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649A -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649A
KR20160087649A KR1020150006885A KR20150006885A KR20160087649A KR 20160087649 A KR20160087649 A KR 20160087649A KR 1020150006885 A KR1020150006885 A KR 1020150006885A KR 20150006885 A KR20150006885 A KR 20150006885A KR 20160087649 A KR20160087649 A KR 20160087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information
content
serv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일
가지훈
김상진
남대현
이경훈
정경희
윤현규
전병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6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7649A/ko
Priority to US14/995,355 priority patent/US20160205427A1/en
Priority to EP16737571.6A priority patent/EP3213520A4/en
Priority to PCT/KR2016/000405 priority patent/WO2016114607A1/en
Priority to CN201680005286.XA priority patent/CN107113467A/zh
Publication of KR20160087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컨텍스트 정보 및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한 추천 컨텐츠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추천 컨텐츠를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청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될 정도로 보급율이 높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와 다양한 사용자 단말 장치들간의 연동을 통해 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송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해 좀더 사용자의 취향, 사용 이력,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욕구가 증대되었다.
다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버 간의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관한 기술이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추가 정보를 수신하고, 컨텍스트 정보 및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추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추가 정보 및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설정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기 설정된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요청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 시청 이력 정보 및 전력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추천 컨텐츠에 관한 정보,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한 선호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력 상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추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요청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포지티브(positive) 관계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계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추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추가 정보 및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설정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수신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기 설정된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수신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요청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 시청 이력 정보 및 전력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추천 컨텐츠에 관한 정보,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한 선호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력 상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한 추천 컨텐츠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추천 컨텐츠를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텍스트 정보별 수신되는 추가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액티비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컨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엑세스 포인트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전되지는 아니하며, TV, 스마트 폰, 데스크탑 PC, 노트북, 리모컨 컨트롤러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 연결이 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렇게 수신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PC(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Navigation), 키오스크(Kiosk),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원격 제어 모드 또는 원격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모션 센서, 터치 센서 또는 광학 기술을 응용한 OJ(optical Joystick) 센서, 물리적 버튼(예를 들어, Tact Switch), 디스플레이 화면, 마이크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원격 제어 기능 외에 통화 기능, 인터넷 기능, 촬영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실시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신호를 수신하고 컨텐츠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a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와 관련된 정보들을 추가적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추천하거나 기 설정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300)는 모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종 운영 체계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상호 작용을 담당하는 중앙 서버(또는 통합 서버)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는 클라우드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인터넷 기반(cloud)의 컴퓨팅(computing)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터넷 상의 유틸리티 데이터 서버에 프로그램을 두고 그때 그때 컴퓨터나 휴대폰 등에 불러와서 사용하는 웹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서비스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역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외부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1, 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BT(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IR(Infrared), Serial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기 정의된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연동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에 통신이 초기화되는 동작,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동작, 기기 페어링이 수행되는 동작 등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모든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기기 식별 정보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되고, 그에 따라, 양 기기 간의 페어링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술을 통해 주변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기기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피 제어 기기로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원이 ON 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페어링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6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또는 컨텐츠 재생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3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컨텍스트 정보 및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컨텍스트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며, 프로세서(13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컨텍스트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 시청 이력 정보 및 전력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는,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추천 컨텐츠에 관한 정보, 시청 이력에 기초한 선호도에 관한 정보 및 전력 상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ABC 방송에서 방영되는 "CC 드라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ABC 방송에서 방영되는 또 다른 드라마에 관한 정보 및 "CC 드라마"의 주인공 역할을 맡은 배우가 출연하는 다른 드라마 또는 영화 등과 같은 추가 정보들을 서버(300)로부터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텍스트 정보 및 추가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9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컨텍스트 정보 및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텍스트 정보에만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텍스트 정보 및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추가 정보 모두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가 이미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서버(300)로부터 추가 정보를 수신할 필요 없이 바로 저장되어 있는 추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컨텍스트 정보가 현재 전력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서버(3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력 상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할 필요 없이, 바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거나 사용되지 않는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서버(300)로부터 추가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추가 정보 및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설정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애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한 