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337A - 롤백 자동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롤백 자동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337A
KR20210022337A KR1020190101726A KR20190101726A KR20210022337A KR 20210022337 A KR20210022337 A KR 20210022337A KR 1020190101726 A KR1020190101726 A KR 1020190101726A KR 20190101726 A KR20190101726 A KR 20190101726A KR 20210022337 A KR20210022337 A KR 20210022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branch pipe
rollback
cylinder
viny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귀재
Original Assignee
한귀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귀재 filed Critical 한귀재
Priority to KR1020190101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2337A/ko
Publication of KR2021002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7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2Drive or actuation means; Transmission means; Screw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55Conveyors for extru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백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롤백 제작에 대한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연속 성형이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으로 코스트를 낮춰 경제적인 이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압출기로부터 튜브 형태로 연속 성형되는 비닐튜브(2)가 외주면을 따라 함께 이송되도록 롤러모터(11)에 의해 회전되는 실리콘롤러(12)와, 상기 실리콘롤러(12)의 일측에 위치되어 전기 공급으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실리콘롤러(12)와 일정 비율로 회전되며 비닐튜브(2)를 일정 간격마다 접합시키는 접합인두(14)와, 상기 실리콘롤러(12)의 접합인두(14) 설치위치와 반대측에 위치되어 예리한 톱날들이 반복 성형된 상태로 실리콘롤러(12) 및 접합인두(14)와 일정 비율로 회전되며 접합부 인근 위치로 절취부가 성형되도록 절취나이프(15)가 포함되어 있는 롤백 성형부(10)와; 축회전모터(21)의 구동으로 샤프트(22)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좌우 한쌍의 회전판(23)들에 각각 마련되는 회전척(24)과 슬라이드척(25) 사이로 지관(1)이 장착된 상태에서 지관(1)의 회전으로 롤백 성형부(10)로부터 공급되는 비닐튜브(2)가 권취 완료되면, 빈 지관(1)의 위치와 서로 전환시키는 지관위치 전환부(20)와; 상기 회전판(23)의 일측 외부로 척모터(31)를 설치하고, 회전척(24)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풀리(33)를 벨트(32)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회전척(24)과 슬라이드척(25) 사이로 장착된 지관(1)에 비닐튜브(2)가 권취되도록 하는 척구동부(30)와; 상기 지관위치 전환부(20)의 작동으로 위치 전환되어 있는 양쪽 지관(1)들 사이로 컷팅실린더(41)의 작동으로 커터헤드(44)가 전진하여 컷팅나이프(49)를 통해 비닐튜브(2)를 절단하고 복귀하는 비닐컷팅부(40)와; 상기 회전판(23)의 외측에 마련된 출몰실린더(51)의 작동으로 슬라이드척(25)이 전진되어 회전척(24) 사이로 지관(1)이 장착되도록 하거나, 비닐튜브(2)가 권취 완료되면 이 슬라이드척(25)이 후퇴되어 완제품의 롤백을 분리, 낙하시키는 척 작동부(50)와; 호퍼(61)에 다수의 빈 지관(1)들을 다수개 채워지게 한 상태에서 척 작동부(50)의 동작으로 권취 완료된 롤백이 슬라이드척(25)의 후퇴로 낙하, 배출된 후 설치홈(63)이 마련된 작동캠(62)과, 스프링(65)으로 탄력 설치된 지관가이드(64) 사이로 빈 지관(1)을 끼운 상태로 캠작동수단(70)의 동작으로 호퍼(61)의 출구로부터 슬라이드척(25)과 회전척(24)의 중심 위치로 빈 지관(1)을 공급하고, 원상태 복귀를 반복하는 지관공급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백 자동 제조장치{Roll-back auto manufacture device}
본 발명은 롤백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롤백 제작에 대한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연속 성형이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으로 코스트를 낮춰 경제적인 이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백은 비닐백이 지관에 절취 가능하도록 연속 권취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야채 또는 과일 등을 판매하는 판매점에서 주로 사용된다.
롤백은 튜브 형태로 압출 성형되는 비닐백을 일정 간격마다 실링하고 실링된 일측 방향에 절취선을 형성한 후, 지관에 권취시켜 제조하게 된다.
