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898A - 전기 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898A
KR20180096898A KR1020170023255A KR20170023255A KR20180096898A KR 20180096898 A KR20180096898 A KR 20180096898A KR 1020170023255 A KR1020170023255 A KR 1020170023255A KR 20170023255 A KR20170023255 A KR 20170023255A KR 20180096898 A KR20180096898 A KR 20180096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amount
electric vehicle
estimated
power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921B1 (ko
Inventor
지명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3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921B1/ko
Priority to US15/646,541 priority patent/US10500973B2/en
Priority to CN201710665337.8A priority patent/CN108454418B/zh
Publication of KR20180096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45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for optimising the use of energy
    • B60L11/185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60L11/1838
    • B60L11/18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1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character input or menus, e.g. menus of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1Explanation of functions, e.g. i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9Remaining operating distance or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828Mounting or fastening exchangeabl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828Mounting or fastening exchangeable modules
    • B60K2360/834Dock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60L2210/14Boost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B60L2210/42Voltage source inverters
    • B60L223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4Energy consumption esti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61Guidance output on an external device, e.g. car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사용자 단말에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설정 받는 입력부; 및 목적지까지 주행 시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목적지까지 주행 시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에 기초하여 충전부의 충전 방식을 결정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전기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의 형태에 따라 내연 기관 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순수 전기 자동차로 구분할 수 있다. 내연 기관 자동차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형태의 자동차로서,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는 자동차의 형태이다. 내연 기관 자동차의 연료로 사용되는 화석 연료의 고갈 문제와 환경 오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전기 자동차가 개발되고 그 보급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의 일 예로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모터와 내연 기관 엔진을 구비하고 내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여 모터를 구동하거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여 모터를 구동한다.
전기 자동차의 다른 예로서, 순수 전기 자동차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적 반응 시 발생하는 전기로 배터리를 충전하여 모터를 구동하거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여 모터를 구동한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가 충분히 충전되어 있지 않으면 운행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운행에 앞서 충전된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계획의 설립이 매우 중요하다.
개시된 실시예는 전력 소모량을 예측하여 배터리의 전력 분배 방식을 결정하는 전기 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사용자 단말에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설정 받는 입력부; 및 목적지까지 주행 시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목적지까지 주행 시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에 기초하여 충전부의 충전 방식을 결정한다.
제어부는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충전부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충전부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을 감소시킨 이후, 목적지까지 주행 시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목적지까지 주행 시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다시 산출하고, 다시 산출한 결과,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충전부의 전력 공급을 중지시킬 수 있다.
전기 자동차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다시 산출한 결과,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통신부의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전기 자동차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다시 산출한 결과,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큰 경우, 충전부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이 감소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설정 받은 경우, 목적지까지 주행 시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목적지까지 주행 시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설정된 목적지가 없는 경우, 배터리의 충전량 및 충전부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가 주행 가능한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되, 디스플레이는 전기 자동차가 주행 가능한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의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큰 경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충전량에 기초하여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큰 경우, 통신부와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이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준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충전량에 기초하여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은, 충전부가 사용자 단말에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설정 받는 단계; 목적지까지 주행 시 제어부가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목적지까지 주행 시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에 기초하여 충전부의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충전부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목적지까지 주행 시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목적지까지 주행 시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다시 산출하는 단계; 및 다시 산출하는 단계의 결과,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충전부의 전력 공급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의 전력 공급을 중지시키는 단계는, 다시 산출하는 단계의 결과,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충전부의 전력 공급을 중지시키고,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통신부의 연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다시 산출하는 단계의 결과,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큰 경우, 충전부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이 감소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은 목적지를 설정 받는 단계 이전에, 제어부가 