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152A - 신호표시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신호표시 선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152A
KR20180096152A KR1020170022451A KR20170022451A KR20180096152A KR 20180096152 A KR20180096152 A KR 20180096152A KR 1020170022451 A KR1020170022451 A KR 1020170022451A KR 20170022451 A KR20170022451 A KR 20170022451A KR 20180096152 A KR20180096152 A KR 20180096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gle
camera
sun vis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872B1 (ko
Inventor
이희승
형 신
송영욱
이기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872B1/ko
Priority to US15/835,161 priority patent/US10486505B2/en
Priority to CN201711443868.9A priority patent/CN108454356B/zh
Publication of KR20180096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5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viewing traffic-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0Front-view mirror arrangements; Periscope arrangements, i.e. optical devices using combinations of mirrors, lenses, prisms or the like ; Other mirror arrangements giving a view from above or under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06V20/584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of vehicle lights or traffic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ensors or transd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69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 B60W2550/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60Traffic rules, e.g. speed limits or right of 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선바이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접철 감지부, GPS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고 지도 정보를 통해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전방에 신호등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신호등 감지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디지털 영상을 처리 및 분석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에서 신호등을 파악하고, 파악한 신호등의 신호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에 의해 파악된 신호등의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 표시부, 그리고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선바이저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된 경우에 동작하고, 차량 전방에 신호등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켜 촬영을 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호표시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호표시 선바이저{SUNVISOR WITH DISPLAY OF TRAFFIC LIGHT}
본 발명은 신호등의 신호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 선바이저(sunvisor)에 관한 것이다.
선바이저는 햇빛 등에 의해 눈부심이 발생하는 경우에 햇빛 등을 가리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선바이저는 대부분 운전석 상단에 설치되어, 미사용시 접힌 상태로 있고, 사용시 전면 창측으로 내려 햇빛을 차단한다.
그런데 선바이저를 사용하는 경우에 운전자의 눈 측에 위치하게 되어 운전시계를 방해하게 되고, 그에 따라 교차로 등의 신호등을 확인하기 위해 몸을 구부리거나 다른 위치로 몸을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신호등이 가시 각도를 벗어난 위치에 차량이 정차했을 때 운전자가 신호등의 신호를 관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바이저를 이용하는 경우에 선바이저에 의해 운전자의 운전시계를 방해하는 경우에도 전방에 위치한 신호등의 신호를 운전자가 별도의 노력없이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신호표시 선바이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신호표시 선바이저가 제공된다. 이 신호표시 선바이저는 차량의 전방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선바이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접철 감지부, GPS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고 지도 정보를 통해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전방에 신호등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신호등 감지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디지털 영상을 처리 및 분석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에서 신호등을 파악하고, 파악한 신호등의 신호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에 의해 파악된 신호등의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 표시부, 그리고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선바이저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된 경우에 동작하고, 차량 전방에 신호등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켜 촬영을 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철 감지부는 선바이저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되면 온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선바이저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된 후 설정 각도 미만으로 닫혀지면 오프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스위치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접철 감지부는 선바이저의 오픈 각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오픈 각도를 설정 각도와 비교하여 오픈 각도가 설정 각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에 이를 알리고, 선바이저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된 후 측정한 오픈 각도가 설정 각도 미만이 되면 상기 제어부에 이를 알리는 각도 감지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는 선바이저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여 선바이저의 오픈 각도에 무관하게 상기 카메라가 일정한 방향으로 차량 전방을 촬영할 수 있게 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선바이저가 오픈되는 정도에 따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수단, 상기 제1 수단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카메라와 연결된 제2 수단 및 상기 제1 수단 및 제2 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단이 연동하게 하는 제3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선바이저와 루프가 결합되는 힌지 부분에 설치된 제1 풀리, 상기 카메라에 연결된 제2 풀리, 그리고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풀리를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선바이저와 루프가 결합되는 힌지 부분에 설치된 제1 기어, 상기 카메라에 연결된 제2 기어, 그리고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기어를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 표시부의 표시는 실제 신호등의 신호와 같거나, “적색등”, “녹색등”, “황색등”, “좌회전” 등과 같이 글자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철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선바이저의 오픈 각도가 제1 설정각도 이상인 경우에 동작이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상태에서 선바이저의 오픈 각도가 제2 설정각도 미만이 되는 경우에 비활성화된다. 이때 제1 설정각도 및 제2 설정각도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신호등 감지부는 내부장치로서 차량에 고정 설치된 내비게이션 장치이거나, 외부장치로서, 모바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이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신호등이 존재하는 ROI(Region of Interest)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ROI 영역에서 신호등을 추출한 후 추출한 신호등의 신호를 파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선바이저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신호등의 신호를 확인하기 위해 몸을 움직이지 않아도 되고, 가시 각도를 벗어나 차량이 위치하더라도 쉽게 신호등의 신호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의 실제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의 위치각도에 대응하여 카메라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가 교차로에서의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에서 영상을 통한 신호등의 신호 인지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의 실제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과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100)는 카메라(110), 접철 감지부(120), 전원 스위치(130), 영상 처리부(140), 통신부(150), 신호 표시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카메라(1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며, 차량의 전방 피사체를 촬영하고 디지털 영상을 생성한다.
