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344A -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344A
KR20180096344A KR1020170022943A KR20170022943A KR20180096344A KR 20180096344 A KR20180096344 A KR 20180096344A KR 1020170022943 A KR1020170022943 A KR 1020170022943A KR 20170022943 A KR20170022943 A KR 20170022943A KR 20180096344 A KR20180096344 A KR 20180096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ermented food
flow path
support laye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678B1 (ko
Inventor
백기현
이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싱싱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싱싱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싱싱캔
Priority to KR102017002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6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는 내측에 발효식품이 저장되고 일 측에 가스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재, 그리고 상기 가스배출공이 형성된 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발효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여과하되, 기체는 통과시키고 액체는 차단하는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김치, 된장, 고추장, 젓갈 등과 같은 발효식품이 저장되는 포장재의 일 측에 가스배출공을 형성하고, 가스배출공이 형성된 포장재의 내면에 멤브레인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내용물이나 냄새의 배출 없이 오로지 발효식품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만을 포장재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켜 탄산가스로 인한 포장재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Pouch for packaging fermented food}
본 발명은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 등과 같은 발효식품이 저장되고, 발효식품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ET 소재의 포장용기 혹은 레토르트 파우치 등과 같은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유통되는 음식물 가운데 김치, 된장, 고추장, 젓갈 등과 같은 발효식품은 제품의 특성상 포장 및 유통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발효가 진행된다.
이때, 발효식품에서는 유기화합물의 분해로 인하여 탄산가스가 발생하는데, 이는 발효식품의 맛을 변질시킴은 물론, 저장수단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저장수단을 팽창시키거나, 심할 경우 저장수단의 파손을 야기하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포제 혹은 가스흡착제를 발효식품과 함께 저장수단 내에 동봉하여 발효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제거하거나, 저장수단에 체크밸브 형태의 가스배출수단을 별도 구비하여 사용자가 가스배출수단을 작동시켜 저장수단 내부의 탄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법이 활용되었다.
그러나 소포제나 가스흡착제와 같은 화학제품은 발효식품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상태로 저장수단에 수용되기 때문에, 제품을 개봉하였을 때 소포제나 가스흡착제가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미감을 훼손시키고, 이로 인해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에 이질감이 들게 하여 소비욕구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포제나 가스흡착제의 경우, 외부충격 혹은 포장불량 등의 이유로 인하여 포장지 내부의 화학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고, 이는 제품의 원가손실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체크밸브 형태의 가스배출수단을 저장수단에 형성할 경우, 제조 공정의 추가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90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김치, 된장, 고추장, 젓갈 등과 같은 발효식품이 저장되는 포장재에 멤브레인 필터를 설치하여, 내용물이나 냄새의 배출 없이 오로지 발효식품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만을 외부로 배출시켜 탄산가스로 인한 외형의 변형을 예방하고, 내부에 저장된 발효식품의 오염을 예방함은 물론, 나아가 제품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는 내측에 발효식품이 저장되고 일 측에 가스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재, 그리고 상기 가스배출공이 형성된 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발효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여과하되, 기체는 통과시키고 액체는 차단하는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재는 상기 가스배출공이 형성되고, 내면에 상기 멤브레인 필터가 부착되는 제1 시트부, 그리고 상기 제1 시트부에 접합되어 내측에 상기 발효식품이 저장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시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필터는 일면이 상기 발효식품이 저장된 수용공간 측으로 노출되고, 활성탄, 황토 및 금속성분의 촉매제가 함침(含浸)되어 있는 부직포 소재로 형성되는 제1 여과부, 그리고 상기 제1 여과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가스배출공이 형성된 상기 포장재의 표면에 부착되고, 미세다공성(Micro Pore) 필름으로 형성되는 제2 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필터는 상기 포장재의 내면에 부착되고 내측에 상기 가스배출공과 연통되는 제1 유로가 형성되는 제1 지지층, 상기 제1 지지층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유로를 차단하고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개방 가능한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개폐층, 상기 개폐층에 부착되고 내측에 외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탄산가스를 상기 개폐층 측으로 안내하는 제2 유로가 형성되는 제2 지지층, 그리고 상기 제2 지지층에 부착되어 상기 제2 유로로 유입되는 상기 탄산가스를 여과하는 여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층에는 상기 제1 지지층 및 상기 개폐층을 내측에 수용하고, 상기 제2 지지층의 중심축과 상기 제1 지지층 및 상기 개폐층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층 및 상기 개폐층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1 수용홈, 그리고 상기 여과층을 내측에 수용하고, 상기 제2 지지층의 중심축과 상기 여과층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상기 