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707A - 부시,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부시,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707A
KR20180103707A KR1020180025727A KR20180025727A KR20180103707A KR 20180103707 A KR20180103707 A KR 20180103707A KR 1020180025727 A KR1020180025727 A KR 1020180025727A KR 20180025727 A KR20180025727 A KR 20180025727A KR 20180103707 A KR20180103707 A KR 20180103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hole
central axis
peripheral surfac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6674B1 (ko
Inventor
다카유키 마스나가
샤닝 팬
미스즈 사카이
도시히코 기다
가오리 데우라
고스케 아다치
마코토 오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8010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6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mounting fan or blower rotors o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04D29/329Details of the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4Blad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46Mounting or removal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부시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부시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 제3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부재는,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1 구멍이 형성되고, 제1 내주면과, 상기 제1 내주면의 반대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1 중심축과 상이한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1 외주면을 갖는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제1 부재가 수용된 제2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2 내주면과, 상기 제2 내주면의 반대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2 중심축과 상이한 제3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2 외주면을 갖는다.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3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제2 부재가 수용된 제3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3 내주면을 갖는다.

Description

부시,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BUSH, ROTARY MACHINE, AN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부시,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팬과 같은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계에 있어서, 모터와 같은 동력원의 축과, 팬과 같은 회전체를, 부시가 접속한다. 예를 들어, 부시에 형성된 구멍에 축이 삽입 관통되고, 부시의 외주에 회전체가 접속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92810호 공보
축에 대해, 부시 및 회전체의 무게 중심이 편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부시 및 회전체가 회전하면, 회전체에 진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부시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 제3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부재는,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1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멍에 면하는 제1 내주면과, 상기 제1 내주면의 반대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1 중심축과 상이한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1 외주면을 갖는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제1 부재가 수용된 제2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구멍에 면함과 함께 상기 제1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2 내주면과, 상기 제2 내주면의 반대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2 중심축과 상이한 제3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2 외주면을 갖는다.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3 중심축을 중심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제2 부재가 수용된 제3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구멍에 면함과 함께 상기 제2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3 내주면을 갖는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의 본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모터의 축과 부시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부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부재가 회전되는 부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제2 부재가 회전되는 부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부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의 축과 부시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부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부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부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부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에,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 요소 및 당해 요소의 설명에 대해, 복수의 표현이 기재되는 경우가 있다. 복수의 표현으로 된 구성 요소 및 설명은, 기재되지 않은 다른 표현으로 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표현으로 되지 않은 구성 요소 및 설명도, 기재되지 않은 다른 표현으로 되어도 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절 장치(에어 컨디셔너. 이하, 공조기라고 칭함)(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공조기(10)는, 공기 조절 장치 및 회전 기계의 일례이며,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또한, 회전 기계는 공조기(10)에 한정하지 않고, 산업용 모터를 갖는 기구나, 선풍기 및 세탁기와 같은 가정용 전기 기구나, 동력원 및 회전체를 갖는 다른 기계여도 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있어서, X축, Y축 및 Z축이 정의된다. X축과 Y축과 Z축은, 서로 직교한다. X축은, 공조기(10)의 폭을 따른다. Y축은, 공조기(10)의 길이(깊이)를 따른다. Z축은, 공조기(10)의 높이를 따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기(10)는, 실내 유닛(11)을 갖는다. 실내 유닛(11)은, 예를 들어 실외기나, 실내 유닛(11) 및 실외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접속된다. 또한, 복수의 실내 유닛(11)이 하나의 제어 장치에 접속된 공기 조절 시스템이 구성되어도 된다.
실내 유닛(11)은, 커버(21)와, 본체(22)를 갖는다. 커버(21)는, 예를 들어 실내 유닛(11)이 설치된 실내의 천장에 설치된다. 커버(21)에, 복수의 흡기구(25)와 복수의 송기구(26)가 설치된다. 송기구(26)는, 예를 들어 루버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11)의 본체(2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11)의 본체(2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2)는, 하우징(31)과, 열 교환기(32)와, 모터(33)와, 터보 팬(34)과, 캡(35)과, 부시(36)를 갖는다. 모터(33)는, 동력원의 일례이다. 터보 팬(34)은, 회전체 및 팬의 일례이며, 예를 들어 원심팬이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또한, 회전체는 터보 팬(34)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프로펠러 팬과 같은 다른 팬, 또는 기어나 도르래와 같은 다른 회전체여도 된다. 부시(36)는, 예를 들어 접속 부품, 베어링, 또는 부재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은, 예를 들어 금속에 의해 형성되고, 상벽(41)과, 주위벽(42)을 갖는다. 상벽(41)은, X-Y 평면 위에 퍼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벽(41)에, 예를 들어 당해 상벽(41)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리브가 형성되어도 된다. 주위벽(42)은, 상벽(41)의 테두리부터 Z축을 따르는 부방향(Z축의 화살표의 반대 방향,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31)의 내부에, 송풍로(45)가 설치된다. 송풍로(45)는, 하우징(31)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예를 들어 하우징(31)의 내측에 장착되는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상벽(41)은, 송풍로(45)를 향한 내면(41a)을 갖는다. 내면(41a)은, Z축을 따르는 부방향을 향한다.
열 교환기(32)는, 송풍로(45)에 배치된다. 열 교환기(32)는, 예를 들어 상벽(41)의 내면(41a)에 장착되고, Z축을 따르는 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열 교환기(32)는, 예를 들어 냉매가 흐르는 관이나 핀을 갖는다. 열 교환기(32)는, 당해 열 교환기(32)를 통과하는 공기와 냉매 사이에서 열 교환을 일으키고, 당해 공기를 데우거나 또는 차갑게 한다. 또한, 열 교환기(32)는이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터(33)는, 예를 들어 인버터 제어에 의해 회전수를 변동 가능한 DC 모터이다. 모터(33)는, 상벽(41)의 내면(41a)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모터(33)는, 내면(41a)으로부터 연장되는 볼트에, 너트에 의해 장착된다.
모터(33)는, 축(33a)을 갖는다. 축(33a)은, 예를 들어 구동축 또는 회전축이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축(33a)은, Z축을 따르는 부방향으로 연장한다. 모터(33)는, 구동됨으로써, 축(33a)을, 당해 축(33a)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시킨다.
터보 팬(34)은, 송풍로(45)에 배치되고, 열 교환기(32)에 둘러싸인다. 터보 팬(34)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에 의해 만들어진다. 터보 팬(34)은, 다른 재료에 의해 만들어져도 된다. 터보 팬(34)은, 허브(51)와, 지지부(52)와, 연결부(53)와, 복수의 블레이드(54)와, 슈라우드(55)를 갖는다.
허브(51)는,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허브(51)는, 부시(36)를 개재하여 모터(33)의 축(33a)에 장착된다. 지지부(52)는, X-Y 평면 위에 퍼지는 원환형으로 형성된다. 지지부(52)는, 허브(51)보다도 상벽(4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모터(33)를 둘러싼다.
