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365B1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365B1
KR102599365B1 KR1020190058244A KR20190058244A KR102599365B1 KR 102599365 B1 KR102599365 B1 KR 102599365B1 KR 1020190058244 A KR1020190058244 A KR 1020190058244A KR 20190058244 A KR20190058244 A KR 20190058244A KR 102599365 B1 KR102599365 B1 KR 10259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signal
video format
video
ed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541A (ko
Inventor
오승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8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365B1/ko
Priority to US16/829,430 priority patent/US11158284B2/en
Priority to PCT/KR2020/004222 priority patent/WO2020235800A1/en
Priority to EP20166837.3A priority patent/EP3739893A1/en
Priority to JP2020068136A priority patent/JP7110272B2/ja
Priority to CN202010412087.9A priority patent/CN111954061B/zh
Publication of KR20200132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541A/ko
Priority to US17/501,070 priority patent/US1169465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8Protocol analy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장치와 접속되게 마련된 신호출력회로와;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제1영상포맷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부터 획득하고,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을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제공되도록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외부장치에 신호출력회로를 통해 출력하고, 외부장치가 해당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1영상포맷과 상이한 제2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외부장치에 신호출력회로를 통해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중간장치를 거쳐서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컨텐트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8K 이상의 초고해상도의 영상컨텐트에 관하여, 중간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가 각기 지원하는 영상컨텐트의 전송규격을 고려하여 중간장치에 출력하는 영상컨텐트의 화질을 판단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정보를 특정 프로세스에 따라서 연산 및 처리하기 위해, 연산을 위한 CPU, 칩셋,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처리 대상이 되는 정보 또는 사용 용도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에는 범용의 정보를 처리하는 PC나 서버 등의 정보처리장치,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오디오를 처리하는 오디오장치, 가정 내 잡무를 수행하는 생활가전 등이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예시로는 TV, 모니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태블릿(tablet), 모바일 폰(mobile phone) 등이 있다.
또한, 전자장치 중에는 TV와 같은 타 영상처리장치에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도 있으며, 그 예시로는 UHD(Ultra High Definition) 플레이어 등이 있다. 예를 들면, UHD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영상컨텐트는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서 TV에 제공되며, TV에서 해당 영상컨텐트의 영상이 표시된다.
영상컨텐트를 제공하는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다이렉트로 접속됨으로써 별도의 장치를 거치지 않고 영상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이나 사용의 편의성 등으로 인해, 영상컨텐트가 1차적으로 영상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소정의 중간장치 또는 중계장치에게 전송되고, 2차적으로 중간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되는 구조가 가능하다. 중간장치는 단순히 영상컨텐트를 전달만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영상컨텐트에 대해 여러 가지의 처리동작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처리 동작의 예를 들면, 영상컨텐트의 보안을 위한 인증, 스크램블링, 디스크램블링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가장 좋은 품질의 영상이 표시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지원 가능한 가장 좋은 화질의 영상컨텐트가 전자장치에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영상컨텐트에 대한 중간장치의 처리성능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처리성능 사이에 미스매칭(mismatching)이 있다면, 영상컨텐트가 중간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거나 또는 아예 전달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HD 플레이어 등과 같은 소스장치 및 TV가 8K급의 영상처리를 지원하는 반면, 중간장치가 4K급의 영상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중간장치는 TV로부터 전달받은 EDID를 그대로 소스장치에 전달하고, 소스장치는 전달받은 TV의 EDID에 기초하여 8K급의 화질의 영상신호를 중간장치로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중간장치는 4K급까지만 지원할 수 있으므로, 소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8K급의 화질의 영상신호를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중간장치 단계에서 영상신호가 차단되고, 결과적으로 TV에서 화면이 나오지 않는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한 미스매칭을 극복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컨텐트가 정상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보장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장치와 접속되게 마련된 신호출력회로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제1영상포맷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을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상기 신호출력회로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과 상이한 제2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상기 신호출력회로를 통해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출력회로 및 상기 외부장치 사이의 소정 신호라인이 컨텐트신호의 데이터가 아닌 클럭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하지 않는다고 식별하며, 상기 신호라인이 상기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출력회로가 상기 외부장치에 HDMI 2.1 및 그 이후의 버전을 기반으로 접속될 때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고, HDMI 2.1 이전의 버전을 기반으로 접속될 때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의 기 설정된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확인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의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실시간으로 압축되어 전달되는 영상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처리하는 모드를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정보는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블록 중에서 null 값이 아닌 블록의 개수가 문턱값 이상이라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EDID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EDID에서 null 값이 아닌 블록의 개수가 3개 이상이라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출력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와 전력전송을 수행하는 모드를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텐트신호에서 오디오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다시 전송하는 모드를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상포맷은 8K급 해상도에 대응하고, 상기 제2영상포맷은 상기 8K급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출력회로는 HDMI 규격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신호를 출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제1영상포맷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을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과 상이한 제2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소스 디바이스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전자장치가 출력하는 영상컨텐트의 화질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Tx 및 Rx 사이의 신호 전송에 적용되는 HDMI 2.1 규격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소스 디바이스가 중간장치로부터 획득한 EDID를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소스 디바이스가 중간장치로부터 획득한 EDID를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소스 디바이스가 FRL 기능에 기초하여 EDID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HDMI 2.1에 규정된 SCDC 업데이트 플래그의 필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소스 디바이스가 DSC 압축기능에 기초하여 EDID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HDMI 2.1에 규정된 SCDC 소스 테스트 환경 및 상태 플래그의 필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소스 디바이스가 중간장치로부터 획득한 EDID에서 유효한 블록의 개수에 기초하여 EDID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EDID의 블록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소스 디바이스가 중간장치의 전력전송 기능 지원 여부에 기초하여 EDID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소스 디바이스가 중간장치의 eARC 기능 지원 여부에 기초하여 EDID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Tx 및 Rx 사이의 HDMI 통신에서 eARC 기능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소스 디바이스가 FRL 및 DSC의 두 가지 기능의 지원 여부에 따라서 EDID의 신뢰성을 판단하여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장치(110, 120, 130)를 포함한다. 각 전자장치(110, 120, 130)는 시스템 내에서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서, 영상컨텐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장치(110)와, 제1장치(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제2장치(120)와, 제1장치(110) 및 제2장치(120) 사이를 중계하며 제1장치(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제2장치(120)에 전달하는 제3장치(130)를 포함한다.
제1장치(110) 및 제2장치(120)는 케이블을 통해서 제3장치(130)에 대해 각각 연결되어 있는 바, 영상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제1장치(110)로부터 제3장치(130)로, 그리고 제3장치(130)로부터 제2장치(120)로 전송된다. 제1장치(110)가 제공하는 영상신호가 제2장치(12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제1장치(110), 제2장치(120) 및 제3장치(130)는 상호간에 신호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한다.
