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576A - 영상제공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영상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제공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영상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576A
KR20180069576A KR1020160171890A KR20160171890A KR20180069576A KR 20180069576 A KR20180069576 A KR 20180069576A KR 1020160171890 A KR1020160171890 A KR 1020160171890A KR 20160171890 A KR20160171890 A KR 20160171890A KR 20180069576 A KR20180069576 A KR 20180069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video signal
frame rate
communication interface
re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6030B1 (ko
Inventor
변정문
정유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030B1/ko
Priority to EP17204876.1A priority patent/EP3337173A1/en
Priority to US15/841,570 priority patent/US10306179B2/en
Priority to CN201711340734.4A priority patent/CN108235077B/zh
Publication of KR20180069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by changing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e.g. frame rate conver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25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display capabilities, e.g. screen resolution of a mobile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one of the standards being a high definition standard

Abstract

영상 제공 장치가 개시된다. 본 영상 제공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사양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기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제1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제공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영상제공시스템 { IMAGE PROVIDING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IMAGE PROVIDING SYSTEM }
본 개시는 영상제공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영상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에 따라 인코딩을 수행하는 영상제공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영상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 TV는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스 기기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었다.
종래의 소스 기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였다. 그 이유는 소스 기기는 영상 신호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프레임 레이트대로 인코딩을 수행해야 최적 화질의 영상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스 기기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에 맞추기 위한 프레임 레이트 변환(FRC) 과정을 반드시 수행해야 했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뿐만 아니라, 해상도 변환 처리 등 다양한 화질 처리의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이러한 화질 처리 과정을 거쳐야 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 신호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에 따라 인코딩을 수행하는 영상제공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영상제공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상기 기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제1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와 다른 제2 프레임 레이트로 상기 기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인코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해상도를 갖는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해상도와 다른 제2 해상도로 상기 기설정된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인코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신호의 고유 프레임 레이트 및 고유 해상도를 적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거나,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인코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의 인코딩시 적용된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은,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Universal Serial Bus), WiFi(Wireless Fidelity), UWB(ultra wideband), WiDi(WirelessDisplay), WiHD(WirelessHD),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Miracast 또는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제1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은,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영상 제공 장치와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제1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영상 제공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영상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여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 레이트가 적용되어 인코딩된 영상 신호이면,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를 미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가 적용되어 인코딩된 영상 신호이면,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해상도 변환 처리를 미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며, 상기 영상 제공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영상 제공 장치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기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제1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생성된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와 다른 제2 프레임 레이트로 상기 기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인코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제1 해상도로 생성된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해상도와 다른 제2 해상도로 상기 기설정된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인코딩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 영상 신호의 인코딩시 적용된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제공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 처리 패스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제공 시스템(1000)은 영상 제공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한다.
영상 제공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서로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은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을 포함한다.
