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847A - 구조 재료 - Google Patents

구조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847A
KR20180098847A KR1020170025491A KR20170025491A KR20180098847A KR 20180098847 A KR20180098847 A KR 20180098847A KR 1020170025491 A KR1020170025491 A KR 1020170025491A KR 20170025491 A KR20170025491 A KR 20170025491A KR 20180098847 A KR20180098847 A KR 20180098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structural material
gap
tangent plan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다카야나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쿠세이 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쿠세이 쇼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쿠세이 쇼지
Priority to KR1020170025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8847A/ko
Publication of KR2018009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09Hooks, dovetails or other interlocking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66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75Profile with an undercut grooves for connection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28Interlocking connectors, e.g. with hooks or dovetails, added to the elongated woode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2001/588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using an undercut groove, e.g. dovetail gro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과제] 구조체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연결 효율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일단부측에 반턱 이음부(6)를 구비하고, 반턱 이음부(6)는, 제1 반턱 이음면(61)과 제2 반턱 이음면(62)을 갖고, 제1 반턱 이음면(61)의 제1 영역(61a)에는, 3개의 제1 돌기부(P1)가 설치되며, 제1 반턱 이음면(61)의 제2 영역(61b)에는, 2개의 제2 돌기부(P2)가 설치되고, 제2 반턱 이음면(62)에는, 3개의 제3 돌기부(P3)와 3개의 제4 돌기부(P4)가 설치되며, 선단면(5)에는, 3개의 제5 돌기부(P5)와 2개의 제6 돌기부(P6)가 설치되고, 1개의 구조 재료(1)의 간극(G1)에 다른 1개의 구조 재료(1)의 제2 돌기부(P2)가 끼워맞춰지며, 1개의 구조 재료(1)의 간극(G3)에 다른 1개의 구조 재료(1)의 제5 돌기부(P5)가 끼워맞춰지고, 1개의 구조 재료(1)의 간극(G4, G5)에 다른 1개의 구조 재료(1)의 제6 돌기부(P6)가 끼워맞춰지며, 1개의 구조 재료(1)의 간극(G6)에 다른 1개의 구조 재료(1)의 제1 돌기부(P1)의 연출 부분이 끼워맞춰져, 각 구조 재료(1)의 각 반턱 이음부(6)가 걸어맞춰진다.

Description

구조 재료{STRUCTURAL MATERIAL}
본 발명은,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측에 반턱 이음부를 갖는 구조 재료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구조 재료로서,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건축 재료 유닛이 알려져 있다. 이 건축 재료 유닛은, 건축 구조물을 건축할 때에 이용하는 건축 재료 유닛으로서, 3장의 판재를 겹쳐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이 건축 재료 유닛에서는, 각 판재 중 외측의 2장의 판재에 있어서의 각각의 양단부를 맞추고, 중앙의 판재를 외측의 2장의 판재에 대해 길이 방향에 어긋난 상태로 겹춤으로써, 일단부에 있어서, 중앙의 판재가 외측의 2장의 판재로부터 움푹 패인 요철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있어서, 중앙의 판재가 외측의 2장의 판재로부터 돌출하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부는, 이음매부로서 기능하여, 1개의 건축 재료 유닛의 요철부를 다른 건축 재료 유닛의 요철부에 꽂아 끼워맞춘 후에 끼워맞춤 부분(이음매부)에 못을 박아 접합함으로써, 2개의 건축 재료 유닛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2006-316454호 공보(제6~10페이지, 제2, 8~16도)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건축 재료 유닛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즉, 이 건축 재료 유닛에서는, 요철부를 다른 건축 재료 유닛의 요철부에 꽂아 끼워맞추고, 끼워맞춘 부분에 못을 박아 접합함으로써, 2개의 건축 재료 유닛을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요철부를 다른 요철부에 꽂아 끼워맞춘 것 만으로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하중 등의 외력이 건축 재료 유닛에 작용했을 때에는, 이음매부 자체가 이들 외력에 대항할(외력을 지지할) 수 없고, 이 부분에 박은 못의 강성만으로 이들 외력에 대항하게(외력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건축 재료 유닛에는, 이 건축 재료 유닛을 이용하여 건축한 건축 구조물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 이 건축 재료 유닛에는, 요철부들을 끼워맞춘 후에 못을 박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건축 효율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구조체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연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조 재료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부측에 반턱 이음부를 구비하며, 복수를 연결하여 구조체를 구성하는 구조 재료로서, 상기 반턱 이음부는, 상기 구조 재료의 1개의 측면에 대향하는 제1 반턱 이음면과, 상기 구조 재료의 선단면보다 상기 구조 재료의 타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선단면에 평행하고 또한 상기 제1 반턱 이음면과 교차하는 제2 반턱 이음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면측과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측의 중간 위치보다 상기 선단면측의 영역에는,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제1 길이만큼 돌출함과 더불어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연재(延在)하고 또한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제2 길이만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출(延出) 부분이 연출하는 리브형상의 m개(m은, 3 이상의 임의의 양의 홀수인 n을 2로 나눈 값 이상의 정수 중 최소의 정수)의 제1 돌기부가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의 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 위치보다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측의 영역에는, 인접하는 상기 각 제1 돌기부 사이의 제1 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제1 직선 상에 연재함과 더불어 대응하는 상기 각 제1 간극의 폭과 각각 같은 폭으로 또한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상기 제1 길이만큼 각각 돌출하는 리브형상의 k개(k는, n-m)의 제2 돌기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에는,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에 있어서의 상기 각 제1 돌기부의 상기 제2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제2 직선과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의 각 교점을 통과하며 상기 1개의 측면에 직교하는 제3 방향을 따른 각 제3 직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제3 길이만큼 이격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대응하는 상기 제1 돌기부의 폭과 각각 같은 폭으로 또한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상기 제2 길이만큼 각각 돌출하는 m개의 제3 돌기부와, 상기 각 제3 직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각 제3 돌기부로부터 제4 길이만큼 이격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배치된 각각의 상기 제3 직선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3 돌기부의 폭과 각각 같은 폭으로 또한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상기 제2 길이만큼 각각 돌출하는 m개의 제4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선단면에는, 상기 각 제2 직선과 상기 선단면의 각 교점을 통과하여 상기 제3 방향을 따른 각 제4 직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각 제1 돌기부로부터 상기 제3 돌기부의 길이만큼 이격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대응하는 상기 제1 돌기부와 각각 같은 폭으로 상기 제4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고 또한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상기 제2 길이만큼 각각 돌출하는 m개의 제5 돌기부와, 상기 각 제5 돌기부 사이의 각 제2 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제3 