제1장치(110)는 자체적으로 저장된 영상컨텐트를 재생하거나 또는 외부의 영상소스(140)로부터 영상컨텐트를 제공받는다. 제1장치(110)는 예를 들면, DVD나 블루레이와 같은 광학미디어 재생장치, UHD 플레이어, 셋탑박스, TV, 컴퓨터본체, 모바일 장치, 홈 씨어터(home theater), 게임기 장치, 컨텐트 서버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장치(120)는 TV 뿐만 아니라 모니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모바일 폰, 태블릿, 전자액자, 전자칠판, 전자광고판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장치(120)가 제1장치(110)로부터 영상컨텐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2장치(120)는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상처리장치일 수도 있다.
제2장치(120)는 제1장치(110)로부터만 영상컨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영상소스(140)로부터 영상컨텐트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제2장치(120)는 제3장치(130)의 중계 없이 제1장치(110)에 다이렉트로 접속됨으로써, 제1장치(110)로부터 다이렉트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신호가 반드시 케이블을 통해서만 전송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는 케이블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장치(120)가 제3장치(130)의 중계를 통해 제1장치(110)로부터 영상컨텐트를 제공받는 경우에 포커스를 맞춰 설명한다.
제3장치(130)는 제1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컨텐트의 신호를 제2장치(120)로 전송하는 중간장치, 중계장치, AV 리시버(receiver), 리피터(repeater), 홈 씨어터, 컨버터(converter), 릴레이 장치 등으로 구현된다. 이 과정에서 제3장치(130)는 신호를 소정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할 수 있다. 즉, 제1장치(110), 제3장치(130) 및 제2장치(120)가 직렬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제1장치(11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트 신호는 제3장치(130)를 거쳐서 제2장치(120)로 전달된다. 반면에, 제2장치(120)에 저장된 제2장치(120)의 기능, 성능 또는 능력을 나타내는 정보는 제2장치(120)로부터 제3장치(130)를 거쳐서 제1장치(11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정보의 예시로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가 있다. EDID는 전자장치의 장치 특성, 기기 정보를 나타내며, 예를 들면 해당 전자장치가 지원 가능한 영상의 화질, 영상포맷,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 등을 포함한다. EDID는 전자장치가 기본적으로 내장하고 있다.
이하, 제1장치(110)의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편의상, 제1장치(110)는 영상컨텐트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로, 제2장치(120)는 영상컨텐트를 제공받는다는 측면에서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로 각각 지칭한다.
도 2는 소스 디바이스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210)는 통신부(211), 신호출력부(212), 사용자입력부(213), 저장부(214), 프로세서(215)를 포함한다. 중간장치(220)는 신호입출력부(221), 스피커(222), 저장부(223), 프로세서(224)를 포함한다. 싱크 디바이스(230)는 통신부(231), 신호입력부(232), 디스플레이부(233), 스피커(234), 사용자입력부(235), 저장부(236), 프로세서(23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장치(220)가 스피커(222) 및 저장부(223)를 포함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스피커(222) 및 저장부(223)를 포함하지 않는 중간장치(220)가 있을 수도 있다.
이하, 소스 디바이스(210)의 각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중간장치(220) 및 싱크 디바이스(230)의 각 구성에 관해서는, 이하 설명하는 소스 디바이스(210)의 구성을 참조하여 통상적인 전자장치의 관점에서 응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부(211)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통신칩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회로이다. 통신부(211)는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와이파이(Wi-Fi) 통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 통신칩, 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수행하는 BLE 통신칩,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에 접속되는 랜카드(LAN card) 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신호출력부(212)는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220)로 전송한다. 이 때, 신호출력부(212)는 프로세서(215)와는 별도로 시리얼라이징(serializing)과 같이 신호 전송을 위한 추가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프로세서(215) 대신에 특정 규격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5)는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220)에 전송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반대로 중간장치(22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 등을 수신하여 프로세서(215)에 전달할 수도 있다. 또는, 신호출력부(212)는 중간장치(220) 이외의 여러 외부장치(미도시)와 신호를 교환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출력부(212)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에 기반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게 마련된다. 그러나, HDMI는 신호출력부(212)의 다양한 구현 예시 중 하나일 뿐이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신호출력부(212)는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DP), 썬더볼트(Thunderbolt),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Universal Serial Bus) 등 다양한 규격이 반영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부(213)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 관련 회로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213)는 소스 디바이스(210)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소스 디바이스(210)의 기계적 또는 전자적 버튼부, 소스 디바이스(210)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리모트 컨트롤러,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저장부(214)는 프로세서(215)에 의해 억세스되며, 프로세서(21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 저장부(214)는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HDD(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ROM(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처리를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는 버퍼(buffer),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214)는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광학매체로부터 영상컨텐트를 독취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5)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5)는 영상처리를 위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모듈들 중 일부 또는 전체가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215)는 저장부(214)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컨텐트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다. 소스 디바이스(210)가 UHD 블루레이 플레이어인 경우에, 프로세서(215)는 컨텐트신호가 신호출력부(21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서 팩키징(packaging), 스크램블링(scrambling)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소스 디바이스(210)는 영상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포함하는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220)에 출력한다. 중간장치(220)는 컨텐트신호를 처리하여 싱크 디바이스(230)로 출력한다. 싱크 디바이스(230)는 컨텐트신호 내의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33)에 영상을 표시한다. 이 때, 중간장치(220)는 처리된 컨텐트신호 전체를 싱크 디바이스(230)에 전송하여, 컨텐트신호 내의 오디오신호가 싱크 디바이스(230)의 스피커(234)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중간장치(220)는 영상신호를 싱크 디바이스(23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부(233)에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되, 오디오신호는 자체 구비한 스피커(22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소스 디바이스(210)가 중간장치(220)를 통해 전달받은 싱크 디바이스(230)의 EDID에 기초하여, 출력하는 영상컨텐트의 화질을 판단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전자장치가 출력하는 영상컨텐트의 화질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동작은 전자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본 동작에서 전자장치는 소스 디바이스, 외부장치는 중간장치, 디스플레이장치는 싱크 디바이스에 각각 해당하며, 사용되는 장치의 명칭이 특정한 기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31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외부장치의 접속 이벤트를 감지한다. 본 이벤트는, 예를 들면, 케이블을 통해 신호출력부에 외부장치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면 발생할 수 있다.
32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이벤트 감지에 응답하여, 외부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가 지원하는 제1영상포맷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외부장치는 본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획득하여 전자장치에 전달한다.
33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 외부장치가 지원하는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34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외부장치가 지원하는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전송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한다. 식별하는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내용은 후술한다.
해당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전송 가능하다고 식별되면, 35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외부장치로 출력한다. 이에, 외부장치는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며,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신호를 처리하여 제1영상포맷의 영상을 표시한다.
반면에, 해당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전송 가능하지 않다고 식별되면, 360 단계에서 전자장치는 제1영상포맷과 상이한 제2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외부장치로 출력한다. 이에, 외부장치는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2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며,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트신호를 처리하여 제2영상포맷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 경우, 제2영상포맷은,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영상포맷 중에서, 외부장치가 지원하는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전송할 수 있는 영상포맷으로 선택될 수 있다.
