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137A - 화상 형성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137A
KR20180098137A KR1020180017360A KR20180017360A KR20180098137A KR 20180098137 A KR20180098137 A KR 20180098137A KR 1020180017360 A KR1020180017360 A KR 1020180017360A KR 20180017360 A KR20180017360 A KR 20180017360A KR 20180098137 A KR20180098137 A KR 20180098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 value
video count
unit
ton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아키 히로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8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62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copy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03G15/0862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the level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41Detecting a toner image, e.g. density, toner coverage, using a test patc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87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receiving image dat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4Electronic sequencing control

Abstract

기록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에서 미리 정해진 단위 영역마다 비디오 카운트 값이 취득된다. 비디오 카운트 값이 취득되는 기록매체의 영역에 대해서 화상이 형성되면, 해당 영역으로부터 취득된 비디오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양의 토너로 현상부에 보급하도록, 취득된 비디오 카운트 값을 사용해서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장치 및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기록 매체 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장치가 카피나 퍼스널 컴퓨터(PC) 프린트등의 인쇄 처리를 행할 경우, 화상 형성장치는 토너제를 사용해서 화상을 형성한 토너 상을 작성하고, 그 작성된 토너 상을 기록 매체에 정착시킨다. 이러한 토너 상을 형성시키는 화상 형성장치의 프린터 엔진은 현상기를 구비한다. 현상기는, 토너 보틀이나 카트리지로부터 토너제의 보급을 받고, 토너제를 저장하는 저장 기구를 가진다. 화상 형성장치가 인쇄를 개시하면, 현상기는, 토너 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양의 토너제를, 토너제의 저장 기구로부터 기록 매체에 대하여 출력한다.
화상 형성장치가 연속해서 인쇄를 하기 위해서는, 토너 상을 형성하기 위해 소비한 토너제의 양에 해당하는 양의 토너제를 현상기에 보급할 필요가 있다. 소비한 양의 토너를 현상기에 순차 보급함으로써, 토너제가 부족하여 화상농도의 불균일이 생기는 것을 막고 있다. 토너제의 보급량은, 형성한 토너 상에 사용한 토너제의 소비량에 관련성이 높은 비디오 카운트 값을 측정하고, 그 측정치에 근거하여 토너제의 소비된 토너제의 양을 산출하는 것으로 얻어진다. 페이지 단위로 형성된 토너 상의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해서, 취득한 비디오 카운트 값을 프린터 엔진에 통지한다. 그 결과, 현상기에 토너제의 보급량이 주어진다.
최근에는, 화상 형성장치의 고속화와 저장 기구의 용량감소화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페이지 단위에서의 비디오 카운트 값에 근거하여 화상 형성장치가 그것의 저장 기구에 토너를 제 시간에 보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경우에, 화상농도의 불균일이 생겨 버리는 일이 있다. 일본국 특개 2012-168461호 공보에서는, 소비할 토너제의 예측값의 정보를 화상 데이터와 함께 보내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일본국 특개 2012-168461호 공보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와 그 화상 데이터의 예측값의 정보를 함께 보내므로, 저장 기구의 용량이 작을 경우에는, 인쇄 도중에 보급 제어 처리가 제 시간에 토너제의 소모량을 따라잡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현상기의 용량을 크게 할 필요가 생기고, 코스트가 상승된다.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토너의 보급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화상 형성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화상 형성장치는, 기록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에서 미리 정해진 단위 영역마다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상기 비디오 카운트 값이 취득되는 상기 기록매체의 영역에 대해서 화상이 형성되면, 해당 영역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비디오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양의 토너로 현상부에 보급하도록,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비디오 카운트 값을 사용해서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토너의 보급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화상 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하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화상 형성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인쇄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4는 콘트롤러와 인쇄부 사이에 행해지는 처리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5는 토너제의 보급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토너제의 보급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토너제를 연속 보급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통지 코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토너제의 보급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통지 코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이하의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관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또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모두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때,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장치(100)는, 예를 들면 인쇄 기능이나 판독기능, 팩시밀리(FAX0기능 등, 복수의 기능을 갖는 복합기(MFP)이다. 콘트롤러(113)는, 화상 형성장치(100)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기판이다. 콘트롤러(113)의 내부의 중앙처리장치(CPU)(101)는, 시스템 버스를 거쳐, 메모리(102), 기억부(103), 판독 전용 메모리(ROM)(104), 화상처리부(115)를 제어한다. 또한, 통신부 인터페이스(IF)(105)를 거쳐,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등의 네트워크(114)와 화상 형성장치(100)가 접속된다. 통신부IF(105)은, 유선 매체나 무선 매체 등, 네트워크(114)의 매체에 따른 구성을 가진다. 또한, 스캐너IF(109)를 거쳐, 판독부(110)와 콘트롤러(113)가 접속되어, 프린터IF(106)를 거쳐, 인쇄부(107) 및 카세트부(108)와, 콘트롤러(113)가 접속된다. 또한, 조작부IF(111)를 거쳐, 조작부(112)와 콘트롤러(113)가 접속된다.
