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146A - 내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146A
KR20180096146A KR1020170022439A KR20170022439A KR20180096146A KR 20180096146 A KR20180096146 A KR 20180096146A KR 1020170022439 A KR1020170022439 A KR 1020170022439A KR 20170022439 A KR20170022439 A KR 20170022439A KR 20180096146 A KR20180096146 A KR 20180096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present
endoscope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0500B1 (ko
Inventor
김헌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티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티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티메드
Priority to KR102017002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5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17Optical cables in or with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19Tubes or pipes in or with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며, 내시경 장치는, 피검자의 체내로 삽입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내시경 시술시 필요한 복수의 유닛 장치 중 제1 유닛 장치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의 후단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유닛 장치 중 제2 유닛 장치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1 유닛 장치 및 상기 제2유닛 장치에 필요한 채널을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 또는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2수용부에 대하여 회전하거나 상기 제1수용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시경 장치 {ENDOSCOPE APPARATUS}
본원은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endoscope)은 수술을 하거나 부검(剖檢)을 하지 않고서는 직접 병변(病變)을 볼 수 없는 장기에 대하여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고안된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류로는 기관지경, 식도경, 위경, 십이지장경, 직장경, 방광경, 복강경 등이 있고, 그 밖에 특수한 것으로는 흉강경, 종격경, 심장경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내시경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내시경 장치(10)는 신체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1) 및 삽입부의 후단에 마련되는 조작부(2)를 포함한다. 이러한 삽입부(1)의 전단(F)에는 신체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 촬영부위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부, 촬영이 용이하도록 신체 내부를 세척하는 물 분사부, 신체 내의 이물질이나 공기 등을 흡입하는 석션부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삽입부(1) 내에는 이러한 부들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 내에는 바이옵시 채널 (biopsy channel)이 마련될 수 있으며, 내시경 시술자는 이 바이옵시 채널로 메스를 삽입하여 신체 내부의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한편,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신체 내 영상은 내시경 장치(10)에 연결된 표시 장치(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종래의 내시경 장치(10)에 구비된 신체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즉, 카메라)의 경우에는, 신체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1)의 직경이 한정적이고, 삽입부(1) 내에 많은 수단들(즉, 조명부, 물 분사부, 석션부, 바이옵시 등)이 포함됨으로 인해, 소형의 카메라가 구비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소형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의 경우에는 해상도가 낮아, 결과적으로 촬영된 내시경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삽입부(1)의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바이옵시 채널의 양적 확장에도 한계가 있었으며, 이는 내시경 장치(10)를 조작하는 의료진들의 불편함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4743호(공개일: 2013.04.08)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시경 장치에 구비된 소형 카메라로 내시경 영상을 획득함에 따라 해상도 저하로 인해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시경 장치에 구비되는 바이옵시 채널의 양적 제한으로 인해 시술 또는 수술 시간이 증가되고 의료진 및 환자의 불편함이 증가되는 문제를 해소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피검자의 체내로 삽입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내시경 시술시 필요한 복수의 유닛 장치 중 제1 유닛 장치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의 후단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유닛 장치 중 제2 유닛 장치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1 유닛 장치 및 상기 제2유닛 장치에 필요한 채널을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 또는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2수용부에 대하여 회전하거나 상기 제1수용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유닛 장치는, 카메라 유닛, 에어 공급 유닛, 석션 유닛, 조명 유닛, 물 공급 유닛 및 바이옵시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카메라 유닛을 수용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바이옵시 유닛 및 상기 석션 유닛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180도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제2수용부 보다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전면에는 상기 제1 유닛 장치가 노출되고, 상기 제2 수용부의 전면에는 상기 제2 유닛 장치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용부는 복수의 바이옵시 유닛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용부 또는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수용부 또는 상기 제2수용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에어 공급 유닛, 상기 물 공급 유닛 및 상기 조명 유닛을 더 수용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내시경 장치에 포함되는 카메라가 종래의 소형 카메라 보다 큰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내시경 장치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내시경 촬영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내시경 장치에 복수의 바이옵시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내시경 장치를 활용한 시술 또는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고, 의료진 및 환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내시경 시술에 있어서 필요한 장치들을 폭넓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내시경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몸체부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몸체부의 제2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는 조작부(210) 및 몸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210)는 내시경 시술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부분으로서, 피검자의 체내로 삽입되는 몸체부(22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210)는 몸체부(220)가 수용하고 있는 내시경 시술시 필요한 복수의 유닛 장치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유닛 장치의 예는 후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부(220)는 