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320A -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320A
KR20180101320A KR1020187011534A KR20187011534A KR20180101320A KR 20180101320 A KR20180101320 A KR 20180101320A KR 1020187011534 A KR1020187011534 A KR 1020187011534A KR 20187011534 A KR20187011534 A KR 20187011534A KR 20180101320 A KR20180101320 A KR 20180101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heath
proximal
conductiv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8073B1 (ko
Inventor
히로카즈 가마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ublication of KR20180101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07Loop
    • A61B2018/141Sna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4Wi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네어의 선단부에 나이프부를 설치한 처치구에 있어서, 나이프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는, 시스(5)와, 해당 시스(5) 내에 배치되어 있는 선상물(4)과, 시스(5)의 원근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1 와이어부(2A) 및 제2 와이어부(2B)를 갖고 있고, 제1 와이어부(2A)의 근위 단부와 제2 와이어부(2B)의 근위 단부가 선상물(4)에 고정되어 있는 도전성 와이어(2)와, 제1 와이어부(2A)의 원위 단부와, 제2 와이어부(2B)의 원위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도전성 선단 칩(1)을 구비하고, 시스(5)는 근위측으로부터, 대경부, 대경부보다 내경이 작은 소경부를 갖고, 제1 와이어부(2A)와 제2 와이어부(2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소경부에 있어서 시스(5)의 내벽과 접해 있다.

Description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본 발명은 내시경을 경유하여 생체 내에 도입되는 고주파 처치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이며, 와이어상의 절단부를 구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체 내에 삽입하고, 선단에 대물 렌즈나 조명 렌즈를 구비하고, 체강 내를 관찰하면서, 손잡이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통과하는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을 경유하여 체강 내에서 처치를 행하는 처치구를 도입하는 내시경이 있다. 이러한 내시경을 사용한 처치로서 ESD(내시경적 점막하층 박리술)나, EMR(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이 알려져 있다.
내시경을 통하여 사용하는 처치구에는 나이프나 스네어가 있다. 나이프는 체강 표면을 절개하기 위한 것이다. 미세한 절제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나이프는 시스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손잡이측의 조작부에 의한 조작을 확실하게 전달할 필요가 있다. 스네어는, 루프상의 와이어를 구비하고, 체강 표면의 융기부를 루프로 둘러싸고, 루프 직경을 작게 하여 융기부의 근원을 조여 절제하기 위한 것이다. 스네어의 루프 와이어는, 병변부의 근원 부분을 잡아 조여 교액하기 위해, 루프 와이어가 시스로부터 출납 가능하고, 루프 와이어는 탄성 변형 가능한 와이어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어느 처치구라도, 손잡이측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고, 전류를 발생시켜 체강 표면을 절제, 소작하거나 하는 고주파 처치구로서 사용된다.
내시경을 통하여 사용하는 나이프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고주파 처치구가 있다. 이 나이프는, 시스와, 시스 내부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단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는 침상의 전극을 구비한다. 이 나이프는 침상 전극을 포함하는 나이프의 돌출량을 규제하고, 절개의 처치가 행해지는 나이프 부위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스 내에 나이프의 외경보다 큰 구멍 직경을 갖는 경질 통체를 설치하고, 나이프의 손잡이측의 개소에 복수의 스토퍼 돌기를 형성하고 있다. 경질 통체와 스토퍼 돌기가 면 접촉함으로써, 시스의 선단면으로부터의 나이프의 돌출 길이를 규제하고, 나이프를 시스의 장축 중심 상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내시경을 통하여 사용하는 스네어로서,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고주파 스네어가 있다. 이 스네어는, 시스와, 시스 내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 관통 배치된 도전성의 루프 와이어를 구비한다. 이 스네어는 병변부의 밑 부분을 고주파 전류로 중심 부분까지 출혈없이 확실하게 소작 교단(絞斷)하기 위해, 시스 선단에 선단 전극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스네어는 루프 와이어 선단의 굽힘 복귀 부분에 대한 응력 집중의 정도를 작게 하기 위해, 루프 와이어의 선단에 선단 칩을 통과시키고 있다.
나이프는 ESD(내시경적 점막하층 박리술)에 사용된다. ESD는 경내시경적으로 소화기의 병변부를 서서히 박리시켜 가는 기술로 병변부를 미세하게 절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처치에 시간이 걸리고, 시술자의 기술도 요구된다. 스네어는 EMR(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에 사용된다. EMR은 경내시경적으로 병변부를 루프로 둘러싸고, 잡아 조임으로써 절제하는 기술로 광범위를 용이하게 절제할 수 있다. 그러나, 겨냥한 개소만을 정확하게 절제하기가 곤란하고, 사용할 수 있는 병변부의 형상도 한정된다.
