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392A - 포터블 후드 - Google Patents

포터블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392A
KR20180099392A KR1020170026802A KR20170026802A KR20180099392A KR 20180099392 A KR20180099392 A KR 20180099392A KR 1020170026802 A KR1020170026802 A KR 1020170026802A KR 20170026802 A KR20170026802 A KR 20170026802A KR 20180099392 A KR20180099392 A KR 20180099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head
upper air
shroud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수
김원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9392A/ko
Publication of KR20180099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Abstract

포터블 후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후드는, 본체,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외부로 토출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팬, 상기 헤드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로어 에어 가이드, 및, 상기 로어 에어 가이드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헤드 외부로 토출 안내하는 어퍼 에어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에어 가이드는, 상기 로어 에어 가이드 내부의 공기가 상기 어퍼 에어 가이드 내부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고, 하부가 확장된 쉬라우드, 및, 상기 어퍼 에어 가이드 내부의 공기가 상기 후드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디퓨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터블 후드{PORTABLE HOOD}
본 발명은, 효율 및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한 포터블 후드에 관한 것이다.
후드는 일반적으로 조리기구에 사용되어 조리기구의 사용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냄새 또는 오염물질을 외부 또는 실내로 토출하는 기구를 말한다.
후드는 일반적으로, 가스렌지 등의 조리 기구의 상측에 배치되어, 조리기구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냄새, 오염물질 및 열을 실내 또는 실외로 토출한다.
다만, 실내에서의 조리는 다른 장소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식탁이나 거실에 버너를 두고 고기를 굽는다거나, 캠핑을 가서 화로에 고기를 구워 먹는 것이 그 예이다.
다만 종래의 후드는 조리 기구의 상측에 고정되기 때문에, 조리가 다른 장소에서 수행되는 경우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한국 등록 실용신안 20-0234156에서는, 휴대용 환풍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본 실용신안에서 개시하는 휴대용 환풍 장치는, 연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 조건 및 공간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실용 신안에서 개시하는 휴대용 환풍 장치는, 몸체와 환풍 호스를 간단하게 휴대하기 위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한국 등록 실용신안 20-0468640에서는, 이동식 배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본 실용신안에서 개시하는 이동식 배연 장치는, 배기관을 실외와 연결해야 하며, 흡입관 및 배기관의 긴 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만 본 실용신안에서 개시하는 이동식 배연 장치의 휴대를 위해서는, 분해, 분해 후 가방에 수납, 이동, 설치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실용신안 들에서 개시하는 휴대용 환풍 장치와 이동식 배연 장치는 흡입한 공기를 그대로 실외로 토출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실용신안 들은 공기를 정화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구조 및 이를 위한 효율 상승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또한 상기 실용신안 들은 장치 내부의 용이한 청소를 위한 구조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제1 과제는, 쉬라우드와 팬의 적절한 배치로 송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터블 후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필터부의 분리 구조를 이용하여 청소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포터블 후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3 과제는, 쉬라우드 및 디퓨저가 일체로 분리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청소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포터블 후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쉬라우드는 하부가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블레이드의 하단은 쉬라우드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필터부는 로어 에어 가이드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쉬라우드와 디퓨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로어 에어 가이드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공기의 원할한 유동을 안내하여 송풍량을 증가시키고 후드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쉬라우드가 헤드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구조에서, 쉬라우드에 이물질이 많이 묻게 함으로써 청소 효율을 높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필터부의 청소 및 헤드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디퓨저 및 쉬라우드, 그리고 헤드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쉬라우드에 이물질이 많이 묻게 되는 본 발명의 구조에서, 쉬라우드가 디퓨저와 일체로써 분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청소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포터블 후드(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의 포터블 후드(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의 저면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 커버(174)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헤드(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후드(10)를 완전히 펼쳤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후드(10)가 접히는 도중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후드(10)가 완전히 접힌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헤드(100)의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9의 단면도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어퍼 에어가이드 돌출부가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에 슬라이드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브라켓 돌출부가 브라켓 체결부에 슬라이드 장착되고 있는 도중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가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에 슬라이드 장착되고 있는 도중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브라켓 돌출부가 브라켓 체결부에 슬라이드 장착되고 있는 도중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어퍼 에어 가이드(160) 및 필터부(130)가 탈착된 상태의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탈착된 상태의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탈착된 상태의 필터부(130)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포터블 후드(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포터블 후드(10)는, 헤드(100), 커넥터(200) 및 본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100)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헤드(100)는,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조리 과정에서 사용자는 헤드(100)가 조리 기구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포터블 후드(10)의 위치 또는 포터블 후드(10)의 접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100)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연기나 냄새를 헤드(100)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또한 헤드(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대하여 탈취 및 살균 등의 정화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헤드(100)는 정화된 공기를 헤드(100)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헤드(100)에는 손잡이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10)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손잡이부(110)를 이용하여 포터블 후드를 들어 이동시킬 수 있다.