36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일 외부장치가 지원하는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전송 가능하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전자장치가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외부장치에 출력하면, 외부장치는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여 처리할 수 없다. 이에, 전자장치는 제1영상포맷과 상이한 영상포맷인 제2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외부장치에 출력한다. 예컨대, 제2영상포맷은, 제1영상포맷보다 낮은 해상도의 영상포맷일 수 있다. 한편, 제2영상포맷은 단지 제1영상포맷보다 해상도가 낮은 포맷에 한정되지 않고, 밝기, 선명도 등 다양한 부가적인 영상 속성이 제1영상포맷보다 낮은 레벨이거나 또는 결여된 영상포맷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는 외부장치를 통해 컨텐트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적어도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상황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외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의 EDID를 수신하면, 해당 EDID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자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EDID를 신뢰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수신된 EDID가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하면 EDID 내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장치가 제1영상포맷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컨텐트신호를 제1영상포맷으로 출력한다.
반면에, 전자장치는 수신된 EDID가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 설사 수신된 EDID 내부에 포함된 정보가 제1영상포맷의 지원을 나타낸다고 하더라도 컨텐트신호를 제1영상포맷으로 출력하지 않는다. 대신, 전자장치는 수신된 디스플레이장치의 EDID와 별도로, 외부장치가 지원하는 제2영상포맷을 판단하고, 컨텐트신호를 제2영상포맷으로 출력한다.
위 동작에서 나온 주요한 두 가지 요소인 영상포맷 및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은, 상호간에 다음과 같은 관련성을 가진다.
영상포맷은 컨텐트신호의 영상의 다양한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영상포맷은 RAW 영상의 인코딩/디코딩하기 위한 코덱 정보를 나타내거나, 영상의 화질을 나타내거나, 영상의 해상도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포맷이 해상도에 관련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영상포맷은 그 이외의 특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해상도는 영상의 한 프레임을 이루는 총 픽셀의 개수를 M*N(M, N은 자연수이고 *은 곱셈기호) 형태로 나타낸 값이다. 해상도가 높다는 것은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는 픽셀의 수가 많다는 것이므로, 당연히 프레임당 데이터의 양이 많아진다. 또한, 프레임당 데이터의 양이 많다는 것은 단위시간당 전송량의 요구 레벨이 높다는 것이므로, 높은 해상도의 컨텐트신호는 영상포맷의 공개시기 이전에 나온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으로는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해상도는 다양한 규격이 제안되어 있는데, 대체적으로 16:9의 비율에 따르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해상도의 규격으로는 HD(1280*720), FHD(1920*1080), 4K 또는 UHD(3840*2160), 8K(FUHD; 7680*4320), 16K(QUHD; 15360*8640) 등이 있다. 해상도가 올라갈수록, 컨텐트신호의 전송은 막대한 데이터 전송율을 필요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HDMI인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다만, HDMI는 한 가지 적용 예시일 뿐이며, HDMI 이외에도 DP, 썬더볼트 등과 같이 버전별로 상위버전 및 하위버전이 구분되는 다양한 규격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HDMI 규격은 현 시점에서 2.1 버전까지 공개되었다. HDMI 2.1은 그 이전의 버전에 비해 높은 해상도의 컨텐트신호, 예를 들면 8K급의 컨텐트신호를 전송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HDMI 2.1 이전 버전의 HDMI는 데이터 전송 속도, 대역폭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8K급의 컨텐트신호를 정상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HDMI 2.0은 8K 30Hz의 컨텐트신호를 전송할 수 있지만, 30Hz를 초과하는 초당 프레임의 8K, 예를 들면 8K 60Hz의 컨텐트신호는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없다.
만일 전자장치가 30Hz를 초과하는 초당 프레임의 8K급의 컨텐트신호를 외부장치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가 8K급의 컨텐트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자 한다면, 디스플레이장치뿐만 아니라 외부장치도 8K급의 컨텐트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HDMI 2.1을 지원해야 한다. 즉, 위 동작에서 나온 제1영상포맷이 8K급이라고 한다면, 외부장치가 컨텐트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외부장치는 HDMI 2.1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HDMI 2.1에 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Tx 및 Rx 사이의 신호 전송에 적용되는 HDMI 2.1 규격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MI 2.1에 따라서 Tx(410)로부터 Rx(420)로 HDMI 케이블을 통해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가 전송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Tx(410)는 컨텐트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로서 소스 디바이스가 될 수 있고, Rx(420)는 컨텐트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중간장치가 될 수 있다.
HDMI에 있어서, 물리층은 변화 최소화 차분신호 (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TMDS), 콘텐츠 보안을 위한 신호의 암호화는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디바이스 간 인증은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시스템 전체의 제어계 접속은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가 사용된다.
HDMI 케이블 및 커넥터들은 TMDS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4개의 채널들을 구성하는 네 개의 차분 쌍(differential pair)을 포함한다. 이러한 채널들은 영상데이터, 오디오데이터 및 부가데이터(auxiliary data)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HDMI는 I2C 기반 통신채널인 VESA DDC(display data channel)를 포함하는 바, DDC는 Tx(410) 및 Rx(420) 사이의 환경 및 상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적인 CEC 프로토콜은 시스템 내에 있는 모든 다양한 AV 제품들 사이의 하이레벨(high-level) 제어 기능들을 제공한다. 추가적인 HEAC(HDMI Ethernet and Audio Return Channel)은 접속 디바이스들 및 Audio Return Channel 사이에서 TMDS와 반대방향으로 이더넷 호환 데이터 네트워킹을 제공한다.
DDC는 Tx(410)가 Rx(420)의 성능 및 특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Tx(410)는 DDC를 통해 Rx(420)의 EDID ROM에 기록된 EDID를 취득하고, 취득한 EDID의 정보에 따라서 Rx(420)의 퍼포먼스 레벨을 판단한다.
CEC는 시스템 내의 모든 Tx(410) 및 Rx(420)를 하나의 제어라인으로 접속시킨다. DDC가 Tx(410) 및 Rx(420) 사이에 1대 1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CEC는 시스템 내 모든 기기들을 접속시키는 바, 예를 들면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모든 기기들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HDMI 2.1은 기본적인 구조가 그 이전 버전과 유사하지만, 몇 가지 상이한 점을 가진다. HDMI 2.1은 전송 대역폭이 18Gbps인 HDMI 2.0에 비해 2.5배 이상 높은 48Gbps를 제공한다. 10비트 컬러로 인코딩된 HDR 콘텐츠라도 4K에서 144Hz까지 전송할 수 있고 8K도 30Hz까지 무압축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HDMI 2.1은 네 개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TMDS를 전송하며, 별도의 클럭신호를 전송하는 클럭 채널을 가지지 않는다. HDMI 2.1에서 클럭신호는 데이터와 별도로 전송되지 않고, 클럭신호가 데이터에 임베딩(embeding)된다. 이에 비해, 2.1의 이전 버전의 HDMI는 네 개의 채널 중에서 세 개의 채널을 데이터 채널로 사용하고, 하나의 채널을 클럭 채널로 사용한다. 즉, HDMI 2.1에서 데이터 채널인 TMDS Channel 3은, 2.1의 이전 버전에서는 데이터 채널이 아닌 클럭 채널로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HDMI 2.1은 8K급 컨텐트신호의 전송에 대응이 가능하다. HDMI 2.1의 이전 버전은 3개의 데이터 채널로 TMDS를 전송하는 것에 비해, HDMI 2.1은 4개의 데이터 채널로 TMDS를 전송한다. 따라서, HDMI 2.1은 이전 버전에 비해 데이터 전송율이 훨씬 높다.
