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693A -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693A
KR20160019693A KR1020140104314A KR20140104314A KR20160019693A KR 20160019693 A KR20160019693 A KR 20160019693A KR 1020140104314 A KR1020140104314 A KR 1020140104314A KR 20140104314 A KR20140104314 A KR 20140104314A KR 20160019693 A KR20160019693 A KR 20160019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ontent
information
terminal devic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훈
하태현
김태훈
현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4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9693A/ko
Priority to US14/753,157 priority patent/US20160050449A1/en
Priority to EP15180238.6A priority patent/EP2986013A1/en
Publication of KR20160019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8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mong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면,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화면 모드 변경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근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컨텐츠에 대해 다양한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면서 영상에 대한 다양한 부가적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화면을 일부 가리거나, 화면을 분할 또는 전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면을 분할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영상을 와이드하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생동감 있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가로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할 경우, 영상의 화면비가 왜곡되거나 생동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복수의 시청자가 있는 경우, 다른 시청자는 기존에 시청하는 영상을 계속해서 원활하게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그대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사용자에게 영상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장치의 배치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 단말장치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면,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스크린 영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변경되면 변경된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에 미러링되어 제공되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면,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전후 채널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동일한 장르의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 정보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다시점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가 선택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선택된 정보를 전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판단부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배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는, 컨텐츠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변경되면 컨텐츠 수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스크린 영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기 저장된, 컨텐츠 장르 및 소스 별로 구분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전환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전후 채널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동일한 장르의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정보 및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다시점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하나가 선택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선택된 정보를 전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면,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화면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스크린 영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미러링되어 제공되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면,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면,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스크린 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변경되면 변경된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화면 상에 미러링되어 제공되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면,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전후 채널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동일한 장르의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 정보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다시점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화면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전환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이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련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장르 및 소스 별로 구분된 관련 정보가 수신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C(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Navigation), 키오스크(Kiosk),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특정 컨텐츠 또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미러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폰 이외에도 영상을 처리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PMP, 태블릿 PC, 전자사전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스크린 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상태 판단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기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방향을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또는 세로 화면 상태에서 가로 화면 상태로 재변경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컨텐츠가 미러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여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상태 판단부(13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배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면,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스크린 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전후 채널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동일한 장르의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 정보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다시점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크린에 수신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4에서 상세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가 선택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선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 전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40)는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가 선택되었다는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이를 선택된 정보를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라는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선택된 관련 정보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복수의 스크린에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전후 채널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 등의 동작을 통해 이전 채널 또는 이후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되는 채널을 선택된 이전 채널 또는 이후 채널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복수의 스크린의 채널 구성도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가 선택되는 이벤트는, 클릭 또는 탭, 더블 탭 및 탭 앤 홀드 등의 다양한 터치입력이 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 장치는,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선택된 컨텐츠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확인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원래의 화면 또는 복수의 스크린 중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들려지는 순간 자동으로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전환되거나, 대기모드에서 컨텐츠를 신속히 디스플레이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해, 사용자는 세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기존의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뿐만 아니라 컨텐츠과 관련된 정보 또는 다른 