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974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974B1
KR101768974B1 KR1020130069289A KR20130069289A KR101768974B1 KR 101768974 B1 KR101768974 B1 KR 101768974B1 KR 1020130069289 A KR1020130069289 A KR 1020130069289A KR 20130069289 A KR20130069289 A KR 20130069289A KR 101768974 B1 KR101768974 B1 KR 101768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image
display
uni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6488A (ko
Inventor
정도성
박남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97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상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이 요구되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스크린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진다. 가로의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영상을 와이드하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더욱 생동감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가로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영상을 제공할 경우, 영상의 화면비가 왜곡되거나 생동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근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영상에 대해 다양한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면서 영상에 대한 다양한 부가적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화면을 일부 가리거나, 화면을 전환해야 한다. 즉, 사용자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기존에 시청하는 영상을 계속해서 원할하게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왜곡없이 계속해서 디스플레이하면서, 영상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이 요구되는 이벤트 발생을 사용자에게 미리 가이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상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이 요구되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GUI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된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스크린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다른 스크린에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추천 서비스 및 관련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GUI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GUI는, 로테이션 마크(rotation mark) 형태의 GUI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GUI가 선택되면 세로 화면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세로 화면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가로 화면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가로 화면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이벤트 및 상기 세로 화면 상태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의 스크린 선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상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이 요구되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GUI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된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스크린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다른 스크린에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추천 서비스 및 관련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GUI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GUI는, 로테이션 마크(rotation mark) 형태의 GUI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GUI가 선택되면 세로 화면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세로 화면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가로 화면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가로 화면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이벤트 및 상기 세로 화면 상태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의 스크린 선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하는 기설정된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원격 제어 장치(50) 및 모바일 장치(3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니터, 프로젝션 TV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써,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50)는 원격 제어 장치(5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30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특정 컨텐츠 또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미러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의 디스플레이부(이하에서는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가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의 디스플레이부(이하에서는 "세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가 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에 특정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가 세로 방향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며, 회전된 세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스크린을 생성하여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해당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스크린 중 다른 스크린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할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회전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 또는 UI를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가로 방향에 위치하는 동안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회전부(120)에 의해 회전되어 세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가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10)가 세로 방향으로 회전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의 스크린을 생성하여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해당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스크린 중 다른 하나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회전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를 회전시킨다. 특히,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회전부(120)는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가 세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가 되도록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를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가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설정된 이벤트는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이 요구되는 이벤트로서, 즉,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영상에 대한 디스플레이가 필요한 경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Live) 채널의 시청률이 급상승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호(favorite) 방송이 시작되는 경우 등의 추천 서비스가 제공되는 이벤트가 있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에서 제공하는 상품 관련 서비스가 있는 경우 등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관련된 서비스가 제공되는 이벤트가 있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추천 서비스 및 관련 서비스는 사용자 성별, 나이, 지역 등의 사용자 정보, 사용자 선호도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 밖에 가이드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가이드 GUI는 회전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의 GUI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테이션 마크(rotaion mark)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가이드 GUI는 회전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형태, 회전을 상징하는 텍스트 형태(ex. "R")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가이드 GUI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10)를 회전시키고 회전된 디스플레이부(110)에 복수의 스크린을 생성하여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원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스크린 중 다른 스크린에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가이드 GUI가 선택되면 세로 화면 상태로 디스플레이부(110)를 회전시켜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GUI의 선택은 다양한 방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모컨의 기설정된 영역에서 가이드 GUI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 방식, 카메라에 의해 기설정된 사용자 모션이 촬영되는 방식, 마이크에 의해 기설정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는 방식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세로 화면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부(110)를 가로 화면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를 가로 화면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이벤트 및 세로 화면 상태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의 스크린 선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가 세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특별한 이벤트 없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가로 방향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하는 