화상 형성장치(100)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하드디스크나 플로피디스크 등의 기억부(103)에 기억되고 있다. 이들 프로그램이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순차 메모리(102)에 판독되어서 CPU(101)에 의해 실행된다. 기억부(103)는, 착탈가능한 기억부이거나, 화상 형성장치(100)에 내장되어서 있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은, 네트워크(114)를 거쳐 다른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되어서 기억부(103)에 격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메모리(102)에는, 예를 들면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와 같은 불휘발성메모리,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된다. 그렇지만, 메모리(102)는, 양쪽의 메모리의 성질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의 성질을 메모리(102)가 가지고, 불휘발 메모리의 성질을 기억부(103)가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달리, 메모리(102)는, 화상 형성장치(100)로부터 분리가능한 메모리 매체이어도 된다.
조작부(112)는, 터치패널이나 하드웨어 키 등을 구비하고 있고, CPU(101)에 의해 제공된 표시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종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유저로부터의 설정과 지시의 조작을 접수한다. 조작부(112)에서 접수된 정보는, CPU(101), 메모리(102), 기억부(103) 중 어느 한개에 전송, 축적되어, 여러가지 처리에 사용된다.
CPU(101)은, 통신부IF(105)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통신부IF(105)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에 의해, 네트워크(114)에 접속된 외부의 장치와 통신가능하다. 예를 들면, CPU(101)은, 외부의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인쇄 잡이나 인쇄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잡의 실행 결과를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IF(105)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메모리(102) 혹은 기억부(103)에 격납되는 경우가 있다.
CPU(101)은, 프린터IF(106)를 거쳐, 프린터 엔진의 구성을 포함하는 인쇄부(107)와, 인쇄 데이터나 스테이터스 정보등,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인쇄부(107)는, 전자사진 방식의 프린터 엔진의 구성으로서, 대전, 노광, 현상, 전사, 정착의 각 프로세스에 따른 구성을 가지고, 기록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록 매체 위에 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CPU(101)은, 스캐너IF(109)를 거쳐, 스캐너 엔진의 구성을 포함하는 판독부(110)와, 판독 데이터나 스테이터스 정보 등,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판독부(110)는, 도 1에 미도시의 원고대나 자동 원고 급송장치(ADF)로부터 공급된 원고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판독부(110)는 발광 다이오드(LED) 등의 광원 및 이미지센서를 가지는 이미지센서 유닛을 가진다. 판독 데이터는, 메모리(102) 혹은 기억부(103)에 격납되는 경우가 있다.
데이터가 통신부IF(105)나 판독부(110)로부터 취득될 뿐만 아니라, 착탈가능한 메모리(102)가 화상 형성장치(100)에 부착되는 경우에, 메모리(102)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취득할 경우도 있다. 또한, 기억부(103)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는 메모리(102)로 이동하거나, 혹은,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작부(112)를 통해 내려진 지시에 근거하여, 메모리(102)의 화상 데이터에 여러가지 부가 화상을 합성한다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의 화상 형성장치(100)는, 인쇄부(107), 판독부(110)를 구비하지만, 네트워크(114) 상에 주변기기로서 인쇄부(107), 판독부(110)가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 경우, 콘트롤러(113)가 통신부IF(105)를 거쳐 이들 주변기기를 제어한다.
화상처리부(115)는, 취득된 데이터에 대하여, 압축/해동, 보정, 변환, 편집 등, 여러가지 화상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화상처리부(115)는, 판독부(110)에서 취득된 판독 데이터나, 인쇄부(107)에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행한다. 화상처리부(115)는, 하드웨어로 구성되어도 되고,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달리, 화상처리부(115)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능 양쪽을 겸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상처리부(115)는, 도 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비디오 카운트부(121), 인터럽트 제어부(122), 레지스터(123)를 가진다. 먼저, 기록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비디오 카운트 값은 비디오 카운트부(121)에 의해 취득된다. 그후, 취득된 비디오 카운트 값은 레지스터(123)에 격납되어, CPU(101)에 의해 판독된다. 인터럽트 제어부(122)는, 비디오 카운트 값이 레지스터(123)에 격납되면, CPU(101)에 대하여, 비디오 카운트 값이 레지스터(123)에 격납된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다.