비닐백을 실링하는 이유는 백의 일단을 밀폐시키기 위한 것이고, 절취선은 비닐백을 낱개 단위로 뜯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롤백 제조장치는 압출기에 의해 생산된 비닐튜브를 권취기로써 롤(roll) 형태로 권취한 후, 상기 권취된 비닐튜브를 롤백 제조기의 거치대에 장착하여 절취부와 접합부를 형성하는 성형 작업에 의해 완성되었다.
이 롤백 제조기는 권취기에서 해체한 비닐원단 롤을 장착하는 거치대와, 비닐원단을 일정간격으로 부분 절단하여 절취부를 형성하는 커터 및, 비닐원단을 열로써 융착(融着)하여 접합부를 형성하는 융착구와, 절취부 및 접합부가 성형된 비닐원단을 지관에 권취하여 롤백을 형성하는 권취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롤백 제조장치는 비닐원단을 생산하는 압출기와 별개로 권취기를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롤백을 제조함에 있어 압출기를 통하여 권취기에 권취된 비닐원단 롤을 권취기로부터 해체한 후 다시 롤백 제조장치의 거치대에 장착하여야 한다.
따라서, 1차적으로 생산된 비닐원단 롤의 해체 및 재장착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절취부아 융착부 및 지관에 권취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각각 분리되어 작업자에 의해 일일이 다음 공정으로 재료를 이송한 후 장착과 해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그에 따른 작업시간 증대와 노동력 손실을 야기하여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저하시킴과 아울러 제조원가 상승의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또, 각각의 설비공간 및 작업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 단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67824호 (등록일자 2004년11월04일)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9-0062746호 (공개일자 2019년06월07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압출기에서 공급되는 튜브상태의 원단 상태를 절취선과 접합선 성형과 지관에 권취하고 적정 길이로 절단하여 저장위치로 이송시키는 일련의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연속해서 이루어지게 하므로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롤백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설비공간 및 작업공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작업 인력이 불필요하여 작업성 향상과 아울러 제품 코스트를 대폭 저감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도록 한 롤백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출기로부터 튜브 형태로 연속 성형되는 비닐튜브(2)가 외주면을 따라 함께 이송되도록 롤러모터(11)에 의해 회전되는 실리콘롤러(12)와, 상기 실리콘롤러(12)의 일측에 위치되어 전기 공급으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실리콘롤러(12)와 일정 비율로 회전되며 비닐튜브(2)를 일정 간격마다 접합시키는 접합인두(14)와, 상기 실리콘롤러(12)의 접합인두(14) 설치위치와 반대측에 위치되어 예리한 톱날들이 반복 성형된 상태로 실리콘롤러(12) 및 접합인두(14)와 일정 비율로 회전되며 접합부 인근 위치로 절취부가 성형되도록 절취나이프(15)가 포함되어 있는 롤백 성형부(10)와;
축회전모터(21)의 구동으로 샤프트(22)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좌우 한쌍의 회전판(23)들에 각각 마련되는 회전척(24)과 슬라이드척(25) 사이로 지관(1)이 장착된 상태에서 지관(1)의 회전으로 롤백 성형부(10)로부터 공급되는 비닐튜브(2)가 권취 완료되면, 빈 지관(1)의 위치와 서로 전환시키는 지관위치 전환부(20)와;
상기 회전판(23)의 일측 외부로 척모터(31)를 설치하고, 회전척(24)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풀리(33)를 벨트(32)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회전척(24)과 슬라이드척(25) 사이로 장착된 지관(1)에 비닐튜브(2)가 권취되도록 하는 척구동부(30)와;
상기 지관위치 전환부(20)의 작동으로 위치 전환되어 있는 양쪽 지관(1)들 사이로 컷팅실린더(41)의 작동으로 커터헤드(44)가 전진하여 컷팅나이프(49)를 통해 비닐튜브(2)를 절단하고 복귀하는 비닐컷팅부(40)와;
상기 회전판(23)의 외측에 마련된 출몰실린더(51)의 작동으로 슬라이드척(25)이 전진되어 회전척(24) 사이로 지관(1)이 장착되도록 하거나, 비닐튜브(2)가 권취 완료되면 이 슬라이드척(25)이 후퇴되어 완제품의 롤백을 분리, 낙하시키는 척 작동부(50)와;