피검자의 체내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복수의 유닛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몸체부(220)에 대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몸체부(220)의 앞단부(A)를 확대한 도면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100)의 몸체부(220)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100)의 몸체부(220)의 제2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상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가 피검자의 체내로 삽입되기 전 또는 체내로 삽입된 후의 기본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상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가 피검자의 체내로 삽입된 후 내시경 시술을 위하여 몸체부(220)의 일부를 회전시킨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에서 몸체부(220)는 제1 수용부(222) 및 제2 수용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222)는 몸체부(222)의 가장 앞단에 위치하며, 내시경 시술시 필요한 복수의 유닛 장치 중 제1 유닛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수용부(224)는 제1 수용부(222)의 후단에 위치하며, 내시경 시술시 필요한 복수의 유닛 장치 중 제2 유닛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유닛 장치는 피검자의 체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유닛(11), 체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 유닛(12), 체내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유닛(13), 체내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 유닛(14), 체내의 조직의 일부를 채취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바이옵시(biopsy) 유닛(15) 및 체내로부터의 공기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 유닛(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옵시 유닛은 생체에서 조직 일부를 채취하기 위한 매스, 바늘 등 각종 의료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매스, 바늘 등의 바이옵시 유닛은 내시경 시술자에 의하여 후술할 바이옵시 채널을 통해 체내로 삽입됨으로써 체내의 세포를 채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222)는 일예로 제1 유닛 장치로서 카메라 유닛(11)을 수용하고, 제2 수용부(224)는 제2 유닛 장치로서 바이옵시 유닛(15) 및 석션 유닛(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222)는 제1 유닛 장치로서, 에어 공급 유닛(12), 물 공급 유닛(13) 및 조명 유닛(1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수용부(224)는 복수의 바이옵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일예에서는, 제1 수용부(222)가 제1 유닛 장치로서 카메라 유닛(11), 에어 공급 유닛(12), 물 공급 유닛(13) 및 조명 유닛(14)을 포함하고, 제2 수용부(224)가 제2 유닛 장치로서 바이옵시 유닛(15) 및 섹션 유닛(16)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수용부에 수용되는 유닛 장치의 수, 구성 및 조합은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수용부(222)는 카메라 유닛(11)만 수용하고, 제2 수용부(224)는 복수의 유닛 장치 중 카메라 유닛(11)을 제외한 나머지 유닛들(12, 13, 14, 15, 16)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수용부(222)에 카메라 유닛(11)만 형성되는 경우, 카메라 유닛(11)은 몸체부(222)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카메라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수용부(222)는 카메라 유닛(11) 및 물 공급 유닛(13)을 포함하고, 제2 수용부(224)는 에어 공급 유닛(12), 조명 유닛(14), 복수의 바이옵시 유닛 및 석션 유닛(16)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수용부(224)는 복수의 바이옵시 유닛 및 복수의 석션 유닛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시술 또는 수술을 진행할 때 시간을 단축하고, 의료진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바이옵시 유닛(15) 및 석션 유닛(16)이 별도의 공간(또는 홀)을 통해 제2수용부(224)에 수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공간(또는 홀)을 통해 제2수용부(224)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에서 몸체부(220)는 가이드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26)는 제1 수용부(222)와 제2 수용부(224)를 연결시키며, 제1 유닛 장치 및 제2 유닛 장치에 필요한 채널을 제공(또는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은 복수의 유닛 장치 각각을 공급하는 공급선 또는 공급선이 통과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채널은 복수의 유닛 장치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26)는 복수의 유닛 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을 모두 수용할 수 있고, 또는 제1 유닛 장치에 대응하는 채널만 수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일예에서는, 가이드부(226)가 카메라 유닛(11)에 대응하는 채널(11a)만 수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에어 공급 유닛(12), 물 공급 유닛(13) 및 조명 유닛(14)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미도시)을 수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의 일예에서는, 바이옵시에 대응하는 채널(즉, 바이옵시 채널, 15a) 및 석션에 대응하는 채널(즉, 석션 채널, 16a)을 제2 수용부(224)가 수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부(226)가 바이옵시 채널(15a) 및 석션 채널(16a)을 수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바이옵시 채널(15a) 및 석션 채널(16a)이 가이드부(226)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이드부(226)에 수용된 바이옵시 채널(15a) 및 석션 채널(16a)을 제2 수용부로 제공하기 위해, 가이드부(226)의 일 영역에는 소정의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26)는 일예로, 채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226)에는 별도의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26)는 제1 수용부(222)와 제2 수용부(224)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예로, 가이드부(226)는 제1 수용부(222)의 길이보다는 길고, 제1 수용부(222) 및 제2 수용부(224)를 포함한 몸체부(220)의 전체 길이 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가이드부(226)는 제1 수용부(222)와 제2 수용부(224)의 내주면에 형성되되, 제1 수용부(222)와 제2 수용부(224) 사이의 경계를 기준으로 제1 수용부(222)와 제2 수용부(224) 각각에 소정의 길이가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가이드부(226)의 길이가 4cm 인 경우, 가이드부(226)의 절반에 대응하는 길이는 제1 수용부(222)에 포함되도록 형성되고, 가이드부(226)의 다른 절반에 대응하는 길이는 제2 수용부(224)에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226)가 소정의 길이(예를 들어, 4cm)로 형성되는 경우, 제2 수용부(224)는 복수의 유닛 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을 모두 수용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226)는 제2 수용부(224)에 수용된 복수의 채널 중 제1 수용부(222)에 수용된 제1 유닛 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을 가이드부(226)를 통해 제1 수용부(222)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는 제1 수용부(222) 또는 제2 수용부(224)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수용부(222) 또는 제2 수용부(22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제어부는 조작부(210) 또는 몸체부(22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과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예를 들어, 모터)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나뉘어 각각 조작부(210) 또는 몸체부(220)에 포함될 수 있다.