방향을 따른 각 제5 직선을 따라 각각 연재함과 더불어 대응하는 상기 각 제2 간극의 폭과 각각 같은 폭으로 또한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상기 제2 길이만큼 각각 돌출하는 리브형상의 k개(k는, n-m)의 제6 돌기부가 설치되고, 1개의 상기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간극에 다른 1개의 상기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돌기부가 끼워맞춰지고, 상기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제3 돌기부와 상기 제4 돌기부 사이의 제3 간극에 상기 다른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제5 돌기부가 끼워맞춰지며, 상기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상기 각 제3 돌기부 사이의 제4 간극 및 인접하는 상기 각 제4 돌기부 사이의 제5 간극에 상기 다른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제6 돌기부가 끼워맞춰지고, 상기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반턱 이음면과 상기 제3 돌기부 사이의 제6 간극에 상기 다른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연출 부분이 끼워맞춰져, 상기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반턱 이음부와 상기 다른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반턱 이음부가 걸어맞춰지고, 상기 각 반턱 이음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1개의 구조 재료와 상기 다른 1개의 구조 재료가 연결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조 재료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조 재료에 있어서, 1장의 판재로 형성된 판형상 부재, 및 복수장의 판재를 적층하여 형성된 판형상 부재 중 어느 하나의 판형상 부재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겹쳐 구성되어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조 재료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조 재료에 있어서,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에는, 상기 제1 직선과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의 각 교점을 통과하여 상기 제3 방향을 따른 각 제6 직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제5 길이만큼 이격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4 간극 및 상기 제5 간극의 폭과 같은 폭으로 또한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상기 제2 길이만큼 돌출하는 k개의 제7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6 돌기부에는, 상기 제7 돌기부와의 끼워맞춤이 가능한 절결이 형성되어 있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조 재료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조 재료에 있어서,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에는, 상기 제1 직선과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의 각 교점을 통과하여 상기 제3 방향을 따른 각 제6 직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제5 길이만큼 이격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4 간극 및 상기 제5 간극의 폭과 같은 폭으로 또한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상기 제2 길이만큼 돌출하는 k개의 제7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6 돌기부에는, 상기 제7 돌기부와의 끼워맞춤이 가능한 절결이 형성되어 있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조 재료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조 재료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측면에 직교하는 측면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제7 간극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조 재료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조 재료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측면에 직교하는 측면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제7 간극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조 재료는,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조 재료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측면에 직교하는 측면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제7 간극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 청구항 8에 기재된 구조 재료는,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조 재료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측면에 직교하는 측면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제7 간극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 청구항 9에 기재된 구조 재료는,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 재료에 있어서, 상기 구조 재료의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의 양방에 상기 반턱 이음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구조 재료에 의하면, 반턱 이음부에 있어서의 제1 반턱 이음면의 제1 영역에 리브형상의 m개의 제1 돌기부를 설치하고, 제1 반턱 이음면의 제2 영역에 k개의 제2 돌기부를 설치하며, 반턱 이음부에 있어서의 제2 반턱 이음면에 m개의 제3 돌기부 및 m개의 제4 돌기부를 설치하고, 구조 재료의 선단면에 m개의 제5 돌기부 및 k개의 제6 돌기부를 설치함으로써, 2개의 구조 재료의 각 반턱 이음부들을 걸어맞추는 것 만으로, 못질을 행하는 일 없이, 연결한 각 구조 재료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제2 방향 및 제3 방향)으로의 각 구조 재료의 상대적인 이동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 구조 재료에 의하면, 구조 재료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했다고 해도, 그 외력에 대항하여 각 반턱 이음부들의 걸어맞춤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구조체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이 구조 재료에 의하면, 못질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연결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조 재료에 의하면, 판형상 부재를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겹쳐 구성한 것에 의해, 각 판형상 부재에 각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수많은 돌기부를 뒤얽힌 상태로 배치한 복잡한 형상의 반턱 이음부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조 재료에 의하면, 제2 반턱 이음면에 제7 돌기부를 설치하고, 제7 돌기부와의 끼워맞춤이 가능한 절결을 제6 돌기부에 형성한 것에 의해, 2개의 구조 재료의 반턱 이음부들을 걸어맞췄을 때에, 반턱 이음부에 있어서의 각부의 끼워맞춤에 더해, 제7 돌기부와 절결이 끼워맞춰지기 때문에, 구조 재료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각 구조 재료의 상대적인 이동을 보다 확실히 규제할 수 있으므로, 구조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구조체의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조 재료에 의하면, 1개의 측면에 직교하는 측면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 사이에 제1 방향을 따라 제7 간극이 발생하도록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를 설치한 것에 의해, 2개의 구조 재료의 각 반턱 이음부들을 걸어맞췄을 때에, 제7 간극에 의해 삽입 통과 구멍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삽입 통과 구멍에 말뚝을 삽입함으로써, 각 구조 재료들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반)을 확실히 규제하여 각 구조 재료를 강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조 재료에 의하면, 구조 재료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양방에 반턱 이음부를 구비한 것에 의해, 각 반턱 이음부와 다른 구조 재료의 반턱 이음부를 걸어맞춤으로써, 3개 이상의 구조 재료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이 구조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길이가 긴 구조체를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구조 재료(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구조 재료(1)에 있어서의 반턱 이음부(6)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구조 재료(1)에 있어서의 반턱 이음부(6)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구조 재료(1)에 있어서의 반턱 이음부(6)의 정면도이다.
도 5는 구조 재료(1)에 있어서의 반턱 이음부(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구조 재료(1)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는 제1 설명도이다.