그래서, 우선 나이프를 사용하여 겨냥한 병변부의 주위를 절개하여 소량 박리시키고, 일단 나이프를 내시경으로부터 빼낸 후, 스네어로 교환하고, 나이프로 박리된 개소에 스네어의 루프를 대고, 병변부를 잡아 조임으로써, 병변부의 절제의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기술의 시간의 단축을 꾀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 사용하기 위한 처치구로서, 스네어의 루프 와이어의 선단에 첨두부를 설치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시스와, 시스 내에 넣어졌을 때에는 탄성 변형되어 오므라드는 스네어 루프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고주파 스네어가 개시되어 있다. 이 스네어는, 이 스네어 루프의 선단 부분에, 와이어의 선단 부분이 관통하는 상태로 전기 절연성의 선단 칩을 고정적으로 설치하여, 와이어를 선단 칩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그 돌출 부분을 막대상 선단 전극으로 한다. 이 스네어의 막대상 선단 전극은 나이프로서 사용할 수 있다. 나이프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네어 루프를, 선단 부분을 남기고 시스 내에 넣고, 선단 부분만을 시스로부터 돌출시켜 절개용 나이프로서 사용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4439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34704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31100호 공보
나이프를 사용하여 ESD를 행하는 경우에는, 병변부를 미세하게 절제하기 위해, 기술 중에 나이프 선단이 흔들리지 않는 구조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손잡이의 조작부의 움직임을 확실하게 선단의 조작부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선단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처치구를 병변부까지 반송하는 동안에 부주의하게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나, 체강 내를 상처 입히지 않도록, 처치 시 이외에는 통전, 비통전에 상관없이 처치부는 시스 내에 유지되고, 처치 시에 시스 선단으로부터 돌출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네어의 선단에 나이프부를 설치한 처치구를 나이프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나이프의 손잡이측은 탄성 변형 가능한 와이어로 구성시키는 스네어일 것, 나이프부에서 절개 후에 스네어 루프를 전개하고, 병변부를 교액하는 것을 고려하여, 나이프부가 시스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고주파 나이프에서는, 나이프를 시스 선단에 고정하기 위해, 시스에 경질 통체를 설치하고, 나이프에 스토퍼 돌기를 형성하고 있다. 경질 통체와 스토퍼의 면 접촉에 의해 나이프가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 처치구의 부품 개수가 늘어나게 된다. 또한, 나이프는 경질 통체와 스토퍼의 면 접촉에 의해 완전히 고정되기 때문에, 시스 선단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된 후에는, 그 이상 나이프를 돌출시킬 수는 없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고주파 스네어는, 선단 전극을 나이프로서 사용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선단 전극의 고정 기구에 대하여 개시가 없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되는 고주파 스네어에서는, 선단 나이프부는 선단 칩과 시스 선단의 접촉에 의해 고정된다. 전기 절연성의 선단 칩은, 시스 선단면보다 선단측의 스네어 루프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단 나이프부를 사용하여 체강 내에서 처치를 행하는 경우에는, 시스 선단면과 선단 칩이 접촉하기 때문에 나이프부가 시스 내부에 끌려 들어가는 일이 없이, 나이프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처치구를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할 때나, 체강 내의 비처치부에 처치구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나이프부가 항상 시스로부터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비통전 시라도 주위를 상처 입힐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들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스네어의 선단부에 나이프부를 설치한 처치구에 있어서, 나이프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는, 시스와, 해당 시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선상물과, 시스의 원근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1 와이어부 및 제2 와이어부를 갖고 있고, 제1 와이어부의 근위 단부와 제2 와이어부의 근위 단부가 선상물에 고정되어 있는 도전성 와이어와, 제1 와이어부의 원위 단부와 제2 와이어부의 원위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도전성 선단 칩을 구비하고, 시스는 근위측으로부터, 대경부, 대경부보다 내경이 작은 소경부를 갖고, 제1 와이어부와 제2 와이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소경부에 있어서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1 와이어부와 제2 와이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소경부에 있어서 시스의 내벽과 접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전성 선단 칩을 시스 선단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도전성 선단 칩만을 시스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소경부는, 내경이 일정하지 않은 근위부를 갖고, 제1 와이어부와 제2 와이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근위부에 있어서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전성 선단 칩을 시스 선단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도전성 선단 칩만을 시스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근위부는, 소경부의 최근위측에 배치되어 있고, 대경부에 연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전성 와이어가 근위부에서 시스 내벽과 접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도전성 와이어를 한층 더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 와이어부의 적어도 1개소가 소경부에 있어서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고, 제2 와이어부의 적어도 1개소가 소경부에 있어서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전성 선단 칩이 시스 선단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소경부는, 내경이 일정하지 않은 근위부를 갖고, 제1 와이어부의 적어도 1개소가 근위부에 있어서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고, 제2 와이어부의 적어도 1개소가 근위부에 있어서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전성 선단 칩을 시스 선단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전성 와이어는, 제1 와이어부에 제1 굴곡부를 갖고, 제2 와이어부에 제2 굴곡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처치구의 스네어의 형상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함과 함께, 도전성 선단 칩을 확실하게 돌출시키고, 또한 시스 선단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1 굴곡부와 제2 굴곡부가 소경부에 있어서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와이어를 시스의 소경부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소경부는, 내경이 일정하지 않은 근위부를 갖고, 제1 굴곡부와 제2 굴곡부가, 근위부에 있어서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와이어를 시스의 근위부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전성 와이어는, 제1 와이어부이며 제1 굴곡부보다 근위측에 제3 굴곡부와, 제2 와이어부이며 제2 굴곡부보다 근위측에 제4 굴곡부를 갖고 있으며, 제3 굴곡부와 제4 굴곡부는 서로 면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전성 와이어를 시스 내에 수납할 때, 와이어의 비틀림을 저감할 수 있고, 도전성 선단 칩의 고정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는 일이 없다.
도전성 선단 칩은 개구부를 갖고, 해당 개구부 내에 도전성 와이어의 일부가 위치함으로써 도전성 선단 칩과 도전성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전성 칩과 도전성 와이어가 효율적으로 연결된다.
