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726A - 미러 코트 렌즈 - Google Patents

미러 코트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726A
KR20180100726A KR1020187025431A KR20187025431A KR20180100726A KR 20180100726 A KR20180100726 A KR 20180100726A KR 1020187025431 A KR1020187025431 A KR 1020187025431A KR 20187025431 A KR20187025431 A KR 20187025431A KR 20180100726 A KR20180100726 A KR 20180100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fractive index
index layer
lens
lamb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사쿠 이와사키
마코토 아다치
Original Assignee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0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72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3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ultraviole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높은 투과율을 가지며, 플레어 현상 및 고스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미러 코트 렌즈를 제공한다. 렌즈 기재와, 상기 렌즈 기재의 표면에,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및 금속층을 갖는 기능막 (C1) 과, 상기 렌즈 기재의 이면에,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을 갖는 기능막 (C2) 을 구비하는 미러 코트 렌즈로서, 상기 표면측의 시감 반사율이 3 ∼ 30 % 이고, 상기 안경 렌즈의 투과율이 55 ∼ 80 % 이고, 상기 이면측의 시감 반사율이 0.1 ∼ 9 % 인 미러 코트 렌즈.

Description

미러 코트 렌즈{MIRROR-COATED LENS}
본 발명은, 표면 및 이면에 기능막을 갖는 미러 코트 렌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경에 사용되는 미러 코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선글라스가 시판되고 있지만, 그 중에는 표면에 미러 코트하여 금속 광택을 갖는 안경 렌즈를 사용한 선글라스가 있다. 이 안경 렌즈는, 렌즈 표면의 볼록면은 반사 증가 효과를 갖고, 추가로 형성된 금속층에 의한 광 흡수 특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당해 안경 렌즈를 갖는 선글라스를 착용하면, 착용자로부터는 경치를 볼 수 있지만, 외부로부터는 볼록면측의 가공에 의해 거울의 기능을 가지므로 착용자의 눈을 시인하기 어려워진다.
특허문헌 1 에서는, 플라스틱제 미러 코트 렌즈에 있어서, 렌즈 볼록면의 반사 증가 효과를 저해하지 않고, 렌즈 오목면의 반사 방지 효과를 높이고, 나아가서는, 시감 투과율을 향상시킨 플라스틱제 미러 코트 렌즈로서, 볼록면이 반사 증가 효과를 갖고, 오목면이 반사 방지 효과를 갖는 렌즈로서, 그 기능막이 그 플라스틱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순서대로 특정한 제 1 층 ∼ 제 7 층이 적층된 막을 갖는 플라스틱제 미러 코트 렌즈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서는, 이면 반사를 느끼지 않는 착용감이 우수한 미러 코트가 형성된 선글라스에 관한 것으로, 렌즈를 착색함으로써, 투명한 유전체에 의한 미러 코트의 렌즈 이면측으로의 반사를 적게 하고, 미러 코트가 특정 파장만 반사하는 경우에도 착용시의 색 밸런스를 보기 쉬운 것으로 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염료 및/또는 안료를 사용하여 착색된 합성 수지제 렌즈의 볼록면에 유전체 다층막으로 이루어지는 미러 코트를, 오목면에 유전체 다층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막을 피복한 미러 코트가 형성된 선글라스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서는, 근적외선이 넓은 파장역에 있어서의 열선 컷 작용을 발휘하여, 눈 (안구) 의 보호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또, 혹서 등에 있어서의 열선 컷에 의한 시원한 느낌도 얻어지는 광학 요소 (예를 들어, 안경 렌즈) 로서,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막 구성이 다층인 무기 증착막을 구비한 광학 요소로서, 상기 무기 증착막이, 상기 투명 기재의 표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열선 컷 복합층 및 광학 복합층을 구비하고, 상기 열선 컷 복합층이, 주기표 10 족의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금속 원소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그 금속 원소를 기 (基) 로 하는 금속층과 그 금속층의 상하에 인접하여 티타니아 (복합 산화물을 포함한다.) 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광학 요소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922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6614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011711호
특허문헌 1 ∼ 3 에 나타내는 종래의 미러 코트 렌즈에서는, 투과율이 낮고, 착용자로부터의 시계 (視界) 의 명료함에 과제를 갖고 있었다. 최근, 스포츠 안경이나, 패션 용도에 있어서, 착용자의 시계의 명료함을 중시하기 때문에, 투과율이 높은 미러 코트 렌즈의 요망이 있었다. 한편, 미러 코트 렌즈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서, 표면에 형성된 미러 코트의 금속층을 얇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그 경우, 투과율은 높아지지만 번쩍거림이 눈에 띄는, 플레어 현상 및 고스트 현상이 발생하는 것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을 알았다. 한편, 이면측으로부터 관찰하여, 표면에 형성된 막의 반사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렌즈 기재에 흡수 특성 (염색 등) 을 갖게 하면 되는데, 그 경우 투과율이 크게 낮아지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높은 투과율을 가지며, 플레어 현상 및 고스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미러 코트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에 관하여, 렌즈 기재 표면측의 기능막 (C1) 에 의해, 표면측의 시감 반사율 및 시감 투과율을 조정하고, 렌즈 기재 이면측의 기능막 (C2) 에 의해, 이면측의 시감 반사율을 저하시킴으로써, 상기 플레어 현상 및 고스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은 완성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 ∼ [6] 에 관한 것이다.
