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587B1 -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587B1
KR102026587B1 KR1020190050491A KR20190050491A KR102026587B1 KR 102026587 B1 KR102026587 B1 KR 102026587B1 KR 1020190050491 A KR1020190050491 A KR 1020190050491A KR 20190050491 A KR20190050491 A KR 20190050491A KR 102026587 B1 KR102026587 B1 KR 102026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display unit
idl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철
김진수
허다정
김범진
김호준
전영진
Original Assignee
펑타이그레이터차이나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펑타이그레이터차이나 유한회사 filed Critical 펑타이그레이터차이나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using load balancing strategies, e.g. by placing or distributing content on different disks, different memories or different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가 유휴상태에 있을 때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다수의 디스플레이부에 유휴영상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활성화상태에 있을 때는 사용자 단말기 화면과 동일한 미러링 영상을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의 최상위에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미러링 영상이 표시되는 제1디스플레이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표시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User terminal mirroring multi-information display system of segmented video display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가 유휴상태에 있을 때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다수의 디스플레이부에 유휴영상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활성화상태에 있을 때는 사용자 단말기 화면과 동일한 미러링 영상을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의 최상위에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미러링 영상이 표시되는 제1디스플레이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표시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특정 해상도를 가진 영상을 전송하여 표시하고자 할 때는 다양한 재생 방식이 적용된 영상 재생기를 사용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대 표출 해상도에 의해 결정되거나, 영상 재생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최대 해상도에 의해 결정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해상도가 영상 재생기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 보다 낮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출 해상도에 의해 결정되고, 그보다 높을 경우에는 영상 재생기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해상도 결정 방식에 의해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을 대화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때 영상 재생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초과하여 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그 영상신호의 해상도에 대해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선명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해상도가 높을수록 심해진다.
그리고 전시, 홍보, 광고 등을 목적으로 대화면에 영상을 재생하기 위하여 개수가 가변적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합하여 대화면을 구성하여 하나의 동일한 이미지나 동영상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영상을 대화면에 분할, 축소, 확대 등의 연출과 함께 재생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통상 기존의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N 분할영상의 동시 재생을 위해서 한 개의 영상 재생장치, 상기 영상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N개로 분할하여 분배하는 유선 영상 분배기 및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하나의 영상 재생장치에서 복수의 분할된 영상을 영상 분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배를 하는 방식이므로, 복수의 영상 재생을 위해서는 높은 사양(CPU, GPU, 메모리 등)의 영상 재생장치를 구매하여야 하므로 영상 재생장치의 구성 비용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물리적인 영상 분배기의 경우에도 구성 환경에 따라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영상 재생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면 영상을 재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모바일 및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앱(APP)"이라 함) 기반의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스마트 단말기 등의 사용자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이런 사용자 단말기가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사용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근거리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무선 전송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미러링 장치들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러링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을 단순히 그대로 표시할 뿐이므로 이러한 미러링 장치를 상술한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없었다.
물론,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미러링 장치를 적용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미러링하여 표시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미러링하는 것과 다를 바 없었다.
또한,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사용자 단말기 화면의 영상을 미러링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임의의 영상을 플레이할 수는 있으나, 미러링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영상과 관련된 영상을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방법은 없었다.
따라서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미러링 시스템을 복합적으로 적용하되, 두 시스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95832호(2010.09.01.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1294호(2016.06.01.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가 유휴상태에 있을 때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다수의 디스플레이부에 유휴영상을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활성화상태에 있을 때는 사용자 단말기 화면과 동일한 미러링 영상을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의 최상위에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이 있으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미러링 영상이 표시되는 제1디스플레이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표시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적어도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의 수신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인 제1디스플레이부에는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미러링 영상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 및 유휴상태 및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활성화된 앱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유휴상태가 아닌 활성화상태이되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활성화된 앱이 존재하면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 및 미러링 영상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유휴상태 판단에서 유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유휴 시그널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고,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유휴 시그널의 수신 시 유휴영상에 대한 상기 각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분할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는, 외부기기가 삽입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는 다수의 상기 디스플레이부;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AP;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의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AP를 통해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유휴 시그널에 따른 유휴영상에 대한 연결된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분할영상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에 따른 미러링 영상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1영상 재생기;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의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AP를 통해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유휴 시그널에 따른 유휴영상에 대한 연결된 각 제2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분할영상을 표시하고,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에 따라 상기 제1영상 재생기에 의해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미러링 영상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영상 재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는, 외부기기가 삽입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는 다수의 상기 디스플레이부;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AP;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의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AP를 통해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유휴 시그널에 따른 유휴영상의 제1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분할영상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에 따른 미러링 영상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1영상 재생기;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의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AP를 