종류이며, 구체적으로는, 추가 정보 및 컨텐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신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컨텐츠 재생 신호는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직접 전송하는 신호가 아니라, 컨텐츠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즉, 컨텐츠가 영화와 관련된 것일 경우, 영화를 재생하는데 최적화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일 수도 있고, 컨텐츠가 음악과 관련된 것일 경우, 음악을 재생하는데 필요한 음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일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3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기 설정된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요청 신호는 서버(3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컨텐츠가 직접 전송되도록 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서버(300)로 하여금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요청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요청에 의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컨텐츠 요청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300)는 수신된 컨텐츠 요청 신호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전송해야할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결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네트워크상 MAC 주소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시리얼 넘버 등을 포함함으로써, 서버(300)에게, 연결해야할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컨텍스트 정보 및 이와 관련된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기 설정된 컨텐츠들을 쉽게 보여줄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30)에 대해서는 도 2a를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120)는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재생 화면,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화CC"와 관련하여 "영화CC"의 주인공이 출연하는 다른 동영상들에 관한 추가 정보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고, "영화CC"의 주인공이 출연하는 다른 동영상들을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영화CC"의 주인공이 출연하는 다른 동영상들을 썸 네일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썸 네일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방영되는 영화와 관련된 다른 컨텐츠들을 브라우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들은 다양한 종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방송 시청 모드에서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 컨텐츠 재생 모드에서 제공되는 VOD 컨텐츠, 웹 모드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 컨텐츠, 게임 컨텐츠와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통해 특정 웹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실제 방송 또는 재생되는 컨텐츠 뿐만 아니라, EPG 정보, 텍스트 정보, 썸 네일 정보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OD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UI 화면 상에서 제공되는 썸 네일 정보도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선택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각각의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서버(300)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고, 선택된 컨텐츠가 서버(3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20)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가 음악이라고 상정하면, 프로세서(130)는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음악 컨텐츠가 서버(3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요청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300)는 음악 컨텐츠를 전송해야할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20)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가 영화라고 가정하면, 프로세서(130)는 영화를 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영화 컨텐츠가 서버(3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재생 신호가 수신되면, 어떤 종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인지 및 어떤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해야하는 것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판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준비를 하게 된다.
그리고, 서버(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컨텐츠를 판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120), 프로세서(130), 저장부(140), 감지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카메라(182) 및 마이크(183)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태블릿 PC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TV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세부 구성 역시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유사함은 당연하다.
프로세서(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12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 각종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 및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에, 저장부(140)는 저장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따르면, 저장부(140)에는 베이스 모듈(141), 센싱 모듈(142), 통신 모듈(143), 프리젠테이션 모듈(144), 서비스 모듈(145)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41)이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41)은 스토리지 모듈(141-1), 보안 모듈(141-2) 및 네트워크 모듈(14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4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 모듈(141-1)을 이용하여 저장부(14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14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41-3)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4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142)은 터치 인식 모듈, 헤드 방향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4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43)은 외부 장치와 통신에 이용되는 디바이스 모듈,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통신 모듈(143)을 통해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정보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컨텍스트 정보 및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145)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145)은 SNS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50)는 사용자의 시청 행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50)는 사용자를 촬상하는 촬상부(미도시) 및 촬상부(미도시)에 의해 촬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 행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촬상부(미도시)는 화면의 외곽 영역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촬상부(미도시)는 화면의 상단 중앙, 좌단 중앙 또는 우단 중앙 베젤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촬상부(미도시)는 사용자 특히, 사용자 얼굴을 촬상한다. 촬상부(미도시)는 렌즈를 포함한 렌즈 모듈과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렌즈를 통해 입력된 형상은 필름의 역할을 하는 이미지 센서에 광학 신호로서 입력되고, 이미지 센서는 입력된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시선 검출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촬상부(미도시)는 일반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뎁스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검출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시청 행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검출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얼굴 방향 또는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 등을 추적하여 사용자가 응시하는 영역, 사용자의 시선이 머무는 시간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웃음 시점, 감탄사 발화, 입모양 등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부(미도시)는 얼굴 모델링(face modeling) 기술을 통해 촬영부(미도시)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 촬영 영상으로부터 안구 영상을 식별한다. 이때, 얼굴 모델링 기술은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얼굴 영상의 가공 처리 및 전송을 위한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분석 과정으로, ASM(Active Shape Modeling) 기법 및 AAM(Active Appearance Modeling) 기법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미도시)는 식별된 안구 영상을 이용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미도시)는 안구 움직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응시하는 방향을 검출하고, 기 저장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좌표 정보와 사용자가 응시하는 방향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응시하는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감지부(150)를 통해 검출된 사용자의 시청 행태 및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를 결정하거나, 컨텐츠를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1b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고,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컨텍스트 정보 및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추가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S510), 수신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520).