영상 제공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될 영상 신호를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영상 신호를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신호를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인코딩한다는 것은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영상 신호를 변환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와 같은 영상 제공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제공장치(100)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 정보를 영상 제공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제공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제공장치(100)에서 영상 신호 인코딩시 적용한 프레임 레이트 또는 해상도에 기초하여,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별도의 화질 처리 없이 표시하거나,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해상도 조절, 프레임 레이트 조절 등과 같은 화질 처리를 수행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체적인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1000)에선 영상 제공장치(100)측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수행하여야 할 화질 처리인 해상도 변경 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 등을 대신할 수 있는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보다 빠르게 영상 신호가 재생될 수 있다. 특히, 영상 제공장치(100)에서 표시중인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그대로 보여주는 미러링 기술에 본 개시를 적용하면 영상 제공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간의 영상 신호 표시 딜레이가 현저히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에선 영상 제공 시스템(1000)이 한 대의 영상 제공장치(100)와 한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적어도 하나의 영상 제공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영상 제공장치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도 2에 다양한 조합 중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시스템(1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제공 시스템(1000')은 영상 제공장치(100)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200'-4)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200'-4)는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영상 제공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200'-4)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제공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200'-4) 중 적어도 하나의 사양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200'-4)에 표시될 영상 신호를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영상 신호를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200'-4) 중 적어도 하나,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1)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1)는 영상 제공장치(100)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200'-4) 중 적어도 하나의 사양 정보를 영상 제공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200'-4)의 사양이 동일한 경우라면, 한 장치의 사양 정보가 전송되고, 사양이 서로 다른 경우라면 각각의 사양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1)는 영상 제공장치(10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0'-1)로 입력된 영상 신호는 케스케이드(cascade)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200'-4) 각각은 입력 받은 영상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또는 어느 한 장치에서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다른 장치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200'-4) 각각은 영상 제공장치(100)에서 영상 신호를 인코딩할 때 적용한 프레임 레이트 또는 해상도에 기초하여,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별도의 화질 처리 없이 표시하거나,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해상도 조절, 프레임 레이트 조절 등과 같은 화질 처리를 수행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어느 한 장치에서 화질 처리 과정을 완료하여, 다른 장치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200'-4) 각각은 디스플레이 시스템(200') 상에서의 자신의 배치 위치에 근거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 중 일부 영상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200'-4) 각각에서 표시된 영상 이 조합되면 도 2와 같이 하나의 전체 영상을 구성하게 된다. 다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200'-4) 각각은 서로 동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선 영상 제공장치(10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200'-4) 중 어느 하나의 장치와만 통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현 시에는 2 이상의 장치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영상 제공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00'-2, 200'-3, 200'-4) 각각으로 병렬적으로 인코딩된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제공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도 3에서는 영상 제공장치(100)가 태블릿 PC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데스크톱 PC, 게임기 등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영상 신호 전송이 가능한 장치이면 무엇이든 무방하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기 설정된 통신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통신 방식은,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Universal Serial Bus), WiFi(Wireless Fidelity), UWB(ultra wideband), WiDi(WirelessDisplay), WiHD(WirelessHD),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Miracast 또는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 등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영상 신호와 함께 오디오 신호도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영상 제공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양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아닌 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 정보는 영상 제공장치(10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ex. 게임 모드, 영화 모드 등)에 대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상태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양 정보와 상기 상태 정보는 하나의 정보 형태로 수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20)는 영상 제공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영상 신호 전송이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할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는데 기반이 되는 인코딩 정보(또는 인코딩 스펙)를 결정할 수 있다. 인코딩 정보는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비트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가, 영상 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를 빨리 표시할 필요가 있는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영상 신호 전송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에 대응되도록 인코딩 정보를 결정한다.
