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094A -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 Google Patents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094A
KR20180104094A KR1020187024197A KR20187024197A KR20180104094A KR 20180104094 A KR20180104094 A KR 20180104094A KR 1020187024197 A KR1020187024197 A KR 1020187024197A KR 20187024197 A KR20187024197 A KR 20187024197A KR 20180104094 A KR20180104094 A KR 20180104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lumen
group
electrode group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0881B1 (ko
Inventor
다쿠야 사사키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4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6Transvascular endocardial electrode systems
    • A61N1/0563Transvascular endocardial electrod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fibrillation or cardiover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56Implantable devices for applying electric shocks to the heart, e.g. for cardiover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6Transvascular endocardial electrode systems
    • A61N1/057Anchoring means; Means for fixing the head inside the 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87Epicardial electrode systems; Endocardial electrodes piercing the pericar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025/0095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needles protruding from the distal tip and which are not used for injection nor for electro-stimulation, e.g. for fixation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4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electro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6Handl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심강 내의 목적 부위에 삽입할 수 있고, 제1 리드선군과 제2 리드선군의 사이의 단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제세동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세동 카테터는, 멀티 루멘 튜브(10)와, 제1 DC 전극군(31G)과, 제2 DC 전극군(32G)과, 제1 DC 전극군(31G)의 구성 전극(31)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41)을 포함하는 제1 리드선군(41G)과, 제2 DC 전극군(32G)의 구성 전극(32)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42)을 포함하는 제2 리드선군(42G)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제1 DC 전극군(31G)과 제2 DC 전극군(32G)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세동 카테터이며, 멀티 루멘 튜브(10)는,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 관통 가능한 중앙 루멘(10L)과, 이것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서브 루멘(11L) 및 서브 루멘(12L)을 갖고, 제1 리드선군(41G)이 서브 루멘(11L)에 연장되고, 제2 리드선군(42G)이 서브 루멘(12L)에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본 발명은 심강 내로 삽입되어, 심방 세동을 제거하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심장 카테터 수술 중에 심방 세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기적 제세동을 행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인은, 그러한 제세동을 심강 내에 있어서 행하기 위한 카테터로서, 멀티 루멘 구조를 갖는 절연성 튜브 부재와, 상기 튜브 부재의 기단에 접속된 핸들과,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 영역에 장착된 복수의 링형 전극을 포함하는 제1 DC 전극군과, 상기 제1 DC 전극군으로부터 기단측으로 이격하여 상기 튜브 부재에 장착된 복수의 링형 전극을 포함하는 제2 DC 전극군과, 상기 제1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을 포함하는 제1 리드선군과, 상기 제2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을 포함하는 제2 리드선군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리드선군과 상기 제2 리드선군이, 상기 튜브 부재의 상이한 루멘에 연장되어 있고, 제세동을 행할 때에는, 상기 제1 DC 전극군과, 상기 제2 DC 전극군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를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구성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를, 상대정맥으로부터 우심방 내로 삽입하고, 또한 우심방의 후방측 하벽에 있는 관상정맥동의 개구(관상정맥동 입구)에 삽입함으로써, 제1 DC 전극군이 관상정맥동 내에 위치하고, 제2 DC 전극군이 우심방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후, 제1 DC 전극군과 제2 DC 전극군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의해, 심방 세동을 일으킨 심장에 대하여, 제세동에 필요하면서도 충분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제세동 카테터를 구성하는 튜브 부재의 선단 영역의 횡단면도이며, 이 튜브 부재(110)에는 4개의 루멘(제1 루멘(111), 제2 루멘(112), 제3 루멘(113), 제4 루멘(114))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도면 부호 115는 루멘을 구획하는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튜브, 116은 저경도의 나일론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이너부, 117은 고경도의 나일론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아우터부이고, 118은 편조를 형성하는 스테인리스선재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루멘(111)에는, 제1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141)을 포함하는 제1 리드선군(141G)이 연장되고, 제2 루멘(112)에는, 제2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142)을 포함하는 제2 리드선군(142G)이 연장되고, 제3 루멘(113)에는, 전위 측정용 전극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143)을 포함하는 제3 리드선군(143G) 및 리드선(144)을 포함하는 제4 리드선군(144G)이 연장되고, 제4 루멘(114)에는, 조작용 와이어(171)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리드선군(141G)과 제2 리드선군(142G)이, 각각 튜브 부재의 상이한 루멘(제1 루멘(111), 제2 루멘(112))에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심강 내 제세동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제1 리드선군(141G)(제1 DC 전극군)과, 제2 리드선군(142G)(제2 DC 전극군)의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63708호 공보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를, 하대정맥으로부터 우심방 내로 삽입하여 관상정맥동 입구에 삽입하는 수기(하대정맥으로부터의 어프로치)는, 상대정맥으로부터 우심방 내로 삽입하여 관상정맥동 입구에 삽입하는 종래의 수기(상대정맥으로부터의 어프로치)와 비교하여 침습성이 낮다.
그러나, 하대정맥으로부터의 어프로치에 있어서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를 관상정맥동 입구에 삽입하는 조작이 어렵고, 또한 관상정맥동 입구에 삽입하고 나서도 토크를 걸어 튜브 부재의 비틀림을 복귀시키는 등의 조작이 필요하여 번잡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하대정맥으로부터의 어프로치를 행할 때, 선행하여 관상정맥동 입구에 삽입한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를 삽입하는 것이 고려된다.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를 목적 부위에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당해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의 튜브 부재에,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 관통 가능한 루멘(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리드선이나 조작용 와이어를 연장시키는 루멘에 추가하여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갖는 튜브 부재는, 공간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져(수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져), 제1 리드선군을 연장시키는 루멘과 제2 리드선군을 연장시키는 루멘을 이격하는 수지의 두께도 얇아지기 때문에, 제세동에 필요한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제1 리드선군(제1 DC 전극군)과, 제2 리드선군(제2 DC 전극군)의 사이에서 단락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가짐으로써 공간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수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은) 튜브 부재를 구비한 제세동 카테터는 토크 전달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심강 내의 목적 부위에 삽입할 수 있고, 제1 리드선군(제1 전극군)과 제2 리드선군(제2 전극군)의 사이의 단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가짐으로써 튜브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비율이 낮게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토크 전달성을 발휘할 수 있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를 제공하게 된다.