컨텐츠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련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마찬가지로 컨텐츠(310)를 최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세로 화면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310)의 방향, 크기 및 비율도 변경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상에는 컨텐츠(310)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빈 영역(320, 330)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이러한 빈 영역(320, 330)에 수신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310)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생성되는 스크린의 수가 3개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스크린의 수는 2개 또는 4개 이상이 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컨텐츠 수신부(105),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상태 판단부(130), 제어부(140), 오디오 출력부(150), 저장부(160), 오디오 처리부(170), 비디오 처리부(18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컨텐츠 수신부(105)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수신부(105)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외부 장치(예를 들어, DVD, BD 플레이어 등)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저장부(250)에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컨텐츠 수신부(105)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복수의 컨텐츠 수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수신부(105)는 복수의 방송 채널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복수의 튜너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수신부(105)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실시간 재생하는 미러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컨텐츠 수신부(105)가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비디오 처리부(170)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 및 그래픽 처리부(123)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방향을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또는 세로 화면 상태에서 가로 화면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10)는 컨텐츠 방향이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변경될 때,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스크린 영역)으로 분할하고, 수신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복수의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2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141), ROM(142), 그래픽 처리부(143), 메인 CPU(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 버스(146)를 포함한다. 이때, RAM(141), ROM(142), 그래픽 처리부(143), 메인 CPU(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 등은 버스(14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14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메인 CPU(144)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41)에 복사하고, RAM(14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4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메인 CPU(144)는 저장부(16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144)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내지 14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50)는 오디오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7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출력 단자와 같은 다른 오디오 출력부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세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오디오 출력부(150)는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의 스크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오디오가 출력되는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부(150)는 복수의 스크린 중 다른 스크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오디오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6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저장부(160)에는 베이스 모듈(161), 센싱 모듈(162), 통신 모듈(163), 프리젠테이션 모듈(164), 웹 브라우저 모듈(165), 서비스 모듈(166)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61)이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61)은 스토리지 모듈(161-1), 보안 모듈(161-2) 및 네트워크 모듈(16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6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보안 모듈(25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61-3)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6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통신 모듈(16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63)은 메시징 모듈(163-1) 및 전화 모듈(16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3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3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6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6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166)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166)은 SNS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4에 대해 설명하면, 오디오 처리부(17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7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7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이 구비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80)는 컨텐츠 수신부(105)에서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80)에서는 컨텐츠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비디오 처리부(18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비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비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91), 마이크(192), 리모컨 신호 수신부(193)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렉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92)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40)는 마이크(19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에 의해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가 선택되는 이벤트는 사용자의 음성 인식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성을 발화함으로써, 이전 채널 또는 이후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되는 채널을 선택된 이전 채널 또는 이후 채널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0), 통신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한다.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현재 디스플레이부(210)에서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하나가 선택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선택된 정보를 전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페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AP(Access Point) 장치(10)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장치(10)는 Wi-Fi(Wireless Fidelity)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공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무선 공유기 없이도 Wi-Fi 단말을 직접 연결할 수 있는 P2P 개념의 새로운 Wi-Fi 기술인 Wi-Fi Direct로 서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VOD 컨텐츠, 영상판 홈 쇼핑, 네트워크 게임 등 차세대 쌍방향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이른바 대화형 텔레비전)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가정용 통신 단말기 기능을 갖춘 셋톱 박스(2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셋톱 박스는 TV를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만들어주는 장치로서 실제로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특별한 컴퓨터로서 웹브라우저와 TCP/IP 등의 프로토콜도 가지고 있다. 최근 셋톱박스는 웹 TV 서비스를 위해 전화회선이나 케이블 TV용 회선 등을 통해 서비스를 할 수 있으며, 기본 기능으로서 영상 신호의 수신·변환 기능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페어링 방법에 따라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개입이 최소화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Power on 만으로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먼저 On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On 시켰을 때, 아무런 부가적인 동작 없이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 N/W 정보를 얻어와 N/W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Pairing 되게 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한번 Pairing 된 기기들은 다시 Pairing을 할 필요가 없다.