호퍼(61)에 다수의 빈 지관(1)들을 다수개 채워지게 한 상태에서 척 작동부(50)의 동작으로 권취 완료된 롤백이 슬라이드척(25)의 후퇴로 낙하, 배출된 후 설치홈(63)이 마련된 작동캠(62)과, 스프링(65)으로 탄력 설치된 지관가이드(64) 사이로 빈 지관(1)을 끼운 상태로 캠작동수단(70)의 동작으로 호퍼(61)의 출구로부터 슬라이드척(25)과 회전척(24)의 중심 위치로 빈 지관(1)을 공급하고, 원상태 복귀를 반복하는 지관공급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척 작동부(50)는 출몰실린더(51)의 작동으로 홈(53)이 마련된 헤드(52)가 슬라이드척(25)의 걸림돌기(25a)를 당겨지게 하거나 전진되도록 하여 지관(1)을 슬라이드척(25)과 회전척(24)의 사이에서 장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캠작동수단(70)은 랙기어(72)를 전후진 시키는 랙실린더(71)와, 랙기어(72)에 치차 결합된 피니언(73)이 정,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작동캠(62)을 왕복 회전시켜 빈 지관(1)을 척의 위치로 공급 후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터헤드(44)는 핀(4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42)의 상단에 마련하고, 이 로드(42)를 회동시키는 로드실린더(45)의 동작으로 비닐튜브(2)가 지관(1)의 외측으로 일부 감겨진 그 외부면에 지지롤러(47)가 접촉된 상태에서, 나이프실린더(48)가 컷팅나이프(49)를 전진시켜 비닐튜브(2)가 절취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커터헤드(44)에는 비닐튜브(2)를 향해 에어가 분출되는 에어호스(49a)와, 수개의 가이드롤러(46)들이 마련되어 절단된 비닐튜브(2)의 선단이 지관(1)과 롤백 성형부(10)로부터 직선 상태로 공급되는 그 사이를 향해 진입되며 지관(1)의 회전으로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관(1)이 척구동부(30)에 의해 회전되며 비닐튜브(2)가 권취될 때 수직실린더(81)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유연재의 구김방지편(80)이 롤백 성형부(10)로부터 직선상태로 공급되는 위치와 지관(1)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원주면 사이에 끼워져 비닐튜브(2)의 구김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22)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구멍(92)이 뚫어지는 위치고정휠(91)이 함께 회전되도록 부착하고, 샤프트(22)의 회전을 지지하는 틀체(5)에는 위치고정휠(91)의 고정구멍(92)을 향해 고정핀(93)을 출몰시켜 샤프트(22)와 회전판(23)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하는 위치고정실린더(90)가 더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틀체(5)에는 출몰실린더(51)의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10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접합선과 절취선이 성형되는 비닐튜브를 연속하여 적정 길이만큼 지관에 권취하여 롤백 완제품은 분리하고, 새로운 빈 지관의 공급 등이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연속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생산성이 매우 향상될 뿐만 아니라 숙련된 작업자가 불필요하고 설비공간이 넓지 않아도 생산이 가능하므로, 코스트를 낮춰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롤백 성형부에서 성형되는 롤백 구성을 일부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롤백 성형부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지관위치 전환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도.
도 8은 지관에 비닐튜브가 완제품 상태로 권취된 상태를 보인 장치도.
도 9는 롤백 완제품과 빈 지관의 위치를 전환한 상태를 보인 장치도.
도 10은 롤백 완제품을 낙하시키고 그 위치로 새로운 지관이 공급되는 상태를 보인 장치도.
도 11은 지관 공급부의 구성을 보인 확대도.
도 12는 캠작동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3은 척 작동부의 구성을 보인 요부 정면도.
도 14는 샤프트의 일측으로 위치결정수단이 설치되는 구조를 보인 확대도.
도 15는 컷팅실린더의 작동으로 커터헤드가 비닐튜브를 들어지게 한 상태로 상승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장치도.
도 16은 커터헤드가 로드와 함께 회동된 후 컷팅나이프가 비닐튜브를 절단시키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17은 비닐컷팅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크게 롤백 성형부(10)와, 지관위치 전환부(20) 및 척구동부(30)와, 비닐컷팅부(40) 그리고 지관공급부(60)로 구성된다.
