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137A -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 Google Patents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137A
KR20180096137A KR1020170022424A KR20170022424A KR20180096137A KR 20180096137 A KR20180096137 A KR 20180096137A KR 1020170022424 A KR1020170022424 A KR 1020170022424A KR 20170022424 A KR20170022424 A KR 20170022424A KR 20180096137 A KR20180096137 A KR 20180096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abric
mold
movable mol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990B1 (ko
Inventor
이기섭
조일용
Original Assignee
(주)서연오토비전
조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연오토비전, 조일용 filed Critical (주)서연오토비전
Priority to KR1020170022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9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6Knobs or handles, push-buttons, grips
    • B29L2031/463Grip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피재인 원단과 사출 성형물인 코어를 각각 별도의 금형에 개별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원단을 예열하고 금형의 합형시 수반되는 가압력을 이용하여 원단과 사출물 코어 사이의 접착을 구현하며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사출물 코어의 배면에 대해 자동적으로 감싸 접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라운드 부위를 포함한 제품의 전 부위에서 발생되는 주름을 보다 적극적으로 배제하고 폐기되는 원단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감싸기 작업에 의한 제품의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를 개시한다.
전술한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는 승강유닛(200)을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출물 코어를 고정하는 가동금형(300), 가동금형(3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사출물 코어에 접합되는 원단을 고정하여 가동금형(300)의 하강시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접합을 유도하는 안착금형(800), 가동금형(300)의 하부에서 원단을 향해 열원을 제공하는 발열유닛(600), 발열유닛(600)에 의한 열원의 제공시 안착금형(800)에 대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유닛(500), 및 안착금형(800)의 측부에 설치되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사출물 코어의 배면에 대해 감싸기 작업을 수행하는 마감작업유닛(90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AUTOMATION EQUIPMENT FOR ENVELOPING INTERIOR TRIM}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적용되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을 위한 자동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재를 구성하는 사출물 코어와 원단을 각각 가동금형과 안착금형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원단의 예열을 통해 사출물 코어와의 원활한 접착을 유도하고 금형의 합형에 따라 수반되는 가압을 통해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완전한 접착을 구현함과 동시에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사출물 코어의 배면에 대해 자동적으로 감싸 접합할 수 있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의 내장재에 해당하는 트림 패널(Trim Panel)은 도어 글래스의 승강과 도어의 개폐 및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도 조정을 위한 다수의 조작부를 함께 설치하는 암레스트, 및 암레스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맵 포켓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내장재는 차실내에서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부위에 해당하기 때문에 차량의 고급화 추세에 부응하여 플라스틱 소재의 사출 성형품 단독으로만 제작되지 않고, 사출 성형품의 코어 표면에 유연 소재의 표피재(Skin)가 별도로 결합되어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는 실정이다.
즉, 자동차 도어의 내장재는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되는 사출물 코어와 코어의 일측 표면에 덧대어 결합되는 표피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코어와 표피재 사이의 결합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고온의 열원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융착이나 상호 맞닿는 부위에 도포되어 고형화되는 접착제에 의한 물리적 접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일례로, 종래 자동차의 도어용 내장재에 대한 제작은 사출물 코어와 표피재인 원단을 사출물 코어 보다 크게 절단한 상태에서 이들 사이의 결합을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의한 가압을 통해 이루어지는 데, 특히 표피재의 원단 중 사출물 코어의 가장자리부위에 위치한 원단은 사출물 코어의 배면에 대해 감싸기 작업을 통해 마감하게 된다.
