크다.
본 발명의 제1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유동 공기를 이용하여 이너 흡입구를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후드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메인 팬의 회전 속도 상승이나 크기 증가 없이도, 후드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 소음을 절감하고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너 흡입구를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주방용 후드의 아래뿐만이 아니라 주변 넓은 범위의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메인 팬 및 사이드 팬을 회전시키는 바, 모터 개수의 증가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사이드 흡입구를 통과하여 흡입된 공기는 고리형으로 형성된 통로에 퍼진 후, 고리형으로 형성된 노즐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노즐 전체에서 균일한 기압의 유동 공기를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고리형의 노즐에서 유동 공기를 방출하고 고리형 노즐에 의하여 형성되는 아웃터 흡입구의 직경은 이너 흡입구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후드 주변에서 흡입되지 못하고 확산되는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사용자가 조리기구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음식물에서 여러 가지 냄새 및 오염물질들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냄새 및 오염물질은 조리기구의 상측으로 유동하여 실내를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방용 후드(10)는 쿡탑 등의 조리 기기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주방용 후드(10)는,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연기나 냄새를 흡입한 후, 흡입된 실내 공기를 탈취 및 살균 등의 정화작업을 실시하여 실내 또는 실외로 배출하는 후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주방용 후드(10)는, 이너 후드(100) 및 아웃터 후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후드(100)는 이너 후드 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너 후드 바디(110)는 통체일 수 있다.
이너 후드 바디(110)의 상부는, 내경 또는 외경이 일정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이너 후드 바디(110)의 하부는, 이너 후드 바디(110)의 상부의 하단으로부터 확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 후드 바디(110)의 하부는, 이너 후드 바디(110)의 상부의 하단에 꺽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너 후드 바디(110)의 내경은 아래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즉 이너 후드 바디(110)의 하부의 단면 형상은 고리형일 수 있다.
이너 후드 바디(110)의 내부에는 이너 후드(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는 유로(16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이너 후드 바디(110)가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너 후드 바디(100)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바디(220)가 이너 후드(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150)는 제2 바디(2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필터부(120)는 제2 바디(220)의 내둘레를 따라 제2 바디(22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후드(100)의 하면에는 이너 흡입구(190)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기(150)에 의하여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이너 흡입구(190)를 통과하여 이너 후드(1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너 흡입구(190)에는 필터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120)는 이너 후드(100)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부(120)는 이너 흡입구(190)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탈취 및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너 후드(100)의 상면에는 토출구(18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후드(100) 내부의 공기는 토출구(18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너 후드(100)는 송풍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50)는 이너 후드(100) 내부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이너 후드 바디(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송풍기(150)는, 모터(130) 및 메인 팬(14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30)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130)는 메인 팬(140)에 회전축을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메인 팬(14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모터(130)는 모터 브라켓에 의하여 이너 후드(100) 내부 공간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메인 팬(140)은 모터(13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메인 팬(140)은 축류팬으로써, 회전하면서 송풍기(150)의 축 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주방용 후드(10)는 아웃터 후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터 후드(200)는 제1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10)는 주방용 후드(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바디(210)는 제1 중공 바디(211) 및 제1 공기 가이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공 바디(211)는 통체일 수 있다. 또한 제1 중공 바디(211)는 내경 또는 외경이 일정한 원통형일 수 있다.
제1 공기 가이드(212)는 제1 중공 바디(211)의 하단으로부터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공기 가이드(212)는, 제1 중공 바디(211)의 하단에 꺽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웃터 후드(200)는 제2 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20)는 제2 중공 바디(221) 및 제2 공기 가이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공 바디(221)는 통체일 수 있다. 또한 제2 중공 바디(221)는 내경 또는 외경이 일정한 원통형일 수 있다.
제2 공기 가이드(222)는 제2 중공 바디(221)의 하단으로부터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공기 가이드(222)는, 제2 중공 바디(221)의 하단에 꺽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210)는 제2 바디(220)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210)는 제2 바디(220)의 외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는 연결 바디(213)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바디(210), 제2 바디(220) 및 연결 바디(213)에 둘러싸인 공간에는 통로(280)가 형성될 수 있다.
통로(280)는 제2 바디(220)의 외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통로(230)의 단면은 고리형일 수 있다. 이 경우 통로(230)의 내둘레면은 제2 바디(220)의 외둘레면과 일치할 수 있으며, 고리의 외둘레면은 제1 바디(210)의 내둘레면과 일치할 수 있다.
사이드 흡입구(260)를 통과하여 흡입된 공기는 고리형으로 형성된 통로(280)에 퍼진 후, 고리형으로 형성된 노즐(230)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노즐(230) 전체에서 균일한 기압의 유동 공기를 방출할 수 있다.