회전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제1 수용부(222) 또는 제2 수용부(224)는 가이드부(226)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2 수용부(224)에 대하여 회전하거나 제1 수용부(22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수용부(222)는 가이드부(226)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180도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수용부(222)는 제2 수용부(224) 보다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수용부(222) 및 제2 수용부(224)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즉, 체내에 내시경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 기본 상태, 제1 상태)에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는 도 3과 같은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1 수용부(222) 및 제2 수용부(224)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회전이 이루어진 상태(즉, 체내에 내시경이 삽입된 후의 상태, 시술시 상태, 제2 상태)에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는 도 4와 같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 제어부에서 동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동력이 제1수용부(222) 또는 제2수용부(224)로 전달되어 필요한 각도 만큼 제1수용부(222) 또는 제2수용부(224)가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수용부(222)와 제2수용부(224)의 사이에는 스프링 등과 같은 동력 전달 기구(미도시)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제1수용부(222)와 제2수용부(224)에 작용하지 않은 기본 상태는 도 4와 같은 제2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1수용부(222)와 제2수용부(224)에는 각각 삽입 돌기와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제1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수용부(222) 또는 제2수용부(224)에 상기 삽입 돌기가 상기 고정 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정도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수용부(222) 또는 제2수용부(224)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여 제2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는, 제1 유닛 장치(11, 12, 13, 14)만 몸체부(220)의 전면이자 제1 수용부(222)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으며, 제1 상태에서 제2 유닛 장치(15, 16)는 제1 수용부(222)에 의해 가려져 몸체부(2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는, 제1 수용부(222)와 제2 수용부(224) 중 어느 하나가 가이드부(226)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에 따라, 제1 수용부(222)의 전면에는 제1 유닛 장치(11, 12, 13, 14)가 노출되고, 제2 수용부(224)의 전면에는 제2 유닛 장치(15, 16)가 노출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에 의하면, 내시경 시술자는 도 4와 같은 상태(즉, 제2 상태)에서 제1 유닛 장치와 제2 유닛 장치를 모두 사용하여 내시경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내시경 장치는, 하나의 몸체부 내에 복수의 유닛 장치가 모두 구비됨에 따라, 다른 유닛 장치들과 몸체부의 한정된 너비(폭, 직경)으로 인해 카메라가 소형의 카메라만 구비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소형의 카메라로 내시경 영상 촬영을 수행함에 따라 획득한 영상의 해상도가 상당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는 몸체부(220)의 앞단에 형성된 제1 수용부(222)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내시경 시술에 필요한 복수의 유닛 장치의 수용 공간이 종래 대비 약 2배에 가깝도록 확장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는 카메라 유닛과 바이옵시 유닛을 분리하여 별도의 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는 종래의 카메라 대비 더 큰 크기를 갖는 카메라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해상도(예를 들어 4k급 해상도)의 내시경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수용부(222)에 카메라 유닛(11)만 수용되는 경우, 해당 카메라 유닛(11)이 몸체부(220)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음에 따라,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는 종래 대비 높은 해상도를 갖는 내시경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200)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종래 대비 약 2배에 가깝도록 수용 공간이 확장될 수 있어, 내시경 시술시 필요한 장치들을 종래 대비 더 많은 수로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바이옵시 유닛과 석션 유닛을 삽입할 수 있어, 시술 또는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내시경 장치
210: 조작부
220: 몸체부
222: 제1 수용부
224: 제2 수용부
226: 가이드부

Claims (6)

  1.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피검자의 체내로 삽입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내시경 시술시 필요한 복수의 유닛 장치 중 제1 유닛 장치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의 후단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유닛 장치 중 제2 유닛 장치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1 유닛 장치 및 상기 제2유닛 장치에 필요한 채널을 제공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 또는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2수용부에 대하여 회전하거나 상기 제1수용부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인, 내시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 장치는,
    카메라 유닛, 에어 공급 유닛, 석션 유닛, 조명 유닛, 물 공급 유닛 및 바이옵시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카메라 유닛을 수용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바이옵시 유닛 및 상기 석션 유닛을 수용하는 것인, 내시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180도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제2수용부 보다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전면에는 상기 제1 유닛 장치가 노출되고,
    상기 제2 수용부의 전면에는 상기 제2 유닛 장치가 노출되는 것인, 내시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는 복수의 바이옵시 유닛을 수용하는 것인, 내시경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 또는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수용부 또는 상기 제2수용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내시경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는 상기 에어 공급 유닛, 상기 물 공급 유닛 및 상기 조명 유닛을 더 수용하는 것인, 내시경 장치.