통해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유휴 시그널에 따른 유휴영상에 대응하는 분할영상을 제2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에 따른 상기 제1영상 재생기에 의해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미러링 영상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영상 재생기; 및 상기 제1영상 재생기 및 하나 이상의 제2영상 재생기에 대한 영상 재생기 구성정보 및 위치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유휴 시그널의 수신 시 상기 유휴영상에 대한 분할영상을 상기 영상 재생기 구성정보 및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영상 재생기 및 제2영상 재생기들로 제공하고, 상기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의 수신 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제1영상 재생기로 제공하고 상기 다중정보 영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영상 재생기로 전송하는 재생기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앱에 대응하는 다중정보 영상 및 유휴영상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유휴상태 시 상기 유휴영상을 분할할 분할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고, 활성화상태 시 상기 다중정보 영상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유휴영상을 수신받아 분할하여 분할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분할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앱에 대응하는 다중정보 영상 및 유휴영상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유휴상태 시 상기 유휴영상 및 유휴영상의 분할영상 수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상기 영상분할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유휴영상에 대한 상기 분할영상 수의 분할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고, 활성화상태 시 상기 다중정보 영상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휴영상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유휴영상을 사용자가 설정한 영상분할 수에 따라 분할하여 분할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영상분할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유휴상태 시 상기 영상분할서버에 의해 접속하여 상기 유휴영상의 선택 및 유휴영상의 분할영상 수를 설정하여 상기 유휴영상에 대한 상기 분할영상 수의 분할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고, 활성화상태 시 상기 다중정보 영상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생기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휴영상에 대한 상기 영상 재생기의 수에 대응하는 분할영상 수의 분할영상, 상기 앱에 대한 다중정보 영상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유휴 시그널의 수신 시 상기 분할영상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디스플레이부들 중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의 수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미러링 영상을 제1영상 재생기로 전송하고, 상기 다중정보 영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영상 재생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유휴상태 및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활성화된 앱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유휴상태가 아닌 활성화상태이되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활성화된 앱이 존재하면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 및 미러링 영상을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요청 과정; 및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의 수신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인 제1디스플레이부에는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미러링 영상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중정보 영상 디스플레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 단말기가 유휴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유휴상태 판단 단계; 유휴상태이면 유휴 시그널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유휴 시그널 전송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유휴상태가 아닌 활성화상태이면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활성화된 앱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최상위 포어그라운드 활성화 앱 존재 판단 단계; 및 상기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활성화된 앱이 존재하면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 및 미러링 영상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요청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정보 영상 디스플레이 과정은,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유휴 시그널의 수신 시 상기 유휴 시그널에 대한 유휴영상의 분할영상을 각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분할영상을 표시하는 분할영상 표시 단계; 및 상기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의 수신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인 제1디스플레이부에는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미러링 영상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중정보 영상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요청 과정은, 상기 유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저장하고 있던 유휴영상을 로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수에 대한 분할영상 수로 상기 유휴영상을 분할하여 분할영상을 생성하는 분할영상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휴 시그널 전송 단계에서 상기 유휴 시그널과 함께 상기 분할영상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영상분할서버가 유휴영상 선택 정보 및 선택된 유휴영상의 분할영상 수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분할영상 요청 정보의 수신 시 해당 유휴영상을 상기 분할영상 수로 분할하여 분할영상을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분할영상 생성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요청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유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분할서버로 상기 분할영상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분할영상 요청 단계; 및 상기 분할영상 요청 정보의 전송에 응답하여 분할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분할영상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시그널 전송 단계에서 유휴 시그널과 함께 상기 분할영상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영상 표시 단계는,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의 재생기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휴 시그널의 수신 시 미리 저장하고 있는 유휴영상에 대한 디스플레이부 수에 대응하는 분할영상 수의 분할영상을 제1영상 재생기 및 하나 이상의 제2영상 재생기들로 전송하는 분할영상 제공 단계; 및 상기 제1영상 재생기 및 하나 이상의 제2영상 재생기 각각이 수신된 분할영상을 연결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분할영상 표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정보 영상 표시 단계는, 상기 재생기 관리부가 상기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의 수신 시 미리 설정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된 제1영상 재생기로 미러링 영상을 전송하는 미러링 영상 전송 단계;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미러링 영상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전송하는 다중정보 영상 전송 단계; 상기 제1영상 재생기가 상기 미러링 영상을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미러링 영상 표시 단계; 및 상기 제2영상 재생기가 상기 다중정보 영상을 제2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다중정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중정보 영상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미러링 영상을 통해 미러링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된 앱의 사용설명에 대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미러링 시스템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미러링하여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되, 제1디스플레이부에 인접한 다른 하나 이상의 제2디스플레이부에 제1디스플레이부에 미러링되어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상에 활성화된 앱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포어그라운드에 활성화된 앱에 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어 화면상에 활성화된, 즉 포어그라운드의 최상위에 활성화된 앱과 앱에 대한 사용설명 등에 관한 영상을 동시에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앱의 사용방법을 용이하게 숙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유휴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광고, 홍보, 전시 등에 대한 영상인 유휴영상을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광고, 홍보, 전시 등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의 유휴 영상 제공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재생기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200) 및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영상분할서버(100) 및 영상제공서버(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영상분할서버(100), 사용자 단말기(200) 및 영상제공서버(70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기(200) 및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는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에 구성되는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연결되어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는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연결되어 영상분할서버(100) 및 영상제공서버(7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은 광대역망(Wide Area Network: WAN)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3세대(3 Generation: 3G), 4G, 5G 등의 이동통신망, 와이브로망, 전용망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데이터통신망일 수 있을 것이다.
