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713A -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713A
KR20160028713A KR1020140117545A KR20140117545A KR20160028713A KR 20160028713 A KR20160028713 A KR 20160028713A KR 1020140117545 A KR1020140117545 A KR 1020140117545A KR 20140117545 A KR20140117545 A KR 20140117545A KR 20160028713 A KR20160028713 A KR 20160028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s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8713A/ko
Priority to US14/828,684 priority patent/US20160070523A1/en
Publication of KR20160028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2Centralised management of display operation, e.g. in a server instead of lo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0Use of a protocol of communication by packets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0Details of the management of multiple sources of image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6Remotely controlled electronic signs other than 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거나, 연결하거나 또는 제어하는데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표시될 콘텐츠를 처리 및 제어하는데도 불편함을 완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ER DEVICE,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영상 광고를 비롯한 정보 알림 게시판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에서부터, 비디오 아트와 같이 새로운 예술 형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공공 기관, 편의점, 은행 병원, 도로, 쇼핑몰, 커피숍 등 다양한 곳에서 디지털 광고판이 많이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현상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ange, DS)'기술과 결합되어 더욱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S)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공장소나 상업공간에 설치하여 정보, 엔터테인먼트, 광고 등을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디지털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의 기능에 더하여 콘텐츠, 네트위크, 소프트웨어 솔루션 등 다양한 IT 및 콘텐츠 관련 기술이 복합적으로 융합된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 분야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공 화면의 대형화에 대한 수요 및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콘텐츠 디스플레이 기술에 있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멀티비젼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
제 1식별 정보는, IP주소(Internet Protocol Adress), MAC주소(Media Access Control),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
제 2식별 정보는, 숫자, 문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식별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됨과 동시에,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검색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
검색 리스트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명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동일한 장치명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장치명과 함께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제 2식별 정보의 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동일한 장치명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 제어부; 및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마련되는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제 1식별 정보는, IP주소(Internet Protocol Adress), MAC주소(Media Access Control),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제 2식별 정보는, 숫자, 문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검색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검색 리스트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명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동일한 장치명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는, 장치명와 함께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는, 제 2식별 정보의 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는, 제 2식별 정보의 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동일한 장치명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동일한 장치명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 및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제 1식별 정보는, IP주소(Internet Protocol Adress), MAC주소(Media Access Control),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제 2식별 정보는, 숫자, 문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제 2식별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됨과 동시에,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 2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거나, 연결하거나 또는 제어하는데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표시될 콘텐츠를 처리 및 제어하는데도 불편함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대형 화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검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색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2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1)은 디스플레이 장치(200), 서버(400), AP(300)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 서버(400), AP(300) 및 사용자 단말기(1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병원, 공공기관, 민간기관, 커피숍, 지하철, 및 기타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특정인 또는 불특정 다수가 제공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콘텐츠는, 텍스트, 사진,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디스플레이 장치 200_2,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_3)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더 많은 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더 적은 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서버(400)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된다. 서버(400)는 콘텐츠를 생성, 관리 또는 저장하고, 이와 같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콘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전송받을 수 있다.
서버(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될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전송받을 수 있다. 서버(400)는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고,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에서 생성된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400)는 생성하거나 전송받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포맷으로 가공할 수도 있다.