도 7은 구조 재료(1)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는 제2 설명도이다.
도 8은 구조 재료(1)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는 제3 설명도이다.
도 9는 구조 재료(1)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는 제4 설명도이다.
도 10은 구조 재료(1)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는 제5 설명도이다.
도 11은 구조 재료(1A)에 있어서의 반턱 이음부(6A)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구조 재료(1A)에 있어서의 반턱 이음부(6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구조 재료(1B)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1 판형상 부재(11B)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2 판형상 부재(12B)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구조 재료(1B)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구조 재료(1C)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구조 재료(1C)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구조 재료의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처음으로, 도 1에 도시하는 구조 재료의 일례로서의 구조 재료(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구조 재료(1)는, 구조체(일례로서, 건축물의 구체)를 구성하기 위한 구조 재료로서,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일단부(2)측에 반턱 이음부(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구조 재료(1)는, 복수의 판형상 부재를 겹쳐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조 재료(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장(후술하는 「m」과 같은 수)의 제1 판형상 부재(11)와, 2장(후술하는 「k」와 같은 수)의 제2 판형상 부재(12)(이하, 제1 판형상 부재(11)와 제2 판형상 부재(12)를 구별하지 않을 때에는 「판형상 부재(11, 12)」라고 한다)를 겹쳐, 각 판형상 부재(11, 12)를 접착제로 접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이 구조 재료(1)에서는, 1장의 판재(일례로서, 두께가 24mm인 합판)로 형성된 판형상 부재(11, 12)를 이용하고 있는데, 2장 이상의 판재를 적층하여 형성된 판형상 부재(11, 12)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이 예에서는, 목재로 형성된 판재를 이용하고 있는데, 목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 수지(발포 수지 및 무발포 수지), 고무, 콘크리트, 석재 등으로 형성된 판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반턱 이음부(6)는, 2개의 구조 재료(1)의 각 반턱 이음부(6)들을 걸어맞춤으로써 각 구조 재료(1)를 연결하는 이음매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반턱 이음부(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조 재료(1)에 있어서의 4개의 측면(4a~4d) 중 측면(4c)(「1개의 측면」에 상당한다)에 대향하는 제1 반턱 이음면(61)과, 구조 재료(1)의 선단면(5)보다 구조 재료(1)의 타단부(3)(도 1 참조)측에 위치하고 선단면(5)에 평행하고 또한 제1 반턱 이음면(61)과 교차하는 제2 반턱 이음면(62)을 갖고 있다. 이 경우, 반턱 이음부(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반턱 이음면(61)이 선단면(5) 및 제2 반턱 이음면(62)에 대해 일례로서 80о를 이루도록(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반턱 이음부(6)는, 선단면(5)과 제2 반턱 이음면(62)이 같은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반턱 이음면(61)에 있어서의 선단면(5)측과 제2 반턱 이음면(62)측의 중간 위치(61c)보다 선단면(5)측의 제1 영역(61a)에는, 3개(3 이상의 임의의 양의 홀수인 n(이 예에서는 5)을 2로 나눈 값 이상의 정수 중 최소의 정수로서의 m개의 일례)의 제1 돌기부(P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제1 돌기부(P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반턱 이음면(61)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제1 반턱 이음면(61)으로부터 길이(L1)(「제1 길이」에 상당하고, 일례로서 30mm)만큼 돌출함과 더불어, 제1 반턱 이음면(61)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재하며, 또한 선단면(5)으로부터 제1 방향(D1)을 따라 길이(L2)(「제2 길이」에 상당하고, 일례로서 30mm)만큼 연출하는(이하, 연출하는 부분을 「연출 부분」이라고도 한다) 리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제1 돌기부(P1)는, 도 2,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반턱 이음면(61)의 폭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제1 돌기부(P1) 중 2개의 제1 돌기부(P1)가 제1 영역(61a)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3개의 제1 돌기부(P1) 중 다른 1개의 제1 돌기부(P1)가 제2 방향(D2)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제1 돌기부(P1)는, 제2 방향(D2)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반턱 이음면(61)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61c)보다 제2 반턱 이음면(62)측의 제2 영역(61b)에는, 2개(n-m으로서의 k개의 일례(이 예에서는, n이 5, m이 3))의 제2 돌기부(P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제2 돌기부(P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각 제1 돌기부(P1) 사이의 간극(G1)(「제1 간극」에 상당한다)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폭방향)의 중심을 통과하여 제1 방향(D1)을 따른 제1 직선(S1) 상에 연재함과 더불어, 대응하는 각 간극(G1)(연재하는 제1 직선(S1) 상에 위치하는 간극(G1))의 폭(W1)과 각각 같은 폭으로, 또한 제1 반턱 이음면(61)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제1 반턱 이음면(61)으로부터 길이(L1)(도 3 참조:이 예에서는, 30mm)만큼 각각 돌출하는 리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구조 재료(1)에서는, 각 제1 돌기부(P1)와 각 제2 돌기부(P2)가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구조 재료(1)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4b)(「1개의 측면에 직교하는 측면」에 상당한다)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제1 돌기부(P1)와 제2 돌기부(P2) 사이에 제1 방향(D1)을 따른 간극(G7)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간극(G7)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구조 재료(1)(동 도면에 있어서의 구조 재료(1x, 1y))의 각 반턱 이음부(6)(동 도면에 있어서의 반턱 이음부(6x, 6y))들을 걸어맞췄을 때에, 각 구조 재료(1)의 길이 방향(D4)으로의 이반을 규제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말뚝을 삽입 가능한 삽입 통과 구멍(H)을 형성한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반턱 이음면(62)에는, 3개(m개)의 제3 돌기부(P3)와, 3개(m개)의 제4 돌기부(P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제3 돌기부(P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반턱 이음면(61)에 있어서의 각 제1 돌기부(P1)의 제2 방향(D2)(폭방향:도 4 참조)의 중심을 통과하여 제1 방향(D1)을 따른 제2 직선(S2)과 제2 반턱 이음면(62)의 각 교점(I1)을 통과하며 구조 재료(1)의 측면(4c)에 직교하는 제3 방향(D3)을 따른 각 제3 직선(S3) 상에 있어서의 제1 반턱 이음면(61)으로부터 길이(L3)(제3 길이에 상당한다)만큼 이격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반턱 이음면(61)과 제3 돌기부(P3) 사이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이(L3)의 간극(G6)(도 2도 참조)이 발생하고 있다. 또, 각 제3 돌기부(P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제1 돌기부(P1)(제3 돌기부(P3)가 배치되는 제3 직선(S3)에 연결되는 제2 직선(S2) 상에 위치하는 제1 돌기부(P1))의 폭(W2)과 각각 같은 폭으로,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반턱 이음면(62)으로부터 제1 방향(D1)을 따라 길이(L2)(이 예에서는, 30mm)만큼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각 제3 돌기부(P3) 사이의 간극(G4)(제4 간극에 상당한다)의 폭은, 상기한 간극(G1)의 폭(W1)과 같은 폭으로 되어 있다.
