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501A - 홈 시네마 시스템 디바이스들 - Google Patents

홈 시네마 시스템 디바이스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501A
KR20180102501A KR1020180025776A KR20180025776A KR20180102501A KR 20180102501 A KR20180102501 A KR 20180102501A KR 1020180025776 A KR1020180025776 A KR 1020180025776A KR 20180025776 A KR20180025776 A KR 20180025776A KR 20180102501 A KR20180102501 A KR 20180102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television
audio signal
speakers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809B1 (ko
Inventor
롤프 굴데너
안톤 베르너 켈러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80102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 H04L12/4625Single bridge functionality, e.g. connection of two networks over a single bri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8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udi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8Distribution of signals with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involving splitting/multiplexing signals to/from different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1Multi-channel, i.e. more than two input channels, sound reproduction with two speakers wherein the multi-channel information is substantially preser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5Generation or adaptation of centre channel in multi-channel au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텔레비전(210, 310) 및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 330)는, 좌측 채널(L), 우측 채널(R) 및 중앙 채널(C)을 적어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렌더링하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함께 작동한다. 좌측 및 우측 채널은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 330)에 결합된 좌측 및 우측 스피커(340)에 의해 렌더링되는 한편, 중앙 채널은 텔레비전(210, 310)의 좌측 및 우측 스피커(215, 315)에 의해 렌더링된다. 텔레비전(210)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중앙 채널을 디코딩 및 렌더링하고, 오디오, 가능하게는 재인코딩된 좌측 및 우측 채널을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에 송신할 수 있다. 텔레비전(210)은 또한 오디오를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에 송신하고, 텔레비전 상에서의 렌더링을 위해 가능하게는 재인코딩된 중앙 채널을 리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홈 시네마 디바이스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가능하게는 재인코딩된 중앙 채널을 텔레비전에 제공할 수 있다. 대안책에서, 중앙 채널은 텔레비전에 결합된 사운드바에 의해 렌더링될 수 있다.

Description

홈 시네마 시스템 디바이스들{HOME CINEMA SYSTEM DEVICES}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홈 시네마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홈 시네마 시스템들에서의 사운드 렌더링(sound rendering)에 관한 것이다.
이 란은 이하에 설명되고/되거나 이하에 청구되는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양태들과 연관될 수 있는 관련 기술의 다양한 양태들을 독자에게 소개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본 논의는 독자에게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양태들의 보다 나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진술들이 종래 기술의 인정이 아니라 이런 관점에서 읽혀져야 한다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텔레비전 시청자들에게 더 나은 청취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한 가지 해결책은 흔히 소위 홈 시네마 또는 홈 시어터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동되는 외부 스피커들을 텔레비전에 추가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외부 스피커들은 텔레비전의 내부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의 역할을 대신한다. 2개 초과의 스피커들을 갖는 시스템들이 알려져 있으며 스피커들 및 베이스(bass) 스피커들의 수에 의해 흔히 명명되며, 예컨대 3.1은 3개의 스피커와 1개의 베이스 스피커를 나타내고, 5.1은 5개의 스피커와 1개의 베이스 스피커를 나타낸다. 다중 채널 시스템들의 다른 이름들은 앰비소닉스(Ambisonic) 또는 서라운드사운드(surroundsound)이다. 대개, 이러한 시스템들은 음성 명료성(speech intelligibility)을 위한 중앙 스피커를 포함한다.
종래의 홈 시네마(홈 시어터라고도 불림) 시스템들은 비디오를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 오디오를 렌더링하기 위해 다수의 스피커들로 보내질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증폭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스크린은 디바이스가 비디오를 투사하는 평평한 표면일 수 있지만, 또한 통상의 텔레비전의 스크린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홈 시네마 시스템들은 통상적으로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들을 통해 연결된 2개 이상의 디바이스들에 수용되지만, 때때로 추가적인 오디오 케이블들, 데이터 링크들 또는 이더넷 연결들이 이용된다.
HDMI는 다음과 같은 여러 부분들을 포함하는 표준에 설명된 오디오/비디오 인터페이스이다.
DDC: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isplay Data Channel)은 I2C 버스 사양을 기반으로 한 통신 채널이다. HDMI는 HDMI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E-EDID(Enhance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데이터를 판독하여 어떤 오디오/비디오 포맷들을 지원하는지 학습하기 위해 HDMI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향상된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Enhanced Display Data Channel: E-DDC)을 구현하기 위한 순응성 디바이스들을 필요로 한다.
CEC: 소비자 전자기기 제어(Consumer Electronics Control)는 이용자가 HDMI를 통해 연결된 최대 15개의 CEC-인에이블 디바이스에 명령하고 제어하게 하도록 설계된 HDMI 특징이다. 이는 원격 제어 신호들의 전송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CEC는 개별적인 CEC-인에이블 디바이스들이 이용자의 개입 없이 서로 명령하고 제어하게 한다. CEC는 양방향성이다.
TMDS: HDMI 상의 전환 최소화 차동 시그널링(Transition-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은 비디오 데이터 기간, 데이터 아일랜드 기간(Data Island Period) 및 제어 기간이라고 불리우는 세 가지 상이한 패킷 유형을 이용하여 비디오, 오디오 및 보조 데이터를 인터리빙한다. 비디오 데이터 기간 동안, 활성 비디오 라인의 픽셀들이 전송된다. (수평 및 수직 귀선 간격들 동안 발생하는) 데이터 아일랜드 기간 동안, 오디오 및 보조 데이터는 일련의 패킷들 내에서 전송된다. 제어 기간은 비디오 데이터 기간과 데이터 아일랜드 기간 사이에 발생한다. TMDS는 단방향성이다.