[1] 렌즈 기재와,
상기 렌즈 기재의 표면에,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및 금속층을 갖는 기능막 (C1) 과,
상기 렌즈 기재의 이면에, 저굴절률층, 및 고굴절률층을 갖는 기능막 (C2) 을 구비하는 미러 코트 렌즈로서,
상기 표면측의 시감 반사율이 3 ∼ 30 % 이고,
상기 미러 코트 렌즈의 시감 투과율이 55 ∼ 80 % 이고,
상기 이면측의 시감 반사율이 0.1 ∼ 9 % 인, 미러 코트 렌즈.
[2] 상기 금속층에 포함되는 금속종이, Cr, Ta, Nb, Ti 및 Zr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1] 에 기재된 미러 코트 렌즈.
[3] 상기 기능막 (C1) 의 금속층의 전체 시감 투과율이 60 ∼ 90 % 인, [1] 또는 [2] 에 기재된 미러 코트 렌즈.
[4] 파장 380 ∼ 780 ㎚ 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반사광의 최대 반사율이 15 % 이하인,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미러 코트 렌즈.
[5] 표면측의 반사광의 주파장이 380 ㎚ ∼ 600 ㎚ 에 있고,
상기 주파장에 있어서의 최대 반사율 (Rt) 과, 파장 380 ㎚ ∼ 780 ㎚ 에 있어서의 표면의 반사광의 최소 반사율 (Rb) 의 차 (Rt - Rb) 가 8 % 이상인,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미러 코트 렌즈.
[6] 상기 표면측의 블루광 커트율이 10 ∼ 60 % 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미러 코트 렌즈.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투과율을 가지며, 플레어 현상 및 고스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미러 코트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러 코트 렌즈는, 렌즈 기재와, 상기 렌즈 기재의 표면에,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및 금속층을 갖는 기능막 (C1) 과, 상기 렌즈 기재의 이면에,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을 갖는 기능막 (C2) 을 구비한다. 기능막 (C1) 에, 금속층을 가지므로 표면이 경면적인 반사 특성을 나타내는 미러 코트 렌즈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렌즈 기재의 「이면」은, 착용자의 안구측에 배치되는 면을 의미하고, 렌즈 기재의 「표면」은, 상기 이면의 반대측의 면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면과 오목면을 갖는 렌즈의 경우, 표면은 볼록면을 의미하고, 이면은 오목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미러 코트 렌즈는, 외부로부터 시인한 경우에, 표면이 경면적인 반사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상기 표면측의 시감 반사율이 3 ∼ 30 % 이다. 표면측의 시감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5 ∼ 25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1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9.5 % 이다.
상기 시감 반사율은, 기능막 (C1) 의 금속층의 막두께, 그리고, 저굴절률층 및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적절히 막두께를 변경함으로써 얻어진다. 표면측의 시감 반사율은,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한다.
본 발명의 미러 코트 렌즈는, 착용자의 시야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상기 미러 코트 렌즈의 시감 투과율이 55 ∼ 80 % 이다. 미러 코트 렌즈의 시감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58 ∼ 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7 ∼ 79 % 이다.
상기 시감 투과율은, 기능막 (C1) 의 금속층의 막두께, 그리고, 저굴절률층 및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적절히 막두께를 변경함으로써 얻어진다. 시감 투과율은,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한다.
본 발명의 미러 코트 렌즈는, 플레어 현상 및 고스트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렌즈 기재의 이면측의 시감 반사율이 0.1 ∼ 9 % 이다. 렌즈 기재의 이면측의 시감 반사율은, 바람직하게는 0.5 ∼ 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7.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 5.0 % 이다.
상기 시감 반사율은, 기능막 (C1) 의 금속층의 막두께, 그리고, 기능막 (C2) 의 저굴절률층 및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적절히 막두께를 변경함으로써 얻어진다. 색재 등의 광 흡수재를 사용하여 광 흡수 특성을 조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면측의 시감 반사율이 상기 범위가 되도록 기능층 (C2) 의 층 구성을 조정함으로써, 광 흡수재의 사용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미러 렌즈의 시감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시감 반사율은,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한다.
미러 코트 렌즈의 표면측의 시감 반사율과 이면측의 시감 반사율의 차 (표면측 - 이면측) 가, 외부로부터 장착자의 눈을 보기 어렵고, 착용자로부터는 외부의 경치를 보기 쉽게 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0 % 이상이다. 당해 차 (표면측 - 이면측) 는, 전술한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다. 또 당해 차는,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다.