이 경우, 사출물 코어의 전 부위중 곡률진 형태의 라운드 부위에서 이루어지는 원단의 감싸기 작업은 주름의 발생에 의해 빈번한 불량을 수반하게 되므로 수작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종래 내장재의 제작은 금형을 이용한 자동적인 생산방식을 적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수작업 방식의 제작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와 함께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종래 수작업 방식의 내장재 제작은 라운드 부위에서 이루어지는 감싸기 작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사출물 코어의 크기에 비해 표피재인 원단을 크게 절단해야 하므로, 재사용하지 못하고 폐기되는 원단의 양이 과다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특허출원 제10-2004-0035870호 특허출원 제10-2015-006150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표피재인 원단과 사출 성형물인 코어를 각각 별도의 금형에 개별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원단의 예열을 통해 사출물 코어와의 원활한 접착을 유도하고 금형의 합형시 수반되는 가압력을 이용하여 원단과 사출물 코어 사이의 완전한 접착을 구현함과 더불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사출물 코어의 배면에 대해 자동적으로 감싸 접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라운드 부위를 포함한 제품의 전 부위에서 발생되는 주름을 보다 적극적으로 배제하고 폐기되는 원단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감싸기 작업에 의한 제품의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설치되는 승강유닛, 상기 승강유닛을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출물 코어를 고정하는 가동금형, 상기 가동금형의 하부에 설치되고 사출물 코어에 접합되는 원단을 고정하여 가동금형의 하강시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접합을 유도하는 안착금형, 상기 가동금형의 하부에서 원단을 향해 열원을 제공하는 발열유닛, 상기 발열유닛에 의한 열원의 제공시 안착금형에 대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유닛, 상기 안착금형의 측부에 설치되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사출물 코어의 배면에 대해 감싸기 작업을 수행하는 마감작업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과 발열유닛과 클램핑유닛 및 마감작업유닛의 동작을 각각 조절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승강유닛은 프레임에 설치되는 승강용 메인 실린더, 및 프레임에 대한 가동금형의 상하방향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바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가동금형은 사출물 코어의 고정을 위해 부압을 제공하는 흡착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착유닛은 가동금형의 저면부의 전 영역에 걸쳐 하향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부압노즐을 다수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가동금형은 둘레부위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합형시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가압하는 스크리퍼, 및 상기 스크리퍼에 대해 상하방향 이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용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가동금형의 하부에서 원단을 향한 발열유닛의 이동을 구현하는 진입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입유닛은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진입유닛은 발열유닛을 장착하는 가동프레임, 상기 가동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가동금형의 하부에서 프레임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가동프레임의 직선방향 왕복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안착금형의 측면부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안착금형에 대해 고정하는 파지아암, 및 상기 파지아암에 대해 안착금형의 저면부를 향한 선회력을 제공하는 선회용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아암과 선회용 실린더는 상기 안착금형의 측면부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다수의 수량으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파지아암은 종단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와의 접촉 면적을 확대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마감작업유닛은 안착금형의 측면부에 대해 전진과 후진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사출물 코어의 배면에 대해 접어주는 가압아암, 상기 안착금형의 측면부에서 가압아암의 전진 및 후진방향 이동력을 제공하는 수평이동용 실린더, 및 상기 가압아암에 대해 사출물 코어의 배면을 향한 상하방향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용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마감작업유닛은 프레임의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직선방향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수평이동용 실린더,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가압하는 가압아암, 및 상기 가압아암에 대해 상하방향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용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가동금형과 수평이동용 실린더 및 상하이동용 실린더는 상기 안착금형의 측면부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다수의 수량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안착금형을 향한 가동금형의 작업 대기위치와 작업 개시위치를 각각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검출부는 검출된 가동금형의 위치정보를 제어유닛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위치검출부는 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가동금형의 상한위치와 하한위치를 각각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승강유닛과 연동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는 표피재인 원단과 원단과의 접합부위로 접착제가 도포된 사출 성형물인 코어를 각각 가동금형과 안착금형에 개별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안착금형을 향한 발열유닛의 진입과 작동을 통해 원단을 예열하여 사출물 코어와의 원활한 접착을 유도할 수 있고, 가동금형의 하강에 따른 안착금형과의 합형시 수반되는 가압력을 이용하여 원단과 사출물 코어 사이의 완전한 접착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접착 과정에서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사출물 코어의 배면에 자동적인 감싸기 작업을 통해 접어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라운드 부위를 포함한 내장재의 전 부위에서 발생되는 주름을 효과적으로 펼쳐 제품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출물 코어의 배면에 대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자동적으로 감싸 접합함에 있어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원단의 재단단계에서 절단되는 소재의 넓이를 사출물 코어의 넓이에 맞춰 최소한의 여유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수동 방식의 마감작업 대비 폐기되는 원단의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제품의 