ARC: 오디오 역방향 채널(Audio Reverse Channel)은 TV와 A/V 수신기 또는 홈 시네마 사이의 다른 케이블들을 대체하기 위한 단방향성 오디오 링크이다. 이 방향은 TV가 다른 장비 대신에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의 소스일 때 이용된다. ARC가 없으면, TV로부터의 오디오 출력은 다른 케이블, 일반적으로 TOS-Link 또는 동축 케이블에 의해 스피커 시스템으로 라우팅되어야 한다. 이것은 추가적인 케이블을 이용한다.
HEC: HDMI-이더넷 채널(HDMI-Ethernet Channel)은 양방향성 이더넷 통신을 제공한다. 이것은 HEAC(HDMI Ethernet Audio Connection)를 위해 ARC와 결합된다.
홈 시네마 시스템들은 흔히 그들이 포함하는 스피커들의 수에 의해 식별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1 시스템(100)은, 일반적으로 스크린의 앞이나 위에서, 스크린(140)의 좌측에 있는 1개의 스피커(110), 스크린의 우측에 있는 1개의 스피커(112), 아래에 위치한 중앙 스피커(120), 및 베이스 스피커(130)(그 위치가 덜 엄격함)를 포함한다. 중앙 스피커(120) 및 베이스 스피커(130)는 동일한 물리적 유닛에 배치될 수 있다. 5.1 시스템은 2개의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7.1 시스템은 여기에 2개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종래의 홈 시네마 시스템들의 문제점은 비디오가 텔레비전 상에서 렌더링될 때 중앙 스피커를 배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바로 앞에는 지상에 공간이 없을 수 있으며, 몇몇 경우들에서는 스피커가 스크린을 차단할 수 있다.
중국 실용 신안 CN 200959634는 중앙 스피커로서 함께 동작하는 텔레비전의 내부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을 갖는 홈 시네마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 해결책은 홈 시네마 시스템과 이러한 스피커들을 하드 배선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 해결책은 지연, 불충분한 혼합 및 볼륨(volume)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가능한 문제점들에 대해 어떠한 해결책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홈 시네마 시스템들에서 중앙 스피커와 관련된 종래의 문제점들의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는 해결책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알 것이다.
제1 양태에서, 본 원리들은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텔레비전에 관한 것이며, 텔레비전은, 적어도 좌측 채널, 우측 채널 및 중앙 채널을 포함하는 제1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제1 스피커들 상에서의 렌더링을 위해, 디코딩된 중앙 채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코더, 및 제2 스피커들 상에서 사운드를 렌더링하기 위해, 디코딩된 좌측 채널 및 디코딩된 우측 채널을 인코딩하여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에 출력하기 위한 제2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인코더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서, 본 원리들은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텔레비전에 관한 것이며, 텔레비전은, 적어도 좌측 채널, 우측 채널 및 중앙 채널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제1 스피커들 상에서의 렌더링을 위해, 디코딩된 중앙 채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코더, 및 제2 스피커들 상에서 사운드를 렌더링하기 위해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서, 본 원리들은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텔레비전에 관한 것이며, 텔레비전은, 적어도 좌측 채널, 우측 채널 및 중앙 채널을 포함하는 제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유닛, 제2 스피커들 상에서 사운드를 렌더링하기 위해 제1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인터페이스, 및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로부터 제2 오디오 신호 - 제2 오디오 신호는 중앙 채널, 또는 중앙 채널로부터 획득되는 추가적인 좌측 채널 및 추가적인 우측 채널을 포함함 - 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피커 상에서의 렌더링을 위해 제2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채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코더를 포함한다.
제3 양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2 오디오 신호는 중앙 채널을 포함하며, 텔레비전은 제1 스피커들 중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 상에서의 렌더링을 위해 중앙 채널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서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2 오디오 신호는 추가적인 좌측 채널 및 추가적인 우측 채널을 포함하고, 디코더는 제1 스피커들 중에서 좌측 스피커에 디코딩된 추가적인 좌측 채널을 제공하고, 우측 스피커에 디코딩된 우측 채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1 내지 제3 양태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텔레비전은 제1 스피커들에 제공될 오디오 채널들의 사운드 처리를 위한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서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1 스피커들은 텔레비전의 내부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을 포함한다.
·제1 스피커들은 텔레비전 외부의 사운드바의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을 포함한다.
·제1 오디오 신호 또는 제2 오디오 신호는 제1 스피커들 중에서 베이스 스피커 상에서 렌더링될 베이스 채널을 더 포함한다.
제4 양태에서, 본 원리들은 텔레비전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는, 적어도 좌측 채널, 우측 채널 및 중앙 채널을 포함하는 제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채널들을 획득하며,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을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에 결합된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코더, 및 중앙 채널을 텔레비전에 출력하기 위한 제2 오디오 신호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된 인코더를 포함한다.
제5 양태에서, 본 원리들은 텔레비전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는, 적어도 좌측 채널, 우측 채널 및 중앙 채널을 포함하는 제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채널들을 획득하며,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을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에 결합된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코더, 중앙 채널을 처리하여 제2 좌측 채널 및 제2 우측 채널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서 유닛, 및 제2 좌측 채널 및 제2 우측 채널을 텔레비전에 출력하기 위한 제2 오디오 신호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된 인코더를 포함한다.