미러 코트 렌즈의 표면측의 블루광 커트율은, 착용자의 눈의 보호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10 ∼ 6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55 %,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55 % 이다. 표면측의 블루광 커트율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측의 시감 반사율, 미러 코트 렌즈의 시감 투과율, 및 이면측의 시감 반사율이 소정 범위인 것에 의해, 높은 투과율을 가지며, 플레어 현상 및 고스트 현상이 억제된 미러 렌즈를 얻을 수 있다. 미러 렌즈의 투과율을 높임으로써, 강조되는 플레어 현상 및 고스트 현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사광의 색)
본 발명의 미러 코트 렌즈는, 바람직하게는, 표면측의 반사광의 주파장이 380 ㎚ ∼ 600 ㎚ 이고, 또한, 상기 주파장에 있어서의 최대 반사율 (Rt) 과, 파장 380 ㎚ ∼ 780 ㎚ 에 있어서의 표면의 반사광의 최소 반사율 (Rb) 의 차 (Rt - Rb) (이하, 간단히 「(Rt - Rb) 값」이라고도 한다) 가 8 % 이상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표면측에 있어서 유색의 반사광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표면측의 반사광의 주파장을 조정함으로써 얻어지는 색을 조정할 수 있다. 주파장이란, CIE 표색계로 정의되고 있는 3 자극값으로부터 구해지는 파장으로, JIS Z 8701, 국제 규격 ISO7724 에 규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주파장」은, 실시예에 있어서 나타낸 주파장의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진 값으로 간주한다.
또, (Rt - Rb) 값은, 당해 색의 시인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9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또 (Rt - Rb) 값은,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다.
상기 시감 반사율은, 기능막 (C1) 의 저굴절률층 및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적절히 막두께를 변경함으로써 얻어진다. 당해 주파장, 및 (Rt - Rb) 값은,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한다.
또 본 발명의 미러 코트 렌즈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 ∼ 780 ㎚ 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반사광의 최대 반사율이 15 % 이하이다. 즉 상기 파장 380 ∼ 780 ㎚ 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 반사율이 15 % 이하인 것에 의해, 반사광에 눈에 띈 파장의 피크를 없앨 수 있고, 이면측의 반사광을 무색으로 할 수 있다. 당해 최대 반사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이하이고, 통상 1 % 이상이다.
상기 시감 반사율은, 기능막 (C2) 의 저굴절률층 및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적절히 막두께를 변경함으로써 얻어진다. 당해 최대 반사율은,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한다.
[기능막 (C1)]
기능막 (C1) 은, 표면에 형성되고, 저굴절률층 (C1a), 고굴절률층 (C1b), 및 금속층 (C1c) 을 갖는다.
기능막 (C1) 은, 바람직하게는 저굴절률층 (C1a) 과 고굴절률층 (C1b) 이 교대로 배치되고, 그 사이에 금속층 (C1c) 이 1 층 이상 배치되어 있다. 금속층 (C1c) 을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반사 증폭 작용이 얻어지고, 안경 렌즈의 표면에 미러 광택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저굴절률층 (C1a) 및 고굴절률층 (C1b) 의 층의 두께, 및 적층수를 설계함으로써 표면에 저반사성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저굴절률층 (C1a)]
저굴절률층 (C1a) 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파장 500 ∼ 550 ㎚ 에서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35 ∼ 1.80,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 ∼ 1.50 이다.
저굴절률층 (C1a) 은, 예를 들어, 무기 산화물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SiO2 이다.
[고굴절률층 (C1b)]
고굴절률층 (C1b) 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파장 500 ∼ 550 ㎚ 에서의 굴절률이 바람직하게는 1.90 ∼ 2.6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2.40 이다.
고굴절률층 (C1b) 은, 예를 들어, 무기 산화물로 이루어진다.
고굴절률층 (C1b) 에 사용되는 무기 산화물로는, 바람직하게는 ZrO2, Ta2O5, Y2O3, TiO2, Nb2O5 및 Al2O3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의 무기 산화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ZrO2 또는 Ta2O5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ZrO2 이다. ZrO2 를 사용함으로써, 내열성을 유지하면서 내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금속층 (C1c)]
금속층은, 금속색을 갖는 층을 의미한다.
금속층에 사용되는 물질로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금속의 산화물, 질화물, 탄화물, 및 질소 산화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으로서 금속색을 갖는 물질이 포함되고, 입수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금속이다.
금속층에 포함되는 금속종으로는, 예를 들어, Cr, Ta, Nb, Ti 및 Zr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고, 블루광 컷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Cr 이다. 또 금속층을 형성함으로써 대전 방지 효과도 발휘된다.
금속층은, 기능막 중에 1 층 또는 복수 층 갖고 있어도 된다.
금속층의 전체 시감 투과율은, 높은 투과율의 미러 렌즈를 얻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50 ∼ 9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85 %,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 79 % 이다.
금속층의 1 층당의 막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5 ㎚ 이다.
기능막 (C1) 의 총 막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0 ∼ 8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 600 ㎚ 이다.