연결부(53)는, 예를 들어 대략 원뿔대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허브(51)의 단부와, 지지부(52)의 내주를 연결한다. 복수의 블레이드(54)는, 원환형으로 배치되고, 지지부(52)로부터 Z축을 따르는 부방향으로 연장한다. 슈라우드(55)는, X-Y 평면 위에 퍼지는 원환형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블레이드(54)의 단부에 접속된다.
모터(33)는, 축(33a)을 회전시킴으로써, 터보 팬(34)을 회전시킨다.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터보 팬(34)은, 도 1의 흡기구(25)로부터 실내의 공기를 흡인하고, 당해 공기를 열 교환기(32)로 보낸다. 열 교환기(32)에 의해 데워지거나 또는 차가워진 공기는, 도 1의 송기구(26)로부터 실내에 공급된다.
캡(35)은, 모터(33)의 축(33a)에, 터보 팬(34) 및 부시(36)를 고정한다. 예를 들어, 캡(35)은, 축(33a)의 선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에 나사 고정되어, 터보 팬(34) 및 부시(36)를 지지한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모터(33)의 축(33a)과 부시(36)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부시(36)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36)는, 제1 부재(61)와, 제2 부재(62)와, 제3 부재(63)를 갖는다.
제1 부재(61), 제2 부재(62), 및 제3 부재(63)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비교적 가벼운 금속에 의해 만들어진다. 즉,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는 동일한 재료에 의해 만들어져, 제1 부재(61)의 재료의 영률과, 제2 부재(62)의 재료의 영률과, 제3 부재(63)의 재료의 영률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는, 합성 수지와 같은 다른 재료에 의해 만들어져도 된다. 또한, 제1 부재(61)의 재료와, 제2 부재(62)의 재료와, 제3 부재(63)의 재료가 상이해도 된다.
제1 부재(61)는, 통부(71)와, 플랜지부(72)를 갖는다. 통부(71)는,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통부(71)에,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통부(71)를 관통하는 제1 구멍(75)이 형성된다. 제1 구멍(75)은, 예를 들어 개구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구멍(75)은, 통부(71)를 관통하는 구멍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이 있는 구멍이어도 된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부시(3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멍(75)은, 제1 중심축 C1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제1 중심축 C1은, Z축을 따르는 제1 구멍(75)의 가상적인 중심축이다. 즉, 제1 구멍(75)은, 제1 중심축 C1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형 구멍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1 구멍(75)은, 제1 중심축 C1을 중심으로 두고 연장되는 구멍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중심축 C1은, 모터(33)의 축(33a)의 중심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부(71)는, 제1 내주면(71a)과, 제1 외주면(71b)과, 2개의 제1 단부면(71c)을 갖는다. 제1 내주면(71a)은, 제1 구멍(75)을 규정하고, 제1 중심축 C1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내주면(71a)은, 제1 중심축 C1을 중심으로 두고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면이다. 제1 내주면(71a)은, 제1 구멍(75)에 면한다. 제1 구멍(75)은, 제1 내주면(71a)의 내측에 형성된다.
제1 외주면(71b)은, 제1 내주면(71a)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주면(71b)은, 제2 중심축 C2를 중심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외주면(71b)은, 제2 중심축 C2를 중심으로 두고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면이다.
제2 중심축 C2는, Z축을 따르는 제1 외주면(71b)의 가상적인 중심축이다. 제2 중심축 C2는, 제1 중심축 C1과 평행하고, 제1 중심축 C1과 다른 위치에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중심축 C2는, 제1 중심축 C1과 상이하다. 즉, 제1 외주면(71b)과, 제1 내주면(71a) 및 제1 구멍(75)은, 서로 편심된다. 또한, 제2 중심축 C2는, 제1 중심축 C1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여도 된다.
제1 외주면(71b)은, 제2 중심축 C2를 중심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 중심축 C2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중심축 C2는, 제1 외주면(71b)의 대칭축이기도 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 단부면(71c)은, Z축을 따르는 정방향(Z축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 상측 방향) 및 Z축을 따르는 부방향을 향한다. 제1 구멍(75)은, 2개의 제1 단부면(71c)에 연통한다.
통부(71)에, 끼워 맞춤부(76)가 설치된다. 끼워 맞춤부(76)는, 제1 내주면(71a)으로부터, 제1 구멍(75)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Z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끼워 맞춤부(76)의 길이는, 제1 구멍(75)의 길이보다도 짧다. 바꾸어 말하면, 끼워 맞춤부(76)는, Z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내주면(71a)의 일부에 설치된다. 또한, 끼워 맞춤부(76)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오목부나 끼워 맞춤부(76)와 같은 돌기가 제1 내주면(71a)의 일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중심축 C1은, 오목부나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부분에 있어서의, 제1 구멍(75)의 중심을 통과한다. 또한, 오목부나 돌기가, Z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내주면(71a)의 전역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중심축 C1은, 제1 구멍(75)의 단면에 있어서의 원호상의 부분의 중심을 통과한다. 제1 구멍(75)의 단면이 복수의 원호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중심축 C1은, 제1 구멍(75)의 무게 중심에 가장 가까운 중심을 갖는 원호상의 부분의 중심을 통과한다.
상기한 기재에서는 제1 구멍(75)의 단면이 원형 또는 원호상의 부분을 갖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1 구멍(75)의 단면이 원호상의 부분을 갖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중심축 C1은, 오목부나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회전 대칭인 단면을 갖는 부분에 있어서의, 제1 구멍(75)의 대칭축을 통과한다. 또한, 오목부나 돌기가, Z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내주면(71a)의 전역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중심축 C1은, 제1 구멍(75)의 단면이 형성하는 가장 큰 회전 대칭인 형상의 대칭축을 통과한다. 제1 구멍(75)의 형상이 상술한 모든 경우에도 들어맞지 않는 경우, 제1 중심축 C1은, 제1 구멍(75)의 단면의 무게 중심을 통과한다.
제1 구멍(75)에, 모터(33)의 축(33a)이 삽입 관통된다. 축(33a)은, 노치(33b)가 마련된 소위 D 커트축이다. 제1 구멍(75)에 축(33a)이 통과되면, 노치(33b)에 끼워 맞춤부(76)가 꼭 맞는다. 이에 의해, 축(33a)의 회전이 제1 부재(61)에 전달된다.
플랜지부(72)는, 통부(71)의 제1 외주면(71b)으로부터 돌출된다. 플랜지부(72)는, X-Y 평면 위에 퍼지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부(72)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플랜지부(72)는, Z축을 따르는 정방향에 있어서의 제1 외주면(71b)의 단으로부터 돌출된다. 플랜지부(72)는, 제1면(72a)과, 제2면(72b)을 갖는다. 제1면(72a)은, Z축을 따르는 정방향을 향하는 대략 평탄한 면이다. 제1면(72a)은, 통부(71)의 한쪽 제1 단부면(71c)과 연속한다. 제2면(72b)은, 제1면(72a)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Z축을 따르는 부방향을 향하는 대략 평탄한 면이다.
