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310A -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310A
KR20190064310A KR1020170163757A KR20170163757A KR20190064310A KR 20190064310 A KR20190064310 A KR 20190064310A KR 1020170163757 A KR1020170163757 A KR 1020170163757A KR 20170163757 A KR20170163757 A KR 20170163757A KR 20190064310 A KR20190064310 A KR 20190064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blind spot
control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7016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4310A/ko
Publication of KR20190064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은, 차량의 후방 및 후측방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는 복수 개의 광각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 촬영부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촬영부의 복수 개의 광각 카메라의 영상을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THE REAR AND SIDE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룸 미러, 사이드 미러 및 후방 카메라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는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전할 때 전방의 상황은 물론 후방, 측방 등의 사각지대의 상황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데, 특히 차선의 변경이나 후진할 경우 사각지대의 상황을 확실하게 인지한 후 차선의 변경이나 후진 등의 조작을 하여야만 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주행 중 차선의 변경 시 혹은 후진을 할 경우 운전자가 차체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양 사이드미러 또는 실내에 장착된 룸미러를 통하여 후방이나 양측방의 상황을 판단한 후 후방의 차량이 적정 거리를 두고 안전한 상태에 있을 때 혹은 후방에 장애물이 없다고 판단될 때 차선 변경이나 후진 등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운전자가 미숙할 경우 주행 중 사이드미러 및 룸미러를 보고 후방의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불안정하므로 추돌 등의 사고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후방의 장애물을 확실하게 인지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에, 최근에는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차량에 속속 탑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미러에 사각지대 경고 램프가 점멸되어 후측방 사각지대 차량에 대해 운전자가 주의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운전자는 주차 등의 상황에서 트렁크 손잡이의 후방 카메라를 활용하여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좌우 각각의 룸미러와 사이드 미러와 특정 상황에 동작하는 후방카메라가 분리되어 있어 운전자가 차선변경 또는 주차 등을 위해 시야 확보가 필요한 경우, 각 시스템이 표시하는 방향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각도에 따라 후방카메라와 룸미러, 사이드 미러가 커버하는 영역이 중복되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9252호(공개일 : 2017.05.10.공개)인 "차량의 카메라 영상 제공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룸 미러, 사이드 미러 및 후방 카메라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사이드 미러를 제거하는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는, 차량의 후방 및 후측방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는 복수 개의 광각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부의 복수 개의 광각 카메라의 영상을 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사각지대의 위험상황을 경고하기 위한 사각지대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의 영상을 통해 사각지대의 물체를 감지하여, 상기 사각지대경고부를 통해 사각지대 감지 여부를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각지대경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사각지대 물체 감지에 따른 제어 신호에 따라 점멸하는 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량의 룸미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차량의 루프와의 접점인 후방 윈도우 프레임 상단 측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후측방 감지 방법은, 제어부가 복수 개의 광각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로부터 차량 외부의 후방 및 후측방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받은 영상을 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합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촬영부의 영상을 통해 사각지대의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각지대의 물체를 감지하여, 사각지대경고부를 통해 사각지대 감지 여부를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사각지대 감지 여부를 경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각지대의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설치된 사각지대경고부의 램프를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은, 룸 미러, 사이드 미러 및 후방 카메라로 분리된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 구현함으로써, 운전자가 각각의 룸 미러, 사이드 미러 및 후방 카메라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각각의 룸 미러, 사이드 미러 및 후방 카메라의 중복된 시야를 줄임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룸 미러, 사이드 미러 및 후방 카메라를 통합 구현하여 사이드 미러를 없애고, 미러리스 차량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부품 낭비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미관 개선 및 공기저항 감소의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은, 후방 광각 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운전자가 하나의 화면으로 차량의 후방과 측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 중 시야 확보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측방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는, 사이드 미러를 제거하고 촬영부(100)와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운전자의 후방 및 후측방 중 적어도 하나의 시야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촬영부(100), 제어부(200), 디스플레이부(300) 및 사각지대경고부(400)를 포함한다.