기능막 (C1) 의 적층수는, 바람직하게는 6 ∼ 12 층,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10 층,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또는 9 층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기능막의 적층수 8 또는 9 층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적층수 9 층)
기능막 (C1) 은, 바람직하게는 0.01λ ∼ 1.05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1 층, 0.01λ ∼ 0.25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2 층, 0.01λ ∼ 0.25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3 층, 0.1 ∼ 50 ㎚ 의 막두께를 갖는 금속층인 제 4 층, 0.10λ ∼ 0.40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5 층, 0.1 ∼ 50 ㎚ 의 막두께를 갖는 금속층인 제 6 층, 0.10λ ∼ 0.40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7 층, 0.01λ ∼ 0.25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8 층, 및 0.10λ ∼ 0.90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9 층이, 렌즈 기재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λ 는 450 ∼ 550 ㎚ 이다.
기능막 (C1) 은,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0.20λ ∼ 0.27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1 층, 0.05λ ∼ 0.07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2 층, 0.11λ ∼ 0.15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3 층, 3 ∼ 8 ㎚ 의 막두께를 갖는 금속층인 제 4 층, 0.27λ ∼ 0.36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5 층, 3 ∼ 8 ㎚ 의 막두께를 갖는 금속층인 제 6 층, 0.21λ ∼ 0.28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7 층, 0.08λ ∼ 0.11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8 층, 및 0.23λ ∼ 0.31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9 층이, 렌즈 기재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λ 는 450 ∼ 550 ㎚ 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500 ㎚ 이다.
기능막 (C1) 은,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0.20λ ∼ 0.27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1 층, 0.05λ ∼ 0.07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2 층, 0.13λ ∼ 0.17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3 층, 3 ∼ 8 ㎚ 의 막두께를 갖는 금속층인 제 4 층, 0.24λ ∼ 0.32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5 층, 3 ∼ 8 ㎚ 의 막두께를 갖는 금속층인 제 6 층, 0.19λ ∼ 0.25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7 층, 0.09λ ∼ 0.12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8 층, 및 0.58λ ∼ 0.78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9 층이, 렌즈 기재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λ 는 450 ∼ 550 ㎚ 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500 ㎚ 이다.
(적층수 8 층)
기능막 (C1) 은, 바람직하게는 0.10λ ∼ 0.80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1 층, 0.10λ ∼ 0.40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2 층, 0.01λ ∼ 0.25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3 층, 0.1 ∼ 50 ㎚ 의 막두께를 갖는 금속층인 제 4 층, 0.01λ ∼ 0.25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5 층, 0.01λ ∼ 0.25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6 층, 0.10λ ∼ 0.60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7 층, 및 0.01λ ∼ 0.30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8 층이, 렌즈 기재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λ 는 450 ∼ 550 ㎚ 이다.
기능막 (C1) 은,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0.51λ ∼ 0.68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1 층, 0.25λ ∼ 0.33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2 층, 0.06λ ∼ 0.08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3 층, 1 ∼ 15 ㎚ 의 막두께를 갖는 금속층인 제 4 층, 0.12λ ∼ 0.16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5 층, 0.08λ ∼ 0.10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6 층, 0.34λ ∼ 0.45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7 층, 및 0.19λ ∼ 0.25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8 층이, 렌즈 기재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λ 는 450 ∼ 550 ㎚ 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500 ㎚ 이다.
[기능막 (C2)]
기능막 (C2) 은, 이면에 형성되고, 저굴절률층 (C2a), 및 고굴절률층 (C2b) 을 갖는다.
기능막 (C2) 은, 바람직하게는 저굴절률층 (C2a) 과 고굴절률층 (C2b) 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저굴절률층 (C2a) 및 고굴절률층 (C2b) 의 층의 두께, 및 적층수를 설계함으로써 표면에 저반사성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저굴절률층 (C2a) 및 고굴절률층 (C2b) 에 사용되는 재료는, 전술한 저굴절률층 (C1a), 고굴절률층 (C1b) 에서 예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기능막 (C2) 의 총 막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0 ∼ 8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 400 ㎚ 이다.
기능막 (C2) 의 적층수는, 바람직하게는 4 ∼ 10 층,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8 층,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층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기능막의 적층수 7 층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기능막 (C2) 은, 바람직하게는, 렌즈 기재측에 배치되는, 0.01λ ∼ 0.25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1 층, 0.01λ ∼ 0.25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2 층, 0.10λ ∼ 0.80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3 층, 0.01λ ∼ 0.25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4 층, 0.01λ ∼ 0.25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5 층, 0.01λ ∼ 0.30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6 층, 0.10λ ∼ 0.50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7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λ 는 450 ∼ 550 ㎚ 이다.
기능막 (C2) 은,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렌즈 기재측에 배치되는, 0.07λ ∼ 0.10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1 층, 0.04λ ∼ 0.06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2 층, 0.48λ ∼ 0.64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3 층, 0.12λ ∼ 0.15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4 층, 0.06λ ∼ 0.08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5 층, 0.20λ ∼ 0.27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6 층, 0.24λ ∼ 0.32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7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λ 는 450 ∼ 550 ㎚ 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500 ㎚ 이다.