또, 각 제4 돌기부(P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제3 직선(S3) 상에 있어서의 각 제3 돌기부(P3)로부터 길이(L4)(「제4 길이」에 상당하고, 일례로서 30mm)만큼 이격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3 돌기부(P3)와 제4 돌기부(P4) 사이에는, 길이(L4)의 간극(G3)(도 2도 참조)이 발생하고 있다. 또, 각 제4 돌기부(P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제3 돌기부(P3)(제4 돌기부(P4)가 배치된 각각의 제3 직선(S3) 상에 위치하는 제3 돌기부(P3))의 폭(W2)과 각각 같은 폭으로,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반턱 이음면(62)으로부터 제1 방향(D1)을 따라 길이(L2)(이 예에서는, 30mm)만큼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각 제4 돌기부(P4) 사이의 간극(G5)(제5 간극에 상당한다)의 폭은, 각 제3 돌기부(P3) 사이의 간극(G4)의 폭(즉, 간극(G1)의 폭(W1))과 같은 폭으로 되어 있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면(5)에는, 3개(m개)의 제5 돌기부(P5)와, 2개(k개)의 제6 돌기부(P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제5 돌기부(P5)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제2 직선(S2)과 선단면(5)의 각 교점(I2)을 통과하여 제3 방향(D3)을 따른 각 제4 직선(S4) 상에 있어서의 각 제1 돌기부(P1)로부터 제3 방향(D3)을 따른 제3 돌기부(P3)의 길이(이하 「길이(La)」라고도 한다)만큼 이격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제5 돌기부(P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제1 돌기부(P1)(제5 돌기부(P5)가 배치되는 제4 직선(S4)에 연결되는 제2 직선(S2) 상에 위치하는 제1 돌기부(P1))의 폭(W2)과 각각 같은 폭으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길이(L4)(제3 돌기부(P3)와 제4 돌기부(P4)의 이격 거리로서, 이 예에서는 30mm)와 같은 길이를 갖고, 또한 선단면(5)으로부터 제1 방향(D1)을 따라 길이(L2)(이 예에서는, 30mm)만큼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선단면(5)과 제2 반턱 이음면(62)이 같은 형상이기 때문에(즉, 제3 방향(D3)을 따른 양면(5, 62)의 길이가 같기 때문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제5 돌기부(P5)의 측면(4c)측(동 도면에 있어서의 우측)의 단부로부터 선단면(5)에 있어서의 측면(4c)측의 가장자리부까지의 거리와, 제3 방향(D3)을 따른 제4 돌기부(P4)의 길이(이하 「길이(Lb)」라고도 한다)가 같은 길이로 되어 있다.
또, 각 제6 돌기부(P6)는, 각 제5 돌기부(P5) 사이의 각 간극(G2)(「제2 간극」에 상당한다:도 2, 4 참조)에 있어서의 제2 방향(D2)의 각 중심을 통과하여 제3 방향(D3)을 따른 각 제5 직선(S5)(도 3 참조)을 따라 각각 연재함과 더불어, 대응하는 각 간극(G2)(돌기부(P6)가 연재하는 제5 직선(S5) 상에 위치하는 간극(G2))의 폭(W3)(도 4 참조)과 각각 같은 폭으로 또한 선단면(5)으로부터 제1 방향(D1)을 따라 길이(L2)(도 3 참조:이 예에서는, 30mm)만큼 돌출하는 리브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구조 재료(1)는, 상기한 바와 같이, 3장의 제1 판형상 부재(11)와, 2장의 제2 판형상 부재(12)를 겹쳐 구성되어 있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돌기부(P1), 제3 돌기부(P3), 제4 돌기부(P4) 및 제5 돌기부(P5)가 각 제1 판형상 부재(11)에 각각 형성되며, 제2 돌기부(P2) 및 제6 돌기부(P6)가 각 제2 판형상 부재(12)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2개의 구조 재료(1)를 연결할 때에는, 도 6~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구조 재료(1)(이하, 「구조 재료(1x)」라고도 한다)의 반턱 이음부(6)(이하, 「반턱 이음부(6x)」라고도 한다)와 다른쪽의 구조 재료(1)(이하, 「구조 재료(1y)」라고도 한다)의 반턱 이음부(6)(이하, 「반턱 이음부(6y)」라고도 한다)를 걸어맞춘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턱 이음부(6x)를 상향으로 한 상태로 구조 재료(1x)를 배치하고, 반턱 이음부(6y)를 하향으로 한 상태의 구조 재료(1y)를 구조 재료(1x)의 상방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턱 이음부(6y)에 있어서의 각 제1 돌기부(P1) 및 각 제5 돌기부(P5)의 각 일단부와, 반턱 이음부(6x)에 있어서의 각 제3 돌기부(P3) 및 각 제4 돌기부(P4)의 각 일단부가 맞닿는 위치까지 구조 재료(1y)를 하향으로 이동시킨다(구조 재료(1y)를 구조 재료(1x)에 가까이 한다).