다만 상술한 통신 방식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가로 화면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810)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미러링되어 제공되는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배치상태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될 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변경된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변경될 때, 변경된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기설정된 배치 상태는 세로 화면 상태 이외에도 다양한 배치 상태가 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는 상태 판단부(130)에 의해 판단된다. 상태 판단부(13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배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판단부(130)는 터치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0)의 터치 분포를 확인하고, 터치 분포가 상대적으로 많고 적은 영역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들고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화면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태 판단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다양한 배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세로 화면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변경된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변경된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810)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810),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810)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스크린 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전후 채널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동일한 장르의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 정보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다시점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2에서 상세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전후 채널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영상(91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상에 같은 영상(910)이 미러링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세로 화면 상태로 배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원래 영상(910)이 미러링되어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스크린에 영상(910)과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크린 중 중앙에 위치한 스크린에 원래 영상(910)이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스크린에 전후 채널 영상(920, 93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만약, 원래 영상(910)의 채널이 10번이라면, 채널 순서에 따라, 전후 채널 영상은 10번 이전 채널 영상 및 10번 이후 채널 영상이 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스크린이 3개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스크린은 2개 또는 4개 이상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동일한 장르의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뉴스 채널이 방송되고 있을 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세로 화면 상태로 배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되는 복수의 스크린 중 중앙에 위치한 스크린에 원래 뉴스 채널 영상(1010)이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스크린에 동일한 장르의 다른 뉴스 채널 영상(1020, 103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되는 관련 뉴스 채널 영상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되어 있거나, 저장부(160)에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 사용자 프로파일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자주 시청했던 뉴스 채널들을 관련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텐츠의 장르가 뉴스인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컨텐츠 장르에는 드라마,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장르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 정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이 2개의 스크린 영역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2개의 스크린 영역 중 상단의 스크린에는 원래의 영상(1110)이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스크린 영역에는 영상(1110)에 나타난 상품(드라마의 등장인물이 입고 있는 옷이나 소지한 물건 등)에 대한 쇼핑 정보 영상(11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쇼핑 정보 영상은 저장부(160)에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 사용자 프로파일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상품에 대한 각종 정보 뿐만 아니라, 상품 판매 사이트까지 포함하는 영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대 여성인 경우, 원래 영상(111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가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부가 정보 컨텐츠가 쇼핑 정보인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부가 정보 컨텐츠에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뉴스인 경우, 관련된 부가 정보 컨텐츠로 관련 인터넷 기사들을 제공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드라마인 경우, 관련된 부가 정보 컨텐츠로 드라마의 줄거리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2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다시점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스포츠 영상 컨텐츠(1210)가 방송되고 있을 대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세로 화면 상태로 배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컨텐츠(1210)가 다시점 영상을 지원한다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생성되는 복수의 스크린 중 중앙에 위치한 스크린에 원래 스포츠 영상(1210)이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상단 스크린 및 하단 스크린에 동일한 스포츠 경기를 여러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다른 각도의 멀티 영상(1220, 123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스포츠 영상을 동시에 여러 각도에서 시청할 수 있어 해당 경기의 생동감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빈 영역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어떤 정보를 제공받을 것인지, 예를 들어, 전후 채널 컨텐츠를 제공받을 것인지, 또는 동일한 장르의 다른 컨텐츠를 제공받을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장르 및 소스 별로 구분된 관련 정보가 수신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컨텐츠 수신부(105)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할 수도 있지만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여 방송 안테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인터넷, 외부기기 또는 저장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저장부(160)에 기저장된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컨텐츠 장르 및 소스 별로 입력된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렇게 미리 분류된 테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관련 정보가 다시점 컨텐츠인 경우에는 각 시점에 해당되는 컨텐츠는 개별 컨텐츠로 동작하되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복수의 스크린에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기설정된 배치상태로 변경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410). 이 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가로화면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미러링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배치상태로 변경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변경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배치상태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S1410:Y),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된다(S1420). 기설정된 배치상태로의 변경이 없는 경우(S1410:N),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는 과정은 진행되지 않는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전후 채널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동일한 장르의 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 정보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다시점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기 저장된 컨텐츠 장르 및 소스 별로 구분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S1430 단계에서, 화면이 복수의 표시 영역(스크린 영역)으로 분할되고, 복수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하나가 선택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선택된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 예를 들어 세로 화면 상태에서 가로 화면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또는 복수의 스크린 중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화면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화면 상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S1510). 이 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스트리밍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현재 어떤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만이 전송될 수도 있다.