도 2a 및 도 2b는, 화상처리부(115)에서 비디오 카운트값을 취득하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화상처리부(115)는 그것에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201)를, 부주사 방향으로 배치된 영역 203으로 분할하고 영역 203마다 비디오 카운트 값의 취득을 행한다. 부주사 방향은, 인쇄부(107)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에 대응한다. 각각의 비디오 카운트 값은, 예를 들면, 화소신호에 대응하는 클록 신호의 펄스수를 카운터에 의해 적산함으로써 취득된다. 각각의 비디오 카운트 값은, 화소마다의 농도에 대응한다. 따라서, 비디오 카운트 값의 취득에 의해, 인쇄부(107)에 있어서 정전잠상을 토너에 의해 현상화하기 위해 소비되는 토너량, 즉 토너 보급량을 구할 수 있다. 화상처리부(115)는, 토너 보급량과 비디오 카운트 값이 대응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화상 데이터로부터 취득한 비디오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토너 보급량에 근거하여 토너의 보급 제어 처리를 행한다. 이 테이블은, 예를 들면, 기억부(103)에 보존되어 있다.
도 2a는, 화상 데이터(201)가 부주사 방향으로 배치된 5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화상처리부(115)는, 화상 데이터(201)의 부주사 방향의 일단에 배치된 영역 203에서 시작하여 순차,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한다. 예를 들면, 202 라인에 해당하는 비디오 카운트 값을 화상처리부(115)가 취득한 후, 화상처리부(115)는 취득된 값을 판독 영역 203의 비디오 카운트 값으로서 레지스터(123)에 격납한다. 그리고, 화상처리부(115)는, 비디오 카운트 값을 레지스터(123)에 격납한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CPU(101)에 출력한다.
이와 달리, 도 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화상처리부(115)는, 부주사 방향 이외에, 주 주사 방향으로 화상 데이터(201)를 분할해도 된다. 주 주사 방향은, 부주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인쇄부(107)에 있어서의 현상 슬리브의 길이 방향에 대응한다. 도 2b는, 화상 데이터(201)가 부주사 및 주 주사 방향으로 배치된 더 작은 영역으로 분할되고 화상 처리부(115)이 각 영역 204 내지 209에로부터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와 마찬가지로, 화상 처리부(115)이 202라인에 해당하는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한 후, 화상 처리부(115)은 취득된 각 값은, 영역 204 내지 209의 각각의 비디오 카운트 값으로서 레지스터(123)에 격납된다. 그리고, 화상처리부(115)는, 비디오 카운트 값을 레지스터(123)에 격납한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CPU(101)에 출력한다.
도 3은, 화상 형성장치(100)에 의해 행해진 인쇄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3의 각 처리는, 예를 들면 CPU(101)이 ROM(104)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메모리(102)에 판독해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3의 처리는, 예를 들면, 조작부(112)를 통해 유저로부터 카피 등의 인쇄 처리의 실행의 지시를 CPU(101)이 접수하면 개시된다.
스텝 S301에 있어서, CPU(101)은, 인쇄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페이지 중 본처리의 대상 페이지에 관한 레지스터 설정을 화상처리부(115)에 대하여 지시한다. 스텝 S302에 있어서, CPU(101)은, 인쇄부(107)에 대하여 인쇄 개시 요구를 출력한다. 인쇄부(107)는, 콘트롤러(113)로부터 인쇄 개시 요구를 수신하면, 프린터 엔진의 각 부의 준비 동작을 개시한다. 준비 동작이 종료하면, 인쇄부(107)는, 콘트롤러(113)에 인쇄 개시가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다.
스텝 S303에 있어서, CPU(101)은, CPU(101)가 인터럽트 신호를 검출하였는지 판정한다. CPU(101)는 인터럽트 신호의 검출을 대기한다(스텝 S303에서 NO). CPU(101)가 인터럽트 신호를 검출하면(스텝 S303에서 YES), 스텝 S304로 처리가 진행된다. 인터럽트 신호의 예로는, 인쇄부(107)로부터 출력되는 인쇄 개시가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와, 화상처리부(115)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카운트 값이 레지스터에 격납된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포함한다.