롤백은 도 1에서와 같이 튜브형태로 된 비닐에 일정간격 마다 접합부와 절취부를 연속 성형한 후 지관(1)에 권취된 상태로 한 마디씩 뜯어서 과일이나 야채 및 고기류 등을 포장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상기 롤백 성형부(10)는 실리콘롤러(12)의 상부에는 접합인두(14)가, 하부에는 점선 상태로 절취선을 성형하기 위한 절취나이프(15)가 위치되며, 롤러모터(11)로부터 체인을 통해 동력이 각각 전달되도록 구성하여 동일한 속도 비율로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실리콘롤러(12)는 도시하지 않은 압출기로부터 튜브 형태로 연속 성형되는 비닐튜브(2)가 안내롤러들을 거쳐 외주면의 일부에 접촉된 상태로 실리콘롤러(12)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상부에 위치되는 접합인두(14)가 실리콘롤러(12)에 접촉될 때 접합부가 성형된다.
또, 실리콘롤러(12)의 하부에 위치된 절취나이프(15)는 접합부의 근접 위치에서 절취선이 성형될 수 있도록 그 설치 각도를 셋팅하게 된다.
접합인두(14)와 절취나이프(15)는 도면에서와 같이 180도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양쪽에 2개가 각각 설치되어 실리콘롤러(12)에 접촉되면서 접합부와 절취선이 성형된다.
이때, 접합인두(14)와 절취나이프(15)를 2개중 하나를 제거하게 되면 비닐튜브(2)에 성형되는 접합부와 절취선의 간격이 2배로 길어진 상태로 롤백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접합인두(14)는 전원공급용 브러쉬(16)를 통해 회전되면서도 전기가 계속 공급되어 접합이 가능한 온도로 가열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절취나이프(15)는 접합인두(14)의 설치 위치와 반대측에 위치되어 예리한 톱날들이 반복 성형되어 실리콘롤러(12)의 외주면을 따라 이송되는 비닐튜브(2)에 절취용 구멍들을 뚫어서 절취부가 성형되도록 한다.
접합부와 절취부가 일정 간격마다 성형 완료된 비닐튜브(2)는 지관위치 전환부(20)에 회전척(24)과 슬라이드척(25) 사이로 장착된 일측(도 8에서 우측) 지관(1)의 외주면에 권취되고, 권취가 완료되면 빈 지관(1)의 위치와 180도 회전으로 서로 그 위치를 전환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지관()의 외주면으로 비닐튜브(2)가 원하는 길이로 권취되어 롤백 제품이 완성되는 것은 실리콘롤러(12)의 중심축(13)이 회전될 때, 그 회전수를 카운터 센서(S)가 감지하게 된다.
카운터 센서(S)에서 설정된 회전수로 도달하면 지관(1)에 권취되는 비닐튜브(2)의 제작 길이가 완성된 것으로 감지하여, 지관위치 전환부(20)가 작동되어 비닐튜브(2) 권취가 완성되 지관(1)과 빈 지관(1)의 위치를 서로 전환시키게 된다.
지관(1)들은 회전척(24)과 슬라이드척(25) 사이로 장착된다.
또, 회전척(24)과 슬라이드척(25)은 축회전모터(21)의 구동으로 샤프트(22)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좌우 한쌍의 회전판(23)들에 양쪽에 각각 마련되며, 회전척(24)은 척모터(31)의 동력으로 회전을 지관(1)에 전달하여 그 외주면으로 비닐튜브(2)를 권취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척구동부(30)는 회전판(23)의 일측 외부로 설치된 척모터(31)가 구동되면 회전척(24)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풀리(33)에 벨트(32)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척(24)과 슬라이드척(25) 사이로 지관(1)이 장착된 상태에서 척모터(31)의 회전이 벨트(32)를 통해 풀리(33)에 전달되고, 이 회전척(24)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척(25) 사이에서 압착 설치된 지관(1)의 외주면으로 비닐튜브(2)가 권취되도록 하는 것이다.
