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232A -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232A
KR20140047232A KR1020120112644A KR20120112644A KR20140047232A KR 20140047232 A KR20140047232 A KR 20140047232A KR 1020120112644 A KR1020120112644 A KR 1020120112644A KR 20120112644 A KR20120112644 A KR 20120112644A KR 20140047232 A KR20140047232 A KR 20140047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terminal
terminal device
user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7317B1 (ko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317B1/ko
Priority to US14/434,996 priority patent/US9936012B2/en
Priority to PCT/KR2013/009070 priority patent/WO2014058250A1/en
Priority to EP13844890.7A priority patent/EP2907103A4/en
Publication of KR20140047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사용자 단말 장치는 SNS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및,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타 사용자와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 { USER TERMINAL DEVICE, SOCIAL NETWORK SERVICE AND CONTENTS PROVIDNG METHOD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들은 방송을 포함한 다양한 컨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근래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사용자들은 개인적으로 컨텐츠를 즐기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컨텐츠를 함께 시청하며 서로 같은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한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다른 사람들과 컨텐츠를 함께 시청하고자 하여도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컨텐츠를 함께 시청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멀리 떨어진 곳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은 컨텐츠를 함께 시청하고 싶어도,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바로 그러하다.
이에 따라, 공간적인 제약에 상관없이 사용자들에게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사용자에게 동일한 컨텐츠를 동일한 재생 시점에서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SNS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및, 상기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SNS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타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된 시점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공유하기 위한 메뉴 버튼이 선택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가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이루어진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SNS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및, 상기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가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컨텐츠가 재생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실시간 방송과 동일한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스트리밍 컨텐츠와 동일한 재생 시점의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S 제공 서버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제2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SNS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된 시점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공유하기 위한 메뉴 버튼이 선택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가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이루어진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가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컨텐츠가 재생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실시간 방송과 동일한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스트리밍 컨텐츠와 동일한 재생 시점의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S 제공 서버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들은 서로 동일한 컨텐츠를 동일한 시점부터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한 컨텐츠의 시청 중에 사용자들은 SNS를 통해 서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공감대가 형성되고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S 제공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공유를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S 제공 서버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 SNS 제공 서버(200)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는 태블릿 PC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 폰, 스마트 TV, PDA, 노트북 PC, 전자 책, 전자 액자, 키오스크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이용하여 SNS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고, SNS 제공 서버(200)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사용자와 메시지 또는 컨텐츠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SNS 제공 서버(200)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SNS는 웹 상에서 친구, 선후해, 동료 등 지인(知人)과의 인맥 관계를 강화시키고 또 새로운 인맥을 쌓으며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는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마이피플, 마이스페이스, 링크드인, 비보, H15·XING, 싸이월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SNS를 통해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도중 컨텐츠가 재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와 공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웹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스트리밍 컨텐츠(가령, 동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SNS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도중 컨텐츠가 재생되면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는 SNS 제공 서버(200)에 액세스하여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실시간 방송이 재생되는 경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선국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스트리밍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컨텐츠 재생을 시작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는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되는 방송과 동일한 채널을 선국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는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웹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현재 재생되는 시점과 동일한 재생 시점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할 수 있다.