제2 바디(220)는 이너 후드 바디(1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중공 바디(221)는 이너 후드 바디(1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중공 바디(221)의 하부는 이너 후드 바디(110)의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바디(210)는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10)와 이너 후드 바디(110)에 둘러싸인 공간, 즉 이너 후드 바디(110)와 상판과 제2 중공 바디(221) 사이의 공간에는 모터 수용부(29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바디(210)에는 사이드 흡입구(26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아웃터 후드(200)는 제2 모터(240) 및 사이드 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터(240)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모터(240)는 사이드 팬(250)에 회전축을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사이드 팬(25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모터(240)는 모터 수용부(29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 팬(250)은 제2 모터(24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사이드 팬(250)은 원심팬일 수 있다.
즉 사이드 팬(250)은 사이드 흡입구(260)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축 방향으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 흡입구(260)를 통과하여 흡입된 외부 공기는,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0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통로(280)로 퍼질 수 있다.
사이드 흡입구(260)를 통과하여 흡입된 외부 공기는, 사이드 팬(25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 압력에 의하여, 통로(280)를 통과하여 노즐(230)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주방용 후드(10)는 노즐(23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230)은 이너 흡입구(190)의 아래에 아웃터 흡입구(270)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230)은 주방용 후드(10)의 하부에 고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즐(230)의 내둘레를 따라 아웃터 흡입구(2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아웃터 흡입구(270)는 이너 흡입구(19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아웃터 흡입구(270)의 중심은 이너 흡입구(190)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아웃터 흡입구(270)의 직경은 이너 흡입구(19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노즐(230)은 아웃터 후드(20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230)의 외벽(231)은 제1 가이드(212)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1 가이드(212)의 하단으로부터 이너 후드(100)의 하면을 향하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노즐(230)의 내벽(232)는 제2 가이드(222)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외벽(231)과 내벽(232)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고리 또는 접힌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외벽(231)은 내벽(232)을 마주보는 대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벽(232)은 외벽(231)을 마주보는 대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외벽(231)의 대향면과 내벽(232)의 대향면은 함께 마우스부(233)를 형성할 수 있다.
마우스부(233)은 통로(280)와 통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부(233)는 방출구(234)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사이드 흡입구(260)를 통과하여 아웃터 후드(2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통로(280) 및 마우스부(233)를 통과한 후 방출구(234)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노즐(230)은 코안다 표면(235)을 포함할 수 있다. 코안다 표면(235)는 내벽의 내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코안다 표면(235)은 마우스부(233)를 빠져나오는 1차 공기 유동이,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확장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노즐(230)의 단면 형상은 고리 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부(233), 코안다 표면(235), 외벽(231), 내벽(232)의 단면 형상 역시 고리형일 수 있다.
다음은 아웃터 후드(200) 내 공기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웃터 후드(200)는 유동 공기를 배출하여, 이너 흡입구를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모터(240)의 구동에 의하여, 사이드 팬(250)은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공기는 사이드 흡입구(260)를 통과하여 아웃터 후드(2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사이드 팬(250)은 외부 공기를 축 방향으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된 외부 공기는,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0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통로(280)로 퍼질 수 있다.
한편 사이드 팬(250)의 회전에 의한 공기 압력에 의하여, 통로(280) 내부의 공기는 노즐(230)로 이동할 수 있다.
노즐(230)은 유동 공기를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팬(250)의 회전에 의한 공기 압력에 의하여, 통로(280) 내부의 공기는 마우스부(233)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마우스부(233) 및 방출구(234)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마우스부(233)는 압력이 증가된 공기를 유동 공기로써 토출할 수 있다.
마우스부(233)로부터 방출된 유동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하여 코안다 표면(235)를 따라 흐를 수 있다.
유동 공기의 흐름은, 주방용 후드(10) 주변의 실내 공기가 아웃터 흡입구(270)를 통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유동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유도된 실내 공기는, 아웃터 흡입구(270)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아웃터 흡입구(270)를 통과한 실내 공기는, 유동 공기와 함께 이너 흡입구(190)로 가이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 공기는 유동 공기의 흐름에 의해 가이드 되어 이너 흡입구(19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모터(130)는 제2 모터(240)와 함께 동작할 수 있으며, 모터(130)의 회전에 의하여 메인 팬(140)은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 공기는, 유동 공기에 의하여 발생된 기류와 메인 팬(140)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에 의하여, 이너 흡입구(190)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공기 가이드(222)는, 실내 공기가 이너 흡입구(190)로 향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한편 실내 공기는 이너 흡입구(190)를 통과하면서 필터부(120)에 의하여 정화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후드(100)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유로(160)를 통과하여 토출구(180)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사이드 팬(250)과 메인 팬(140)이 다른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이드 팬(250)과 메인 팬(140)은 하나의 모터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후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실시 예와 다른 부분 위주로 진행한다.
주방용 후드(10)는 메인 팬(3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팬(310)은 원심 팬일 수 있다. 즉 메인 팬은 유로(160) 내의 공기를 축 방향으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주방용 후드(10)는 모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320)는 양축 모터일 수 있다.