제4 및 제5 양태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디코더는 텔레비전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디코더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되며, 인코더는 비디오 신호를 텔레비전에 제공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디코더는 텔레비전 이외의 소스로부터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본 원리들의 바람직한 특징들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3.1 홈 시네마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원리들에 따른 홈 시네마 시스템의 제1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원리들에 따른 홈 시네마 시스템의 제2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원리들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제1 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원리들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제1 예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원리들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제1 예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원리들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제2 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원리들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제2 예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원리들에 따라 홈 시네마 디바이스에 대한 DDC 및 CEC를 이용하여 텔레비전에서 중앙 스피커 에뮬레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원리들에 따라 홈 시네마 디바이스에 대한 CEC를 이용하여 텔레비전에서 중앙 스피커 에뮬레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본 설명은 3.1 홈 시네마 시스템에서 본 원리들을 설명할 것이지만, 본 원리들은 5.1 및 7.1과 같은 다른 구성들에도 또한 적용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원리들에 따르면, 텔레비전은 홈 시네마 디바이스에 결합된다. 홈 시네마 디바이스에 연결된 스피커들은 우측 스피커 및 좌측 스피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며, 텔레비전의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은 홈 시네마 시스템의 중앙 스피커로서 오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는 홈 시네마 디바이스에 연결된 베이스 스피커에 의해 또는 텔레비전의 베이스 스피커에 의해 또는 둘 모두에 의해 렌더링될 수 있다.
홈 시네마 디바이스는 스피커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설명이 홈 시네마 시스템(또는 유사한 표현들)에 결합된 복수의 스피커들을 언급할 때, 이들 스피커들 중 적어도 하나는 홈 시네마 디바이스에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2는 본 원리들에 따른 홈 시네마 시스템(200)의 제1 예를 도시한다. 내부 스피커들(215)을 포함하는 텔레비전(210)은 안테나,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디코더 또는 셋톱 박스와 같은 시청각 콘텐츠의 소스(220), 및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에 결합되며,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는 예시적인 3.1 구성에서 (가능한 베이스 스피커를 세지 않은 경우) 2개인 복수의 스피커들(240)에 차례로 결합된다.
소스(220)는, 내부 스피커들(215) 상에서 사운드를 렌더링하는 텔레비전(210)에 오디오 또는 시청각 콘텐츠, 즉 오디오 및 비디오를 제공하고, 텔레비전(210)은 ARC 오디오 신호(250)를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에 제공하며, 이어서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는 복수의 오디오 신호들(260), 보통 스피커당 1개의 오디오 신호를 복수의 스피커들(240)에 보낸다. 텔레비전(210) 및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는 또한 예를 들어 소비자 전자기기 제어(CEC) 및 DDC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270)를 교환한다. CEC 및 ARC는 HDMI 버전 1.4 이상에서 정의된다. 제1 예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원리들에 따른 홈 시네마 시스템(300)의 제2 예를 도시한다. 내부 스피커들(315)을 포함하는 텔레비전(310)은 홈 시네마 디바이스(330)에 결합되고, 홈 시네마 디바이스(330)는 예시적인 3.1 구성에서 (가능한 베이스 스피커를 세지 않은 경우) 2개인 복수의 스피커들(340)에 차례로 결합된다. 제2 예에서, 홈 시네마 디바이스(330)는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셋톱 박스 또는 인터넷 연결과 같은 오디오 또는 시청각 콘텐츠의 소스(320)에 결합된다.
소스(320)는 시청각 콘텐츠, 즉 오디오 및 비디오를 홈 시네마 디바이스(330)에 제공하고, 홈 시네마 디바이스(330)는 복수의 오디오 신호들(360), 보통 스피커당 1개의 오디오 신호를 복수의 스피커들(340)에 제공하고, 텔레비전(310)의 내부 스피커들(315) 상에서의 렌더링을 위해 시청각 신호(350)를 텔레비전(310)에 제공한다. 텔레비전(310) 및 홈 시네마 디바이스(330)는 또한 예를 들어 소비자 전자기기 제어(CEC) 및 DDC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370)를 교환한다.
도 4는 본 원리들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예에서의 신호 흐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텔레비전(210)은 소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인코딩된 시청각 콘텐츠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코더(410)에서 인코딩된 시청각 콘텐츠를 디코딩하며, 일반적으로 오디오 및 비디오는 별도의 디코더들에서 디코딩된다. 디코딩된 비디오는 종래의 방식으로 텔레비전(210)의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로 출력된다. 그러나, 디코더는 또한 수신된 3.1 오디오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중앙 오디오 채널을 오디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420)에 보내도록 구성되고, 오디오 DSP(420)는 중앙 오디오 채널을 내부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215)에 각각 보내지는 내부 좌측 채널 및 내부 우측 채널로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이런 방식으로 내부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215)은 중앙 스피커를 에뮬레이팅한다. 또한, 디코더는 오디오 DSP(420)를 통해, 디코딩된 베이스 채널을 내부 베이스 스피커(215)로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코더는 또한 디코딩된 좌측 및 우측 채널들(및 가능하게는 디코딩된 베이스 채널)을 인코더(430)에 보내도록 구성되며, 인코더(430)는 차례로 이러한 채널들을 HDMI-ARC 신호와 같은 오디오 신호(250)로 인코딩하고 이 오디오 신호(250)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출력 오디오 신호(25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250)를 종래의 방식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된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용이며,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는 오디오 신호(250)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들을 획득하기 위한 디코더(440)를 포함하고,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들은 오디오 DSP(450)에 제공되며, 오디오 DSP(450)의 출력은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가 연결되는 복수의 스피커들(240)용의 복수의 오디오 신호들(260)이다. 이 예에서, 복수의 스피커들(240)은 좌측 스피커, 우측 스피커 및 가능하게는 베이스 스피커를 포함한다. 중앙 채널은 어떠한 신호도 갖지 않으며, 이에 따라 대응하는 출력은 자동으로 음소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오디오 DSP들(420, 450)은 입력 오디오 신호들을 혼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DSP들은 예를 들어 이용자의 설정들에 따라 모든 채널들에 대해 별도로 또는 상이한 오디오 채널들로부터의 성분들을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오디오를 균등화할 수 있다. DSP들은 예를 들어 립싱크를 달성하기 위해 오디오 채널들에 적용되는 지연을 추가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지연은 영(지연 없음을 의미)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수동으로 또는 가능하게는 HDMI 명령들을 통해 프로세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고정 지연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스피커용 사운드는 구현에 따라 텔레비전(210)의 베이스 스피커(215)에 의해 또는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에 연결된 베이스 스피커에 의해 렌더링될 수 있으며, 또한 양 베이스 스피커들 상에 베이스 스피커용 사운드를 렌더링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좌측 및 우측 채널들만이 활성화(베이스 및 중앙 채널들은 영으로 설정됨)되는 오디오 신호의 인코더에서의 재인코딩으로 인해,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는 외부 스피커들로 우측 및 좌측 오디오 채널들의 렌더링을 처리하기 위한 어떠한 CEC 정보도 수신할 필요가 없다. 동시에, 텔레비전은 그 내부 스피커들 상에서 중앙 채널(및 가능하게는 베이스 채널)을 자동으로 렌더링한다.