서버(400)는 콘텐츠가 적절한 시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관리하거나 스케쥴링할 수 있다. 복수의 콘텐츠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야 하는 경우, 서버(400)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해 디스플레이될 날짜, 시간, 순서 등을 스케쥴링할 수 있다. 서버(400)는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개수에 대응하여 콘텐츠를 분할, 리사이즈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하거나, 콘텐츠를 분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 각각은 그에 대응하여 처리 또는 분배된 콘텐츠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서버(400)는 생성하거나 전송받은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고, 처리 또는 분배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는 콘텐츠의 관리를 위한 정보 또는 콘텐츠의 스케쥴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제 1식별 정보를 설정하거나 수신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 1식별 정보는 IP주소(Internet Protocol Adress), MAC주소(Media Access Control),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식별 정보가 IP주소(Internet Protocol Adress), MAC주소(Media Access Control) 등으로 마련되는 경우, 서버(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개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 각각에 제 1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 1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서버(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과 함께 설정된 제 1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400)를 통해 제 1식별 정보가 설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는 이미 제 1식별 정보가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서버(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 및 위치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제 1식별 정보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서버(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각각의 제 1식별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서버(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과 함께 수신된 제 1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4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1식별 정보를 직접 수신받는 것이 아니라, 외부 장치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제 1식별 정보를 수신받고, 서버(400)는 이와 같은 제 1식별 정보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400)는 제 1식별 정보의 수신 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1식별 정보를 자체적으로 설정하거나 수신받을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기설정되거나 외부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수신한 제 1식별 정보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 1식별 정보가 기설정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제 1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하며, 서버(400)는 기설정되거나 수신한 제 1식별 정보를 전송받는 것으로 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또한, 서버(400)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DS)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으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DS)를 제공할 수만 있다면,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P(3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접속을 위한 WI-FI(Wireless-Fidelity)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AP(3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서버(400) 간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와 서버(400)간의 신호, 정보 도는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AP(300)는 라우팅기능이나 보안기능을 갖추고 있을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소지하여 이동이 가능하며, 컴퓨팅 기능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와 구동이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PC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병원, 공공기관, 민간기관, 커피숍, 지하철, 및 기타 다양한 장소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관리하는 관리자,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조작하는 조작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조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AP(300) 또는 서버(400)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0)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를 통해 AP(300) 또는 서버(4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각종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각종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복수개로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200) 각각을 직관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제 2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선택하여 조작하기 위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 2식별 정보를 비롯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실시예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인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1)은 디스플레이 장치(200), 서버(400), AP(300)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 서버(400), AP(300) 및 사용자 단말기(1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4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단일의 중앙 서버로 마련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서버(400)는 유뮤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 및 해당 서버(400)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200_1에 대응하여 서버 400_1이 마련되고, 서버 400_1은 네트워크 및 AP(3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200_1을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시킨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200_2에 대응하여 서버 400_2이 마련되고, 서버 400_2은 네트워크 및 AP(3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200_2를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시킨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장치 200_3에 대응하여 서버 200_3이 마련되고, 서버 400_3은 네트워크 및 AP(3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200_3을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시킨다.
각각의 서버(400)는 콘텐츠를 생성, 관리 또는 저장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1식별 정보를 설정, 수신 및 저장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1)이 AP(300)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네트워크의 종류나 통신 방식에 따라 AP(300)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1)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1)이 서버(400) 즉, 단일 서버 또는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종류, 콘텐츠의 종류나 형태 등에 따라 서버(400)는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1)이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1)의 블록도를 참조하여,디스플레이 장치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1)의 구성 및 각 구성의 역할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1)은 서버(400)와 서버(400)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원 공급부(210), 통신부(220), 제어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는 단말기 통신부(110), 단말기 제어부(120), 단말기 입력부(130),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 및 단말기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이 아닌 임의의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각형 형태로 마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를 예시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크기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는 서로 동일한 장치명(또는 모델명)을 갖을 수도 있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장치명(또는 모델명)을 갖을 수도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는 조합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는 상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 1행, 제 2행 및 제 3행을 구성하며, 제 1행, 제 2행 및 제 3행에는 동일한 개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200_2, 및 200_3가 제 1행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200_4, 200_5 및 200_6가 제 2행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200_7, 200_8 및 200_9이 제 3행을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각각의 전면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구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합으로 대형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대형 화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텐츠는 서버(400)를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의 개수 및 위치에 맞게 분할될 수 있다. 콘텐츠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 분할되거나, 분할된 후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 리사이즈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콘텐츠는 분할되거나 리사이즈되는 과정 외에 또 다른 영상처리 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영상처리된 콘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의 위치에 맞게 각각 분배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는 분배된 콘텐츠를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를 통해 하나의 콘텐츠가 시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를 포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의 조합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체적으로 계단 형태의 대형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중 디스플레이 장치 200_1이 제 1행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200_2 및 200_3이 제 2행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200_4, 200_5 및 200_6이 제 3행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를 포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의 조합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양방향으로 계단 형태를 갖는 대형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중 디스플레이 장치 200_1이 제 1행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200_2, 200_3 및 200_4가 제 2행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200_5, 200_6, 200_7, 200_8 및 200_9가 제 3행을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를 포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의 조합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다각도에서 시청 가능한 대형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는 좌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 1열 및 제 2열을 구성하며, 제 1열 및 제 2열에는 동일한 개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200_2, 200_3 및 200_4가 제 1열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200_5, 200_6, 200_7 및 200_8이 제 2열을 구성할 수 있다.