회전척(24)과 슬라이드척(25)에는 그 사이에 장착되는 지관(1)에 적정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스프링(26)이 각각 탄력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비닐컷팅부(40)는 지관위치 전환부(20)의 작동으로 위치 전환되어 있는 양쪽 지관(1)들 사이로 컷팅실린더(41)의 작동으로 커터헤드(44)가 전진하여 컷팅나이프(49)를 통해 비닐튜브(2)를 절단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커터헤드(44)는 핀(4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42)의 상단에 마련하고, 컷팅실린더(41)가 전진하게 되면 로드(42)와 커터헤드(44)가 동시에 상승하면서 양쪽 지관(1)들 사이를 연결하고 있던 비닐튜브(2)를 약간의 높이로 들어 올리게 된다.(도 15 참조)
그리고, 상기 로드(42)를 로드실린더(45)의 동작으로 회동시켜 커터헤드(44)의 하부쪽에 마련된 지지롤러(47)가 빈 지관(1)의 외부에 일부 감겨진 비닐튜브(2)에 접촉시킨 후, 나이프실린더(48)가 컷팅나이프(49)를 전진시켜 비닐튜브(2)를 절취시키게 된다.(도 16 참조)
컷팅나이프(49)는 빠르게 전진되어 비닐튜브(2)가 절취된 후 바로 후퇴된다.
여기서, 커터헤드(44)에는 비닐튜브(2)를 향해 에어가 분출되는 에어호스(49a)와, 수개의 가이드롤러(46)들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롤러(46)들은 커터헤드(44)가 상승되어 비닐튜브(2)와 접촉될 때 절단이나 훼손을 방지하고 비닐튜브(2)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 에어호스(49a)는 컷팅나이프(49)를 전진시켜 비닐튜브(2)를 절취시킨 후 소정의 압력으로 에어가 분출되도록 하여 컷팅나이프(49)에 의해 절단된 비닐튜브(2)의 선단이 지관(1)과 롤백 성형부(10)로부터 직선 상태로 공급되는 그 사이 틈새를 향해 진입될 수 있도록 하여 오동작 없이 지관(1)이 회전되면서 외부면에 권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척 작동부(50)는 슬라이드척(25)을 출몰 조작하여 지관(1)의 물림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완제품의 롤백을 분리, 낙하시키게 된다.
즉, 상기 회전판(23)의 외측에 마련된 출몰실린더(51)의 작동으로 슬라이드척(25)이 전진되어 회전척(24) 사이로 지관(1)이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비닐튜브(2)가 권취 완료되고 지관위치 전환부(20)에 의해 위치를 180도 전환된 다음 컷팅나이프(49)에 의해 비닐튜브(2)가 절단된 직 후에는, 출몰실린더(51)가 슬라이드척(25)을 강제 후퇴시켜 회전척(24) 사이에 장착되어 있던 완제품의 롤백을 분리, 낙하시키게 된다.
상기 출몰실린더(51)의 헤드(52)에는 홈(53)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뚫어져 있다.(도 6 및 도 7)
그리고, 슬라이드척(25)에는 이 헤드(52)의 홈(53)에 걸림돌기(25a)가 걸려지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출몰실린더(51)가 슬라이드척(25)과 함께 후퇴되면 걸림돌기(25a)가 당겨지면서 회전척(24) 사이에 압착 설치되어 있던 지관(1)은 물림이 해제되어 자중에 의해 분리, 받침대(4)의 위치로 낙하될 수 있게 된다.
또, 출몰실린더(51)가 슬라이드척(25)과 함께 전진되면 지관(1)을 슬라이드척(25)과 회전척(24)의 사이에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관위치 전환부(20)의 작동으로 회전판(23)과 함께 슬라이드척(25)이 회전되면 걸림돌기(25a)가 헤드(52)의 홈(53)을 통해 이탈되고, 180도 반대측에 위치되어 있던 타측의 슬라이드척(25)에 형성된 걸림돌기(25a)가 출몰실린더(51)의 홈(53) 내부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낙하된 완제품의 롤백은 경사지게 설치된 받침대(4)에 의해 완제품 수거용 박스에 담겨지게 된다.