촬영부(100)는 복수 개의 광각 카메라(110)를 포함하여 차량의 후방 및 후측방을 촬영하는 것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200)에 제공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300)에 바로 출력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촬영부(100)는 상시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200)에 실시간으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광각 카메라(110)는 최대 150°의 시야각을 커버하는 광각 카메라(110)일 수 있으며, 차량의 루프와의 접점인 후방 윈도우 프레임 상단 측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광각 카메라(110)를 설치하여, 최대 300°의 시야각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후방 및 후측방을 사각지대 없이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광각 카메라(110)의 설치 위치 및 개수 등에 대해서는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광각 카메라(110)는 표준 렌즈에 비해 넓은 화각을 제공하는 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로, 표준 렌즈로 포착한 영상보다 화각이 넓으므로 더 많은 것을 프레임 안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각 카메라(110)는 피사체와 배경의 거리도 실제보다 더 멀게 묘사하므로 원근감을 과장하는 특성을 가진다. 즉, 광각 카메라(110) 앞에 있는 물체는 실제보다 더 크게 기록하고 광각 카메라(110)와 떨어져 있는 물체는 실제보다 더 작게 기록하여 실제 보다 물체 사이의 거리를 확장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광각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운전자가 확인하기 용이한 상태로 영상처리 할 수 있고, 복수 개의 광각 카메라(110)의 영상을 조합하는 등의 과정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촬영부(100)의 영상을 출력하는 것으로, 차량의 룸미러(room mirror, 또는 인사이드(inside) 미러)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룸미러에 디스플레이부(300)를 설치하여, 기존의 미러 기능뿐만 아니라, 촬영부(100)의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도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하지 않고, 운전자가 룸미러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통해 후방 및 후측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각지대경고부(400)는 차량의 사각지대의 위험상황을 경고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3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부(200)의 사각지대 물체 감지에 따른 제어 신호에 따라 점멸하는 램프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촬영부(100)의 영상을 통해 사각지대의 물체를 감지하여, 상기 사각지대경고부(400)를 통해 사각지대 감지 여부를 경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각지대경고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룸미러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3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다른 곳을 확인할 필요 없이 룸미러를 확인함으로써, 후방 및 후측방을 볼 수 있고, 사각지대경고부(400)의 램프의 점멸을 통해 사각지대 경고 여부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이때, 사각지대경고부(400)의 램프의 개수, 위치, 그 구현방법 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어부(200)는 복수 개의 광각 카메라(110)가 포함된 촬영부(100)로부터 차량 외부의 후방 및 후측방을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받은 영상을 조합하여, 조합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00)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광각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차량의 룸미러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300)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촬영부(100)의 영상을 통해 사각지대의 물체를 감지하여, 사각지대경고부(400)를 통해 사각지대 감지 여부를 경고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0)가 촬영부(100)의 영상을 통해 사각지대의 물체를 감지하고 있으나, 별도의 센서가 추가로 구비되어 운전자가 확인하지 못하는 사각지대의 충돌 위험이 있는 위험 물체에 대한 경고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각지대의 물체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300)의 램프를 점멸하여 운전자에게 사각지대 물체의 존재에 대해 경고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위험 물체에 대한 경고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즉, 광각 카메라(110)를 통해 기존의 사이드 미러가 감지하던 영역까지 커버함으로써, 사이드 미러를 없앨 수 있고, 제어부(200)에서 촬영부(100)와 사각지대경고부(400), 그리고 차량의 룸미러를 통합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확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촬영부(100)가 녹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촬영부(100)는 광각 카메라(110)로 상시 영상을 촬영하여 녹화하고, 제어부(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운전자는 차량 사고 기록 장치(블랙박스)로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측방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차량의 후측방 감지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측방 감지 방법은, 먼저 제어부(200)가 제어부가 촬영부(100)로부터 차량 외부의 후방 및 후측방을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는다(S100).
여기서, 촬영부(100)는 복수 개의 광각 카메라(110)를 포함하여 차량의 후방 및 후측방을 촬영하는 것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200)에 제공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300)에 바로 출력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촬영부(100)는 상시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200)에 실시간으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광각 카메라(110)는 최대 150ㅀ의 시야각을 커버하는 광각 카메라(110)일 수 있으며, 차량의 루프와의 접점인 후방 윈도우 프레임 상단 측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광각 카메라(110)를 설치하여, 최대 300ㅀ의 시야각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후방 및 후측방을 사각지대 없이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S100단계에서 입력받은 영상을 조합하거나 상기 입력받은 영상을 통해 사각지대 물체를 감지한다(S200).
즉, 제어부(200)는 촬영부(100)의 카메라가 광각 카메라(110)이고, 복수 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다 현실과 가까운 화면을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입력받은 영상을 조합하는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촬영부(100)의 영상을 통해 운전자가 확인 할 수 없는 사각지대의 위험 물체 등에 대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사각지대 위험 물체 감지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제어부(200)는 S200단계에서 사각지대를 감지한 결과 위험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0).
S300단계에서 사각지대 위험 물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0)는 사각지대경고부(400)를 통해 사각지대의 물체 감지 여부를 경고하고(S400), 사각지대 위험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S200단계에서 조합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00)에 디스플레이한다(S500).