목적지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목적지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목적지까지 주행 시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목적지까지 주행 시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설정 받는 단계 이전에, 설정된 목적지가 없는 경우, 제어부가 배터리의 충전량 및 충전부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가 주행 가능한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가 전기 자동차가 주행 가능한 거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큰 경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충전량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상도를 변경시키는 단계는,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큰 경우, 통신부와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이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준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충전량에 기초하여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의 충전 방식 또는 연결 방식을 제어함으로써 제한된 배터리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의 일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환, 명세서 전체에서 "충전량"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또는 사용자 단말 등 장치에서 가용할 수 있는 이미 충전된 전력량을 의미하고,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은 전력의 공급 속도를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전기 자동차,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방법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전기 자동차(1)는 외형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윈드쉴드(12)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전기 자동차(1) 내부의 탑승자에게 전방 시야를 제공하면서 바람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한다. 아웃사이드 미러(14)는 탑승자에게 전기 자동차(1)의 측면 및 측후방의 시야를 제공한다. 아웃사이드 미러(14)는 좌측과 우측의 도어(31) 각각에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도어(31)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탑승자의 출입이 가능하며, 폐쇄 시에 전기 자동차(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도어(31)는 도어 시건 장치(40)를 이용하여 잠금/해제할 수 있다. 도어 시건 장치(40)의 잠금/해제는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1)에 접근하여 도어 시건 장치(40)의 버튼이나 레버를 직접 조작하는 방법과 전기 자동차(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잠금/해제하는 방법이 있다.
안테나(15)는 텔레매틱스와 DMB, 디지털 TV, GPS 등의 방송/통신 신호 등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방송/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다기능 안테나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방송/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일 기능 안테나일 수 있다.
전륜(22)과 후륜(21)은 각각 전기 자동차(1)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며, 엔진(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1)는 제어부(110), 배터리(120), 충전부(130), 인버터(140), 모터(150), 컨버터(160), 및 다른 전장 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제어부(110)는 전기 자동차(1)의 각 전장 요소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 동력 계통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배터리(120)의 충전과 방전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의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전기 자동차(1)의 운행 일정과 배터리(120)의 배터리 충전 상태(SOC)에 따라 전기 자동차(1)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500)과의 연결 방식 또는 사용자 단말(500)의 충전 방식 등을 조정하여 배터리(12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기 자동차(1)에 접속하거나 전기 자동차(1)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SOC는 배터리(120)의 현재 충전 상태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내연 기관 엔진을 탑재한 자동차의 연료 게이지와 같은 개념이다.
도 2에서 제어부(110)와 배터리(120), 인버터(140), 통신부(180) 및 메모리(170) 사이의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CAN(Control Area Network)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배터리(120)와 인버터(140), DC/DC 컨버터(160), 모터(150), 및 충전부(130) 사이의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배터리(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Electric Power)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며, 통신부(180)와 사용자 단말(500) 사이의 굵은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통신부(180)의 외부 통신장치와 송수신하는 통신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충전부(130)와 사용자 단말(500) 간 이중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충전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120)의 전력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배터리(120)는 플러그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한다. 배터리(120)에 저장되는 전력은 모터(150)의 구동 에너지로 사용된다.
충전부(130)는 배터리(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500)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충전부(130)는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 등의 다양한 무선충전방식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전력선 등 다양한 단자연결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사용자 단말(500)에 공급할 수 있다.
인버터(140)는 배터리(120)의 전압을 다상 교류 전력(예를 들면 U, V, W의 3상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15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인버터(140)에서 만들어지는 다상 교류 전력의 형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인버터(140)로 인가된다.
모터(150)는 인버터(140)의 다상 교류 전력에 의해 구동하여 동력(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모터(150)의 회전력은 전기 자동차(1)의 전륜(22) 또는 후륜(21)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컨버터(160)는 배터리(12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레벨로 승압 또는 강압한다. 컨버터(160)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은 전기 자동차(1)에 구비되는 다양한 전장 요소(예를 들면 등화류나 제어부(110), 멀티미디어 기기 등)에 공급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버터(160)는 전기 자동차(1) 내에서 멀티 미디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210; 도 3 참조)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10)가 제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또는 소프트웨어/펌웨어 등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메모리(170)에는 전기 자동차(1)의 운행 일정이나 공조기(162)의 설정 온도, 배터리(120)의 SOC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캐쉬(Cache),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는 제어부(110)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180)는 전기 자동차(1)의 외부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500), 또는 서버 등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통신부(180)는 수신한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10)가 생성한 제어 신호를 사용자 단말(500)과 같은 다른 장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80)는 근거리 통신,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NFC 통신, 직비(Zigbee) 통신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을 포함한다.