예를 들어, 컨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통신 연결 상태에 관한 것으로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통신 연결이 불안정한 상태일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굳이 서버(300)에게 추가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필요 없이, 새로운 AP(Access Point)에 관한 연결 주소 또는 통신 재접속 명령 등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S530)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추가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S610), 수신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620).
판단 결과, 추가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300)로 추가 정보를 요청한다(S630).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추가 정보가 수신되면(S630), 서버(3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추가 정보 및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기 설정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260).
또한, 서버(300)는 수신된 컨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67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컨텐츠 재생 신호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컨텐츠 요청 신호 역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텍스트 정보별 수신되는 추가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현재 "영화 ABC"를 디스플레이하고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화 ABC"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영화 ABC"에 대한 정보는 "영화 ABC"의 주인공에 관한 정보, "영화 ABC"의 감독에 관한 정보, 시놉시스에 관한 정보, 재생 시간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이러한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300)에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화 ABC"에 대한 정보 중 "영화 ABC"의 감독에 관한 정보, 시놉시스에 관한 정보, 재생 시간에 관한 정보 등에 기초하여 관련 추가 정보를 DB 상에서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추가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영화 ABC"에 대한 정보 및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영화 ABC의 주인공이 출연하는 다른 영화와 영화 ABC의 감독이 만든 다른 영화가 썸 네일 형태로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화에 관한 시놉시스, 재생 시간 등도 함께 표시될 수 있고, 이외의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영화 ABC의 주인공이 출연하는 다른 영화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영화를 재생하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고, 선택된 영화 파일을 서버(3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요청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화를 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면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선택된 영화 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시청 이력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시청 이력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저장부(140)에 저장됨으로써,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시청 이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청 이력에 기초하여 선호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청 이력에 관한 정보는 현재 시간 및 현재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8과 같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현재 시간이 몇 시이고, 현재 선택된 채널 번호는 07번 채널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러한 시청 이력에 관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하며, 서버(300)는 수신된 시청 이력에 관한 정보 및 기존의 시청 이력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선호도를 갱신하고, 이러한 선호도에 따른 추천 컨텐츠 또는 추천 채널 번호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선호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선호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대별 자주 시청한 채널 번호 및 시간대별 자주 시청한 프로그램이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시간대별 자주 본 채널 번호 중 현재 시간에 자주 본 채널 번호 11번을 선택할 경우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채널 번호를 11번으로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즉, 도 7에서 설명한 예와 달리,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재생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서버(300)로 각각 전송할 필요없이 바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채널 번호를 변경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면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채널 변경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번호를 11번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에서 전력 상태가 불안정할 경우, 전력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상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력 상황이 좋은지 나쁜지 또는 현재 남은 전력 상태로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작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러한 전력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력 상태가 불안하다고 판단한 경우, 서버(300)로부터 추가 정보를 수신할 필요 없이 바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120)의 밝기를 어둡게 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 모드를 저전력 모드로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력 상태에 따라 적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력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정보를 서버(300)로 요청할 경우,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력 상태에 기초하여 저전력 디스플레이 모드에 적합한 컨텐츠를 DB 상에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저전력 디스플레이 모드에 적합한 화면의 밝기를 어둡게 유지할 수 있는 어두운 영상이 많이 들어간 컨텐츠 또는 재생 시간이 짧은 컨텐츠 등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이러한 검색 결과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러한 화면의 밝기를 어둡게 유지할 수 있는 어두운 영상이 많이 들어간 컨텐츠 또는 재생 시간이 짧은 컨텐츠 등에 기초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저전력 디스플레이 모드에 적합한 복수의 컨텐츠가 썸 네일 형태로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저전력 디스플레이 모드에 적합한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고, 선택된 컨텐츠 파일을 서버(3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요청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선택된 컨텐츠는 이미지, 영상 또는 음악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면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저전력 모드에 적합한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함으로써, 저전력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한다.