동안 기존에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축소되도록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그 밖에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하는 동안 다양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세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을 통해 기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뿐만 아니라 영상과 관련된 정보 또는 다른 영상을 함께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자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수신부(210), 통신부(220), 디스플레이부(230), 회전부(235), 오디오 출력부(240), 저장부(250), 오디오 처리부(260), 비디오 처리부(27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영상 수신부(210)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210)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예를 들어, DVD, BD 플레이어 등)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저장부(2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 수신부(21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복수의 영상 수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210)는 복수의 방송 채널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복수의 튜너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2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영상 수신부(210)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비디오 처리부(270)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 및 그래픽 처리부(293)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30)는 회전부(235)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230)는 회전부(235)에 의해 90도 회전되어 세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230)가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회전이 요구되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가이드 GUI가 디스플레이되고, 가이드 GUI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230)는 세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가 세로 방향으로 회전되면, 세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23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의 스크린을 생성하여,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스크린 중 다른 적어도 하나에 제1 영상 다른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부(235)는 제어부(29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30)를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회전부(235)는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230)가 세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230)로 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부(235)는 사용자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 방향의 사용자 인터렉션이 입력된 경우, 회전부(235)는 시계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235)는 모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30)를 회전시킬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구성(예를 들어, 체인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40)는 오디오 처리부(2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24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출력 단자와 같은 다른 오디오 출력부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세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230)가 회전된 경우, 오디오 출력부(240)는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의 스크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부(240)는 복수의 스크린 중 다른 스크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오디오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기기(예를 들어, 휴대폰 등)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25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저장부(250)에는 베이스 모듈(251), 센싱 모듈(252), 통신 모듈(253), 프리젠테이션 모듈(254), 웹 브라우저 모듈(255), 서비스 모듈(256)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251)이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251)은 스토리지 모듈(251-1), 보안 모듈(251-2) 및 네트워크 모듈(25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25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294)는 스토리지 모듈(251-1)을 이용하여 저장부(25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25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41-3)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25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252)은 헤드 방향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25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253)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25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25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25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25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5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25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25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25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25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25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256)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256)은 SNS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도시하였으나,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위치 기반 모듈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3에 대해 설명하면, 오디오 처리부(2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2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26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이 구비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270)는 영상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27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비디오 처리부(27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비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비디오 처리 모듈이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비디오 처리부(270)는 디스플레이부(230)가 회전하는 동안 기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축소되도록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81), 마이크(282), 리모컨 신호 수신부(283)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렉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81)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카메라(281)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사용자 모션을 촬상할 수 있다. 마이크(282)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290)는 마이크(28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281) 및 마이크(282)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290)는 마이크(28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281)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카메라(221)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리모컨 신호 수신부(283)는 외부의 원격 제어 장치(50)로서 리모컨으로부터 제어 명령이 포함된 리모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는 디스플레이부(230)에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GUI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받을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추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29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291), ROM(292), 그래픽 처리부(293), 메인 CPU(2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 295-n), 버스(296)를 포함한다. 