유선 통신은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 업계에서 주로 쓰이는 CAN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0)가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80)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5), 신호를 변복조하는 구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전술한 충전부(130)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상에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통신부(180)가 사용자 단말(500)과 연결되면 충전부(130)는 사용자 단말(500)의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입력부(19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190)을 입력 받는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90)는 유저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90)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설정 받고, 사용자 단말(500)과의 커넥티비티 연결을 해제시키거나, 출력되는 커넥티비티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기 위한 선택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커넥티비티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전기 자동차(1)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기 자동차(1)의 내부 특히 전면의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는 내비게이션 화면이나 오디오 화면, 공조기의 상태 등 전기 자동차(1)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를 표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전기 자동차(1)에는 사용자 단말(4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 충전기(50) 및 사용자 단말(500)과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연결 단자(6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10)는 전기 자동차(1)의 주행 가능 거리(211)와 충전소 검색(212), 배터리 충전 상태(213)를 표출하여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1)의 배터리(120)를 운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주행 가능 거리(211)는 현재의 배터리(120)의 충전량으로 주행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표시한다. 충전소 검색(212)은 전기 자동차(1)의 주변에 위치한 전기 충전소의 위치를 안내한다. 배터리 충전 상태(213)는 배터리(120)의 SOC를 백분율(%)로 나타낸다.
무선 충전기(50)는 충전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500)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보드에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기 자동차(1)의 다양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무선 충전기(50)는 무선으로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충전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무선 충전기(50)를 포함하나, 단자를 포함하여 단자연결방식으로 사용자 단말(500)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500)에 유선 충전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자는 도 3에 도시된 연결 단자(61)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충전부(130)는 연결 단자(61)를 통해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80)에 포함될 수 있다.
연결 단자(61)는 연결된 사용자 단말(500)과 유선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가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500)의 배터리 잔량, 사용자 단말(500)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사용자 단말(500)의 출력 화면 영상, 및 사용자 단말(500)에서 생성된 음향 신호 등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5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통신부(180)는 도 3에 도시된 연결 단자(61)를 포함하나, 무선 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무선 통신 방식 또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500)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무선 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은 도 3에 도시된 무선 충전기(50) 내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과 전기 자동차(1)의 통신부(180)가 연결되면, 디스플레이(210)에는 커넥티비티 영상이 표시될 수 있고, 커넥티비티 영상은 사용자 단말(500)이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표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의 예일 뿐이며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티비티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10)에 정보를 출력하거나 전기 자동차(1)를 제어하는 기술로, 전기 자동차(1)가 제공하는 커넥티비티 서비스는 애플 카플레이(Apple CarPlay), 안드로이드 오토(Android Auto), 노키아 미러링크(Nokia Mirrorlin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기 자동차(1)가 제공하는 커넥티비티 서비스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일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10)에는 내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210)는 목적지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거리 등 경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210)에는 커넥티비티 영상으로서 사용자 단말(500)에 표시되는 영상이 그대로 출력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210)에는 사용자의 선택 명령이 요구되는 다양한 화면을 출력될 수 있는 바, 디스플레이(210)의 화면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2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위치에 장착되는 것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1)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21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zma display panel),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고, 터치스크린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1)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1)에 관한 전술한 설명은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의 일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전기 자동차(1)는 사용자 단말(500)이 통신부(180)를 통해 연결되고, 충전부(130)를 통해 충전이 수행되고 있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110)가 입력부(19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전기 자동차(1)의 목적지를 설정 받은 경우(1110의 "예")의 전기 자동차(1)의 제어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제어부(110)는 설정 받은 목적지까지 주행 시 전기 자동차(1)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과, 설정 받은 목적지까지 주행 시 사용자 단말(500)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배터리(120)의 현재 충전량(SOC), 산출된 전기 자동차(1)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산출된 사용자 단말(500)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부의 충전 방식을 결정한다(1120, 1130).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전기 자동차(1)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500)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의 합을 배터리(120)의 현재 충전량(SOC)과 비교한다(1120).