(1)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는, 절연성 튜브 부재와, 상기 튜브 부재의 기단에 접속된 핸들과,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 영역에 장착된 복수의 링형 전극을 포함하는 제1 DC 전극군과, 상기 제1 DC 전극군으로부터 기단측으로 이격하여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 영역에 장착된 복수의 링형 전극을 포함하는 제2 DC 전극군과, 상기 제1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을 포함하는 제1 리드선군과, 상기 제2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을 포함하는 제2 리드선군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DC 전극군과 상기 제2 DC 전극군의 사이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심강 내에 있어서 제세동을 행하는 카테터이며,
상기 튜브 부재는,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 관통 가능한 중앙 루멘과, 상기 중앙 루멘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서브 루멘을 갖는 멀티 루멘 구조체이고,
상기 제1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은, 쌍을 이루는 상기 서브 루멘의 한쪽에 연장되고, 상기 제2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은, 쌍을 이루는 상기 서브 루멘의 다른 쪽에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에 따르면, 제1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과 제2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이, 각각 중앙 루멘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서브 루멘의 한쪽 및 다른 쪽에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제1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당해 리드선과 제2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당해 리드선을, 충분히 이격시킨 상태에서, 튜브 부재 내에 있어서 완전히 절연 격리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선군이 상기 한 쌍의 서브 루멘의 한쪽에 연장되고, 상기 제2 리드선군이 상기 한 쌍의 서브 루멘의 다른 쪽에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에 따르면, 제1 리드선군(이것을 구성하는 모든 리드선)과, 제2 리드선군(이것을 구성하는 모든 리드선)이, 각각 중앙 루멘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서브 루멘의 한쪽 및 다른 쪽에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제1 리드선군과 제2 리드선군을, 충분히 이격시킨 상태에서, 튜브 부재 내에 있어서 완전히 절연 격리시킬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이 복수의 서브 루멘으로 나뉘어 연장되고, 상기 제2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이, 상기 제1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이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서브 루멘의 각각에 상기 중앙 루멘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복수의 서브 루멘으로 나뉘어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과, 상기 제2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은, 각각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서브 루멘에 연장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에 따르면, 제1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 및 제2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이, 복수의 서브 루멘으로 나뉘어 연장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1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과, 제2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이,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서브 루멘에 연장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제1 리드선군(제1 DC 전극군)과 제2 리드선군(제2 DC 전극군)의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튜브 부재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편조에 의해 보강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 영역을 보강하고 있는 상기 편조가 수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에 따르면, 튜브 부재가 전체 길이에 걸쳐 편조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므로, 중앙 루멘을 가짐으로써 수지의 비율이 낮게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토크 전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튜브 부재의 선단 영역을 보강하고 있는 편조가 수지제이므로, 튜브 부재의 선단 영역의 관벽에 전극의 리드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측부 구멍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측부 구멍의 내주면에 노출되는 수지 선재에 의해, 당해 측부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리드선이 손상을 받는 일도 없다.
(5) 상기 (4)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튜브 부재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수지제의 편조에 의해 보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에 따르면, 튜브 부재가 전체 길이에 걸쳐 편조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므로, 중앙 루멘을 가짐으로써 수지의 비율이 낮게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토크 전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편조가 수지제이므로, 튜브 부재의 선단 영역의 관벽에 전극의 리드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측부 구멍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측부 구멍의 내주면에 노출되는 수지 선재에 의해, 당해 측부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리드선이 손상을 받는 일도 없다.
또한, 당해 편조가 수지제이므로, 이 편조를 통하여 단락이 일어나는 일도 없다.
또한, 전체 길이에 걸쳐 수지제의 편조에 의해 보강되어 있는 튜브 부재(블레이드 튜브)는, 1회의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지제의 편조에 의해 보강된 선단 부분과 금속제의 편조에 의해 보강된 기단 부분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튜브와 비교하여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편조의 구성 재료가 바뀌는 튜브 부분에서 일어나기 쉽다고 여겨지는 킹크가 일어나는 일도 없다.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에 따르면,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심강 내의 목적 부위에 삽입할 수 있고, 하대정맥으로부터의 어프로치에 의해 관상정맥동 입구에 삽입하는 조작이어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에 따르면, 제1 리드선군(제1 DC 전극군)과 제2 리드선군(제2 DC 전극군)의 사이의 단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튜브 부재가 전체 길이에 걸쳐 수지제의 편조에 의해 보강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에 따르면, 중앙 루멘을 가짐으로써 튜브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비율이 낮게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토크 전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세동 카테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세동 카테터의 선단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한 제세동 카테터의 선단 영역의 횡단면도(A-A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한 제세동 카테터의 선단 영역의 횡단면도(B-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세동 카테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세동 카테터의 선단 영역의 횡단면도(C-C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제세동 카테터의 선단 영역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제세동 카테터의 선단 영역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3(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이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100)는, 멀티 루멘 튜브(10)와, 그 기단에 접속된 핸들(20)과, 멀티 루멘 튜브(10)의 선단 영역에 장착된 8개의 링형 전극(31)을 포함하는 제1 DC 전극군(31G)과, 제1 DC 전극군(31G)으로부터 기단측으로 이격하여 멀티 루멘 튜브(10)의 선단 영역에 장착된 8개의 링형 전극(32)을 포함하는 제2 DC 전극군(32G)과, 제1 DC 전극군(31G)과 제2 DC 전극군(32G)의 사이에 있어서의 멀티 루멘 튜브(10)의 선단 영역에 장착된 전위 측정용 4개의 링형 전극(33)과, 멀티 루멘 튜브(10)의 선단에 장착된 선단 팁(35)과, 제1 DC 전극군(31G)을 구성하는 전극(31)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41)을 포함하는 제1 리드선군(41G)과, 제2 DC 전극군(32G)을 구성하는 전극(32)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42)을 포함하는 제2 리드선군(42G)과, 전위 측정용 링형 전극(33)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4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제1 DC 전극군(31G)과 제2 DC 전극군(32G)의 사이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심강 내에 있어서 제세동을 행하는 카테터이며, 멀티 루멘 튜브(10)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수지제의 편조(18)에 의해 보강되어 있음과 함께, 가이드 와이어 루멘으로 되는 중앙 루멘(10L)과, 이 중앙 루멘(10L)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서브 루멘(11L) 및 제2 서브 루멘(12L)과, 중앙 루멘(10L)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3 서브 루멘(13L) 및 제4 서브 루멘(14L)을 갖고, 제1 리드선군(41G)은 제1 서브 루멘(11L)에 연장되어 있고, 제2 리드선군(42G)은 제2 서브 루멘(12L)에 연장되어 있고, 리드선(43)은 제3 서브 루멘(13L)에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100)는, 멀티 루멘 튜브(10)와, 핸들(20)과, 제1 DC 전극군(31G)과, 제2 DC 전극군(32G)과, 전위 측정용 링형 전극(33)과, 선단 팁(35)과, 제1 리드선군(41G)과, 제2 리드선군(42G)과, 리드선(4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세동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멀티 루멘 튜브(10)는, 멀티 루멘 구조를 갖는 절연성 튜브 부재이다.
멀티 루멘 튜브(10)의 외경은, 예를 들어 1.2 내지 3.3mm로 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2.0mm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멀티 루멘 튜브(10)의 선단 영역을 직선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당해 선단 영역은, 통상, 특정한 커브 형상을 갖고 있다.