도전성 와이어는, 원위 단부에 있어서 제1 와이어부와 제2 와이어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전성 와이어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전성 와이어는, 원위 단부에 굴곡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와이어에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처치구의 스네어의 형상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함과 함께, 도전성 선단 칩을 확실하게 돌출시키고, 또한 시스 선단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1 와이어부와 제2 와이어부가 별도 부재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스네어의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네어 선단에 나이프부로서의 도전성 선단 칩이 설치된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의 도전성 선단 칩을 시스 선단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처치구를 나이프로서 사용할 때에는 도전성 선단 칩만을 시스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의 선단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의 선단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의 선단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의 선단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의 선단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는,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되고, 체강 내의 마킹, 절개, 교액 등의 처치나, ESD, EMR 등의 시술에 사용되는 것이다. 고주파 처치구는 원위측에 나이프부와 스네어부를 갖는다. 고주파 처치구를 나이프로서 사용할 때에는, 선단의 나이프부만을 시스 선단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돌출시킬 수 있고, 스네어로서 사용할 때에는, 스네어부로서 예를 들어 루프상으로 형성된 도전성 와이어를 시스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를 간단히 「처치구」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는, 시스(5)와, 해당 시스(5) 내에 배치되어 있는 선상물(4)과, 시스(5)의 원근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1 와이어부(2A) 및 제2 와이어부(2B)를 갖고 있으며, 제1 와이어부(2A)의 근위 단부와 제2 와이어부(2B)의 근위 단부가 선상물(4)에 고정되어 있는 도전성 와이어(2)와, 제1 와이어부(2A)의 원위 단부와 제2 와이어부(2B)의 원위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도전성 선단 칩(1)을 구비한다. 시스(5)는, 근위측으로부터 대경부(53), 대경부(53)보다 내경이 작은 소경부(51)를 갖고, 제1 와이어부(2A)와 제2 와이어부(2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소경부(51)에 있어서 시스(5)의 내벽과 접해 있다. 이와 같이, 제1 와이어부(2A)와 제2 와이어부(2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소경부(51)에 있어서 시스(5)의 내벽과 접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전성 선단 칩(1)을 시스(5)의 선단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도전성 선단 칩(1)만을 시스(5)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원위측이란 내시경의 체강 내에 삽입되는 선단측이고, 근위측이란 이것과는 반대측이며, 내시경이나 처치구의 조작을 행하는 손잡이측을 말한다. 또한, 「길이」란 특기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스(5)의 원근 방향(시스(5)의 장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가리킨다. 이하에서는 「도전성 와이어」를 「와이어」, 「도전성 선단 칩」을 「선단 칩」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와이어부(2A) 및 제2 와이어부(2B)의 근위 단부는, 근위단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근위단으로부터 30mm 이내의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m 이내의 부분이다. 또한, 제1 와이어부(2A) 및 제2 와이어부(2B)의 원위 단부는, 예를 들어 원위단을 포함하고, 원위단으로부터 30mm 이내의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m 이내의 부분이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의 시스(5)는, 내부에 선상물(4)이나 도전성 와이어(2)를 수납 가능한 긴 중공 부재이다. 시스(5)의 내표면은, 시스(5)의 내부에 수납되는 도전성 와이어(2)와 접촉하고, 상기 도전성 와이어(2)를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표면성과 강도를 갖는다. 또한, 시스(5)는,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를 삽입 관통 가능한 표면 미끄럼성과,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강의 형상을 따라 굴곡되는 가요성과, 처치 대상 조직까지 확실하게 도달하는 강성을 밸런스 좋게 겸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5)로서는, 예를 들어 코일상의 금속이나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통체나, 단통상의 관절구를 장축 방향으로 복수 연결하여 회동 가능하게 한 통체, 합성 수지로 형성된 통체가 사용된다. 시스(5)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의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등의 불소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시스(5)의 길이는, 병용하는 내시경의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1650mm 내지 2300mm인 경우가 많다. 시스(5)의 외경은 1.8mm 내지 3.5mm, 시스(5)의 내경은 1.2mm 내지 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5)의 가요성이나 강성은, 시스(5)의 재료뿐만 아니라 두께에 의해서도 제어할 수 있다. 시스(5)의 두께는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선택할 수 있지만, 시스(5)의 재료를 불소 수지로 한 경우에는, 편측 0.2mm 이상의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5)의 외경 및 내경은 일정해도 되고, 테이퍼상이거나 복수의 직경 변화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시스(5)의 원위측의 내경은, 근위측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시스(5)의 원위측의 소경부(51)의 내경은 1.9mm 내지 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경부(53)와 소경부(51)의 내경차는 0.2mm 내지 0.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 원위측의 내경은, 지나치게 작으면 스네어부로서의 도전성 와이어(2)를 시스(5)로부터 돌출시킬 때 필요한 힘이 지나치게 커지고, 지나치게 크면 근위측의 내경과의 내경차를 설정하기가 어려워지고, 나이프부로서의 선단 칩(1)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가 어려워진다.
시스(5)의 소경부(51)는, 내경이 일정하지 않은 근위부(52)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와이어부(2A)와 제2 와이어부(2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근위부(52)에 있어서 시스(5)의 내벽과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2)가 시스 내에 끌려 들어갔을 때, 제1 와이어부(2A)나 제2 와이어부(2B)가 근위부(52)에서 시스(5)의 내벽에 접촉함으로써, 도전성 선단 칩(1)을 시스(5)의 선단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도전성 선단 칩(1)만을 시스(5)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소경부(51)는, 내경이 일정하지 않은 근위부(52)를 갖고, 제1 와이어부(2A)의 적어도 1개소가 근위부(52)에 있어서 시스(5)의 내벽과 접해 있고, 제2 와이어부(2B)의 적어도 1개소가 근위부(52)에 있어서 시스(5)의 내벽과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전성 선단 칩(1)을 시스(5)의 선단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시스(5)의 근위부(52)는, 시스(5)의 원근 방향의 중심보다 원위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위부(52)에 있어서, 시스(5)의 내강이, 내경이 점점 변화하는 테이퍼 형상이어도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스(5)는, 근위부(52)에서는 원위측을 향하여 내경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전성 와이어(2)가 시스(5)의 근위부(52)에서 시스(5)의 내벽과 접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도전성 와이어(2)를 시스(5)의 근위부(52)에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근위부(52)의 길이는, 예를 들어 0mm 초과 5.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근위부(52)에 있어서, 시스(5)는 계단상으로 내경이 변화하는 형상을 가져도 된다. 계단상의 형상으로 하는 경우, 대경부(53)에서 소경부(51)에 걸친 2 이상의 단차로 할 수 있다. 근위부(52)의 길이는 0mm 초과 5.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근위부(52)는, 소경부(51)의 최근위측(보다 바람직하게는 최근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근위부(52)가 대경부(53)에 연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전성 와이어(2)가 근위부(52)에서 시스(5)의 내벽과 접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도전성 와이어(2)를 한층 더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시스(5)는, 원위측으로부터 소경부(51)의 근위부(52) 이외의 부분(54), 소경부(51)의 근위부(52), 대경부(53)로 순차적으로 내경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경부(51)보다 원위측에 소경부(51)보다 내경이 큰 부분을 설치해도 된다. 소경부(51)는, 시스(5)의 원위측 개구부인 원위단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길이는, 도전성 선단 칩(1)의 길이나 원하는 나이프 길이에 따라 정할 수 있지만, 1.0mm 내지 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경부(51)의 길이가 매우 작아도 되고, 시스(5)의 내강이 대경부(53)에서 원위측에 걸쳐 끝이 가는 형상이어도 되고, 소경부(51) 전체가 근위부(52)여도 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스(5)의 소경부(51)에는 근위부(52)가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즉, 시스(5)의 내강은 계단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시스(5)의 내강에는 대경부(53)에서 소경부(51)에 걸쳐 1의 단차가 형성된다.