이 후, S152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되는 경우(S1520:Y),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된다(S1530). 이 때,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전환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의 수신이 없는 경우(S1520:N),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는 과정은 진행되지 않는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면,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스크린 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장치 2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통신부
130: 상태 판단부 140: 제어부

Claims (20)

  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변경되면 변경된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미러링되어 제공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전후 채널 영상 컨텐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동일한 장르의 영상 컨텐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 정보 컨텐츠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다시점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표시 영역 중 하나가 선택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선택된 정보를 전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부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배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컨텐츠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컨텐츠 수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기 저장된, 컨텐츠 장르 및 소스 별로 구분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화면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전환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전후 채널 영상 컨텐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동일한 장르의 영상 컨텐츠,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다시점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중 하나가 선택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선택된 정보를 전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화면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미러링되어 제공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화면을 복수의 표시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변경되면 변경된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가 상기 화면 상에 미러링되어 제공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배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전후 채널 영상 컨텐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동일한 장르의 영상 컨텐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관련된 부가 정보 컨텐츠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다시점 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화면 상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세로 화면 상태로 전환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40104314A 2014-08-12 2014-08-12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9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314A KR20160019693A (ko) 2014-08-12 2014-08-12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4/753,157 US20160050449A1 (en) 2014-08-12 2015-06-29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5180238.6A EP2986013A1 (en) 2014-08-12 2015-08-07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314A KR20160019693A (ko) 2014-08-12 2014-08-12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693A true KR20160019693A (ko) 2016-02-22

Family

ID=5401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314A KR20160019693A (ko) 2014-08-12 2014-08-12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050449A1 (ko)
EP (1) EP2986013A1 (ko)
KR (1) KR201600196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763A1 (ko) * 2016-10-14 2018-04-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57473A (ko) * 2016-11-21 2018-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2026587B1 (ko) * 2019-04-30 2019-09-27 펑타이그레이터차이나 유한회사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US11336931B2 (en) 2016-11-21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8129B (zh) * 2012-11-27 2018-10-19 索尼公司 显示装置、显示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EP3324641A1 (en) 2016-11-21 2018-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US10622017B1 (en) * 2017-06-23 2020-04-14 Hipsync Inc. Apparatus, a system, and a method of dynamically generating video data
KR20200084413A (ko) * 2018-12-21 202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11499A (ko) 2019-03-19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7441A (en) * 1997-12-31 2000-08-01 Eremote, Inc. System for dual-display interaction with integrated television and internet content
JP2003008736A (ja) * 2001-06-22 2003-01-10 Pioneer Electronic Corp 携帯情報端末機
GB0207791D0 (en) * 2002-04-04 2002-05-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l remote control device
JP3925297B2 (ja) * 2002-05-13 2007-06-06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表示制御装置
CN101802755A (zh) * 2007-09-18 2010-08-11 汤姆森许可贸易公司 机顶盒的用户界面
JP2009159188A (ja) * 2007-12-26 2009-07-16 Hitachi Ltd コンテンツ表示用サーバ
US9641884B2 (en) * 2008-11-15 2017-05-02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a content mirroring session
US8769578B2 (en) * 2009-06-30 2014-07-0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media guidan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11087659B2 (en) * 2011-03-11 2021-08-10 Cox Communications, Inc.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resenting different functional displays when orientation of the device changes
CN103782603B (zh) * 2011-09-08 2017-05-31 Nds有限公司 用户界面显示的系统和方法
JP5306489B2 (ja) * 2012-01-06 2013-10-02 株式会社東芝 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機器操作制御方法
US20150253974A1 (en) * 2014-03-07 2015-09-10 Sony Corporation Control of large screen display using wireless portable computer interfacing with display controll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763A1 (ko) * 2016-10-14 2018-04-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57473A (ko) * 2016-11-21 2018-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US11336931B2 (en) 2016-11-21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KR102026587B1 (ko) * 2019-04-30 2019-09-27 펑타이그레이터차이나 유한회사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50449A1 (en) 2016-02-18
EP2986013A1 (en)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4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985186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for changing a cursor based on a user change of manipulation mode
KR2016001969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689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어 방법
US2014017351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KR2014013336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50312508A1 (en) User termi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and multimedia system thereof
KR20140047232A (ko)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
US20150046294A1 (en) Display apparatus, the method thereof and item providing method
KR201600608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70188087A1 (en) User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multimedia system
KR201401311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
US2016004831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4015719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menu thereof
US9609392B2 (en) Display apparatus for arranging content lis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70127120A1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924807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701179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
KR201400894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