영상분할서버(100)는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선택된 영상에 대한 설정정보를 수신받고 설정정보에 따라 선택된 영상을 둘 이상의 분할영상으로 분할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영상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영상으로, 광고, 홍보, 전시 등을 위한 영상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설정정보는 영상을 분할하는 수("분할영상 수"라 함), 크기, 비율 및 해상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선택된 영상의 영상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설정정보는 실시예에 따라 영상분할서버(100)의 관리자로부터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영상분할서버(100)가 전송하는 분할영상들은 분할된 순서(상단 좌측에서 우측 및 상단에서 하단 측 순으로 분할영상의 순서(위치)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영상제공서버(700)는 다수의 앱에 대한 앱정보 및 앱정보에 맵핑된 해당 앱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저장하여 관리하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앱정보를 포함하는 다중정보 영상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앱정보에 대응하는 다중정보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은 스마트 단말기 또는 전용의 단말기일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휴상태 및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활성화된 앱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유휴상태 및 최상위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활성화된 앱의 존재 여부에 따라 유휴 시그널, 홈 시작 시그널,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을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한다. 상기 포어그라운드는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보이지 않는 시스템 내부 환경인 백그라운드(Background)와 반대로 화면의 전면에 표시되는 환경을 의미한다. 백그라운드 앱은 화면상에 보이지 않고 시스템 내적으로 동작하는 앱이고, 포어그라운드 앱은 화면상에 보이도록 동작하는 앱이다. 포어그라운드 앱은 다수 개가 될 수 있으며, 화면상에는 최상위 앱만 보이게 된다. 단, 화면분할,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앱 윈도의 경우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둘 이상의 앱이 보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서 보여지는 앱이 하나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최상위 포어그란운드에 구동된 앱에 대한 앱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휴상태가 아닌 활성화상태이되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활성화된 앱이 존재하면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 및 미러링 영상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실시예에 따라 유휴상태인 경우 유휴 시그널을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유휴영상은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에서 저장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휴영상을 가지고 있고, 유휴상태인 것으로 판단 시 가지고 있는 유휴영상을 설정된 분할영상 수에 따라 분할하여 상기 유휴영상에 대한 분할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유휴 시그널과 함께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휴상태 판단 시 상기 영상분할서버(100)에 접속하여 저장된 유휴영상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유휴영상의 분할영상 수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영상분할서버(100)로 전송하여 그에 대응하는 분할영상을 수신한 후 상기 유휴 시그널과 함께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휴상태가 아니면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서 구동되는 앱이 존재 여부에 따라 홈 시작 시그널 및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 중 어느 하나를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휴상태가 아니라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서 구동되는 앱이 존재하지 않으면 홈 시작 시그널을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하고, 포어그라운드에서 구동되는 앱이 존재하면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을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한다. 시그널만 전송하는 경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는 홈 영상 및 다중정보 영상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는 홈 시작 시그널에 대응하는 홈 영상 및 상기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에 대응하는 다중정보 영상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홈 시작 시그널 전송 시 홈 영상을 함께 전송하고, 상기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 전송 시 다중정보 영상을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는 활성화상태이고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서 구동되는 앱이 없으면 영상제공서버(700)로부터 홈 영상을 수신받아 홈 시작 시그널과 함께 전송하고,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서 구동되는 앱이 있으면 영상제공서버(700)로부터 다중정보 영상을 수신받아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과 함께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영상제공서버(700)에 접속한 후 앱정보를 포함하는 다중정보 영상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다중정보 영상 요청 정보에 포함된 앱정보에 대응하는 다중정보 영상을 수신하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로컬 무선 네트워크로 분할영상 및 다중정보 영상을 송신한다.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는 다중정보 표시처에 구성되되,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410)와, 디스플레이부(61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610)의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로컬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받아 저장하고 있고 상기 AP(41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연결된 디스플레이부(610)에 표시하는 영상 재생기(620)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무선 영상 표시부(60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재생기 관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다중영상 표시처는 전시, 광고, 홍보 등을 목적으로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하는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매장, 광장, 건물, 역사 등의 장소가 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회사, 학교 및 집 등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AP(410)는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에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둘 이상의 영상 재생기(620) 및 사용자 단말기(200)에 로컬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영상 재생기(620), 사용자 단말기(200) 및 재생기 관리부(500) 간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한다.