소경부(51), 근위부(52)는 시스 튜브를 수축시켜 형성해도 되고, 상이한 내경의 튜브를 연결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한, 소경부(51), 근위부(52)를 형성하기 위해 별도 부재를 튜브 내에 삽입해도 된다.
선상물(4)은, 시스(5) 내에 배치되어 있는 긴 물체이다. 선상물(4)은, 조작부와 도전성 와이어(2)를 접속하여, 도전성 와이어(2)를 시스(5)의 내외로 이동시키거나, 조작부측의 회전 조작을 도전성 와이어(2)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전성 와이어(2)의 이동에 수반하여, 선상물(4)이 시스(5) 밖으로 이동해도 된다. 시스(5) 내에 수납되는 선상물(4)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상물(4)의 탄성은,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의 변형에 추종하는 시스(5)를 따라 형상이 변화하는 정도의 탄성이면 충분하다. 선상물(4)의 구성 재료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Ni-Ti계 합금 등의 초탄성 합금이나, SUS303, SUS304 등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선상물(4)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의 부재를 선상물(4)의 장축 방향의 도중에서 접합하거나 해도 된다. 도중에 접합하는 경우에는, 선재간을 통상의 접합 방법으로 접합하면 된다. 접합 방법은, 예를 들어 금속관으로 코오킹하여 결합하거나, 용접, 용착이나 접착 등의 방법이 있다. 선상물(4)은 단선이어도 되고, 선재를 서로 꼰 연선이어도 된다. 단선이면, 선상물(4)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연선이면, 선상물(4)의 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조작부측의 회전 등의 조작을 보다 확실하게 선단부에 전달할 수 있다. 선상물(4)의 길이는,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보다 긴 것이 필요하다.
도전성 와이어(2)는 원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긴 물체이며, 적어도 그 일부를 시스(5)의 원위측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처치구의 스네어로서 사용된다. 도전성 와이어(2)는, 시스(5)의 원근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1 와이어부(2A) 및 제2 와이어부(2B)를 갖고 있으며, 제1 와이어부(2A)의 근위 단부와 제2 와이어부(2B)의 근위 단부가 선상물(4)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와이어부(2A)의 적어도 1개소가 소경부(51)에 있어서 시스(5)의 내벽과 접해 있고, 제2 와이어부(2B)의 적어도 1개소가 소경부(51)에 있어서 시스(5)의 내벽과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전성 선단 칩(1)이 시스(5)의 선단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도전성 와이어(2)는, 제1 와이어부(2A)와 제2 와이어부(2B)가, 시스(5)의 원근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전성 와이어(2)는, 원위 단부에 있어서 제1 와이어부(2A)와 제2 와이어부(2B)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전성 와이어(2)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와이어(2)는, 제1 와이어부(2A)와 제2 와이어부(2B)가 별도 부재여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와이어부(2A)와 제2 와이어부(2B)를 구성하는 재료를 상이하게 하여 스네어의 형상을 복잡하게 하는 등, 스네어의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선상물(4)에 고정되는 도전성 와이어(2)는, 도전성이 있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와이어(2)의 탄성은, 시스(5)의 소경부(51)를 경유하여 시스(5)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후에, 스네어로서 사용할 것이 예정되는, 예를 들어 루프상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정도일 필요가 있다. 또한, 적절하게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와이어(2)는 굽힘 가공이 용이한 재료가 바람직하다. 도전성 와이어(2)의 재료는, Ni-Ti계 합금 등의 초탄성 합금이나, SUS303, SUS304 등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와이어(2)의 길이나 직경은 스네어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전성 와이어(2)의 길이는 60mm 내지 2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 선상물(4)과의 접속 부분의 길이는 2mm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와이어(2)의 직경은 0.2mm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상물(4)과 도전성 와이어(2)의 접속은, 통상의 접합 방법으로 접합할 수 있으며, 직접 접속해도 되고 부재를 통하여 접속해도 된다. 접합 방법은, 예를 들어 금속관으로 코오킹하여 결합하거나, 용접, 용착이나 접착 등의 방법이 있다.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 와이어(2)의 양단을 선상물(4)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금속관을 통하여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와이어(2)의 형상은 루프상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양단이 선상물(4)의 원위단에 고정된 루프상이 바람직하다. 루프상은, 예를 들어 나이프부를 포함하는 스네어부가 폐쇄된 형상인 것을 말하며, 원 형상, 타원 형상, 다각 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와이어(2)의 도중을 접거나, 구부리거나 하여, 후술하는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와이어(2)의 일부는, 시스(5)의 소경부(51)에 접하기 때문에, 도전성 와이어(2)에 연결된 도전성 선단 칩(1)을 시스(5)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전성 와이어(2)의 원위단측에서 시스(5)에 접하는 개소는, 도전성 선단 칩(1)을 중심으로 일단측과 타단측의 1개소씩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 칩(1)을 시스(5)로부터 돌출시킬 때, 보다 견고하게 와이어(2)를 시스(5)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와이어(2)의 근위측이나 원위측과 근위측의 사이의 부분에서, 복수 개소가 시스(5)에 접해도 된다. 루프상의 와이어(2)는, 시스(5)의 내경보다 큰 루프 직경을 갖기 때문에, 와이어(2)를 시스(5) 내에서 수납하면, 루프가 절첩되어 와이어(2)의 복수 개소가 시스(5)에 접하게 된다.
