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676A - 헤어캡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헤어캡의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7676A KR20210007676A KR1020190084524A KR20190084524A KR20210007676A KR 20210007676 A KR20210007676 A KR 20210007676A KR 1020190084524 A KR1020190084524 A KR 1020190084524A KR 20190084524 A KR20190084524 A KR 20190084524A KR 20210007676 A KR20210007676 A KR 202100076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ubber band
- unit
- rod
- woven fabric
- hair ca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2—Sanitary or disposable, e.g. for use in hospitals or food industry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3/00—Miscellaneous appliances for hat-making, e.g. for making wire forms for hat-frames; Apparatus for changing the form or size of finished hat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헤어캡의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머리에 착용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작업대; 작업대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고무줄이 안착되어 팽창되는 고무줄 장착부; 작업대의 상면에 형성되며 팽창된 고무줄을 협지하는 고무줄 이송부; 작업대의 상면 타측에 형성되며, 부직포를 절단하는 부직포 절단부; 부직포에 고무줄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고무줄을 결합하는 부직포 융착부; 고무줄 이송부를 고무줄 장착부 또는 부직포 융착부에 왕복 구동시키는 구동부; 부직포 융착부에서 융착이 완료된 헤어캡을 협지하여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부직포의 외주연에 고무줄을 넣고, 접착시키는 공정이 순차적으로 신속하게 진행됨으로써 자동화 공정에 의해 생산 효율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르면, 부직포의 외주연에 고무줄을 넣고, 접착시키는 공정이 순차적으로 신속하게 진행됨으로써 자동화 공정에 의해 생산 효율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시되는 내용은 헤어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고, 병원, 식당, 가정에서 머리에 착용하여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병원의 의료진, 식당의 조리실 종사자는 위생을 청결하게 하기 위해 머리에 헤어캡을 착용하고 있다.
아울러 가정에서도 염색, 펌 등 시술을 하기 위해 머리에 헤어캡을 착용하게 된다.
헤어캡(Hair Caps)은 그 재질이 필름이나 부직포 등으로 되며 원형의 가장자리에 신장된 고무줄을 넣고, 가장자리를 재봉시키면 고무줄이 다시 수축하면서 둥근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종래 헤어캡을 제조하는 과정은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원형 부직포의 가장자리에 고무줄을 넣으면서 동시에 재봉시켜 완제품을 만들게 되는데 작업 효율이 낮고, 인건비의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개시되는 내용은 부직포를 준비하고, 그 외주연에 고무줄을 넣고, 접착시키는 공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자동화 장치에 의해 생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헤어캡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고무줄이 안착되어 팽창되는 고무줄 장착부;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형성되며 팽창된 고무줄을 협지하는 고무줄 이송부; 상기 작업대의 상면 타측에 형성되며, 부직포가 안착된 후 고무줄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고무줄을 결합하는 부직포 융착부; 고무줄 이송부를 고무줄 장착부 또는 부직포 융착부에 왕복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부직포의 외주연에 고무줄을 넣고, 접착시키는 공정이 순차적으로 신속하게 진행됨으로써 자동화 공정에 의해 생산 효율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형성부'에 대한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형성부'에 대한 평면도,
도 6 내지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형성부'의 작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장착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장착부'에 대한 결합된 저면 사시도,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장착부'에 대한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6은 고무줄 장착부와 고무줄 이송부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부직포 융착부'에 대한 저면 사시도,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부직포 융착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부직포 융착부'에 대한 결합된 단면도,
도 20은 '부직포 융착부'의 고무줄 이송부의 서포트가 부직포 융착부의 협지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부직포 융착부'의 고무줄 이송부의 서포트를 부직포 융착부의 협지부에 협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2는 '부직포 융착부'의 고무줄 이송부의 서포트가 수축됨과 동시에 협지부에서 접착 공정이 수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부직포 융착부'의 가압판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4는 '부직포 융착부'의 가압판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5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부직포 공급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6은 부직포 공급부의 공급유닛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27 및 도 28은 공급유닛의 간격조절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9 및 도 30은 공급유닛의 전후진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1은 부직포 공급부의 협지유닛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32 및 도 33은 공급유닛의 간격조절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34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수거부'가 오므려진 상태로 하강하는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도 35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수거부'가 하강 후 협지하는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도 3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형성부'에 대한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형성부'에 대한 평면도,
도 6 내지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형성부'의 작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장착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장착부'에 대한 결합된 저면 사시도,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장착부'에 대한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6은 고무줄 장착부와 고무줄 이송부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부직포 융착부'에 대한 저면 사시도,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부직포 융착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부직포 융착부'에 대한 결합된 단면도,
도 20은 '부직포 융착부'의 고무줄 이송부의 서포트가 부직포 융착부의 협지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부직포 융착부'의 고무줄 이송부의 서포트를 부직포 융착부의 협지부에 협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2는 '부직포 융착부'의 고무줄 이송부의 서포트가 수축됨과 동시에 협지부에서 접착 공정이 수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부직포 융착부'의 가압판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4는 '부직포 융착부'의 가압판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5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부직포 공급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6은 부직포 공급부의 공급유닛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27 및 도 28은 공급유닛의 간격조절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9 및 도 30은 공급유닛의 전후진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1은 부직포 공급부의 협지유닛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32 및 도 33은 공급유닛의 간격조절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34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수거부'가 오므려진 상태로 하강하는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도 35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수거부'가 하강 후 협지하는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도 3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르는 헤어캡의 제조장치는,
작업대(T);
작업대(T)의 일측에 형성되며, 고무줄(100)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적정한 크기로 직경을 확장시키고 고무줄 장착부(200)로 공급하는 고무줄 형성부(2);
고무줄 형성부(2)에서 공급된 고무줄(100)을 외측으로 신장시켜 직경이 증가되도록 하는 고무줄 장착부(200);
작업대(T)의 상면에 형성되며 직경이 증가된 고무줄(100)을 협지하여 일측으로 이송하는 고무줄 이송부(400);
작업대(T)의 상면 타측에 형성되며, 부직포(120)가 안착된 후 상기 고무줄 이송부(400)로부터 이송된 고무줄(100)을 부직포(120)의 외주연에 결합시키는 부직포 융착부(600);
고무줄 이송부(400)를 이동시켜 고무줄 장착부(200) 또는 부직포 융착부(600) 사이를 왕복하도록 하는 구동부(800);를 포함한다.