기능막 (C2) 은,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렌즈 기재측에 배치되는, 0.05λ ∼ 0.07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1 층, 0.02λ ∼ 0.03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2 층, 0.53λ ∼ 0.71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3 층, 0.09λ ∼ 0.12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4 층, 0.10λ ∼ 0.14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5 층, 0.14λ ∼ 0.18λ 의 막두께를 갖는 고굴절률층인 제 6 층, 0.29λ ∼ 0.39λ 의 막두께를 갖는 저굴절률층인 제 7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λ 는 450 ∼ 550 ㎚ 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500 ㎚ 이다.
[렌즈 기재]
렌즈 기재로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렌즈 기재이다. 플라스틱 렌즈 기재로는, 예를 들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독 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1 종 이상의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단독 중합체,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와 1 종 이상의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황 함유 공중합체, 할로겐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티오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의 굴절률은, 1.5 ∼ 1.8 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렌즈 기재와 상기 기능막 사이에, 렌즈의 내찰상성을 향상시키는 하드 코트층을 형성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의 재질로는, 유기 규소 화합물, 아크릴계, 에폭시계 등을 들 수 있고, 산화 규소, 산화 티탄, 산화 주석 등의 미립자상 무기 산화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열경화성, 자외선 경화성 등이 이용되는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능막과 하드 코트층의 밀착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하드 코트층에, 공지된 플라즈마 처리, 이온총 처리, 전자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이온총 처리의 경우에는, 산소 가스 또는 아르곤이 사용되고, 이온의 가속 전압은 200 ∼ 500 V 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렌즈 기재와 상기 하드 코트층 사이에 내충격성 및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의 재질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801호에 기재된 디티안 고리 골격을 갖는 특정한 황 화합물 및/또는 벤젠 고리를 갖는 특정한 황 화합물과 다관능성 티올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28802호에 기재된 (A) 일반식 (I) R-O-CO-[-O-R1-O-CO-]n-O-R…(I) [식 중, R 은 불포화기를 나타내고, R1 은 2 가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기를 나타내고, n 은 1 ∼ 9 의 수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폴리탄산에스테르, (B) 일반식 (II) R2-(-SH)m…(II) [식 중, R2 는 다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m 은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폴리티올 및 (C)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 60 ∼ 95 질량% 와 고굴절률의 금속 화합물 졸 5 ∼ 40 질량% 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일본 특허공보 평6-79084호에 기재된 알킬렌글리콜류, 폴리알킬렌글리콜류, 폴리(알킬렌아디페이트)류, 폴리-ε-카프로락톤, 폴리부타디엔글리콜류,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류 또는 실리콘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미러 코트 렌즈는, 선글라스 등의 안경용 렌즈로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렌즈는, 이른바 도수 없는 렌즈를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의 물성 평가는 이하와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시감 반사율]
렌즈의 표면측 시감 반사율 및 이면측 시감 반사율은, 표 중에 기재된 막을 표면에 형성한 렌즈의 시감 반사율을, 분광 광도계 U-4100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제조) 을 사용하여, 표면측 및 이면측으로부터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한 파장은 380 ∼ 780 ㎚ 이고, 당해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국제 규격 ISO8980-4 에 준거하여 비시감도의 무게를 고려하여 계산되는 값을 시감 반사율로 하였다.
[시감 투과율]
렌즈의 시감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 U-4100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제조)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한 파장은, 380 ∼ 780 ㎚ 이고, 당해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국제 규격 ISO8980-4 에 준거하여 비시감도의 무게를 고려하여 계산되는 값을 시감 투과율로 하였다.
[반사광의 주파장, 최대 반사율, (Rt - Rb) 값]
렌즈의 반사광의 주파장은, 분광 광도계 U-4100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제조)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한 파장은 380 ∼ 780 ㎚ 이다.
상기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 피크의 파장을 반사광의 주파장으로 하였다.
상기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최대값을, 최대 반사율로 하였다 (피크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베이스 라인의 최대값을 최대 반사율로 하였다.).
상기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주파장에 있어서의 피크값을 최대 반사율 (Rt) 로 하였다. 또 상기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최소값을 최소 반사율 (Rb) 로 하였다. 이상의 값으로부터 (Rt - Rb) 의 값을 산출하였다.
[경면 효과]
얻어진 미러 코트 렌즈에 관하여, 미러 코트로서의 경면 효과를 갖고 있는지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미러 코트로서의 경면 효과를 갖고 있는 것은 「○」, 경면 효과를 갖고 있지 않은 것은 「×」라고 하였다.
[내열성]
플라스틱 렌즈를 50 ℃ 의 드라이 오븐에서 1 시간 가열하고, 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5 ℃ 온도를 높이고 동일하게 가열하여 5 ℃ 피치로 온도를 높이고, 크랙의 발생 온도를 측정하였다.
[블루광 커트율]
상기 시감 반사율의 측정에 있어서, 표면측의 파장 380 ㎚ ∼ 500 ㎚ 의 평균 반사율을 100 으로부터 뺀 값을, 블루광 커트율로 한다.