무선 영상 표시부(600)의 영상 재생기(620)는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할당된 로컬 네트워크 주소에 근거하여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영상 재생기(620)는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재생기 관리부(500)로부터 제공되는 분할영상, 홈 영상, 다중정보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분할영상, 홈 영상 및 다중정보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재생하여 연결된 디스플레이부(610)에 표시한다.
재생기 관리부(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어 영상 재생기(620)의 영상 재생기 네트워크 구성정보 및 각 영상 재생기(620)가 수신할 분할영상의 순서(위치)정보들 저장하여 관리하며, 수신되는 영상을 해당하는 영상 재생기(620)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단말 저장부(210), 단말 통신부(220), 입출력부(230) 및 단말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단말 저장부(21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하거나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실시예에 따라 유휴영상, 홈 영상, 앱별 다중정보 영상 등의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DB(211) 및 상기 저장된 영상을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제공한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영상 제공 이력 DB(212)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단말 통신부(22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0)에 접속하여 영상분할서버(100), 영상제공서버(70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원거리 무선통신부(221) 및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 즉 다중정보 표시처에 구성되는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AP(410)에 무선 연결되어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영상 재생기(620) 및 재생기 관리부(5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221)는 3G, 4G, 5G 등의 이동통신망, 와이브로망 등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장치이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222)는 액세스 포인트(410)에 의해 형성되는 와이파이(WiFi)망인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무선 접속하는 무선 근거리무선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장치일 수 있을 것이다.
입출력부(230)는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31) 및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31)는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 그래픽, 정지영상, 동영상 등 중 하나 이상으로 표시한다.
상기 입력부(232)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눌린 버튼에 대한 버튼신호를 출력하는 버튼입력장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문자키 및 다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를 포함하고, 눌린 키에 대한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장치, 상기 디스플레이부(231)의 화면에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되는 화면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자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단말 제어부(240)는 무선설정부(250), 유휴상태 판단부(260), 실행 프로그램 검출부(270), 디스플레이 영상 표시부(280), 다중정보 시그널 제공부(290) 및 영상 제공부(30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무선설정부(240)는 입출력부(230)를 통해 무선 설정정보를 입력받거나 미리 등록되어 있는 무선 설정정보를 로드하여 AP(410)에 무선으로 접속한다.
유휴상태 판단부(26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 시 또는 특정 앱의 구동 시 사용자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부(231)의 화면을 오프하는 유휴상태인지, 화면을 온하여 디스플레이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활성화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실행 프로그램 검출부(270)는 상기 유휴상태 판단부(260)에서 활성화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활성화된 화면의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실행된 앱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포어그라운드에 실행된 앱이 존재하면 상기 앱의 앱정보를 추출한다.
디스플레이 영상 표시부(280)는 실행되고 있는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OS) 및 구동된 앱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31)로 출력하여 화면에 표시시키며,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상태에서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실행된 앱이 존재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상을 미러링 영상으로 영상 제공부(300)로 제공한다.
다중정보 시그널 제공부(290)는 상기 유휴상태 판단부(260)에서 판단된 유휴상태 여부 및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된 앱의 존재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른 유휴 시그널, 홈 시작 시그널,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을 생성하여 단말 통신부(220)의 근거리 무선통신부(222)를 통해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한다.
영상 제공부(300)는 상기 유휴상태 여부 판단에서 활성화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상 표시부(280)로부터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상을 미러링 영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부(222)를 통해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하는 미러링 영상 제공부(301)를 포함한다.
미러링 영상 제공부(301)가 전송하는 미러링 영상의 목적지는 재생기 관리부(500)일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특정 영상 재생기(이하 "제1영상 재생기"라 함)(620)일 수도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 제공부(300)는 유휴 영상 제공부(302) 및 다중정보 영상 제공부(303)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유휴 영상 제공부(302)는 유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DB(211)에 저장되어 있는 유휴영상을 근거리 무선통신부(222)를 통해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한다.