작업대(T)의 일측에는 부직포 원단을 부직포 융착부(600)에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부(900)와, 부직포 융착부(600)에서 완성된 헤어캡(H)을 수거하는 헤어캡 수거부(1000)가 구비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형성부'에 대한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형성부'에 대한 평면도, 도 6 내지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형성부'의 작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고무줄 형성부(2)는
작업대(T)의 상판에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으로 장착되며,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롤러(21)가 형성된 회전판(22);
회전판(22)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다수의 롤러(21)에 권취되도록 고무줄(100)을 공급하는 보빈(23);
회전판(22)의 중심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축(24)과, 회전축(24)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0);
회전판(22)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어 구동부(10)의 동력에 의해 회전판(22)이 1회전된 후 원형으로 형성된 고무줄(100)의 단부를 커팅하는 커팅기(미도시);
커팅기의 일측에 형성되며 커팅 후 고무줄(100)의 양단부를 접착하는 접착기(미도시);
회전판(22)의 다수의 롤러(21)에 감겨진 고무줄(100)을 인출하여 고무줄 장착부(200)로 이송하는 고무줄 이송기(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부(10)는 회전축(24)에 장착된 피니언기어(25)와, 피니언기어(25)와 치차 결합되는 랙기어(103)가 형성된 기어로드(101)가 구비되며 공압을 동력원으로 하여 기어로드(101)의 출몰작동을 제어하는 공압실린더(102)로 구성된다.
따라서 기어로드(101)가 인출되면 랙기어(103)가 직선이동함으로써 피니언기어(25)가 회전되고 이에 동반하여 회전판(22)이 1회전하게 된다.
회전판(22)이 1회전하는 동안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롤러(21)에 의해 고무줄(100)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고무줄(100)의 일단부는 다수의 롤러(21) 중 어느 하나에 일시적으로 고정되고, 회전판(22)이 회전함에 따라 보빈(23)에서 고무줄(100)이 인출되면서 원형으로 형성된 후 고무줄(100)의 타단부를 커팅기(미도시)가 절단한다.
커팅기에서 절단된 고무줄(100)의 양단부가 맞닿도록 배열된 후 접착기(미도시)에서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시킴으로써 원형의 고무줄(100)이 완성된다.
완성된 원형의 고무줄(100)은 회전판(22)의 다수의 롤러(21)에 감겨진 상태로 남게 된다.
고무줄 이송기(3)는
회전판(22)의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승강작동하는 로드를 구비하며 프레임에 장착된 브라켓(31)의 상부에 장착된 제1실린더(33)와, 상기 제1실린더(33)의 로드에 장착되어 브라켓의 하부에 형성되며 승강작동되는 로드를 갖는 제2실린더(32)와,
상기 제2실린더(32)의 로드에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제1,2링크편(35,36)으로 구성된 협지부(H)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실린더(33)의 로드의 승강작동에 의해 제2실린더(32)와 협지부(H)가 승강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이후 제2실린더(32)의 로드의 하강작동에 연동되어 다수의 제1,2링크편(35,36)이 벌어지면서 협지부(H)에 의해 고무줄(100)을 협지하게 된다.
상기 제2실린더(32)의 로드에는 제1고정판(37)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판(37)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브라켓(31)에 부착된 제2고정판(36)에 힌지결합되는 다수의 제1링크편(35)과, 상기 제1링크편(35)이 중간부위에 힌지 결합되며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단은 제2고정판(36)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편(36)으로 구성된다.
회전판(22)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삽입공(221)이 관통 형성된다. 삽입공(221)은 타원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각 삽입공(221)에 제2링크편(36)이 삽입되고, 제2링크편(36)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작동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삽입공(221)이 길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은 고무줄 이송기(3)의 작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줄(100)이 회전판(22)에 형성된 다수의 롤러(21)에 의해 원형으로 형성된 상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2링크편(36)이 상기 다수의 삽입공(221)에 각기 대응하여 삽입되어 다수의 롤러(222)에 감겨진 고무줄(100)의 내측으로 더 깊이 하강된 위치에 도달한다.
이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2링크편(36)이 벌어지면서 다수의 롤러(222)에 감겨진 고무줄(100)을 걸어서 팽창시키면서 상승함으로써 고무줄(100)을 인출시키게 된다.
이렇게 고무줄(100)을 감은 상태에서 고무줄 이송부(400)의 직선방향 이동에 동반하여 고무줄 이송기(3)가 이동하여 고무줄 이송부(400) 및 고무줄 장착부(2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고무줄 이송부(400)의 상부에 고무줄 이송기(3)가 정렬된 후 제2링크편(36)이 최대한 벌어져 고무줄 협지부(440)의 복수개의 서포트(446)가 이루는 원형 보다 더 큰 원형으로 고무줄(100)을 신장시킨 상태에서 고무줄 이송기(3)가 하강하여 복수개의 서포트(446)의 측면에 고무줄(100)이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고무줄 이송기(3)는 오므려져서 고무줄(100)이 복수개의 서포트(446)의 외주연에 밀착될 수 있다.
고무줄(100)이 탈거된 고무줄 이송기(3)는 오므려진 상태로 상승한 후 다시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즉 고무줄 형성부(2)의 회전판(2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회전판(22)의 일측에 형성되며 고무줄을 다수 저장하여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저장부(5)가 더 구비된다.
저장부(5)는 작업대(T)의 상판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거치 원판(52);
거치 원판(52)에 다수 형성되는 고무줄 거치부(54);
각 고무줄 거치부(54)로부터 고무줄(100)을 인출하여 고무줄 장착부(200)로 이송하는 고무줄 이송기(3)로 구성된다.
원판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롤러(21)가 배열되어 이루어진 고무줄 거치부가 4개 형성된다.
각 고무줄 거치부(54)에 고무줄 이송기(3)가 구비된다.
고무줄 이송기(3)는 전술한 고무줄 이송기(3)와 대동소이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장착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장착부'에 대한 결합된 저면 사시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고무줄 장착부'에 대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9은 고무줄 장착부와 고무줄 이송부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줄 장착부(20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서 외주연을 향해 이동되면서 각자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복수의 걸림구(220)와,
복수의 걸림구(220)에 고무줄(100)이 걸어지고 각 걸림구(220)가 이동하여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고무줄(100)이 신장되도록 하는 걸림구 작동부(300)와,
복수의 걸림구(220)가 왕복 작동되는 슬릿(270)이 복수로 형성된 패드(260)를 포함한다.
패드(260)는 탄성을 갖는 우레탄 소재로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서 외주연을 향해 방사상으로 슬릿(270)이 복수개 형성된다.