배터리(120)의 현재 충전량(SOC)이 전기 자동차(1)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500)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의 합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1120의 "예"; 또는 배터리(120)의 현재 충전량(SOC)이 전기 자동차(1)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사용자 단말(500)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미리 설정된 오차 기준값의 총합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제어부(110)는 충전부(130)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을 감소시킨다(1130).
여기서 충전부(130)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것은, 충전부(130)가 무선충전방식으로 사용자 단말(500)을 충전시키는 경우, 시간 당 충전 전류량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충전부(130)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것은, 충전부(130)가 유선충전방식으로 사용자 단말(500)을 충전시키는 경우, 충전부(130)와 사용자 단말(500)의 연결 방식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충전부(130)가 USB단자로 구현된 경우, 제어부(110)는 USB단자의 연결 방식을 DCP (Dedicated Charging Port) 방식에서 CDP (Charging Downstream Port) 방식 또는 SDP (Standard Downstream Port) 방식으로 변경하거나, CDP 방식에서 SDP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충전부(130)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을 감소시킨 단계(1130) 이후, 설정된 목적지까지 주행 시 전기 자동차(1)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설정된 목적지까지 주행 시 사용자 단말(500)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다시 산출한다. 그리고, 배터리(120)의 현재 충전량(SOC), 전기 자동차(1)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500)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에 기초하여 충전부(130)의 사용자 단말(500)에 대한 전력 공급(즉, 충전)을 중지시키고, 통신부(180)를 통한 사용자 단말(500)과의 연결을 해제시키거나(1150), 또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충전부(130)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이 감소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을 알린다(1160).
구체적으로, 다시 산출한 결과, 배터리(120)의 현재 충전량(SOC)이 전기 자동차(1)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500)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의 합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1140의 "예"; 또는 배터리(120)의 현재 충전량(SOC)이 전기 자동차(1)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사용자 단말(500)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미리 설정된 오차 기준값의 총합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충전부(130)의 사용자 단말(500)에 대한 전력 공급(즉, 충전)을 중지시키고, 통신부(180)를 통한 사용자 단말(500)과의 연결을 해제시킨다(1150).
그러나, 다시 산출한 결과, 배터리(120)의 현재 충전량(SOC)이 전기 자동차(1)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500)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의 합보다 큰 경우(1140의 "아니오"; 또는 배터리(120)의 현재 충전량(SOC)이 전기 자동차(1)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사용자 단말(500)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미리 설정된 오차 기준값의 총합보다 큰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충전부(130)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이 감소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을 알린다(1160).
한편, 전술한 제어부(110)가 전기 자동차(1)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500)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의 합을 배터리(120)의 현재 충전량(SOC)과 비교하는 단계(1120)에서, 배터리(120)의 현재 충전량(SOC)이 전기 자동차(1)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사용자 단말(500)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의 합보다 큰 경우(1120의 "아니오"; 또는 배터리(120)의 현재 충전량(SOC)이 전기 자동차(1)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사용자 단말(500)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미리 설정된 오차 기준값의 총합보다 큰 경우), 도 7을 참조하면, 통신부(180)와 사용자 단말(500)이 연결된 이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170). 그리고, 기준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1170의 "예"; 즉, 사용자 단말(500)과 짧은 시간 내 연결된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500)의 현재 충전량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시킨다(1180, 1190, 1240-1270).