제 1열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및 200_4)와 제 2열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5, 200_6, 200_7 및 200_8)는 서로 다른 각도를 갖을 수 있다.제 1열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및 200_4)와 제 2열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5, 200_6, 200_7 및 200_8)를 통해 하나의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제 1열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및 200_4)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와 제 2열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5, 200_6, 200_7 및 200_8)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마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는 일정 형태로 조합되어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독립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는 단일 공간에 독립되어 마련될 수도 있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된 공간에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가 모두 서로 다른 공간에 마련될 수도 있다.
콘텐츠는 하나의 콘텐츠로 마련되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에 동일하게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는 동일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콘텐츠는 복수의 콘텐츠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에는 서로 다른 콘텐츠가 분배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4 내지 9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 및 그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예시된 바 이외에 다른 구성 또는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합으로,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의 대형 화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각각은 전원 공급부(210), 통신부(220), 제어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1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10)는 통신부(220), 제어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저장부(250)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10)는 수은 전지, 망간 전지, 알카라인 전지, 리튬 전지 등 1차 전지로 구현될 수도 있고, 니켈-카드뮴(Ni-Cd) 전지, 니켈-수소(Ni-NH) 전지, 납 축전지(Lead Acid), 리튬 이온(Li-ion)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이 2차 전지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태양 열을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태양 전지로 구현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형태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전원 공급부(210)가 외부 전원을 인가받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외부 전원을 유선으로 연결하여 전원 공급부(210)를 충전시킬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외부 장치와 연결시키고, 외부 장치와 신호 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에 있듯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 1식별 정보가 기설정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제 1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제 1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부(22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1식별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통신부(220)는 서버(4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1식별 정보를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식별 정보의 전송 시, 통신부(200)는 제 1식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또는 모델명)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서버(400)를 통해 각종 사용자 명령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서버(400)로부터 제 2식별 정보 또는 콘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 2식별 정보는 복수개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직관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숫자, 문자, 도형으로 마련되거나, 숫자, 문자, 도형의 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만 있다면,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20)는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GPS 모듈 등의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랜(Wireless LAN; WLAN),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GPS 모듈은 인공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또는 항법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20)의 위치(예를 들어, 위도 좌표, 경도 좌표 등)을 검출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서버(400)를 통해 전송된 제 2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제 2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제 2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로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200) 각각을 식별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조작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분배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각 구성 즉, 통신부(220), 디스플레이부(240), 저장부(25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서버(400)를 통해 전송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 2식별 정보 표시를 위한 설정명령을 입력하면, 서버(400)는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하고, 제어부(230)는 전송된 설정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 제 2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콘텐츠 표시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면, 이에 기초하여 서버(400)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분배 또는 전송하고, 제어부(230)는 분배되거나 전송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집적 회로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칩을 포함하는 각종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 제어부(230)는 하나의 프로세서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프로세서에 분리되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일시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50)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 제 1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서버(400)를 통해 전송된 제 2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50)는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제 2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로그램,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저장부(2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단말기 통신부(110), 단말기 제어부(120), 단말기 입력부(130),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 및 단말기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를 외부 장치와 연결시키고, 외부 장치와 신호 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단말기 통신부(110)는 서버(4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서버(4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 및 제 1식별 정보를 전송받는다. 단말기 통신부(110)는 복수개로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200) 각각에 대한 장치명 및 제 1식별 정보를 전송받는다.