걸림구 작동부(300)는
패드(260)의 하부 중심에 형성된 축핀에 힌지결합되고, 각 슬릿(270)의 양 단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2피니언기어(310,320)와,
제1,2피니언기어(310,320)를 연결하는 벨트(330)로 구성되며,
벨트(330)에 걸림구(220)가 장착되고, 제1피니언기어(310)에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341)와,
주동기어(341)를 회전시키는 동력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력부(340)는 공압실린더(344)와, 공압실린더(344)에 결합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는 피스톤로드(343)로 구성된다.
피스톤로드(343)에 장착되어 패드(260)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랙기어(342)가 포함된다.
랙기어(342)가 주동기어(341)에 치차결합된다.
따라서 피스톤로드(343)가 인출되면 랙기어(342)가 직선운동하게 되고 랙기어(342)가에 치차 결합된 주동기어(341)가 회전된다.
주동기어(341)의 회전에 연동되어 벨트(330)가 회전되어 각 걸림구(220)가 슬릿(270)을 타고 이동하여 패드(260)의 중앙에 모이게 된다.
이후 피스톤로드(343)가 인입되면 벨트(330)가 역회전되고, 각 걸림구(220)가 슬릿(270)을 타고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패드(260)의 끝부분(외주연)에 모이게 됨으로써 분산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패드(260)의 중심부에 다수의 걸림구(220)가 모여진 상태에서 고무줄(100)을 장착한다.
이후 다수의 걸림구(220)가 분산되는 작동을 함으로써 고무줄(100)을 신장시키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무줄 이송부(400)는
상기 패드(260)의 상면에 안착되며, 신축작동되는 서포트(446)가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서포트(446)가 신장되어 상기 신장된 고무줄(100)이 외주연에 밀착되게 하여 탑재되도록 한다.
고무줄 이송부(400)는
작업대(T)의 상부에 설치되며, 고무줄 장착부(200)와 부직포 융착부(60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평행 배치되며 레일이 형성된 양측의 레일바(412)와, 상기 양측 레일바(412)의 레일에 결합되는 롤러가 구비되어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프레임(414)을 포함하는 이동다이(410);
이동다이(410)의 프레임(414)에 장착되며, 승강작동되는 로드가 형성된 승강실린더(420);
승강실린더(420)의 로드에 연결되는 고정판(442)과, 상기 고정판(442)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공압 변동에 의해 출몰작동되는 로드(445)가 구비된 복수개의 실린더유닛(444);
실린더유닛(444)의 로드(445)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서포트(446)로 구성된 고무줄 협지부(440);를 포함한다.
레일바(412)는 작업대(T)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대(415)에 장착되어 작업대(T)의 상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고무줄 장착부(200) 및 부직포 융착부(600) 보다 더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프레임(414)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프레임(414)의 양단부에 롤러가 구비되어 레일바(412)의 레일에 결합되어 직진 구동될 수 있다.
프레임(414)의 상부에는 직교되게 가로바(417)가 결합된다.
가로바(417)의 일측에는 후술될 수거부(470)의 연결대(472)가 장착된다.
승강실린더(420)의 로드가 승강작동됨으로써 고무줄 협지부(440)의 높이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고, 고무줄 장착부(200)의 패드(260)에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고무줄 협지부(440)의 복수의 서포트(446)가 인출된 상태로 신장된 고무줄(100)이 복수의 서포트(446)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복수의 실린더유닛(444) 및 로드(445)는 승강실린더(42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실린더유닛(444)의 로드(445)에 각기 서포트(446)가 연결된다.
서포트(446)는 호형의 판상이며 외주연에는 고무줄(1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에 홈(448)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복수의 요입홈(447)이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서포트(446)가 조합되면 대략 원형의 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원형의 판 형상이 된 복수의 서포트(446)의 외주연에 고무줄(100)이 밀착되어 반경이 확대된 원형을 이루게 된다.
복수의 요입홈(447)에는 후술될 제1림(630)의 바이트(632)가 삽입된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부직포 융착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부직포 융착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2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부직포 융착부'에 대한 결합된 단면도, 도 13은 '부직포 융착부'의 고무줄 이송부의 서포트가 부직포 융착부의 협지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은 '부직포 융착부'의 고무줄 이송부의 서포트를 부직포 융착부의 협지부에 협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5는 '부직포 융착부'의 고무줄 이송부의 서포트가 수축됨과 동시에 협지부에서 접착 공정이 수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직포 융착부(600)는 고무줄 이송부(400)가 고무줄(100)을 탑재한 채 안착될 수 있고, 부직포(120)가 고정되는 흡착부(620)와, 흡착부(62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부직포(120)의 가장자리를 협지하는 협지부(640)와, 협지부(640) 내의 부직포 가장자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680)를 포함한다.
흡착부(620)는, 돔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다수의 흡입공(623)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부직포(120) 원단이 안착되도록 하는 원판부(622);
다수의 흡입공(623)에 연결되는 흡입호스(624)와, 흡입호스(624)에 흡입력을 발생하는 진공펌프로 구성되는 흡입력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흡입력발생부에서 형성되는 흡입력에 의해 부직포(120) 원단을 일정한 힘으로 흡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협지부(640)는, 흡착부(620)가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된 수용부가 형성되고, 흡착부(62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결합되는 제1림(630)과, 제1림(630)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부(660)와, 제1림(6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2림(650) 및 제2림(650)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부(6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승강부(660) 또는 제2승강부(670)는, 작업대(T)의 상면 하부에 형성된 양 측판(721)과, 상기 양 측판(721) 보다 하부에 형성된 양측 지지바(720)를 포함한다.
지지바(720)를 관통하여 수직하게 축봉(710)이 결합되고, 축봉(710)의 상단은 흡착부(620)의 원판부(622)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원판부(622)의 하부이면서 지지바(720)의 상부 사이에 제1수평바(662)가 축봉(710)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축봉(710)의 외주면에는 제1스프링(711)이 결합되고, 제1스프링(711)의 상단이 제1수평바(662)의 저면에 지지되고 제1스프링(711)의 하단은 지지바(720)의 상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승강실린더(42)가 오프상태가 되면 제1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수평바(662)가 상승되고, 원판부(622)도 상승될 수 있다.
제1승강부(66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출몰작동되며 원판부(620)의 저면에 연결된 승강로드(661a)가 구비된 제1액츄에이터(661)와, 제1액츄에이터(661)의 승강로드(661a)와 브라켓(6612)으로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제1수평바(662)를 포함하고, 제1수평바(662)의 양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제1림(630)에 연결되는 제1수직바(663)를 포함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661)가 온(on) 작동되어 승강로드(661a)가 인입되면, 제1액츄에이터(661)가 부착된 제1수평바(662)가 하강하게 되고, 제1수직바(663)가 하강함으로써 제1림(630)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역순으로, 제1액츄에이터(661)의 승강로드(661a)가 오프되면, 제1스프링(711)의 팽창력에 의해 제1수평바(720)가 상승하게 된다.
