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997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997A
KR20170117997A KR1020170129774A KR20170129774A KR20170117997A KR 20170117997 A KR20170117997 A KR 20170117997A KR 1020170129774 A KR1020170129774 A KR 1020170129774A KR 20170129774 A KR20170129774 A KR 20170129774A KR 20170117997 A KR20170117997 A KR 20170117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search
displayed
search resul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환
윤수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9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7997A/ko
Publication of KR2017011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06F17/3086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35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7/30979
    • G06F17/3099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컨텐츠에 대한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을 검색 서버로 전송하고, 검색 서버로부터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에 기초한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검색 결과로부터 복수의 키워드 후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키워드 후보 중 하나인 제2 키워드가 선택되면 제2 키워드를 통신부를 통해 검색 서버로 전송하여,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DISPLAY APPARATUS AND SEARCHING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색 서버와 통신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TV 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접목한 단말기 또는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TV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결합한 소셜 TV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소셜 TV의 방식으로서, TV를 보면서 별도의 스마트-폰 또는 PC로 의견을 공유하는 방식이 있다. TV 외에 별도의 단말기가 필요하다는 점 및 TV에 여러 네트워킹 기능을 탑재하여 스마트화되어 가는 추세에 따라, TV를 보면서 TV 상에서 직접 정보 등을 공유하는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등을 통해 TV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알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키워드로 하여 타인의 의견 또는 이슈화 되고 있는 주제 등을 TV 상에서 직접 검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하면, 방송채널을 식별하는 키워드만을 SNS 서버에 제공하여 방송채널에 관련된 정보만을 검색할 것을 요청하므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정보 및 이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SNS로부터 검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SNS 상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는 방식에 대하여 개시되지 않으므로, 키워드 또는 검색어를 입력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검색 서버와 통신하여 컨텐츠에 대한 자세한 정보 및 이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컨텐츠에 대한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을 검색 서버로 전송하고, 검색 서버로부터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에 기초한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검색 결과로부터 복수의 키워드 후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키워드 후보 중 하나인 제2 키워드가 선택되면 제2 키워드를 통신부를 통해 검색 서버로 전송하여,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을 검색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을 수동으로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UI 화면을 통해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이 입력되면, 입력된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을 검색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가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검색 결과 및 컨텐츠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화면은, 컨텐츠가 표시되는 제1 영역, 복수의 키워드 후보가 표시되는 제2 영역, 복수의 키워드 후보 중 선택된 제2 키워드가 표시되는 제3 영역, 검색 서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제4 영역,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가 표시되는 제5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키워드 후보를 제1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에 포함된 횟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제2 영역에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키워드 후보를 검색 요청 횟수 순서에 따라 제2 영역에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검색 서버는 SNS 서버이며, 제어부는 SNS 서버에 등록된 SNS 정보 중에서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색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색 방법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을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 검색 서버로부터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에 기초한 검색 결과가 수신되면, 검색 결과로부터 복수의 키워드 후보를 추출하는 단계, 복수의 키워드 후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복수의 키워드 후보 중 하나인 제2 키워드가 선택되면 제2 키워드를 검색 서버로 전송하여,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전송 단계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을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송 단계는,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을 수동으로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UI 화면을 통해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이 입력되면, 입력된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을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가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검색 결과 및 컨텐츠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화면은, 컨텐츠가 표시되는 제1 영역, 복수의 키워드 후보가 표시되는 제2 영역, 복수의 키워드 후보 중 선택된 제2 키워드가 표시되는 제3 영역, 검색 서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제4 영역,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가 표시되는 제5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키워드 후보는 제1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에 포함된 횟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제2 영역 내에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키워드 후보는 검색 요청 횟수 순서에 따라 제2 영역에 정렬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검색 서버는 SNS 서버이며, 검색 방법은 SNS 서버에 등록된 SNS 정보 중에서 제2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에 의하면, 컨텐츠에 대한 자세한 정보 및 이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종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성의 일 예.
도 7은 도 6의 제1 영역에 대한 상세 화면의 일 예.
도 8은 도 6의 제1 영역에 대한 상세 화면의 다른 예.
도 9는 도 6의 검색 영역에 대한 상세 화면의 일 예.
도 10은 도 6의 검색 영역에 대한 상세 화면의 다른 예.
도 11은 도 6의 검색 영역에 대한 상세 화면의 또 다른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 선택의 일 예.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 선택의 다른 예.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 선택의 또 다른 예.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 선택의 또 다른 예.
도 16은 도 6의 제5 영역에 대한 상세 화면의 또 다른 예.