단말기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식별하기 위한 제 2식별 정보를 서버(4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한다. 단말기 통신부(110)는 서버(400)에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기 통신부(110)는 방송 기지국, 이동통신 기지국, 외부 서버 등으로부터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단말기 저장부(150)에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된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기 통신부(110)는 단말기 입력부(130) 또는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기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지상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복조기, 등화기 등을 포함하는 지상파 방송 수신 모듈,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DMB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은 통신부(22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단말기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말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 주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명령,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명령,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조작할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명령,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단말기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 단말기(100) 주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검색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검색 리스트에는 서버(400)를 통해 전송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이 표기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400)이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검색 리스트 상에 장치명과 함께 제 2식별 정보를 나열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설정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설정화면은 제 2식별 정보의 표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온(on) 메뉴를 선택하여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정하거나, 오프(off) 메뉴를 선택하여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온(on) 메뉴 선택에 따라,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서로 동일한 장치명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존재하는 경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검색된 리스트 상에 동일 장치명이 존재하는 경우, 동일 장치명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도록 장치명과 함께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서만(예를 들어, 동일 장치명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서만)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200) 모두에 대해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바 있듯이, 터치 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패널(TSP)으로 구성되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표시장치 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각 구성 즉, 단말기 통신부(110),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 단말기 저장부(15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 및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장치명이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때, 제 2식별 정보는 제 1식별 정보와 대응관계를 형성하도록 생성되는 것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단말기 제어부(120)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서로 다른 제 1식별 정보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서로 다른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120)는 제 1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200) 모두에 대해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고,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서만(예를 들어, 동일 장치명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서만)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동일 형태의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고, 다른 형태가 포함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서는 숫자 형태의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서는 문자 형태의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화면에서 제 2식별 정보의 표시를 위한 온(on) 메뉴 선택할 수 있으며, 단말기 제어부(120)는 이와 같은 사용자의 설정에 기초하여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생성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20)는 단말기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검색 리스트 표기 후 자동으로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또는 검색 리스트 표기와 함께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화면에서 제 2식별 정보의 표시를 위한 온(on) 메뉴 선택할 수 있으며, 단말기 제어부(120)는 이와 같은 사용자의 설정에 기초하여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검색된 리스트 상에 동일 장치명이 존재하는 경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서만(예를 들어, 동일 장치명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서만)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200) 모두에 대해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식별 정보 표시를 위한 제어신호는 서버(4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도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 2식별 정보가 표시되는 것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 2식별 정보가 표시되는 것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집적 회로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칩을 포함하는 각종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하나의 프로세서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프로세서에 분리되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기 저장부(15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일시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저장부(150)는 전송받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 및 제 1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150)는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1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제 2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기 저장부(150)는 콘텐츠를 일시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150)는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도 10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검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색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상부 도면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각각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갖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의 조합으로,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의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각각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갖을뿐만 아니라, 동일한 장치명 예를 들어, DM40D을 갖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는 단말기 입력부(130)를 통해 주변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검색하도록 검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110)는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검색하고,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 및 제 1식별 정보(예를 들어, MAC 주소)를 수신받는다. 다시 말하면, 단말기 통신부(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의 장치명 및 제 1식별 정보를 각각 수신받으며, 이 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의 장치명은 모두 DM40D로서 동일하나, 제 1식별 정보는 서로 달라지게 된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검색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검색 리스트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이 표기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을 검색된 순서에 따라 차례로 표기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의 장치명은 DM40D로써 모두 동일하므로,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도 10의 하부 도면과 같이 장치명 DM40D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만큼 반복하여 표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장치명이 반복 표기되는 경우(또는 검색 리스트에 동일한 장치명에 포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식별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선택하고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장치명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2식별 정보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제 2식별 정보의 표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검색 리스트와 함께 검색 리스트 하단에 "식별 정보 표시"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누르거나 터치하는 방식 등으로 아이콘을 선택하여 '제 2식별 정보의 표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설정화면으로 전환되면, 사용자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온(on) 메뉴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검색 리스트 상에 제 2식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달리, "식별 정보 표시" 아이콘은 검색 리스트 표기 전에 별도로 표기될 수도 있다. "식별 정보 표시" 아이콘의 선택에 따라 설정화면으로 전환되면, 사용자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온(on)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는 검색 리스트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제 2식별 정보의 표시는 사용자 설정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검색 리스트에 동일 장치명이 중복 표기되는 경우 즉, 동일 장치명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화면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상부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0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1식별 정보에 대응관계를 형성하는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의 장치명이 모두 동일하므로, 단말기 제어부(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모두에 대해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숫자 형태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맞게 '1, 2, 3, 4, 5, 6, 7, 8, 9'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검색된 순서에 따라 차례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단말기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도 11의 하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장치명과 함께 숫자 형태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된다. 