한편 제2승강부(67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출몰작동되며 원판부의 저면에 연결된 승강로드가 구비된 제2액츄에이터(671)와, 제2액츄에이터(671)의 승강로드(671a)가 제2림(670)에 연결되는 제2수직바(673)를 포함한다.
제2액츄에이터(671)가 온 작동되어 승강로드(671a)가 인출되면, 제2림(670)가 상승하게 되고, 승강로드(671a)가 인입되면 제2림(670)을 하강시키게 된다.
전술한 제1,2액츄에이터(661,671)는 공압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다.
제1림(630) 및 제2림(650)은 원형의 링 형상이되, 그 단면이 대략 '┏'자 형상이며, 제1림(630)의 외주면에 제2림(650)이 접하도록 결합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림(630)은 상부면에는 다수의 바이트(632)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2림(650)은 제1림(630)의 상부를 덮는 환턱부(652)가 형성되고, 환턱부(652)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단턱(654)이 형성된다.
제1림(630)의 바이트(632)는 호형의 판상이며 등간격으로 제1림(630)의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바이트(632)는 제2림(650)이 하강했을때 단턱(654)과 접하도록 단턱(654)의 내측면 보다 안쪽에 형성된다.
바이트(632)는 서포트(446)의 요입홈(447)으로 삽입되면서 고무줄(100)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서포트(446)가 수축되었을때 고무줄(100)이 바이트(632)의 내주면에 걸어진 상태로 남겨지게 된다.
바이트(632)의 내측면에 부직포(120)의 가장자리(128)가 구부러진채 고무줄(100)을 수용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P)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림(65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트(632)와 단턱(654) 사이에 삽입되며 접힌 상태에서 고무줄(100)을 수용한 부직포(120)의 가장자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680)가 형성된다.
일 예에 따르면, 접착부(680)는 부직포(1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용융부에 초음파를 가해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기이다.
물론 접착부(680)는 초음파 융착기로만 한정될 필요는 없고, 열융착 또는 일반 접착제에 의한 접착기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동부(800)는 고무줄 이송부(400)를 고무줄 장착부(200) 또는 부직포 융착부(600)에 왕복 구동시키는 것으로, 고무줄 이송부(400)의 승강실린더(420)가 결합되는 아암(820)과, 상기 아암(820)을 회전시켜 고무줄 이송부(400)를 부직포 융착부로 이동시키는 동력부(840)을 포함한다.
아암(820)의 일단부에는 승강실린더(420)가 결합되며, 타단부는 동력부(840)이 형성된다.
동력부(840)은 아암(820)의 타단부에 형성된 종동기어(미도시)와, 상기 종동기어에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341)가 형성된 모터(미도시)로 구성된다.
모터의 시계방향 회전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주동기어(341)가 정,역회전되고, 이에 연결된 종동기어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아암(820)이 회전되어 고무줄 장착부(200)와 부직포 융착부(600)를 왕복하게 된다.
따라서 고무줄 장착부(200)에서 고무줄 이송부(400)에 고무줄(100)이 거치된 후 아암(820)을 회전시켜 부직포 융착부(600)로 고무줄 이송부(400)가 이동되도록 하고, 고무줄(100)이 부직포 융착부(600)에 고정된 후에는 다시 고무줄 이송부(400)가 고무줄 장착부(200)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무줄 장착부(200)의 복수의 걸림구(220)가 패드(260)의 중심부에 모여 오므려진 상태에서 고무줄(100)을 복수의 걸림구(220)에 걸어 장착한다.
이후 걸림구 작동부(300)의 작동에 의해 걸림구(220)가 이동하여 고무줄(100)을 늘려주게 되고, 대략 8각형의 형상이 된다.
이후 도 8을 참조하면, 고무줄 이송부(400)의 고무줄 협지부(440)가 하강하여 각 서포트(446)가 패드(260)에 접촉된다.
이후 고무줄 장착부(200)의 복수의 걸림구(220)가 다시 중심부로 이동하게 되고, 고무줄(100)은 서포트(446)의 외주면에 거치된다.
고무줄(100)이 걸림구(220)로부터 분리되어 서포트(446)의 외주연의 홈(448)에 밀착되어 거치될 수 있다.
서포트(446)의 밑면과 패드(260) 사이에 틈새가 없으므로 고무줄(100)이 유실될 우려가 없다.
이후 고무줄(100)이 고무줄 협지부(440)의 서포트(446)에 밀착된 후 고무줄 이송부(400)가 상승하여 패드와 이격된다.
이후 고무줄 이송부(400)가 상승된 상태에서 이동다이(410)의 레일바(412)를 따라 이동하여 부직포 융착부(600)로 이동한다.
고무줄 이송부(400)가 부직포 융착부(600)의 상부로 이동된 후 승강실린더(420)의 하강작동에 의해 고무줄 협지부(440)가 하강하여 흡착부(620)에 안착된 부직포(120)의 상면까지 고무줄 협지부(440)가 하강하여 접촉된다.
이후 복수의 실린더유닛(444)이 동시에 구동되어 각각의 서포트(446)가 외측으로 인출되어 직경이 확장된다.
이때 고무줄(100)이 늘어나고, 부직포(120) 원단의 가장자리가 서포트(446)에 의해 밀려나면서 협지부(640)의 제1림(630)과 제2림(650) 사이 틈새로 삽입되면서, 부직포(120)의 가장자리는 말아져서 고무줄(100)을 수용하게 된다(도 13참조).
이후 제1림(630)이 하강하게 되고, 바이트(632)가 서포트(446)의 요입홈(447)에 삽입되면서 고무줄(100)이 수용되어 말아진 부위는 바이트(632)의 외면에 위치된다(도 14 참조).
이후 서포트(446)가 인입되면서 직경이 축소되고, 서포트(446)는 제1,2림(630,650)으로 부터 이격된다.
이후 제2림(650)이 하강하여 제1림(630)과 제2림(650) 사이에 끼인 부직포(120) 원단의 말아진 가장자리를 접착하게 된다(도 15 참조).
즉, 고무줄(100)까지 수용된 부직포(120) 원단의 말아진 가장자리를 접착부(680)가 온(on) 작동된 상태에서 가압하면서 융착을 실시하여 접착되는 것이다.