토출 바디(170)는 로어 에어 가이드(120)와 함께 헤드(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 바디(170)는 로어 에어 가이드(12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토출 바디(170)는 아웃터 커버(172) 및 탑 커버(17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웃터 커버(172) 및 탑 커버(174)는 일체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아웃터 커버(172)와 탑 커버(174)는 일체로써 로어 에어 가이드(120)에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아웃터 커버(172)와 로어 에어 가이드(120)가 일체로써 형성되고, 탑 커버(174)가 결합 또는 분리 되는 구조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탑 커버(174)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탑 커버(174)는 토출 그릴(175) 및 토출구(176)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176)는 헤드 내부의 공기가 헤드의 외부로 토출되는 개구부일 수 있다.
토출 그릴(175)는 이물질이나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헤드(1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헤드(100)는 하부로 내려갈수록 외경이 점차 확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커넥터(200)는 헤드(100)와 본체(300)를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200)가 헤드(100)와 본체(300)를 연결함에 따라, 헤드(100)의 하중은 커넥터(200)를 통하여 본체(300)에 전달될 수 있다.
커넥터(200)는 본체(300)에 포함되는 배터리와 헤드의 전기적 연결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200)는 본체(300) 내 배터리와 헤드(100) 내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300) 내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은 헤드(100)의 모터에 공급될 수 있다.
본체(300)의 하면은 평평하며 바닥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본체(300)에는 헤드(100)의 하중 및 커넥터(200)의 하중이 작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300)는 포터블 후드(10)가 넘어지지 않도록 헤드(100)의 하중 및 커넥터(2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체(300)는 헤드(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헤드(100) 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모터가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본체(30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연결 통로를 제공하는 충전 포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포트(310)는 상용 전원과 연결되고, 배터리는 상용 전원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충전 포트(310)는 휴대용 충전 배터리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300) 내 배터리는 휴대용 충전 배터리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본체(300)는 커넥터 수용 홈(330)을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 후드(10)가 접히는 경우, 커넥터 수용 홈(300)은 커넥터(200)를 수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의 포터블 후드(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포터블 후드(10)가 접히는 경우 헤드(100)의 하면과 본체(300)의 상면이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본체(300)는 하부로 내려갈수록 외경이 점차 확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헤드(100)의 하면의 직경과, 본체(300)의 상면의 직경은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힌 상태에서의 포터블 후드(10)는 하부로 내려갈수록 외경이 점차 확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와 같은 접힌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10)를 이용하여 포터블 후드를 들어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의 저면측 사시도이다.
로어 에어 가이드(120)는 하판(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판(122)은 고리형의 형태로써, 헤드(100)의 저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헤드(100)는 헤드(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130)는 헤드(1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필터부(130)는 필터 브라켓(132) 및 필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브라켓(132)은 단면 형상이 고리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부(130)(즉, 헤드(100)의 하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흡입구(138)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130)는 흡입구(138)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부(130)에 포함되는 필터(134)는, 흡입구(138)를 통하여 헤드(1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탈취 및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 커버(174)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헤드(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헤드(100)는, 로어 에어 가이드(120), 필터부(130), 송풍기(135), 어퍼 에어 가이드(160) 및 토출 바디(17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에어 가이드(120)는 헤드(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판(122), 중공통(124) 및 하판(126)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에어 가이드(120)는 상면의 일부 및 하면의 일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로어 에어 가이드(120)의 내둘레는 원형일 수 있다.
한편 중공통(124)는 원통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원통체의 외경은 하단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로어 에어 가이드(120)의 내부 공간은 상판(122), 중공통(124) 및 하판(126)에 둘러싸여, 흡입구(138)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1차적으로 통과하는 하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유로는 흡입구(138)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하는 유로로써 기능할 수 있다.
하판(126)은 중공통(124)의 제1 외경보다 크거나 같은 제2 외경을 가지는 고리형의 형태일 수 있다.
하판(126)은 로어 에어 가이드(120)의 저면에 배치되어 헤드(100)의 저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판(126)은 중공통(124)과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하판(126)은 중공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130)는 로어 에어가이드(12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부(130)는 그 외둘레가 하판(126)의 내둘레에 둘러싸이게 장착될 수 있다.
상판(122)는 중공통(124)의 제1 외경보다 작거나 같은 제3 외경을 가지는 고리형의 형태로써, 로어 에어 가이드(1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판(122)은 중공될 수 있다.
상판(122)은 중공통(12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판(122)은 중공통(124)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로어 에어 가이드(120)의 내경 및 외경은 상단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판(122)의 내둘레는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외둘레와 연결될 수 있다.
로어 에어 가이드(120)의 상단의 내둘레는,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하단의 내둘레와 일치할 수 있다.
필터부(130)는 그 외둘레가 로어 에어 가이드(120)의 내둘레에 둘러싸이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필터부(130)는 필터 브라켓(132) 및 필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브라켓(132)에는 필터(134)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필터부(130)는 헤드(1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브라켓(132)은 로어 에어 가이드(12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필터 브라켓(132)은 고리형의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부(130)(즉, 헤드(100)의 하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흡입구(138)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134)는 흡입구(138)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한편 헤드(100)가 원기둥의 형태인 경우, 필터 브라켓(132)의 외둘레 및 내둘레 역시 원형일 수 있다.