영상 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를 빨리 표시할 필요가 있는 모드는 예컨대, 사용자의 실시간 인터렉션에 대응하여 영상 제공장치(100)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된 영상 신호(ex. 게임 영상 신호 또는 화상통화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되어 표시되는 모드를 포함한다. 즉, 상기 모드는 영상 제공장치(100)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가 딜레이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한 모드를 의미한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ex. 게임모드, 화상통화모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영상 신호의 특성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영상 신호가 게임 영상 신호 또는 화상통화 영상 신호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가 영상 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를 빨리 표시할 필요가 있는 모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영상 신호 전송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에 대응되도록 결정된 인코딩 정보에 따라 영상 신호를 인코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 정보를 취득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양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상도 및 프레임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영상 신호 전송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도록 영상 신호를 인코딩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및 영상 '제공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통신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비트 레이트로 영상 신호를 인코딩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해상도 또는 프레임 레이트 중 어느 하나만 적용하여 인코딩을 수행할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 모두를 적용하여 인코딩을 수행할지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가 영상 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를 빠르게 표시하는 것에 최우선권이 설정된 모드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 모두를 적용하여 영상 신호를 인코딩할 수 있다. 본 경우는 예컨대, 게임 영상 신호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영상 신호가 딜레이 없이 표시되는 것이 중요한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가, 영상 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를 빠르게 표시하는 것과 영상 신호의 화질을 보장하는 것에 동등한 우선권이 설정된 모드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또는 프레임 레이트 중 어느 하나만 적용하여 영상 신호를 인코딩할 수 있다. 본 경우는 예컨대, 화상통화의 경우와 같이, 영상 신호가 딜레이 없이 표시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통화 상대방의 모습도 좋은 화질로 볼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방식에 따라 인코딩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제공장치(100)에서 이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에 맞는 화질로 인코딩된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되는 것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선 영상 신호 디코딩 이후에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 또는 해상도 변환 처리가 수행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보다 빠르게 영상 신호가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가, 영상 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를 빨리 표시할 필요가 있는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예컨대 일반 모드, 또는 영화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영상 신호 전송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 및 영상 신호 고유의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인코딩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인코딩 정보에 따라 영상 신호를 인코딩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가, 영상 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를 빨리 표시할 필요가 있는 모드가 아닌 경우에 영상 신호 고유의 해상도 및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인코딩 정보를 결정하는 이유는, 영상 신호 고유의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로 인코딩을 수행해야 최적 화질의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고, 또한,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 또는 해상도 변환 처리와 같은 화질 처리 성능이 영상 제공장치(100)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우수한 경우에 있어선, 영상 제공장치(100)에서 인코딩시 화질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화질 처리가 이루어져야 더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선, 프로세서(12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여 인코딩 정보를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은 생략되고, 프로세서(120)는 모든 영상 신호에 대해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에 대응되도록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인코딩된 영상 신호와 함께, 영상 신호의 인코딩시 적용된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인코딩된 영상 신호와 함께 그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영상 제공장치(100) 상에서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선 화질에 관한 요소로서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화질에 관한 다른 요소에 대해서도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장치 (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의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선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제공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프로세서(120), 디스플레이(130), 저장부(140), 인코딩부(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 마이크(170), 카메라(180), 스피커(18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Universal Serial Bus), WiFi(Wireless Fidelity), UWB(ultra wideband), WiDi(WirelessDisplay), WiHD(WirelessHD),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Miracast 또는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 등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인코딩된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HDMI로 통신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HDMI로 전송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하도록 인코딩부(150)를 제어하고, 인코딩된 영상 신호를 HDMI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WiDi로 통신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WiDi로 전송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하도록 인코딩부(150)를 제어하고, 인코딩된 영상 신호를 WiDi를 통해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RAM(121), ROM(122), CPU(123), GPU(Graphic Processing Unit)(124), 버스(125)를 포함한다. RAM(121), ROM(122), CPU(123), GPU(124) 등은 버스(12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23)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23)는 ROM(1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23)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21)에 복사하고, RAM(12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124)는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GPU(12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입력 받은 사용자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GPU(124)는 CPU(123)와 결합된 SoC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인코딩부(150)는 영상 신호를 인코딩한다. 예컨대 인코딩부(150)는 GPU(124)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 또는 카메라(180)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 등을 특정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인코딩부(150)는 프로세서(120)에서 결정한 인코딩 정보에 따라 영상 신호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코딩부(150)는 프로세서(120)에서 결정한 인코딩 정보에 따라 영상 신호의 고유 프레임 레이트 및 고유 해상도로 영상 신호를 인코딩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신호의 고유 프레임 레이트 및 고유 해상도란 영상 신호가 최초 생성될 때 갖게 되는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를 의미한다. 예컨대, 카메라(180)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는 카메라(180)의 성능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를 갖게 된다.