도 17은 도 6의 검색 영역에 대한 상세 화면의 또 다른 예.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색 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5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컨텐츠 제공 서버(200), 및 검색 서버(300)를 포함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컨텐츠를 송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서 송신된 컨텐츠를 수신한다. 컨텐츠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뉴스, 오락 프로그램, 드라마 등의 방송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는 개인 사이에서 주고 받는 방송, 영상, 음성 프로그램,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일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컨텐츠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영상, 음성 프로그램,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일 수도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 개의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송신하는 복수 개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검색 서버(300)는 컨텐츠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된 검색을 수행한 후,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수신된 컨텐츠 정보에 관하여 검색 서버(300)에 검색 요청을 할 수 있다. 한편, 검색 서버(300)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또는 웹 서버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검색 서버(30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SNS 서버 및/또는 웹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제어부(120), 수신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수신부(13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가 송신한 컨텐츠를 수신한다. 즉, 수신부(130)는 RF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IP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수신부(130)가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수신부(130)가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10)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130)가 수신하는 컨텐츠에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정보에는 컨텐츠의 제목, 컨텐츠의 제작 연월일, 컨텐츠의 내용에 대한 설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정보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포함될 수 있으며, EPG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사용자가 EPG를 통해 컨텐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단어 또는 단어의 조합을 키워드(Key-word)라 할 수 있고, 컨텐츠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제1 키워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는 제어부(120)가 자동으로 추출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추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수신부(130)가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가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는 동영상, 정지영상, 텍스트 등일 수 있다. 한편, 수신부(130)가 수신한 컨텐츠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제어부(120)에 의한 검색 요청이 있으면 검색 서버(300)에 대해 검색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검색 서버(300)가 검색을 수행한 후 검색 결과를 통신부(140)에 송신하면, 통신부(140)는 검색 결과를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부(140)는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를 검색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키워드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검색 서버(300)는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 서버(300)는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를 AND 조합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를 AND 조합한 제1 검색 결과는 통신부(140)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검색 결과는 실시 예에 따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별다른 디스플레이 없이 키워드 후보 추출 용도로만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40)를 통해 제1 검색 결과가 수신되면 제1 검색 결과로부터 키워드 후보를 추출한다. 즉, 제1 검색 결과에는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단어들이 포함된다. 제어부(120)는 제1 검색 결과 중에서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를 제외한 나머지 단어들 중에서 키워드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20)는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단어들의 포함 빈도를 판단하여, 가장 많이 포함된 단어 순서대로 복수의 키워드 후보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추출된 키워드 후보들을 디스플레이부(110)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키워드 후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키워드 후보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키워드를 제2 키워드라 할 수 있다. 제2 키워드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140)로 전송되고, 통신부(140)는 제2 키워드를 검색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키워드를 수신한 검색 서버(300)는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통신부(140)에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가 제2 검색 결과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제2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검색 서버(300)가 SNS 서버라면, 제어부(120)는 SNS 서버에 등록된 SNS 정보 중에서 제1 키워드에 대한 제1 검색 결과 및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검색 서버(300)가 웹 서버라면, 제어부(120)는 웹 서버에 등록된 정보 중에서 제1 키워드에 대한 제1 검색 결과 및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에 대한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뿐만 아니라,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자세하고 폭 넓게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송신 장치(200-1, 200-2) 및 수신부(13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수신부(130)만을 도시하였으나, 수신부(13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송신 장치(200-1, 200-2)들은 서로 다른 통신 망을 통해서 신호를 송신한다. 도 2에서는 제1 송신 장치(200-1)는 RF 통신망(400-1)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고, 제2 송신 장치(200-2)는 IP 통신망(400-2)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통신 망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송신 장치(200-1)가 송신하는 신호는 제1 신호로 칭하고, 제2 송신 장치(200-2)가 송신하는 신호는 제2 신호로 칭한다.
제1 신호 및 제2 신호는 컨텐츠를 구성하기 위해 구분된 데이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컨텐츠의 비디오 데이터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데이터 중 하나는 제1 신호에 포함되어 RF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고, 다른 하나는 제2 신호에 포함되어 IP 통신 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그 밖에, 컨텐츠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구분되거나, 동영상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 등과 같이 다양한 기준에 따라 구분되어 제1 및 제2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 제2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부가 데이터로 정의한다.
RF 통신망(400-1)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구성은 방송 규격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송 규격으로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방식 등이 있다.