계속해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턱 이음부(6x)에 있어서의 제1 돌기부(P1) 및 제2 돌기부(P2)의 각 일단부가 반턱 이음부(6y)의 제1 반턱 이음면(61)에 맞닿고, 반턱 이음부(6y)에 있어서의 제1 돌기부(P1) 및 제2 돌기부(P2)의 각 일단부가 반턱 이음부(6x)의 제1 반턱 이음면(61)에 맞닿는 위치까지, 구조 재료(1y)를 횡방향(동 도면에 있어서의 우향)으로 이동시킨다(구조 재료(1y)를 구조 재료(1x)에 가까이 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조 재료(1y)를 하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턱 이음부(6x)의 간극(G1)(도 4 참조)에 반턱 이음부(6y)의 제2 돌기부(P2)가 끼워맞춰지고, 반턱 이음부(6x)에 있어서의 제3 돌기부(P3)와 제4 돌기부(P4) 사이의 간극(G3)에 반턱 이음부(6y)의 제5 돌기부(P5)가 끼워맞춰진다. 또, 반턱 이음부(6x)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각 제3 돌기부(P3) 사이의 간극(G4)(도 2, 4 참조) 및 인접하는 각 제4 돌기부(P4) 사이의 간극(G5)(도 2, 4 참조)에 반턱 이음부(6y)의 제6 돌기부(P6)가 끼워맞춰지고, 반턱 이음부(6x)에 있어서의 제1 반턱 이음면(61)과 제3 돌기부(P3) 사이의 간극(G6)(제6 간극)에 반턱 이음부(6y)의 제1 돌기부(P1)에 있어서의 선단면(5)으로부터의 연출 부분이 끼워맞춰진다. 또, 상기한 반턱 이음부(6x)의 각부와 반턱 이음부(6y)의 각부를 역전한 관계로 각부가 끼워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반턱 이음부(6x, 6y)가 걸어맞춰져, 각 구조 재료(1)가 연결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턱 이음부(6x, 6y)의 걸어맞춤에 의해 걸어맞춤 부분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 통과 구멍(H)에 도시하지 않은 말뚝을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각 구조 재료(1)들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반)이 확실히 규제되어, 각 구조 재료(1)가 보다 강고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구조 재료(1x, 1y)의 반턱 이음부(6x, 6y)들이 걸어맞춰진 상태에서는, 반턱 이음부(6x)의 간극(G1)으로의 반턱 이음부(6y)의 제2 돌기부(P2)의 끼워맞춤, 및 반턱 이음부(6x)의 간극(G4) 및 간극(G5)으로의 반턱 이음부(6y)의 제6 돌기부(P6)의 끼워맞춤에 의해 제2 방향(D2)(도 4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의 구조 재료(1x, 1y)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된다. 또, 반턱 이음부(6x)의 간극(G3)으로의 반턱 이음부(6y)의 제5 돌기부(P5)의 끼워맞춤, 및 반턱 이음부(6x)의 간극(G6)으로의 반턱 이음부(6y)에 있어서의 제1 돌기부(P1)의 연출 부분의 끼워맞춤에 의해 제3 방향(D3)(도 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의 구조 재료(1x, 1y)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된다.
즉, 이 구조 재료(1)에서는, 2개의 구조 재료(1)의 각 반턱 이음부(6)들을 걸어맞추는 것 만으로(못질을 행하는 일 없이), 연결한 각 구조 재료(1)의 길이 방향(D4)(도 10 참조)에 직교하는 방향(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에 외력이 작용했다고 해도, 그 외력에 대항하여 각 반턱 이음부(6)들의 걸어맞춤 상태(각 구조 재료(1)의 연결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구조 재료(1)에서는, 못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 재료(1)를 연결하는 작업의 효율, 나아가서는 연결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구조 재료(1)에 의하면, 반턱 이음부(6)에 있어서의 제1 반턱 이음면(61)의 제1 영역(61a)에 리브형상의 3개(m개)의 제1 돌기부(P1)를 설치하고, 제1 반턱 이음면(61)의 제2 영역(61b)에 2개(k개)의 제2 돌기부(P2)를 설치하며, 반턱 이음부(6)에 있어서의 제2 반턱 이음면(62)에 3개(m개)의 제3 돌기부(P3) 및 3개(m개)의 제4 돌기부(P4)를 설치하고, 구조 재료(1)의 선단면(5)에 3개(m개)의 제5 돌기부(P5) 및 2개(k개)의 제6 돌기부(P6)를 설치함으로써, 2개의 구조 재료(1)의 각 반턱 이음부(6)들을 걸어맞추는 것 만으로, 못질을 행하는 일 없이, 연결한 각 구조 재료(1)의 길이 방향(D4)에 직교하는 방향(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으로의 각 구조 재료(1)의 상대적인 이동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 구조 재료(1)에 의하면, 구조 재료(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외력이 작용했다고 해도, 그 외력에 대항하여 각 반턱 이음부(6)들의 걸어맞춤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 재료(1)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구조체(건축물의 구체 등)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이 구조 재료(1)에 의하면, 못질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연결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구조 재료(1)에 의하면, 복수의 제1 판형상 부재(11) 및 제2 판형상 부재(12)를 겹쳐 구성한 것에 의해, 각 판형상 부재에 각 돌기부(P1~P6)를 형성함으로써, 수많은 돌기부(P1~P6)를 뒤얽힌 상태로 배치한 복잡한 형상의 반턱 이음부(6)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 이 구조 재료(1)에 의하면, 측면(4b)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제1 돌기부(P1)와 제2 돌기부(P2) 사이에 제1 방향(D1)을 따라 간극(G7)이 발생하도록 제1 돌기부(P1) 및 제2 돌기부(P2)를 설치함으로써, 2개의 구조 재료(1)의 각 반턱 이음부(6)들을 걸어맞췄을 때에, 간극(G7)에 의해 삽입 통과 구멍(H)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삽입 통과 구멍(H)에 말뚝을 삽입함으로써, 각 구조 재료(1)들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반)을 확실히 규제하여 각 구조 재료(1)를 강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 재료는,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반턱 이음부(6)를 대신하여, 도 11에 도시하는 반턱 