생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마감작업의 준비를 위한 가동금형의 상승 변위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마감작업의 시행을 위한 가동금형의 하강 변위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서 가동금형과 안착금형의 구성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서 가동금형의 구성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서 가동금형의 구성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화 설비를 매개로 감싸기 작업이 이루어지는 사출물 코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서 표피재인 원단이 안착금형에 대해 고정되는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서 진입유닛의 작동을 통해 발열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마감작업의 시행을 위한 가동금형의 하강 변위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서 승강유닛의 작동을 통해 가동금형과 안착금형의 형합 상태로서,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접합 및 감싸기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서 마감작업유닛을 구성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를 이용하여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접합 및 감싸기 작업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마감작업의 준비를 위한 가동금형의 상승 변위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마감작업의 시행을 위한 가동금형의 하강 변위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는 프레임(100), 승강유닛(200), 가동금형(300), 흡착유닛(400), 클램핑유닛(500), 발열유닛(600), 진입유닛(700), 안착금형(800), 마감작업유닛(900), 및 제어유닛(1000)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직립형 입체형상의 격자 구조물로서 내부에 소정 용적의 작업공간을 설정하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승강유닛(200),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서 승강유닛(200)의 작동을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금형(300), 상기 가동금형(300)에 설치되어 내장재 중에서 사출물 코어만을 고정하는 흡착유닛(400), 상기 가동금형(3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사출물 코어에 접합되는 표피재인 원단만을 고정하여 가동금형(300)의 하강시 원단의 저면부위를 지지함으로써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전면부위에 걸쳐 원활한 접합을 유도하는 안착금형(800), 상기 가동금형(300)의 하부에서 원단을 향해 열원을 제공하여 주름을 제거하면서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원활한 접합을 유도하는 발열유닛(600), 상기 가동금형(300)의 하부에서 원단을 향한 발열유닛(600)의 직선방향의 수평이동력을 제공하는 진입유닛(700), 상기 안착금형(800)의 측부에 인접한 위치로 설치되어 발열유닛(600)에 의한 열원의 제공시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고정 지지함으로써 소재인 원단의 열변형을 억제하는 클램핑유닛(500), 상기 안착금형(800)의 측부에 인접한 위치로 설치되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사출물 코어의 배면에 대해 감싸 접은 상태로 고정하는 마감작업유닛(900), 및 상기 승강유닛(200)과 흡착유닛(400)과 발열유닛(600)과 진입유닛(700)과 클램핑유닛(500) 및 마감작업유닛(900)의 동작을 각각 조절하는 제어유닛(10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서 가동금형과 안착금형의 구성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서 가동금형의 구성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서 가동금형의 구성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저면도이다. 특히, 도 5와 도 6을 살펴보면, 가동금형(300)의 구성과 함께 가동금형(300)에 설치된 흡착유닛(400)과 가동금형(300)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리퍼(330)의 구성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프레임(100)은 내부의 작업공간을 적절하게 구획하여 분할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가동금형(300)과 안착금형(800)을 각각 상하방향으로 적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가동금형(300)의 하부 공간에서 진입유닛(700)을 매개로 발열유닛(600)이 안착금형(800)을 향해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승강유닛(200)은 감싸기 작업시 프레임(10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서 가동금형(300)에 대해 안착금형(800)을 향한 상하방향의 이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유닛(200)은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승강용 메인 실린더(210), 및 프레임(100)에 대한 가동금형(300)의 상하방향 위치를 수직상태의 정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프레임(10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바아(22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승강용 메인 실린더(210)는 프레임(100)의 상부 공간에서 수직한 상태로 직립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원(공압 내지 유압)을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신축하는 플런져(212)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져(212)의 자유단부는 가동금형(300)과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승강용 메인 실린더(210)는 공압용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공압의 전달을 위한 공압관로, 및 공압관로에 대한 연결부위의 기밀 유지를 위한 피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금형(300)은 프레임(10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서 승강유닛(200)을 매개로 안착금형(800)을 향해 하강하거나 또는 안착금형(80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동금형(300)은 승강용 메인 실린더(210)의 플런져(212)와 연결되는 가동부재(310)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동부재(310)는 평판형 부재로 이루어져, 승강용 메인 실린더(210)의 플런져(212)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동금형(300)은 흡착유닛(400)의 설치를 위한 저면부(320), 상기 저면부(320)의 전 둘레부위를 감싸는 형태로서 합형시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가압하여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원활한 접합을 유도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리퍼(330), 및 상기 가동금형(300)에 대해 스크리퍼($$)의 상하방향 이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용 실린더(340)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스크리퍼(330)는 승강용 실린더(340)의 작동에 따라 가동금형(300)의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에 이르기까지 하강함으로써 합형시 안착금형(800)에 위치한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가압하여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원활한 접합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가동부재(310)에 