도 5에 도시된 대안예에서, 디코더(510)는 출력 인터페이스(530)를 통해, 수신된 인코딩된 3.1 오디오 신호를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의 디코더(540)로 보내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인코더(430)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텔레비전(210)에서, 오디오 DSP(520)는 도 4에서의 오디오 DSP(420)로서 기능하며, 홈 시네마 디바이스에서의 오디오 DSP(550)는 도 4에서의 오디오 DSP(450)로서 기능한다. 변형예는 HDMI ARC 연결(250)에 추가하여 CEC 연결(270)을 더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서의 실시예들에서, 디코더(210)가 중앙 채널(및 가능하게는 베이스 채널) 자체를 렌더링한다는 것을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에게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정보는 예를 들어 둘 모두가 HDMI 표준 버전 1.4 이상에서 구현되는 소비자 전자기기 제어(CEC) 또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DC)을 이용하여 보내질 수 있다. 수신된 정보로 인해,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는 텔레비전(210)에 의해 렌더링된 채널들을 음소거할 수 있다.
도 6은 본 원리들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예에서의 신호 흐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에서와 같이, 텔레비전(210)은 소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인코딩된 시청각 콘텐츠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코더(610)에서 적어도 인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를 디코딩하며, 디코딩된 비디오를 텔레비전(210)의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에 출력한다.
그러나, 디코더(610)는 출력 인터페이스(615)를 통해 예를 들어 HDMI-ARC 신호로서, 인코딩된 3.1 오디오 콘텐츠를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디코더(610)는 또한 텔레비전(210)이 중앙 채널(및 베이스 채널의 경우라면, 베이스 채널)을 렌더링할 것이라는 것을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에게 알리기 위해 예를 들어 CEC 또는 DDC를 이용하여 정보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디코더(620)를 포함한다. 텔레비전에 의해 렌더링 될 채널들에 관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는 디코더(620)는 가능하게는 오디오 DSP(640)를 통해 중앙 채널(및 가능하게는 베이스 채널)을 인코더(63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DSP(640)를 이용하는 것은 소스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오디오 채널들을 변경하는(예를 들어, 페이딩하는) 유연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인코더(630)는 중앙(및 가능하게는 베이스) 채널을 오디오 신호, 예를 들어 HDMI 오디오 신호로 인코딩하고 텔레비전(210)용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텔레비전(210)은 홈 시네마 디바이스(23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제2 디코더(650)를 포함하며, 오디오 신호는 처리되어 중앙 채널, 및 가능하게는 베이스 채널을 획득한다. 제2 디코더(650)는 디코딩된 오디오 채널들을 오디오 DSP(660)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오디오 DSP(660)는 처리된 채널들을 각각의 스피커들(215)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즉 중앙 채널을 내부 좌측 스피커 및 내부 우측 스피커에 제공하고, 가능하게는 베이스 채널을 내부 베이스 스피커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베이스 채널은 텔레비전의 베이스 스피커(215), 홈 시네마 디바이스에 연결된 베이스 스피커, 또는 이들 모두 상에서 렌더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오디오 DSP(640)는 중앙(및 가능하게는 베이스) 채널을 재구성된 좌측 및 우측 채널들(및 가능하게는 베이스 채널)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인코더는 이러한 채널들을 텔레비전(210)용의 출력인 2.0 또는 2.1 오디오 신호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제2 디코더(65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내부 좌측 스피커에 제공되는 재구성된 좌측 채널, 내부 우측 스피커에 제공되는 재구성된 우측 채널, 및 가능하게는 내부 베이스 스피커에 제공되는 베이스 채널로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DSP(640)를 이용함으로써, 텔레비전(210)의 내부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215)을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중앙 채널의 출력을 내부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로 전환하는 것이 텔레비전(210)에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원리들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예에서의 신호 흐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홈 시네마 디바이스(330)는 소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인코딩된 시청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홈 시네마 디바이스(330)에서의 디코더(710)는 오디오 신호의 적어도 좌측 채널, 우측 채널, 및 가능하게는 베이스 채널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채널들을 복수의 스피커들(340) 중 각각의 스피커들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디코더(710)는 또한 중앙(및 가능하게는 베이스) 채널을 디코딩하고 이를(또는 이들을) 오디오 DSP(72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오디오 DSP(720)는 채널(들)을 처리하고, 처리된 채널(들)을 인코더(730)에 제공하고 베이스 채널이 복수의 스피커들(340) 중 베이스 스피커에 의해 렌더링될 경우에는 그 베이스 스피커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코더(730)는 재혼합된 채널(들), 즉 중앙 채널 및 가능하게는 베이스 채널을 인코딩하고, 이러한 채널들을 신호(350, 370)에서 수신된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와 함께 2.0 또는 2.1 신호로서, 가능하게는 HDMI 신호로서 텔레비전(31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텔레비전(310)은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더(740)를 포함한다. 