서버(300)는 도 1b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추가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며, 여기서, 컨텐츠 요청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서버(300)는 이러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전송해야할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포지티브(positive) 관계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계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발생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고, 추천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 또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추천 컨텐츠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320)는 새로우 정보 수신시 저장된 정보들을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20)는 사용자 인증에 따라 해당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의 성별, 연령, 취미 등의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20)는 사용자와 버디 관계에 있는 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및 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된 타 사용자의 액티비티 정보, 해당 액티비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타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프로세서(230)는 도 2b에 도시된 프로세서(130)의 세부 구성과 유사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3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30)는 컨텐츠 추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와 기설정된 버디 관계에 있는 타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타 사용자의 타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액티비티 정보에 기초하여 타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타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에 따른 컨텐츠 추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액티비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의 사용자 액티비티는 SNS에 대한 액티비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해 트위터와 같은 실시간 댓글을 다는 행위 외에, 해당 컨텐츠 장면을 캡쳐하여 SNS 서버에 업로드하는 행위, 업로드된 컨텐츠 장면에 댓글을 다는 행위, 투표 등에 의해 선호도를 표시하는 행위 등 SNS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액티비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SNS에 대한 액티비티가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행위인 경우 해당 액티비티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다양한 속성 중 하나에 대한 포지티브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SNS에 대한 액티비티가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 없는 행위인 경우 해당 액티비티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다양한 속성 중 하나에 대한 네거티브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데 기여하거나,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의 사용자 액티비티는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액티비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를 기초로 인터넷 검색하는 행위, 또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 관련되지 않은 검색어를 기초로 인터넷 검색을 하는 행위 등이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액티비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 검색 행위도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와의 관련성 여부에 따라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사용자 액티비티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상에서 수행된 행위가 아닌, 사용자의 시선 시간, 웃음 시점, 감탄사 발화, 입 모양 등의 시각적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액티비티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자체, 컨텐츠 속성 및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직접적으로 선호 표시를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자체에 대해 선호 표시를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또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에 대해 선호 표시를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렉션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터치 패드 상에 "♡"를 그리는 사용자 터치 입력과 같은 형태,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을 누름 조작하는 형태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화를 하는 행위,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행위, 게임을 하는 행위 등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가능한 모든 액티비티가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액티비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천 컨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선호도 정보에 따라 추천 컨텐츠 검색시 기존의 컨텐츠 검색 방법이 아닌, 필터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lation filter(1310), Content filter(1330), Sub-tailed filter(1320)를 이용하여 추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도 13b는 Relation filter(1310)로서 "Recommended"가, Content filter(1330)로서 "Movies"가, Sub-tailed filter(130)로서 "Genre"가 선택되어 추천 컨텐츠를 검색하는 경우는 도시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를 이용한 검색 조건이 완성된 이후, 사용자 음성에 의한 검색어를 결합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추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부 내용을 추가하여 컨텐츠를 추천받기 원하는 경우 해당 내용을 음성으로 발화하여 검색 조건에 추가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 상에 EPG 화면(1500)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의 ON/OFF 여부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과 관계가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EPG 화면에서 컨텐츠 목록은 채널 순번으로 정렬되어 있을 수 있으며, EPG 화면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래의 프로그래밍 정보를 알고 싶다면 타임 라인을 터치 앤 드래그(포인트 앤 드래그) 방식으로 조작하여 원하는 시간으로 이동 또는 점프할 수 있다.
한편,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가능한 방송 컨텐츠 중 SNS 공유 정도가 가장 높은 방송 컨텐츠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Buzz" 필터(1510)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EPG 화면의 컨텐츠 정렬 순서가 해당 채널 번호에서 SNS 공유 정보가 가장 높은 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SNS 공유 정도(이하 입소문(Buzz))는 간단한 인포그래픽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복잡한 통계 숫자가 아닌 심플한 그래픽으로 사용자가 바로 Buzz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Buzz 아이콘(1531)을 선택하면, SNS에서 언급되고 있는 자세한 내용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타 사용자들의 코멘트를 참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가능한 방송 컨텐츠 중 가장 시청률이 높은 방송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AUD(Audience)" 필터(1520)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EPG 화면의 컨텐츠 정렬 순서가 해당 채널 번호에서 시청률이 가장 높은 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청률 또한 간단한 인포그래픽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복잡한 통계 숫자가 아닌 심플한 그래픽으로 사용자가 바로 시청률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Audience 아이콘(1541)을 선택하면, 시청률 분포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예를 들어, Seattle), Time Zone(예를 들어, Eastern Standard), 프로필(예를 들어, 성별, 나이) 등에 따른 시청률 분포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 EPG 화면에 "Buzz" 필터나 "AUD(Audience)" 필터 외에 "Genre" 필터를 추가 반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Buzz" 필터나 "AUD(Audience)" 필터와 "Genre" 필터를 조합하여 컨텐츠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일 예로, "Buzz" 필터와 "Genre" 필터가 조합되는 경우 현재 방송 컨텐츠 중 SNS에서 가장 언급이 많이 되는 "뉴스" 프로그램 순으로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AUD(Audience)" 필터와 "Genre" 필터다 조합되는 경우 현재 방송 컨텐츠 중 시청률이 가장 높은 "리얼리티" 프로그램 순으로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다.