여과층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2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층은 상기 제1 지지층 및 상기 제2 지지층에 부착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로 상기 탄산가스가 유입될 경우, 일 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연통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2 유로로 유입된 상기 탄산가스가 상기 가스배출공을 향하여 이동될 경우에만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의 절개부위는 상기 제2 유로에서 상기 제1 유로를 향하여 단면의 폭의 점차 넓어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제1 유로 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층은 일면이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노출되고, 활성탄, 황토 및 금속성분의 촉매제가 함침(含浸)되어 있는 부직포 소재로 형성되는 제1 여과부, 그리고 상기 제1 여과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층에 부착되고, 미세다공성 필름으로 형성되는 제2 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필터는 상기 제1 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재의 내면에 부착되고, 일부가 상기 가스배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개폐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유로로 유입된 상기 탄산가스를 여과하는 보조 여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필터는 내측에 상기 제1 지지층, 상기 개폐층, 상기 제2 지지층 및 상기 여과층을 수용하고, 상기 제1 지지층, 상기 개폐층, 상기 제2 지지층 및 상기 여과층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층, 상기 개폐층, 상기 제2 지지층 및 상기 여과층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의 일 측에는 상기 여과층이 안착되어 상기 여과층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김치, 된장, 고추장, 젓갈 등과 같은 발효식품이 저장되는 포장재의 일 측에 가스배출공을 형성하고, 가스배출공이 형성된 포장재의 내면에 멤브레인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내용물이나 냄새의 배출 없이 오로지 발효식품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만을 포장재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켜 탄산가스로 인한 포장재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소포제나 가스흡착제와 같은 화학제품을 원천적으로 배제함으로써, 포장재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의 오염을 예방함은 물론, 제품의 미감을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소비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 필터는 별도로 제작되어 포장재의 일면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성이 증대되고, 모든 재질에 적용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제품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를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에 구비된 개폐부가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에 구비된 개폐층에 지지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에 구비된 여과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1)(이하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1)"라 함)는 내부에 김치, 된장, 고추장, 젓갈 등과 같은 발효식품(2)이 저장되고, 발효식품(2)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G)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저장수단으로서, 포장재(200) 및 멤브레인 필터(100)를 포함한다.
포장재(200)는 복수의 부재가 서로 대향되도록 접합된 레토르트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발효식품(2)이 저장된다. 그리고 포장재(200)의 일 측에는 발효식품(2)이 저장된 수용공간(200a)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가스배출공(210a)이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는, 포장재(200)는 가스배출공(210a)이 형성되고 내면에 후술할 멤브레인 필터(100)가 부착되는 제1 시트부(210)와, 제1 시트부(210)에 대향 배치된 상태로 제1 시트부(210)에 열융착을 통하여 일체로 접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200a)을 형성하는 제2 시트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장재(200)는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는 다수의 필름이 적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포장재(200)는 중앙에 배치된 알루미늄 소재의 제1 소재층과, 제1 소재층의 일면에 적층되는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제2 소재층, 그리고 제1 소재층의 타면에 적층되는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제3 소재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재(200)는 형상의 변형이 자유롭고, 용기형태의 저장수단에 비하여 가벼우며, 휴대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포장재(200)는 포장재(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배출부(미도시) 및 배출부의 입구에 설치되는 개폐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포장재(2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일부는 수용공간(200a)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외부공간에 배치되어 수용공간(200a)과 외부공간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예컨대, 배출부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일측에 개폐수단과 체결 가능한 체결수단이 구비된 관형의 빨대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수단은 외부공간으로 노출된 배출부의 일 측, 즉 배출부의 입구에 설치되어 배출부의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개폐수단에는 개폐수단을 관통하는 가스배출공이 형성되고, 가스배출공이 형성된 부위에는 후술할 멤브레인 필터(10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1)는 시트부 및 개폐수단에 각각 멤브레인 필터(100)가 설치됨에 따라, 복수의 탄산가스 배출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100)는 가스배출공(210a)이 형성된 포장재(200)의 일면(제1 시트부(210)의 내면)에 부착되어 발효식품(2)으로부터 발생하는 탄산가스(G)를 여과하되, 기체는 통과시키고 액체는 차단한다.