비디오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코딩되고 렌더링된다. 디코더(740)는 오디오 신호를 중앙 채널, 및 가능하게는 베이스 채널로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채널은 내부 베이스 스피커(315)에 제공될 수 있다. 수신된 신호(370)에서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디코더(740)는 또한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을 제공하는데 보통 이용되는 출력을 음소거하고, 처리된 중앙 채널을 내부 좌측 스피커와 내부 우측 스피커(315) 모두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DSP(750)에 중앙 채널을 대신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DSP(750)는 또한 베이스 채널을 처리하고 처리된 오디오를 베이스 스피커(315)에도 출력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대안예에서, 오디오 DSP(820)는 디코더(810)로부터 중앙 채널 및 베이스 채널을 수신하고, 중앙 채널(및 가능하게는 베이스 채널)을 처리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중앙 채널 대신에, 재구성된 좌측 채널(L') 및 재구성된 우측 채널(R')(및 가능하게는 베이스 채널(B))을 인코더(83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텔레비전(310)의 디코더(840)는 수신된 신호(370)에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종래의 방식으로 동작, 즉 (재구성된) 좌측 채널 및 (재구성된) 우측 채널을, 이러한 채널들을 처리하고 처리된 채널들을 내부 좌측 스피커에 및 내부 우측 스피커(315)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DSP(85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DSP(820)가 디코더(810)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원리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되고 출력되는 사운드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오디오 전용 소스에 대해서도 동작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원리들이 HEC(HDMI 이더넷 채널)를 이용하는 동안에도 동작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디코더가 적어도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인코더가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텔레비전 및 홈 시네마 디바이스가 소비자 전자기기 제어(CEC) 또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DDC)을 이용하여 사운드 렌더링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는 점을 이미 언급하였다. 이제 이에 대해 추가로 설명할 것이다.
텔레비전은 2개의 디바이스가 연결될 때(예를 들어, 전원 켜기, 또는 핫 플러깅으로도 불리우는 핫플러그 후에) 홈 시네마 디바이스에 액세스되고 제공될 DDC 테이블을 그 펌웨어에 저장할 수 있다. DDC 테이블에서의 필드들 및 정보는 HDMI 표준에 정의되어 있지만, 이 표준은 독점 정보를 허용하며, 향후 개발도 또한 가능하다.
본 원리들의 목적들을 위해, DDC 테이블은 다음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또한, 본 원리들은 2개의 새로운 CEC 명령을 이용하며, 이러한 명령들은 HDMI 표준 버전 1.4, CEC 부록에 의해 허용되지만, 미래의 HDMI 표준에서도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드 요청> ["중앙"]은 홈 시네마 디바이스가 텔레비전에서 중앙 스피커 에뮬레이션을 활성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TV 스피커를 중앙으로 설정> ["온"]은 텔레비전이 중앙 스피커 에뮬레이션이 활성화되는 것에 대해 응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9는 본 원리들에 따라 홈 시네마 디바이스에 대한 DDC 및 CEC를 이용하여 텔레비전에서 중앙 스피커 에뮬레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905)에서, 홈 시네마 디바이스는 텔레비전으로부터 DDC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910)에서, 이용자는 텔레비전 상에서 중앙 스피커 에뮬레이션을 개시하고, 단계(915)에서 텔레비전은 <시스템 오디오 모드 요청> [물리적 주소] 메시지를 홈 시네마 디바이스에 보낸다. 이용자가 중앙 스피커 에뮬레이션을 이미 활성화한 경우에는, 단계(910)가 수행되지 않으며, 단계(915)가 자동으로 수행된다. 이에 응답하여, 홈 시네마 디바이스는 단계(920)에서 그 입력을 물리적 주소로 전환하고, 단계(930)에서 그 스피커들을 음소거 해제한다. 단계들(910-930)은 HDMI 1.4 표준의 279 페이지, CEC 도 26에 설명되어 있다.
단계(935)에서, 홈 시네마 디바이스는 <스피커 모드 요청 > ["중앙"]을 텔레비전에 보내어 텔레비전에서 중앙 스피커 에뮬레이션을 활성화하게 한다. 텔레비전은 단계(950)에서 그 스피커들을 음소거 해제하고, 단계(955)에서 <TV 스피커를 중앙으로 설정> ["온"]을 회신하여 중앙 스피커 에뮬레이션이 활성화되었음을 홈 시네마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이어서, 이용자는 예를 들어 단계(960)에서 볼륨을 증가시켜 출력을 제어하고, 이것은, HDMI 1.4 표준의 282 페이지, CEC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965)에서 텔레비전이 <이용자 제어 누르기> [볼륨 업] 메시지를 홈 시네마 시스템 등에게 보내게 한다.