위 과정에 의해 완제품의 롤백이 낙하되면 지관공급부(60)가 동작하여 호퍼(61)에 마련되어 있던 빈 지관(1)이 슬라이드척(25)과 회전척(24)의 중심 위치까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호퍼(61)에는 다수의 빈 지관(1)들을 다수개 채워져 있고, 출구 위치에는 설치홈(63)이 마련된 작동캠(62)과, 스프링(65)으로 탄력 설치된 지관가이드(64)가 설치된 상태에서 캠작동수단(70)의 동작으로 빈 지관(1)을 호퍼 출구로부터 슬라이드척(25)과 회전척(24)의 중심 위치까지 공급한 후 다시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 작동캠(62)은 축(67)을 중심으로 선회되며, 축(67)의 일단에는 피니언(73)이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축 결합되어 있다.
빈 지관(1)은 작동캠(62)의 설치홈(63)과 지관가이드(64) 사이로 끼워져 물림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캠작동수단(70)이 동작되면 지관가이드(64)와 작동캠(62)이 선회하여 슬라이드척(25)과 회전척(24)의 중심 위치로 빈 지관(1)을 공급한 후 슬라이드척(25)이 출몰실린더(51)의 동작으로 전진되어 지관(1)을 압착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캠(62)이 후퇴하는 과정에서는 지관가이드(64)는 스프링(65)에 탄력 설치되어 있으므로, 힌지핀(66)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지관(1)을 타고 넘어가면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것이다.(도 10 참조)
여기서 캠작동수단(70)은 랙기어(72)를 전후진 시키는 랙실린더(71)와, 랙기어(71)에 치차 결합된 피니언(73)이 축(67)과 함께 정,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축(67)에 결합되어 있는 작동캠(62)을 왕복 회전시켜 빈 지관(1)을 척의 위치로 공급 후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지관(1)이 척구동부(30)에 의해 회전되며 비닐튜브(2)가 권취될 때 수직실린더(81)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유연한 합성수지재로 얇은 판 형상으로 성형된 구김방지편(80)이 롤백 성형부(10)로부터 직선상태로 공급되는 위치와 지관(1)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원주면 사이에 끼워져 비닐튜브(2)가 구겨지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이 구김방지편(80)은 원하는 길이로 롤백이 완성된 다음 지관위치 전환부(20)에 의해 위치를 180도 전환시키기 직전 구김방지편(80)을 수직실린더(81)의 동작으로 상승된다.(도 9)
그리고, 다시 빈 지관(1)에 비닐튜브(2)가 권취 시작되면 구김방지편(80)이 하강되어 지관(1)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원주면 사이에 끼워져 비닐튜브(2)가 구겨지면서 권취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장치를 지지하는 틀체(5)에는 지관위치 전환부(20)에 의해 회전판(23)이 180도씩 위치 전환된 후 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22)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구멍(92)이 뚫어지는 위치고정휠(91)이 함께 회전되도록 부착하게 된다.
그리고, 샤프트(22)의 회전을 지지하는 틀체(5)에는 위치고정휠(91)의 고정구멍(92)을 향해 고정핀(93)을 출몰시켜 샤프트(22)와 회전판(23)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하는 위치고정실린더(90)가 더 구비되어 있다.(도 13 참조)
또, 상기 틀체(5)에는 출몰실린더(51)의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100)가 마련되어 있다.(도 12 참조)
그리고, 호퍼(61)에는 다수개 채워진 빈 지관(1)들이 막혀져서 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떨림판(111)을 흔들어 주기 위한 떨림실린더(110)를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롤백 자동성형장치는 도 3의 측면도에서와 같이 동일 구성으로 나란하게 복수 라인으로 마련하면 생산성이 더 향상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지관 2 - 튜브
10 - 롤백 성형부 11 - 롤러모터
12 - 실리콘롤러 14 - 접합인두
15 - 절취나이프 20 - 지관위치 전환부
21 - 축회전모터 22 - 샤프트
23 - 회전판 24 - 회전척
25 - 슬라이드척 30 - 척 구동부
31 - 척모터 32 - 벨트
33 - 풀리 40 - 비닐컷팅부
41 - 컷팅실린더 42 - 로드
44 - 커터헤드 45 - 로드실린더
47 - 지지롤러 48 - 나이프실린더
49 - 컷팅나이프 50 - 척작동부
51 - 출몰실린더 52 - 헤드
53 - 홈 60 - 지관공급부
61 - 호퍼 62 - 작동캠
64 - 지관가이드 70 - 캠작동수단
71 - 랙실린더 72 - 랙기어
73 - 피니언 80 - 구김방지편
90 - 위치고정실린더 100 - 리미트스위치

Claims (8)