다만, 도 15a 내지 도 15d에서 설명한 예는 방송 컨텐츠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VOD 컨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OD 컨텐츠에 대해 "Buzz" 필터가 실행되면 SNS 공유 정도에 따라 컨텐츠가 정렬되고, "AUD(Audience)" 필터가 실행되면 컨텐츠 구매율에 따라 컨텐츠가 정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의 EPG 화면에서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사용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컨텐츠가 서버(3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선택된 컨텐츠가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지인 등 관련된 사람들이나, 대중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EPG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시청 목적에 적합한 추천을 할 수 있으므로 더욱 쉽고 빠른 시청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통신을 수행하기에 앞서서 서로 페어링을 수행하여야 하며, 서로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 속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동일한 엑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페어링 동작을 개시하고, 페어링이 완료되면 엑세스 포인트에 관한 연결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동일한 엑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러한 엑세스 포인트에 관한 연결 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시리얼 넘버를 컨텐츠 요청 신호에 부가하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엑세스 포인트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먼저 엑세스 포인트(3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S61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 오프 된 상태이므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턴 온 시키기 위한 턴 온 명령 및 페어링 개시 명령을 포함하는 IR 신호를 전송한다(S620).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턴 온 명령 및 페어링 개시 명령을 포함하는 IR 신호를 수신하여 턴 온 되고, 자동적으로 IR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페어링을 수행하며, 페어링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다(S630).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존에 연결된 엑세스 포인트(300)에 관한 연결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640).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엑세스 포인트(300)에 관한 연결 정보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엑세스 포인트(300)에 관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엑세스 포인트(300)와 통신 세션을 연결하게 된다(S650).
도 16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로 IR 신호를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페어링을 수행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단방향 무선통신 방식 및 양방향 무선통신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다(S1710).
수신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1720).
그리고, 컨텍스트 정보 및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S1730).
여기서,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로부터 추가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추가 정보 및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설정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수신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 설정된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선택된 컨텐츠가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요청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 시청 이력 정보 및 전력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추가 정보는,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추천 컨텐츠에 관한 정보, 시청 이력에 기초한 선호도에 관한 정보 및 전력 상태에 기초항 디스플레이 모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컨텍스트 정보 및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버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버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장치 110: 통신부
120: 디스플레이 130: 프로세서

Claims (19)

  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추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추가 정보 및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설정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기 설정된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 시청 이력 정보 및 전력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추천 컨텐츠에 관한 정보,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한 선호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력 상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인,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추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액티비티(activity)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에 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포지티브(positive) 관계 또는 네거티브(negative) 관계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추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추가 정보 및 상기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 설정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기 설정된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 시청 이력 정보 및 전력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추천 컨텐츠에 관한 정보, 상기 시청 이력에 기초한 선호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력 상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50006885A 2015-01-14 2015-01-14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7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885A KR20160087649A (ko) 2015-01-14 2015-01-14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4/995,355 US20160205427A1 (en) 2015-01-14 2016-01-14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6737571.6A EP3213520A4 (en) 2015-01-14 2016-01-14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6/000405 WO2016114607A1 (en) 2015-01-14 2016-01-14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680005286.XA CN107113467A (zh) 2015-01-14 2016-01-14 用户终端装置、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885A KR20160087649A (ko) 2015-01-14 2015-01-14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649A true KR20160087649A (ko) 2016-07-22