소스 디바이스 및 중간장치 사이의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전송 가능한지 여부를 식별하는 방법, 예를 들면 중간장치가 8K급 컨텐트신호를 전송 가능한 HDMI 2.1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들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싱크 디바이스의 EDID가 중간장치를 거쳐서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소스 디바이스가 중간장치로부터 획득한 EDID를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501), 중간장치(502), 싱크 디바이스(503)가 직렬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소스 디바이스(501), 중간장치(502), 싱크 디바이스(503)는 8K급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들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소스 디바이스(501)가 출력하는 컨텐트신호에 기초하여, 싱크 디바이스(503)가 영상을 표시하고 중간장치(502)가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지정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중간장치(502) 및 싱크 디바이스(503)가 서로 접속되면, 510 단계에서 중간장치(502)는 싱크 디바이스(503)로부터 싱크 디바이스(503)의 EDID를 수신한다. 본 EDID는 싱크 디바이스(503)가 지원 가능한 영상에 관한 정보 및 오디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싱크 디바이스(503)의 EDID는 8K급의 영상 및 2채널의 오디오를 지원한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중간장치(502) 또한, 중간장치(502)의 자체적인 EDID를 저장하고 있다. 중간장치(502)는 오디오를 출력 가능한 반면에 영상을 표시할 수 없으므로, 중간장치(502)의 EDID는 영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오디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중간장치(502)의 EDID는 7.1채널의 오디오를 지원한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중간장치(502)에 싱크 디바이스(503)의 EDID가 수신되면, 520 단계에서 중간장치(502)는 중간장치(502)의 EDID 및 싱크 디바이스(503)의 EDID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501)에 전달하기 위한 EDID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중간장치(502)는 싱크 디바이스(503)의 EDID에서 영상에 관한 정보를 유지한다. 그리고, 중간장치(502)는 싱크 디바이스(503)의 EDID에서 오디오에 관한 정보를 중간장치(502)의 EDID에서 오디오에 관한 정보로 대체한다. 획득된 EDID는, 8K급의 영상과 7.1채널의 오디오를 지원한다는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또는, 중간장치는 중간장치(502)의 EDID 및 싱크 디바이스(503)의 EDID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501)에 전달할 새로운 EDID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중간장치(502)는 영상을 표시할 싱크 디바이스(503)의 EDID에서 영상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오디오를 출력할 중간장치(502)의 EDID에서 오디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EDID를 생성한다.
중간장치(502) 및 소스 디바이스(501)가 접속되면, 53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501)는 중간장치(502)로부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EDID를 획득한다.
54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501)는 획득한 EDID를 신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스 디바이스(501)의 판단의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만일 획득한 EDID를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하면, 55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501)는 획득한 EDID에 따라서, 8K급의 영상과 7.1채널의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502)에 출력한다.
소스 디바이스(501)로부터 컨텐트신호가 수신되면, 중간장치(502)는 컨텐트신호로부터 8K급의 영상신호 및 7.1채널의 오디오신호를 획득한다. 560 단계에서 중간장치(502)는 7.1채널의 오디오를 출력한다. 또한, 570 단계에서 중간장치(502)는 8K급의 영상신호를 싱크 디바이스(503)에 출력한다.
중간장치(502)로부터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58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503)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8K급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은, 중간장치(502)가 8K급의 영상을 지원하므로, 소스 디바이스(501)로부터 출력되는 8K급의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트신호를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소스 디바이스(501)는 중간장치(502)로부터 획득한 EDID를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EDID에 따라서 8K급의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트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소스 디바이스(501)가 중간장치(502)로부터 획득한 EDID를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소스 디바이스가 중간장치로부터 획득한 EDID를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601), 중간장치(602), 싱크 디바이스(603)가 직렬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소스 디바이스(601) 및 싱크 디바이스(603)에 대비한 중간장치(602)의 처리 성능이다. 본 실시예에서 소스 디바이스(601) 및 싱크 디바이스(603)는 8K급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들인 것에 비해, 중간장치(602)는 최고 4K급의 영상까지만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중간장치(602) 및 싱크 디바이스(603)가 서로 접속되면, 610 단계에서 중간장치(602)는 싱크 디바이스(603)로부터 싱크 디바이스(603)의 EDID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싱크 디바이스(603)의 EDID는 8K급의 영상 및 2채널의 오디오를 지원한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중간장치(602)가 저장하고 있는 중간장치(602)의 EDID는 7.1채널의 오디오를 지원한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중간장치(602)에 싱크 디바이스(603)의 EDID가 수신되면, 620 단계에서 중간장치(602)는 중간장치(602)의 EDID 및 싱크 디바이스(603)의 EDID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501)에 전달하기 위한 EDID를 획득한다. EDID의 획득 방법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예를 들면, 본 EDID는, 8K급의 영상과 7.1채널의 오디오를 지원한다는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중간장치(602) 및 소스 디바이스(601)가 접속되면, 63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601)는 중간장치(602)로부터 EDID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 단계까지의 과정은,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64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601)는 획득한 EDID를 신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획득한 EDID를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 소스 디바이스(601)는 획득한 EDID 내에 포함된 정보에 따르지 않고, 획득한 EDID의 정보에 따른 영상의 화질보다 낮은 화질의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트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획득한 EDID가 8K급의 영상을 지원 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65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601)는 8K급보다 낮은 화질의 4K급의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602)에 출력한다.
여기서, 소스 디바이스(601)는 컨텐트의 재생 시에 8K급 및 4K급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해상도에 따라서 컨텐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601)가 획득한 EDID를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 사전에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영상포맷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소스 디바이스(601)는 획득한 EDID의 정보에 따른 UHD급보다 낮은 FHD급의 영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소스 디바이스(601)는 EDID에 따른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의 영상을 선택하였지만, 화질의 기준은 해상도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소스 디바이스(601)는 EDID에 따른 초당 프레임 수 또는 화면주사율이 144Hz이고 본 EDID를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면, 화면주사율이 60Hz인 영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에 관한 구성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오디오의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601)로부터 컨텐트신호가 수신되면, 중간장치(602)는 컨텐트신호로부터 4K급의 영상신호 및 7.1채널의 오디오신호를 획득한다. 660 단계에서 중간장치(602)는 7.1채널의 오디오를 출력한다. 또한, 중간장치(602) 입장에서는 앞서 소스 디바이스(601)에 전송했던 EDID에 따른 8K급이 아닌 4K급의 영상신호를 획득하므로, 해당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에, 670 단계에서 중간장치(602)는 4K급의 영상신호를 싱크 디바이스(603)에 출력한다.