스텝 S304에 있어서, CPU(101)은, 검출한 인터럽트 신호를 해석하여, 인쇄 개시가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인쇄 개시가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스텝 S304에서 YES), 스텝 S30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305에 있어서, CPU(101)은, 인쇄부(107)에 인쇄 개시를 지시한다. 스텝 S305의 후, 스텝 S306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304에서, 인쇄 개시가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가 아니라고 CPU(101)가 판정한 경우(스텝 S304에서 NO), 스텝 S305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텝 S306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306에 있어서, CPU(101)은, 검출한 인터럽트 신호를 해석하여, 비디오 카운트 값이 레지스터9123)에 격납된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비디오 카운트 값이 레지스터9123)에 격납된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스텝 S306에서 YES), 스텝 S307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307에 있어서, CPU(101)은, 레지스터(123)로부터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스텝 S308에 있어서, CPU(101)은, 취득한 비디오 카운트 값에 근거하여 토너 보급량을 인쇄부(107)에 대하여 통지한다. 스텝 S308에서는, CPU(101)가 취득한 비디오 카운트 값을 토너 보급량으로서 인쇄부(107)에 대하여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308의 후, 스텝 S309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306에서, 비디오 카운트 값이 레지스터(123)에 격납된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스텝 S306에서 NO), 스텝 S309로 처리가 진행된다.
화상처리부(115)는, 도 2a에 나타내는 각 영역 203으로부터 비디오 카운트 값을 비디오 카운트부(121)가 취득해서 비디오 카운트 값을 레지스터(123)에 격납할 때마다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므로, CPU(101)은,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으로 배치된 영역 203 각각에 대해 비디오 카운트 값을 반복하여 취득하게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인쇄부(107)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의 인쇄와, 화상처리부(115)에 의한 비디오 카운트 값의 취득 및 인쇄부(107)에의 토너 보급량의 통지는 동기하지 않고 있다.
스텝 S309에 있어서, CPU(101)은, 인쇄부(107)로부터의, 해당 인쇄 처리의 대상 페이지의 인쇄 종료를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CPU(101)가 검출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페이지의 인쇄 종료를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CPU(101)가 검출하였을 경우(스텝 S309에서 YES), 스텝 S31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310에 있어서, CPU(101)은, 인쇄부(107)로부터의, 해당 인쇄 처리의 대상 화상 데이터의 인쇄 종료를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CPU가 검출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310에서, 화상 데이터의 인쇄 종료를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CPU(101)가 검출한 경우(스텝 S310에서 YES), 스텝 S311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311에 있어서, CPU(101)은, 인쇄부(107)에 대하여 인쇄 종료 처리를 행한다. 대상 페이지의 인쇄 종료를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CPU(101)가 검출하고 있지 않거나(스텝 S309에서 NO) 또는 대상 화상 데이터의 인쇄 종료를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CPU(101)가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10에서 NO), 스텝 303으로 처리가 되돌아가 스텝 S303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본실시예에서는, 스텝 S303 내지 309의 처리의 반복에 의해, 스텝 S307의 비디오 카운트 값의 취득 처리가 페이지마다 복수회 행해진다. 그러한 구성에 의해, 페이지가 완전히 인쇄되기 전에 토너의 잔량이 떨어져 버리는 것에 의해, 인쇄가 정지하거나 혹은 화질이 저하한다고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장치(100)가 페이지를 인쇄하기 전의 토너 잔량이 "10"(충전 상태)을 나타낸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화상 형성장치(100)가 현상화의 처리를 부주사 방향으로 1/4 및 2/1 완료한 시점에서의 토너 잔량이 각각 "8" 및 "3"이라고 가정한다. 여기에서, 화상 형성장치(100)가 현상화의 처리를 부주사 방향으로 3/4 완료한 시점에서, 토너 잔량이 "0"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인쇄가 정지하거나 혹은 화질이 저하해버린다. 그러나, 본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0)가 현상화의 처리를 부주사 방향으로 1/4 완료한 시점에서의 토너 잔량이 "8"을 표시하더라도, 토너 소비량 "2"에 해당하는 동일한 양의 토너가 보급되므로, 토너 잔량이 다시 "충전 상태"를 나타낸다. 더구나, 화상 형성장치(100)가 현상화의 처리를 부주사 방향으로 1/2 완료된 시점에서 토너 잔량이 "5"를 나타내더라도, 토너 소비량 "5"에 해당하는 동일한 양의 토너가 보급되므로, 토너 잔량을 다시 "충전 상태"를 표시한다.