대해 가동금형(300)은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반면에, 상기 스크리퍼(330)는 가동부재(310)에 대해 승강용 실린더(340)를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흡착유닛(400)은 가동금형(30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마감작업시 내장재 중에서 사출물 코어만을 가동금형(300)의 저면부(320)에 대해 부압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착유닛(400)은 가동금형(300)의 저면부(320)의 전 영역에 걸쳐 하향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부압노즐(410)을 다수로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부압노즐(410)은 가동금형(30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설되는 부압관로와 연결되고, 상기 부압관로에는 부압의 선택적인 제공을 조절하는 제어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부압관로를 통한 부압의 공급은 흡입펌프의 가동이나 별도의 부압 공급원과의 기밀한 연결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6에서 부압관로와 제어밸브 및 부압 공급원 등의 세부적인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흡착유닛(400)은 마감 작업시 가동금형(300)의 저면부에 대해 사출물 코어를 부압으로 흡착시켜 고정함으로써 안착금형(800)을 향한 가동금형(300)의 이동 과정과 마감작업유닛(900)을 이용한 사출물 코어(C)에 대한 원단(F)의 감싸기 작업의 과정 중에서 사출물 코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마감 작업이 종료됨에 따라 가동금형(30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는 전 과정에서도 원단이 접합된 완제품 상태의 사출물 코어를 떨어뜨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화 설비를 매개로 감싸기 작업이 이루어지는 사출물 코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서 표피재인 원단이 안착금형에 대해 고정되는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접합 및 감싸기 작업이 종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 및 도 1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가 적용되는 내장재(T; 도 13에 도시)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된 사출물 코어(C; 도 7에 도시)와 원단(F; 도 8에 도시)을 가동금형(300)과 안착금형(800)에 대해 개별적으로 장착한 상태에서 형합의 과정을 거쳐 사출물 코어(C)의 전면에 대해 표피재인 원단(F)을 완전한 상태로 접합함으로써 완제품 상태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와 도 9, 도 11, 및 도 13을 참조로 하면, 상기 발열유닛(600은 가동금형(300)의 하부에서 표피재인 원단(F)을 향해 적정의 열원을 제공함으로써, 원단(F)의 전 부위에서 발생된 주름을 제거함과 더불어 원단(F)의 전 부위에 걸쳐 균일한 열원의 제공을 통해 소재의 물성을 보다 유연하게 전환하여 형합과정에서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원활한 접합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발열유닛(600)은 원단(F)을 예열함으로써 수반되는 소재의 물성 변화를 통해 원단의 전 부위에 걸쳐 발생된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할로겐 램프를 적용하였으나, 열원을 제공할 수 있는 요소라면 어느 것을 채택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서 진입유닛의 작동을 통해 발열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로 하면, 상기 진입유닛(700)은 가동금형(300)의 하부에서 내장재(T) 중에서 원단(F)을 향한 발열유닛(600)의 이동과 함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진입유닛(700)은 발열유닛(600)을 직접적으로 장착하면서 가동금형(300)의 하부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동프레임(710), 상기 가동프레임(71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가동금형(300)의 하부에서 가동프레임(710)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프레임(100)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레일(720), 및 상기 가이드레일(720)에 대해 가동프레임(710)의 직선방향 왕복 이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부(7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720)은 상측 표면의 전 부위를 따라 랙 형태의 치형부(722; 도 11과 도 13을 참조)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프레임(710)은 치형부(722)에 치합하고 부재에 대해 공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피니언(712; 도 11과 도 13을 참조)을 장착하며, 상기 구동부(730; 도 9를 참조)는 프레임(100)과 가동프레임(710) 사이에 설치되어 신장 가능한 플런져를 갖춘 공압 실린더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730)는 유압 실린더 또는 전동 모터 등 다양한 형태의 액츄에이터로 구현 가능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마감작업의 시행을 위한 가동금형의 하강 변위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특히,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서 승강유닛의 작동을 통해 가동금형과 안착금형의 형합 상태로서,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접합 및 감싸기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에서 마감작업유닛을 구성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화 설비를 이용하여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접합 및 감싸기 작업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 도 12, 및 도 13을 참조로 하면, 상기 안착금형(800)은 프레임(100)의 내부 작업공간에서 가동금형(300)의 하부 위치로 고정 설치되어 원단(F)의 저면부를 지지함으로써 마감 작업에 따른 가동금형(300)의 하강시 사출물 코어(C)와 원단(F) 사이의 안정적인 접합을 유도하게 된다. 특히, 상기 안착금형(800)은 사출물 코어(C)를 장착한 가동금형(300)과의 정합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원단(F)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상부면이 오목하게 개구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도 12를 참조로 하면, 상기 클램핑유닛(500)은 안착금형(800)의 측부에 설치되어 내장재(T) 중에서 표피재인 원단(F)의 가장자리부위만을 안착금형(800)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발열유닛(600)으로부터 제공되는 열원에 의해 원단(F)이 수축되는 변형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합형시 사출물 코어(C)와의 원활한 접합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클램핑유닛(500)은 안착금형(800)에 대해 전후방향의 이동과 상하방향의 승강을 각각 구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클램핑유닛(500)의 상하방향 승강운동은 원단(F)의 가장자리부위를 안착금형(800)에 대해 하방향으로 가압으로써 원단(F)의 가장자리부위 전 부위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열원에 의한 소재의 수축을 방지함과 동시에 원단(F)의 표면에 형성된 주름을 1차적으로 제거하게 되고, 클램핑유닛(500)의 전후방향 직선운동은 마감작업유닛(900)과 함께 작업 대기위치에서 작업 개시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램핑유닛(500)은 안착금형(800)의 측부에서 원단(F)을 향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F)의 가장자리부위를 안착금형(800)에 대해 고정하는 