그러한 선단 영역의 커브 형상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2-5067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92124호 공보 등에 개시된 형상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러한 선단 영역의 커브 형상은, 외부로부터 아무 힘도 받지 않았을 때의 형상이며, 예를 들어 멀티 루멘 튜브(10)를 직선상의 관강 내에 통과시켰을 때에는 직선상으로 변형되고, 멀티 루멘 튜브(10)를 만곡되는 관강 내에 통과시켰을 때에는, 당해 관강의 형상을 따라 만곡된다. 또한, 선단 영역의 형상은, 후술하는 핸들(20)의 조작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멀티 루멘 튜브(10)는, 수지를 포함하는 이너부(16)와, 이 이너부(16)를 피복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아우터부(17)와, 멀티 루멘 튜브(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아우터부(17)의 내부에 매설된 수지제의 편조(1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튜브이다.
멀티 루멘 튜브(10)(이너부(16))에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으로서의 중앙 루멘(10L)과, 이 중앙 루멘(10L)의 주위에 있어서 4개의 서브 루멘(제1 서브 루멘(11L), 제2 서브 루멘(12L), 제3 서브 루멘(13L), 제4 서브 루멘(14L))이, 각각 수지 튜브(15)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중앙 루멘(10L)의 직경은, 예를 들어 0.4 내지 1.0mm로 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0.75mm이다.
멀티 루멘 튜브(10)의 외경에 대한 중앙 루멘(10L)의 직경의 비는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0.375(0.75/2.0)이다.
제1 서브 루멘(11L)과 제2 서브 루멘(12L)은, 중앙 루멘(10L)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3 서브 루멘(13L)과 제4 서브 루멘(14L)은, 중앙 루멘(10L)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서브 루멘(11L), 제2 서브 루멘(12L) 및 제3 서브 루멘(13L)의 횡단면은, 각각 캡슐형(타원형)이며, 이에 의해, 멀티 루멘 튜브(10)의 외경을 필요 이상으로 확대하지 않고, 루멘 내강의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조립 작업의 간략화도 가능하게 된다.
이너부(16) 및 아우터부(17)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으며, 특히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EBAX)가 바람직하다.
이너부(16)를 구성하는 수지의 경도는 25D 내지 40D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우터부(17)를 구성하는 수지의 경도는 35D 내지 72D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우터부(17)를 구성하는 수지는, 통상, 축 방향에 따라 상이한 경도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루멘을 구획 형성하는 수지 튜브(15)는,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절연성이 높은 불소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우터부(17)의 내부에는, 멀티 루멘 튜브(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보강재인 수지제의 편조(18)가 매설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단면에서 보아, 편조(18)는 16조(32개)의 수지 선재가 원주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멀티 루멘 튜브(10)가 전체 길이에 걸쳐 편조(18)로 보강되어 있음(블레이드 튜브로 되어 있음)으로써, 중앙 루멘(10L)을 가짐으로써 수지의 비율이 낮게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토크 전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편조(18)가 수지제이므로, 이 편조(18)를 통하여 단락이 일어나는 일은 없다.
또한, 편조(18)가 수지제이므로, 멀티 루멘 튜브(10)의 선단 영역의 관벽에 전극의 리드선(리드선(41, 42 및 43))을 통과시키기 위한 측부 구멍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측부 구멍의 내주면에 노출되는 수지 선재에 의해 당해 측부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리드선이 손상을 받는 일도 없다.
수지제의 편조(18) 대신에 금속제의 편조를 매설하면, 멀티 루멘 튜브(10)의 선단 영역의 관벽에 전극의 리드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측부 구멍을 형성하기가 곤란해지고, 측부 구멍을 형성하였다고 해도, 당해 측부 구멍의 내주면에 있어서 편조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가 노출되기 때문에, 제세동 카테터의 제조 시 및 사용 시에 있어서, 전극의 리드선이 당해 금속 선재에 접촉하고, 리드선을 구성하는 수지 피복층이 손상을 받아 당해 리드선의 절연성이 손상되는 일이 고려된다. 이 때문에, 멀티 루멘 튜브(10)의 선단 영역을 포함하는 전체 길이에 걸쳐, 금속제의 편조를 매설하기가 불가능하다.
편조(18)(수지 선재)의 구성 재료로서는, 매설됨으로써 보강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수지 중에서 선택된다.
편조(18)의 구성 재료의 경도로서는 72D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도가 과소한 경우에는, 충분한 보강 효과, 나아가 양호한 토크 전달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편조(18)의 구성 재료의 굽힘 탄성률(ISO178 또는 JIS K7171)로서는, 통상 500 내지 19,000MPa로 되고,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7,000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내지 4,200으로 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4,200MPa로 된다.
편조(18)(수지 선재)를 구성하는 적합한 보강 수지로서는, PEEK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PEEK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편조(18)를 구성하는 수지 선재의 선 직경으로서는, 통상 30 내지 100㎛로 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60㎛로 된다.
또한, 편조(18)의 타수로서는, 통상 8 내지 32로 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16으로 된다.
또한, 편조(18)의 보유수로서는, 통상 1 내지 4로 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2로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핸들(20)은, 핸들 본체(21)와, 손잡이(22)와, 스트레인 릴리프(24)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22)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멀티 루멘 튜브(10)의 선단 영역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멀티 루멘 튜브(10)의 선단 영역의 외주에는, 제1 DC 전극군(31G) 및 제2 DC 전극군(32G)이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극군」이란, 동일한 극을 구성하거나(동일한 극성을 갖거나), 또는 동일한 목적을 갖고, 좁은 간격(예를 들어 5mm 이하)으로 장착된 복수의 전극의 집합체를 말한다.
제1 DC 전극군은, 튜브 부재의 선단 영역에 있어서, 동일한 극(-극 또는 +극)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이 좁은 간격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개수는, 전극의 폭이나 배치 간격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예를 들어 4 내지 13개로 되고,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개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DC 전극군(31G)은 8개의 링형 전극(3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DC 전극군(31G)을 구성하는 전극(31)은 리드선(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제1 리드선군(41G)을 구성하는 리드선(41)) 및 핸들(20)의 기단부에 내장된 커넥터를 통하여, 직류 전원 장치에 있어서의 동일한 극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전극(31)의 폭(축 방향의 길이 W1)은 2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4mm이다.
전극(31)의 폭이 지나치게 좁으면, 전압 인가 시의 발열량이 과대해져, 주변 조직에 손상을 끼칠 우려가 있다. 한편, 전극(31)의 폭이 지나치게 넓으면, 멀티 루멘 튜브(10)에 있어서의 제1 DC 전극군(31G)이 장착된 부분의 가요성ㆍ유연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전극(31)의 장착 간격(인접하는 전극의 이격 거리)은 1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2mm이다.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100)의 사용 시(심강 내에 배치될 때)에 있어서, 제1 DC 전극군(31G)은 관상정맥동 내에 위치한다.