이하에서는, 멤브레인 필터(100)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1)의 멤브레인 필터(100)는 제1 여과부(41) 및 제2 여과부(43)를 포함한다.
제1 여과부(41)는 일면이 발효식품(2)이 저장된 포장재(200)의 수용공간(200a) 측으로 노출되고, 내부에 활성탄, 황토 및 금속성분(예컨대, 은)의 촉매제가 함침(含浸)된 통기성을 갖는 부직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산가스(G)의 유입 시 제습, 탈취 및 항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여과부(43)는 제1 여과부(41)에 일체로 구비되어 가스배출공(210a)이 형성된 포장재(200)의 일면에 부착되고, 미세다공성(Micro Pore)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여과부(43)는 기체(탄산가스(G))는 통과되고 액체는 통과되지 못하도록 표면에 미리 설정된 크기의 미세기공이 복수로 형성된 미세다공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산가스(G)는 제2 여과부(43)를 통과한 후 가스배출공(210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반면, 제1 여과부(41)를 통과한 발효식품(2)의 액상 부산물은 제2 여과부(43)에 의해 차단되어 가스배출공(210a)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예컨대, 미세다공성 필름은 방수성과 통기성을 가지는 타이벡(Tyvek) 필름, 소로나(Sorona) 필름, PTT(Poly Trimethylene Therephtalate) 필름, 손타라(Sontara) 필름, 노멕스(Nomex) 필름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멤브레인 필터(100)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를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에 구비된 개폐부가 개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에 구비된 개폐층에 지지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에 구비된 여과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의 멤브레인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멤브레인 필터(100)는 제1 지지층(10), 제2 지지층(20) 및 제1 지지층(10)과 제2 지지층(20) 사이에 배치된 개폐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층(10)은 가스배출공(210a)이 형성된 포장재(200)의 내면에 부착되고, 내측에 가스배출공(210a)과 연통되는 제1 유로(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층(20)은 후술할 개폐층(30)의 표면에 부착되고, 내측에 외부로부터 유입된 탄산가스(G)를 개폐층(30) 측으로 안내하는 제2 유로(21)가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 지지층(10) 및 제2 지지층(20)은 탄산가스(G) 및 수분의 통과가 어려운 방수성 소재(예컨대, 플라스틱 등)로 형성되며, 축방향(중심축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내측에 축방향을 따라 탄산가스(G)가 이동 가능한 소정 길이의 유로(제1 유로(11) 및 제2 유로(2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로(11)가 형성된 제1 지지층(10)의 내경(d1)은 제2 유로(21)가 형성된 제2 지지층(20)의 내경(d2)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유로(21)는 제2 유로(21)를 통과하는 탄산가스(G)의 압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개폐층(30)의 개폐수단이 형성된 부위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제1 유로(11)는 개폐수단의 회전 시 개폐수단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개폐수단이 형성된 부위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유로(11) 및 제2 유로(21)는 가스배출공(210a) 측을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유로를 통과하는 탄산가스(G)의 속도 및 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층(20)은 제1 지지층(10), 개폐층(30) 및 후술할 여과층(40))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지지층(20)에는 제1 지지층(10) 및 개폐층(30)이 수용되는 제1 수용홈(23)과 여과층(40)이 수용되는 제2 수용홈(25)이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2 지지층(20)의 일 측에는 제1 지지층(10) 및 개폐층(30)을 내측에 수용하고, 제2 지지층(20)의 중심축과 제1 지지층(10) 및 개폐층(30)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제1 지지층(10) 및 개폐층(3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1 수용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층(20)의 타 측에는 여과층(40)을 내측에 수용하고, 제2 지지층(20)의 중심축과 여과층(40)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여과층(4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2 수용홈(2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멤브레인 필터(100)의 제작 시, 각 소재층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공정을 수행할 필요 없이, 제2 지지층(20)의 제1 수용홈(23)과 제2 수용홈(25)에 제1 지지층(10), 개폐층(30) 및 여과층(40)을 적층시키는 과정만으로 각 