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466B1 - 전극 카테터 - Google Patents
전극 카테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0466B1 KR101830466B1 KR1020137017990A KR20137017990A KR101830466B1 KR 101830466 B1 KR101830466 B1 KR 101830466B1 KR 1020137017990 A KR1020137017990 A KR 1020137017990A KR 20137017990 A KR20137017990 A KR 20137017990A KR 101830466 B1 KR101830466 B1 KR 1018304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theter shaft
- tip
- cap member
- electrode
- liqu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2—Irrig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액체의 유로가 되는 루멘(11)을 갖는 카테터 샤프트(10)와, 그 선단측에 접속된 절연성 관주(灌注) 부재(20)와, 그 선단측에 접속된 선단 전극(30)을 구비하고, 관주 부재(20)에는 카테터 샤프트(1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저류 공간(24)과, 저류 공간(24) 내의 액체를 배출하기 위해서 관주 부재(20)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개구(25)와, 개구(25) 각각으로부터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액체의 안내홈(26)이 형성되며, 선단 전극(30)의 기단부(基端部) 표면에는 관주 부재(20)의 안내홈(26) 각각에 연속하는 액체의 안내홈(36)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 카테터이다. 이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소작(燒灼)시에 선단 전극의 일부에 이상한 온도 상승(고온부)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고, 선단 전극 표면의 냉각 효과 및 선단 전극의 표면에 있어서의 혈전의 형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며, 게다가 효율적인 소작 치료를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극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테터의 선단에 전극이 장착되는 동시에, 이 전극에 생리식염수 등의 액체를 관주하는 기구를 구비한 전극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전극 카테터인 어블레이션 카테터에 있어서, 소작(燒灼)시에 고온이 된 선단 전극을 냉각하기 위한 관주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관주 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카테터로서는, 카테터 샤프트를 통과하여 선단 전극의 내부에 공급된 생리식염수를 이 선단 전극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로부터 분사하는 타입의 것이 소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선단 전극의 표면에 관주용 개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종래 공지의 카테터에는 하기 (1)~(3)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선단 전극의 표면에 개구를 설치하면 개구 가장자리 등에 불가피적으로 에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에지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 전극에 의해 소작을 행하면 에지 부분의 전류 밀도가 매우 높아져, 이 부분에서 이상한 온도 상승이 일어나 혈전이 급속하게 형성될 우려가 있다.
(2) 선단 전극의 표면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생리식염수를 분사해도 선단 전극의 표면에 대해서 충분한 관주를 행하는 것(표면을 액체로 덮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선단 전극의 표면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없다. 특히, 선단 전극의 축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생리식염수를 분사하는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카테터에 있어서는 선단 전극의 표면에 대해서 생리식염수를 충분히 접촉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전극 표면의 냉각 효과는 매우 낮은 것이다.
(3) 복수의 개구를 전극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선단 전극의 표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되어, 효율적인 소작 치료를 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토대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작시에 있어서 선단 전극의 일부에 이상한 온도 상승(고온부)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고, 선단 전극 표면의 냉각 효과 및 선단 전극 표면에 있어서의 혈전의 형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며, 게다가 효율적인 소작 치료를 행할 수 있는 관주 기구를 구비한 전극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는 액체의 유로가 되는 루멘을 1개 이상 갖는 카테터 샤프트와,
이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측에 접속된 절연성 관주(灌注) 부재와,
이 절연성 관주 부재의 선단측에 접속된 선단 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에는 상기 카테터 샤프트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저류 공간과, 당해 저류 공간 내의 액체를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개구 각각으로부터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액체의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선단 전극의 기단부(基端部)(기단부 표면)에는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안내홈 각각에 연속하는 액체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는 상기 선단 전극의 리드선을 연재(延在)시키기 위한 중앙 루멘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액체의 유로가 되는 루멘이 상기 중앙 루멘의 주위에(당해 카테터 샤프트의 외주를 따라) 복수 배치되며,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는 상기 선단 전극의 내측 오목부에 연통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내관부와 외관부의 이중관 구조를 갖고, 상기 액체의 저류 공간은 상기 내관부와 외관부에 의해 칸막이된 재킷 공간이며,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부(오목부)에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기단부가 삽입됨으로써 당해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측에 당해 절연성 관주 부재가 접속되고,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 형성된 중앙 루멘이 제1 이음매 튜브를 매개로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 내관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 배치된 액체의 유로가 되는 복수의 루멘 각각이 제2 이음매 튜브를 매개로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재킷 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관주용 개구가 절연성 관주 부재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 전극에는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선단 전극에는 개구의 형성에 수반되는 에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작(燒灼)시에 있어서 선단 전극의 일부에 이상한 온도 상승을 발생시키는 경우는 없어, 이것에 의해, 혈전의 형성이 억제된다.
또한, 개구의 형성에 수반되는 에지가 절연성 관주 부재에 존재하고 있어도 에지 부분이 절연성이기 때문에, 당해 부분에 전류가 집중되어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는 관주 기구를 구비한 종래 공지의 카테터와 비교해서, 선단 전극 표면에 있어서의 혈전 형성 억제 효과가 현격히 우수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절연성 관주 부재로부터 선단 전극의 표면에 대해서 액체가 관주되기 때문에, 선단 전극의 표면에 충분한 양의 액체를 접속시킬 수 있고, 또한, 선단 전극의 표면을 관주하는 액체는 선단 전극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서 당해 선단 전극의 표면을 따라서 흐르기 때문에, 관주 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카테터와 비교해서 선단 전극 표면의 냉각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선단 전극 표면 부근의 혈액이 충분히 교반·희석됨으로써도 우수한 혈전 형성 억제 효과가 나타내어진다.
또한, 절연성 관주 부재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개구와, 개구 각각으로부터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 전극의 표면을 둘레방향의 전역에 걸쳐 관주할 수 있다.
또한, 선단 전극에는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충분한 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효율적인 소작 치료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절연성 관주 부재에 액체의 저류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카테터 샤프트로부터 절연성 관주 부재의 내부에 공급된 액체는 저류 공간에 있어서 흐름을 조정한 후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개구로부터 분사(배출)되기 때문에 복수의 개구 사이에서 분사되는 액량에 편차가 없어지고, 절연성 관주 부재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균일한 분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선단 전극의 표면을 둘레방향의 전역에 걸쳐 균등하게 관주할 수 있다.
또한, 절연성 관주 부재에 복수의 개구 각각으로부터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액체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구로부터 배출(분사)되는 액체를 선단 전극을 향해서 확실하게 안내(유도)할 수 있다.
또한, 선단 전극의 기단부 표면에 절연성 관주 부재의 안내홈 각각에 연속하는 액체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절연성 관주 부재에 형성된 안내홈을 통과하여 선단 전극의 기단부에 도달한 액체를 선단 전극의 선단부로 안내(유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선단 전극의 표면 전체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샤프트에 선단 전극의 리드선을 연재시키기 위한 중앙 루멘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액체의 유로가 되는 루멘이 중앙 루멘의 주위에 복수 배치되며, 절연성 관주 부재는 선단 전극의 내측 오목부에 연통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내관부와 외관부의 이중관 구조를 갖고, 액체의 저류 공간은 내관부와 외관부에 의해 칸막이된 재킷 공간인 것에 의해, 카테터 샤프트에 배치된 복수의 루멘으로부터 절연성 관주 부재에 공급되는 액체를 저류 공간(재킷 공간) 내에서 합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카테터 샤프트에 형성된 중앙 루멘이 절연성 관주 부재 내관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 전극의 리드선을 선단 전극의 내측 오목부, 절연성 관주 부재 내관의 내부 공간 및 카테터 샤프트의 중앙 루멘에 연재시킬 수 있다.
또한, 카테터 샤프트에 배치된 액체의 유로가 되는 복수의 루멘 각각이 절연성 관주 부재의 재킷 공간과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카테터 샤프트(복수의 루멘)로부터의 액체를 절연성 관주 부재의 재킷 공간에 확실하게 공급시킬 수 있다.