[플레어 현상 억제 평가]
미러 렌즈를 장착한 선글라스를 끼고, 플레어 현상이 확인되는지 관찰하였다.
A : 플레어 현상을 확인할 수 없다.
B : 플레어 현상이 약간 확인된다.
C : 플레어 현상이 분명하게 확인된다.
[고스트 현상 억제 평가]
미러 렌즈를 장착한 선글라스를 끼고, 고스트 현상이 확인되는지 관찰하였다.
A : 고스트 현상을 확인할 수 없다.
B : 고스트 현상이 약간 확인된다.
C : 고스트 현상이 분명하게 확인된다.
실시예 1 ∼ 3
유리제 용기에, 콜로이달 실리카 (스노텍스-40, 닛산 화학 공업 (주)) 90 질량부, 유기 규소 화합물의 메틸트리메톡시실란 81.6 질량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76 질량부, 0.5 N 염산 2.0 질량부, 아세트산 20 질량부, 물 90 질량부를 첨가한 액을, 실온에서 8 시간 교반 후, 실온에서 16 시간 방치하여 가수분해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에, 이소프로필알코올 120 질량부, n-부틸알코올 120 질량부, 알루미늄아세틸아세톤 16 질량부,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0.2 질량부, 자외선 흡수제 0.1 질량부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8 시간 교반 후, 실온에서 24 시간 숙성시키고 코팅액을 얻었다. 알칼리 수용액으로 전처리한 플라스틱 렌즈 기재 (HOYA (주) 제조 상품명 하이룩스,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 굴절률 1.50) 를, 상기 코팅액 중에 침지시키고, 침지 종료 후, 인상 속도 20 ㎝/분으로 인상시킨 플라스틱 렌즈를 120 ℃ 에서 2 시간 가열하여 경화막을 형성하고 하드 코트층 (A 층으로 한다) 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하드 코트층 상에, 진공 증착법으로, 표에 기재한 층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층을 형성하고,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표 중의 SiO2 의 굴절률은 1.45 이고, ZrO2 의 굴절률은 2.10 이다.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에 대해 평가하고, 그들의 결과를 이하의 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4 ∼ 7
유기 규소 화합물의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톡시실란 142 질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0.01 N 염산 1.4 질량부, 물 32 질량부를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24 시간 교반을 실시하고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가수분해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에, 산화 제2주석-산화 지르코늄 복합체 졸 (메탄올 분산, 전체 금속 산화물 31.5 질량%, 평균 입자경 10 ∼ 15 밀리미크론) 460 질량부, 에틸셀로솔브 300 질량부, 추가로 활제로서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0.7 질량부, 경화제로서 알루미늄아세틸아세토네이트 8 질량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 여과를 실시하여 코팅액을 얻었다. 알칼리 수용액으로 전처리한 플라스틱 렌즈 기재 (HOYA (주) 제조,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 (상품명 : EYAS), 굴절률 1.60) 를, 상기 코팅액 중에 침지시키고, 침지 종료 후, 인상 속도 20 ㎝/분으로 인상시킨 플라스틱 렌즈를 120 ℃ 에서 2 시간 가열하여 경화막을 형성하였다.
하드 코트층 (B 층으로 한다) 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하드 코트층 상에, 진공 증착법으로, 표에 기재한 층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층을 형성하고,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표 중의 SiO2 의 굴절률은 1.45 이고, ZrO2 의 굴절률은 2.10 이다.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에 대해 평가하고, 그들의 결과를 이하의 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8 ∼ 10
유리제 용기에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045 질량부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200 질량부를 넣어 교반하면서 0.01 몰/리터 염산 299 질량부를 첨가하고, 10 ℃ 의 클린룸 내에서 하루종일 교반을 계속하고, 실란 가수분해물을 얻었다.
다른 용기 내에서 산화 티탄, 산화 지르코늄, 산화 규소를 주체로 하는 복합 미립자 졸 (메탄올 분산, 전체 고형분 30 질량%, 평균 입자경 5 ∼ 8 밀리미크론) 3998 질량부에 메틸셀로솔브 4018 질량부와 이소프로판올 830 질량부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고, 추가로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닛폰 유니카 (주) 제조 「L-7001」) 4 질량부와 알루미늄아세틸아세토네이트 100 질량부를 첨가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10 ℃ 의 클린룸 내에서 하루종일 교반을 계속한 후, 상기 가수분해물을 합하고, 추가로 하루종일 교반하였다. 그 후 3 ㎛ 의 필터로 여과를 실시하고, 하드 코트액을 얻었다.