도 10은 본 원리들에 따라 홈 시네마 디바이스에 대한 CEC를 이용하여 텔레비전에서 중앙 스피커 에뮬레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이것은 DDC가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때 텔레비전에서 중앙 스피커 에뮬레이션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 방법은 도 9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단계들(910-940)로 시작한다.
이어서, 홈 시네마 시스템은 단계(1042)에서 <스피커 요청> 방송 메시지를 텔레비전에 보내어 적어도 그 에뮬레이션 능력들에 관해 텔레비전에 질의한다. 텔레비전이 중앙 스피커를 에뮬레이팅할 수 있는 경우, 텔레비전은 단계(1044)에서 <스피커 응답> ["중앙"]을 회신하여 홈 시네마 시스템에게 이 능력을 알린다. 이어서, 홈 시네마 시스템은 단계(1045)에서 <스피커 모드 요청> ["중앙"]을 텔레비전에 보내어 텔레비전에서 중앙 스피커 에뮬레이션을 활성화하게 한다. 텔레비전은 단계(1050)에서 그 스피커들을 음소거 해제하고, 단계(1055)에서 <TV 스피커를 중앙으로 설정> ["온"]을 회신하여 중앙 스피커 에뮬레이션이 활성화되었음을 홈 시네마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단계들(1045-1055)은 도 9에서의 단계들(945-955)과 유사하다.
도 9에서와 같이, 이용자는 이어서 예를 들어 단계(1060)에서 볼륨을 증가시켜 출력을 제어하고, 이것은, HDMI 1.4 표준의 282 페이지, CEC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1065)에서 텔레비전이 <이용자 제어 누르기> [볼륨 업] 메시지를 홈 시네마 시스템 등에게 보내게 한다.
중앙 스피커는 또한 예를 들어 사운드바와 같이 텔레비전 이외의 디바이스에 의해 에뮬레이팅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 경우, 렌더링을 위해 중앙 채널을 보내는 디바이스, 즉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텔레비전,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홈 시네마 디바이스는 중앙 채널을 이러한 다른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텔레비전은 홈 시네마 디바이스로부터 중앙 채널을 수신하는 경우에도 중앙 채널을 다른 디바이스에 출력할 수 있다.
설명 전반에 걸쳐, 유선 HDMI가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용되었지만, 다른 적합한 기술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원리들은 무선 HDMI 버전에 특히 적합하지만, 광 HDMI 버전에서도 또한 동작할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도시된 디바이스들이 간결함으로 인해 매우 단순화되었으며 실제 디바이스들은 내부 연결들 및 전원 공급 디바이스들과 같은 피쳐들을 추가로 포함할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원리들은 홈 시네마 시스템에서 텔레비전에 의한 중앙 스피커 에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들은 다양한 형태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요소들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적합하게 프로그래밍된 범용 디바이스들 상에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본 명세서에서, "결합된(coupled)"이라는 문구는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도록 정의된다. 이러한 중간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반 구성요소들 양쪽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설명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들을 예시한다. 따라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지만, 본 개시 내용의 원리들을 구체화하며 그것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배열들을 안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알 것이다.
본 명세서에 열거되는 모든 예들 및 조건부 언어는 독자로 하여금 본 발명자가 관련 기술분야의 증진을 위해 기여한 본 개시 내용의 원리들 및 개념들을 이해하는 것을 도울 교육적 목적들로 의도된 것으로, 이러한 구체적으로 열거되는 예들 및 조건들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욱이, 본 개시 내용의 원리들, 양태들 및 실시예들뿐만 아니라 그것의 구체적인 예들을 언급하는 본 명세서에서의 모든 진술들은 그것의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 양쪽 모두를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등가물들은 현재 알려져 있는 등가물들뿐만 아니라 미래에 개발되는 등가물들, 즉 구조에 상관없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개발되는 임의의 요소들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제시된 블록도들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들을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도들을 표현한다는 점을 알 것이다. 유사하게, 임의의 순서도들, 흐름도들, 상태 전이도들, 의사코드 등은 실질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표현될 수 있고, 그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든 아니든 간에,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그렇게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처리들을 표현한다는 점을 알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합한 소프트웨어에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이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들은, 단일의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단일의 공유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의 명시적 이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만을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스토리지를 묵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및/또는 맞춤형의 기타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스위치들은 단지 개념적인 것이다. 그들의 기능은 프로그램 로직의 동작을 통해, 전용 로직을 통해, 프로그램 제어 및 전용 로직, 계산, 인에이블링/디스에이블링의 상호작용을 통해, 또는 심지어 수동으로 실행될 수 있는데, 특정한 기법은 맥락상 더 구체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구현자에 의해 선택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명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임의의 요소는, 예를 들어, a)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요소들의 조합, 또는 b)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합한 회로와 조합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식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 내용은, 다양한 언급된 수단들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성들이 청구범위가 요구하는 방식으로 함께 조합되고 합쳐진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따라서, 그러한 기능성들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것들과 등가인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14)

  1.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23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텔레비전(210)으로서,
    적어도 좌측 채널(L), 우측 채널(R) 및 중앙 채널(C)을 포함하는 제1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제1 스피커들(215) 상에서의 렌더링을 위해, 디코딩된 중앙 채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코더(410); 및
    제2 스피커들(240) 상에서 사운드를 렌더링하기 위해, 디코딩된 좌측 채널 및 디코딩된 우측 채널을 인코딩하여 상기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230)에 출력하기 위한 제2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인코더(430)
    를 포함하는 텔레비전(210).