또는, 인코딩부(150)는 프로세서(120)에서 결정한 인코딩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에 맞는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로 영상신호를 인코딩할 수 있다. 즉, 인코딩부(150)는 영상 신호의 고유 프레임 레이트와 고유 해상도와는 다른 프레임 레이트와 해상도로 영상 시호를 인코딩할 수 있다. 예컨데, 영상 신호의 고유 프레임 레이트가 60Hz이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프레임 레이트가 120Hz인 경우, 인코딩부(150)는 영상 신호를 120Hz의 프레임 레이트로 인코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영상 신호의 고유 해상도가 800x600이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해상도가 1280x1024인 경우, 인코딩부(150)는 영상 신호를 1280x1024의 해상도로 인코딩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인코딩부(150)가 프로세서(120)의 제어를 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인코딩부(150)는 프로세서(120)(구체적으로 CPU)의 제어 없이 독자적으로 하드웨어-인코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다양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모션 센서(ex.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사용자 명령으로서 수신하는 경우, 마이크(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모션을 촬영하여 사용자 모션을 명령으로서 수신하는 경우, 카메라(1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제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제공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동일 영상을 표시하는 미러링 모드로 동작 시, 프로세서(12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130) 상에 표시하고, 표시된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화 파일에 대한 재생 명령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입력 받으면, 프로세서(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화 파일에 대한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영화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130) 상에 표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영상 제공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상에서 동일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영상 신호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입력 받은 영상 신호 정지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 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도 영상 제공장치(100')에서와 동일하게 영상 신호 표시가 정지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영상 제공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액세스 되며, 프로세서(12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40)는 영상 제공장치(100') 내의 저장 매체뿐만 아니라,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O/S나 각종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과, 사용자 설정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수행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스피커(185)는 프로세서(120)에서 생성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마이크(17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 받아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80)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80)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80)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는 인코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10), 통신 인터페이스부(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TV, 스마트 폰, 테블릿 PC,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를 이용한 옥외광고로, 관제센터(또는 상술한 영상제공장치(100, 100'))에서 통신망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제어할 수 있는 광고판을 말한다. 다만, 상술한 것은 예시일 뿐, 디스플레이 장치(200)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일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LFD(Large Format Display)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기 설정된 통신 방식을 통해 영상제공장치(100, 100')로부터 인코딩된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통신 방식은,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Universal Serial Bus), WiFi(Wireless Fidelity), UWB(ultra wideband), WiDi(WirelessDisplay), WiHD(WirelessHD),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Miracast 또는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 등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인코딩된 영상 신호와 함께 인코딩 정보를 영상제공장치(100, 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인코딩 정보는, 수신된 인코딩된 영상 신호의 인코딩시 적용된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영상 신호와 함께 오디오 신호도 영상제공장치(100, 1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영상 제공장치(100, 1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 정보를 영상제공장치(100, 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양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영상제공장치(100, 100')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영상제공장치(100, 100')로부터 수신한 인코딩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영상제공장치(100, 100')로부터 수신한 인코딩 정보에 기초하여,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어떤 화질 처리 패스로 처리할 지 결정할 수 있다. 화질 처리에는, 해상도 변환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인코딩 정보에 기초하였을 때, 영상제공장치(100, 100')로부터 수신한 인코딩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프레임 레이트가 적용되어 인코딩된 영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코딩된 영상을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영상에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를 미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230)는 인코딩 정보에 기초하였을 때, 영상제공장치(100, 100')로부터 수신한 인코딩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레임 레이트가 적용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코딩된 영상을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레임 레이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인코딩 정보에 기초하였을 때, 영상제공장치(100, 100')로부터 수신한 인코딩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해상도가 적용되어 인코딩된 영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코딩된 영상을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영상에 해상도 변환 처리를 미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230)는 인코딩 정보에 기초하였을 때, 영상제공장치(100, 100')로부터 수신한 인코딩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해상도가 