여기서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은 사용자 단말(500)에 표시되는 영상을 그대로 복제한 커넥티비티 영상일 수 있다.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시키는 것은 통신부(180)가 사용자 단말(500)에 영상의 해상도 변경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 및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변경된 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낮은 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할수록 사용자 단말(500)의 전력 소모량이 절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500)이 연결된 이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1170의 "예"),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500)의 현재 충전량과 미리 설정된 최저 기준값 및 최고 기준값을 비교하고, 사용자 단말(500)의 현재 충전량이 최저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1180의 "예"),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영상의 수신을 중지하고 음향 신호만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의 해상도를 최소 해상도로 변경시킬 수 있다(1190).
그러나,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500)의 현재 충전량이 최저 기준값보다 크되, 최고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1180의 "아니오", 1240의 "예"),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상도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1250),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90)를 통해 해상도 변경 명령을 수신하면(1260의 "예") 해상도 변경 명령에 따라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1270). 다만, 사용자 단말(500)의 현재 충전량이 최고 기준값보다 크거나(1240의 "아니오"), 또는 해상도 변경 명령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1260의 "아니오"),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의 해상도를 현재 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도 변경 명령은 해상도를 480p, 720p, 및 1080p 중 어느 한 해상도로 변경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500)이 연결된 이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경우(1170의 "아니오"; 즉, 사용자 단말(500)이 이미 연결 중인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500)의 충전량이 시간에 따라 감소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1230), 감소 중인 경우(1230의 "예")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50)의 충전량과 최저 기준값 및 최고 기준값을 비교하여(1180, 1240)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시키거나 영상 수신을 중지시킬 수 있다(1190, 1250-1270). 그러나, 사용자 단말(500)의 충전량이 시간에 따라 감소 중이지 아니한 경우(1230의 "아니오"),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의 해상도를 현재 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의 충전량을 판단하는 것은 통신부(180)가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배터리 상태 정보(예를 들어, Battery Service(BAS))를 수신하고, 제어부(110)가 배터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500)의 충전량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1)의 목적지가 설정되지 아니한 경우(1110의 "아니오"), 제어부(110)는 배터리(110)의 충전량 및 충전부(130)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가 주행 가능한 거리(즉, 안전 주행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1210), 이를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도 3의 211 참조).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전기 자동차
110: 제어부
120: 배터리
130: 충전부
140: 인버터
150: 모터
160: 컨버터
170: 메모리
180: 통신부
190: 입력부

Claims (20)

  1. 배터리;
    사용자 단말에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설정 받는 입력부; 및
    상기 목적지까지 주행 시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목적지까지 주행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부의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전기 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충전부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전기 자동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부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을 감소시킨 이후, 상기 목적지까지 주행 시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목적지까지 주행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다시 산출하고, 다시 산출한 결과,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충전부의 전력 공급을 중지시키는 전기 자동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다시 산출한 결과,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부의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전기 자동차.
  5. 제 3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다시 산출한 결과,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큰 경우, 상기 충전부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이 감소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설정 받은 경우, 상기 목적지까지 주행 시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목적지까지 주행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산출하는 전기 자동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목적지가 없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충전부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가 주행 가능한 거리를 계산하는 전기 자동차.
  8. 제 7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기 자동차가 주행 가능한 거리를 표시하는 전기 자동차.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시키는 전기 자동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큰 경우, 상기 통신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이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시키는 전기 자동차.
  11.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충전부가 사용자 단말에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설정 받는 단계;
    상기 목적지까지 주행 시 제어부가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목적지까지 주행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부의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충전부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까지 주행 시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목적지까지 주행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다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산출하는 단계의 결과,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충전부의 전력 공급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의 전력 공급을 중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다시 산출하는 단계의 결과,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충전부의 전력 공급을 중지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통신부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시 산출하는 단계의 결과,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큰 경우, 상기 충전부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이 감소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를 설정 받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목적지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목적지까지 주행 시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목적지까지 주행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을 산출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설정 받는 단계 이전에,
    설정된 목적지가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충전부의 시간 당 충전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가 주행 가능한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상기 전기 자동차가 주행 가능한 거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를 변경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이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의 전력 공급으로 인한 예상 전력 소모량보다 큰 경우, 상기 통신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이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제어방법.