도 4는, 1페이지의 인쇄 처리에 있어서의 콘트롤러(113)와 인쇄부(107) 사이에서 행해지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스텝 S40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트롤러(113)는, 인쇄부(107)에 대하여, 인쇄 개시 요구를 통지한다. 이 스텝 S401은 도 3의 스텝 S302에 대응한다. 그리고, 스텝 S40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인쇄부(107)가 프린터 엔진의 준비 동작을 종료하면, 인쇄부(107)는 인쇄 개시가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콘트롤러(113)에 출력한다. 이 스텝 S402는 도 3의 S304에서의 "YES"에 대응한다. 그리고, 스텝 S40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인쇄부(107)는, 콘트롤러(113)의 지시에 의해 인쇄를 개시한다. 이 스텝 S403은, 도 3의 스텝 S305에 대응한다.
스텝 S403의 인쇄 처리가 진행함에 따라서, 스텝 S40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트롤러(113)가 비디오 카운트 값이 레지스터(123)에 격납된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검출한다. 이 스텝 S404는 도 3의 S306에서 "YES"에 대응한다. 콘트롤러(113)가 그 인터럽트 신호를 검출하면, 콘트롤러(113)는 레지스터(123)로부터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한다. 이 스텝 S404는 도 3의 스텝 S307에 대응한다. 그리고, 스텝 S40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트롤러(113)는, 인쇄부(107)에 대하여 비디오 카운트 값에 근거하여 토너 보급량을 통지한다. 이 스텝 S405는 도 3의 스텝 S308에 대응한다. 또한, 스텝 S40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인쇄부(107)는, 토너 보급량의 통지를 받으면, 그 토너 보급량에 대응하는 토너량을 현상기에 보급한다. 이후, 스텝 S404 내지 스텝 S406의 처리가 페이지마다 복수회 반복해서 행해진다.
스텝 S40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인쇄부(107)가 기록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인쇄 처리를 종료하면, 인쇄 종료를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를 인쇄부(107)가 출력하고, 콘트롤러(113)가 그 인터럽트 신호를 검출한다. 이 스텝 S407은 도 3의 스텝 S310에서의 "YES"에 대응한다. 그리고, 스텝 S40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트롤러(113)는, 인쇄부(107)에 대하여 인쇄 종료 처리를 행한다. 이 스텝 S408은 도 3의 스텝 S311에 대응한다.
도 5 및 도 6은, 콘트롤러(113)가 비디오 카운트 값을 인쇄부(107)에 통지하고, 현상기(현상장치)에 토너제가 보급되는 처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을 대응시켜서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트롤러(113)는, 기록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영역마다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한다. 도 5에서는, 콘트롤러(113)가 부주사 방향으로 배치된 각각의 영역으로부터 이 순서로 비디오 카운트 값 3, 5, 5, 2, 0을 취득한다. 그리고, 콘트롤러(113)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부(107)의 프로세서에 대하여 각 영역의 비디오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토너 보급량을 순차적으로 통지해 간다.
인쇄부(107)의 프로세서가 토너 보급량의 통지를 받으면, 프로세서는 현상기에 대한 보급 신호를 출력한다. 인쇄부(107)의 프로세서는, 보급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 모터를 구동시켜, 토너 보틀이나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반송부를 거쳐 현상기에 토너제의 보급을 행한다.
도 6은, 도 5의 현상기의 주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현상기에의 토너제의 보급이 행해지면, 현상기 내부의 현상제 공급부에는 토너제의 보급이 행해진다. 현상제 공급부는, 주 주사 방향측으로 일렬에 구성되어 있고, 정전잠상의 현상화 처리에 있어서 사용되는 토너제를 저장해 둘 수 있다. 상기한 토너 보급량에 근거하여, 일정한 양의 토너제가 현상제 공급부에 대하여 보급된다. 도 6은, 비디오 카운트 값 "3"에 근거하여 주 주사 방향측으로 일정한 양 "3"의 토너제의 보급이 행해지는 개념을 나타내고 있다. 현상제 공급부에 대한 토너제의 보급은, 현상제를 순환시키는 기구와 토너제의 보급 타이밍에 의해 제어된다.
도 7은, 통지된 토너 보급량에 근거하여, 현상제 공급부에 토너제를 연속 보급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중의 최상단은 인쇄 개시전의 현상제 공급부를 나타내며, 이들 공급부에는 토너제가 충전되어 있다. 인쇄가 개시되면, 현상화의 처리가 진행함에 따라서, 현상제 공급부로부터 토너제가 소비되어 간다.