접철 감지부(120)는 신호표시 동작을 위한 시작 조건 및 종료 조건을 파악한다. 시작 조건 및 종료 조건을 파악하는 것은 운전자가 선바이저를 이용하고 있는지 또는 이용하고 있지 않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별도의 제한을 설정하지 않으면, 카메라(110), 제어부(170), 영상 처리부(140) 등 각 구성은 선바이저(100)가 오픈되지 않은 상태(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른 문제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100)가 접혀져 있을 때 카메라(110)가 차량의 바닥면을 바라보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선바이저(100)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되었을 때에 카메라(110)의 렌즈가 전방을 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차량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선바이저(10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되지 않으면 카메라(110)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신호등을 촬영할 수 없다.
따라서, 선바이저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된 경우에 각 구성을 동작시키는 시작 조건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선바이저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된 후 설정 각도 미만으로 접히는(닫히는) 경우에 각 구성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종료 조건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접철 감지부(120)는 전원이 공급되면 동작하여, 선바이저(100)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되는 것을 감지하고 선바이저(100)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되면 제어부(170)에 알리고,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된 후 설정 각도 미만으로 접히는 경우에 이를 제어부(170)에 알린다. 접철 감지부(120)는 선바이저(100)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펼쳐지면 온 신호를 출력하고 오픈되지 않거나 설정 각도 미만으로 오픈되면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접철 감지부(120)는 선바이저가 오픈되는 각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각도를 설정 각도와 비교하여 측정한 각도가 설정 각도 이상인 경우에 신호를 출럭하고, 선바이저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된 후 측정한 각도가 설정 각도 미만이 되면 신호를 출력하는 각도 감지기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30)는 선바이저(100)로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이고, 영상 처리부(14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디지털 영상을 처리 및 분석하여 신호등을 파악하고, 파악한 신호등의 신호가 무엇인지를 파악한다.
신호등 감지단말(200)은 카메라(110)의 동작을 결정한다. 신호등은 대부분의 교차로에 설치되어 있고 건널목 등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복잡한 대도시가 아닌 경우이면 주행 중에 신호등이 포착되는 시간은 주행시간에 대비하여 크게 높지 않으며, 차량이 정체되는 경우이면 신호등을 포착하는 시간 간격이 길어진다. 그러므로 주행중에 계속해서 카메라(110)를 동작시키고 촬영 영상(디지털 영상) 중에 신호등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등의 신호처리를 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러한 비효율적인 동작을 해소하기 위하여, 신호등 감지단말(200)이 이용된다. 신호등 감지단말(200)은 GPS를 이용하여 현재위치를 파악하는 기능 및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전방에 신호등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기능을 가진 외부장치인 모바일이나 내비게이션 장치이거나 차량에 고정 설치된 내부장치인 내비게이션 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150)는 신호등 감지단말(20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하여 신호등 감지단말(200)로부터 전방에 신호등 존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부(150)는 신호등 감지단말(200)로부터 전방에 신호등이 존재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70)에 알려 카메라(110)를 동작시킨다. 물론 이때 선바이저(100)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된 경우에 카메라(110)가 동작한다.
신호 표시부(16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영상 처리부(140)에 의해 파악된 신호등의 신호 즉, 적색등, 녹색등, 황색등, 좌회전 등의 신호를 표시한다. 이때 신호 표시부(16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신호등의 신호와 동일한 형태로 표시하거나, “적색등”, “녹색등”, “황색등”, “좌회전” 등과 같이 글자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접철 감지부(1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선바이저(100)가 오픈된 각도 즉, 오픈 각도가 제1 설정각도 이상인 경우에 동작이 활성화되고, 접철 감지부(1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선바이저(100)의 오픈 각도가 제1 설정각도 이상인 상태에서 제2 설정각도 미만이 되는 경우에 비활성화된다. 여기서 제1 설정각도와 제2 설정각도는 동일할 수 있고, 다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신호등 감지단말(200)를 통해 차량 전방에 신호등이 존재하는 경우에 카메라(110)를 동작시켜 촬영을 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100a)는 카메라(110), 접철 감지부(120), 전원 스위치(130), 영상 처리부(140), 통신부(150), 신호 표시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100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10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신호등 감지단말(200)의 기능을 자체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구성 즉, 신호등 감지부(180)를 가지는 것에 차이가 있다. 물론 신호등 감지부(180)를 자체적으로 가짐에 따라서 외부장치인 신호등 감지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50)가 생략된다.