알칼리 수용액으로 전처리한 플라스틱 렌즈 기재 (HOYA (주) 제조 상품명 아이노아,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 굴절률 1.67) 를, 상기 코팅액 중에 침지시키고, 침지 종료 후, 인상 속도 20 ㎝/분으로 인상시킨 플라스틱 렌즈를 120 ℃ 에서 2 시간 가열하여 경화막을 형성하고 하드 코트층 (C 층으로 한다) 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하드 코트층 상에, 진공 증착법으로, 표에 기재한 층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층을 형성하고,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표 중의 SiO2 의 굴절률은 1.45 이고, ZrO2 의 굴절률은 2.10 이다.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에 대해 평가하고, 그들의 결과를 이하의 표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시감 투과율을 높인 미러 렌즈이어도, 이면의 시감 반사율을 낮게 억제함으로써, 고스트 현상 및 플레어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미러 코트 렌즈에 의하면, 높은 투과율을 가지며, 플레어 현상 및 고스트 현상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포츠 안경이나, 패션 용도에 있어서, 안경용 렌즈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렌즈 기재와,
    상기 렌즈 기재의 표면에, 저굴절률층, 고굴절률층, 및 금속층을 갖는 기능막 (C1) 과,
    상기 렌즈 기재의 이면에, 저굴절률층, 및 고굴절률층을 갖는 기능막 (C2) 을 구비하는 미러 코트 렌즈로서,
    상기 표면측의 시감 반사율이 3 ∼ 30 % 이고,
    상기 미러 코트 렌즈의 시감 투과율이 55 ∼ 80 % 이고,
    상기 이면측의 시감 반사율이 0.1 ∼ 9 % 이고,
    상기 표면측의 시감 반사율 및 이면측의 시감 반사율이 하기의 측정 방법에 의한, 미러 코트 렌즈.
    [시감 반사율]
    렌즈의 표면측 시감 반사율 및 이면측 시감 반사율은, 막을 표면에 형성한 렌즈의 시감 반사율을,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표면측 및 이면측으로부터 측정한다. 또한, 측정한 파장은 380 ∼ 780 ㎚ 이고, 당해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국제 규격 ISO8980-4 에 준거하여 비시감도의 무게를 고려하여 계산되는 값을 시감 반사율로 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에 포함되는 금속종이, Cr, Ta, Nb, Ti 및 Zr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미러 코트 렌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막 (C1) 의 금속층의 전체 시감 투과율이 50 ∼ 90 % 인, 미러 코트 렌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파장 380 ∼ 780 ㎚ 에 있어서의 이면측의 반사광의 최대 반사율이 15 % 이하인, 미러 코트 렌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표면측의 반사광의 주파장이 380 ㎚ ∼ 600 ㎚ 에 있고,
    상기 주파장에 있어서의 최대 반사율 (Rt) 과, 파장 380 ㎚ ∼ 780 ㎚ 에 있어서의 표면의 반사광의 최소 반사율 (Rb) 의 차 (Rt - Rb) 가 8 % 이상인, 미러 코트 렌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측의 블루광 커트율이 10 ∼ 60 % 인, 미러 코트 렌즈.
KR1020187025431A 2014-03-14 2015-03-09 미러 코트 렌즈 KR201801007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2228 2014-03-14
JPJP-P-2014-052228 2014-03-14
PCT/JP2015/056855 WO2015137282A1 (ja) 2014-03-14 2015-03-09 ミラーコートレンズ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495A Division KR20160122823A (ko) 2014-03-14 2015-03-09 미러 코트 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726A true KR20180100726A (ko) 2018-09-11

Family

ID=540717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495A KR20160122823A (ko) 2014-03-14 2015-03-09 미러 코트 렌즈
KR1020187025431A KR20180100726A (ko) 2014-03-14 2015-03-09 미러 코트 렌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495A KR20160122823A (ko) 2014-03-14 2015-03-09 미러 코트 렌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003520A1 (ko)
EP (1) EP3118658B1 (ko)
JP (1) JPWO2015137282A1 (ko)
KR (2) KR20160122823A (ko)
CN (1) CN106104312A (ko)
AU (2) AU2015227886A1 (ko)
WO (1) WO20151372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7015411A2 (pt) * 2015-03-09 2018-07-17 Vision Ease Lp revestimento antiestático, antirreflexivo
WO2017066473A1 (en) * 2015-10-13 2017-04-20 Vision Ease, Lp Optical filter with selectiv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KR20180078328A (ko) * 2016-08-22 2018-07-09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안경 렌즈 및 안경
JP2018031975A (ja) * 2016-08-26 2018-03-01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並びに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及び眼鏡
JP6873880B2 (ja) 2017-09-29 2021-05-19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EP3505999B1 (en) * 2017-09-29 2024-10-02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JP6473282B1 (ja) * 2017-09-29 2019-02-20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AU2018334589B2 (en) * 2017-09-29 2020-03-26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JP6473281B1 (ja) * 2017-09-29 2019-02-20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JP2020052135A (ja) 2018-09-25 2020-04-02 東海光学株式会社 眼鏡レンズ及び眼鏡
EP3859437A4 (en) * 2018-09-28 2022-06-29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
EP3654071B1 (en) 2018-11-19 2024-07-31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lens having an interferential coating and a multilayer system for improving abrasion-resistance