제 2식별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각각에 전송된다. 제 2식별 정보는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르게 생성되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각각이 전송받는 제 2식별 정보는 제 1식별 정보에 따라 서로 달라지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송받은 제 2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는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및 전송된 제 2식별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11의 검색 리스트에서 첫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1'이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2는 '1'이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두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2'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3은 '2'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제 2식별 정보가 표시되는 것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제 2식별 정보가 표시되는 것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된 제 2식별 정보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1식별 정보를 직접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형태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식별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중 조작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상부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0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으로 하며, 도 12를 설명함에 있어, 도 11과 동일 또는 대응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문자 형태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맞게 'A, B, C, D, E, F, G, H, I'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120)는 검색된 순서에 따라 차례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단말기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도 12의 하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장치명과 함께 문자 형태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는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각각에 전송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는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및 전송된 제 2식별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12의 검색 리스트에서 첫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A'이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2는 'A'이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두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B'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3은 'B'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도 13은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상부 도면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중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갖고, 동일한 장치명 예를 들어, DM40D를 갖는 것으로 한다. 반면, 디스플레이 장치 200_7 및 200_8은 다른 크기 또는 다른 형태를 갖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과 다른 장치명을 갖게 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 200_7의 장치명을 DM60D로 예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200_8의 장치명을 DM50D로 예시하기로 한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장치명이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에 대해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의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숫자 형태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장치명이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맞게 '1, 2, 3, 4, 5, 6'으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검색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단말기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도 13의 하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장치명과 함께 숫자 형태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에 전송된다. 제 2식별 정보는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르게 생성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이 전송받는 제 2식별 정보는 제 1식별 정보에 따라 서로 달라지게 된다.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및 전송된 제 2식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를 통해 각각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장치명이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중, 첫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1'이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2는 '1'이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두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2'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1은 '2'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제 2식별 정보가 표시되는 것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제 2식별 정보가 표시되는 것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된 제 2식별 정보로부터, 사용자는 크기와 형태가 갖고, 장치명이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시각적,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14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상부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3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으로 하며, 도 14를 설명함에 있어, 도 13과 동일 또는 대응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모두에 대해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장치명이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뿐만 아니라, 장치명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200_7 및 200_8에 대해서도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숫자 형태 즉, '1, 2, 3, 4, 5, 6, 7, 8'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검색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단말기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도 14의 하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장치명과 함께 숫자 형태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는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각각에 전송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는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및 전송된 제 2식별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14의 검색 리스트에서 네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4'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5는 '4'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일곱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7'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7은 '7'이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된 제 2식별 정보로부터, 사용자는 검색 리스트에 표기된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시각적,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15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의 상부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3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으로 하며, 도 15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바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모두에 대해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혼합된 형태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장치명이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에 대해 숫자 형태 즉, '1, 2, 3, 4, 5, 6, 7, 8'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장치명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200_7 및 200_8에 대해 문자 형태 즉, 'A, B'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5의 하부 도면과 같이,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검색 리스트 상에 장치명과 함께 표시된다. 또한,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각각에 전송된다.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및 전송된 제 2식별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를 통해 각각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도 14의 검색 리스트에서 네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4'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5는 '4'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일곱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A'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7은 'A'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도 16은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의 상부 도면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는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갖을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중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와 디스플레이 장치 200_7 내지 200_9는 서로 다른 장치명을 갖는 것으로 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의 장치명을 DM60D로 예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200_7 내지 200_9의 장치명을 EM40D로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제어부(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모두에 대해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동일 형태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숫자 형태 즉, '1, 2, 3, 4, 5, 6, 7, 8, 9'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검색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는, 도 16의 하부 도면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검색 리스트 상에 장치명과 함께 표시된다. 제 2식별 정보는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를 통해 각각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도 16의 검색 리스트에서 네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4'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5는 '4'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일곱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7'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8은 '7'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도 17은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의 상부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6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으로 하며, 도 17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바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모두에 대해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혼합된 형태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장치명이 DM40D인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에 대해 숫자 형태 즉, '1, 2, 3, 4, 5, 6'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장치명이 EM40D디스플레이 장치 200_7 내지 200_9에 대해 문자 형태 즉, 'A, B, C'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7의 하부 도면과 같이,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검색 리스트 상에 장치명과 함께 표시된다. 