제2 부재(62)는,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 부재(62)에,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2 부재(62)를 관통하는 제2 구멍(81)이 형성된다. 제2 구멍(81)은, 예를 들어 개구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또한, 제2 구멍(81)은, 제2 부재(62)를 관통하는 구멍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이 있는 구멍이어도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멍(81)은, 제2 중심축 C2를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즉, 제2 중심축 C2는 Z축을 따르는 제2 구멍(81)의 가상적인 중심축이며, 제2 구멍(81)은 제2 중심축 C2를 중심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형 구멍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2 구멍(81)은, 제2 중심축 C2를 중심으로 두고 연장되는 구멍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재(62)는, 제2 내주면(62a)과, 제2 외주면(62b)과, 2개의 제2 단부면(62c)을 갖는다. 제2 내주면(62a)은, 제2 구멍(81)을 규정하고, 제2 중심축 C2를 중심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2 내주면(62a)은, 제2 중심축 C2를 중심으로 두고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면이다. 제2 내주면(62a)은, 제2 구멍(81)에 면한다. 제2 구멍(81)은, 제2 내주면(62a)의 내측에 설치된다.
제2 내주면(62a)은, 제2 중심축 C2를 중심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 중심축 C2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중심축 C2는, 제2 내주면(62a)의 대칭축이기도 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구멍(81) 및 제2의 내주면(62a)의 중심(제2 중심축 C2)과, 제1 부재(61)의 통부(71)의 제1 외주면(71b)의 중심(제2 중심축 C2)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로 인해, 제1 부재(61)와 제2 부재(62)가 서로 고정되지 않고 자유로운 경우, 제2 부재(62)는, 제1 부재(61)에 대해 제2 중심축 C2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구멍(81)에, 제1 부재(61)의 통부(71)가 수용된다. 제2 구멍(81)의 반경과, 제1 부재(61)의 통부(71)의 제1 외주면(71b)의 반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로 인해, 제2 내주면(62a)은, 제1 외주면(71b)에 접촉하고, 제2 부재(62)가 제1 부재(61)에 대해 Z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제2 내주면(62a)의 일부는, 제1 외주면(71b)으로부터 약간 이간해도 된다.
제2 외주면(62b)은, 제2 내주면(62a)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외주면(62b)은, 제3 중심축 C3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외주면(62b)은, 제3 중심축 C3을 중심으로 두고 연장되는 원통형의 면이다.
제3 중심축 C3은, Z축을 따르는 제2 외주면(62b)의 가상적인 중심선이다. 제3 중심축 C3은, 제1 중심축 C1과 평행하고 또한 제2 중심축 C2와 평행이고, 제2 중심축 C2와 상이한 위치에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3 중심축 C3은, 제2 중심축 C2와 상이하다. 즉, 제2 외주면(62b)과, 제2 내주면(62a) 및 제2 구멍(81)은, 서로 편심된다. 제3 중심축 C3은, 제1 중심축 C1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여도 되고, 제2 중심축 C2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여도 된다.
제1 중심축 C1과 제2 중심축 C2 사이의 거리 r12는, 제2 중심축 C2와 제3 중심축 C3 사이의 거리 r2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로 인해, 도 5와 같이, 제1 중심축 C1과 제3 중심축 C3과는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외주면(62b)은, 제3 중심축 C3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3 중심축 C3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3 중심축 C3은, 제2 외주면(62b)의 대칭축이기도 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2 단부면(62c)은, Z축을 따르는 정방향 및 Z축을 따르는 부방향을 향한다. 제2 구멍(81)은, 2개의 제2 단부면(62c)에 연통한다. 제2 구멍(81)에 통부(71)가 수용됨으로써, Z축을 따르는 정방향을 향하는 제2 단부면(62c)은, 플랜지부(72)의 제2면(72b)에 접촉한다. 플랜지부(72)는, 제2 부재(62)를 지지하고, 제2 부재(62)가 제1 부재(61)에 대해 Z축을 따르는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제3 부재(63)는,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3 부재(63)에,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3 부재(63)를 관통하는 제3 구멍(85)이 형성된다. 제3 구멍(85)은, 예를 들어 개구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또한, 제3 구멍(85)은, 제3 부재(63)를 관통하는 구멍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이 있는 구멍이어도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구멍(85)은, 제3 중심축 C3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즉, 제3 중심축 C3은 Z축을 따르는 제3 구멍(85)의 가상적인 중심축이며, 제3 구멍(85)은 제3 중심축 C3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형인 구멍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3 구멍(85)은, 제3 중심축 C3을 중심으로 두고 연장되는 구멍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부재(63)는, 제3 내주면(63a)과, 제3 외주면(63b)과, 2개의 제3 단부면(63c)을 갖는다. 제3 내주면(63a)은, 제3 구멍(85)을 규정하고, 제3 중심축 C3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면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3 내주면(63a)은, 제3 중심축 C3을 중심으로 두고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면이다. 제3 내주면(63a)은, 제3 구멍(85)에 면한다. 제3 구멍(85)은, 제3 내주면(63a)의 내측에 설치된다. 즉, 제3 내주면(63a)과, 제2 내주면(62a) 및 제2 구멍(81)은, 서로 편심된다.
제3 내주면(63a)은, 제3 중심축 C3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3 중심축 C3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3 중심축 C3은, 제3 내주면(63a)의 대칭축이기도 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3 구멍(85) 및 제3 내주면(63a)의 중심(제3 중심축 C3)과, 제2 부재(62)의 제2 외주면(62b)의 중심(제3 중심축 C3)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로 인해, 제2 부재(62)와 제3 부재(63)가 서로 고정되지 않고 자유인 경우, 제3 부재(63)는, 제2 부재(62)에 대해 제3 중심축 C3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제3 구멍(85)에, 제2 부재(62)가 수용된다. 제3 구멍(85)의 반경과, 제2 부재(62)의 제2 외주면(62b)의 반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로 인해, 제3 내주면(63a)은, 제2 외주면(62b)에 접촉하고, 제3 부재(63)가 제2 부재(62)에 대해 Z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제3 내주면(63a)의 일부는, 제2 외주면(62b)으로부터 약간 이간되어도 된다.
제3 외주면(63b)은, 제3 내주면(63a)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외주면(63b)은, 제3 중심축 C3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면이다. 즉, 제3 외주면(63b)의 중심(제3 중심축 C3)과 제3 내주면(63a)의 중심(제3 중심축 C3)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3 내주면(63a)과 제3 외주면(63b)은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다.