KR1020170022439A 2017-02-20 2017-02-20 내시경 장치 KR10199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39A KR101990500B1 (ko) 2017-02-20 2017-02-20 내시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39A KR101990500B1 (ko) 2017-02-20 2017-02-20 내시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146A true KR20180096146A (ko) 2018-08-29
KR101990500B1 KR101990500B1 (ko) 2019-06-18

Family

ID=6343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439A KR101990500B1 (ko) 2017-02-20 2017-02-20 내시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5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1190A1 (ko) * 2019-06-10 2020-12-1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부가 구비된 안과수술장치
WO2021194094A1 (ko) * 2020-03-24 2021-09-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소침습수술용 수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242A (ja) * 1992-05-20 1993-12-03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管路装置
JP2002238835A (ja) * 2001-02-16 2002-08-27 Asahi Optical Co Ltd 処置用内視鏡の先端部
JP2009279411A (ja) * 2008-05-20 2009-12-03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装置
JP2015535439A (ja) * 2012-12-28 2015-12-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立体視内視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242A (ja) * 1992-05-20 1993-12-03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管路装置
JP2002238835A (ja) * 2001-02-16 2002-08-27 Asahi Optical Co Ltd 処置用内視鏡の先端部
JP2009279411A (ja) * 2008-05-20 2009-12-03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装置
JP2015535439A (ja) * 2012-12-28 2015-12-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立体視内視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1190A1 (ko) * 2019-06-10 2020-12-1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부가 구비된 안과수술장치
WO2021194094A1 (ko) * 2020-03-24 2021-09-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소침습수술용 수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500B1 (ko)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1714B2 (ja) 医療機器
JP4691361B2 (ja) 取り外し可能な偏向デバイスを備える内視鏡画像化システム
US8088065B2 (en) Medical instrument
US20090030276A1 (en) Tissue visualization catheter with imaging systems integration
JP2009072368A (ja) 医療装置
JP2012000466A (ja) 腔内クローラ
EP2338403A1 (en) Medical device
KR101176864B1 (ko) 내시경수술용 수술도구 구동장치
JPWO2012014656A1 (ja) 硬性鏡
CN107802230B (zh) 一种内窥镜用可调向套管组件及内窥镜装置
JP2017213367A5 (ja) 内視鏡の処置具駆動ホイールハウジング
KR101990500B1 (ko) 내시경 장치
JPWO2005027738A1 (ja) 内視鏡及び内視鏡システム
JP5866162B2 (ja) 外科用内視鏡及び外科用内視鏡の外科器具を交換する方法
KR20160090462A (ko) 다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및 이와 연결되는 캡
KR20110104234A (ko) 3차원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내시경
CN215128274U (zh) 转向控制机构、内窥镜和医用检查装置
JP7199629B2 (ja) 内視鏡装置
KR101613271B1 (ko) 카테터
CN108697311B (zh) 超细拍摄单元、视频内窥镜
KR102220558B1 (ko) 교차 감염 방지를 위한 일회용 내시경 구조
US20180192863A1 (en) Method for observing the paranasal sinus
JP4276832B2 (ja) 内視鏡装置
JP5653770B2 (ja) 医療機器
JP5893803B1 (ja) 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