소재층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소재층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포장재(200)의 표면에 부착되는 제1 지지층(10)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절개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절개홈(13)은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지지층(10)의 일면에 복수 개로 형성되며, 각 절개홈(13)은 제1 지지층(10)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층(10)이 접촉될 부위의 표면이 평면이 아닌 경우(예컨대, 굴곡지거나, 곡면인 경우 등)에도, 각 절개홈(13)을 중심으로 복수로 구획된 제1 지지층(10)의 일면이 접촉될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개폐층(30)은 제1 지지층(10)의 표면(타면)에 부착되어 제1 유로(11)를 차단하고, 미리 설정된 조건에서만 개방 가능한 개폐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개폐층(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층(10) 및 제2 지지층(20)에 부착되는 몸체부(33)와, 몸체부(33)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몸체부(33)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31)는 제2 유로(21)로 탄산가스(G)가 유입될 경우, 일 측으로 회전되어 개방되고, 이에 따라 제1 유로(11)와 제2 유로(21)는 서로 연통되어 제2 유로(21)로 유입된 탄산가스(G)가 제1 유로(11)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개폐층(30)은 방수성을 가지는 박막형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31)는 제2 유로(21)와 함께 복수 개로 형성되어 탄산가스(G)를 보다 신속하게 포장재(2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개폐부(31)는 제2 유로(21)로 유입된 탄산가스(G)가 가스배출공(210a)을 향하여 이동될 경우에만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개폐부(31)는 반대방향(제1 유로(11)에서 제2 유로(21)를 향하는 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유로를 개방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도 7의 상측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몸체부(33)와 개폐부(31) 사이의 절개부위는 제2 유로(21)에서 제1 유로(11)를 향하여 단면의 폭(D1, D2)의 점차 넓어지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제1 유로(11)로 공기 등이 유입될 경우에도, 개폐부(31)는 몸체부(33)에 형성된 경사진 형태의 경계부위에 지지되어 제2 유로(21)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개폐부(31)는 상기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다양한 구조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을 참조하면, 개폐부(31)에는 제1 유로(11) 측으로 노출되는 몸체부(33)의 외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재(3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1)의 멤브레인 필터(100)는 여과층(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여과층(40)은 제2 지지층(20)의 표면에 부착되어 제2 유로(21)로 유입되는 탄산가스(G)를 여과하되, 기체는 통과시키고 액체는 차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여과층(40)은 일면이 발효식품(2)이 저장된 수용공간(200a) 측으로 노출되어 탄산가스(G)의 유입 시 제습, 탈취 및 항균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여과부(41)와, 제1 여과부(41)의 타면에 부착되어 탄산가스(G)는 통과시키고 액체(수분)는 차단하는 제2 여과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여과부(41)는 일면이 발효식품(2)이 저장된 포장재(200)의 수용공간(200a) 측으로 노출되고, 내부에 활성탄, 황토 및 금속성분(예컨대, 은)의 촉매제가 함침(含浸)된 통기성을 갖는 부직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산가스(G)의 유입 시 제습, 탈취 및 항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여과부(43)는 제1 여과부(41)에 일체로 구비되어 제2 유로(21)가 형성된 제2 지지층(20)의 표면에 부착되고, 미세다공성(Micro Pore)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여과부(43)는 기체(탄산가스(G))는 통과되고 액체는 통과되지 못하도록 표면에 미리 설정된 크기의 미세기공이 복수로 형성된 미세다공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산가스(G)는 제2 여과부(43)를 통과한 후 제2 유로(21)로 유입되는 반면, 제1 여과부(41)를 통과한 발효식품(2)의 액상 부산물은 제2 여과부(43)에 의해 차단되어 제2 유로(21)로 유입되지 않는다. 예컨대, 미세다공성 필름은 방수성과 통기성을 가지는 타이벡(Tyvek) 필름, 소로나(Sorona) 필름, PTT(Poly Trimethylene Therephtalate) 필름, 손타라(Sontara) 필름, 노멕스(Nomex) 필름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1)의 멤브레인 필터(100)는 보조 여과층(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조 여과층(50)은 제1 유로(11)에 배치되어 포장재(200)의 내면에 부착되고, 일부가 가스배출공(210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개폐층(30)을 통과하여 제1 유로(11)로 유입된 탄산가스(G)를 여과할 수 있다.