제3 외주면(63b)은, 제3 중심축 C3을 중심축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면이다. 제3 외주면(63b)은, 제3 중심축 C3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3 중심축 C3은, 제3 외주면(63b)의 대칭축이기도 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부재(63)는,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에 의해, 터보 팬(34)의 허브(5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3 부재(63)의 제3 외주면(63b)이, 터보 팬(34)의 허브(51)에 접속된다. 또한, 제3 부재(63)와 터보 팬(34)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동일한 재료에 의해 하나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3 단부면(63c)은, Z축을 따르는 정방향 및 Z축을 따르는 부방향을 향한다. 제3 구멍(85)은, 2개의 제3 단부면(63c)에 연통한다. 제2 구멍(81)에 통부(71)가 수용되고, 제3 구멍(85)에 제2 부재(62)가 수용됨으로써, Z축을 따르는 정방향을 향하는 제3 단부면(63c)은, 플랜지부(72)의 제2면(72b)에 접촉한다. 플랜지부(72)는, 제3 부재(63)를 지지하고, 제3 부재(63)가 제1 부재(61)에 대해 Z축을 따르는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제2 구멍(81)에 통부(71)가 수용되고, 제3 구멍(85)에 제2 부재(62)가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Z축을 따르는 부방향을 향하는 제1 단부면(71c), 제2 단부면(62c), 및 제3 단부면(63c)은, 대략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축(33a)에 장착된 캡(35)은, Z축을 따르는 부방향을 향하는 제1 단부면(71c), 제2 단부면(62c), 및 제3 단부면(63c)을 지지하고, 제2 및 제3 부재(62, 63)가 제1 부재(61)에 대해 Z축을 따르는 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상 설명한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는, 제3 부재(63)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따라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는, 서로 중심(제2 중심축 C2 또는 제3 중심축 C3) 주위로 회전시키고, 모터(33)의 축(33a)의 중심축의 위치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중심축 C1의 위치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일치된다.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는, 삼각 형상으로 배치된 3개의 압력 센서에 터보 팬(34)을 적재시킴으로써 계측된다. 또한,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터보 팬(34)을 회전시킴으로써 계측되어도 된다.
제1 중심축 C1의 위치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일치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는, 예를 들어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이에 의해, 모터(33)의 축(33a)이,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를 개재하여, 터보 팬(34)에 회전(토크)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는 다른 수단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도 된다.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은, Z축을 따르는 제1 중심축 C1 위의 어느 위치에 있어도 된다. 즉,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는, 제1 중심축 C1이 연장되는 방향(Z축을 따르는 정방향 또는 Z축을 따르는 부방향)으로 평면으로 본 경우에, 제1 중심축 C1의 위치와 일치된다.
제1 중심축 C1의 위치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일치됨으로써, 회전하는 터보 팬(34)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1 중심축 C1의 위치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상이해도, 제1 중심축 C1의 위치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접근하게 됨으로써, 회전하는 터보 팬(34)에 발생하는 진동이 저감된다.
예를 들어,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터보 팬(34) 및 제3 부재(63)의 중심인 제3 중심축 C3의 위치와 동일한 경우,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는, 도 5에 도시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중심축 C1과 제3 중심축 C3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중심축 C2의 위치는, 도 5에 도시되는 위치와 상이해도 된다.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가 도 5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모터(33)의 축(33a)의 중심축의 위치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제3 중심축 C3)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에 따라, 회전하는 터보 팬(34)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 시의 제3 부재(63)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제3 중심축 C3의 위치와 상이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는, 도 5의 위치에서 서로 중심(제2 중심축 C2 또는 제3 중심축 C3) 주위로 회전된다. 이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중심축 C3과 다른 위치에 있는 무게 중심 CG와, 제1 중심축 C1의 위치 정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5에 나타내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지만, 무게 중심 CG와 제1 중심축 C1의 위치 정렬은 이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게 중심 CG는, 제3 중심축 C3을 기준으로 하여, 극좌표(Rf, θf)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다. 즉, 무게 중심 CG는, 제3 중심축 C3으로부터 거리 Rf이격됨과 함께, 도 5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제3 중심축 C3 주위에 각도 θf 회전된 위치에 있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부재(61)가 회전되는 부시(3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부재(61)가, 제2 부재(62)에 대해 제2 중심축 C2 주위에 각도 θ1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1 중심축 C1과 제3 중심축 C3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고, 제1 중심축 C1이 제3 중심축 C3으로부터 거리 Rf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1 부재(61)가 제2 부재(62)에 대해 제2 중심축 C2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제3 중심축 C3에 대한 제1 중심축 C1의 편심량이 조정된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제2 부재(62)가 회전되는 부시(3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제2 부재(62)가, 제3 부재(63)에 대해 제3 중심축 C3 주위에 각도 θ2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3 중심축 C3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중심축 C1의 각도가 변화되고, 제1 중심축 C1이 극좌표(Rf, θf)에 배치되어, 무게 중심 CG와 동일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2 부재(62)가 제3 부재(63)에 대해 제3 중심축 C3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제3 중심축 C3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중심축 C1의 각도가 조정된다.
제1 중심축 C1을 극좌표(Rf, θf)에 배치하기 위한 제1 부재(61)의 회전 각도 θ1은, 이하의 식(수 1)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제1 중심축 C1을 극좌표(Rf, θf)에 배치하기 위한 제2 부재(62)의 회전 각도 θ2는, 이하의 식(수 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부재(61, 62)가 회전됨으로써, 모터(33)의 축(33a)의 중심축의 위치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 CG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 경우, 터보 팬(34)과 모터(33)의 축(33a)은 외견상 서로 편심되지만, 회전하는 터보 팬(34)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은 억제된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부시(36)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 무게 중심 CG와 제3 중심축 C3 사이의 거리 Rf는, 부시(36)에 의해 제1 중심축 C1과 무게 중심 CG를 동일 위치에 배치 가능한 최대값으로 설정된다. 제1 부재(61)가 제2 부재(62)에 대해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제1 중심축 C1은, 도 8에 나타내는 경우의 무게 중심 CG와 동일 위치에 배치된다.
도 8에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 거리 Rf는 이하의 식(수 3)에 의해 나타낸다.