이 경우 흡입구(138)는 헤드(100)의 하면에(즉 필터 브라켓(132)의 내부에)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134) 역시 외둘레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기(135)는 헤드(100)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헤드(100) 내부의 공기를 헤드(100)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기(135)는 흡입구(138)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하부 유로, 상부 유로를 통과하여 이동한 후 토출구(176)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 되도록 할 수 있다.
송풍기(135)는, 모터(140), 모터 브라켓(142) 및 팬(15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40)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140)는 허브(152)와 회전축을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팬(15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모터(140)는 모터 브라켓(142)에 의하여 헤드(100) 내부 공간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140)는 모터 브라켓(142)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모터 브라켓(142)은 로어 에어 가이드(1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 브라켓(142)는 중공통(124)에 체결될 수 있다.
팬(150)은 모터(14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팬(150)은 축류팬으로써, 회전하면서 송풍기(135)의 축 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팬(150)은 허브(152) 및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154)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152)는 모터(140)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모터(140)에서 제공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154)는 허브(152)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허브(152)의 외둘레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154)는 방사형으로 허브(152)의 외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로어 에어 가이드(120)의 상단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체일 수 있다.
한편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원통체일 수 있다. 또한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외둘레 및 내둘레는 원형일 수 있다.
이 경우 원통체의 상부의 내경은 상단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원통체의 중앙부 내경은 일정할 수 있다. 또한 원통체의 하부의 내경은 하단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쉬라우드(161) 및 디퓨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내부에는 쉬라우드(161) 및 디퓨저(166)에 둘러싸이고,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내부 공간은 헤드(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로어 에어 가이드(120)를 거쳐 2차적으로 통과하는 상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유로는 로어 에어 가이드(12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헤드(100) 외부로 토출 안내하는 유로로써 기능할 수 있다.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내부 공간은, 팬(15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팬(150)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팬(150)의 외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내둘레는 원형일 수 있다.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토출 바디(170)의 내부에 중공 원통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쉬라우드(161) 및 디퓨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쉬라우드(161) 및 디퓨저(166)는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쉬라우드(161)는 원통형으로써, 팬(150)의 외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쉬라우드(161)는 로어 에어 가이드(120)의 내부의 공기가 어퍼 에어 가이드(160) 내부로 유동하도록 안내 할 수 있다.
쉬라우드(161)는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통체 형상의 중공바디(16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공 바디(164)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중공 바디(164)의 내경 또는 외경은 일정할 수 있다.
쉬라우드(161)은, 고리형 판(162)을 포함할 수 있다.
고리형 판(162)는 단면 형상이 고리형으로, 중공 바디(164)보다 외경이 클 수 있다.
또한 고리형 판(162)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쉬라우드(161)는 중공바디(164)와 고리형 판(162)을 잇는 연결 바디(16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바디(163)는 일단이 중공 바디(164)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고리형 판(162)에 연결되며, 중공바디(164)로부터 라운드지게 확장될 수 있다.
연결 바디(163)의 단면 형상은 고리형일 수 있다.
한편 연결 바디(163)의 상단의 내경은 중공 바디(164)의 상단의 내경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바디(163)의 내경은 아래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으며, 연결 바디(163)의 하단의 내경은 고리형 판(162)의 내경과 일치할 수 있다.
고리형 판(162), 연결 바디(163), 중공 바디(164)는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저(166)는, 하단이 쉬라우드(161)에 연결되고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될 수 있다.
디퓨저(166)는 쉬라우드(161)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될 수 있다.