또한, 카테터 샤프트에 형성된 중앙 루멘과 절연성 관주 부재 내관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해서 제1 이음매 튜브가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카테터 샤프트에 배치된 액체의 유로가 되는 복수의 루멘 각각과 절연성 관주 부재의 재킷 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해서 제2 이음매 튜브가 개재되어 있음으로써,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측에 대한 절연성 관주 부재의 접속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액체의 유로가 되는 복수의 루멘 각각과 절연성 관주 부재의 재킷 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해서 제2 이음매 튜브가 개재되어 있음으로써,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면(액체의 유로가 되는 루멘의 개구면)과 절연성 관주 부재의 기단면이 맞닿는 개소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이것에 수반되는 중앙 루멘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2)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제2 이음매 튜브가 삽입된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재킷 공간(서로 이웃하는 제2 이음매 튜브 사이의 공극 부분)에 실재(sealing material)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중앙 루멘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3)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 및 상기 선단 전극의 기단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안내홈 각각은 바깥쪽(절연성 관주 부재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하면서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어느 정도 사이즈가 큰 선단 전극(예를 들면, 카테터 샤프트의 관의 직경과 동등 이상의 직경을 갖는 선단 전극)의 표면에 대해서도 충분히 관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선단 전극의 선단이 팽출(膨出)되어 있고, 당해 선단 전극의 최대 직경을 D1,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관의 직경을 D2라 할 때, D1/D2의 값이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선단 전극에 있어서 소작 치료에 충분한 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5)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는 선단 편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인장 와이어가 연재되는 루멘이 상기 중앙 루멘의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에는 상기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揷通路)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 형성된 인장 와이어가 연재되는 루멘이 제3 이음매 튜브를 매개로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에 있어서의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에 연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7) 본 발명(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는 액체의 유로가 되는 루멘을 1개 이상 갖는 카테터 샤프트와,
이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측에 접속된 절연성 관주 부재와,
이 절연성 관주 부재의 선단측에 접속된 선단 전극을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에는 상기 카테터 샤프트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상기 선단 전극의 표면에 관주하기 위한 복수의 관주용 개구가 당해 절연성 관주 부재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카테터 샤프트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저류 공간과, 이 저류 공간에 연통되어 상기 관주용 개구 각각에 이르도록 바깥쪽(절연성 관주 부재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하면서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복수의 분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선단부에는 상기 분기 유로 각각에 연속해서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액체의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선단 전극의 기단부에는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안내홈 각각에 연속하는 액체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관주용 개구가 절연성 관주 부재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 전극에는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선단 전극에는 개구의 형성에 수반되는 에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작시에 있어서 선단 전극의 일부에 이상한 온도 상승을 발생시키는 경우는 없고, 이것에 의해, 혈전의 형성이 억제된다.
또한, 개구의 형성에 수반되는 에지가 절연성 관주 부재에 존재하고 있어도 에지 부분이 절연성이기 때문에, 당해 부분에 전류가 집중되어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는 관주 기구를 구비한 종래 공지의 카테터와 비교해서, 선단 전극 표면에 있어서의 혈전 형성 억제 효과가 현격히 우수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절연성 관주 부재의 선단부에 배치된 복수의 관주용 개구로부터 선단 전극의 표면에 대해서 액체가 관주되기 때문에, 선단 전극의 표면에 충분한 양의 액체를 접촉시킬 수 있고, 또한, 선단 전극의 표면을 관주하는 액체는 선단 전극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서 당해 선단 전극의 표면을 따라서 흐르기 때문에, 관주 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카테터와 비교해서 선단 전극 표면의 냉각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선단 전극 표면 부근의 혈액이 충분히 교반·희석됨으로써도 우수한 혈전 형성 억제 효과가 나타내어진다.
또한, 복수의 관주용 개구가 절연성 관주 부재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 전극의 표면을 둘레방향의 전역에 걸쳐 관주할 수 있다.
또한, 선단 전극에는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충분한 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효율적인 소작 치료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절연성 관주 부재의 내부에 카테터 샤프트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저류 공간과, 이 저류 공간에 연통되어 관주용 개구 각각에 이르도록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하면서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복수의 분기 유로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카테터 샤프트로부터 절연성 관주 부재의 내부에 공급된 액체는 저류 공간에 있어서 흐름을 조정한 후에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복수의 분기 유로 각각을 통과하여 관주용 개구로부터 분사(관주)되기 때문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주용 개구 사이에서 분사되는 액량에 편차가 없어지고, 절연성 관주 부재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균일한 분사(관주)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선단 전극의 표면을 둘레방향의 전역에 걸쳐 균등하게 관주할 수 있다.
또한, 절연성 관주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분기 유로가 바깥쪽(절연성 관주 부재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관주용 개구(분기 유로의 개구)를 바깥쪽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사이즈가 큰 선단 전극(예를 들면, 카테터 샤프트의 관의 직경과 동등 이상의 직경을 갖는 선단 전극)의 표면에 대해서도 관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절연성 관주 부재의 선단부에 분기 유로 각각에 연속해서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액체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관주용 개구로부터 분사되는 액체(분기 유로를 통과하여 관주용 개구에 도달한 액체)를 선단 전극을 향해서 확실하게 안내(유도)할 수 있다.
또한, 선단 전극의 기단부에 절연성 관주 부재의 안내홈 각각에 연속하는 액체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절연성 관주 부재에 형성된 안내홈을 통과하여 선단 전극의 기단부에 도달한 액체를 선단 전극의 선단부로 안내(유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선단 전극의 표면 전체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8) 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는 액체의 유로가 되는 루멘이 당해 카테터 샤프트의 외주를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9)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액체의 저류 공간은 당해 절연성 관주 부재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둘레방향에 격벽(隔壁)이 없는 재킷 공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복수의 루멘으로부터 절연성 관주 부재에 공급되는 액체를 둘레방향에 격벽이 없는 저류 공간 내에서 합류시킬 수 있다.
(10) 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선단 전극의 선단이 팽출되어 있고, 당해 선단 전극의 최대 직경을 D1,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관의 직경을 D2라 할 때, D1/D2의 값이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선단 전극에 있어서 소작 치료에 충분한 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11) 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에는 선단 편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소작시에 있어서 선단 전극의 일부에 이상한 온도 상승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고, 선단 전극 표면의 냉각 효과 및 선단 전극의 표면에 있어서의 혈전의 형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며, 게다가 효율적인 소작 치료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제1 발명) 전극 카테터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종단면도(도 2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횡단면도(도 3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횡단면도(도 3의 V-V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종단면도(도 4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횡단면도(도 6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를 구성하는 관주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를 구성하는 관주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를 구성하는 관주 부재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관주 부재의 재킷 공간에 이음매 튜브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재킷 공간에 이음매 튜브가 삽입된 상태의 관주 부재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이음매 튜브가 삽입된 절연성 관주 부재의 재킷 공간에 실재가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에 있어서, 카테터 튜브와 관주 부재와 선단 전극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제2 발명) 전극 카테터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를 구성하는 카테터 샤프트의 횡단면도(도 15의 XVII-XVII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도 17의 XVIII-XVIII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도 17의 XVIII-XVIII 단면도)이고, 도 18에 나타낸 인장 와이어를 떼어 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은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도 17의 XX-XX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를 구성하는 관주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를 구성하는 관주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를 구성하는 관주 부재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종단면도(도 2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횡단면도(도 3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횡단면도(도 3의 V-V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종단면도(도 4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횡단면도(도 6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를 구성하는 관주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를 구성하는 관주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를 구성하는 관주 부재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관주 부재의 재킷 공간에 이음매 튜브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재킷 공간에 이음매 튜브가 삽입된 상태의 관주 부재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이음매 튜브가 삽입된 절연성 관주 부재의 재킷 공간에 실재가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에 있어서, 카테터 튜브와 관주 부재와 선단 전극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제2 발명) 전극 카테터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를 구성하는 카테터 샤프트의 횡단면도(도 15의 XVII-XVII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도 17의 XVIII-XVIII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도 17의 XVIII-XVIII 단면도)이고, 도 18에 나타낸 인장 와이어를 떼어 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은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의 선단 부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도 17의 XX-XX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를 구성하는 관주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를 구성하는 관주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5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카테터를 구성하는 관주 부재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극 카테터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전극 카테터는 심장에 있어서의 부정맥의 치료에 사용되는 본 발명(제1 발명)의 어블레이션 카테터이다.