RF 통신망(400-1)을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송신 장치(200-1)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은 상술한 방송 규격들 중 어느 방송 규격이 적용되었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신부(130)의 구성 및 동작 역시 마찬가지이다. 일 예로, ATSC 규격이 채용된 경우라면, 제1 송신 장치(200-1)은 랜덤화부, RS 인코더, 데이터 인터리버, 트렐리스 인코더, 싱크 및 파일럿 삽입부, 8VSB 변조부, RF 업 컨버터,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수신부(130)는 안테나, RF 다운 컨버터, 복조부, 등화부, 디멀티플렉서, RS 디코더, 디인터리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방송 규격 별 신호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각 방송 규격의 표준 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송신 장치(200-1)에서 전송되는 제1 신호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컨텐츠를 구성하기 위해 나누어진 데이터들 중에서 기준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신호에는 기준 데이터 이외에도, 정보 서술자 및 부가 데이터 참조 정보가 더 포함된다. 정보 서술자란 제1 송신 장치(200-1)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특성에 대해 서술한 정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송신 장치(200-1)는 단독으로 2D 컨텐츠나 3D 컨텐츠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하는 일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하나의 컨텐츠를 제2 송신 장치(200-2)와 나누어 전송하여, 수신부(130)가 이를 조합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제1 송신 장치(200-1)는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정보 서술자의 값을 다르게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서술자는 제1 신호 내에서 TVCT(Terrestrial Virtual Channel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등과 같이 다양한 영역에 기록되어 제공될 수 있다.
부가 데이터 참조 정보란 제1 신호와 별도로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신호와 함께 처리하기 위해 참조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부가 데이터 참조 정보는 정보 서술자가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지정할 때에만 제1 신호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부가 데이터 참조 정보는 기본적으로 제1 신호에 포함되며, 정보 서술자가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지정할 때에만 수신부(130)에 의해 참조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부가 데이터 참조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신부(130)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신호의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의 VCT(Virtual Channel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및 프로그램 지정 정보의 PMT(Program Map Table), 메타 데이터(metadata) 스트림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제2 송신 장치(200-2)는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IP 통신망(400-2)을 통해서 수신부(130)로 전송한다. IP 통신망(400-2)은 웹(web), 클라우드 네트워크, 로컬 네트워크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송신 장치(200-2)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2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TP(Real Time Protocol)나,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과 같은 다양한 스트리밍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 장치 2(100-2)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부가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운로드 방식인 경우 파일 포맷은 AVI, MP4, MPG, MOV, WMV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수신부(130)는 셋탑 박스와 같은 방송 수신 장치, 텔레비젼, 휴대폰, PDA, 셋탑 PC, PC, 노트북 PC, 키오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수신부(130)는 제1 송신 장치(200-1)로부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신호로부터 정보 서술자를 검출하여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일반 서비스라고 판단되면, 수신부(130)는 제1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들을 각각 디코딩하여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반면, 하이브리드 서비스라고 판단되면, 수신부(130)는 제1 신호로부터 부가 데이터 참조 정보를 검출한다. 부가 데이터 참조 정보는 방송 서비스 타입 정보, 부가 영상 형태 정보, 부가 데이터에 대한 접근 정보, 부가 영상 시작 시간 정보, 동기화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30)는 접근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송신 장치(200-2)에 액세스할 수 있다. 수신부(130)는 제2 송신 장치(200-2)에 대해 부가 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제2 송신 장치(200-2)는 부가 데이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전송한다.
수신부(130)는 부가 데이터 참조 정보 내의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신호 내의 기준 데이터, 제2 신호 내의 부가 데이터를 동기화시켜 출력한다. 동기화 정보로는 다양한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타임 코드, 프레임 인덱스, 컨텐츠 스타트 정보, 타임 스탬프 차이 값, UTC 정보, 프레임 카운트 정보들과 같이 다양한 정보들이 동기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제어부(12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RAM(121), ROM(122), CPU(123), GPU(Graphic Processing Unit, 134), 버스(125)를 포함한다. RAM(121), ROM(122), CPU(123), GPU(124) 등은 버스(12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23)는 저장부(1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23)는 ROM(1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RAM(1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23)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21)에 복사하고, RAM(12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12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이 완료되면, 컨텐츠 화면이나 검색 결과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12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종합적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제어부(120), 수신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비디오 프로세서(160-1), 오디오 프로세서(160-2), 버튼(170-1), 리모컨 수신부(170-2), 마이크부(170-3), 카메라부(170-4), 스피커부(170-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일반적인 LCD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경우, 사용자는 화면을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10), 제어부(120)에 대해서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이미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14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40)는 와이파이 칩(140-1), 블루투스 칩(140-2), 무선통신 칩(140-3), NFC 칩(140-4)을 포함한다.