도 7의 두 번째 상단 부분, 현상제 공급부로부터 소비되는 토너제의 양(음영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현상제 공급부로부터 음영 영역으로 표시된 토너제가 소비되어, 흑색으로 표시된 토너제가 남는다. 콘트롤러(113)는, 음영 영역으로 표시된 소비한 토너제에 대응하는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하고, 토너 보급량을 인쇄부(107)에 통지한다. 인쇄부(107)는, 토너 보급량의 통지를 받으면, 도 7의 위에서 세 번째 부분에 있는 현상제 공급부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정된 토너 보급량에 대응하는 값에 근거하여, 현상기의 현상제 공급부에 토너제를 보급한다. 그 결과, 현상제 공급부는, 토너제가 다시 충전된다.
도 7의 위에서 네 번째 부분은 현상제 공급부에서 그후 소모된 토너제의 양(음영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현상제 공급부에 의해 음영 영역으로 표시된 토너제가 소비되어, 흑색으로 표시된 토너제가 남는다. 콘트롤러(113)는, 소비한 음영 영역으로 표시한 토너제에 대응하는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하고, 토너 보급량을 인쇄부(107)에 통지한다. 인쇄부(107)는, 토너 보급량의 통지를 받으면, 도 7의 위에서 다섯 번째 부분에 있는 현상제 공급부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이, 통지된 토너 보급량에 근거하여, 현상기의 현상제 공급부에 토너제를 보급한다. 그 결과, 현상제 공급부는 다시 토너제로 충전된다.
본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1페이지의 인쇄중에, 소정의 영역마다 비디오 카운트 값에 근거하여 토너 보급량을 인쇄부(107)에 통지해서, 토너제의 보급을 반복하여 행한다. 그 결과, 1페이지의 인쇄중에서 토너제가 없어져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영역 단위마다 토너의 보급이 행해지므로, 현상제 공급부의 용량을 소형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취득한 비디오 카운트 값을 토너 보급량으로서 인쇄부(107)에 통지한다. 이하에서는, 취득한 비디오 카운트 값을 처리하고, 이 처리에 의해 얻어진 값을 토너 보급량으로서 인쇄부(107)에 통지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콘트롤러(113)에 의해 행해진 비디오 카운트 값의 처리와, 인쇄부(107)에 대하여 송신되는 통지 코맨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비디오 카운트 값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에서, 화상처리부(115)에 의해 취득되어서 레지스터(123)에 격납된 비디오 카운트 값(이하, 레지스터 판독값이라고 한다)은 32비트 데이터이다. 본실시형태에서는, 콘트롤러(113)는, 레지스터(123)로부터 판독한 비디오 카운트 값을 인쇄부(107)에 통지하는 것 대신에, 16비트의 데이터로 비디오 카운트 값을 변환한 후 비디오 카운트 값을 인쇄부(107)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콘트롤러(113)는 32비트의 레지스터 판독값과 이전 페이지로부터의 이월된 16비트의 수치를 가산하고, 그 결과 얻어진 비디오 카운트 값의 상위 16비트 값을 인쇄부(107)에 통지하고, 하위 16비트는 다음 페이지의 처리로 이월한다.
예를 들면, 레지스터 판독값이 0x00030105이고, 이전 페이지로부터의 이월된 16비트 값이 0x5678이었다고 하면, 가산 결과는 0x0003577D이다. 이 경우, 콘트롤러(113)는, 상위 16비트 값 0x0003을 인쇄부(107)에 통지한다. 그리고, 콘트롤러(113)는, 이월된 하위 16비트 값 0x577D를 메모리(102) 또는 기억부(103)에 격납한다. 다음 페이지의 처리시에, 콘트롤러(113)가 하위 16비트 값 0x577D를 호출해서 마찬가지로 가산을 행한다.
레지스터 판독값이 0x0003FFFF이고, 이전 페이지로부터 이월된 16비트 값이 0x5678이었다고 하면, 가산 결과는, 0x00045677이 된다. 이 경우, 콘트롤러(113)는, 상위 16비트 값 0x0004를 인쇄부(107)에 통지한다. 그리고, 콘트롤러(113)는, 이월된 하위 16비트 값 0x5677을 메모리(102) 또는 기억부(103)에 격납한다. 다음 페이지의 처리시에, 콘트롤러(113)가 하위 16비트 값 0x5677을 호출해서 마찬가지로 가산을 행한다.