이처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동일한 재생 시점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여도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하며 SNS를 통해 의견을 서로 교환할 수 있어, 손쉽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는 모두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2의 구성에 대해서 두 경우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도 2와 같이 구현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부(110)는 SNS 제공 서버(도 1의 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SNS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여, SNS 제공 서버(200)와 SNS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웹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웹 서버(미도시)는 컨텐츠 제작사, 컨텐츠 제공자, 컨텐츠 제공과 별개의 서비스 제공자 등에 마련되어, 스트리밍 형태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통신부(11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웹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이란 스스로 실행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 사용자 단말 장치(도 1의 30)에서 입력된 SNS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SNS 메시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SNS 메시지가 입력되면 해당 SNS 메시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방송국 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방송 신호를 선국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네트워크 통신망(가령,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컨텐츠 제작사, 컨텐츠 제공자, 컨텐츠 제공과 별개의 서비스 제공자 등이 마련한 웹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방송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컨텐츠 등을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30)는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타 사용자 단말 장치(30)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 SNS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입력된 SNS 메시지를 타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기 위해, 해당 SNS 메시지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 사용자 단말 장치(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타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 SNS 메시지를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해당 SNS 메시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마련된 튜너(미도시), 복조기(미도시), 등화기(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을 제어하여 실시간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하도록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네트워크 통신망(가령,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트리밍 컨텐츠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여 타 사용자와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된 시점 및 컨텐츠의 재생을 공유하기 위한 메뉴 버튼이 선택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상태에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컨텐츠가 재생되면,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상태에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컨텐츠가 재생된 후, 화면 상에 표시된 별도의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컨텐츠가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및 기설정된 이벤트가 이루어진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재생되는 컨텐츠 타입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실시간 방송을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방송의 채널에 대한 정보를 타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스트리밍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받을 수 있는 URL 주소(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기 시작한 시간 정보를 타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기 위해 해당 정보들을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 사용자 단말 장치(30)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타 사용자와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실시간 방송을 재생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채널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함께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30)는 방송을 선국하여 재생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정보도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실시간 방송을 재생하는 경우, 재생 중인 방송 프로그램 명칭을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스트리밍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재생 중인 스트리밍 컨텐츠에 대한 명칭을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SNS 제공 서버(200) 사이에서 기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에서 해석할 수 있는 형태로 생성하여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템플릿에 따라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명칭, 컨텐츠에 대한 채널 정보, 컨텐츠를 재생한 시간,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자연어 형태로 생성하여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20시 30분"에 "채널 9"에서 "월드컵 예선전"을 재생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컨텐츠의 종류: 방송, 컨텐츠 명칭: 월드컵 예선전,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 채널 9, 컨텐츠를 재생한 시간: 20시 30분과 같이 기설정된 템플릿에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기입하여, 자연어 형태로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제어부(130)는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과 같은 SNS 제공 서버(200)에서 일반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여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별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계정이란, SNS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가입된 ID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가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SNS 사이트에 자신의 계정을 만든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을 통해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가 도 2와 같이 구현된 경우를 설명한다.
통신부(110)는 SNS 제공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3G, 4G 등과 같이 이동 통신 망을 이용하여 SNS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여, SNS 제공 서버(200)와 SNS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웹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웹 서버(미도시)는 컨텐츠 제작사, 컨텐츠 제공자, 컨텐츠 제공과 별개의 서비스 제공자 등에 마련되어,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통신부(11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웹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이란, 스스로 실행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도 1의 10)에서 입력된 SNS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SNS 메시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SNS 메시지가 입력되면 해당 SNS 메시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방송국 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방송 신호를 선국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네트워크 통신망(가령,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는 컨텐츠 제작사, 컨텐츠 제공자, 컨텐츠 제공과 별개의 서비스 제공자 등이 마련한 웹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방송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컨텐츠 등을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30)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 SNS 메시지를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입력된 SNS 메시지를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로 전송하기 위해, 해당 SNS 메시지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30)가 전송한 SNS 메시지를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수신된 SNS 메시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마련된 튜너(미도시), 복조기(미도시), 등화기(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을 제어하여 실시간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하도록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네트워크 통신망(가령,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상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가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통해 실시간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 중인 방송의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컨텐츠가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및 컨텐츠가 재생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가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통해 스트리밍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받을 수 있는 URL 주소 및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기 시작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이벤트란,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SNS 제공 서버(200)는 별도의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대화 창을 사용자 단말 장치(00)로 전송하거나, 별도의 메뉴 항목을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 계정에 따른 웹 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실시간 방송과 동일한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명령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실시간 방송을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가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통해 실시간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실시간 방송을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 중인 방송과 동일한 채널을 선국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가 채널 9인 경우, 제어부(130)는 채널 9를 선국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하도록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네트워크 주소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스트리밍 컨텐츠와 동일한 재생 시점의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명령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동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가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통해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시청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URL 주소에 접속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웹 서버(미도시)가 URL 주소를 통해 제공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출력하도록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되고 있는 스트리밍 컨텐츠의 재생 시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값에 기초하여 스트리밍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컨텐츠를 재생한 시점과 현재 시간의 차이를 통해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되고 있는 스트리밍 컨텐츠의 재생 시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재생 시점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받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정보 즉,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컨텐츠를 재생한 시간이 20시 30분이고, 현재 시간이 21시인 경우, 제어부(130)는 20시 30분과 21시 사이의 시간 차이로 30분을 산출하고, 30분이 경과된 재생 시점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웹 서버(미도시)로 요청하여 30분이 경과된 재생 시점부터의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와 동일한 재생 시점부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입력부(150), 저장부(160), 오디오 처리부(170), 비디오 처리부(180), 스피커(190), 버튼(191), USB 포트(192), 카메라(193), 마이크(194)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제어부(130)의 동작은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60)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데이터,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그 밖에,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도 4을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통신부(1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10)는 와이파이칩(111), 블루투스 칩(112), 무선 통신 칩(113) 등 다양한 통신칩을 포함한다.