KR1020170023255A 2017-02-22 2017-02-22 전기 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2322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255A KR102322921B1 (ko) 2017-02-22 2017-02-22 전기 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US15/646,541 US10500973B2 (en) 2017-02-22 2017-07-11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710665337.8A CN108454418B (zh) 2017-02-22 2017-08-07 电动车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255A KR102322921B1 (ko) 2017-02-22 2017-02-22 전기 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898A true KR20180096898A (ko) 2018-08-30
KR102322921B1 KR102322921B1 (ko) 2021-11-08

Family

ID=6316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255A KR102322921B1 (ko) 2017-02-22 2017-02-22 전기 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00973B2 (ko)
KR (1) KR102322921B1 (ko)
CN (1) CN10845441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537A (ko) * 2019-03-22 2020-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01166B1 (ko) * 2020-10-26 2021-09-10 주식회사 탑에프티 자기 부상 서스펜션이 구비된 전기 차량
WO2022186557A1 (ko) * 2021-03-02 2022-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252B1 (ko) * 2017-03-24 2019-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방법
KR20180121105A (ko) * 2017-04-28 2018-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그리드용 전기자동차의 양방향 충방전 방법 및 장치
CN113574357B (zh) * 2019-03-14 2023-07-1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诊断方法、车辆诊断系统和外部诊断装置
CN110001841B (zh) * 2019-04-24 2021-05-14 江苏新日电动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二轮车智能系统
CN110091748B (zh) * 2019-05-21 2021-09-03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电动车辆充电异常的处理方法、装置和车辆
KR20220060707A (ko) * 2020-11-05 2022-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7428118B2 (ja) * 2020-12-01 2024-0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バ、充電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776734A (zh) * 2021-01-06 2021-05-11 南京英莫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智能电源盒
KR20230101256A (ko) 2021-12-29 2023-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873A (ko) * 2012-01-10 2013-07-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장치,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모듈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방법
KR20160090679A (ko) * 2015-01-22 201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2949B1 (ko) * 2015-04-17 2016-10-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의 축전지를 기반으로 하는 ess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03654U (ko) * 2015-04-13 2016-10-21 (주)하이텍파츠 무선충전 크래들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08A (ja) * 1993-07-06 1995-01-31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電力供給制御装置
US6487477B1 (en) * 2001-05-09 2002-11-2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trategy to use an on-board navigation system for electric and hybrid electric vehicle energy management
JP4788643B2 (ja) * 2007-04-23 2011-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ハイブリッド車両用の充放電制御装置および当該充放電制御装置用のプログラム
JP4479768B2 (ja) * 2007-09-10 2010-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および自動車の充電方法
KR20110054135A (ko) * 2009-11-17 2011-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soc 밸런싱 제어 방법
JP5771902B2 (ja) * 2010-04-14 2015-09-02 ソニー株式会社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630356B2 (ja) * 2011-03-28 2014-11-26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JP5454537B2 (ja) * 2011-09-22 2014-03-2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車両の充電制御システム
CN103138300A (zh) * 2011-11-25 2013-06-05 威海鹿洲电动汽车研发有限公司 电动汽车智能充电装置
US20130158868A1 (en) * 2011-12-14 2013-06-20 Automotive Research & Testing Center Recursive route plann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US8938327B2 (en) * 2012-05-04 2015-01-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itioning between driveline braking modes
CN102665011B (zh) * 2012-06-05 2015-08-1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和情景模式处理方法
KR101221427B1 (ko) 2012-09-11 2013-01-21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스마트폰의 충전 시의 스마트폰과 내비게이션 장치의 자동 통신 방법
KR20140110291A (ko) 2013-03-07 2014-09-17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자동차의 모바일 충전 방법 및 그 시스템
US9114794B2 (en) * 2013-03-13 2015-08-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electric vehicle while charging
JP5623584B1 (ja) * 2013-04-19 2014-11-1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車両管理システム