또한,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각각에 전송된다.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및 전송된 제 2식별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를 통해 각각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도 17의 검색 리스트에서 네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4'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5는 '4'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일곱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A'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8은 'A'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도 18은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의 상부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6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모두에 대해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숫자 및 문자가 조합된 형태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장치명이 DM40D인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에 대해 'A1, A2, A3, A4, A5, A6'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장치명이 EM40D인 디스플레이 장치 200_7 내지 200_9에 대해 'B1, B2, B3'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8의 하부 도면과 같이,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검색 리스트 상에 장치명과 함께 표시된다.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및 전송된 제 2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됨과 동시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를 통해 각각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도 18의 검색 리스트에서 네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A4'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5는 'A4'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일곱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B1'이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8은 'B1'이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도 19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의 상부 도면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는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갖을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중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가 갖는 장치명, 디스플레이 장치 200_7 및 200_8이 갖는 장치명, 디스플레이 장치 200_9가 갖는 장치명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의 장치명을 DM60D로 예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200_7 및 200_8의 장치명을 EM40D로 예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200_9의 장치명을 GM40D로 예시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장치명이 DM40D인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에 대해 'A1, A2, A3, A4, A5, A6'의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장치명이 EM40D인 디스플레이 장치 200_7 및 200_9에 대해 'B1, B2'의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장치명이 GM40D인 디스플레이 장치 200_9에 대해 'C1'의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는, 도 19의 하부 도면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검색 리스트 상에 장치명과 함께 표시된다. 또한, 제 2식별 정보는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각각에 전송되고,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도 19의 검색 리스트에서 네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A4'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고,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5는 'A4'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일곱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B1'이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고,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7은 'B1'이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아홉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C1'이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고,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9는 'C1'이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도 20은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의 상부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9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단말기 제어부(120)는 도형이 포함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숫자 및 도형이 조합된 형태로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20)는 장치명이 DM40D인 디스플레이 장치 200_1 내지 200_6에 대해 '○1, ○2, ○3, ○4, ○5, ○6'의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장치명이 EM40D인 디스플레이 장치 200_7 및 200_9에 대해 '△1, △2'의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장치명이 GM40D인 디스플레이 장치 200_9에 대해 '□1'의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기된다. 이와 동시에, 제 2식별 정보는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_1, 200_2, 200_3, 200_4, 200_5, 200_6, 200_7, 200_8, 200_9) 각각에 전송되고,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도 20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검색 리스트에서 네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4'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고,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5는 '○4'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곱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B1'이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고,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7은 '△1'이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아홉번째로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1'이라는 제 2식별 정보가 생성되고,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장치 200_9는 '□1'이라는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 2식별 정보가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검색 리스트에 표기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시각적,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조작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
이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1)이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예들을 도 10 내지 도 20을 바탕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직관적,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만 있다면 제 2식별 정보 및 그 표시 형태는 제한되지 않고 채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어진 흐름도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1은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검색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검색되었는지 판단한다(711).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없거나, 단일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검색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00)는 재검색을 수행한다(712). 재검색은 바로 수행될 수도 있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검색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검색 리스트를 표시한다(713). 이 때, 검색 리스트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이 포함된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을 리스트 형태로 표기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 2식별 정보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714).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설정화면에서 제 2식별 정보의 표시를 위한 온(on) 메뉴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기 전 또는 제 2식별 정보 생성한 후 온(on)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정되지 않은 경우(즉, 오프(off) 메뉴가 선택된 경우), 바로 종료 단계로 넘어간다.
반면,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즉, 온(on) 메뉴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한다(715).
사용자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각각의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를 검색 리스트상에서 장치명과 함께 표시 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를 제 1식별 정보에 맞게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송받은 제 2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제 2식별 정보가 표시되는 것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제 2식별 정보가 표시되는 것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된 제 2식별 정보로부터, 복수개로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1식별 정보를 직접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형태로 마련된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식별함으로써, 조작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22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2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검색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검색되었는지 판단한다(721).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없거나, 단일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검색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00)는 재검색을 수행한다(722).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검색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장치명을 리스트 형태로 표기한다(723).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검색 리스트 상에 동일한 장치명이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동일한 장치명이 중복되어 표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724).
동일 장치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바로 종료단계로 넘어간다.
동일 장치명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한다(725).