또한, S400단계 이후, S200단계에서 조합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가 상기 입력받은 영상을 조합하여, 조합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00)에 출력함으로써, 운전자는 광각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차량의 룸미러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300)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촬영부(100)의 영상을 통해 사각지대의 물체를 감지하여, 사각지대경고부(400)를 통해 사각지대 감지 여부를 경고할 수 있는데,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0)가 사각지대의 물체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300)의 램프를 점멸하여 운전자에게 사각지대 물체의 존재에 대해 경고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룸미러를 통해 사각지대 위험 물체에 대한 경고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즉, 광각 카메라(110)를 통해 기존의 사이드 미러가 감지하던 영역까지 커버함으로써, 사이드 미러를 없앨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은, 룸 미러, 사이드 미러 및 후방 카메라로 분리된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 구현함으로써, 운전자가 각각의 룸 미러, 사이드 미러 및 후방 카메라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각각의 룸 미러, 사이드 미러 및 후방 카메라의 중복된 시야를 줄임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룸 미러, 사이드 미러 및 후방 카메라를 통합 구현하여 사이드 미러를 없애고, 미러리스 차량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부품 낭비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미관 개선 및 공기저항 감소의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은, 후방 광각 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운전자가 하나의 화면으로 차량의 후방과 측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 중 시야 확보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촬영부
110 : 광각 카메라
200 : 제어부
300 : 디스플레이부
400 : 사각지대경고부

Claims (8)

  1. 차량의 후방 및 후측방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는 복수 개의 광각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부의 복수 개의 광각 카메라의 영상을 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사각지대의 위험상황을 경고하기 위한 사각지대경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의 영상을 통해 사각지대의 물체를 감지하여, 상기 사각지대경고부를 통해 사각지대 감지 여부를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지대경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사각지대 물체 감지에 따른 제어 신호에 따라 점멸하는 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량의 룸미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차량의 루프와의 접점인 후방 윈도우 프레임 상단 측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6. 제어부가 복수 개의 광각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로부터 차량 외부의 후방 및 후측방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받은 영상을 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합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측방 감지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촬영부의 영상을 통해 사각지대의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각지대의 물체를 감지하여, 사각지대경고부를 통해 사각지대 감지 여부를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측방 감지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지대 감지 여부를 경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각지대의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설치된 사각지대경고부의 램프를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측방 감지 방법.
KR1020170163757A 2017-11-30 2017-11-30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90064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757A KR20190064310A (ko) 2017-11-30 2017-11-30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757A KR20190064310A (ko) 2017-11-30 2017-11-30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310A true KR20190064310A (ko) 2019-06-10

Family

ID=6684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757A KR20190064310A (ko) 2017-11-30 2017-11-30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43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354A (ko) * 2019-01-30 2020-08-10 주식회사 스트라드비젼 극한 상황에서 폴트 톨러런스 및 플럭츄에이션 로버스트한, 자동차간 통신 기반의 협조적인 블라인드 스팟 경보 방법 및 장치
WO2020242247A1 (ko) 2019-05-31 2020-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230026704A (ko) 2021-08-18 2023-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장애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354A (ko) * 2019-01-30 2020-08-10 주식회사 스트라드비젼 극한 상황에서 폴트 톨러런스 및 플럭츄에이션 로버스트한, 자동차간 통신 기반의 협조적인 블라인드 스팟 경보 방법 및 장치
WO2020242247A1 (ko) 2019-05-31 2020-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230026704A (ko) 2021-08-18 2023-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장애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5123B2 (en) Vehicular camera monitoring system with stereographic display
US11518401B2 (en) Vehicular driving assist with driver monitoring
KR101373616B1 (ko) 차량용 사이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7159510A1 (ja) 駐車支援装置、車載カメラ、車両および駐車支援方法
CN102371944A (zh) 车辆用视觉辅助系统以及具备该系统的车辆
KR20180065527A (ko) 차량 후측방 경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고 방법
KR101729486B1 (ko) Avm 시스템에서의 사각 지대 감시 방법 및 그 avm 시스템
KR20190064310A (ko) 차량의 후측방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60051321A (ko) 차량의 능동 사이드 뷰 시스템
WO2017145549A1 (ja) 脇見見落とし注意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3165667A (zh) 调节摄像机的视角的车辆用全景监控系统及其方法
JP4600999B2 (ja) 車両周囲監視装置
KR10160150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운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JP2007025739A (ja) 車両用画像表示装置
KR102010407B1 (ko) 스마트 리어뷰 시스템
KR101533285B1 (ko) 어두운 환경에서 위험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여 표시하는 차량 안전 시스템 및 적외선 영상 촬영방법
JP2007133644A (ja) 歩行者認識装置
JP2008162550A (ja) 外部環境表示装置
JP2005182305A (ja) 車両走行支援装置
KR20160136636A (ko) 파노라마 뷰 가변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73404B1 (ko) 탑뷰 제공 장치
JP4449618B2 (ja) 車両周辺監視システム
KR102632361B1 (ko) 어라운드 뷰 영상 제공 시스템
KR100882689B1 (ko) 차량의 측후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218441B2 (ja) 車載用移動体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