와이파이 칩(111) 및 블루투스 칩(11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칩(11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이처럼,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칩을 구비하여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부(110)는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NFC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홈 화면, 웹 페이지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홈 화면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인터페이스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40)은 출력 장치 이외에 후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명령,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SNS 메시지 입력 명령,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컨텐츠 재생 명령, 컨텐츠 공유 명령,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등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터치패드(Touch Pad) 혹은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 또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가 디스플레이부(140)와 함께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메뉴 화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홈 화면 상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 구동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즉, 도 1의 10 또는 30)에서 입력된 SNS 메시지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입력된 SNS 메시지를 포함하는 대화 창 또는 웹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실시간 방송 또는 스트리밍 컨텐츠의 재생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하되도록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은 구성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대화 창 또는 웹 페이지 화면 상에서 별도의 메뉴가 선택되면,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 및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제어 명령의 전송을 SNS 제공 서버(200)로 요청하고,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 및 제어 명령을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7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7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8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8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90)는 오디오 처리부(18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91)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원을 ON/OFF 하기 위한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USB 포트(192)는 USB 케이블을 통해서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충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193)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93)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94)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3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193) 및 마이크(194)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193)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카메라(193)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그 밖에,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DMB 수신부(195)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시간 방송으로 DMB 방송을 시청하고자 하여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DMB 수신부(195)에 마련된 튜너(미도시), 복조기(미도시), 등화기(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을 제어하여, 실시간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가령, 제어부(13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 실행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컨텐츠를 재생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서 외부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저장부(16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 장치(134)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한 터치,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감지부(미도시)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부(14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4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 감지부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지자기 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가속도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포함된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든 것으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GPS 수신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저장부(160)에는 베이스 모듈(161), 센싱 모듈(162), 통신 모듈(163), 프리젠테이션 모듈(164), 웹 브라우저 모듈(165), 서비스 모듈(166)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61)이란 사용자 단말 장치(100, 3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61)은 스토리지 모듈(161-1), 보안 모듈(161-2) 및 네트워크 모듈(16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6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 모듈(161-1)을 이용하여 저장부(16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16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61-3)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6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162)은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6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63)은 메신저 프로그램, SN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16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16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6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6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6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16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6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16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16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6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166)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166)은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SNS 재생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도시하였으나,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위치 기반 모듈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S 제공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따르면, SNS 제공 서버(200)는 통신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통신망(가령, 인터넷)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로부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가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및 기설정된 이벤트가 이루어진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된 시점 및 컨텐츠의 재생을 공유하기 위한 메뉴 버튼이 선택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와 함께 상술한바 있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220)는 SNS 제공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사용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제공 서버(200)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사용자 계정별로 웹 페이지를 제공하여, 서로 다른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에 텍스트, 이미지 등을 업로드하고,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 계정에 액세스하면, 제어부(22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 계정에 따른 웹 페이지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SNS 제공 서버(200)가 카카오톡 등의 SNS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사용자 간에 주고 받은 SNS 메시지를 포함하는 대화 창을 제공하여 서로 다른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는 SNS 메시지를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하고, 해당 SNS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여, 해당 SNS 메시지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에서 대화 창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20)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에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로 전송하는 SNS 메시지를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하고, 해당 SNS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로 전송하여, 해당 SNS 메시지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대화 창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220)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 30)의 사용자들이 SNS 메시지를 주고 받아 서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10, 30)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로부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2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와의 사이에서 기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되어 전송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기설정된 