실시예에 따라 유휴 영상 제공부(302)는 상기 유휴영상을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의 디스플레이부(610)의 수 또는 영상 재생기(620)의 수에 대응하는 분할영상 수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유휴영상을 분할하여 상기 분할영상 수에 대응하는 분할영상을 생성하여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휴 영상 제공부(302)는 상기 영상분할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분할서버(100)에 등록된 영상들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23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리스트의 영상 중 하나를 선택받고, 선택된 영상에 대한 분할영상 수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입력받아아 선택된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 및 상기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분할 요청 정보를 영상분할서버(100)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분할된 분할영상을 수신받아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유휴 영상 제공부(302)는 영상 재생기(620)들의 영상 재생기 구성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경우, 상기 영상 재생기 구성정보 및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분할영상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재생기(620)를 식별하고, 각각의 분할영상을 식별된 영상 재생기(620)의 로컬 무선 네트워크 주소로 직접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중정보 영상 제공부(303)는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어 활성화상태에서 포어그라운드에 실행되는 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홈 영상을 영상 DB(211)에서 로드하여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하고,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실행된 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중정보 영상을 영상 DB(211)에서 상기 실행 프로그램 검출부(270)에서 추출된 앱정보에 대응하는 다중정보 영상을 로드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부(222)를 통해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중정보 영상 제공부(303)는 활성화상태에서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실행된 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앱정보를 포함하는 다중정보 영상 요청 정보를 영상제공서버(700)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앱정보에 대응하는 다중정보 영상을 수신받아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홈 영상 및 다중정보 영상의 목적지는 실시예에 따라 재생기 관리부(500)일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영상 재생기(이하 "제2영상 재생기"라 함)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2영상 재생기(6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홈 영상 및 다중정보 영상은 하나 이상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의 유휴 영상 제공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므로, 상기 영상분할서버(100)를 통해 분할영상을 획득하는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유휴 영상 제공부(302)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휴 영상 제공부(302)는 서버 접속부(310), 분할영상 획득부(320) 및 분할영상 제공부(330)를 포함한다.
서버 접속부(310)는 유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제공서버(700)에 접속한다.
분할영상 획득부(320)는 상기 영상제공서버(700)에 접속 후 상기 영상제공서버(700)가 보유하고 있는 유휴영상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231)에 표시하고 입력부(2332)를 통해 하나를 선택받으며, 선택된 유휴영상에 대한 분할영상 수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설정정보 입력 수단을 디스플레이부(231)에 표시하고 상기 설정정보 입력 수단 및 입력부(232)를 통해 설정정보를 획득하는 분할영상 설정부(321) 및 유휴영상 정보 및 설정정보가 획득되면 되면 상기 유휴영상 정보 및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분할영상 요청 정보를 영상제공서버(700)로 전송하여 상기 영상제공서버(700)로부터 선택한 상기 유휴영상에 대한 분할영상을 다운로드 받아 단말 저장부(210)에 저장하는 분할영상 다운로드부(322)를 포함한다.
분할영상 제공부(330)는 상기 분할영상 획득부(320)에서 획득된 분할영상을 근거리 무선통신부(222)를 통해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400)로 전송하는 분할영상 전송 처리부(331)를 포함한다.
상기 분할영상 제공부(330)는 로드된 영상 재생기 정보의 영생 재생기(620)들의 위치와 디스플레이부(610)의 순서(위치)가 일치하지 않으면 영생 재생기(620)의 위치를 재설정하거나, 영상 재생기 정보를 다시 생성하는 영상 재생기 위치 설정부(332)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510)는 왼쪽에서 오른쪽, 그리고 위에서 아래 순으로, {1, 2, 3, 4}, {5, 6, 7, 8}, {9, 10, 11, 12}인데 반하여, 영상 재생기의 위치가 {1, 2, 4, 3}, {5, 6, 7, 8}, {9, 10, 11, 12}이라면, 영상 재생기 위치 설정부(332)는 상기와 같은 위치정보를 표시하여 최상층 세 번째 및 네 번째의 영상 재생기(620)의 위치가 잘못되어 있음을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관리자의 조작을 받아 세 번째의 위치 4를 3으로 네 번째의 위치 3을 4로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재생기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재생기 관리부(500)는 도 1과 같이 데스크톱 컴퓨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영상 재생기(620)와 같이 스틱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재생기 관리부(500)는 관리 저장부(510), 관리 통신부(520), 관리 제어부(53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재생기 관리부(500)가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영상 재생기(620) 중 하나가 재생기 관리부(50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관리 저장부(510)는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영상 재생기(620)들에 대한 영상 재생기 구성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는 재생기 DB(511) 및 본 발명의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통해 재생된 영상에 대한 재생 횟수, 시간 등을 포함하는 영상 재생 이력을 저장하는 영상 재생 이력 DB(512)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휴영상에 대한 영상 재생기(620)별 분할영상, 홈 영상 및 다중정보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DB(513)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관리 통신부(520)는 AP(41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AP(410)에 의해 구성되는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521) 및 AP(41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통신부(52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의 스틱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는 무선통신부(521)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관리 제어부(530)는 사용자 단말기 무선 설정부(540), 다중정보 시그널 수신부(550), 영상 제공부(560)를 포함하여 재생기 관리부(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 단말기 무선 설정부(54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AP(410)를 통한 로컬 무선 네트워크 접속 시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 설정을 수행하여 연결한다.
다중정보 시그널 수신부(550)는 사용자 단말기 무선 설정부(54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되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유휴 시그널, 홈 시작 시그널,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을 수신하여 영상 제공부(560)로 제공한다.