디퓨저(166)는 단면 형상이 고리형일 수 있다. 또한 디퓨저(166)의 하단의 내경은 쉬라우드(161)의 상단의 내경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디퓨저(166)의 내경은 상단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디퓨저(166)는 어퍼 에어 가이드(160) 내부의 공기가 후드(100)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디퓨저(166)는 중공 바디(164)의 상단에 꺽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연결 바디(163)은 중공 바디(164)의 하단에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한편, 고리형 판(162), 연결 바디(163), 중공 바디(164), 디퓨저(166), 이너 가이드(168), 브릿지(167)는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브릿지(167) 및 이너 가이드(16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168)는 디퓨저(166)의 내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너 가이드(168)는 단면 형상이 고리형일 수 있으며, 이너 가이드(168)의 외경은 상단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브릿지(167)는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상부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이너 가이드(168)와 디퓨저(166)를 연결할 수 있다.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헤드(100)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어 에어 가이드(120)는 하나 이상의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194a, 194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194a, 194b)는, 금속이면 용접, 플라스틱이면 접착제 등의 접합 부재로 로어 에어 가이드(120)에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194a, 194b)는 상판(122)의 내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하나 이상의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194a, 194b)에 각각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 169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 169b)은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하단의 외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헤드(100)에 회전식으로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의 외둘레가 원형인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수평 방향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어 에어 가이드(12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어 에어 가이드(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필터부(130)는 헤드(100)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어 에어 가이드(120)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 체결부(128a, 128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브라켓 체결부(128a, 128b)는, 금속이면 용접, 플라스틱이면 접착제 등의 접합 부재로 로어 에어 가이드(120)에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브라켓 체결부(128a, 128b)는 중공통(124)의 내둘레를 따라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필터부(130)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 체결부(128a, 128b)에 각각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 돌출부(136a, 136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브라켓 돌출부(136a, 136b)는 필터 브라켓(132)의 외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130)는 헤드(100)에 회전식으로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둘레가 원형인 필터 브라켓(132)은, 수평 방향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어 에어 가이드(12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어 에어 가이드(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토출 바디(170)는 로어 에어 가이드(120)와 함께 헤드(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토출 바디(170)는 아웃터 커버(172) 및 탑 커버(174)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터 커버(172)는 중공통(124)과 함께 헤드(10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아웃터 커버(172)의 상단은 어퍼 에어가이드(160)의 상단과 접하고, 아우터 커버(172)와 어퍼 에어가이드(160)는 상단 이외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아웃터 커버(172)는 탑가이드(179)를 포함할 수 있다.
탑 가이드(179)의 내둘레는 헤드(100)의 상면 개구부(178)를 형성할 수 있다.
탑 가이드(179)의 내둘레면인 탑 가이드면은, 디퓨저(166)의 내둘레면과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 가이드면은, 디퓨저(166)를 통과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탑 커버(174)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 헤드(100) 내부의 공기는 상면 개구부(178)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탑 커버(174)는, 토출 그릴(175) 및 토출구(176)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그릴(175)는 이물질이나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헤드(1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출 그릴(175)은 수직면을 가질 수 있고, 디퓨저(166)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수직면과 경사면은 둔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그릴(175)은, 디퓨저(166)를 통과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탑 커버(174)가 장착되는 경우, 헤드(100) 내부의 공기는 토출구(176)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헤드(100) 내부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설명한다.
포터블 후드(10)가 동작을 시작하면, 팬(150)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팬(150)이 회전하면 헤드(100) 주변의 공기는 하면에 형성되는 흡입구(138)를 통하여 헤드(1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한편 공기가 헤드(100) 내부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필터(134)를 통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의 이물질이 걸러지고 탈취 및 살균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헤드(100) 주변의 공기는 1차적으로, 로어 에어 가이드(120)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하부 유로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팬(150)의 회전에 의하여, 고리형 판(162) 아래의 공기는 고리형 판(162)의 하면과 연결 바디(163)의 내둘레면을 따라 중공 바디(164)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로어 에어 가이드(120) 내부의 공기는 도 4에서 도시된 a 방향과 같이 굽은 형상으로 어퍼 에어 가이드(16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의 유동시, 쉬라우드(161)는 공기의 원할한 유동을 안내할 수 있고, 쉬라우드(161)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쉬라우드(161)는 공기의 유동을 안정시켜 송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헤드(1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도 4에서 도시된 a 방향과 같이 굽은 형상으로 유동하면서, 아래로 확장 형성된 쉬라우드(161)에 부딪히게 된다. 이에 따라 쉬라우드(161)에서는 공기 내 이물질이 쉬라우드(161)에 묻게 되는 2차 정화가 수행될 수 있다.
2차 정화는 쉬라우드(161) 전체에서 수행되지만, 특히 공기의 유동 경로(a)에서 넓은 면적을 맞대고 있는 고리형 판(162) 및 연결 바디(163)에서 많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팬(150)으로 유입된 공기는 다수의 블레이드(154)의 회전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다수의 블레이드(15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이너 가이드(168)과 디퓨저(166) 사이를 통과하면서 점차 퍼질 수 있고(b 방향), 이러한 공기는 헤더(100)의 상측으로 넓게 토출될 수 있다.
즉 디퓨저(166) 및 이너 가이드(168)은,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정화시킴으로써 송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헤드(1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탑 커버(170)가 존재하는 경우, 디퓨저(166)를 통과한 공기는 탑 커버(170)에 형성되는 토출구(176)를 통과하여 헤드(10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b) 방향으로 유동하던 공기는, 토출구(176)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토출 그릴(175)에 의하여 상측 방향(c)으로 유동할 수 있다.
포터블 후드(10)의 사용 시나리오 중 하나는, 사용자들이 둘러앉아 고기를 구워먹는 상황이다. 이 경우 헤드(100)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가 측면으로 퍼진다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야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헤드(100)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디퓨저(166)를 이용하여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탑 커버(14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탑 가이드(179)가 토출 그릴(175)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고하면, 탑 가이드(179)는 고리형으로 헤드(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탑 가이드(179)의 내둘레를 따라 개구부(178)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퓨저(166) 및 이너 가이드(168)를 따라 (b) 방향으로 넓게 퍼지던 공기는, 공기 가이드(179)에 의하여 상측 방향(d)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100)에서 토출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150)은 축류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140)는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BLDC motor)일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DC 모터에 축류 팬을 사용했을 때의 소음, 표 2는 DC 모터에 카운터 로테이트 팬(Counter Rotate Fan, CRF)를 사용했을 때의 소음, 표 3은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BLDC motor)에 축류 팬을 사용했을 때의 소음을 측정한 결과이다.