선단 칩(1)은 고주파 나이프로서 사용되는 부분이다. 선단 칩(1)은, 제1 와이어부(2A)의 원위 단부와 제2 와이어부(2B)의 원위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선단 칩(1)은 도전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선단 칩(1)은 SUS303, SUS304 등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 칩(1)의 형상은 나이프의 용도에 맞추어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상, 타원구상, 기둥상, 추상이나 이들을 조합한 형상으로 하거나, 선단측을 굴곡시키거나 폭을 넓히거나 할 수 있다. 선단 칩(1)의 시스(5)의 원근 방향의 길이는, 처치구의 용도나, 시스(5)의 선단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2.0mm 내지 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선단 칩(1)은 처치구의 최원위측에 배치된다.
도전성 와이어(2)와 선단 칩(1)의 연결은, 통상의 연결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직접 접속해도 되고 다른 부재를 통하여 접속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금속관으로 코오킹하여 결합하거나, 용접, 용착이나 접착 등의 방법이 있다. 그 중에서도,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 선단 칩(1)은 개구부(11)를 갖고, 해당 개구부(11) 내에 도전성 와이어(2)의 일부가 위치함으로써 도전성 선단 칩(1)과 도전성 와이어(2)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전성 칩과 도전성 와이어(2)가 효율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선단 칩(1)의 근위측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해당 개구부(11) 내에 도전성 와이어(2)의 일부가 위치함으로써 도전성 선단 칩(1)과 도전성 와이어(2)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선단 칩(1)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해당 개구부(11)에 도전성 와이어(2)를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도전성 와이어(2)와 선단 칩(1)을 연결하는 방법은, 와이어(2)가 원위 단부에 있어서, 제1 와이어부(2A)와 제2 와이어부(2B)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개구부(11)는, 선단 칩(1)에 관통 구멍이나 오목부를 형성하거나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단 칩(1)은 도전성 와이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해도 되고, 와이어(2)의 장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해도 되고, 완전히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와이어(2)의 장축 방향이란, 와이어(2)를 따른 방향을 말한다. 선단 칩(1)이 와이어(2)의 장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이란, 와이어(2)가 양단을 선상물(4)에 고정한 원 형상인 경우, 선단 칩(1)이 그 원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말한다. 또한, 도전성 와이어(2)의 제1 와이어부(2A)와 제2 와이어부(2B)가 별도 부재인 경우, 도전성 와이어(2)와 선단 칩(1)은 용접, 용착, 접착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 칩(1)의 개구부(11)의 깊이 방향이, 시스(5)의 원근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고, 시스(5)의 원근 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전성 와이어(2)보다 원위측에 선단 칩(1)을 배치할 수 있다.
스네어로서 사용하는 와이어(2)와, 나이프로서 사용하는 선단 칩(1)을 모두 도전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처치구를 스네어로서 사용할 때, 와이어(2)의 원위측에 비도전성의 개소 없이 효율적으로 교액, 소작을 행할 수 있다.
와이어(2)에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병변부의 크기나 형상, 기술의 종류에 따라 스네어의 형상을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음과 함께, 도전성 선단 칩(1)을 확실하게 돌출시키고, 또한 시스(5)의 선단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굴곡부는, 예를 들어 와이어(2)를 절곡하거나, 2 이상의 와이어(2)를 각도를 두고 접합함으로써 형성된다. 굴곡부는 하나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굴곡부는 꺾은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와이어(2)는, 제1 와이어부(2A)에 제1 굴곡부(22)를 갖고, 제2 와이어부(2B)에 제2 굴곡부(23)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와이어(2)에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처치구의 스네어의 형상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함과 함께, 도전성 선단 칩(1)을 확실하게 돌출시키고, 또한 시스(5)의 선단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는, 와이어(2)의 원근 방향의 중심보다 원위측에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2)가 시스(5)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가 소경부(51)에 있어서 시스(5)의 내벽과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와이어(2)를 시스(5)의 소경부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소경부(51)는, 내경이 일정하지 않은 근위부(52)를 갖고,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가 근위부(52)에 있어서 시스(5)의 내벽과 접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와이어(2)를 시스(5)의 근위부(52)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와이어(2)가 시스(5) 밖으로 노출될 때,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는, 시스(5)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와이어부(2A)에서는 제1 굴곡부(22)보다 근위측, 제2 와이어부(2B)에서는 제2 굴곡부(23)보다 근위측에 있어서, 와이어(2)가 각각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기 쉬워지고, 시스(5)의 원근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스네어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굴곡부가 시스(5)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볼록이란, 시스(5)의 내측을 향하여 굴곡부의 볼록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와이어(2)가 시스(5)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볼록이란, 와이어(2)가 외측으로 부풀어 올라 퍼진 루프상인 것을 말한다.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의 축 방향 위치는 스네어의 형상에 맞추어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와이어(2)의 원위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가 모두 원위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시스(5)의 원근 방향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스네어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다.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는 서로 면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도전성 와이어(2)를 시스(5) 내에 수납할 때, 와이어(2)의 비틀림을 저감할 수 있고, 도전성 선단 칩(1)의 고정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는 일이 없다. 또한,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는, 시스(5)의 원근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는, 시스(5)의 원근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는 근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굴곡부(22)부터 제2 굴곡부(23)까지가 하나의 와이어(2)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와이어(2)의 연장 방향(와이어(2)의 장축 방향)에 있어서, 제1 굴곡부(22)부터 제2 굴곡부(23)까지의 길이는, 도전성 선단 칩(1)의 길이의 1배 이상 3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네어의 다른 부분의 형상에 영향을 주지 않고, 스네어의 형상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전성 와이어(2)는, 제1 와이어부(2A)이며 제1 굴곡부(22)보다 근위측에 제3 굴곡부(24)와, 제2 와이어부(2B)이며 제2 굴곡부(23)보다 근위측에 제4 굴곡부(25)를 가져도 된다. 또한, 제3 굴곡부(24) 및 제4 굴곡부(25)를 형성함으로써, 도전성 와이어(2)를 시스(5) 내에 수납할 때 와이어(2)의 비틀림을 저감할 수 있고, 시스(5) 내에 수납됨으로써 발생하는 와이어(2)의 변형으로부터 발생하는 와이어(2)로부터 시스(5)에 대한 압박력을 제어하고, 시스(5)의 소경부(51) 또는 근위부(52)와 와이어(2)의 접촉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3 굴곡부(24)와 제4 굴곡부(25)의 축 방향 위치는, 스네어의 형상에 맞추어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제3 굴곡부(24)와 제4 굴곡부(25)는 서로 면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전성 와이어(2)를 시스(5) 내에 수납할 때, 와이어(2)의 비틀림을 저감할 수 있고, 도전성 선단 칩(1)의 고정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는 일이 없다. 또한, 제3 굴곡부(24)와 제4 굴곡부(25)는, 시스(5)의 원근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3 굴곡부(24)와 제4 굴곡부(25)는, 시스(5)의 원근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굴곡부(24)와 제4 굴곡부(25)는, 와이어(2)의 원근 방향의 중심보다 근위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와이어(2)의 원근 방향의 중심에 있어서, 시스(5)의 원근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스네어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다.