전술한 융착은 고주파 융착, 초음파 융착, 열접착 등 다양한 방식을 포함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따라서 부직포(120) 원단의 구부러져 말려진 원단의 가장자리 상면과 하면이 서로 접착됨으로써 고무줄(100)이 고정될 수 있다.
이후 고무줄 이송부(400)가 상승한 후 아암(820)이 회전하여 고무줄 장착부(200)로 이송된다.
제2림(650)이 상승하게 되면, 부직포에 고무줄(100)이 고정된 헤어캡(A)은 취출하여 포장한다.
한편 도 16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부직포 공급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7은 부직포 공급부의 공급유닛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18 및 도 19는 공급유닛의 간격조절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0 및 도 21은 공급유닛의 전후진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16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 공급부(900)는
작업대(T)에 직각되게 형성되며 양측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레일부재(910);
부직포(120)가 권취된 롤(930);
상기 레일부재(910)를 타고 전후진 작동하며, 상기 롤(930)로부터 부직포(120)가 인출되도록 부직포(120)를 협지하여 전진시키는 공급유닛(920);
상기 공급유닛(920)의 단부에 형성되며 부직포(120)를 협지 또는 해제작동하는 협지유닛(940);
상기 레일부재(910)를 따라 공급유닛(920)이 전후진되도록 레일부재(910)의 측면에 형성된 구동실린더(952)와, 상기 구동실린더(952)에 형성되어 출몰작동하며 레일부재(910)의 단부에 결합된 구동로드(954)로 구성된 구동부(95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유닛(920)은
상기 양측 레일부재(910)의 일단을 연결하는 플레이트(921)에 형성되며, 로드(9221)가 전후진 작동되는 제1실린더(922);
상기 제1실린더(922)의 로드(9221)에 결합된 바(923)와, 상기 바(923)의 양단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ㄴ자형상의 앵글링크(924)와, 상기 앵글링크(924)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작업대(T)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아암(925)과,
상기 레일부재(910)에 롤러로 결합되어 이동되는 연결대(926)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대(926)에 평행하게 아암(925)이 결합되며, 양측 아암(925)이 제1실린더(922)의 로드(9221)의 전후진 작동에 연동하여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작동을 하도록 한다.
상기 아암(925)은 안내축(9251)이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축(9251)이 연결대(926)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연결대(926)의 외측에 롤러가 형성되며, 이 롤러가 레일부재(910)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한편 도 22은 부직포 공급부의 협지유닛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23 및 도 24는 공급유닛의 간격조절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협지유닛(940)은 부직포(120)의 양단부를 동시에 협지하여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협지유닛(940)은
아암(925)의 단부에 결합된 제2실린더(942)와, 상기 제2실린더(942)의 로드(9421)에 힌지결합되는 링크편(943)과, 상기 링크편(943)의 단부에 수직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편(944)과, 상기 제2링크편(944)의 단부에 수평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3링크편(945) 및 상기 제3링크편(945)과 대향되도록 연결대(926)의 단부에 형성된 집게편(946)으로 구성된다.
다시 도 1, 도 2,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부직포(120)가 부직포 융착부(600)의 제2림(650)에 안착된 후 부직포(120)를 제2림(650)의 형상과 부합되도록 절단하는 부직포 절단부(690)를 포함한다.
부직포 절단부(690)는
제2림(650)의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열선(692)과,
상기 열선(692)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열시키는 전원공급부(미도시);
제2림(650)의 상면에 안착되며, 제2림(65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통공(697)이 형성되고 양단부가 이동다이(410)의 양측 레일바(412) 보다 돌출된 부착부(695)를 갖는 가압판(694);
이동다이(410)의 양측 레일바(412)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694)을 승강작동시켜 가압과 해제를 유발하는 승강구동부(696);를 포함한다.
승강구동부(696)는 공압실린더이며 로드가 승강작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로드는 가압판(694)의 부착부(695)에 장착된다.
상기 승강구동부(696)의 로드 하강을 정지시키도록 감지부(69)가 형성된다.
상기 감지부(69)는 승강구동부(696)의 로드가 장착되는 브라켓(691)과, 브라켓(69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접지대(692)와, 상기 접지대(692)가 접촉되도록 가압판(694)의 부착부(695)의 외면에 형성된 센서(6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승강구동부(696)에 공압이 공급되어 로드가 인출되면 가압판(694)이 하강하게 되고, 로드가 인입되면 가압판(694)이 상승하게 된다.
가압판(694)이 하강하되 승강구동부(696)의 로드에 연결된 브라켓(691)이 하강하고, 접지대(692)가 센서(693)에 접촉되면 승강구동부(696)에 가해지는 공압이 정지되도록 신호가 전달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694)이 하강하게 되면 통공(697)의 주변 평판부가 제2림(650)의 상면에 안착되어 부직포(120)를 가압하게 되므로 부직포 절단부(690)의 열선(692)에 의한 부직포(120)의 절단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가압판(694)이 부직포(120)를 가압한 상태에서 열선(692)에 발열이 시작되어 부직포(120)를 융융시켜 열선(692)의 형상대로 절단하여 원형으로 된 1차 원단이 완성된다.
한편 부직포 융착부(600)는
고무줄 이송부(400)가 고무줄(100)을 탑재한 채 안착될 수 있고, 부직포(120)가 고정되는 흡착부(620)와,
흡착부(62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부직포(120)의 가장자리를 협지한 후 부직포 가장자리를 접착시키게 된다.
흡착부(620)는, 돔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다수의 흡입공(623)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부직포(120) 원단이 안착되도록 하는 원판부(622);
다수의 흡입공(623)에 연결되는 흡입호스와, 흡입호스에 흡입력을 발생하는 진공펌프로 구성되는 흡입력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흡입력발생부에서 형성되는 흡입력에 의해 원판부(622)의 다수의 흡입공(623)으로 흡입력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원판부(622)에 안착된 부직포(120) 원단을 흡입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원판부(622)를 승강시키는 승강동력부(4)를 포함한다.
승강동력부(4)는
수직하게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출몰작동하는 로드를 구비한 승강실린더(42);
상기 승강실린더(42)의 로드에 결합된 가로바(44)와, 상기 가로바(44)의 양단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상기 원판부(622)의 하부 저면에 장착되는 세로바(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로드가 인입되면 원판부(622)가 하강하게 되고, 인출되면 원판부(622)가 상승한다.