이에 따르면, 레지스터 판독값의 상위 비트 값에 주목한 라운딩처리를 행함으로써, 인쇄부(107)에 통지하는 데이터량을 저감시킨다. 콘트롤러(113)는 대상 페이지에 대한 나머지 부분(fraction)을 반올림(rounding off)하므로, 추가된 토너 량은 실제의 소비된 토너량보다 작은 값이 된다. 그렇지만, 다음 페이지의 처리에 나머지 부분을 이월하기 때문에, 그 차분이 보충된다.
도 8b는, 1색의 비디오 카운트 값의 통지에 대한 코맨드인 통지 코맨드의 구성 예를 나타내고 있다. 콘트롤러(113)가 인쇄부(107)에 통지하는 통지 코맨드는, "코맨드 번호", "코맨드 사이즈", "색", "카운트 값" 필드로 구성된다. 도 8b에 나타내는 각각의 박스는 1바이트의 데이터를 표시한다. 코맨드 번호 필드는, 2바이트의 데이터로 표현하고, 통지 코맨드는, 0xA0A1이다. 코맨드 사이즈 필드는, 코맨드 번호를 포함하는 코맨드 전체의 데이터량을 나타내고 있고, 도 8b에서의 코맨드의 데이터량은 6바이트다. 색 필드는, 1바이트의 하위 4비트를 사용해서 각 색을 표현하고 있다. 도 8b에서는, 0x01은 흑색(K)을 표현하고 있다. 카운트 값 필드는, 도 8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산출된 카운트 값이다.
도 8c는, 인쇄부(107)가 황색(Y), 마젠타(M), 시안(C) 및 흑색(K)의 4색을 출력하는 칼라프린터인 경우의 통지 코맨드의 구성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와 마찬가지로, YMCK 각 색에 대해 카운트 값이 산출된다. 도 8c에서는, Y, M, C 및 K에 대해 각각 0x0001, 0x001E, 0x000A, 0x0003이 산출된다. 각 색에 대해서 카운트 값 필드가 구성되어 통지 코맨드가 12바이트 데이터인 점에서, 도 8c의 통지 코맨드가 도 8b와는 다르다.
또한, 인쇄부(107)가 다색의 칼라프린터일 경우에도, 모노크롬 인쇄 특정한 인쇄 지정이 있었을 경우에는, 콘트롤러(113)는 특정한 출력 색에 관한 토너 보급량을 나타내는 통지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동작을 특정한 인쇄 모드, 예를 들면, 고화질 인쇄 모드의 지정이 있었을 경우에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도 8a 내지 도 8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콘트롤러(113)는 레지스터 판독값으로 격납된 32비트의 데이터를 인쇄부(107)에 곧바로 통지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콘트롤러(113)는 32비트 데이터의 상위 비트 값에 주목해서 보다 적은 데이터량을 인쇄부(107)에 통지한다. 이에 따라, 콘트롤러(113)와 인쇄부(107) 사이의 데이터 통신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9와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주 주사 방향으로 배치된 영역 각각에서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할 경우의, 비디오 카운트 값의 처리와 통지 코맨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서 나타낸 보급 제어가, 주 주사 방향으로 배치된 6개의 영역에 대응하는 비디오 카운트 값에 근거해서 행해지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주 주사 방향으로 배치된 6개의 영역으로 각각의 영역 203이 분할되어 있는 점에서 도 6과 다르지만, 각 영역에 대해 행해지는 보급 제어 처리는, 도 6에 있어서의 설명과 같다. 도 9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면, 복수의 현상제 공급부가 주 주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적용되어도 된다.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현상제 공급부에 의한 소비량인, 주 주사 방향으로 배치된 각 영역에 대응하는 토너 소비량 3, 5, 1, 4, 1, 2가 인쇄부(107)에 통지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주 주사 방향으로 배치된 각 영역으로부터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할 경우의, 콘트롤러(113)에 의해 행해진 비디오 카운트 값의 처리와, 인쇄부(107)에 대하여 송신되는 통지 코맨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대응하는 레지스터 판독값으로부터의 비디오 카운트 값의 처리는,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그러나, 도 10a에서는, 도 8a에 나타낸 1개의 영역을 도 8a의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얻어진 6개의 영역으로부터 취득한 비디오 카운트 값이, 레지스터(123)에 격납되어 있다.