와이어(2)가 시스(5) 밖으로 노출될 때, 제3 굴곡부(24)와 제4 굴곡부(25)는, 시스(5)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와이어부(2A)에서는 제3 굴곡부(24)보다 원위측, 제2 와이어부(2B)에서는 제4 굴곡부(25)보다 근위측에 있어서, 와이어(2)가 각각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시스(5)의 원근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스네어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제3 굴곡부(24)와 제4 굴곡부(25)와 같이, 굴곡부끼리 접해 있어도 되고, 도 2에 도시하는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와 같이, 굴곡부끼리는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전성 와이어(2)의 제1 굴곡부(22), 제2 굴곡부(23), 제3 굴곡부(24), 제4 굴곡부(25)는, 대략 동일 평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2)의 형상을 보다 단순하게 할 수 있고, 와이어(2)의 비틀림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전성 와이어(2)가, 원위 단부에 있어서 제1 와이어부(2A)와 제2 와이어부(2B)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도전성 와이어(2)는, 원위 단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굴곡부(이하에서는 제5 굴곡부라고 칭함)를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제5 굴곡부는, 제1 굴곡부(22)보다 원위측 또한 제2 굴곡부(23)보다 원위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제5 굴곡부는,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와이어(2)에 제5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처치구의 스네어의 형상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함과 함께, 도전성 선단 칩(1)을 확실하게 돌출시키고, 또한 시스(5)의 선단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5 굴곡부가 하나만 형성되는 경우, 제5 굴곡부는, 원위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5 굴곡부가 복수 형성되는 경우, 제5 굴곡부는, 각각 시스(5)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 칩(1)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해당 개구부(11)에 도전성 와이어(2)를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도전성 와이어(2)와 선단 칩(1)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5 굴곡부가 개구부(11)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선단 칩(1)이 스네어의 최원위에 배치되고, 선단 칩(1)을 시스(5)로부터 돌출시켜 고정하기 쉬워진다. 또한, 선단 칩(1)을 와이어(2)의 최원위측에 배치하고, 그 개구부(11)의 양단에 제1 굴곡부(22) 및 제2 굴곡부(23)를 배치함으로써, 와이어(2)에 대한 선단 칩(1)의 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제5 굴곡부가 복수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제5 굴곡부는, 시스(5)의 원근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제5 굴곡부는, 시스(5)의 원근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선상물(4) 및 시스(5)의 근위측은 조작용 핸들(6)에 각각 접속된다. 조작용 핸들(6)은, 도전성 와이어(2)의 시스(5)로부터의 돌출, 인입 조작, 회전 조작을 행한다. 핸들(6)은, 시스(5)가 고정되는 제1부와, 선상물(4)이 고정되는 제2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부에 대하여 제2부를 밀고 당기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시스(5)의 선단에서 나이프부나 스네어부를 돌출시키거나, 이들을 시스(5)에 수납하거나 할 수 있다. 핸들(6)은 고주파 전원에 접속되고, 선상물(4)을 통하여 도전성 와이어(2) 및 도전성 선단 칩(1)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처치구는,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처치구를 삽입 관통시켜, 체내에 도입하여 사용한다.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나, 체내의 병변부 이외를 상처 입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통전 시라도 선단 칩(1)이나 와이어(2)는 시스(5)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치구가 체강 내의 병변부까지 도입되고, 처치를 행할 때 핸들(6)을 조작하여 시스(5)의 선단으로부터 선단 칩(1)을 돌출시킨다. 이때, 선단 칩(1)보다 근위측의 도전성 와이어(2)가 시스(5)의 소경부(51) 또는 근위부(52)에 접하였음이, 핸들(6)을 통하여 시술자에게 인지된다. 선단 칩(1)은 소경부(51) 또는 근위부(52)를 저항없이 통과하지만, 도전성 와이어(2)는, 소경부(51) 또는 근위부(52)에 맞닿아, 선단 칩(1)이 통과할 때와 동일한 힘으로 압출해도, 시스(5)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선단 칩(1)보다 근위측의 도전성 와이어(2)가 시스(5)의 소경부(51)에 접한 상태에서, 통전시켜 선단 칩(1)을 고주파 나이프로서 처치에 사용한다. 나이프 사용 시에는, 와이어(2)가 시스(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선단 칩(1)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처치 중 통상의 핸들(6)의 조작으로 나이프에 의한 절개, 마킹 등의 처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2)의 제1 굴곡부(22) 및 제2 굴곡부(23)가 시스(5)의 내벽에 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선단 칩(1)과 시스(5)를 보다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처치구를 스네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핸들(6)을 조작하여 시스(5)의 선단으로부터 도전성 와이어(2)를 돌출시킨다. 와이어(2)가 시스(5)의 소경부(51) 또는 근위부(52)를 통과할 때에는, 선단 칩(1)을 시스(5)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킬 때에 비하여 핸들(6)로부터 전달하는 압박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와이어(2)의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가 시스(5)의 소경부(51) 또는 근위부(52)에 접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가 소경부(51) 또는 근위부(52)를 통과한 후에는, 원활하게 와이어(2)를 돌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시스(5)에 와이어(2)를 고정하기 위한 힘이 작용하는 개소는 제1 굴곡부(22)와 제2 굴곡부(23)이기 때문에, 이들 굴곡부가 통과한 후에는 시스(5)에 선단 칩(1)을 고정하기 위한 힘이 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핸들(6)을 조작하여, 교액이 필요한 병변부에 스네어의 루프를 돌려 걸리게 하고, 핸들(6)을 조작하여 스네어를 근위측에 끌어 넣으면서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스네어의 루프가 접하는 병변부가 소작된다. 소작 후에는, 스네어부 및 나이프부를 시스(5) 내에 수납하고, 처치구를 체내에서 빼낸다.