이 실시형태의 어블레이션 카테터(100)는 액체의 유로가 되는 8개의 루멘(11)을 갖는 카테터 샤프트(10)와, 이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측에 접속된 절연성 관주 부재(20)와, 이 관주 부재(20)의 선단측에 접속된 선단 전극(30)과,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부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40)과, 카테터의 선단 편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인장 와이어(61,62)와, 카테터 샤프트(10)의 기단측에 접속된 제어 핸들(70)과, 액체의 주입관(78)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카테터 샤프트(10)에는 선단 전극(30)에 접속된 리드선(도시 생략)을 연재시키기(잡아당겨 관통시키기) 위한 중앙 루멘(13)과, 이 중앙 루멘(13)의 주위에 등각도 간격(36°간격)으로 배치된 10개의 루멘(액체의 유로가 되는 8개의 루멘(11) 및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로 이루어지는 2개의 루멘(12))이 형성되며,
관주 부재(20)는 선단 전극(30)의 내측 오목부(35)에 연통하는 공간을 구획하는 내관부(23)와 외관부(외관 박육부(薄肉部)(21) 및 외관 후육부(厚肉部)(22))의 이중관 구조를 갖고, 관주 부재(20)에는 카테터 샤프트(10)의 루멘(11)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저류 공간으로서, 내관부(23)와 외관부(외관 박육부(21) 및 외관 후육부(22))에 의해 칸막이된 재킷 공간(이하, 「저류 재킷 공간」이라 한다)(24)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저류 재킷 공간(24)에 공급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해서 관주 부재(20)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 간격(45°간격)으로 배치된 8개의 개구(25)와, 이들 개구(25) 각각으로부터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액체의 안내홈(26)이 형성되며,
선단 전극(30)의 기단부(목부(32))에는 관주 부재(20)의 안내홈(26) 각각에 연속하는 액체의 안내홈(36)이 형성되어 있고,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부(선단에 형성된 오목부)에 관주 부재(20)의 기단부(내관부(23) 및 외관 박육부(21))가 삽입됨으로써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측에 관주 부재(20)가 접속되며,
카테터 샤프트(10)에 형성된 중앙 루멘(13)이 제1 이음매 튜브(51)를 매개로 관주 부재(20) 내관부(23)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카테터 샤프트(10)에 형성된 8개의 루멘(11)(액체의 유로가 되는 루멘) 각각이 제2 이음매 튜브(52)를 매개로 관주 부재(20)의 저류 재킷 공간(24)과 연통되며, 카테터 샤프트(10)에 형성된 2개의 루멘(12)(인장 와이어의 삽통로가 되는 루멘) 각각이 제3 이음매 튜브(53)를 매개로 관주 부재(20)에 있어서의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27)와 연통되어 있는 전극 카테터이다.
도 1에 나타낸 주입관(78)은 제어 핸들(70)의 내부를 통과하여 카테터 샤프트(10)에 접속되어 있어, 이 주입관(78)을 통과하여 카테터 샤프트(10)의 루멘(11)에 액체가 공급된다. 여기에 「액체」로서는 생리식염수를 예시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제어 핸들(70)은 카테터 튜브(10)의 기단측에 접속되어 있고, 카테터의 선단 편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회전판(75)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블레이션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카테터 샤프트(10)에는 그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선단 전극(30) 및 링형상 전극(40) 각각에 접속된 리드선(도시 생략) 등이 잡아당겨져 관통되는 중앙 루멘(13)과, 이 중앙 루멘(13)의 주위에 등각도(36°=360°/10)의 간격으로 배치된 10개의 루멘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루멘(13)의 주위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10개의 루멘은 동일 외경을 가지고 있다. 10개의 루멘 중 2개의 루멘(12)에는 어블레이션 카테터(100)의 선단 편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인장 와이어(61,62)가 삽통되어 있다. 그리고, 인장 와이어(61,62)가 삽통되어 있지 않은 8개의 루멘(11)이 액체의 유로가 된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15는 인장 와이어(61,62)에 의한 편향 조작을 확실하게 행하게 하기 위해서 카테터 샤프트(10) 내에 메워 넣어진 강성체이다.
강성체(15)는 Ni-Ti 합금 등의 금속제의 봉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굽힘방향(인장 와이어(61,62)의 배열방향)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강성체(15,15)에 의해 굽힘방향의 이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카테터 샤프트(10)는 축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특성의 재료로 구성해도 되지만, 축방향을 따라서 강성(경도)이 상이한 재료를 사용해서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근위단측(近位端側)의 구성재료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갖고, 원위단측(遠位端側)의 구성재료가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을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테터 샤프트(10)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나일론, PEBAX(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된다. 또한, 카테터 샤프트(10)의 근위단측은 이들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튜브를 스테인리스 소선(素線)으로 편조(編組)한 블레이드 튜브여도 된다.
카테터 샤프트(10)의 외경은 1.0~3.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6~2.7 ㎜이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2.36 ㎜이다.
카테터 샤프트(10)의 길이는 600~15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1200 ㎜이다.
관주 부재(20)를 나타내는 도 8~도 10에 있어서, 21은 외관 박육부, 22는 외관 후육부, 23은 내관부, 24는 저류 재킷 공간, 25는 저류 재킷 공간(24) 내의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 26은 액체의 안내홈, 27은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 28은 중앙 개구, 29는 빠짐 방지용 볼록부이다.
이 관주 부재(20)에 있어서 개구(25), 액체의 안내홈(26)은 각각 관주 부재(20)의 외주를 따라 45°간격으로 8개씩 설치되어 있다.
관주 부재(20)는 절연성 수지 또는 절연성 세라믹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복잡한 형상·구조이더라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관주 부재(20)에 에지가 형성되어 있어도 어블레이션 카테터(100)의 사용(소작)시에 에지 부분에 전류가 집중되어 고온이 되는 경우는 없다.
도 6,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블레이션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관주 부재(20)는 내관부(23)와 외관부(외관 박육부(21) 및 외관 후육부(22))의 이중관 구조를 가지고 있고, 내관부(23)와 외관부(외관 박육부(21) 및 외관 후육부(22))에 의해 저류 재킷 공간(24)이 칸막이되어 있다.
내관부(23)의 내부 공간은 선단 전극(30)의 내측 오목부(35)에 연통되는 공간이다.
내관부(23)와 외관부(외관 박육부(21) 및 외관 후육부(22))에 의해 칸막이되는 저류 재킷 공간(24)은 카테터 샤프트(10)의 루멘(11) 각각으로부터 관주 부재(20)에 공급되는 액체를 합류시키기 위한 공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류 재킷 공간(24)은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27)를 구획하는 관상 부분에 의해 두 챔버로 분할되어 있다.
저류 재킷 공간(24)에는 삽통로(27)를 구획하는 관상 부분 이외에 둘레방향의 격벽이 없기 때문에, 저류 재킷 공간(24)(어느 하나의 챔버)에 유입된 액체를 당해 챔버 내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시킬 수 있다.
관주 부재(20)에는 그 외주를 따라 등각도 간격(45°간격)으로 배치된 8개의 개구(25)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25)는 저류 재킷 공간(24)에 저류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분사구이다.
또한, 관주 부재(20)의 선단부(외부)에는 개구(25) 각각의 형성 위치로부터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액체의 안내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26)에 의해, 개구(25)로부터 배출(분사)되는 액체를 선단 전극(30)을 향해서 확실하게 안내(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홈(26) 각각은 관주 부재(20)의 축방향에 대해서 바깥쪽(관주 부재(20)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개구(25)로부터 배출된 액체는 선단방향 바깥쪽(관주 부재(20)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이고, 또한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을 향해서 분사된다. 이 때문에, 어느 정도 사이즈가 큰 선단 전극(30)의 표면에 대해서도 관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 및 도 8~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주 부재(20)에는 선단 편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27)가 형성되어 있다.