적용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코딩된 영상을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해상도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화질 처리 패스를 통과한 영상 신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5의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선 생략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예를 들어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고정 곡률(curvature)인 화면을 가지는 커브드(curved) TV, 고정 곡률인 화면을 가지는 플렉시블(flexible) TV, 고정 곡률인 화면을 가지는 벤디드(bended) TV, 및/또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현재 화면의 곡률을 변경 가능한 곡률 가변형 TV,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10), 통신 인터페이스부(220), 프로세서(2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 오디오 처리부(260), 비디오 처리부(270), 스피커(280), 튜너(29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내부 상태, 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230)는 내부 구성요소들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RAM(231), ROM(232), CPU(233), GPU(234), 및 버스(235)를 포함한다. RAM(231), ROM(232), CPU(233), GPU(234) 등은 버스(23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CPU(233)는 저장부(2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2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233)는 ROM(2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50)에 저장된 O/S를 RAM(2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233)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31)에 복사하고, RAM(231)에 복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2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Universal Serial Bus), WiFi(Wireless Fidelity), UWB(ultra wideband), WiDi(WirelessDisplay), WiHD(WirelessHD),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Miracast 또는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 등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와이파이칩(221), 블루투스 칩(222), NFC칩(223), 무선 통신 칩(224)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221), 블루투스 칩(222), NFC 칩(223)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칩(224)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HDMI 입력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225), 컴포넌트 입력 잭(226), PC 입력 포트(227), 및 USB 입력 잭(2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29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 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비디오(video), 오디오(audio) 및 부가 데이터(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29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채널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29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또는, 위성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에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290)는 다양한 소스에서부터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다양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모션 센서(ex.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TV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을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60)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260)에서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스피커(280)는 오디오 처리부(2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신호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270)는 영상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270)에서는 영상 신호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비디오 처리부(270)에선 영상제공장치(100, 100')로부터 수신된 인코딩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고, 영상제공장치(100, 100')로부터 수신된 인코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적용할 화질 처리 패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도 7과 도 8을 참고하여 좀 더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질 처리 패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영상제공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의 인코딩, 디코딩을 통한 영상 신호의 전달 및 재생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영상제공장치(100')에서 카메라(180), GPU(124), CPU(123) 등에서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1-1 단계). 영상제공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연결되고, 생성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인코딩 컨트롤러(1-11, 또는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 동작 모드의 판단은, 전송할 영상 신호의 속성이나,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ex. 게임 모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코딩 컨트롤러(1-1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영상 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를 빨리 표시할 필요가 있는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생성된 영상 신호의 고유 프레임 레이트와 고유 해상도를 포함하는 인코딩 정보를 결정한다. 여기서 결정된 인코딩 정보는 매 프레임마다 유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인코딩 컨트롤러(1-11)는 상기 결정된 인코딩 정보에 따라 영상 신호를 인코딩한다 (1-2 단계). 1-2 단계에서, 고유의 프레임 레이트가 60Hz인 영상 신호를 인코딩 정보에 따라, 60Hz로 인코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인코딩 컨트롤러(1-11)는 인코딩된 영상 신호(또는 인코딩된 비디오)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인코딩 컨트롤러(1-11) 상기 결정된 인코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달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10)는 영상제공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인코딩 정보를 기반으로 화질 처리 패스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1-3 단계에서, 영상제공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인코딩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디코더 메모리(DDR)에 저장한다(1-7 단계). 그리고 1-4 단계에서 노이즈 제거, 선명도 개선, 해상도 변환 등 화질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화질 처리된 영상 신호를 비디오 인헨서 메모리(VE DDR)에 저장한다(1-8 단계).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인 120Hz로 변환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를 한다(1-5 단계). 