템플릿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로부터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명칭, 컨텐츠에 대한 채널 정보, 컨텐츠를 재생한 시간,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에 대한 정보 등을 파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과 같은 SNS 제공 서버(200)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명칭, 컨텐츠에 대한 채널 정보, 컨텐츠를 재생한 시간,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제공 서버(200)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 계정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계정에 접속하여,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 계정에 따른 웹 페이지에 별도의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사용자가 해당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메뉴 항목에 링크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SNS 제공 서버(200)가 카카오톡 등의 SNS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기설정된 SNS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고, 기설정된 SNS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가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면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별도의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대화 창을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사용자가 해당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메뉴 항목에 링크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제어 명령을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부터 제어 명령의 전송을 요청받은 경우,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제공 서버(200)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 계정에 따른 웹 페이지에 별도의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사용자가 해당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메뉴 항목에 링크된 제어 명령을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0)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SNS 제공 서버(200)가 카카오톡 등의 SNS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별도의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대화 창을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사용자가 해당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메뉴 항목에 링크된 제어 명령을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0)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공유를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6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가 실시간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가 시청하는 방송과 동일한 실시간 방송을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를 통해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디스플레이된 홈 화면(310) 상에서 실시간 방송을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311)이 선택되면, 실시간 방송을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b와 같이, 방송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영역(321) 및 방송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영역(322)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3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후,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도 6c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SNS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33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별도의 메뉴 아이콘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별도의 메뉴 버튼(예를 들어, SNS 리스트 보기 버튼)을 통해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별도의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별도의 설정 항목을 통해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리스트(330)는 각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스트(330) 상에서 하나의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선택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340)을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320)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3이 선택된 경우, 도 6d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와 SNS 3 상에서 관계를 맺고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리스트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340)이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320)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리스트(340) 상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자 하는 타 사용자가 선택되면, 도 6e와 같이 대화 창 화면(350)을 디스플레이하고, 가상 키보드(351)를 통해 입력된 SNS 메시지를 대화 창 화면(350)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SNS 제공 서버(200)를 통해 타 사용자(즉, 사용자 2)의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에서 입력된 SNS 메시지를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대화 창 화면(35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방송 채널 리스트(321) 상에서 하나의 채널이 선택되면, 도 6f와 같이 선택된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방송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재생 중인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 SNS 제공 서버(200)는 기설정된 SNS 메시지(352)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SNS 메시지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방송과 동일한 방송의 시청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메시지 및 별도의 메뉴 항목(3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사용자가 해당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SNS 제공 서버(200)는 메뉴 항목에 링크되어 있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 및 제어 명령을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명령은 실시간 방송을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g와 같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는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실시간 방송을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 중인 방송과 동일한 방송을 선국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사용자는 서로 동일한 방송을 시청하며, SNS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가 스트리밍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가 시청하는 스트리밍 컨텐츠와 동일한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를 통해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디스플레이된 홈 화면(410) 상에서 스트리밍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411)이 선택되면, 스트리밍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b와 같이,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영역(421) 및 컨텐츠 재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영역(422)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4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후,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도 7c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SNS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43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별도의 메뉴 아이콘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별도의 메뉴 버튼(예를 들어, SNS 리스트 보기 버튼)을 통해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별도의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별도의 설정 항목을 통해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리스트(430)는 각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스트(430) 상에서 하나의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선택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440)을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420)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2가 선택된 경우, 도 7d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 계정에 따른 웹 페이지(440)가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420)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컨텐츠 리스트(421) 상에서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도 7e와 같이 선택된 컨텐츠를 스트리밍받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며, SNS 제공 서버(200)는 이를 사용자 계정에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컨텐츠 재생을 시작한 시간(즉,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기 시작한 시간) 정보 및 컨텐츠에 대한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NS 제공 서버(200)는 도 7e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컨텐츠 재생을 시작한 시간 및 컨텐츠 명칭을 포함하는 SNS 메시지(441)을 사용자 계정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계정에 업로드된 SNS 메시지(441)는 별도의 메뉴 항목(4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 계정에 따른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메뉴 항목(442)을 선택하면, SNS 제공 서버(200)는 메뉴 항목에 링크되어 있는 컨텐츠 재생을 시작한 시간 정보, 네트워크 주소 및 제어 명령을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명령은 스트리밍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일 수 있다.