영상 제공부(560)는 미러링 영상 제공부(561), 유휴영상 제공부(562) 및 다중정보 영상 제공부(563)를 포함하여, 다중정보 시그널 수신부(550)로부터 시그널을 입력받고,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시그널과 함께 수신되거나, 실시예에 따라 영상 DB(513)에 저장된 영상을 관리 통신부(520)를 통해 해당 영상 재생기(62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미러링 영상 제공부(561)는 다중정보 시그널 수신부(550)로부터 홈 시작 시그널 및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시그널과 함께 수신되는 미러링 영상을 재생기 DB(511)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영상 재생기(620)인 제1영상 재생기(620)로 전송한다. 상기 제1영상 재생기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다른 영상 재생기(620)로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유휴영상 제공부(562)는 상기 다중정보 시그널 수신부(550)로부터 유휴 시그널이 입력되면 시그널과 함께 입력되는 유휴영상에 대한 분할영상 또는 영상 DB(513)에 영상 재생기(620)별로 미리 저장된 각 분할영상을 해당 영상 재생기(620)로 제공한다.
다중정보 영상 제공부(563) 또한 다중정보 시그널 수신부(550)로부터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이 입력되면 실시예에 따라 시그널과 함께 수신되는 다중정보 영상 또는 영상 DB(513)에 미리 저장된 다중정보 영상을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재생기(620)인 제2영상 재생기(620)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로, 사용자 단말기(200)가 유휴영상에 대한 분할영상, 홈 영상 및 다중정보 영상을 획득하여 재생기 관리부(500)를 통해 영상 재생기(620)로 제공하는 경우를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전원이 공급되거나, 특정 앱의 구동되거나, 특정 앱에서 접속 요청이 발생되면 AP(410)를 통해 재생기 관리부(500)에 접속한다(S111, S113).
사용자 단말기(200)는 재생기 관리부(500)에 접속되면 현재상태가 유휴상태인지 활성화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15).
초기 재생기 관리부(500)의 접속 시에는 접속 동작으로 인해 활성화상태이고,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사용하지 않으면 유휴상태로 진행할 것이다.
먼저 유휴상태인 경우를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유휴기 영상을 표시할 것이다(S117). 상기 유휴기 영상이란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은 영상으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대기화면 영상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대기화면 영상도 미러링 영상으로 정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유휴기 영상의 표시 후,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휴 시그널을 전송하고(S119) 난 후, 실시예에 따라 자신이 생성하거나 영상분할서버(100)를 통해 생성되어 수신한 분할영상을 AP(410)를 통해 재생기 관리부(500)로 전송한다(S121).
반면, 활성화상태이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최상위 구동 프로그램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S123).
최상위 구동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31)에 표시하고(S125), 홈 시작 시그널을 재생기 관리부(500)로 전송 후 또는 홈 시작 시그널의 전송과 함께 미러링 영상 및 홈 영상을 재생기 관리부(500)로 전송하기 시작한다(S127, S129, S131). 상기 홈 영상은 유휴영상과 같이 광고, 홍보, 전시를 위한 영상일 수도 있고, 홈 화면의 배경 영상, 홈 화면의 운영체제 관련 영상 등과 같은 홈 관련 영상일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 최상위 구동 프로그램이 존재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최상위 구동 프로그램의 앱정보를 획득하고(S133), 앱정보가 획득되면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을 재생기 관리부(500)로 전송하며(S135), 상기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 전송 후 또는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과 함께 미러링 영상 및 다중정보 영상을 재생기 관리부(500)로 전송한다(S137, S139).
재생기 관리부(500)는 유휴 시그널이 수신되는지, 홈 시작 시그널이 수신되는지,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이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41, S143).
유휴 시그널이 수신되면 재생기 관리부(5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유휴영상에 대한 분할영상을 해당하는 각 영상 재생기(620)로 전송한다(S145).
반면 홈 시작 시그널이 수신되면 재생기 관리부(500)는 미러링 영상을 제1영상 재생기(620-1)로 전송하고(S147), 홈 영상을 하나 이상의 제2영상 재생기(620-2,...620-n)로 전송한다(S149).
그리고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이 수신되면 재생기 관리부(500)는 미러링 영상을 제1영상 재생기(620-1)로 전송하고, 다중정보 영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영상 재생기(620-2,...602-n)로 전송한다.