즉, 보조 여과층(50)은 내부에 활성탄, 황토 및 금속성분(예컨대, 은)의 촉매제가 함침(含浸)된 통기성을 갖는 부직포 소재로 형성되어, 여과층(40)을 통과한 후 개폐층(30)을 거쳐 제1 유로(11)로 유입된 탄산가스(G)를 한 번 더 여과시킴으로써, 탄산가스(G)에 잔존하는 수분을 완벽히 제거함은 물론, 탈취, 항균 기능을 2차적으로 수행하여 포장재(200)의 외부로 탄산가스(G)만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여과층(50)에는 발효식품(2)의 산성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지시약이 도포될 수 있다.
즉, 가스배출공(210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 여과층(50)의 표면에는 외부에서 포장재(200)에 저장되어 있는 발효식품(2)의 품질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발효식품(2)의 산성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지시약이 도포될 수 있다. 이때, 포장재(200)의 외부에는 색상에 따른 발효식품(2)의 숙성도를 나타낸 품질상태점검표(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보조 여과층(50)의 색상과 품질상태점검표를 비교하여 현재 포장재(200)에 저장된 발효식품(2)의 신선도(숙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판매자는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제품의 폐기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1)의 멤브레인 필터(100)는 하우징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60)는 내측에 제1 지지층(10), 개폐층(30), 제2 지지층(20) 및 여과층(40)을 수용하고, 제1 지지층(10), 개폐층(30), 제2 지지층(20) 및 여과층(4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하우징부(60)는 일 측과 타 측이 각각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제1 지지층(10), 개폐층(30), 제2 지지층(20) 및 여과층(40)을 수용하고, 외부충격 등으로부터 내측에 수용된 제1 지지층(10), 개폐층(30), 제2 지지층(20) 및 여과층(40)을 보호할 수 있도록 소정의 경도를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부(60)의 일 측에는 여과층(40)이 안착되어 여과층(40)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턱(6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60)의 내주면은 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여과층(40), 제2 지지층(20), 개폐층(30) 및 제1 지지층(1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멤브레인 필터(100)의 제작 시, 각 소재층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공정을 수행할 필요 없이, 하우징부(60)의 내측에 여과층(40), 제2 지지층(20), 개폐층(30) 및 제1 지지층(10)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과정만으로 자연스럽게 각 소재층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고, 나아가 각 소재층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포장재(200)에 부착되는 소재층의 일면 및 각 소재층 사이에는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층은 각 소재층의 표면에 도포되어 형성 되거나, 필름형태로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김치, 된장, 고추장, 젓갈 등과 같은 발효식품이 저장되는 포장재의 일 측에 가스배출공을 형성하고, 가스배출공이 형성된 포장재의 내면에 멤브레인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내용물이나 냄새의 배출 없이 오로지 발효식품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만을 포장재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켜 탄산가스로 인한 포장재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소포제나 가스흡착제와 같은 화학제품을 원천적으로 배제함으로써, 포장재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의 오염을 예방함은 물론, 제품의 미감을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소비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 필터는 별도로 제작되어 포장재의 일면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성이 증대되고, 모든 재질에 적용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제품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100. 멤브레인 필터
10. 제1 지지층
11. 제1 유로 13. 절개홈
20. 제2 지지층
21. 제2 유로 23. 제1 수용홈
25. 제2 수용홈
30. 개폐층
31. 개폐부 33. 몸체부
35. 지지부재
40. 여과층
41. 제1 여과부 43. 제2 여과부
50. 보조 여과층
60. 하우징부
61. 지지턱
200. 포장재 200a. 수용공간
210. 제1 시트부 210a. 가스배출공
230. 제2 시트부
2. 발효식품
G. 탄산가스

Claims (12)

  1. 내측에 발효식품이 저장되고 일 측에 가스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재, 그리고