  1. 압출기로부터 튜브 형태로 연속 성형되는 비닐튜브(2)가 외주면을 따라 함께 이송되도록 롤러모터(11)에 의해 회전되는 실리콘롤러(12)와, 상기 실리콘롤러(12)의 일측에 위치되어 전기 공급으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실리콘롤러(12)와 일정 비율로 회전되며 비닐튜브(2)를 일정 간격마다 접합시키는 접합인두(14)와, 상기 실리콘롤러(12)의 접합인두(14) 설치위치와 반대측에 위치되어 예리한 톱날들이 반복 성형된 상태로 실리콘롤러(12) 및 접합인두(14)와 일정 비율로 회전되며 접합부 인근 위치로 절취부가 성형되도록 절취나이프(15)가 포함되어 있는 롤백 성형부(10)와;
    축회전모터(21)의 구동으로 샤프트(22)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좌우 한쌍의 회전판(23)들에 각각 마련되는 회전척(24)과 슬라이드척(25) 사이로 지관(1)이 장착된 상태에서 지관(1)의 회전으로 롤백 성형부(10)로부터 공급되는 비닐튜브(2)가 권취 완료되면, 빈 지관(1)의 위치와 서로 전환시키는 지관위치 전환부(20)와;
    상기 회전판(23)의 일측 외부로 척모터(31)를 설치하고, 회전척(24)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풀리(33)를 벨트(32)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회전척(24)과 슬라이드척(25) 사이로 장착된 지관(1)에 비닐튜브(2)가 권취되도록 하는 척구동부(30)와;
    상기 지관위치 전환부(20)의 작동으로 위치 전환되어 있는 양쪽 지관(1)들 사이로 컷팅실린더(41)의 작동으로 커터헤드(44)가 전진하여 컷팅나이프(49)를 통해 비닐튜브(2)를 절단하고 복귀하는 비닐컷팅부(40)와;
    상기 회전판(23)의 외측에 마련된 출몰실린더(51)의 작동으로 슬라이드척(25)이 전진되어 회전척(24) 사이로 지관(1)이 장착되도록 하거나, 비닐튜브(2)가 권취 완료되면 이 슬라이드척(25)이 후퇴되어 완제품의 롤백을 분리, 낙하시키는 척 작동부(50)와;
    호퍼(61)에 다수의 빈 지관(1)들을 다수개 채워지게 한 상태에서 척 작동부(50)의 동작으로 권취 완료된 롤백이 슬라이드척(25)의 후퇴로 낙하, 배출된 후 설치홈(63)이 마련된 작동캠(62)과, 스프링(65)으로 탄력 설치된 지관가이드(64) 사이로 빈 지관(1)을 끼운 상태로 캠작동수단(70)의 동작으로 호퍼(61)의 출구로부터 슬라이드척(25)과 회전척(24)의 중심 위치로 빈 지관(1)을 공급하고, 원상태 복귀를 반복하는 지관공급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자동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척 작동부(50)는 출몰실린더(51)의 작동으로 홈(53)이 마련된 헤드(52)가 슬라이드척(25)의 걸림돌기(25a)를 당겨지게 하거나 전진되도록 하여 지관(1)을 슬라이드척(25)과 회전척(24)의 사이에서 장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자동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작동수단(70)은 랙기어(72)를 전후진 시키는 랙실린더(71)와, 랙기어(72)에 치차 결합된 피니언(73)이 정,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작동캠(62)을 왕복 회전시켜 빈 지관(1)을 척의 위치로 공급 후 복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자동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터헤드(44)는 핀(4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42)의 상단에 마련하고, 이 로드(42)를 회동시키는 로드실린더(45)의 동작으로 비닐튜브(2)가 지관(1)의 외측으로 일부 감겨진 그 외부면에 지지롤러(47)가 접촉된 상태에서, 나이프실린더(48)가 컷팅나이프(49)를 전진시켜 비닐튜브(2)가 절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자동 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터헤드(44)에는 비닐튜브(2)를 향해 에어가 분출되는 에어호스(49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자동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관(1)이 척구동부(30)에 의해 회전되며 비닐튜브(2)가 권취될 때 수직실린더(81)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유연재의 구김방지편(80)이 롤백 성형부(10)로부터 직선상태로 공급되는 위치와 지관(1)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원주면 사이에 끼워져 비닐튜브(2)의 구김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자동 제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2)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구멍(92)이 뚫어지는 위치고정휠(91)이 함께 회전되도록 부착하고, 샤프트(22)의 회전을 지지하는 틀체(5)에는 위치고정휠(91)의 고정구멍(92)을 향해 고정핀(93)을 출몰시켜 샤프트(22)와 회전판(23)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하는 위치고정실린더(9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자동 제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틀체(5)에는 출몰실린더(51)의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10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백 자동 제조장치.