중간장치(602)로부터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68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603)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4K급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601)는 중간장치(602)로부터 획득한 EDID를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 해당 EDID에 따른 영상포맷보다 낮은 해상도의 영상포맷으로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602)에 출력한다. 이에, 소스 디바이스(601)에 전달되는 EDID가 중간장치(602)의 지원 기능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더라도, EDID의 신뢰 여부에 따라서 중간장치(602)의 지원 여부를 판단하여, 출력되는 영상포맷을 결정함으로써, 중간장치(602)의 기능의 미지원에 따라 싱크 디바이스(603)에서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소스 디바이스(601)가 중간장치(602)로부터 획득한 EDID를 신뢰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가능하다. 8K급 영상의 경우를 예로 든다면, 8K급 영상은 HDMI 2.1 이상의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을 기반으로 한 통신 상에서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소스 디바이스(601)는 획득한 EDID 내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 영상의 레벨이 초당 프레임 30Hz를 초과하는 8K급일 경우에, 소스 디바이스(601) 및 중간장치(602) 사이의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HDMI 2.1 이상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HDMI 2.1 이상으로 식별되면, 소스 디바이스(601)는 획득한 EDID를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소스 디바이스(601)는 HDMI가 아닌, DP(DisplayPort) 등 상이한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서 컨텐트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HDMI의 경우에 포커스를 맞추어 설명한다.
이하, 획득한 EDID가 8K급 영상을 지원 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할 때, 소스 디바이스(601)가 해당 EDID를 신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여러 방법들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소스 디바이스가 FRL 기능에 기초하여 EDID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동작은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71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중간장치로부터 EDID를 획득한다. EDID는, 예를 들면 중간장치에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소정의 제1영상포맷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72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획득한 EDID가 8K급 영상을 지원 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한다.
73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 및 중간장치 사이의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FRL(Fixed Rate Link)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FRL 기능은, 두 장치 간의 소정의 신호라인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모드를 의미한다. 즉, 소스 디바이스는 소정의 신호라인이 소스 디바이스 및 중간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모드를 외부장치가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외부장치가 본 전송모드를 지원한다는 것은, 외부장치가 8K급 영상의 컨텐트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외부장치가 본 전송모드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은, 외부장치가 8K급 영상의 컨텐트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FRL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74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EDID에 따른 8K급 영상의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에 출력한다. 즉, 소스 디바이스는 이러한 경우에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한다.
반면에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FRL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면, 75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EDID에 따른 화질보다 낮은 영상, 예를 들면 4K급의 영상의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에 출력한다. 즉, 소스 디바이스는 이러한 경우에 제1영상포맷과 상이한 제2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FRL 기능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HDMI 2.1에 규정된 SCDC 업데이트 플래그의 필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MI 2.1에서는 SCDC(Status and Control Data Channel)를 통해 억세스되는 업데이트 플래그(Update Flag)의 여러 값들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SCDC는 HDMI 2.0부터 지원하는 규격으로서, Tx 및 Rx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1대 1 통신 프로토콜이다. 예를 들면, Tx는 소스 디바이스, Rx는 중간장치에 각각 해당한다. SCDC는 DDC와 동일하게 I2C 기반 통신 채널이다.
FRL은 HDMI 2.1부터 도입되는 새로운 데이터 전송방식이다. FRL에 따르면, Tx는 이전 버전의 HDMI에서 사용되는 클럭채널, 즉 클럭신호를 전송하는 한쌍의 Differential 신호라인을 사용하여 Rx에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FRL은 이전 버전의 HDMI의 클럭채널을 데이터채널로 사용함으로써, 이전 버전의 HDMI에 비해 하나 더 많은 총 4개의 Differential pair의 데이터채널을 가지는 기능이다. 이전 버전의 HDMI에서는 3개의 데이터채널 및 1개의 클럭채널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HDMI 2.1에서는 4개의 데이터채널을 사용하고 클럭신호는 데이터신호에 임베딩시켜 전송한다.
Rx는 Tx가 SCDC를 통해 억세스할 수 있는 HF-VSDB(Vendor-Specific Data Block)를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FRL을 지원하는 경우에, Rx는 레지스터의 특정 주소에 FRL을 지원한다고 나타내는 값을 기록한다. Tx는 레지스터의 해당 주소에 억세스하여 기록된 값을 획득함으로써, Rx가 FRL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Rx의 레지스터는 예를 들면 0x10 주소의 Bit 4의 필드가 FRL_start로 지정된다. 만일 Rx가 FRL을 지원한다면 FRL_start은 1으로, Rx가 FRL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FRL_start은 0으로 지정된다. Tx가 Rx의 레지스터에 접속하여 FRL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Tx는 Rx에 트레이닝 신호를 전송하여 응답이 오는 것을 대기하는 링크 트레이닝을 수행한다. 정상적으로 Rx로부터 트레이닝 신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Tx는 Rx가 FRL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식별한다. 반면에, Rx로부터 트레이닝 신호에 대한 응답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Tx는 Rx가 FRL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한다. 이 경우에, Tx는 Rx의 레지스터의 0x10 주소의 Bit 4의 값을 0으로 수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Tx는 Rx의 레지스터의 기 설정된 주소의 값으로부터, Rx의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FRL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EDID가 8K급 영상을 지원 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할 때, 해당 EDID를 신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소스 디바이스가 DSC 압축기능에 기초하여 EDID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동작은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91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중간장치로부터 EDID를 획득한다.
92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획득한 EDID가 8K급 영상을 지원 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한다.
93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 및 중간장치 사이의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DSC(Display Stream Compression) 압축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DSC 압축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94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EDID에 따른 8K급 영상의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에 출력한다.
반면에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DSC 압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면, 95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EDID에 따른 화질보다 낮은 영상, 예를 들면 4K급의 영상의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에 출력한다.
이하, DSC 압축 기능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HDMI 2.1에 규정된 SCDC 소스 테스트 환경 및 상태 플래그의 필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MI 2.1은 소스 테스트 환경(Source Test Configuration) 및 상태 플래그(Status Flag)의 여러 값들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이들 값들은 Tx가 억세스 가능한 Rx의 레지스터에 기록된다.
DSC는 Tx가 Rx로 영상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영상데이터를 압축시키는 기술이다. HDMI는 통상적으로 무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 규격이며, HDMI 2.1은 이전 버전의 HDMI에 비해 데이터 전송율이 높은 고속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그러나, 영상데이터가 8K급과 같은 초고해상도이거나 또는 화면주사율이 높으면, HDMI 2.1 기반 통신에 있어서도 정상적인 영상데이터의 전송이 곤란할 수 있다. 이에, Tx는 DSC 압축 기술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영상데이터를 압축함으로써, 초고화질의 영상데이터를 정상적으로 Rx에 전송할 수 있다.