Family

ID=5636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885A KR20160087649A (ko) 2015-01-14 2015-01-14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205427A1 (ko)
EP (1) EP3213520A4 (ko)
KR (1) KR20160087649A (ko)
CN (1) CN107113467A (ko)
WO (1) WO2016114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927A (ko) * 2016-08-31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EP3657496A4 (en) * 2017-07-19 2020-08-05 Sony Corporation DEVICE AND PROCESS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9961410B1 (en) * 2017-07-24 2018-05-0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flict detection based on user preferences
KR102369121B1 (ko) * 2017-10-12 2022-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CN108268619B (zh) * 2018-01-08 2020-06-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内容推荐方法及装置
US10901760B2 (en) * 2018-03-05 2021-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ew augmentation in multiscreen environment
JP7140540B2 (ja) * 2018-05-07 2022-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CN110570316A (zh) 2018-08-31 2019-12-1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训练损伤识别模型的方法及装置
US11762458B2 (en) * 2021-02-15 2023-09-19 Sony Group Corporation Media display device control based on eye gaz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2093B2 (en) * 2008-01-21 2014-06-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ations related to a service system
KR101454484B1 (ko) * 2008-07-14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가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전 및 부가 기능수행 방법
JP2011142468A (ja) * 2010-01-06 2011-07-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240177A1 (en) * 2011-03-17 2012-09-20 Anthony Rose Content provision
US8667539B2 (en) * 2011-08-03 2014-03-04 Symbol Shifters, LLC System for scanable icon detection and management
EP2752016A4 (en) * 2011-09-09 2015-04-01 Research In Motion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ELECTRONIC MEDIA
US9661364B2 (en) * 2011-09-27 2017-05-2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Recommended media content based channel surfing methods and systems
EP2620865A3 (en) * 2012-01-27 2016-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511537B (zh) * 2012-04-27 2015-12-01 Wistron Corp 智慧型電視系統、智慧型電視、行動裝置及其輸入操作方法
KR101460403B1 (ko) * 2012-09-03 2014-11-12 김상범 스마트 tv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716855B2 (en) * 2012-09-14 2017-07-2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Optically readable codes in a content delivery system
US9092415B2 (en) * 2012-09-25 2015-07-28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rogram recommendations based on user interactions
KR101919794B1 (ko) * 2012-10-17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방송 단말기 및 이들의 제어 방법
US8881209B2 (en) * 2012-10-26 2014-11-04 Mobitv, Inc. Feedback loop content recommendation
JP2014120895A (ja) * 2012-12-14 2014-06-30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40115404A (ko) * 2013-03-12 2014-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661380B2 (en) * 2013-03-15 2017-05-23 Echostar Technologies L.L.C. Television content management with integrated third party interface
JP6271169B2 (ja) * 2013-06-28 2018-01-31 株式会社東芝 番組関連プログラム
US20150002743A1 (en) * 2013-07-01 2015-01-01 Mediatek Inc. Video data displaying system and video data displaying method
WO2016020464A1 (en) * 2014-08-05 2016-02-11 Piksel, Inc Context driven recommendation for content delivery and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13467A (zh) 2017-08-29
US20160205427A1 (en) 2016-07-14
EP3213520A1 (en) 2017-09-06
WO2016114607A1 (en) 2016-07-21
EP3213520A4 (en)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7649A (ko)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62874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4954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bookmark setting method, and program
US20160142763A1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periphera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97731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
WO2021088320A1 (zh) 显示设备和内容显示方法
WO2021031623A1 (zh) 显示设备、分享文件的方法和服务器
KR20140077481A (ko) 컨텐츠 재생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네트워크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066715A1 (en) Remote Control of Television Displays
TW201327202A (zh) 使用共享及個人裝置合作提供個人化使用者功能
US1142546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2015009301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340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50273A1 (zh) 一种视频播放方法、移动终端及系统
US201501352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0248697A1 (zh) 显示设备及视频通讯数据处理方法
KR2017000908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6004831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6464976B (zh) 显示设备、用户终端设备、服务器及其控制方法
CN104903844A (zh) 用于呈现网络和相关联的移动设备中的数据的方法
WO2022012271A1 (zh) 显示设备和服务器
CN112203154A (zh) 一种显示设备
CN112783380A (zh) 显示设备和方法
KR20210047112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06608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