따라서, 도 7f와 같이,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는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스트리밍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주소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와 동일한 시점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에서 컨텐츠를 재생한 시간이 20시 30분이고, 현재 시간이 21시인 경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는 30분이 경과된 재생 시점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받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사용자는 SNS 2를 구동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 계정에 따른 웹 페이지(440)에 접속하여, SNS 메시지(443)를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30)의 사용자는 서로 동일한 방송을 시청하며, SNS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컨텐츠가 재생되면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가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컨텐츠 어플리케에션 구동에 따른 실행 화면에 별도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여, 컨텐츠의 재생을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는 다양한 메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는 재생 중인 방송의 채널을 변경하거나, 재생 중인 스트리밍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명령이 입력된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130)는 변경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고, SNS 제공 서버(200)는 수신된 정보를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변경된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SNS 제공 서버(200)는 해당 정보를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 사용자 단말 장치는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변경된 컨텐츠를 스트리밍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및 컨텐츠 변경 명령이 입력된 시간 정보를 SNS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SNS 제공 서버(200)는 해당 정보를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 사용자 단말 장치는 SNS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리밍받을 재생 시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재생 시점부터 새로운 컨텐츠를 스트리밍받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즉,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컨텐츠 변경 명령이 입력된 시점과 현재 시간의 차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고 있는 스트리밍 컨텐츠의 재생 시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재생 시점부터 컨텐츠를 스트리밍받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는 재생 중인 방송 또는 컨텐츠를 캡쳐 및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명령이 입력된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130)는 현재 재생 중인 방송 또는 컨텐츠를 캡쳐하고, 캡쳐된 이미지를 SNS 제공 서버(200)를 통해 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계정에 업로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510).
이후,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520).
여기에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된 시점 및 컨텐츠의 재생을 공유하기 위한 메뉴 버튼이 선택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컨텐츠가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및 기설정된 이벤트가 이루어진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610)
이후,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SNS 제공 서버로부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재생한다(S620).
여기에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SNS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컨텐츠가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및 컨텐츠가 재생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S620 단계는 SNS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실시간 방송과 동일한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620 단계는 SNS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네트워크 주소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스트리밍 컨텐츠와 동일한 재생 시점의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S 제공 서버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NS 제공 서버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S710).
이후,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720). 이 경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제어 명령을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 도시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장치 110 : 통신부
120 :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130 : 제어부

Claims (20)

  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SNS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및,
    상기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SNS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타 사용자와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된 시점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공유하기 위한 메뉴 버튼이 선택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가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이루어진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SNS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및,
    상기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가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컨텐츠가 재생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실시간 방송과 동일한 방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스트리밍 컨텐츠와 동일한 재생 시점의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SNS 제공 서버에 있어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제2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SNS 제공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제공 서버.
  1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SNS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된 시점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을 공유하기 위한 메뉴 버튼이 선택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가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가 이루어진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4. 사용자 단말 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타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SNS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가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컨텐츠가 재생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실시간 방송과 동일한 방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SNS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네트워크 주소 및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스트리밍 컨텐츠와 동일한 재생 시점의 스트리밍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9.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SNS 제공 서버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가 시청 중인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120112644A 2012-10-10 2012-10-10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977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644A KR101977317B1 (ko) 2012-10-10 2012-10-10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
US14/434,996 US9936012B2 (en) 2012-10-10 2013-10-10 User terminal device, SNS providing server, and contents providing method thereof
PCT/KR2013/009070 WO2014058250A1 (en) 2012-10-10 2013-10-10 User terminal device, sns providing server, and contents providing method thereof