모터(320)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320)는 메인 팬(310)과 사이드 팬(250)에 회전축을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메인 팬(140)과 사이드 팬(25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팬(310)과 사이드 팬(250)의 규격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는, 모터 및 제2 모터가 각각 구동함으로써 주방용 후드(10)가 동작하였다.
다만 제2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모터(320)를 이용하여 메인 팬(310) 및 사이드 팬(250)을 모두 구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주방용 후드 100: 이너 후드
200: 아웃터 후드 230: 노즐

Claims (8)

  1. 실내 공기가 통과하는 이너 흡입구, 상기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송풍기, 및 상기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이너 후드; 및
    유동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이너 흡입구를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아웃터 후드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터 후드는,
    아웃터 흡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실내 공기가 상기 아웃터 흡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 흡입구로 유도되도록 상기 유동 공기를 방출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유동 공기를 방출하는 마우스부; 및
    상기 방출된 유동 공기가 표면을 따라 흐르는 코안다 표면을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후드는,
    외부 공기가 통과하는 사이드 흡입구;
    상기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사이드 팬;
    상기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노즐로 이동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주방용 후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후드는,
    상기 이너 후드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흡입구가 형성되는 제1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주방용 후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제2 바디의 외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주방용 후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메인 팬; 및
    구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메인 팬으로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사이드 팬은,
    구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사이드 팬으로 전달하는 제2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주방용 후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메인 팬; 및
    구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메인 팬으로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사이드 팬은,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주방용 후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이너 흡입구의 아래에 상기 아웃터 흡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아웃터 흡입구의 직경은 상기 이너 흡입구의 직경보다 큰
    주방용 후드.
KR1020170031968A 2017-03-14 2017-03-14 주방용 후드 KR20180104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968A KR20180104976A (ko) 2017-03-14 2017-03-14 주방용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968A KR20180104976A (ko) 2017-03-14 2017-03-14 주방용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976A true KR20180104976A (ko) 2018-09-27

Family

ID=6371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968A KR20180104976A (ko) 2017-03-14 2017-03-14 주방용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497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0632A (zh) * 2019-08-22 2019-11-26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吸油烟机
CN111121122A (zh) * 2018-10-31 2020-05-0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吹吸风装置及应用有该吹吸风装置的吸油烟机
KR20210118539A (ko) * 2020-03-23 2021-10-01 나명환 침니형 주방 레인지 후드를 이용한 주방 배기 시스템
KR20210118538A (ko) * 2020-03-23 2021-10-01 나명환 주방 레인지 후드를 이용한 주방 배기 시스템
KR20210144170A (ko) * 2020-05-21 2021-11-30 김정민 열연 감지 장치
CN117299728A (zh) * 2023-11-29 2023-12-29 枣庄华润纸业有限公司 一种碎浆机防尘清洁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1122A (zh) * 2018-10-31 2020-05-0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吹吸风装置及应用有该吹吸风装置的吸油烟机
CN110500632A (zh) * 2019-08-22 2019-11-26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吸油烟机
KR20210118539A (ko) * 2020-03-23 2021-10-01 나명환 침니형 주방 레인지 후드를 이용한 주방 배기 시스템
KR20210118538A (ko) * 2020-03-23 2021-10-01 나명환 주방 레인지 후드를 이용한 주방 배기 시스템
KR20210144170A (ko) * 2020-05-21 2021-11-30 김정민 열연 감지 장치
CN117299728A (zh) * 2023-11-29 2023-12-29 枣庄华润纸业有限公司 一种碎浆机防尘清洁装置
CN117299728B (zh) * 2023-11-29 2024-03-08 枣庄华润纸业有限公司 一种碎浆机防尘清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4976A (ko) 주방용 후드
CN212408779U (zh) 具备涡轮风扇的抽油烟机
KR20130054722A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RU2526932C2 (ru) Вытяжной колпак
KR101829364B1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
WO1999050603A1 (fr) Entree d'air et soufflante
JP2007000857A (ja) 空気清浄機
KR20180099393A (ko) 포터블 후드
JP6793827B2 (ja) 排煙アセンブリ及び排煙装置
JPH01114649A (ja) 調理用排煙処理装置
KR20180099392A (ko) 포터블 후드
JP2022023844A (ja) 斜流ファンモジュール及び斜流ファンモジュールを備える携帯用空気浄化機
KR10198579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CN209445454U (zh) 一种吸油烟机
JP2018048598A (ja) 吸引装置
JP3458774B2 (ja) トルネード型吸気・送風装置
JP2010060217A (ja) 熱源ユニット
JP2001027200A (ja) トルネード型吸気・送風装置
KR102540638B1 (ko) 이중팬 및 그것을 구비한 주방배기장치
KR200388215Y1 (ko) 싱크대 환기장치
CN108474385B (zh) 旋风换气装置
WO2022114150A1 (ja) 地面還気装置及び汚染物制御システム
KR102163367B1 (ko) 환풍장치
JP2008286077A (ja) ブロワー
JP2001174019A (ja) 強制排気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