    상기 가스배출공이 형성된 상기 포장재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발효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여과하되, 기체는 통과시키고 액체는 차단하는 멤브레인 필터
    를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2. 제1항에서,
    상기 포장재는
    상기 가스배출공이 형성되고 내면에 상기 멤브레인 필터가 부착되는 제1 시트부, 그리고
    상기 제1 시트부에 접합되어 내측에 상기 발효식품이 저장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시트부
    를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3. 제1항에서,
    상기 멤브레인 필터는
    일면이 상기 발효식품이 저장된 수용공간 측으로 노출되고, 활성탄, 황토 및 금속성분의 촉매제가 함침(含浸)되어 있는 부직포 소재로 형성되는 제1 여과부, 그리고
    상기 제1 여과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가스배출공이 형성된 상기 포장재의 표면에 부착되고, 미세다공성(Micro Pore) 필름으로 형성되는 제2 여과부
    를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4. 제1항에서,
    상기 멤브레인 필터는
    상기 포장재의 내면에 부착되고 내측에 상기 가스배출공과 연통되는 제1 유로가 형성되는 제1 지지층,
    상기 제1 지지층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유로를 차단하고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개방 가능한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개폐층,
    상기 개폐층에 부착되고 내측에 외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탄산가스를 상기 개폐층 측으로 안내하는 제2 유로가 형성되는 제2 지지층, 그리고
    상기 제2 지지층에 부착되어 상기 제2 유로로 유입되는 상기 탄산가스를 여과하는 여과층
    을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2 지지층에는
    상기 제1 지지층 및 상기 개폐층을 내측에 수용하고, 상기 제2 지지층의 중심축과 상기 제1 지지층 및 상기 개폐층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층 및 상기 개폐층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1 수용홈, 그리고
    상기 여과층을 내측에 수용하고, 상기 제2 지지층의 중심축과 상기 여과층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상기 여과층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2 수용홈
    이 형성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6. 제4항에서,
    상기 개폐층은
    상기 제1 지지층 및 상기 제2 지지층에 부착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로 상기 탄산가스가 유입될 경우, 일 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연통시키는 개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2 유로로 유입된 상기 탄산가스가 상기 가스배출공을 향하여 이동될 경우에만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7. 제6항에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의 절개부위는
    상기 제2 유로에서 상기 제1 유로를 향하여 단면의 폭의 점차 넓어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8. 제6항에서,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제1 유로 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9. 제4항에서,
    상기 여과층은
    일면이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노출되고, 활성탄, 황토 및 금속성분의 촉매제가 함침(含浸)되어 있는 부직포 소재로 형성되는 제1 여과부, 그리고
    상기 제1 여과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층에 부착되고, 미세다공성 필름으로 형성되는 제2 여과부
    를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10. 제4항에서,
    상기 멤브레인 필터는
    상기 제1 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재의 내면에 부착되고, 일부가 상기 가스배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개폐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유로로 유입된 상기 탄산가스를 여과하는 보조 여과층
    을 더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11. 제4항에서,
    상기 멤브레인 필터는
    내측에 상기 제1 지지층, 상기 개폐층, 상기 제2 지지층 및 상기 여과층을 수용하고, 상기 제1 지지층, 상기 개폐층, 상기 제2 지지층 및 상기 여과층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층, 상기 개폐층, 상기 제2 지지층 및 상기 여과층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하우징부
    를 더 포함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12. 제11항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일 측에는