Rf=r12+r23=2×r12=2×r23 (수 3)
식(수 3)에 의해, 거리 Rf가 거리 r12와 거리 r23의 합계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짧을 때, 부시(36)는, 제1 중심축 C1과 무게 중심 CG를 동일 위치에 배치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제2 부재(62)는,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따라 제1 부재(61)에 대해 제2 중심축 C2 주위로 회전시키고, 제1 부재(61)에 고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부재(62)는, 제1 부재(61)에 대한 제2 중심축 C2 주위의 복수의 각도로 제1 부재(61)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 부재(63)는,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따라 제2 부재(62)에 대해 제3 중심축 C3 주위로 회전시키고, 제2 부재(62)에 고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3 부재(63)는, 제2 부재(62)에 대한 제3 중심축 C3 주위의 복수의 각도로 제2 부재(62)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모터(33)의 축(33a)의 중심축의 위치와, 터보 팬(34)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조기(10)에 있어서, 제1 부재(61)의 제1 내주면(71a)의 제1 중심축 C1은, 제1 외주면(71b)의 제2 중심축 C2와 상이하다. 또한, 제2 부재(62)의 제2 내주면(62a)의 제2 중심축 C2는, 제2 외주면(62b)의 제3 중심축 C3과 상이하다. 그리고, 제1 부재(61)가 제2 부재(62)의 제2 구멍(81)에 수용되고, 제2 부재(62)가 제3 부재(63)의 제3 구멍(85)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제2 부재(62)가 제1 부재(61)에 대한 제2 중심축 C2 주위의 원하는 각도로 제1 부재(61)에 장착되고, 제3 부재(63)가 제2 부재(62)에 대한 제3 중심축 C3 주위의 원하는 각도로 제2 부재(62)에 장착됨으로써, 제3 중심축 C3의 위치가, 제1 중심축 C1과 일치하고 또는 제1 중심축 C1과 상이한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중심축 C1의 위치를, 부시(36)가 장착되는 터보 팬(34)과 같은 회전체의 무게 중심 CG의 위치와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터보 팬(34)이 진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진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추(밸런서)의 장착에 의한 무게 중심 조정 작업이 불필요해짐과 함께, 진동 억제를 위한 복잡한 보강 구조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부시(36)를 갖는 공조기(10)와 같은 회전 기계의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
제2 부재(62)는, 제1 부재(61)에 대한 제2 중심축 C2 주위의 복수의 각도로 제1 부재(61)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부재(63)는, 제2 부재(62)에 대한 제3 중심축 C3 주위의 복수의 각도로 제2 부재(62)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부재(62)가 제1 부재(61)에 대한 제2 중심축 C2 주위의 원하는 각도로 제1 부재(61)에 장착되고, 제3 부재(63)가 제2 부재(62)에 대한 제3 중심축 C3 주위의 원하는 각도로 제2 부재(62)에 장착됨으로써, 예를 들어 제1 중심축 C1의 위치를, 부시(36)가 설치되는 터보 팬(34)과 같은 회전체의 무게 중심 CG의 위치와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터보 팬(34)이 진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1 내지 제3 중심축 C1 내지 C3은 평행하다. 이에 의해, 제1 내지 제3 중심축 C1 내지 C3과 직교하는 X-Y 평면 위에 있어서, 제1 중심축 C1에 대한 제3 중심축 C3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중심축 C1과 제2 중심축 C2 사이의 거리 r12는, 제2 중심축 C2와 제3 중심축 C3 사이의 거리 r23과 동등하다. 이에 의해, 제1 중심축 C1의 위치를, 제3 중심축 C3과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외주면(71b) 및 제2의 내주면(62a)은, 제2 중심축 C2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제2 외주면(62b) 및 제3 내주면(63a)은, 제3 중심축 C3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2 부재(62)가 제1 부재(61)에 대한 제2 중심축 C2 주위의 복수의 각도로 제1 부재(61)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3 부재(63)가 제2 부재(62)에 대한 제3 중심축 C3 주위의 복수의 각도로 제2 부재(62)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중심축 C1의 위치를, 부시(36)가 장착되는 터보 팬(34)과 같은 회전체의 무게 중심 CG의 위치와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터보 팬(34)이 진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2 실시 형태)
이하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복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이미 설명된 구성 요소와 마찬가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는, 당해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 부호가 부여되고, 또 설명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동일 부호가 부여된 복수의 구성 요소는, 모든 기능 및 성질이 공통된다고는 할 수 없고,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기능 및 성질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33)의 축(33a)과 부시(36)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부시(36)는, 제1 핀(91)과, 제2 핀(92)을 더 갖는다. 제1 핀(91)은, 제1 스토퍼의 일례이다. 제2 핀(92)은, 제2 스토퍼의 일례이다. 제1 및 제2 스토퍼는, 제1 및 제2 핀(91, 92)에 한정되지 않고, 볼과 같은 다른 부재여도 된다.
제1 핀(91), 및 제2 핀(9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에 의해 만들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 핀(91, 92)은, 다른 재료에 의해 만들어져도 된다. 제1 핀(91) 및 제2 핀(92)은 각각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핀(92)의 반경은, 제1 핀(91)의 반경보다도 길다. 또한, 제1 및 제2 핀(91, 92)의 반경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부시(3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주면(71b)에, 제1 홈(95)이 설치된다. 제1 홈(95)은,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2 중심축 C2를 향하여 볼록한 대략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오목부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1 홈(95)은, 제2 중심축 C2에 평행으로 연장한다. Z축을 따르는 부방향에 있어서의 제1 홈(95)의 단부는, Z축을 따르는 부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면(71c)에 연통한다.
제2 내주면(62a)에, 복수의 제2 홈(96)이 설치된다. 복수의 제2 홈(96)은 각각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2 중심축 C2부터 방사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오목부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2 홈(96)은, 제2 중심축 C2에 평행으로 연장한다. Z축을 따르는 정방향 및 Z축을 따르는 부방향에 있어서의 제2 홈(96)의 단부는, Z축을 따르는 정방향 및 Z축을 따르는 부방향에 있어서의 제2 단부면(62c)에 연통한다.
제2 홈(96)과 같은 오목부나 돌기가 제2 내주면(62a)의 일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2 중심축 C2는, 오목부나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부분에 있어서의, 제2 구멍(81)의 중심을 통과한다. 또한, 오목부나 돌기가, Z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내주면(62a)의 전역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2 중심축 C2는, 제2 구멍(81)의 단면에 있어서의 원호상의 부분의 중심을 통과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구멍(81)의 단면이 복수의 원호상의 부분(제2 내주면(62a) 및 복수의 제2 홈(96))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중심축 C2는, 제2 구멍(81)의 무게 중심에 가장 가까운 중심을 갖는 원호상의 부분(제2 내주면(62a))의 중심을 통과한다.
상기의 기재에서는 제2 구멍(81)의 단면이 원형 또는 원호상의 부분을 갖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2 구멍(81)의 단면이 원호상의 부분을 갖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2 중심축 C2는, 오목부나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회전 대칭인 단면을 갖는 부분에 있어서의, 제2 구멍(81)의 대칭축을 통과한다. 또한, 오목부나 돌기가, Z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내주면(62a)의 전역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2 중심축 C2는, 제2 구멍(81)의 단면이 형성하는 가장 큰 회전 대칭 형상의 대칭축을 통과한다. 제2 구멍(81)의 형상이 상술한 모든 경우에도 들어맞지 않는 경우, 제2 중심축 C2는, 제2 구멍(81)의 단면의 무게 중심을 통과한다.