인장 와이어(61,62)는 각각의 근위단이 제어 핸들(70)의 회전판(75)(도 1 참조)에 연결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10)의 루멘(12,12), 관주 부재(20)의 삽통로(27,27)를 통과하여 각각의 원위단이 관주 부재(20)의 선단에 있어서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A1 방향으로 회전판(75)을 회전시키면, 인장 와이어(61)가 잡아당겨져 카테터(100)의 선단 부분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편향 동작하고, 도 1에 나타내는 B1 방향으로 회전판(75)을 회전시키면, 인장 와이어(62)가 잡아당겨져 카테터(100)의 선단 부분이 화살표 B 방향으로 편향 동작한다.
관주 부재(20)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절연성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의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주 부재(20)를 구성하는 세라믹재료로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주 부재(20)는 예를 들면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관주 부재(20)의 길이(카테터 샤프트(10)에 접속할 때에 메워 넣어지는 부분을 포함한다)는 예를 들면 1~5 ㎜이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2 ㎜이다.
관주 부재(20)의 외경(외관 후육부(22)에 있어서의 외경)은 카테터 샤프트(10)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선단으로부터 1~5 ㎜ 정도의 범위에 형성된 오목부)에 관주 부재(20)의 기단부(내관부(23) 및 외관 박육부(21))가 삽입됨으로써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측에 관주 부재(2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오목부)에 있어서의 중앙 루멘(13)의 개구 가장자리(개구 주위의 단면 부분)와 관주 부재(20) 내관부(23)의 기단측 단면이 맞닿아 있는 동시에, 중앙 루멘(13)의 선단 영역(개구로부터 1~10 ㎜ 정도) 및 내관부(23) 내부 공간의 기단 영역(기단으로부터 0.5~5 ㎜ 정도)에는 제1 이음매 튜브(51)가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샤프트(10)의 중앙 루멘(13)은 제1 이음매 튜브(51)를 매개로 관주 부재(20) 내관부(23)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상태에 있어서,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오목부)에 있어서의 루멘(11) 각각의 선단 영역(개구로부터 1~10 ㎜ 정도) 및 저류 재킷 공간(24)의 기단 영역(기단으로부터 0.5~5 ㎜ 정도)에는 제2 이음매 튜브(52)가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샤프트(10)에 형성된 8개의 루멘(11)(액체의 유로가 되는 루멘) 각각은 제2 이음매 튜브(52)를 매개로 관주 부재(20)의 저류 재킷 공간(24)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상태에 있어서,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오목부)에 있어서의 2개의 루멘(12) 각각의 선단 영역(개구로부터 1~10 ㎜ 정도) 및 인장 와이어 삽통로(27)의 기단 영역(기단으로부터 0.5~3 ㎜ 정도)에는 제3 이음매 튜브(53)가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샤프트(10)에 형성된 2개의 루멘(12)(인장 와이어의 삽통로가 되는 루멘) 각각은 제3 이음매 튜브(53)를 매개로 관주 부재(20)에 있어서의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27)와 연통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는 관주 부재(20)에 이음매 튜브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제1 이음매 튜브(51), 제2 이음매 튜브(52) 및 제3 이음매 튜브(53)는 각각 내관부(23)의 내부 공간, 저류 재킷 공간(24),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27)에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이음매 튜브(52)의 저류 재킷 공간(24)으로의 삽입을 확보하기 위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주 부재(20)를 구성하는 내관부(23)의 외주 및 외관부의 내주에는 제2 이음매 튜브(52)의 삽입을 확보하기 위한 홈(23C) 및 홈(21C)이 형성되어 있다. 홈(23C) 및 홈(21C)은 제2 이음매 튜브(52)의 외주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들 홈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저류 재킷 공간(24)으로의 이음매 튜브의 삽입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내관부(23)와 외관부(외관 박육부(21))의 두께가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관주 부재(20) 성형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한 홈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음매 튜브를 삽입하기 위해서 내관부 및 외관부의 두께를 매우 얇게 해야만 하기 때문에, 관주 부재의 성형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도 13은 제2 이음매 튜브(52)가 삽입된 관주 부재(20)의 저류 재킷 공간(24)(이음매 튜브 사이의 공극 부분)에 실재(80)가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중앙 루멘(13)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어블레이션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선단 전극(30)은 반구형상의 선단 팽출부(31)와 목부(32)와 원통형상 부분(33)을 갖는다.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전극(30)은 그 원통형상 부분(33)이 도 8에 나타내는 중앙 개구(28)로부터 관주 부재(20)의 내부(내관부(23)의 내부 공간)에 삽입 고착됨으로써 관주 부재(20)의 선단측에 접속된다.
선단 전극(30)의 선단 팽출부(31)의 직경으로서는 1.0~3.3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2~2.6 ㎜, 특히 바람직하게는 2.3~2.5 ㎜,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2.36 ㎜이다.
또한, 선단 팽출부(31)의 직경(선단 전극(30)의 최대 직경)을 D1, 카테터 샤프트(10)의 관의 직경을 D2라 할 때, D1/D2의 값이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5이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1.0(D1/D2=2.36 ㎜/2.36 ㎜)이다.
D1/D2의 값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그러한 선단 전극을 구비한 카테터에 의해 효율적인 소작 치료를 행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D1/D2의 값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그러한 선단 전극의 표면에 대해서 충분한 양의 액체를 관주하는 것(충분히 냉각 효과·혈전의 형성 억제 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D1/D2의 값이 1.0 이상인 선단 전극(30)의 표면에 대해서 충분한 양의 액체를 관주할 수 있는 것은, 관주 부재(20)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26) 각각을 관주 부재(20)의 축방향에 대해서 바깥쪽(관주 부재(20)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경사지게 하지 않은 경우보다도 개구(25)를 바깥쪽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 있어서도 관주 부재(20)를 개재시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선단 전극(30)의 기단부(목부(32))에는 관주 부재(20)의 안내홈(26) 각각에 연속하는 액체의 안내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36)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관주 부재(20)에 형성된 안내홈(26)을 통과하여 선단 전극(30)의 기단부에 도달한 액체를 선단 전극(30)의 선단부로 안내(유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선단 팽출부(31)를 포함하는 선단 전극(30)의 표면 전체에 대해서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선단 전극(30)에 형성된 안내홈(36)은 완만한 R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작시에 있어서도 이 부분에 있어서 이상한 온도 상승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의 어블레이션 카테터(100)는 하기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내관부(23) 내부 공간의 기단 영역에 제1 이음매 튜브(51)의 선단측을 삽입하고, 저류 재킷 공간(24)의 기단 영역에 8개의 제2 이음매 튜브(52)의 선단측을 삽입하며, 제2 이음매 튜브(52)를 삽입한 저류 재킷 공간(24)의 기단 영역(이음매 튜브 사이의 공극 부분)에 실재(80)를 충전하고, 인장 와이어 삽통로(27)의 기단 영역에 2개의 제3 이음매 튜브(53)의 선단측을 삽입하며,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27)(제3 이음매 튜브(53))에 인장 와이어(61,62)를 삽입한 상태의 관주 부재(20)를 준비한다.
이어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이음매 튜브(51)의 기단측이 중앙 루멘(13)에 삽입되고, 제2 이음매 튜브(52) 각각의 기단측이 루멘(11)에 삽입되며, 인장 와이어(61,62) 및 제3 이음매 튜브(53) 각각의 기단측이 루멘(12)에 삽입되도록 하여, 관주 부재(20)의 기단부(내관부(23) 및 외관 박육부(21))를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 부분(오목부)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측에 관주 부재(20)가 접속된다. 또한, 인장 와이어(61,62)의 후단은 제어 핸들(70)의 회전판(75)(도 1 참조)에 연결한다.
이어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전극(30)의 원통형상 부분(33)을 중앙 개구(28)로부터 관주 부재(20)의 내부(내관부(23)의 내부 공간)에 삽입 고착함으로써 관주 부재(20)의 선단측에 선단 전극(30)을 접속한다.