신호등 감지부(180)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고 지도 정보를 통해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전방에 신호등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전방에 신호등이 있으면 제어부(170)에 이를 알린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의 동작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의 위치각도에 대응하여 카메라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가 교차로에서의 동작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표시 선바이저에서 영상을 통한 신호등의 신호 인지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130)를 누르면, 전원공급부(미도시)는 선바이저(100, 100a)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S401). 이때 제어부(170)는 전원을 공급받아도 동작을 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전원을 공급받은 각 구성에 대해 동작을 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혀진 선바이저(100, 100a)를 오픈시킨다.
이때 선바이저(100, 100a)는 각도 조절부(190)가 구비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19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100, 100a)가 오픈된 각도에 무관하게 카메라(110)가 동일한 방향으로 차량 전방을 촬영할 수 있게 한다. 즉, 선바이저(100, 100a)가 오픈된 각도에 상관없이 카메라(110)가 고정 설치된 루프(A)에 대비하여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만약 선바이저(100, 100a)가 오픈된 각도에 상관없이 카메라(110)가 전방의 신호등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경우이면, 각도 조절부(190)를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각도 조절부(19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풀리(pully)(191, 192)와 2개의 풀리에 연결된 와이어(wire)(193)를 포함하거나, 2개의 기어(gear)(191)와 2개의 기어에 연결된 체인(chain)(19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2개의 풀리 또는 기어 중 하나의 풀리(제1 풀리) 또는 기어(제1 기어)(191)는 선바이저(100, 100a)와 루프(A)가 결합되는 힌지 부분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풀리(제2 풀리) 또는 기어(제2 기어)(192)는 카메라(1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바이저(100, 100a)를 오픈하면, 제1 풀리(또는 제1 기어)(19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 풀리(또는 제2 기어)(19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카메라(110)는 제2 풀리(또는 제2 기어)(19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점점 선바이저(100, 100a)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선바이저(100, 100a)를 접으면, 제1 풀리(또는 제1 기어)(19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 풀리(또는 제2 기어)(19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카메라(110)는 제2 풀리(또는 제2 기어)(19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점점 선바이저(100, 100a)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선바이저(100, 100a)가 오픈되면 접철 감지부(120)는 동작하여 선바이저(100, 100a)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되었는지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접철 감지부(120)가 오픈된 각도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오픈된 각도가 설정 각도 이상인지를 파악하고 설정 각도 이상이면 제어부(170)로 조건만족신호를 출력한다(S402). 또는, 접철 감지부(120)가 스위치 형태로 구성된 경우에는 오픈된 각도가 설정 각도 이상이 되면 제어부(170)로 조건만족신호를 출력한다(S402).
제어부(170)는 접철 감지부(120)로부터 조건만족신호를 수신하면 시작 조건을 만족하였다고 판단하고(S403), 통신부(150) 또는 신호등 감지부(180)를 동작시켜 전방에 신호등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는 동작을 하게 한다(S404).
통신부(150)는 신호등 감지단말(200)과 통신하여 신호등 감지단말(200)에게 차량 전방에 신호등이 존재하는지를 문의하고 응답을 수신하며, 차량 전방에 신호등이 존재하면 제어부(170)에게 알린다. 또는 신호등 감지부(180)는 GPS 모듈을 통해 현재위치를 파악하고 현재 위치를 저장된 지도 정보 상에 대응시켜 차량 전방에 신호등이 존재하는 건널목이나 교차로 등인지를 파악하고 차량 전방에 신호등이 존재하면 이를 제어부(170)에 알린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50) 또는 신호등 감지부(180)를 통해 전방에 신호등이 존재하는 것을 파악하면(S405), 카메라(110)를 동작시켜 차량 전방을 촬영하게 한다(S406).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교차로를 진입하는 경우에 카메라(110)가 동작하고, 카메라(110)는 진행방향 상에 위치한 신호등을 촬영한다.