복수의 제2 홈(96)은, 제2 중심축 C2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제2 홈(96)의 각각의 반경은, 제1 홈(95)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또한, 제1 홈(95)의 반경 및 제2의 홈(96)의 각각의 반경은, 제1 핀(91)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제2 외주면(62b)에, 복수의 제3 홈(97)이 설치된다. 복수의 제3 홈(97)은 각각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3 중심축 C3을 향하여 볼록한 대략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오목부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3 홈(97)은, 제3 중심축 C3에 평행으로 연장한다. Z축을 따르는 정방향 및 Z축을 따르는 부방향에 있어서의 제3 홈(97)의 단부는, Z축을 따르는 정방향 및 Z축을 따르는 부방향에 있어서의 제2 단부면(62c)에 연통한다. 복수의 제3 홈(97)은, 제3 중심축 C3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제3 내주면(63a)에, 제4 홈(98)이 설치된다. 제4 홈(98)은,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3 중심축 C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오목부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4 홈(98)은, 제3 중심축 C3에 평행으로 연장한다. Z축을 따르는 정방향 및 Z축을 따르는 부방향에 있어서의 제4 홈(98)의 단부는, Z축을 따르는 정방향 및 Z축을 따르는 부방향에 있어서의 제3 단부면(63c)에 연통한다.
제4 홈(98)과 같은 오목부나 돌기가 제3 내주면(63a)의 일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3 중심축 C3은, 오목부나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부분에 있어서의, 제3 구멍(85)의 중심을 통과한다. 또한, 오목부나 돌기가, Z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3 내주면(63a)의 전역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3 중심축 C3은, 제3 구멍(85)의 단면에 있어서의 원호상의 부분의 중심을 통과한다. 제3 구멍(85)의 단면이 복수의 원호상의 부분(제3 내주면(63a) 및 제4 홈(98))을 포함하는 경우, 제3 중심축 C3은, 제3 구멍(85)의 무게 중심에 가장 가까운 중심을 갖는 원호상의 부분(제3 내주면(63a))의 중심을 통과한다.
상기의 기재에서는 제3 구멍(85)의 단면이 원형 또는 원호상의 부분을 갖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3 구멍(85)의 단면이 원호상의 부분을 갖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3 중심축 C3은, 오목부나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회전 대칭인 단면을 갖는 부분에 있어서의, 제3 구멍(85)의 대칭축을 통과한다. 또한, 오목부나 돌기가, Z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3 내주면(63a)의 전역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3 중심축 C3은, 제3 구멍(85)의 단면이 형성하는 가장 큰 회전 대칭인 형상의 대칭축을 통과한다. 제3 구멍(85)의 형상이 상술한 모든 경우에도 적합하지 않는 경우, 제3 중심축 C3은, 제3 구멍(85)의 단면의 무게 중심을 통과한다.
제4 홈(98)의 반경은, 제3 홈(97)의 각각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또한, 제3 홈(97)의 반경 및 제4 홈(98)의 각각의 반경은, 제2 핀(92)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제1 홈(95)과, 복수의 제2 홈(96) 중 하나가 대향함으로써, Z축을 따르는 부방향으로 적합한 제1 및 제2의 단부면(71c, 62c)에 연통되는 대략 원형 구멍이 형성된다. 제1 핀(91)이, 당해 구멍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의 홈(95, 96)에 끼워진다. 제1 핀(91)은, 대향하는 제1 홈(95) 및 제2의 홈(96)에 끼워짐으로써, 제2 구멍(81)에 수용된 제1 부재(61)가 제2 부재(62)에 대해 제2 중심축 C2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복수의 제3 홈(97) 중 하나와, 제4 홈(98)이 대향함으로써, Z축을 따르는 부방향으로 적합한 제2 및 제3 단부면(62c, 63c)에 연통되는 대략 원형 구멍이 형성된다. 제2 핀(92)이, 당해 구멍을 형성하는 제3 및 제4 홈(97, 98)에 끼워진다. 제2 핀(92)은, 대향하는 제3 홈(97) 및 제4 홈(98)에 끼워짐으로써, 제3 구멍(85)에 수용된 제2 부재(62)가 제3 부재(63)에 대해 제3 중심축 C3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상 설명된 제2 실시 형태의 공조기(10)에 있어서, 제1 핀(91)은, 대향하는 제1 외주면(71b)의 제1 홈(95)과 제2 내주면(62a)의 제2 홈(96)에 끼워짐으로써, 제2 구멍(81)에 수용된 제1 부재(61)가 제2 부재(62)에 대해 제2 중심축 C2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제2 핀(92)은, 대향하는 제2 외주면(62b)의 제3 홈(97)과 제3 내주면(63a)의 제4 홈(98)에 끼워짐으로써, 제3 구멍(85)에 수용된 제2 부재(62)가 제3 부재(63)에 대해 제3 중심축 C3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에 의해, 용접이나 접착 없음에, 용이하게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의 상대적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홈(95 내지 98)은, 예를 들어 압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부재(62)에 복수의 제2 홈(96) 및 복수의 제3 홈(97)이 설치된다. 그러나, 제1 부재(61)에 복수의 제1 홈(95)이 설치되고, 제3 부재(63)에 복수의 제4 홈(98)이 설치되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이하에,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부시(3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외주면(71b)에, 제1 볼록부(101)가 설치된다. 제1 볼록부(101)는,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2 중심축 C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돌기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볼록부(101)는, 제2 중심축 C2에 평행으로 연장한다.
제2 내주면(62a)에, 복수의 제1 오목부(102)가 설치된다. 제1 오목부(102)는,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2 중심축 C2부터 방사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대략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오목부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오목부(102)는, 제2 중심축 C2에 평행으로 연장한다. Z축을 따르는 정방향 및 Z축을 따르는 부방향에 있어서의 제1 오목부(102)의 단부는, Z축을 따르는 정방향 및 Z축을 따르는 부방향에 있어서의 제2 단부면(62c)에 연통한다.