이음부(6A)를 구비한 구조 재료(1A)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한 구조 재료(1)와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구조 재료(1A)의 반턱 이음부(6A)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반턱 이음면(62)에, 2개(k개)의 제7 돌기부(P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제7 돌기부(P7)는, 상기한 제1 직선(S1)과 제2 반턱 이음면(62)의 각 교점(I3)을 통과하여 제3 방향(D3)을 따른 직선인 각 제6 직선(S6) 상에 있어서의 제1 반턱 이음면(61)으로부터 길이(L5)(제5 길이에 상당한다:일례로서 70mm)만큼 이격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제7 돌기부(P7)는, 간극(G4)(인접하는 제3 돌기부(P3) 사이의 간극) 및 간극(G5)(인접하는 제4 돌기부(P4) 사이의 간극)의 폭과 각각 같은 폭으로, 또한 제2 반턱 이음면(62)으로부터 제1 방향(D1)을 따라 길이(L2)(도 12 참조)만큼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반턱 이음부(6A)에서는, 제6 돌기부(P6)에, 제7 돌기부(P7)와의 끼워맞춤이 가능한 절결(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구조 재료(1A)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장(m장)의 제1 판형상 부재(11)와, 2장(k장)의 제2 판형상 부재(12A)를 겹쳐, 각 판형상 부재(11, 12A)를 접착제로 접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이 구조 재료(1A)에서는, 제1 돌기부(P1), 제3 돌기부(P3), 제4 돌기부(P4) 및 제5 돌기부(P5)가 각 제1 판형상 부재(11)에 각각 형성되고, 제2 돌기부(P2), 제6 돌기부(P6) 및 제7 돌기부(P7)가 각 제2 판형상 부재(12A)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 재료(1A)에서는, 제2 반턱 이음면(62)에 제7 돌기부(P7)를 설치하고, 제7 돌기부(P7)와의 끼워맞춤이 가능한 절결(C)을 제6 돌기부(P6)에 형성한 것에 의해, 2개의 구조 재료(1A)의 반턱 이음부(6A)들을 걸어맞췄을 때에, 상기한 반턱 이음부(6)에 있어서의 각부의 끼워맞춤에 더해, 제7 돌기부(P7)와 절결(C)이 끼워맞춰지기 때문에, 구조 재료(1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각 구조 재료(1A)의 상대적인 이동을 보다 확실히 규제할 수 있으므로, 구조 재료(1A)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구조체의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또, n을 5로 규정하고, 각각 m개로서의 3개의 제1 돌기부(P1), 제3 돌기부(P3), 제4 돌기부(P4) 및 제5 돌기부(P5)와, 각각 k개로서의 2개의 제2 돌기부(P2), 제6 돌기부(P6) 및 제7 돌기부(P7)를 설치한 예에 대해 상기했는데, 이들 각 돌기부의 수로서의 m개 및 k개는, 「m은, 3 이상의 임의의 양의 홀수인 n을 2로 나눈 값 이상의 정수 중 최소의 정수」라는 조건, 및 「k는, n-m」이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한 임의로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을 최저값으로서의 3으로 규정했을 때에는, m개를 2, k개를 1개로 규정할 수 있다. 또, n을 7로 규정했을 때에는 m개를 4, k개를 3개로 규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조 재료(1, 1A)를 구성하는 제1 판형상 부재(11)나 제2 판형상 부재(12, 12A)의 수도 각 돌기부의 수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판형상 부재(11)의 장수를, 제1 돌기부(P1), 제3 돌기부(P3), 제4 돌기부(P4) 및 제5 돌기부(P5)의 수인 m장으로 하고, 제2 판형상 부재(12, 12A)의 장수를, 제2 돌기부(P2), 제6 돌기부(P6) 및 제7 돌기부(P7)의 수인 k장으로 할 수 있다.
또, 두께가 24mm인 1장의 판재로 제1 판형상 부재(11) 및 제2 판형상 부재(12, 12A)를 각각 형성한 예에 대해 상기했는데, 각 판형상 부재(11, 12, 12A)의 두께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판형상 부재(11)와 제2 판형상 부재(12, 12A)에서 두께를 상이하게 해도 된다. 또, 복수의 제1 판형상 부재(11)를 서로 상이한 두께로 형성해도 되고, 제2 판형상 부재(12, 12A)가 복수장 존재할 때에는, 각 제2 판형상 부재(12, 12A)를 서로 상이한 두께로 형성해도 된다.
또, 복수의 판형상 부재(11, 12, 12A)를 겹친 구성을 대신하여, 단일 재료(예를 들어, 금속, 수지(발포 수지 및 무발포 수지), 고무, 콘크리트, 석재 등)로 구성한 구조 재료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일 재료를 이용하는 구성에서는, 일단부를 절삭하여 반턱 이음부(6, 6A)를 형성하는 방법이나, 반턱 이음부(6, 6A)를 본뜬 거푸집에 수지나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반턱 이음부(6, 6A)를 형성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제1 반턱 이음면(61)이 선단면(5) 및 제2 반턱 이음면(62)에 대해 80о를 이루어 경사지도록 구성한 예에 대해 상기했는데, 제1 반턱 이음면(61)의 경사 각도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 제1 반턱 이음면(61)이 선단면(5) 및 제2 반턱 이음면(62)에 대해 90о를 이루도록(경사지지 않도록) 반턱 이음부(6)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 2개의 구조 재료(1)의 각 반턱 이음부(6)들을 걸어맞췄을 때에 말뚝을 삽입 가능한 삽입 통과 구멍(H)을 형성하기 때문에, 측면(4b)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제1 돌기부(P1)와 제2 돌기부(P2) 사이에 간극(G7)이 발생하도록 구성한 예에 대해 상기했는데, 간극(G7)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삽입 통과 구멍(H)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도 13에 도시하는 구조 재료(1B)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한 구조 재료(1, 1A)와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구조 재료(1B)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단부(일단부 및 타단부)에 반턱 이음부(6B)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구조 재료(1B)는, 3장(m장)의 제1 판형상 부재(11B)(도 14 참조)와, 2장(k장)의 제2 판형상 부재(12B)(도 15 참조)를 겹쳐 구성되어 있다.