이 실시형태의 어블레이션 카테터(100)에 의하면, 액체를 분사하는 개구(25)가 절연성 관주 부재(20)에 형성되어 있어 도전성 선단 전극(30)에는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개구의 형성에 수반되는 에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어블레이션 카테터(100)의 사용시(소작시)에 있어서 선단 전극(30)의 일부에 이상한 온도 상승(고온부)을 발생시키는 경우는 없어, 그러한 고온부에 혈액이 접촉하는 것에 의한 혈전의 형성이 억제된다.
따라서, 이 어블레이션 카테터(100)는 선단 전극에 관주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종래 공지의 카테터와 비교해서, 선단 전극(30)의 표면에 있어서의 혈전 형성 억제 효과가 현격히 우수하다.
게다가, 선단 전극(30)에는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작을 하기 위해서 충분한 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효율적인 소작 치료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어블레이션 카테터(100)에 의하면, 후방에 있는 관주 부재(20)로부터 선단 전극(30)의 표면에 대해서 액체가 관주되기 때문에, 선단 전극(30)의 표면에 충분한 양의 액체를 접촉시킬 수 있다.
게다가, 선단 전극(30)의 표면에 관주되는 액체는 선단 전극(30)의 기단부(목부(32))로부터 선단부(선단 팽출부(31))를 향해서 선단 전극(30)의 표면을 따라 흐른다(선단 전극(30) 주변의 혈액은 충분히 교반·희석된다).
따라서, 이 어블레이션 카테터(100)는 선단 전극에 관주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종래 공지의 카테터와 비교해서, 선단 전극(30) 표면의 냉각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선단 전극(30) 주변의 혈액이 충분히 교반·희석됨으로써, 더욱 우수한 혈전 형성 억제 효과가 나타내어진다.
또한, 관주 부재(20)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45°) 간격으로 배치된 8개의 개구(25)와, 이들 개구(25) 각각의 형성 위치로부터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8개의 안내홈(2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 전극(30)의 표면을 둘레방향의 전역(360°)에 걸쳐 관주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샤프트(1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루멘(11) 각각으로부터 관주 부재(20)에 공급된 액체는 저류 재킷 공간(24)에 있어서 합류되어 흐름을 조정한 후에 관주 부재(20)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45°) 간격으로 배치된 8개의 개구(25) 각각으로부터 배출(분사)되기 때문에, 카테터 샤프트(10)로부터 관주 부재(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양에 둘레방향의 편차(예를 들면, 액체의 유로가 되지 않는 루멘(12)이 형성되어, 액체의 유로인 루멘(11)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는 편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8개의 개구(25) 사이에서 분사되는 액량에는 편차가 없어져, 선단 전극(30)의 표면을 둘레방향의 전역(360°)에 걸쳐 균등하게 관주할 수 있다.
또한, 관주 부재에 개구(25) 각각의 형성 위치로부터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액체의 안내홈(26)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구(25) 각각으로부터 배출(분사)되는 액체를 선단 전극(30)을 향해서 확실하게 안내(유도)할 수 있다.
또한, 선단 전극(30)의 기단부(목부(32)) 표면에 안내홈(26) 각각에 연속되는 액체의 안내홈(36)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관주 부재(20)에 형성된 안내홈(26)을 통과하여 선단 전극(30)의 기단부에 도달한 액체를 선단 전극(30)의 선단부(선단 팽출부(31))로 안내(유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선단 전극(30)의 표면 전체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부(오목부)에 관주 부재(20)의 기단부(내관부(23) 및 외관 박육부(21))가 삽입됨으로써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측에 관주 부재(20)가 접속되며, 카테터 샤프트(10)에 형성된 중앙 루멘(13)이 제1 이음매 튜브(51)를 매개로 관주 부재(20) 내관부(23)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카테터 샤프트(10)에 배치된 8개의 루멘(11) 각각이 제2 이음매 튜브(52)를 매개로 관주 부재(20)의 저류 재킷 공간(24)과 연통되며, 카테터 샤프트(10)에 배치된 2개의 루멘(12) 각각이 제3 이음매 튜브(53)를 매개로 관주 부재(20)의 삽통로(27)와 연통되고, 제2 이음매 튜브(52)가 삽입된 저류 재킷 공간(24)에 실재(80)가 충전되어 있음으로써,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부와 관주 부재(20)의 후단부의 접속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튜브(10)의 중앙 루멘(13)과 관주 부재(20) 내관부(23)의 내부 공간이 제1 이음매 튜브(51)를 매개로 연통되어 있음으로써, 선단 전극(30)의 리드선 등을 선단 전극(30)의 내측 오목부(35), 관주 부재(20) 내관부(23)의 내부 공간 및 카테터 샤프트(10)의 중앙 루멘(13)에 연재시킬 수 있다.
또한, 카테터 튜브(10)의 루멘(11) 각각과 관주 부재(20)의 저류 재킷 공간(24)이 제2 이음매 튜브(52)를 매개로 연통되어 있음으로써, 루멘(11) 각각으로부터의 액체를 저류 재킷 공간(24)에 확실하게 공급시킬 수 있다.
또한, 루멘(11) 각각의 선단 영역 및 저류 재킷 공간(24)의 기단 영역에 삽입함으로써 제2 이음매 튜브(52)를 개재시키는 동시에, 저류 재킷 공간(24)(서로 이웃하는 제2 이음매 튜브(52) 사이의 공극 부분)에 실재(80)가 충전되어 있음으로써, 카테터 샤프트(10)의 선단면(루멘(11)의 개구면)과 관주 부재(20)의 기단면이 맞닿는 개소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이것에 수반되는 중앙 루멘(13)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주 부재(20)에 형성된 안내홈(26) 및 선단 전극(30)에 형성된 안내홈(36) 각각은 관주 부재(20)의 축방향에 대해서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사이즈가 큰 선단 전극(D1/D2의 값이 1.0 이상인 선단 전극(30))의 표면에 대해서도 충분히 관주할 수 있다.
이상, 제1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제1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관주 부재에 있어서의 개구의 수는 8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3~12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샤프트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도, 액체의 유로가 되는 루멘을 1개 이상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선단 전극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포탄 형상 등이어도 된다. 단, 전극 카테터의 사용시(소작시)에 있어서 전류가 집중되는 예리한 에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필요하다.
<제2 실시형태>
도 15 내지 도 20에 나타내는 전극 카테터는 심장에 있어서의 부정맥의 치료에 사용되는 본 발명(제2 발명)의 어블레이션 카테터이다.
이 실시형태의 어블레이션 카테터(200)는 액체의 유로가 되는 8개의 루멘(111)을 갖는 카테터 샤프트(110)와, 카테터 샤프트(110)의 선단측에 접속된 절연성 관주 부재(120)와, 이 관주 부재(120)의 선단측에 접속된 선단 전극(130)과, 카테터 샤프트(110)의 선단부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140)과, 카테터 샤프트(110)의 기단측에 접속된 제어 핸들(170)과, 액체의 주입관(18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카테터 샤프트(110)에는 도선 등이 잡아당겨져 관통되는 루멘(113)과, 이 루멘(113)의 주위에 등각도 간격(36°간격)으로 배치된 10개의 루멘(액체의 유로가 되는 8개의 루멘(111) 및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가 되는 2개의 루멘(112))이 형성되며, 관주 부재(120)의 선단부에는 카테터 샤프트(110)의 루멘(111)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선단 전극(130)의 표면에 분사(관주)하기 위한 8개의 관주용 개구(125A)가 관주 부재(120)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 간격(45°간격)으로 배치되고, 관주 부재(120)의 내부에는 둘레방향에 격벽이 없는 재킷 공간(124)(카테터 샤프트(11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저류 공간)과, 이 저류 재킷 공간(124)에 연통되는 동시에, 8개의 관주용 개구(125A) 각각에 이르도록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8개의 분기 유로(1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주입관(180)은 제어 핸들(170)의 내부를 통과하여 카테터 샤프트(110)에 접속되어 있어, 이 주입관(180)을 통과하여 카테터 샤프트(110)의 루멘(111)에 액체가 공급된다. 여기에 「액체」로서는 생리식염수를 예시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제어 핸들(170)은 카테터 튜브(10)의 기단측에 접속되어 있고, 카테터의 선단 편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회전판(175)을 구비하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블레이션 카테터(200)를 구성하는 카테터 샤프트(110)에는 선단 전극이나 링형상 전극에 접속되는 도선 등(도시 생략)이 잡아당겨져 관통되는 루멘(113)과, 이 루멘(113)의 주위에 등각도(36°=360°/10)의 간격으로 배치된 10개의 루멘이 형성되어 있다.