복수의 제1 오목부(102)는, 제2 중심축 C2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제1 오목부(102)의 각각의 반경은, 제1 볼록부(101)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제1 볼록부(101)는, 제1 오목부(102)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외주면(62b)에, 복수의 제2 오목부(103)가 설치된다. 제2 오목부(103)는,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3 중심축 C3을 향하여 볼록한 대략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오목부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오목부(103)는, 제3 중심축 C3에 평행으로 연장한다. Z축을 따르는 정방향 및 Z축을 따르는 부방향에 있어서의 제2 오목부(103)의 단부는, Z축을 따르는 정방향 및 Z축을 따르는 부방향에 있어서의 제2 단부면(62c)에 연통한다. 복수의 제2 오목부(103)는, 제3 중심축 C3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제3 내주면(63a)에, 제2 볼록부(104)가 설치된다. 제2 볼록부(104)는, Z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제3 중심축 C3을 향하여 볼록한 대략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돌기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2 볼록부(104)는, 제3 중심축 C3에 평행으로 연장한다. 제2 볼록부(104)의 반경은, 제2 오목부(103)의 각각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제2 볼록부(104)는, 제2 오목부(103)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부재(61)의 통부(71)는, 제1 볼록부(101)가 복수의 제1 오목부(102) 중 하나에 빠지도록, 제2 부재(62)의 제2 구멍(81)에 수용된다. 제1 볼록부(101)와 복수의 제1 오목부(102) 중 하나는, 끼워 맞춤으로써, 제2 구멍(81)에 수용된 제1 부재(61)가 제2 부재(62)에 대해 제2 중심축 C2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즉, 제1 오목부(102)가 설치된 제2 부재(62)는, 제2 구멍(81)에 수용된 제1 부재(61)가 제2 부재(62)에 대해 제2 중심축 C2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제2 부재(62)는, 제2 볼록부(104)가 복수의 제2 오목부(103) 중 하나에 끼워지도록, 제3 부재(63)의 제3 구멍(85)에 수용된다. 제2 볼록부(104)와 복수의 제2 오목부(103) 중 하나는, 끼워 맞춤으로써, 제3 구멍(85)에 수용된 제2 부재(62)가 제3 부재(63)에 대해 제3 중심축 C3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즉, 제2 볼록부(104)가 설치된 제3 부재(63)는, 제3 구멍(85)에 수용된 제2 부재(62)가 제3 부재(63)에 대해 제3 중심축 C3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부시(3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외주면(71b)에 복수의 제1 오목부(102)가 설치되고, 제2 내주면(62a)에 제1 볼록부(101)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2 외주면(62b)에 제2 볼록부(104)가 설치되고, 제3 내주면(63a)에 복수의 제2 오목부(103)가 설치되어도 된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부시(3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1 외주면(71b)은, 제2 중심축 C2를 중심축으로 연장되는 대략 정이십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구멍(81)은, 제2 중심축 C2를 중심(대칭축)으로 하는 대략 정이십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이로 인해, 제2 내주면(62a)은, 제2 중심축 C2를 중심축으로 연장되는 대략 정이십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외주면(62b)은, 제3 중심축 C3을 중심축으로 연장되는 대략 정이십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 구멍(85)은, 제3 중심축 C3을 중심(대칭축)으로 하는 대략 정이십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이로 인해, 제3 내주면(63a)은, 제3 중심축 C3을 중심축으로 연장되는 대략 정이십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외주면(71b), 제2 내주면(62a), 제2 외주면(62b) 및 제3 내주면(63a)은, 원통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회전 대칭을 나타내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제2 내주면(62a)과 제1 외주면(71b)이 접촉함으로써, 제2 부재(62)는, 제2 구멍(81)에 수용된 제1 부재(61)가 제2 부재(62)에 대해 제2 중심축 C2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제3 내주면(63a)과 제2 외주면(62b)이 접촉함으로써, 제3 부재(63)는, 제3 구멍(85)에 수용된 제2 부재(62)가 제3 부재(63)에 대해 제3 중심축 C3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상 설명된 제3 실시 형태와 제3 실시 형태의 제1 및 제2 변형예의 공조기(10)에 있어서, 제2 부재(62)는, 제2 구멍(81)에 수용된 제1 부재(61)가 제2 부재(62)에 대해 제2 중심축 C2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제3 부재(63)는, 제3 구멍(85)에 수용된 제2 부재(62)가 제3 부재(63)에 대해 제3 중심축 C3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구멍(75)에 삽입 관통되는 축(33a)이, 제3 부재(63)에 설치되는 터보 팬(34)과 같은 회전체에 확실하게 토크를 작용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와 제3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의 공조기(10)에 있어서, 제1 외주면(71b) 및 제2의 내주면(62a)에 설치된 제1 볼록부(101) 및 복수의 제1 오목부(102) 중 하나는, 끼워 맞춤으로써, 제2 구멍(81)에 수용된 제1 부재(61)가 제2 부재(62)에 대해 제2 중심축 C2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제2 외주면(62b) 및 제3 내주면(63a)에 설치된 제2 볼록부(104) 및 복수의 제2 오목부(103) 중 하나는, 끼워 맞춤으로써, 제3 구멍(85)에 수용된 제2 부재(62)가 제3 부재(63)에 대해 제3 중심축 C3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에 의해, 용접이나 접착 없이, 용이하게 제1 내지 제3 부재(61 내지 63)의 상대적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부재의 제1 내주면의 제1 중심축은, 제1 외주면의 제2 중심축과 상이하다. 또한, 제2 부재의 제2 내주면의 제2 중심축은, 제2 외주면의 제3 중심축과 상이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중심축의 위치를 부시가 설치되는 회전체의 무게 중심과 일치시킬 수 있고, 회전체가 진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와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실시 형태는 하기의 기술을 포함한다.
[1]
제1 축을 갖는 제1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멍을 규정하는 제1 내주면과, 상기 제1 내주면의 반대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1 축과 상이한 제2 축을 갖는 제1 외주면을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외주면과 동축임과 함께 상기 제1 부재가 수용된 제2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구멍을 규정함과 함께, 상기 제1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2 내주면과, 상기 제2 내주면의 반대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2 축과 상이한 제3 축을 갖는 제2 외주면을 갖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외주면과 동축임과 함께, 상기 제2 부재가 수용된 제3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구멍을 규정함과 함께, 상기 제2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3 내주면을 갖는 제3 부재
를 구비하는, 부시.
[2]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축 주위에 상이한 복수의 각도로 상기 제1 부재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에 대한 상기 제3 축 주위에 상이한 복수의 각도로 상기 제2 부재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1]에 기재된 부시.
[3]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과, 상기 제3 축이 평행인, [1] 또는 [2]에 기재된 부시.
[4]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축과 상기 제3 축 사이의 거리와 동등한, [3]에 기재된 부시.
[5]
상기 제1 외주면은, 상기 제2 축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주면은, 상기 제2 축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외주면은, 상기 제3 축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내주면은, 상기 제3 축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시.
[6]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구멍에 수용된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상기 제2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3 구멍에 수용된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3 부재에 대해 상기 제3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시.
[7]
상기 제1 외주면에, 제1 볼록부 및 복수의 제1 오목부 중, 한쪽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내주면에, 상기 제1 볼록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오목부 중, 다른 쪽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외주면에, 제2 볼록부 및 복수의 제2 오목부 중, 한쪽이 설치되고,
상기 제3 내주면에, 상기 제2 볼록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 중, 다른 쪽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복수의 제1 오목부 중, 하나는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제2 구멍에 수용된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상기 제2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2 볼록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 중, 하나는,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제3 구멍에 수용된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3 부재에 대해 상기 제3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6]에 기재된 부시.
[8]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외주면에, 제1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내주면에, 제2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외주면에, 제3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3 내주면에, 제4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스토퍼는, 대향하는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2 구멍에 수용된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상기 제2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대향하는 상기 제3 홈 및 상기 제4 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3 구멍에 수용된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3 부재에 대해 상기 제3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시.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시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축을 갖고, 당해 축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력원
을 구비하는, 회전 기계.