반턱 이음부(6B)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구조 재료(1A)의 반턱 이음부(6A)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돌기부(P1)~제7 돌기부(P7)를 구비함과 더불어, 이들에 더해, 3개(m개)의 제8 돌기부(P8), 2개(k개)의 제9 돌기부(P9), 3개(m개)의 제10 돌기부(P10), 및 2개(k개)의 제11 돌기부(P1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8 돌기부(P8)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판형상 부재(11B)에 있어서의 상기한 제3 직선(S3) 상의 제4 돌기부(P4)로부터 상기한 길이(L4)만큼 이격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8 돌기부(P8)의 폭 및 돌출 길이는, 제4 돌기부(P4)의 폭 및 돌출 길이와 각각 같은 길이로 규정되어 있다.
제9 돌기부(P9)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판형상 부재(12B)에 있어서의 상기한 제6 직선(S6) 상의 제7 돌기부(P7)로부터 길이(L4)만큼 이격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9 돌기부(P9)의 폭 및 돌출 길이는, 제7 돌기부(P7)의 폭 및 돌출 길이와 각각 같은 길이로 규정되어 있다.
제10 돌기부(P1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판형상 부재(11B)에 있어서의 상기한 제4 직선(S4) 상의 제5 돌기부(P5)로부터 상기한 길이(L4)만큼 이격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10 돌기부(P10)의 폭 및 돌출 길이는, 제5 돌기부(P5)의 폭 및 돌출 길이와 각각 같은 길이로 규정되어 있다.
제11 돌기부(P11)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판형상 부재(12B)에 있어서의 상기한 제5 직선(S5) 상의 제6 돌기부(P6)로부터 상기한 길이(Lb)만큼 이격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11 돌기부(P11)의 폭 및 돌출 길이는, 제6 돌기부(P6)의 폭 및 돌출 길이와 각각 같은 길이로 규정되어 있다.
이 구조 재료(1B)에서는, 양단부에 반턱 이음부(6B)가 설치되기 때문에,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반턱 이음부(6B)들을 걸어맞춤으로써, 3개 이상의 구조 재료(1B)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이 구조 재료(1B)를 이용함으로써, 길이가 긴 구조체를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 구조 재료(1B)의 반턱 이음부(6B)에서는, 반턱 이음부(6)의 각 제1 돌기부(P1)~제7 돌기부(P7)에 더해, 제8 돌기부(P8)~제11 돌기부(P11)를 설치하고 있는데, 각 제3 직선(S3)~각 제6 직선(S6) 상에 더 많은 돌기부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도 17에 도시하는 구조 재료(1C)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한 구조 재료(1, 1A, 1B)와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구조 재료(1C)는,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단부에 각각 2개의 반턱 이음부(6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구조 재료(1C)에서는, 일단부(동 도면에 있어서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대칭 형상이 되도록 2개의 반턱 이음부(6C)가 설치되고, 타단부(동 도면에 있어서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대칭 형상이 되도록 2개의 반턱 이음부(6C)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조 재료(1C)를 측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의 네 모퉁이에 반턱 이음부(6C)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반턱 이음부(6C)는, 상기한 구조 재료(1B)의 반턱 이음부(6B)와 같은 형상, 또는 반턱 이음부(6B)와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 재료(1C)에서는, 양단부에 각각 2개의 반턱 이음부(6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반턱 이음부(6C)들을 걸어맞춤으로써, 복수의 구조 재료(1C)를 종방향(상하 방향)만이 아닌, 횡방향(좌우 방향)으로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이 구조 재료(1C)를 이용함으로써, 길이가 긴 구조체만이 아닌, 벽형상의 구조체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구조 재료(1, 1B, 1C)를 이용하여 구조체의 일례로서의 건축물의 구체를 구성하는 예에 대해 상기했는데, 구조체는, 건축물의 구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토목용의 기둥형상체(봉형상체) 및 벽형상체 등의 구조체는 물론, 가정용품이나 스포츠 용품에 이용하는 기둥형상체(봉형상체) 및 벽형상체 등의 구조체에 구조 재료(1, 1B, 1C)를 이용할 수 있다.
1, 1A, 1B, 1C 구조 재료
2 일단부
3 타단부
4a~4d 측면
5 선단면
6, 6A, 6B, 6C 반턱 이음부
11 제1 판형상 부재
12, 12A 제2 판형상 부재
61 제1 반턱 이음면
61a 제1 영역
61b 제2 영역
61c 중간 위치
62 제2 반턱 이음면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3 제3 방향
G1~G7 간극
I1, I2 교점
L1~L5 길이
P1 제1 돌기부
P2 제2 돌기부
P3 제3 돌기부
P4 제4 돌기부
P5 제5 돌기부
P6 제6 돌기부
P7 제7 돌기부
S1 제1 직선
S2 제2 직선
S3 제3 직선
S4 제4 직선
S5 제5 직선
S6 제6 직선
W1~W3 폭
C 절결

Claims (9)

  1.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부측에 반턱 이음부를 구비하며, 복수를 연결하여 구조체를 구성하는 구조 재료로서,
    상기 반턱 이음부는, 상기 구조 재료의 1개의 측면에 대향하는 제1 반턱 이음면과, 상기 구조 재료의 선단면보다 상기 구조 재료의 타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선단면에 평행하고 또한 상기 제1 반턱 이음면과 교차하는 제2 반턱 이음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면측과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측의 중간 위치보다 상기 선단면측의 영역에는,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제1 길이만큼 돌출함과 더불어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연재(延在)하고 또한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제2 길이만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출(延出) 부분이 연출하는 리브형상의 m개(m은, 3 이상의 임의의 양의 홀수인 n을 2로 나눈 값 이상의 정수 중 최소의 정수)의 제1 돌기부가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의 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 위치보다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측의 영역에는, 인접하는 상기 각 제1 돌기부 사이의 제1 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제1 직선 상에 연재함과 더불어 대응하는 상기 각 제1 간극의 폭과 각각 같은 폭으로 또한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상기 제1 길이만큼 각각 돌출하는 리브형상의 k개(k는, n-m)의 제2 돌기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에는,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에 있어서의 상기 각 제1 돌기부의 상기 제2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제2 직선과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의 각 교점을 통과하며 상기 1개의 측면에 직교하는 제3 방향을 따른 각 제3 직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제3 길이만큼 이격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대응하는 상기 제1 돌기부의 폭과 각각 같은 폭으로 또한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상기 제2 길이만큼 각각 돌출하는 m개의 제3 돌기부와, 상기 각 제3 직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각 제3 돌기부로부터 제4 길이만큼 이격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배치된 각각의 상기 제3 직선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3 돌기부의 폭과 각각 같은 폭으로 또한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상기 제2 길이만큼 각각 돌출하는 m개의 제4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선단면에는, 상기 각 제2 직선과 상기 선단면의 각 교점을 통과하여 상기 제3 방향을 따른 각 제4 직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각 제1 돌기부로부터 상기 제3 돌기부의 길이만큼 이격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대응하는 상기 제1 돌기부와 각각 같은 폭으로 상기 제4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고 또한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상기 제2 길이만큼 각각 돌출하는 m개의 제5 돌기부와, 상기 각 제5 돌기부 사이의 각 제2 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제3 방향을 따른 각 제5 직선을 따라 각각 연재함과 더불어 대응하는 상기 각 제2 간극의 폭과 각각 같은 폭으로 또한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상기 제2 길이만큼 각각 돌출하는 리브형상의 k개(k는, n-m)의 제6 돌기부가 설치되고,