루멘(113)의 주위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10개의 루멘은 동일 외경을 가지고 있다. 10개의 루멘 중 2개의 루멘(112)에는 카테터의 선단 편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인장 와이어(161,162)가 삽통되어 있다. 그리고, 인장 와이어(161,162)가 삽통되어 있지 않은 8개의 루멘(111)이 액체의 유로가 된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 115는 인장 와이어(161,162)에 의한 편향 조작을 확실하게 행하게 하기 위해서 카테터 샤프트(110) 내에 메워 넣어진 강성체이다.
강성체(115)는 Ni-Ti 합금 등의 금속제의 봉스프링으로 이루어져, 굽힘방향(인장 와이어(161,162)의 배열방향)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강성체(115,115)에 의해 굽힘방향의 이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카테터 샤프트(110)는 축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특성의 재료로 구성해도 되지만, 축방향을 따라서 강성(경도)이 상이한 재료를 사용해서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근위단측의 구성재료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갖고, 원위단측의 구성재료가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을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테터 샤프트(110)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나일론, PEBAX(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된다. 또한, 카테터 샤프트(110)의 근위단측은 이들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튜브를 스테인리스 소선으로 편조한 블레이드 튜브여도 된다.
카테터 샤프트(110)의 외경은 1.0~3.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6~2.7 ㎜이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2.36 ㎜이다.
카테터 샤프트(110)의 길이는 600~15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1200 ㎜이다.
어블레이션 카테터(200)를 구성하는 관주 부재(120)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중관 구조를 가지고 있다.
관주 부재(120)는 절연성 수지 또는 절연성 세라믹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복잡한 형상·구조이더라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관주 부재(120)에 에지가 형성되어 있어도, 어블레이션 카테터(200)의 사용(소작)시에 에지 부분에 전류가 집중되어 고온이 되는 경우는 없다.
관주 부재(120)를 나타내는 도 21~도 23에 있어서, 121은 외관 박육부, 122는 외관 후육부, 123은 내관부, 124는 액체의 저류 재킷 공간, 125는 저류 재킷 공간(124)에 연통되는 동시에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8개의 분기 유로, 125A는 분기 유로(125) 각각의 개구(관주용 개구), 126은 분기 유로(125) 각각에 연속해서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액체의 안내홈, 127은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 128A는 중앙 개구, 129는 빠짐 방지용 볼록부이다.
또한, 관주 부재(120)에 있어서, 분기 유로(125), 관주용 개구(125A), 액체의 안내홈(126)은 각각 관주 부재(120)의 외주를 따라 45°간격으로 8개씩 설치되어 있지만, 도 18~도 23에서는 그 일부만이 보이고 있다.
외관(박육부(121)·후육부(122))과 내관부(123)에 의해 칸막이되는 저류 재킷 공간(124)은 카테터 샤프트(110)의 루멘(111) 각각으로부터 관주 부재(120)에 공급되는 액체를 합류시키기 위한 공간이다. 이 저류 재킷 공간(124)에는 둘레방향의 격벽이 없기 때문에, 저류 재킷 공간(124)에 유입된 액체를 둘레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시킬 수 있다.
관주 부재(120)의 선단부(내부)에는 그 외주를 따라 등각도(45°=360°/8)의 간격으로 배치된 8개의 분기 유로(125)가 형성되어 있다.
분기 유로(125) 각각은 그 기단측에 있어서 저류 재킷 공간(124)에 연통되어 있는 동시에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와, 관주 부재(120)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관주용 개구(125A)에 이른다. 이것에 의해, 관주 부재(120)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관주용 개구(125A)는 관주 부재(120)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45°) 간격으로 배치되게 된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기 유로(125) 각각은 관주 부재(120)의 축방향에 대해서 바깥쪽(관주 부재(120)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관주용 개구(125A)를 경사지게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바깥쪽에 배치(관주 부재(120)의 외주를 따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바깥쪽으로 경사져 있는 분기 유로(125)를 통과하여 관주용 개구(125A)에 도달한 액체는 관주용 개구(125A)로부터 선단방향 바깥쪽(관주 부재(120)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선단측이고, 또한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을 향해서 분사된다. 이 때문에, 어느 정도 사이즈가 큰 선단 전극(130)의 표면에 대해서도 관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관주 부재(120)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45°) 간격으로 배치된 8개의 관주용 개구(125A)(분기 유로(125)의 개구)는, 카테터 샤프트(110)(루멘(111))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선단 전극(130)의 표면에 관주하기 위한 분사구이다.
관주 부재(120)의 선단부(외부)에는 분기 유로(125) 각각에 연속해서(관주용 개구(125A)로부터)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액체의 안내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126)에 의해, 관주용 개구(125A)로부터 분사되는 액체(분기 유로(125)를 통과하여 관주용 개구(125A)에 도달한 액체)를 선단 전극(130)을 향해서 확실하게 안내(유도)할 수 있다.
또한, 관주 부재(120)의 선단부에는 선단 편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127)가 형성되어 있다.
인장 와이어(161,162)는 각각의 근위단이 제어 핸들(170)의 회전판(175)(도 15 참조)에 연결되고, 도 18(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110)의 루멘(112,112), 관주 부재(120)의 저류 재킷 공간(124), 삽통로(127,127)를 통과하여, 각각의 원위단이 관주 부재(120)의 선단에 있어서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A1 방향으로 회전판(175)을 회전시키면, 인장 와이어(161)가 잡아당겨져 카테터(200)의 선단 부분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편향 동작하고, 도 15에 나타내는 B1 방향으로 회전판(175)을 회전시키면, 인장 와이어(162)가 잡아당겨져 카테터(200)의 선단 부분이 화살표 B 방향으로 편향 동작한다.
관주 부재(120)의 구성재료로서는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절연성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의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등이 바람직하다.
관주 부재(120)의 길이(카테터 샤프트(110)에 접속할 때에 메워 넣어진 부분을 포함한다)는 예를 들면 1~5 ㎜이고,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2 ㎜이다.
관주 부재(120)의 외경(외관 후육부(122)에 있어서의 외경)은 카테터 샤프트(110)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샤프트(110)의 선단 부분(선단으로부터 1~5 ㎜ 정도)에 있어서의 루멘(111) 및 루멘(112)을 포함하는 영역을 도려내어(카테터 샤프트(110)의 외층 및 루멘(113)을 둘러싸는 수지 부분을 남기고) 원주상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 내에 관주 부재(120)의 기단 부분(외관 박육부(121)와 내관부(123))을 삽입 고착함(이때, 카테터 샤프트(110)의 루멘(113)을 둘러싸는 수지 부분은 내관부(123)의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이때, 샤프트(110)의 선단면과 외관 후육부(122)의 후단면이 맞닿음)으로써 카테터 샤프트(110)의 선단측에 관주 부재(120)가 접속되어, 카테터 샤프트(110)의 루멘(111) 및 루멘(112)과 관주 부재(120)의 저류 재킷 공간(124)이 연통된다.
어블레이션 카테터(200)를 구성하는 선단 전극(130)은 반구형상의 선단 팽출부(131)와 목부(132)와 원통형상 부분(133)을 갖는다.
도 18~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전극(130)은 그 원통형상 부분(133)이 도 21에 나타내는 중앙 개구(128A)로부터 관주 부재(120)의 내부(내관부(123)의 내부)에 삽입 고착됨으로써 관주 부재(120)의 선단측에 접속된다.