각 영상 재생기(620)는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610)에 표시한다(S155).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유무선 데이터통신망 100: 영상분할서버
200: 사용자 단말기 210: 단말 저장부
211: 영상 DB 212: 영상 제공이력 DB
220: 단말 통신부 221: 원거리 무선통신부
222: 근거리 무선통신부 230: 입출력부
231: 디스플레이부 232: 입력부
240: 단말 제어부 250: 무선설정부
260: 유휴상태 판단부 270: 실행 프로그램 검출부
280: 디스플레이 영상 표시부 290: 다중정보 시그널 제공부
300: 영상 제공부 301: 미러링 영상 제공부
302: 유휴영상 제공부 303: 다중정보 영상 제공부
310: 서버 접속부 320: 분할영상 획득부
321: 분할영상 설정부 322: 분할영상 다운로드부
330: 분할영상 제공부 331: 분할영상 전송 처리부
332: 영상 재생기 위치 설정부 400: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
410: 액세스 포인트(AP) 500: 재생기 관리부
510: 관리 저장부 520: 관리 통신부
530: 관리 제어부 600: 무선 영상 표시부
610: 디스플레이부 620: 영상 재생기

Claims (14)

  1. 적어도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의 수신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인 제1디스플레이부에 수신되는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인 제2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미러링 영상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 및
    유휴상태 및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활성화된 앱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유휴상태가 아닌 활성화상태이되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활성화된 앱이 존재하면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 미러링 영상 및 상기 미러링 영상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유휴상태 판단에서 유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유휴 시그널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고,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유휴 시그널의 수신 시 유휴영상에 대한 상기 각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분할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는,
    외부기기가 삽입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는 다수의 상기 디스플레이부;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AP;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의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AP를 통해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유휴 시그널에 따른 유휴영상에 대한 연결된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분할영상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에 따른 미러링 영상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1영상 재생기;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의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AP를 통해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유휴 시그널에 따른 유휴영상에 대한 연결된 각 제2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분할영상을 표시하고,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에 따라 상기 제1영상 재생기에 의해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미러링 영상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영상 재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는,
    외부기기가 삽입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는 다수의 상기 디스플레이부;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AP;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의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AP를 통해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유휴 시그널에 따른 유휴영상의 제1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분할영상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에 따른 미러링 영상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1영상 재생기;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의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AP를 통해 로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유휴 시그널에 따른 유휴영상에 대응하는 분할영상을 제2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에 따른 상기 제1영상 재생기에 의해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미러링 영상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영상 재생기; 및
    상기 제1영상 재생기 및 하나 이상의 제2영상 재생기에 대한 영상 재생기 구성정보 및 위치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유휴 시그널의 수신 시 상기 유휴영상에 대한 분할영상을 상기 영상 재생기 구성정보 및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로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영상 재생기 및 제2영상 재생기들로 제공하고, 상기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의 수신 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미러링 영상을 상기 제1영상 재생기로 제공하고 상기 다중정보 영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영상 재생기로 전송하는 재생기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앱에 대응하는 다중정보 영상 및 유휴영상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유휴상태 시 상기 유휴영상을 분할할 분할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고, 활성화상태 시 상기 다중정보 영상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유휴영상을 수신받아 분할하여 분할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분할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앱에 대응하는 다중정보 영상 및 유휴영상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유휴상태 시 상기 유휴영상 및 유휴영상의 분할영상 수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상기 영상분할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유휴영상에 대한 상기 분할영상 수의 분할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고, 활성화상태 시 상기 다중정보 영상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휴영상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유휴영상을 사용자가 설정한 영상분할 수에 따라 분할하여 분할영상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영상분할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유휴상태 시 상기 영상분할서버에 의해 접속하여 상기 유휴영상의 선택 및 유휴영상의 분할영상 수를 설정하여 상기 유휴영상에 대한 상기 분할영상 수의 분할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고, 활성화상태 시 상기 다중정보 영상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휴영상에 대한 상기 영상 재생기의 수에 대응하는 분할영상 수의 분할영상, 상기 앱에 대한 다중정보 영상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유휴 시그널의 수신 시 상기 분할영상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디스플레이부들 중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의 수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미러링 영상을 제1영상 재생기로 전송하고, 상기 다중정보 영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영상 재생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사용자 단말기가 유휴상태 및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활성화된 앱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유휴상태가 아닌 활성화상태이되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활성화된 앱이 존재하면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 및 미러링 영상을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요청 과정; 및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의 수신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인 제1디스플레이부에는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미러링 영상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중정보 영상 디스플레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요청 과정은,
    사용자 단말기가 유휴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유휴상태 판단 단계;
    유휴상태이면 유휴 시그널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유휴 시그널 전송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유휴상태가 아닌 활성화상태이면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활성화된 앱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최상위 포어그라운드 활성화 앱 존재 판단 단계; 및