그리고 프레임 레이트 변환처리가 된 영상 신호를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 메모리(FRC DDR)에 저장한다(1-5 단계). 그리고 1-6 단계에서 영상 신호를 표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질 처리 패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과는 달리, 영상제공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레임 레이트로 인코딩을 수행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영상제공장치(100')에서 카메라(180), GPU(124), CPU(123) 등에서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1-1 단계). 영상제공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연결되고, 생성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인코딩 컨트롤러(1-11, 또는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 동작 모드의 판단은, 전송할 영상 신호의 속성이나,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모드(ex. 게임 모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코딩 컨트롤러(1-1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영상 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를 빨리 표시할 필요가 있는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사양 정보를 요청하여, 사양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프레임 레이트,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제공장치(100')의 인코딩 컨트롤러(1-11)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양, 영상제공장치(100')의 하드웨어 사양, 네트워크 상황 등을 분석하여, 인코더(또는 인코딩부(150))가 동작할 프레임 레이트, 인코딩 해상도, 비트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코딩 정보를 결정한다. 여기서 결정된 인코딩 정보는 매 프레임마다 유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 내 오브젝트 속성(인물 오브젝트, 배경 오브젝트 등) 또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다른 비트 레이트로 인코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인코딩 컨트롤러(1-11)는 상기 결정된 인코딩 정보에 따라 영상 신호를 인코딩한다 (1-2 단계). 1-2 단계에서. 고유의 프레임 레이트가 60Hz인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인코딩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인 120Hz로 인코딩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인코딩 컨트롤러(1-11)는 인코딩된 영상 신호(또는 인코딩된 비디오)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인코딩 컨트롤러(1-11) 상기 결정된 인코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달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10)는 영상제공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인코딩 정보를 기반으로 화질 처리 패스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1-3 단계에서, 영상제공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인코딩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디코더 메모리(DDR)에 저장한다(1-7 단계). 그리고 1-4 단계에서 노이즈 제거, 선명도 개선, 해상도 변환 등 화질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제공장치(100')에서 이미 인코딩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레임 레이트에 맞게 120Hz로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였으므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1-5 단계)는 미수행한다(FRC Bypass). 그리고 1-6 단계에서 영상 신호를 표시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 관계 없이, 영상제공장치 측에선 영상 신호의 고유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인코딩을 수행하였는바, 디스플레이 장치 측에서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에 맞게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를 해주어야만 했다. 따라서, 영상이 빠르게 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도 디스플레이 장치 측에서 상기 1-8, 1-9 단계를 모두 거쳐야만 하였으므로, 그만큼 영상 표시의 딜레이가 발생하였다. 반면에, 도 7에서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영상이 빠르게 표시될 필요가 있는 필요가 있는 경우(도 8의 경우)라면, 영상제공장치 측에서 인코딩 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의 재생 주파수에 맞는 프레임 레이트로 인코딩을 수행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 측에선 1-8, 1-9 단계를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 더 빠르게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영상제공장치(100, 100')에서 처리되는 동작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영상제공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취득한다(S910).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제1 영상 신호를 인코딩한다(S920).
그리고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한다(S930).
그리고, 상기 제1 영상 신호의 인코딩시 적용된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S920 단계에서 제1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와 다른 제2 프레임 레이트로 상기 기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인코딩할 수 있다.
또한, S920 단계에서 제1 해상도를 갖는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해상도와 다른 제2 해상도로 상기 기설정된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인코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200, 200')에서 처리되는 동작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영상제공장치로 전송한다(S1010).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S102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한다(S103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화질 처리를 수행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S104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인코딩 정보를 수신하여 인코딩 정보에 따라 화질 처리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코딩 정보는 영상제공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 인코딩된 영상 신호가 인코딩 시 적용된 프레임 레이트, 해상도, 비트 레이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질 처리가 필요한 경우이면(S1040, Y),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화질 처리를 수행한다(S1050). 여기서 화질 처리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와 해상도 변환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인코딩 정보에 기초하였을 때, 수신된 인코딩된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 레이트는 적용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는 미적용된 인코딩된 영상 신호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를 미수행하고, 해상도 변환 처리는 수행한다.
다른 경우로, 수신된 인코딩 정보에 기초하였을 때, 수신된 인코딩된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는 적용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 레이트는 미적용된 인코딩된 영상 신호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를 수행하고, 해상도 변환 처리는 미수행한다.