확장형 토출구 Front Right Left Average
없음 40.5 dB 45.3 dB 45.9 dB 43.9 dB
확장형 토출구 Front Right Left Average
없음 45.5 dB 45.7 dB 46.4 dB 45.9 dB
확장형 토출구 Front Right Left Average
없음 38.3 dB 37.9 dB 38.4 dB 38.2 dB
확장형 토출구 개방 36.7 dB 36.6 dB 37.0 dB 36.8 dB
확장형 토출구 폐쇄 35.7 dB 35.1 dB 36.3 dB 35.7 dB
이와 같이, 포터블 후드(10)에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BLDC motor)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 모터에 비하여 저진동 및 저소음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전원으로 동작하는 포터블 후드(10)에서 BLDC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일반 모터에 비하여 배터리 이용 효율을 높히고 장시간의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BLDC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포터블 후드(10)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후드(10)를 완전히 펼쳤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후드(10)가 접히는 도중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후드(10)가 완전히 접힌 경우의 측면도이다.
헤드(100)에 압력이 가해지면, 포터블 후드(10)는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100)가 본체(300) 위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헤드(100)를 당기는 압력이 가해지면, 헤드(100)는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터블 후드(10)는 펼쳐질 수 있다.
도 6은 포터블 후드(10)를 완전히 펼쳤을 때의 측면도이다.
포터블 후드(10)가 펼쳐진 경우 헤드(100)는 본체와 상하 방향으로 비오버랩 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헤드(100)가 본체와 상하 방향으로 비오버랩 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헤드(100)의 무게 중심(e) 역시 본체와 상하 방향으로 비오버랩 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200)가 헤드(100)와 본체를 연결함에 따라, 본체(300)에는 헤드(100)의 하중 및 커넥터(200)의 하중이 작용될 수 있다.
본체(300)는 헤드(100)의 무게 중심(e)이 이동한 경우에도포터블 후드(10)가 넘어지지 않도록 헤드(100) 및 커넥터(200)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본체(300)의 무게는, 헤드(100)의 무게, 커넥터(200)의 무게 및 헤드(100)의 최대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포터블 후드(10)가 넘어지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체가 펼쳐지는 경우, 헤드(100)는 본체와 상하 방향으로 비오버랩 되는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포터블 후드(10)는 조리 기구 주변에서 공기 정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300)는 고기를 굽는 화로 옆에 위치하여 헤드와 커넥터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으며, 헤드(100)는 고기를 굽는 화로 위에서 공기 정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방향이 시계 반대 방향, 제2 방향이 시계 방향인 것으로 가정하여, 포터블 후드(10)가 접히고 펼쳐지는 가정을 설명한다.
본체(300)는 본체(300)를 커넥터(200)와 연결하는 본체 힌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00)는 본체 힌지(320)를 중심으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커넥터(200)가 접히는 방향(Cw)일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커넥터(200)가 펼쳐지는 방향(C)일 수 있다.
또한 헤드(100)는 헤드(100)를 커넥터(200)와 연결하는 헤드 힌지(19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100)는 헤드 힌지(192)를 중심으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헤드(100)가 펼쳐지는 방향(C) 일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헤드(100)가 접히는 방향(Cw)일 수 있다.
포터블 후드(10)는 커넥터(200)가 본체 힌지(320)를 중심으로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헤드(100)가 헤드 힌지(192)를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펼쳐질 수 있다.
또한 포터블 후드(10)는 커넥터(200)가 본체 힌지(320)를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헤드(100)가 헤드 힌지(192)를 중심으로 제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접힐 수 있다.
도 7은 포터블 후드(10)가 접히는 도중의 측면도로써, 커넥터(20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헤드(1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터블 후드(10)가 완전히 접히는 경우, 헤드(100)는 본체(300) 위에 안착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후드(10)가 접힌 경우의 헤드(100)의 중심은 본체의 중심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일 례로써 헤드(100)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헤드(100)의 단면은 원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드(100)의 중심은 헤드(100)의 단면인 원의 중심일 수 있다.
또한 본체(300) 역시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본체(300)의 단면은 원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300)의 중심은 본체(300)의 단면인 원의 중심일 수 있다.
이 경우 헤드(100)의 단면인 원의 중심과 본체(300)의 단면인 원의 중심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또한 헤드(100)의 하면의 직경과, 본체(300)의 상면의 직경은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힌 상태에서의 포터블 후드(10)는 하부로 내려갈수록 외경이 확장될 수 있다.