제2 DC 전극군은, 제1 DC 전극군의 장착 위치로부터 기단측으로 이격된 튜브 부재의 선단 영역에 있어서, 제1 DC 전극군과는 반대의 극(+극 또는 -극)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이 좁은 간격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개수는, 전극의 폭이나 배치 간격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예를 들어 4 내지 13개로 되고,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개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DC 전극군(32G)은 8개의 링형 전극(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DC 전극군(32G)을 구성하는 전극(32)은 리드선(도 3b에 도시하는 제2 리드선군(42G)을 구성하는 리드선(42)) 및 핸들(20)의 기단부에 내장된 커넥터를 통하여, 직류 전원 장치에 있어서의 동일한 극의 단자(제1 DC 전극군(31G)이 접속되어 있는 것과는 반대의 극의 단자)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1 DC 전극군(31G)(전극(31))과 제2 DC 전극군(32G)(전극(32))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1 DC 전극군(31G)과 제2 DC 전극군(32G)은, 서로 극성이 상이한 전극군(한쪽의 전극군이 -극일 때, 다른 쪽의 전극군은 +극)으로 된다.
여기서, 전극(32)의 폭(축 방향의 길이 W2)은 2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4mm이다.
전극(32)의 폭이 지나치게 좁으면, 전압 인가 시의 발열량이 과대해져, 주변 조직에 손상을 끼칠 우려가 있다. 한편, 전극(32)의 폭이 지나치게 넓으면, 멀티 루멘 튜브(10)에 있어서의 제2 DC 전극군(32G)이 장착된 부분의 가요성ㆍ유연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전극(32)의 장착 간격(인접하는 전극의 이격 거리)은 1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2mm이다.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100)의 사용 시(심강 내에 배치될 때)에 있어서, 제2 DC 전극군(32G)은 우심방 내에 위치한다.
또한, 제1 DC 전극군(31G) 및 제2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은, 전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멀티 루멘 튜브(10)의 외주(제1 DC 전극군(31G)과 제2 DC 전극군(32G)의 사이)에는, 전위 측정에 사용하는 4개의 링형 전극(33)이 장착되어 있다.
전극(33)은, 리드선(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리드선(43)) 및 핸들(20)의 기단부에 내장된 커넥터를 통하여 심전도계에 접속된다.
여기서, 전극(33)의 폭(축 방향의 길이 W3)은 0.5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면 1.2mm이다.
전극(33)의 폭이 지나치게 넓으면, 심전위의 측정 정밀도가 저하되거나, 이상 전위의 발생 부위의 특정이 곤란해지거나 한다.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100)의 선단에는, 선단 팁(35)이 장착되어 있다.
이 선단 팁(35)에는 리드선은 접속되어 있지 않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 팁(35)을 전극으로서 사용하고 있지 않다. 단, 리드선을 접속시킴으로써, 전극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단 팁(35)의 구성 재료는 백금,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 각종 수지 재료 등,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DC 전극군(31G)(기단측의 전극(31))과 제2 DC 전극군(32G)(선단측의 전극(32))의 이격 거리는 40 내지 100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mm이다.
제1 DC 전극군(31G)을 구성하는 전극(31), 제2 DC 전극군(32G)을 구성하는 전극(32), 전위 측정용 전극(33)으로서는, X선에 대한 조영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 백금 또는 백금계 합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제1 리드선군(41G)은, 제1 DC 전극군(31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1)의 각각에 접속된 8개의 리드선(41)의 집합체이다.
제1 리드선군(41G)(리드선(41))에 의해, 제1 DC 전극군(31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1)의 각각을 직류 전원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1 DC 전극군(31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1)은, 각각 상이한 리드선(41)에 접속된다. 리드선(41)의 각각은, 그 선단 부분에 있어서 전극(31)의 내주면에 용접됨과 함께, 멀티 루멘 튜브(10)의 관벽에 형성된 측부 구멍으로부터 제1 서브 루멘(11L)에 진입한다. 제1 서브 루멘(11L)에 진입한 8개의 리드선(41)은, 제1 리드선군(41G)으로서, 당해 제1 서브 루멘(11L)에 연장된다.
도 3b에 도시되는 제2 리드선군(42G)은, 제2 DC 전극군(32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2)의 각각에 접속된 8개의 리드선(42)의 집합체이다.
제2 리드선군(42G)(리드선(42))에 의해, 제2 DC 전극군(32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2)의 각각을 직류 전원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2 DC 전극군(32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2)은, 각각 상이한 리드선(42)에 접속된다. 리드선(42)의 각각은, 그 선단 부분에 있어서 전극(32)의 내주면에 용접됨과 함께, 멀티 루멘 튜브(10)의 관벽에 형성된 측부 구멍으로부터 제2 서브 루멘(12L)에 진입한다. 제2 서브 루멘(12L)에 진입한 8개의 리드선(42)은, 제2 리드선군(42G)으로서, 당해 제2 서브 루멘(12L)에 연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리드선군(41G)(8개의 리드선(41))이 제1 서브 루멘(11L)에 연장되고, 제2 리드선군(42G)(8개의 리드선(42))이 제2 서브 루멘(12L)에 연장되고, 제1 리드선군(41G)이 연장되어 있는 제1 서브 루멘(11L)과, 제2 리드선군(42G)이 연장되어 있는 제2 서브 루멘(12L)이, 중앙 루멘(10L)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1 리드선군(41G)과 제2 리드선군(42G)의 이격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4개의 리드선(43)은, 전위 측정용 전극(33)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43)에 의해, 전극(33)의 각각을 심전도계에 접속할 수 있다.
전위 측정에 사용하는 4개의 전극(33)은, 각각 상이한 리드선(43)에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43)의 각각은, 그 선단 부분에 있어서 전극(33)의 내주면에 용접됨과 함께, 멀티 루멘 튜브(10)의 관벽에 형성된 측부 구멍으로부터 제3 서브 루멘(13L)에 진입하고, 당해 제3 서브 루멘(13L)에 연장된다.
리드선(41), 리드선(42) 및 리드선(43)은 모두,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에 의해 금속 도선의 외주면이 피복된 수지 피복선을 포함한다. 여기서, 피복 수지의 막 두께로서는 2 내지 30㎛ 정도로 된다.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도면 부호 51은 조작용 와이어이다.