와이파이 칩(140-1), 블루투스 칩(140-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40-1)이나 블루투스 칩(140-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칩(140-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40-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통신부(140)는 검색 서버(300)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서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검색어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고, 그 검색어와 관련된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 밖에, 통신부(140)는 서버 장치가 아닌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160-1)는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60-2)는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프로세서(160-2)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수신부(130)를 통해서 방송 프로그램이 수신되면, 그 방송 프로그램을 디멀티플렉싱하여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디코딩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도록 비디오 프로세서(160-1) 및 오디오 프로세서(160-2)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비디오 프로세서(160-1)에서 생성한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부(170-5)는 오디오 프로세서(160-2)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버튼(170-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리모컨 수신부(170-2)는 외부의 리모컨이 전송한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컨 수신부(170-2)는 버튼(170-1)과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부(170-3)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20)는 마이크부(170-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키워드 추출에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부(170-4)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부(170-4)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부(170-4) 및 마이크부(170-3)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20)는 마이크부(170-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부(170-4)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카메라부(170-4)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마이크부(170-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카메라부(170-4) 및 마이크부(170-3)는 사용자의 모션 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제어부가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에 이용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가 지원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음성 인식 기술 또는 모션 인식 기술이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듯한 모션을 취하거나, 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음성 명령어를 발음하는 경우, 해당 오브젝트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오브젝트에 매칭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의 블럭도이다.
도 5의 소프트웨어는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저장 수단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5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OS(181), 커널(182), 미들웨어(183), 어플리케이션(184)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181)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181)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182)은 감지부(미도시) 등에서 감지되는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183)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18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5에 따르면, 미들웨어(183)는 UI 프레임워크(183-1), 윈도우 매니저(183-2), 컨텐츠 인식 모듈(183-3), 보안 모듈(183-4), 시스템 매니저(183-5), 키워드 추출 모듈(183-6), X11 모듈(183-7), APP 매니저(183-8),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83-9), 연결 매니저(183-10)를 포함한다.
UI 프레임워크(183-1)는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UI 프레임워크(183-1)는 각종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오브젝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83-2)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83-2)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UI 프레임워크(183-1)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컨텐츠 인식 모듈(183-3)은 수신부(130)가 수신한 신호에 포함된 컨텐츠를 인식하여, 그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의 제목, 방송 시간, 출연자, 방송 채널 정보 등과 같은 구체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183-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18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183-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UI 프레임워크(183-1)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 모듈(183-6)은 컨텐츠 인식 모듈(183-3)이 추출한 컨텐츠의 정보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가령, 키워드 추출 모듈(183-6)은 컨텐츠 인식 모듈(183-3)에서 추출된 정보와 관련된 텍스트를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나, 저장부(150)에 기 저장된 각종 정보들로부터 검색하여, 그 검색된 텍스트를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인식 모듈(183-3)에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의 제목, 방송 시간, 출연자, 방송 채널 정보 등을 추출하였다면, 키워드 추출 모듈(183-6)은 방송 프로그램 제목, 그 제목이 들어간 텍스트, 출연자 이름, 동일 출연자가 출연한 타 프로그램 제목, 동일 방송 채널에서 방송하는 타 프로그램 제목 등을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또는, 키워드 추출 모듈(183-6)은 통신부(140)가 수신한 제1 검색 결과로부터 키워드 후보를 추출할 수 있다.
X11 모듈(183-7)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183-8)는 저장부(14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183-8)는 X11 모듈(183-7)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즉, APP 매니저(183-8)는 화면화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선택된 이벤트가 감지되면, 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83-9)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183-9)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183-1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183-10)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저장부(150)에는 각종 센서들에서 센싱된 신호들을 분석하기 위한 센싱 모듈이나,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성의 일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제1 영역(111) 및 검색 영역(113)을 포함한다.
제1 영역(111)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으로서, 프로그램 정보 가이드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프로그램 정보 가이드가 일측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검색 영역(113)은 복수의 키워드 후보가 표시되는 제2 영역(115), 복수의 키워드 후보 중 선택된 제2 키워드가 표시되는 제3 영역(114),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가 표시되는 제5 영역(116)을 포함한다. 제2 영역(115), 제3 영역(114), 제5 영역(116)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11)과 검색 영역(113)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대한 일정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제1 영역(111)과 검색 영역(113)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제1 영역(111)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고, 검색 영역(113)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영역(111) 및 검색 영역(113)의 위치, 화면 비율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검색 서버(300)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제4 영역(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4 영역(112)은 통신부(14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검색 서버(300)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 경우 제4 영역(112)에는 검색 서버(300)의 명칭, 상표,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1 영역에 대한 상세 화면의 일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영역(111)에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제1 영역(111)의 일측에 컨텐츠 제목 표시영역(111-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제목 표시영역(111-1)에는 컨텐츠의 제목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제주 기행'이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로서,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지원하는 경우이므로 컨텐츠 제목 표시영역(111-1)에는 '제주 기행'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컨텐츠 제목 표시영역(111-1)을 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인 제1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제1 키워드는 컨텐츠의 제목과 함께 검색 서버(300)로 전송된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추출된 제1 키워드를 컨텐츠 제목 표시영역(111-1)에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키워드에 대한 키워드 후보인 제1 키워드 후보는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포함되는 키워드로서 '제주도', '제작사', 제작일', 나레이터', '프로듀서' 등이 될 수 있다.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 중에서 선택된 제1 키워드는 '제주도'일 수 있다.