DSC는 FRL 기능이 활성화된 동안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Tx는 HDMI 2.1 기반으로 영상데이터를 Rx로 전송하고자 할 때에 FRL에 의해서도 영상데이터의 정상적인 전송이 곤란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DSC 압축기술을 사용하여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다.
DSC와 관련하여, Rx의 레지스터에서는 주소 0x35의 Bit 6이 DSC_FRL_Max로 지정되고, 0x40의 Bit 7이 DSC_DecoderFail로 지정된다. Tx는 Rx의 레지스터에 상기한 주소로 억세스 또는 리드(read)했을 때에 유효한 값이 있으면(즉, null 값이 아니면), Rx가 DSC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Rx의 DSC_FRL_Max의 값이 1이면, Tx는 Rx의 HF-VSDB에서 DSC_Max_FRL_Rate 및 압축영상전송을 지원하는 최고 FRL_Rate 중에서 보다 적은 쪽으로 링크를 활성화하고,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기 이전에 링크 트레이닝을 수행한다. DSC_DecoderFail은 Rx에서 압축된 영상데이터의 압축해제의 성공 여부를 실시간으로 반영한다. Rx는 DSC 디코딩 실패가 계속되면 이 필드의 값을 1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Tx는 Rx의 레지스터에서 DSC_FRL_Max 또는 DSC_DecoderFail의 필드를 확인함으로써, 중간장치가 DSC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소스 디바이스가 중간장치로부터 획득한 EDID에서 유효한 블록의 개수에 기초하여 EDID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동작은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111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중간장치로부터 EDID를 획득한다.
112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획득한 EDID가 8K급 영상을 지원 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한다.
113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획득한 EDID에서 유효한 값을 가진 블록이 3개 이상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EDID에서 유효한 값을 가진 블록이 3개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114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EDID에 따른 8K급 영상의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에 출력한다.
반면에 EDID에서 유효한 값을 가진 블록이 3개 이상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115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EDID에 따른 화질보다 낮은 영상, 예를 들면 4K급의 영상의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에 출력한다.
이하, EDID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EDID의 블록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DID는 장치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의 블록을 포함한다. EDID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에 의해 규정된 규격이다. EDID는 장치 특성과 기능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기록한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예를 들면, EDID는 헤더, 제품 식별정보, EDID 버전 정보, 기본 디스플레이 변수, 컬러 스페이스 정의, 디스플레이에서 지원되는 모든 해상도의 타이밍 정보, 확장 플래그, 체크썸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품 식별정보는, 제조업체의 ID, 제품 ID 코드, 일련번호, 제조날짜 등을 포함한다. 기본 디스플레이 변수는, 영상 입력 유형, 디스플레이 크기, 전원 관리, 감마값, 타이밍 기능, 환경설정 등을 포함한다.
EDID는 N개의 블록을 포함하며, 각 블록에 상기한 정보들이 기록된다. 그런데, HDMI 2.1 이전의 버전에서는 통상적으로 2개까지의 블록만을 사용하여 EDID를 생성한다. 그런데, HDMI 2.1부터는 EDID에 기록해야 할 정보량이 늘어나므로, HDMI 2.1에서는 3개 이상의 블록을 사용하여 정보를 기록한다.
즉, Tx는 Rx로부터 취득한 EDID가 정보 기록에 사용하는 블록 개수가 2개 이하면 HDMI 2.1 이전의 버전의 HDMI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8K급의 영상 전송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반면에, Tx는 Rx로부터 취득한 EDID가 정보 기록에 사용하는 블록 개수가 3개 이상이면 HDMI 2.1 또는 그 이후의 버전의 HDMI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8K급의 영상 전송을 지원한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Tx는 EDID의 블록 중에서 유효한 값을 가지는 블록, 예를 들면 null 값이 아닌 블록을 정보 기록에 사용된다고 판단한다. 또한, Tx는 EDID 블록 중에서 유효한 값을 가지지 않는 블록, 예를 들면 null 값인 블록을 정보 기록에 사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Tx는 Rx에서 획득한 EDID에서 유효한 값을 가지는 블록의 개수에 기초하여, Rx가 HDMI 2.1 이상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은 소스 디바이스가 중간장치의 전력전송 기능 지원 여부에 기초하여 EDID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동작은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131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중간장치로부터 EDID를 획득한다.
132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획득한 EDID가 8K급 영상을 지원 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한다.
133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중간장치가 전력전송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중간장치가 전력전송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134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EDID에 따른 8K급 영상의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에 출력한다.
반면에 중간장치가 전력전송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면, 135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EDID에 따른 화질보다 낮은 영상, 예를 들면 4K급의 영상의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에 출력한다.
이하, 전력전송 기능에 관해 설명한다.
전력전송 기능은 Tx의 포트 및 Rx의 포트 사이를 케이블로 연결하는 구조에서, 포트의 특정 핀을 통해 Tx로부터 Rx로 또는 Rx로부터 Tx로 소정 전압의 전력을 전송하는 기능이다. USB 규격에서는 전력전송 기능을 지원하는 바, 특정 핀을 통해 5V의 전압을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만, HDMI의 경우에는 HDMI 2.1까지는 전력전송 기능을 지원하고 있지 않은데, 향후 HDMI 2.1 이후의 버전에서는 전력전송 기능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만일 HDMI 규격인데 전력전송 기능을 지원한다면, 이는 적어도 HDMI 2.1 이후의 버전에 해당한다고 유추될 수 있다. 따라서, Tx는 이러한 경우에, Rx가 8K급 영상을 충분히 전송 가능한 규격을 지원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Tx가 Rx의 전력전송 기능의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가능하다. Tx는 앞선 실시예들의 경우와 유사하게 Rx의 SCDC 레지스터에 기록된 전력전송 기능에 관한 기 설정된 필드의 값을 확인함으로써 전력전송 기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Tx는 Rx에 접속되는 신호입출력부의 핀들 중에서 전압이 송수신되도록 마련된 핀에 대한 전압의 감지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Tx는 HDMI의 전력전송 기능의 지원 여부에 기초하여, HDMI 규격이 8K급 영상을 전송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4는 소스 디바이스가 중간장치의 eARC 기능 지원 여부에 기초하여 EDID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동작은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141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중간장치로부터 EDID를 획득한다.
142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획득한 EDID가 8K급 영상을 지원 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한다.
143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중간장치가 eARC(enhanced Audio Return Channel)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중간장치가 eARC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144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EDID에 따른 8K급 영상의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에 출력한다.
반면에 중간장치가 eARC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면, 145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EDID에 따른 화질보다 낮은 영상, 예를 들면 4K급의 영상의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에 출력한다.