  2.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23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텔레비전(210)으로서,
    적어도 좌측 채널(L), 우측 채널(R) 및 중앙 채널(C)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제1 스피커들(215) 상에서의 렌더링을 위해, 디코딩된 중앙 채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코더(510); 및
    제2 스피커들(240) 상에서 사운드를 렌더링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23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인터페이스(530)
    를 포함하는 텔레비전(210).
  3.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23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텔레비전(210)으로서,
    적어도 좌측 채널(L), 우측 채널(R) 및 중앙 채널(C)을 포함하는 제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유닛(610);
    제2 스피커들(240) 상에서 사운드를 렌더링하기 위해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를 상기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23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인터페이스(615); 및
    상기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230)로부터 제2 오디오 신호 -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는 상기 중앙 채널(C), 또는 상기 중앙 채널로부터 획득되는 추가적인 좌측 채널 및 추가적인 우측 채널을 포함함 - 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피커(215) 상에서의 렌더링을 위해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채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코더(650)
    를 포함하는 텔레비전(2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는 상기 중앙 채널(C)을 포함하고, 상기 텔레비전(210)은 상기 제1 스피커들(215) 중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 상에서의 렌더링을 위해 상기 중앙 채널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서 유닛(660)을 더 포함하는 텔레비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는 상기 추가적인 좌측 채널 및 상기 추가적인 우측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코더(650)는 상기 제1 스피커들(215) 중에서 좌측 스피커에 디코딩된 추가적인 좌측 채널을 제공하고, 우측 스피커에 디코딩된 우측 채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텔레비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들(215)에 제공될 오디오 채널들의 사운드 처리를 위한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서 유닛(420, 520, 660)을 더 포함하는 텔레비전(210).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들(215)은 상기 텔레비전(210)의 내부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텔레비전(210).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들(215)은 상기 텔레비전(210) 외부의 사운드바의 좌측 및 우측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텔레비전(210).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는 상기 제1 스피커들(215) 중에서 베이스 스피커 상에 렌더링될 베이스 채널(B)을 더 포함하는 텔레비전(210).
  10. 텔레비전(210, 31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230, 330)로서,
    적어도 좌측 채널(L), 우측 채널(R) 및 중앙 채널(C)을 포함하는 제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채널들을 획득하고, 상기 좌측 채널 및 상기 우측 채널을 상기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에 결합된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34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코더(620, 710); 및
    상기 중앙 채널을 상기 텔레비전(210, 310)에 출력하기 위한 제2 오디오 신호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된 인코더(630, 730)
    를 포함하는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230, 330).
  11. 텔레비전(210, 31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230, 330)로서,
    적어도 좌측 채널(L), 우측 채널(R) 및 중앙 채널(C)을 포함하는 제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채널들을 획득하고, 상기 좌측 채널 및 상기 우측 채널을 상기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에 결합된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34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코더(620, 810);
    상기 중앙 채널을 처리하여 제2 좌측 채널 및 제2 우측 채널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사운드 프로세서 유닛(640, 820); 및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을 상기 텔레비전(210)에 출력하기 위한 제2 오디오 신호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된 인코더(630, 830)
    를 포함하는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230, 330).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620)는 상기 텔레비전(210)으로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710, 810)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상기 인코더(730, 830)는 상기 비디오 신호를 상기 텔레비전(310)에 제공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33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710, 810)는 상기 텔레비전(310) 이외의 소스로부터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운드 렌더링 디바이스(330).
KR1020180025776A 2017-03-07 2018-03-05 홈 시네마 시스템 디바이스들 KR102464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305239.0A EP3373595A1 (en) 2017-03-07 2017-03-07 Sound rendering with home cinema system and television
EP17305239.0 2017-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501A true KR20180102501A (ko) 2018-09-17
KR102464809B1 KR102464809B1 (ko) 2022-11-07

Family

ID=5836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776A KR102464809B1 (ko) 2017-03-07 2018-03-05 홈 시네마 시스템 디바이스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560794B2 (ko)
EP (2) EP3373595A1 (ko)
JP (2) JP2018148563A (ko)
KR (1) KR102464809B1 (ko)
CN (1) CN1085748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871A1 (ko) * 2020-10-28 2022-05-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1935B2 (en) 2018-09-18 2020-12-22 Roku, Inc. Audio cancellation and content recognition of audio received over HDMI/ARC
US10812751B2 (en) 2018-09-18 2020-10-20 Roku, Inc. Dynamically switching to/from a first network during audio playback over HDMI/ARC
KR102630446B1 (ko) 2019-08-02 202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오디오 장치의 제어 방법
CN111866672B (zh) * 2020-08-03 2021-03-30 苏州索迩电子技术有限公司 屏幕发声装置、方法、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15002649A (zh) * 2022-05-19 2022-09-02 惠州视维新技术有限公司 声场均衡调整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174999B (zh) * 2022-05-25 2023-12-19 楼培德 基于未来网络的真4k家庭影院5g网络点播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2253B1 (en) * 1999-05-22 2007-05-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ome entertainment system audio handling
WO2010025200A1 (en) * 2008-09-01 2010-03-04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s for television integrated surround sou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4685A (ja) * 1992-02-28 1993-09-21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