한편, 제1 키워드 후보 및 제1 키워드는 검색 영역(113)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제어부(120)는 추출된 제1 키워드 후보를 제1 영역(111) 또는 검색 영역(113)에 디스플레이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추출된 제1 키워드는 제1 영역(111) 또는 검색 영역(113)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신부(140)에 의해 검색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제1 영역에 대한 상세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7에서는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지원하는 경우임에 반해, 도 8에서는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 경우, 컨텐츠의 제목 및/또는 제1 키워드를 사용자로부터 수동으로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211)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컨텐츠 제목을 수동으로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컨텐츠 제목 입력영역(211-2)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 제목 입력영역(211-2)에 컨텐츠의 제목을 입력하면, 컨텐츠 제목 표시영역(211-1)에는 컨텐츠의 제목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있어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제주 기행'이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로서, 사용자는 컨텐츠 제목 표시영역(211-1)에 직접 '제주 기행'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키워드를 컨텐츠 제목 표시영역(211-1)에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키워드는 컨텐츠의 제목과 함께 검색 서버(3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컨텐츠 제목 표시영역(211-1)에 컨텐츠의 제목인 '제주 기행'과 함께 제1 키워드인 '제주도'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제1 키워드 입력영역(미도시)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컨텐츠의 제목인 '제주 기행'을 컨텐츠 제목 표시영역(211-1)에 직접 입력하고, 제1 키워드인 '제주도'는 제1 키워드 입력영역(미도시)에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검색 영역에 대한 상세 화면의 일 예로서, 제1 키워드 및 컨텐츠 제목에 대한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컨텐츠의 제목인 '제주 기행' 및 제1 키워드인 '제주도'를 추출하고, 통신부(140)는 이를 검색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를 수신한 검색 서버(300)는 '제주 기행' 및 '제주도'를 검색어로 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검색 서버(300)는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를 검색어로 한 제1 검색 결과를 통신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를 참조하면, '제주 기행' 및 '제주도'를 검색어로 한 검색 결과는 제5 영역(116)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5 영역(116)에 디스플레이된 제1 검색 결과에는 강조 표시가 된 컨텐츠의 제목 및/또는 제1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된 제1 검색 결과에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제목 및/또는 제1 키워드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컨텐츠의 제목 및/또는 제1 키워드에 대한 색상 변경, 글자 크기 확대, 글자체 변경, 글로잉(Glowing) 등의 효과를 줄 수 있다.
한편, 제1 검색 결과에는 복수 개의 단어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복수 개의 단어들을 제2 키워드 후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제2 키워드 후보를 제2 영역(115)에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115)에 디스플레이된 제2 키워드 후보는 검색 서버(300)에 대한 검색 요청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검색 서버(300)에 대한 검색 요청 횟수가 많은 키워드가 '감귤', '한라산', '해녀' 등의 순서인 경우에는 제2 영역(115)에는 '감귤', '한라산', '해녀' 등의 순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115)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키워드 후보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검색 서버(300)에 대한 검색 요청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정렬될 수도 있다. 따라서, 현재 시간으로부터 24시간 동안 검색 서버(300)에 대한 검색 요청 횟수가 가장 많은 키워드가 '해녀'라면 제2 영역(115)에는 '해녀'가 가장 먼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영역(115)에 디스플레이된 제2 키워드 후보는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정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횟수가 많은 키워드가 '감귤', '한라산', '해녀' 등의 순서인 경우에는 제2 영역(115)에는 '감귤', '한라산', '해녀' 등의 순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제2 영역(115)에 디스플레이된 제2 키워드 후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2 키워드 후보 중에서 선택된 키워드인 제2 키워드는 제3 영역(114)에 디스플레이되고, 통신부(140)는 제2 키워드를 검색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검색 영역에 대한 상세 화면의 다른 예로서,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제2 키워드인 '감귤'을 추출하고, 통신부(140)는 이를 검색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키워드를 수신한 검색 서버(300)는 '감귤'을 검색어로 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검색 서버(300)는 제2 키워드를 검색어로 한 제2 검색 결과를 통신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을 참조하면, '감귤'을 검색어로 한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는 제5 영역(216)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5 영역(216)에 디스플레이된 제2 검색 결과에는 강조 표시가 된 제2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된 제2 검색 결과에는 사용자가 제2 키워드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제2 키워드에 대한 색상 변경, 글자 크기 확대, 글자체 변경, 글로잉(Glowing) 등의 효과를 줄 수 있다.