    상기 여과층이 안착되어 상기 여과층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KR1020170022943A 2017-02-21 2017-02-21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KR101961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943A KR101961678B1 (ko) 2017-02-21 2017-02-21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943A KR101961678B1 (ko) 2017-02-21 2017-02-21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344A true KR20180096344A (ko) 2018-08-29
KR101961678B1 KR101961678B1 (ko) 2019-03-26

Family

ID=6343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943A KR101961678B1 (ko) 2017-02-21 2017-02-21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6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400A (ko) 2018-10-03 2020-04-13 소윤섭 가스 또는 증기의 배출 기능을 갖는 발효식품 및 즉석식품 포장체
KR102385121B1 (ko) * 2021-12-15 2022-04-12 이석용 발효청국장을 이용한 돼지고기 숙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312B1 (ko) 2019-12-24 2021-03-18 주식회사 지큐지원 버섯배지용 포장재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섯배지용 포장재 제조방법
KR102135534B1 (ko) 2019-12-24 2020-07-20 주식회사 지큐지원 발효식품 포장재
KR20230055478A (ko) 2021-10-19 2023-04-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체의 배출이 가능한 보호지 및 그 보호지의 제작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656A (ja) * 1990-09-07 1993-05-21 Yoshinobu Yamaguchi 脱気又は給気包装袋とその弁構造体及び復元防止体
JPH08258873A (ja) * 1994-04-27 1996-10-08 Hiranoya Bussan:Kk ガス流通弁
JP2002179121A (ja) * 2000-12-06 2002-06-26 Goglio Luigi Milano Spa 芳香性・臭気性製品用容器に使用する選択ガス抜きバルブ
KR200432901Y1 (ko) 2006-09-08 2006-12-07 안종희 발효식품 용기의 뚜껑
KR20120066119A (ko) * 2010-12-14 2012-06-22 박건주 비닐팩 안에 접합되는 배출 튜브를 갖는 포장용 팩
KR200480170Y1 (ko) * 2015-08-26 2016-04-20 이병주 가스배출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656A (ja) * 1990-09-07 1993-05-21 Yoshinobu Yamaguchi 脱気又は給気包装袋とその弁構造体及び復元防止体
JPH08258873A (ja) * 1994-04-27 1996-10-08 Hiranoya Bussan:Kk ガス流通弁
JP2002179121A (ja) * 2000-12-06 2002-06-26 Goglio Luigi Milano Spa 芳香性・臭気性製品用容器に使用する選択ガス抜きバルブ
KR200432901Y1 (ko) 2006-09-08 2006-12-07 안종희 발효식품 용기의 뚜껑
KR20120066119A (ko) * 2010-12-14 2012-06-22 박건주 비닐팩 안에 접합되는 배출 튜브를 갖는 포장용 팩
KR200480170Y1 (ko) * 2015-08-26 2016-04-20 이병주 가스배출 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400A (ko) 2018-10-03 2020-04-13 소윤섭 가스 또는 증기의 배출 기능을 갖는 발효식품 및 즉석식품 포장체
KR102385121B1 (ko) * 2021-12-15 2022-04-12 이석용 발효청국장을 이용한 돼지고기 숙성방법
KR102428128B1 (ko) * 2021-12-15 2022-08-02 이석용 다공성 쌀 분쇄물을 이용한 돼지고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678B1 (ko)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678B1 (ko)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KR101861085B1 (ko) 발효식품 포장용 용기
JP7461992B2 (ja) 嫌気性血液保存容器
US8061899B2 (en) Storage bag
US9427710B2 (en) Radial filtration vent and medical device packaging
WO2015076780A1 (en) A vented rigid gas sterilization packaging tray
JP2002179121A (ja) 芳香性・臭気性製品用容器に使用する選択ガス抜きバルブ
JPH07208626A (ja) 芳香性製品用ガス抜きバルブ
CN110733752B (zh) 用于排出气体的包装片和包括其的食品容器
KR101898434B1 (ko) 멤브레인 필터
KR101044250B1 (ko)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CA2663092A1 (en) Valve element
CN110641084A (zh) 一种用于包装发酵食品的袋子
JPH03229610A (ja) 吸着剤封入袋
CN116583463A (zh) 压力调节装置及包括其的密封盛装系统
EP1724205A2 (en) A container and method for forming a container
KR100906458B1 (ko) 보조수납부를 구비한 일회용 라면용기
JP2005350099A (ja) 乾燥剤入り包装容器
KR200486910Y1 (ko) 기능성 파우치
WO2012141356A1 (ko) 밀봉 포장대용 가스배출구
JP2002337954A (ja) 機能性容器および包装体
KR20150088505A (ko) 식품 포장용기
KR100810561B1 (ko) 식품저장 용기
JP5838664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体
JP6710047B2 (ja) セパレートシール付収容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