한편 본체(300)는 커넥터 수용 홈(3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포터블 후드(10)가 접히는 경우, 커넥터(200)는 커넥터 수용 홈(330)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헤드(100)의 하면에는 헤드(100)의 하부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후드가 조명이 없는 야외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터블 후드는 공기 정화 기능뿐만 아니라 조명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즉 헤드(100)는 조리 기구의 위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조명부는 조리 기구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헤드(100)의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9의 단면도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쉬라우드(161)는 팬(150)의 외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쉬라우드(161)는 팬(150)의 외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쉬라우드(161)는 하부가 확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쉬라우드(161)는 중공 바디(16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공 바디(164)는 내경이 일정한 원통체일 수 있다.
또한 연결 바디(163)는 일단이 중공 바디(164)에 연결되어 중공바디(164)로부터 라운드지게 확장될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154)의 하단(①)은 쉬라우드의 하단(A)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154)의 하단의 위치에 따라 토출구에서의 송풍량(Cubic Feet Per Minute, CFM)은 변경될 수 있다.
표 4에서는 블레이드(154)의 하단이 ①에 위치하는 경우, ②에 위치하는 경우, 및 ③에 위치하는 경우의 토출구에서의 송풍량(Cubic Feet Per Minute, CFM)을 표기하였다.
필터의 유/무 토출구에서의 송풍량
필터 없음 110.0 CFM
필터 있음 43.7 CFM
필터 없음 110.8 CFM
필터 있음 34.4 CFM
필터 없음 111.7 CFM
필터 있음 23.5 CFM
즉,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154)의 하단이 쉬라우드의 하단(A)보다 아래에 위치하되, 쉬라우드(161) 하단(A)과 블레이드(154) 하단의 높이 차이가 작을수록 송풍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블레이드(154) 중 상기 쉬라우드 보다 낮은 영역의 높이(H2)는 블레이드(154) 높이(H1)의 0.2배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154)의 높이가 40mm인 경우, 블레이드(154)에서 쉬라우드(161)의 하단보다 아래에 형성되는 영역의 높이는 0mm보다 크고 8mm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도 10에서 쉬라우드(161)의 하단(A)과 ②선 사이의 거리가 8mm인 경우, 블레이드(154)의 하단은, A와 ②선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쉬라우드(161)는 연결 바디(163)와 연결되고 수평하게 배치된 고리형 판(1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고리형 판(162)의 외경과 내경의 차(D2)는, 팬의 외경(D1)의 0.025배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50)의 외경(D1)이 120mm이인 경우, 고리형 판(162)의 외경과 내경의 차(D2)는 3mm보다 클 수 있다.
한편, 고리형 판(162)의 외경과 내경의 차(D2)는, 팬의 외경(D1)의 0.5배 이하일 수 있다.
한편, 팬(150)의 외경(D1)은 중공 바디(164)의 내경(D3)의 0.94배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팬과 쉬라우드는 공기의 원할한 유동을 안내할 수 있고, 쉬라우드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 송풍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포터블 후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내 이물질이 쉬라우드(161)에(특히 고리형 판(162) 및 연결 바디(163)에 묻게 되는 2차 정화가 수행된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하단이 쉬라우드의 하단보다 밑에 위치함으로써, 2차 정화의 효율을 높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은 도 4,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며, 어퍼 에어가이드(160) 및 필터부(130)의 착탈 가능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어퍼 에어가이드 돌출부가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에 슬라이드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브라켓 돌출부가 브라켓 체결부에 슬라이드 장착되고 있는 도중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가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에 슬라이드 장착되고 있는 도중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브라켓 돌출부가 브라켓 체결부에 슬라이드 장착되고 있는 도중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착탈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헤드(100)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어 에어 가이드(120)는 하나 이상의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194a, 194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194a, 194b)는, 금속이면 용접, 플라스틱이면 접착제 등의 접합 부재로 로어 에어 가이드(120)에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194a, 194b)는 상판(122)의 내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하나 이상의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194a, 194b)에 각각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 169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 169b)은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하단의 외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헤드(100)에 회전식으로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의 외둘레가 원형인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수평 방향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어 에어 가이드(12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어 에어 가이드(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가 어퍼 에어 가이드에,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가 로어 에어 가이드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돌출부가 로어 에어 가이드에, 체결부가 어퍼 에어 가이드에 형성되는 구조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즉, 어퍼 에어 가이드(160)와 로어 에어 가이드(120) 중 하나에는 어퍼 에어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어퍼 에어 가이드의 장착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는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194a)의 로어 안착 바디(411) 위에 안착할 수 있다.
그리고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는 로어 안착 바디(411) 위에 안착되서 슬라이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는, 로어 안착 바디(411)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는 삽입 방향(L)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194a)는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가 돌려 끼워지는 레일 바디(413)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바디(413)는 제1 체결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부(414)는 레일 바디(413)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한편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는 제2 체결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체결부(422)는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제2 체결부(422)의 반대면은 로어 안착 바디(411) 위에 안착할 수 있다.