파지아암(510), 및 상기 파지아암(510)에 대해 안착금형(800)을 향한 선회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선회용 실린더(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유닛(500)의 파지아암(510)은 마감작업유닛(900)에 대해 중앙부위가 힌지 결합되고, 일단부위가 선회용 실린더(520)와 연결되며, 타단부위가 안착금형(800)을 향해 하향 절곡된 형태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파지아암(510)은 마감작업유닛(900)이 작업 대기위치에서 작업 개시위치로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지아암(510)과 상기 선회용 실린더(520)는 상기 안착금형(800)의 측면부에서 전 둘레부위에 걸쳐 적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수량으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파지아암(510)은 종단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원단(F)의 가장자리부위와의 접촉 면적을 확대하는 확장부(512)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확장부(512)는 안착금형(800)에 대해 원단(F)의 가장자리부위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2를 참조로 하면, 상기 마감작업유닛(900)은 안착금형(800)의 측부에 설치되어 사출물 코어(C)의 가장자리부위에 위치한 원단(F)을 사출물 코어(C)의 배면에 대해 감싸줌으로써 각각 반제품 상태의 사출물 코어(C)와 원단(F)을 단일의 완제품 형태로 접합되는 내장재(T)로 완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마감작업유닛(900)은 안착금형(800)의 측면부에서 직선방향의 전진과 후진 및 상하방향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출물 코어(C)의 가장자리부위에 위치한 원단(F)을 사출물 코어(C)의 배면으로 감싸 접은 상태에서 접합될 수 있도록 외력을 가하는 가압아암(910), 상기 안착금형(800)의 측면부에서 마감작업을 위해 가압아암(910)의 전진 및 후진방향 이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수평이동용 실린더(920), 및 상기 가압아암(910)의 일측 자유단부에 대해 원단(F)의 가장자리부위를 사출물 코어(C)의 배면을 향해 접어 결합되도록 상하방향의 이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상하이동용 실린더(9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마감작업유닛(900)은 가압아암(910)에 대한 직선방향 이동을 위해 프레임(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940)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이동부재(940)는 수평이동용 실린더(920)의 작동을 매개로 안착금형(800)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재(940)는 안착금형(800)으로부터 이격된 작업 대기위치로부터 안착금형(800)과 인접한 작업 개시위치에 이르기까지 가압아암(910)의 이동에 필요로 하는 정확한 변위를 허용하는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해 엘엠(LM; Linear Motion) 가이드와 같은 직선운동용 안내부재를 매개로 전진과 후진방향으로의 설정된 경로를 따라 정확하게 가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가압아암(910)은 수평이동용 실린더(920)의 전진방향 이동을 매개로 안착금형(800) 상에서 원단(F)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감싸기 작업의 부위에 이르기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아암(910)은 상하이동용 실린더(930)의 상하방향 승강 이동을 매개로 사출물 코어(C)의 가장자리부위를 향해 하강함으로써 원단(F)의 가장자리부위를 사출물 코어(C)의 배면에 대해 견고하게 감싼 상태로 접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가압아암(910)과 수평이동용 실린더(920)와 상하이동용 실린더(930) 및 이동부재(940)는 안착금형(800)의 측면부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적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수량으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용 실린더(930)는 이동부재(9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용 실린더(920)의 작동에 따라 가압아암(910)과 함께 안착금형(800)의 측면부를 향한 작업위치에 이르기까지 직선방향 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클램핑유닛(500)의 선회용 실린더(520)도 역시 상기 마감작업유닛(900)의 상하이동용 실린더(930)와 함께 이동부재(9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용 실린더(920)의 작동에 따라 가압아암(910)과 함께 안착금형(800)의 측면부를 향한 작업위치에 이르기까지 직선방향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내장재(T)의 전체 외형에 맞춰 안착금형(800)의 전 둘레부위에서 다수로 설치되는 마감작업유닛(900)에서 가압아암(910)은 다음과 같은 크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대, 사출물 코어(C)의 전체 부위중에서 곡률이 완만하고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부위에서는 원단(F)의 가장자리부위를 압착하는 가압아암(910)의 자유단부의 폭을 넓게 설정하고, 사출물 코어(C)에서 곡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라운드 부위에서는 가압아암(910)의 자유단부에 대한 폭을 보다 좁게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감싸기 작업이 수행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는 승강유닛(200), 흡착유닛(400), 클램핑유닛(500), 발열유닛(600), 진입유닛(700), 및 마감작업유닛(900)의 동작을 각각 조절하는 제어유닛(10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유닛(1000)은 마감 작업시 흡착유닛(400)에 대한 작동 제어를 통해 가동금형(300)에 대해 사출물 코어(C)를 견고하게 장착하고, 클램핑유닛(500)에 대한 작동 제어를 통해 안착금형(800)에 대해 원단(F)의 가장자리부위를 가압하여 고정하며, 발열유닛(600)과 진입유닛(700)에 대한 작동 제어를 통해 표피재인 원단(F)에 대해 열원을 제공하여 주름의 제거와 함께 소재를 보다 유연하게 하여 형합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원활한 접합을 유도하는 한편, 승강유닛(200)과 마감작업유닛(900)에 대한 작동 제어를 통해 사출물 코어(C)와 원단(F) 사이의 접합과 함께 원단(F)의 가장자리부위를 사출물 코어(C)의 가장자리부위의 배면에 접어 고정함으로써 감싸기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어유닛(1000)은 마감 작업시 사출물 코어(C)의 가장자리부위의 배면으로 표피재인 원단(F)의 가장자리부위가 상호 중첩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관미의 저하없이 효율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착금형(800)의 전 둘레부위에 배치된 다수의 마감작업유닛(900)에 대한 동작 제어를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어유닛(1000)은 사출물 코어(C)의 전 부위중에서 완만한 곡률 부위에 대한 원단(F)의 감싸기 작업을 먼저 실시될 수 있게 한 다음, 곡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라운드 부위에 대한 원단(F)의 감싸기 작업을 연이어 실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단(F)의 재단단계에서 절단되는 소재의 넓이를 사출물 코어(C)의 넓이에 맞춰 최소한의 여유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기존의 수동 방식의 마감작업 대비 폐기되는 원단(F)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는 안착금형(800)을 향한 가동금형(300)의 작업 대기위치와 마감작업유닛(900)의 작업 개시위치를 각각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반제품 상태의 내장재(T)를 장착하기 위한 대기위치로서 가동금형(300)의 상승 변위상태는 도 1에 개시되고, 감싸기 작업을 위한 마감작업유닛(900)의 작업 개시위치로서 가동금형(300)의 하강 변위상태는 도 10에 개시된다.