이하, eARC 기능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Tx 및 Rx 사이의 HDMI 통신에서 eARC 기능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ARC 기능은 HDMI 2.1의 주요 기능으로서, Rx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Tx에 전달하는 기능이다. eARC는 eARC Tx 및 eARC Rx 사이의 통신을 위한 하프 듀플렉스(half-duplex) 통신 채널을 포함한다. eARC 전송 방향은 HDMI 컨텐트신호의 전송방향과 반대이다. Tx가 Rx에 HDMI 커넥터를 통해 컨텐트신호를 보내면, Rx는 컨텐트신호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추출하고, 상이한 HDMI 커넥터 상의 eARC를 통해 Tx로 출력한다. eARC가 활성화될 때, eARC Rx로 동작하는 Tx는 eARC Tx로 동작하는 Rx에 컨텐트신호를 제공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고속 TMDS 또는 FRL 링크가 비활성화될 때, eARC Tx를 지원하는 Rx는 eARC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다.
Tx는 Rx가 eARC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Tx에서 HDMI의 핀들 중에서 14번 및 19번을 체크한다. HDMI의 14번 및 19번 핀은 eARC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 신호 라인이다. 이 신호 라인을 사용하여 접속된 Rx와 통신이 가능하다면, Tx는 Rx가 eARC 기능을 지원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Tx는 Rx가 eARC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Rx가 HDMI 2.1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8K급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트신호는 적어도 HDMI 2.1 이상의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해 장치들 간의 전송이 가능하다. 소스 디바이스는 중간장치를 거쳐 싱크 디바이스에 컨텐트신호를 제공함에 있어서, 중간장치가 HDMI 2.1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컨텐트신호의 영상의 화질을 선택하고, 선택한 화질의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에 출력한다. 중간장치가 HDMI 2.1을 지원하는지 여부는 예를 들면 상기한 5가지 기준에 따를 수 있다.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소스 디바이스가 FRL 기능, DSC 압축 기능, EDID에서 유효 블록의 개수, 전력전송 기능, eARC 기능 등의 기준들을 개별적으로 적용하여 판단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소스 디바이스는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 복수의 기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6은 소스 디바이스가 FRL 및 DSC의 두 가지 기능의 지원 여부에 따라서 EDID의 신뢰성을 판단하여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동작들은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161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중간장치의 접속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소스 디바이스 및 중간장치가 HDMI 케이블을 통해 물리적으로 서로 접속되면, 소스 디바이스는 HDMI의 HPD 라인을 통한 트리거링에 의해 중간장치의 접속을 감지할 수 있다.
162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중간장치로부터 EDID를 획득한다. 본 EDID는 싱크 디바이스의 EDID 및 중간장치의 EDID 각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163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획득된 EDID가 8K급 영상을 지원하도록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획득된 EDID가 8K급 영상을 지원하도록 기록되어 있으면, 164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중간장치의 SCDC 레지스터에 억세스한다.
165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억세스한 SCDC 레지스터에서 중간장치의 DSC 압축기능의 지원 여부를 판단한다.
중간장치가 DSC 압축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166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억세스한 SCDC 레지스터에서 중간장치의 FRL 기능의 지원 여부를 판단한다.
중간장치가 FRL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167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EDID에 따라서 8K급 영상의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에 출력한다.
반면에, 1670 단계에서 중간장치가 eARC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1650 단계에서 중간장치가 DSC 압축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1630 단계에서 EDID가 8K급 영상을 지원하도록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1680 단계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EDID에 따른 화질보다 낮은 영상, 예를 들면 4K급의 영상의 컨텐트신호를 중간장치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DSC 및 FRL의 두 가지의 기준이 함께 고려되었으나, 셋 이상의 기준이 함께 고려될 수도 있다. 만일 시스템 부하를 고려하더라도 정확한 판단이 요구된다면, 소스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다섯 가지 기준을 모두 고려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복수의 기준에 우선순위가 사전에 설정되면, 소스 디바이스는 사전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각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소스 디바이스는 복수의 기준 중에서, 장치 또는 사용환경에 적합한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FRL 기능, DSC 압축 기능, 유효한 값을 가진 EDID 블록 개수, 전력전송 기능, eARC 기능 등의 기준이 있다고 할 때,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 및 중간장치 사이의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HDMI라고 식별되면, FRL 기능, DSC 압축 기능, eARC 기능을 기준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소스 디바이스는 해당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DisplayPort라고 식별되면, DSC 압축 기능, 유효한 값을 가진 EDID 블록 개수를 기준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소스 디바이스는 복수의 기준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마련된 UI를 표시하고, UI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기준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소스 디바이스는 서버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기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기준을 선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동작은,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실행되거나, AI(Artificial Intelligence)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HDMI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은 DP, 썬더볼트(Thunderbolt) 등 여러 가지의 유선/무선 규격이 있으며,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HDMI가 아닌 경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DSC 압축기능은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DP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소스 디바이스는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 DP인 경우에, DSC의 지원 여부에 대응하여 출력 영상의 화질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상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치의 동작은, 해당 장치에 탑재된 인공지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공지능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제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인간 수준 내지는 인간 수준에 버금가는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기계, 장치 또는 시스템이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사용 경험의 누적에 기반하여 인식률 및 판단 정확도가 향상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하고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계학습(deep-running) 기술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의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요소 기술들은, 예를 들면 인간의 언어와 문자를 인식하는 언어적 이해 기술,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는 시각적 이해 기술,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추론 및 예측 기술,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처리하는 지식 표현 기술, 차량의 자율 주행이나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기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언어적인 이해는 인간의 언어 또는 문자를 인식하고 응용 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의 처리, 기계 번역, 대화 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 및 합성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 및 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데이터의 생성 및 분류와 같은 지식 구축, 데이터의 활용과 같은 지식 관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210 : 소스 디바이스
220 : 중간장치
230 : 싱크 디바이스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장치와 접속되게 마련된 신호출력회로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제1영상포맷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을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상기 신호출력회로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과 상이한 제2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상기 신호출력회로를 통해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장치의 레지스터 및 기 정의된 기능에 관한 링크 트레이닝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의 상기 기 정의된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링크 트레이닝은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수행되고,
    기 정의된 값을 포함하는 상기 레지스터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트레이닝 신호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기 정의된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출력회로 및 상기 외부장치 사이의 소정 신호라인이 컨텐트신호의 데이터가 아닌 클럭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하지 않는다고 식별하며, 상기 신호라인이 상기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회로가 상기 외부장치에 HDMI 2.1 및 그 이후의 버전을 기반으로 접속될 때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고, HDMI 2.1 이전의 버전을 기반으로 접속될 때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지 않는 전자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실시간으로 압축되어 전달되는 영상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처리하는 모드를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정보는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블록 중에서 null 값이 아닌 블록의 개수가 문턱값 이상이라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EDID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EDID에서 null 값이 아닌 블록의 개수가 3개 이상이라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출력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와 전력전송을 수행하는 모드를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텐트신호에서 오디오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다시 전송하는 모드를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포맷은 8K급 해상도에 대응하고, 상기 제2영상포맷은 상기 8K급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에 대응하는 전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회로는 HDMI 규격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트신호를 출력하게 마련된 전자장치.