승강실린더(42)는 지지바(720)에 부착된 장착바(725)의 중앙에 결합되며 로드가 상부를 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승강실린더(42)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로바(44)의 상승력을 발휘하는 스프링(47)을 갖는 보조탄성부(4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탄성부(46)는 지지바(720)에 스프링(47)이 장착되며, 스프링(47)의 하단이 지지바(720)에 고정되고, 스프링(47)의 상단은 가로바(44)에 고정된다.
따라서 스프링(47)이 늘어나는 힘으로 가로바(44)를 밀어서 상승시켜 원판부(622)의 상승력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2와 같이, 원판부(622)가 상승하면 제2림(650)과 동일한 높이가 되므로 원판부(622)에 놓여진 부직포(120)가 치우지 않고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직포(120)가 구겨지거나 정위치에서 벗어나는 등의 형상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원판부(622)의 흡입력에 의해 부직포(120)를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형상유지가 가능해진다.
부직포(120)가 놓여진 상태에서 고무줄 이송부(400)가 원판부(622)의 상면에 위치하고, 원판부(622)가 하강하면 고무줄 이송부(400)도 하강하여 원판부(622)의 상부에 안착된다.
이후 고무줄 협지부(44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서포트(446)가 외향 인출되어 고무줄(100)을 신장시킨 상태로 제1림(630)과 제2림(650)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부직포(120)의 외주면이 말아지면서 고무줄(100)을 감싸게 된다(도 12 참조).
이후 고무줄(100)을 감싼 부직포(120)의 외주면을 접착하는 공정이 실시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25는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수거부'가 오므려진 상태로 하강하는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도 26은 실시예에 따른 헤어캡의 제조장치에서 '수거부'가 하강 후 협지하는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고무줄 이송부(400)의 이동다이(410)의 끝부분에 장착되고, 부직포 융착부(600)에서 융착이 완료된 헤어캡(H)을 협지하여 수거하는 수거부(4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거부(470)는
상기 이동다이(410)의 프레임(414)의 가로바(417)의 끝부분에 장착되며, 프레임(414)의 상부에 '┌┐'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대(472)와,
상기 연결대(472)의 중앙 상부에 수직하게 장착되며 상방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로드를 갖는 승강실린더(473)와,
상기 승강실린더(473)의 로드에 연결된 브라켓(4731)과, 상기 브라켓(4731)에 장착되며 하방으로 로드가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하는 높이조절실린더(4732)와,
상기 높이조절실린더(4732)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부직포 융착부(600)의 원판부(622)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내봉(474)과,
상기 안내봉(474)에 끼움 결합되며 승강되는 링(475)과, 상기 링(475)에 힌지 결합되며 상방을 향해 다수 형성되는 링크로드(476)와, 일단이 안내봉(474)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며 하향 결합되고 상기 링크로드(476)에 힌지 결합된 다수의 협지로드(477)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다수의 협지로드(477)가 외향 벌어지면서 헤어캡(H)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헤어캡(H)을 협지토록 하는 것이다.
즉, 실린더(473)의 로드가 인출되면, 즉 하강하면 안내봉(474)이 하강하게 되고, 링크로드(476)가 안내봉(474)을 향해 접히게 되고, 이에 힌지 결합된 협지로드(477)가 접히게 되므로 다수의 협지로드(477)가 형성하게 되는 반경이 좁아짐으로써 헤어캡(H)의 삽입구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가 된다.
이후 실린더(473)의 로드가 인입되면, 안내봉(474)이 상승하게되고, 링크로드(476)가 안내봉(474)으로부터 이격되어 대략 30~40도의 각도를 갖도록 펴지게 되며, 이에 힌지 결합된 협지로드(477)도 외향 벌어지면서 이들 다수의 협지로드(477)가 이루는 반경이 커지게 된다.
이렇게 다수의 협지로드(477)가 이루는 반경이 커지면서 헤어캡(H)의 삽입구를 신장시키므로 고무줄(100)이 늘어나면서 다수의 협지로드(477)가 밀착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다수의 협지로드(477)가 상승과 동시에 펼쳐지면서 헤어캡(H)을 협지한 상태로 상승하게 되어 수거작동이 완료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고무줄 200 : 고무줄 장착부
220 : 걸림구 260 : 패드
270 : 슬릿 300 : 걸림구 작동부
310 : 제1피니언기어 320 : 제2피니언기어
340 : 동력부 400 : 고무줄 이송부
410 : 이동다이 420 : 승강실린더
440 : 고무줄 협지부 444 : 실린더유닛
446 : 서포트 600 : 부직포 융착부
620 : 흡착부 640 : 협지부
630 ; 제1림 650 : 제2림
661 : 제1액츄에이터 662 : 제1수평바
663 : 제1수직바 670 : 제2승강부
680 : 접착부 720 : 지지바
800 : 구동부 820 : 아암
840 : 동력부
220 : 걸림구 260 : 패드
270 : 슬릿 300 : 걸림구 작동부
310 : 제1피니언기어 320 : 제2피니언기어
340 : 동력부 400 : 고무줄 이송부
410 : 이동다이 420 : 승강실린더
440 : 고무줄 협지부 444 : 실린더유닛
446 : 서포트 600 : 부직포 융착부
620 : 흡착부 640 : 협지부
630 ; 제1림 650 : 제2림
661 : 제1액츄에이터 662 : 제1수평바
663 : 제1수직바 670 : 제2승강부
680 : 접착부 720 : 지지바
800 : 구동부 820 : 아암
840 : 동력부
Claims (17)
- 머리에 착용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작업대(T);
상기 작업대(T)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고무줄(100)을 외측으로 신장시켜 직경이 증가되도록 하는 고무줄 장착부(200);
상기 작업대(T)의 상면에 형성되며 직경이 증가된 고무줄(100)을 협지하여 일측으로 이송하는 고무줄 이송부(400);
상기 작업대(T)의 상면에 형성되며, 부직포(120)를 절단하는 부직포 절단부(690);
상기 작업대(T)의 상면에 형성되며, 부직포(120)가 안착된 후 상기 고무줄 이송부(400)로부터 이송된 고무줄(100)을 부직포(120)의 외주연에 결합시키는 부직포 융착부(600);
상기 고무줄 이송부(400)를 이동시켜 고무줄 장착부(200) 또는 부직포 융착부(600) 사이를 왕복하도록 하는 구동부(8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줄 장착부(20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서 외주연을 향해 이동되면서 각자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복수의 걸림구(220);
상기 복수의 걸림구(220)에 고무줄(100)이 걸어지고, 각 걸림구(220)가 이동하여 간격이 벌어짐으로써 고무줄(100)이 신장되도록 하는 걸림구 작동부(300);
상기 복수의 걸림구(220)가 각기 결합되고, 각 걸림구(220)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작동을 안내하는 슬릿(270)이 복수개 형성된 패드(2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줄 이송부(400)는,
작업대(T)의 상부에 설치되며, 고무줄 장착부(200)와 부직포 융착부(60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평행 배치되며 레일이 형성된 양측의 레일바(412)와, 상기 양측 레일바(412)의 레일에 결합되는 롤러가 구비되어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프레임(414)을 포함하는 이동다이(410);
상기 이동다이(410)의 프레임(414)에 장착되며, 승강작동되는 로드가 형성된 승강실린더(420);