도 1과 도 10을 각각 참조로 하면, 상기 위치검출부는 프레임(100)의 일측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부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가동금형(300)의 상한위치와 하한위치를 각각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미트 스위치(120), 및 상기 승강유닛(200)의 가이드 바아(220)에 일체로 고정되어 가동금형(300)의 작업 대기위치와 작업 개시위치에서 리미트 스위치(120)와 각각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로브(23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1000)은 위치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가동금형(300)의 위치를 판단하여 승강유닛(200)과 흡착유닛(400)과 발열유닛(600)과 진입유닛(700)과 클램핑유닛(500) 및 마감작업유닛(900)의 동작을 각각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위치검출부는 가동금형(300)의 작업 대기상태인 상한위치와 마감작업유닛(900)의 작업 개시상태로서 가동금형(300)의 하한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리미트 스위치(120)와 프로브(230)로 구성된 접촉식 검출수단을 적용하였으나, 가동금형(300)의 상한과 하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요소라면 비접촉식 검출수단과 같이 어떠한 것을 채택하여도 무방하고, 특히 리미트 스위치(120)와 프로브(230)의 설치 위치는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가동금형(300)의 상하방향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면 어떤 부재와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에 대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유닛(1000)은 위치검출부를 매개로 가동금형(300)의 상한위치인 작업 대기위치를 검출한 상태에서 가동금형(300)의 저면부(320)에 위치한 흡착유닛(400)의 작동을 개시한다. 이 과정에서 흡착유닛(400)의 부압노즐(410)을 통해 제공되는 부압은 사출물 코어(C)를 가동금형(300)의 저면부(320)에 대해 효과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사출물 코어(C)와 별도로 원단(F)을 안착금형(800)의 상부에 올려놓으면 된다.
이어, 상기 제어유닛(1000)은 클램핑유닛(500)의 작동을 개시하여 안착금형(800)에 대해 원단(F)을 고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어유닛(1000)은 선회용 실린더(52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파지아암(510)의 일측 자유단부가 원단(F)의 가장자리부위를 안착금형(800)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제어유닛(1000)은 진입유닛(700)과 발열유닛(600)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개시하여 원단(F)의 표면에 대해 소정의 열원을 제공함으로써 발생된 주름을 제거함과 동시에 소재를 보다 유연한 상태로 전환하여 사출물 코어(C)와 원단(F) 사이의 원활한 접합을 도울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유닛(1000)은 발열유닛(600)에 의한 원단(F)의 가열작업을 최적의 시간에 맞춰 수행한 다음, 발열유닛(600)의 작동을 종료함과 동시에 진입유닛(700)의 작동을 통해 원래의 위치로 발열유닛(600)의 복귀를 진행함으로써 후속되는 가동금형(300)의 하강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가동금형(300)과 발열유닛(600) 사이의 불필요한 접촉을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이어, 상기 제어유닛(1000)은 승강유닛(200)의 작동을 개시하여 안착금형(800)을 향한 가동금형(300)의 하강을 개시함으로써 가동금형(300)의 하강에 따른 안착금형(800)과의 합형을 유도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출물 코어(C)와 원단(F) 사이를 압착시켜 보다 완벽한 상태의 접합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유닛(1000)은 승강용 실린더(340)의 작동을 제어하여 스크리퍼(330)의 위치를 가동금형(300)의 위치 보다 더 낮게 변위시킴으로써 합형시 안착금형(800)에 위치한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가압하여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원활한 접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000)은 위치검출부를 매개로 가동금형(300)의 하한위치인 작업 개시위치를 검출한 상태에서 마감작업유닛(900)의 작동을 준비하게 한다.