도 10a의 경우, CPU(101)은, 도 3의 스텝 S306에서 1개의 인터럽트 신호가 검출될 때마다, 6개의 영역의 레지스터 판독값을 판독하고, 각각의 카운트 값(토너 보급량)의 산출을 행한다. 도 10a에서, 산출된 각 영역의 비디오 카운트 값이 0x0003, 0x0005, 0x0001, 0x0004, 0x0001, 0x0002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카운트 값에 근거하는 통지 코맨드의 구성 예를 나타내고 있다. 각 필드의 구성은 도 8b에서 나타낸 것과 같지만, 카운트 값의 필드는 6개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확장된다. 따라서, 코맨드 사이즈도, 도 8b에서 나타낸 것보다도 커지고 있다.
도 10c는, 인쇄부(107)가 YMCK의 4색을 출력하는 칼라프린터인 경우의 통지 코맨드의 구성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c에 나타낸 것과 같이, YMCK 각 색에 대해 영역에 대응하는 카운트 값이 취득된다. 코맨드의 구성도, 도 8c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지만, 카운트 값의 필드가 24 영역 전체(6개의 영역 각각은 4개의 색 YMCK로 표시된다)를 포함하도록 확장된다. 이들 코맨드를 인쇄부(107)에 통지함으로써, 주 주사 방향으로 배치된 각 색의 현상제 공급부 각각에게 적절한 양의 토너제가 보급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1)

  1. 기록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에서 미리 정해진 단위 영역마다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상기 비디오 카운트 값이 취득되는 상기 기록매체의 영역에 대해서 화상이 형성되면, 해당 영역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비디오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양의 토너로 현상부에 보급하도록,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비디오 카운트 값을 사용해서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단위 영역을 분할하여 얻어진 각각의 영역으로부터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하는 화상 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단위 영역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페이지보다 작은 화상 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상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비디오 카운트 값을 사용해서 상기 화상 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토너 보틀로부터 토너를 상기 현상부에 반송하도록 구성된 기구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비디오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상기 토너의 보급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화상 형성부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의 화상의 기록을 개시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부에게 요구하는 화상 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의 타이밍과 상기 출력의 타이밍이 서로 다른 화상 형성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비디오 카운트 값의 나머지 부분(fraction)을 반올림(rounding off)하는 라운딩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처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상기 비디오 카운트 값에 대하여 행해진 상기 라운딩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토너의 보급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상기 화상 형성부에 출력하는 화상 형성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의 보급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카운트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보다도 데이터량이 더 적은 화상 형성장치.
  11. 기록 매체 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어방법으로서,
    기록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에서 미리 정해진 단위 영역마다 비디오 카운트 값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비디오 카운트 값이 취득되는 상기 기록매체의 영역에 대해서 화상이 형성되면, 해당 영역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비디오 카운트 값에 대응하는 양의 토너로 현상부에 보급하도록, 취득된 상기 비디오 카운트 값을 사용해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KR1020180017360A 2017-02-24 2018-02-13 화상 형성장치 및 제어방법 KR201800981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33724 2017-02-24
JP2017033724A JP2018138975A (ja) 2017-02-24 2017-02-24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137A true KR20180098137A (ko) 2018-09-03

Family

ID=6324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360A KR20180098137A (ko) 2017-02-24 2018-02-13 화상 형성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108124B2 (ko)
JP (1) JP2018138975A (ko)
KR (1) KR201800981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41762B2 (ja) * 2019-07-11 202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8329B2 (ja) * 2003-03-10 2009-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18951B2 (ja) * 2003-09-19 2009-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20168461A1 (en) * 2011-01-05 2012-07-05 Diversapack Llc Reuseable housing for flexible pouch with fitment
JP5691603B2 (ja) 2011-02-16 2015-04-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46453A1 (en) 2018-08-30
US20190049886A1 (en) 2019-02-14
US10656584B2 (en) 2020-05-19
JP2018138975A (ja) 2018-09-06
US10108124B2 (en)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4357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用プログラム
JP6201557B2 (ja) 画像形成装置
US106565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2015080104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97917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46341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727936B1 (ko) 3레벨 현상 방법을 채용한 프린터의 하프톤 처리 방법, 이에 적합한 프린팅 방법, 그리고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105789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determines a fixing temperature for a fixing operation based on toner amounts of blocks of image data and related image form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41131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n image by transferring an image onto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image form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0004520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2155218A (ja) 画像形成装置
JP5079065B2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0304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01222145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527473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4733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9302648A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システムの立ち上げ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H10186768A (ja) 画像形成装置
US2018012914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5777584B2 (ja) 画像処理装置
JP6364934B2 (ja) 書込処理装置、書込処理システム、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22079239A (ja) 画像形成装置
JP593273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2063594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30619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