여기서, 제2 검색 결과에는 복수 개의 단어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복수 개의 단어들을 제3 키워드 후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제3 키워드 후보를 제2 영역(215)에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215)에 디스플레이된 제3 키워드 후보는 검색 서버(300)에 대한 검색 요청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검색 서버(300)에 대한 검색 요청 횟수가 많은 키워드가 '비타민, '가격' 등의 순서인 경우에는 제2 영역(115)에는 '비타민, '가격' 등의 순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215)에 디스플레이되는 제3 키워드 후보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검색 서버(300)에 대한 검색 요청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정렬될 수도 있다. 따라서, 현재 시간으로부터 50시간 동안 검색 서버(300)에 대한 검색 요청 횟수가 가장 많은 키워드가 '감기 예방'이라면, 제2 영역(215)에는 '감기 예방'이 가장 먼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영역(215)에 디스플레이된 제3 키워드 후보는 제2 검색 결과에 포함된 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정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검색 결과에 포함된 횟수가 많은 키워드가 '비타민', '가격' 등의 순서인 경우에는 제2 영역(215)에는 '비타민', '가격' 등의 순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제2 영역(215)에 디스플레이된 제3 키워드 후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3 키워드 후보 중에서 선택된 키워드인 제3 키워드는 제3 영역(214)에 디스플레이되고, 통신부(140)는 제3 키워드를 검색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도 6의 검색 영역에 대한 상세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와 무관한 키워드 후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는 '제주 기행'이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이지만, 제2 영역(415)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무관한 키워드 후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415)에 디스플레이되는 키워드 후보는 검색 서버(300)에서 현재 가장 많은 검색이 요청되는 검색어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검색 서버(300)에 대해 가장 많은 검색이 요청되는 키워드가 '복권 1등 번호', '프로야구' 등의 순서라면, 제2 영역(415)에는 '복권 1등 번호', '프로야구' 등의 순서대로 키워드 후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영역(415)에 디스플레이된 키워드 후보 중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권 1등 번호'를 키워드로 선택하였다면, 제3 영역(414)에는 '복권 1등 번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선택된 키워드인 '복권 1등 번호'를 검색 서버(300)로 전송하고, 검색 서버(300)는 '복권 1등 번호'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통신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5 영역(416)에는 '복권 1등 번호'에 대한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5 영역(416)에 디스플레이된 검색 결과에는 강조 표시가 된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된 검색 결과에는 선택된 키워드의 위치를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선택된 키워드에 대한 색상 변경, 글자 크기 확대, 글자체 변경, 글로잉(Glowing) 등의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 선택의 예시이다.
사용자는 핑거 포인팅(Finger pointing) 방식에 의해 키워드 후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2 영역(115)에는 키워드 후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키워드 후보 중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손가락으로 지시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지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지시한 키워드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색상 변경, 글자 크기 확대, 글자체 변경, 글로잉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영역(115)에 디스플레이된 키워드를 손가락으로 지시하여 선택한 상태에서, 손가락의 방향을 제3 영역(114)이 형성된 쪽으로 이동하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114)에는 선택된 키워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후, 선택된 키워드가 검색 서버(300)로 전송되고,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는 그랩 앤 스로우(Grab and throw) 방식에 의해 키워드 후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제2 영역(115)에는 키워드 후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키워드 후보 중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손바닥으로 지시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의한 지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지시한 키워드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색상 변경, 글자 크기 확대, 글자체 변경, 글로잉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영역(115)에 디스플레이된 키워드를 손바닥으로 지시한 상태에서, 주먹을 쥐면 키워드는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주먹의 방향을 제3 영역(114)이 형성된 쪽으로 이동한 후 주먹을 펴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114)에는 선택된 키워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음성인식 방식에 의해 키워드 후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2 영역(115)에는 키워드 후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키워드 후보 중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발음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영역(115)에 디스플레이된 키워드를 발음하면 발음된 키워드가 선택된 것이므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114)에는 선택된 키워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리모컨(119)에 의해 키워드 후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2 영역(115)에는 키워드 후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키워드 후보 중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리모컨(119)으로 직접 입력함으로써,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114)에 선택된 키워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리모컨(119)에 포함된 키워드 선택 버튼(미도시)을 이용하여 키워드 후보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리모컨(119)에는 검색 모드 버튼(미도시) 및 키워드 선택 버튼(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고, 검색 모드 버튼(미도시)을 누른 후 사용자는 리모컨(119)을 선택하고자 하는 키워드로 향한다. 이 경우, 리모컨(119)이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키워드는 색상 변경, 글자 크기 확대, 글자체 변경, 글로잉(Glowing) 등의 다양한 효과 표시를 나타낼 수 있다. 