이어, 상기 제어유닛(1000)은 마감작업유닛(900)의 작동을 개시하여 사출물 코어(C)의 가장자리부위에 위치한 원단(F)의 가장자리부위를 사출물 코어(C)의 배면에 대해 접어 고정하는 감싸기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유닛(1000)은 클램핑유닛(500)의 작동을 선행하여 종료시킴으로써 마감작업유닛(900)에 의한 감싸기 작업에서 파지아암(510)과 가압아암(910)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필요한 접촉을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000)은 마감작업유닛(900)에 의한 감싸기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출물 코어(C)의 전 부위중에서 완만한 곡률 부위에 대한 원단(F)의 감싸기 작업을 선행한 다음, 곡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라운드 부위에 대한 원단(F)의 감싸기 작업을 후행될 수 있게 하는 일련의 순차적인 제어를 시행함으로써 보다 완벽한 마감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마감작업유닛(900)에 의한 감싸기 작업이 완료되면, 제어유닛(1000)은 마감작업유닛(900)의 작동을 해제한 다음 승강유닛(200)을 역구동 제어하여 가동금형(300)을 작업 개시위치로부터 최초의 작업 대기위치로 상승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가동금형(300)의 저면부(320)에는 흡착유닛(400)에 의한 부압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가동금형(300)이 상승하는 과정 중에도 사출물 코어(C)와 원단(F)이 접합된 완제품 상태의 내장재(T)도 함께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작업자는 가동금형(300)의 저면부(320)에 흡착된 완제품 상태의 내장재(T)를 외부로 꺼낸 다음, 작업 대기위치에 있는 가동금형(300)에 새로운 사출물 코어(C)를 설치하고 안착금형(800)에 새로운 원단(F)을 올려놓음으로써 다음 번 작업을 준비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프레임 110-베이스 플레이트
120-리미트 스위치
200-승강유닛 210-메인 실린더
212-플런져 220-가이드 바아
230-프로브
300-가동금형 310-가동부재
320-저면부 330-스크리퍼
400-흡착유닛 410-부압노즐
500-클램핑유닛 510-파지아암
512-확장부 520-선회용 실린더
600-발열유닛
700-진입유닛 710-가동프레임
720-가이드레일 730-구동부
800-안착금형
900-마감작업유닛 910-가압아암
920-수평이동용 실린더 930-상하이동용 실린더
940-이동부재
1000-제어유닛

Claims (14)

  1. 프레임에 설치되는 승강유닛;
    상기 승강유닛을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출물 코어를 고정하는 가동금형;
    상기 가동금형의 하부에 설치되고 사출물 코어에 접합되는 원단을 고정하여 가동금형의 하강시 사출물 코어와 원단 사이의 접합을 유도하는 안착금형;
    상기 가동금형의 하부에서 원단을 향해 열원을 제공하는 발열유닛;
    상기 발열유닛에 의한 열원의 제공시 안착금형에 대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유닛;
    상기 안착금형의 측부에 설치되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사출물 코어의 배면에 대해 감싸기 작업을 수행하는 마감작업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과 발열유닛과 클램핑유닛 및 마감작업유닛의 동작을 각각 조절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프레임에 설치되는 승강용 메인 실린더; 및
    프레임에 대한 가동금형의 상하방향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바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금형은 사출물 코어의 고정을 위해 부압을 제공하는 흡착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착유닛은 가동금형의 저면부의 전 영역에 걸쳐 하향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부압노즐을 다수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금형은 둘레부위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합형시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가압하는 스크리퍼, 및 상기 스크리퍼에 대해 상하방향 이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용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금형의 하부에서 원단을 향한 발열유닛의 이동을 구현하는 진입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입유닛은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입유닛은,
    발열유닛을 장착하는 가동프레임;
    상기 가동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가동금형의 하부에서 프레임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가동프레임의 직선방향 왕복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안착금형의 측면부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안착금형에 대해 고정하는 파지아암; 및
    상기 파지아암에 대해 안착금형의 저면부를 향한 선회력을 제공하는 선회용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파지아암과 선회용 실린더는 상기 안착금형의 측면부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다수의 수량으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파지아암은 종단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와의 접촉 면적을 확대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작업유닛은,
    안착금형의 측면부에 대해 전진과 후진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사출물 코어의 배면에 대해 접어주는 가압아암;
    상기 안착금형의 측면부에서 가압아암의 전진 및 후진방향 이동력을 제공하는 수평이동용 실린더; 및
    상기 가압아암에 대해 사출물 코어의 배면을 향한 상하방향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용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작업유닛은,
    프레임의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직선방향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수평이동용 실린더;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의 가장자리부위를 가압하는 가압아암; 및
    상기 가압아암에 대해 상하방향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용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동금형과 수평이동용 실린더 및 상하이동용 실린더는 상기 안착금형의 측면부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다수의 수량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금형을 향한 가동금형의 작업 대기위치와 작업 개시위치를 각각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검출부는 검출된 가동금형의 위치정보를 제어유닛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부는,