어퍼 에어 가이드(160)가 회전하는 경우, 레일 바디(413)가 탄성 변형 되며,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는 삽입 방향(L)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체결부(422)가 제1 체결부(414)에 걸릴 수 있다.
즉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회전 시 제2 체결부(422)는 제1 체결부(414)를 타고 넘은 후 제1 체결부(414) 및 스토퍼(412)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퍼 가이드 돌출부(169a)는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194a)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부(414)와 제2 체결부(422)가 돌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414) 및 제2 체결부(422) 중 어느 하나는 홈일 수 있다.
한편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194a)는 레일 바디(413)와 로어 안착 바디(411)를 연결하는 스토퍼(41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412)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를 구속함으로써,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가 과회전되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회전 시 제2 체결부(422)는 제1 체결부(414)를 타고 넘은 후 제1 체결부(414) 및 스토퍼(412) 사이의 공간(G)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단(421)은 스토퍼(412)와 접촉할 수 있다. 걸림단(421)이 스토퍼(412)와 접촉한 경우,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임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탈착은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장착 과정의 역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필터부(130)의 착탈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필터부(130)는 헤드(100)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어 에어 가이드(120)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 체결부(128a, 128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브라켓 체결부(128a, 128b)는, 금속이면 용접, 플라스틱이면 접착제 등의 접합 부재로 로어 에어 가이드(120)에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브라켓 체결부(128a, 128b)는 중공통(124)의 내둘레를 따라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필터부(130)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 체결부(128a, 128b)에 각각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 돌출부(136a, 136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브라켓 돌출부(136a, 136b)는 필터 브라켓(132)의 외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130)는 헤드(100)에 회전식으로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둘레가 원형인 필터 브라켓(132)은, 수평 방향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어 에어 가이드(12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어 에어 가이드(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브라켓 돌출부가 필터 브라켓에, 브라켓 체결부가 로어 에어 가이드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돌출부가 로어 에어 가이드에, 체결부가 필터 브라켓에 형성되는 구조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즉, 필터부(130)와 로어 에어 가이드(120) 중 하나에는 브라켓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브라켓 돌출부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브라켓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어퍼 에어 가이드의 장착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브라켓 돌출부(136a)는 브라켓 체결부(128a)의 어퍼 안착 바디(431) 위에 안착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 돌출부(136a)는 어퍼 안착 바디(431) 위에 안착되서 슬라이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돌출부(136a)는, 어퍼 안착 바디(431)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필터부(13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브라켓 돌출부(136a)는 삽입 방향(L)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 체결부(128a)는 브라켓 돌출부(136a)가 돌려 끼워지는 레일 바디(433)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바디(413)는 제3 체결부(4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체결부(444)는 레일 바디(433)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한편 브라켓 돌출부(136a)는 제4 체결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체결부(442)는 브라켓 돌출부(136a)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제4 체결부(442)의 반대면은 어퍼 안착 바디(431) 위에 안착할 수 있다.
필터부(130)가 회전하는 경우, 레일 바디(433)가 탄성 변형 되며, 브라켓 돌출부(136a)는 삽입 방향(L)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체결부(442)가 제3 체결부(444)에 걸릴 수 있다.
즉 필터부(130)의 회전 시 제4 체결부(442)는 제3 체결부(444)를 타고 넘은 후 제3 체결부(444) 및 스토퍼(432)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 돌출부(136a)는 브라켓 체결부(128a)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체결부(444)와 제4 체결부(442)가 돌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3 체결부(444) 및 제4 체결부(442) 중 어느 하나는 홈일 수 있다.
한편 브라켓 체결부(128a)는 레일 바디(433)와 어퍼 안착 바디(431)를 연결하는 스토퍼(4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432) 브라켓 돌출부(136a)를 구속함으로써, 브라켓 돌출부(136a)가 과회전되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부(130)의 회전 시 제4 체결부(442)는 제3 체결부(444)를 타고 넘은 후 제3 체결부(444) 및 스토퍼(432)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단(441)은 스토퍼(432)와 접촉할 수 있다. 걸림단(441)이 스토퍼(432)와 접촉한 경우, 필터부(130)의 임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필터부(130)의 탈착은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장착 과정의 역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5는 어퍼 에어 가이드(160) 및 필터부(130)가 탈착된 상태의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탈착된 상태의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탈착된 상태의 필터부(130)의 사시도이다.