KR1020190101726A 2019-08-20 2019-08-20 롤백 자동 제조장치 KR20210022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726A KR20210022337A (ko) 2019-08-20 2019-08-20 롤백 자동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726A KR20210022337A (ko) 2019-08-20 2019-08-20 롤백 자동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337A true KR20210022337A (ko) 2021-03-03

Family

ID=7515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726A KR20210022337A (ko) 2019-08-20 2019-08-20 롤백 자동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23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116A (ko) * 2021-09-16 2023-03-24 조경연 비닐 롤백 제조장치
CN117484118A (zh) * 2024-01-02 2024-02-02 合肥维信诺电子有限公司 显示模组拆解装置和显示模组拆解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824Y1 (ko) 2004-08-23 2004-11-17 이경원 롤백 제조장치
KR20190062746A (ko) 2017-11-29 2019-06-07 이상일 롤백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824Y1 (ko) 2004-08-23 2004-11-17 이경원 롤백 제조장치
KR20190062746A (ko) 2017-11-29 2019-06-07 이상일 롤백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116A (ko) * 2021-09-16 2023-03-24 조경연 비닐 롤백 제조장치
CN117484118A (zh) * 2024-01-02 2024-02-02 合肥维信诺电子有限公司 显示模组拆解装置和显示模组拆解方法
CN117484118B (zh) * 2024-01-02 2024-05-24 合肥维信诺电子有限公司 显示模组拆解装置和显示模组拆解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322B1 (ko) 일회용 비닐 위생장갑 제조장치
CN109466970B (zh) 线缆收卷装置
KR20210022337A (ko) 롤백 자동 제조장치
CA2393342A1 (en) An apparatus for cutting pieces of material into appropriate shaped portions
CN112590223B (zh) 用于连续生产口罩复合布的设备
CN110421613A (zh) 一种具备快速换刀功能的胶料切条机
CN106904484A (zh) 全自动胶带分切机构
CN209775699U (zh) 一种再生塑料编织袋加工用切割装置
KR200367824Y1 (ko) 롤백 제조장치
JP4978674B2 (ja) 合成樹脂製袋の玉シール部製造装置及び玉シール部製造方法
CN205929573U (zh) 一种加热包包袋布成型、裁切一体化生产线
CN112373788A (zh) 吸塑包装机及纸塑盒封装医用急救敷料及耗材
CN219384214U (zh) 一种应用于编织袋生产的收卷装置
US3146147A (en) Bag making machine with cutting mechanism and the cutting mechanism
CN211225726U (zh) 布料的焊接展平装置
CN104401037A (zh) 一种塑料袋一体式生产工艺
CN108058398A (zh) 一种全自动化浴帘机
CN112998340A (zh) 一种靴套机
CN207536909U (zh) 全自动胶带分切机构
CN112030382A (zh) 一种高效的长布料加工用工业缝纫装置
JPH05139625A (ja) 帯状物の巻取機における巻取枠開閉および巻取物排出装置
KR101202869B1 (ko) 비닐원단 자동 권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백 제조장치
US3506523A (en) Machine for forming bags from thermoplastic tubing
KR100822718B1 (ko) 보조재봉사의 자동 권사장치
CN213785622U (zh) 用于连续生产口罩复合布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