선단 전극(130)의 선단 팽출부(131)의 직경으로서는 1.0~3.3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2~2.6 ㎜, 특히 바람직하게는 2.3~2.5 ㎜,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2.36 ㎜이다.
또한, 선단 팽출부(131)의 직경(선단 전극(130)의 최대 직경)을 D1, 카테터 샤프트(110)의 관의 직경을 D2라 할 때, D1/D2의 값이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5이며,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1.0(D1/D2=2.36 ㎜/2.36 ㎜)이다.
D1/D2의 값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그러한 선단 전극을 구비한 카테터에 의해 효율적인 소작 치료를 행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D1/D2의 값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그러한 선단 전극의 표면에 대해서 충분한 양의 액체를 관주하는 것(충분히 냉각 효과·혈전의 형성 억제 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D1/D2의 값이 1.0 이상인 선단 전극(130)의 표면에 대해서 충분한 양의 액체를 관주할 수 있는 것은, 관주 부재(120)의 분기 유로(125)를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경사지게 하지 않은 경우보다도 관주용 개구(125A)를 바깥쪽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 있어서도 관주 부재(120)를 개재시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선단 전극(130)의 기단부(목부(132))에는 관주 부재(120)의 안내홈(126) 각각에 연속하는 액체의 안내홈(1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136)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관주 부재(120)에 형성된 안내홈(126)을 통과하여 선단 전극(130)의 기단부에 도달한 액체를 선단 전극(130)의 선단부로 안내(유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선단 팽출부(131)를 포함하는 선단 전극(130)의 표면 전체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선단 전극(130)에 형성된 안내홈(136)은 완만한 R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작시에 있어서도 이 부분에 있어서 이상한 온도 상승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의 어블레이션 카테터(200)에 의하면, 관주용 개구(125A)가 절연성 관주 부재(120)에 형성되어 있어 도전성 선단 전극(130)에는 에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어블레이션 카테터(200)의 사용시(소작시)에 있어서 선단 전극(130)의 일부에 이상한 온도 상승(고온부)을 발생시키는 경우는 없어, 그러한 고온부에 혈액이 접촉하여 형성되는 혈전의 형성이 억제된다.
따라서, 이 어블레이션 카테터(200)는 선단 전극에 관주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종래 공지의 카테터와 비교해서, 선단 전극(130)의 표면에 있어서의 혈전 형성 억제 효과가 현격히 우수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어블레이션 카테터(200)에 의하면, 관주 부재(120)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8개의 관주용 개구(125A)로부터 선단 전극(130)의 표면에 대해서 액체가 분사(관주)되기 때문에, 선단 전극(130)의 표면에 충분한 양의 액체를 접속시킬 수 있다.
게다가, 선단 전극(130)의 표면에 분사되는 액체는 선단 전극(130)의 기단부(목부(132))로부터 선단부(선단 팽출부(131))를 향해서 선단 전극(130)의 표면을 따라 흐른다(선단 전극(130) 주변의 혈액은 충분히 교반·희석된다).
따라서, 이 어블레이션 카테터(200)는 선단 전극에 관주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종래 공지의 카테터와 비교해서, 선단 전극(130) 표면의 냉각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선단 전극(130) 주변의 혈액이 충분히 교반·희석됨으로써, 더욱 우수한 혈전 형성 억제 효과가 나타내어진다.
또한, 8개의 관주용 개구(125A)가 관주 부재(120)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45°)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 전극(130)의 표면을 둘레방향의 전역(360°)에 걸쳐 관주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샤프트(11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8개의 루멘(111) 각각으로부터 관주 부재(120)에 공급된 액체는 둘레방향에 격벽이 없는 저류 공간(124)에 있어서 합류되어, 관주 부재(120)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45°) 간격으로 배치된 8개의 분기 유로(125) 각각을 통과하여 관주용 개구(125A)로부터 분사(관주)되기 때문에, 카테터 샤프트(110)로부터 관주 부재(1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양에 둘레방향의 편차(액체의 유로가 되지 않는 루멘(112)이 형성되어, 액체의 유로인 루멘(111)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는 편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8개의 관주용 개구(125A) 사이에서 분사되는 액량에는 편차가 없어져, 선단 전극(130)의 표면을 둘레방향의 전역(360°)에 걸쳐 균등하게 관주할 수 있다.
또한, 분기 유로(125) 각각이 관주 부재(120)의 축방향에 대해서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사이즈가 큰 선단 전극(D1/D2의 값이 1.0인 선단 전극(130))의 표면에 대해서도 충분히 관주할 수 있다.
게다가, 선단 전극(130)에는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작을 하기 위해서 충분한 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효율적인 소작 치료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제2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제2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관주 부재에 있어서의 분기 유로(관주용 개구)의 수는 8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3~12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샤프트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도, 액체의 유로가 되는 루멘을 1개 이상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선단 전극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포탄 형상 등이어도 된다. 단, 전극 카테터의 사용시(소작시)에 있어서 전류가 집중되는 예리한 에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필요하다.
100 어블레이션 카테터
10 카테터 샤프트
11 루멘(액체의 유로)
12 루멘(인장 와이어의 삽통로)
13 중앙 루멘(리드선의 삽통로)
15 강성체(철사)
20 관주 부재
21 외관부(외관 박육부(薄肉部))
22 외관부(외관 후육부(厚肉部))
23 내관부
24 저류 재킷 공간
25 개구(開口)
26 액체의 안내홈
27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
29 빠짐 방지용 볼록부
30 선단 전극
31 선단 팽출부
32 목부(頸部)
33 원통형상 부분
35 내측 오목부
36 액체의 안내홈
40 링형상 전극
51 제1 이음매 튜브
52 제2 이음매 튜브
53 제3 이음매 튜브
61 인장 와이어
62 인장 와이어
70 제어 핸들
75 회전판
78 액체의 주입관
80 실재
200 어블레이션 카테터
110 카테터 샤프트
111 루멘(액체의 유로)
112 루멘(인장 와이어의 삽통로)
113 루멘
115 강성체(철사)
120 관주 부재
121 외관 박육부
122 외관 후육부
123 내관부
124 저류 재킷 공간
125 분기 유로
125A 관주용 개구
126 액체의 안내홈
127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
129 빠짐 방지용 볼록부
130 선단 전극
131 선단 팽출부
132 목부
133 원통형상 부분
136 액체의 안내홈
140 링형상 전극
161 인장 와이어
162 인장 와이어
170 제어 핸들
175 회전판
180 액체의 주입관
10 카테터 샤프트
11 루멘(액체의 유로)
12 루멘(인장 와이어의 삽통로)
13 중앙 루멘(리드선의 삽통로)
15 강성체(철사)
20 관주 부재
21 외관부(외관 박육부(薄肉部))
22 외관부(외관 후육부(厚肉部))
23 내관부
24 저류 재킷 공간
25 개구(開口)
26 액체의 안내홈
27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
29 빠짐 방지용 볼록부
30 선단 전극
31 선단 팽출부
32 목부(頸部)
33 원통형상 부분
35 내측 오목부
36 액체의 안내홈
40 링형상 전극
51 제1 이음매 튜브
52 제2 이음매 튜브
53 제3 이음매 튜브
61 인장 와이어
62 인장 와이어
70 제어 핸들
75 회전판
78 액체의 주입관
80 실재
200 어블레이션 카테터
110 카테터 샤프트
111 루멘(액체의 유로)
112 루멘(인장 와이어의 삽통로)
113 루멘
115 강성체(철사)
120 관주 부재
121 외관 박육부
122 외관 후육부
123 내관부
124 저류 재킷 공간
125 분기 유로
125A 관주용 개구
126 액체의 안내홈
127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
129 빠짐 방지용 볼록부
130 선단 전극
131 선단 팽출부
132 목부
133 원통형상 부분
136 액체의 안내홈
140 링형상 전극
161 인장 와이어
162 인장 와이어
170 제어 핸들
175 회전판
180 액체의 주입관
Claims (11)
- 액체의 유로가 되는 루멘을 1개 이상 갖는 카테터 샤프트와,
이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측에 접속된 절연성 관주(灌注) 부재와,
이 절연성 관주 부재의 선단측에 접속된 선단 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에는 상기 카테터 샤프트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저류 공간과, 당해 저류 공간 내의 액체를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개구 각각으로부터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액체의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선단 전극의 기단부(基端部)에는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안내홈 각각에 연속하는 액체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는 상기 선단 전극의 리드선을 연재(延在)시키기 위한 중앙 루멘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액체의 유로가 되는 루멘이 상기 중앙 루멘의 주위에 복수 배치되며,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는 상기 선단 전극의 내측 오목부에 연통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내관부와 외관부의 이중관 구조를 갖고, 상기 액체의 저류 공간은 상기 내관부와 외관부에 의해 칸막이된 재킷 공간이며,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부에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기단부가 삽입됨으로써 당해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측에 당해 절연성 관주 부재가 접속되고,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 형성된 중앙 루멘이 제1 이음매 튜브를 