사용자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각각의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를 검색 리스트상에서 장치명과 함께 표시 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를 제 1식별 정보에 맞게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송받은 제 2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제 2식별 정보가 표시되는 것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제 2식별 정보가 표시되는 것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디스플레이 장치
300 : AP
400 : 서버

Claims (29)

  1.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식별 정보는,
    IP주소(Internet Protocol Adress), MAC주소(Media Access Control),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식별 정보는,
    숫자, 문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2식별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됨과 동시에,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검색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리스트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명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동일한 장치명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장치명과 함께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 2식별 정보의 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동일한 장치명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12.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 제어부; 및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마련되는 사용자 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식별 정보는,
    IP주소(Internet Protocol Adress), MAC주소(Media Access Control),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식별 정보는,
    숫자, 문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검색 리스트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리스트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치명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동일한 장치명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장치명와 함께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제 2식별 정보의 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2식별 정보의 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동일한 장치명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동일한 장치명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24.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식별 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 및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식별 정보는,
    IP주소(Internet Protocol Adress), MAC주소(Media Access Control),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식별 정보는,
    숫자, 문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2식별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됨과 동시에,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9.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 2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 2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KR1020140117545A 2014-09-04 2014-09-04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28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545A KR20160028713A (ko) 2014-09-04 2014-09-04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4/828,684 US20160070523A1 (en) 2014-09-04 2015-08-18 Display apparatus, us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545A KR20160028713A (ko) 2014-09-04 2014-09-04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713A true KR20160028713A (ko) 2016-03-14

Family

ID=5543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545A KR20160028713A (ko) 2014-09-04 2014-09-04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070523A1 (ko)
KR (1) KR201600287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587B1 (ko) * 2019-04-30 2019-09-27 펑타이그레이터차이나 유한회사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KR102026586B1 (ko) * 2019-04-30 2019-11-26 펑타이그레이터차이나 유한회사 분할영상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0468B2 (ja) * 2015-04-22 2020-02-05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調整方法
CN106020753B (zh) * 2016-05-06 2019-03-29 联想(北京)有限公司 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10168976B2 (en) * 2016-05-20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display arrangement
JP6869145B2 (ja) * 2017-08-24 2021-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8989879B (zh) * 2018-08-28 2021-06-1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投屏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86256A3 (en) * 2001-07-31 2005-08-17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data processing capable of performing a high speed processing using a risc and an AGP
AU2003241310A1 (en) * 2002-04-24 2003-11-10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ifying connections for devices on a data bus network
US20060040638A1 (en) * 2004-08-17 2006-02-23 Mcquaide Arnold Jr Hand-held remote personal communicator & controller
JP2006211164A (ja) * 2005-01-27 2006-08-10 Hitachi Ltd マルチディスプレイ構成方法及び装置
JP2006254275A (ja) * 2005-03-14 2006-09-21 Pioneer Electronic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画面調整方法並びに画面調整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587B1 (ko) * 2019-04-30 2019-09-27 펑타이그레이터차이나 유한회사 분할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미러링 다중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KR102026586B1 (ko) * 2019-04-30 2019-11-26 펑타이그레이터차이나 유한회사 분할영상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70523A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8713A (ko)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883849B2 (en)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map and method thereof
US10666586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chatting area and server for managing chatting data
CN104685460B (zh) 透明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US103387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ents in portable terminal
US201400898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window in touch device
EP25234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Between Different Network Devices
EP29844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three-dimensional indoor environments
CN102227611B (zh) 用于提供指示制图应用中上下文数据的光标的方法和装置
US201501280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6011187B2 (ja) 情報処理端末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400433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out for augmented reality view
CN109558018B (zh) 一种内容展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03317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map section on a user interface of a client device
KR101715828B1 (ko)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514725B2 (en) Content reconfiguration based on characteristic analysis
CN110288207A (zh) 一种提供执勤场景信息的方法与设备
KR101809673B1 (ko)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JP7210884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0997356B1 (en) Computing device user interface having auto-grouping of data columns
KR101799413B1 (ko) 스크롤 입력 기반 인터랙티브 노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2199017B (zh) 分屏交互方法和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102583879B1 (ko) 인화 영역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US20240005220A1 (en) Seat library pairing method and system using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S20140227977A1 (en) Method, node,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inte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