선택하고자 하는 키워드가 리모컨(119)이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면, 사용자는 키워드 선택 버튼(미도시)을 누른 상태에서 리모컨(119)의 방향을 제3 영역(114)으로 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선택된 키워드는 제3 영역(114)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키워드 선택 버튼(미도시)의 누름을 해제하면 선택된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검색 서버(300)가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도 6의 제5 영역에 대한 상세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5 영역(116)에는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특히, 제5 영역(116)에는 하나의 검색 서버(300)에 의한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복수 개의 검색 서버(300)에 의한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제5 영역(116)에 복수 개의 검색 서버(300)에 의한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5 영역(116)의 일측에는 검색 서버 표시영역(116-1)이 형성될 수 있고, 검색 서버 표시영역(116-1)은 해당 검색 결과를 수행한 검색 서버(30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 서버 표시영역(116-1)에는 검색 서버(300)의 명칭, 상표,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영역(116)에서 첫 번째로 디스플레이되는 검색 결과의 좌측에 형성되는 검색 서버 표시영역(116-1)에는 'A'가 표시됨으로써, 'A' 검색 서버에 의한 검색 결과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5 영역(116)에서 두 번째로 디스플레이되는 검색 결과의 좌측에 형성되는 검색 서버 표시영역에는 'B'가 표시됨으로써, 'B' 검색 서버에 의한 검색 결과임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제5 영역(116)에 디스플레이되는 검색 결과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시간 순서에 따라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5 영역(116)을 설정하면, 제5 영역(116)에는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 중 검색 서버(300)에 최근에 등록된 순서대로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신뢰도 순서에 따라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5 영역(116)을 설정하면, 제5 영역(116)에는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 중 다른 사용자에 의해 평가된 신뢰도가 높은 순서대로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 서버(300)가 SNS 서버라면, 제5 영역(116)에는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 중 다른 사용자에 의한 피드백(예를 들면, Retweet, Like 등)이 많은 순서대로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7은 도 6의 검색 영역에 대한 상세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검색 영역(513)은 SNS 서버에 의한 검색 영역 및 웹 서버에 의한 검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 경우 검색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SNS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를 포함한다. 통신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SNS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에 대하여 컨텐츠의 제목 및/또는 키워드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SNS 서버가 수행한 검색 결과 및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가 수행한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SNS 서버에 의한 검색 영역은 제3-1 영역(514-1), SNS 서버 선택영역(517-1), 제2 영역(515), 제5-1 영역(516-1), 및 제1 스크롤 바 영역(518-1)을 포함한다. 제3-1 영역(514-1), 제2 영역(515), 제5-1 영역(516-1)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고, 제1 스크롤 바 영역(518-1)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NS 서버 선택영역(517-1)은 통신부(140)에 검색 결과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SNS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영역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NS 서버가 'A', 'B', 'C', 'D'인 경우에, 사용자가 'C'를 제외한 'A', 'B', 'D'에 대한 검색 결과를 알고 싶으면, 'C'에 대한 선택은 해제하고, 'A', 'B', 'D'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5-1 영역(516-1)에는 'A', 'B', 'D'에 의한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7에는 SNS 서버 영역(517-1)에서 SNS 서버를 선택하는 수단이 체크 박스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웹 서버에 의한 검색 영역은 제3-2 영역(514-2), 웹 서버 선택영역(517-2), 제5-2 영역(516-2), 및 제2 스크롤 바 영역(518-2)을 포함한다. 제3-2 영역(514-2), 제5-2 영역(516-2)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고, 제2 스크롤 바 영역(518-2)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웹 서버 선택영역(517-2)은 통신부(140)에 검색 결과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웹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영역이며, 이에 대한 설명은 SNS 서버 선택영역(517-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색 방법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10),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컨텐츠에 대한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을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S2015), 검색 서버로부터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에 기초한 검색 결과가 수신되면(S2025), 검색 결과로부터 복수의 키워드 후보를 추출하는 단계(S2030), 복수의 키워드 후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035), 및 복수의 키워드 후보 중 하나인 제2 키워드가 선택되면(S2040) 제2 키워드를 검색 서버로 전송하여(S2045),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S2050)를 포함한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10)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컨텐츠를 수신한다. 수신된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컨텐츠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의 제목을 비롯하여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는 방송 신호라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10) 이후에,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키워드인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인 경우에는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은 자동으로 추출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지원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인 경우에는 제1 키워드 및 컨텐츠의 제목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된 UI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이로써,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가 추출될 수 있다.
추출된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는 검색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S2015).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를 수신한 검색 서버(300)는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에 대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S2020). 이 경우, 검색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SNS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SNS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에 의하여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검색 서버(300)는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인 제1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2025). 따라서, 검색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SNS 서버에 등록된 SNS 정보 중에서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검색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에 등록된 정보 중에서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색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제1 검색 결과로부터 키워드 후보를 추출할 수 있다(S2030). 키워드 후보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제2 키워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추출되는 것이므로 제2 키워드 후보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제1 검색 결과에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제목 및/또는 제1 키워드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컨텐츠의 제목 및/또는 제1 키워드에 대한 색상 변경, 글자 크기 확대, 글자체 변경, 글로잉(Glowing) 등의 효과를 줄 수 있다.