조작용 와이어(51)는, 제4 서브 루멘(14L)에 연장되고, 멀티 루멘 튜브(10)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되어 연장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51)의 선단 부분은, 예를 들어 땜납에 의해 선단 팁(35)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조작용 와이어(51)의 기단 부분은, 핸들(20)의 손잡이(22)에 접속되어 있고, 손잡이(22)를 조작함으로써 조작용 와이어(51)가 인장된다. 이에 의해, 멀티 루멘 튜브(10)의 선단 영역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조작용 와이어(51)는, 스테인리스나 Ni-Ti계 초탄성 합금제로 구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금속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조작용 와이어(51)는, 예를 들어 고강도의 비도전성 와이어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멀티 루멘 튜브의 선단부를 편향시키는 기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판 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멀티 루멘 튜브(10)의 제4 서브 루멘(14L)에는, 조작용 와이어(51)만이 연장되어 있고, 리드선(군)은 연장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멀티 루멘 튜브(10)의 선단부의 편향 조작 시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작용 와이어(51)에 의해 리드선이 손상(예를 들어, 찰과상)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100)에서는, 핸들(20)의 내부에 있어서도, 제1 리드선군(41G)(리드선(41))과, 제2 리드선군(42G)(리드선(42))과, 리드선(43)이 절연 격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100)는, 제1 DC 전극군(31G)과 제2 DC 전극군(32G)의 사이에 직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세동을 일으키고 있는 심장에 직접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여 제세동 치료를 행하기 위한 카테터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100)는, 제1 DC 전극군(31G)이 관상정맥동 내에 위치하고, 제2 DC 전극군(32G)이 우심방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심강 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1 DC 전극군(31G)과 제2 DC 전극군(32G)에 의해 심장이 끼워 넣어지는 듯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이드 와이어를, 하대정맥으로부터 우심방 내로 삽입하고, 또한 우심방의 후방측 하벽에 있는 관상정맥동 입구에 삽입한다.
이어서, 이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제세동 카테터(100)를 하대정맥으로부터 우심방 내로 삽입하고, 또한 우심방의 후방측 하벽에 있는 관상정맥동 입구에 삽입하여, 관상정맥동 내를 삽입 관통(전진)시킨다.
여기서, 제세동 카테터(100)를, 하대정맥으로부터 우심방 내로 삽입하여 관상정맥동 입구에 삽입하는 수기(하대정맥으로부터의 어프로치)는, 상대정맥으로부터의 어프로치와 비교하여, 침습성이 낮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100)는, 심방 세동이 발생하기 쉬운 심장 카테터술을 행할 때 적합하게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100)를 환자의 심강 내에 미리 삽입하고 나서, 심장 카테터술을 행한다.
심장 카테터술 중에 있어서, 제1 DC 전극군(31G) 및/또는 제2 DC 전극군(32G)의 구성 전극, 혹은 전위 측정용 전극(33)에 의해 측정되는 심전도를 감시(모니터링)하고, 심방 세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심장 카테터술을 중단하고, 제세동 카테터(100)에 의한 제세동 치료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리드선군(41G) 및 제2 리드선군(42G)을 통하여, 제1 DC 전극군(31G)과 제2 DC 전극군(32G)의 사이에서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세동을 일으키고 있는 심장에 직접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세동 카테터(100)에 의해 심장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로서는 10 내지 30J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에너지가 과소한 경우에는, 충분한 제세동 치료를 행할 수 없다. 한편, 전기 에너지가 과잉인 경우에는, 제1 DC 전극군(31G) 및 제2 DC 전극군(32G)이 위치하는 주변의 조직이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100)에 따르면,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심강 내의 목적 부위에 삽입할 수 있고, 하대정맥으로부터의 어프로치에 의해 관상정맥동 입구에 삽입하는 조작이어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100)에 따르면, 제1 리드선군(41G)이 연장되어 있는 제1 서브 루멘(11L)과, 제2 리드선군(42G)이 연장되어 있는 제2 서브 루멘(12L)이, 중앙 루멘(10L)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1 리드선군(41G)과 제2 리드선군(42G)을 충분히 이격시킨 상태에서, 멀티 루멘 튜브(10) 내에 있어서 완전히 절연 격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심강 내 제세동에 필요한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제1 리드선군(41G)(제1 DC 전극군(31G))과 제2 리드선군(42G)(제2 DC 전극군(32G))의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멀티 루멘 튜브(10)가, 전체 길이에 걸쳐 수지제의 편조(18)에 의해 보강되어 있음으로써, 우수한 토크 전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편조(18)가 수지제임으로써, 이 편조(18)를 통하여 단락이 일어나는 일은 없다.
<제2 실시 형태>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20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이 제세동 카테터(100)의 선단 영역의 횡단면도(도 4의 C-C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200)는, 선단 가요 부분을 갖는 멀티 루멘 튜브(60)와, 멀티 루멘 튜브(60)의 기단에 접속된 제어 핸들(80)과, 멀티 루멘 튜브(60)의 선단 가요 부분에 장착된 8개의 링형 전극(31)을 포함하는 제1 DC 전극군(31G)과, 제1 DC 전극군(31G)으로부터 기단측으로 이격하여, 멀티 루멘 튜브(60)의 선단 가요 부분에 장착된 8개의 링형 전극(32)을 포함하는 제2 DC 전극군(32G)과, 제1 DC 전극군(31G)과 제2 DC 전극군(32G)의 사이에 있어서의 멀티 루멘 튜브(60)의 선단 가요 부분에 장착된 전위 측정용 4개의 링형 전극(33)과, 멀티 루멘 튜브(60)의 선단에 장착된 선단 팁(35)과, 제1 DC 전극군(31G)을 구성하는 전극(31)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41)을 포함하는 제1 리드선군(41G)과, 제2 DC 전극군(32G)을 구성하는 전극(32)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42)을 포함하는 제2 리드선군(42G)과, 전위 측정용 링형 전극(33)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43)과, 멀티 루멘 튜브(60)의 선단 가요 부분을 제1 방향(도 4에 있어서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해, 그 기단을 인장 조작할 수 있는 제1 조작용 와이어(511)와, 멀티 루멘 튜브(60)의 선단 가요 부분을 제2 방향(도 4에 있어서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해, 그 기단을 인장 조작할 수 있는 제2 조작용 와이어(5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제1 DC 전극군(31G)과 제2 DC 전극군(32G)의 사이에 상이한 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심강 내에 있어서 제세동을 행하는 카테터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200)를 구성하는 멀티 루멘 튜브(60)는, 수지를 포함하는 이너부(68)와, 이 이너부(68)를 피복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아우터부(69)와, 멀티 루멘 튜브(6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아우터부(69)의 내부에 매설된 수지제의 편조(1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튜브이다.
멀티 루멘 튜브(60)(이너부(68))에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으로서의 중앙 루멘(60L)과, 이 중앙 루멘(60L)의 주위에 있어서 6개의 서브 루멘(61L 내지 66L)이, 각각 수지 튜브(67)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1 서브 루멘(61L)과 제2 서브 루멘(62L)은, 중앙 루멘(60L)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3 서브 루멘(63L)과 제4 서브 루멘(64L)은, 중앙 루멘(60L)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5 서브 루멘(65L)과 제6 서브 루멘(66L)은, 중앙 루멘(60L)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서브 루멘(61L), 제2 서브 루멘(62L), 제3 서브 루멘(63L) 및 제4 서브 루멘(64L)의 횡단면은, 각각 캡슐형(타원형)이다.
또한, 제5 서브 루멘(65L) 및 제6 서브 루멘(66L)의 횡단면은, 각각 원형이다.