이렇게 촬영된 디지털 영상은 영상 처리부(140)에 제공되고, 영상 처리부(140)는 도 7의 (a)에 도시된 원본 영상 즉, 카메라(110)에서 촬영한 디지털 영상을 도 7의 (b)와 같이 디지털 영상을 보정하여 이미지 처리가 가능한 형태로 만들고, 도 7의 (c)와 같이 신호등이 존재하는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추출한 후, 도 7의 (d)와 같이 신호등을 추출하고, 도 7의 (e)와 같이 신호등의 신호를 인지한다(S407).
이렇게 인지된 신호는 제어부(170)에 제공되고, 제어부(170)는 영상 처리부(140)에서 인지한 신호를 신호 표시부(160)에 제공하며, 신호 표시부(160)는 수신한 신호등의 신호에 부합하는 신호 표시를 한다(S408).
이에 운전자는 육안으로 신호등을 확인하지 않고 선바이저(100, 100a)의 신호 표시부(160)를 확인하는 것으로 전방 교차로 또는 건널목 등에 표시된 신호등의 신호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신호등의 신호 인지 동작 즉, S404 과정 내지 S408 과정은 운전자가 전원 스위치(130)를 오프시키거나(S409), 선바이저(100, 100a)를 설정 각도 미만으로 접을 경우에 중지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이면 계속해서 수행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100a : 신호표시 선바이저 200 : 신호등 감지단말
110 : 카메라 120 : 접철 감지부
130 : 전원 스위치 140 : 영상 처리부
150: 통신부 160 : 신호 표시부
170: 제어부 180 : 신호등 감지부

Claims (13)

  1. 차량의 전방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선바이저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접철 감지부,
    GPS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고 지도 정보를 통해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전방에 신호등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신호등 감지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디지털 영상을 처리 및 분석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에서 신호등을 파악하고, 파악한 신호등의 신호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에 의해 파악된 신호등의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 표시부, 그리고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선바이저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된 경우에 동작하고, 차량 전방에 신호등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켜 촬영을 하게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신호표시 선바이저.
  2. 제1항에서,
    상기 접철 감지부는 선바이저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되면 온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선바이저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된 후 설정 각도 미만으로 닫혀지면 오프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스위치로 구성된 신호표시 선바이저.
  3. 제1항에서,
    상기 접철 감지부는 선바이저의 오픈 각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오픈 각도를 설정 각도와 비교하여 오픈 각도가 설정 각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에 이를 알리고, 선바이저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오픈된 후 측정한 오픈 각도가 설정 각도 미만이 되면 상기 제어부에 이를 알리는 각도 감지기로 구성된 신호표시 선바이저.
  4. 제1항에서,
    선바이저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여 선바이저의 오픈 각도에 무관하게 상기 카메라가 일정한 방향으로 차량 전방을 촬영할 수 있게 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신호표시 선바이저.
  5. 제4항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선바이저가 오픈되는 정도에 따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수단, 상기 제1 수단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카메라와 연결된 제2 수단 및 상기 제1 수단 및 제2 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단이 연동하게 하는 제3 수단을 포함하는 신호표시 선바이저.
  6. 제4항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선바이저와 루프가 결합되는 힌지 부분에 설치된 제1 풀리,
    상기 카메라에 연결된 제2 풀리, 그리고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풀리를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신호표시 선바이저.
  7. 제4항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선바이저와 루프가 결합되는 힌지 부분에 설치된 제1 기어,
    상기 카메라에 연결된 제2 기어, 그리고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기어를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신호표시 선바이저.
  8. 제1항에서,
    상기 신호 표시부의 표시는 실제 신호등의 신호와 같거나, “적색등”, “녹색등”, “황색등”, “좌회전” 등과 같이 글자인 신호표시 선바이저.
  9.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철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선바이저의 오픈 각도가 제1 설정각도 이상인 경우에 동작이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상태에서 선바이저의 오픈 각도가 제2 설정각도 미만이 되는 경우에 비활성화되는 신호표시 선바이저.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설정각도 및 제2 설정각도는 동일하거나 다른 신호표시 선바이저.
  11. 제1항에서,
    상기 신호등 감지부는 내부장치로서 차량에 고정 설치된 내비게이션 장치인 신호표시 선바이저.
  12. 제1항에서,
    상기 신호등 감지부는 외부장치로서, 모바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인 신호표시 선바이저.
  13. 제1항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신호등이 존재하는 ROI(Region of Interest)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ROI 영역에서 신호등을 추출한 후 추출한 신호등의 신호를 파악하는 신호표시 선바이저.