제2 키워드 후보는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키워드이고, 이러한 제2 키워드 후보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2035). 이 경우, 제2 키워드 후보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검색 결과에 많이 포함된 순서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되거나,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서 다른 사용자에 의한 검색 요청이 많은 순서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제2 키워드 후보 중에서 제2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S2040). 이 경우, 사용자는 핑거 포인팅 방식, 그랩 앤 스포우 방식, 사용자 음성인식 방식, 및/또는 리모컨 등에 의해 제2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2 키워드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제2 키워드를 검색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2045).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2 키워드를 수신한 검색 서버(300)는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S2050).
검색 서버(300)는 제2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인 제2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고, 검색 서버(300)로부터 제2 검색 결과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를 제2 검색 결과와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은 제1 영역 및 검색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으로서, 프로그램 정보 가이드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프로그램 정보 가이드가 일측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검색 영역은 복수의 키워드 후보가 표시되는 제2 영역, 복수의 키워드 후보 중 선택된 키워드가 표시되는 제3 영역,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가 표시되는 제5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검색 서버(300)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제4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 내지 제5 영역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패드 상에서 터치된 위치가 드래깅되면, 드래깅 궤적에 따른 좌표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구성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입력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500 : 디스플레이 시스템
300 : 검색 서버 200 : 컨텐츠 제공 서버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20 : 제어부 130 : 수신부
140 : 통신부 150 : 저장부
110 : 디스플레이부
111 : 제1 영역 112 : 제4 영역
113 : 검색 영역 114 : 제3 영역
115 : 제2 영역 116 : 제5 영역

Claims (12)

  1.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통신부; 및
    상기 방송신호의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키워드를 획득하여 SNS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SNS 서버에 저장된 정보 중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 검색 결과를 수신하고, 사용자 선택 없이 상기 제1 검색 결과로부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동시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단어들의 포함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키워드로 선택되면, 상기 SNS 서버가 상기 제2 키워드의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키워드를 상기 SNS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워드는 컨텐츠 제목, 제작사, 제작일, 나레이터 및 프로듀서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키워드에 대한 제2 검색 결과가 상기 SNS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2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화면은,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제1 영역, 상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가 표시되는 제2 영역, 상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 중 선택된 상기 제2 키워드가 표시되는 제3 영역, 상기 SNS 서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제4 영역, 상기 제2 키워드에 대한 제2 검색 결과가 표시되는 제5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를 상기 제1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에 포함된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에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를 검색 요청 횟수 순서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에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색 방법에 있어서,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의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키워드를 획득하여 SN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SNS 서버에 저장된 정보 중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선택 없이 상기 제1 검색 결과로부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검색 결과 및 상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검색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포함된 단어들의 포함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키워드로 선택되면, 상기 SNS 서버가 상기 제2 키워드의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키워드를 상기 SN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검색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워드는 컨텐츠 제목, 제작사, 제작일, 나레이터 및 프로듀서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워드에 대한 제2 검색 결과가 상기 SNS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2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면은,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제1 영역, 상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가 표시되는 제2 영역, 상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 중 선택된 상기 제2 키워드가 표시되는 제3 영역, 상기 SNS 서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제4 영역, 상기 제2 키워드에 대한 제2 검색 결과가 표시되는 제5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는 상기 제1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에 포함된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 내에 정렬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키워드 후보는, 검색 요청 횟수 순서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에 정렬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방법.
KR1020170129774A 2017-10-11 2017-10-1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 KR20170117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774A KR20170117997A (ko) 2017-10-11 2017-10-1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774A KR20170117997A (ko) 2017-10-11 2017-10-1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177A Division KR20140131166A (ko) 2013-05-03 2013-05-0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997A true KR20170117997A (ko) 2017-10-24

Family

ID=60299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774A KR20170117997A (ko) 2017-10-11 2017-10-1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79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11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
KR10239603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7567713B (zh) 一种电视和控制电视的方法
KR102246556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19910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079662B (zh) 提供游戏应用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图像显示装置
US10089006B2 (en) Display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EP284902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images
CN103081502A (zh) 操作图像显示设备的方法
KR102404356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50046294A1 (en) Display apparatus, the method thereof and item providing method
KR2016001969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4894B1 (ko) 음성 인식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카테고리를 배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1352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88443B1 (ko)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1343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35381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1124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7563B1 (ko)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KR201701179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방법
KR201500207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 방법 및 아이템 제공 방법
KR2016014887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544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6958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20080510A (ko)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화면을 통한 영상표시기기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