또한, 멀티 루멘 튜브(60)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세동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멀티 루멘 튜브(10)와 마찬가지로,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수지제의 편조(18)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제1 리드선군(41G)은, 제1 DC 전극군(31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1)의 각각에 접속된 8개의 리드선(41)의 집합체이다.
제1 리드선군(41G)(리드선(41))에 의해, 제1 DC 전극군(31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1)의 각각을 직류 전원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1 DC 전극군(31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1)은, 각각 상이한 리드선(41)에 접속된다. 리드선(41)의 각각은, 그 선단 부분에 있어서 전극(31)의 내주면에 용접됨과 함께, 멀티 루멘 튜브(60)의 관벽에 형성된 측부 구멍으로부터 제1 서브 루멘(61L)에 진입한다. 제1 서브 루멘(61L)에 진입한 8개의 리드선(41)은, 제1 리드선군(41G)으로서, 당해 제1 서브 루멘(61L)에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되는 제2 리드선군(42G)은, 제2 DC 전극군(32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2)의 각각에 접속된 8개의 리드선(42)의 집합체이다.
제2 리드선군(42G)(리드선(42))에 의해, 제2 DC 전극군(32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2)의 각각을 직류 전원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2 DC 전극군(32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2)은, 각각 상이한 리드선(42)에 접속된다. 리드선(42)의 각각은, 그 선단 부분에 있어서 전극(32)의 내주면에 용접됨과 함께, 멀티 루멘 튜브(60)의 관벽에 형성된 측부 구멍으로부터 제2 서브 루멘(62L)에 진입한다. 제2 서브 루멘(62L)에 진입한 8개의 리드선(42)은, 제2 리드선군(42G)으로서, 당해 제2 서브 루멘(62L)에 연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리드선군(41G)(8개의 리드선(41))이 제1 서브 루멘(61L)에 연장되고, 제2 리드선군(42G)(8개의 리드선(42))이 제2 서브 루멘(62L)에 연장되고, 제1 리드선군(41G)이 연장되어 있는 제1 서브 루멘(61L)과, 제2 리드선군(42G)이 연장되어 있는 제2 서브 루멘(62L)이, 중앙 루멘(60L)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1 리드선군(41G)과 제2 리드선군(42G)의 이격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4개의 리드선(43)은, 전위 측정용 전극(33)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43)에 의해, 전극(33)의 각각을 심전도계에 접속할 수 있다.
전위 측정에 사용하는 4개의 전극(33)은, 각각 상이한 리드선(43)에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43)의 각각은, 그 선단 부분에 있어서 전극(33)의 내주면에 용접됨과 함께, 멀티 루멘 튜브(60)의 관벽에 형성된 측부 구멍으로부터 제3 서브 루멘(63L)에 진입하고, 당해 제3 서브 루멘(63L)에 연장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200)는, 멀티 루멘 튜브(60)의 선단 가요 부분을 제1 방향(화살표(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한 제1 조작용 와이어(511)와, 이 선단 가요 부분을 제2 방향(화살표(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휘게 하기 위한 제2 조작용 와이어(51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선단 가요 부분」이란, 조작용 와이어(제1 조작용 와이어(511), 제2 조작용 와이어(512))를 인장 조작함으로써 휠 수 있는 멀티 루멘 튜브의 선단 영역을 말한다.
제1 조작용 와이어(511)는, 멀티 루멘 튜브(60)의 제5 서브 루멘(65L)에 있어서 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제1 조작용 와이어(511)의 선단 부분은, 예를 들어 선단 팁(35)의 내부 공간에 충전된 땜납에 의해 선단 팁(35)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조작용 와이어(511)의 기단은, 제어 핸들(80)의 손잡이(85)에 접속되어, 인장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2 조작용 와이어(512)는, 멀티 루멘 튜브(60)의 제6 서브 루멘(66L)에 있어서 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제2 조작용 와이어(512)의 선단 부분은, 예를 들어 선단 팁(35)의 내부 공간에 충전된 땜납에 의해 선단 팁(35)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조작용 와이어(512)의 기단은, 제어 핸들(80)의 손잡이(85)에 접속되어 인장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 핸들(80)의 손잡이(85)를 도 4에 도시하는 A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조작용 와이어(511)가 인장되어 제5 서브 루멘(65L)의 기단측으로 이동하고, 선단 가요 부분을 제1 방향(화살표(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어 핸들(80)의 손잡이(85)를 도 4에 도시하는 B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조작용 와이어(512)가 인장되어 제6 서브 루멘(66L)의 기단측으로 이동하고, 선단 가요 부분을 제2 방향(화살표(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휘게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멀티 루멘 튜브(60)의 제4 서브 루멘(64L)에는 리드선이 삽입 관통되어 있지 않고, 빈 루멘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200)에 따르면, 제1 리드선군(41G)이 연장되어 있는 제1 서브 루멘(61L)과, 제2 리드선군(42G)이 연장되어 있는 제2 서브 루멘(62L)이, 중앙 루멘(60L)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1 리드선군(41G)과 제2 리드선군(42G)을 충분히 이격시킨 상태에서, 멀티 루멘 튜브(60) 내에 있어서 완전히 절연 격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심강 내 제세동에 필요한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제1 리드선군(41G)(제1 DC 전극군(31G))과 제2 리드선군(42G)(제2 DC 전극군(32G))의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300)의 선단 영역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이 제세동 카테터(300)의 외관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세동 카테터(100)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도시를 생략하지만, 도 6에 도시한 횡단면은, 도 2의 B-B 단면도와 동일한 위치에 있어서의 횡단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300)는, 멀티 루멘 튜브(70)와, 그 기단에 접속된 핸들과, 멀티 루멘 튜브(70)의 선단 영역에 장착된 8개의 링형 전극을 포함하는 제1 DC 전극군과, 제1 DC 전극군으로부터 기단측으로 이격하여 멀티 루멘 튜브(70)의 선단 영역에 장착된 8개의 링형 전극을 포함하는 제2 DC 전극군과, 제1 DC 전극군과 제2 DC 전극군의 사이에 있어서의 멀티 루멘 튜브(70)의 선단 영역에 장착된 전위 측정용 4개의 링형 전극과, 멀티 루멘 튜브(70)의 선단에 장착된 선단 팁과, 제1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41)을 포함하는 제1 리드선군(41G)과, 제2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42)을 포함하는 제2 리드선군(42G)과, 전위 측정용 링형 전극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4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제1 DC 전극군과 제2 DC 전극군의 사이에 상이한 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심강 내에 있어서 제세동을 행하는 카테터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300)를 구성하는 멀티 루멘 튜브(70)는, 수지를 포함하는 이너부(701)와, 이너부(701)를 피복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아우터부(702)와, 멀티 루멘 튜브(7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아우터부(702)의 내부에 매설된 수지제의 편조(1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튜브이다.