    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가동금형의 상한위치와 하한위치를 각각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승강유닛과 연동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KR1020170022424A 2017-02-20 2017-02-20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KR101999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24A KR101999990B1 (ko) 2017-02-20 2017-02-20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24A KR101999990B1 (ko) 2017-02-20 2017-02-20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137A true KR20180096137A (ko) 2018-08-29
KR101999990B1 KR101999990B1 (ko) 2019-07-15

Family

ID=6343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424A KR101999990B1 (ko) 2017-02-20 2017-02-20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9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238A (ko) *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내장재 벤딩장치 및 방법
KR102189368B1 (ko) * 2019-06-24 2020-12-17 비케이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의 스킨 부착 자동화 장치
KR20210049502A (ko) * 2019-10-25 2021-05-06 비케이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의 스킨 부착 자동화 장치
KR102306228B1 (ko) * 2021-04-23 2021-09-28 이스테판상수 변속기 노브 열융착 장치
KR20230090421A (ko) * 2021-12-14 2023-06-22 비케이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의 스킨 열 압착 금형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279A (ko) * 1996-11-18 1998-08-05 박병재 도어 트림 스킨 자동 감싸기 치구
KR200157560Y1 (ko) * 1997-04-24 1999-09-15 이일호 자동차 내장재의 접착, 성형 및 2단 절단장치
KR20040035870A (ko) 2001-09-28 2004-04-29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장치
KR20110062061A (ko) * 2009-12-02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라이닝 제조 방법
KR101212447B1 (ko) * 2011-06-15 2012-12-13 주식회사 동원테크 자동차용 내장부품의 제작방법
KR20140023086A (ko) * 2012-08-16 2014-02-26 한진피엘 주식회사 암레스트 스킨 부착장치
KR20150061509A (ko) 2013-11-27 2015-06-04 김용우 김치볶음밥 찐빵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279A (ko) * 1996-11-18 1998-08-05 박병재 도어 트림 스킨 자동 감싸기 치구
KR200157560Y1 (ko) * 1997-04-24 1999-09-15 이일호 자동차 내장재의 접착, 성형 및 2단 절단장치
KR20040035870A (ko) 2001-09-28 2004-04-29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장치
KR20110062061A (ko) * 2009-12-02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라이닝 제조 방법
KR101212447B1 (ko) * 2011-06-15 2012-12-13 주식회사 동원테크 자동차용 내장부품의 제작방법
KR20140023086A (ko) * 2012-08-16 2014-02-26 한진피엘 주식회사 암레스트 스킨 부착장치
KR20150061509A (ko) 2013-11-27 2015-06-04 김용우 김치볶음밥 찐빵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238A (ko) *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내장재 벤딩장치 및 방법
KR102189368B1 (ko) * 2019-06-24 2020-12-17 비케이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의 스킨 부착 자동화 장치
KR20210049502A (ko) * 2019-10-25 2021-05-06 비케이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의 스킨 부착 자동화 장치
KR102306228B1 (ko) * 2021-04-23 2021-09-28 이스테판상수 변속기 노브 열융착 장치
KR20230090421A (ko) * 2021-12-14 2023-06-22 비케이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의 스킨 열 압착 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990B1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990B1 (ko)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KR101938355B1 (ko)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EP06034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lding a brim of a laminated panel around a panel rim to form a trim panel
EP2583805A1 (en) Carbon fiber-containing resin sheet carrying apparatus
CN103332224B (zh) 汽车内饰及其制备装置和制备方法
JP2007022310A (ja) ルーフガラス移載治具
EP31238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antyhose without stitching on the body piece
KR200469827Y1 (ko) 금형 자동교환 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장치
KR101805016B1 (ko) 자동차용 내장재의 융착설비 및 그 방법
KR101414587B1 (ko) 로봇에 의한 롤러헤밍과 테이블 탑 헤밍이 복합 적용된 하이브리드 헤밍장치
CN215152000U (zh) 下模模具装置
CN113085147B (zh) 拉伸及弯折机构、树脂成型装置、拉伸及弯折方法以及树脂成型方法
EP0571897B1 (en) Device for the automatic supply of a press for moulding thermoplastic material sheets
KR100853121B1 (ko) 인몰드 사출장치
KR20210007676A (ko) 헤어캡의 제조장치
KR101365982B1 (ko) 웨더스트립 연결 장치
JP3962619B2 (ja) 車両用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215151968U (zh) 汽车扶手包边设备
CN214419633U (zh) 汽车扶手表皮固定装置
KR20120000454A (ko) 로봇 롤러 헤밍 장치
CN107901473A (zh) 座椅背板包覆设备及方法
JP3881578B2 (ja) 車両用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12829329A (zh) 下模模具装置及汽车扶手的表皮粘贴方法
JP4474380B2 (ja) ゴムシート接合装置および接合方法
CN215151967U (zh) 汽车扶手喷胶包边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