[10]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시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축을 갖고, 당해 축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력원과,
상기 제3 부재에 접속되는 팬
을 구비하는, 공기 조절 장치.
10: 공기 조절 장치
33: 모터
33a: 축
34: 터보 팬
36: 부시
61: 제1 부재
62: 제2 부재
62a: 제2 내주면
62b: 제2 외주면
63: 제3 부재
63a: 제3 내주면
63b: 제3 외주면
71: 통부
71a: 제1 내주면
71b: 제1 외주면
75: 제1 구멍
81: 제2 구멍
85: 제3 구멍
91: 제1 핀
92: 제2 핀
95: 제1 홈
96: 제2 홈
97: 제3 홈
98: 제4 홈
101: 제1 볼록부
102: 제1 오목부
103: 제2 오목부
104: 제2 볼록부
C1: 제1 중심축
C2: 제2 중심축
C3: 제3 중심축
r12: 거리
r23: 거리

Claims (10)

  1. 제1 축을 갖는 제1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멍을 규정하는 제1 내주면과, 상기 제1 내주면의 반대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1 축과 상이한 제2 축을 갖는 제1 외주면을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외주면과 동축임과 함께 상기 제1 부재가 수용된 제2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구멍을 규정함과 함께, 상기 제1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2 내주면과, 상기 제2 내주면의 반대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2 축과 상이한 제3 축을 갖는 제2 외주면을 갖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외주면과 동축임과 함께, 상기 제2 부재가 수용된 제3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구멍을 규정함과 함께, 상기 제2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3 내주면을 갖는 제3 부재
    를 구비하는, 부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축 주위에 상이한 복수의 각도로 상기 제1 부재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에 대한 상기 제3 축 주위에 상이한 복수의 각도로 상기 제2 부재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부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과, 상기 제3 축이 평행인, 부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축과 상기 제3 축 사이의 거리와 동등한, 부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주면은, 상기 제2 축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주면은, 상기 제2 축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외주면은, 상기 제3 축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내주면은, 상기 제3 축 주위의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는, 부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구멍에 수용된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상기 제2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3 구멍에 수용된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3 부재에 대해 상기 제3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부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주면에, 제1 볼록부 및 복수의 제1 오목부 중, 한쪽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내주면에, 상기 제1 볼록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오목부 중, 다른 쪽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외주면에, 제2 볼록부 및 복수의 제2 오목부 중, 한쪽이 설치되고,
    상기 제3 내주면에, 상기 제2 볼록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 중, 다른 쪽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복수의 제1 오목부 중, 하나는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제2 구멍에 수용된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상기 제2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2 볼록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 중, 하나는,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제3 구멍에 수용된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3 부재에 대해 상기 제3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부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외주면에, 제1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내주면에, 제2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외주면에, 제3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3 내주면에, 제4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스토퍼는, 대향하는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2 구멍에 수용된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상기 제2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대향하는 상기 제3 홈 및 상기 제4 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3 구멍에 수용된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3 부재에 대해 상기 제3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부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부시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축을 갖고, 당해 축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력원
    을 구비하는, 회전 기계.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부시와,
    상기 제1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축을 갖고, 당해 축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력원과,
    상기 제3 부재에 접속되는 팬
    을 구비하는, 공기 조절 장치.
KR1020180025727A 2017-03-10 2018-03-05 부시,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 KR102036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46352 2017-03-10
JPJP-P-2017-046352 2017-03-10
JPJP-P-2017-178345 2017-09-15
JP2017178345A JP2018150924A (ja) 2017-03-10 2017-09-15 ブッシュ、回転機械、及び空気調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707A true KR20180103707A (ko) 2018-09-19
KR102036674B1 KR102036674B1 (ko) 2019-10-24

Family

ID=6368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727A KR102036674B1 (ko) 2017-03-10 2018-03-05 부시,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8150924A (ko)
KR (1) KR1020366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0202A (zh) * 2019-04-29 2019-07-19 苏州黑盾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精密空调蒸发风机组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43A (ja) * 1991-06-21 1993-01-08 Kurashiki Kako Co Ltd 弾性ブツシユ
JPH0835526A (ja) * 1994-07-25 1996-02-06 Fuji Electric Co Ltd トルク伝達装置
JPH09228993A (ja) * 1996-02-26 1997-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ロペラファン
JP2003049793A (ja) * 2001-08-06 2003-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ァン取付装置
JP2012092810A (ja) 2010-10-28 2012-05-17 Tokai Rubber Ind Ltd 回転ファンの製造方法
JP2016505124A (ja) * 2013-02-01 2016-02-18 リングフェーダー・パワー−トランスミッション・チャ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Ringfeder Power Transmission Tschan GmbH 弾性継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43A (ja) * 1991-06-21 1993-01-08 Kurashiki Kako Co Ltd 弾性ブツシユ
JPH0835526A (ja) * 1994-07-25 1996-02-06 Fuji Electric Co Ltd トルク伝達装置
JPH09228993A (ja) * 1996-02-26 1997-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ロペラファン
JP2003049793A (ja) * 2001-08-06 2003-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ァン取付装置
JP2012092810A (ja) 2010-10-28 2012-05-17 Tokai Rubber Ind Ltd 回転ファンの製造方法
JP2016505124A (ja) * 2013-02-01 2016-02-18 リングフェーダー・パワー−トランスミッション・チャ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Ringfeder Power Transmission Tschan GmbH 弾性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674B1 (ko) 2019-10-24
JP2018150924A (ja)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101292A5 (ko)
JP2018532059A (ja) 渦巻ファン組立構造及び据置型空気調和機
US20120118092A1 (en) Reducing mechanism and harmonic drive thereof
WO2014190780A1 (zh) 用于空调的送风装置和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20180103707A (ko) 부시,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
KR102123303B1 (ko) 설치 구조, 회전 기계 및 공기 조절 장치
JP6805082B2 (ja) 流量制御弁
CN108571473B (zh) 衬套、旋转机器、以及空气调节装置
JP6725467B2 (ja) 取付構造、回転機械、空気調節装置、及び調整方法
US11773862B2 (en) Impeller and centrifugal fan having the impeller
JP6466494B2 (ja) ブッシュ、回転機械、及び空気調節装置
WO2018025877A1 (ja) 両回転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18150910A (ja) 両吸込型遠心ファン
WO2021192093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7007404B2 (ja) ファン用の駆動アセンブリ及びファン用の駆動アセンブリを備えるファン
KR101798574B1 (ko) 방열용 송풍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208020138U (zh) 动力工具
JP5724380B2 (ja) 軸流ファン
JP2019094809A (ja) 送風装置
WO2023176126A1 (ja) 空気調和機
WO2022075087A1 (ja) 送風機
TWI660814B (zh) 裝配於機械手臂上的研磨套件
JP6898747B2 (ja) 空調装置用モータの取付構造
JP2021116812A (ja) ファン
JP2021116810A (ja) インペラ及びファ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