KR101461895B1 (ko) * 2013-05-03 2014-11-1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시스템 및 셀 밸런싱 방법
KR101459489B1 (ko) * 2013-09-26 2014-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친환경 자동차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5115978A (ja) 2013-12-09 2015-06-22 株式会社デンソー 充電装置
US9718455B2 (en) * 2014-02-20 2017-08-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battery parameter identification using conditional extended kalman filter
DE102014203903A1 (de) * 2014-03-04 2015-09-1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rognose einer Reichweitenveränderung durch Ein- oder Ausschalten einer Fahrzeugfunktion eines Fahrzeugs
KR101519780B1 (ko) * 2014-03-14 2015-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의 예약 충전을 위한 제어 방법
US9272712B2 (en) * 2014-05-20 2016-03-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learning in the energy domain
KR20150142298A (ko) * 2014-06-11 2015-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차량 주행음 제어 장치
US9834114B2 (en) * 2014-08-27 2017-12-05 Quantumscape Corporation 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of use
US10048082B2 (en) * 2014-08-29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ute and model based energy estimation
US9759573B2 (en) * 2014-08-29 2017-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ute based energy consumption estimation using physical models
US9393921B1 (en) * 2015-04-13 2016-07-19 Quantumscape Corporation Solid-state battery management using real-time estimation of nano material electrical characteristics
DE102016223555A1 (de) * 2015-11-30 2017-06-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und System zum Betreiben eines Fahrzeugs mit Verbrennungsmotor
CN105667315B (zh) * 2016-03-04 2017-10-24 郑州精益达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载新能源电动车高压盒
US10009851B1 (en) * 2016-12-27 2018-06-26 Intel Corporation Battery charge level based mobile navig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873A (ko) * 2012-01-10 2013-07-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장치,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모듈 및 전기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방법
KR20160090679A (ko) * 2015-01-22 201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3654U (ko) * 2015-04-13 2016-10-21 (주)하이텍파츠 무선충전 크래들
KR101662949B1 (ko) * 2015-04-17 2016-10-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의 축전지를 기반으로 하는 ess 운영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537A (ko) * 2019-03-22 2020-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01166B1 (ko) * 2020-10-26 2021-09-10 주식회사 탑에프티 자기 부상 서스펜션이 구비된 전기 차량
WO2022186557A1 (ko) * 2021-03-02 2022-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00973B2 (en) 2019-12-10
CN108454418A (zh) 2018-08-28
CN108454418B (zh) 2022-08-12
US20180236898A1 (en) 2018-08-23
KR102322921B1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2921B1 (ko) 전기 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US98733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tor-driven movable body, and discharge control method
US11413976B2 (en) Charging cable and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same
CN104136267B (zh) 车辆、充电装置以及充电系统
KR102470999B1 (ko) 충전 관리 서버 및 충전 관리 서버의 제어 방법
US9184616B2 (en) Add-on communication apparatus attached to in-cable charging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5170113B2 (ja) 車両用ドア制御システム、車載用ドア制御装置、および車載用ドア制御装置用プログラム
US11230204B2 (en) Power management apparatus,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US20100207772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plug-in vehicle
TWI479772B (zh) 電動車充電系統及其適用之充電方法
WO2013183239A1 (ja) 車載表示装置、携帯情報端末の画像情報を車両用ディスプレイに表示させる方法、および、同上のための持続的有形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媒体
US9421880B2 (en) Add-on communication apparatus attached to cable installment type charging control device
JP2018019464A (ja) 電動車両、サーバ装置及び通信情報端末
US20240001925A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76365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29875A (ko) 전기 자동차 및 그 제어 방법
KR102603831B1 (ko) 차량, 차량과 통신하는 서버 및 차량의 제어 방법
US20230152109A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40131947A1 (en) Management apparatus
US20240152824A1 (en) Management apparatus
US11904698B2 (en) Electric vehicle energy management system
KR20230162245A (ko) 배터리 관리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JP2024061508A (ja) 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