  12.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제1영상포맷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전송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을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과 상이한 제2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장치의 레지스터 및 기 정의된 기능에 관한 링크 트레이닝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의 상기 기 정의된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링크 트레이닝은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수행되고,
    기 정의된 값을 포함하는 상기 레지스터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트레이닝 신호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기 정의된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식별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사이의 소정 신호라인이 컨텐트신호의 데이터가 아닌 클럭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하지 않는다고 식별하며, 상기 신호라인이 상기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외부장치에 HDMI 2.1 및 그 이후의 버전을 기반으로 접속될 때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고, HDMI 2.1 이전의 버전을 기반으로 접속될 때 상기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지 않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압축되어 전달되는 영상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처리하는 모드를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정보는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블록 중에서 null 값이 아닌 블록의 개수가 문턱값 이상이라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EDID를 포함하며,
    상기 EDID에서 null 값이 아닌 블록의 개수가 3개 이상이라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와 접속되게 마련된 신호출력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와 전력전송을 수행하는 모드를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텐트신호에서 오디오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다시 전송하는 모드를 상기 외부장치가 지원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영상포맷의 컨텐트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058244A 2019-05-17 2019-05-17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99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244A KR102599365B1 (ko) 2019-05-17 2019-05-17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6/829,430 US11158284B2 (en) 2019-05-17 2020-03-25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20/004222 WO2020235800A1 (en) 2019-05-17 2020-03-27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0166837.3A EP3739893A1 (en) 2019-05-17 2020-03-30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0068136A JP7110272B2 (ja) 2019-05-17 2020-04-06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2010412087.9A CN111954061B (zh) 2019-05-17 2020-05-15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17/501,070 US11694650B2 (en) 2019-05-17 2021-10-14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244A KR102599365B1 (ko) 2019-05-17 2019-05-17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541A KR20200132541A (ko) 2020-11-25
KR102599365B1 true KR102599365B1 (ko) 2023-11-08

Family

ID=7010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244A KR102599365B1 (ko) 2019-05-17 2019-05-17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158284B2 (ko)
EP (1) EP3739893A1 (ko)
JP (1) JP7110272B2 (ko)
KR (1) KR102599365B1 (ko)
CN (1) CN111954061B (ko)
WO (1) WO2020235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365B1 (ko) 2019-05-17 2023-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614281A (zh) * 2020-12-08 2022-06-10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电连接器
US11159785B1 (en) 2021-01-13 2021-10-26 Google Llc Testing platform for HDMI enhanced audio return channel
CN114302196B (zh) * 2021-01-14 2023-05-05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外接设备及播放参数调整方法
US11895359B2 (en) * 2021-04-13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20146166A (ko) * 2021-04-23 2022-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7242781A (zh) 2021-04-23 2023-12-15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TWI783695B (zh) * 2021-09-24 2022-11-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切換影音接收介面的方法與電路系統
CN115967783A (zh) * 2021-10-08 2023-04-14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切换影音接收接口的方法与电路系统
CN113965713B (zh) * 2021-12-22 2022-04-12 长芯盛(武汉)科技有限公司 一种支持高速信号链路训练的hdmi有源线缆
US11995025B2 (en) 2021-12-22 2024-05-28 Everpro Technologies Company Ltd Active cable supporting high-speed signal link training
KR20240029322A (ko) * 2022-08-26 202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싱크 장치, 소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78704A1 (en) * 2015-06-26 2016-12-29 Intel Corporation Dynamically configure connection modes on a system based on host device capabilities
US20170236489A1 (en) * 2016-02-16 2017-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331617A1 (en) * 2007-07-27 2017-11-16 Ali Corporation Packaged circuit
US20180288106A1 (en) * 2017-04-04 2018-10-04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Transmitting common mode control data over audio return channe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7658B2 (en) * 2003-01-21 2011-03-29 Emulex Design And Manufacturing Corporation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 initialization in a shared I/O environment
JP4753880B2 (ja) 2004-11-25 2011-08-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ピータ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80046858A (ko) * 2006-11-23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싱크 기기, 미이어 소스 기기 및 미디어 싱크기기의 제어 방법
KR101369390B1 (ko) 2007-04-16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Av 입력신호 판단기능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및 그 방법
CN101369390B (zh) 2007-08-15 2010-05-19 武建华 电表的铅封结构
JP2009071587A (ja) * 2007-09-13 2009-04-02 Panasonic Corp 映像音声送信装置及び映像音声送信方法
JP2012039476A (ja) 2010-08-09 2012-02-23 Sony Corp 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方法
JP2015115670A (ja) 2013-12-09 2015-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送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078739A1 (en) * 2014-03-12 2017-03-16 Lg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hdmi
JP6254297B2 (ja) 2014-03-24 2017-12-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Hdmi(登録商標)を使用したデータ送受信機器及び方法
KR20170130361A (ko) 2015-03-23 201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Hdmi 를 사용하여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102276855B1 (ko) 2015-04-13 202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3306946B1 (en) 2015-06-04 2020-0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using hdmi and apparatus therefor
KR102463418B1 (ko) 2016-01-06 2022-11-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콘텐츠 제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시스템
US11363282B1 (en) * 2016-09-07 2022-06-14 Quantum Radiu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ow latency distributed image compression and composition
KR102646030B1 (ko) 2016-12-15 202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제공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영상제공시스템
JP6680323B2 (ja) * 2018-09-06 2020-04-1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99365B1 (ko) 2019-05-17 2023-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31617A1 (en) * 2007-07-27 2017-11-16 Ali Corporation Packaged circuit
US20160378704A1 (en) * 2015-06-26 2016-12-29 Intel Corporation Dynamically configure connection modes on a system based on host device capabilities
US20170236489A1 (en) * 2016-02-16 2017-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288106A1 (en) * 2017-04-04 2018-10-04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Transmitting common mode control data over audio return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5800A1 (en) 2020-11-26
US11158284B2 (en) 2021-10-26
US11694650B2 (en) 2023-07-04
EP3739893A1 (en) 2020-11-18
CN111954061A (zh) 2020-11-17
JP7110272B2 (ja) 2022-08-01
US20200365112A1 (en) 2020-11-19
US20220036854A1 (en) 2022-02-03
JP2020191626A (ja) 2020-11-26
KR20200132541A (ko) 2020-11-25
CN111954061B (zh)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9365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31933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998094B (zh) 通信设备和控制方法
US8717503B2 (en) Audio output device connectable with plurality of devic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3533283A (zh) 发送设备、发送方法、接收设备以及接收方法
US1151654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818499B2 (en) Recep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reception device, an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JP3112392U (ja) Hdtv
KR2018003368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파워 제어 방법
KR20140098545A (ko) 싱크 장치, 소스 장치, 기능 블록 제어 시스템, 싱크 장치 제어 방법, 소스 장치 제어 방법 및 기능 블록 제어 방법
KR201900567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영상 제공 장치
US20180167577A1 (en) Display apparatus presenting status of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10242426A1 (en) Audio/video apparatus and signal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163238A (ja) 表示装置及び情報書換方法
KR20210034946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20329465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10181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0421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US20240073355A1 (en) Sink device, sourc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68833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40114207A1 (en) Media docking device and media transfer method
KR10085096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를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1631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00735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29322A (ko) 싱크 장치, 소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