이때, RAM(291), ROM(292), 그래픽 처리부(293), 메인 CPU(2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 295-n) 등은 버스(29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29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94)는 ROM(29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50)에 저장된 O/S를 RAM(29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91)에 복사하고, RAM(29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29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부(28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내지 29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상에 영상(510)이 디스플레이되는 도 중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이 요구되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30)는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GUI(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GUI(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을 상징하는 로테이션 마크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R"과 같은 텍스트 형태, TV가 회전하는 형태의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어서, 가이드 GUI(10)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를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GUI(1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리모컨의 회전 버튼이 선택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를 세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세로 방향으로 회전된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원래 영상(5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크린 중 나머지 영상에 기설정된 이벤트와 관련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크린 중 중앙에 위치한 스크린에 원래 영상(510)이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스크린에 추천 영상(520, 53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영상은 사용자의 favorite 채널 영상, 시청률이 급상승한 라이브 채널 영상 등 사용자 정보, 사용자 선호도 등을 고려한 다양한 영상이 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추천 서비스가 제공되는 이벤트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기설정된 이벤트는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는 이벤트(예를 들어, 상품 관련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경우, 멀티 영상이 제공될 수 있는 경우 등)가 발생되면 회전을 ㄱ가이드하는 G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예로, 원격 제어 장치(50)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경우, 도 6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GUI(1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사용자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를 세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50)의 터치 스크린에 입력된 사용자 터치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세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원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영상에 기설정된 이벤트와 관련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크린 중 중앙에 위치한 스크린에 원래 영상(610)이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스크린에 상품 정보 영상(6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정보 영상은 사용자 정보, 사용자 프로파일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상품에 대한 각종 정보 뿐 아니라, 상품 판매 사이트까지 포함하는 영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 대 여성인 경우, 원래 영상(61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가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원격 제어 장치(50)의 터치 스크린이 터치 펜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 도 7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GUI(1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50)의 터치 스크린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터치 펜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도 7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를 세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110)는 원격 제어 장치(50)의 터치 스크린에 입력된 사용자 터치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세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원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영상에 기설정된 이벤트와 관련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크린 중 중앙에 위치한 스크린에 원래 영상(710)이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스크린에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멀티 영상(720, 730)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상에 영상(510)이 디스플레이되는 도 중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이 요구되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30)는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GUI(10) 및 회전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20)는 "추천 채널이 있습니다"와 같이 회전에 따라 추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을 알려주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어서, 가이드 GUI(10)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를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미도시)에 의해 기설정된 사용자 모션이 촬영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제어부(130)는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를 세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카메라(미도시)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회전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50)에 의해 기설정된 포인팅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제어부(130)는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230)를 세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원격 제어 장치(50)의 트리거 버튼이 눌러진 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10)는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910)가 도 9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이 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50)의 회전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인터렉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0)는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0)가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 깜빡임 인터렉션, 머리 회전 인터렉션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렉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회전 인터렉션은 한 바퀴 이상 회전하는 회전 인터렉션뿐만 아니라 반 바퀴 회전하는 회전 인터렉션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상상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가 세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다양한 방법으로 영상을 변환하여 세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에 제1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회전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하는 동안 제1 영상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제1 영상의 크기를 축소하도록 비디오 처리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제1 영상의 크기가 축소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10)의 다른 영역에 새로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비디오 처리부(270) 및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a)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가 제1 영상(1010)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도 10(a)의 중앙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1010)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제1 영상(1010)의 크기를 점점 축소하며, 제1 영상(1010) 뒤에서 새로운 제2 영상(1020) 및 제3 영상(1030)이 점차 나타나도록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동작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10(a)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세 개의 영상(1010,1020,10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 10(b)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10)가 제1 영상(1040)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10)의 회전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2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도 10(b)의 중앙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1040)의 픽셀이 분리하여 흩어진 영상을 처리하여 이때, 회전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분리되어 흩어진 픽셀을 다시 조합하여 도 10(b)의 우측에 도시된 세 개의 영상(1040,1050,1060)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하는 동안 다양한 그래픽 효과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하는 동안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회전과 동시에 리프팅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회전 동작 완료 후에 생성된 영상이 세 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세 개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는 회전 동작 완료 후에 생성된 복수의 영상의 크기가 모두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영상 크기가 모두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하는 동안 기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관련된 그래픽 효과가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기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무관한 그래픽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회전하는 동안 회전을 안내하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회전하는 방향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패널뿐만 아니라 베젤에 구비된 LED 창을 이용하여 회전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우선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상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110).
이어서,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이 요구되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S1120:Y),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GUI를 디스플레이한다(S1130).