US6853732B2 (en) 1994-03-08 2005-02-08 Sonics Associates, Inc. Center channel enhancement of virtual sound images
JPH1079896A (ja) * 1996-09-02 1998-03-24 Sony Corp テレビ受像機
US7003119B1 (en) 1997-05-19 2006-02-21 Qsound Labs, Inc. Matrix surround decoder/virtualizer
CN1139301C (zh) * 1997-11-14 2004-02-18 W·威福斯(美国)公司 放大后立体声-环绕声解码电路
JP2002064900A (ja) * 2000-08-18 2002-02-28 Sony Corp 多チャンネル音響信号再生装置
KR100522593B1 (ko) * 2002-07-08 200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채널 입체음향 사운드 생성방법 및 장치
US8054980B2 (en) 2003-09-05 2011-11-08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ndering audio information to virtualize speakers in an audio system
KR20050069344A (ko) * 2003-12-31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시어터 겸용 스피커 시스템을 갖는 티브이
CN100512401C (zh) * 2005-06-15 2009-07-08 海尔集团公司 一种电视机的声音处理装置及电视机
JP4487316B2 (ja) * 2005-09-21 2010-06-23 オンキヨー株式会社 映像信号並びにマルチチャネル音声信号の伝送信号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映像音声再生システム
FR2895869B1 (fr) * 2005-12-29 2008-05-23 Henri Seydoux Systeme de distribution sans fil d'un signal audio entre une pluralite d'enceintes actices
CN200959634Y (zh) 2006-09-15 2007-10-10 季俊 家庭影院系统
US8489136B2 (en) * 2007-01-05 2013-07-16 Aliphcom Wireless link to transmit digital audio data between devices in a manner controlled dynamically to adapt to variable wireless error rates
JP5240491B2 (ja) * 2007-06-26 2013-07-17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8839342B2 (en) * 2007-09-21 2014-09-16 Aliphcom Audio video system with embedded wireless host and wireless speakers
US7929446B2 (en) * 2008-01-04 2011-04-19 Radiient Technologies, Inc. Mesh network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JP2009272791A (ja) * 2008-05-02 2009-11-19 Sony Corp 送信装置、情報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338166B2 (ja) * 2008-07-16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立体画像データ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受信方法
US8718285B2 (en) * 2009-03-26 2014-05-06 Panasonic Corporation Decoding device, coding and decoding device, and decoding method
CN201438730U (zh) * 2009-07-29 2010-04-14 北京海尔集成电路设计有限公司 一种可以播放5.1声道音频的电视
WO2011039413A1 (en) 2009-09-30 2011-04-07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EP2485484B1 (en) * 2009-09-30 2016-09-21 Panasonic Corporation Home theater system, audio/video playback device, audio output control device, and volume control method
KR101567461B1 (ko) * 2009-11-16 2015-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채널 사운드 신호 생성 장치
CN102447996B (zh) * 2010-10-09 2015-08-19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声音频系统及视听设备
US9794715B2 (en) 2013-03-13 2017-10-17 Dts Llc System and methods for processing stereo audio content
WO2015009748A1 (en) * 2013-07-15 2015-01-22 Dts, Inc. Spatial calibration of surround sound systems including listener position estimation
US9374640B2 (en) * 2013-12-06 2016-06-21 Bradley M. Starobi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center channel performance in a single enclosure multi-element loudspeaker line array
US9832524B2 (en) * 2014-11-18 2017-11-28 Caavo Inc Configuring television speakers
CN204425629U (zh) * 2015-01-22 2015-06-24 邹士磊 前置环绕型多声道音响系统
US9747923B2 (en) * 2015-04-17 2017-08-29 Zvox Audio, LLC Voice audio rendering augmentation
US10318097B2 (en) * 2015-09-22 2019-06-11 Klipsch Group, Inc. Bass management for home theater speaker system and hub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2253B1 (en) * 1999-05-22 2007-05-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ome entertainment system audio handling
WO2010025200A1 (en) * 2008-09-01 2010-03-04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s for television integrated surround sound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871A1 (ko) * 2020-10-28 2022-05-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48563A (ja) 2018-09-20
JP7455944B2 (ja) 2024-03-26
US20200137505A1 (en) 2020-04-30
JP2023036775A (ja) 2023-03-14
US20180262855A1 (en) 2018-09-13
EP3373596A2 (en) 2018-09-12
US10834515B2 (en) 2020-11-10
EP3373595A1 (en) 2018-09-12
EP3373596A3 (en) 2018-11-07
US10560794B2 (en) 2020-02-11
KR102464809B1 (ko) 2022-11-07
CN108574873A (zh) 201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55944B2 (ja) ホームシネマシステムデバイス
US8903523B2 (en) Audio processing device, audio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70078739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hdmi
CN107548558B (zh) 源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宿装置及其图像质量改善处理方法
US8923526B2 (en) Audio device
US8717503B2 (en) Audio output device connectable with plurality of devic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WO2008013131A1 (ja) Av機器
US20120133829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and audio reproduction method, and video/audio synchronous control system
US9894411B1 (en) Method for configuring a television audio format, method for transparently transmitting audio and television
US11956497B2 (en) Audio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80069576A (ko) 영상제공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영상제공시스템
WO2015154496A1 (zh) 一种自适应音频输出的方法、装置、音频发送端及系统
US9693109B1 (en) Configurable media processing based on mapping of remote controller buttons
US10219028B2 (en) Display, display device, player, playing device, and playing display system
US10547660B2 (en) Advertising media processing capabilities
US20110131616A1 (en) Terminal device, media processing apparatus connected to termi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00132801A (ko)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BR102020025848A2 (pt) Equipamento decodificador com dois links de áudio
KR20210068953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11916A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WO2009144788A1 (ja) 音声出力機能を備えた映像表示装置、該映像表示装置で行う音量制御方法
CN113473237B (zh) 一种视频通话方法、装置及设备
KR102255141B1 (ko) 수신부가 구비된 빔 프로젝터
JP5127992B2 (ja)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音声再生装置及び音声再生方法
CN116546163A (zh) 基于云服务平台的视频控制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