상기 승강실린더(420)의 로드에 연결되는 고정판(442)과, 상기 고정판(442)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공압 변동에 의해 출몰작동되는 로드(445)가 구비된 복수개의 실린더유닛(444);
상기 실린더유닛(444)의 로드(445)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서포트(446)로 구성된 고무줄 협지부(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T)의 일측에는 부직포 원단을 부직포 융착부(600)에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부(900);가 포함되고,
상기 부직포 공급부(900)는
작업대(T)에 직각되게 형성되며 양측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레일부재(910);
상기 부직포(120)가 권취된 롤(930);
상기 레일부재(910)를 타고 전후진 작동하며, 상기 롤(930)로부터 부직포(120)가 인출되도록 부직포(120)를 협지하여 전진시키는 공급유닛(920);
상기 공급유닛(920)의 단부에 형성되며 부직포(120)를 협지 또는 해제작동하는 협지유닛(940);
상기 레일부재(910)를 따라 공급유닛(920)이 전후진되도록 레일부재(910)의 측면에 형성된 구동실린더(952)와, 상기 구동실린더(952)에 형성되어 출몰작동하며 레일부재(910)의 단부에 결합된 구동로드(954)로 구성된 구동부(9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920)은
상기 양측 레일부재(910)의 일단을 연결하는 플레이트(921)에 형성되며, 로드(9221)가 전후진 작동되는 제1실린더(922);
상기 제1실린더(922)의 로드(9221)에 결합된 바(923)와, 상기 바(923)의 양단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ㄴ자형상의 앵글링크(924)와, 상기 앵글링크(924)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작업대(T)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아암(925)과,
상기 레일부재(910)에 롤러로 결합되어 이동되는 연결대(926)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대(926)에 평행하게 아암(925)이 결합되며, 양측 아암(925)이 제1실린더(922)의 로드(9221)의 전후진 작동에 연동하여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유닛(940)은
아암(925)의 단부에 결합된 제2실린더(942)와,
상기 제2실린더(942)의 로드(9421)에 힌지결합되는 링크편(943)과,
상기 링크편(943)의 단부에 수직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편(944)과,
상기 제2링크편(944)의 단부에 수평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3링크편(945) 및
상기 제3링크편(945)과 대향되도록 연결대(926)의 단부에 형성된 집게편(9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융착부(600)는
고무줄 이송부(400)가 고무줄(100)을 탑재한 채 안착될 수 있고, 부직포(120)가 고정되는 흡착부(620)와,
상기 흡착부(62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부직포(120)의 가장자리를 협지하는 협지부(640)와,
부직포(120)를 절단하는 부직포 절단부(690)와,
상기 협지부(640) 내의 부직포 가장자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680)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620)는,
다수의 흡입공(623)이 형성되어 부직포(120) 원단이 안착되도록 하는 원판부(622);
다수의 흡입공(623)에 연결되는 흡입호스와, 흡입호스에 흡입력을 발생하는 진공펌프로 구성되는 흡입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협지부(640)는,
상기 흡착부(620)가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된 수용부가 형성되고, 흡착부(62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결합되는 제1림(630)과,
상기 제1림(630)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부(660)와,
상기 제1림(6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2림(650) 및
상기 제2림(650)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부(6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절단부(690)는
상기 제2림(650)에 안착된 부직포(120)를 제2림(650)의 형상과 부합되도록 절단하는 것으로,
상기 제2림(650)의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열선(692)과,
상기 열선(692)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열시키는 전원공급부(693)와,
상기 제2림(650)의 상면에 안착되며, 제2림(65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통공(697)이 형성되고 양단부가 이동다이(410)의 양측 레일바(412) 보다 돌출된 부착부(695)를 갖는 가압판(694);
상기 가압판(694)을 승강작동시켜 가압과 해제를 유발하는 동력부(69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융착부(600)에서 융착이 완료된 헤어캡(H)을 협지하여 수거하는 수거부(470);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는
상기 이동다이(410)의 끝부분에 장착되며, 프레임(414)에 형성되는 연결대(472);
상기 연결대(472)의 중앙 상부에 수직하게 장착되며 하방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로드를 갖는 실린더(473);
상기 실린더(473)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부직포 융착부(600)의 원판부(622)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내봉(474);
상기 안내봉(474)에 끼움 결합되며 승강되는 링(475);
상기 링(475)에 힌지 결합되며 상방을 향해 다수 형성되는 링크로드(476);
일단이 안내봉(474)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며 하향 결합되고 상기 링크로드(476)에 힌지 결합된 다수의 협지로드(477);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다수의 협지로드(477)가 외향 벌어지면서 헤어캡(H)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헤어캡(H)을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T)에 형성되며, 고무줄(100)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적정한 크기로 직경을 확장시키고 고무줄 장착부(200)로 공급하는 고무줄 형성부(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줄 형성부(2)는
상기 작업대(T)의 상판에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으로 장착되며,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롤러(21)가 형성된 회전판(22);
상기 회전판(22)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다수의 롤러(21)에 권취되도록 고무줄(100)을 공급하는 보빈(23);
상기 회전판(22)의 중심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축(24)과, 회전축(24)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0);
상기 회전판(22)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어 구동부(10)의 동력에 의해 회전판(22)이 1회전된 후 원형으로 형성된 고무줄(100)의 단부를 커팅하는 커팅기;
상기 커팅기의 일측에 형성되며 커팅 후 고무줄(100)의 양단부를 접착하는 접착기;
상기 회전판(22)의 다수의 롤러(21)에 감겨진 고무줄(100)을 인출하여 고무줄 장착부(200)로 이송하는 고무줄 이송기(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0)는
상기 회전축(24)에 장착된 피니언기어(25);
상기 피니언기어(25)와 치차 결합되는 랙기어(103)가 형성된 기어로드(101)를 갖는 공압실린더(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줄 이송기(3)는
상기 회전판(22)의 상부에 형성되며 승강작동하는 로드를 구비하고 프레임에 장착된 브라켓(31)의 상부에 장착된 제1실린더(33);