또 다른 경우로, 수신된 인코딩 정보에 기초하였을 때, 수신된 인코딩된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 레이트가 미적용된 인코딩된 영상 신호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와 해상도 변환 처리를 수행한다.
또 다른 경우로, 수신된 인코딩 정보에 기초하였을 때, 수신된 인코딩된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 레이트가 적용된 인코딩된 영상 신호이면, 즉, 화질 처리가 필요 없는 경우이면(S1040, N),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와 해상도 변환 처리를 미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한다(S1060).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영상제공장치는 인코딩 스팩을 가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질 처리 방식을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 딜레이(또는 프레임 딜레이)가 최소화 되어야 하는 동작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측에서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 또는 해상도 변환 처리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영상 표시 딜레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0: 영상제공시스템
100: 영상제공장치
20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20)

  1. 영상 제공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상기 기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제1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와 다른 제2 프레임 레이트로 상기 기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인코딩하는 영상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해상도를 갖는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해상도와 다른 제2 해상도로 상기 기설정된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인코딩하는 영상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신호의 고유 프레임 레이트 및 고유 해상도를 적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거나,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는 영상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영상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의 인코딩시 적용된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영상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영상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은,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Universal Serial Bus), WiFi(Wireless Fidelity), UWB(ultra wideband), WiDi(WirelessDisplay), WiHD(WirelessHD),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Miracast 또는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인 영상 제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 및 상기 제1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영상 제공 장치.
  10. 영상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영상 제공 장치와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제1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영상 제공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영상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여 표시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 레이트가 적용되어 인코딩된 영상 신호이면,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프레임 레이트 변환 처리를 미수행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가 적용되어 인코딩된 영상 신호이면,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영상 신호에 해상도 변환 처리를 미수행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며,
    상기 영상 제공장치는,
    상기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인 영상 제공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영상 제공 장치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전송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16. 영상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기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제1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제1 프레임 레이트로 생성된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와 다른 제2 프레임 레이트로 상기 기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인코딩하는 영상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제1 해상도로 생성된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취득된 사양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해상도와 다른 제2 해상도로 상기 기설정된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게 인코딩하는 영상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신호의 인코딩시 적용된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171890A 2016-12-15 2016-12-15 영상제공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영상제공시스템 KR102646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890A KR102646030B1 (ko) 2016-12-15 2016-12-15 영상제공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영상제공시스템
EP17204876.1A EP3337173A1 (en) 2016-12-15 2017-12-01 Image provi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viding system
US15/841,570 US10306179B2 (en) 2016-12-15 2017-12-14 Image provi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viding system
CN201711340734.4A CN108235077B (zh) 2016-12-15 2017-12-14 图像提供装置、其控制方法以及图像提供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890A KR102646030B1 (ko) 2016-12-15 2016-12-15 영상제공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영상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576A true KR20180069576A (ko) 2018-06-25
KR102646030B1 KR102646030B1 (ko) 2024-03-12

Family

ID=6058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890A KR102646030B1 (ko) 2016-12-15 2016-12-15 영상제공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영상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06179B2 (ko)
EP (1) EP3337173A1 (ko)
KR (1) KR102646030B1 (ko)
CN (1) CN10823507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836A1 (ko) * 2020-08-04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2265209A1 (ko) * 2021-06-14 2022-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Frc를 이용한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3277208A1 (ko) * 2021-06-29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US11863904B2 (en) 2021-06-14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video call using frame rate conversion and method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0724A1 (ja) * 2017-05-30 2018-12-06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36020B1 (ko) * 2019-01-31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99365B1 (ko) * 2019-05-17 2023-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276A (ko) * 2006-09-06 2008-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WO2010140199A1 (ja) * 2009-06-01 2010-1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データの伝送方法