본원은 2016년 1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003997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다. 2016년 1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003997호의 명세서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를 위해 원용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실시예 1의 처치구로서, 도 1에 도시하는 처치구를 제작하였다. 처치구에 있어서, 도전성 선단 칩(1)으로서, 스테인리스이고, 높이가 2.2mm, 일단측의 직경이 0.7mm, 타단측의 직경이 0.4mm인 원기둥체를 사용하였다. 선단 칩(1)의 일단측에 직경 0.5mm의 관통 구멍(11)을 형성하였다. 도전성 와이어(2)로서, 길이 110mm, 직경 0.1mm의 스테인리스의 선재를 7개 서로 꼰 것을 사용하였다. 선상물(4)로서, 직경 0.5mm의 스테인리스의 선재를 5개 서로 꼰 것을 사용하였다.
선단 칩(1)의 관통 구멍(11)에, 와이어(2)를 통하여 연결하였다. 해당 와이어(2)의 양단을 스테인리스의 파이프(3)의 일단으로부터 삽입하고, 파이프(3)를 코오킹하여, 파이프(3)에 와이어(2)를 루프상으로 고정하였다. 파이프(3)를 근위측에 배치하고, 와이어(2)의 최원위에 선단 칩(1)을 배치하였다. 선단 칩(1)과 와이어(2)를 잡고, 루프 면적이 커지도록, 와이어(2)의 제1 와이어부(2A) 및 제2 와이어부(2B)에 대하여, 와이어(2)의 원위단(21)으로부터 5.0mm 근위측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해당 기점보다 근위측의 부분이 시스(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와이어(2)를 절곡하였다. 이에 의해, 제1 와이어부(2A)에 제1 굴곡부(22)를, 제2 와이어부(2B)에 제2 굴곡부(23)를 형성하였다. 이때, 제1 굴곡부(22) 및 제2 굴곡부(23)는 루프의 개방 상태에서 서로 면하여 배치되어 있었다.
또한, 루프 면적이 커지도록, 와이어(2)의 제1 와이어부(2A) 및 제2 와이어부(2B)에 대하여, 파이프(3)로부터 1.0mm 원위측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해당 기점보다 원위측의 부분이 시스(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와이어(2)를 절곡하였다. 이에 의해, 제1 와이어부(2A)에 제3 굴곡부(24)를, 제2 와이어부(2B)에 제4 굴곡부(25)를 형성하였다. 또한, 제3 굴곡부(24) 및 제4 굴곡부(25)는 와이어(2)와 파이프를 고정하기 전에 형성해도 된다. 그 후, 선상물(4)을 파이프(3)의 타단으로부터 삽입하고, 파이프(3)를 코오킹하여, 파이프(3)를 통하여, 와이어(2)를 선상물(4)의 원위측에 고정하였다.
시스(5)로서, 외경 2.5mm, 내경 1.8mm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제의 튜브를 사용하였다. 한쪽 단부를 가열하여 튜브를 수축시키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근위부(52)를 갖는 소경부(51)를 형성하였다. 근위부(52)보다 근위측의 부분을 대경부(53)로 하였다. 대경부(53)의 내경 및 외경은, 상기 튜브와 마찬가지였다. 근위부(52)는 원위단을 향하는 테이퍼상으로 형성하였다. 소경부(51)의 근위부(52) 이외의 부분(54)은 외경 2.0mm, 내경 1.2mm이고, 길이 1.5mm였다. 근위부(52)는 길이 5mm였다.
선상물(4)을 시스(5)의 원위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선상물(4)과 시스(5)를 각각 핸들(6)에 고정하였다. 핸들(6)을 조작함으로써, 시스(5)의 선단으로부터 선단 칩(1), 도전성 와이어(2)를 출납 가능하게 조작할 수 있었다. 처치구를 내시경을 통하여 체내에 도입하고, 선단 칩(1)만을 시스(5)로부터 돌출시켜 안정적으로 병변부를 절개할 수 있었다. 또한, 나이프로 일부 절개한 병변부를, 시스(5)로부터 전체를 돌출시킨 와이어(2)로 교액하고, 소작하여 절제할 수 있었다.