멀티 루멘 튜브(70)(이너부(701))에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으로서의 중앙 루멘(70L)과, 이 중앙 루멘(70L)의 주위에 있어서 8개의 서브 루멘(71L 내지 78L)이, 각각 수지 튜브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8개의 서브 루멘(71L 내지 78L)의 횡단면은, 각각 중앙 루멘(70L)보다 소직경의 원형이다.
또한, 멀티 루멘 튜브(70)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세동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멀티 루멘 튜브(10)와 마찬가지로,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수지제의 편조(18)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멀티 루멘 튜브(70)에 있어서, 제1 서브 루멘(71L)과 제5 서브 루멘(75L)은, 중앙 루멘(70L)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서브 루멘(71L)에는, 제1 리드선군(41G)을 구성하는 3개의 리드선(41)이 연장되고, 제5 서브 루멘(75L)에는, 제2 리드선군(42G)을 구성하는 3개의 리드선(42)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2 서브 루멘(72L)과 제6 서브 루멘(76L)은, 중앙 루멘(70L)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서브 루멘(72L)에는, 제1 리드선군(41G)을 구성하는 3개의 리드선(41)이 연장되고, 제6 서브 루멘(76L)에는, 제2 리드선군(42G)을 구성하는 3개의 리드선(42)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3 서브 루멘(73L)과 제7 서브 루멘(77L)은, 중앙 루멘(70L)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서브 루멘(73L)에는, 제1 리드선군(41G)을 구성하는 2개의 리드선(41)이 연장되고, 제7 서브 루멘(77L)에는, 제2 리드선군(42G)을 구성하는 2개의 리드선(42)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4 서브 루멘(74L)과 제8 서브 루멘(78L)은, 중앙 루멘(70L)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4 서브 루멘(74L)에는, 전위 측정용 링형 전극의 각각에 접속된 4개의 리드선(43)이 연장되고, 제8 서브 루멘(78L)에는 조작용 와이어(51)가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제세동 카테터(300)에 따르면, 제1 리드선군(41G)을 구성하는 8개의 리드선(41)이 서브 루멘(71L 내지 73L)으로 나뉘어 연장되고, 제2 리드선군(42G)을 구성하는 8개의 리드선(42)이, 서브 루멘(71L 내지 73L)의 각각에 대향하는 서브 루멘(75L 내지 77L)으로 나뉘어 연장되어 있고, 리드선(41)이 연장되는 제1 서브 루멘(71L)과 리드선(42)이 연장되는 제7 서브 루멘(77L)의 사이에는, 조작용 와이어(51)가 연장되는 제8 서브 루멘(78L)이 형성되고, 리드선(41)이 연장되는 제3 서브 루멘(73L)과 리드선(42)이 연장되는 제5 서브 루멘(75L)의 사이에는, 리드선(43)이 연장되는 제4 서브 루멘(74L)이 형성되어 있고, 리드선(41)과 리드선(42)이,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서브 루멘에는 연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1 리드선군(41G)을 구성하는 리드선(41)과, 제2 리드선군(42G)을 구성하는 리드선(42)을, 충분히 이격시킨 상태에서, 멀티 루멘 튜브(70) 내에 있어서 완전히 절연 격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심강 내 제세동에 필요한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제1 리드선군(41G)(제1 DC 전극군)과 제2 리드선군(42G)(제2 DC 전극군)의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제3 서브 루멘(73L)에 연장되어 있는 2개의 리드선(41)을, 각각 제1 서브 루멘(71L) 및 제2 서브 루멘(72L)에 연장시킴과 함께, 제7 서브 루멘(77L)에 연장되어 있는 2개의 리드선(42)을, 각각 제5 서브 루멘(75L) 및 제6 서브 루멘(76L)에 연장시킴으로써, 제3 서브 루멘(73L) 및 제7 서브 루멘(77L)을 빈 루멘으로 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극이 장착되는 멀티 루멘 튜브의 선단 영역을 보강하는 편조를 수지제(편조(18)와 마찬가지의 편조)로 하고, 전극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멀티 루멘 튜브의 기단 영역을 보강하는 편조를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로 해도 된다.
100: 제세동 카테터
10: 멀티 루멘 튜브
10L: 중앙 루멘
11L 내지 14L: 서브 루멘
15: 수지 튜브
16: 이너부
17: 아우터부
18: 편조
20: 핸들
21: 핸들 본체
22: 손잡이
24: 스트레인 릴리프
31G: 제1 DC 전극군
32G: 제2 DC 전극군
31, 32, 33: 전극
35: 선단 팁
41G: 제1 리드선군
42G: 제2 리드선군
41, 42, 43: 리드선
51: 조작용 와이어
200: 제세동 카테터
60: 멀티 루멘 튜브
60L: 중앙 루멘
61L 내지 66L: 서브 루멘
68: 이너부
68: 아우터부
67: 수지 튜브
80: 제어 핸들
85: 손잡이
300: 제세동 카테터
70: 멀티 루멘 튜브
70L: 중앙 루멘
71L 내지 78L: 서브 루멘
701: 이너부
702: 아우터부

Claims (5)

  1. 절연성 튜브 부재와, 상기 튜브 부재의 기단에 접속된 핸들과,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 영역에 장착된 복수의 링형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극군과, 상기 제1 전극군으로부터 기단측으로 이격하여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 영역에 장착된 복수의 링형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전극군과, 상기 제1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을 포함하는 제1 리드선군과, 상기 제2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을 포함하는 제2 리드선군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극군과 상기 제2 전극군의 사이에 상이한 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심강 내에 있어서 제세동을 행하는 카테터이며,
    상기 튜브 부재는,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 관통 가능한 중앙 루멘과, 상기 중앙 루멘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서브 루멘을 갖는 멀티 루멘 구조체이고,
    상기 제1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은, 쌍을 이루는 상기 서브 루멘의 한쪽에 연장되고, 상기 제2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은, 쌍을 이루는 상기 서브 루멘의 다른 쪽에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선군이 상기 한 쌍의 서브 루멘의 한쪽에 연장되고, 상기 제2 리드선군이 상기 한 쌍의 서브 루멘의 다른 쪽에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이 복수의 서브 루멘으로 나뉘어 연장되고, 상기 제2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이, 상기 제1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이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서브 루멘의 각각에 상기 중앙 루멘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복수의 서브 루멘으로 나뉘어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과, 상기 제2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리드선은, 각각 원주 방향으로 인접하는 서브 루멘에 연장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부재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편조에 의해 보강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 영역을 보강하고 있는 상기 편조가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부재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수지제의 편조에 의해 보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KR1020187024197A 2016-02-29 2016-12-16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KR102140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38472A JP6570123B2 (ja) 2016-02-29 2016-02-29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JPJP-P-2016-038472 2016-02-29
PCT/JP2016/087524 WO2017149904A1 (ja) 2016-02-29 2016-12-16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094A true KR20180104094A (ko) 2018-09-19
KR102140881B1 KR102140881B1 (ko) 2020-08-03

Family

ID=5974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197A KR102140881B1 (ko) 2016-02-29 2016-12-16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001143A1 (ko)
EP (1) EP3424557A4 (ko)
JP (1) JP6570123B2 (ko)
KR (1) KR102140881B1 (ko)
CN (1) CN108697901A (ko)
CA (1) CA3013423A1 (ko)
TW (1) TWI627981B (ko)
WO (1) WO20171499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3716B (zh) 2018-02-06 2023-06-30 株式会社钟化 导管及其制造方法