KR20110132032A (ko) * 2010-06-01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3154B2 (en) * 1999-12-16 2010-08-24 Eastman Kodak Company Video-editing workflow methods and apparatus thereof
JP4579407B2 (ja) 2000-12-25 2010-11-1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リアルタイム映像送受信方法およびリアルタイム映像送受信システム
KR100608047B1 (ko) * 2003-07-02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Pc와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부가 기능 처리 장치
US8560753B1 (en) * 2005-03-30 2013-10-15 Teradic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input/output in a computer system
JP5311859B2 (ja) 2008-03-28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符号化装置、映像編集システム及び符号化装置の制御方法
CN102422258A (zh) * 2009-05-06 2012-04-18 汤姆森许可贸易公司 用于传送根据显示设备能力而优化的多媒体内容的方法和系统
US8674935B2 (en) 2009-10-21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delay mitigation in interactive systems
US8767820B2 (en) * 2009-11-11 2014-07-01 Dell Products, Lp Adaptive display compress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rendered pixel data
US20110149029A1 (en) * 2009-12-17 2011-06-23 Marcus Kellerman Method and system for pulldown processing for 3d video
CN103080711B (zh) * 2010-07-08 2015-10-21 Cvg管理股份有限公司 红外温度测量及其稳定化
US9167296B2 (en) 2012-02-28 2015-10-20 Qualcomm Incorporated Customized playback at sink device in wireless display system
CN104937935A (zh) 2012-11-16 2015-09-23 Vid拓展公司 用于视觉条件意识视频编码的感知预处理滤波器
KR20140088924A (ko) * 2012-12-14 201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JP6507467B2 (ja) * 2013-03-13 2019-05-0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
CN203942612U (zh) * 2013-05-24 2014-11-12 北京朝歌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视频处理设备及视频播放系统
US10009628B2 (en) * 2013-06-07 2018-06-26 Apple Inc. Tuning video compression for high frame rate and variable frame rate capture
US20150032912A1 (en) * 2013-07-25 2015-01-29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189726B1 (ko) * 2014-05-12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US9628796B2 (en) * 2014-05-15 2017-04-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optimize video performance in wireless-dock with ultra-high definition display
WO2016021809A1 (ko) * 2014-08-08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적응적 영상 재생을 위한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271721B1 (ko) 2015-01-13 2021-07-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단말 성능을 고려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936017A (zh) * 2015-06-17 2015-09-23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的快速传输图像的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276A (ko) * 2006-09-06 2008-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WO2010140199A1 (ja) * 2009-06-01 2010-1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データの伝送方法
KR20110132032A (ko) * 2010-06-01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836A1 (ko) * 2020-08-04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2265209A1 (ko) * 2021-06-14 2022-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Frc를 이용한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863904B2 (en) 2021-06-14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video call using frame rate conversion and method for the same
WO2023277208A1 (ko) * 2021-06-29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7173A1 (en) 2018-06-20
US20180176505A1 (en) 2018-06-21
US10306179B2 (en) 2019-05-28
CN108235077A (zh) 2018-06-29
CN108235077B (zh) 2022-08-26
KR102646030B1 (ko)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6030B1 (ko) 영상제공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영상제공시스템
CN109168021B (zh) 一种推流的方法及装置
WO2015058670A1 (zh) 一种显示内容处理方法及设备
US10932210B2 (en) Content out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26257B1 (ko) 멀티뷰 스트리밍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5139547A1 (zh) 一种设置应用场景的方法、设备和系统
US9826572B2 (en) Wireless enhanced projector
US11288033B2 (en) Method for outputting audio data of applications and display device
WO2014141425A1 (ja) 映像表示システム、ソース機器、シンク機器及び映像表示方法
US11956497B2 (en) Audio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6001969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8605057B (zh) 显示装置、用户终端装置、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8002832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081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15256A (ko)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10681462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14119011A1 (ja) 情報処理装置、遠隔操作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582504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11582514B2 (en) Sour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20057335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90028522A1 (en) Transmission of subtitle data for wireless display
KR20210068953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93772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계장치
KR20150134861A (ko) 서버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8523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