    1개의 상기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간극에 다른 1개의 상기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돌기부가 끼워맞춰지고, 상기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제3 돌기부와 상기 제4 돌기부 사이의 제3 간극에 상기 다른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제5 돌기부가 끼워맞춰지며, 상기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상기 각 제3 돌기부 사이의 제4 간극 및 인접하는 상기 각 제4 돌기부 사이의 제5 간극에 상기 다른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제6 돌기부가 끼워맞춰지고, 상기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반턱 이음면과 상기 제3 돌기부 사이의 제6 간극에 상기 다른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돌기부의 상기 연출 부분이 끼워맞춰져, 상기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반턱 이음부와 상기 다른 1개의 구조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반턱 이음부가 걸어맞춰지고, 상기 각 반턱 이음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1개의 구조 재료와 상기 다른 1개의 구조 재료가 연결되는, 구조 재료.
  2. 청구항 1에 있어서,
    1장의 판재로 형성된 판형상 부재, 및 복수장의 판재를 적층하여 형성된 판형상 부재 중 어느 하나의 판형상 부재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겹쳐 구성되어 있는, 구조 재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에는, 상기 제1 직선과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의 각 교점을 통과하여 상기 제3 방향을 따른 각 제6 직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제5 길이만큼 이격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4 간극 및 상기 제5 간극의 폭과 같은 폭으로 또한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상기 제2 길이만큼 돌출하는 k개의 제7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6 돌기부에는, 상기 제7 돌기부와의 끼워맞춤이 가능한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 재료.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에는, 상기 제1 직선과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의 각 교점을 통과하여 상기 제3 방향을 따른 각 제6 직선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제5 길이만큼 이격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4 간극 및 상기 제5 간극의 폭과 같은 폭으로 또한 상기 제2 반턱 이음면으로부터 상기 제2 길이만큼 돌출하는 k개의 제7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6 돌기부에는, 상기 제7 돌기부와의 끼워맞춤이 가능한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 재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측면에 직교하는 측면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제7 간극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 재료.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측면에 직교하는 측면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제7 간극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 재료.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측면에 직교하는 측면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제7 간극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 재료.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측면에 직교하는 측면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제7 간극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 재료.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재료의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의 양방에 상기 반턱 이음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조 재료.
KR1020170025491A 2017-02-27 2017-02-27 구조 재료 KR20180098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91A KR20180098847A (ko) 2017-02-27 2017-02-27 구조 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91A KR20180098847A (ko) 2017-02-27 2017-02-27 구조 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847A true KR20180098847A (ko) 2018-09-05

Family

ID=6359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491A KR20180098847A (ko) 2017-02-27 2017-02-27 구조 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88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758A (ko) * 2018-11-27 2020-06-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포 구조체 및 공포 구조체 생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454A (ja) 2005-05-11 2006-11-24 Nippon System Sekkei:Kk 建築材料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454A (ja) 2005-05-11 2006-11-24 Nippon System Sekkei:Kk 建築材料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758A (ko) * 2018-11-27 2020-06-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포 구조체 및 공포 구조체 생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5854B1 (en) Joint between wood pieces
JPH08109734A (ja) 木質床材の接合部構造
KR20180098847A (ko) 구조 재료
JP2016516925A (ja) 結合ストリップを含む二枚のパネルから構成される建築要素
JP2016023442A (ja) コーナーパネル、コーナーパネルユニット、コーナー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コーナー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6605339B2 (ja) 構造材料
JP2018016978A (ja) 構造部材
JP7018012B2 (ja) 柱梁仕口構造の構築方法
KR102047837B1 (ko) 결속력 강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적층시공방법
JP7155490B2 (ja) 木質床材、木質床材の固定構造及び木質床材の製造方法
JP7392251B2 (ja) 柱梁接合構造
JPH0649914A (ja) 折曲可能な繊維板連結構造
JP2021063337A (ja) 木質部材の補強構造及び木質部材の補強方法
JP6043638B2 (ja) 床見切り、床構造
JP7036379B2 (ja) 壁材の接合構造
JP2007021776A (ja) 合板、及び合板の接合構造
JP7215789B1 (ja) 接合構造
JPS6122903A (ja) 単位材
JP2022146650A (ja) 梁木質床版接合構造
JP7311389B2 (ja) 梁材
JP2003003591A (ja) 建築用ブロック
JP6851658B2 (ja) ログ材
JP2022023449A (ja) 床鋼板が係合配置される床構造
JP3232998U (ja) テーブル
JP7273686B2 (ja) 梁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