CN111670062B (zh) * 2018-02-07 2023-09-12 株式会社钟化 除颤导管系统、除颤用电源装置以及除颤用电源装置的控制方法
JP6881870B2 (ja) * 2018-03-06 2021-06-02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JP2022507817A (ja) * 2018-11-23 2022-01-18 タウ ピーエヌユー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弁膜逆流症施術およびペースメーカリード固定装置
US11266828B2 (en) * 2018-12-06 2022-03-08 Medtronic, Inc. Implantable medical lead with moveable conductors
EP3903878B1 (en) * 2018-12-27 2024-01-31 Japan Lifeline Co., Ltd. Intracardiac defibrillation catheter system
WO2020188823A1 (ja) * 2019-03-20 2020-09-24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US20210093374A1 (en) * 2019-09-26 2021-04-01 Biosense Webster (Israel) Ltd. Wiring for Multi-Electrode Catheter
US20210369340A1 (en) * 2020-05-27 2021-12-02 Medtronic, Inc. Safety default return path for electric field therapy
WO2023086215A2 (en) * 2021-11-10 2023-05-19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Multi-lumen catheter containing integral strut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JP7263593B1 (ja) 2022-05-06 2023-04-24 学 朝妻 心腔内除細動システ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8986A (en) * 1984-10-01 1986-09-02 Cordis Corporation Pacing lead with straight wire conductors
US5697965A (en) * 1996-04-01 1997-12-16 Procath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n atrial defibrillation catheter
US5755761A (en) * 1996-04-26 1998-05-26 Pharmatarget, Inc. Atrial pacing catheter and method having multiple electrodes in the right atrium and coronary sinus
JP2010063708A (ja) 2008-09-11 2010-03-25 Japan Lifeline Co Ltd 除細動カテーテル
JP2012050673A (ja) * 2010-09-01 2012-03-15 Japan Lifeline Co Ltd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JP2015029517A (ja) * 2013-07-31 2015-02-16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とそれを用いた経鼻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761A (en) * 1897-01-26 Henry w
US5265623A (en) * 1992-07-16 1993-11-30 Angeion Corporation Optimized field defibrillation catheter
US7130700B2 (en) * 2002-11-19 2006-10-31 Medtronic, Inc. Multilumen body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7496394B2 (en) * 2004-11-15 2009-02-24 Biosense Webster, Inc. Internal reference coronary sinus catheter
US8818504B2 (en) * 2004-12-16 2014-08-26 Cardiac Pacemakers Inc Leadless cardiac stimulation device employing distributed logic
JP4362536B2 (ja) * 2008-04-11 2009-11-11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CN102223912B (zh) * 2008-12-12 2014-02-12 日本来富恩株式会社 心腔内除颤导管
KR20110117116A (ko) * 2008-12-26 2011-10-26 스미토모 베이클리트 컴퍼니 리미티드 카테터
US9833616B2 (en) * 2009-01-02 2017-12-05 Medtronic, Inc. System and method for cardiac lead
JP4545216B1 (ja) * 2009-03-23 2010-09-1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US9468754B2 (en) * 2009-05-29 2016-10-18 Medtronic, Inc. Leads for selective sensing and virtual electrodes
EP2457612B1 (fr) * 2010-11-29 2013-01-23 Sorin CRM SAS Ensemble de stimulation/défibrillation du ventricule gauche par voie endocavitaire ou depuis une veine du réseau coronarien
KR101830466B1 (ko) * 2010-12-24 2018-02-20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전극 카테터
JP2012192124A (ja) 2011-03-18 2012-10-11 Japan Lifeline Co Ltd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US8688232B2 (en) * 2011-06-21 2014-04-01 Greatbatch Ltd. Multi-durometer reinforced suture sleeve
JP5875175B2 (ja) * 2011-10-21 2016-03-02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電極カテーテル
EP2938397B1 (en) * 2012-12-31 2018-10-24 Shanghai MicroPort Medical (Group) Co., Ltd. Cardiac electrical lead
JP6201367B2 (ja) * 2013-03-27 2017-09-2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医療用機器および医療用機器の製造方法
US9486624B2 (en) * 2013-06-13 2016-11-08 Lambda Nu Technology Llc Detection of implantable lead failures by differential EGM analysi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8986A (en) * 1984-10-01 1986-09-02 Cordis Corporation Pacing lead with straight wire conductors
US5697965A (en) * 1996-04-01 1997-12-16 Procath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n atrial defibrillation catheter
US5755761A (en) * 1996-04-26 1998-05-26 Pharmatarget, Inc. Atrial pacing catheter and method having multiple electrodes in the right atrium and coronary sinus
JP2010063708A (ja) 2008-09-11 2010-03-25 Japan Lifeline Co Ltd 除細動カテーテル
JP2012050673A (ja) * 2010-09-01 2012-03-15 Japan Lifeline Co Ltd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JP2015029517A (ja) * 2013-07-31 2015-02-16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とそれを用いた経鼻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01143A1 (en) 2019-01-03
CN108697901A (zh) 2018-10-23
WO2017149904A1 (ja) 2017-09-08
EP3424557A4 (en) 2019-04-03
TWI627981B (zh) 2018-07-01
TW201737961A (zh) 2017-11-01
CA3013423A1 (en) 2017-09-08
KR102140881B1 (ko) 2020-08-03
EP3424557A1 (en) 2019-01-09
JP2017153633A (ja) 2017-09-07
JP6570123B2 (ja)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4094A (ko)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JP4545210B2 (ja) 除細動カテーテル
US20150099958A1 (en) Microlead for detection/stimulation, implantable in venous, arterial or lymphatic networks
JP2018500085A (ja) 改良型カテー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683716B (zh) 导管及其制造方法
JPH0415701B2 (ko)
WO2012029413A1 (ja)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JP2011500209A (ja) 非コイル状のワイヤ構造物を備えた刺激用および検知用リード線
JP2012192124A (ja)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JP6876091B2 (ja)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WO2020188823A1 (ja) カテーテル
JP6628755B2 (ja)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JP6691347B2 (ja)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JP2010273912A (ja) 医療用リード及びリードシステム
WO2020188642A1 (ja)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JP6881870B2 (ja)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JP5432932B2 (ja) 電極カテーテル
JP2024124205A (ja) 電極カテーテル
JPWO2020071084A1 (ja) 電極カテーテル
JP2020110437A (ja) 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