이 후, 가이드 GUI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되면(S1140:Y),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회전된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스크린을 생성하여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원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스크린 중 다른 스크린에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추천 서비스 및 관련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S1130 단계에서는, 가이드 GUI와 함께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GUI는, 로테이션 마크(rotation mark) 형태의 GUI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가이드 GUI가 선택되면 세로 화면 상태로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고, 디스플레이부가 세로 화면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부를 가로 화면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를 가로 화면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이벤트 및 세로 화면 상태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의 스크린 선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GUI를 통해 회전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 확인 후 회전을 수행함으로써 로테이션 TV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송신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이 요구되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GUI를 생성하는 구성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210: 영상 수신부 220: 통신부
110,230: 디스플레이부 120,235: 회전부
240: 오디오 출력부 250: 저장부
260: 오디오 처리부 270: 비디오 처리부
28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290: 제어부

Claims (14)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화면 상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이 요구되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GUI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된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스크린을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다른 스크린에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추천 서비스 및 관련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GUI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GUI는,
    로테이션 마크(rotation mark) 형태의 GU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GUI가 선택되면 세로 화면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세로 화면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가로 화면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가로 화면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이벤트 및 상기 세로 화면 상태에서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의 스크린 선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상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이 요구되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 GUI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된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스크린을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에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다른 스크린에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추천 서비스 및 관련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GUI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GUI는,
    로테이션 마크(rotation mark) 형태의 GU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가로 화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GUI가 선택되면 세로 화면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세로 화면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가로 화면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가로 화면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이벤트 및 상기 세로 화면 상태에서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스크린 중 하나의 스크린 선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30069289A 2013-06-17 2013-06-1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101768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289A KR101768974B1 (ko) 2013-06-17 2013-06-1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289A KR101768974B1 (ko) 2013-06-17 2013-06-1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488A KR20140146488A (ko) 2014-12-26
KR101768974B1 true KR101768974B1 (ko) 2017-08-18

Family

ID=5267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289A KR101768974B1 (ko) 2013-06-17 2013-06-17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9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686A1 (en) * 2019-04-26 2020-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device
US11112822B2 (en) 2019-03-19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US11250544B2 (en) 2017-08-11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visualizing contents as the display is rotated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02981B2 (en) 2017-08-11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visualizing contents as the display is rotated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066B1 (ko) * 2016-11-21 2022-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US11336931B2 (en) 2016-11-21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US10950206B2 (en) * 2017-04-13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thereof
WO2019031771A1 (en) * 2017-08-11 2019-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VIEWING DISPLAY ROTATION MEASUREMENT CONTEN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34869A (ko) * 2019-05-24 2020-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13079410B (zh) * 2020-01-03 2023-05-23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446390B1 (ko) * 2020-01-03 2022-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N114793294A (zh) * 2020-03-13 2022-07-26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开机动画显示方法
KR102242031B1 (ko) * 2020-04-09 2021-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1580771B (zh) * 2020-04-10 2021-06-22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该显示装置的控制方法
KR102312879B1 (ko) * 2020-04-10 2021-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422673B2 (en) * 2020-06-12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7373A (ja) 2006-07-10 2008-01-24 Sharp Corp 携帯電話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7373A (ja) 2006-07-10 2008-01-24 Sharp Corp 携帯電話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0544B2 (en) 2017-08-11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visualizing contents as the display is rotated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02981B2 (en) 2017-08-11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visualizing contents as the display is rotated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112822B2 (en) 2019-03-19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US11442500B2 (en) 2019-03-19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WO2020218686A1 (en) * 2019-04-26 2020-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device
US11019388B2 (en) 2019-04-26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device
US11575957B2 (en) 2019-04-26 202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488A (ko) 201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9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1023644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962874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992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936012B2 (en) User terminal device, SNS providing server, and contents providing method thereof
US201701687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4002056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033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KR2016001969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83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KR2014005548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1410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11909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4019598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US20140333421A1 (en) Remote control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display apparatus thereof
US2014018172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nu thereof
KR201400850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570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리스트 표시 방법
KR201400727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사용자 메뉴 제공 방법
KR201800204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컨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09739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KR201400892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894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KR201400892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