    상기 최상위 포어그라운드에 활성화된 앱이 존재하면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 및 미러링 영상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요청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정보 영상 디스플레이 과정은,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유휴 시그널의 수신 시 상기 유휴 시그널에 대한 유휴영상의 분할영상을 각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분할영상을 표시하는 분할영상 표시 단계; 및
    상기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의 수신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하나인 제1디스플레이부에는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미러링 영상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중정보 영상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요청 과정은,
    상기 유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저장하고 있던 유휴영상을 로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수에 대한 분할영상 수로 상기 유휴영상을 분할하여 분할영상을 생성하는 분할영상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휴 시그널 전송 단계에서 상기 유휴 시그널과 함께 상기 분할영상을 상기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영상분할서버가 유휴영상 선택 정보 및 선택된 유휴영상의 분할영상 수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분할영상 요청 정보의 수신 시 해당 유휴영상을 상기 분할영상 수로 분할하여 분할영상을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분할영상 생성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요청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유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분할서버로 상기 분할영상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분할영상 요청 단계; 및
    상기 분할영상 요청 정보의 전송에 응답하여 분할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분할영상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시그널 전송 단계에서 유휴 시그널과 함께 상기 분할영상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영상 표시 단계는,
    다중정보 디스플레이부의 재생기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휴 시그널의 수신 시 미리 저장하고 있는 유휴영상에 대한 디스플레이부 수에 대응하는 분할영상 수의 분할영상을 제1영상 재생기 및 하나 이상의 제2영상 재생기들로 전송하는 분할영상 제공 단계; 및
    상기 제1영상 재생기 및 하나 이상의 제2영상 재생기 각각이 수신된 분할영상을 연결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분할영상 표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정보 영상 표시 단계는,
    상기 재생기 관리부가 상기 프로그램 시작 시그널의 수신 시 미리 설정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된 제1영상 재생기로 미러링 영상을 전송하는 미러링 영상 전송 단계;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미러링 영상과 관련된 다중정보 영상을 전송하는 다중정보 영상 전송 단계;
    상기 제1영상 재생기가 상기 미러링 영상을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미러링 영상 표시 단계; 및
    상기 제2영상 재생기가 상기 다중정보 영상을 제2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다중정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정보 영상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미러링 영상을 통해 미러링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된 앱의 사용 설명에 대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90050491A 2019-04-30 2019-04-30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KR102026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91A KR102026587B1 (ko) 2019-04-30 2019-04-30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91A KR102026587B1 (ko) 2019-04-30 2019-04-30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587B1 true KR102026587B1 (ko) 2019-09-27

Family

ID=6809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491A KR102026587B1 (ko) 2019-04-30 2019-04-30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58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26B1 (ko) * 2009-12-23 2010-04-27 (주)미드텍스 감시영상의 선택적 화면분할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95832A (ko) 2009-02-23 2010-09-01 재단법인 인천광역시정보산업진흥원 영상 분할 표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분할 재생 장치
KR20160017214A (ko) * 2014-08-01 2016-02-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스크린 시스템, 영상분할서버 및 그 영상분할방법, 분할영상단말기 및 멀티스크린 제어방법
KR20160019693A (ko) * 2014-08-12 201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28713A (ko) * 2014-09-04 201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1294B1 (ko) 2014-02-28 2016-06-01 한국과학기술원 이동체의 좌석 모니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무선고속 미러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832A (ko) 2009-02-23 2010-09-01 재단법인 인천광역시정보산업진흥원 영상 분할 표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분할 재생 장치
KR100955026B1 (ko) * 2009-12-23 2010-04-27 (주)미드텍스 감시영상의 선택적 화면분할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1621294B1 (ko) 2014-02-28 2016-06-01 한국과학기술원 이동체의 좌석 모니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무선고속 미러링 시스템
KR20160017214A (ko) * 2014-08-01 2016-02-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스크린 시스템, 영상분할서버 및 그 영상분할방법, 분할영상단말기 및 멀티스크린 제어방법
KR20160019693A (ko) * 2014-08-12 201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28713A (ko) * 2014-09-04 201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754B1 (ko) 추천 콘텐츠에 기초한 상호작용 방법, 단말기 및 서버
KR102295663B1 (ko)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226700B2 (en) Server system for processing graphic output and responsively blocking select input commands
CN106791936B (zh) 一种虚拟礼物的展示方法及装置
CN113225572B (zh) 直播间的页面元素展示方法、装置及系统
US10365779B2 (en) Dynamically assigning shortcuts to menu items and actions
US10610781B2 (en) Game system, storage control device,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20160180806A1 (en) Providing A Representation For A Device Connected To A Display Device
CN113840154B (zh) 基于虚拟礼物的直播互动方法、系统及计算机设备
JP6615997B2 (ja) 仮想セッションにおけるサーバ・サイド・キーボード・レイアウトとクライアント・サイド・キーボード・レイアウトとの同期
US201500113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s recorde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60295163A1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858153B2 (en) Service-based backup data restoring to devices
US10983903B1 (en) Enhanced automated protocol for secure application testing
CN112435069A (zh) 一种广告投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30063657A1 (en) Scriptlets
CN113014934A (zh) 产品展示方法、产品展示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8280864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trieving presentation settings from a database
CN113617026B (zh) 云游戏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026586B1 (ko) 분할영상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KR102026587B1 (ko)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CN112925595A (zh) 资源分发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305310B (zh) 一种文字动画实现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13891162B (zh) 直播间加载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2002268623A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