WO2020104381A2 (en) * 2018-11-19 2020-05-28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lens having a mirror coating and a multilayer system for improving abrasion-resistance
EP3899609A2 (en) * 2018-12-18 2021-10-27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article having a reflective coating with high abrasion-resistance
DE102020105576A1 (de) * 2019-03-01 2020-09-03 Wetzlich Optik-Präzision GmbH Brillenglas mit infrarotabsorbierender Beschichtung
US11067828B2 (en) * 2019-12-08 2021-07-20 Brandon T. Michaels Eyewear lens or optical film with decorative dichromic mirror pattern having variable opacity
KR102384789B1 (ko) 2020-02-25 2022-04-08 (주)도 은 무광 미러 코팅 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
US11960110B2 (en) * 2020-04-07 2024-04-16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filter having differing reflectance depending on light incident side
EP3907553A1 (en) 2020-05-07 2021-11-10 Essilor International Ophthalmic lens configured to exhibit a clear state and optionally a dark state
CN114063249B (zh) * 2020-08-03 2023-07-11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镜头、取像装置及电子装置
JP2022069258A (ja) * 2020-10-23 2022-05-11 東海光学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光学製品及び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
EP4095569B1 (en) 2021-05-26 2024-02-21 Essilor International An optical article with improved visual comfort
EP4095570A1 (en) 2021-05-27 2022-11-30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lens having an asymmetric mirror
KR102681878B1 (ko) 2023-07-19 2024-07-04 임성규 다중칼라 미러패턴이 렌즈에 표현된 미러코팅 안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149A (ja) 1998-08-21 2000-03-03 Seiko Epson Corp ミラーコート付きサングラス
JP2005292204A (ja) 2004-03-31 2005-10-20 Hoya Corp プラスチック製ミラーコートレンズ
JP2013011711A (ja) 2011-06-29 2013-01-17 Ito Kogaku Kogyo Kk 光学要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9063A (ja) * 1997-09-09 1999-06-02 Asahi Optical Co Ltd 反射防止膜付き眼鏡レンズ
AUPO995097A0 (en) * 1997-10-21 1997-11-13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Surface coating composition
US6793339B1 (en) * 1997-10-21 2004-09-21 Sola-International Holdings, Ltd. Coated sunglass lens
JP3445773B2 (ja) * 2000-04-07 2003-09-08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ミラーコートレンズ
US8403478B2 (en) * 2001-11-02 2013-03-26 High Performance Optics, Inc. Ophthalmic lens to preserve macular integrity
CN1749782A (zh) * 2004-09-17 2006-03-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镀膜玻璃镜片
JP2006267561A (ja) * 2005-03-24 2006-10-05 Seiko Epson Corp 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H704436B1 (de) * 2007-03-26 2012-08-15 Giuseppe Nunzio Caruso Filter für eine Filtri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n entlastenden sowie präventiven Augenschutz als Brille, Sonnenbrille oder Scheibe, und Filtriervorrichtung mit mindestens einem solchen Filter.
JP2009258400A (ja) * 2008-04-17 2009-11-05 Jgc Catalysts & Chemicals Ltd ライトカラーミラーコート層付き光学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該方法から得られる光学基板
JP2012093689A (ja) * 2010-09-29 2012-05-17 Nikon-Essilor Co Ltd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69195B2 (ja) * 2011-10-31 2016-08-17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149A (ja) 1998-08-21 2000-03-03 Seiko Epson Corp ミラーコート付きサングラス
JP2005292204A (ja) 2004-03-31 2005-10-20 Hoya Corp プラスチック製ミラーコートレンズ
JP2013011711A (ja) 2011-06-29 2013-01-17 Ito Kogaku Kogyo Kk 光学要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27886A1 (en) 2016-10-20
KR20160122823A (ko) 2016-10-24
AU2018201510A1 (en) 2018-03-22
EP3118658B1 (en) 2019-08-21
CN106104312A (zh) 2016-11-09
US20170003520A1 (en) 2017-01-05
EP3118658A1 (en) 2017-01-18
JPWO2015137282A1 (ja) 2017-04-06
WO2015137282A1 (ja) 2015-09-17
WO2015137282A9 (ja) 2015-12-30
EP3118658A4 (en)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0726A (ko) 미러 코트 렌즈
JP7266510B2 (ja) 紫外領域及び可視領域の両方において低い反射性を持つ反射防止膜を有する光学部品
JP6470274B2 (ja) 可視領域において非常に低い反射を有する反射防止被覆を含む光学物品
US10031349B2 (en) Optical product, and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CN109844573B (zh) 在近红外区和蓝光区具有高反射的光学制品
CN107111000B (zh) 包括在紫外区域具有高反射率的干涉涂层的光学物品
JP2019515352A (ja) 近赤外領域(nir)において高反射率を有する反射防止膜を含む光学物品
CN115552290A (zh) 在可见光区和近红外区中反射非常低的光学制品
JP7350837B2 (ja) 反射防止機能及び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機能を有する眼用レンズ
JP3445773B2 (ja) プラスチック製ミラーコートレンズ
JP4629355B2 (ja) プラスチック製ミラーコートレンズ
CN115552321A (zh) 配置为呈现出透明状态和可选的黑暗状态的眼科镜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