1: 도전성 선단 칩
11: 관통 구멍(개구부)
2: 도전성 와이어
2A: 제1 와이어부
2B: 제2 와이어부
22: 제1 굴곡부
23: 제2 굴곡부
24: 제3 굴곡부
25: 제4 굴곡부
3: 파이프
4: 선상물
5: 시스
51: 소경부
52: 근위부
53: 대경부
54: 소경부의 근위부 이외의 부분
6: 핸들

Claims (13)

  1. 시스와,
    해당 시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선상물과,
    상기 시스의 원근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1 와이어부 및 제2 와이어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1 와이어부의 근위 단부와 제2 와이어부의 근위 단부가 상기 선상물에 고정되어 있는 도전성 와이어와,
    상기 제1 와이어부의 원위 단부와 상기 제2 와이어부의 원위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도전성 선단 칩을 구비하고,
    상기 시스는 근위측으로부터, 대경부, 상기 대경부보다 내경이 작은 소경부를 갖고,
    상기 제1 와이어부와 상기 제2 와이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상기 소경부에 있어서 상기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는, 내경이 일정하지 않은 근위부를 갖고,
    상기 제1 와이어부와 상기 제2 와이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상기 근위부에 있어서 상기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부는, 상기 소경부의 최근위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대경부에 연통되어 있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부의 적어도 1개소가 상기 소경부에 있어서 상기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고,
    상기 제2 와이어부의 적어도 1개소가 상기 소경부에 있어서 상기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는, 내경이 일정하지 않은 근위부를 갖고,
    상기 제1 와이어부의 적어도 1개소가 상기 근위부에 있어서 상기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고,
    상기 제2 와이어부의 적어도 1개소가 상기 근위부에 있어서 상기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상기 제1 와이어부에 제1 굴곡부를 갖고, 상기 제2 와이어부에 제2 굴곡부를 갖고 있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와 상기 제2 굴곡부가 상기 소경부에 있어서 상기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는, 내경이 일정하지 않은 근위부를 갖고,
    상기 제1 굴곡부와 상기 제2 굴곡부가 상기 근위부에 있어서 상기 시스의 내벽과 접해 있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상기 제1 와이어부이며 상기 제1 굴곡부보다 근위측에 제3 굴곡부와, 상기 제2 와이어부이며 상기 제2 굴곡부보다 근위측에 제4 굴곡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3 굴곡부와 상기 제4 굴곡부는 서로 면하여 배치되어 있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선단 칩은 개구부를 갖고, 해당 개구부 내에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일부가 위치함으로써 상기 도전성 선단 칩과 상기 도전성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원위 단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부와 상기 제2 와이어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상기 원위 단부에 굴곡부를 갖고 있는,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부와 상기 제2 와이어부가 별도 부재인,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KR1020187011534A 2016-01-13 2016-12-28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KR102668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03997 2016-01-13
JP2016003997 2016-01-13
PCT/JP2016/089111 WO2017122546A1 (ja) 2016-01-13 2016-12-28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320A true KR20180101320A (ko) 2018-09-12
KR102668073B1 KR102668073B1 (ko) 2024-05-23

Family

ID=5931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534A KR102668073B1 (ko) 2016-01-13 2016-12-28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37816B2 (ko)
KR (1) KR102668073B1 (ko)
CN (1) CN108289710A (ko)
WO (1) WO2017122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0402B2 (en) * 2019-04-03 2021-04-20 Olympus Corporation Diathermic endotherapeutic device
CN114081615B (zh) * 2020-10-21 2022-08-05 常州乐奥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医用电刀的刀头组件及新型医用电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045A (ja) 1998-04-07 1999-12-21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
US6224611B1 (en) * 1998-09-14 2001-05-01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Snare for endoscope
JP2005124697A (ja) * 2003-10-22 2005-05-19 Pentax Corp 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
JP2007044393A (ja) 2005-08-12 2007-02-22 Fujinon Corp 高周波処置具
JP2009125344A (ja) * 2007-11-26 2009-06-11 Fujifilm Corp 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装置、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及びその駆動装置
JP2010131100A (ja) 2008-12-03 2010-06-17 Hoya Corp 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
WO2015050695A1 (en) * 2013-10-01 2015-04-09 Gyrus Acmi, Inc. Bipolar coagulation probe and snar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14501A1 (de) * 1975-04-03 1976-10-21 Karl Storz Bipolares coagulationsinstrument fuer endoskope
JPH0234885Y2 (ko) * 1985-09-17 1990-09-20
JP3655664B2 (ja) * 1995-05-02 2005-06-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高周波ナイフ
JPH10146345A (ja) * 1996-11-21 1998-06-02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高周波切除具
JPH1170122A (ja) * 1997-08-29 1999-03-16 Olympus Optical Co Ltd 高周波切開切除具
JP4414669B2 (ja) * 2002-04-12 2010-02-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切開具
JP3923022B2 (ja) * 2003-02-28 2007-05-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JP4296082B2 (ja) * 2003-12-10 2009-07-15 Hoya株式会社 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
WO2011092946A1 (ja) * 2010-01-29 2011-08-04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気手術用処置器具
CN204814172U (zh) * 2015-08-15 2015-12-02 彭卫东 医用圈套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045A (ja) 1998-04-07 1999-12-21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
US6224611B1 (en) * 1998-09-14 2001-05-01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Snare for endoscope
JP2005124697A (ja) * 2003-10-22 2005-05-19 Pentax Corp 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
JP2007044393A (ja) 2005-08-12 2007-02-22 Fujinon Corp 高周波処置具
JP2009125344A (ja) * 2007-11-26 2009-06-11 Fujifilm Corp 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装置、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及びその駆動装置
JP2010131100A (ja) 2008-12-03 2010-06-17 Hoya Corp 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
WO2015050695A1 (en) * 2013-10-01 2015-04-09 Gyrus Acmi, Inc. Bipolar coagulation probe and sn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89710A (zh) 2018-07-17
KR102668073B1 (ko) 2024-05-23
WO2017122546A1 (ja) 2017-07-20
JPWO2017122546A1 (ja) 2018-11-01
JP6737816B2 (ja)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2701B2 (en) Treatment device for electrosurgery
US6193717B1 (en) Treating instrument for endoscope
US6712817B1 (en) Treatment instrument for endoscope
EP2401976A1 (en)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JP2006000633A (ja) 体組織取扱い用の使い捨て可能な電気外科手術具
US20160051278A1 (en) Surgical Snare Device
US11241268B2 (en) Electrosurgery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electric energy treatment
KR20180101320A (ko) 내시경용 고주파 처치구
JP5186346B2 (ja) 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
WO2018189949A1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CN110536652B (zh) 内窥镜用高频处置仪
JP4043456B2 (ja) 高周波切開具
JP2021122508A (ja) 内視鏡用針状メス
JP2023133880A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US20220151680A1 (e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JP2000262537A (ja) 内視鏡用処置具
WO2020195209A1 (ja) 内視鏡用処置具
JP7267539B2 (ja) 内視鏡用マイクロ波照射器具
JP2012139463A (ja) 高周波処置具
JP2022169939A (ja) 内視鏡用針状メス
JP2022139260A (ja) 高周波処置具
JP2020163000A (ja) 内視鏡用マイクロ波照射器具
JP2016002402A (ja) 高周波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