EP13844890.7A EP2907103A4 (en) 2012-10-10 2013-10-10 USER TERMINAL, SERVE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644A KR101977317B1 (ko) 2012-10-10 2012-10-10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232A true KR20140047232A (ko) 2014-04-22
KR101977317B1 KR101977317B1 (ko) 2019-05-10

Family

ID=5047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644A KR101977317B1 (ko) 2012-10-10 2012-10-10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36012B2 (ko)
EP (1) EP2907103A4 (ko)
KR (1) KR101977317B1 (ko)
WO (1) WO20140582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1390B2 (en) 2014-07-24 2017-05-23 Xiaomi Inc. Method, server, and user terminal for sharing video information
WO2019172469A1 (ko) * 2018-03-07 2019-09-1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스트리밍 컨텐츠 실시간 공유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3367A1 (en) 2014-05-30 2015-12-03 Apple Inc. Continuity
CN104660678B (zh) * 2015-01-16 2018-05-18 深信服科技股份有限公司 应用数据分享方法和装置
DE102015001622A1 (de) 2015-02-09 2016-08-11 Unify Gmbh & Co. Kg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 in einem Multimedia-System, sowie Softwareprodukt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Übertragung von Daten in einem Multimedia-System
WO2018101459A1 (ja) * 2016-12-02 2018-06-07 ヤマハ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機器、収音機器、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DK201870364A1 (en) 2018-05-07 2019-12-03 Apple Inc. MULTI-PARTICIPANT LIVE COMMUNICATION USER INTERFACE
US11128792B2 (en) 2018-09-28 2021-09-21 Apple Inc.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with multiple focal planes
WO2020235716A1 (ko) * 2019-05-22 2020-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전자 기기 및 지능형 전자 기기에 전송되는 메시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US11671697B2 (en) 2021-01-31 2023-06-0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e angle video conference
US11449188B1 (en) 2021-05-15 2022-09-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893214B2 (en) 2021-05-15 2024-02-06 Apple Inc. Real-time communication user interface
WO2022245665A1 (en) * 2021-05-15 2022-11-24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907605B2 (en) 2021-05-15 2024-02-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812135B2 (en) 2021-09-24 2023-11-07 Apple Inc. Wide angle video confere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3931A (ko) * 2008-10-21 201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US20120072961A1 (en) * 2010-04-23 2012-03-22 Orange Vallee Process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a continuous broadcast session of a posted direct video strea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0680B2 (en) * 2004-07-01 2012-05-29 Netgear, Inc.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ation of digital media playback
KR20040079386A (ko) 2004-08-25 2004-09-14 곽현정 인스턴트메신저와 미디어플레이어를 이용한 미디어정보 전달과 재생 방법 및 그 시스템
US7702730B2 (en) * 2004-09-03 2010-04-20 Open Tex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on
WO2006082787A1 (ja) * 2005-02-03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および記録再生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および記録再生装置において用いられる集積回路
KR100664206B1 (ko) 2005-07-30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 방송 수신 중 초대 방법
JP4935345B2 (ja) * 2006-12-25 2012-05-2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再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215416A1 (en) 2008-02-25 2009-08-27 Harry Lee Devor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Broadcasted Content
US9246613B2 (en) * 2008-05-20 2016-01-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social networking for television viewing
GB201007191D0 (en) 2010-04-29 2010-06-09 British Broadcasting Corp Content provision system
US10419266B2 (en) * 2010-05-28 2019-09-17 Ram Caspi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social TV multimedia communication
US20120303834A1 (en) * 2010-10-07 2012-11-29 Stellatus, LLC Seamless digital streaming over different device types
KR101733493B1 (ko) * 2010-12-27 2017-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공유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US20130133000A1 (en) * 2011-11-20 2013-05-23 Christopher Lee Kelley Video Interaction System
US20130226983A1 (en) * 2012-02-29 2013-08-29 Jeffrey Martin Beining Collaborative Video Highlights
US9215395B2 (en) * 2012-03-15 2015-12-15 Ronaldo Luiz Lisboa Herd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cont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3931A (ko) * 2008-10-21 201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US20120072961A1 (en) * 2010-04-23 2012-03-22 Orange Vallee Process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a continuous broadcast session of a posted direct video strea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1390B2 (en) 2014-07-24 2017-05-23 Xiaomi Inc. Method, server, and user terminal for sharing video information
WO2019172469A1 (ko) * 2018-03-07 2019-09-1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스트리밍 컨텐츠 실시간 공유 방법 및 시스템
JP2021520690A (ja) * 2018-03-07 2021-08-19 ライン プラス コーポレーションLINE Plus Corporation ストリーミングコンテンツリアルタイム共有方法およ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36012B2 (en) 2018-04-03
KR101977317B1 (ko) 2019-05-10
EP2907103A1 (en) 2015-08-19
US20150304413A1 (en) 2015-10-22
EP2907103A4 (en) 2016-06-15
WO2014058250A1 (en)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31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
US102353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nten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06742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96992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962874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399748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そのui提供方法、ネットワーク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7689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제어 방법
TWI630487B (zh) 使用共享及個人裝置合作提供個人化使用者功能
KR101832394B1 (ko)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969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7649A (ko)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1352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0908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464976B (zh) 显示设备、用户终端设备、服务器及其控制方法
US20170127120A1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99625B1 (ko) 휴대 단말 및 이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
EP369064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KR201400894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KR20150017575A (ko)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