도 1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퍼 에어 가이드(160)는 하나 이상의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 169b, 169c, 169d)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169a, 169b, 169c, 169d)는 어퍼 에어 가이드(160)의 하단의 외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부(130)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 돌출부(136a, 136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브라켓 돌출부(136a, 136b)는 필터 브라켓(132)의 외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일정 간격으로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퍼 에어 가이드(160) 및 필터부(130)가 헤드(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퍼 에어 가이드(160), 필터부(130)의 청소, 그리고 로어 에어 가이드(120), 팬(150) 등의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공기 내 이물질이 쉬라우드(161)에(특히 고리형 판(162) 및 연결 바디(163)에 묻게 되는 2차 정화가 수행된다. 본 발명은 디퓨저(166)와 쉬라우드(16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일체로서 헤드(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바, 헤드(100)의 청소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포터블 후드 100: 헤드
200: 커넥터 300: 본체

Claims (8)

  1. 포터블 후드에 있어서,
    본체;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외부로 토출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팬;
    상기 헤드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로어 에어 가이드; 및
    상기 로어 에어 가이드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헤드 외부로 토출 안내하는 어퍼 에어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에어 가이드는,
    상기 로어 에어 가이드 내부의 공기가 상기 어퍼 에어 가이드 내부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고, 하부가 확장된 쉬라우드; 및
    상기 어퍼 에어 가이드 내부의 공기가 상기 후드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포터블 후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의 하단은,
    상기 쉬라우드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포터블 후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중 상기 쉬라우드 보다 낮은 영역의 높이는 상기 블레이드 높이의 0.2배 미만인
    포터블 후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는,
    중공 바디;
    상기 중공 바디보다 외경이 크고 수평하게 배치된 고리형 판; 및
    상기 중공 바디와 고리형 판을 잇고 라운드지게 확장된 연결 바디를 포함하는
    포터블 후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판의 외경과 내경의 차는 상기 팬의 외경의 0.025배 이상인
    포터블 후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에어 가이드와 로어 에어 가이드 중 하나에는 어퍼 에어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어퍼 에어 가이드 돌출부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어퍼 에어 가이드 체결부가 형성되는
    포터블 후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 및 상기 디퓨저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로부터 분리되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와 로어 에어 가이드 중 하나에는 브라켓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브라켓 돌출부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브라켓 체결부가 형성되는
    포터블 후드.
KR1020170026802A 2017-02-28 2017-02-28 포터블 후드 KR20180099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802A KR20180099392A (ko) 2017-02-28 2017-02-28 포터블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802A KR20180099392A (ko) 2017-02-28 2017-02-28 포터블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92A true KR20180099392A (ko) 2018-09-05

Family

ID=6359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802A KR20180099392A (ko) 2017-02-28 2017-02-28 포터블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939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194B1 (ko) 2019-07-04 2020-04-07 백승일 탈부착식 흡입유도후드를 갖는 공기청정기
KR20200071438A (ko) * 2018-12-11 2020-06-19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정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WO2022191397A1 (ko) * 2021-03-08 2022-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 유동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R3123714A1 (fr) * 2021-06-07 2022-12-09 Lpm-Consulting Hotte aspirante de table
KR102602277B1 (ko) * 2023-08-08 2023-11-16 김용민 관절부와 회전부가 구비된 후드 구조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438A (ko) * 2018-12-11 2020-06-19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정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102077194B1 (ko) 2019-07-04 2020-04-07 백승일 탈부착식 흡입유도후드를 갖는 공기청정기
WO2022191397A1 (ko) * 2021-03-08 2022-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 유동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946651B2 (en) 2021-03-08 2024-04-0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flow apparatus
FR3123714A1 (fr) * 2021-06-07 2022-12-09 Lpm-Consulting Hotte aspirante de table
WO2022258550A1 (fr) * 2021-06-07 2022-12-15 Lpm-Consulting Hotte aspirante de table
KR102602277B1 (ko) * 2023-08-08 2023-11-16 김용민 관절부와 회전부가 구비된 후드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9392A (ko) 포터블 후드
KR20180099393A (ko) 포터블 후드
US10041687B1 (en) Vent extender method having intake air option for conveying ventilation to close proximity of a fume and odor source
KR100423361B1 (ko) 토네이도형 흡기·송풍장치
EP3012548B1 (en) Air purifier
KR101967772B1 (ko) 환풍장치
KR101891253B1 (ko) 포터블 후드
KR101891256B1 (ko) 포터블 후드
EP1418386B1 (en) Fume and/or steam exhausting device for kitchen hoods
CN107956744B (zh) 导流结构、混流风机及吸油烟机
CN111503695A (zh) 进风结构及组合烹饪设备
CN210433350U (zh) 具有油烟净化功能的烤箱
CN209445454U (zh) 一种吸油烟机
CN2872157Y (zh) 一种用于油烟机的风幕装置
KR102482706B1 (ko) 가정용 고기구이 연기 필터장치
KR101970252B1 (ko) 포터블 후드
CN202868802U (zh) 水平双吸口安装结构的轴流式抽油烟机
CN217402623U (zh) 一种七字型油烟机
CN217383052U (zh) 一种吸油烟机
CN217876020U (zh) 风机系统外置的集成灶
CN217785267U (zh) 模块化过滤装置及吸油烟机
CN102901132A (zh) 轴流式抽油烟机
CN210425194U (zh) 一种多功能炉体的无烟净化结构
CN212204672U (zh) 进风结构及组合烹饪设备
CN211623776U (zh) 一种换气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