매개로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 내관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 배치된 액체의 유로가 되는 복수의 루멘 각각이 제2 이음매 튜브를 매개로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재킷 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음매 튜브가 삽입된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재킷 공간에 실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 및 상기 선단 전극의 기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안내홈 각각은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하면서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전극의 선단이 팽출(膨出)되어 있고, 당해 선단 전극의 최대 직경을 D1,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관의 직경을 D2라 할 때, D1/D2의 값이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는 선단 편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인장 와이어가 연재되는 루멘이 상기 중앙 루멘의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에는 상기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 형성된 인장 와이어가 연재되는 루멘이 제3 이음매 튜브를 매개로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에 있어서의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 액체의 유로가 되는 루멘을 1개 이상 갖는 카테터 샤프트와,
이 카테터 샤프트의 선단측에 접속된 절연성 관주 부재와,
이 절연성 관주 부재의 선단측에 접속된 선단 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카테터 샤프트에는 액체의 유로가 되는 루멘이 당해 카테터 샤프트의 외주를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에는 상기 카테터 샤프트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상기 선단 전극의 표면에 관주하기 위한 복수의 관주용 개구가 당해 절연성 관주 부재의 외주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카테터 샤프트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저류 공간과, 이 저류 공간에 연통되어 상기 관주용 개구 각각에 이르도록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하면서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복수의 분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의 저류 공간은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둘레방향에 격벽이 없는 재킷 공간이며,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선단부에는 상기 분기 유로 각각에 연속해서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액체의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선단 전극의 기단부에는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의 안내홈 각각에 연속하는 액체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 삭제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전극의 선단이 팽출되어 있고, 당해 선단 전극의 최대 직경을 D1, 상기 카테터 샤프트의 관의 직경을 D2라 할 때, D1/D2의 값이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관주 부재에는 선단 편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인장 와이어의 삽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287704A JP5283135B2 (ja) | 2010-12-24 | 2010-12-24 | 電極カテーテル |
JPJP-P-2010-287704 | 2010-12-24 | ||
JP2011040808A JP2012176119A (ja) | 2011-02-25 | 2011-02-25 | 電極カテーテル |
JPJP-P-2011-040808 | 2011-02-25 | ||
PCT/JP2011/074948 WO2012086313A1 (ja) | 2010-12-24 | 2011-10-28 | 電極カテーテル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2531A KR20130132531A (ko) | 2013-12-04 |
KR101830466B1 true KR101830466B1 (ko) | 2018-02-20 |
Family
ID=4631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17990A KR101830466B1 (ko) | 2010-12-24 | 2011-10-28 | 전극 카테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0466B1 (ko) |
CN (2) | CN202365924U (ko) |
HK (1) | HK1171650A1 (ko) |
TW (1) | TWI541036B (ko) |
WO (1) | WO201208631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86313A1 (ja) * | 2010-12-24 | 2012-06-28 |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 電極カテーテル |
CN102631240A (zh) * | 2012-04-13 | 2012-08-15 | 上海微创电生理医疗科技有限公司 | 冷盐水灌注型射频消融导管 |
JP5737765B2 (ja) * | 2013-02-28 | 2015-06-17 |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 カテーテルシステム |
CN105310766B (zh) * | 2014-07-17 | 2018-11-30 | 四川锦江电子科技有限公司 | 具有灌注液体功能的消融导管末端电极 |
JP6570123B2 (ja) * | 2016-02-29 | 2019-09-04 |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
JP6651008B2 (ja) * | 2016-05-25 | 2020-02-19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吸引/送液ユニット |
US11432870B2 (en) | 2016-10-04 | 2022-09-06 | Avent, Inc. | Cooled RF probes |
CN109953816A (zh) * | 2017-12-25 | 2019-07-02 | 四川锦江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多极等离子消融装置 |
CN109953819A (zh) * | 2017-12-25 | 2019-07-02 | 四川锦江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多极等离子消融导管 |
CN109953815A (zh) * | 2017-12-25 | 2019-07-02 | 四川锦江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多极等离子消融导管管体 |
JP6881870B2 (ja) * | 2018-03-06 | 2021-06-02 |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521465A (ja) * | 2002-03-27 | 2005-07-21 | ティシューリンク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流体援用医療装置、流体援用医療システム、および流体援用医療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48554A (en) * | 1992-12-01 | 1994-09-20 | Cardiac Pathways Corporation | Catheter for RF ablation with cooled electrode |
IT1290866B1 (it) * | 1996-12-24 | 1998-12-14 | Francesco Garbagnati | Sonda-catetere per il trattamento di tumori di organi parenchimatosi con ipertermia interstiziale indotta da radiofrequenza |
ITBS20020039U1 (it) * | 2002-03-20 | 2003-09-22 | Fogazzi Di Venturelli Andrea & | Catetere con elettrodo flessibile raffreddato |
US7918851B2 (en) * | 2005-02-14 | 2011-04-05 | Biosense Webster, Inc. | Irrigated tip cathe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for |
WO2012086313A1 (ja) * | 2010-12-24 | 2012-06-28 |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 電極カテーテル |
-
2011
- 2011-10-28 WO PCT/JP2011/074948 patent/WO201208631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10-28 KR KR1020137017990A patent/KR10183046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11-28 TW TW100143566A patent/TWI54103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12-16 CN CN201120530433XU patent/CN202365924U/zh not_active Withdrawn - After Issue
- 2011-12-16 CN CN201110421749.XA patent/CN10252564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12-10 HK HK12112694.0A patent/HK1171650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521465A (ja) * | 2002-03-27 | 2005-07-21 | ティシューリンク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流体援用医療装置、流体援用医療システム、および流体援用医療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525647B (zh) | 2015-03-18 |
HK1171650A1 (en) | 2013-04-05 |
TW201235061A (en) | 2012-09-01 |
TWI541036B (zh) | 2016-07-11 |
WO2012086313A1 (ja) | 2012-06-28 |
CN202365924U (zh) | 2012-08-08 |
CN102525647A (zh) | 2012-07-04 |
KR20130132531A (ko) | 2013-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0466B1 (ko) | 전극 카테터 | |
US8348937B2 (en) | Irrigated ablation catheter | |
US8128620B2 (en) | Irrigated ablation electrode having proximal direction flow | |
KR101758441B1 (ko) | 전극 카테터 | |
KR101760166B1 (ko) | 전극 카테터 | |
JP2012176119A (ja) | 電極カテーテル | |
EP3838204B1 (en) | Balloon-type electrode catheter | |
JP5769303B2 (ja) | 電極カテーテル | |
KR101809318B1 (ko) | 전극 카테터 | |
KR101649062B1 (ko) | 전극 카테터 | |
US20230320780A1 (en) | Electrode catheter | |
JP5867917B2 (ja) | 電極カテーテル | |
JP5283135B2 (ja) | 電極カテーテル | |
US20230038069A1 (en) | Balloon-type electrode catheter | |
TWI768661B (zh) | 氣球型電極導管 | |
JP2022133248A (ja) | 医療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