KR1020170022451A 2017-02-20 2017-02-20 신호표시 선바이저 KR102298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51A KR102298872B1 (ko) 2017-02-20 2017-02-20 신호표시 선바이저
US15/835,161 US10486505B2 (en) 2017-02-20 2017-12-07 Sun visor with display of traffic light
CN201711443868.9A CN108454356B (zh) 2017-02-20 2017-12-27 显示交通信号灯的遮阳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51A KR102298872B1 (ko) 2017-02-20 2017-02-20 신호표시 선바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152A true KR20180096152A (ko) 2018-08-29
KR102298872B1 KR102298872B1 (ko) 2021-09-06

Family

ID=6316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451A KR102298872B1 (ko) 2017-02-20 2017-02-20 신호표시 선바이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86505B2 (ko)
KR (1) KR102298872B1 (ko)
CN (1) CN1084543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3749A1 (de) * 2017-09-26 2019-03-28 Inteva Products, Llc Intelligenter elektronischer mehrstellungs-sonnenschutz
US20200047685A1 (en) * 2018-08-08 2020-02-13 Troy Eide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lluminated sun visor
JP7200643B2 (ja) * 2018-12-10 2023-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開錠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並びに開錠システム
CZ308749B6 (cs) * 2019-02-19 2021-04-28 ŠKODA AUTO a.s. Způsob a systém vizualizace vlnových délek signálů světelného signalizačního zařízení pro vozidla
CN110774981A (zh) * 2019-11-18 2020-02-11 贵州玖捌汽车大数据贸易服务有限公司 一种车载主动安全控制终端
CN114170819B (zh) * 2021-12-08 2022-10-28 扬州市法马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交通信号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0011A (ja) * 2005-03-16 2006-09-28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KR20090063508A (ko) * 2007-12-14 2009-06-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시야확보를 위한 선바이저 및 작동 방법
KR20160017215A (ko) * 2014-08-01 2016-02-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안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3184B2 (ja) * 2007-06-28 2012-08-29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264673B2 (en) * 2011-11-20 2016-02-16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vision system with enhanced functionality
CN102905062B (zh) * 2012-10-17 2015-12-09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一种内置摄像头及内置摄像头的实现方法
US20140167442A1 (en) * 2012-12-18 2014-06-19 Tsz Leung CHEW Visor Device for Vehicle
EP3736732A1 (en) * 2014-01-30 2020-11-11 Mobileye Vision Technologie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lane end recognition
CN105882360A (zh) * 2015-01-05 2016-08-24 罗斌 一种智能电子显示汽车挡阳板
EP3283330B1 (de) * 2015-04-13 2020-06-24 SES Solutions GmbH Virtuelle panorama- bzw. schiebedach anordnung
JP2017034615A (ja) * 2015-08-06 2017-02-0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車両用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0011A (ja) * 2005-03-16 2006-09-28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KR20090063508A (ko) * 2007-12-14 2009-06-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시야확보를 위한 선바이저 및 작동 방법
KR20160017215A (ko) * 2014-08-01 2016-02-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안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36849A1 (en) 2018-08-23
KR102298872B1 (ko) 2021-09-06
CN108454356A (zh) 2018-08-28
US10486505B2 (en) 2019-11-26
CN108454356B (zh)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6152A (ko) 신호표시 선바이저
US10168532B2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US7629946B2 (en) Display apparatus
KR101355279B1 (ko) 얼굴 영상 검출 장치
KR101789984B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카메라 시스템
US20160125631A1 (en) Apparatus for dynamically controlling hud (head-up display)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JP4687573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KR20100056719A (ko)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장치
US20190193633A1 (en) Viewing device for vehicle
WO2019142852A1 (ja) 車両の乗員を検知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車両の室内の照明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11280999B2 (en) Head-up display
KR101761790B1 (ko) 영상처리를 이용한 선 바이저 및 동작 방법
JP2001039210A (ja) ライト点灯制御装置
KR20190064310A (ko)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533285B1 (ko) 어두운 환경에서 위험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여 표시하는 차량 안전 시스템 및 적외선 영상 촬영방법
JP7295645B2 (ja) 車両用道路標識認識支援装置
KR20120058208A (ko) 카메라모듈을 이용한 차량 사이드 미러 오토 폴딩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9034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정보의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EP2709356A2 (en) Method for operating a front camera of a motor vehicle considering the light of the headlight, corresponding device and motor vehicle
JP2006137209A (ja) 車両用防眩装置
JP6763324B2 (ja) 画像表示装置
KR100939443B1 (ko) 햇빛 가리개를 보정 하기 위한 영상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21113011A (ja) 制御装置
KR101774691B1 (ko) 깜박임 보정 시스템
KR20180029348A (ko) 차선 시인성 향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