상기 제1실린더의 로드에 장착되어 브라켓의 하부에 형성되며 승강작동되는 로드를 갖는 제2실린더(32);
상기 제2실린더(32)의 로드에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제1,2링크편(35,36)으로 구성된 협지부(H);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2)에는 다수개의 삽입공(22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2링크편(36)이 상기 다수의 삽입공(221)에 각기 대응하여 삽입되어 다수의 롤러(222)에 감겨진 고무줄(100) 보다 하강된 위치에 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696)의 로드 하강을 정지시키도록 감지부(69);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69)는 승강구동부(696)의 로드가 장착되는 브라켓(691)과, 브라켓(69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접지대(692)와, 상기 접지대(692)가 접촉되도록 가압판(694)의 부착부(695)의 외면에 형성된 센서(6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2)의 일측에 형성되며 고무줄을 다수 저장하여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저장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5)는
작업대(T)의 상판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거치 원판(52);
거치 원판(52)에 다수 형성되는 고무줄 거치부(54);
각 고무줄 거치부(54)로부터 고무줄(100)을 인출하여 고무줄 장착부(200)로 이송하는 고무줄 이송기(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캡의 제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4524A KR102330542B1 (ko) | 2019-07-12 | 2019-07-12 | 헤어캡의 제조장치 |
US17/273,582 US11737505B2 (en) | 2018-09-10 | 2019-08-07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air cap |
CN201980058224.9A CN112654270A (zh) | 2018-09-10 | 2019-08-07 | 发罩制造装置 |
PCT/KR2019/009853 WO2020054976A1 (ko) | 2018-09-10 | 2019-08-07 | 헤어캡의 제조장치 |
JP2021537418A JP2021536536A (ja) | 2018-09-10 | 2019-08-07 | ヘアキャップの製造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4524A KR102330542B1 (ko) | 2019-07-12 | 2019-07-12 | 헤어캡의 제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7676A true KR20210007676A (ko) | 2021-01-20 |
KR102330542B1 KR102330542B1 (ko) | 2021-11-24 |
Family
ID=7430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4524A KR102330542B1 (ko) | 2018-09-10 | 2019-07-12 | 헤어캡의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054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5100B1 (ko) * | 2024-02-02 | 2024-05-10 | 와이에스텍 주식회사 | 헤드레스트 비닐 덮개 성형장치 및 그 성형장치로 제조된 비닐 덮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06799A (ko) | 2022-07-07 | 2024-01-16 | 김익현 | 헤어캡의 제조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01297A (ko) * | 2003-06-28 | 2005-01-06 | 엔씨앤디주식회사 | 선캡 또는 모자용 탄성 강철 밴드 및 그 제조 방법과 장치 |
JP2007138373A (ja) * | 2005-10-17 | 2007-06-07 | Delta Tooling Co Ltd | 帽子の製造方法、帽子及び弾性中材 |
KR20130042917A (ko) * | 2011-10-19 | 2013-04-29 | 양원동 | 밀폐기능을 갖는 탄성 헤어캡 |
JP3194440U (ja) * | 2014-09-10 | 2014-11-20 | シゲモリ株式会社 | 衛生帽子 |
KR20170124463A (ko) | 2016-05-02 | 2017-11-10 | 다부치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전자유도기 및 전자유도기의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94440B2 (ja) | 1992-02-27 | 2001-07-30 | 株式会社リコー | 給紙装置 |
-
2019
- 2019-07-12 KR KR1020190084524A patent/KR1023305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01297A (ko) * | 2003-06-28 | 2005-01-06 | 엔씨앤디주식회사 | 선캡 또는 모자용 탄성 강철 밴드 및 그 제조 방법과 장치 |
JP2007138373A (ja) * | 2005-10-17 | 2007-06-07 | Delta Tooling Co Ltd | 帽子の製造方法、帽子及び弾性中材 |
KR20130042917A (ko) * | 2011-10-19 | 2013-04-29 | 양원동 | 밀폐기능을 갖는 탄성 헤어캡 |
JP3194440U (ja) * | 2014-09-10 | 2014-11-20 | シゲモリ株式会社 | 衛生帽子 |
KR20170124463A (ko) | 2016-05-02 | 2017-11-10 | 다부치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전자유도기 및 전자유도기의 제조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5100B1 (ko) * | 2024-02-02 | 2024-05-10 | 와이에스텍 주식회사 | 헤드레스트 비닐 덮개 성형장치 및 그 성형장치로 제조된 비닐 덮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0542B1 (ko) | 2021-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007676A (ko) | 헤어캡의 제조장치 | |
KR101999990B1 (ko) |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 |
US4188898A (en) | System for combining stocking materials and gussets to form panty hose garments | |
IT201600100151A1 (it) |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contenitori scatolari con fondo e/o coperchio composti da una base a piattello e da una superficie laterale definita da una striscia o cintura connessa perimetralmente alla base a piattello. | |
CN109703804A (zh) | 一种海绵床垫卷装用覆膜机 | |
KR20240006799A (ko) | 헤어캡의 제조장치 | |
KR20210022337A (ko) | 롤백 자동 제조장치 | |
US20120085072A1 (en) | Wrapping machine | |
US11737505B2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air cap | |
JP3486148B2 (ja) | メッシュ織物の袋を製造し、充填し、および閉じるための装置 | |
CN107669395B (zh) | 一种医用保温被及其加工设备 | |
KR200350331Y1 (ko) | 측면 포장기를 구비한 롤형 원단 포장장치 | |
KR102090735B1 (ko) | 헤어캡의 제조장치 | |
KR100842874B1 (ko) | 솜 제조장치 | |
CN209382331U (zh) | 一种海绵床垫卷装用覆膜机 | |
CN106617441A (zh) | 一种布料粘合机 | |
CN208344635U (zh) | 废膜收集装置及应用该废膜收集装置的拉伸膜包装机 | |
CN112498832A (zh) | 一种开袋装置、自动化套袋机及套袋方法 | |
CN214630223U (zh) | 口罩机 | |
CN212223280U (zh) | 一种松紧带自动缝纫机 | |
JPH0643107B2 (ja) | タイヤ成形機における材料供給貼付装置 | |
US4253290A (en) | Automatic bagging machine | |
JPS5843506B2 (ja) | 生地送り出し装置 | |
KR930006429B1 (ko) | 조화용 꽃잎의 주름 성형기 | |
CN114834058A (zh) | 一种口罩生产设备及口罩制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